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955A - Apparatus for seperating dust from crop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perating dust from cro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955A
KR20230045955A KR1020210128858A KR20210128858A KR20230045955A KR 20230045955 A KR20230045955 A KR 20230045955A KR 1020210128858 A KR1020210128858 A KR 1020210128858A KR 20210128858 A KR20210128858 A KR 20210128858A KR 20230045955 A KR20230045955 A KR 20230045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conveyor
crop
plate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영식
신승민
Original Assignee
신영식
신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식, 신승민 filed Critical 신영식
Priority to KR1020210128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5955A/en
Publication of KR2023004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9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crops, which is configur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nozzles at a certain width on a plate-shaped member that moves horizontally in reciprocating motion by a crankshaft, and accordingly, efficiently removes the foreign substances stuck on the crops transported in a pressed state by upper and lower conveyors, reduces the compressor capacity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nozzles compared to pre-registered patents, and miniaturizes the overall size of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rops.

Description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 {Apparatus for seperating dust from crops}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Apparatus for separating dust from crops}

본 발명은 농작물(예; 쪽파, 대파 등)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작물에 묻어난 각종 이물질(예; 흙덩이 등)을 소형의 고압 분리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crops (eg, chives, green onions, etc.), and more particularly, various foreign substances (eg, soil lumps, etc.) on crops can be easily removed using a small high-pressure separator. It relates to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that allows.

일반적으로, 현대의 농업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외부의 기후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사시사철 채소류의 재배가 가능하고 그 출하량도 대량인 반면 그 출하 작업을 수작업으로 행하게 되어 출하 원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선도가 감소하게 되어 상품성이 감소된다.In general, thank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agricultural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grow vegetables throughout the year regardless of external climatic conditions, and the shipment volume is large, but the shipment work is carried out manually,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shipping cost, As the freshness of the product is reduced, the marketability is reduced.

특히 칼슘, 인과 같은 무기염류와 비타민A, 비타민C 등이 풍부한 채소로서, 찌개류, 탕류, 볶음류의 다양한 요리에 첨가되어 음식물의 맛을 좌우하는 대파와 같은 야채는 음식물로 조리하기 위해서는 이물질과 뿌리를 제거하고 껍질을 벗겨야 하는데, 이러한 탈피작업은 수작업으로 하거나 또는 고압수를 이용하기도 하였다.In particular, vegetables such as green onions, which are rich in inorganic salts such as calcium and phosphorus, as well as vitamins A and C, are added to various dishes such as stews, soups, and stir-fried dishes to influence the taste of food. It has to be removed and peeled, and this peeling work was done manually or using high-pressure wat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압수는 이물질 분리 또는 외피가 제대로 벗겨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high-pressure water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foreign substances are not separated or the outer skin is not properly peeled off.

다시말해, 경작지에서 채취한 쪽파, 부추는 그 외피가 질기고 흙 등의 이물질이 묻은 채로 수확을 하게 되는데, 일반 가정에서는 이러한 농산물을 조리하여 식탁에 올리기 위하여 쪽파, 부추에 있는 흙, 이물질 및 껍질 등을 조리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는 것이므로 소비자는 껍질 및 이물질이 제거된 쪽파를 선호하고 있어서, 농가 및 식품 업체에서는 쪽파, 부추에 있는 흙, 이물질 및 껍질 등을 제거하는데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In other words, chives and chives collected from farmland are harvested with tough outer skins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il. Since the cook has to manually remove the back of the chives, consumers prefer chives with the skins and foreign substances removed, so farmhouses and food companies invest a lot of labor and time in removing soil, foreign substances and skins from chives and chives. are doing

그러나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생산력이 크게 향상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spite of these efforts, productivity h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자는 압축공기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록특허공보 제10-1031756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0-1495998호를 제안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Patent Registration No. 10-1031756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1495998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using a compressed air blowing device.

이는 조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노즐군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대파와 같은 농작물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동시에 외피를 자동 탈피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었다. This was to perform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peeling the skin at the same time as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of crops such as green onions using compressed air sprayed through a plurality of densely installed nozzle group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특허는 여러개의 노즐을 조립하여 판상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는 이송되는 농산물의 뿌리 부분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노즐이 고정된 위치에 지지되는 형태이거나 또는 회전하는 형태로서 다량의 노즐을 촘촘하게 설치한 것이며, 이에따라 탈피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상기 노즐을 통한 압축 공기 분사를 위해 압축기 용량이 과다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rior registered patent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plate shape by assembling several nozzles, which is a form in which the nozzle installed toward the root of the agricultural product to be transported is supported in a fixed position or a form in which a large number of nozzles are rotated. is densely installed, an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peeling device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pacity of the compressor is excessively increased for spraying compressed air through the nozzle.

