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974A -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974A
KR20230042974A KR1020210125902A KR20210125902A KR20230042974A KR 20230042974 A KR20230042974 A KR 20230042974A KR 1020210125902 A KR1020210125902 A KR 1020210125902A KR 20210125902 A KR20210125902 A KR 20210125902A KR 20230042974 A KR20230042974 A KR 20230042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ng
eye diseases
administration
mtor
ret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963B1 (ko
Inventor
박태관
장선영
한정우
산자르 보티로비치 마드락히모브
김유경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엑스루미나테라퓨틱스앤드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엑스루미나테라퓨틱스앤드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96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2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mTOR 활성화제는 망막 신경절세포의 세포 사멸 또는 자가 포식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망막 신경 손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안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for treating eye disease comprising mTOR activator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것이다. 구체적으로, 당뇨망막병증을 포함하는 안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mTOR 활성화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mTOR 활성화제는 신경 세포의 사멸과 자가 포식에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당뇨망막병증을 포함하는 안질환을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당뇨망막병증이란 당뇨환자의 망막에서 발생하는 미세혈관장애로 인한 병변으로, 발생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혈액역학적 기전, 생화학적 기전, 호르몬 영향 및 유전적 요소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망막모세혈관의 폐쇄, 모세혈관류, 망막출혈, 삼출물 및 신생혈관의 특정 변화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 세계 당뇨환자 중 21.7-34.6%가 당뇨망막병증을 앓고 있으며, 이는 2017년 기준으로 4.5억명의 성인으로 추산된다. 또한, 적절한 선별검사가 이뤄짐에도 불구하고 약 2.6백만 명의 환자가 당뇨망막병증으로 인해 실명한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의 치료제는 HIF-1α/VEGF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anti-VEGF 제제로 국한되어 있다. Anti-VEGF 제제는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의 진행 또는 악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일부 존재하며,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은 혈관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아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10-2018-010927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당뇨망막병증 치료제들은 VEGF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mTOR 억제제를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mTOR 활성제를 이용한 당뇨망막병증 치료제는 연구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mTOR 억제제 중심으로 연구되어 있던 당뇨망막병증 치료제에서 벗어나, mTOR 활성화제의 당뇨망막병증 치료 효과를 처음으로 밝혀냈고, 이러한 치료 효과를 바탕으로 mTOR 활성화제를 당뇨망막병증 치료 용도로 제공하고자 한다.
1.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10-2018-0109278.
본 발명은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mTOR 활성화제는 4,6-디모르폴리노-N-(4-니트로페닐)-1,3,5-트리아진-2-아민, Raptor 발현 증가제, TSC1 또는 TSC2 발현 억제제, RHEB (Ras homolog enriched in brain) 단백질 또는 이를 인코딩하는 핵산, PRAS 발현 억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안질환은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녹내장(Glaucoma), 망막 박리(Retinal detachments & breaks), 망막 정맥 폐쇄(Retinal vein occlusion), 망막 출혈(Retinal hemorrhage), 백내장(Cataract), 비문증(Floaters), 안구 건조증(Dry eye syndrome), 유리체 출혈(Vitreous hemorrhage),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홍채염(Irit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mTOR 활성화제는 망막 신경절세포의 세포 사멸 또는 자가 포식을 감소시키는 것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mTOR 활성화제는 4,6-디모르폴리노-N-(4-니트로페닐)-1,3,5-트리아진-2-아민, Raptor 발현 증가제, TSC1 또는 TSC2 발현 억제제, RHEB (Ras homolog enriched in brain) 단백질 또는 이를 인코딩하는 핵산, PRAS 발현 억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안질환은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녹내장(Glaucoma), 망막 박리(Retinal detachments & breaks), 망막 정맥 폐쇄(Retinal vein occlusion), 망막 출혈(Retinal hemorrhage), 백내장(Cataract), 비문증(Floaters), 안구 건조증(Dry eye syndrome), 유리체 출혈(Vitreous hemorrhage),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홍채염(Irit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투여는 안약을 이용한 국소 투여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투여는 안구내 주사를 이용한 투여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로, 상기 투여는 정맥주사를 이용한 투여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는 안질환, 구체적으로 당뇨망막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mTOR 활성화제는 망막 신경절세포의 세포 사멸 및 자가포식을 억제함으로써, 보다 직접적으로 망막 신경절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마우스 실험 디자인을 나타낸다. Bid는 하루에 두 번, qd는 하루에 한번을 나타낸다.
