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581A - 경화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경화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581A
KR20230045581A KR1020220123121A KR20220123121A KR20230045581A KR 20230045581 A KR20230045581 A KR 20230045581A KR 1020220123121 A KR1020220123121 A KR 1020220123121A KR 20220123121 A KR20220123121 A KR 20220123121A KR 20230045581 A KR20230045581 A KR 20230045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ol
less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강양구
김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22/01458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55082A1/ko
Priority to JP2023559098A priority patent/JP2024511501A/ja
Publication of KR2023004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4Compounds containing ester groups, e.g. oxyalkylated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2Two or more polyest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6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prepar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and/or lactones
    • C08G18/4269Lactones
    • C08G18/4277Caprolactone and/or substituted caprolac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28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282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82Boron-containing compounds and nit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는, 높은 열전도도를 나타내면서도, 소정 피착체에 대해서 낮은 접착력을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는 상기 낮은 접착력을 가소제 등의 접착력 조절 성분을 사용하지 않거나, 그 사용 비율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화성 조성물{Curable Composition}
본 출원은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등과 같이 열의 관리가 필요한 전기 또는 전자 기기가 늘어나면서 방열 소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방열 소재로 다양한 종류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방열 소재 중 하나로서, 수지 바인더에 방열성이 있는 필러를 충진한 소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위와 같은 방열 소재에서 수지 바인더로는 통상 실리콘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된다.
방열 소재는, 기본적으로 열전도도가 우수할 것이 요구되며, 용도에 따라서 추가적인 기능도 요구된다. 예를 들면, 용도에 따라서는 방열 소재가 높은 열전도도와 함께 특정 피착체에 대해서 낮은 접착력을 나타낼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품 내에서 방열 소재와 접하는 부품의 교체가 필요하거나, 공정 과정에서 방열 소재의 위치 등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기 방열 소재는 낮은 접착력을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다.
공지의 방열 소재 중에서 낮은 접착력을 보이는 소재는 수지 바인더로서 실리콘 수지를 적용한 소재가 있다. 그렇지만, 실리콘 수지는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또한, 실리콘 수지는 전자/전기 제품에 적용되었을 때에 접점 불량 등을 유발하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용도가 제한된다.
특허문헌 1에서도 적용한 폴리우레탄 소재는,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는 방열 소재를 형성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피착체에 대해서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는 소재이다.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는 소재의 접착력을 낮추는 방법으로는, 소위 가소제로 공지된 성분을 배합하는 방법이 있다. 그렇지만, 접착력의 제어를 위해 다량 배합된 가소제는 소재 자체의 고유한 장점을 훼손하거나, 사용 과정에서 용출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105354호
본 출원은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가 높은 열전도도를 나타내면서도, 소정 피착체에 대해서 낮은 접착력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목적에는 상기 낮은 접착력을 가소제 등의 접착력 조절 성분을 사용하지 않거나, 그 사용 비율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달성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를 포함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온도가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온에서 측정한 물성이다. 용어 상온은 가온 및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로서 통상 약 10℃ 내지 30℃의 범위 내의 한 온도 또는 약 23℃ 또는 약 25℃ 정도의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온도의 단위는 ℃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압력이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압에서 측정한 물성이다. 용어 상압은 가압 및 감압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압력으로서 통상 약 700 mmHg 내지 800 mmHg의 범위 내의 정도를 상압으로 지칭한다.
본 출원은 수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용어 수지 조성물은, 업계에서 수지로 알려진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수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경화 반응 등을 통해서 수지를 형성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수지 또는 수지 성분의 범위에는, 일반적으로 수지로서 알려진 성분은 물론 경화 및/또는 중합 반응을 거쳐서 수지를 형성할 수 있는 성분도 포함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경화성 조성물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인 경우에 상기 수지 조성물은, 1액형 또는 2액형 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용어 1액형 수지 조성물은, 경화에 참여하는 성분들이 물리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포함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을 의미하고, 용어 2액형 수지 조성물은, 경화에 참여하는 성분들 중 적어도 일부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나누어져 포함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인 경우에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온 경화형, 가열 경화형, 에너지선 경화형 및/또는 습기 경화형일 수 있다. 용어 상온 경화형은, 경화 반응이 상온에서 개시 및/또는 진행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지칭하고, 용어 가열 경화형은, 경화 반응이 열의 인가에 의해 개시 및/또는 진행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지칭하며, 용어 에너지선 경화형은, 경화 반응이 에너지선(예를 들면,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해 개시 및/또는 진행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지칭하고, 용어 습기 경화형은 경화 반응이 수분의 존재 하에서 개시 및/또는 진행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은 용제형이거나 무용제형일 수 있다. 적용 효율 측면이나 환경으로의 부하 등을 고려할 때에 무용제형인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조성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수지 조성물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거나, 폴리우레탄을 형성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은 특정 피착체에 대해서 낮은 접착력을 나타내거나, 혹은 낮은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경화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우레탄 조성물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다양한 피착체에 대해서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접착 소재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폴리우레탄 조성물이 피착체에 대해서 낮은 접착력을 나타내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통상 가소제 등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성분을 도입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가소제 등의 성분을 적용하면, 폴리우레탄 소재의 접착력은 낮출 수 있지만, 해당 성분이 폴리우레탄에서 확보될 수 있었던 다른 물성을 저하시키거나, 폴리우레탄 소재의 사용 과정에서 소재 외부로 용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출원에서는 가소제 등의 접착력 저하 성분을 사용하지 않거나, 그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낮은 접착력을 폴리우레탄 소재에 대해서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장점은 취하면서도 용도에 따라서 요구되지 않는 높은 접착력 문제를 해결한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알루미늄에 대하여 제어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력의 상한은, 1 N/mm2, 0.9 N/mm2, 0.8 N/mm2, 0.7 N/mm2, 0.6 N/mm2, 0.5 N/mm2, 0.4 N/mm2, 0.3 N/mm2, 0.2 N/mm2, 0.1 N/mm2, 0.09 N/mm2, 0.08 N/mm2, 0.07 N/mm2, 0.06 N/mm2, 0.04 N/mm2 또는 0.03 N/mm2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력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상기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력의 하한은 0 N/mm2, 0.0001 N/mm2, 0.0005 N/mm2, 0.001 N/mm2, 0.005 N/mm2, 0.01 N/mm2, 0.015 N/mm2, 0.02 N/mm2, 0.025 N/mm2 또는 0.03 N/mm2 정도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지 조성물은, 알루미늄에 대해서 접착력이 실질적으로 측정되지 않는 수지 조성물이거나, 실질적으로 측정되지 않는 경화체를 형성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력은, 상기 기술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술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술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술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력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제어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력의 상한은, 2,000 gf/10mm, 1,800 gf/10mm, 1,600 gf/10mm, 1,400 gf/10mm, 1,200 gf/10mm, 1,000 gf/10mm, 950 gf/10mm, 900 gf/10mm, 850 gf/10mm, 800 gf/10mm, 750 gf/10mm, 700 gf/10mm, 650 gf/10mm, 600 gf/10mm, 550 gf/10mm, 500 gf/10mm, 450 gf/10mm, 400 gf/10mm, 350 gf/10mm, 300 gf/10mm, 250 gf/10mm, 200 gf/10mm, 150 gf/10mm, 100 gf/10mm, 90 gf/10mm, 80 gf/10mm, 70 gf/10mm, 60 gf/10mm, 50 gf/10mm, 40 gf/10mm, 30 gf/10mm, 20 gf/10mm 또는 10 gf/10mm일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력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력의 하한은 0 gf/10mm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접착력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력은 0 gf/10mm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접착력의 하한은, 0 gf/10mm, 5 gf/10mm, 10 gf/10mm, 15 gf/10mm, 20 gf/10mm, 25 gf/10mm, 30 gf/10mm, 35 gf/10mm, 40 gf/10mm, 45 gf/10mm, 50 gf/10mm, 55 gf/10mm, 60 gf/10mm, 65 gf/10mm, 70 gf/10mm, 75 gf/10mm, 80 gf/10mm, 85 gf/10mm, 90 gf/10mm 또는 95 gf/10mm일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접착력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력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특정 피착체(예를 들면, 알루미늄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 상기 접착력을 나타내면서, 우수한 열전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열전도도의 하한은, 1.2 W/mk, 1.4 W/mK, 1.6 W/mK, 1.8 W/mK, 2.0 W/mK, 2.2 W/mK, 2.4 W/mK, 2.6 W/mK 또는 2.8 W/mK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열전도도의 상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열전도도의 상한은, 10 W/mK, 9 W/mK, 8 W/mK, 7 W/mK, 6 W/mK, 5 W/mK, 4 W/mK 또는 3 W/mK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열전도도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열전도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적절한 경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지나치게 브리틀(brittle)하게 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경도의 조절을 통해, 적용 용도에 따라서, 내충격성 및 내진동성을 확보하고, 제품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쇼어(shore) OO 타입 경도의 상한은, 150, 140, 130, 120, 110, 100, 95, 90, 80, 70, 60, 50 또는 45일 수 있고, 그 하한은,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또는 85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쇼어(shore) OO 타입 경도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경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또한 적절한 유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유연성을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함으로써 적용 용도를 크게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곡률 반경의 하한은, 1, 2, 3, 4, 5, 6, 7, 8, 9, 10, 11 또는 12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20, 19,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5 또는 4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곡률 반경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곡률 반경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곡률 반경의 단위는 mm이다.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은 절연성일 수 있다. 