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210A -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210A
KR20230045210A KR1020210127786A KR20210127786A KR20230045210A KR 20230045210 A KR20230045210 A KR 20230045210A KR 1020210127786 A KR1020210127786 A KR 1020210127786A KR 20210127786 A KR20210127786 A KR 20210127786A KR 20230045210 A KR20230045210 A KR 20230045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ifier
main body
light emitting
soother
emitting di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엔텍
Priority to KR102021012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5210A/ko
Publication of KR20230045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영유아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젖꼭지부와 상기 젖꼭지부를 지지하는 노리개부를 갖는 노리개 젖꼭지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젖꼭지부가 상기 수납부의 저부를 향하도록 상기 노리개부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노리개 젖꼭지에 사각지대 없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STERILIZER FOR PACIFIER}
본 발명은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의 최적의 조사 반경을 구현하여 입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들의 놀이 및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노리개 젖꼭지 일명, 공갈 젖꼭지가 널리 사용된다.
통상, 노리개 젖꼭지는 영유아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젖꼭지부와, 젖꼭지부를 지지하는 노리개부를 포함한다.
영유아들이 하루에도 몇 번씩 물었다 내뱉었다 하는 노리개 젖꼭지는 항상 청결한 상태로 관리하기 어렵고, 특히 침 등과 같은 분비물이 묻은 젖꼭지부가 대기 중에 노출될 경우, 대기 중의 수많은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 위생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영유아들은 위생적으로 살균되지 않은 노리개 젖꼭지를 사용함에 따라 세균이나 곰팡이에 감염되어, 구강 내에 염증이 생기는 구내염이 걸릴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노리개 젖꼭지를 증기 발생 소독기를 이용하여 증기 소독하거나, 끓는 물에 넣어 삶아 살균 처리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증기 또는 및 끓는 물을 이용하여 노리개 젖꼭지를 살균하는 경우, 부피가 큰 고정식 전용 소독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휴대가 어려워 외부에서 사용하기 어렵고, 또한 살균 작업시 물을 매번 보충하며 사용해야 하므로, 살균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물 및 스팀 등을 사용하지 않고 자외선을 이용하여 노리개 젖꼭지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4365호(공개일: 2006.06.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의 최적의 조사 반경을 구현하여 입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고, 위생적인 관리가 용이하며, 휴대가 간편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유아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젖꼭지부와 상기 젖꼭지부를 지지하는 노리개부를 갖는 노리개 젖꼭지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젖꼭지부가 상기 수납부의 저부를 향하도록 상기 노리개부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노리개 젖꼭지에 사각지대 없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부를 포함하는,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복수의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복수의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복수의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발생부의 작동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1자성부재; 및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자성부재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자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의 최적의 조사 반경을 구현하여 입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고, 위생적인 관리가 용이하며, 휴대가 간편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도 3을 이용하여 노리개 젖꼭지를 살균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노리개 젖꼭지(10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노리개 젖꼭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꼭지부(110)와 노리개부(120)를 포함한다.
젖꼭지부(110)는 젖꼭지의 형태를 가지며, 영유아의 구강 내로 삽입된다.
노리개부(120)는 젖꼭지부(110)의 일측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노리개 젖꼭지(100)는 전체적으로 젖꼭지부(110)가 노리개부(1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젖꼭지부(110)와 노리개부(120)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노리개부(120)의 타측 판면에는 유아가 손으로 만지며 놀 수 있도록 손잡이(125)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영유아는 노리개 젖꼭지(100)의 손잡이(125)를 잡고 호기심과 재미를 유발하며 놀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는 본체(10)와, 거치부(15)와, 자외선 발생부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일측이 개구된 속이 빈 통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는 노리개 젖꼭지(100)가 수납되는 수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11)에는 예컨대, 본체(10)의 내측벽에는, 젖꼭지부(110)가 수납부(11)의 저부를 향하도록 노리개부(120)가 거치되는 거치부(15)가 마련되어 있다.
거치부(15)는 일정 길이와 높이로 돌출되며, 본체(10)의 중심축선에 대해 본체(10)의 내측벽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거치부(15)는 후술할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의 조사시 자외선과 간섭하지 않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된다.
