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596A - 마스크팩 포장체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596A
KR20230044596A KR1020210126884A KR20210126884A KR20230044596A KR 20230044596 A KR20230044596 A KR 20230044596A KR 1020210126884 A KR1020210126884 A KR 1020210126884A KR 20210126884 A KR20210126884 A KR 20210126884A KR 20230044596 A KR20230044596 A KR 20230044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dy
cosmetics
mask
cutou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779B1 (ko
Inventor
선윤희
Original Assignee
선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윤희 filed Critical 선윤희
Priority to KR102021012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77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05Skin packa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화장료와 마스크시트가 수용된 포장본체의 상단 양측에 제1절취홈이 형성되고, 하단 양측에 제2절취홈이 형성됨으로써, 포장본체의 중간 부분을 제거하여 하단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화장료를 쉽게 꺼내 사용할 수 있어 낭비를 줄이고,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마스크팩 포장체를 제공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 포장체는, 포장지를 두겹 겹치고 테두리를 융착하여 내부에 마스크시트(10)와 화장료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을 형성한 포장본체(100); 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본체(100)의 일단 양측 테두리에는 제1절취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포장본체(100)의 타단 양측 테두리에는 제2절취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절취홈(110)을 따라 상기 포장본체(100)의 일단을 절취하면 상기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하기 위한 제1인출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취홈(130)을 따라 상기 포장본체(100)의 타단을 절취하면 상기 제1수용공간에 t용된 잔여 화장료를 인출하기 위한 제2인출구(14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마스크팩 포장체{Mask pack packaging}
본 발명은 마스크팩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얼굴 등의 특정 신체부위에 부착되며 피부에 수분 또는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화장료가 함침된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마스크팩 포장체 관한 것이다.
최근 마스크팩 소비 사장이 확대됨에 따라 마스크팩의 기능과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팩은 일반 에센스나 크림과 달리 단시간에 간편하게 집중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누구나 쉽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저렴한 가격에 피부 관리를 할 수 있어서 구매율이 높은 편이다.
마스크팩은 피부타입(건성, 지성, 민감성 등)에 따라 각각에 효과적인 영양성분을 달리하고 있다.
실례로 건성 피부에는 보습에 효과적인 자연 추출물(호호바오일, 글리세린 등)을 사용하며, 지성 및 민감성 피부에는 피부 트러블에 효과적인 영양추출물 및 유기화합물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피부탄력 및 미백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알부틴, 콜라겐 등의 함량을 높여 만든 기능성 마스크팩이 각광받고 있다.
이런 종류의 피부용 약액 유지체로서, 예를 들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의 기재에 약액으로서의 액상 화장료가 함침된 마스크 시트가 있다.
상기 마스크 시트는 포장 봉지에 수용되어 밀봉 포장되어 유통된다.
일반적으로 마스크팩은 포장 봉지로부터 취출한 마스크 시트를 얼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지만, 액상 화장료의 점도가 낮으면 사용시에 액이 흘러 떨어짐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액이 흘러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점도의 액상 화장료를 기재에 함침시켜 두는 것이 중요해진다.
하지만, 종래의 마스크팩은 마스크 시트를 포장체로 부터 인출 할 때 화장료가 흘러내려 꺼내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포장체 내부에 화장료가 고이게 되어 화장료를 전부 활용하지 못하고 버리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495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화장료와 마스크시트(10)가 수용된 포장본체(100)의 상단 양측에 제1절취홈(110)이 형성되고, 하단 양측에 제2절취홈(130)이 형성됨으로써, 마스크시트(10)을 인출한 후 상기 포장본체(100)의 중간 부분을 제거하여 하단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화장료를 쉽게 꺼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장료의 낭비를 줄이고,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마스크팩 포장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마스크팩 포장체는, 포장지를 두겹 겹치고 테두리를 융착하여 내부에 마스크시트(10)와 화장료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을 형성한 포장본체(100); 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본체(100)의 일단 양측 테두리에는 제1절취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포장본체(100)의 타단 양측 테두리에는 제2절취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절취홈(110)을 따라 상기 포장본체(100)의 일단을 절취하면 상기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하기 위한 제1인출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취홈(130)을 따라 상기 포장본체(100)의 타단을 절취하면 상기 제1수용공간에 t용된 잔여 화장료를 인출하기 위한 제2인출구(140)가 형성된다.
상기 포장본체(100)의 이웃한 두개의 테두리에는 제3절취홈(150)이 형성되되, 상기 제3절취홈(150)을 따라 상기 포장본체(100)를 절취하면 상기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하기 전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를 인출하기 위한 제3인출구(160)가 형성된다.