도 2는 STZ 마우스 망막에서 고혈당으로 유도된 분자 수준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은 pmTOR S2448, pS6 및 GLUT1을 발현하는 세포를 나타낸다.
도 4는 STZ 유도 DM 마우스에서 6개월 동안 pS6 및 GLUT1의 발현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5는 STZ 유도 DM의 망막에서 자가포식 및 신경절 활성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STZ 마우스 망막에서 단기간의 고혈당으로 인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7, 8은 장기간의 고혈당이 자가포식 조절 장애를 발생시키고, 신경손상을 유발함을 나타낸다.
도 9는 mTOR 활성화제의 신경 손상 억제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용어 정의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기타 다른 참고문헌은 전체가 참고로 포함된다.
안질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질환"은 일 예시로, 당뇨망막병증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을 포함한다. 당뇨망막병증과 관련된 질환은 구체적인 일 예시로, 녹내장(Glaucoma), 망막 박리(Retinal detachments & breaks), 망막 정맥 폐쇄(Retinal vein occlusion), 망막 출혈(Retinal hemorrhage), 백내장(Cataract), 비문증(Floaters), 안구 건조증(Dry eye syndrome), 유리체 출혈(Vitreous hemorrhage),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홍채염(Iritis)을 포함한다. 다만, 안질환은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망막 신경절세포의 손상과 연관된 것으로 공지된 안질환을 모두 포함한다.
mTOR 활성화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mTOR 활성화제"에서 mTOR는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의 약어로, FRAP1(FK506 binding protein 12-rapamycin-associated protein 1)으로도 불리는 키나아제의 일종이다. mTOR는 다른 단백질과 결합되어 단백질 결합체인 mTORC1(mTOR complex 1)과 mTORC2(mTOR complex 2)의 핵심 성분으로 작용하여, 세포의 성장, 증식, 생존 등과 관련한 세포 과정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OR 활성화제는 mTOR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일 실시예로, 4,6-디모르폴리노-N-(4-니트로페닐)-1,3,5-트리아진-2-아민, Raptor 발현 증가제, TSC1 또는 TSC2 발현 억제제, RHEB (Ras homolog enriched in brain) 단백질 또는 이를 인코딩하는 핵산, PRAS 발현 억제제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현 증가제는 특정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발현 억제제는 특정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전자 발현 증가제 또는 억제제는 유전자 치료제 형태로 타겟 유전자를 결실 시키거나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일 예시로 상기 유전자 치료제는 CRISPR-Cas를 이용하여 타겟 유전자를 편집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Rapotor는 mTORC1 복합체를 함께 구성하는 역할을 하므로, Raptor 발현을 증가시킴을 통해 mTOR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TSC1, TSC2는 mTORC1의 upstream에서 mTORC1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TSC1, TSC2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mTOR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RHEB(Ras homolog enriched in brain)는 mTOR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RHEB를 통해 mTOR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PRAS는 PI3K/Akt-mTOR pathway에 관여하므로, PRAS의 발현을 억제하여 mTOR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mTOR 활성화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mTOR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물질을 모두 포함한다.
Ⅰ. mTOR 활성화제의 용도
1.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질환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하나 이상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mTOR 활성화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다른 일 실시예로,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안구내 주사용 제제의 경우, 액체 혹은 고체 성상의 제형을 모두 포함하며, 약학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하나 이상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구내 주사용 제제의 경우, 유리체강내 주사용 제제, 망막하 주사용 제제, 상공막하 혹은 공막 상강하 주사용 제제를 포함한다.
