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821A - 제거 가능하거나 분리 가능한 폐쇄부가 없는 유체를 위한 다중-사용, 재사용 가능한 유출 방지 패키지 - Google Patents

제거 가능하거나 분리 가능한 폐쇄부가 없는 유체를 위한 다중-사용, 재사용 가능한 유출 방지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821A
KR20230043821A KR1020237001108A KR20237001108A KR20230043821A KR 20230043821 A KR20230043821 A KR 20230043821A KR 1020237001108 A KR1020237001108 A KR 1020237001108A KR 20237001108 A KR20237001108 A KR 20237001108A KR 20230043821 A KR20230043821 A KR 20230043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collapsible
bubble
flexible contain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에스. 페렐
셰릴 엘리자베스 해리슨
Original Assignee
팝팩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팝팩 엘엘씨 filed Critical 팝팩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43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65D75/5811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4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increments of material, in webs, e.g. folded or tubular webs, or by subdividing tubes filled with liquid, semi-liquid, or plastic materials
    • B65D75/42Chains of interconnec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on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25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2575/36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r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 B65D2575/361Details
    • B65D2575/362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 B65D2575/366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gaining access to the contents through a preformed opening in the recessed sheet, e.g. the opening being defined by weakened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원-피스 패키지 또는 용기로서, 패키지의 개방을 촉진시키고 제어된 방식으로 유체를 분배시키기 위한 자체 폐쇄 밸브와 함께 개방 장치를 포함하는 원-피스 패키지 또는 용기가 개시된다. 일 구현예에서, 개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붕괴 가능한 버블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붕괴 가능한 버블은 패키지의 가장자리 및/또는 유체 채널을 따라서 밀봉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패키지는 붕괴 가능한 버블을 붕괴시킴으로써 개발될 수 있는 자체 폐쇄 밸브을 갖는 유체 채널을 포함한다. 패키지가 개방된 후에, 자체 폐쇄 밸브는, 압력, 예컨대, 압착을 통한 압력이 패키지에 가해질 때까지, 유체가 유체 채널을 통해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패키지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패키지의 내용물이 제어된 방식으로 유체 채널을 통해서 분배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거 가능하거나 분리 가능한 폐쇄부가 없는 유체를 위한 다중-사용, 재사용 가능한 유출 방지 패키지
제거 가능하거나 분리 가능한 폐쇄부가 없는 유체를 위한 다중-사용, 재사용 가능한 유출 방지 패키지 분야에 관한 것이다.
2017년에, 전세계 플라스틱의 생산은 348 백만 톤에 달했다. 대략 매년 블라스틱 생산량의 절반이 플라스틱 음료수 병을 포함하는 일회용 제품으로 예정된다. 인간은 분당 약 1,000,000개의 플라스틱 병을 구입하여, 2016년에 전세계적으로 4,800 억개 초과의 플라스틱 음료수 병의 판매를 초래한다. 플라스틱 음료수 병과 함께, 매일 50만개가 넘는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가 미국인들에 의해서 사용된다. 더욱이, 모든 플라스틱의 91%는 버려지고 재활용되지 않는다.
플라스틱 음료수 병, 캡(cap), 부품(fitment), 따개띠(tear strip) 및 라벨(label)을 포함한 버려진 일회용 플라스틱은 환경에 유해하다. 버려진 일회용 플라스틱은 쓰레기 매립지를 가득 채울뿐만 아니라, 이들은 빈번하게는 호수 및 하천으로 흘러들어서, 강에 그리고 결국에는 전세계 바다에 이르게 된다. 바다에 고르게 분산되는 대신에, 플라스틱 폐기물은 바다의 북쪽과 남쪽 환류, 또는 북태평양 환류의 "Great Pacific Garbage Patch"로 알려지게 된 것과 같은, 바다의 순환 흐름 시스템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그 지역은 현재 적어도 700,000 평방 킬로미터의 크기(70,000 평방 마일 - 대략 텍사스 주의 크기 또는 프랑스와 스위스를 합친 크기)를 갖는 것을 추정된다. 패치(patch)의 각 평방 킬로미터 내에 18,000개 이상의 플라스틱 조각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Great Pacific Garbage Patch로부터의 샘플은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이 그 지역에서 지배적인 동물인 동물성 플랑크톤의 양을 초과했음을 보여주며, 추가로, 2050년이 되면 바다에는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아질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Great Pacific Garbage Patch와 같은 하천과 바다에 있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플라스틱 광분해(plastic photodegradation)의 대상이고, 이는 플라스틱을 작은 독성의 플라스틱 폴리머로 분해되게 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플라스틱 폴리머는 더욱더 작은 조각으로 분해되어, "마이크로플라스틱(microplastics)"으로 변형되거나, 분자 수준이 될 때까지 분해된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머의 대부분은 바이오-기반이 아니거나 퇴비화가 가능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고는 분해되지 않는다. 이들 작은 독성 플라스틱 폴리머(마이크로플라스틱)은 공기, 물, 및 토양을 오염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어류를 포함한 수생 생물에 의해서 섭취되고, 이에 따라서, 동물 및 인간 소비를 위한 식품 사슬(food chain)에 유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생성시킨다.
플라스틱 폐기물의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서, 재활용이 플라스틱 소비 사이클에 도입되었다. 그러나, 단지 제한된 양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재활용 시설에 보내어 진다. 예를 들어, 전세계적으로 플라스틱의 91% 이상이 재활용되지 않으며, 미국에서는 단지 플라스틱 병의 23%만이 재활용된다. 더욱이, 기존의 플라스틱 병 및 유체 용기는, 병을 위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더 단단한 병의 캡 또는 마개를 위한 폴리프로필렌(PP)와 같은, 이들의 상이한 부분을 위한 다양한 유형의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플라스틱 병은 흔히 라벨 정보를 포함하기 위해 병을 감싸는 다양한 플라스틱 또는 필름 재료 및 화학 접착제를 사용한다. 사용된 각각의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PET 및 PP는 각각의 다른 플라스틱 재료와는 상당히 다른 독특한 융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재료들의 모두가 재사용을 위해서 용융되기 전에 서로 분리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플라스틱 병의 재활용은 경제적으로 효과적이지 않은데, 그 이유는 그것이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거하고, 세정하고, 분류하고, 그리고, 폐기물 재료의 각각을 새로운 제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 가공함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정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수거 및 처리에 요구되는 시간, 비용 및 인프라 비용으로 인해서, 재활용은 널리 이용가능하게 되지 않았으며, 이용 가능하더라도, 재활용은 흔히 의무가 아니다. 이에 따라서, 많은 사람들은 재활용을 위한 편리한 장소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단순히 재활용을 선택하지 않거나 폐기물 관리 방법으로서 재활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플라스틱 폐기물에 의해서 유발되는 많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패키징(packaging) 및 소비자 제품에서의 플라스틱을 대안적인 재료로 대체하는 것은 환경 비용을 여러 배로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서, 플라스틱을 대체할 재료를 찾거나 개발하기 보다는, 기존의 일회용 플라스틱 패키징에 비해서 재료 사용이 더 적은 새로운 형태의 패키징 및 재료의 설계 및 개발 뿐만 아니라, 증가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의 재활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거 및 분류 및 인프라를 개선시키기 위한 혁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플라스틱 병 및 용기에 의한 플라스틱 폐기물의 상기 문제들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은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필름 층으로 제조된 가요성 용기에 액체 제품을 포장하는 것이다. 기존의 플라스틱 병에 비해서 용기 당 플라스틱 재료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에 더하여, 폴리머 필름으로 제조된 패키지는 추가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은 빈 공간을 제거하고 요구되는 포장 재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품의 둘레를 단단히 감쌀 수 있다. 생성되는 패키지는 부피가 크지 않으며, 다루기 쉽고, 무게가 더 가볍다. 폴리머 필름은 때로는 반투명하거나 투명할 수 있어, 구매자가 구매하기 전에 내용물을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폴리머 필름은 장식용 그래픽과 함께 인쇄되어 제품을 더욱 매력적이게 할 수 있다.
비록, 폴리머 필름으로 제조된 패키지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러한 패키지를 개방(opening)하는 것은 좀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은 우발적인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충분한 밀봉 강도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패키지의 내용물을 둘러싸는 필름이나 밀봉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흔히 패키지를 개방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액체 또는 유동성 물질(flowable substance)을 함유하는 많은 이러한 패키지는 용이한 개방 피처(opening feature)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패키지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힘, 가위, 칼, 자신의 이로 깨물기 또는 기타 적합한 도구가 사용되어야 한다.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필름 층으로 제조된 용기의 또 다른 단점은 필름이 항상 서로 호환되지 않고 다양한 층이 쉽게 재활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다층 필름은 용이한 재활용성을 제한하고 고형 폐기물 생성을 유발할 수 있다.
추가로, 지속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해 엄격한 위생 요건에 따라 제작, 배송 및 전달될 수 있는 패키지에 대한 더 큰 요구가 존재한다. 개방이 용이하고 제품을 흘리지 않는 단일 재료부터 패키지를 제조하는 능력은 더 나은 위생 특성과 균형을 이룬 패키지의 지속 가능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다.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패키지 및 용기가 구성되고 개방되는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예를 들어, PopPack LLC는 패키지의 설계 및 구성, 및 특히 패키지 및 용기를 개방하기 위한 기술 및 방법의 설계에서 많은 중요하고 가치 있는 진보를 이루었다. 패키지를 위한 개방 장치의 예는, 예를 들어, Perell 등의 미국특허 제6,726,364호, Perell의 미국특허 제6,938,394호, Perell의 미국특허 제7,306,371호, Perell의 미국특허 제7,644,821호, Perell의 미국특허 제RE 41,273호, Perell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80212904호, Perell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70295766호, Perell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70286535호, Perell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70284375호, Perell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70241024호, Perell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70237431호, Perell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70235369호, Perell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70235357호, Perell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60126970호, Perell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40231292호, 및 Perell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40057638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각각의 발행된 특허 및 공개된 출원의 주제는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이러한 이전에 제조된 폴리머 필름 용기의 또 다른 문제는 전형적으로는 제어된 방식으로 유체를 분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들 용기는, 예를 들어, 용기의 상부를 찢거나, 모서리를 찢거나, 가위 또는 칼로 자르거나, 빨대를 용기에 삽입함으로써 개방된다. 패키지는 가요성이기 때문에, 용기에서는, 특히, 어떠한 유형의 압력이 용기에 가해지는 경우에, 이들의 내용물이 흘러나오기 쉽다. 일단 개방되고, 용기에 융착되거나 접착되거나 달리 부착되는 별도의 견고한 주입 밸브가 부재하에서는, 이들 용기는 용이하게 다시 닫힐 수 없고, 액체가 빠져나가 액체가 공기 및 가능하게는 기타 오염 물질에 노출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가 일단 개방된 경우에는, 그 용기를 잡고 있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우발적인 유출과 오염을 피하기 위해서, 그것이 완전히 비워지기 전에, 그것이 테이블 또는 그 밖의 표면 상에 놓일 수 없고, 그것이 다시 밀봉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는 더 적은 재료, 세정하는데 있어서의 더 적은 에너지 및 더 적은 물, 및 플라스틱 병, 예를 들어, 단일 폴리머로부터 형성된 단일 재료 필름보다 더 효율적인 생산 라인을 이용하고, 개방시키기에 비교적 용이하고, 우발적인 유출의 경향이 없이 제어된 방식으로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내장된 자체 폐쇄 붓기 채널(built-in self-closing pour channel)을 갖는 개선된 폴리머 필름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제거 가능하거나 분리 가능한 마개 없이 유체를 위한 다중-사용, 재사용 가능한 유출 방지 패키지(multi-use, reusable, spill proof package)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패키지는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용적(interior volume)을 갖는 가요성 용기(flexible container)를 포함한다. 패키지의 가요성 용기는 밀봉된 주변을 한정하고 있다. 패키지는 추가로 가요성 용기의 밀봉된 주변을 따라서 위치된 붕괴 가능한 지점(breachable point)을 포함한다. 붕괴 가능한 지점은 밀봉된 주변의 나머지보다 더 약한 밀봉부를 갖는다. 패키지는 추가로 유체 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valve-like passageway)를 포함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한다. 유체 출구는 붕괴 가능한 지점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는 가요성 용기의 내부 용적과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된다. 패키지는 추가로 유체 출구와 가요성 용기의 내부 용적 사이에 위치된 배리어 부재를 포함한 자체 폐쇄 밸브(self-closing valve)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는 배리어 부재(barrier member)와 밀봉된 주변 사이에 형성된다. 가요성 용기에 가해진 압력은 붕괴 가능한 지점이 용기의 내부 용적으로부터 제어된 양의 유동성 물질을 분배하기 위해서 붕괴되게 한다. 압력이 더 길게 가해지는 경우에, 자체 폐쇄 밸브는 추가로 유체 출구를 통한 유동성 물질의 흐름을 억제한다.
