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301A -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301A
KR20210135301A KR1020217032332A KR20217032332A KR20210135301A KR 20210135301 A KR20210135301 A KR 20210135301A KR 1020217032332 A KR1020217032332 A KR 1020217032332A KR 20217032332 A KR20217032332 A KR 20217032332A KR 20210135301 A KR20210135301 A KR 20210135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delivery system
user
control circuitry
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구르한 일마즈
쉬시앙 첸
마크 포터
시몬 포인턴
제프 포스-스미스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Abstract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aerosol precursor material)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설명되고, 이 시스템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소모성 부품; 에어로졸 전구체로부터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재사용 가능한 부품;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을 모니터링(monitor)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 및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보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어 회로부는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경보 유닛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경보 유닛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경보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aerosol provision device), 및 경보 유닛이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할 때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설명된다.

Description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본 개시내용은 니코틴 전달 시스템들(nicotine delivery systems)(예를 들어, 전자 시가렛들 등)과 같은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전자 시가렛들(e-시가렛들)과 같은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전형적으로 니코틴(nicotine)을 포함하는 제제를 보유하는 소스 액체(source liquid)의 저장소와 같은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또는 담배 기반 제품과 같은 고체 재료를 보유하고, 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예를 들어 열 기화를 통해 에어로졸이 발생된다.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의 일부를 기화시키도록 배열된 기화기, 예를 들어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바이스(device) 상을 흡입하고 기화기에 전력이 공급되면, 공기가 입구 구멍들을 통해 디바이스 내로 그리고 증기 발생 챔버(chamber) 내로 흡인되고, 여기서 공기는 기화된 전구체 재료와 혼합되어 응축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에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마우스피스 단부(mouthpiece end)로부터 멀리 위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 입구 구멍들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시스템의 마우스피스 단부에 연결된 마우스피스 상을 빨면, 공기가 입구 구멍들을 통해 그리고 에어로졸 소스를 지나 흡인된다. 에어로졸 소스와 마우스피스의 개구 사이를 연결하는 유동 경로가 있어, 에어로졸 소스를 지나 흡인된 공기는 유동 경로를 따라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계속되어, 에어로졸 소스로부터 에어로졸의 일부를 이와 함께 운반한다. 에어로졸 운반 공기는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개구를 통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빠져 나간다.
일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은 또한 추가 향미들을 부여하거나 또는 달리 에어로졸을 개질하기 위해 시스템을 통한 유동 경로에 향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때때로 하이브리드 시스템들(hybrid systems)로 지칭될 수 있고, 향미 요소는 예를 들어 증기 발생 챔버와 마우스피스 사이의 공기 경로에 배열된 담배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들을 통해 흡인된 증기/응축 에어로졸은 사용자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를 빠져 나가기 전에 담배의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들에서는, 일반적으로 2 개의 성분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및 향미 요소가 사용 중에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속도들로 소비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예상되는 에어로졸을 전달하는 상태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유지하는 사용자에 대해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 중 일부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시도되는 다양한 접근 방식들이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소모성 부품; 에어로졸 전구체로부터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재사용 가능한 부품;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을 모니터링(monitor)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 및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보 유닛(alert unit)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어 회로부는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경보 유닛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경보 유닛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경보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여기서 이 방법은: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시스템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시스템의 모니터링된 사용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이 검출될 때까지,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여기서 이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소모성 부품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용 모니터링 기구; 및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보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사용 모니터링 기구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되는 경우, 경보 유닛은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경보 유닛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경보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소모성 부품;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재사용 가능한 부품;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수단; 및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보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어기 수단은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경보 출력 수단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경보 출력 수단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경보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소모성 부품; 에어로졸 전구체로부터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재사용 가능한 부품;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 및 모니터링된 사용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된 경우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하도록 구성된 경보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어 유닛은 경보 유닛이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할 때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여기서 이 방법은: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시스템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시스템의 모니터링된 사용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경보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도 에어로졸을 발생할 수 있음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다른 양태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양태들은 위에 설명된 특정 조합들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도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고, 이들과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에 따른 액체 에어로졸 전구체 및 담배 포드(tobacco pod)를 포함하는 카트리지(cartridge)를 포함하는 교체 가능한 소모성 부품 및 재사용 가능한 부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담배 포드를 변경하도록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하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담배 포드 및 카트리지를 변경하도록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하기 위한 경보 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제어 회로부가 다수의 원격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할되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들은 간결함을 위해 상세하게 논의/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장치 및 방법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이러한 양태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종래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은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e-시가렛들과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음 설명 전체에 걸쳐, "e-시가렛" 또는 "전자 시가렛"이라는 용어가 때때로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나 이 용어는 증기 제공 시스템/디바이스 및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디바이스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증기" 및 "에어로졸"이라는 용어들, 및 "기화시키다", "휘발시키다" 및 "에어로졸화시키다"와 같은 관련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종종 재사용 가능한 부품 및 교체 가능한(일회용) 소모성 부품을 모두 포함하는 모듈식 조립체(modular assembly)를 포함한다. 종종 교체 가능한 부품은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및 기화기를 포함할 것이고, 재사용 가능한 부품은 전력 공급 장치(예를 들어,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battery)), 활성화 기구(예를 들어, 버튼 또는 퍼프 센서(puff sensor)), 및 제어 회로부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상이한 부품들은 또한 기능에 따라 추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디바이스의 경우, 카트리지 부품은 또한 "포드"로서 제공되는 추가 에어로졸 개질 요소, 예를 들어 담배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요소 인서트(element insert)는 그 자체가 일회용 카트리지 부품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므로, 이것은 예를 들어 향미를 변경하기 위해 또는 요소 인서트의 사용 수명이 카트리지의 증기 발생 구성요소들의 사용 가능한 수명보다 짧기 때문에 카트리지와 별도로 교체될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품은 종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작동 상태 특성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와 같은 추가 구성요소들을 또한 포함할 것이다.
모듈식 디바이스의 경우, 소모성 부품 및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나사 나사산, 래치결합(latching) 또는 전기 접점들과 적절하게 맞물리는 베이어닛 고정(bayonet fixing)을 사용하여, 사용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그리고 때로는 또한 전기적으로도) 함께 결합된다. 카트리지의 증기 전구체 재료가 소진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다른 증기 전구체 재료를 갖는 다른 카트리지로 스위칭하도록 원하는 경우, 카트리지를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거하고 교체 카트리지를 그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2 부품 모듈식 구성에 부합하는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2 부품 디바이스들 또는 다중 부품 디바이스들로 지칭될 수 있다.