또한 유전자치료제로 개발되는 경우, 다양한 혈청형의 유전자 재조합 아데노부속 바이러스 벡터 (different serotypes of recombinant Adeno-Associated Virus, rAAV), 렌티바이러스 벡터 등 유전자 치료용 바이러스 벡터, LNP(lipid nanoparticle), CPP(cell-penetrating peptides) 등의 운반체를 포함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다만,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안질환을 포함하며, 일 예시로, 당뇨망막병증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당뇨망막병증과 관련된 질환은 구체적인 일 예시로, 녹내장(Glaucoma), 망막 박리(Retinal detachments & breaks), 망막 정맥 폐쇄(Retinal vein occlusion), 망막 출혈(Retinal hemorrhage), 백내장(Cataract), 비문증(Floaters), 안구 건조증(Dry eye syndrome), 유리체 출혈(Vitreous hemorrhage),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홍채염(Iritis)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하면, mTOR 활성화제는 당뇨 마우스 모델에서 장기간 고혈당으로 유도된 망막의 신경절세포의 세포 사멸 및 자가 포식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mTOR 활성화제는 일 예시로, 망막의 신경절세포의 세포 사멸 또는 자가 포식을 감소시킴으로써 당뇨망막병증을 포함하는 안질환을 치료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2. 안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안질환은 1. 안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기재된 안질환 관련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의 종류에는 통상적으로 제조 및/또는 판매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3.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본 발명은 mTOR 활성화제를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안질환은 1. 안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기재된 안질환 관련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예를 들어,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드렌치, 알약, 캡슐 (스프링클 캡슐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덩어리, 가루, 과립제, 혀에 도포하기 위한 페이스트); 구강 점막을 통한 흡수 (예: 설하); 항문, 직장 또는 질 (예를 들어 페서리, 크림 또는 폼); 비경구 (근육 내, 정맥 내, 피하 또는 척수강 내로, 예를 들어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비강; 복강내; 피하; 경피 (예를 들어 피부에 붙이는 패치); 및 국소적 (예를 들어 크림, 연고 또는 피부에 도포되는 스프레이, 또는 안약) 투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안약을 이용하여 국소적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맥 주사를 이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안구 내 주사를 이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구 내 주사는 유리체강내 주사 경로, 망막하 주사경로, 상공막하 혹은 공막 상강하 주사 경로를 통한 안구 내 주사를 모두 포함한다.
다만, 투여 방법이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개체는 인간 등의 포유류이거나, 또는 인간이 아닌 포유류일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의 실제 투여량은 특정 환자, 조성물, 및 투여 방법에 대하여 환자에게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원하는 치료학적 반응을 달성하기에 효과적인 양의 활성 성분을 수득하기 위하여 달라질 수 있다. 선택된 투여량은 조성물의 조합, 또는 이의 활성, 투여 경로, 투여 시간, 조성물의 배출 속도, 치료 기간, 조성물과 함께 사용된 기타 약물, 화합물 및/또는 물질, 나이, 성별, 체중, 상태, 일반건강 및 치료 중인 대상의 병력, 및 기타 의학 분야에서 잘 알려진 요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존할 것이다.
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의사 또는 수의사는 약학적 조성물의 필요로 하는 치료학적 유효량을 쉽게 결정하고 또한 처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 또는 수의사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을 원하는 치료학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도 보다 낮은 수치에서 시작하고 원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천천히 투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치료학적 유효량"은 원하는 치료학적 효과를 도출하기에 충분한 화합물의 농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유효량은 개체의 체중, 성별, 및 병력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고 이해되고 있다. 유효량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는 개체의 상태의 심각함, 조성물의 안정성 등일 수 있다. 총 투여량은 제제를 여러 회 투여하여 전달될 수 있다. 효능 및 투여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Isselbacher et al. (1996)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3 ed., 1814-1882,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됨).
