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143A -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143A
KR20230043143A KR1020237005751A KR20237005751A KR20230043143A KR 20230043143 A KR20230043143 A KR 20230043143A KR 1020237005751 A KR1020237005751 A KR 1020237005751A KR 20237005751 A KR20237005751 A KR 20237005751A KR 20230043143 A KR20230043143 A KR 20230043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ert
module
aerosol
us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라 스미스
자레드 알러
션 루칸
레이 맥닐
Original Assignee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filed Critical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4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위치탐지를 위한 부착 가능한 부속품은 슬리브 부분, 청취 모듈 및 경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슬리브 부분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부분과 맞물려서 부속품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청취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경보 모듈은 청취 모듈에 의한 경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위치탐지기 디바이스(locator device)에 관한 것이다.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예를 들어, e-시가렛/담배 가열 제품 또는 다른 이러한 디바이스)은 일반적으로 제형을 함유한 소스 액체의 저장소와 같이, 에어로졸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제형은 일반적으로 니코틴, 또는 고체 물질, 예컨대, 담배-기반 생성물을 포함하고, 이로부터 에어로졸이 예를 들어, 열 기화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생성된다. 그러나, 칸나비노이드(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THC) 및/또는 칸나비디올(CBD)), 식물성 약품, 의약품, 카페인 및/또는 다른 활성 성분과 같은 다른 물질을 가진 제형을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가능한 물질의 일부를 기화시켜서 에어로졸 생성 챔버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배열된 기화기, 예를 들어, 가열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를 포함할 것이다.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에서 흡입하고 전력이 가열기에 공급될 때, 공기가 디바이스로 인출되고 공기가 기화된 에어로졸 가능한 물질과 혼합되고 응축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챔버로 인출된다. 에어로졸 생성 챔버와 마우스피스의 개구 사이에 흐름 경로가 있으므로 에어로졸 생성 챔버를 통해 인출된 공기가 흐름 경로를 따라 마우스피스의 개구로 계속되어, 공기와 함께 응축 에어로졸의 일부를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전달한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예를 들어, 증기 제품, 예컨대, "전자 시가렛", "e-시가렛" 또는 전자 니코틴 전달 시스템(electronic nicotine delivery system: ENDS)뿐만 아니라 담배 가열 제품(tobacco heating product: THP)을 포함하는 비연소 가열식 제품으로서 흔히 알려진 니코틴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제품 중 다수가 디바이스 및 소모품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형태를 취하고, 이것은 전달될 물질이 비롯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소모품이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는 재사용 가능하고, 소모품은 일회용이다(일부 소모품이 소위 "개방" 시스템의 경우에서와 같이 재충전 가능하지만). 따라서, 많은 경우에, 소모품이 디바이스와는 별도로 그리고 종종 멀티팩으로 판매된다. 게다가, 디바이스 또는 소모품의 서브시스템 및 일부 개별적인 컴포넌트는 전문 제작업자로부터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디바이스 간의 공통적인 특성은 이들이 일반적으로 사용성 및 이동을 위해 휴대할 수 있는 크기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크기는 또한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잘못 두거나 또는 디바이스를 마지막으로 사용한 곳을 잊어버린 상황에서 단점이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위치탐지를 위해 부착 가능한 부속품이 제공될 수도 있다. 부속품은 슬리브 부분, 전력 모듈, 청취 모듈 및 경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슬리브 부분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일부를 수용하여 부속품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청취 모듈 및 경보 모듈은 전력 모듈을 통해 전력공급받을 수도 있다. 청취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경보 모듈은 청취 모듈에 의한 경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이 제공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부속품, 및 전력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속품은 청취 모듈 및 경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모듈은 청취 모듈 및 경보 모듈에 전력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청취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경보 모듈은 청취 모듈에 의한 경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간단한 요약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상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를 요약할 목적으로만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예가 단지 실시예이고 어떤 방식으로든 본 개시내용의 범위 또는 정신을 좁히기 위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 양상 및 이점은 실시예로서, 일부 설명된 예시적인 구현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따라서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일반적인 용어로 설명하면서,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닌 첨부 도면을 이제 참조할 것이고, 도면에서:
도 1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대략적인 블록도;
도 2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부분적인 절단 뷰의 개략도;
도 3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경보 신호를 사용하여 디바이스를 위치탐지하기 위한 부착 가능한 부속품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 2의 디바이스의 개략도;
도 4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는 특정한 형태 인자를 예시하는 도면; 및
도 5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가청 경보 신호를 사용하여 디바이스를 위치탐지하기 위한 부착 가능한 부속품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 2의 디바이스의 개략도.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이제 모든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아닌 일부가 도시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에 더 완전히 설명될 것이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제시된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 적용성 또는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본 개시내용이 적용 가능한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제공된다. 유사한 참조 부호는 전반에 걸쳐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또는"은 피연산자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마다 참이 되는 논리 연산자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작동 가능 결합은 어느 경우든 서로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컴포넌트의 기능적 상호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직접 또는 간접 연결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예컨대, ENDS 디바이스는 이의 크기 및 형태 인자로 인해, 종종 분실되거나 또는 잘못 배치될 수도 있다. 