다중 부품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전자 시가렛들은 일반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갖는 것이 비교적 일반적이며,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여기에 설명된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담배 포드 인서트를 갖는 일회용 카트리지들을 사용하는 일반적으로 세장형인 다중 부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설명된 기본 원리들은 서로 다른 전자 시가렛 구성들, 예를 들어 단일 부품 디바이스들 또는 2 개 초과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모듈식 디바이스들, 리필 가능한 디바이스들 및 단일 사용 일회용 디바이스들, 및 추가 향미 요소를 갖지 않는 넌-하이브리드 디바이스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보다 박스 같은 형상(box-like shape)을 갖는 소위 박스 모드 고성능 디바이스들을 기반으로 하는 다른 전체 형상들에 부합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해 동등하게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더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라 활성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시가렛들에 기초하고, 설명된 활성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시가렛의 특정 구조적 양태들은 일차적으로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통한 단면도이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2 개의 주요 구성요소들, 즉 재사용 가능한 부품(2)(때로는 디바이스 부품 또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라고도 함) 및 교체 가능한/일회용 소모성 부품을 포함한다.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은 소모성 부품보다 더 긴 수명을 갖도록 의도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다른 말로 하면,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은 다수의 소모성 부품들과 함께 순차적으로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소모성 부품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위해 에어로졸을 형성할 때 소모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1의 예에서, 교체 가능/일회용 소모성 부품은 카트리지(4) 및 제거 가능한 포드(8)로 형성된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보다 구체적으로 기화되어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e-액체(때로는 소스 액체라고도 함)와 같은 액체 에어로졸 전구체를 포함하고, 제거 가능한 포드(8)는 카트리지(4)의 e-액체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개질하도록 배열된 담배 또는 담배 기반 제품(이하, 담배 재료(84)라고 함)의 일부를 보유한다(구체적으로, 도 1의 예시적인 배열체에서, e-액체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은 제거 가능한 포드(8)를 통해 흡인되고, 향미 및/또는 니코틴이 에어로졸에 부여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은 먼저 소스 액체를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발생하고, 둘째로 발생된 에어로졸을 담배 포드(8)를 통해 통과시켜 에어로졸을 개질함으로써 소모성 부품을 통해 발생되고, 여기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은 개질된 에어로졸이다. 구체적인 예를 위해, 제거 가능한 포드(8)는 담배 재료(84)를 보유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그러나 제거 가능한 포드(8)는 에어로졸의 특성들 또는 조성을 개질하는 다른 재료들(여기에서 때때로 에어로졸 개질 재료로 지칭됨), 예를 들어 다른 식물 기반 재료들 또는 액체에 적셔진 매트릭스들(matrices)을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예를 위해, 여기에 설명된 제거 가능한 포드(8)는 담배 재료(84)를 보유하고, 때때로 담배 포드(8)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정상적인 사용 시, 재사용 가능한 부품(2) 및 카트리지(4)는 제1 인터페이스(6)에서 함께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트리지(4)의 e-액체가 소진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단순히 다른 카트리지(4)로 스위칭하기를 원하는 경우, 카트리지(4)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2)으로부터 제거되고 교체 카트리지(4)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그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6)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2)과 카트리지(4) 사이의 구조적, 전기적 및 공기 경로 연결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나사 나사산, 래치 기구, 또는 적절하게 2 개의 부품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공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적절하게 배열된 전기적 접점들 및 개구들을 갖는 베이어닛 고정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 기술들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카트리지(4)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기계적으로 장착되는 특정한 방식은 여기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 또한, 일부 구현들에서 인터페이스(6)는 카트리지(4)와 재사용 가능한 부품(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기화기는 카트리지(4)가 아닌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2)으로부터 카트리지(4)로의 전력 전송은 무선(예를 들어, 전자기 유도 기반)일 수 있으므로, 재사용 가능한 부품(2)과 카트리지(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
유사하게, 통상적인 사용에서, 카트리지(4) 및 담배 포드(8)는 제2 인터페이스(7)에서 함께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인터페이스(7)는 대체로 제1 인터페이스(6)에 대해 카트리지(4)의 반대쪽 단부에 있다. 카트리지(4)에서와 같이, 담배 포드(8)는 예를 들어, 담배 재료가 카트리지(4)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에 향미 또는 니코틴을 더 이상 부여하지 않을 때 교체될 수 있다. 카트리지(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 담배 포드(8)를 제공하면 담배 포드(8)가 카트리지(4)와 독립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인터페이스(7)는 카트리지(4)와 담배 포드(8) 사이의 구조적 및 공기 경로 연결을 제공한다. 전술한 것들 중 임의의 것들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결합 기구가 담배 포드(8)를 카트리지(4)에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카트리지 부품(4)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카트리지 하우징(42)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하우징(42)은 카트리지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고, 기계적 인터페이스(6)에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을 제공한다. 카트리지 하우징(42)은 일반적으로 카트리지(4)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결합되는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원형 대칭이다. 이 예에서 카트리지(4)는 약 4 cm의 길이 및 약 1.5 cm의 직경을 갖는다. 그러나, 특정한 기하학적 구조, 및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된 전체 형상들 및 재료들은 상이한 구현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카트리지 하우징(42) 내에는 설명된 예에서 액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보유하는 저장소(44)가 있다. 액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는 통상적인 것일 수 있고, e-액체로 지칭될 수 있다. 소스 액체는 니코틴 및/또는 다른 활성 성분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향미들을 보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향미" 및 "향미제"라는 용어들 지역 규정들이 허용하는 경우 성인 소비자들을 위한 제품에서 원하는 맛 또는 향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재료들을 지칭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소스 액체는 니코틴을 보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카트리지(4)가 액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포함하지만, 다른 구현들에서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는 고체 또는 겔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예에서 액체 저장소(44)는 카트리지 하우징(42)에 의해 정의되는 외벽 및 카트리지(4)를 통과하는 공기 경로(52)를 정의하는 내벽을 갖는 환형 형상을 갖는다. 저장소(44)는 소스 액체를 보유하기 위해 단부 벽들로 각 단부에서 폐쇄된다. 저장소(44)는 통상적인 기술들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카트리지 하우징(42)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카트리지(4)는 소스 액체를 기화시키도록 구성된 기화기(48)를 더 포함한다. 도 1의 예에서 기화기는 저장소(44)의 단부를 향해 위치된 심지(46)와 함께 제공되는 히터(heater)(48)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심지(46)는 카트리지 공기 경로(52)를 가로질러 횡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들은 저장소(44)의 내벽에 있는 개구들을 통해 e-액체의 저장소(44) 내로 연장된다. 저장소의 내벽에 있는 개구들은 그의 유체 전달 성능에 해로울 수 있는 심지의 과도한 압축이 이루어지지 않고 액체 저장소로부터 카트리지 공기 경로로의 누출에 대해 합리적인 밀봉을 제공하도록 심지(46)의 치수들과 대략적으로 일치하도록 크기가 지정된다.
심지(46) 및 히터(48)는 카트리지 공기 경로(52)에 배열되어, 심지(46) 및 히터(48) 주위의 카트리지 공기 경로(52)의 영역이 사실상 카트리지(4)에 대한 기화 영역을 정의한다. 저장소(44) 내의 e-액체는 저장소(44) 내로 연장되는 심지의 단부들을 통해 심지(46)에 침투하고, 표면 장력/모세관 작용(즉, 위킹(wicking))에 의해 심지를 따라 흡인된다. 이 예에서 히터(48)는 심지(46) 주위에 감겨진 전기 저항성 와이어(wire)를 포함한다. 사용 시 전력이 히터(48)에 공급되어 심지(46)에 의해 히터(48) 부근으로 흡인된 e-액체(증기 전구체 재료)의 양을 기화시킬 수 있다. 이 예에서 히터(48)는 니켈 크롬 합금(Cr20Ni80) 와이어를 포함하고, 심지(46)는 유리 섬유 다발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특정 기화기 구성이 여기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제로, 다른 구현들에서, 대안적인 기화기들(예를 들어, 진동 메쉬(vibrating mesh), LED 히터 등)이 카트리지(4)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기화기의 특정 유형은 기화될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의 유형을 포함하여 많은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것이다. 기화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카토마이저(cartomiser)"라고도 한다.
e-액체가 기화기(히터)(48)에 의해 기화되는 속도는 사용 동안 히터(48)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레벨)에 의존할 것이다. 따라서 전력이 히터(48)에 인가되어, 카트리지(4)의 e-액체로부터 증기를 선택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증기 발생 속도는 예를 들어 펄스 폭(pulse width) 및/또는 주파수 변조 기술들을 통해 히터(48)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담배 포드(8)는 인터페이스(6) 반대편에 있는 카트리지(4)의 단부에 결합된다. 담배 포드(8)는 포드 하우징(82) 및 포드 하우징(82) 내에 보유된 담배 재료(84)를 포함한다. 담배 포드 하우징(82)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카트리지(4)는 담배 포드(8)의 일부가 삽입되어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되는 인터페이스(7)의 리세스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담배 포드 하우징(82)은 인터페이스(7)를 통해 카트리지(4)에 결합하기 위한 맞물림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그리고 동등하게 카트리지(4)에는 담배 포드 하우징(82)에 결합하기 위한 대응하는 맞물림 특징부들이 제공된다). 담배 포드(8)는 카트리지(4)에 직접 결합되지만 그러나 카트리지(4)를 통해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간접적으로 결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하우징(82)은 담배 재료(84)가 수납될 수 있는 내부 부피를 정의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82)은 담배 포드(8)가 인터페이스(7)를 통해 카트리지(4)에 결합될 때 카트리지(4)의 공기 경로(52)와 유체 연통하는 하우징(82)의 벽에 있는 입구(86), 및 입구(86) 반대편에 위치 결정된 출구(50)를 포함한다. 공기 경로(52)를 따라 유동하는 (그리고 기화된 소스 액체가 비말동반되는) 공기는 담배 포드(8)의 내부 부피 내로 통과하고 담배 재료(84)와 상호 작용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담배 재료(84)는 입구(86)를 통해 들어가는 에어로졸에 약간의 향미 및/또는 니코틴을 부여할 수 있고, 후속적으로 에어로졸의 조성을 개질할 수 있다. 개질된 에어로졸은 출구(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는 출구(86) 주위에 또는 출구에 인접하게 그들의 입술들을 배치하고, 출구(50)를 통해 공기를 흡인할 수 있고, 따라서 출구(50)는 마우스피스 출구(50)로 지칭될 수 있다. 담배 포드(8)의 형상 및 치수들은 담배 포드(8) 및 카트리지(4)가 맞물릴 때 하우징(82)이 하우징(42)과 대체로 같은 높이가 되도록 설정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담배 포드(8)의 하우징(82)은 일반적인 사용자의 입과 인체공학적으로 맞도록 성형되지만, 다른 구현들에서는 담배 포드(8) 및/또는 카트리지(4)에 결합되는 별도의 마우스피스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위한 공기 입구(28)를 정의하는 개구를 갖는 외부 하우징(12),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위한 작동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26),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작동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기(또는 때때로 제어 회로부라고도 함)(20), 제1 사용자 입력 버튼(14), 제2 사용자 입력 버튼(24) 및 경보 유닛(22)을 포함한다.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은 흡입 센서(퍼프 검출기)(16)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는 이 예에서 압력 센서 챔버(18)에 위치된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그러나,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압력 센서는 존재하고 압력 센서 챔버(18)는 다른 구현들에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외부 하우징(12)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예에서 인터페이스(6)에서 2 개의 부품들 사이의 매끄러운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카트리지(4)의 형상 및 크기에 일반적으로 일치하는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 재사용 가능한 부품의 길이는 약 8 cm이므로, 카트리지 부품 및 재사용 가능한 부품이 함께 결합될 때 e-시가렛의 전체 길이는 약 12 cm이다. 그러나,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자 시가렛의 전체 형상 및 규모는 여기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공기 입구(28)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을 통해 공기 경로(30)에 연결된다. 재사용 가능한 부품 공기 경로(30)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2) 및 카트리지(4)가 함께 연결될 때 인터페이스(6)를 가로질러 카트리지 공기 경로(52)에 차례로 연결된다. 압력 센서(16)를 보유하는 압력 센서 챔버(18)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의 공기 경로(30)와 유체 연통한다(즉, 압력 센서 챔버(18)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의 공기 경로(30)로부터 분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개구(50)를 흡입하면, 압력 센서(16)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압력 센서 챔버(18)의 압력 강하가 있고, 또한 공기는 공기 입구(28)를 통해, 재사용 가능한 부품 공기 경로(30)를 따라, 인터페이스(6)를 가로질러, 히터(48) 부근의 증기 발생 영역을 통해(여기서 히터가 활성일 때, 기화된 e-액체가 공기 유동에 비말동반되게 됨), 카트리지 공기 경로(52)를 따라, 그리고 사용자 흡입을 위한 마우스피스 개구(50)를 통해 외부로 흡인된다.