등록특허공보 제10-1031756호는 조밀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노즐 조립체가 다단으로 계단형 단차를 이루며 고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대용량의 콤프레셔가 요구되고 이로인해 제작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고, 등록특허공보 제10-1495998호는 노즐이 각각의 설치위치에서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성한 것인데, 이 또한 대용량의 콤프레셔를 요구하는 동시에 노즐 회전장치의 힌지부가 쉽게 마모되어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이었다. Patent Registration No. 10-1031756 discloses that a plurality of densely arranged nozzle assemblies are installed in a fixed position in multi-stage steps, so a large-capacity compressor is required, and the problem of increasing production cost has been pointed out, Patent Registration No. 10-1495998 is configured so that the nozzle rotates at each installation position, which also requires a large-capacity compressor, and at the same time, the hinge part of the nozzle rotating device is easily worn, causing frequent breakdowns. it was doing

등록특허공보 제10-1031756호(공고일 2011.04.29.)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31756 (Announcement date 2011.04.29.) 등록특허공보 제10-1495998호(공고일 2015.02.26.)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95998 (Public date 2015.02.26.) 등록특허공보 제10-0954634호(공고일 2010.04.27.)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54634 (Announcement date 2010.04.27.)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0125호(공고일 1999.07.01.)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50125 (Announcement Date 1999.07.0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랭크 축에 의해 수평 왕복 운동하는 판형 부재에 일정폭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소수의 노즐을 좌우 연속적으로 왕복 이동하며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하 컨베이어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이송되는 농작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small number of nozzle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by a certain width on a plate-like member that is horizontally reciprocated by a crankshaft to continuously reciprocate left and right and spray air, so that the state of being pressed by an up and down conveyo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that can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e foreign matter attached to crops to be transpor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되는 노즐의 수를 최소화 함으로서 공기 압축기 용량을 현저히 낮추어 장치의 소형화와 함께 제작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nomical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capable of greatl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together with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by significantly lowering the capacity of the air compressor by minimizing the number of installed nozzles.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며, 농작물의 몸통을 누르면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농작물의 뿌리 부분에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수평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농작물의 노출된 뿌리 부분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이물질 제거유닛; 을 포함하고,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which i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a transfer unit disposed on the base and transporting while pressing the body of the crop; And, a foreign matter removal unit disposed in the transfer unit, spraying compressed air to the exposed root portion of the crop while horizontally reciprocating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root portion of the crop transported by the transfer unit; including,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면에 제 1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제 1 가이드부재와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부재를 상기 고정판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하여서 상기 고정판과 평행을 유지하는 상태로 일정거리 안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모터 구동축과 연결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일단이 편심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판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판이 회전시 상기 이동판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크랭크축; 및, 상기 이동판에 일정폭을 유지하도록 조립 배치되며,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에 의해 눌려지면서 이송되는 상기 농작물에 이물질 제거를 위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foreign matter removal unit, to be fixed to the base, a fixing plate having a first guide member formed on one surface; a second guide member coupled to the first guide member of the fixing plate is installed on a surface facing the fixing plate to reciproc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maintaining parallel to the fixing plate; A rotating plate fixed to one side of the fixed plate and connected to the motor driving shaft; a crankshaft having one end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and reciprocating the moving pl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rotating plate rotates; And, a plurality of nozzle units assembled and arranged to maintain a constant width on the moving plate, and spraying high-pressure compressed ai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o the crops being transport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upper conveyor and the lower conveyor; is to include

상기 제 1 가이드부재는 리니어 레일이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는 리니어 블럭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제 1 가이드부재가 리니어 블럭이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는 리니어 레일의 구조이어도 무방하다. Preferably, the first guide member is a linear rail and the second guide member is a linear block, or the first guide member is a linear block and the second guide member is a linear rail structure.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마주하는 한 쌍의 상부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부 컨베이어; 및,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하단에 인접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마주하는 한 쌍의 하부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하부 컨베이어;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 사이에 상기 농작물의 몸통이 배치되어 눌려지면서, 상기 농작물의 뿌리는 컨베이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includes an upper conveyor that is transferred by a pair of upper rollers facing each other which rotates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driving unit; And, a lower conveyor install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veyor and transported by a pair of facing lower rollers rotating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driving unit; Including, while the body of the crop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conveyor and the lower conveyor and pressed, the root of the crop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veyor.

또한, 마주하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상부 롤러 또는 상기 하부 롤러 사이에는 상기 상부 컨베이어 또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가 변형시 회동되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 또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를 가압하는 탄성롤러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베이스에는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인 회동로드의 중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동로드의 상단과 상기 브라켓은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탄성롤러는 상기 회동로드에 일단이 축 결합되는 것이다.In addition, between the upper roller or the lower roller forming a pair of facing, an elastic roller for pressing the upper conveyor or the lower conveyor while rotating when the upper conveyor or the lower conveyor is deforme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A bracket is installed on the base, at least one or an interruption part of one or more pivoting rods is hinged to the bracket, and the upper end of the pivoting rod and the bracket are interconnected by an elastic spring, and the elastic roller is the pivoting rod At one end, this axis is coupled.

또한, 상기 탄성롤러의 중심부에는 정렬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 또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내면측 중심부에는 컨베이어의 좌우 방향 벗어남이 방지되도록 상기 정렬홈에 안착되는 정렬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n alignment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roller, and an alignment protrusion seated in the alignment groove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nveyor or the lower conveyor to prevent the conveyor from moving left and right.

