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163A -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163A
KR20230045163A KR1020210127687A KR20210127687A KR20230045163A KR 20230045163 A KR20230045163 A KR 20230045163A KR 1020210127687 A KR1020210127687 A KR 1020210127687A KR 20210127687 A KR20210127687 A KR 20210127687A KR 20230045163 A KR20230045163 A KR 20230045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urtain
extension plate
spike
low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8282B1 (en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Priority to KR1020210127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282B1/en
Publication of KR2023004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1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3/00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 A47H13/01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by clamps; by clamps attached to hook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4Shapes of curtain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curtain and a blind-type curtain for fastening a plurality of curtain blinds by using the connector for a curtain. The connector for a curtain for fastening adjacent blackout curtain parts in a plurality of curtain blinds each including a light transmitting curtain part and the blackout curtain par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ght transmitting curtain part, comprises: first base plates defined by a first upper region and a first lower region; a first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first lower region; a first clip plate including a ring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region; second base plates defined by a second upper region and a second lower region; a second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second lower region; and a second clip plate including a ring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upper region, and fastened to the first clip plate. The first lower region is defined by a first spike region in which first spikes are formed and by a first adhesive area having a first adhesive member. The second lower region is defined by a second spike region in which second spikes are formed and by a second adhesive area having a second adhesive member. In addition, the blind-type curtain is provided to fasten, to each other, the adjacent blackout curtain parts in the plurality of curtain blinds by using the connector for a curtain. Therefore, aesthetics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A connector for curtains and a blind 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가 연결구로 서로 연결되어 커튼 블라인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세탁하거나 교환할 수 있으며 투광 상태와 암막 상태를 쉽게 제어할 수 있고 연장판을 형성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쉽게 'U'형태가 되도록 하는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curtains and a blind-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curtain bli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connector so that the curtain blinds can be individually separated and washed or exchanged, and the light transmission state and the shading state can be easily controlled. It relates to a connector for curtains that can form an extension plate so that the curtain blind can easily form a 'U' shape, and a blind 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커튼은 창이나 문에 치는 휘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커튼은 통상적으로 외부의 광이 투광되는 투광형 커튼과 외부의 광이 투광될 수 없는 암막형 커튼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커튼이 이와 같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투광형 커튼과 암막형 커튼 중 하나를 선택하여야 하며, 투광형 커튼 사용 중 암막형 커튼이 필요할 경우 투광형 커튼을 제거하고 암막형 커튼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A curtain is a drape over a window or door. These curtains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light-transmitting curtains through which external light is transmitted and blackout-type curtains through which external light cannot be transmitted. In addition, since the curtains are classified like this, the user has to choose between a light-transmitting curtain and a blackout curtain. there is a ham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커튼 대신 블라인드를 설치한 경우, 버티칼의 회전각도 조절에 의해 투광 상태 또는 암막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나, 블라인드는 커튼과 같이 망사 재질이 아니므로 커튼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없다. 더욱이, 기존의 커튼 또는 블라인드는 오염이나 훼손 시 전체를 레일로부터 분리하여 세탁하거나 수리 또는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blinds are installed instead of curtains, the light transmission state or blackout state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vertical, but the blinds are not made of a mesh material like curtains, so they cannot enjoy the same effect as curtains. Moreover, when the existing curtains or blinds are contaminated or damaged, the entirety of the curtains or blinds must be separated from the rail and washed, repaired, or replaced.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하나의 커튼에 의해 투광 상태와 암막 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오염이나 훼손 시 세탁이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한 커튼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inconveniences of consumers, a curtain that can adjust the light transmission state and the shading state by a single curtain and that can be easily washed, repaired, or replaced in case of contamination or damage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3575호(2014.11.19.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33575 (published on November 19, 2014)

본 발명의 목적은 투광 상태와 암막 상태를 쉽게 전환할 수 있으며 오염이나 훼손 시 세탁이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한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for a curtain that can easily switch between a light transmission state and a blackout state and can be easily washed, repaired, or replaced in case of contamination or damage, and a blind 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라인드형 커튼이 보다 미려한 'U'형이 되도록 하는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for curtains and a blind 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so that the blind type curtain has a more beautiful 'U' shap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는, 투광 커튼부와,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된 암막 커튼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에서,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 체결시키는 연결구로서, 제1 상부 영역과 제1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베이스판과, 제1 하부영역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 제1 상부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제1 클립판과, 제2 상부 영역과 제2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베이스판과, 제2 하부 영역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2 연장판, 제2 상부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되 제1 클립판과 체결되는 제2 클립판을 포함하며, 제1 하부 영역은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제1 스파이크 영역과, 제1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제1 접착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2 하부 영역은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제2 스파이크 영역과, 제2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제2 접착 영역으로 정의된다.A connector for curtai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for fastening adjacent blackout curtain units in a plurality of curtain blinds including a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and a blackout curtain uni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and includes a first upper region and a first lower portion A first base plate defined by regions, a first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first lower region, a first clip plate including a ring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region, a second upper region and a second upper region. A second clip plate including a second base plate defined as the lower region, a second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second lower region, and a ring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upper region but fastened to the first clip plate wherein the first lower region is defined as a first spike region in which the first spikes are formed and a first adhesive region in which the first adhesive member is provided, and the second lower region is a second spike region in which the second spikes are formed. and a second adhesive area provided with a second adhesive member.