본 개시의 패키지는 조성물, 예컨대, 유체를 보유하고 분배할 수 있다. 유체는 액체, 유동성 물질 또는 기체일 수 있다. 액체는, 예를 들어, 자유롭게 흐를 수 있으며 약간 내지는 고도로 점성일 수 있다. 패키지는, 예를 들어, 유체, 예를 들어, 음료수, 식용 오일, 조미료(condiment), 퍼스널 케어 제품(personal care product), 산업 제품, 자동차 윤활제, 헬쓰 케어 제품(health care product), 액체 비누, 및 세정제, 헤어 케어 제품(hair care product), 선스크린 조성물(sunscreen composition), 및 클렌징 제품(cleaning product) 등을 보유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패키지는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용적을 한정하는 가요성 용기를 포함한다. 가요성 용기는 가요성 폴리머 필름(flexible polymer film)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키지는 추가로 유체 출구를 주위에 연결하는 제1 단부(end) 및 내부 유체 용적에 연결되는 반대쪽 제2 단부를 갖는 유체 채널을 포함한다. 유체 채널은 제1 단부에서 유체 출구와 연통되고, 제2 단부에서 가요성 용기의 내부 용적에 연결된다. 가요성 용기는 추가적으로 다양한 형태 및 형상의 자체 폐쇄 밸브를 함유한다. 가요성 파우치(flexible pouch)에 가해진 압력(예컨대, 사용자-가해진 압착)은 내부 용적과 유체 채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개방시킨다. 패키지는 또한 가요성 용기의 외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또는 이에 근접하여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붕괴 가능한 지점 또는 버블(bubble)을 함유한다. 버블 또는 붕괴 가능한 지점의 붕괴는 유체 출구와 주변 사이에 유체 연통되게 한다. 외부 압력에 의한 파열 후의 붕괴 가능한 버블은 밀봉부를 개방시킨다. 붕괴 가능한 버블 및 자체 폐쇄 밸브는 추가적으로 유체 출구를 통한 주변으로의 흐름을 방지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 밀봉부(breachable bubble seal)는 밀봉부의 붕괴 가능한 지점 또는 부분이 밀봉부의 가장자리에 영향을 미치게 하기 위해서 약화된 부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자체 폐쇄 밸브는 가요성 용기의 벽에 부착된 배리어 부재를 위치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배리어 부재는 단순히 특정된 위치에서 반대 층의 밀봉부일 수 있다. 배리어 부재는 유체 채널의 제2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어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가 유체 채널의 제2 단부와 용기의 내부 용적 사이에 형성되게 할 수 있다. 패키지가 충전되는 경우에, 배리어 부재의 형상은 용기에서의 접힘(fold) 또는 압력 또는 변형을 유발하여, 외부 사용자-가해진 압착 압력 없이, 밸브-유사 통로를 통한 출구 또는 주변으로의 유체 흐름을 방지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패키지는 둘 이상의 배리어 부재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밸브-유사 통로는 두 배리어 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유체 채널을 용기의 내부 용적에 연결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일 구현예에서,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는 패키지로부터 유동성 물질을 분배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붕괴될 수 있는 주변에 위치된 붕괴 가능한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는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용적을 갖는 가요성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용기는 추가로 밀봉된 주변을 한정한다. 붕괴 가능한 지점은 가요성 용기의 밀봉된 주변을 따라서 위치된다. 가요성 용기의 붕괴 가능한 지점은 밀봉된 주변의 나머지보다 더 약한 밀봉부를 포함한다.
패키지는 추가로 유체 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를 포함하는 유체 채널을 함유한다. 유체 출구는 붕괴 가능한 지점에 또는 그 일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는 가요성 용기의 내부 용적과 유체 연통된다. 패키지는 추가적으로 유체 출구와 가요성 용기의 내부 용적 사이에 위치되는 배리어 부재를 함유하는 자체 폐쇄 밸브를 포함한다. 가요성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는 배리어 부재와 밀봉된 주변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가요성 용기에 가해진 사용자-가해진 압착과 같은 의도적인 압력은 붕괴 가능한 지점이 붕괴되고 가요성 용기의 내부 용적으로부터 제어된 양의 유동성 물질을 분배하게 한다. 압력이 가요성 용기에 더 이상 가해지지 않으면, 자체 폐쇄 밸브가 유체 출구를 통한 유동성 물질의 추가 흐름을 억제한다. 이러한 추가의 흐름은, 가요성 용기가 옆으로 엎질러지거나, 땅에 떨어지거나, 주위로의 붕괴 가능한 지점이 붕괴된 후에 달리 영향을 받는 경우에 억제된다.
예를 들어, 유체 채널은 갇힌 공기(trapped air)를 함유할 수 있다. 유체 채널은 우선적으로는 유동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으며, 공기에 의해서 "불룩(plump)"할 수 있거나, 잔량의 공기를 함유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패키지는 유체 채널에 공기 또는 그 밖의 유체를 가두기 위해서 하부로부터 유동성 물질로 충전된다. 자체 폐쇄 밸브는 유체 채널이 초기에 유동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돕는다. 이어서, 사용자는 압력을 패키지에 가함으로써 붕괴 가능한 지점을 붕괴시키고 물질을 유체 출구를 통해서 분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엄지와 다른 손가락으로 패키지를 꼭 집음으로써, 패키지를 개방하여 유체 출구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해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패키지를 개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방법은 가요성 패키지의 내부 용적에 압력을 가하여, 패키지의 붕괴 가능한 지점이 붕괴시킴으로써, 유체 출구가 외부 환경 또는 주위와 연통되도록 하는 단계; 및 추가의 압력을 가요성 용기에 가하여, 내부 용적 내에 함유된 유동성 물질이 자체 폐쇄 밸브, 유체 채널 및 유체 출구를 통해서 가요성 용기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가요성 용기의 가장자리는 접힌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접힌 부분은 가요성 용기의 외부 표면에 놓이며, 유체 채널과 교차하여 채널을 통한 유체 흐름을 차단한다. 일 구현예에서, 가요성 용기의 접힌 부분은 가요성 용기의 접힌 모서리를 포함하고, 접힌 모서리는 가요성 용기의 상부 에지와 둔각(obtuse angle)을 형성한다. 동일한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은 가요성 용기의 외부 표면에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접힌 부분 상에 위치된다.
일 구현예에서, 버블이 붕괴된 후의 접힌 부분의 펼침은, 압력(예컨대, 사용자에 의한 압착)이 가요성 용기에 가해지는 경우에, 유체가 자체 폐쇄 밸브와 유체 채널을 통해서 내부 용적으로부터 분배되게 한다. 일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은, 버블이 붕괴된 후에 버블 또는 용기를 폐쇄하기 위해서, 재폐쇄 가능한 부착, 접힘, 접착제, 정적 밀착 또는 그 밖의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가요성 용기는, 내부 용적이 유체 생성물로 충전되는 경우에, 유체 채널의 밸브-유사 통로에 형성되는 붕괴 가능한 버블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패키지는 통상적인 액체 패키징에 전형적인 병의 캡, 빨대, 노즐, 스프레이 메커니즘, 스파우트(spout) 및 부품(fitment)이 없고, 그 대신, 하나의 가요성 모노머 재료를 사용하여 유체 재료의 한-손 개방 및 엎지르지 않는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비어있는 사용된 패키지는 어떠한 느슨함 또는 수집되지 않은 부품 없이 온전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패키지는, 시력 손상, 손상 또는 제한된 손 힘 또는 관절염과 같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으면서, 개방이 쉽고 엎질어지는 특징 없이 이동중 생활방식에 적합하여, 통상적인 액체 패키징, 예를 들어, PET 물병에 비해서 개선된 편의성을 갖는다. 또한, 통상의 물병과는 달리, 본 발명의 패키지는 더 적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중량이 더 가볍고, 추가적으로 패키지 상의 적용된 라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패키지는 바이오-기반, 퇴비화 가능한 폴리머를 포함하는 재활용 필름, 소비자 사용후 재활용 필름 및 특수 필름을 활용하여, 패키지의 가요성 및 지속성(sustainability) 둘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밀봉된 폴리머 필름 패키지는 각각의 패키지에 대한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새로운 기술을 통합하여, 패키징된 내용물의 제품 유통 기간을 잠재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패키지 및/또는 붕괴 가능한 버블은 하나 이상의 센서, 태그(tag), 전자 칩(electronic chip), 판독 가능한 코드(readable code), 스펙트럼식으로 탐지 가능한 이미지(spectrally detectable image), 스캐닝 스트립(scanning strip) 또는 워터마킹(watermarking)을 추가로 포함하여 "스마트(smart)" 패키징을 생성시키고, 이에 따라서, 이의 공급 과정 전체에 걸쳐서 각각의 독특한 패키지의 추적성(trackability) 및 추적 가능성(traceability)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키지는 정확한 제품 구성요소, 성분, 유통 기간 데이터를 보장하고, 제품 및 패키지의 지속성 풋프린트(sustainability footprint)의 지식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패키지 재료 및 버블은, 스펙트럼 및 광학 분류 및 처리를 사용하여, 패키지 재활용의 효율 및 정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패키지는, 상호작용적 소비자 이용, 마케팅, 프로모션 및 방식(interactive consumer uses, marketing, promotions and modes), 및 소비자 사용후 분류, 수거, 처리 및 재료 재사용을 포함한, 이러한 공급 과정 내에서의 소싱 데이터(sourcing data), 통합 데이터(integrated data), 상호 운용 및 통합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버블의 붕괴는 사물 인터넷, 모바일 장치, 스마트 가전 및 장비(smart appliance and equipment)에의 연결을 통한 GPS 위치 데이터, 타임 스탬프(time stamp), 상호작용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마케팅 정보, 소비자 사용 및/또는 제품 정보를 활성화할 수 있거나, 다른 근접 장치 또는 기능(proximate devices or functions)을 배포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다. 센서는 버블 내에 위치되어 폴리머 필름 구조 내로 매립될 수 있다. 데이터는, 붕괴 가능한 버블의 "펑(popping)" 소리에 의해서, 또는 빠른 공기 흐름, 또는 그 밖의 수단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경우에, 역동적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패키지는 변조 증거의 추가의 이점을 제공한다. 패키지의 변조 증거는 패키지가 밀봉되어 있는지 또는 패키지가 전에 열렸었는지 표시함으로써 음료와 제품이 안전하게 소비되는 것을 확실히 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사용된 비어있는 병 및 용기가 오염된 물질로 재충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진정성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키지는 또한 패키지 내의 "자체 폐쇄" 밸브 및 흐름 채널을 허용한다. 이러한 특징은 일반적으로는 개방 후의 병원체 및 오염물을 크게 최소화하고, 다중-사용 및 재사용 기능을 촉진한다.
