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324A -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324A
KR20230045324A KR1020210128033A KR20210128033A KR20230045324A KR 20230045324 A KR20230045324 A KR 20230045324A KR 1020210128033 A KR1020210128033 A KR 1020210128033A KR 20210128033 A KR20210128033 A KR 20210128033A KR 20230045324 A KR20230045324 A KR 20230045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machine
mmis
main
virtualization
nuclea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493B1 (ko
Inventor
김민석
이성진
류호선
양재현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8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4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1Computer implemented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8Man-machine interface, e.g. control room layou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21D3/06Safety arrangements responsive to faults within the plant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은 원자력 발전소의 메인 제어 장치를 구현한 메인 가상 머신(Main VM), 메인 제어 장치의 백업 제어 장치를 구현한 백업 가상 머신(Backup VM), 메인 가상 머신의 비정상이 감지되면, 백업 가상 머신이 메인 가상 머신을 대체하도록 하는 가상화 마스터 및 비정상이 감지된 메인 가상 머신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MMIS VIRTUALIZATION OPERATING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인간기계연계계통(Man Machine Interface System, MMIS)이란, 발전소에서 인체의 두뇌 및 신경망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설비로, 발전소의 감시, 제어, 보호, 경보 기능 등을 수행한다. 원자력 발전소의 MMIS는 발전소의 운전 상태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원자로를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해 센서 등을 통해 발전소의 상태를 상시적으로 감시한다.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 현실(AR)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의 유지 보수 시스템에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안전성이 가장 중요한 문제인 원자력 발전소의 특성 상,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기술을 도입하는 것에 보수적이므로, 여전히 아날로그 방식으로 운영되는 부분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원자력 발전소 내부의 기기 고장, 계통 사고와 같은 비정상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고, 문제 상황을 시뮬레이션 하는 것에도 한계가 존재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8470호(2009.08.20.)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실물 MMIS에 실물 MMIS를 가상화한 가상화 MMIS를 접목시킨,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에서, 가상화 MMIS에서 계통 또는 설비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중화 운영이 가능한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에서, 비정상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의 고장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의 MMIS 비정상 상황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은 원자력 발전소의 메인 제어 장치를 구현한 메인 가상 머신(Main VM), 메인 제어 장치의 백업 제어 장치를 구현한 백업 가상 머신(Backup VM), 메인 가상 머신의 비정상이 감지되면, 백업 가상 머신이 메인 가상 머신을 대체하도록 하는 가상화 마스터 및 비정상이 감지된 메인 가상 머신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 마스터는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상기 비정상이 감지되면, 신규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상기 백업 가상 머신을 새로운 메인 가상 머신으로 설정하고, 상기 신규 가상 머신을 새로운 백업 가상 머신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비정상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전후의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은 상기 비정상이 감지된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비정상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메인 가상 머신의 비정상을 감지하는 단계, 메인 가상 머신의 비정상이 감지되면, 백업 가상 머신이 메인 가상 머신을 대체하는 단계 및 비정상이 감지된 메인 가상 머신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상기 비정상이 감지되면, 신규 가상 머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백업 가상 머신을 새로운 메인 가상 머신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가상 머신을 새로운 백업 가상 머신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정상이 감지된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비정상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전후의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비정상이 감지된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비정상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동작 방법은, 가상화 MMIS에서 계통 또는 설비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중화 운영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동작 방법은, 비정상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의 동작을 비정상 운영 당시의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고, 이후 시뮬레이션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근본원인 분석과 같은 깊이 있는 원인 진단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MIS 가상화 플랫폼의 구성을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의 에러 로그 기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은 가상화 플랫폼(100), 마스터 노드(200), 플랜트 정보(300), 시뮬레이터(400), 실물 MMIS(50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화 플랫폼(100)은 발전소를 가상화하여 운영하기 위한 것으로, 발전소의 실물 MMIS를 가상화한 가상화 MMIS(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화 MMIS(110)는 발전소 실물 MMIS의 안전 계통, 비안전 계통, 정보처리망, 네트워크, 서버, 입출력 장치를 실물과 동일하게 모사하여 운영할 수 있다. 가상화 플랫폼(100)은 가상화 MMIS(110) 외에, 가상화 마스터(120), 메모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화 플랫폼(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한다.