특정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유형의 치료제와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공동 투여 (conjoint administration)"라는 용어는 그 전에 투여된 치료 화합물이 아직 신체에서 효과가 있는 동안 제2 화합물이 투여되도록 2 개 이상의 상이한 치료 화합물을 투여하는 임의의 방식이다 (예를 들어, 2 개의 화합물은 대상에게 동시에 효과적일 수 있고, 이 때, 2개의 화합물이 동반상승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치료 화합물은 동일한 제형 또는 별도의 제형으로, 부수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이한 치료 화합물은 서로 1 시간, 12 시간, 24 시간, 36 시간, 48 시간, 72 시간 또는 1 주일 이내에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치료를 받는 개체는 상이한 치료 화합물의 병용 효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치료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화학요법제)의 공동 투여는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치료제를 각각 개별 투여하는 것에 비해 개선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자명하다.
Ⅱ. 실시예
1. 실험방법
- 동물 실험
모든 동물 실험은 실험실 동물 관리 및 사용 지침에 따라 안과 및 시력 연구에서 동물 사용에 대한 안과 성명서 시력 연구 협회에서 설계되고 수행되었으며, 순천향대 부천병원 동물 보호 및 이용 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마우스는 C57/BL6 균주(8주, 수컷, 22-24g)로 Orient Bio Inc.에서 구입(한국 성남)하였다. 모든 마우스는 12/12시간 명암 주기가 있는 방의 사육장에서 음식과 물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하도록 관리되었고, 습도와 온도는 각각 50%, 23-26 °C로 유지되었다.
- 당뇨병 유도
당뇨병은 STZ((150mg/kg;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의 단일 복강 주사로 유도되었다. STZ는 100 mM 구연산염 버퍼(pH 4.5)로 준비되었다. 마우스에 STZ를 주입한 후, 갑작스런 저혈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밤새 10% 수크로즈를 주입하였다. 주입 후 2일, 그리고 2주가 경과하였을 때 Accu-Check 활성 혈당 모니터(Accu-Check 활성 혈당 모니터)를 사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혈당 측정 결과, 비공복 혈당이 300mg/dL 이상이고, 다뇨증 또는 클루코뇨증이 있는 마우스만 STZ 유도 당뇨병 마우스로 분류되어, 실험에 사용되었다. 동일한 연령의 당뇨병이 없는 마우스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마우스를 희생한 날에 얻은 일반 파라미터는 표 1에 나타냈다.
표 1 체중 및 혈당 수치
Figure pat00001
- 그룹화 및 치료 요법
총 140마리의 당뇨병 동물 모델이 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당뇨망막병증의 자연적 과정을 평가하기 위해 60마리의 마우스를 6개월에 걸쳐 관찰하였다. 동물은 관찰 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6개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1)일반 대조군 (2) 1 m DM, (3) 2 m DM, (4) 3 m DM, (5) 4 m DM and (6) 6 m DM (도 1a). 망막에 대한 단기 고혈당의 효과는 마우스 40마리에서 관찰되었고, 다음과 같이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1) 일반 대조군 (2) 1m DM (3) 1m DM/PHL (4) 1m DM/Rapa (도 1b).
1m DM/PHL 그룹에서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내 60% 프로필렌 클리콜에 용해된 플로리진(PHL) (Cayman Chemi cal, Ann Arbor, MI)을 200mg/kg 용량으로 마우스에게 주사하되, 마지막 7일 동안은 매일 2회씩, 그리고 8일째 되는 날 아침과 희생 3시간 전에 피하 주사하였다. PHL, 플로레틴 글루코사이드는 신장에서 포도당 배설을 증가시킴으로 혈당 수치를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PHL의 투여량 및 투여 방법은 이전 연구를 기반으로 선택되었다[Fort PE, Losiewicz MK, Reiter CEN, et al. Differential roles of hyperglycemia and hypoinsulinemia in diabetes induced retinal cell death: evidence for retinal insulin resistance. PLoS ONE. 2011; Sδllstrφm J, Eriksson T, Fredholm BB, Persson AEG, Palm F. Inhibition of sodium-linked glucose reabsorption normalizes diabetes-induced glomerular hyperfiltration in conscious adenosine A1-receptor deficient mice. Acta Physiol. 2014;210(2):440-5.]. 1m DM/Rapa 그룹의 마우스는 증류수 내 4% 에탄올 및 5% 트윈-20에 희석된 라파마이신(Sigma-Aldrich, St. Louis, MO)을 1m DM/PHL 그룹과 동일한 기간 동안 3 mg/kg의 용량으로 매일 복강 주사되었다. 마크로라이드인 라파마이신은 FKBP12와 gain-of-function 복합체를 형성한 후 mTORC1을 억제한다.