또한,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외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농작물의 뿌리를 전후 일자 형태로 유지시키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요철부(凹凸)가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pair of concave-convex portions (凹凸)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nveyor while being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to support the roots of the crops to be maintained in a front-and-back straight shape.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은,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내측단에 배치되어 하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 1 제거유닛과,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내측단에 배치되어 상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 2 제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removal unit includes a first removal unit disposed at the inner end of the upper conveyor to inject high-pressure compressed air downward, and a first removal unit disposed at the inner end of the lower conveyor to eject high-pressure compressed air upward. It includes a second removal unit for spraying.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이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내측단에 배치되어 하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 1 제거유닛과,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내측단에 배치되어 상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 2 제거유닛을 포함하는 경우,상기 회전판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크랭크축의 일단이 제 1 제거유닛 및 제 2 제거유닛에서 서로 다른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서, 진동에 따른 충격력을 상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The foreign matter removal unit is disposed at the inner end of the upper conveyor and ejects high-pressure compressed air downward, and the first removal unit is disposed at the inner end of the lower conveyor and ejects high-pressure compressed air upward. In the case of including 2 removal units, one end of the crankshaft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is installed so that the first removal unit and the second removal unit are located at different top dead centers or bottom dead centers, so that the impact force due to vibration can be offset. to configure it so that

또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는 것으로 압축기와 호스로 연결되는 관체; 및, 상기 관체의 일단에 결합되면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 을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nozzle unit is coupled to the moving plate, the tube body connected to the compressor and the hose; And, while be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tubular body spraying a high-pressure compressed air nozzle; is to include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이동판을 왕복 이동시키는 상기 모터 구동축의 구동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다른 농산물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의 이동속도와 상기 이동판의 왕복 이동속도가 동일 또는 서로 다르도록 상기 구동부와 상기 모터의 구동량을 동일 또는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for moving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and the motor driving shaft for reciprocating the moving plate ar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agricultural product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contamination.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or different driving amounts of the driving unit and the motor so that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or and the reciprocating speed of the moving plate are the same or differ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크랭크 축에 의해 수평 왕복 운동하는 판형 부재에 일정폭으로 복수의 노즐을 조립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상하 컨베이어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이송되는 농작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선등록특허 대비 노즐 개수를 줄이면서 이로인한 압축기 용량도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nozzles with a certain width on a plate-shaped member that moves horizontally and reciprocally by a crankshaft, and through this, efficiently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crops transported in a state of being pressed by an up and down conveyor,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miniaturizing the overall size of the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as well as reducing the number of nozzles compared to the prior registered patent and reducing the capacity of the compressor due to thi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내측단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제거유닛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3에 대한 정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를 경계로 하여 각 내측단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제거유닛의 특징적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하부 컨베이어 내측단에 배치되는 제 2 제어유닛의 상부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내측단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제거유닛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대한 정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하부 컨베이어 내측단에 배치되는 제 2 제어유닛을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structures of first and second removal units respectively disposed at inner ends of upper and lower convey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Figure 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haracteristic three-dimensional view of first and second removal units disposed at each inner end with upper and lower conveyors as a bound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schematic view of a second control unit disposed at an inner end of a lower conveyor as viewed from an upper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structures of first and second removal units respectively disposed at inner ends of upper and lower convey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Figure 7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ntrol unit disposed at an inner end of a lower conveyor as viewed from a lower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내측단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제거유닛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upper and lower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removal units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inner end of the conveyo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3에 대한 정면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를 경계로 하여 각 내측단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제거유닛의 특징적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하부 컨베이어 내측단에 배치되는 제 2 제어유닛의 상부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4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FIG. 3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haracteristic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removal units disposed at each inner end with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as a boundary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econd control unit disposed at the inner end of the lower conveyor as viewed from the upper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이물질 제거기는, 베이스(10)에 구성되는 것으로, 이송유닛(20)과 이물질 제거유닛(30, 30')을 포함하는 것이다.1 to 6, the crop foreign matter remo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base 10, and includes a transfer unit 20 and foreign matter removal units 30 and 30' will be.

상기 이송유닛(20)은 농작물(예; 대파, 쪽파 등)의 몸통을 누르면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부 컨베이어(21)와 하부 컨베이어(22), 탄성롤러(23)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transfer unit 20 transfers crops (e.g., green onion, green onion, etc.) while pressing the body,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and includes an upper conveyor 21 and a lower conveyor 22, an elastic roller ( 23) are included.

상기 상부 컨베이어(21)는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마주하는 한 쌍의 상부 롤러(21a)에 의해 이송되는 것이다.The upper conveyor 21 is transported by a pair of facing upper rollers 21a that ro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a driving unit (not shown).

상기 하부 컨베이어(22)는 상기 상부 컨베이어(21)의 하단에 인접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마주하는 한 쌍의 하부 롤러(22a)에 의해 이송되는 것이다. The lower conveyor 22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veyor 21 and is transported by a pair of facing lower rollers 22a rotating according to the driving of a driving unit (not shown).

따라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21)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22) 사이에는 상기 농작물의 몸통이 정렬 배치되어 눌려지면서, 상기 농작물의 뿌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21, 2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ile the body of the crop is aligned and pressed between the upper conveyor 21 and the lower conveyor 22, the roots of the crop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21 and 22 will be.

상기 탄성롤러(23)는 마주하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상부 롤러(21a) 및/또는 상기 하부 롤러(22a)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상부 컨베이어(21) 및/또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22)가 변형시 회동되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21) 및/또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22)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 컨베이어(21, 2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elastic roller 23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upper roller 21a and/or the lower roller 22a forming a pair facing each other, which is the upper conveyor 21 and/or the When the lower conveyor 22 is deformed, it rotates and presses the upper conveyor 21 and/or the lower conveyor 22 so that the tension of the upper and/or lower conveyors 21 and 22 can be adjusted.

여기서, 상기 베이스(10)에는 브라켓(24)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24)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회동로드(25)의 중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동로드(25)의 상단과 상기 브라켓(24)은 탄성스프링(26)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탄성롤러(23)는 상기 회동로드(25)에 일단이 축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Here, a bracket 24 is installed on the base 10, the bracket 24 is hinged with at least one or more intermediate parts of one or more pivoting rods 25, and the upper end of the pivoting rod 25 and the bracket 24 is interconnected by an elastic spring 26, and one end of the elastic roller 23 can be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rod 25.