제1 연장판은 제1 연장판 상부 영역과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며, 제1 연장판 상부 영역에는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에는 제1 접착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제2 연장판은 제2 연장판 상부 영역과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며, 제2 연장판 상부 영역에는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에는 제2 접착부재가 구비된다.The first extension plate is defined by an upp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a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 first spike is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a first adhesive member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 In addition, the second extension plate is defined by an upp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nd a low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 second spike is form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nd a second adhesive member is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re provided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은,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의 우측 영역과, 제1 하부 영역과 근접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으로 정의되며,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에는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은,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의 우측 영역과, 제2 하부 영역과 근접한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으로 정의되며,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에는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된다.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is defined as a region to the right of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an region to the left of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djacent to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spikes are formed. Further,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is defined as a right region of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nd a region to the left of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djacent to the second lower region, and a region to the left of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 second spike is formed.

제1 스파이크와 제2 스파이크는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제1 스파이크와 제2 스파이크를 각각 포함하며, 다수개의 제1 스파이크 사이에는 제2 스파이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1 스파이크 홈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제2 스파이크 사이에는 제1 스파이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2 스파이크 홈이 형성된다.The first spike and the second spike each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pikes and second spik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irst spike grooves into which the second spikes are inserted ar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spikes. A plurality of second spike grooves into which the first spikes are inserted are formed between the second spikes.

제1 상부 영역의 두께는 제1 연장판의 두께보다 두껍고, 제1 연장판의 두께는 제1 하부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상부 영역의 두께는 제2 연장판의 두께보다 두껍고, 제2 연장판의 두께는 제2 하부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upper region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the thickness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ower region,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upper region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lower region.

제1 상부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2 상부 영역에는 개구부와 체결되는 후크가 형성되어 제1 클립판과 제1 클립판이 체결될 수 있다.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first upper region, and a hook engaged with the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second upper region to fasten the first clip plate to the first clip plate.

제1 접착부재와 제2 접착부재는 양면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member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may include double-sided tape.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은, 투광 커튼부와,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된 암막 커튼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와,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 중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를 체결시키는 상기 커튼용 연결구를 포함한다.Blind-type curtai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urtain blinds including a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a blackout curtain uni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and the curtain connector for fastening adjacent blackout curtain units among the plurality of curtain blinds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인접한 암막 커튼부끼리 연결구를 통해 체결하여 라운드 형태를 유지시켜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A connector for curtai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lind-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can maintain a round shape by fastening adjacent blackout curtain units through the connector to increase aesthetics.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연결구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연장판을 형성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쉽게 'U'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A connector for curtai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lind-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can form an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connector so that the curtain blind can easily become a 'U' shape.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연결구의 하부 영역의 상하를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스파이크 영역과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착 영역으로 각각 구획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연결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connector for curtai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lind-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can prevent the curtain blin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by partitioning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connector into a spike region in which spikes are formed and an adhesive region in which an adhesive member is provided. can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연장판의 일부 영역에만 스파이크와 스파이크 홈을 형성하여 투광 커튼부가 우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In the connector for curtai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lind-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spikes and spike grooves are formed only in a partial region of the extension plate, so that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part can be further prevented from wrinkling.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연결구의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및 연장판의 두께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연장판 내에 체결되더라도 연장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커튼 블라인드가 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connector for curtai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lind-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have different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connector and the thickness of the extension plate to prevent the extension plate from opening even if the curtain blind is fastened in the extension plate, and to prevent the curtain blind from crying tha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커튼 상태에서는 투광이 가능하며, 인접한 암막 커튼부끼리 연결구를 통해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버티칼의 각도조절)에 의해 암막 커튼 효과를 누릴 수 있다.The connector for curtai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lind-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can transmit light in a curtain state, and enjoy the effect of a blackout curtain by rotating (adjusting the angle of the vertical) in a state where adjacent blackout curtain parts are fastened through the connector.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오염 또는 훼손에 의한 개별 세탁 및 수선이 용이하다.In addition, the connector for curtai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lind-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can separate a plurality of curtain blinds individually, so that individual washing and repair due to contamination or damage are eas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은 다수개의 버튼 블라인드를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커튼 블라인드의 색상과 무늬를 서로 상이하게 할 수 있어 미려함을 보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for curtai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lind-type curtain including the same can separate a plurality of button blinds individually, so that the colors and patterns of the curtain blinds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beauty can be reinforc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에서 제1 클립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에서 제2 클립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커튼 상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first clip plate 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clip plate 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tain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tain state of a blind type cur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립판(210)과, 제1 클립판(210)과 결합되는 제2 클립판(2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lip plate 210 and a second clip plate 220 coupled to the first clip plate 21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에서 제1 클립판의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first clip plate 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클립판(210)은 직사각판 형상이며 제1 상부 영역(211)과 제1 하부 영역(212)으로 정의되는 제1 베이스판(211, 212)과, 제1 베이스판(211, 212)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213), 제1 베이스판(211, 212)의 제1 상부 영역(211) 상에 형성된 고리(214)를 포함한다.The first clip plate 21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ncludes first base plates 211 and 212 defined by a first upper region 211 and a first lower region 212, and first base plates 211 and 212. A first extension plate 213 extending from a part edge of one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and a ring 214 formed on the first upper region 211 of the first base plates 211 and 212 .