장기간 고혈당이 당뇨병 마우스의 망막에 미치는 영향을 40마리의 마우스를 대상으로 다음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1) 일반 대조군 (2) 3m DM (3) 3m DM/PHL 및 (4) 3m DM/MHY(도 1c).
3m DM/PHL 그룹에서는 마우스에게 마지막 10일 동안 PHL을 매일 2회씩, 그리고 11일째 아침 및 희생 3시간 전 피하 주사하였다. 3m DM/MHY 그룹의 마우스는 3m DM/PHL 그룹과 동일한 기간 동안 10mg/kg 용량으로 매일 MHY1485 (4,6-디모르폴리노-N-(4-니트로페닐)-1,3,5-트리아진-2-아민, MedChem Express, Monmouth Junction, NJ)를 복강 주사하였다.
- 조직 수집 및 준비
실험 완료 후, 웨스턴블랏 및 조직학적 분석에 마우스가 사용되었다. 조직학적 분석을 위해 마우스는 40mg/kg 졸라제팜/타일타민 혼합물 (Zoletil 50, Virbac, Carros Cedex, France) 과 5mg/kg 자일라진 (Rompun, Bayer Healthcare, Leverkusen, Germany)의 복강내 주사에 의해 깊이 마취되었고, 1,000 U/ml의 헤파린이 함유된 0.1M 인산염 버퍼(PB)로 심장 내 관류 후, 0.1 M PB 내 4% 파라포름알데히드(PFA)를 주입하였다. 안배(eye-cup)는 적출된 마우스 눈의 앞부분을 제거하여 만들었다. 이어서, 4% 파라포름알데히드(Biosesang, Seongnam, South Korea)로 1시간 동안 고정하고, 밤새 30%의 수크로스에서 탈수하고 냉동 섹션 화합물(Leica Biosystems Richmond, IL)에 끼워졌다. 웨스턴블랏 실험에 대한 검체 수집을 위해, 적출된 마우스 눈으로부터 신경망막이 분리되었고, 실험에 사용될 때까지 -80°C에서 보관되었다.
- 웨스턴블랏
얼음에서 한시간 동안 Xpert 포스파테아제 억제제 칵테일(Gendepot, Barker, Tx) 및 Xpert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Gendepot, Barker, Tx)을 함유하는 RIPA 용해 완충액(Gendepot, Barker, Tx)에서 신경망막 조직이 파괴되었다. 불용성 물질은 원심분리에 의해 제거되었고(13,000rpm, 15min, 4°C), 상층액이 얻어졌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Pierce BCA 단백질 분석 키트(Termo scientifc, Middlesex, MA)를 사용하여 단백질 용해물을 정량화하였다. 용해물은 4x Laemmli 샘플 버퍼 (Gendepot, Barker, Tx)에서 변성되었고, 95 °C에서 10분 동안 가열되었다. 동일한 양의 단백질이 포함된 각 샘플의 분취량을 표적 항체의 분자량에 따라 6~10% 범위에서 SDS-acrylamide 젤을 사용하여 분리했고,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막(ATTO, Amherst, NY)으로 이동시켰다. 총 단백질 검출을 위해 0.1% Tween-20을 함유하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내 5% 탈지유로, 인산화 단백질 검출을 위해 0.1% Tween-20 함유하는 PBS 내 5% BSA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항mTOR, 항인산-S6 리보솜(pS6) 단백질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안티포스포-mTOR(S2448), 안티GLUT1 (Abcam, Cambridge, UK), 항-β액틴(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항체와 함께 4°C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워싱 후, 멤브레인을 HRP(horseradish peroxidase)- 결합된 항-래빗 IgG 및 고트 항-마우스 IgG(Genedepot, Barker, Tx)로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면역반응신호는 웨스턴블랏 검출 키트(EzWestLumiplus, ATO Corporation, 일본 도쿄)를 이용하여 현상되었고 Azure BiosystemsTM c280(Azure Biosystems, Dublin, CA, USA)으로 판독되었다. 밴드는 Image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정량화되었다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 면역형광