즉 수지 조성물은 절연성을 가지거나 및/또는 절연성을 가지는 경화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ASTM D149에 준거하여 측정한 절연파괴전압이 약 3 kV/mm 이상, 약 5 kV/mm 이상, 약 7 kV/mm 이상, 10 kV/mm 이상, 15 kV/mm 이상 또는 20 kV/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절연파괴전압은 그 수치가 높을수록 우수한 절연성을 가지는 것을 보이는 것으로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수지 조성물의 조성 등을 고려하면, 상기 절연파괴전압은, 약 50 kV/mm 이하, 45 kV/mm 이하, 40 kV/mm 이하, 35 kV/mm 이하, 30 kV/mm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연파괴전압은 수지 조성물의 절연성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지층 내에 절연성 필러를 적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러 중에서 세라믹 필러는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난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UL 94 V Test (Vertical Burning Test)에서 V-0 등급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수지 조성물의 적용 용도에 따라서 우려되는 화재 및 기타 사고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비중이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비중은 다른 예시에서 4.5 이하, 4 이하, 3.5 이하 또는 3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의 비중을 나타내는 수지층은 보다 경량화된 제품을 제공하는 것에 유리하다. 상기 비중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비중은 약 1.5 이상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가 상기 비중을 나타내기 위하여 수지층에 첨가되는 성분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러의 첨가 시에 가급적 낮은 비중에서도 목적하는 특성(예를 들면, 열전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필러, 즉 자체적으로 비중이 낮은 필러를 적용하거나, 표면 처리가 이루어진 필러를 적용하는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경화 과정 또는 경화된 후에 낮은 수축률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박리나 공극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축률은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면, 5% 미만, 3% 미만 또는 약 1%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수축률은 그 수치가 낮을수록 유리하므로, 그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낮은 열팽창 계수(CTE)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용 내지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박리나 공극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팽창 계수는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면, 300 ppm/K 미만, 250 ppm/K 미만, 200 ppm/K 미만, 150 ppm/K 미만 또는 약 100 ppm/K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열팽창계수는 그 수치가 낮을수록 유리하므로, 그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또한 열중량분석(TGA)에서의 5% 중량 손실(5% weight loss) 온도가 400℃ 이상이거나, 800℃ 잔량이 7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상기 800℃ 잔량은 다른 예시에서 약 75 중량% 이상, 약 80 중량% 이상, 약 85 중량% 이상 또는 약 9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800℃ 잔량은 다른 예시에서 약 99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중량 분석(TGA)은, 60 cm3/분의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20℃/분의 승온 속도로 25℃ 내지 800℃의 범위 내에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열중량분석(TGA) 결과도 수지 조성물의 조성의 조절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00℃ 잔량은, 통상 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필러의 종류 내지 비율에 의해 좌우되고, 과량의 필러를 포함하면, 상기 잔량은 증가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히드록시기 작용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어 히드록시기 작용성 성분은, 수지 조성물에 존재하는 모든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 조성물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1종 존재할 경우에 그 화합물이 상기 히드록시기 작용성 성분이 되고, 상기 수지 조성물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2종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 그 2종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이 상기 히드록시기 작용성 성분이 된다.
상기 히드록시 작용성 성분을 형성하는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합물로는,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 일반 폴리올 화합물 및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 성분은, 수지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모든 폴리올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 조성물이 폴리올 화합물을 1종만 가진다면, 그 1종의 폴리올 화합물이 상기 폴리올 성분이 되고, 2종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을 포함한다면, 그 2종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의 혼합물이 상기 폴리올 성분이 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의 상기 폴리올 성분은 폴리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폴리올 화합물은, 히드록시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다관능성 폴리올 화합물로 불릴 수도 있다. 이러한 폴리올 화합물은, 단분자성, 올리고머성 또는 고분자성 화합물일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이 포함하는 상기 히드록시기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 예시에서 폴리올 화합물이 가지는 1분자 당 상기 히드록시기의 수의 하한은, 2개 또는 3개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0개, 9개, 8개, 7개, 6개, 5개, 4개, 3개 또는 2개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의 히드록시기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이 포함하는 히드록시기의 수는 통상 1H NMR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 1H NMR에서 3 ppm 내지 4 ppm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peak)를 토대로 상기 히드록시기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폴리올 화합물은,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일 수 있다. 용어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은,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며, 동시에 오일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오일기는, 탄소 원자수가 3개 이상인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이 상기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것인지 여부는 통상 1H NMR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 1H NMR에서 4 ppm 내지 5 ppm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peak)를 토대로 상기 탄화수소기의 존재 여부 및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 화합물은, 단분자성, 올리고머성 또는 고분자성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폴리우레탄 소재로 형성되면서, 또한 가소제 등 접착력 저하 성분을 사용하지 않거나 그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특정 소재에 대해서 낮은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에 포함되는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기의 탄소 원자의 수의 하한은, 3개, 가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10개, 11개, 12개, 13개, 14개, 15개, 16개 또는 17개일 수 있고, 그 상한은, 50개, 49개, 48개, 47개, 46개, 45개, 44개, 43개, 42개, 41개, 40개, 39개, 38개, 37개, 36개, 35개, 34개, 33개, 32개, 31개, 30개, 29개, 28개, 27개, 26개, 25개, 24개, 23개, 22개, 21개, 20개, 19개, 18개, 17개, 16개, 15개, 14개, 13개, 12개, 11개 또는 10개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탄소 원자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기는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 이중 결합은 공액형 이중 결합이거나, cis 이중 결합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기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예시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탄화수소기는 카보닐기 또는 카보닐옥시기를 매개로 폴리올 화합물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탄화수소기는 알킬카보닐기, 알케닐카보닐기, 알키닐카보닐기, 알킬카보닐옥시기, 알케닐카보닐옥시기 또는 알키닐카보닐옥시기일 수 있다. 상기에서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의 탄소 원자 수의 하한은,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10개, 11개, 12개, 13개, 14개, 15개, 16개 또는 17개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50개, 49개, 48개, 47개, 46개, 45개, 44개, 43개, 42개, 41개, 40개, 39개, 38개, 37개, 36개, 35개, 34개, 33개, 32개, 31개, 30개, 29개, 28개, 27개, 26개, 25개, 24개, 23개, 22개, 21개, 20개, 19개, 18개, 17개, 16개, 15개, 14개, 13개, 12개, 11개 또는 10개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탄소 원자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치환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치환기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불소 등의 할로겐 원자가 치환기로 예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탄화수소기는, 하기 화학식 1의 치환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 원자수가 3개 이상이고, 직쇄 또는 분지쇄인 상기 탄화수소기이다. 화학식 1에서 * 표시는 해당 부분이 폴리올 화합물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의 치환기에서 산소 원자가 폴리올 화합물에 연결될 수 있다.
화학식 1에서 R인 탄화수소기의 구체적인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탄화수소기의 탄소 원자의 수, 종류, 형태 및 치환기 등에 대한 내용은 상기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이 포함하는 상기 오일기인 탄화수소기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에 포함되는 상기 탄화수소기의 수의 하한은, 1분자 당 1개 또는 2개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 분자당 10개, 9개, 8개, 7개, 6개, 5개, 4개, 3개 또는 2개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탄화수소기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은 상기 히드록시기 및 오일기(상기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수소 원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히드록시기 및/또는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형태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탄소 원자의 수는 예를 들면,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6개, 1개 내지 8개 또는 4개 내지 6개일 수 있다.
이러한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은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 및/또는 탄화수소기는, 상기 알칸, 알켄 또는 알킨에서 동일한 탄소 원자에 치환되어 있거나, 혹은 다른 탄소 원자에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골격 또는 폴리에테르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올리고머성 화합물이거나, 고분자성 화합물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가지는 폴리올 화합물은 소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고,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상기 탄화수소기가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폴리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 골격을 가지는 폴리올 화합물은, 소위 폴리에테르 폴리올이고, 이러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에 상기 탄화수소기가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폴리올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골격은 소위 폴리카프로락톤 골격이고, 상기 폴리에테르 골격은 소위 폴리알킬렌 골격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골격은, 일 예시에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가지는 골격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2에서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산소 원자이고, L1은 알킬렌기일 수 있으며, n은 임의의 수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단일 결합은, 해당 부위에 원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알킬렌기는, 일 예시에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4 내지 20, 탄소수 4 내지 16, 탄소수 4 내지 12 또는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렌기일 수 있으며, 이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 예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골격은, 폴리카프로락톤 골격일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화학식 2의 L1은 탄소수 5의 직쇄형 알킬렌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렌기는 알칸에서 2개의 수소 원자가 이탈하여 형성된 2가 치환기를 의미하는데, 이 때 상기 2개의 수소 원자는, 알칸의 다른 탄소 원자에서 각각 1개씩 이탈할 수도 있고, 알칸은 하나의 탄소 원자에서 이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반복 단위의 수를 나타내는 임의의 수로서, 예를 들면, 1 내지 25의 범위 내의 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n의 하한은, 1, 3, 5, 7, 9, 11, 13, 15, 17, 19, 21 또는 23 정도일 수 있고, 상한은 25, 23, 21, 19, 17, 15, 13, 11, 9, 7, 5 또는 3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n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골격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골격으로서, 소위 카르복실산 폴리올의 골격 또는 카프로락톤 폴리올의 골격일 수 있다. 이러한 골격은 공지의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카르복실산 폴리올의 골격은 카르복실산과 폴리올(ex. 디올 또는 트리올 등)을 포함하는 성분을 반응시켜서 형성할 수 있고, 카프로락톤 폴리올의 골격은 카프로락톤과 폴리올(ex. 디올 또는 트리올 등)을 포함하는 성분을 반응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은 디카르복실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골격을 가지는 폴리올 화합물에서 히드록시기 또는 전술한 탄화수소기는 상기 화학식 2의 골격의 말단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화학식 2의 골격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3에서 X1, X2, L1 및 n은, 화학식 2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1은, 히드록시기 또는 하기 화학식 4의 치환기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화학식 4에서 X3는 단일 결합 또는 산소 원자이고, R은 상기 화학식 1의 R과 같다.
