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644A - Uv살균기 - Google Patents

Uv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644A
KR20200140644A KR1020190067555A KR20190067555A KR20200140644A KR 20200140644 A KR20200140644 A KR 20200140644A KR 1020190067555 A KR1020190067555 A KR 1020190067555A KR 20190067555 A KR20190067555 A KR 20190067555A KR 20200140644 A KR20200140644 A KR 20200140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rradiation
sterilizer
body portion
cover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963B1 (ko
Inventor
안범모
박승호
김문현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6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963B1/ko
Priority to US16/890,777 priority patent/US11253619B2/en
Priority to JP2020096042A priority patent/JP6938724B2/ja
Priority to CN202010494754.2A priority patent/CN112043842A/zh
Publication of KR2020014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V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살균 제품의 크기의 제약없이 다양한 크기의 제품의 각종 유해 세균을 살균하는 UV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UV살균기{ULTRAVIOLET STERILIZER}
본 발명은 UV를 이용하여 각종 유해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UV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수시로 사용되는 컴퓨터 키보드, 마우스, 휴대폰 등의 사물과 수면에 이용되는 침대 매트리스, 이불 등의 침구류 등은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외부 노출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세균 번식에 취약할 수 있다. 또한, 공공기관에 구비된 사물의 경우, 불특정 다수에 의해 이용되어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 번식이 더욱 활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위생상의 이유로 사물을 살균하는 장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사물을 살균하는 살균 장치로는 UV(Ultraviolet)를 이용한 살균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UV살균기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80180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5466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중앙 하우징, 측면 하우징 및 측면 하우징에 수용되는 UV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허문헌 1은 중앙 하우징에 측면 하우징이 회동 가능하고 길이 연결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측면 하우징은 중앙 하우징에 대하여 90도로 접히도록 연결된다.
특허문헌 1은 매트리스의 크기에 따라 측면 하우징의 길이가 대응되게 조절되고 매트리스상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살균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살균기 몸체, 자외선 발산부, 살균 대상을 감싸 클립할 수 있게 한 용품 클립부, 자외선 발산부, 클립 감지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허문헌 2는 마스크, 손수건, 지갑 등을 살균 대상물로 하고, 살균 대상물을 접은 후 접어진 쪽으로 자외선 발산부를 삽입하면서 용품 클립부로 클립한다. 그러면 클립 감지부가 이를 감지하여 자외선 발산부의 자외선 LED가 점등되고, 살균 대상물이 살균될 수 있다.
이처럼 종래에 이용되는 UV살균기는 특정 살균 대상물을 목적으로 하여 그 크기에 적합한 크기로 구비된다. 그러므로 살균할 수 있는 대상물이 제한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UV살균기는 살균 대상물의 크기에 제약이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살균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살균하기 위해서는 각각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UV살균기를 각각 구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180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0546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품의 크기의 제약없이 다양한 크기의 제품의 살균이 가능하고, 균제도가 향상되어 효과적인 제품 살균이 가능한 UV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UV살균기는 광조사부; 상면에 개방홀을 구비하고, 상기 광조사부를 지지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광조사부와 광조사 대상물 사이의 광조사 거리를 확보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는 각각 분리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는 하방으로 돌출된 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레그부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어 상기 광조사 거리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측면과 상기 커버부에 의해 내부에 밀폐된 살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광조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UV살균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및 이동이 편리한 구조로 구성되어 효과적인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살균 대상물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균제도를 확보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광조사 대상물을 균일하게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UV살균기를 도시한 도.