상기 포장본체(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를 옮겨 담을 수 있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보조포장체(200);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포장체(200)의 양측에는 제4절취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제4절취홈(210)을 따라 상기 보조포장체(200)를 절취하면, 상기 보조포장체(200)는 상기 포장본체(100)에서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마스크팩 포장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한 후, 상기 포장본체(100)의 중간 부분을 제거하여 하단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화장료를 쉽게 꺼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장료의 낭비를 줄이고,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제3인출구(160)는 상기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하기 전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를 인출하는 구멍으로,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를 미리 일정량 인출하여 상기 마스크시트(10)를 꺼낼 때에 화장료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포장본체(100)에 내장된 화장료를 일정량 상기 보조포장체(200)로 옮긴 후 상기 보조포장체(200)를 상기 포장본체(100)에서 분리함으로써, 잔여 화장료를 별도로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포장본체(100)에 있는 화장료를 조절하여 상기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할 때 화장료가 흘러내리는 것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체의 제1절취홈(110)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체의 제2절취홈(130)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절취홈(150)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체의 제4절취홈(210)을 따라 절취하여 보조포장체(20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포장체는 포장본체(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장본체(100)는 PE 또는 PP재질이 포함된 다중 필름 재질의 포장지로 제작되며, 상기 포장지를 두겹 겹치고, 테두리가 융착되어 내부에 밀폐된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용공간은 밀폐된 공간으로,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진 마스크시트(10)와, 상기 마스크시트(10)에 함침되는 액상 형태의 화장료가 수용된다.
상기 포장본체(10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나, 경우에 따라 원형, 마름모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장본체(100)의 상단 양측 테두리에는 가로 방향으로 개방된 제1절취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절취홈(110)은 상기 포장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가로로 수평을 이루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절취홈(110)은 절취 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하기 위한 제1인출구(120)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포장본체(100)의 상단을 상기 제1절취홈(110)을 따라 가로로 절취하여 제거하면 상기 제1인출구(120)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제1인출구(120)를 통해 상기 마스크시트(10)를 꺼내어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포장본체(100)의 하단 양측 테두리에는 가로 방향으로 개방된 제2절취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절취홈(130)은 상기 포장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가로로 수평을 이루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절취홈(130)은 절취 방향을 가이드하여 상기 포장본체(100)의 하단에 고여있는 화장료를 인출하기 위한 제2인출구(140)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포장본체(100)의 중간부분을 상기 제2절취홈(130)을 따라 가로로 절취하여 제거하면 상기 제2인출구(140)가 개방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포장본체(100)에 상기 제2인출구(140)를 형성하는 상기 제2절취홈(13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한 후 상기 제1수용공간에 남아있는 잔여 화장료를 편리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잔여 화장료를 버리지 않고 남김없이 사용하여 낭비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본체(100)의 상단 일측에는 제3절취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절취홈(150)은 상단에 이웃한 두개의 테두리에 각각 형성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수평을 이루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3절취홈(150)은 상기 포장본체(100)의 상단 일측 꼭지점 부분의 이웃한 테두리에 각각 형성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절취된다.
이러한 상기 제3절취홈(150)을 따라 상기 포장본체(100)의 꼭지점 부분을 절취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인출구(160)가 형성된다.
상기 제3인출구(160)는 상기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하기 전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를 인출하는 구멍으로,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를 미리 일정량 인출하여 상기 마스크시트(10)를 꺼낼 때에 화장료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수용공간의 수용된 화장료를 미리 인출하여 피부에 도포한 후 상기 마스크시트(10)를 피부에 부착하여 화장료를 피부에 골고루 도포할 수 있고,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본체(100)의 일측에는 보조포장체(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포장체(200)는 상기 포장본체(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를 옮겨 담을 수 있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포장체(200)는 상기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하기 전 상기 제1수용공간에 저장된 화장료를 일정량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옮겨 상기 제1수용공간에 있는 화장료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포장체(200)와 상기 포장본체(100) 사이의 양측에는 제4절취홈(210)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포장체(200)를 상기 포장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포장본체(100)에 내장된 화장료를 일정량 상기 보조포장체(200)로 옮긴 후 상기 보조포장체(200)를 상기 포장본체(100)에서 분리함으로써, 잔여 화장료를 별도로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포장본체(100)에 있는 화장료를 조절하여 상기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할 때 화장료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 마스크시트
100 : 포장본체
110 : 제1절취홈
120 : 제1인출구
130 : 제2절취홈
140 : 제2인출구
150 : 제3절취홈
160 : 제3인출구
200 : 보조포장체
210 : 제4절취홈

Claims (4)

  1. 포장지를 두겹 겹치고 테두리를 융착하여 내부에 마스크시트(10)와 화장료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을 형성한 포장본체(100); 를 포함하되,
    상기 포장본체(100)의 일단 양측 테두리에는 제1절취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포장본체(100)의 타단 양측 테두리에는 제2절취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절취홈(110)을 따라 상기 포장본체(100)의 일단을 절취하면 상기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하기 위한 제1인출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취홈(130)을 따라 상기 포장본체(100)의 타단을 절취하면 상기 제1수용공간에 t용된 잔여 화장료를 인출하기 위한 제2인출구(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본체(100)의 이웃한 두개의 테두리에는 제3절취홈(150)이 형성되되,
    상기 제3절취홈(150)을 따라 상기 포장본체(100)를 절취하면 상기 마스크시트(10)를 인출하기 전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를 인출하기 위한 제3인출구(1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본체(1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를 옮겨 담을 수 있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보조포장체(2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포장체(200)의 양측에는 제4절취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제4절취홈(210)을 따라 상기 보조포장체(200)를 절취하면, 상기 보조포장체(200)는 상기 포장본체(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포장체.