한편, 상기 탄성롤러(23)의 중심부에는 정렬홈(27)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21) 및/또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22)의 내면측 중심부에는 상기 정렬홈(27)에 안착되는 정렬돌기(28)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상부 및/또는 하부 컨베이어(21, 22)는 이송시 좌우 방향으로 벗어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an alignment groove 27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roller 23, and the alignment groove 27 is seat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upper conveyor 21 and/or the lower conveyor 22. Alignment protrusions 28 may be formed to protrude, and accordingly, the upper and/or lower conveyors 21 and 22 may be prevented from shif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uring transport.

더불어, 상기 하부 컨베이어(22)의 외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요철부(凹凸)(29)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철부(29)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21, 22)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농작물의 뿌리를 전후 일자 형태로 유지시키도록 지지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30, 30')에 의한 상기 농작물의 뿌리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손쉽게 분리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pair of concave-convex portions 29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nveyor 22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s 29 a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t is to support the roots of the crop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veyors 21 and 22 to maintain them in a straight front and rear shape, and accordingly, various foreign substances buried in the roots of the crops by the foreign matter removal units 30 and 3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washed.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30, 30')은 이송유닛(20)내에 배치되면서, 상기 이송유닛(2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농작물의 뿌리 부분에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수평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농작물의 노출된 뿌리 부분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것이다.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s 30 and 30' are disposed in the transfer unit 20 and horizontally reciprocate to remove foreign materials from the roots of the crops transported by the transfer unit 20, thereby removing the exposed roots of the crops. to inject compressed air into the area.

즉, 뿌리부분을 절단하게 되는 컷터(50)를 경유하여 운반되는 농작물로부터, 농작물의 뿌리 부분에 뭍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30, 30')은 상기 상부 컨베이어(21)의 내측단에 배치되어 하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 1 제거유닛(30), 그리고 상기 하부 컨베이어(22)의 내측단에 배치되어 상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 2 제거유닛(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제거유닛(30, 30')은 동일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고정판(31), 이동판(32), 모터 구동축(33), 크랭크축(34), 노즐부(35)를 포함하는 것이다.That is, the foreign matter removal units 30 and 30' install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roots of the crops from the crops transported via the cutter 50 that cuts the root portion are the upper conveyor 21 ) disposed at the inner end of the first removal unit 30 for injecting high-pressure compressed air downward, and disposed at the inner end of the lower conveyor 22 for injecting high-pressure compressed air upward It includes a removal unit 30', and the first and second removal units 30 and 3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include a fixed plate 31, a moving plate 32, a motor driving shaft 33, and a crank. A shaft 34 and a nozzle part 35 are included.

여기서, 상기 베이스(10)에는 체결부재(100)를 통해 한 쌍의 연장 프레임(11)을 일정거리 이격시켜 결합시키되, 상기 제 1 제거유닛(30)에 포함되는 상기 고정판(31)의 양단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연장 프레임(11)과 일정 높이의 갭이 유지되도록 상기 연장 프레임(11)에 연결봉(12)으로 연결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제 2 제거유닛(30')에 포함되는 상기 고정판(31)의 양단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연장 프레임(11)에 체결부재(100)로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a pair of extension frames 11 are coupled to the base 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through a fastening member 100, and both ends of the fixing plate 31 included in the first removal unit 30 are I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extension frame 11 with a connecting rod 12 so that a gap of a certain height is maintained with the extension frame 11 forming a pair, and the fixing plate included in the second removal unit 30 ' Both ends of 31) are fastened and fixed to the extension frame 11 forming a pair with the fastening member 100.

상기 제 1 및 제 2 제거유닛(30, 30')에 포함되는 상기 고정판(31)은 일면에 제 1 가이드부재인 리니어 레일(31a)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fixing plate 31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removal units 30 and 30' has a linear rail 31a, which is a first guide member, formed on one surface.

상기 이동판(32)은 상기 고정판(31)과 마주하는 것으로, 제 1 가이드부재로 사용되는 상기 리니어 레일(31a)에 결합되면서 상기 리니어 레일(31a)의 거리만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 2 가이드부재로 사용되는 리니어 블럭(32a)이 형성되는 것이다. The moving plate 32 faces the fixed plate 31, and is coupled to the linear rail 31a used as the first guide member to reciproc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distance of the linear rail 31a. A linear block 32a used as a guide member is formed.

상기 제 1 가이드부재는 리니어 레일(21a)이 적용되었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는 리니어 블럭(32a)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상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제 1 가이드부재가 리니어 블럭(32a)이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는 리니어 레일(31a)의 구조이어도 무방하다. The first guide member is applied to the linear rail (21a), the second guide member is shown and described in a state in which the linear block (32a) is preferably applied, but the first guide member is a linear block (32a), the The second guide member may have a structure of a linear rail 31a.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재는, 원형봉의 형태로 설치되는 레일과, 원형봉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원형관 형태의 안내블럭이 적용될 수도 있지만, 이같은 기계적 구성의 대체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목적과 작용을 구현하는데에 어려움이 없는 것이므로 선택적 범위에서 발명의 범주에 해당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guide members may be applied with a rail installed in the form of a circular rod and a guide block in the form of a circular tube sliding along the circular rod, but the replacement of such a mechanical configuration is also th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difficulty in implementing the purpose and action,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optional range.