분실되거나 또는 잘못 배치될 때 디바이스의 위치탐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디바이스에 부착될 수 있고, 무선 통신을 통해 위치탐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위치탐지기 조립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위치탐지 디바이스가 사용될 때, 위치탐지 디바이스는 위치탐지기 조립체에 명령하여 경보를 개시시켜서 위치탐지기 조립체, 따라서 또한 위치탐지기 조립체가 부착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 위치탐지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예컨대, ENDS 디바이스의 위치탐지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예시적인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설명은, 위치탐지기 조립체의 일부 양상이 이러한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조정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제공될 것이다. 이 점에서, 도 1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대략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반면에, 도 2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ENDS 디바이스의 부분적인 절단 뷰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0)은 전력원(120) 및 제어 회로망(130)을 내부에 수용할 수도 있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에어로졸 생성 조립체(140), 및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예를 들어, 에어로졸 가능한 물질)을 내부에 저장하거나 또는 포함할 수도 있는 에어로졸 전구체 컨테이너(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단일의 구조체일 수도 있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제거 가능할 수도 있는 2개 이상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개방 시스템에서, 하우징(110)은 에어로졸 전구체 컨테이너(150)가 재충전 가능한 단일의 구조체일 수도 있다. 그러나, 폐쇄된 시스템에서, 하우징(110)은 에어로졸 전구체 컨테이너(150)가 내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이 고갈될 때, 에어로졸 전구체 컨테이너(150)가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은 새로운 또는 가득한 에어로졸 전구체 컨테이너(150)로의 교체를 위해 제거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전구체 컨테이너(150)가 내부에 위치되는 제거 가능한 부분에 대한 일부 실시예에서, 제거 가능한 부분은 카트리지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제어 회로망(130)은 사용자에 의해 개시되는 퍼프 이벤트를 검출하거나 또는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퍼프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망(130)은 에어로졸 생성 조립체(140)를 작동시켜서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을 에어로졸로 변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망(130)은 압력 센서, 흐름 센서, 및/또는 퍼프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10) 내 개구(154)를 획정하는 마우스피스(152)는 에어로졸 전구체 컨테이너(150)와 연관될 수도 있고, 마우스피스(152)에서의 흡입에 의해 퍼프 이벤트를 개시시키도록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퍼프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조립체(140)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고 마우스피스(152)를 통해 사용자에게 입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조립체(140)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조립체(140)는 비연소 가열식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비연소 가열식 디바이스를 통해 예를 들어,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을 가열 구성요소(예를 들어, 유도 가열기, 전도 가열기, 유전 가열기, 마이크로파 가열기, 복사 가열기, 아크 가열기, 전기 저항 가열기 등)에 노출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이 에어로졸 생성 조립체(140)에 노출될 수도 있는 소모품으로 제공되어 이의 열이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의 생성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은 가열 및 에어로졸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기재 및/또는 발열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비가열 비연소 디바이스(예를 들어, 네뷸라이저)의 경우에, 에어로졸 생성 조립체(140)는 진동성 압전 또는 압자 메시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압축된 기체, 초음파, 표면 탄성파 및 다른 기술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네뷸라이저는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을 가열하는 일 없이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을 에어로졸로 분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열 생성은 에어로졸 생성 조립체(140)의 작동에 수반되거나 또는 수반되지 않을 수도 있다. 게다가, 일부 경우에, 에어로졸 생성 조립체(140)는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협력하는 진동 에어로졸 생성 컴포넌트(예를 들어, 진동성 압전 세라믹 및/또는 다른 압전 또는 압자 물질)와 같은, 부가적인 구성요소와 가열 구성요소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합은 하이브리드 제품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은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물질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 전구체 컨테이너(150)는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이 어떤 형태를 취하든 이러한 물질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에어로졸 전구체 컨테이너(15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의 생성을 위해 에어로졸 생성 조립체(140)에 (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소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이 기재에 제공(예를 들어, 기재 위에/내에 코팅되거나 또는 흡수)될 수도 있어서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이 에어로졸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기 전에 기재에 통합되거나, 기재에 저장되거나 또는 기재에 증착될 수도 있다.
전력원(120)은 교체 가능한 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수도 있다.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는 폐물질의 생성을 방지하거나 또는 제한하고, 작동의 용이성을 용이하게 하는 데 유용할 수도 있다. 전력원(120)의 재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충전 인터페이스(122)가 제공될 수도 있다. 충전 인터페이스(122)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또는 충전기 코드 또는 다른 충전 디바이스가 플러깅되거나 또는 삽입될 수도 있는 다른 충전 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충전 인터페이스(122)는 하우징(110)에 관통부 또는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구현될 수도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를 통한 단면도이다.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는 도 1의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0)의 하나의 더 상세한 예이다. 도 2의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는 제어 장치(210) 및 카트리지(220)를 포함하는 2-부분 디바이스(즉, 폐쇄된 시스템)이다. 카트리지(220)는 소모품 부분(또는 교체 가능한/일회용 부분)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고 제어 장치(210)는 재사용 가능한 부분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정상적인 사용 시, 제어 장치(210)와 카트리지(220)는 결합 인터페이스(230)에 함께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220)가 고갈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단순히 (예를 들어, 상이한 향을 위해) 상이한 카트리지(220)로 바꾸길 원할 때, 카트리지(220)가 제어 장치(210)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고 교체품(즉, 카트리지(220)의 상이한 또는 새로운 경우)이 원래의 카트리지(220) 대신 제어 장치(2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결합 인터페이스(230)는 카트리지(220)와 제어 장치(210) 사이에 구조적, 전기적 및/또는 공기 경로 연결을 제공할 수도 있고, 적절하다면 카트리지(220)와 제어 장치(210) 사이에 전기적 연결 및 공기 경로를 확립하기 위해 적절하게 배열된 전기 접점 및 개구와 함께 나사 나사산, 래치 기구 또는 베이오닛 설비를 포함할 수도 있는 종래의 기법에 따라 확립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220)가 제어 장치(210)에 기계적으로 장착되게 하는 특정한 방식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리에 대해 중요하지 않지만, 구체적인 실시예를 위해 예를 들어, 카트리지(220)의 부분이 협력하는 래치 맞물림 구성요소와 함께 제어 장치(210) 내 대응하는 용기에 수용되는 래칭 기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기서 추정된다. 