본 개시의 추가의 양태 및 특징이 이하 더욱 상세히 논의된다.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 대한 최상의 방식을 포함한, 본 발명의 완전하고 가능한 개시는, 첨부된 도면의 참조를 포함한,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기재된다.
도 1은 붕괴 가능한 버블을 포함한 밀봉된 주변을 갖는 패키지의 일 구현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붕괴 가능한 버블이 파열되는 때의 도 1의 패키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1의 패키지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직사각형-형상의(rectangular-shaped) 배리어 부재를 갖는 도 1의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두 배리어 부재를 갖는 도 4의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유체 채널로부터 분리된 붕괴 가능한 버블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패키지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일반적인 삼각형-형상의(triangular-shaped) 배리어 부재를 갖는 도 6에 따른 패키지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는 패키지의 모서리에 밀봉부를 가는 본 발명의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는 도 8a의 패키지의 밀봉부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는 두 개의 붕괴 가능한 버블을 포함하는 밀봉부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패키지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b는 패키지의 모서리에 밀봉부를 가지며 두 개의 붕괴 가능한 버블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패키지의 부분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c 내지 도 9e는 도 9a의 패키지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을 붕괴시키는 방법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는 평탄 표면 상에 위치된 도 1의 패키지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b는 평탄 표면 상에 위치된 도 1의 패키지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8 및 도 39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8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9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0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1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3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4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5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6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7은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의 참조 문자의 반복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 또는 유사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해서 참조가 상세히 이루어질 것이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예가 도면에서 예시된다. 각각의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제공된다. 사실,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의 일부로서 예시되거나 기재되는 특징들은 또 다른 구현예와 함께 사용되어 여전히 추가의 구현예를 생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변형 및 변형을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제거 가능하거나 분리 가능한 마개 없이 유체를 위한 다중-사용, 재사용 가능한 유출 방지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패키지는 가요성 용기의 밀봉된 주변을 따라서 위치되는 붕괴 가능한 지점 및 자체 폐쇄 밸브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라 패키지를 개방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엎질러짐 방지 패키지의 특정한 배열 때문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의 엎질러짐 방지 패키지가 기존의 유체 병을 개선시키는데, 그 이유는, 자체 폐쇄 밸브가 패키지 내의 유동성 물질이 엎질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캡 또는 어떠한 재료의 제거 없이 그리고 별도의 캡 링(cap ring) 없이, 패키지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기 때문임을 발견하였다.
일 구현예에서, 패키지는 폴리머 필름의 하나 이상의 층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패키지의 벽은 가요성이고, 패키지는 원-피스(one-piece)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과거에는, 이러한 패키지는 개방시키기가 비교적 어려웠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는 개방시키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우발적인 유출을 방지하는 정확하고 제어된 방식으로 유체를 분배할 수 있는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름녀, 패키지는 원-피스, 하나의 필름-유형 (단일 재료(monomaterial)) 패키지이다. 패키지는 펑하고 터저서 필름의 층을 분리하고 패키지를 개방시킬 수 있는 패키지의 상부에 있는 버블을 갖는다. 패키지를 개방시키기 위한 캡(cap), 뚜껑(lid) 또는 어떠한 다른 재료가 제거될 필요가 없다. 필름 층이 버블 상의 압력으로 인해서 분리되는 경우에, 버블은 들을 수 있는 "펑(pop)" 소리를 제공한다.
패키지는 또한 용기의 유체 채널 근처에 있는 자체 폐쇄 밸브를 함유한다. 자체 폐쇄 밸브는, 용기가 개방된 후에, 유체가 용기 밖으로 쏟아지거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용기에 압력이 제공되지 않으면, 자체 폐쇄 밸브가 패키지의 내용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용기에 압력을 가하면, 예컨대, 용기를 압착하면, 자체 폐쇄 밸브가 개방되고, 액체가 패키지의 유체 출구로부터 사용자의 입 안으로 또는 용기 내로 부어질 수 있거나 제어-분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키지는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패키지를 용이하게 개방되게 하고, 이는 그 내용물의 원치않는 쏟아짐을 방지한다. 패키지는 사용되고, 그것이 개방된 후에, 복수 회로 재사용될 수 있어서, 일회용 용기를 다중-사용 용기로 변형시킬 수 있다. 패키지는 또한 제품 페기물 및 손실을 감소시킨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은 패키지의 접힌 부분, 예컨대, 패키지의 접힌 모서리에 위치될 수 있다. 접힌 부분이 접힌 위치에 있으면, 버블은 패키지의 내부 용적으로부터 밀봉된다. 그러나, 버블을 붕괴시키고, 접힌 부분을 펼치고, 압력을 용기에 가한 후에는, 패키지의 내부 용적 내의 액체가 유체 채널 및 유체 출구를 통해서 흐를 수 있다. 한 가지 더 구현예에서, 패키지는 두 개의 붕괴 가능한 버블과 함께 그 사이에 있는 접힘부(fold)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가요성 용기는, 내부 용적이 유체 제품으로 충전되는 경우에, 유체 채널의 밸브-유사 통로에 형성되는 붕괴 가능한 버블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전체 패키지는 단일의 재료 또는 폴리머로부터 제조된다. 단일의 재료 또는 폴리머로부터 제조됨으로써, 완전히 재활용 가능한 패키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키지는, 재료를 분류해야 하는 것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경제적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10은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패키지를 나타낸다. 패키지(10)는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은, 일반적으로는, 가요성 폴리머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은 가요성 폴리머 필름의 단일 시트의 부분들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은 가요성 폴리머 필름의 별도의 시트일 수 있다. 패키지(10)는 패키지에 함유되거나 이에 수용되는 제품의 유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서 어떠한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은 어떠한 적합한 폴리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젖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바이오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bio poly butylene succinate),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셀룰로오스 폴리머, 이들의 혼합물, 이들의 코폴리머, 및 이들의 터폴리머 등을 포함한다. 또한, 패키지는 어떠한 적합한 탄성 폴리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은 가요성 폴리머 필름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어떠한 적합한 필름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은 금속화된 필름, 적층 페이퍼, 셀룰로오스, 식물-기반 또는 바이오-기반, 생분해성, 또는 바이오 퇴비화 가능한 필름(bio compostable film)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은 각각 단일의 재료 층을 포함할 수 있거나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코팅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은 각각 그 밖의 기능성 폴리머 층으로 한 면 또는 양면 상에 코팅된 폴리머 재료의 코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기능성 폴리머 층은, 예를 들어, 산소 배리어 부재 층, 자외선 필터 층, 블로킹 방지층(anti-blocking layer), 및 인쇄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은 각각 반투명 또는 투명할 수 있다. 반투명 또는 투명의 경우에, 예를 들어, 패키지(10)의 내용물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은 각각 불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패키지(10)는, 예를 들어, 브랜드 및 제품 내부의 설명을 확인하거나, 쿠폰을 나타내거나 센서, 태그 또는 다양한 그 밖의 표시를 통합하는 다양한 그래픽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필름(11)은 반투명 또는 투명하면서, 제2 필름(12)은 불투명하고, 제1 필름(11)은 불투명하면서, 제2 필름(12)은 반투명 또는 투명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은 가요성 용기(14)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될 수 있다.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은 어떠한 적합한 밀봉 기술, 예컨대, 접착제 또는 폴리머 또는 나노분자 결합 공정을 사용하여 함께 밀봉 또는 융착될 수 있다.
가요성 용기(14)는 유체 제품, 예를 들어,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도 2에 도시된 내부 용적(15)을 한정할 수 있다. 밀봉된 내부 용적(15)의 가장자리의 외부에 놓이는 제1 필름(11) 및 제2 필름(12) 부분은 밀봉부(81)에 의해서 한정된 패키지 주변부(80)를 한정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품은 내부 용적(15)에 자리할 수 있다. 제품은, 일부 구현예에서, 음료수, 예컨대, 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예를 들어, 유체 제품은 음료수, 젤(gel), 크림(cream), 페이스트(paste), 시럽(syrup), 벌꿀, 오일, 소스(sauce), 윤활제, 또는 그리스(grease)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품은 에멀션(emulsion), 예컨대, 마요네즈(mayonnaise)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품은 어떠한 다른 액체 또는 유동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는 유체 채널(20)을 함유할 수 있다. 유체 채널(20)은 제1 단부에서 유체 출구(21)에 연결되고 제2 단부(22)에서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에 연결된다. 자체 폐쇄 밸브(23)는 유체 채널(20)의 제2 단부(22)에 위치되어 제품(16)의 원치않는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자체 폐쇄 밸브(23)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리어 부재(24)를 포함한다. 배리어 부재는 유체 채널(20)의 제2 단부(22) 근처의 위치에서 제1 가요성 필름(11) 및 제2 가요성 필름(12)를 함께 융착시키거나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 부재(24)는 형상이 신장될 수 있고 유체 채널(20)의 제2 단부(22)로 가로 놓인다. 일 구현예에서, 도 3 내지 도 5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부재(24)는 유체 채널(20)의 폭보다 더 큰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배리어 부재(24)의 길이는 유체 채널(20)의 폭보다 단지 약간 더 길고, 예컨대, 약 1mm 내지 약 10mm 더 길다. 이는 배리어 부재(24)와 유체 채널(20)의 에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25)를 생성시킨다. 배리어 부재(24)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채널(20)의 각 측 상에 밸브-유사 통로(25)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배리어 부재(24)는 일 측 상에서 패키지 주변부(80)로 일관되게 연장되어, 단지 내부 용적(15)과 유체 채널(20) 사이에 단일의 밸브-유사 통로(25)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25)는 배리어 부재(24)와 용기(14)의 밀봉부(80) 사이에 공간의 형상에 의해서 결정되는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통로(25)의 굴곡된 형상은, 용기(14)가 압착되어 유체를 가압하지 않는 한, 통로(25)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배리어 부재(24)는 유체 채널(20)의 일반 방향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배리어 부재(24)는, 더 우수한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밀봉부(100)가 상향으로 아치형시도록 하는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패키지(10)의 자체 폐쇄 밸브(23)는 하나의 배리어 부재(24)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패키지(10)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에 따른 패키지(10)는 둘 이상의 배리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채널(20)은 그 사이에, 예를 들어, 5 mm 내지 20 mm 또는 어떠한 범위 또는 값,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15 mm, 예컨대, 약 12 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유체 채널(20)은 용기(14)의 적용에 따라서 어떠한 요망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이 제품으로 충전되는 경우에, 제1 가요성 필름(11) 및 제2 가요성 필름(12)은 가요성 용기(14)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1 가요성 필름(11) 및 제2 가요성 필름(12)의 분리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25)를 가로질러 접힘부를 생성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라인(26, 27 및 28)은 배리어 부재(24)의 각 측상에서 밸브-유사 통로를 가로질러 존재한다. 접힘부는 파선(26, 27 및 28)에 의해서 표시된 축을 따라서 연장된다. 그러나, 접힘 라인(26, 27 및 28)은 자체 폐쇄 밸브(23) 내의 실제 접힘부의 대략적인 축을 나타내지만, 이들은 패키지(10)의 표면으부터 명확히 가시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접힘부(26, 27 및 28) 뿐만 아니라, 유체 채널(20) 개구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배리어 부재(24)는 밀봉부(100)를 포함한 패키지(80)의 주변의 일부가 안쪽으로 굽어지게(아치형) 한다. 유체 채널(20)을 포함하는, 접힘부들 사이의 영역의 아치화(arching)는 서로에 대해서 이러한 영역에서 두 가요성 필름(11 및 12)을 가압하는 효과를 가져서, 밸브-유사 통로(25)을 통한 그리고 유체 채널(20)을 통한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자체 폐쇄 밸브(23)를 형성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가 평탄 표면 상에 놓이고, 수직력이 전방 및 후방 패키지 벽의 중심에서 가요성 용기(14)의 큰 중심 부분 상에 대체로 가해지는 경우에, 접힘부(26, 27, 및 28) 및 유체 통로(20)을 포함하는 접힘부들 사이의 영역의 아치화 효과는 더욱 확연해지는 경향이 있어서, 자체 폐쇄 밸브(23)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밸브-유사 통로(25)에 가까운 접힘부들의 이러한 확연함 뿐만 아니라, 패키지(10)의 가요성 벽의 평면에 근본적으로 수직으로 일정한 힘을 가함에 의한 접힘부들 사이의 영역의 아치화에서의 증가는, 가요성 패키지(10)가 근본적인 평탄 표면 상의 이의 자연스러운 위치에 놓이는 경우에, 액체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 다른 물체가 가요성 패키지(10)의 상부에 놓이거나 적당한 압력이 사용자에 의해서 패키지(10)의 중심에 가해져, 내부 용적(15)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자체 폐쇄 밸브(23)는 그 완전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우발적인 유출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밸브-유사 통로(25)를 통한 그리고 유체 채널(20) 및 출구(21)를 통한 액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배리어 부재(24)의 평면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용기(14)를 압착함으로써 이에 특정의 압력을 가하여, 밸브-유사 통로(25)를 막고 있는 립(lip)들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압착 작용의 해제는 수축된 통로(25)를 다시 막고 용기(14)를 다시 막는다. 본질적으로는, 내부 용적(15)으로부터 액체 제품을 분출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측면으로부터 용기를 압착할 필요가 있고, 사용자가 측면으로부터 압력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용기(14)가 다시 막힌다.