상기 모터 구동축(33)은 상기 고정판(31)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구동축에 회전판(33a)이 결합되어진 것이다.The motor driving shaft 33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31, and the rotating plate 33a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상기 크랭크축(34)은 상기 모터 구동축(33)의 상기 회전판(33a)에 일단이 편심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판(32) 일면으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제 1 절곡연장편(32-1)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판(33a)이 회전시 상기 이동판(32)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다. The crankshaft 34 has one end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33a of the motor driving shaft 33 and the other end bent vertically from one surface of the moving plate 32. A first bending extension piece 32-1 To be connected to, to reciprocate the moving plate 3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rotating plate (33a) rotat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판(32)으로부터 수직방향 절곡되는 상기 절곡연장편(32-1)은 상기 고정판(31)의 평면상에 폭방향으로 길게 천공되어 있는 제 2 안내장공(31-2)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extension piece 32-1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moving plate 32 is a second guide hole 31 long perforat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fixing plate 31 -2) is installed through.

상기 노즐부(35)는 상기 이동판(32)에 일정폭을 유지하도록 조립 배치되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21)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22)에 의해 눌려지면서 이송되는 상기 농작물에 이물질 제거를 위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것으로, 관체(35a)와 노즐(35b)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nozzle unit 35 is assembled and arranged to maintain a constant width on the moving plate 32, and is pressed by the upper conveyor 21 and the lower conveyor 22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crops being transported. By injecting compressed air, it includes a tube body (35a) and a nozzle (35b).

상기 관체(35a)는 상기 이동판(32)에 결합되는 것으로 압축기(미도시)와 호스(미도시)로 연결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판(31)의 평면상에 폭방향으로 길게 천공되어 있는 제 1 안내장공(31-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The tubular body 35a is coupled to the moving plate 32 and is connected to a compressor (not shown) and a hose (not shown), 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lane of the fixed plate 31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installed through the first guide hole 31-1 that is long perforated.

상기 고정판(31) 상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안내장공(31-1)(31-2)은 상기 고정판(31)과 상기 이동판(32)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리니어 레일(31a) 및 상기 리니어 블럭(32a)과 더불어, 상기 이동판(32)의 횡방향 이동시 균형감을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31-1 and 31-2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fixing plate 31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facing surfaces of the fixing plate 31 and the moving plate 32. Together with the linear rail 31a and the linear block 32a, it performs a function of maintaining a sense of balance when the moving plate 32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안내장공(31-1)(31-2)은 상기 리니어 레일(31a) 및 상기 리니어 블럭(32a)의 자세를 유지시켜 처짐이나 비틀림을 방지하게 되고 이로인해 불필요한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31-1 and 31-2 maintain the postures of the linear rail 31a and the linear block 32a to prevent sagging or twisting,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wear. can be minimized.

상기 노즐(35b)은 상기 관체(35a)의 일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농작물에 분사하는 것이다. The nozzle 35b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tubular body 35a and injects high-pressure compressed air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onto crops.

즉, 제 1 제거유닛(30)에 포함되는 노즐(35b)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고, 제 2 제거유닛(30')에 포함되는 노즐(35b)은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되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21, 22)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이송되는 농작물의 노출된 뿌리 인접부분에 묻은 각종 이물질을 세척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nozzle 35b included in the first removal unit 30 injects high-pressure compressed air from an upper direction to a lower direction, and the nozzle 35b included in the second removal unit 30' sprays compressed air from a downward direction. As the high-pressure compressed air is sprayed upward, it is possible to wash and separate various foreign substances buried in the adjacent portion of the exposed roots of the crops being transported in a state of being pressed by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21 and 22.

여기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21, 22)를 이동시키는 미도시된 구동부와 상기 이동판(32)을 왕복 이동시키는 상기 모터 구동축(33)의 구동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다른 농산물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21, 22)의 이동속도(V1)와 상기 이동판(32)의 왕복 이동속도(V2)가 동일 또는 서로 다르도록 상기 구동부와 상기 모터 구동축(33)의 구동량을 동일 또는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driving of the not shown driving unit for moving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21 and 22 and the driving of the motor driving shaft 33 for reciprocating the moving plate 32 ar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moving speed V1 of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21 and 22 and the reciprocating speed V2 of the moving plate 32 to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agricultural product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contamination. A program that controls the driving amount of the driving unit and the motor driving shaft 33 identically or differently may be loaded.

일예로, 수분을 함유한 흙(또는 진흙)이 많이 묻은 농작물(예; 쪽파)인 경우 그 분리 세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제어부에 탑재된 프로그램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21, 22)의 이동속도(V1)와 상기 이동판(32)의 왕복 이동속도(V2)를 1:20의 비율로 제어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crops (eg, chives) with a lot of soil (or mud) containing moisture, the program mounted in the control unit moves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21 and 22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eparation and washing. The speed V1 and the reciprocating speed V2 of the moving plate 32 are controlled at a ratio of 1:20.