결합 인터페이스(230)가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부분 간의 전기적 연결을 지지할 수 없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기화기가 카트리지(220) 대신 제어 장치(21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220)는 소모품 하우징(222)을 (예를 들어, 도 1의 에어로졸 전구체 컨테이너(150)의 예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소모품 하우징(222)은 플라스틱, 합성물 또는 금속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소모품 하우징(222)은 카트리지(220)의 다른 컴포넌트를 지지할 수도 있고 제어 장치(210)와 함께 기계적 결합 인터페이스(230)의 부분에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소모품 하우징(222)은 이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축을 중심으로 원형 대칭이고 길이방향축을 따라 카트리지(220)가 제어 장치(210)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의 소모품 하우징(222)은 약 4㎝의 길이 및 약 1.5㎝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특정한 기하학적 구조,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전체 형상 및 사용되는 물질이 상이한 구현예에서 상이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저장소(224)는 액상의 에어로졸 가능한 물질(예를 들어, 도 1의 에어로졸 전구체 물질)을 포함하는 소모품 하우징(222)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가능한 물질은 일부 실시예에서 e-액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액체 저장소(224)가 환형 형상을 갖지만, 다른 형상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고, 소모품 하우징(222)에 의해 획정된 외벽 및 카트리지(220)를 통한 공기 경로(226)를 획정하는 내벽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저장소(224)는 e-액체를 포함하도록 단부 벽을 가진 각각의 단부에서 폐쇄된다. 저장소(224)는 종래의 기법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소모품 하우징(222)과 통합적으로 몰딩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220)의 단부에서의 공기 경로(226)의 개구는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마우스피스 유출부(228)를 제공하고 마우스피스 유출부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 동안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생성하는 에어로졸을 흡입한다.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220)는 윅(wick)(250), 및 마우스피스 유출부(228) 반대편의 저장소(224)의 단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된 가열기 구성요소(260)(예를 들어, 기화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윅(250)은 공기 경로(226)에 걸쳐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의 단부는 저장소(224)의 내벽의 개구를 통해 e-액체의 저장소(224)로 연장된다. 저장소(224)의 내벽의 개구가 윅(250)의 치수와 대략 일치하도록 크기 설정되어 유체 전달 성능에 유해할 수도 있는, 윅(250)을 과도하게 압축시키는 일 없이 저장소(224)로부터 공기 경로(226)로의 누출에 대한 적절한 밀봉을 제공할 수도 있다.
윅(250)과 가열기 구성요소(260)가 카트리지(220)의 공기 경로(226)에 배열되어 윅(250)과 가열기 구성요소(260) 주위의 공기 경로(226)의 구역은 실제로 카트리지(220)를 위한 기화 구역을 획정할 수도 있다. 저장소(224) 내 e-액체는 저장소(224)로 연장되는 윅(250)의 단부를 통해 윅(250)에 침투하고 표면 장력/모세관 작용(즉, 위킹)에 의해 윅(250)을 따라 인출된다. 이 실시예에서 가열기 구성요소(260)는 윅(250) 주위에 감긴 전기 저항성 와이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윅(250)이 유리 섬유 번들일 수도 있지만, 다른 구성이 또한 가능하다. 사용 시, 전력이 가열기 구성요소(260)에 공급되어 윅(250)에 의해 가열기 구성요소(260)의 부근으로 인출되는 상당한 e-액체(예를 들어, 에어로졸 가능한 물질)를 기화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기화된 e-액체가 기화 구역으로부터 공기 경로(226)를 따라 인출된 공기에 동반되어 사용자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유출부(228)를 통해 시스템을 나가는 응축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력이 가열기 구성요소(260)에 인가되어 카트리지(220) 내 e-액체로부터 에어로졸을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사용 중이고 에어로졸을 생성할 때, 가열기 구성요소(26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은 예를 들어, 펄스 폭 및/또는 주파수 변조 기법을 통해 변경되어 원한다면 온도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210)는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를 위한 공기 유입부(214)를 획정하는 개구를 가진 외부 하우징(212)을 (예를 들어, 도 1의 하우징(110)의 일부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는 또한 외부 하우징(212) 내에,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에 작동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2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배터리(270)는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작동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성된 제어 회로망(28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배터리(270)는 전력원(120)의 예일 수도 있고, 제어 회로망(280)은 도 1의 제어 회로망(130)의 예일 수도 있다.
제어 회로망(280)은 이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 챔버(284)에 위치된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흡입 센서(282)(예를 들어, 퍼프 검출기)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제어 회로망(280)은 또한 시각적 디스플레이(286)(임의적일 수도 있음)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시각적 디스플레이(286)는 광 색, 섬광 시퀀스 또는 다른 표시에 기초하여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상태 조건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시각적 디스플레이(286)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스크린,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옵션을 통해 문자,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각적 디스플레이(286)가 제공되어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와 연관된 다양한 특성의 시각적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디스플레이(286)는 현재 전력 및/또는 온도 설정 정보, 남아 있는 배터리 전력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시각적 디스플레이(286)에 대한 대안으로서(또는 이에 더하여),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음성 신호 전송 또는 촉각적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작동 특성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회로망(280)은 흡입 센서(282)로부터의 출력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카트리지(220)의 마우스피스 개구(228)를 통해 흡입할 때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어서 전력이 가열 구성요소(260)에 자동으로 공급되어 사용자 흡입에 응답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가열 구성요소(260)의 자동 작동에 대한 대안으로서, 버튼(288)이 흡입 센서(282) 대신 제공될 수도 있고, 전력이 사용자가 버튼(288)을 수동으로 작동시켜서 에어로졸 생성을 트리거링하는 것에 응답하여 가열 구성요소(260)에 공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버튼(288)은 또한 전부 임의적일 수도 있고 일부 경우에 생략될 수도 있다.