이 예에서 배터리(26)는 재충전가능하고, 통상적인 유형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교적 짧은 기간들 동안 비교적 높은 전류의 제공을 필요로 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및 다른 적용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일 수 있다. 배터리(26)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 하우징(12) 내의 충전 커넥터(charging connector), 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통해 재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26)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일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14)은 기계적 버튼이며, 예를 들어 전기 접촉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스프링 장착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입력 버튼(14)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대한 수동 입력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그러나 버튼이 구현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다른 형태들의 기계적 버튼 또는 (예를 들어, 정전용량 또는 광학 감지 기술들에 기반하는) 터치 검출 버튼이 다른 구현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버튼이 구현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예를 들어 원하는 미적 외관과 관련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14)은 디바이스를 켜고 끄는 기능을 제공한다. 온 상태(on state)에 있을 때, 배터리(26)로부터의 전력은 필요에 따라 제어 회로부(20) 및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의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제공되지만, 그러나 에어로졸 발생은 가능하지 않다. 오히려,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발생과 관련하여 대기 상태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력 센서(16) 및 제어 회로부(20)에는 압력 변화(사용자 흡입을 의미함)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전력이 제공된다. 사용자 흡입이 검출되면, 제어 회로부(20)는 소스 액체가 기화되도록 하기 위해 히터(48)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흡입이 검출되는 것이 중단되면(예를 들어, 압력이 특정 임계값 미만으로 떨어졌음), 이 경우 제어 회로부(20)는 히터(48)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구성되어, 그 결과 에어로졸 발생도 또한 중단된다.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활성화 기구들은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기구들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퍼프 작동" 디바이스들로 지칭된다. 압력 센서(16)(또는 다른 흡입 검출기들)를 사용하지 않는 대안적인 구성들에서, 에어로졸 발생은 사용자 입력 버튼을 통해 개시(initiated)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버튼(14)은 디바이스를 켜고 끄며, 그리고 에어로졸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이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버튼(14)은 디바이스를 켜거나 끄기 위해 제1 시간 기간(예를 들어, 1 초) 동안 눌러질 수 있고, 디바이스가 온 상태일 때, 사용자 입력 버튼(14)은 히터(48)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1 시간 기간보다 더 긴 제2 시간 기간 동안 홀드 다운(held down)될 수 있다(눌려질 수 있다). 버튼이 눌려진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는 마우스피스 개구(50)에서 흡입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활성화 기구들은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기구들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을 일반적으로 "버튼 작동" 디바이스들로 지칭한다.
제어 회로부(20)는 여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시스템들을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기술들에 따라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종래의 작동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적절하게 구성되고/프로그래밍된다. 제어 회로부(20)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작동의 상이한 양태들과 관련된 다양한 서브-유닛들/회로부 요소들을 논리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마이크로) 제어기, 프로세서, ASIC 또는 유사한 형태의 제어 칩의 제공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0)는 시스템(1)과 관련된 임의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오직 비-제한적인 예로서, 기능은 시각적 표시기(예를 들어, LEDs)/디스플레이들을 제어하는 것, 외부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 등과 같은 다른 기능 외에도, 배터리(26)의 충전 또는 재충전, (즉, 히터(48)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배터리(26)의 방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0)는 인쇄 회로 기판(PCB)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부(20)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은 다중 회로 기판들에 걸쳐 및/또는 PCB에 장착되지 않은 구성요소들에 걸쳐 분할될 수 있고, 이러한 추가 구성요소들 및/또는 PCBs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내에 적절하게 위치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26)의 (재)충전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20)의 기능은 배터리(26)의 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과 별도로 (예를 들어, 상이한 PCB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20)로부터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보 유닛(22)을 더 포함한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 카트리지(4)의 저장소(44)에 있는 소스 액체 및 담배 포드(8)의 담배 재료(84)는 모두 사용자에게 두 개의 재료들의 특정 특성들/특징들을 갖는 에어로졸을 제공하는데 소비된다. 카트리지(4)에 제공되는 소스 액체의 양은 주로 특정 규정들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가능한 한 제품의 비용을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신중하게 선택되었다. 마찬가지로, 담배 포드(8)에 제공된 담배 재료(84)의 양은 유사한 고려 사항들에 기초하여 선택되었다. 그러나, 담배 포드(8)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만족스러운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해 카트리지(4)보다 더 자주 교체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말로 하면, 담배 포드(8)는 일반적으로 정상 사용 중에 카트리지(4)보다 더 빠른 속도로 고갈된다. 사용자가 담배 포드(8)를 대체 담배 포드(8)로 스위칭해야 하는 이상적인 시기를 알기는 어렵고, 사용자가 만족스럽지 않은 에어로졸을 수용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만 사용자가 담배 포드를 교체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할 가능성이 있다. 사용자의 인식 수준들에 따라, 사용자는 담배 포드(8)를 스위칭하기에 이상적인 시간이 지난 후 일정 시간까지 이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는 사용자에게 담배 포드(8)를 스위칭하도록 촉구하는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보 유닛(22)이 제공된다.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사용에 기초하여 경보 신호가 출력된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사용은 단순히 시스템과의 임의의 상호 작용이 아니라, 에어로졸 발생과 관련된 사용으로 이해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여기에서의 사용은 예를 들어 시스템의 설정들을 구성하는데 소비된 시간을 포함하지 않는다). 즉,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사용은 에어로졸 발생을 직접적으로 초래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때때로 여기에서 에어로졸 발생 사용으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제어 회로부(20)는 시스템(1)의 에어로졸 발생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은 제조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지만, 그러나 어느 경우든 제어 회로부(20)가 접근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될 때, 제어 회로부(20)는 경보 유닛(22)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경보 유닛(22)은, 예를 들어, 광학 요소(예를 들어, LED), 음향 요소(예를 들어, 스피커(speaker)) 및 햅틱 피드백 요소(haptic feedback element)(예를 들어, 진동기)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경보 유닛(22)은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사용을 기초로 하여 충족되었다고 결정될 때 사용자에게 담배 포드(8)를 스위칭하도록 촉구하는 경보 신호로서 진동(또는 일련의 진동)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햅틱 피드백 요소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경보 유닛(22)은 하나 이상의 LEDs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과 관련된 다양한 특성들의 원하는 정보, 예를 들어 현재 전력 설정 정보, 남은 배터리 전력 등을 표시하도록 구동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종래의 픽셀화된 LCD 화면(pixilated LCD screen))를 포함할 수 있다. 경보 유닛(22)은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를 펄싱(pulsing)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통해 경보 신호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경보 유닛(22)의 특정 구현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대해 일차적으로 중요하지 않다.
