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506A -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506A
KR20230043506A KR1020210126481A KR20210126481A KR20230043506A KR 20230043506 A KR20230043506 A KR 20230043506A KR 1020210126481 A KR1020210126481 A KR 1020210126481A KR 20210126481 A KR20210126481 A KR 20210126481A KR 20230043506 A KR20230043506 A KR 20230043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ing
user
treatment device
snoring
sleep apn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160B1 (ko
Inventor
차정열
안형준
권정승
정효정
유재훈
배소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1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8Sleep apno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3Assessment of subject's compliance to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4Monitoring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은,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입 안에 착용되고, 상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며, 사용자의 착용 시간을 포함하는 착용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치료 장치, 및 상기 치료 장치에서 전송되는 착용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입 안에 착용하는 치료 장치의 착용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환자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치료 장치에 대한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SYSTEM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SLEEP APNEA}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해 환자의 입 안에 착용하는 치료 장치의 착용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제공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잠자는 동안에 호흡 방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생기는 증상으로 상기도가 막히는 것이 원인이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하는 방법 중 하나로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도를 확보하여 수면 무호흡을 방지하는 하악전방이동장치(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가 사용된다.
하악전방이동장치의 순응도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하기 위한 핵심 요소이다. 그런데 수면중에 하악전방이동장치를 계속 착용해야 하는바, 환자가 불편함과 답답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서 하악전방이동장치의 순응도가 낮아지는 원인이 되었다.
종래 하악전방이동장치의 순응도 평가는 주로 환자에 의한 자가 보고에 의존했으나 객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치료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4279호(등록일자: 2016년08월30일)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해 환자의 입 안에 착용하는 치료 장치의 착용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은,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입 안에 착용되고, 상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며, 사용자의 착용 시간을 포함하는 착용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치료 장치, 및 상기 치료 장치에서 전송되는 착용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여 착용 시간을 구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착용 시간을 포함하는 착용 정보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치료 장치는, 상기 치료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자세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착용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착용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착용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미만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착용 정보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피드백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착용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기 치료 장치에 대한 순응도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순응도는 일박당 평균 치료 장치 착용 시간 및 치료 장치 착용일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평가되며, 상기 치료 장치 착용일 수를 평가하는 기간은 미리 정해지고,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치료 장치를 착용한 일자만 상기 치료 장치 착용일 수로 산정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피드백을 푸시 메시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피드백을 진동 알람, 소리 알람 및 화면 알람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치료 장치는, 하악전방이동장치(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입 안에 착용하는 치료 장치의 착용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환자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치료 장치에 대한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은 치료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 장치(100)는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해 환자(이하 '사용자'라 함)의 입 안에 착용된다. 치료 장치(100)는 하악전방이동장치(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일 수 있다.
치료 장치(100)를 착용함으로써 하악턱이 앞쪽으로 전진함으로써 붕괴되어진 기도부의 연조직이 함께 앞으로 견인되어 호흡에 필요한 기동 공간이 확보 유지되어 코콜이와 수면 무호흡을 치료할 수 있다.
치료 장치(100)는 사용자가 치료 장치(10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며, 사용자의 착용 시간, 수면 자세 등을 포함하는 착용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 적외선, 블루투스, NFC 등의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 및 서버(300)는 통신망(10)을 통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원격에서 교환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2G, 3G, 4G, 5G, LTE 이동 통신망,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위성 통신망, LoRa, Sigfox 등의 LPWA(Low Power Wide Area)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방식도 유선,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이라도 상관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치료 장치(100)는 상부 본체(110), 하부 본체(120), 날개부(121), 조절 스크류부(130) 및 전자장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치료 장치(100)는 동작을 위해 기타 부가적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본체(110)는 환자의 윗니 배열에 맞게 형성되어 윗니를 수용하며, 하부 본체(120)는 사용자의 아랫니 배열에 맞게 형성되어 아랫니를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경성 또는 반경성 레진 등으로 환자의 윗니와 아랫니의 본을 떠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를 사용자의 치아 배열에 맞게 형성할 수 있으며, 투명 또는 유색 기타 반투명 등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레진뿐만 아니라 환자의 치아 배열에 따라 본을 뜰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는 치료 장치(100)의 몸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소정 연결수단(미도시)을 통해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를 서로 연결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연결수단을 형성하지 않고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를 개별적으로 착용하게 할 수도 있다.