마스터 노드(200)는 가상화 플랫폼(100)과 플랜트 정보(300), 시뮬레이터(400) 및 실물 MMIS(500)를 연결할 수 있다. 가상화 플랫폼(100)은 마스터 노드(200)를 통해 플랜트 정보(300)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화 플랫폼(100)은 마스터 노드(200)를 통해 시뮬레이터(400)에 가상화 MMIS(110)의 가상화 운영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시뮬레이터(400)로부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가상화 플랫폼(100)은 마스터 노드(200)를 통해 실물 MMIS(500)로부터 MMIS의 실제 운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실물 MMIS(500)로 가상화 운영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플랜트 정보(300)는 발전소의 실제 데이터(Plant Information)를 의미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400)는 가상화 MMIS(110)로부터 수신한 가상화 운영 정보, 플랜트 정보(300), 실물 MMIS(500)로부터 수신한 MMIS의 실제 운영 정보를 이용하여, 발전소의 운영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터(400)는 가상화 MMIS(110)로부터 수신한 기존 메인 가상 머신(VM)의 정보를 수신하여, 비정상 상황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실물 MMIS(500)는 실제 MMIS 계통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운영하기 위한 MMIS를 의미할 수 있다. 실물 MMIS는 발전소의 안전 계통, 비안전 계통, 정보처리망, 네트워크, 서버, 입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정상 운전 중인 실물 MMIS(500)는 설비 또는 계통을 Main/Backup의 이중화 구조로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중화 구조의 MMIS(500)는 설비나 계통에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Backup 설비가 Main 설비를 대체하고 주제어실(MCR)에 비정상 알람을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은 이러한 이중화 구조의 MMIS(500)를 가상 환경에서 운영하고, 계통 또는 설비의 비정상 상황을 효율적으로 운영 및 분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의 자세한 제어 동작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MIS 가상화 플랫폼의 구성을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가상화 플랫폼(100)은 발전소를 가상화하여 운영하기 위해, 실물 MMIS를 가상화한 가상화 MMIS(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화 MMIS(110)는 발전소 실물 MMIS의 안전 계통, 비안전 계통, 정보처리망, 네트워크, 서버, 입출력 장치를 실물과 동일하게 모사하여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실제 발전소와 동일하게 Main/Backup 구조의 이중화 가상 머신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상화 MMIS(110)는 제1 계통 메인 가상 머신(Main Virtual Machine, 이하, '메인 VM'이라고 함, 110M_1), 제1 계통 백업 가상 머신(Backup Virtual Machine, 이하, '백업 VM'이라고 함, 110B_1), 제2 계통 메인 VM(110M_2), 제2 계통 백업 VM(110B_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계통 메인 VM(110M_1)은 제1 계통에 대한 메인 제어 장치를 가상화한 가상 머신일 수 있고, 제1 계통 백업 VM(110B_1)은 제1 계통에 대한 백업 제어 장치를 가상화한 가상 머신일 수 있다.
제2 계통 메인 VM(110M_2)은 제2 계통에 대한 메인 제어 장치를 가상화한 가상 머신일 수 있고, 제2 계통 백업 VM(110B_2)은 제2 계통에 대한 백업 제어 장치를 가상화한 가상 머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인 VM 및 백업 VM은 대응하는 계통이나 설비에 대해 생성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의 도 2에서는 제1 및 제2 계통에 대한 각각의 메인 VM, 백업 VM 만을 도시하였으나, 발전소의 계통 또는 설비에 따라 메인 VM 및 백업 VM이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가상화 플랫폼(100)은 가상화 MMIS(110) 외에, 가상화 마스터(120), 메모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화 마스터(120)는 가상화 플랫폼(100)의 자원을 관리하고, 운영, 형상 관리 등 가상화 MMIS(110)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가상화 MMIS(110)의 운영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저장 공간의 일부를 Evnent Log 공간으로 할당하여, 가상화 MMIS의 모든 정보(상태, 운전 기록 등)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은 원자력 발전소의 MMIS를 가상화 운영할 수 있다(S1001). 본 발명의 가상화 플랫폼(100)은 가상화 MMIS(110)를 통해 원자력 발전소를 가상 환경에서 운영할 수 있다. 가상화 MMIS(110)는 발전소 실물 MMIS의 안전 계통, 비안전 계통, 정보처리망, 네트워크, 서버, 입출력 장치를 실물과 동일하게 모사하여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실제 발전소와 동일하게 Main/Backup 구조의 이중화 가상 머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Main/Backup 구조의 이중화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 삼중화, 사중화 등 그 이상으로 설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가상화 MMIS(110)의 제1 계통 메인 VM(110M_1)은 제1 계통에 대한 메인 제어 장치를 가상화하여 운영할 수 있고, 제2 계통 메인 VM(110M_2)은 제2 계통에 대한 메인 제어 장치를 가상화하여 운영할 수 있다.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은 비정상 상황이 발생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03). 가상화 플랫폼(100)의 가상화 MMIS(110)는 가상 머신들 중 어느 하나에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은 비정상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면, 백업 가상 머신이 메인 가상 머신을 절체하고, 계통을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05). 예를 들어, 가상화 플랫폼(100)의 가상화 MMIS(110)는 제1 계통 메인 VM(110M_1)에 비정상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면, 제1 계통 백업 VM(110B_1)이 제1 계통 메인 VM(110M_1)을 절체하고, 제1 계통을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은 비정상 상황 발생을 알릴 수 있다(S1007). 예를 들어, 제1 계통 메인 VM(110M_1)을 절체하고, 제1 계통을 운전하는 제1 계통 백업 VM(110B_1)은 가상화 마스터(120)에 제1 계통에 비정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계통 백업 VM(110B_1)은 주제어실(MCR)에 비정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은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면, 백업 가상 머신을 메인 가상 머신으로 변경할 수 있다(S1009). 또한,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은 신규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이를 백업 가상 머신으로 설정할 수 있다(S1011).