경보 유닛(22)은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경보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경보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것은 특정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또한 간헐적인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것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시 말해, 경보 유닛(22)의 LEDs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조명될 수 있거나, 또는 LEDs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예를 들어, 고정 또는 가변 주파수로) 및/또는 특정 시퀀스로 연속적으로 펄싱될 수 있다. 연속적인 경보 신호를 제공하면 사용자에게 경보 신호를 인지하고 그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담배 포드(8)를 교체할 수 있는 증가된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일부 구현들에서 경보 신호는 디바이스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 연속적으로 출력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디바이스가 꺼져 있거나, 또는 배터리 전원이 부족하면, 경보 유닛(22)은 전력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구현들에서 경보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가 다시 스위칭 온되면, 경보 신호의 연속적인 출력이 재개된다. 따라서, 일부 구현들에서 경보 유닛(22)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켜져 있을 때,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경보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시스템들에서 경보 신호는 출력을 위해 상당한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고, 배터리(26)의 예비 전력 부분을 사용하면 디바이스가 스위칭 오프된 경우에도 경보 신호가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0)는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입력은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한 것이고(즉, 경보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기 위한 것이고) 및/또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부(20)의 양태들을 재설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특정 유형의 사용자 입력으로서, 전용 입력 소스로부터의 입력 또는 특정 패턴을 갖거나 또는 특정 형태를 취하는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은 제2 사용자 입력 버튼(24)을 포함하고, 이 제2 사용자 입력 버튼은 이 예에서는 제1 사용자 입력 버튼(14)과 구별된다. 따라서 제2 사용자 입력 버튼(24)은 전용 입력 소스로 생각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0)는 제2 사용자 입력 버튼(24)의 작동을 모니터링하고, 작동이 제어 회로부(20)에 의해 검출될 때, 제어 회로부(20)는 경보 유닛(22)이 스위칭 오프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제2 사용자 입력 버튼(24)은 기계적 버튼이며, 예를 들어 전기 접촉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스프링 장착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입력 버튼(24)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대한 수동 입력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그러나 버튼이 구현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중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다른 형태들의 기계적 버튼 또는 (예를 들어, 정전용량 또는 광학 감지 기술들에 기반하는) 터치 검출 버튼이 다른 구현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버튼이 구현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예를 들어 원하는 미적 외관과 관련하여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어 회로부(20)는 사용자 입력 버튼으로부터 특정 유형의 입력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사용자 입력 버튼(14)은 사용자가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경우,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을 켜거나 또는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 버튼(14)으로부터의 입력과 구별하기 위해, 특정 패턴을 갖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해 제1 사용자 입력 버튼(14)을 통해 입력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특정 입력은 (약 0.5 초 이하의) 2 번의 빠른 버튼 누름들에 이어 (약 2 초의) 제3 더 긴 버튼 누름일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예를 들어 20 내지 30 초 동안 버튼의 연속적인 누름은 특정 입력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들에서,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은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거나 또는 수신되고 있다는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경보 유닛(22)은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거나 또는 수신되고 있다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부(20)는 제1 입력 버튼(14)으로부터의 이러한 입력 신호를 검출할 때 후속적으로 경보 유닛(22)을 끄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사용자 입력 버튼(14)이 다중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구현들에서,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의 외부 하우징(12)에 더 적은 수의 버튼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부 구현들에서는, 단지 하나의 사용자 입력 버튼(14)이 제공된다. 그러나, 기능들의 수가 크게 증가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 입력 버튼들을 제공하면 사용자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을 작동하는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터치 검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같은) 동적 사용자 입력 기구가 사용될 수 있고, 이로써 터치 검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특정 시간들에 또는 특정 터치들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변경하여 다중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통합된 가속도계(또는 유사한 모션 센서(motion sensor))를 사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20)는 가속도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가속도계에 결합될 수 있고, 가속도계가 특정 모션 또는 일련의 모션들(예를 들어, "앞으로의" 및 "뒤로의" 또는 "위로의" 및 "아래로의" 모션을 포함하는 흔들림 모션(shaking motion))을 검출할 때, 제어 회로부(20)는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다고 결정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가속도계(또는 유사한 모션 검출 디바이스)의 사용은 햅틱 피드백 요소를 포함하는 경보 유닛(22)과 조합될 수 있고, 이는 함께 더 햅틱적 또는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0)는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이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경보 유닛(22)이 경보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부(20)는 항상 또는 경보 유닛(22)이 활성화된(즉, 경보 유닛(22)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시간들에만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보 유닛(22)이 활성화된 경우에만 경보 신호를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하도록 제어 회로부(22)를 구성하는 것은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또한 제어 회로부(20)의 양태들, 및 특히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것과 관련된 양태들을 재설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특히 담배 포드(8)를 변경하도록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경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예시적인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20)에 의해 검출되는 켜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 버튼(14)을 사용하여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을 스위칭 온할 때 단계(S110)에서 시작된다. 켜짐 신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부(20)는 배터리(26)로부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다른 전기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압력 센서(16)에 전력을 공급한다.
단계(S112)에서, 에어로졸 발생이 시작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1의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은 압력 센서(16)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마우스피스 개구(50)에서 흡입할 때, 공기가 공기 입구(28)를 통해 재사용 가능한 부품(2) 외부로부터 재사용 가능한 부품(2) 내로 흡인된다. 이 공기는 공기 경로(30)를 따라 유동하고, 후속적으로 압력 센서(16)에 의해 검출되는 센서 챔버(18)의 압력 강하를 발생시킨다. 감소된 압력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부(20)는 카트리지(4)의 히터(48)에 전력이 공급되게 하고, 이는 후속적으로 심지(46)에 보유된 소스 액체를 기화시킨다. 공기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 공기 경로(30)를 따라, 인터페이스(6)를 가로질러, 히터(48) 부근의 증기 발생 영역(여기서 히터(48)가 활성일 때 기화된 소스 액체는 공기 유동에 비말동반됨)을 통해, 카트리지 공기 경로(52)를 따라, 그리고 사용자 흡입을 위한 마우스피스 개구(50)를 통해 외부로 흡인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은 방금 설명된 퍼프 작동 기구들을 사용하여 및/또는 당면한 적용에 따라 버튼 작동 기구들을 사용하여 발생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을 시작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부(20)는 단계(S114)에서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사용(여기에서 에어로졸 발생 사용으로 지칭됨)을 모니터링하기 시작하도록 구성된다. 본 예에서, 제어 회로부(20)는 히터(48)가 활성화되어 소스 액체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지속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20)는 전력이 히터(48)에 공급되는 시간의 길이(또는 반대로 압력 센서(16)가 압력 강하를 검출하는 시간의 길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어 회로부는 에어로졸 발생의 시작과 끝을 결정하여, 히터 활성화 지속 시간을 계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흡입의 시작과 끝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들은 여기에서 더 자세히 논의되지 않았으며, 당업자는 임의의 적절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0)는 (본 명세서에서 1 회의 흡입이라고도 지칭될 수도 있는) 에어로졸 발생의 각 인스턴스(instance)에 대한 히터 활성화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부(20)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다중 사용들에 대한 누적 에어로졸 발생 사용 파라미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누적 에어로졸 발생 파라미터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된 에어로졸 발생의 누적 측정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특정 예에서 누적 에어로졸 발생 파라미터는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 즉 히터(48)가 활성이었던 시간의 길이를 포함한다. 그러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되는 에어로졸 발생의 양을 나타낼 수 있는 다른 파라미터들이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은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다. 단계(S116)에서, 1 회의 흡입이 완료된 후, 제어 회로부(20)는 해당 흡입에 대한 히터 활성화 시간을 포함하도록 메모리에 저장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말로 하면, 1 회의 흡입 후,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에 대한 새로운 값이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메모리가 업데이트된다. 새로운 값은 이전에 저장된 값과 현재 흡입에 대한 히터 활성화 시간을 더하여 계산된다.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을 제1 카트리지(4)와 함께 처음 사용하기 전에,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은 메모리에서 0 으로 설정된다.