반면, 건조한 농작물(예; 쪽파)인 경우에는 그 분리 세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제어부에 탑재된 프로그램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21, 22)의 이동속도(V1)와 상기 이동판(32)의 왕복 이동속도(V2)를 1:10의 비율로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며, 그 밖에도 잎마름이 심한 농작물(예; 쪽파)의 경우에는 필요로 하는 속도비를 변경할 수도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ry crops (eg chive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eparation and washing, the program loaded 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moving speed V1 of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21 and 22 and the moving plate 3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eciprocating speed (V2) of 1:10, and in addition, in the case of crops with severe leaf dryness (eg, chives), the required speed ratio can be chang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이송유닛(20)에 포함되는 상부 컨베이어(21)와 하부 컨베이어(22) 사이에 이물질을 분리 세척하고자 하는 농작물의 몸통 뭉치를 투입하면서, 상기 농작물의 뿌리 부분은 외부로 노출시킨다.As such, the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eparates foreign matter between the upper conveyor 21 and the lower conveyor 22 included in the transfer unit 20, as shown in FIGS. 1 to 6. While introducing the trunk bundle of the crop to be cleaned, the root portion of the crop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후,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21)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22)가 각각 상부 롤러(21a)와 하부 롤러(22a)에 의해 이송되면, 상기 농작물의 몸통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21, 22)에 의해 눌려지면서 뿌리부분을 절단하게 되는 컷터(50)를 경유하여 운반 이송되는 것이다. Then, while power is supplied, when the upper conveyor 21 and the lower conveyor 22 are transported by the upper roller 21a and the lower roller 22a, respectively, the body of the crop is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 21, 22) is transported via the cutter 50 that cuts the root portion while being pressed.

이때, 상기 하부 컨베이어(22)의 외표면에는 한 쌍의 요철부(凹凸)(2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요철부(29)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농작물의 뿌리를 전후 일자 형태로 유지시키도록 지지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a pair of concave-convex portions 29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nveyor 22, the concave-convex portions 29 maintain the roots of the crop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raight line in front and back. is to support

그리고, 상기와 같이 뿌리부분이 절단된 상기 농작물이 이물질 제거유닛(30, 30')이 배치된 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제거유닛(30, 30')은 각각 상방향과 하방향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농작물의 뿌리 인접부분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되면서, 상기 농작물의 뿌리 인접부분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은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rops whose roots have been cut as described above are transpor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foreign matter removal units 30 and 30' are disposed, the first and second removal units 30 and 30' move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As the high-pressure compressed air is sprayed o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roots of the crop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direction, various foreign substances buried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roots of the crops can be separated.

즉, 상기 제 1 및 제 2 제거유닛(30, 30')에 포함되는 모터 구동축(33)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모터 구동축(33)에 결합되어진 회전판(33a)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판(33a)과 이동판(32)을 연결하는 크랭크축(34)이 유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판(32)의 리니어 블럭(32a)이 고정판(31)의 리니어 레일(31a)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motor drive shaft 33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removal units 30 and 30' is driven and the rotation plate 33a coupled to the motor drive shaft 33 rotates, the rotation plate ( 33a) and the moving plate 32 are connected to the crankshaft 34, so that the linear block 32a of the moving plate 32 moves along the linear rail 31a of the fixed plate 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ll move round-trip.

이때, 상기 이동판(32)에는 압축기와 호스로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노즐부(35)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노즐부(35)는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21, 22)에 의해 몸통이 눌려진 농작물의 노출된 뿌리 인접부분에 각각 상방향과 하방향에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nozzle parts 35 connected to the compressor and hoses are coupled to the moving plate 32, the nozzle parts 35 reciproc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moving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21 and 22 High-pressure compressed air is sprayed from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respectively, to the adjacent parts of the exposed roots of the crops whose trunk is pressed by the .

그러면, 상기 노즐부(35)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로부터 상기 농작물의 노출된 뿌리 인접부분에 묻은 각종 이물질이 분리되는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from the high-pressure compressed air sprayed from the nozzle unit 35, washing can be performed in which various foreign substances buried in the vicinity of the exposed roots of the crop are separated.

즉, 농작물의 몸통은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21, 22) 사이에서 눌려진 상태이고, 상기 농작물의 뿌리 인접부분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인 바, 상기 제 1 제거유닛(30)에 포함되는 노즐부(35)가 상기 뿌리 인접부분의 상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제 2 제거유닛(30')에 포함되는 노즐부(35)가 상기 뿌리 인접부분의 하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면, 상기 농작물의 뿌리 인접부분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은 상기 뿌리 인접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That is, the body of the crop is in a state of being pres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21 and 22, and the portion adjacent to the root of the crop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nozzle included in the first removal unit 30 ( 35) injects high-pressure compressed air in an upward direction adjacent to the root, and a nozzle unit 35 included in the second removal unit 30' blows high-pressure compressed air downward in the adjacent portion of the root. When spray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the vicinity of the root of the crop are separated from the region adjacent to the root.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7 to 9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 내측단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제거유닛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대한 정면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하부 컨베이어 내측단에 배치되는 제 2 제어유닛을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removal units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inn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ntrol unit disposed at the inner end of the lower conveyor as viewed from the lower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같은 실시예는 구조적인 특징에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하였던 실시예와 비교하여 기능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아니며, 다만 설치 공간의 활용 면에서 상기 고정판(31)과 상기 이동판(32)의 위치를 상하 변경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does not show a functional difference compar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FIGS. 1 to 6 in term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but the fixing plate 31 and the moving plate 32 in terms of utilization of installation space The position of is changed up and down.

도 7 내지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이동판(32)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상기 노즐부(35)가 상기 고정판(31)을 벗어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 상기 고정판(31) 평면상에 폭방향으로 길게 천공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안내장공(31-1)(31-2)은 요구되지 아니한다. As can be seen from FIGS. 7 to 9,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unit 35 disposed forward of the moving plate 32 can be installed in a state out of the fixed plate 31,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guide holes 31-1 and 31-2 long perforat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plane of the fixing plate 31 are not required.