화학식 3에서 R1이 히드록시기인 경우에 X1은 단일 결합이고, R1이 상기 화학식 4의 치환기인 경우에 X1 및 X3 중 어느 하나는 단일 결합이고, 다른 하나는 산소 원자이다.
폴리올 화합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2 또는 3의 골격의 수의 하한은, 1개 또는 2개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0개, 9개, 8개, 7개, 6개, 5개, 4개, 3개 또는 2개 정도일 수 있다. 상기 골격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가지는 폴리올 화합물은 직쇄 또는 분지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직쇄 구조는 상기 화학식 2 또는 3의 골격을 포함하는 주쇄가 존재하고, 상기 주쇄에 다른 고분자 사슬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며, 분지쇄 구조는 상기 화학식 2 또는 3의 골격을 포함하는 주쇄에 측쇄로서 또한 상기 화학식 2 또는 3의 골격을 포함하는 사슬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지쇄 구조에서 측쇄로서 연결되는 상기 화학식 2 또는 3의 골격을 포함하는 사슬의 수는 예를 들면 1개 내지 5개, 1개 내지 4개, 1개 내지 3개, 1개 내지 2개 또는 1개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가지는 폴리올 화합물은,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수소 원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히드록시기 및/또는 상기 화학식 3의 골격으로 치환된 형태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탄소 원자의 수는 예를 들면,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6개, 1개 내지 8개 또는 4개 내지 6개일 수 있다.
이러한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은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 및/또는 화학식 3의 골격은, 상기 알칸, 알켄 또는 알킨에서 동일한 탄소 원자에 치환되어 있거나, 혹은 다른 탄소 원자에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골격은, 일 예시에서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가지는 골격일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5
화학식 5에서 X4 및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산소 원자이고, L2는 알킬렌기일 수 있으며, m은 임의의 수이다.
상기 화학식 5에서 알킬렌기는, 일 예시에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일 수 있으며, 이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5에서 m은 반복 단위의 수를 나타내는 임의의 수로서, 예를 들면, 1 내지 25의 범위 내의 수일 수 있다.
화학식 5의 m의 하한은, 1, 3, 5, 7, 9, 11, 13, 15, 17, 19, 21 또는 23 정도일 수 있고, 상한은 25, 23, 21, 19, 17, 15, 13, 11, 9, 7, 5 또는 3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m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화학식 5의 골격을 가지는 폴리올 화합물에서 히드록시기 또는 전술한 탄화수소기는 상기 화학식 5의 골격의 말단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화학식 5의 골격은,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06
화학식 6에서 X4, X5, L2 및 m은, 화학식 5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2는, 히드록시기 또는 하기 화학식 7의 치환기일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at00007
화학식 7에서 X6는 단일 결합 또는 산소 원자이고, R은 상기 화학식 1의 R과 같다.
화학식 6에서 R2가 히드록시기인 경우에 X4는 단일 결합이고, R2가 상기 화학식 7의 치환기인 경우에 X4 및 X6 중 어느 하나는 단일 결합이고, 다른 하나는 산소 원자이다.
폴리올 화합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5 또는 6의 골격의 수의 하한은, 1개 또는 2개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0개, 9개, 8개, 7개, 6개, 5개, 4개, 3개 또는 2개 정도일 수 있다. 상기 골격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골격을 가지는 폴리올 화합물은 직쇄 또는 분지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직쇄 구조는 상기 화학식 5 또는 6의 골격을 포함하는 주쇄가 존재하고, 상기 주쇄에 다른 고분자 사슬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며, 분지쇄 구조는 상기 화학식 5 또는 6의 골격을 포함하는 주쇄에 측쇄로서 또한 상기 화학식 5 또는 6의 골격을 포함하는 사슬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지쇄 구조에서 측쇄로서 연결되는 상기 화학식 5 또는 6의 골격을 포함하는 사슬의 수는 예를 들면 1개 내지 5개, 1개 내지 4개, 1개 내지 3개, 1개 내지 2개 또는 1개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폴리에테르 골격을 가지는 폴리올 화합물은,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수소 원자의 적어도 일부가 히드록시기 및/또는 상기 화학식 5의 골격으로 치환된 형태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탄소 원자의 수는 예를 들면,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6개, 1개 내지 8개 또는 4개 내지 6개일 수 있다.
이러한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은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 및/또는 화학식 5의 골격은, 상기 알칸, 알켄 또는 알킨에서 동일한 탄소 원자에 치환되어 있거나, 혹은 다른 탄소 원자에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기술한 폴리올 화합물이 올리고머성 또는 고분자성 화합물인 경우에 해당 화합물은, 적정 수준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올리고머성 또는 고분자성인 상기 폴리올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의 하한은, 100 g/mol, 200g/mol, 300 g/mol, 400 g/mol, 500 g/mol, 600 g/mol, 700 g/mol, 800 g/mol 또는 900 g/mol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5000 g/mol, 4500 g/mol, 4000 g/mol, 3500 g/mol, 3000 g/mol, 2500 g/mol, 2000 g/mol, 1500 g/mol, 1000 g/mol 또는 800 g/mol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은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목적하는 물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은 수지 조성물 내에서 적정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 조성물 내에서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의 함량의 하한은, 5 중량%, 10 중량%, 15 중량%, 20 중량%, 25 중량%, 30 중량%, 35 중량%, 40 중량%, 45 중량%, 50 중량%, 55 중량%, 60 중량%, 65 중량%, 70 중량%, 75 중량%, 80 중량%, 85 중량%, 90 중량% 또는 95 중량%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00 중량%, 95 중량%, 90 중량%, 85 중량%, 80 중량%, 75 중량%, 70 중량%, 65 중량%, 60 중량%, 55 중량%, 50 중량%, 45 중량%, 40 중량%, 35 중량%, 30 중량%, 25 중량% 또는 20 중량%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이 1액형인 경우에 해당 1액형 수지 조성물 내에서의 함량이고, 2액형 조성물인 경우에는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이 존재하는 파트 내에서의 함량이다. 예를 들어, 2액형 수지 조성물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주제 파트와 경화제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이 주제 파트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의 함량은, 주제 파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 함량일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이 용제 및/또는 필러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함량은 상기 용제 및 필러의 함량을 제외한 중량을 기준으로 한 함량이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모든 폴리올 성분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한 함량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수지 조성물이 후술하는 필러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의 상기 필러 성분 100 중량부 대비 함량의 하한은, 1 중량부, 3 중량부, 5 중량부, 7 중량부, 9 중량부, 11 중량부 또는 13 중량부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40 중량부, 35 중량부, 30 중량부, 25 중량부, 20 중량부, 15 중량부, 10 중량부, 8 중량부, 6 중량부, 4 중량부 또는 3 중량부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함량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필러 성분에 대한 비율은 수지 조성물이 1액형인 경우에 해당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전체 필러 성분 100 중량부 대비 비율이며, 2액형인 경우에 오일 변성 폴리올이 포함되어 있는 파트(주제 파트 또는 경화제 파트) 내에 존재하는 전체 필러 성분 100 중량부 대비 비율이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의 상기 폴리올 성분 내에서의 함량의 하한은, 5 중량%, 10 중량%, 15 중량%, 20 중량%, 25 중량%, 30 중량%, 35 중량%, 40 중량%, 45 중량%, 50 중량%, 55 중량%, 60 중량%, 65 중량%, 70 중량%, 75 중량%, 80 중량%, 85 중량%, 90 중량% 또는 95 중량%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00 중량%, 95 중량%, 90 중량%, 85 중량%, 80 중량%, 75 중량%, 70 중량%, 65 중량%, 60 중량%, 55 중량%, 50 중량%, 45 중량%, 40 중량%, 35 중량%, 30 중량%, 25 중량% 또는 20 중량%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또한 추가 성분으로서 알코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알코올 화합물은, 히드록시기를 분자당 1개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알코올 화합물은, 단분자성, 올리고머성 또는 고분자성 화합물일 수 있다.