안배(eye cup) 냉동절편(두께 10μm)은 냉동조직절편기(Termo Fisher Scientifc Shandon Cryotome, Middlesex, MA)를 이용하여 준비되었다. 슬라이드는 0.1% Triton X-100(Sigma-Aldrich, St. Louis, MO)이 포함된 1xPBS로 세척되었고, 1시간 동안 PBST 내 당나귀 혈청 5%로 블락되었다. 그 후, 블락된 슬라이드는 Abcam(Cambridge, UK)의 항-포스포-mTOR(S2448) 및 항-GLUT1, Cell signaling technology(Danvers, MA)의 항-포스포-S6 리보솜 단백질(S240/244) 및 항-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CST), Millipore (Billerica, MA)의 항-GS(glutamine synthetase), 항 뇌-특이적 호메오박스/POU 도메인 단백질 3A(Brn3a) 및 항 뉴런 핵 단백질(NeuN), Sigma-Aldrich (St. Louis, MO)의 항 칼빈딘(Calb),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의 항-절단된 캐스페이즈-3, Novus Biologicals (Littleton, CO)의 항-베클린1 항체와 2시간 동안 배양되었고, 2차 항체로 검출하였다(Alexa Fluor 488 or 568 or 647, 희석 1:1000; Invitrogen Corp., Carlsbad, CA). 핵 대조염색은 Hoechst 33,342(Invitrogen Corp, Carlsbad, CA)로 수행되었다. 세척 후, 형광 마운팅 배지로 마운팅하였다(Dako, Santa Clara, CA).
- 이미지 분석 및 세포 계수
모든 슬라이드는 Leica SP8(Leica Microsystems, Wetzlar, Germany)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이미지화 되었다. 절단된 캐스페이즈-3, NeuN 및 Hoechst 양성 세포(n=6/그룹)은 Image 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 통계 분석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로 표현되었다. 그룹 간의 차이는 Mann-whitney U 테스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차이가 p≤0.05일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고려하였다.
2. mTOR 관련 단백질 및 GLUT1에 대한 고혈당의 영향 확인
STZ 주입 1개월 후, pmTOR(S2448) 및 pS6(S240/244)의 수치가 증가하였고, 2개월, 3개월, 4개월 후에는 상당히 감소하였다. 6개월 샘플은 pmTOR와 pS6의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도 2a, b). GLUT1 역시 당뇨병 유도 한달 후에 증가되었다가, 관찰 6개월까지 점차 감소되었다(도 2a, b).
3. 당뇨병성 망막에서의 세포 사멸 결과 확인
당뇨병성 망막에서 신경 세포 사멸을 평가하기 위해, STZ 망막 동결절편을 이용하여 절단된 캐스페이즈-3 및 NeuN을 1개월, 3개월, 6개월에 면역 염색하였고, 정상 마우스 망막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도2c). 절단된 캐스페이즈-3는 당뇨병성 망막의 GCL(ganglion cell layer)에서 감지되었고, 1개월에서는 약한 신호를 3개월 및 6개월에서는 강한 신호를 나타내었다. 반면 정상 망막에서는 신호가 감지되지 않았다. 절단된 캐스페이즈-3 양성 세포 수는 당뇨병 유도 6개월 동안세포 사멸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음을 나타냈다(도2d). 또한, 신경절세포의 NeuN 면역 반응이 3, 6개월에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2e).