예를 들어, 가상화 마스터(120)는 제1 계통에 비정상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1 계통 백업 VM(110B_1)을 제1 계통 메인 VM(110M_1)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가상화 마스터(120)는 새로운 VM을 생성하고, 이를 제1 계통 백업 VM(110B_1)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1009와 단계 S1011은 반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가상화 마스터(120)는 제1 계통에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면, 새로운 VM을 생성하여 이를 제1 계통 백업 VM(110B_1)으로 설정하고, 기존의 제1 계통 백업 VM(110B_1)을 제1 계통 메인 VM(110M_1)으로 변경할 수 있다.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은 기존 메인 가상 머신을 저장할 수 있다(S1013). 예를 들어, 가상화 마스터(120)는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기존 제1 계통 메인 VM(110M_1)을 메모리(130)에 이관하고, 기존 제1 계통 메인 VM(110M_1)의 데이터를 메모리(130)의 Evnet Log에 저장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저장 명령을 수신한 메모리(130)는 기존 제1 계통 메인 VM(110M_1)과, 기존 제1 계통 메인 VM(110M_1)의 소정 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소정 시간은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의 소정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소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은 비정상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S1015).
예를 들어,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의 시뮬레이터(400)는 저장된 기존 제1 계통 메인 VM(110M_1), 제1 계통 메인 VM(110M_1)의 데이터, 가상화 MMIS(110)의 데이터를 기초로 비정상 상황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의 시뮬레이터(400)는 실물 MMIS(500)의 데이터를 추가로 연계하여, 비정상 상황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의 시뮬레이터(400)는 저장된 기존 제1 계통 메인 VM(110M_1), 제1 계통 메인 VM(110M_1)의 데이터, 가상화 MMIS(110)의 데이터와 실물 MMIS(500)의 데이터를 기초로, 실물 MMI(500)의 비정상 상황 발생을 예상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계통에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제1 계통 백업 VM(110B_1)이 새로운 제1 계통 메인 VM(110M_1)으로 변경되어 계통을 운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VM이 생성되어, 제1 계통 백업 VM(110B_1)으로 설정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비정상인 기존 제1 계통 메인 VM(110M_1)은 메모리(130)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의 에러 로그 기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10)의 메모리(130)는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기존 제1 계통 메인 VM(110M_1)의 데이터를 Event Log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메인 VM의 데이터를 소정 시간 동안 가장 최신 데이터로 계속해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있는 중에, 비정상 상황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소정 시간 동안의 메인 VM과, 메인 VM의 데이터를 event log에 따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소정 시간은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의 소정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소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소정 시간은 비정상 상황의 발생 시점의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비정상 상황 발생 시점 전후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어, 시뮬레이션 및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동작 방법은, 가상화 MMIS에서 계통 또는 설비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이중화 운영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동작 방법은, 비정상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의 동작을 비정상 운영 당시의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고, 이후 시뮬레이션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근본원인 분석과 같은 깊이 있는 원인 진단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100: 가상화 플랫폼
110: 가상화 MMIS
120: 가상화 마스터
130: 메모리

Claims (10)

  1. 원자력 발전소의 메인 제어 장치를 구현한 메인 가상 머신(Main VM);
    상기 메인 제어 장치의 백업 제어 장치를 구현한 백업 가상 머신(Backup VM);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비정상이 감지되면, 상기 백업 가상 머신이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을 대체하도록 하는 가상화 마스터; 및
    비정상이 감지된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 마스터는,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상기 비정상이 감지되면, 신규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상기 백업 가상 머신을 새로운 메인 가상 머신으로 설정하고, 상기 신규 가상 머신을 새로운 백업 가상 머신으로 설정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비정상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전후의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이 감지된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비정상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