알코올 화합물로도,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용어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은, 분자당 1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며, 동시에 상기 오일기(탄소 원자수가 3개 이상인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기)를 말단에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알코올 화합물은, 단분자성, 올리고머성 또는 고분자성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을 상기 기술한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과 함께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폴리우레탄 소재로 형성되면서, 또한 가소제 등 접착력 저하 성분을 사용하지 않거나 그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특정 소재에 대해서 낮은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은, 히드록시기를 분자당 1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은 상기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상기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에 존재하는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기의 탄소 원자의 수의 하한은,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10개, 11개, 12개, 13개, 14개, 15개, 16개 또는 17개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50개, 49개, 48개, 47개, 46개, 45개, 44개, 43개, 42개, 41개, 40개, 39개, 38개, 37개, 36개, 35개, 34개, 33개, 32개, 31개, 30개, 29개, 28개, 27개, 26개, 25개, 24개, 23개, 22개, 21개, 20개, 19개, 18개, 17개, 16개, 15개, 14개, 13개, 12개, 11개 또는 10개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탄소 원자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기는 이중 결합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 이중 결합은 공액형 이중 결합이거나, cis 이중 결합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기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예시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탄화수소기는 카보닐기 또는 카보닐옥시기를 매개로 알코올 화합물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탄화수소기는 알킬카보닐기, 알케닐카보닐기, 알키닐카보닐기, 알킬카보닐옥시기, 알케닐카보닐옥시기 또는 알키닐카보닐옥시기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의 탄소 원자 수의 하한은,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10개, 11개, 12개, 13개, 14개, 15개, 16개 또는 17개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50개, 49개, 48개, 47개, 46개, 45개, 44개, 43개, 42개, 41개, 40개, 39개, 38개, 37개, 36개, 35개, 34개, 33개, 32개, 31개, 30개, 29개, 28개, 27개, 26개, 25개, 24개, 23개, 22개, 21개, 20개, 19개, 18개, 17개, 16개, 15개, 14개, 13개, 12개, 11개 또는 10개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탄소 원자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치환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치환기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불소 등의 할로겐 원자가 치환기로 예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의 탄화수소기도 전술한 화학식 1의 치환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화학식 1의 치환기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도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의 경우와 같다.
상기 알코올 화합물이 포함하는 상기 탄화수소기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 예시에서 상기 알코올 화합물이 포함하는 상기 탄화수소기의 수의 하한은, 1분자 당 1개 또는 2개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 분자당 10개, 9개, 8개, 7개, 6개, 5개, 4개, 3개 또는 2개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탄소 원자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알코올 화합물은 상기 히드록시기 및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알코올 화합물은,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수소 원자의 적어도 일부가 하나의 히드록시기 및/또는 상기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형태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탄소 원자의 수는 예를 들면,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6개, 1개 내지 8개 또는 4개 내지 6개일 수 있다.
이러한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은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 및/또는 탄화수소기는, 상기 알칸, 알켄 또는 알킨에서 동일한 탄소 원자에 치환되어 있거나, 혹은 다른 탄소 원자에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알코올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골격 또는 폴리에테르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알코올 화합물은 올리고머성 화합물이거나, 고분자성 화합물일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의 경우와 유사하게, 상기 폴리에스테르 골격은 소위 폴리카프로락톤 골격이고, 상기 폴리에테르 골격은 소위 폴리알킬렌 골격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골격은, 일 예시에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가지는 골격일 수 있다. 이 때 화학식 2의 반복 단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폴리올 화합물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의 경우에도 상기 화학식 2의 골격을 가지는 알코올 화합물에서 히드록시기 또는 전술한 탄화수소기는 상기 화학식 2의 골격의 말단에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화학식 2의 골격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화학식 3의 골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폴리올 화합물의 경우와 동일하다.
알코올 화합물의 상기 화학식 2 또는 3의 골격의 수의 하한은, 상기 화합물이 분자 당 하나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1개 또는 2개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0개, 9개, 8개, 7개, 6개, 5개, 4개, 3개 또는 2개 정도일 수 있다. 상기 골격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가지는 알코올 화합물도 직쇄 또는 분지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직쇄 구조는 상기 화학식 2 또는 3의 골격을 포함하는 주쇄가 존재하고, 상기 주쇄에 다른 고분자 사슬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며, 분지쇄 구조는 상기 화학식 2 또는 3의 골격을 포함하는 주쇄에 측쇄로서 또한 상기 화학식 2 또는 3의 골격을 포함하는 사슬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지쇄 구조에서 측쇄로서 연결되는 상기 화학식 2 또는 3의 골격을 포함하는 사슬의 수는 예를 들면 1개 내지 5개, 1개 내지 4개, 1개 내지 3개, 1개 내지 2개 또는 1개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가지는 알코올 화합물도,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수소 원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히드록시기 및/또는 상기 화학식 3의 골격으로 치환된 형태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탄소 원자의 수는 예를 들면,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6개, 1개 내지 8개 또는 4개 내지 6개일 수 있다.
이러한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은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 및/또는 화학식 3의 골격은, 상기 알칸, 알켄 또는 알킨에서 동일한 탄소 원자에 치환되어 있거나, 혹은 다른 탄소 원자에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알코올 화합물의 폴리에테르 골격도, 일 예시에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가지는 골격일 수 있다. 이 때 화학식 5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폴리올 화합물의 경우와 동일하다
화학식 5의 골격을 가지는 알코올 화합물에서도 히드록시기 또는 전술한 탄화수소기는 상기 화학식 5의 골격의 말단에 존재할 수 있고, 이는 화학식 6으로 골격일 수 있다. 이 때 화학식 6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폴리올 화합물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알코올 화합물이, 분자 당 하나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것을 전제로 상기 알코올 화합물이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5 또는 6의 골격의 수의 하한은, 1개 또는 2개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0개, 9개, 8개, 7개, 6개, 5개, 4개, 3개 또는 2개 정도일 수 있다. 상기 골격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골격을 가지는 알코올 화합물은 직쇄 또는 분지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직쇄 구조는 상기 화학식 5 또는 6의 골격을 포함하는 주쇄가 존재하고, 상기 주쇄에 다른 고분자 사슬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며, 분지쇄 구조는 상기 화학식 5 또는 6의 골격을 포함하는 주쇄에 측쇄로서 또한 상기 화학식 5 또는 6의 골격을 포함하는 사슬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지쇄 구조에서 측쇄로서 연결되는 상기 화학식 5 또는 6의 골격을 포함하는 사슬의 수는 예를 들면 1개 내지 5개, 1개 내지 4개, 1개 내지 3개, 1개 내지 2개 또는 1개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폴리에테르 골격을 가지는 알코올 화합물은,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수소 원자의 적어도 일부가 히드록시기 및/또는 상기 화학식 5의 골격으로 치환된 형태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의 탄소 원자의 수는 예를 들면, 1개 내지 20개, 1개 내지 16개, 1개 내지 8개 또는 4개 내지 6개일 수 있다.
이러한 알칸, 알켄 또는 알킨과 같은 탄화수소 화합물은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 및/또는 화학식 5의 골격은, 상기 알칸, 알켄 또는 알킨에서 동일한 탄소 원자에 치환되어 있거나, 혹은 다른 탄소 원자에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기술한 알코올 화합물이 올리고머성 또는 고분자성 화합물인 경우에 해당 화합물은, 적정 수준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올리고머성 또는 고분자성 상기 알코올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의 하한은, 10 g/mol, 200g/mol, 300 g/mol, 400 g/mol, 500 g/mol, 600 g/mol, 700 g/mol, 800 g/mol, 900 g/mol, 1000 g/mol, 1200 g/mol, 1400 g/mol, 1600 g/mol 또는 1800 g/mol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5000 g/mol, 4500 g/mol, 4000 g/mol, 3500 g/mol, 3000 g/mol, 2500 g/mol, 2000 g/mol, 1500 g/mol, 1000 g/mol 또는 800 g/mol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은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목적하는 물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의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함량의 하한은, 10 중량부, 20 중량부, 30 중량부, 40 중량부, 50 중량부, 60 중량부, 70 중량부, 80 중량부, 90 중량부, 100 중량부, 110 중량부, 120 중량부, 130 중량부, 140 중량부, 150 중량부, 160 중량부, 170 중량부, 180 중량부, 190 중량부, 200 중량부, 210 중량부, 220 중량부, 230 중량부, 240 중량부, 250 중량부, 260 중량부, 270 중량부, 280 중량부, 290 중량부 또는 300 중량부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000 중량부, 950 중량부, 900 중량부, 850 중량부, 800 중량부, 750 중량부, 700 중량부, 650 중량부, 600 중량부, 550 중량부, 500 중량부, 450 중량부, 400 중량부, 350 중량부, 300 중량부, 250 중량부, 200 중량부, 150 중량부, 100 중량부, 90 중량부, 80 중량부, 70 중량부 또는 60 중량부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비율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의 비율은 수지 조성물의 전체적인 조성이나 목적하는 물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과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의 혼합물, 즉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과 오일 변성 알코올만을 포함하는 성분은 오일 변성 성분으로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오일 변성 성분 전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의 하한은 10 g/mol, 200g/mol, 300 g/mol, 400 g/mol, 500 g/mol, 600 g/mol, 700 g/mol, 800 g/mol, 900 g/mol, 1000 g/mol, 1200 g/mol, 1400 g/mol, 1600 g/mol 또는 1800 g/mol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5,000 g/mol, 4500 g/mol, 4000 g/mol, 3500 g/mol, 3000 g/mol, 2500 g/mol, 2000 g/mol, 1500 g/mol, 1000 g/mol 또는 800 g/mol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 또는 알코올 화합물은 공지의 합성 방법을 통해서 합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화합물들은, 상기 오일 변성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탄화수소기를 도입할 수 있는 화합물을 공지의 폴리올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화수소기를 도입할 수 있는 화합물로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 예시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부티르산(butyric acid), 카프로산(caproic acid), 2-에틸헥사노산(2-ethyl hexanoic acid), 카프릴산(caprylic acid), 이소노나노산(isononanoic acid), 카프르산(capr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미리스트산(myrist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또는 올레산(oleic acid)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정에서 지방산과 폴리올 화합물의 반응 비율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폴리올 화합물과 알코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오일 변성 성분)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과 반응하는 폴리올 화합물의 종류에도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후술하는 일반 폴리올 화합물 중 적정한 종류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 화합물로서,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과는 다른 폴리올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전술한 오일기(탄화수소기, 즉 탄소 원자수가 3개 이상인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편의상 이러한 폴리올 화합물은 본 명세서에서 일반 폴리올 화합물로 부를 수 있다.