4. 정상 마우스 망막에서 pmTOR S2448, pS6 및 GLUT1 발현 세포 관찰
pmTOR S2448은 GCL, INL(inner nuclear layer)에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GLUT1는 GCL, INL 및 ONL(outer nuclear layer)에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a). pmTOR S2448과 NeuN의 공동염색 결과는 신경절세포에서 활성된 mTORC1의 발현을 확인해준다(도 3b). S2448 인산화된 mTOR는 칼빈딘 양성 세포에서 발현된다(도 3c). 더 나아가, pmTOR S2448은 GS(glutaime systhetase)로 염색된 뮐러세포의 엔드피트(endfeet) 및 세포체에 발현되며(도3d), GLUT1과 함께 위치한다(도3e).
mTORC1 복합체의 downstream effector인 pS6는 GCL 및 INL의 가장 바깥쪽 부분에 높게 발현되고, INL의 안쪽 절반의 세포체 내에는 적게 발현된다. GCL에서의 pS6의 신호는 NeuN-양성 신경절세포로부터 발생하고(도3f), INL의 가장 바깥쪽의 신호는 칼빈딘으로 염색된 수평 세포의 세포체로부터 발생한다(도3g). INL의 NeuN 양성 세포와 함께 위치하는 약한 pS6 신호는 무축삭 세포 또는 이소성 신경절세포일 수 있다(도 3f).
5. STZ 마우스 망막에서 고혈당으로 유도된 pS6 및 GLUT1 발현 변화 확인
고혈당 1개월 후, 내부 망막에서 pS6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고혈당 3개월 후, pS6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당뇨병 6개월 후 pS6 양성 신경절세포 및 수평 세포가 거의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도4). GLUT1 발현도 당뇨병 1개월 후 증가하였고, 3개월 및 6개월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도4).
6. STZ 마우스 망막에서 고혈당으로 유도된 신경절의 활성 및 자가포식(autophagy) 조절 장애
GFAP에 대한 항체로 정상 마우스의 망막과 3m STZ 마우스 망막의 냉동 절편을 염색하여 신경절의 반응성을 관찰하였다. 정상 마우스 망막에서는 NFL(nerve fiber layer)과 GCL의 뮐러 세포 엔드피트 및 성상세포에 GFAP가 제한적으로 발현되었다(도5). 반면 3m 당뇨병 마우스 망막에서는 GFAP가 NFL, GCL, 및 IPL의 신경절로 확장되어 발현이 증가하였다(도 5). 더욱이 pmTOR의 발현이 정상 마우스 망막과 달리 감소하였다(도 5).
자가포식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상 및 3m STZ 마우스 망막을 베클린1으로 염색하였다. 정상 마우스 망막에서, 베클린1 발현은 GCL, INL 및 OPL에서 관찰되었다. 3m STZ 마우스 망막에서는 베클린1이 IPL, ONL 및 광수용체 세포층에까지 확장되고 증가된 발현으로 관찰되었다(도 5).
7. STZ 마우스 망막에서 단기간 고혈당의 효과
pmTOR S2448 발현은 당뇨병 1개월에서 증가되었고, PHL(phlorizin)의 처리는 정상 마우스 망막과 비슷한 수준으로 만들었다(도 6). 고혈당으로 유도된 pS6, GLUT1의 증가는 PHL 처리로 인한 혈당 조절에 의해 감소되었다. 라파마이신의 처리는 mTOR 억제로 예상되듯이, pmTOR S2448 및 pS6 수준을 감소시켰지만, GLUT1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도 6).
정상 마우스 망막에서, GFAP 발현은 NFL, GCL에서 관찰되었지만, 1m 당뇨 망막에서는 IPL에 위치하는 성상세포와 일부 뮐러세포에서도 관찰되었다. PHL 및 라파마이신의 처리는 GFAP 발현 수준이 정상 상태로 돌아오도록 만들었다(도6c).