  6. 메인 가상 머신의 비정상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비정상이 감지되면, 백업 가상 머신이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을 대체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정상이 감지된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상기 비정상이 감지되면, 신규 가상 머신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백업 가상 머신을 새로운 메인 가상 머신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가상 머신을 새로운 백업 가상 머신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이 감지된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비정상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전후의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인,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이 감지된 상기 메인 가상 머신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원자력 발전소의 비정상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10128033A 2021-09-28 2021-09-28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033A KR102648493B1 (ko) 2021-09-28 2021-09-28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033A KR102648493B1 (ko) 2021-09-28 2021-09-28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324A true KR20230045324A (ko) 2023-04-04
KR102648493B1 KR102648493B1 (ko) 2024-03-15

Family

ID=8592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033A KR102648493B1 (ko) 2021-09-28 2021-09-28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4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470A (ko) 2008-02-15 2009-08-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비입증 인간기계연계시스템 기술의 이력축적시험을 위한가상운전 및 시험통제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150111608A (ko) * 2014-03-26 2015-10-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상화 서버의 이중화를 위한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가상화 제어 장치
KR102069442B1 (ko) * 2018-08-31 2020-01-22 휠러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운전지원 및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470A (ko) 2008-02-15 2009-08-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비입증 인간기계연계시스템 기술의 이력축적시험을 위한가상운전 및 시험통제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150111608A (ko) * 2014-03-26 2015-10-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상화 서버의 이중화를 위한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가상화 제어 장치
KR102069442B1 (ko) * 2018-08-31 2020-01-22 휠러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운전지원 및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493B1 (ko)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6400C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logic control units for railroad station-based vital computer apparatuses
Gatto et al. Virtual simulation of a nuclear power plant's control room as a tool for ergonomic evaluation
CN103946846A (zh) 使用虚拟驱动作为用于raid组的热备用
KR20090084896A (ko) 처리 환경에서의 인스트럭션 실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과,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2007128293A (ja) 計算機システム及び管理計算機
Zeng et al. An analytical method for reliability analysis of hardware‐software co‐design system
CN101755296B (zh) 船上全体船员培训装置
US4815076A (en) Reconfiguration advisor
US9183118B2 (en) Method for simulating a system on board an aircraft for testing an operating software program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KR102648493B1 (ko) 원자력 발전소의 mmis 가상화 운영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5581739A (en) Two lane computing systems
KR102609549B1 (ko) 플랜트 자동화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5037088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hich carries out risk analysis and risk analysis method
KR101109984B1 (ko) 에뮬레이팅된 처리 환경에서 실행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Boring Human reliability analysis in cognitive engineering and system design
KR101668794B1 (ko) 원자력 발전소 시뮬레이터 서버 장애 허용 장치 및 방법
KR20170032045A (ko) 함정 전투 체계의 정보처리 기능을 다중모드로 운용할 수 있는 분산 체계 관리 방법 및 이의 시스템
Shin et al. A novel approach for quantitative importance analysis of safety DI&C systems in the nuclear field
CN109240127A (zh) 仿真验证平台和仿真验证方法
Alho et al. Planning of Dependable Remote Handling Control System Architecture for ITER
Fukuoka Reliability evaluation method for the railway system: A model for complicated dependency
Ibrahim et al. Instrumentation and controls architectures in new NPPs
Nguyen Tran et al. Hazard Analysis Methods for Software Safety Requirements Engineering
Hornaes et al. The EOP visualization module integrated into the plasma on-line nuclear power plant safety monitoring and assessment system
Alho et al. Dependable control systems design and eval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