일반 폴리올 화합물이 포함하지 않는 상기 탄화수소기의 탄소 원자의 수의 하한은,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10개, 11개, 12개, 13개, 14개, 15개, 16개 또는 17개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50개, 49개, 48개, 47개, 46개, 45개, 44개, 43개, 42개, 41개, 40개, 39개, 38개, 37개, 36개, 35개, 34개, 33개, 32개, 31개, 30개, 29개, 28개, 27개, 26개, 25개, 24개, 23개, 22개, 21개, 20개, 19개, 18개, 17개, 16개, 15개, 14개, 13개, 12개, 11개 또는 10개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탄소 원자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탄화수소기는 상기 탄소 원자의 수를 가지는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일 수 있다.
상기 일반 폴리올 화합물은, 분자 당 히드록시기를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폴리올 화합물은, 단분자성, 올리고머성 또는 고분자성 화합물일 수 있다. 일반 폴리올 화합물이 포함하는 상기 히드록시기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 예시에서 일반 폴리올 화합물이 포함하는 히드록시기의 수의 하한은, 1분자 당 2개 또는 3개 정도일 수 있고, 그 하한은, 1분자당 10개, 9개, 8개, 7개, 6개, 5개, 4개, 3개 또는 2개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일반 폴리올 화합물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일반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로는 예를 들면, 소위 카르복실산 폴리올 또는 카프로락톤 폴리올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가지는 골격일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pat00008
화학식 8에서 X7 및 X8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산소 원자이고, L3는 알킬렌기일 수 있으며, p는 임의의 수이다.
상기 화학식 8에서 알킬렌기는, 일 예시에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4 내지 20, 탄소수 4 내지 16, 탄소수 4 내지 12 또는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렌기일 수 있으며, 이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인 경우에 상기 화학식 8의 L3는 탄소수 5의 직쇄형 알킬렌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8에서 p는 반복 단위의 수를 나타내는 임의의 수로서, 예를 들면, 1 내지 25의 범위 내의 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8의 p의 하한은, 1, 3, 5, 7, 9, 11, 13, 15, 17, 19, 21 또는 23 정도일 수 있고, 상한은 25, 23, 21, 19, 17, 15, 13, 11, 9, 7, 5 또는 3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p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8의 골격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소위 카르복실산 폴리올 또는 카프로락톤 폴리올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 화합물은 공지의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카르복실산 폴리올은 카르복실산과 폴리올(ex. 디올 또는 트리올 등)을 포함하는 성분을 반응시켜서 형성할 수 있고, 카프로락톤 폴리올은 카프로락톤과 폴리올(ex. 디올 또는 트리올 등)을 포함하는 성분을 반응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은 디카르복실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8의 골격을 가지는 폴리올 화합물에서 히드록시기는, 상기 화학식 8의 골격의 말단에 존재하거나, 혹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다른 부위에 존재할 수 있다.
일반 폴리올 화합물이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8의 골격의 수의 하한은, 1개 또는 2개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0개, 9개, 8개, 7개, 6개, 5개, 4개, 3개, 2개 또는 1개 정도일 수 있다. 상기 골격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가지는 폴리올 화합물은 직쇄 또는 분지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직쇄 구조는 상기 화학식 8의 골격을 포함하는 주쇄가 존재하고, 상기 주쇄에 다른 고분자 사슬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며, 분지쇄 구조는 상기 화학식 8의 골격을 포함하는 주쇄에 측쇄로서 또한 상기 화학식 8의 골격을 포함하는 사슬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에서 분지쇄 구조에서 측쇄로서 연결되는 상기 화학식 8의 골격을 포함하는 사슬의 수는 예를 들면 1개 내지 5개, 1개 내지 4개, 1개 내지 3개, 1개 내지 2개 또는 1개일 수 있다.
상기 일반 폴리올 화합물로는 다른 예시에서 알칸 디올 단위, 폴리올 단위 및 디카복실산 단위를 가지는 폴리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폴리올은 상기 알칸 디올, 폴리올 및 디카복실산의 혼합물이거나, 혹은 그들의 반응물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알칸 디올로는 3-메틸-1,5-펜탄디올(3-methyl-1,5-pentanediol), 1,9-노난디올(1,9-nonanediol) 또는 1,6-헥산디올(1,6-hexanediol) 등의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4 내지 20, 탄소수 4 내지 16 또는 탄소수 4 내지 12의 디올 화합물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로는 트리메틸롤프로판과 같이 3개 내지 10개, 3개 내지 9개, 3개 내지 8개, 3개 내지 7개, 3개 내지 6개, 3개 내지 5개 또는 3개 내지 4개의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4 내지 20, 탄소수 4 내지 16 또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알칸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카복실산으로는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또는 세바스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폴리올 화합물은 예를 들면, Kuraray사의 P-510, P-1010, P-2010, P-3010, P-4010, P-5010, P-6010, F-510, F-1010, F-2010, F-3010, P-2011, P-520, P-2020, P-1012, P-2012, P-630, P-2030, P-2050 또는 N-2010 등의 제품명으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일반 폴리올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 g/mol 내지 5,000 g/mol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의 적용을 통해 목적하는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일반 폴리올 화합물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일반 폴리올 화합물의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중량 비율의 하한은, 1 중량부, 3 중량부, 5 중량부, 7 중량부, 10 중량부, 15 중량부, 20 중량부, 25 중량부, 30 중량부, 35 중량부, 40 중량부, 45 중량부, 50 중량부, 55 중량부, 60 중량부, 65 중량부, 70 중량부, 75 중량부, 80 중량부, 85 중량부, 90 중량부, 95 중량부 또는 100 중량부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200 중량부, 190 중량부, 180 중량부, 170 중량부, 160 중량부, 150 중량부, 140 중량부, 130 중량부, 120 중량부, 110 중량부, 100 중량부, 90 중량부, 80 중량부, 70 중량부, 60 중량부, 50 중량부, 40 중량부, 30 중량부, 20 중량부 또는 10 중량부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비율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일반 폴리올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과 오일 변성 알코올의 합계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일반 폴리올 화합물의 함량 비율의 하한은, 1 중량부, 5 중량부, 10 중량부, 15 중량부, 20 중량부, 25 중량부, 30 중량부, 35 중량부 또는 40 중량부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200 중량부, 190 중량부, 180 중량부, 170 중량부, 160 중량부, 150 중량부, 140 중량부, 130 중량부, 120 중량부, 110 중량부, 100 중량부, 90 중량부, 80 중량부, 70 중량부, 60 중량부, 50 중량부, 40 중량부, 30 중량부, 20 중량부 또는 10 중량부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비율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은 전체 수지 조성물의 조성이나 목적하는 용도를 고려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수지 조성물은 추가 성분으로서, 상기 폴리올 화합물 및/또는 알코올 화합물과 반응하는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제로는 다양한 종류가 적용될 수 있지만, 수지 조성물인 폴리우레탄 조성물인 경우에 상기 경화제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적용할 수 있다. 용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수의 하한은, 2개 또는 3개 정도일 수 있고, 상한은, 10개, 9개, 8개, 7개, 6개, 5개, 4개, 3개 또는 2개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수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경화제로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물성의 확보를 위해 방향족기를 포함하지 않는 비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난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트랜스사이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상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상기 기술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예를 들면, 트리메틸롤프로판 등)과의 부가 반응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나열된 화합물 중 2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적용 비율은,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폴리올 화합물 및/또는 알코올 화합물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의 수와 경화 후 물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수지 조성물에 존재하는 히드록시 작용성 성분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의 수(OH)와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존재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수(NCO)의 당량비(OH/NCO)가 50 내지 1,000의 범위 내가 될 수 있도록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당량비(OH/NCO)를 계산하는 방식은 공지이다.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조성물이 2액형이고, 히드록시 작용성 성분이 주제 파트에 포함되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경화제 파트에 포함된다면, 당량비 OH/NCO는 하기 일반식 1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일반식 1]
Figure pat00009
일반식 1에서 D1은 상기 주제 파트의 밀도이고, D2는 상기 경화제 파트의 밀도이며, W1은 상기 주제 파트 내에 존재하는 폴리올 화합물 또는 알코올 화합물의 중량 비율이며, OH%는 상기 W1의 중량 비율을 가지는 폴리올 화합물 또는 알코올 화합물이 포함하는 히드록시기의 비율이고, W2는 상기 경화제 파트 내에 존재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중량 비율이고, NCO%는 상기 W2의 중량 비율을 가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비율이며, DN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달톤 질량으로서 42Da이고, DO는 히드록시기의 달톤 질량으로서 17Da이다.
상기 W1은 주제 파트에 존재하는 각 폴리올 화합물 또는 알코올 화합물의 주제 파트 내에서의 중량%(주제 파트 전체 중량 기준)이고, 해당 화합물의 OH%는 각 폴리올 화합물 또는 알코올 화합물 1몰이 포함하는 히드록시기의 %로서, 단일 폴리올 화합물 또는 알코올 화합물이 포함하는 히드록시기의 몰수와 상기 히드록시기의 몰질량의 곱을 상기 단일 폴리올 화합물 또는 알코올 화합물의 몰질량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구하여 진다.