배리어 부재의 평면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측면으로부터의 용기(14)의 압착은 아치화 및 접힘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용기(14) 내의 액체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이는 밸브-유사 통로(25)의 입구에 있는 가요성 시이트의 립(lip)들이 부분적으로 개방되게 하여, 액체가 흘러나오게 한다. 출구 내의 유체 채널은 액체가 여러 방식으로 용기(14)로부터 흘러나갈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유체는 단일 채널에서 흐를 수 있고 단일 스트림을 형성활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패키지는 유체가 용기(14)를 스프레이 패턴으로 빠져나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출구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되고 도시된 자체 폐쇄 밸브(23)에 대한 이점은 형성하기에 매우 간단하고, 밸브(23)의 작동이 다른 유형의 가요성 용기에서 보다 유체의 특성 및 용기(14)를 구성하는 재료의 탄성에 덜 의존적이다는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부재(24)는 유체 채널(20)의 제2 단부(22)의 반대측에 위치되며 일반적인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유체 채널(20)에 대해서 원위에 있는 일반적인 삼각형 형상의 배리어 부재(24)의 측면은 유체 채널(20)의 폭보다 더 넓은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유체 채널(20)의 일반적인 방향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밸브-유사 통로(25)는 패키지 주변부(80)와 유체 채널(20)의 제2 단부(22)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일반적인 삼각형 배리어 부재(24)의 두 개의 각각의 측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밸브-유사 통로(25)를 형성하는 일반적인 삼각형 배리어 부재(24)의 두 개의 각각의 측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목한 만곡부를 포함하여, 굴곡된 통로(25)를 생성시킬 수 있거나,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체 채널(20)의 제2 단부(22)에 가장 가까운 일반적인 삼각형 형상의 배리어 부재(24)의 지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채널(2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부재(24a)는 유체 채널(20)의 제2 단부(22)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유체 채널(20)에 대해 원위에 있는 일반적인 직사각형 형상의 배리어 부재(24)의 측면은 유체 채널(20)의 폭보다 더 넓은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유체 채널(20)의 일반적인 방향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밸브-유사 통로(25a)는 패키지 주변부(80)와 유체 채널(20)의 제2 단부(22)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일반적인 직사각형 배리어 부재(24a)의 두 개의 각각의 측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부재는, 배리어 부재가 24B 및 24C로서 나타낸 두 개의 배리어 부재를 포함하고 중앙 통로(29)를 갖는 것은 제외하고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은 유체 채널(20)의 제2 단부(22)의 반대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두 개의 배리어 부재(24B 및 24C) 사이에 생성되는 중앙 통로(29)는, 사용자가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배리어 부재(24)의 평면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용기(14)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유체 채널(20) 내의 액체의 흐름이 증가되게 한다.
또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100)는 용기(14)의 모서리에 위치되며, 접힌 부분(30)을 함유한다. 일 구현예에서, 접힌 모서리(30)에 의해서 포함된 용기(14)의 모서리(31)는 예각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용기의 모서리(31)는 약 60° 내지 약 88°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모서리(31)의 각도는 패키지의 상부 에지(51)와, 접힌 부분(30) 상에 놓이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용기(14)의 측면 에지(52) 부분 사이의 각도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각을 이룬 모서리는 접힘부(26, 27, 및 28)의 접힘과 펼쳐짐 및, 이의 자연적인 위치에 평탄하게 놓이는 경우의 더 높은 일체성 밀봉, 및 측면으로부터 압착되는 경우의 더 우수한 흐름을 유도하는 접힘부들 사이의 영역의 아치화에 관한 힘의 최적의 방향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밀봉부(100)는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포함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붕괴 가능한 버블 밀봉부(41)에 의해서 둘러싸이거나 이에 의해서 한정된다. 예를 들어, 버블 밀봉부(41)는 적어도 하나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포함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밀봉부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용이하게 분리되는 버블 밀봉부(41)의 부분, 예를 들어, 약한 지점 또는 연질 밀봉부를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자체 폐쇄 밸브(23)로부터 떨어져 있는 버블 밀봉부(41) 상의 위치, 예컨대, 자체 폐쇄 밸브(23)로부터 버블 밀봉부(41) 상의 가장 먼 지점에 위치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붕괴 가능한 지점(42), 자체 폐쇄 밸브(23)로부터 떨어져 있는 지점 및 자체 폐쇄 밸브(23)에 인접한 지점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버블(40)을 파열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버블(40)을 압착함으로써 붕괴될 수 있다. 하나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이 붕괴된 후에는, 제2 붕괴 가능한 지점(42)이, 내부 용적(15) 내의 유체 제품이 채널(25)를 통해서 통과하고 제2 붕괴 가능한 지점(42)에 대항한 충분한 압력을 생성시켜 제2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붕괴할 때까지, 예를 들어, 측면으로부터 용기(14)를 압착함으로써, 붕괴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외부 밀봉부(100)의 경계(110)와 일치할 수 있다. 더욱이,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버블(40)의 붕괴 또는 파열 시에 사용자에게 액세스(access) 또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버블(42)이 붕괴됨에 따라서 버블 내에 갇힌 가스가 빠져나가는 경우에, 액세스 또는 통로가 노출될 수 있다. 버블(40)이 단지 하나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포함하는 경우에, 액세스 또는 통로는, 외부 밀봉부(100)를 펼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전면 밀봉 표면(102) 및 후면 밀봉 표면(104)를 잡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붕괴 가능한 지점(42)에 의해서 제공된 액세스 또는 통로는 풀 탭(pull tab: 81)로 지정된 전면 밀봉 표면(102)의 일부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외부 밀봉부(100)는 유체 채널(20)이 전면 밀봉 표면(102)과 후면 밀봉 표면(104) 사이에 놓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 가요성 필름(11)의 전면 밀봉 표면(102)은 제2 가요성 필름(12)의 후면 밀봉 표면(104)에 부착된다. 전면 밀봉 표면(102) 및 후면 밀봉 표면(104)는 어떠한 적합한 밀봉 기술,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표혐을 함께 밀봉 또는 융착시키는 것과 같은 재밀봉 가능한 또는 영구적인 부착 방법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전면 밀봉 표면(102) 내에 위치된다. 버블 밀봉부(41)는 붕괴 가능한 지점 또는 약한 지점(42)에서 경계(110)과 일치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외부 밀봉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지거나 벗겨질 수 있다. 전면 및 후면 밀봉 표면(102 및 104)은 벗겨서 버블 밀봉부(41)의 하부 에지를 분리하여 유체 출구(21)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전면 및 후면 밀봉 표면(102 및 104)은 측면에서 서로 연결되어 유지되거나,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외부 밀봉부(100)의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경계(110) 내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에서 붕괴될 수 있고,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유체 채널(20)에 인접한 추가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버블(40)이 붕괴되는 경우에, 액세스 또는 통로가 경계(110) 내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에서 개방된다. 이어서, 유체 채널(20) 근처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이, 용기(14) 내의 액체(16)의 유체 압력이 제2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붕괴할 때까지, 용기(14)를 압착시킴으로써 개방되어서, 유체 출구(21)를 위한 스파우트(spout)를 형성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도 6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4)는 일반적으로는 배리어 부재(24)와 연통되는 버블 밀봉부(41)를 갖는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함유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유체 채널(20)은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둘러싸지만,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유체 채널(20)과 유체 연통되지 않는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외부 밀봉부(100)의 경계(110)와 통합된 약한 지점 또는 연질 밀봉부의 형태로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포함할 수 있어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이 파열되는 경우에, 연질 밀봉부(42)가 경계(110)를 향해서 붕괴되고 전면 밀봉 표면(102) 및 후면 밀봉 표면(104)에 액세스 또는 통로를 제공하게 한다. 이어서, 전면 밀봉 표면(102) 및 후면 밀봉 표면(104)은 서로 벗겨져서 유체 개구(21)가 드러나게 하여, 유체 채널(20)로부터 주위로의 액체(15)의 방해받지 않는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용기(14)는 역전된 밀봉부(81)에 의해서 형성된 라운딩된 주변부(rounded periphery: 80)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에지 밀봉부(81)와는 대조적인 언급된 다른 방식, 즉,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용기(14)는 용기(14)의 내부(15)에 배치된 밀봉부(81)를 가져서, 주변부(80)가 라운딩되고, 필름 재료의 선형 또는 예리한 에지를 가지지 않게 한다. 도 6a의 용기(14)는 밀봉부(81)를 따라서 제1 필름(11)과 제2 필름(12)을 결합시키고, 제1 필름(11)과 제2 필름(12)을 뒤집어서 역전시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운딩된 주변부(80)를 갖는 용기(14)를 형성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용기(14)는 단지 하나의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함유한다. 추가적으로는,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단지 패키지(14)의 한 측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튀어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구현예와 같은, 일부 구현예에서, 이러한 바람직한 것은 가요성 용기(14)의 외부에 대한 접힌 부분(30)의 부착의 방해를 최소화한다. 이와 같이, 버블(40)은 바람직하게는 단지 가요성 용기(14)의 후면 밀봉 표면(104)의 반대측의 밀봉부(100)의 전면 밀봉 표면(102)으로부터 돌출된다.
대안적으로는,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4)의 밀봉부(100)는 두 개의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은, 임의로,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두 개의 절반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최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100)는 접힘 배리어 부재(46)을 포함하여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두 개의 버블(40a 및 40b)로 접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붕괴 가능한 버블(40a)은 외부 밀봉부(100)의 경계(110) 내에 버블 밀봉부 (41a)를 가질 수 있고, 붕괴 가능한 버블(40b)은 용기(14)의 유체 채널(20)에 인접한 버블 밀봉부(41b)를 가질 수 있다. 도 9b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 밀봉부(41a 및 41b) 둘 모두는 각각 붕괴 가능한 지점(42a 및 4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붕괴 가능한 지점(42a)은 버블(40a)을 파열시켜 패키지(10)의 외부를 향해 개방시켜서 개구(43a)를 형성할 수 있고, 붕괴 가능한 지점(42b)은 붕괴되어 패키지(10)의 내부 용적(15)을 향해 개방되어 개구(43b)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100)가 펼쳐지는 경우에, 밀봉부(100)는 유체 채널(20)의 일부가 되어, 개구(43a)가 유체 출구(21)를 형성하게 한다.