도 2는 광조사부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UV살균기를 앞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
도 4는 도 1의 A-A에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UV살균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
도 6은 광조사부가 안착된 커버부 및 제1몸체부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UV살균기를 이용한 살균 실시 예를 도시한 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UV살균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UV살균기를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광조사부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이고, 도 3은 UV살균기를 앞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이고, 도 4는 도 1의 UV살균기를 A-A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5는 UV살균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V살균기(1)는 광조사부(10), 상면에 개방홀(21)을 구비하고, 광조사부(10)를 지지하는 커버부(20), 커버부(20)의 하부에 구비되어 광조사부(10)와 광조사 대상물(60) 사이의 광조사 거리를 확보하는 몸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조사부(10)는 광조사부(10)의 전원 스위치(40) 및 전원 인가 케이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원부 및 UV를 방출하는 UV LED(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40)는 하나의 예로서 누름 버튼을 구비하는 스위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구비되는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조사부(10)는 제1바디부(11) 및 제1바디부(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바디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바디부(11)에는 전원 스위치(40)를 구비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고, 제2바디부(12)에는 광조사부(10)의 내부에 UV LED(13)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12)는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바디부(11) 및 제2바디부(12)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깊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에 의해 제1, 2바디부(11, 12)의 결합시 전원 인가 케이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 인가 케이블 연결부는 전원 인가 케이블의 길이 폭 및 높이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부(11)에는 전원 스위치(4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형태로 구비하기 위하여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조사부(10)의 내부에 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원 스위치(40)를 구비할 경우, 전원 스위치(40)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원통 형태의 전원 스위치(40)를 구비할 경우, 삽입홀의 내경은 전원 스위치(4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부(12)에는 광조사부(10) 내부에 UV LED(13)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조사부(10)는 복수개의 UV LED(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바디부(12)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안착홈(14)이 형성되게 된다. 안착홈(14)은 제2바디부(12)의 하면에서, 제2바디부(12)의 하면을 개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UV LED(13)의 수평 방향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UV LED(13)가 제2바디부(12)에 안착되게 할 수 있다.
제2바디부(12)에 구비되는 UV LED(13)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UV-C LED일 수 있다. 제2바디부(12)에는 UV-C LED가 구비되어 100~280㎚의 파장 영역의 UV-C가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UV-C에 광조사 대상물(60)의 살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조사부(10)는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복수개의 UV LED(1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UV LED(13)에서 방출되는 UV가 광조사 거리내에서 분포되면서 형성되는 살균 영역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광조사 대상물(60)이 균일하게 살균될 수 있게 된다.
광조사부(10)는 UV LED(13)간의 이격 거리에 보조 LED(8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바디부(12)에는 UV LED(13)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14)이 이격 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안착홈(14)간의 이격 거리에는 보조 LED(80)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보조 LED 안착홈(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LED 안착홈(90)에는 보조 LED(80)가 구비되어 UV살균기(1) 작동시 개방부(50)를 통해 UV살균기(1) 작동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LED(80)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파장 영역을 만들어주는 LED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보조 LED(80)는 가시광선 LED이거나, UV-A LED일 수 있다.
보조 LED(80)를 가시광선 LED로 구비할 경우, 가시광선 LED는 바람직하게는 블루 LED일 수 있다. 블루 LED의 경우, 440~460㎚의 파장 영역의 가시광선을 방출하므로 육안으로 쉽게 확인 가능하다.
한편, 보조 LED(80)가 UV-A LED일 경우, 315~400㎚의 파장 영역을 갖는 UV-A가 방출되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할 수 있다.
사람의 눈은 400~700㎚까지의 파장 영역의 빛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UV살균기(1) 내부에 구비되는 보조 LED(80)의 빛은 육안으로 쉽게 확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UV살균기(1)는 광조사부(10)에서 방출하는 UV-C를 이용하여 광조사 대상물(60)을 살균할 수 있다. 이러한 UV살균기(1)는 커버부(20) 및 몸체부(30) 사이에 존재하는 개방부(50)를 통해 UV 살균 수행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개방부(50)는 커버부(20) 및 몸체부(30)의 결합시 커버부(20) 및 몸체부(30)의 결합면 중 적어도 일측에 깊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방부(50)가 틈새 형태로 구비되어 UV살균기(1) 내부에 보조 LED(80)를 통해 방출된 빛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외부에서 쉽게 UV살균기(1)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광조사부(10)의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조사부(10)의 표면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조사부(10)는 커버부(20)의 상면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20)는 광조사부(10)가 안착되는 안착부(22) 및 안착부(22) 주변에 형성되는 오목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20)는 안착부(22)에 의해 상면에서 광조사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안착부(22)는 커버부(20)의 상면에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안착부(22)의 내측면이 광조사부(10)의 표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됨으로써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안착부(22)는 커버부(20)의 상면에 광조사부(10)가 구비되어야 하는 위치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조사부(10)가 잘못된 위치에 구비되어 광조사 대상물(60)과 어긋나는 위치에 UV가 조사되면서 광조사 대상물에 대한 불균일한 살균 문제 및 몸체부(30) 내부의 균제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2)는 광조사부(11)의 하면과 면접촉되므로 광조사부(11)에서 생성된 UV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안착부(22)의 주변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오목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목부(70)는 안착부(22)의 주변에 안착부(22)와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70)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안착부(22)와 연결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안착부(22)와의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안착부(22)의 주변에 형성되는 오목부(70)에 의해 안착부(22)에 안착되는 광조사부(10)는 매끄럽게 유도되어 안착부(22)에 쉽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목부(70)는 안착부(22)의 광조사부(70)가 구비되어야 하는 위치로 광조사부(22)를 매끄럽게 유도하는 기능을 하여 안착부(22)내의 구비 위치로 광조사부(70)를 안내할 수 있다.