상기에서 W2는 경화제 파트에 존재하는 각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경화제 파트 내에서의 중량%(경화제 파트 전체 중량 기준)이고, 해당 화합물의 NCO%는 각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몰이 포함하는 NCO기의 %로서, 단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포함하는 NCO기의 몰수와 상기 NCO기의 몰질량의 곱을 상기 단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몰질량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구하여 진다.
또한, 상기 일반식 1에서 달톤질량은, 상수이다.
상기 당량비(OH/NCO)의 하한은,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또는 260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90, 280, 270, 260, 250, 240, 230, 220, 210, 200, 190, 180, 170, 160, 150, 140, 130, 120, 110 또는 100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당량비는,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필러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필러 성분은, 필러로 이루어진 성분, 즉 필러만을 포함하는 성분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필러 성분은, 서로 평균 입경이 다른 2종 이상의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필러 성분은, 서로 평균 입경이 다른 3종 이상의 필러를 포함하거나, 서로 평균 입경이 다른 3종 내지 6종, 3종 내지 5종, 3종 내지 4종 또는 3종의 필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일 예시에서 상기 필러 성분은, 상기 서로 평균 입경이 다른 3종 내지 6종, 3종 내지 5종, 3종 내지 4종 또는 3종의 필러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필러 성분은, 레이저 회절법(laser Diffraction)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입도 분포의 체적 곡선에서 적어도 2개의 피크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필러 성분은, 상기 입도 분포의 체적 곡선에서 3개 이상의 피크를 나타내거나, 3개 내지 6개, 3개 내지 5개, 3개 내지 4개 또는 3개의 피크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피크를 나타내는 필러 성분의 범위에는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의 피크를 나타내는 필러 성분은 포함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필러의 평균 입경은, 레이저 회절법(laser Diffraction)으로 측정한 입도 분포의 체적 곡선에서 체적 누적이 50%가 되는 입자 직경을 의미하고, 이는 메디안 직경으로 불리울 수도 있다. 즉, 본 출원에서는, 상기 레이저 회절법을 통해 체적 기준으로 입도 분포를 구하고, 전 체적을 100%로 한 누적 곡선에서 누적치가 50%가 되는 지점의 입자 지름을 상기 평균 입경으로 하며, 이러한 평균 입경은, 다른 예시에서 메디안 입경 또는 D50 입경으로 불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상이한 평균 입경을 가지는 2종의 필러란, 상기 입도 분포의 체적 곡선에서 누적치가 50%가 되는 지점에서의 입자 지름이 상이한 필러를 의미할 수 있다.
통상 필러 성분을 형성하기 위해서 서로 평균 입경이 다른 2종 이상의 필러를 혼합하는 경우에 상기 필러 성분에 대하여 레이저 회절법(laser Diffraction)을 사용하여 측정한 입도 분포의 체적 곡선에서는 혼합된 필러의 종류만큼의 피크가 나타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서로 평균 입경이 다른 3종의 필러를 혼합하여 필러 성분을 구성한 경우에 그 필러 성분에 대하여 레이저 회절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입도 분포의 체적 곡선은 3개의 피크를 나타낸다.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의 상기 필러 성분은 열전도성 필러 성분일 수 있다. 용어 열전도성 필러 성분은,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가 전술한 열전도도를 나타내도록 기능하는 필러 성분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필러 성분은 적어도 평균 입경이 60 μm 내지 200 μm인 제 1 필러, 평균 입경이 10 μm 내지 30 μm의 범위 내인 제 2 필러 및 평균 입경이 5 μm 이하인 제 3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러의 평균 입경의 하한은, 62 μm, 62 μm, 64 μm, 66 μm 또는 약 68 μm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200 μm, 195 μm, 190 μm, 185 μm, 180 μm, 175 μm, 170 μm, 165 μm, 160 μm, 155 μm, 150 μm, 145 μm, 140 μm, 135 μm, 130 μm, 125 μm, 약 120 μm, 115 μm, 110 μm, 105 μm, 100 μm, 95 μm, 90 μm, 85 μm, 80 μm 또는 약 75 μ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제 1 필러의 평균 입경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제 2 필러의 평균 입경의 하한은, 10 μm, 12 μm, 13 μm, 14 μm, 15 μm, 16 μm, 17 μm, 18 μm, 19 μm 또는 20 μm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29 μm, 28 μm, 27 μm, 26 μm, 25 μm, 24 μm, 23 μm, 22 μm, 21 μm 또는 약 20 μm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제 2 필러의 평균 입경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제 3 필러의 하한은, 0.01 μm, 0.1 μm, 약 0.5 μm, 1μm, 1.5μm 또는 2μm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5 μm, 4.5 μm, 약 4 μm, 3.5 μm, 3 μm, 2.5 μm 또는 2 μm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제 3 필러의 평균 입경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필러 성분에서 제 1 필러의 평균 입경(D1)과 제 3 필러의 평균 입경(D3)의 비율(D1/D3)은, 25 내지 3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 3 필러는 필러 성분이 서로 평균 입경이 다른 2종 이상의 필러를 포함할 때에 필러 성분에 포함되는 필러 중에서 평균 입경이 가장 작은 필러일 수 있고, 상기 제 1 필러는 필러 성분이 서로 평균 입경이 다른 2종 이상의 필러를 포함할 때에 필러 성분에 포함되는 필러 중에서 평균 입경이 가장 큰 필러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입경 비율이 만족될 수 있다.
상기 비율(D1/D3)의 하한은,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230 또는 235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300, 290, 280, 270, 260, 250, 240, 220, 200, 180, 160, 140, 120, 100, 95, 90, 85, 80, 75, 70, 65 또는 60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필러 성분에서 상기 제 1 필러의 평균 입경(D1)과 제 2 필러의 평균 입경(D2)의 비율(D1/D2)의 하한은, 3, 3.1, 3.2, 3.3, 3.4 또는 3.5 정도이거나, 20,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5 또는 4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비율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필러로는 예를 들면,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Al2O3), 질화알루미늄(AlN), 질화붕소(BN), 질화규소(Si3N4), 탄화규소(SiC) 산화베릴륨(BeO), 산화아연(ZnO), 산화마그네슘(MgO), 수산화알루미늄(Al(OH)3), 수산화마그네슘(Mg(OH)2), 탄산칼슘(CaCO3) 및/또는 보헤마이트(Boehmite) 등과 같은 세라믹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필러는 전술한 범위의 열전도도를 충족시키는 것에 유리하고, 추가로 세라믹 필러의 적용을 통해서 전술한 절연성 등도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필러 성분의 상기 수지 조성물 내에서의 비율의 상한은 99 중량%, 98 중량%, 97 중량%, 96 중량%, 95 중량%, 94.5 중량%, 94 중량%, 93.5 중량%, 93 중량%, 92.5 중량%, 92 중량%, 91.5 중량%, 91 중량%, 90.5 중량%, 90.0 중량%, 89.5 중량%, 89.0 중량%, 88.5 중량% 또는 88.0 중량% 정도일 수 있고, 그 하한은, 약 70 중량%, 71 중량%, 72 중량%, 73 중량%, 74 중량%, 약 75 중량%, 76 중량%, 77 중량%, 78 중량%, 79 중량%, 80 중량%, 81 중량%, 82 중량%, 83 중량%, 84 중량%, 85 중량%, 86 중량%, 87 중량% 또는 88 중량%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필러 성분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이 1액형 수지 조성물인 경우에 해당 수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 비율이고, 2액형 주시 조성물인 경우에 상기 2액형 수지 조성물의 주제 파트와 경화제 파트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한 비율이거나, 혹은 상기 주제 또는 경화제 파트 단독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 비율일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이 2액형 수지 조성물로 조성되는 경우에 필러 성분은 최종 경화체에 적용하고자 하는 필러 성분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으로 분할하여 주제 및 경화제 파트 각각에 도입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필러 성분은, 상기 열전도성 필러 외에도, 필요한 경우에 다양한 종류의 필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그래파이트(graphite) 등과 같은 탄소 필러나 퓸드 실리카 또는 클레이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수지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성분 외에도 필요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에서는 가소제를 적용하지 않고도 특정 소재에 대해서 낮은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지만, 필요한 경우에 소량의 가소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적용될 수 있는 가소제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DOP), 디부틸 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DBP), 부틸벤질 프탈레이트(butylbenzyl phthalate, BBP), 디이소 노닐 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DIN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등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나, 디옥틸 아디페이트 (dioctyl adipate, DOA) 또는 디이소노닐 아디페이트 (diisononyl adipate, DINA) 등의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지방산계 가소제, 인산계 가소제 또는 폴리에스터계 가소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가소제가 포함되는 경우에 그 비율은 목적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소제는,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가소제의 중량 비율의 하한은, 0.5 중량부, 1.5 중량부, 2 중량부, 3 중량부, 4 중량부, 5 중량부, 6 중량부, 7 중량부, 8 중량부, 9 중량부, 10 중량부, 15 중량부, 20 중량부, 25 중량부, 30 중량부, 35 중량부, 40 중량부, 45 중량부, 50 중량부, 100 중량부, 150 중량부, 200 중량부, 250 중량부 또는 300 중량부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500 중량부, 450 중량부, 400 중량부, 350 중량부, 300 중량부, 250 중량부, 200 중량부, 150 중량부, 100 중량부, 90 중량부, 80 중량부, 70 중량부, 60 중량부, 50 중량부, 40 중량부, 30 중량부, 20 중량부, 19 중량부, 18 중량부, 17 중량부, 16 중량부, 15 중량부, 14 중량부, 13 중량부, 12 중량부, 11 중량부, 10 중량부, 9 중량부, 8 중량부, 7 중량부, 6 중량부, 5 중량부, 4 중량부, 3 중량부, 2 중량부 또는 1 