KR20230046081A -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081A
KR20230046081A KR1020210129118A KR20210129118A KR20230046081A KR 20230046081 A KR20230046081 A KR 20230046081A KR 1020210129118 A KR1020210129118 A KR 1020210129118A KR 20210129118 A KR20210129118 A KR 20210129118A KR 20230046081 A KR20230046081 A KR 20230046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device
branch pipe
hoses
outdoor uni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봉
신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엑스
Priority to KR102021012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6081A/ko
Priority to PCT/KR2022/014666 priority patent/WO2023055130A1/ko
Publication of KR2023004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02A30/272Sola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유닛의 일단이 분기관 또는 호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분기관 또는 호스들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며, 타단이 실외기에 부착됨으로써, 실외기의 여타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설치 위치의 변경에 따른 냉각수 분사 방향의 변화로 실외기 냉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각 장치{A Cooling device}
본 발명은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기의 여타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되며, 냉각수를 분사함으로써 실외기의 냉각효율을 증가시키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이루어지며, 실외기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방열에 의하여 저온저압의 냉매를 만드는 응축기와, 응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기화에 의하여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만드는 팽창장치와,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장치가 수납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외기는 일반적으로 에어콘 실외기는 건물의 옥상이나 아파트 베란다 등에 주로 설치되어 태양열을 노출됨으로 에어콘 가동에 의한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자체고열과 직사광선에 의한 외부고열로 항시 고압의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압축기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심할 경우 터지는 등 압축기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고, 특히, 실외기의 고압으로 인해 실내기의 냉방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전기의 손실이 많게 되어 전력효율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선행기술은 실외기 냉각 보조 장치(JP 2019-029219)로서, 실외기 냉각 보조 장치가 냉각 보조 장치 본체와, 이 냉각 보조 장치 본체로부터 이격해 상기 실외기로 근접해서 설치되는 살수 수단과, 상기 냉각 보조 장치 본체와 상기 살수 수단을 접속하는 가요성 튜브를 가지고, 상기 냉각 보조 장치 본체로부터 가요성 튜브를 상기 실외기 방향으로 연존 시키고, 상기 살수 수단을 상기 실외기로 근접 배치 하는 것으로서, 실외기를 근접하게 설치하여 살수수단에 의해 냉각수를 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살수수단이 실외기에 특정 부분에만 설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실외기의 여타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으며, 살수수단의 위치에 따라 냉각수 분사 방향의 변화로 냉각효율이 달라지는 점을 감안할 때, 상기 선행기술은 설치 위치가 제한되므로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9-029219 : 실외기 냉각 보조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냉각 장치가 실외기의 여타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되며, 냉각수를 분사함으로써 실외기의 냉각효율을 증가시키는 냉각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장치는 에어컨 실외기 냉각 장치에 있어서, 외부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가 흐르는 호스들과 연결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를 상기 에어컨 실외기 방향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및 일측이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호스들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타측은 상기 실외기에 부착되는 체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탈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탈착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과 연결되고,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실외기와 자성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자성을 띤 자석이 부착되는 체결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 몸체는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이 체결되는 영역이 연장되는 연장 영역 및 상기 자석이 부착되거나 체결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부착 영역; 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은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호스들에 용이하게 탈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분기관 또는 호스들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탈착구가 형성되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호스의 내부 또는 상기 호스의 내부의 단위구간별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 상기 냉각 장치의 냉각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실외기 외면 또는 주변의 온습도를 센싱하는 온습도 센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와 연결되는 에어컨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 상기 물공급부 및 상기 호스에 연결되고 상기 분기관으로 냉각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밸브 및 상기 냉각수에 소정의 펌프압을 제공하는 펌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각 장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온습도 센서의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센싱 값이 상기 냉각 장치와 연결된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온습도 센서에서 측정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수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펌프의 가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온습도 센서의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1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알림 신호를 상기 냉각 장치 내 경고 알림 부재 또는 상기 냉각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전류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밸브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밸브로 전송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밸브로 상기 밸브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압력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밸브의 동작 상태를 고장 상태로 식별하고, 상기 고장 상태에 관한 제2 알림 신호를 상기 냉각 장치 내 경고 알림 부재 또는 상기 냉각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체결유닛이 실외기의 여타 위치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설치 위치의 변경에 따른 냉각수 분사 방향의 변화시켜 실외기 냉각효율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2) 프로세서가 온습도 센싱값에 기초하여 밸브의 동작 상태 또는 펌프의 가동시간을 변경하여 냉각수의 분사량을 조절함으로써, 냉각수 사용량에 따른 실외기 냉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프로세서가 온습도 센싱값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센싱값을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센싱값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제어에 관한 제어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의 제어에 대한 제어블럭도-2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는 외부 물공급부(5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가 흐르는 호스들과 연결되는 분기관(100), 상기 분기관(100)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를 상기 에어컨 실외기 방향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200) 및 일측이 상기 분기관(100)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분기관(100)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관(100) 또는 상기 호스들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타측은 상기 실외기에 부착되는 체결유닛(300)을 포함한다.