커버부(20)에는 안착부(22)에 안착된 광조사부(10)에서 조사하는 UV가 하방향으로 분포될 수 있도록 개방홀(21)이 구비될 수 있다. 개방홀(21)은 커버부(20)의 상면에 구비되되, 주변에 안착부(22)가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방홀(21)의 주변에는 안착부(22)를 형성하는 곡면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개방홀(21)은 안착부(22)에 안착된 광조사부(10)의 UV LED 존재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UV LED 존재 영역은 광조사부(10)의 제2바디부(12)의 복수개의 안착홈(14)에 UV LED(13)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존재하는 UV LED 존재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개방홀(21)을 통해 일정한 위치로 UV를 조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부(30) 내부에 광조사 대상물(60)을 구비할 때 구비 위치를 적합하게 선정하여 균일한 살균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광조사부(10)의 UV LED(13)에서 방출된 UV가 커버부(20)의 하부에 구비된 몸체부(30) 내부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의 하부에는 몸체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30)는 커버부(20)의 하부에 커버부(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커버부(20)에는 몸체부(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구비되어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 형태로 커버부(20)와 몸체부(30)가 결합될 경우, 몸체부(30)는 커버부(20)에 형성되는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20)의 홈에 삽입되는 몸체부(30)의 적어도 일부는 돌기부를 의미할 수 있다.
커버부(20)의 하부에 구비된 몸체부(30)의 내부로는 안착부(22)에 의해 안착된 광조사부(10)에서 방출된 UV가 조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광조사부(10)의 UV LED(13)에서 방출된 UV가 조사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광조사 대상물(60)은 하나의 예로서 도시된 것으로 어느 하나의 사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광조사 대상물(60)의 크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조사 대상물(60)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제품이거나, 일정한 범위의 영역일 수도 있다.
일정 높이로 형성된 몸체부(30)가 커버부(20)의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광조사부(10)와 광조사 대상물(60) 사이의 광조사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부(30)는 그 형성 높이로 인해 커버부(20)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 광조사부(10)와 광조사 대상물(60) 사이의 광조사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UV살균기는 균제도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체부(30)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에 커버부(20)가 구비되면, 커버부(20)에 안착된 광조사부(10)에서 방출된 UV가 몸체부(30)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몸체부(30) 내부에 광조사 대상물(60)이 구비되면 조사된 UV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30)의 높이에 의해 광조사부(10)와 광조사 대상물(60) 사이에 광조사 거리가 확보되고, 광조사 거리 내로 조사된 UV가 분포되면서 균제도가 향상될 수 있다. 몸체부(30)의 내부는 살균이 수행되는 살균 공간(S)으로서, 몸체부(30)에 의해 확보된 광조사 거리로 UV가 분포되면서 공간 균제도가 향상될 수 있다.
광조사 거리에 분포된 UV는 살균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살균 영역은 몸체부(30)에 의해 확보된 광조사 거리로 인해 균제도가 향상될 수 있다.