중량부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비율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가소제는,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과 오일 변성 알코올의 합계(오일 변성 성분) 100 중량부 대비 상기 가소제의 비율의 하한은, 0.5 중량부, 1.5 중량부, 2 중량부, 5 중량부, 10 중량부, 15 중량부, 20 중량부, 25 중량부, 30 중량부, 50 중량부, 60 중량부, 70 중량부, 80 중량부, 90 중량부, 100 중량부, 110 중량부, 120 중량부, 130 중량부 또는 140 중량부 정도일 수 있고, 그 상한은, 400 중량부, 350 중량부, 300 중량부, 250 중량부, 200 중량부, 150 중량부, 100 중량부, 90 중량부, 80 중량부, 70 중량부, 60 중량부, 50 중량부, 40 중량부, 30 중량부, 20 중량부, 19 중량부, 18 중량부, 17 중량부, 16 중량부, 15 중량부, 14 중량부, 13 중량부, 12 중량부, 11 중량부, 10 중량부, 9 중량부, 8 중량부, 7 중량부, 6 중량부, 5 중량부, 4 중량부, 3 중량부, 2 중량부 또는 1 중량부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비율은,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거나, 상기 기재한 하한 중 임의의 어느 한 하한 이상 또는 초과이면서, 상기 기재한 상한 중 임의의 어느 한 상한 이하 또는 미만인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은 전체 수지 조성물의 조성이나 목적하는 용도를 고려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성분의 예로는, 경화 반응을 보조 또는 촉진하는 촉매, 점도의 조절, 예를 들면 점도를 높이거나 혹은 낮추기 위한 또는 전단력에 따른 점도의 조절을 위한 점도 조절제(예를 들면, 요변성 부여제, 희석제 등), 분산제, 표면 처리제 또는 커플링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 또는 난연 보조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난연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상의 필러 형태의 난연제나 액상 난연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난연제로는, 예를 들면,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등과 같은 유기계 난연제나 수산화 마그네슘 등과 같은 무기계 난연제 등이 있다. 수지층에 충전되는 필러의 양이 많은 경우 액상 타입의 난연 재료(TEP, Triethyl phosphate 또는 TCPP, tris(1,3-chloro-2-propyl)phosphate 등)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난연상승제의 작용을 할 수 있는 실란 커플링제가 추가될 수도 있다.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1액형 조성물이거나, 2액형 조성물일 수 있다. 2액형 조성물인 경우에 수지 조성물의 전술한 각 성분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주제 파트와 경화제 파트에 나뉘어져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 예시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2액형 수지 조성물로 조성된 조성물(2액형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2액형 조성물은, 적어도 주제 파트와 경화제 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주제 및 경화제 파트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주제 및 경화제 파트가 혼합되면, 경화 반응이 개시되고, 그 결과 폴리우레탄이 형성될 수 있다.
2액형 조성물에서 주제 파트는 적어도 상기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화제 파트는 적어도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에 전술한 오일 변성 알코올 화합물 및/또는 일반 폴리올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에 이 화합물은 예를 들면 상기 주제 파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필러 성분은 상기 주제 및 경화제 파트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있거나, 상기 주제 및 경화제 파트 모두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필러 성분이 주제 및 경화제 파트에 모두 포함되는 경우에 주제 및 경화제 파트에 동량의 필러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기타 성분인 촉매, 가소제, 난연제 등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주제 및/또는 경화제 파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액형 조성물에서 상기 주제 파트의 부피(P)의 상기 경화제 파트의 부피(N)에 대한 부피 비율(P/N)은, 약 0.8 내지 1.2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2액형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도 전술한 알루미늄 및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력, 열전도도, 경도, 곡률 반경, 절연성, 난연성, 비중, 수축률, 열팽창 계수 및/또는 열중량분석(TGA)에서의 5% 중량 손실(5% weight loss) 온도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를 포함하는 제품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는 방열 소재로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품은 발열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발열 부품은 사용 과정에서 열을 방생시키는 부품을 의미하고,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대표적인 발열 부품으로는 배터리셀,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기/전자 제품이 있다.
본 출원의 제품은, 예를 들면, 상기 발열 부품과 상기 발열 부품과 인접하여 존재하는 상기 수지 조성물(또는 상기 2액형 조성물)이나 그 경화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품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수지 조성물 또는 2액형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가 방열 소재로 적용된다면,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제품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높은 열전도도를 나타내면서도, 소정 피착체에 대해서 낮은 접착력을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는 상기 낮은 접착력을 가소제 등의 접착력 조절 성분을 사용하지 않거나, 그 사용 비율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조예에서 얻어진 오일 변성 성분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에서 언급하는 경화체는, 모두 2액형으로 제조된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주제 및 경화제 파트를 각 실시예에서 기재하는 OH/NCO 당량비가 만족되도록 혼합한 후, 상온에서 24 시간 정도 유지하여 형성한 것이다.
1. 열전도도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체의 열전도도는 ISO 22007-2 규격에 따라 핫 디스크(Hot-Dist)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2액형으로 조성된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주제 파트 및 경화제 파트의 부피 비율 1:1의 혼합물을 약 7 mm 정도의 두께의 몰드에 위치시키고, Hot Disk 장비를 사용하여 through plane 방향으로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규격(ISO 22007-2)에 규정된 것과 같이 Hot Disk 장비는 니켈선이 이중 스파이럴 구조로 되어 있는 센서가 가열되면서 온도 변화(전기 저항 변화)를 측정하여 열전도도을 확인할 수 있는 장비이고, 이러한 규격에 따라서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2.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력 측정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력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알루미늄판을 부착시켜서 제조된 시편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상기 PET 필름으로는 폭이 10 mm 정도이고, 길이가 200 mm 정도인 필름을 사용하였고, 알루미늄판으로는 폭 및 길이가 각각 100 mm인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였다. 상기 알루미늄판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상에 상기 PET 필름을 부착한 상태로 상온(약 25℃)에서 약 24 시간 유지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PET 필름의 폭 전체와 길이 부분 중 100 mm 정도가 상기 수지 조성물을 매개로 상기 알루미늄판에 부착되도록 하였다. 상기 시편의 알루미늄판을 고정한 상태로 상기 알루미늄판으로부터 상기 PET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박리하면서 상기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부착은, 수지 조성물(주제 파트 및 경화제 파트의 부피 비율 1:1의 혼합물)을 상기 알루미늄판에 경화 후 두께가 약 2 mm 정도가 되도록 도포한 후에 상기 PET 필름을 상기 수지 조성물의 층상에 밀착시키고, 상온(약 25℃)에서 약 24 시간 유지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수행하였다. 상기 박리는 약 0.5 mm/min의 정도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PET 필름이 완전히 박리될 때까지 수행하였다.
3.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력 측정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2 cm 및 7 cm인 알루미늄 기판의 중앙에 가로 2 cm 및 세로 2 cm 정도가 되도록 미경화된 수지 조성물(주제 파트 및 경화제 파트의 혼합물)을 코팅하고, 다시 상기 코팅층 위에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2 cm 및 7 cm인 알루미늄 기판을 부착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켰다. 상기에서 2개의 알루미늄 기판은 서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부착하였다. 이후, 상부의 알루미늄 기판을 고정한 상태로 하부의 알루미늄 기판을 0.5 mm/min의 속도로 눌러서 상기 하부 알루미늄 기판이 분리되는 동안의 힘을 측정하고, 그 과정에서 측정되는 최대치의 힘을 시편의 면적으로 나누어서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력을 구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서 하기 기준으로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상: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력이 0.1 N/mm2 이하
중: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력이 0.1 N/mm2 초과 및 0.4 N/mm2 이하
하: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력이 0.4 N/mm2 초과
4. 경도의 측정
수지 조성물의 경화체의 경도는, ASTM D 2240, JIS K 6253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ASKER, durometer hardness 기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평평한 상태의 샘플(수지층)의 표면에 1 Kg 이상의 하중(약 1.5 Kg)을 가하여 초기 경도를 측정하고, 15초 후에 안정화된 측정값으로 확인하여 경도를 평가하였다.
5. 곡률 반경의 측정
경화체의 곡률 반경은, 가로, 세로 및 두께가 각각 1cm, 10cm 및 2mm인 경화체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곡률 반경은, 상기 경화체를 다양한 반경을 가진 원통에 부착시키고 세로 방향을 따라서 굽혔을 때, 상기 경화체에 크랙(crack)이 발생되지 않는 원통의 최소 반경이다.
6. 중량평균분자량의 측정
중량평균분자량(Mw)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중량평균분자량(Mw)은 5 mL 바이알(vial)에 분석 대상 시료를 넣고, 약 1 mg/mL의 농도가 되도록 THF(tetrahydrofuran) 용제로 희석한 후, Calibration용 표준 시료와 분석 시료를 syringe filter(pore size: 0.45 μm)를 통해 여과시키고 측정할 수 있다. 분석 프로그램으로는 Agilent technologies社의 ChemStation을 사용하였고, 시료의 elution time을 calibration curve와 비교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을 구할 수 있다.