임의로,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은 그들 사이에 통로(44)를 가질 수 있다. 통로(44)는 유리하게는,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이 붕괴된 경우에, 그들을 통해서 제품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100)가 통로(44)에서 접히는 경우에, 제품은 버블(40b)로부터 버블(40a) 내로 그리고 유체 출구(21)로 흐를 수 없다. 예를 들어,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구현예에서, 통로(44)는 제1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제2 붕괴 가능한 버블(40b) 사이의 실질적인 직선 통로일 수 있다. 통로(44)의 폭은 유체의 요망되는 흐름 특성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통로(44)는 제1 붕괴 가능한 버블(40a)과 제2 붕괴 가능한 버블(40b) 사이의 우회 또는 구불구불한 통로일 수 있다. 통로(44)의 폭 및 통로(44)의 우회 또는 구불구불한 경로 둘 모두는 유체의 요망되는 흐름 특성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통로(44)는 테이퍼드 통로(tapered passage)일 수 있다.
버블 밀봉부(41)는 다양한 기술 및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블 밀봉부(41)는 열 결합, 초음파 결합,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특정의 구현예에서, 버블 밀봉부(41)는 가열된 밀봉 바(sealing bar)를 버블의 외주변에 놓고 열 및 압력을 가하여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폴리머 필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버블 밀봉부(41)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또한 여러 기술 및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버블 밀봉부(41)를 형성하기 위해서 밀봉 바를 사용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압력을 변화시키거나, 온도를 변화시키거나, 붕괴 가능한 지점(42)이 존재해야 하는 버블 밀봉부(41)의 부분을 따라서, 밀봉 바가 재료와 접촉되는 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버블 밀봉부(41)는 가열 밀봉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필-실(peel seal)"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붕괴 가능한 버블(40)이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따라서 붕괴되는 경우에, 작은 개구가 버블 밀봉부(41)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버블 밀봉부(41)의 붕괴된 부분은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추가로 붕괴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움켜잡힐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두 개의 탭(102 및 10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블의 개구는 사용자 선호도로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붕괴에 의해서 형성된 탭의 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다양한 여러 방법 및 기술이 필 실 부분(peel seal portion)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버블 밀봉부(41)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밀봉부(41)을 따라서 제2 부분에 접착 고정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지점(42)의 제1 부분은 감압 접착제로 코팅될 수 있다. 접착제는, 예를 들어, 어떠한 적합한 접착제, 예컨대,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필 실(peel seal)의 제2 및 반대 부분은 이형층(release layer)에 코팅된 또는 적층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형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버블 밀봉부(41)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의 각각의 반대 부분은 다층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의 주요 층들은 지지층, 감압 접착제 구성요소 및 얇은 접촉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지점(42)의 두 부분은 함께 모여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부분의 얇은 접촉층은 열 및/또는 압력을 사용하여 반대 부분의 얇은 접촉 층에 부착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이 붕괴되고 버블 밀봉부(41)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이 벗겨지는 경우에, 접촉 층 중 하나의 밀봉된 영역의 일부가 그것의 감압 접착제 구성요소로부터 떼어내고, 반대 접촉 층에 접착 유지된다. 이 후에, 재밀봉은, 층들이 벗겨졌을 때에 떼어낸 접촉 부분이 분리된, 감압 접착제로 이러한 떼어낸 접촉 부분을 다시 참여시킴으로써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접촉 층은 비교적 낮은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 및 비교적 낮은 파단시 신율(elongation at break)를 갖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예는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에틸렌과 에틸렌성 불포화 코모노머의 코폴리머, 및 올레핀과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코폴리머 등을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 층들 내에 함유된 감압 접착제는 핫-멜트 종류일 수 있거나 달리 열 및/또는 압력에 민감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버블 밀봉부(41)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가열 밀봉 및 접착제 밀봉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제2 부분에 열 밀봉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따라서, 일 구현예에서, 버블 밀봉부(41)의 열 밀봉 공정을 방해하여 붕괴 가능한 부분(42)을 생성시킬 수 있는 필 실 조성물(peel seal composition)이 존재할 수 있다. 필 실 조성물은, 예를 들어, 버블 밀봉부(41)를 따라서 약한 부분을 형성하는 래커(lacquer)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접착제는 붕괴 가능한 지점(42)의 길이 상에 스팟 코팅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지점(42)이 붕괴되면, 접착제는 사용 후의 두 부분을 함께 재밀봉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버블(40) 및 밀봉부(100)가 재밀봉 가능한 구현예에서, 용기(14)는 다시 폐쇄되어 자체 폐쇄 밸브(23) 단독에 의존하는 것보다 더 강력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가스, 예컨대, 공기로 충전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버블은 또한, 공기 또는 가스 외에, 어떠한 다른 유체, 예컨대, 액체로 충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내부 용적은 일반적으로는 유체 채널(20)과 유체 연통될 수 있다. 버블 내의 가스 압력은, 붕괴 가능한 버블(40)이 붕괴될 때까지, 용기의 내용물이 유체 채널(20)을 통해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붕괴 전에, 용기(14)의 내부 용적 내의 유체는 자체 폐쇄 밸브(23) 및 버블(40) 내의 가스 압력 둘 모두에 의해서 붕괴 가능한 버블(40) 내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것은 추가로 버블 밀봉부(42)에 의해서 주위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팽창 가능하여 소비자에 의해서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의해서 용기(14)를 개방시킨다. 작은 버블들의 경우에, 소비자는 그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서 버블 또는 버블들을 간단히 꼬집을 수 있다. 약간 더 큰 버블들은 엄지-대-엄지 압력(thumb-to-thumb pressure)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압력은 또한 버블을 평탄 표면에 올려놓고 압력을 그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으로 가함으로써 버블에 가해질 수 있다.
압력이 붕괴 가능한 버블(40)에 가해지는 경우에, 버블 내의 대기는 압력을 버블 밀봉부(41)에 가하며, 이는 버블(40)이 가장 약한 부분에서 붕괴되게 한다. 예를 들어,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버블(40)의 분리가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따라서 발생하여 에지 붕괴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지 붕괴는 용기의 내용물을 분배하기 위한 유체 채널(20)에의 접근을 허용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에지 붕괴는 유체 채널(20)을 더 우수하게 노출시키기 해서 용이하게 벗겨질 수 있는 플랩(flaps: 81 및 8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붕괴된 후의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도시하고 있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버블(40)이 붕괴되는 경우에, 독특한 붕괴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붕괴 소리는, 붕괴 가능한 버블(40)이 붕괴되는 경우에, 전면 및 후면 밀봉 표면(102 및 104)로부터 빠져나가는 갇힌 유체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붕괴 가능한 버블(40)이 붕괴되는 경우에, 작은 풍선이 터지는 것과 유사한 펑하는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피핑 소리(peeping sound), 스냅핑 소리(snapping sound), 또는 휘파람 소리(whistling sound)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원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어떠한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다른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삼각형일 수 있거나, 하트-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직사각형-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더욱 복잡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용기는 어떠한 적합한 형상 및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패키지를 개방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사용자는 이하 방법에 따라서 외부 밀봉부(100)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키지를 개방시킬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바람직하게는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붕괴시킴으로써,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파열시킨다. 둘째로, 붕괴 가능한 지점(42)의 붕괴는 사용자가 풀 탭(pull tab: 81 및 82)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셋째로, 풀 탭의 사용에 의해서, 사용자는 제2 가요성 필름(12)의 후면 밀봉 표면(104)으로부터 제1 가요성 필름(11)의 전면 밀봉 표면(102)를 벗겨낸다. 넷째로, 사용자는, 전체 버블 밀봉부(41)가 붕괴될 때까지, 밀봉 표면(102 및 104)을 계속 벗겨낸다. 버블 밀봉부(41)가 충분한 범위로 붕괴되어 유체 출구(21)를 노출시키는 경우에, 유체 출구(21)는 주위 대기와 유체 연통되도록 허용되며, 사용자가 유체 채널(20) 및 자체 폐쇄 밸브(23)에 의해서 내부 용적(15) 내의 내용물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임의로, 사용자는 유체 출구(21)에 대한 더욱 편리한 접근을 위해서 제1 밀봉 표면(102)을 다시 접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밀봉부(100)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개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갖는 단일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포함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밀봉부(100)의 경계(110) 내에 그리고 자체 폐쇄 밸브(23)로부터 가장 먼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붕괴시킴으로써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파열시킨다. 제1 붕괴 가능한 지점(42)이 붕괴된 후에, 사용자는, 제2 붕괴 가능한 지점(42)이 액체에 의해서 붕괴될 때까지, 패키지(10)를 압착시켜서 자체 폐쇄 밸브(23) 근처의 제2 붕괴 가능한 지점(42)에 대항한 액체 내용물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붕괴 가능한 지점(42) 둘 모두가 붕괴된 경우에, 유체 출구(21)가 형성되어서, 주위 대기와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여, 사용자가 유체 채널(20) 및 자체 폐쇄 밸브(23)에 의해서 내부 용적(15) 내의 내용물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밀봉부(100)가 용기(14)의 모서리에서 접힌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방법은 이하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패키지(10)는, 접힌 부분(30)이 접힌 위치에 있어서, 붕괴 가능한 버블(40)과 패키지의 내부 용적(15) 사이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8a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버블 밀봉부(42)를 붕괴시키고 제1 가요성 필름(11)을 제2 가요성 필름(12)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에 충분한 압력을 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접힘 라인(5)에 가장 가까운 버블(4)의 섹션(section) 상에 압력을 가한다.
버블이 붕괴된 후에, 사용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부분(30)을 접힌 위치에서 펼쳐진 위치로 펼친다. 이는 주위와 자체 폐쇄 밸브(23)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한다. 사용자는 유체 출구(21)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버블의 붕괴에 의해서 형성된 두 개의 탭(81 및 82)을 추가로 분리해야 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밀봉부(100)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힌 두 개의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을 포함하는 경우에, 방법은 이하와 같이 그리고 도 9d 및 도 9e에 예시된 바와 같이수행될 수 있다. 먼저, 패키지(10)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40a)이 버블(40b) 상에 접혀서 버블(40a 및 40b)들 사이의 어떠한 유체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붕괴 가능한 지점(42a 및 42b)를 붕괴시켜 개구(43a 및 43b)를 형성하기 위해서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에 충분한 압력을 가한다. 버블(42a 및 42b)이 붕괴된 후에, 사용자는,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100)를 펼쳐진 위치로 펼친다. 이는 주위와 자체 폐쇄 밸브(23) 사이의 유체 연통을 허용한다. 이어서, 유체는 패키지(10)의 유체 출구(21)를 통해서 빠져나올 수 있다.
어떠한 구현예에서, 자체 폐쇄 밸브(23)는 원치않는 유체 흐름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패키지(10)가 개방되고 밀봉부(100)가 펼쳐지거나 벗겨져 개방되에 따라서, 자체 폐쇄 밸브(23)는 내부 용적(15)의 내용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로, 유체 채널(20)이 지면을 향하여 아래로 향해 있는 경우에도, 패키지(10)의 내용물은, 사용자가 약간의 압력을 패키지(10)의 전방 벽(11)과 후방 벽(12)의 중간에 공급하는 경우에도, 여전히 빠져나갈 수 없다. 이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배리어 부재(24) 및 자체 폐쇄 밸브(23)와 압력에 의해서 생성된 접힘부(26, 27, 및 28)에 기인된다.