외부 하우징(212)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임의의 원하는 프로파일을 갖도록 성형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하우징(212)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도 있고 따라서 카트리지(22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체로 맞는 원형 단면을 가져서 결합 인터페이스(230)에서 2개의 부분 간의 원활한 이동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10)가 약 8㎝의 길이를 가질 수도 있으므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전체 길이는 카트리지(220)와 제어 장치(210)가 함께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때 약 12㎝이다. 그러나 그리고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의 전체 형상 및 규모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리를 변경하는 일 없이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공기 유입부(216)는 제어 장치(210)를 통해 공기 경로(216)에 연결된다. 제어 장치(210)의 공기 경로(216)는 결국 제어 장치(210)와 카트리지(220)가 함께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때 결합 인터페이스(230)에 걸쳐 카트리지(220)의 공기 경로(226)에 연결된다. 압력 센서(282)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챔버(284)는 제어 장치(210)의 공기 경로(216)와 유체 연통될 수도 있다(즉, 압력 센서 챔버(284)는 제어 장치(210)의 공기 경로(214)로부터 분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개구(228)에서 흡입할 때, 압력 센서(282)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는 압력 센서 챔버(284) 내 압력 강하가 있고 또한 공기가 공기 유입부(214)를 통해, 제어 장치(210)의 공기 경로(216)를 따라, 결합 인터페이스(230)에 걸쳐, 가열 구성요소(260)의 부근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가열 구성요소(260)가 활성일 때 에어로졸 가능한 물질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이 공기 흐름에 동반되는 경우), 카트리지(220)의 공기 경로(226)를 따라, 사용자 흡입을 위한 마우스피스 개구(228)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 실시예에서 배터리(270)는 재충전 가능하고 충전 연결기(290)를 통해 재충전될 수도 있다. 이 점에서, 배터리(270)는, 충전 연결기(290)가 형성되고 충전 플러그 또는 다른 충전 디바이스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는 제어 장치 하우징(212)의 개구를 통해 재충전될 수도 있다. 충전 연결기(290)는 예를 들어, USB 연결기, 다른 표준 전력 연결기 또는 심지어 전매 특허 충전 연결부를 포함하여 임의의 적합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제어 회로망(280)은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이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제어 회로망(280)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망 및 사용자 입력 검출과 같이,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다른 종래의 작동 양상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리에 따른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작동의 상이한 양상과 연관된 다양한 하위-장치 또는 회로망 구성요소를 논리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제어 회로망(280)의 기능이 예를 들어,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적합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적합하게 구성된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망/칩(들)/칩세트(들)와 같이 다양한 상이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경우에,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는 3개의 기본적인 작동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부가적인 또는 상이한 작동 상태가 또한 가능하다. 3개의 기본적인 작동 상태는 "오프(off)" 상태, "온(on)" 상태 및 "대기" 상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프 상태에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는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없다(즉, 제어 회로망(280)은 오프 상태에서 가열 구성요소(260)로의 전력의 공급을 방지할 수도 있다).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사용 세션 간에, 예를 들어,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의 주머니 또는 가방에 보유되거나 또는 놓일 수도 있을 때 오프 상태에 놓일 수도 있다. 온(또는 활성) 상태에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는 에어로졸을 능동적으로 생성하도록 활성화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망(280)은 전력을 가열 구성요소(260)에 제공할 수도 있다(또는 전력의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로부터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과정에 있을 때 온 상태에 있을 것이다. 대기 상태에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활성화에 응답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준비가 될(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형태의 가열기 구성요소(260)에 전력을 인가할 준비가 될) 수도 있지만, 현재 그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오프 상태를 종료하여 사용 세션을 시작할 때(예를 들어, 사용자가 처음에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를 킬 때) 또는 진행 중인 사용 세션 동안 사용 간에(예를 들어, 사용자가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를 사용할 때 퍼프 간에) 대기 상태에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액상의 에어로졸 가능한 물질을 사용하는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퍼프 간에 대기 모드로 되돌아가는 것이 더 흔하지만, 고체 에어로졸 가능한 물질을 사용하는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는 일련의 퍼프를 포함하는 사용 세션 동안 원하는 온도에서 에어로졸 가능한 물질을 유지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퍼프 간에 온 상태로 종종 남아 있을 수도 있다.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배터리(270)로부터의 전력이 제어 회로망(280)의 제어하에서 가열기 구성요소(260)에 공급된다.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온 상태이고, 즉, 에어로졸을 능동적으로 생성할 때, 전력이 펄스 방식으로, 예를 들어,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방식을 사용하여 가열기 구성요소(260)에 공급되어 전달되는 전력 수준을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기간 동안 가열기 구성요소(260)에 공급되는 전력은 전력이 전기 가열기에 연결되는 온 기간과 전력이 가열기 구성요소(260)에 연결되지 않는 오프 기간의 교번하는 시퀀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펄스 폭 변조에 대한 사이클 기간(즉, 오프 기간과 온 기간의 이웃한 쌍의 기간)은 이 실시예에서 0.020s(20㎳)이다(즉, 펄스 폭 변조 주파수는 50헤르츠이다). 사이클 기간의 부분으로서 전력이 가열기에 공급되는 각각의 사이클 기간의 비율(즉, 온 기간의 길이)은 소위 펄스 폭 변조에 대한 듀티 사이클이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제어 회로망은 펄스 폭 변조에 대한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여 가열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변경하여, 예를 들어, 표적 수준의 평균 전력을 달성하거나 또는 표적 온도를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가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를 주머니 또는 가방에 저장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를 보유하는 것이 흔하다. 변함없이, 일부 사용자는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를 마지막으로 두거나 또는 본 곳을 잊을 것이며, 디바이스를 찾기 전에 디바이스를 검색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특히 결과 검색이 연장되거나 또는 실패할 때 실망스러울 수 있다. 따라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위치가 즉시 명확하지 않을 때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신속하게 위치탐지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이 부착될 때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추적 가능하거나 또는 발견 가능하게 하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을 제공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의 예가 도시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은 날렵하고 매력적인 외관을 유지하도록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에 연결되기 위해 특별히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은 또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위치탐지를 가능하게 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께 연결될 때,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와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의 조합은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를 위치탐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 예컨대, 휴대폰, 랩탑 또는 태블릿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용 페이징 디바이스가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용 페이징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용 페이징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키 포브(key fob)의 형태 인자를 가질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의 특정한 형태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를 사용하여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을 트리거링해서 사용자가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 따라서 또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를 위치탐지하게 할 수도 있는 경보를 개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경보가 종종 잘 들릴 수도 있지만, 경보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시각적 또는 촉각적 출력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경보는 제공되는 디바이스의 또는 이에 대한(예를 들어, 휴대폰, 랩탑, 태블릿 등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인 위치 표시(예를 들어, 지향성 포인터)가 제공될 수도 있고 표시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위치에 더 가까워질 때 더 강해질 수도 있다(그리고 사용자가 디바이스로부터 더 멀어질 때 더 약해질 수도 있다). 