상부 본체(110)에 조절 스크류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 스크류부(130)는 상부 본체(110)에 형성되어 하부 본체(120)의 전방 이동 또는 후방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절 스크류부(130)는 제1 바디(131), 제2 바디(132) 및 조절 스크류(13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스크류(133)를 회전시켜 제1 바디(131)와 제2 바디(132)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바디(131)와 제2 바디(132) 사이의 간격을 넓혀서 하부 본체(120)를 전진시키거나, 제1 바디(131)와 제2 바디(132) 사이의 간격을 좁혀서 하부 본체(120)를 후퇴시킬 수 있다.
조절 스크류(133)는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조절 스크류(133)를 회전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제1 바디(131)와 제2 바디(132)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날개부(121)는 하부 본체(120)의 측면 양단에서 상부 본체(110)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21)는 하부 본체(120)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하부 본체(12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하여 접착시킬 수도 있다.
날개부(121)는 조절 스크류부(130)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된 하부 본체(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전진 또는 후퇴된 하악턱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날개부(121)는 하부 본체(120)의 측면 양단(내측면 양단 또는 외측면 양단)에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사용자 하악의 어금니 근방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하부 본체(120)를 입안에 착용한다면 두 개의 날개부(121)는 사용자 하악의 어금니 근방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는 날개부(121)가 조절 스크류부(130)에 의해 하부 본체(120)를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환자 하악에서 비교적 뒤쪽에 위치한 어금니 근방에 형성되는 것이 하부 본체(120)를 이동시킴에 있어서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치료 장치(100)를 입안에 착용함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낀다든지 등의 개별적인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날개부(121)를 다른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삼각형 형상의 날개부(121)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삼각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부(140)는 온도 센서(141), 자세 센서(143), 컨트롤러(145), 통신부(147) 및 전원부(14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41)는 치료 장치(100)를 입 안에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45)는 온도 센서(141)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일정 범위에 있으면, 사용자가 치료 장치(100)를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45)는 온도 센서(141)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여 착용 시간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의 경우 정상체온 범위는 구강체온 기준으로 36.4 ~ 37.6°C 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치료 장치(100)의 착용 판단 기준으로 온도 범위를 34 ~ 40°C로 설정하고, 온도 센서(141)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해당 온도 범위 이내이면 사용자가 치료 장치(1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온도 범위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세 센서(143)는 관성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방향 센서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치료 장치(100)를 착용한 환자의 수면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 센서(143)는 가장 간단하게는 환자가 앙와위(Supine position)(등을 아래쪽으로 하고 가슴을 위쪽으로 하여 바로 누운 자세)와 그렇지 않은 자세(non Supine position)를 구분하여 감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컨트롤러(145)는 전자장치부(14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온도 센서(141)나 자세 센서(143)에서 측정된 센서값을 기초로 착용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신부(147)를 통해 착용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착용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의 치료 장치 착용 시간과 수면 자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7)는 와이파이, 적외선, 블루투스, NFC 등의 근거리 무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로 구현할 수 있다. 통신부(147)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치료 장치(100)에서 사용자 단말(200)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반대로 통신부(147)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전원부(149)는 전자장치부(14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과 서버(300)는 통신망(10)을 통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치료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정보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치료 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착용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치료 장치(100)에서 전송된 착용 정보 데이터를 서버(300)에 전송하고, 착용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300)에서 전송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지원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착용 정보 데이터에 기초한 피드백은 서버(300)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착용 정보 데이터에 기초한 피드백을 바로 제공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300)에서 피드백이 푸시 메시지 방식으로 전달되면, 진동 알람, 소리 알람 및 화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착용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의사 또는 기타 권한 있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착용 정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착용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통신망(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0)는 착용 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가 치료 장치(100)를 착용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미만이거나(예컨대 하루 4시간 미만으로 착용하였거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착용 정보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면 치료 장치의 미착용 또는 착용 시간이 정해진 시간 미만인 것을 알리는 피드백을 생성하여 푸시 메시지로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착용 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치료 장치(100)에 대한 순응도를 평가하여 의사 또는 기타 권한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순응도는 일박당 평균 치료 장치 착용 시간, 치료 장치 착용일 수 등으로 평가할 수 있다. 치료 장치 착용일 수를 평가하는 기간은 1주, 1개월 등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치료 장치 착용일 수는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치료 장치를 착용한 경우만 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9)

  1.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입 안에 착용되고, 상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며, 사용자의 착용 시간을 포함하는 착용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치료 장치, 및