제1 베이스판(211, 212)은 전술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로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며, 길이 방향과 평행한 선분을 기준으로, 제1 상부 영역(211)과 제1 하부 영역(212)으로 정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ase plates 211 and 212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 divided into a first upper region 211 and a first lower region 212 based on a line segment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efined

제1 상부 영역(211)은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되며, 제2 베이스판(221, 222)의 제2 상부 영역(221)과 접하여 체결된다. 이를 위해서, 제1 상부 영역(211)에는 제2 베이스판(221, 222)의 후크와 결합되는 개구부(221a)가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221a)는 제1 베이스판(211, 212)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각각이 대체적으로 사각형으로 개구되는 것을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제1 베이스판(211, 212)과 제2 베이스판(221, 222)의 결합 구조가 후크(221a)와 개구부(211a)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판(211, 212)과 제2 베이스판(221, 222)은 나사결합될 수도 있으며, 후크결합과 나사결합이 같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상부 영역(211)의 상측 중심부 가장자리에는 전술된 고리(214)가 형성된다.The first upper region 211 is defin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fasten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upper region 221 of the second base plates 221 and 222 . To this end, an opening 221a coupled to the hooks of the second base plates 221 and 222 is formed in the first upper region 211 . In addition, at least one opening 221a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se plates 211 and 212, and each opening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base plates 211 and 212 and the second base plates 221 and 222 is not limited to the hook 221a and the opening 211a. For example, the first base plates 211 and 212 and the second base plates 221 and 222 may be screwed together, or hooked and screwed together may be applied. 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ring 214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upper center of the first upper region 211 .

제1 하부 영역(212)은 제1 상부 영역(211)의 하부에 위치하며,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1 하부 영역(212)은 다시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과 제1 접착 영역(212b)으로 구획된다.The first lower region 212 is located below the first upper region 211 and is defined as a rectangular plate shape. In addition, the first lower region 212 is further divided into a first spike (SP1) region 212a and a first adhesive region 212b.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은 제1 하부 영역(212)의 상부에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되며, 제2 베이스판(221, 222)과 대향하는 면에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이 형성된다.The first spike SP1 region 212a is defin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wer region 212, and the first spike SP1 and the second base plate 221 and 222 are opposite to each other. 1 spike (SP1) groove is formed.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은 제2 베이스판(221, 222)과 대향하는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에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서로 교호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 제1 스파이크(SP1), 제1 스파이크(SP1) 홈의 순서대로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이 교호적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이 두 줄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첫 번째 줄에는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이 교호적으로 형성되고, 첫 번째 줄과 이격된 두 번째 줄에는 첫 번째 줄의 제1 스파이크(SP1)의 하단에 제1 스파이크(SP1) 홈부터 형성되어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SP1) 홈이 교호적으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first spikes SP1 and grooves of the first spike SP1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spike SP1 region 212a facing the second base plates 221 and 222, and are alternately formed with each other. exemplify the location. Accordingly, the first spike SP1 and the groove of the first spike SP1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first spike SP1 and the groove of the first spike SP1, the first spike SP1, and the groove of the first spike SP1. are located alternately. Here,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that the first spike SP1 and the groove of the first spike SP1 are formed in two lines. Accordingly, the first spike (SP1) and the grooves of the first spike (SP1)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first row,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spike (SP1) in the second row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w. The first spike SP1 is formed from the first spike SP1 groove, and the first spike SP1 and the first spike SP1 groove are alternately formed.

제1 접착 영역(212b)은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1 접착 영역(212b)에는 스파이크나 스파이크 홈이 형성되지 않으며, 제1 접착부재(AT1)만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접착부재(AT1)로는 양면테이프를 예시한다. 또한, 제1 접착부재(AT1)는 후술될 제1 연장판(213)의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접착부재(AT1)로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외에 접착제 등을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접착부재(AT1)는 연속적으로 구비되지 않고 빈 공간과 교호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접착부재(AT1)의 접착력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제2 접착부재(AT2)에도 적용된다.The first adhesive region 212b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spike SP1 region 212a and is defined as a rectangular plate. In addition, no spikes or spike grooves are formed in the first adhesive region 212b, and only the first adhesive member AT1 is provided. Here, double-sided tape is exemplified as the first adhesive member AT1. Also, the first adhesive member AT1 may extend to a lower region 213b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to be described lat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adhesive other than an adhesive tape including a double-sided tape may be directly used as the first adhesive member AT1. Also, the first adhesive member AT1 may not be continuously provided but alternately provided with empty spaces. In this case,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T1 may be controlled. Of course, this also applies to the second adhesive member AT2.