표시 강도에 관한 동일한 전략이 또한 가청음(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위치에 더 가까워질 때 더 큰 그리고/또는 더 많은 가청음 그리고 사용자가 디바이스로부터 더 멀어질 때 더 부드러운 그리고/또는 덜 빈번한 가청음) 및 촉각적 피드백(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위치에 더 가까워질 때 더 강한 그리고/또는 더 빈번한 촉각적 피드백 그리고 사용자가 디바이스로부터 더 멀어질 때 더 부드러운 그리고/또는 덜 빈번한 촉각적 피드백)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인 위치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2개의 지점-예를 들어, 에어로졸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지점과 모바일 디바이스/사용자를 나타내는 지점-간의 거리; 상대적인 거리를 나타내는 색(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더 긴 거리에 대해 적색, 가까운 거리에 대해 녹색 등); 광의 강도(예를 들어, 인접에 대해 더 밝음) 등에 이르는 방식으로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은 각각의 디바이스를 함께 단단히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와 맞물리거나, 짝을 이루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점에서, 일부 경우에,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은 하우징(320)에 형성된 슬리브 부분(3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슬리브 부분(322)은 제어 장치(210)(또는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또 다른 부분)의 직경 또는 다른 단면 프로파일과 같은 외부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내경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슬리브 부분(322)은 다른 방식으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와 맞물릴 수 있고, 수많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20)에 대한) 제어 장치(210)의 원위 단부는 도 3의 화살표(32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 부분(322)으로 미끄러지고 슬리브 부분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슬리브 부분(322)의 단면 프로파일(예를 들어, 직경)은 슬리브 부분이 하우징(320)으로 내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약간 테이퍼질 수도 있어서 제어 장치(210)와 슬리브 부분(322)은 슬리브 부분(322)으로의 제어 장치(210)의 삽입에 응답하는 마찰에 의해 서로 접촉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다른 고정 방법(래칭 기구 등을 포함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점에서, 예를 들어, 하우징(320)은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하우징(320)에 삽입되게 하도록 개방되고,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를 하우징(320)에 유지하도록 폐쇄될 수 있는 힌지를 통해 부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힌지는 별개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거나 또는 리빙 힌지(즉, 연결되는, 하우징(320)의 부분을 형성하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됨)일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는 가요성 측면 또는 부분을 가진 케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측면 또는 부분이 폐쇄된(맞물림) 위치를 향하여 편향될 수도 있어서, 측면 또는 부분이 폐쇄된(맞물림) 위치로부터 멀리 개방 위치로 조작되어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삽입 및/또는 맞물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하우징(320)에 배치되었을 때, 측면 또는 부분을 개방 위치로 조작하도록 사용되는 힘이 제거될 수도 있고, 측면 또는 부분이 해제되고 폐쇄된(맞물림) 위치로 되돌아가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를 하우징(320)에 유지할 수도 있다.
하우징(320) 및 슬리브 부분(322)은 제어 장치(210)의 임의의 바람직한 부분(그리고 모든 카트리지(220))이 노출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슬리브 부분(322)은 제어 장치(210)를 따라 결합 인터페이스(230)까지 연장될 수 없다. 게다가, 시각적 디스플레이(286) 및/또는 버튼(288)이 제어 장치(210) 상에 포함된 결과로, 슬리브 부분(322) 및 하우징(320)은 시각적 디스플레이(286) 및/또는 버튼(288) 둘 다가 노출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은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임의의 방식으로 부정적으로 억제하는 일 없이 제어 장치(2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은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의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배터리(270)(또는 도 1의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0)의 전력원(120))로부터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에 전력공급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배터리(270)가 더 빨리 고갈되게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을 사용하는 것을 그만두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신에 자체 별개의 전력원을 통해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에 전력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은 전력 모듈(3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 모듈(330)은 재충전 가능한 또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일 수도 있다. 게다가, 일부 경우에, 전력 모듈(330)은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 인자로 상당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 또는 다른 배터리일 수도 있다.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배터리(270)에 대한 별개의 전력원으로서 전력 모듈(330)을 제공함으로써,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기능이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에 의한 전류 사용 및 작동에 의해 부정적으로 영향받지 않을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꺼질 때 또는 배터리(270)가 고갈될 때에도 위치탐지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전력 모듈(330)은 배터리(270)(즉, 2개의 각각의 별개의 배터리 팩 또는 셀)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모듈(330)은 또한 배터리(270)에서 전부 독립될 수 있다. 즉,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의 전력 모듈(330)과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배터리(270) 간에 연결이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배터리(270)는 오직 전력을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에 제공할 수도 있고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의 전력 모듈(330)은 오직 전력을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이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충전 연결기(290)의 접근의 방해를 방지하여 제어 장치(210)가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과 짝을 이룰 때에도 배터리(270)의 재충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력 모듈(330)은 전력 모듈(330)이 제어 장치(21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든 아니든 전력 모듈(330)이 충전되게 하는 충전 포트(332)를 포함할 수도 있고, 배터리(270)와 전력 모듈(330) 둘 다는 충전 연결기(290) 및 충전 포트(332) 각각을 통해 별도로(그리고 가능하게는 심지어 동시에) 충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배터리(270)와 전력 모듈(330)은 서로 독립될 수 없다.