분기관(100)은 외부 물공급부(5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가 흐르는 호스들과 연결되며, 일반적으로 T자형 분기관(100)이 적용된다. 상기 분기관(10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인 것이 적용된다.
분사노즐(200)은 상기 냉각수를 에어컨의 실외기 방향으로 분사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분기관(100)에 연결된다. 상기 분사노즐(200)은 상기 분기관(100)과 연통되며, 상기 분기관(1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분사노즐(200)은 상기 냉각수를 무화시켜 분사할 수 있도록 초음파진동자가 포함될 수 있다.
체결유닛(300)은 일측이 상기 분기관(100)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분기관(100)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관(100) 또는 상기 호스들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타측은 상기 실외기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제1 브라켓(310), 제2 브라켓(320) 및 체결몸체(330)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310)은 상기 분기관(100)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탈착된다. 상기 제1 브라켓(310)은 상기 분기관(100) 또는 상기 호스들에 용이하게 탈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분기관(100) 또는 호스들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탈착구가 형성되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310)은 상기 일측이 절개되면, 양단부가 소정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310)은 제1 환형부재(312) 및 제1 집게부재(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환형부재(312)는 후술되는 연장 영역(340)으로부터 상기 탈착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절개된 일측까지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집게부재(314)는 상기 절개된 일측의 양단부에서 상기 제1 환형부재(312)가 연장된 곡률에 대응되는 기울기와 다른 기울기의 각도로 연장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환형부재(312)와 함께 상기 형성된 탈착구가 벌어지도록 탄성 소재로 마련된다.
제2 브라켓(320)은 상기 분기관(100)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탈착된다. 상기 제2 브라켓(320)은 상기 분기관(100) 또는 상기 호스들에 용이하게 탈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분기관(100) 또는 호스들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탈착구가 형성되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브라켓(320)은 상기 일측이 절개되면, 양단부가 소정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제2 브라켓(320)은 제2 환형부재(322) 및 제2 집게부재(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환형부재(322)는 상기 연장 영역(340)으로부터 상기 탈착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절개된 일측까지 소정의 곡률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집게부재(324)는 상기 절개된 일측의 양단부에서 상기 제2 환형부재(322)가 연장된 곡률에 대응되는 기울기와 다른 기울기의 각도로 연장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환형부재와 함께 상기 형성된 탈착구가 벌어지도록 탄성 소재로 마련된다.
체결몸체(330)는 상기 제1 브라켓(310) 및 상기 제2 브라켓(320)과 연결되고,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실외기와 자성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자성을 띤 자석(351)이 부착되며, 연장 영역(340) 및 부착 영역(350)을 포함한다.
연장 영역(340)은 상기 제1 브라켓(310) 및 상기 제2 브라켓(320)이 체결된다. 상기 부착 영역(350)은 상기 자석(351)이 부착되거나 체결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는 압력 센서(400), 온습도 센서(500), 전류 센서(600) 밸브(700)및 펌프(800)를 더 포함한다.
압력 센서(400)는 상기 호스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호스의 내부 또는 상기 호스의 내부의 단위구간별 압력을 센싱한다. 상기 온습도 센서(500)는 상기 실외기 외면 또는 주변의 온습도를 센싱하며, 상기 냉각 장치(10)의 냉각판에 체결된다.
전류 센서(600)는 상기 에어컨의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를 연결시키는 전류연결부재(미도시)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컨 실외기와 연결되는 에어컨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한다.