제1 연장판(213)은 제1 베이스판(211, 212)에서 연장되어 제1 베이스판(211, 212) 측면의 암막 커튼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은 제1 연장판(213)이 제1 하부 영역(212)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것을 예시하며, 연장된 제1 연장판(213)은 사각판 형상이며,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과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으로 정의되는 것을 예시한다.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extends from the first base plates 211 and 212 to support the blackout curtain part on the side of the first base plates 211 and 212 .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that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extends laterally from the first lower region 212, the extended first extension plate 213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first extension plate upper region 213a ) and the lower region 213b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은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되며,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에도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은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에서부터 연장되어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은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과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에 걸쳐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The upper region 213a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is defin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first spike SP1 and the first spike groove SH1 are also formed in the upper region 213a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Here, it is exemplified that the first spike SP1 and the first spike groove SH1 extend from the first spike SP1 region 212a and are alternately formed. That is, the first spike SP1 and the first spike groove SH1 are alternately formed over the first spike SP1 region 212a and the first extension plate upper region 213a.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은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된다. 또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좌측 영역에는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이 형성되며,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우측 영역에는 제1 접착부재(AT1)만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좌측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은 하부 방향으로 두 줄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1 연장판(213)에서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은 역 기역자 형상(Γ)으로 배치된다. 한편,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좌측 영역에도 제1 접착부재(AT1)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하부 영역(212)과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 전체에 제1 접착부재(AT1)가 형성된다.The lower region 213b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extends below the upper region 213a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is defined as a rectangular plate. In addition, the first spike SP1 and the first spike groove SH1 are formed in the left area of the lower area 213b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the first adhesive member is formed in the right area of the lower area 213b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Only (AT1) is provided. Here, it is exemplified that the first spikes SP1 and the first spike grooves SH1 formed in the left region of the lower region 213b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re formed in two lines in the downward direction. Accordingly, in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the first spikes SP1 and the first spike grooves SH1 are arranged in an inverted shape Γ. Meanwhile, the first adhesive member AT1 is extended and formed in the left region of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b, and thus, the first lower region 212 and the entire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b are formed. A first adhesive member AT1 is formed.

한편, 전술된 제1 상부 영역(211)의 두께는 제1 하부 영역(21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제1 연장판(213)의 두께는 제1 하부 영역(21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연장판(213)의 두께는 제1 상부 영역(211)의 두께보다는 얇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상부 영역(211)의 두께와 제1 연장판(213)의 두께 및 제1 하부 영역(212)의 두께는 순차적으로 얇아진다. 이에 따라, 제1 하부 영역(212)과 후술될 제2 하부 영역(222) 사이에 암막 커튼부가 고정되어도 제1 클립판(210)과 제1 클립판(210)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좌측 영역에만 제1 스파이크(SP1)와 제1 스파이크 홈(SH1)을 형성하여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우측 영역이 들뜨는 것을 방지한다.Meanwhile, the aforementioned first upper region 211 is thicker than the first lower region 212, and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is thicker than the first lower region 212. do. Here, the thickness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upper region 211, and thus, the thickness of the first upper region 211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and the second The thickness of 1 lower region 212 is sequentially reduced. Accordingly, even when the blackout curtain unit is fixed between the first lower region 212 and the second lower region 222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lip plate 210 and the first clip plate 210 are prevented from being lifted, thereby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can make it In addition, the first spike SP1 and the first spike groove SH1 are formed only in the left region of the lower region 213b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to prevent the right region of the lower region 213b from being lifted.

고리(214)는 제1 상부 영역(211)의 가장자리 중심부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상부 영역(211)과 함께 대략 사각형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또한, 고리(214)에는 두께가 얇아지도록 함몰된 오목부가 형성되며, 오목부는 고리(214)에 형성된 상부 오목부(214a)와 제1 상부 영역(211)에 형성된 하부 오목부(214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목부에 의해 레일고리(214)와 연결구 간의 체결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The ring 214 extends above the center of the edge of the first upper region 211 and form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opening together with the first upper region 211 . In addition, the ring 214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formed to be thin, and the concave portion includes an upper concave portion 214a formed in the ring 214 and a lower concave portion 214b formed in the first upper region 211 d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asily fasten between the rail ring 214 and the connector by the concave por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에서 제2 클립판(220)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clip plate 220 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 클립판(220)은 제1 클립판(210)과 대응되는 직사각판 형상이며 제2 상부 영역(221)과 제2 하부 영역(222)으로 정의되는 제2 베이스판(221, 222)과, 제2 베이스판(221, 222)의 일측 일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2 연장판(223)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상부 영역(221)의 중심부 상부 가장자리에는 리세스(224)가 형성된다.The second clip plate 22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lip plate 210 and includes second base plates 221 and 222 defined by a second upper region 221 and a second lower region 222. , and a second extension plate 223 extending from a part edge of one side of the second base plates 221 and 222 . In addition, a recess 224 is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center of the second upper region 221 .

제2 베이스판(221, 222)은 소정 두께로 형성된 직사각판 형상이며, 길이 방향과 평행한 선분을 기준으로, 제2 상부 영역(221)과, 제2 스파이크(SP2)와 제2 스파이크 홈(SH2)이 형성된 제2 스파이크(SP2) 영역(222a)과 제2 접착부재(AT2)가 구비되는 제2 접착 영역(222b)으로 구획되는 제2 하부 영역(222)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제2 하부 영역(222)의 설명은 전술된 제1 하부 영역(212)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한편, 전술된 제2 베이스판(221, 222)의 제2 스파이크(SP2)는 제1 베이스판(211, 212)의 제1 스파이크 홈(SH1)에 끼워지고, 제1 베이스판(211, 212)의 제1 스파이크(SP1)는 제2 베이스판의 제2 스파이크 홈(SH2)에 끼워진다.The second base plates 221 and 222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e a second upper region 221, a second spike SP2 and a second spike groove ( It is defined as a second lower region 222 divided into a second spike (SP2) region 222a on which SH2 is formed and a second adhesive region 222b on which the second adhesive member AT2 is provided. Here, a description of the second lower region 222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at of the first lower region 212 described above. Meanwhile, the second spikes SP2 of the second base plates 221 and 222 described above are inserted into the first spike grooves SH1 of the first base plates 211 and 212, and the first base plates 211 and 212 The first spike SP1 of )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pike groove SH2 of the second base plate.