이러한 구조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기능적인 특징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작용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중복되는 요소들의 부호를 동일하게 표기하였고, 반복되는 설명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Despite these structural changes, the function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in the same way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refore, the symbols of the overlapping elements are identically marked, and repeat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an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y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베이스 11; 연장프레임
12; 연결봉 20; 이송유닛
21; 상부 컨베이어 21a; 상부 롤러
22; 하부 컨베이어 22a; 하부 롤러
23; 탄성롤러 24; 브라켓
25; 회동로드 26; 탄성스프링
27; 정렬홈 28; 정렬돌기
29; 요철부 30, 30'; 이물질 제거유닛
31; 고정판 31a; 리니어 레일
31-1, 31-2; 제 1 및 제 2 안내장공
32; 이동판 32a; 리니어 블럭
32-1; 이동판 절곡연장편
33; 모터 구동축 33a; 회전판
34; 크랭크축 35; 노즐부
35a; 관체 35b; 노즐
100; 체결부재
10; base 11; extension frame
12; connecting rod 20; transfer unit
21; upper conveyor 21a; upper roller
22; lower conveyor 22a; lower roller
23; elastic roller 24; Brackets
25; rotating rod 26; elastic spring
27; alignment groove 28; alignment protrusion
29; Concave-convex portions 30, 30'; foreign matter removal unit
31; fixed plate 31a; linear rail
31-1, 31-2; 1st and 2nd guiding hole
32; moving plate 32a; linear block
32-1; Moving plate bending extension
33; motor drive shaft 33a; turntable
34; Crankshaft 35; Nozzle part
35a; tube body 35b; Nozzle
100; fastening member

Claims (9)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며, 농작물의 몸통을 누르면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농작물의 뿌리 부분에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수평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농작물의 노출된 뿌리 부분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이물질 제거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면에 제 1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제 1 가이드부재와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부재를 상기 고정판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하여서 상기 고정판과 평행을 유지하는 상태로 일정거리 안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모터 구동축과 연결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일단이 편심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판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판이 회전시 상기 이동판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크랭크축; 및, 상기 이동판에 일정폭을 유지하도록 조립 배치되며,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에 의해 눌려지면서 이송되는 상기 농작물에 이물질 제거를 위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
Base; a transfer unit disposed on the base and transporting while pressing the body of the crop; And, a foreign matter removal unit disposed in the transfer unit, spraying compressed air to the exposed root portion of the crop while horizontally reciprocating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root portion of the crop transported by the transfer unit; including,
The foreign matter removal unit, to be fixed to the base, a fixing plate having a first guide member formed on one surface; a second guide member coupled to the first guide member of the fixing plate is installed on a surface facing the fixing plate to reciproc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maintaining parallel to the fixing plate; A rotating plate fixed to one side of the fixed plate and connected to the motor driving shaft; a crankshaft having one end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and reciprocating the moving pl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rotating plate rotates; And, a plurality of nozzle units assembled and arranged to maintain a constant width on the moving plate, and spraying high-pressure compressed ai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o the crops being transport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upper conveyor and the lower conveyor;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재는 리니어 레일이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는 리니어 블럭이거나, 또는 제 1 가이드부재가 리니어 블럭이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는 리니어 레일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uide member is a linear rail, the second guide member is a linear block, or the first guide member is a linear block, and the second guide member is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linear rails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마주하는 한 쌍의 상부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부 컨베이어; 및,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하단에 인접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마주하는 한 쌍의 하부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하부 컨베이어; 를 포함하고,
마주하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상부 롤러 또는 상기 하부 롤러 사이에는 상기 상부 컨베이어 또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가 변형시 회동되면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 또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를 가압하는 탄성롤러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베이스에는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인 회동로드의 중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동로드의 상단과 상기 브라켓은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탄성롤러는 상기 회동로드에 일단이 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unit,
An upper conveyor transported by a pair of facing upper rollers rotating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driving unit; And, a lower conveyor install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veyor and transported by a pair of facing lower rollers rotating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driving unit; including,
An elastic roller that presses the upper conveyor or the lower conveyor while the upper conveyor or the lower conveyor rotates when the upper conveyor or the lower conveyor is deforme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upper roller or the lower roller forming a pair of facing faces,
A bracket is installed on the base, at least one or an interruption portion of one or more pivoting rods is hinged to the bracket, and an upper end of the pivoting rod and the bracket are interconnected by an elastic spring, and the elastic roller is attached to the pivoting rod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axially coupl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롤러의 중심부에는 정렬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 또는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내면측 중심부에는 컨베이어의 좌우 방향 벗어남이 방지되도록 상기 정렬홈에 안착되는 정렬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외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기 농작물의 뿌리를 전후 일자 형태로 유지시키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요철부(凹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
According to claim 3,
An alignment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roller, and an alignment protrusion seated in the alignment groove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conveyor or the lower conveyor to prevent the conveyor from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concave-convex parts (凹凸)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nveyor to support the roots of the crops to maintain them in a front-and-back straight shape while being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은,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내측단에 배치되어 하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 1 제거유닛과, 상기 하부 컨베이어의 내측단에 배치되어 상방향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 2 제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
According to claim 2,
The foreign matter removal unit,
A first removal unit disposed at an inner end of the upper conveyor to spray high-pressure compressed air downward, and a second removal unit disposed at an inner end of the lower conveyor to spray high-pressure compressed air upward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 do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제거유닛은 동일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것으로 리니어 레일이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마주하는 것으로 상기 리니어 레일에 결합되면서 상기 리니어 레일의 거리만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리니어 블럭이 형성되는 이동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구동축에 회전판이 결합되어진 모터;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판에 일단이 편심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판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판이 회전시 상기 이동판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크랭크축; 및,
상기 이동판에 일정폭을 유지하도록 조립 배치되며,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에 의해 눌려지면서 이송되는 상기 농작물에 이물질 제거를 위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and second removal units have the same structure,
A fixing plate fixed to the base and forming a linear rail;
a moving plate facing the fixed plate and having a linear block reciproc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much as the distance of the linear rail while being coupled to the linear rail;
A motor fixed to one side of the fixed plate and having a rotating plate coupled to a driving shaft;
a crankshaft having one end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of the mo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oving plate, and reciprocating the moving pl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rotating plate rotates; and,
a plurality of nozzle units assembled and arranged to maintain a constant width on the moving plate and spraying high-pressure compressed air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crops being transported while being pressed by the upper conveyor and the lower conveyor;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크랭크축의 일단이 제 1 제거유닛 및 제 2 제거유닛에서 서로 다른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진동에 따른 충격력을 상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
According to claim 6,
One end of the crankshaft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is installed so that it is located at a different top dead center or bottom dead center in the first removal unit and the second removal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offset the impact force due to vibration. foreign matter separato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는 것으로 압축기와 호스로 연결되는 관체; 및, 상기 관체의 일단에 결합되면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
According to claim 6,
The nozzle part,
A tubular body coupled to the moving plate and connected to the compressor by a hose; And, while being coupled to one end of the tubular body spraying a high-pressure compressed air nozzle;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이동판을 왕복 이동시키는 상기 모터의 구동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부는 오염도가 다른 농산물에서의 이물질 제거를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의 이동속도와 상기 이동판의 왕복 이동속도가 동일 또는 서로 다르도록 상기 구동부와 상기 모터 구동축의 구동량을 동일 또는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이물질 분리기.
According to claim 6,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for moving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and the motor for reciprocating the moving plate ar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amounts of the drive unit and the motor drive shaft identically or differently so that the moving speeds of the upper and lower conveyors and the reciprocating moving speed of the moving plate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agricultural product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contamination. A crop foreign matt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gram is loaded.
KR1020210128858A 2021-09-29 2021-09-29 Apparatus for seperating dust from crops KR202300459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858A KR20230045955A (en) 2021-09-29 2021-09-29 Apparatus for seperating dust from cro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858A KR20230045955A (en) 2021-09-29 2021-09-29 Apparatus for seperating dust from crop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955A true KR20230045955A (en) 2023-04-05