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전력 모듈(330)이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에 전력공급할 수도 있지만, 또한 직접적으로(예를 들어, 제어 회로망(280)에 대한 연결에 의해) 또는 간접적으로(예를 들어, 배터리(270)를 충전함으로써)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에 전력공급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직접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 모듈(330)은 배터리(270)가 방전되거나 또는 문턱값 충전 수준 미만일 때 전력을 제어 회로망(280)에 제공할 수도 있다. 간접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 모듈(330)은 배터리(270)와 인터페이싱하여 배터리(270)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모듈(330)은 제어 장치(210)가 슬리브 부분(322)에 삽입될 때 제어 장치(210)의 충전 연결기(290)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충전 인터페이스(3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인터페이스(334)가 충전 연결기(290)와 짝을 이룰 때, 전력 모듈(330)은 배터리(27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터리(270)가 충전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력 모듈(330)이 배터리(270)보다 더 높은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서로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때, 배터리(270)가 충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망(280) 작동은, 제어 회로망(280)이 오직 여전히 퍼프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력을 가열기 구성요소(260)에 공급할 수도 있고, 전력이 여전히 배터리(270)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방해받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배터리(270)는 가열기 구성요소(260)에 대해 동시에 또는 다른(즉, 비-작동) 시간에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전력 모듈(330)로부터 배터리(270)로의 충전은 오직,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작동하지 않을 때 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전력 모듈(330)은,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 배터리(270)를 충전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전력 모듈(330)로부터 배터리(270)로의 충전은 오직,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오프 상태 또는 대기 상태에 있을 때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 온 상태 동안 충전이 또한 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전력 모듈(330)은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270)의 충전(또는 직접적으로 제어 회로망(280)으로의 전력의 제공)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충전은,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가 활성이고/이거나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중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은 청취 모듈(340) 및 경보 모듈(3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청취 모듈(340)은 상이한 임의의 실시형태에 따라 다수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 점에서, 예를 들어, 도 3의 실시예에서, 청취 모듈(34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수신기(342)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무선 수신기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청취 모듈(340)이 일부 경우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와의 양방향 통신을 허용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양방향 통신은 모든 실시형태에서 불필요하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오직 일방향 통신(즉,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로부터 청취 모듈(340)로)이 지원되어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의 복잡성 및 비용을 감소시키고, 전력 모듈(330)의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청취 모듈(340)의 무선 수신기(342)(또는 송수신기)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및 청취 모듈(340)이 무선 신호(예를 들어, 무선 경보 신호(370))를 수신하고 처리하게 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무선 회로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청취 모듈(340)의 무선 수신기(342)는 전력 모듈(3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동안 언제든지 무선 통신 신호를 수신할 준비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신호를 수신할 준비는 연속적일 수도 있거나 또는 주기적(예를 들어, 주기적인 사이클 청취 기간이 규정됨)이어서 배터리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청취 모듈(340)과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 간의 무선 통신은 단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을 통해 실시될 수도 있다.
경보 모듈(350)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방향 식별력이 있거나 또는 없이 예를 들어, 양방향 통신 및 신호 강도 측정에 기초하여 근접 및/또는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 소리, 광 및/또는 촉각적 출력을 청취 모듈(340)로부터의 트리거링에 응답하여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점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로부터 통신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전혀 또는 특별히 경보를 요청하는 것이 발령됨), 경보 모듈(350)은 경보를 발령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는 신호를 청취 모듈(340)의 무선 수신기(342)로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를 위치탐지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나의 디바이스 찾기" 앱)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에서 시작할 수도 있다. 시작될 때,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의 컴포넌트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간단한 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위치탐지 명령 및 위치탐지 중단 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위치탐지 명령의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는 트리거 신호 또는 연속적인 경보 신호를 청취 모듈(340)의 무선 수신기(342)로 전송할 수도 있다. 트리거 신호 또는 연속적인 경보 신호에 응답하여, 청취 모듈(340)의 무선 수신기(342)는 경보 모듈(350)에 신호 전송하여 경보 생성을 시작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경보 모듈(350)은 청취 모듈(340)의 무선 수신기(342)가 연속적인 경보 신호의 수신 시 있는 한, 경보를 계속해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연속적인 경보 신호는 디바이스가 발견되고 사용자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의 아이콘 또는 버튼을 선택하여 연속적인 경보 신호(310)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할 때까지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로부터 전달될 수도 있다. 그러나, 트리거 신호가 대신 사용된다면, 경보 모듈(350)은 또 다른 신호(중단 신호 또는 트리거 신호의 제2 사례)가 수신되어 디바이스가 발견되거나 또는 위치탐지되었다는 것을 나타낼 때까지 트리거 신호의 수신 후 경보를 계속해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경보 모듈(350)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예를 들어, 10초, 20초, 30초 등)이 경과될 때까지 경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이 경과된 후, 디바이스가 발견될 것이고,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에서 디바이스 위치탐지 명령의 또 다른 사용자 선택이 연속된 검색(및 경보)이 요망된다면 발령될 수도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400)을 규정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는 디바이스 옵션 및 형태 인자의 특정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점에서, 도 4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410)(예를 들어, 도 1의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0) 또는 도 2 및 도 3의 불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200)의 예)를 예시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41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동일한 명칭의 컴포넌트와 유사한, 제어 장치(412) 및 카트리지(414)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제어 장치(412)는 원형 단면을 갖지 않지만, 대신 실질적으로 타원형 단면을 갖고, 이는 제어 장치에 대해 존재할 수도 있는 형상 및 크기의 변동성을 나타낸다. 임의의 경우에, 부착 가능한 부속품(420)은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방식과 유사하게 제어 장치(412)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부착 가능한 부속품(420)은 충전 포트(430) 및 스피커(440)를 포함한다. 충전 포트(430)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42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스피커(440)는 경보(즉, 호각 소리, 삐 소리, 신호음, 또는 다른 가청 경보음)를 발령하도록 사용되는 경보 디바이스의 예일 수도 있다.