단계(S118)에서, 제어 회로부(20)는 미리 정의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부(20)는 누적 에어로졸 발생 사용 파라미터를 임계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임계값은 시간 값, 예를 들어, 특정 수의 초들 또는 분들일 수 있다. e-액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4) 및 담배 재료를 포함하는 담배 포드(8)가 사용자에게 에어로졸을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도 1의 시스템(1)에서, 임계값은 170 내지 300 초 또는 180 내지 290 초로 설정된다. 특정 구현에서, 임계값은 280 초로 설정된다. 위에 정의된 임계값은 에어로졸을 개질하기 위한 담배 포드(8) 내의 담배 재료의 충분한 사용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길지만, 그러나 동시에 불만족스러운 에어로졸이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도록 보장하기에 충분히 짧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특정 임계값은, 다른 요인들 중에서, 담배 재료의 유형(또는 더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개질 재료의 유형), 소스 액체의 유형(또는 더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및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흡입 당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양(이는 예를 들어 히터(48)에 공급되는 전력에 의존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더 일반적으로, 단계(S118)에 대한 임계값은 고갈될 액체의 1.5 내지 2.5 ml를 보유하는 카트리지(4)에 대해 히터가 활성화된 총 누적 시간의 1/2 미만 또는 이와 같은 값, 내지 동일한 카트리지(4)에 대해 히터가 활성화된 총 누적 시간의 1/4 초과 또는 이와 같은 값으로 설정된다. 제어 회로부(20)는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임계 시간 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또는 일부 구현들에서는 임계값 미만 또는 이와 같은 경우)(즉, 단계(S118)에서 "아니오"인 경우), 그 후 방법은 다음 흡입이 시작되는 단계(S112)로 다시 진행한다. 반대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이 임계값 초과 또는 이와 같은 경우(또는 일부 구현들에서는 임계값 초과인 경우)(즉, 단계(S118)에서 "예"이 경우), 그 후 방법은 단계(S120)로 진행한다.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담배 포드(8)의 누적 사용을 기록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의 초기 값은 임계값(예를 들어, 280 초)으로 설정될 수 있고, 흡입할 때마다,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이 0에 도달할 때까지 해당 흡입 값에 대한 히터 활성화 시간을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에서 뺀다. 본질적으로, 담배 포드(8)의 사용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알고리즘이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제어 유닛(20)은 경보 유닛(22)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경보 유닛(22)은 광학 요소(예를 들어, LED), 음향 요소(예를 들어, 스피커) 및 햅틱 피드백 요소(예를 들어, 진동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경보 신호는 광학 신호, 음향 신호, 또는 햅틱 피드백 신호(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를 출력하기 위해 이러한 요소들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신호이다. 경보는 사용자에게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으며, 이 예에서, 담배 포드(8)가 새로운 담배 포드(8)로 스위칭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경보 신호는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입력 버튼(24)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연속적으로 경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경보 신호를 관찰하고 담배 포드(8)가 교체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더 큰 기회를 갖게 된다. 이것은 사용 중에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이 (예를 들어, 흡입 중에) 사용자의 얼굴 가까이에서 시간의 기간들을 보내므로, 경보 유닛(22)이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의 일부를 형성할 때 특히 유용할 수 있고, 및/또는 경보 유닛(22)이 정상적인 사용 시에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멀리 지향되는 상태로 배향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구현에서, 경보 유닛(22)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의 외부 하우징(12)의 표면 상에 순차적인 배열로 제공되는 4 개의 LEDs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LEDs는 각 LED가 환형 형상의 1/4을 조명하는 환형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경보 신호는 4 개의 LEDs의 환형 배열의 제1 (좌측 상단) 및 제4 (우측 상단) LEDs를 연속적으로 펄싱하거나 또는 플래싱(flash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좌측 상단" 및 "우측 상단"은 조명되는 사분면들을 순전히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재사용 가능한 부품(2) 상에 있을 때 4 개의 LEDs의 임의의 특정 배향을 추론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즉, "상단"이라는 용어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의 원위 (반대쪽) 단부보다 마우스피스 출구(50)에 더 가까운 LEDs의 환형 배열의 절반, 또는 반대로 마우스피스 출구(50)보다 원위 단부에 더 가까운 절반을 나타낼 수 있다. 당업자는 임의의 적절한 배열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추가 구현들에서, 경보 유닛은 상이한 색상들을 갖는 광학 신호들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s는 담배 포드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보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파란색으로 플래싱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경보 유닛(22)은 또한 담배 포드(8)를 변경할 필요성을 나타내지 않는 다른 경보 신호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26)가 저 전력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저 전력 경보 신호는 경보 유닛(22)을 통해 추가로 전달될 수 있다.
소스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소(44) 및 히터(48)를 보유하는 카트리지(4)와 달리, 담배 포드(8)는 개질된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해 여전히 사용자에 의해 여전히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저장소(44) 내의 소스 액체가 고갈되거나 또는 거의 제거되어, 심지(46)가 정상 사용 동안보다 더 적은 양의 액체를 보유할 때, 히터(48)에 전력을 계속해서 공급하면 (가열되는 액체의 부피가 정상보다 적으면 히터 온도가 올라갈 수 있으므로) 재료 또는 심지(46)의 탄화 또는 남아있는 소스 액체의 태움과 같은 원하지 않는 효과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잠재적으로 카트리지(4) 및/또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손상을 줄 뿐만 아니라 불만족스러운 에어로졸의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효과들은 때때로 매우 빠르게 발전할 수 있다. 즉, 단지 몇 번의 퍼프들 내에서, 카트리지(4)는 정상적인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것으로부터 불만족스러운 에어로졸로 갈 수 있다. 반대로, 담배 포드(8)에 의해 개질되는 에어로졸의 품질 저하가 더 점진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담배 포드(8)를 통해 에어로졸을 통과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카트리지(4), 담배 포드(8) 또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어떠한 손상도 초래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르면, 경보 유닛(22)이 사용자가 소모성 부품 또는 그 일부(예를 들어, 담배 포드(8))를 변경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계속해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계(S122)에서, 제어 유닛(22)은 경보 신호를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일단 사용자가 경보 신호를 관찰하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담배 포드(8)를 새로운 담배 포드(8)로 변경하고,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버튼(24)을 통해)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방식으로 진행한다고 가정하면, 제어 회로부(20)는 단계(S122)에서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즉, 단계(S122)에서 "예"), 단계(S124)로 진행한다. 단계(S124)에서, 경보 유닛(22)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오프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단계(S122)에서, 사용자 입력은 수신되지 않을 것이다(즉, 단계(S122)에서 "아니오"). 이러한 경우들에서, 제어 회로부(20)는 경보 신호를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경보 유닛(22)이 계속해서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법은 다시 단계(S120)로 진행한다. 제어 회로부(2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는 20 ms마다 한 번의 속도로 확인할 수 있음).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는 경보 유닛(22)에 의해 경보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또 다른 흡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법은 단계(S112)로 다시 진행될 수 있고,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은 설명된 바와 같이 업데이트된다. 대안적으로, 제어 회로부(20)는 경보 신호를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후속 흡입들에 대해서도 경보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업데이트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S124)와 동시에 또는 이후에, 제어 회로부(20)는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재설정하도록 구성된다(단계(S126)에 도시됨). 다른 말로 하면, 제어 회로부(22)는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에 대해 이전에 저장된 값을 삭제하거나 또는 덮어쓰도록 구성되어, 본질적으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0 으로 재설정한다. 따라서, 카트리지(4)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개질하기 위해 새로운 담배 포드(8)가 사용되는 후속하는 흡입 동안,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은 새로운 담배 포드(8)의 사용에 대응한다.