밸브(700)는 상기 물공급부(50) 및 상기 호스에 연결되고 상기 분기관(100)으로 냉각수를 공급 또는 차단한다. 상기 밸브(700)는 전자 코일의 전자력을 사용해 전기를 통전시키면 자장의 힘에 의해 밸브(700)가 열리고 닫히는 전자밸브(700)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800)는 상기 냉각수에 소정의 펌프(800)압을 제공하며, 후술되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펌프(800)는 밸브(700)와 물공급부(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때문에 상기 프로세서(1100)는 물 분사량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펌프(800)로 전송하여 펌프(8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00), 메모리(1000) 및 프로세서(1100)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00)는 프로세서(1100) 또는 냉각장치내의 디바이스들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00)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10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000)는 프로세서(1100)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온습도 센서(500) 또는 전류 센서(60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통상적으로 상기 냉각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100)는 상기 냉각 장치(10)에 내장된 데이터베이스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00)등 냉각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CPU)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10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를 통하여 상기 압력 센서(400), 온습도 센서(500) 및 전류 센서(600)로부터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상기 온습도 센서(500)의 센싱값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센싱값이 상기 냉각 장치(10)와 연결된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00)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100)는 상기 온습도 센서(500)에서 측정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수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700)의 동작상태 또는 상기 펌프(800)의 가동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한다.
프로세서(1100)는 상기 온습도 센서(500)의 센싱값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1 알림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알림신호를 상기 냉각 장치(10) 내 경고 알림 부재 또는 상기 냉각 장치(1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프로세서(1100)는 상기 전류 센서(600)로부터 측정되는 전류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밸브(7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상기 밸브(70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1100)는 상기 밸브(700)로 상기 밸브(70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압력 센서(400)로부터 획득되는 압력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밸브(700)의 동작상태를 고장상태로 식별하고, 상기 고장상태에 관한 제2 알림 신호를 상기 냉각 장치(10) 내 경고 알림 부재 또는 상기 냉각 장치(1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압력 센싱 값이 측정되지 않거나 압력 센서(400)로부터 압력 센싱 값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장치(1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체결유닛(300)의 일측을 호스 또는 분기관(100)과 결합시키고, 타측은 실외기에 부착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에어컨을 조작하여 동작시키면 에어컨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상기 전류 센서(600)가 상기 에어컨 실외기와 연결되는 에어컨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류 센서(600) 측정값에 기초하여 실외기의 동작을 감지하게 되는 데 측정된 전류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상이면, 상기 프로세서(1100)가 제1 제어신호를 밸브(700)로 전송하여 상기 밸브(700)의 동작상태(열림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프로세서(1100)는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압력 센서(400)로부터 획득되는 압력 센싱 값을 기초하여 상기 밸브(700)의 고장상태를 식별한다. 이때, 상기 압력 센싱 값이 기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밸브(700)의 동작상태를 고장상태로 식별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0)는 고장상태로 식별되면, 고장상태에 관한 제2 알림 신호를 상기 냉각 장치(10) 내 경고 알림부재 또는 상기 냉각 장치(1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밸브(700)의 고장상태를 확인함으로서, 고장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100)는 외부환경요소(온도, 습도)에 따라 실외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우선, 상기 프로세서(1100)는 상기 온습도 센서(500)의 센싱값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센싱값이 상기 냉각 장치(10)와 연결된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00)를 제어한다.