한편, 본체(10)에는 수납부(1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30)가 힌지(미도시)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제1자성부재(25) 마련되어 있고, 도어(30)에는 제1자성부재(25)와 상기한 극성을 가지며 제1자성부재(25)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자성부재(35)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와 도어(30)를 자력 결합함에 따라, 큰 힘을 주지 않고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와 도어(30)는 휴대가 간편한 크기를 가지며, 본체(10) 또는 도어(30)에는 스트랩(40)이 마련되어,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를 간편하게 들거나, 유모차 등에 지지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자외선 발생부는 본체(10)에 마련되어, 거치부(15)에 거치되는 노리개 젖꼭지(100)에 자외선을 입체적으로 조사한다.
자외선 발생부는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와, 제어부(61)와, 전원공급부(7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는 본체(10)의 수납부(11)에 형성된 한 쌍의 자외선 통과공(21)을 통해 노출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는, 자외선의 조사 영역이 부분 중첩되도록, 수납부(11)를 형성하는 본체(10)의 내측벽에 본체(10)의 저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180도 각도의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게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는, 거치부(15)에 거치되는 젖꼭지부(110)의 선단부로부터 젖꼭지부(110)를 지지하는 노리개부(120)를 향해 조사되도록, 내측벽의 하부 영역에 본체(10)의 중심축선에 대해 상향 경사를 이루며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는 자외선 조사시 거치부(15)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를 본체(10)의 내측벽 하부영역에 180도 각도의 간격으로 상호 대향하며 본체(10)의 중심축선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거치부(15)에 거치되는 젖꼭지부(110)의 선단부로부터 노리개부(120)를 향해 자외선의 최적의 조사 반경을 구현하여, 사각지대 없이 자외선을 젖꼭지부(110)와 노리개부(120)의 일 영역을 입체적으로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는 직진성과 비투과성을 가지며 100∼280nm 파장 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UV-C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UV-C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UV-A(320∼400nm), UV-B(280∼320nm) 등의 다른 파장 대역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들에 비해 강력한 살균력을 제공하며, 노리개 젖꼭지(100)에 서식하는 세균 및 박테리아를 비활성화시켜 번식을 방지하며 살균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한 쌍 이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는 노출되는 수납부(11)에 형성된 한 쌍의 자외선 통과공(21)에는, 자외선의 투과성이 우수한 고순도 석영유리부재(55)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부(11)의 자외선 통과공(21)에 고순도 석영유리부재(55)를 장착함으로써, 비투과성 파장을 갖는 자외선의 조사율을 향상시켜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살균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순도 석영유리부재(55)를 마련함으로써, 노리개 젖꼭지(100)와 함께 수납부(11)로 유입된 이물이 자외선 통과공(21)을 통해 본체(10)의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본체(1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61)는 회로기판의 형태를 가지며, 본체(10)에 마련된다. 제어부(61)는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61)는 본체(10)와 도어(30)의 록킹 또는 록킹해제를 감지센서(63)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의거하여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61)는 감지센서(63)로부터 록킹 신호가 전송되면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감지센서(63)로부터 록킹해제 신호가 전송되면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가 작동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어부는 본체(10)에 마련되는 별도의 온(on)/오프(off) 스위치의 조작 신호에 따라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는 타이머(65)와 표시부(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65)는 제어부(6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61)는 타이머(65)의 작동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71)는 본체(10) 또는 후술할 도어(30)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자외선 발생부의 작동 예컨대,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의 작동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71)로서 점등 또는 소등하는 램프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부로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75)는 본체(10)에 마련되어,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 및 제어부(61)에 전원을 제공한다. 또한, 타이머(65) 및 표시부(71)가 포함되는 경우, 전원공급부(75)는 타이머(65) 및 표시부(71)에도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공급부(75)는 외부의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지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75)는 본체(10) 일 영역에 마련된 충전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를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수납부(11)를 개방하도록 도어(30)를 연다.