요구되는 경우에, 용기(14) 내에 함유된 액체가 유체 채널(20) 및 유체 출구(21)를 통해서 쏟아져 나오게 하기 위해서, 배리어 부재(24)의 평면에 수직인 패키지(10)의 측면에 압력이 가해진다. 유체 채널(20) 및 유체 출구(21)의 형상은, 유체가 패키지로부터 쏟아져 나옴에 따라서, 흐름 특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키지는, 많은 유사한 가요성 액체 패키지 또는 파우치와는 달리 정밀한 제어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가 액체의 흐름을 중단시키기 원하는 경우에, 이들은 간단히 용기의 측면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고, 자체 폐쇄 밸브(23)가 다시 폐쇄되어 추가의 흐름을 방지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사용자는 흐름을 중단시키기 위해서 용기를 똑바로 선 위치로 다시 위치시킬 필요가 없다.
도 11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다양한 다른 구현예가 도시된다. 이들 구현예의 각각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은 자체 폐쇄 밸브 디자인 내로 통합될 수 있다. 버블은 내부 용적과 외부 환경(즉, 패키지의 외부)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붕괴될 수 있다. 버블의 붕괴는 또한 패키지 내에 함유된 제품의 제어된 분배를 위한 자체 폐쇄 밸브를 작동시킨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10)의 추가의 구현예가 도시된다. 도 38은 내부 용적(15)이 유동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의 가요성 용기(14)를 도시하고 있는 반면에, 도 39는 내부 용적(15)이 유동성 물질을 함유하는 경우의 가요성 용기(14)를 도시하고 있다. 도 38 및 도 39의 패키지(10)는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용적(15)을 갖는 가요성 용기(14)를 포함하고 밀봉된 주변부(80)를 한정한다.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가요성 용기(14)의 밀봉된 주변부(80)를 따라서 위치된다. 가요성 용기(14)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밀봉된 주변부(80)의 나머지보다 더 약한 밀봉부를 포함한다.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압력이 주변을 따라서 형성된 다른 붕괴부 없이 패키지에 가해지는 경우에 붕괴되도록 설계된다.
도 38 및 도 39의 패키지(10)는 추가로, 유체 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25)를 포함하는, 유체 채널(20)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도 38 및 도 39에서, 유체 채널(20)은 두 개의 밸브-유사 통로(25)를 포함한다. 유체 출구는 붕괴 가능한 지점(42)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두 개의 밸브-유사 통로(25)는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과 유체 연통된다.
도 38 및 도 39를 여전히 참조하면, 패키지(10)는 추가로, 유체 출구 및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 사이에 위치된 배리어 부재(24)를 함유하는, 자체 폐쇄 밸브(23)를 포함한다. 가요성 용기(14)의 두 개의 밸브-유사 통로(25)는 배리어 부재(24)와 밀봉된 주변부(80) 사이의 배리어 부재(24)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키지(14)의 경우에, 가요성 용기(14)에 가해진 압력은 붕괴 가능한 지점(42)이 붕괴되게 하여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으로부터 제어된 양의 유동성 물질을 분배시킨다. 유리하게는, 패키지는 패키지의 상부 스트립을 떼어낼 필요 없이 그리고 절단 도구, 예컨대, 가위를 사용할 필요 없이 한 손으로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추가로, 압력이 가요성 용기(14)에 더 이상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자체 폐쇄 밸브(23)는 유체 출구를 통한 유동성 물질의 흐름을 추가로 억제한다.
일 구현예에서, 유체 채널(20)은 갇힌 공기를 함유할 수 있고, 이는 이어서 붕괴 가능한 버블로서 작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유체 채널(20)은 초기에 유동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공기로 "채워"질 수 있거나, 잔량의 공기를 함유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패키지(10)는 유체 채널(20)에 공기를 포집시키기 위해서 하부로부터 유동성 물질로 충전될 수 있다. 자체 폐쇄 밸브(23)는 유체 채널(20)을 초기에 유동성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돕는다. 이어서, 사용자가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붕괴시켜 패키지(1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물질을 분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패키지(10)를 엄지와 검지로 꼬집음으로써 패키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일단 붕괴되면, 갇힌 공기가 방출된 후에 유동성 물질이 방출된다.
도 38 및 도 39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유동성 물질은 정적 압력을 나타내고, 유체 채널(20)에 함유된 갇힌 공기와 직접적인 유체 연통이 된다. 유체 채널(20) 내의 갇힌 유체 또는 갇힌 공기가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 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부 용적(15) 내의 유동성 물질은 충분한 정적 압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동성 물질은 충분한 정적 압력을 가져서, 압력을 가요성 용기(14)에 가하는 것이 유체 채널(20) 내에 함유된 갇힌 공기가 경계(110)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통해서 붕괴되어서, 유체 채널(20)과 주위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사용자가 가요성 용기(14)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유체 제품은 충분한 정적 압력을 지녀서, 자체 폐쇄 밸브(23), 두 개의 밸브-유사 통로(25), 및 접힘 라인이 유체 채널(20)에 갇힌 공기를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 내로 이동되게 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대신에 패키지를 붕괴되게 한다.
본 개시의 자체 폐쇄 밸브는 다양한 형상 또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자체 폐쇄 밸브(23)는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자체 폐쇄 밸브(23)는 다양한 다른 형상 또는 형태, 예컨대, 직사각형 형상, 수평 타원형 형상, 또는 하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배리어 부재는 가스, 예컨대, 공기로 충전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의 가요성 용기(14)는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유체 출구 및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중간에 위치된다. 그러나, 유체 출구 및 붕괴 가능한 지점은 패키지(10) 둘레의 많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유체 출구 및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예를 들어, 적어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용기(14)의 상부 모서리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패키지(10)는 가요성 용기(14)와 내부 용적(15)을 포함하고, 이들 둘 모두는 다양한 공간적 용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은 약 0.5 온스(ounce) 내지 약 5 온스의 용적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 다른 양태에서, 가요성 용기(14) 자체는 약 5 온스 내지 약 64 온스의 용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다른 패키지 내의 상이한 용적을 갖는 가요성 용기(14) 또는 내부 용적(15)이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자체 폐쇄 밸브 통로(25)의 용적 또는 폭은 유동성 물질의 점도 및/또는 요망되는 유속을 기반으로 하여 변경되고 조절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순차적인 방식으로 함께 연결되는 본 개시에 따라 기재된 복수의 패키지를 함유하는 스트립(stri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 패키지는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가요성 패키지(14)의 상부는 인접한 가요성 패키지(14)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추가의 양태에서, 패키지는 천공 라인(line of perforation)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개시에 의해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패키지(10)를 개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도 3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방법은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에 압력을 가하여, 패키지(10)의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붕괴시킴으로써, 유체 출구를 외부 환경과 연통되도록 하는 단계; 및 가요성 용기(14)에 추가의 압력을 가하여, 내부 용적(15) 내에 함유된 유동성 물질을 자체 폐쇄 밸브(23) 및 유체 출구를 통해서 가요성 용기를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내부 용적(15)을 한정하는 가요성 용기(14)를 포함하는 패키지(10)가 도시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가요성 용기(14)는 붕괴 가능한 버블(40)과 일체형인 자체 폐쇄 밸브(23)를 포함한다. 자체 폐쇄 밸브(23)는, 예를 들어, 붕괴 가능한 버블(40)에 부착된 배리어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가요성 용기(14)의 경계(110)를 향해 있는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 동안에, 사용자는 붕괴 지점(42)를 따라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파열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버블(40)의 붕괴는 풀 탭(pull tab)을 생성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풀 탭을 사용하여 제1 가요성 필름을 제2 가요성 필름으로부터 벗겨낼 수 있다. 필링 공정(peeling process) 동안에, 밸브-유사 통로(25)를 통해서 내부 용적(15)과 유체 연통되는 유체 출구가 형성된다.
대안적으로는, 일 구현예에서, 버블(40)의 붕괴는 붕괴 공정 동안에 형성되는 어떠한 풀 탭을 벗겨낼 필요 없이 밸브-유사 통로(25)와 자동적으로 연통되는 유체 출구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버블이 붕괴되는 경우에, 가요성 용기(14)를 위한 유체 출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버블(40)이 붕괴된 후에, 붕괴 가능한 지점은 밸브-유사 통로(25)의 각각 내에 여전히 유지될 수 있다. 이들 붕괴 가능한 지점은 가요성 패키지(14)의 내부 용적(15)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붕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버블(40)은 제1 단계에서 유체 출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제2 단계에서는, 일단 붕괴되면, 유체 출구와 밸브-유사 통로(25)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용기 내의 추가의 지점 또는 밀봉부를 붕괴시키기 위해서 압력이 가요성 용기(14)에 인가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일반적으로는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형성하는 연장된 지점을 형성하는 삼각형의 형상이다. 도 11에서, 가요성 용기(14)의 경계(110)는 붕괴 가능한 버블(40)과 자체 폐쇄 밸브(23)이 위치되는 예리한 모서리를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는, 가요성 용기(14)는 라운딩된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가요성 용기(14)의 또 다른 구현예가 도시된다. 도 12의 구현예는 도 11에 예시된 구현예와 매우 유사하다. 가요성 용기(14)는 붕괴 가능한 버블(40)과의 조합으로 자체 폐쇄 밸브(23)를 포함한다. 자체 폐쇄 밸브(23)는 가요성 용기의 측면 또는 벽 둘 모두를 함께 부착시키는 배리어 부재(24)를 포함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붕괴 가능한 지점(42)과 함께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에 압력을 가하는 것은 붕괴 가능한 지점(42)가 붕괴되게 하고 가요성 용기(14)의 밀봉된 부분(120)을 통해서 파괴되게 한다. 밀봉된 부분(120)이 분리되면, 밸브-유사 통로(25)와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과 유체 연통되는 유체 출구가 형성된다. 도 12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가요성 용기(14)의 경계(110)는 라운딩된 모서리를 포함한다. 또한, 도 12에서의 배리어 부재(24)는 도 11에 예시된 배리어 부재(24)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이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가요성 용기(14)의 두 가지 다른 구현예가 도시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요성 용기(14)는 내부 용적(15)을 한정한다. 두 개의 대면하는 필름 층들 사이에 부착되는 것은 일체형 자체 폐쇄 밸브(23)와 붕괴 가능한 버블(40)이다. 자체 폐쇄 밸브(23)는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위한 버블 밀봉부를 또한 포함하는 배리어 부재(24)에 의해서 한정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가요성 용기(14)의 경계(110)에 의해서 한정된 유체 출구를 향하고 있는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포함한다.