UV를 이용한 살균의 경우, 균제도가 우수할수록 광조사 대상물(60)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UV살균기(1)는 광조사 대상물(60)에 UV를 직접 조사하고, UV가 조사된 영역을 살균할 수 있다. 그런데 복수개의 UV LED(13)를 구비하더라도 충분한 광조사 거리가 확보되지 않으면 UV LED(13)에서 방출된 UV가 분포될 수 있는 거리가 충분하지 않아서 광조사 대상물(60)의 일부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UV가 조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균제도가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광조사 대상물(60)이 제대로 살균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몸체부(30)를 일정 높이로 형성하여 광조사부(10)와 광조사 대상물(60) 사이의 광조사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균제도 향상을 위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조사 대상물(60)의 일부 영역에만 UV가 치중되게 조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광조사 대상물(60)에 대한 균일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는 제1몸체부(32) 및 제1몸체부(32)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제2몸체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2몸체부(31)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하우징(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몸체부(32) 및 제2몸체부(31)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3)도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제2몸체부(31) 외측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UV살균기(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32)의 외측으로 제2몸체부(31)를 삽입하여 제1, 2몸체부(32, 31)를 구비하고, 이와 같은 구조의 몸체부(30)의 내부에 광조사 대상물(60)을 구비하여 광조사 대상물(60)을 살균할 수 있다.
또는 제1몸체부(32) 및 제2몸체부(31)가 각각 분리되어 커버부(2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 2몸체부(32, 31)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32)는 하방으로 돌출된 레그부(32a) 및 레그부(32a)가 형성되지 않는 레그부 비형성부(3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몸체부(32)는 레그부(32a)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어 광조사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부(20)의 하부에 제1몸체부(32)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경우, 레그부(32a)에 의해 광조사 거리가 확보되어 우수한 균제도로 광조사 대상물(60)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32)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커버부(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타원형의 둘레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부(32)는 상,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고,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형상에 의해 4개의 코너링부(C)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코너링부(C)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레그부(32a)가 형성되므로, 레그부(32a)는 4개로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레그부(32a)는 코너링부(C)가 형성되지 않은 비코너링부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비코너링부는 제1몸체부(32)의 코너링부(C)를 제외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레그부(32a)는 제1몸체부(32)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하므로, 제1몸체부(32)를 바닥면으로 지지하는데 적합한 위치라면 이에 대한 한정은 없다.
제1몸체부(32)는 코너링부(C)에 레그부(32a)가 형성됨으로써, 비코너링부(C)에 레그부(32a)와 단차지게 레그부 비형성부(3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몸체부(32)의 하부에는 레그부(32a) 및 레그부 비형성부(32a')가 교차되게 형성되는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부(32)의 경우, 레그부(32a)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므로, 레그부(32a)의 형성 높이에 따라 그 높이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버부(20)의 하부에 제1몸체부(32)를 구비할 경우, 레그부(32a)의 높이에 의해 광조사 거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그부(32a)는 충분한 광조사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일정 높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레그부 비형성부(32a')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몸체부(32) 하부의 측면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몸체부(32)는 위와 같이 레그부(32a) 및 레그부 비형성부(32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커버부(2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경우, 광조사 대상물의 크기에 제한없이 광조사 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몸체부(32)의 수평 면적은 커버부(20)의 수평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부(32)의 경우, 제2몸체부(31)의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이므로, 그 수평 면적이 커버부(20)의 수평 면적보다 작고, 제2몸체부(31)의 수평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31)는 바닥부(34) 및 바닥부(34)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벽부(35)는 제2몸체부(31)의 측면을 구성한다.
제2몸체부(31)의 수평 면적은 커버부(20)의 수평 면적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2몸체부(31)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하우징(33)이 구비되어, 제2몸체부(31)의 수평 면적이 커버부(20)의 수평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제2몸체부(31)는 하우징(33)의 구비 여부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커버부(20)의 수평 면적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우징(33)이 구비될 경우 커버부(20)의 수평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33)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커버부(20)의 수평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부(31)는 상부의 개구부를 제외하고, 벽부(35) 및 바닥부(34)로 인해 박스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커버부(20)의 하부에 제1, 2몸체부(32, 31)를 포함하는 몸체부(30) 또는 제2몸체부(31)가 구비될 경우, UV살균기(1)는 밀폐된 살균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0)의 경우, 제1, 2몸체부(32, 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1, 2몸체부(32, 31) 각각이 분리되어 커버부(2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거나, 