부착 가능한 부속품(420)은 또한 스마트 폰(450)으로부터 경보 신호(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트리거 신호 또는 연속적인 경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스피커(440)의 작동을 트리거링하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마트 폰(450)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의 예일 수도 있고, 이의 디스플레이(452)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위해 명령(예를 들어, 시작 명령(454) 및 중단 명령(456))을 제공할 수도 있다.
스마트 폰(450)의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하여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도 있고, 도 4의 디스플레이(452) 상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스크린(또는 유사한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시작 명령(454)을 선택할 수도 있고, 시작 명령은 스마트 폰(450)이 경보 신호를 부착 가능한 부속품(420)에 발령하게 할 수도 있다. 이어서 부착 가능한 부속품(420) 상의 무선 수신기가 스피커(440)를 트리거링하여 경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가청 거리 내에서, 사용자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420)(따라서 또한 부착 가능한 부속품(420)이 부착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410))이 위치탐지될 때까지 경보음을 추적할 수도 있다. 일단 부착 가능한 부속품(420)이 위치탐지된다면, 중단 명령(456)이 스마트 폰(450)에서 선택되어 경보 생성을 중단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경보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420)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발견되지 않는다면 일부 경우에 타임 아웃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청취 모듈(340)은 또한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버전의 청취 모듈(340')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의 청취 모듈(340')의 형태 및 기능 이외에,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반면에, 청취 모듈(340')은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없지만, 대신 가청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청취 모듈(340')은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오디오 센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경보 신호로서 무선 통신 신호를 "듣는' 대신에(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 대한 경우와 같이), 도 5의 청취 모듈(340')은 가청 형태의 경보 신호(즉, 가청 경보 신호(500))를 "듣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가청 형태의 경보 신호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키워드, 키 사운드 또는 심지어 신호음일 수도 있다. 이 점에서,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310)가 경보 모듈을 트리거링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경보를 발령하도록 청취 모듈(340')에서 수신되는 경보 신호를 가청 키워드, 키 사운드 또는 신호음의 형태로 발령하게 할 수도 있다. 경보 신호가 잘 들리기 때문에, 경보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발령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이 사용자 범위 내에 있고 들을 수 있게 생성된 경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한 키워드 또는 키 사운드를 말하여 부착 가능한 부속품(300)으로부터 경보를 트리거링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사용자가 키워드 또는 키 사운드를 미리 기록하여 청취 모듈(340')을 프로그래밍해서 키워드 또는 키 사운드를 인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의 실시예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위치탐지를 위한 부착 가능한 부속품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제공될 수도 있다. 부속품은 슬리브 부분, 청취 모듈 및 경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슬리브 부분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부분과 맞물려서 부속품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청취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경보 모듈은 청취 모듈에 의한 경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부착 가능한 부속품은 복수의 수정, 증가 또는 임의의 추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중 일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아래에 나열된 수정, 증가 또는 임의의 추가는 임의의 바람직한 조합으로 추가될 수도 있다. 이 맥락 내에서, 위에서 설명된 부착 가능한 부속품은 제1 실시형태로 여겨질 수도 있고, 다른 실시형태는 수정, 증가 또는 임의의 추가의 각각의 조합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보 모듈이 가청음(예를 들어, 호각, 신호음 또는 펄스)으로서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된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는 제2 실시형태가 규정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경보 모듈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제3 실시형태가 규정될 수도 있다. 제3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및 2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경보를 발령하는 것을 중단하는 명령어가 수신될 때까지 경보 모듈이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제4 실시형태가 규정될 수도 있다. 제4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내지 3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슬리브 부분이 부속품의 하우징에서 형성될 수도 있고, 부속품이 전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하우징이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충전 포트를 통해 전력 모듈이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재충전 가능한 제5 실시형태가 규정될 수도 있다. 제5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내지 4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전력 모듈이 전력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배터리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제6 실시형태가 규정될 수도 있다. 제6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내지 5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청취 모듈이 사용자가 생성하는(예를 들어, 언급하거나 또는 말하는) 가청 키워드 또는 키 사운드의 형태의 경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제7 실시형태가 규정될 수도 있다. 제7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내지 6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가청 키워드 또는 키 사운드가 사용자에 의해 청취 모듈로 사전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는 제8 실시형태가 규정될 수도 있다. 제8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내지 7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청취 모듈이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무선 경보 신호로서 경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수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는 제9 실시형태가 규정될 수도 있다. 제9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내지 8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무선 신호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전송될 수도 있는 제10 실시형태가 규정될 수도 있다. 제10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내지 9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경보 신호의 전송을 개시시키고 경보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기 위한 선택 가능한 아이콘을 포함할 수도 있는 제11 실시형태가 규정될 수도 있다. 제11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내지 10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와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본 발명의 많은 수정 및 다른 실시형태는 전술한 설명 및 연관된 도면에 제시된 교시내용의 이점을 갖는 이들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개시된 특정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수정 및 다른 실시형태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게다가, 전술한 설명 및 연관된 도면이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의 특정한 예시적인 조합의 맥락에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의 상이한 조합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점에서, 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범위 중 일부에서 제시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위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과는 상이한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의 조합이 또한 고려된다. 이점, 이득 또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이 여기에 설명된 경우, 이점, 이득 또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경우에, 이러한 이점, 이득 및/또는 해결책이 일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모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이점, 이득 또는 해결책은 모든 실시형태 또는 본 명세서에서 청구되는 것에 중요하거나, 필요하거나 또는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이들은 일반적이고 설명적인 의미로만 사용되며 제한의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Claims (20)

  1.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위치탐지를 위한 부착 가능한 부속품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부분과 맞물려서 상기 부속품을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슬리브 부분;
    청취 모듈; 및
    경보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청취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보 모듈은 상기 청취 모듈에 의한 상기 경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모듈은 가청음으로서 상기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모듈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상기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모듈은 상기 경보를 발령하는 것을 중단하는 명령어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모듈 및 상기 경보 모듈에 전력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슬리브 부분은 상기 부속품의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포트를 통해 상기 전력 모듈은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재충전 가능한, 부착 가능한 부속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모듈은 전력을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배터리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모듈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가청 키워드 또는 키 사운드의 형태인 상기 경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청 키워드 또는 키 사운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청취 모듈로 사전 프로그래밍되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무선 경보 신호로서 상기 경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경보 신호의 전송을 개시시키고 상기 경보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기 위한 선택 가능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부착 가능한 부속품.