사용 동안에, 사용자는 붕괴 가능한 지점(42)에 있는 버블(4)을 붕괴시켜 유체 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버블이 붕괴되는 경우에, 대향하는 풀 탭의 쌍이 밸브-유사 통로(25)와 내부 용적(15) 사이의 유체 연통을 형성하도록 용기를 추가로 개방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가요성 용기(14)는, 붕괴 가능한 버블(40)이 붕괴된 후에,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붕괴될 수 있는 밸브-유사 통로(25)를 따라서 위치된 붕괴 가능한 밀봉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요성 용기(14)는 일반적으로는 동일한 요소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과 자체 폐쇄 밸브(23)(이들은 함께 통합된다)는 아크-유사 형상(arc-like shape)을 갖는다. 더욱 특히, 자체 폐쇄 밸브(23)와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굽은 형상을 가져서, 곡선의 오목한 부분이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을 향하게 한다. 도 13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균일하게 굽은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도 13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붕괴 가능한 지점(42)가 위치되는 정점을 한정하는 화살표-유사 형상에 더 가깝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가요성 용기(14)의 추가의 구현예가 도시된다.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용기(14)는 밸브-유사 통로(25)와 유체 연통되는 내부 용적(15)을 포함한다. 가요성 용기(14)는 추가로 일체화된 자체 폐쇄 밸브(23)와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포함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경계(110)에서 유체 출구를 형성하도록 패키지의 모서리를 향해있는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포함한다. 도 13 및 도 14에 예시된 구현예와 유사하게,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버블 밀봉부(41)는 또한 자체 폐쇄 밸브(23)를 위한 배리어 부재를 형성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붕괴되는 경우에, 유체 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패키지는 붕괴 가능한 버블에 의해서 형성된 유체 출구가 밸브-유사 통로(25)와 유체 연통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도 15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자체 폐쇄 밸브(23)와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하트 형상의 지점 또는 정점이 가요성 패키지(14)의 경계(110)를 향해 있는 하트-유사 모양을 갖는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하트-유사 형상은 패키지에 추가의 접힘 라인을 생성시킬 수 있고, 패키지에 더 큰 강도를 제공할 수 있고/거나, 제품, 예컨대, 유체가 내부 용적(15)으로부터 분배되는 경우의 패키지의 흐름 특성에 비해서 더 우수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요성 용기(14)는 도 15에 예시된 패키지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도 16에서, 가요성 용기(14)의 경계(110)는 라운딩된 모서리를 갖는다. 자체 폐쇄 밸브(23) 및 하트 형상의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갖는 것에 추가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요성 용기(14)는 추가로 붕괴 가능한 버블(40)로부터 떨어져 있는 추가의 배리어 부재(130)를 포함한다. 배리어 부재(130) 및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자체 폐쇄 밸브(23)를 형성한다. 도 16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배리어 부재(130)는 패키지의 대향하는 벽을 함께 연결시키는 둥근 또는 원형 형상을 갖는다. 배리어 부재(130)는, 가요성 용기(14) 내의 불리한 유체 흐름 특성을 생성시키지 않으면서, 자체 폐쇄 밸브(23)에 추가의 강도 및 일체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붕괴 가능한 버블(40)로부터 충분한 거리로 이격된다. 일 구현예에서, 배리어 부재(130)는 가요성 용기(14)의 대향하는 벽을 연결시키는 점 결합(point bond)일 수 있다.
도 17,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추가의 구현예가 도시된다. 도 17 내지 도 19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가요성 용기(14)는 또한 통합된 자체 폐쇄 밸브(23)와 붕괴 가능한 버블(40)를 포함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버블 밀봉부(41)는, 예를 들어, 자체 폐쇄 밸브(23)를 형성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버블 밀봉부(41)는 또한 제품을 경계(110)를 통해서 가요성 용기(14)로부터 외부 환경으로 제어 방식으로 분배하기 위한 내부 용적(15)과 유체 연통되는 밸브-유사 통로(25)를 형성한다.
도 17 내지 도 19에서 예시된 구현예에서, 자체 폐쇄 밸브(23)와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플루트-유사 형상(flute-like shape) 또는 플라스크-유사 형상(flask-like shape)을 갖는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스파우트(134)와 유체 연통되는 원뿔 바디(conical body: 132)를 포함한다. 붕괴 가능한 지점(42)은 경계(110)의 방향으로 스파우트(134)의 단부에 위치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붕괴되는 경우에, 경계(110)를 통해서 유체 출구를 형성한다. 또한, 버블(40)의 붕괴는 밸브-유사 통로(25)와 형성되는 유체 출구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요성 용기(14)는 도 17에서 도시된 가요성 용기(14)와 구성이 유사하다. 도 18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원뿔형상 바디(132)는 상이한 형태를 갖는 밸브-유사 통로(25)를 형성하기 위해서 더 큰 폭을 갖는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용기(14)의 모서리는, 버블(40)이 붕괴될 때, 유체 개구의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붕괴 가능한 지점(42)의 반대측에 평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7 및 도 18에 예시된 형상과 유사한 자체 폐쇄 밸브(23)와 붕괴 가능한 버블(40)이 예시된다. 그러나, 도 19에서, 원뿔 바디(132)는 더욱 라운딩된 형상을 갖는다. 추가로, 스파우트(134)는 원뿔 바디(132)에 비해서 더 넓다. 또한, 도 19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가요성 용기(14)는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스파우트(134)의 형상에 순응하는 형상을 갖는 목 부분(neck portion: 136)을 포함한다. 목 부분(136)은 추가로 유체 흐름에 대한 더 우수한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밸브-유사 통로(25)의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또한, 목 부분(136)은, 버블(40)이 붕괴되면, 유체 개구의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되는 가요성 용기(14)의 또 다른 추가의 구현예가 예시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가요성 용기(14)는 도 19에 도시된 구현예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용기(14)는 통합된 자체 폐쇄 밸브(23)와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포함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자체 폐쇄 밸브의 배리어 부재를 형성하는 버블 밀봉부(41)를 포함한다. 버블 밀봉부는 가요성 용기(14)의 두 외부 벽 또는 표면 사이를 연결시키고 밸브-유사 통로(25)를 형성한다. 가요성 용기(14)는 경계(110)를 따른 밀봉된 단부를 포함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포함한다. 버블 4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버블은 가요성 용기(14)의 경계(110)를 통한 유체 출구를 형성한다. 또한, 유체 출구는 제품을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으로부터 제어 방식으로 분배시키기 위한 밸브-유사 통로(25)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도 20을 예시하고 있는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원뿔형상 분분(132)과 스파우트 부분(134)를 포함하는 벨-유사 형상(bell-like shape)을 가질 수 있다. 스파우트 부분(134)은 일반적으로는 가요성 용기(14)의 목 부분(136)의 윤곽을 따른다.
도 21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또한 바디 부분(132)과 스파우트 부분(134)을 포함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일반적으로는 도 17, 도 18 및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플루트-유사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세 개의 삼각형 로브(three triangular lob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체 폐쇄 밸브(23)는 추가로 도 16에 도시된 배리어 부재(130)와 유사한 배리어 부재(130)를 포함한다. 배리어 부재 130는 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자체 폐쇄 밸브(23)에 추가의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서 가요성 용기(14)의 두 대향하는 표면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제, 도 22 및 도 23에 예시된 가요성 용기(14)를 참조하면, 자체 폐쇄 밸브(23)이 붕괴 가능한 버블(40)와 일체형인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패키지의 추가의 구현예가 도시된다. 자체 폐쇄 밸브(23)와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도 11 내지 도 21에 예시된 구현예 중 어느 구현예와 유사한 패키지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2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타원형의 형상이다. 타원형은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한정하는 기다란 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4)의 기다란 바디는 경계(110)를 갖는 가요성 용기(14)의 목 부분(136)을 향해 있고 이와 상응한다. 버블 밀봉부(41)는 자체 폐쇄 밸브(23)를 위한 배리어 부재로서 작용하고 밸브-유사 통로(25)를 한정한다.
도 23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원의 형상이며, 도 22에 예시된 구현예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이제, 도 24를 참조하면, 자체 폐쇄 밸브(23)와 통합되는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포함한 가요성 용기(14)의 또 다른 구현예가 예시된다. 도 24에 예시된 구현예는 도 21에 예시된 구현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도 24에서, 자체 폐쇄 밸브(23)는 버블 밀봉부(41)에 의해서 배타적으로 한정되고, 붕괴 가능한 버블(40) 아래에 위치된 별도의 배리어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제,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되는 가요성 용기(14)의 추가의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5 내지 도 27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가요성 용기(14)는 디스크-유사 형상을 갖는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포함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자체 폐쇄 밸브(23)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체형이다. 자체 폐쇄 밸브(23)과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가요성 용기(14)의 목 부분(136) 내로 연장되는 밸브-유사 통로(25)를 형성한다. 밸브-유사 통로(25)는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과 유체 연통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버블 밀봉부(41)와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포함한다. 가요성 용기(14)는 추가로 배리어 부재(2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자체 폐쇄 밸브(23)는 버블 밀봉부(41)와 함께 배리어 부재(24)에 의해서 형성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경계(110)를 통해서 유체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붕괴 가능한 지점(42)를 통해 목 부분(136)의 방향으로 붕괴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단 버블(40)이 붕괴되면 풀 탭을 다시 벗김으로써, 또는 가요성 용기(14)의 내부 용적(15)에 압력을 추가로 인가함으로써, 붕괴 가능한 버블(40)에 의해서 형성된 유체 출구가 밸브-유사 통로(25)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도 26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붕괴 가능한 버블(40)이 붕괴 가능한 지점(42)과 목 부분(136)의 반대쪽에 위치한 험프 부분(hump portion)을 포함함을 제외하고는, 도 25에 예시된 구현예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추가로, 이러한 구현예에서, 버블 밀봉부(41)는 전체 자체 폐쇄 밸브(23)를 형성한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목 부분(136)을 향해 있는 오목한 형상의 표면을 포함한다.
이제, 도 27에 도시된 가요성 용기(14)를 참조하면, 붕괴 가능한 버블(40) 및 자체 폐쇄 밸브(23)는 도 26에 예시된 붕괴 가능한 버블(40)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도 27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험프 부분(140)은 추가의 배리어 부재에 의해서 분리되고, 이에 따라서,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부분이 아니다. 그 대신에, 가요성 용기(14)는 자체 폐쇄 밸브(23)를 형성하기 위해서 붕괴 가능한 버블(40)로부터 연장되는 별도의 배리어 부재(24)를 포함한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가요성 용기(14)의 추가의 구현예가 도시된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가요성 용기(14)는 도 14에 예시된 가요성 용기(14)와 매우 유사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8 및 도 29에 예시된 구현예에서의 붕괴 가능한 버블은 붕괴 가능한 지점(42)이 위치되는 정점을 갖는 화살표 형상이다. 각각의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정점은 가요성 용기(14)의 목 부분(136)을 향해 있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자체 폐쇄 밸브(23)를 형성하기 위해서 밸브-유사 통로(25)를 형성한다. 도 28 및 도 29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자체 폐쇄 밸브(23)는 추가로 패키지의 한 측을 강도 및 일체성을 제공하기 위한 패키지의 양측과 연결시키는 배리어 부재(130)를 포함한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부재(130)는 원의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에서, 배리어 부재(130)는 어떠한 적합한 형상, 예컨대,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복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화살표-유사 형상으로 예시된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추가의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1에 예시된 구현예는 도 14에 예시된 구현예와 구성 및 기능이 유사하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예를 들어, 자체 폐쇄 밸브(23)를 형성하고 밸브-유사 통로(25)를 형성하는 작용을 또한 하는 버블 밀봉부(41)를 포함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가요성 용기(14)의 또 다른 구현예가 도시된다. 가요성 용기(14)는 붕괴 지점(42)을 갖고 버블 밀봉부(41)에 의해서 형성되는 붕괴 가능한 버블(40)을 포함한다. 버블 밀봉부(41)는 또한 밸브-유사 통로(25)를 한정하는 자체 폐쇄 밸브(23)를 형성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도 13에 예시된 구현예와 구성이 유사하다. 그러나, 도 30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버블(40)은 바디 부분(132)뿐만 아니라, 가요성 용기(14)의 목 부분(136) 내로 연장되는 스파우트 부분(134)을 포함한다. 스파우트 부분(134)은 버블이 붕괴되는 경우에 유체 개구의 형성을 촉진할 수 있고, 유체 통로(25)를 더 잘 한정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되는 가요성 용기(14)의 추가의 구현예가 도시된다. 도 32 및 도 33에서, 버블 밀봉부(41)와 붕괴 가능한 지점(42)에 의해서 한정된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자체 폐쇄 밸브(23)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자체 폐쇄 밸브(23)는 추가로, 예시된 구현예에서, 수평 로드-유사 부재의 형상으로 있는 배리어 부재(130)를 포함한다. 도 32의 구현예는 도 23에 예시된 구현예와 디자인 및 구성이 매우 유사하다. 도 33에 예시된 구현예는 도 22에 예시된 구현예와 디자인 및 기능이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도 32 및 도 33에 예시된 구현예는 패키지의 대향하는 벽들을 함께 연결시키고 다양한 상이한 기능 및 사용을 가질 수 있는 추가의 배리어 부재(1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배리어 부재(130)는 밸브-유사 통로(25)를 더 우수하게 한정할 수 있고, 패키지에 대한 추가의 구조 및 일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 부재(130)는, 버블(40)이 붕괴된 후에 그리고 내부 용적(15)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품을 가요성 용기(14)로부터 분배하는 동안에 패키지의 접힘 라인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붕괴 가능한 버블(40) 및 자체 폐쇄 밸브(23)를 포함하는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되는 가요성 용기(14)가 도시되어 있다. 더욱 특히,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자체 폐쇄 밸브(23)을 한정하고 밸브-유사 통로(25)를 형성하는 버블 밀봉부(41)를 포함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가요성 용기(14)의 경계(110)를 향하고 있고 목 부분(136) 내에 있는 붕괴 가능한 지점(42)을 포함한다. 도 34에 예시된 구현예는 도 17에 도시된 가요성 용기(14)와 형상 및 기능이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도 34에서, 가요성 버블의 바디 부분(132)은 붕괴 가능한 버블(40)의 스파우트 부분(134) 내로 전진적으로 연장된다.