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2몸체부(32, 31)가 결합된 형태로 커버부(20)의 하부에 몸체부(30)가 구비될 경우, 몸체부(30)는 제2몸체부(31)의 측면과 커버부(20)에 의해 내부에 밀폐된 살균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UV살균기(1)의 휴대 및 이동 측면에서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0)의 하부에 제1, 2몸체부(32, 31)가 결합된 형태로 몸체부(30)가 구비되거나, 제2몸체부(31)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경우, 제2몸체부(31)의 벽부(35) 및 바닥부(34)에 의해 UV살균기(1)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살균을 목적으로 하는 광조사 대상물(60)을 UV살균기(1) 내부에 구비하고, UV살균기(1)를 휴대하여 이동하면서 광조사 대상물(60)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31)의 내측 벽부(35)에는 제1몸체부(32)의 레그부(32a) 및 레그부 비형성부(32a')와 형상치합되는 형상치합부(31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몸체부(31)의 내측면에는 제1몸체부(32)의 레그부(32a) 및 레그부 비형성부(32a')와 형성치합되는 형상치합부(3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2몸체부(32, 31)는 형상치합부(31a)에 의해 결합되어 몸체부(30)로서 커버부(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몸체부(31)는 제1몸체부(32)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제1몸체부(32)와 결합되므로, 그 내측면에 제1몸체부(32)와 대응되는 형상이 음각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몸체부(31)의 내측면에 제1몸체부(32)와 대응되는 형상이 음각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 인해 형상치합부(31a)가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형상치합부(31a)에 의해 제1, 2몸체부(32, 31)가 결합되고, 몸체부(30)는 제2몸체부(31)의 측면과 몸체부(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부(20)에 의해 밀폐된 살균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2몸체부(32, 31)가 형상치합부(31a)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제1, 2몸체부(32, 31)의 경우 다른 결합 구조(예를 들어, 제1몸체부(32)의 외측으로 단순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2몸체부(32, 31)는 고반사율의 특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조사부(10)에 의해 방출된 UV가 몸체부(30) 내부로 조사될 경우 높은 반사율로 보다 효과적인 살균 과정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몸체부(30)는 외측으로 삽입되는 하우징(33)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33)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몸체부(3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하우징(33)이 구비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하우징(33)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33)은 형상치합부(31a)에 의해 결합된 제1, 2몸체부(32, 31) 중 제2몸체부(31)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제1몸체부(32)만이 구비된 경우에서 제1몸체부(32)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몸체부(30)의 내부에 밀폐된 살균 공간(S)을 형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조사부(10)가 안착된 커버부(20)의 하부에 제1몸체부(32)만을 구비하여 광조사 대상물(60)의 크기의 제약없이 다양한 광조사 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광조사부(10)가 안착된 커버부(20)의 하부에 제1몸체부(32)를 구비하여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의 하부에 제1몸체부(32)만을 구비할 경우, 제1몸체부(32)의 레그부(32a) 및 레그부 비형성부(32a')에 의해 광조사 대상물(60)의 크기의 제약없이 다양한 광조사 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제1몸체부(32)의 레그부 비형성부(32a')는 제1몸체부(32)의 하부를 관통하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부(20)의 하부에 제1몸체부(32)만이 구비될 경우, 레그부 비형성부(32a')에 의해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살균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광조사 대상물의 표면이 평평한 면으로 구비되지 않고, 광조사 대상물이 제2몸체부(31)의 크기보다 크면서 굴곡부가 구비되어 있더라도 제1몸체부(32)의 구성을 이용하여 해당 광조사 대상물을 살균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측면이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밀폐된 살균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광조사 대상물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광조사 대상물(60)의 크기의 제약없이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살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UV살균기를 이용하여 UV살균기보다 큰 크기의 광조사 대상물을 살균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 이 경우, UV살균기(1')는 광조사부(10)가 안착된 커버부(20)의 하부에 제1몸체부(32)만을 구비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유아용 장난감 주방(100)을 도시하고, 유아용 장난감 주방(100)에 구비된 모형 싱크대(100a)를 광조사 대상물의 하나의 예로서 도시하여 설명한다. 유아용 장난감 주방(100)의 모형 싱크대(100a)는 UV살균기(1')보다 큰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장난감 주방(100)의 일부분으로 형성된 구성이므로 이 부분만을 분리하여 UV살균기(1') 내부에 구비하는 형태로 살균될 수 없다. 유아용 장난감은 물세척이 가능하지만, 모형 자동차 등과 같은 작은 크기의 장난감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인해 잦은 세척이 힘들다. 또한, 단순 물세척만으로 세균 번식을 방어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살균기를 이용한 살균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유아용 장난감 주방(100)과 같이 큰 크기의 제품을 살균하기 위해 살균 대상 제품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UV살균기를 구비하는 것은 어렵고,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따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광조사부(10)가 안착된 커버부(20)의 하부에 제1몸체부(32)만을 구비하는 구조의 UV살균기(1')를 구비할 경우, 광조사 대상물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유아용 장난감 주방(100)을 전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장난감 주방(100)의 모형 싱크대(100a)의 상부에 UV살균기(1')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몸체부(32)는 광조사부(10)와 모형 싱크대(100a) 사이에 광조사 거리를 확보하는 기능을 중점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우수한 균제도를 확보할 수 있는 광조사 거리가 형성된 UV살균기(1')는 레그부 비형성부(32a')에 의해 측면이 개방된 살균 공간(S)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그러므로 모형 싱크대(100a)를 분리하여 UV살균기(1') 내부로 구비하는 형태가 아닌 모형 싱크대(100a)의 상부에 UV살균기(1')를 구비하는 형태로 모형 싱크대(100a)가 존재하는 영역에 UV를 조사할 수 있다.