KR1020210126884A 2021-09-27 2021-09-27 마스크팩 포장체 KR102662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884A KR102662779B1 (ko) 2021-09-27 2021-09-27 마스크팩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884A KR102662779B1 (ko) 2021-09-27 2021-09-27 마스크팩 포장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596A true KR20230044596A (ko) 2023-04-04
KR102662779B1 KR102662779B1 (ko) 2024-05-03

Family

ID=8592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884A KR102662779B1 (ko) 2021-09-27 2021-09-27 마스크팩 포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7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442A (ko) * 2009-12-08 2011-06-15 주식회사 건강을 지키는 사람들 파우치
KR101704950B1 (ko) 2012-12-18 2017-02-08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와 그 제조방법
KR101793941B1 (ko) * 2017-01-12 2017-11-07 김한주 잉여 화장수를 모아 주는 하부 보조 파우치가 구비된 일회용 마스크 팩 파우치
KR101841076B1 (ko) * 2017-03-07 2018-05-04 주식회사 가원인터내셔널 마스크팩용 파우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442A (ko) * 2009-12-08 2011-06-15 주식회사 건강을 지키는 사람들 파우치
KR101704950B1 (ko) 2012-12-18 2017-02-08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피부용 약액 유지체의 포장체와 그 제조방법
KR101793941B1 (ko) * 2017-01-12 2017-11-07 김한주 잉여 화장수를 모아 주는 하부 보조 파우치가 구비된 일회용 마스크 팩 파우치
KR101841076B1 (ko) * 2017-03-07 2018-05-04 주식회사 가원인터내셔널 마스크팩용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779B1 (ko) 202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219Y1 (ko) 롤 마스크 팩
US9796520B2 (en) Facial mask sheet package
CA1072062A (en) Disposable, compactable, moisture-impervious package for premoistened sheets
KR200455171Y1 (ko) 마스크 팩용 포장대
KR102372342B1 (ko) 팩 시트 포장체
KR101651177B1 (ko) 일회용 물티슈
JP5709305B2 (ja) 折り畳みパックシート配列体及びパックシート包装体
EP0134806A4 (en) CLOSABLE DISPENSING CONTAINER FOR FOLDED TOWELS.
KR20230044596A (ko) 마스크팩 포장체
US5024325A (en) Prewetted absorbent pads and dispensing package therefor
ES2111396T3 (es) Embalaje para objetos alargados realizado a partir de papel plisado
KR102197426B1 (ko) 마스크 팩 및 마스크 팩 보관 케이스
EP3424841A1 (en) Package system for a tobacco related product, package and humidifier
US4083487A (en) Safety package of toothpick holder
CN101596150A (zh) 皮肤外用剂及盛装该皮肤外用剂的一次性容器
KR20020093207A (ko) 밀폐수단이 구비된 티슈박스
US20120257919A1 (en) Lip balm strip
KR102605666B1 (ko) 마스크팩 세트
KR200497211Y1 (ko) 마스크팩 파우치
KR102249657B1 (ko) 마스크팩용 파우치
KR200402651Y1 (ko) 화장용품 포장대
CN211970249U (zh) 一种面膜的包装结构
CN207890358U (zh) 一种面膜盒子
KR102406597B1 (ko) 마스크 시트의 포장체
JPH066815Y2 (ja) アイマスク用含浸基布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