    상기 치료 장치에서 전송되는 착용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2. 제 1 항에서,
    상기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여 착용 시간을 구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착용 시간을 포함하는 착용 정보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3. 제 2 항에서,
    상기 치료 장치는,
    상기 치료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수면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자세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용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의 수면 자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4. 제 2 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착용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착용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
    를 더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5. 제 4 항에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착용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미만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착용 정보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피드백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6. 제 5 항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피드백을 푸시 메시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7. 제 5 항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착용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기 치료 장치에 대한 순응도를 평가하고,
    상기 순응도는 일박당 평균 치료 장치 착용 시간 및 치료 장치 착용일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평가되며,
    상기 치료 장치 착용일 수를 평가하는 기간은 미리 정해지고,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치료 장치를 착용한 일자만 상기 치료 장치 착용일 수로 산정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8. 제 4 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피드백을 진동 알람, 소리 알람 및 화면 알람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9. 제 1 항에서,
    상기 치료 장치는,
    하악전방이동장치(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KR1020210126481A 2021-09-24 2021-09-24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완화 시스템 KR102646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481A KR102646160B1 (ko) 2021-09-24 2021-09-24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완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481A KR102646160B1 (ko) 2021-09-24 2021-09-24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완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506A true KR20230043506A (ko) 2023-03-31
KR102646160B1 KR102646160B1 (ko) 2024-03-08

Family

ID=8600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481A KR102646160B1 (ko) 2021-09-24 2021-09-24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완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1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79B1 (ko) 2015-06-12 2016-09-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KR20170004401A (ko) * 2015-07-02 2017-01-11 이진균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 및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
KR101722640B1 (ko) * 2015-10-13 2017-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악 전진 장치
KR20190067129A (ko) * 2019-01-29 2019-06-14 민승기 구강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치
KR20210014050A (ko) * 2019-07-29 2021-02-08 주식회사 바오메디텍 코골이 방지장치 및 이의 맞춤설계/제작 및 유지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79B1 (ko) 2015-06-12 2016-09-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KR20170004401A (ko) * 2015-07-02 2017-01-11 이진균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 및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
KR101722640B1 (ko) * 2015-10-13 2017-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악 전진 장치
KR20190067129A (ko) * 2019-01-29 2019-06-14 민승기 구강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치
KR20210014050A (ko) * 2019-07-29 2021-02-08 주식회사 바오메디텍 코골이 방지장치 및 이의 맞춤설계/제작 및 유지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160B1 (ko) 202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771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sition
RU2700821C1 (ru) Система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кровати
JP7057109B2 (ja) 温度センサによる起動
US20160095549A1 (en) Wearable devices configured for facilitating diagnosis and/or assessment of pulmonary diseases, and corresponding methods
US201701967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or driven intelligent oral appliance
CN103982978A (zh) 可穿戴设备、空调器控制装置、空调器控制方法和空调器
ES2901754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de vigilancia a distancia de un dispositivo médico de software
US11974940B2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JP2016529949A (ja) 呼吸装置のモータ駆動システム
US202203393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inuous care
JP2015516834A (ja) 覚醒睡眠検出アラームに対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5076756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a device
CN113365583A (zh) 用于提供下颌前移和睡眠体位治疗的系统和方法
WO2018211965A1 (ja) ウエアラブ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043506A (ko)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시스템
KR102222694B1 (ko) 구강 착용 시스템 및 연구개 및 혀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
US20160128629A1 (en) Apnea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A2902247A1 (en) Device for detecting an unhealthy situation of a person lying down, in particular anti-snoring device
US20220117823A1 (en) Patient-Responsive Orthosis
Cobo et al. Changes in the upper airway of patients who wear a modified functional appliance to treat obstructive sleep apnea.
WO2015175673A1 (en) Reducing apnea or snoring using afferent stimulation
CN113082410A (zh) 一种呼吸干预的方法和设备
EP3811862A1 (en) Vital parameter measurements for low care patients
KR102347542B1 (ko) 스마트 베개 및 이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GB2572421A (en) Titration of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