이처럼 UV살균기(1')는 제1몸체부(32)에 의해 균제도가 향상되고, 광조사 대상물의 상부에 구비되는 형태로 UV살균기(1')보다 큰 크기를 갖는 광조사 대상물(100a)을 살균할 수 있다. 유아용 장난감 주방(100)을 전체적으로 살균하기 위해서는 먼저 살균된 모형 싱크대(100a) 존재영역을 제외한 다른 위치에 UV살균기(1')를 이동시켜 구비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V살균기(1, 1')는 몸체부(30)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휴대 및 이동 측면에서 효과적인 살균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살균 대상물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살균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균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몸체부(30)가 형성되므로 몸체부(30)의 구성을 분리하여 각각 구비하더라도 우수한 균제도를 갖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UV살균기(1, 1')는 구비되는 구성에 따라 구조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하나의 UV살균기로 다양한 제품의 크기에 맞춰 살균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UV살균기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품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효과적인 살균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1': UV살균기 10: 광조사부
20: 커버부 30: 몸체부
S: 살균 공간

Claims (5)

  1. 광조사부;
    상면에 개방홀을 구비하고, 상기 광조사부를 지지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광조사부와 광조사 대상물 사이의 광조사 거리를 확보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살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는 각각 분리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구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살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는 하방으로 돌출된 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레그부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어 상기 광조사 거리를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살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측면과 상기 커버부에 의해 내부에 밀폐된 살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살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광조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살균기.
KR1020190067555A 2019-06-07 2019-06-07 Uv살균기 KR10232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555A KR102329963B1 (ko) 2019-06-07 2019-06-07 Uv살균기
US16/890,777 US11253619B2 (en) 2019-06-07 2020-06-02 Ultraviolet sterilizer
JP2020096042A JP6938724B2 (ja) 2019-06-07 2020-06-02 Uv殺菌器
CN202010494754.2A CN112043842A (zh) 2019-06-07 2020-06-03 紫外线杀菌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555A KR102329963B1 (ko) 2019-06-07 2019-06-07 Uv살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644A true KR20200140644A (ko) 2020-12-16
KR102329963B1 KR102329963B1 (ko) 2021-11-23

Family

ID=7360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555A KR102329963B1 (ko) 2019-06-07 2019-06-07 Uv살균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53619B2 (ko)
JP (1) JP6938724B2 (ko)
KR (1) KR102329963B1 (ko)
CN (1) CN1120438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528A (ko) * 2021-03-18 2022-09-27 차병호 자외선 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7672S1 (en) * 2020-08-07 2022-07-12 Namsung Corporation UV sterilizer box
USD954290S1 (en) * 2020-08-27 2022-06-07 Ugreen Group Limited Cell phone sterilizer
JP2022129274A (ja) * 2021-02-24 2022-09-05 Wota株式会社 Uv殺菌装置
USD992842S1 (en) * 2021-07-16 2023-07-18 Shenzhen Codyson Electrical Co., Ltd. Ultrasonic clean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601Y1 (ko) * 2003-01-22 2003-04-14 이재원 다용도 오존 살균장치
KR20120037057A (ko) * 2010-10-11 2012-04-19 채연지 다목적 살균장치
KR20130002573A (ko) * 2011-06-29 2013-01-08 박성훈 주방용 도마 살균기
KR20130002604U (ko) * 2011-10-21 2013-05-02 정주희 다목적 살균장치
KR101801804B1 (ko) 2016-04-06 2017-11-28 주식회사 세스코 Uv 살균기
KR101905466B1 (ko) 2018-04-17 2018-10-08 김지은 휴대용품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K1075576A2 (en) * 2005-09-09 2005-12-16 Yue Lai Chor Ultra violet light sterilizer.