제2 상부 영역(221)은 제1 상부 영역(211)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판 형상으로 정의되며, 제1 베이스판(211, 212)의 제1 상부 영역(211)과 접하여 체결된다. 이를 위해서, 제2 상부 영역(221)에는 제1 상부 영역(211)에 형성된 개구부(211a)에 체결되는 후크(221a)가 형성된다.The second upper region 221 is defin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o correspond to the first upper region 211 and is coupled to the first upper region 211 of the first base plates 211 and 212 . To this end, a hook 221a fastened to the opening 211a formed in the first upper region 211 is formed in the second upper region 221 .

후크(221a)는 개구부(211a)에 체결되기 위해서 두 개의 후크부가 서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크부는 서로 간격이 줄어들며 개구부(211a)에 삽입되며, 삽입된 후에는 서로 간격이 원복되며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에 의해 개구부(211a)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후크(221a)는 개구부(211a)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The hook 221a is formed by bending two hook parts outwardly from each other in order to be fastened to the opening 211a. Accordingly, the hook parts are inserted into the opening 211a with a reduc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fter being inserted, the hook parts return to each other and are not separated from the opening 211a due to an outwardly bent shape. It is exemplified that a plurality of hooks 221a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openings 211a.

제2 연장판(223)은 제2 베이스판(221, 222)에서 연장되어 제1 연장판(213)과 함께 제2 베이스판(221, 222) 측면의 암막 커튼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은 제2 연장판(223)이 제2 하부 영역(222)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것을 예시하며, 연장된 제2 연장판(223)은 사각판 형상이며, 제2 연장판 상부 영역(223a)과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으로 정의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제2 연장판 상부 영역(223a)과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은 전술된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과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The second extension plate 223 extends from the second base plates 221 and 222 to support the blackout curtain part on the side of the second base plates 221 and 222 together with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s that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3 extends laterally from the second lower region 222, the extended second extension plate 223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upper region 223a ) and the lower region 223b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Here, the upper region 223a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nd the lower region 223b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overlap with the descriptions of the above-described upper region 213a and lower region 213b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so they are omitted. .

한편, 제2 상부 영역(221)과 제2 하부 영역(222) 및 제2 연장판(223)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며, 전술된 제1 상부 영역(211)과 제1 하부 영역(212) 및 제1 연장판(213)과 동일하게, 제2 상부 영역(221)의 두께와 제2 연장판(223)의 두께 및 제2 하부 영역(222)의 두께는 순차적으로 얇아진다.Meanwhile, the thicknesses of the second upper region 221, the second lower region 222,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above-described first upper region 211 and the first lower region 212 and Similar to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the thickness of the second upper region 221,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3,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ower region 222 are sequentially reduc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립판(220)의 후크가 제1 클립판(210)의 개구부에 삽입되면 제1 클립판(210)과 제2 클립판(220)이 체결된다. 여기서, 제1 클립판(210)과 제2 클립판(220)이 체결되면,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상부 영역(211)과 후크가 형성된 제2 상부 영역(221) 사이는 간격이 거의 없으며, 제1 연장판(213)과 제2 연장판(223) 사이와 제1 하부 영역(212)과 제2 하부 영역(222)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연장판(213)과 제2 연장판(223) 사이의 간격을 D1이라 하고 제1 하부 영역(212)과 제2 하부 영역(222) 사이의 간격을 D2라 할 때, D1은 D2보다 작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hook of the second clip plate 22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first clip plate 210,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first clip plate 210 and the second clip plate 210. The clip plate 220 is fastened. Here, when the first clip plate 210 and the second clip plate 220 are fastened, there is almost no gap between the first upper region 211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and the second upper region 221 in which the hook is formed. Gap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3 and between the first lower region 212 and the second lower region 222 .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3 is D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ower region 212 and the second lower region 222 is D2, D1 is smaller than D2.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가 적용된 블라인드형 커튼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blind type curtain to which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tain bli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블라인드(100)와, 서로 개별적인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10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구(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blind-type cur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tain blind 100 and a connector 200 connect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urtain blinds 100 to each other.

커튼 블라인드(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형 커튼을 구성하는 하나의 세트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커튼 블라인드(100)가 다수개 구비되어 블라인드형 커튼을 구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블라인드(100)는 투광 커튼부(110)와, 투광 커튼부(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암막 커튼부(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curtain blind 100 is one set constituting a blind-type curtai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ch curtain blinds 100 are provided to constitute a blind-type curtain. Here, the curtain bli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and a blackout curtain unit 1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respectively.

투광 커튼부(110)는 망사 형태로 직조되어 외부의 광이 내부로 투과될 수 있다. 이러한 투광 커튼부(110)는 직사각형태로 제작되되, 다양한 색상과 무늬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100)의 투광 커튼부(110)는 서로 색상과 무늬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동일한 무늬에 색상만 상이하거나 동일한 색상에 무늬만 상이할 수도 있다.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is woven in a mesh shape so that external light can be transmitted to the inside.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is manufactured in a rectangular shape, but various colors and patterns may be added. In addition, the light transmitting curtain parts 110 of the plurality of curtain blinds 100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colors and patterns, and may have the same pattern with different colors or the same color with different patterns.