  12.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으로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부속품으로서, 청취 모듈 및 경보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부속품
    을 포함하되,
    상기 청취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보 모듈은 상기 청취 모듈에 의한 상기 경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부분을 수용하여 상기 부속품을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슬리브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 모듈은 가청음으로서 상기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모듈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상기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경보 모듈은 상기 경보를 발령하는 것을 중단하는 명령어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경보를 발령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모듈 및 상기 경보 모듈에 전력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슬리브 부분은 상기 부속품의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포트를 통해 상기 전력 모듈은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재충전 가능한,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모듈은 전력을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배터리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모듈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가청 키워드 또는 키 사운드의 형태인 상기 경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무선 경보 신호로서 상기 경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경보 신호의 전송을 개시시키고 상기 경보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기 위한 선택 가능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시스템.
KR1020237005751A 2020-07-21 2021-07-21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KR202300431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54452P 2020-07-21 2020-07-21
US63/054,452 2020-07-21
US17/380,574 2021-07-20
US17/380,574 US20220028245A1 (en) 2020-07-21 2021-07-20 Aerosol Generation Device Locator
PCT/US2021/042558 WO2022020458A1 (en) 2020-07-21 2021-07-21 Aerosol generation device loc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143A true KR20230043143A (ko) 2023-03-30

Family

ID=7968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5751A KR20230043143A (ko) 2020-07-21 2021-07-21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28245A1 (ko)
EP (1) EP4185141A1 (ko)
JP (1) JP2023535402A (ko)
KR (1) KR20230043143A (ko)
CA (1) CA3188655A1 (ko)
MX (1) MX2023000931A (ko)
WO (1) WO20220204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86562C (en) * 2017-12-18 2023-04-25 Jt International Sa Apparatus for locating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98137A1 (en) * 2006-08-30 2008-03-06 Kurve Technology, Inc. Aerosol generating and delivery device
MX347697B (es) * 2012-01-03 2017-05-09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y sistema de generación de aerosol.
WO2014204511A2 (en) * 2013-06-18 2014-12-24 Isonea Limited Compliance monitoring for asthma inhalers
US10285430B2 (en) * 2014-02-28 2019-05-14 Ayr Ltd. Electronic vaporiser system
US20150379859A1 (en) * 2014-06-30 2015-12-3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automotive key fob, portable computing device, and vehicle
WO2016207805A1 (en) * 2015-06-22 2016-12-29 Wizedsp Ltd. A method and a system for locating a mobile telephone
US10201187B2 (en) * 2015-11-02 2019-02-12 Rai Strategic Holdings, Inc. User interface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US9946862B2 (en) * 2015-12-01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Electronic device generating notification based on context data in response to speech phrase from user
US10440992B2 (en) * 2015-12-07 2019-10-15 Rai Strategic Holdings, Inc. Motion sensing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US11043086B1 (en) * 2017-10-19 2021-06-22 Pb Inc. Voice-coded finder and radiotag tracker
JP7460556B2 (ja) * 2018-06-27 2024-04-02 ジュール・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接続型気化器デバイスシステム
US20200229492A1 (en) * 2019-01-18 2020-07-23 Loop Laboratories, LLC Multi-cartridge vaporizer
US20200352250A1 (en) * 2019-05-10 2020-11-12 Nixie Technologies Inc. Vaporizer apparatus data transmis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85141A1 (en) 2023-05-31
CA3188655A1 (en) 2022-01-27
JP2023535402A (ja) 2023-08-17
MX2023000931A (es) 2023-02-22
WO2022020458A1 (en) 2022-01-27
US20220028245A1 (en)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9183B2 (en) Vapor provision system
KR102132466B1 (ko) 전자식 흡입 장치
RU2711465C2 (ru)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ая интегральная схема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US11337464B2 (en) System for charging aerosol generation device
RU2736025C2 (ru) Питаемое от батареи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средства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нагрева батареи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температуры
US20200305506A1 (en) Module for powering an electronic smoking device portion
KR102508391B1 (ko) 증기 제공 시스템들
RU2710470C1 (ru) Электронная система создания пара
KR20210029412A (ko)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
EP4054364A1 (en) Aerosol delivery device/system
JP2022524198A (ja)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KR20230043143A (ko)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위치탐지기
KR20210135301A (ko)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30041757A (ko)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케이스
KR20220113472A (ko)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용 디바이스의 전력 레벨 표시
KR102509427B1 (ko) 증기 제공 시스템들
KR20230041063A (ko)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충전 해결책
RU2812298C2 (ru)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KR20240020639A (ko) 카트리지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4199769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WO2024062245A1 (en) Lockable aerosol provision system
KR20230163091A (ko) 에어로졸 발생 모듈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17725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