<GPC 측정 조건>
기기: Agilent technologies社의 1200 series
컬럼: Agilent technologies社의 TL Mix. A & B 사용
용제: THF(tetrahydrofuran)
컬럼온도: 35℃
샘플 농도: 1 mg/mL, 200 ㎕ 주입
표준 시료: 폴리스티렌(MP: 3900000, 723000, 316500, 52200, 31400, 7200, 3940, 485) 사용
제조예 1.
하기 화학식 A의 오일 변성 폴리올 화합물로 되는 히드록시기 작용성 성분(A)은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화학식 A]
Figure pat00010
화학식 A에서 n과 m은 각각 0 초과이며, 그 합은 약 4.8이다.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Perstorp社 Capa 3031)과 포화지방산인 이소노나노산(isononanoic acid)을 1:0.53의 중량비(Capa 3031:이소노나노산)로 혼합하였다. 이어서, 촉매(Tin(II) 2-ethylhexanoate (Sigma-Aldrich社))를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로 첨가하고, 불활성 기체 퍼지(purge) 조건에서 150℃로 30분간 교반하면서 유지하였다. 이어서, 공비 용액인 크실렌(xylene)을 소량 투입하고, 온도를 200℃로 승온하고, 3시간 이상 반응시킨 후, 80 Torr 이하로 감압하고, 크실렌 및 미반응물을 제거하였다. 반응물을 냉각 후 여과하여 목적물(화학식 A의 화합물)을 얻었다.
상기 목적물에 대하여 수행한 GPC 분석 결과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876 g/mol의 수준이었다. 도 1은 상기 목적물에 대해서 수행한 GPC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시예 1.
주제 파트의 제조
제조예 1의 히드록시기 작용성 성분(A), 일반 폴리올 화합물(Kuraray사, F-2010), 필러 성분 및 가소제(diisononyl adipate)를 11.4:1.1:87:0.5의 중량 비율(성분(A):일반 폴리올 화합물:필러 성분:가소제)로 혼합하여 주제 파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필러 성분으로는, 평균 입경이 약 70 μm인 제 1 알루미나 필러, 평균 입경이 약 20 μm인 제 2 알루미나 필러 및 평균 입경이 약 1 μm인 제 3 알루미나 필러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시의 중량 비율은 6:2:2(제1알루미나필러:제2알루미나필러:제3알루미나필러) 정도로 하였다.
경화제 파트의 제조
경화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Vencorex社, Tolonate HDT-LV2)를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필러 성분 및 가소제(diisononyl adipate)를 5:5:90의 중량 비율(폴리이소시아네이트:필러 성분:가소제)로 혼합하여 경화제 파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필러 성분으로는, 평균 입경이 약 70 μm인 제 1 알루미나 필러, 평균 입경이 약 20 μm인 제 2 알루미나 필러 및 평균 입경이 약 1 μm인 제 3 알루미나 필러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시의 중량 비율은 6:2:2(제1알루미나필러:제2알루미나필러:제3알루미나필러) 정도로 하였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주제 파트와 경화제 파트를 각각 준비하여 수지 조성물(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주제 및 경화제 파트를 혼합 후에 상온에서 유지하여 경화체를 형성하였다. 상기에서 혼합은, 상기 주제 파트 내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OH)와 상기 경화제 파트에 존재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OH/NCO)가 약 179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주제 파트와 경화제 파트를 각각 준비하여 수지 조성물(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주제 및 경화제 파트를 혼합 후에 상온에서 유지하여 경화체를 형성하되, 상기 혼합을 상기 주제 파트 내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OH)와 상기 경화제 파트에 존재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OH/NCO)가 약 157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주제 파트와 경화제 파트를 각각 준비하여 수지 조성물(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주제 및 경화제 파트를 혼합 후에 상온에서 유지하여 경화체를 형성하되, 상기 혼합을 상기 주제 파트 내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OH)와 상기 경화제 파트에 존재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OH/NCO)가 약 140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4.
주제 파트의 제조
제조예 1의 히드록시기 작용성 성분(A), 일반 폴리올 화합물(Kuraray사, F-2010), 필러 성분 및 가소제(diisononyl adipate)를 7.4:3.2:87:2.4의 중량 비율(성분(A):일반 폴리올:필러 성분:가소제)로 혼합하여 주제 파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필러 성분으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필러 성분을 사용하였다.
경화제 파트의 제조
경화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Vencorex社, Tolonate HDT-LV2)를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필러 성분 및 가소제(diisononyl adipate)를 5:5:90의 중량 비율(폴리이소시아네이트:필러 성분:가소제)로 혼합하여 경화제 파트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필러 성분으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필러 성분을 사용하였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 주제 파트와 경화제 파트를 각각 준비하여 수지 조성물(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주제 및 경화제 파트를 혼합 후에 상온에서 유지하여 경화체를 형성하였다. 상기에서 혼합은, 상기 주제 파트 내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OH)와 상기 경화제 파트에 존재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OH/NCO)가 약 170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주제 파트와 경화제 파트를 각각 준비하여 수지 조성물(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주제 및 경화제 파트를 혼합 후에 상온에서 유지하여 경화체를 형성하되, 상기 혼합을 상기 주제 파트 내에 존재하는 히드록시기(OH)와 상기 경화제 파트에 존재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비(OH/NCO)가 약 140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에 대해서 정리한 물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접착력(gf/cm) Al 접착력(N/mm2) Shore OO 경도 열전도도(W/mK) 곡률 반경
실시예1 96 0.064 74 2.481 4
실시예2 133 0.048 88 2.556 6
실시예3 116 0.07 93 2.434 7
실시예4 255 0.045 86 2.558 3
실시예5 222 0.032 95 2.627 8

Claims (15)

  1. 폴리올 성분 및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 성분은 폴리에스테르 골격 또는 폴리에테르 골격에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수가 3개 이상인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 1 폴리올 화합물 및 상기 탄화수소기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폴리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력이 0.1 N/mm2 이하인 경화체를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표면에 대한 접착력이 100 gf/cm 이하인 경화체를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쇼어 OO 경도가 95 이하인 경화체를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곡률 반경이 10 이하인 경화체를 형성하는 경화성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폴리올 화합물은, 탄화수소기는 하기 화학식 1의 치환기에 존재하는 경화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1
    _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 원자수가 3개 이상인 직쇄 또는 분지쇄인 탄화수소기이다.
  7.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골격은 폴리카프로락톤 골격이고, 폴리에테르 골격은 폴리알킬렌 골격인 경화성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탄소 원자수가 3개 이상인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기 및 하나의 히드록시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폴리올 화합물은 2관능 이상의 다관능성 폴리올인 경화성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올 또는 알칸디올 단위, 폴리올 단위 및 디카복실산 단위를 가지는 폴리올인 경화성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필러는,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칼슘,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 마그네시아, 알루미나, 질화 알루미늄, 질화 붕소, 질화 규소, 탄화 규소, 산화 아연 또는 산화 베릴륨인 경화성 조성물.
  14. 폴리올 성분 및 필러를 포함하는 주제 파트; 및
    경화제 및 필러를 포함하는 경화제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 성분은 폴리에스테르 골격 또는 폴리에테르 골격에 결합되어 있는 탄소 원자수가 3개 이상인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제 1 폴리올 화합물 및 상기 탄화수소기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폴리올 화합물을 포함하는 2액형 조성물.
  15. 발열 부품 및 상기 발열 부품과 인접하여 존재하는, 제 1 항의 경화성 조성물 또는 제 14 항의 2액형 조성물의 경화체를 포함하는 제품.
KR1020220123121A 2021-09-28 2022-09-28 경화성 조성물 KR20230045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4582 WO2023055082A1 (ko) 2021-09-28 2022-09-28 경화성 조성물
JP2023559098A JP2024511501A (ja) 2021-09-28 2022-09-28 硬化性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393 2021-09-28
KR20210128393 2021-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581A true KR20230045581A (ko) 2023-04-04

Family

ID=8592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121A KR20230045581A (ko) 2021-09-28 2022-09-28 경화성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17233A1 (ko)
KR (1) KR20230045581A (ko)
CN (1) CN1170628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354A (ko)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354A (ko)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17233A1 (en) 2024-02-07
CN117062850A (zh)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3762A (ko) 수지 조성물
KR102068311B1 (ko) 경화성 조성물
KR102421433B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230045581A (ko) 경화성 조성물
KR20230045578A (ko) 경화성 조성물
KR20230045577A (ko) 경화성 조성물
US20240124640A1 (en) Curable Composition
KR20230045580A (ko) 경화성 조성물
KR20230045583A (ko) 경화성 조성물
KR20230045579A (ko) 경화성 조성물
KR20230045582A (ko) 경화성 조성물
KR20230045584A (ko) 경화성 조성물
US20240182679A1 (en) Curable Composition
KR20230046974A (ko) 경화성 조성물
EP4286441A1 (en) Curable composition
US20240132656A1 (en) Curable Composition
KR20240037669A (ko) 경화성 조성물
KR20240037666A (ko) 경화성 조성물
KR20240037667A (ko) 경화성 조성물
KR20240037670A (ko) 경화성 조성물
KR20240037668A (ko) 경화성 조성물
JP2024510321A (ja) 硬化性組成物
JP2024511501A (ja) 硬化性組成物
JP2024510824A (ja) 硬化性組成物
JP2024513527A (ja) 硬化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