암막 커튼부(120)는 투광 커튼부(110)의 양측에 구비되어 투광 커튼부(110)와 함께 하나의 커튼 블라인드(100)를 구성한다. 여기서, 암막 커튼부(120)는 제1 암막 커튼부(121)와 제2 암막 커튼부(122)를 포함하여 투광 커튼부(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암막 커튼부(120)는 투광 커튼부(110)보다 두께가 두꺼워 투광 커튼부(110)보다 암막 효과를 가지나, 본 발명의 암막 커튼부(120)는 일반적인 암막 커튼처럼 광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는다. 즉, 암막 커튼부(120)는 투광 커튼부(110)보다 두께가 두꺼워 광을 조금 더 차단할 뿐이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암막 커튼부(120)가 광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암막 커튼부(120)는 투광 커튼부(110)와 동일한 직사각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로 제작되어 투광 커튼부(110)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투광 커튼부(110)와 함께 직조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blackout curtain unit 1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and constitutes one curtain blind 100 together with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Here, the blackout curtain unit 120 includes the first blackout curtain unit 121 and the second blackout curtain unit 122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respectively. The blackout curtain unit 120 is thicker than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and has a blackout effect than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but the blackout curtain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mpletely block light like a general blackout curtain. . That is, the blackout curtain unit 120 is thicker than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and blocks only a little more light.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lackout curtain unit 120 may completely block light. In addition, the blackout curtain unit 120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the same rectangular shape as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and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connected to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but is woven together with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production is effectiv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형 커튼의 커튼 상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tain state of a blind type cur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연결구(200)는 근접한 커튼 블라인드(100)의 암막 커튼부(120) 간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된 연결구(200)의 체결에 의해 투광 커튼부(110)가 굴곡지게 되어 커튼 블라인드(100)가 ‘U’형상이 된다. 이를 위해서, 연결구(200)는 제1 암막 커튼부(121)와 제2 암막 커튼부(122)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연결구(200)는 상부에 형성된 고리(214)에 의해 천장 등에 설치된 레일과 연결되며, 고리(214)를 통해 회전을 가함으로써 커튼 블라인드(10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커튼이므로 일반적인 커튼과 같이 레일을 통해 커튼 블라인드(100)를 이동시켜 커튼형 블라인드를 좌우로 열거나 닫을 수 있다.The connector 200 is for fastening between the blackout curtain units 120 of the adjacent curtain blinds 100, and as shown in FIG. 6,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by fastening the connector 200 described above ( 110) is bent so that the curtain blind 100 has a 'U' shape. To this end, the connectors 200 are provided in the first blackout curtain unit 121 and the second blackout curtain unit 12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nector 200 is connected to a 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or the like by a ring 214 formed thereon, and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curtain blind 100 can be controlled by applying rotation through the ring 214. Of cours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tain, the curtain type blind can be opened or closed left and right by moving the curtain blind 100 through a rail like a general curtain.

이러한 연결구(200)의 제1 하부 영역(212)과 제2 하부 영역(222) 사이에는 암막 커튼부(120)가 위치되어 스파이크 및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제1 연장판(213)과 제2 연장판(223) 사이에는 투광 커튼부(110)가 위치되어 스파이크 및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의 제1 스파이크(SP1)는 암막 커튼부(120)를 관통하여 제2 스파이크(SP2) 영역(222a)의 제2 스파이크 홈(SH2)에 삽입되고, 제2 스파이크(SP2) 영역(222a)의 제2 스파이크(SP2)도 암막 커튼부(120)를 관통하여 제1 스파이크(SP1) 영역(212a)의 제1 스파이크 홈(SH1)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암막 커튼부(120)는 연결구(20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하부 영역(212)의 제1 접착부재(AT1)와 제2 하부 영역(222)의 제2 접착부재(AT2)도 암막 커튼부(120)의 표면에 부착되어 암막 커튼부(120)가 연결구(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더욱 방지한다.Between the first lower region 212 and the second lower region 222 of the connector 200, the blackout curtain unit 120 is positioned and fixed by a spike and an adhesive member, and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and the second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extension plates 223 and is fixed by spikes and adhesive members. Here, the first spike SP1 of the first spike SP1 region 212a penetrates the blackout curtain unit 120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pike groove SH2 of the second spike SP2 region 222a. The second spike SP2 of the second spike SP2 area 222a also penetrates the blackout curtain part 120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spike groove SH1 of the first spike SP1 area 212a. Accordingly, the blackout curtain unit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200 . In addition, the first adhesive member AT1 of the first lower region 212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AT2 of the second lower region 222 are also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lackout curtain unit 120 so that the blackout curtain unit 120 ) is further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200.