이어서, 상기 온습도 센서(500)의 센싱값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1 알림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알림신호를 냉각 장치(10) 내 경고 알림 부재 또는 상기 냉각 장치(1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기설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냉각 장치(10)내 경고 알림부재의 알림을 통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센싱 값을 획득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상기 온습도 센서(500)에서 측정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수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700) 동작 상태 또는 상기 펌프(800)의 가동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냉각수를 적정량을 사용하여 실외기 냉각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냉각 장치 50: 물공급부
100: 분기관 200: 분사노즐
300: 체결유닛 310: 제1 브라켓
312: 제1 환형부재 314: 제1 집게부재
320: 제2 브라켓 322: 제2 환형부재
324: 제2 집게부재 330: 체결몸체
340: 연장 영역 350: 부착 영역
351: 자석 400: 압력 센서
500: 온습도 센서 600: 전류 센서
700: 밸브 800: 펌프
9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00: 메모리
1100: 프로세서

Claims (10)

  1. 에어컨 실외기 냉각 장치에 있어서,
    외부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가 흐르는 호스들과 연결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를 상기 에어컨 실외기 방향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및
    일측이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호스들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타측은 상기 실외기에 부착되는 체결유닛; 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탈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호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탈착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과 연결되고,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실외기와 자성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자성을 띤 자석이 부착되는 체결 몸체; 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몸체는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2 브라켓이 체결되는 영역이 연장되는 연장 영역; 및
    상기 자석이 부착되거나 체결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부착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은
    상기 분기관 또는 상기 호스들에 용이하게 탈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분기관 또는 호스들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탈착구가 형성되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호스의 내부 또는 상기 호스의 내부의 단위구간별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
    상기 냉각 장치의 냉각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실외기 외면 또는 주변의 온습도를 센싱하는 온습도 센서;
    상기 에어컨 실외기와 연결되는 에어컨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
    상기 물공급부 및 상기 호스에 연결되고 상기 분기관으로 냉각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밸브; 및
    상기 냉각수에 소정의 펌프압을 제공하는 펌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장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온습도 센서의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센싱 값이 상기 냉각 장치와 연결된 외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온습도 센서에서 측정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수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펌프의 가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온습도 센서의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1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알림 신호를 상기 냉각 장치 내 경고 알림 부재 또는 상기 냉각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전류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밸브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밸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밸브로 상기 밸브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압력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밸브의 동작 상태를 고장 상태로 식별하고,
    상기 고장 상태에 관한 제2 알림 신호를 상기 냉각 장치 내 경고 알림 부재 또는 상기 냉각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KR1020210129118A 2021-09-29 2021-09-29 냉각 장치 KR20230046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118A KR20230046081A (ko) 2021-09-29 2021-09-29 냉각 장치
PCT/KR2022/014666 WO2023055130A1 (ko) 2021-09-29 2022-09-29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118A KR20230046081A (ko) 2021-09-29 2021-09-29 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081A true KR20230046081A (ko) 2023-04-05

Family

ID=8578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118A KR20230046081A (ko) 2021-09-29 2021-09-29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6081A (ko)
WO (1) WO202305513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9219A (ja) 2017-07-31 2019-02-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テープ巻付機、及び、テープ巻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6007B2 (ja) * 2004-12-07 2009-05-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外機の補助冷却装置
JP4408286B2 (ja) * 2006-11-17 2010-02-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補助冷却装置
JP6881943B2 (ja) * 2016-10-31 2021-06-02 旭有機材株式会社 自動バルブの診断システム及び、自動バルブの診断方法
WO2021149135A1 (ja) * 2020-01-21 2021-07-29 株式会社テクノミライ デジタル・クーリング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2224193B1 (ko) * 2020-09-14 2021-03-08 주식회사 이지엑스 에어컨 실외기 보조냉각장치용 전기 어댑터 방식의 제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9219A (ja) 2017-07-31 2019-02-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テープ巻付機、及び、テープ巻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5130A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130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eating water with refrigerant from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000700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operating in free cooling mode
US20160238297A1 (en) Air coditioning device
US2010003653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systems having a cooling mode and a free-cooling mode
US20080104980A1 (en) Misting system for air conditioning compressor
KR2016005651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890108A (zh) 空调系统
KR20170072099A (ko) 전력 사용량에 연동되는 IoT 자동 원격 제어 시스템
EP3273176B1 (en) Heat pump water heater
US110673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heating auto-setback
US11029066B2 (en) Valve and capillary tube system for refrigeration systems
US6763845B2 (en) Water freeze prevention device
US20140312141A1 (en) Variable Pressure Sprinkler System
WO2005022050A3 (en) Boosted air source heat pump
US6735964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refrigerant charge management
US20190191595A1 (en) Air Conditioner Mis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756375B1 (ko) 동파방지장치
KR20230046081A (ko) 냉각 장치
US9134039B1 (en) Air conditioner mister, apparatus and method
US20110192177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228597A1 (en) Vacuum pump for use during maintenance or commissioning of an hvac-r system, adapter for a vacuum pump, and a method of performing a vacuum test on an hvac-r system
KR20160066367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용 센서유닛
US10966380B1 (en) Alfalfa valve telemetry system
WO2018044686A1 (en) Using a foam panel in water-based cooling
WO2020228741A1 (en) Single-package air conditioner and methods of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