따라서, 도 2에 의해 설명된 방법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사용자가, 담배 포드(8)가 새로운 담배 포드(8)로 스위칭될 필요가 있고 그리고 사용자가 담배 포드(8)를 스위칭하는 것에 대응하여 적절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경보 신호가 스위칭 오프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해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경보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방법은 경보 신호가 현재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도 에어로졸의 발생을 허용하며, 이는 사용자가 새로운 담배 포드(8)를 즉시 구하지 않아도 불편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경보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담배 포드(8)를 즉시 구하지 않는 경우 경보를 단순히 끄려는 유혹을 받지 않으므로,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담배 포드(8)를 변경하는 것을 잊어버릴 기회들이 증가하고 사용자가 불만족스러운 에어로졸을 경험할 기회들이 증가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카운터(counter) 또는 누적 사용 표시기가 자동으로 재설정되고, 이는 담배 포드들(8)을 스위칭할 때 사용자에게 대략 일관된 경험들이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에어로졸 발생 사용 파라미터는 히터가 활성화되는 시간 기간이라고 설명되었지만,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사용을 표시하거나 또는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파라미터가 또한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내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히터 활성화 시간을 측정하기 보다는, 제어 회로부(20)는 흡입들의 수(또는 히터가 활성화된 횟수)를 카운트(count)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퍼프들의 수"로 지칭될 수 있다. 퍼프들의 누적 수는 메모리에 저장되며, 이 구현에서는, 퍼프가 검출될 때마다 저장된 값이 하나씩 증가한다. 실제 값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된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에어로졸 개질 재료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이 구현에서 임계값은 퍼프들의 수, 예를 들어 90 내지 100으로 상응하게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담배 포드(8)는 물리적으로 그리고 공기 유동 채널을 통해 카트리지(4)에 결합하는 플라스틱 하우징이다. 그러나, 일부 구현들에서, 담배 포드(8)는 인터페이스(6) 및 인터페이스(7)를 통해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연결부들은 카트리지(4)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들(6 및 7)에서 각각 재사용 가능한 부품(2) 및 담배 포드(8) 상의 각각의 전기 접점들에 결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6)에서,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은 2 개의 개별 전기 접촉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인터페이스(7)에서 담배 포드(8)는 와이어 또는 다른 전도성 요소에 의해 결합된 2 개의 개별 전기 접촉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담배 포드(8)는 카트리지(4)를 통해 재사용 가능한 부품(2)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전기 회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부품(2)(또는 더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부(20))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의 전기 접점들 사이의 저항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담배 포드(8)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의 접점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때, 재사용 가능한 부품의 접점들 사이의 저항이 변경될 것이다(저항은 담배 포드가 재사용 가능한 부품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경우 개방 회로를 나타내는 매우 높은 값으로부터, 담배 포드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때 폐쇄 회로를 나타내는 낮은 값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경보를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제1 담배 포드(8)를 카트리지(4)에서 분리하고 그 다음 제2 담배 포드(8)를 카트리지(4)에 결합함으로써 입력된다. 즉, 사용자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카트리지(4)(및/또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2))로부터 담배 포드를 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초래되는 측정된 저항의 변화이다. 다른 전기적 파라미터들은 상응하는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담배 포드(8)에는 담배 포드의 전기 접점들 사이에 결합되고 담배 포드(8)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제공하도록 판독될 수 있는 식별 요소(예를 들어, 디지털 칩(digital chip))가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은 누적 에어로졸 사용 파라미터와 관련하여 판독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는 대응하는 누적 에어로졸 발생 사용 파라미터와 각각 관련하여 복수의 식별자들을 저장할 수 있다. 경보 신호를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 제어 회로부(20)는 현재 결합된 담배 포드(8)의 식별자를 판독하고 식별자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그렇지 않다면, 제어 회로부(20)는 에어로졸 사용 생성 파라미터에 대한 초기 값과 조합하여 고유 식별자를 저장하고, 도 2에 따른 프로세스가 구현된다. 고유 코드가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으면, 제어 회로부는 누적 에어로졸 발생 사용 파라미터의 저장된 값을 사용하여 단계(S118)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경보 신호가 출력되고 있으면 사용자가 동일한 담배 포드(8)를 단순히 분리하고 재연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분리 및 재연결한 후에도 경보 신호를 계속해서 출력할 것이기 때문이다. 각 담배 포드(8)에 대해 고유 식별자를 사용하는 원리는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담배 포드(8)의 분리 및 재연결이 아닌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버튼(24)을 통해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동일한 원리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담배 포드(8)와 재사용 가능한 부품(2) 사이에 전기적 결합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는 담배 포드(8)에 위치된 무선 판독 가능 요소를 무선으로 판독하도록 구성된 무선 판독기가 대신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무선 판독기는 RFID 판독기이고, 무선 판독 가능 요소는 RFID 태그(RFID tag)이다. 무선 판독 가능 요소는 검출 가능한 상황에서만 판독 가능하거나(즉, 담배 포드의 다른 정보를 제공하지 않음),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담배 포드(8)를 식별하는 고유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담배 포드(8)는 또한 담배 포드(8) 내에 저장된 담배 재료에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히터 요소(또는 다른 기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포드(8)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때, 제어 회로부(20)의 제어 하에 배터리(26)로부터 담배 포드(8)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담배 재료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은, 담배 재료로부터 방출되고 후속적으로 에어로졸에 비말동반되는 향미 및/또는 활성제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에너지 공급의 정도는 다른 요인들 외에도 담배 재료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에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해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4) 및 교체 가능한 담배 포드(8)가 모두 사용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2 개의 소모성 부품들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사용하는 동안 다른 시간들에 고갈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에게 담배 포드(8) 및 카트리지(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는 경보를 발하는 예시적인 방법이다.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단계들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체로 동일한 단계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부여되고, 간결함을 위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의 방법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이 켜지는 단계(S110)에서 시작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즉, 에어로졸 발생의 경우)이 시작되는 단계(S112)로 진행한다. 제어 회로부(20)는 또한 도 2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S114)에서 사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도 2와 대조적으로, 도 3의 방법은 단계(S116)에서 담배 포드(8)에 대한 누적 에어로졸 발생 사용 파라미터가 업데이트될 뿐만 아니라, 단계(S136)에서 카트리지(4)에 대한 누적 에어로졸 발생 사용 파라미터가 업데이트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예를 취하면, 메모리는 담배 포드(8)에 대한 제1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 및 카트리지(4)에 대한 제2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매 흡입 후, 제어 회로부는 (단계(S116)에 따라) 담배 포드(8)에 대한 제1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업데이트하고 (단계(S136)에 따라) 카트리지(4)에 대한 제2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단계(S136)는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이 어떻게 업데이트되는지에 관해 단계(S116)와 대체로 유사한다. 담배 포드(8) 및 카트리지(4) 모두가 재사용 가능한 부품(2)과 함께 이전에 사용되지는 않은 경우,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들은 서로 대응하여 업데이트된다.
단계들(S118, S120, S122, S124, S126)은 도 2와 관련해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다.
단계(S136) 이후에, 제어 회로부(20)는 카트리지(4)에 대한 미리 정의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부(20)는 누적 에어로졸 발생 사용 파라미터를 임계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임계값은 시간 값, 예를 들어 특정 수의 초들 또는 분들일 수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4)에 대한 사전 정의된 사용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값은 담배 포드(8)에 대한 사전 정의된 사용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값과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계값이 시간 값일 때, 카트리지에 대한 적절한 임계값은 담배 포드(8)에 대한 임계값의 2 내지 4 배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에 대한 임계값에 대한 시간 값은 340 내지 600 초, 또는 360 내지 580 초로 설정된다. 특정 구현에서, 임계값은 560 초로 설정된다. 그러나, 특정 임계값은, 다른 요인들 중에서,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의 유형 및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의 흡입 당 발생된 에어로졸의 양(예를 들어, 히터(48)에 공급되는 전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 따라 상기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단계(S138)에서, 제어 회로부는 카트리지(4)에 대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카트리지에 대한 임계 시간 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또는 일부 구현들에서는 임계값 미만 또는 이와 같은 경우)(즉, 단계(S138)에서 "아니오"인 경우), 그 후 방법은 다음 흡입이 시작되는 단계(S112)로 다시 진행한다. 반대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이 임계값 초과 또는 이와 같은 경우(또는 일부 구현들에서는 임계값 초과인 경우)(즉, 단계(S138)에서 "예"인 경우), 그 후 방법은 단계(S140)로 진행한다. 단계(S118)와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카트리지(4)의 누적 사용을 기록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단계(S140)에서, 제어 유닛(20)은 경보 유닛(22)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경보 신호(22)는 단계(S120)에서 출력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신호일 수 있다. 경보 유닛(22)이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의 외부 하우징(12)의 표면 상에 선형 배열로 제공된 4 개의 LEDs로 형성되는 설명된 구현에서, 이 경우 단계(S140)에서 출력되는 경보 신호는 선형 배열의 제2 및 제3 LEDs를 일정하게 조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단계(S120)에서 출력되는 경보 신호 및 단계(S140)에서 출력되는 경보 신호는 상보적이지만(즉, 다양한 사용 조건들이 동시에 충족되는 경우 둘 모두 동시에 출력될 수 있음), 그러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일부 구현들에서, 단계(S140)에 의해 출력된 경보 신호는 단계(S120)에 의해 출력된 경보 신호보다 우선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것 외에, 제어 회로부(20)가 카트리지(4)에 대한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단계(S138)에서 충족되었다고 결정할 때, 제어 회로부(20)는 전력이 히터(48)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담배 포드(8)가 계속해서 사용되도록 허용하는 단계(S118)의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과 달리, 단계(S138)에서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은 카트리지(4)에 소스 액체가 고갈되거나 또는 거의 고갈되어 이에 따라 더 이상 에어로졸을 발생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카트리지(4)가 변경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보 신호가 제공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시스템(1)을 흡입하고 압력 센서(16)가 충분한 압력 강하를 검출하더라도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1)은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단계(140)에서 출력되는 경보 신호는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는 경우 연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거나 또는 출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에어로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예를 들어 결함 또는 손상된 전기 구성요소들 등과 같은 다른 작동 요인들과의 혼동을 회피하기 위해 경보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단계(S142)에서, 제어 유닛(22)은 경보 신호를 끄기 위한 및/또는 에어로졸 발생을 다시 인에이블링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은 제2 사용자 입력 버튼(24), 또는 담배 포드(8)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사용자 입력 기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카트리지(4)의 경우, 특히 적합한 사용자 입력은 카트리지(4)의 분리 및 재결합이다. 담배 포드(8)와 같이, 카트리지(4)에는 식별 요소 및/또는 무선으로 판독 가능한 요소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사용된 동일한 카트리지(4)를 단순히 재결합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도움을 준다. 즉, 카트리지(4)가 교체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보 신호를 끄기 위해 단계(S142)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은 또한 카트리지(4)의 분리/재결합일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사용자 입력은 입력 버튼(14)을 통해 수신된다. 이 구현에서 경보 신호를 끄기 위한 특정 사용자 입력은 총 30 초 동안 연속적으로 버튼을 누르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경보 유닛(22)은 특정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있다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입력 버튼(14)을 처음 누를 때, 예를 들어 환형 배열의 4 개의 LEDs를 포함하는 경보 유닛(22)은 5 초의 주기 동안 스위칭 오프된다. 30 초 연속 누름의 제1 5 초 후에, LEDs 중 하나가 다른 5 초 동안 조명된다. 제2 5 초 후(즉, 누름의 시작으로부터 10 초 후), 제2 LED가 다른 5 초 동안 조명된다. 제3 5 초 후(즉, 누름의 시작으로부터 15 초 후), 제3 LED가 다른 5 초 동안 조명된다. 제4 5 초 후(즉, 누름의 시작으로부터 20 초 후), 제4 LED가 다른 5 초 동안 조명된다. 사용자 입력이 처음 검출된 후 25 초가 지난 이 시점에서, 4 개의 LEDs가 모두 켜진다. 이것은 추가로 5 초 동안 계속될 수 있으며, 이 시점에서 4 개의 LEDs가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플래싱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입력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사용자는 버튼(14)을 해제할 수 있고, 후속적으로 제어 회로부(22)는 경보 유닛(22)을 끄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버튼(14)을 해제하면 30 초 전의 임의의 시점에서, 경보 신호가 카트리지(4)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보 신호의 출력을 재개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경보 유닛(22)이 특정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인 배열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LEDs(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경보 유닛(22))는 임의의 적절한 패턴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또는 특정 입력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0)가 단계(S142)에서 경보 유닛(22)을 끄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다고 가정하면(즉, 단계(S142)에서 "예"인 경우), 방법은 단계(S144)로 진행한다. 단계(S144)에서, 경보 유닛(22)은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 오프되고 그리고/또는 에어로졸 발생이 다시 인에이블링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단계(S142)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을 것이며(즉, 단계(S122)에서 "아니오"임), 이는 제어 회로부(20)가 계속해서 에어로졸의 발생을 방지하고, 적절한 경우, 경보 신호가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2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주기적으로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는 20 ms마다 한 번의 속도로 확인할 수 있음).