제1 연장판(213)과 제2 연장판(223) 사이에는 투광 커튼부(110)가 위치된다. 여기서,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의 제1 스파이크(SP1)는 투광 커튼부(110)를 관통하여 제2 연장판 상부 영역(223a)의 제2 스파이크 홈(SH2)에 삽입되고, 제2 연장판 상부 영역(223a)의 제2 스파이크(SP2)는 투광 커튼부(110)를 관통하여 제1 연장판 상부 영역(213a)의 제1 스파이크 홈(SH1)에 삽입된다. 또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좌측 영역에 형성된 제1 스파이크(SP1)는 투광 커튼부(110)를 관통하여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의 좌측 영역에 형성된 제2 스파이크 홈(SH2)에 삽입되고,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의 좌측 영역에 형성된 제2 스파이크(SP2)는 투광 커튼부(110)를 관통하여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좌측 영역에 형성된 제1 스파이크 홈(SH1)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의 우측 영역과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의 우측 영역에는 제1 및 제2 스파이크(SP2)와 제1 및 제2 스파이크 홈(SH2)이 형성되지 않고, 제1 및 제2 접착부재(AT2)만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213b)과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 사이에 고정되는 투광 커튼부(110)에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연장판 하부 영역(223b)에서 노출되는 가장자리 영역이 더욱 울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light transmission curtain unit 11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late 213 and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3 . Here, the first spike SP1 of the upper region 213a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passes through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pike groove SH2 of the upper region 223a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The second spike SP2 of the upper region 223a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penetrates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spike groove SH1 of the upper region 213a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In addition, the first spike SP1 formed in the left area of the lower area 213b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passes through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and has a second spike groove formed in the left area of the lower area 223b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The second spike SP2 inserted into SH2 and formed in the left area of the lower area 223b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passes through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10 to the left area of the lower area 213b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It is inserted into the formed first spike groove SH1. Here, first and second spikes SP2 and first and second spike grooves SH2 are formed in the right region of the lower region 213b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the right region of the lower region 223b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Instead, only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members AT2 are provided. Therefore, the edges exposed in the lower regions 223b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lates extending from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part 110 fixed between the lower region 213b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the lower region 223b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You can make the area cry even more.

한편, 본 발명은 커튼 블라인드의 하단에 무게추를 구비하여 커튼 블라인드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미려함을 보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reinforce beauty by providing a weight at the lower end of the curtain blind so that the curtain blind is pulled tigh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 커튼 블라인드 110: 투광 커튼부
120: 암막 커튼부 121: 제1 암막 커튼부
122: 제2 암막 커튼부 200: 연결구
210: 제1 클립판 211, 212: 제1 베이스판
211: 제1 상부 영역 211a: 개구부
212: 제1 하부 영역 212a: 제1 스파이크 영역
212b: 제1 접착 영역 213: 제1 연장판
213a: 제1 연장판 상부 영역 213b: 제1 연장판 하부 영역
214: 고리 214a: 상부 오목부
214b: 하부 오목부 220: 제2 클립판
221, 222: 제2 베이스판 221: 제2 상부 영역
221a: 후크 222: 제2 하부 영역
222a: 제2 스파이크 영역 222b: 제2 접착 영역
223: 제2 연장판 223a: 제2 연장판 상부 영역
223b: 제2 연장판 하부 영역 224: 개구부
AT1: 제1 접착부재 AT2: 제2 접착부재
SP1: 제1 스파이크 SP2: 제2 스파이크
SH1: 제1 스파이크 홈 SH2: 제2 스파이크 홈
100: curtain blind 110: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120: blackout curtain unit 121: first blackout curtain unit
122: second blackout curtain unit 200: connector
210: first clip plate 211, 212: first base plate
211: first upper region 211a: opening
212 first lower region 212a first spike region
212b: first bonding area 213: first extension plate
213a: first extension plate upper region 213b: first extension plate lower region
214: ring 214a: upper recess
214b: lower concave portion 220: second clip plate
221, 222: second base plate 221: second upper region
221a: hook 222: second lower region
222a: second spike region 222b: second adhesive region
223: second extension plate 223a: upp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223b lower area of second extension plate 224 opening
AT1: first adhesive member AT2: second adhesive member
SP1: 1st spike SP2: 2nd spike
SH1: 1st spike groove SH2: 2nd spike groove

Claims (10)