US8973284B2 (en) * 2009-01-07 2015-03-10 Farouk Systems, Inc. Hair dryer
US9045358B2 (en) * 2009-03-26 2015-06-02 Koninklijke Philips N.V. UV disinfecting device
US8747764B1 (en) * 2009-03-27 2014-06-10 Dartmouth-Hitchcock Clinic Inline intravenous fluid sterilizer
WO2011011189A1 (en) * 2009-07-20 2011-01-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iological sterilization indicator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20005583U (ko) * 2011-01-26 2012-08-03 양민목 음식물쓰레기 살균기
US9000398B2 (en) * 2012-12-14 2015-04-07 Ryan Sheldon NELSON Sanitization device for dental accessories
EP2948747A4 (en) * 2013-01-24 2016-07-27 Pbm Nutritional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OX AND LEAK DETECTION FOR QUALITY ASSURANCE
KR102116830B1 (ko) * 2013-03-14 2020-06-0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살균장치
KR101691597B1 (ko) * 2016-03-03 2017-01-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기
WO2016208906A1 (ko) * 2015-06-26 2016-12-2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장치
US10888156B2 (en) * 2015-11-02 2021-01-12 Kml Lifestyle Llc Applicator tool cleaner and dryer
CN206979277U (zh) * 2016-11-25 2018-02-09 江苏南大五维电子科技有限公司 紫外灭菌水杯
CN208552560U (zh) * 2017-11-23 2019-03-01 李贵宏 一种深紫外旅行消毒盒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601Y1 (ko) * 2003-01-22 2003-04-14 이재원 다용도 오존 살균장치
KR20120037057A (ko) * 2010-10-11 2012-04-19 채연지 다목적 살균장치
KR20130002573A (ko) * 2011-06-29 2013-01-08 박성훈 주방용 도마 살균기
KR20130002604U (ko) * 2011-10-21 2013-05-02 정주희 다목적 살균장치
KR101801804B1 (ko) 2016-04-06 2017-11-28 주식회사 세스코 Uv 살균기
KR101905466B1 (ko) 2018-04-17 2018-10-08 김지은 휴대용품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528A (ko) * 2021-03-18 2022-09-27 차병호 자외선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43842A (zh) 2020-12-08
JP6938724B2 (ja) 2021-09-22
JP2020199253A (ja) 2020-12-17
KR102329963B1 (ko) 2021-11-23
US20200384139A1 (en) 2020-12-10
US11253619B2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963B1 (ko) Uv살균기
CN106659810B (zh) 消毒装置
KR100945407B1 (ko) 도서 소독기
US8569715B1 (en) Infant stimulation and environment sterilizing device
KR101849610B1 (ko) 퍼프 살균기
US11617805B2 (en) Light and disinfection system with coincident illumination range
WO2012084319A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or disinfecting the hands of a person
KR20170120260A (ko) 살균 및 조명장치
KR20150000852U (ko) 도어 핸들용 손 살균장치
KR100686703B1 (ko) 자외선 젖병 살균 장치
KR20100005393U (ko)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이용한 살균장치
US20220273833A1 (en) Far uv-c apparatus and confirmation of use
KR20080003704U (ko) 살균램프가 구비된 키보드 마우스 수납구
KR102127934B1 (ko) Uv 살균 멀티 커버
KR102170967B1 (ko) 듀얼 자외선 살균 소독기
KR20150112079A (ko) 컵 소독장치
KR20210141899A (ko) 다목적 자외선 살균기
KR200170293Y1 (ko) 살균장치
KR20150124820A (ko) 살균 기능을 갖는 칼 수납 장치
CN211884629U (zh) 一种消毒包
CN214548262U (zh) 具防疫效果的抽屉
KR101390867B1 (ko) 휴대용 자외선 살균 및 치료장치
KR101682669B1 (ko) 비데의 램프장치
TWM557109U (zh) 紫外線殺菌消毒收納箱
KR102601836B1 (ko)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