단계(S144)와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제어 회로부(20)는 (단계(S1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4)에 대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재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말로 하면, 제어 회로부(22)는 카트리지(4)에 대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에 대해 이전에 저장된 값을 삭제하거나 또는 덮어쓰도록 구성되어, 본질적으로 카트리지(4)에 대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0 으로 재설정한다. 따라서, 새로운 카트리지(4)가 사용되는 후속하는 흡입들 동안(즉, 방법이 단계(S112)로 복귀할 때),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은 새로운 카트리지(4)의 사용에 대응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부(20)가 단계(S142)에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후속적으로 단계(S146)에서 카트리지(4)에 대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재설정할 때, 제어 회로부(20)는 또한 단계(S126)에서 담배 포드(8)에 대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재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담배 포드(8)가 담배 포드(8)에 대한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4)에 대한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을 충족한다고 결정되면 사용자가 카트리지(4) 및 담배 포드(8)를 동시에 교체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구현들에서, 새로운 카트리지(4)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결합될 때 새로운 담배 포드(8)가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즉, 이러한 구현에서, 제어 회로부(20)는 담배 포드(8)에 대한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사용자 입력을 담배 포드(8)에 대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재설정하라는 명령어로 해석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회로부(20)는 카트리지(4)에 대한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사용자 입력을 카트리지에 대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재설정하라는 명령어 및 담배 포드(8)에 대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재설정하라는 명령어로 해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관련하여, 담배 포드(8)와 관련된 단계들(즉, 단계들(S116 내지 S126))이 카트리지(4)와 관련된 단계들(즉, 단계들(S136 내지 146))과 병렬로 발생한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처음에, 카트리지(4) 및 담배 포드(8)가 모두 새 것인 경우, 단계들(S116 및 S136)에서의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들은 담배 포드(8)에 대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이 담배 포드(8)에 대한 임계값의 초과가 될 때까지(및/또는 이와 같게 될 때까지); 즉, 단계(S118)가 "예"를 출력할 때까지 유사하게 업데이트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담배 포드(8)에 대한 임계값이 카트리지(4)에 대한 임계값보다 낮게 설정되기 때문이다. 이때, 단계(S120)의 경보 신호가 출력된다. 카트리지(4)에 대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은 사용자가 시스템(1) 상을 계속해서 흡입할 때 단계(S120)에서 경보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도 계속해서 업데이트된다. 단계(S122))에서 사용자가 경보 신호를 턴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면, 담배 포드(8)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보 신호는 단계(S124))에서 스위칭 오프되고,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은 단계(S126))에서 재설정된다. 그러나, 카트리지(4)에 대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은 이 시점에서 재설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일부 구현들에서, 제어 회로부(20)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소모성 부품의 카트리지(4) 및 담배 포드(8) 모두에 대해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카트리지(4) 및 담배 포드(8)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변경하도록 나타내는 경보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도 3의 단계(S14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고 히터에 대한 전력을 정지시키는 것은 방법에서 별개의 동작들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단계(S138)에서 사용된 임계값은 더 낮은 값, 예를 들어 560s가 아닌 520s로 설정된다. 이는 경보 신호가 출력될 때, 저장소(44)에 일정량의 소스 액체가 남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보 신호는 단계(S140)에서 출력되지만, 그러나 이러한 경보 신호는 카트리지가 부족하고 곧 교체가 필요하지만 그러나 여전히 사용자가 카트리지(4)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낸다. 즉, 경보 유닛(22)에 의해 경보 신호가 연속적으로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에어로졸을 발생하여 흡입할 수 있다. 나중에,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추가 흡입 후에, 제어 회로부(20)는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추가 임계값, 예를 들어 560s의 임계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이 시점에서, 누적 히터 시간이 추가 임계값 초과인 경우(및/또는 이와 같은 경우), 제어 회로부(20)는 히터(48)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단계들(S136 내지 S14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경보 신호의 원리들 및 이 단락에 설명된 바와 같은 수정된 버전은 카트리지(4)를 포함하지만 그러나 담배 포드(8)(또는 에어로졸 개질 재료 포드)를 보유하지 않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카트리지(4)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일부 구현들에서, 카트리지(4)는 재사용 가능한 부품(2)과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하우징(42)은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의 외부 하우징(12)과 함께 형성되거나 또는 이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액체 저장소(44)는, 저장소(44)가 고갈될 때, 예를 들어 저장소(44)로의 폐쇄 가능한 개구를 통해 소스 액체로 재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경보 신호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4)를 교체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저장소(44)가 고갈되었고 재충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이 재사용 가능한 부품(2) 및 소모성 부품으로 형성되고 제어 회로부(20) 및 경보 유닛(22)이 재사용 가능한 부품(2)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것이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일부 구현들에서, 제어 회로부(20) 및/또는 경보 유닛(22)은 별도의 엔티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유사한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에 위치된다. 도 4는 이러한 구현의 일 예이다. 도 4는 재충전 가능한 부품(202), 카트리지(4), 담배 포드(8), 및 스마트폰(250)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카트리지(4) 및 담배 포드(8)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재사용 가능한 부품(202)은 재사용 가능한 부품(2)과 대체로 동일하고, 반복을 회피하기 위해, 상이한 특징들만이 여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재사용 가능한 부품(202)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회로부(20)와 유사한 제어 회로부(220a)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어 회로부(20)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부(20)는 상이한 기능들을 위한 상이한 물리적 구성요소들(즉, PCB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마트폰(250)은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경보 유닛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부(220b)를 포함한다. 반대로, 재사용 가능한 부품(202)의 제어 회로부(220a)는 (다른 기능들 중에서)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재사용 가능한 부품(202)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부(220a, 220b)의 하나의 추가적인 기능(제어 회로부(20)의 맥락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지만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사용 가능한 부품(2)에 존재할 수 있음)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회로부(220a)는 모니터링된 사용 데이터를 제어 회로부(220b)의 수신기 부분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제어 회로부(220b)는 (예를 들어, 제어 신호들과 같은) 데이터를 재사용 가능한 부품(202)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설명된 예에서, 재사용 가능한 부품(202)은 경보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경보 유닛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250)의 터치 검출 디스플레이(252)를 사용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구현된다. 흡입이 완료되면, 제어 회로부(220a)는 사용 데이터(예를 들어, 히터 활성화 시간)를 스마트폰(250)으로 송신한다. 즉, 재사용 가능한 부품은 도 2 또는 도 3의 단계(S114)를 수행하고, 단계(S114)에 이어,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250))로 사용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폰(250)의 제어 회로부(220b)는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마트폰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에 사용 데이터를 추가하도록 진행한다. 즉, 스마트폰은 도 2 및 도 3의 단계(S116) 및/또는 단계(S136)를 수행한다. 그런 다음 스마트폰의 제어 회로부(220b)는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대응하는 임계값과 비교하고(단계들(S118 및/또는 S138)), 스마트폰의 경보 유닛,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52)를 이용하여 단계(S120) 및/또는 단계(S140)에서 경보 신호를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경보 신호는 디스플레이(252) 상의 플래싱되는 텍스트 경보일 수 있다. 제어 회로부(220b)는 그 다음 단계들(S122 및/또는 S142)에서 스마트폰(25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터치 검출 디스플레이(252)를 통해 검출된 터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게, 제어 회로부(220b)는 단계들(S124 및/또는 S144)에서 경보 신호를 끄고, 단계들(S124 및/또는 S144)에서 누적 히터 활성화 시간을 재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현은 재사용 가능한 부품(202)이 경보 유닛(22)을 갖지 않고 및/또는 보다 컴퓨터 리소스 집약적인 처리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처리 능력 또는 메모리 가용성을 갖지 않는 경우들에 유용할 수 있다. 물론,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재사용 가능한 부품은 경보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는 경보 신호를 재사용 가능한 부품에 출력하라는 명령어를 단순히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사용자 입력은 후속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부품 또는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경보 유닛(22)이 담배 포드(8) 및/또는 카트리지(4)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광학, 음향 또는 햅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일부 구현들에서, 경보 신호는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을 능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에서, 제어 회로부(20)가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할 때, 제어 회로부(20)는 경보 유닛(22)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고, 또한 제어 회로부(20)가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때와 비교하여,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히터(48)에 전력을 더 낮은 또는 감소된 양으로, 그러나 여전히 에어로졸을 발생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의도적인 변화, 특히 공급된 전력의 감소에 따라 발생된 에어로졸의 부피의 감소를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인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감소된 전력 공급의 실제 수치는 많은 요인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전력은 정상 작동 모드와 비교하여 감소되는데, 예를 들어 절반으로 감소되고, 이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생성된 에어로졸의 부피가 더 작은 효과를 갖는다. 다른 구현들에서, 에어로졸은 여전히 발생되고 있지만, 그러나 발생된 에어로졸이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기 어려울 정도로 부피가 상대적으로 낮도록(즉, 흡입 후 사용자가 내뿜는 에어로졸의 밀도가 낮음) 전력은 감소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생성된 에어로졸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전력을 변화시키는 방법들을 알고 있을 것이다. 사용자로 하여금 에어로졸의 변화를 인지하게 하는 (예를 들어, 상이한 향미가 있는 소스 액체를 기화시킴에 의한) 맛의 변경과 같은 다른 효과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경보 신호는 에어로졸의 부피 및/또는 맛을 조정함에 의해서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설명되었고, 이 시스템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소모성 부품; 에어로졸 전구체로부터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재사용 가능한 부품;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 및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보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어 회로부는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고,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경보 유닛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경보 유닛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경보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경보 유닛이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할 때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설명된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일부 측면들에서 일부 특정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에도 동일한 원리들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즉,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기능의 다양한 양태들이 여기에 설명된 예들의 기초가 되는 원리들과 직접 관련되지 않는 특정 방식이다.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업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본 청구된 발명(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로써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이점들 및 특징들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일 뿐이며, 완전하고 및/또는 배타적이지 않다. 이것들은 본 청구된 발명(들)을 이해하고 가르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만 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이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에 대한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본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분들, 단계들, 수단들 등,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과 다른 것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적절하게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을 필수적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 essentially of)될 수 있고, 따라서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들 이외의 다른 조합들로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현재 청구되지 않았지만 그러나 미래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4)