투광 커튼부와, 상기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된 암막 커튼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에서,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 체결시키는 연결구로서,
제1 상부 영역과 제1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1 베이스판과, 상기 제1 하부영역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1 연장판, 상기 제1 상부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제1 클립판과,
제2 상부 영역과 제2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는 제2 베이스판과, 상기 제2 하부 영역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2 연장판, 상기 제2 상부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클립판과 체결되는 제2 클립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부 영역은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제1 스파이크 영역과, 제1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제1 접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하부 영역은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제2 스파이크 영역과, 제2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제2 접착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튼용 연결구.
In a plurality of curtain blinds including a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and a blackout curtain uni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a connector for fastening adjacent blackout curtain units to each other,
A first clip including a first base plate defined by a first upper region and a first lower region, a first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first lower region, and a ring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upper region. plate,
A second base plate defined by a second upper region and a second lower region, a second extension plate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second lower region, and a ring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upper region, wherein the first Including a second clip plate fastened to the clip plate,
The first lower region is defined as a first spike region in which a first spike is formed and a first adhesive region in which a first adhesive member is provided;
The second lower region is defined by a second spike region in which a second spike is formed and a second adhesive region in which a second adhesive member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판은 제1 연장판 상부 영역과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1 연장판 상부 영역에는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에는 제1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커튼용 연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xtension plate is defined by an upp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a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 first spike is formed in an upp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 connector for curtains in which a first adhesive member is provided in a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판은 제2 연장판 상부 영역과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2 연장판 상부 영역에는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에는 제2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커튼용 연결구.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extension plate is defined by an upp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nd a low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 second spike is formed in an upp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 connector for curtains in which a second adhesive member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은, 상기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의 우측 영역과, 상기 제1 하부 영역과 근접한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1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에는 제1 스파이크가 형성된 커튼용 연결구.
According to claim 3,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is defined as a right region of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a region to the left of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djacent to the first lower region;
A connector for curtains in which a first spike is formed in the left region of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은, 상기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의 우측 영역과, 상기 제2 하부 영역과 근접한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2 연장판 하부 영역의 좌측 영역에는 제2 스파이크가 형성된 커튼용 연결구.
According to claim 4,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is defined as a right region of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nd a region to the left of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djacent to the second lower region;
A connector for curtains in which a second spike is formed in the left region of the lower region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파이크와 상기 제2 스파이크는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제1 스파이크와 제2 스파이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제1 스파이크 사이에는 상기 제2 스파이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1 스파이크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2 스파이크 사이에는 상기 제1 스파이크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2 스파이크 홈이 형성된 커튼용 연결구.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spike and the second spike each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pikes and second spik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first spike grooves into which the second spikes are inserted ar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spikes,
A connector for curtains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spike grooves into which the first spikes are inserted ar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spik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1 연장판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제1 연장판의 두께는 상기 제1 하부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커튼용 연결구.
According to claim 6,
The thickness of the first upper region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extension plate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ower reg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2 연장판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제2 연장판의 두께는 상기 제2 하부 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커튼용 연결구.
According to claim 7,
The thickness of the second upper region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xtension plate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ower reg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부 영역에는 상기 개구부와 체결되는 후크가 형성된 커튼용 연결구.
According to claim 8,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irst upper region,
A curtain connector having a hook fastened to the opening in the second upper region.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튼용 연결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으로서,
투광 커튼부와, 상기 투광 커튼부의 양측에 구비된 암막 커튼부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와,
상기 다수개의 커튼 블라인드 중 인접한 암막 커튼부 끼리를 체결시키는 상기 커튼용 연결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A blind type curtain comprising a connector for curtai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plurality of curtain blinds including a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and blackout curtain uni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ght-transmitting curtain unit;
Blind-type curtains including the curtain connector for fastening adjacent blackout curtains among the plurality of curtain blinds.
KR1020210127687A 2021-09-28 2021-09-28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KR1025382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687A KR102538282B1 (en) 2021-09-28 2021-09-28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687A KR102538282B1 (en) 2021-09-28 2021-09-28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163A true KR20230045163A (en) 2023-04-04
KR102538282B1 KR102538282B1 (en) 2023-06-01

Family

ID=8592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687A KR102538282B1 (en) 2021-09-28 2021-09-28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28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97Y1 (en) * 2001-09-04 2002-01-26 변태웅 Vertical Type Blind
KR20140133575A (en) 2012-02-23 2014-11-19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Window shade and its control module
KR20160088171A (en) * 2015-01-15 2016-07-25 김성철 A blind type curtain
KR20170079497A (en) * 2015-12-30 2017-07-10 김성철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KR102049194B1 (en) * 2018-06-08 2019-11-26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Fastening system and window shade including the same
KR20210114193A (en) * 2020-03-10 2021-09-23 권영택 Vertical Alignment Device of Vertical Curtai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97Y1 (en) * 2001-09-04 2002-01-26 변태웅 Vertical Type Blind
KR20140133575A (en) 2012-02-23 2014-11-19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Window shade and its control module
KR20160088171A (en) * 2015-01-15 2016-07-25 김성철 A blind type curtain
KR20170079497A (en) * 2015-12-30 2017-07-10 김성철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KR102049194B1 (en) * 2018-06-08 2019-11-26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Fastening system and window shade including the same
KR20210114193A (en) * 2020-03-10 2021-09-23 권영택 Vertical Alignment Device of Vertical Curt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282B1 (en)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100464A4 (en) Blind-Type Curtain
KR101680958B1 (en) A blind type curtain
KR102538282B1 (en)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US6789596B1 (en) Curtain device
KR101892932B1 (en)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KR102318082B1 (en)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AU2016102074A4 (en) Blind-type Curtain
KR20200001804U (en) roof structure using panel for skylight
KR102347196B1 (en) Blind type curtain for coupling and blind type curtain containing the same
AU2018102073B4 (en) Blind-Type Curtain
CN207279403U (en) A kind of LED panel lamp
WO2018080016A1 (en) Curtain-type vertical blind
ITTO20090049A1 (en) MODULAR DIVISION WALL FOR INTERIOR PARTITION
US10000943B1 (en) Beautification and privacy fence panel system and uses thereof
KR200400515Y1 (en) A luminous paint-coated panel and assembling equipment
ITMI990368A1 (en) ADJUSTABLE TRANSPARENCY SCREEN STRUCTURE PARTICULARLY PERMODULATION OF THE PASSAGE OF AIR AND / OR LIGHT AND SIMILAR
KR20080100001A (en) A connecting device of duct for lamp
DE50013583D1 (en) shutters
JPH0433356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