다음, 젖꼭지부(110)가 수납부(11)의 저부를 향하도록 노리개부(120)를 거치부(15)에 거치하여, 노리개 젖꼭지(100)를 수납부(11)에 수납한다.
이어서, 본체(10)의 수납부(11)를 폐쇄하도록 도어(30)를 닫는다.
본체(10)와 도어(30)가 록킹되면, 제어부(6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가 타이머(65)에 설정된 시간동안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작동시킨다. 이 때, 표시부(71)를 통해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의 작동상태가 표시된다.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가 작동함에 따라,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의 자외선은 고순도 석영유리부재(55)를 투과하여, 거치부(15)에 거치된 젖꼭지부(110)의 선단부로부터 노리개부(120)를 향해 자외선 조사의 사각지대를 배제하며 젖꼭지부(110)를 입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타이머(65)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61)는 한 쌍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51)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이에 노리개 젖꼭지(100)의 살균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의 최적의 조사 반경을 구현하여 입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고, 위생적인 관리가 용이하며, 휴대가 간편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는 본체의 수납부에 노리개 젖꼭지를 수납하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살균 처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젖병의 젖꼭지, 영유아용 칫솔 등을 본체의 수납부에 수납하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살균 처리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본체
11: 수납부
15: 거치부
25: 제1자성부재
30: 도어
35: 제2자성부재
51: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55: 석영 유리부재
61: 제어부
65: 타이머
71: 표시부
75: 전원 공급부

Claims (5)

  1. 영유아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젖꼭지부와 상기 젖꼭지부를 지지하는 노리개부를 갖는 노리개 젖꼭지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젖꼭지부가 상기 수납부의 저부를 향하도록 상기 노리개부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노리개 젖꼭지에 사각지대 없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부를 포함하는,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복수의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복수의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복수의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의 작동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제1자성부재; 및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제1자성부재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자성부재를 포함하는,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
KR1020210127786A 2021-09-28 2021-09-28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 KR20230045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786A KR20230045210A (ko) 2021-09-28 2021-09-28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786A KR20230045210A (ko) 2021-09-28 2021-09-28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210A true KR20230045210A (ko) 2023-04-04

Family

ID=8592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786A KR20230045210A (ko) 2021-09-28 2021-09-28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52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365A (ko) 2004-12-08 2006-06-13 (주)유비코 젖병 및 젖꼭지 살균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365A (ko) 2004-12-08 2006-06-13 (주)유비코 젖병 및 젖꼭지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0398B2 (en) Sanitization device for dental accessories
US8569715B1 (en) Infant stimulation and environment sterilizing device
US8941078B2 (en) Infant stimulation and environment sterilizing device
KR100686703B1 (ko) 자외선 젖병 살균 장치
KR101906230B1 (ko) 젖병 소독기
KR20200140644A (ko) Uv살균기
JP4084336B2 (ja) 歯科で使われるハンドピース用紫外線消毒器
KR20130002604U (ko) 다목적 살균장치
KR101951643B1 (ko) 노리개 젖꼭지 살균기
KR20110070267A (ko) 휴대용 자외선 소독기
KR20230045210A (ko) 노리개 젖꼭지용 살균장치
KR101898133B1 (ko) 젖병 소독기
EP1720581B1 (en) U.v sterilizer for dental handpiece
KR20150112079A (ko) 컵 소독장치
KR20060064365A (ko) 젖병 및 젖꼭지 살균기
KR102390915B1 (ko) 칫솔과 컵이 포함된 자외선 살균기
KR200431548Y1 (ko) 유아용품 살균장치
KR200475426Y1 (ko) 휴대용 유아용품 살균기
KR20210156127A (ko) 도난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uv-led 수저통 살균 장치
TWM557109U (zh) 紫外線殺菌消毒收納箱
KR102628677B1 (ko)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102489670B1 (ko) 세척이 용이한 마우스피스 구조체
KR20230151697A (ko) 사용자 안전 기능이 향상된 유브이 살균장치
RU12133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ерилизации сосок и пустышек
KR102632856B1 (ko) 회전 방식의 휴대용 칫솔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