  1.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aerosol precursor material)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소모성 부품(consumable part);
    에어로졸 전구체로부터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재사용 가능한 부품(reusable part);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을 모니터링(monitor)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control circuitry); 및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보 유닛(alert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 유닛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보 유닛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유닛은,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것을 상기 제어 회로부가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보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서만 상기 연속적인 경보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경보 유닛이 경보를 출력하고 있을 때 상기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누적 사용자 흡입들(user inhalations)의 수 및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가능한 부품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입력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경보 유닛이 상기 경보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게 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성 부품은 상기 재사용 가능한 부품과 분리되고, 상기 재사용 가능한 부품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사용 가능한 부품은 상기 소모성 부품의 존재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소모성 부품과 상기 재사용 가능한 부품의 상대적 분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상기 모니터링된 사용을 재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신호는, 광학 신호, 음향 신호, 및 햅틱 신호(haptic signal) 중 적어도 하나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성 부품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상기 에어로졸을 개질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개질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은 상기 에어로졸 개질 재료의 사용에 대응하는 사용 조건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1. 제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성 부품은, 에어로졸 개질 재료가 상기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와 독립적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2. 제9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성 부품은 상기 에어로졸 개질 재료를 포함하는 제1 소모성 부품, 및 상기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포함하는 제2 소모성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소모성 부품들은 서로 및/또는 상기 재사용 가능한 부품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별 요소들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3. 제11 항 또는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제1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에어로졸 개질 재료가 교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경보 유닛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고, 그리고 제2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가 교체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경보 유닛이 제2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4. 제9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누적 시간이고, 상기 에어로졸 개질 재료에 대한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값은 170 내지 300 초, 또는 180 내지 290 초로 설정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5. 제9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개질 재료는 담배를 포함하거나 또는 담배로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6.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기 조건으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상기 사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7. 제1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가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할 때,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제어 회로부가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때와 비교하여 상기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상기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전력이 감소된 양으로 공급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8.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의 상기 모니터링된 사용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이 검출될 때까지,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
  19.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소모성 부품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사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사용 모니터링 기구; 및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 모니터링 기구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결정되는 경우, 상기 경보 유닛은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보 유닛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0.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소모성 부품;
    상기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재사용 가능한 부품;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수단; 및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경보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수단은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 출력 수단이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경보 출력 수단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1.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소모성 부품;
    에어로졸 전구체로부터 에어로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재사용 가능한 부품;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 및
    상기 모니터링된 사용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하도록 구성된 경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경보 유닛이 상기 사용자에게 경보를 제공할 때 상기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2.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의 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의 상기 모니터링된 사용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사용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상기 경보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도 에어로졸을 발생할 수 있음 ― 를 포함하는,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
  23.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실질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4.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실질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
KR1020217032332A 2019-03-11 2020-03-10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101353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903231.7A GB201903231D0 (en) 2019-03-11 2019-03-11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GB1903231.7 2019-03-11
PCT/GB2020/050565 WO2020183146A1 (en) 2019-03-11 2020-03-10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301A true KR20210135301A (ko) 2021-11-12

Family

ID=6638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332A KR20210135301A (ko) 2019-03-11 2020-03-10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20183385A1 (ko)
EP (1) EP3937705A1 (ko)
JP (1) JP2022524805A (ko)
KR (1) KR20210135301A (ko)
CN (1) CN113677227A (ko)
AU (1) AU2020236492B2 (ko)
BR (1) BR112021018037A2 (ko)
CA (1) CA3132776A1 (ko)
GB (1) GB201903231D0 (ko)
IL (1) IL286060A (ko)
UA (1) UA127935C2 (ko)
WO (1) WO2020183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2771A1 (zh) * 2020-12-28 2022-07-07 深圳市讴可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烟及其使用方法
AU2022386733A1 (en) * 2021-11-10 2024-05-09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monitoring of usage data
GB202203691D0 (en) * 2022-03-17 2022-05-04 Nicoventures Trading Ltd Method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1737B2 (en) * 2012-09-04 2014-11-11 R.J. Reynolds Tobacco Company Electronic smoking article comprising one or more microheaters
KR101939033B1 (ko) * 2013-09-30 2019-01-15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
WO2016075747A1 (ja) * 2014-11-10 2016-05-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パッケージ
GB201517089D0 (en) * 2015-09-28 2015-11-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ing heat map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s
DE212017000292U1 (de) * 2017-01-24 2019-09-17 Japan Tobacco Inc. lnhalationsvorrichtung
GB201702206D0 (en) * 2017-02-10 2017-03-29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716730D0 (en) * 2017-10-12 2017-11-29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provis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127935C2 (uk) 2024-02-14
BR112021018037A2 (pt) 2021-11-23
EP3937705A1 (en) 2022-01-19
IL286060A (en) 2021-10-31
AU2020236492B2 (en) 2023-08-17
JP2022524805A (ja) 2022-05-10
US20220183385A1 (en) 2022-06-16
CA3132776A1 (en) 2020-09-17
AU2020236492A1 (en) 2021-10-21
CN113677227A (zh) 2021-11-19
WO2020183146A1 (en) 2020-09-17
GB201903231D0 (en)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79709B1 (en) Vapour provision system
CN110650640B (zh) 蒸气供应系统
KR20210135301A (ko)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US20230024525A1 (e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KR102509427B1 (ko) 증기 제공 시스템들
RU2815708C2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аэрозоля для выработки аэрозоля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выдачи сигнала оповещения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аэрозоля (варианты),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аэрозоля
US20230354910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CN113677226A (zh) 蒸气供应系统和相应的方法
WO2024033617A1 (en) Refillable articl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