Family

ID=8588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858A KR20230045955A (en) 2021-09-29 2021-09-29 Apparatus for seperating dust from crop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5955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125Y1 (en) 1997-05-09 1999-07-01 하복진 Trimmer
KR100954634B1 (en) 2009-08-28 2010-04-27 최병국 Allium peeling-off apparatus
KR101031756B1 (en) 2010-05-18 2011-04-29 신영식 Allium peeling-off apparatus
KR101495998B1 (en) 2012-05-16 2015-02-26 신영식 peeling-off apparatus for vegetab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125Y1 (en) 1997-05-09 1999-07-01 하복진 Trimmer
KR100954634B1 (en) 2009-08-28 2010-04-27 최병국 Allium peeling-off apparatus
KR101031756B1 (en) 2010-05-18 2011-04-29 신영식 Allium peeling-off apparatus
KR101495998B1 (en) 2012-05-16 2015-02-26 신영식 peeling-off apparatus for vegetab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9482A (en) Grape harvesting machine
CN109674073B (en) Fruit vegetables fruit washs screening installation
CN105962391B (en) A kind of granulated sugar tangerine cleaning classifying equipoment
US497440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harvester to an oblique profile of cane type berry plants
CN108476718B (en) Self-propelled leaf vegetable harvester suitable for ridging planting and harvesting method
US52438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iced products
US20020069633A1 (en) Vinous crop harves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30045955A (en) Apparatus for seperating dust from crops
ATE347251T1 (en) HARVESTING DEVICE WITH REMOVABLE SHAKER LINKS FOR A FRUIT HARVESTING MACHINE
CN209923485U (en) Bionic foldable banana stalk fiber extractor
US6012276A (en) Cane separator for dried-on-the-vine raisin harvester
US3756002A (en) Conveyor means for harvesting machines
KR200371936Y1 (en) Washing and drying and sorting system for farm produce
US6009696A (en) Harvester head for dried-on-the-vine raisins
KR20110084714A (en)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vegetables
US77122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rvesting and processing leafy vegetables
CN210726638U (en) Equipment for making wine
KR102251337B1 (en) Trim device of vegetable
CN209185676U (en) A kind of single-power double speed fruit-vegetable cleaner
CN211268542U (en) Dry type cleaning device for wild fungi
CN211581418U (en) Vegetable and fruit fresh-keeping device for unmanned vending cabinet
CN2189498Y (en) Showering type cleaning machine
US3439478A (en) Method of harvesting grapes or the like
CN203136927U (en) Automatic cleaning and sectioning machine for animal intestines
KR101966723B1 (en) Collecting apparatus for aronia fr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