도 55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되는 가요성 용기의 또 다른 구현예가 도시된다. 도 35에서, 자체 폐쇄 밸브(23)와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도 31에 예시된 구현예와 디자인 및 기능이 매우 유사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붕괴 가능한 버블(40)은 화살표-유사 형상을 가지며, "어류 꼬리(fish tail)"의 형상을 갖는적으로 기재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35에서 그리고 도 38 및 도 39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가요성 용기의 각각은 단일의 붕괴 가능한 버블을 포함한다.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제조된 가요성 용기(14)의 추가의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6 및 도 37에서, 각각의 가요성 용기(14)는 밸브-유사 통로(25)와 자체 폐쇄 밸브(23)를 형성하기 위해서 함께 협동하는 두 개의 상이한 붕괴 가능한 버블을 함유한다.
도 3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가요성 용기(14)는 제2 붕괴 가능한 버블(40B)로부터 이격된 제1 붕괴 가능한 버블(40A)를 포함한다.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은 굽어있거나 "부메랑(boomera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는 버블 밀봉부(41A 및 41B) 및 경계(110)를 향해 있는 붕괴 가능한 지점(42A 및 42B)을 포함한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는 일차적으로는 가요성 용기(14)의 목 부분(136)에 위치된다.
두 개의 상응하는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는 또한 밸브-유사 통로(25)를 한정하는 자체 폐쇄 밸브(23)를 형성한다. 사용자가 패키지를 개방하고 내용물을 분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경계(110)를 통해서 붕괴를 유발시키기 위해서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에 압력을 가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밸브-유사 통로(25)와 유체 연통되는 푸어 스파우트(pour spout)를 생성시키기 위해서 용기의 대향하는 측 또는 벽을 벗길 수 있다. 내부 용적(15)에 압력을 가하는 것은 유체 출구를 통한 제품의 제어된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도 37을 참조하면, 가요성 용기(14)는 도 36에 예시된 구현예와 형상 및 기능이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도 37에서, 대향하는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은 "초승달-유사 형상(crescent moon-like shape)"을 갖는다.
도 37에 예시된 구현예에서, 가요성 용기(14)는 추가로 용기의 대향하는 벽을 함께 부착시키는 배리어 부재(130)를 포함한다. 배리어 부재(130)는 어떠한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배리어 부재(130)는 원형 형상을 가지며, 밸브-유사 통로(25)를 형성하기 위해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과 이격되어 있다. 배리어 부재(130)는 패키지에 더 큰 강도 및 일체성을 제공할 수 있고, 붕괴 가능한 버블(40A 및 40B)에 의해서 형성된 유체 출구를 통해서 유체 흐름에 대한 더 우수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된 설명은 최상의 방식을 포함하여 본 발명을 개시하고 위해서, 그리고 또한, 어떠한 장치 또는 시스템을 제조하여 사용하고 어떠한 통합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예를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허 가능한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며,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생하는 다른 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예들은, 그들이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다르지 않은 구조적 요소를 포함한다면, 또는 그들이 청구범위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와 실질적 차이가 없는 등가의 구조 요소를 포함한다면,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9)

  1. 패키지(package)로서,
    유동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용적(interior volume)을 가지며, 밀봉된 주변부(sealed periphery)를 한정하는 가요성 용기(peeling process);
    가요성 용기의 밀봉된 주변부를 따라서 위치되고, 밀봉된 주변부의 나머지 보다 더 약한 밀봉부를 갖는 붕괴 가능한 지점(breachable point);
    유체 출구 및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valve-like passageway)를 포함하는 유체 채널로서, 유체 출구는 붕괴 가능한 지점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는 가요성 용기의 내부 용적과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되는, 유체 채널(fluid channel);
    유체 출구와 가요성 용기의 내부 용적 사이에 위치되는 배리어 부재(barrier member)를 포함하는 자체 폐쇄 밸브(self-closing valve)로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유사 통로가 배리어 부재와 밀봉된 주변부 사이에 형성되는, 자체 폐쇄 밸브를 포함하고,
    여기서, 가요성 용기에 가해진 압력이 용기의 내부 용적으로부터 제어된 양의 유동성 물질을 분배시키기 위해서 붕괴 가능한 지점을 붕괴되게 하고, 압력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자체 폐쇄 밸브가 유체 출구를 통한 유동성 물질의 추가 흐름을 억제하는, 패키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체 채널이 초기에, 가요성 용기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붕괴 가능한 지점이 붕괴되게 하는 갇힌 공기(trapped air)를 함유하고, 갇힌 공기가, 유동성 물질이 분배되기 전에 유체 출구를 통해서 방출되는, 패키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유체 채널이 배리어 부재의 한 측에 위치된 제1 밸브-유사 통로, 및 배리어 부재의 반대 측에 위치된 제2 밸브-유사 통로를 포함하는, 패키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체 폐쇄 밸브가 삼각형 형상(triangular shape)을 갖는, 패키지.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리어 부재가 가스로 충전된 버블(bubble)을 포함하는, 패키지.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리어 부재가, 가요성 용기가 외부 압력의 부재 하에 밸브-유사 통로를 통해서 액체 흐름을 방지하게 하는, 가요성 용기 내의 접힘부(fold)를 형성하는 형상을 갖는, 패키지.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용기가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하고, 유체 출구 및 붕괴 가능한 지점이 상부의 중간에 위치되는, 패키지.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용기가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하고, 유체 출구 및 붕괴 가능한 지점이 가요성 용기의 상부 모서리에 위치되는, 패키지.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용기의 내부 용적이 약 0.5 온스(ounce) 내지 약 5 온스의 용적을 갖는, 패키지.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용기의 내부 용적이 약 5 온스 내지 약 64 온스의 용적을 갖는, 패키지.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리어 부재가 유체 채널의 단부(end)를 가로지르는, 패키지.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배리어 부재가 일반적인 직사각형 또는 수평 타원형 형상을 갖는, 패키지.
  13. 청구항 1에 있어서,
    배리어 부재가 대향하는 용기 벽(opposing container wall)을 함께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패키지.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용기가 가요성 폴리머 필름(flexible polymer film)으로 구성되는, 패키지.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용기가 가요성 금속화된 필름으로 구성되는, 패키지.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복수의 패키지를 함유하는 스트립(strip).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가요성 패키지가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하고, 가요성 패키지의 상부가 인접한 가요성 패키지의 하부에 연결되는, 스트립.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패키지가 천공 라인(line of perforation)에 의해서 분리되는, 스트립.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패키지를 개방(opening)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가요성 패키지의 내부 용적에 압력을 가하여 붕괴 가능한 지점을 붕괴시킴으로써, 유체 출구가 외부 환경과 연통되도록 하는 단계; 및
    가요성 용기에 추가의 압력을 가하여 내부 용적 내에 함유된 유동성 물질이 자체 폐쇄 밸브 및 유체 출구를 통해서 가요성 용기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01108A 2020-06-11 2021-06-10 제거 가능하거나 분리 가능한 폐쇄부가 없는 유체를 위한 다중-사용, 재사용 가능한 유출 방지 패키지 KR202300438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38028P 2020-06-11 2020-06-11
US63/038,028 2020-06-11
PCT/US2021/036784 WO2021252746A1 (en) 2020-06-11 2021-06-10 Multi-use, reusable, spill proof package for fluids without a removable or separable clo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821A true KR20230043821A (ko) 2023-03-31

Family

ID=7884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108A KR20230043821A (ko) 2020-06-11 2021-06-10 제거 가능하거나 분리 가능한 폐쇄부가 없는 유체를 위한 다중-사용, 재사용 가능한 유출 방지 패키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30134697A1 (ko)
EP (1) EP4164962A1 (ko)
JP (1) JP2023530633A (ko)
KR (1) KR20230043821A (ko)
CN (1) CN115916659A (ko)
AU (1) AU2021286635A1 (ko)
BR (1) BR112022025310A2 (ko)
CA (1) CA3182195A1 (ko)
GB (1) GB2611671A (ko)
MA (1) MA59111A1 (ko)
MX (1) MX2022015771A (ko)
WO (1) WO20212527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08380A1 (fr) * 2006-01-13 2007-07-18 Pepup S.A. Récipient souple pour liquide et méthode pour sa fabrication
US9802745B2 (en) * 2007-03-02 2017-10-31 Poppack Llc Pour channel with cohesive closure valve and locking bubble
HN2008000854A (es) * 2008-06-04 2008-10-01 Advanced Total Marketing System Inc Bolsa con valvula reguladora de flujo incorporada
US11383909B2 (en) * 2019-02-27 2022-07-12 Poppack Llc Easy to open package with controlled dispen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64962A1 (en) 2023-04-19
JP2023530633A (ja) 2023-07-19
BR112022025310A2 (pt) 2023-02-28
MX2022015771A (es) 2023-03-13
WO2021252746A1 (en) 2021-12-16
CN115916659A (zh) 2023-04-04
US20230134697A1 (en) 2023-05-04
CA3182195A1 (en) 2021-12-16
GB2611671A (en) 2023-04-12
AU2021286635A1 (en) 2023-02-09
MA59111A1 (fr)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0132B1 (en) Reclosable dispenser package
AU2008347012B2 (en) Pour channel with cohesive closure valve and locking bubble
WO2013009656A1 (en) Sanitary dispensing package
KR20080076970A (ko) 완전히 접합된 음료관 또는 분출관을 구비한 액체 밀봉 봉지.
RU2008143431A (ru) Розничная упаковка для текучих веществ
EP1375381A1 (en) Flexible pouch having dispensing nozzle and frangible seal
US20010030192A1 (en) Dispenser package and outlet forming structure
US20080179357A1 (en) Package
US20220340350A1 (en) Easy To Open Package With Controlled Dispensing Device
KR20230043821A (ko) 제거 가능하거나 분리 가능한 폐쇄부가 없는 유체를 위한 다중-사용, 재사용 가능한 유출 방지 패키지
EP2217504A1 (en) Cylindrical spout for disposable cartons
GB2294445A (en) Can with hygienic cover for dispensing orifice
EP1786687B1 (en) Pouring package and pouring member
RU2619005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 способы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20150360825A1 (en) Container with a Detachable Funnel
GB2447713A (en) Flexible liquid container mounted via a suction c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