8. 장기간의 고혈당 후 신경 손상 확인
pmTOR S2448 및 pS6 발현은 당뇨 3개월에 감소하였고, PHL 처리는 mTOR의 활성을 회복시켰다(도 7a, 8d). 3m STZ 마우스의 망막에서 GLUT1 발현은 PHL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도 7a). MHY1485 처리는 3m STZ-마우스의 망막에서 mTOR를 활성화시켰다(도 7a, 8d).
3m DM/PHL 그룹의 망막에서 베클린1 면역반응은 정상 대조군 그룹과 비슷한 발현 패턴을 보였다. 즉, GCL, INL 및 OPL에서 신호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MHY1485 처리는 베클린1의 신호가 GCL에서만 관찰되며, 자가포식의 강력한 억제를 나타내었다(도 7b). 칼빈딘 염색은 모든 그룹의 망막의 OPL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GCL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GCL에서 자가포식이 신경세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망막조직을 절단된 캐스페이즈 3 및 NeuN으로 염색하였고, 정상 마우스의 망막조직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3m STZ 마우스에서 GCL의 절단된 캐스페이즈 3이 증가되었고, 이는 장기간의 고혈당 후 세포 사멸 활성이 증가한 것을 나타낸다(도 8a). PHL 처리는 절단된 캐스페이즈 3 양성 세포의 면역 반응과 수를 감소시켰다(도 8 a,b). 그러나, mTOR 활성화제는 자가포식을 막아, 절단된 캐스페이즈 3 양성 세포의 면역 반응과 수를 3m DM 및 3m DM/PHL 그룹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시켰다(도 8 a,b). 처리 그룹 조직의 GCL에서 신경 세포의 정량화는 고기간 고혈당으로 유도된 세포 사멸 활성으로부터 신경 세포를 보호하였음을 나타낸다(도 8c). 3mDM 그룹의 망막 조직에서 GCL의 총 세포 수는 정상 그룹 및 3mDM/PHL과 비교하여 감소되었다. 그러나, NeuN 양성 세포 수는 3mDM 그룹과 비교하여, 3mDM/PHL 그룹의 조직에서 증가하였다. 3mDM/MHY 그룹의 조직에서, 총 세포 수 및 NeuN 양성 세포는 STZ 주입 그룹 사이에서 가장 높았다(도 8c).
자가포식 조절에 따른 신경 회복을 확인하기 위해, GFAP 라벨링에 의한 신경절의 반응을 확인하였다. GFAP 양성 성상세포 및 뮐러 신경절세포는 3m STZ-마우스의 NFL, GCL 및 IPL에서 관찰되었다. MHY1485 처리된 마우스 망막은 GFAP 신호가 정상 마우스 망막에서와 같이, 오직 NFL 및 GCL에서만 관찰되었다(도 8d).

Claims (12)

  1.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TOR 활성화제는 4,6-디모르폴리노-N-(4-니트로페닐)-1,3,5-트리아진-2-아민, Raptor 발현 증가제, TSC1 또는 TSC2 발현 억제제, RHEB (Ras homolog enriched in brain) 단백질 또는 이를 인코딩하는 핵산, PRAS 발현 억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질환은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녹내장(Glaucoma), 망막 박리(Retinal detachments & breaks), 망막 정맥 폐쇄(Retinal vein occlusion), 망막 출혈(Retinal hemorrhage), 백내장(Cataract), 비문증(Floaters), 안구 건조증(Dry eye syndrome), 유리체 출혈(Vitreous hemorrhage),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홍채염(Irit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TOR 활성화제는 망막 신경절세포의 세포 사멸 또는 자가 포식을 감소시키는 것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6.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TOR 활성화제는 4,6-디모르폴리노-N-(4-니트로페닐)-1,3,5-트리아진-2-아민, Raptor 발현 증가제, TSC1 또는 TSC2 발현 억제제, RHEB (Ras homolog enriched in brain) 단백질 또는 이를 인코딩하는 핵산, PRAS 발현 억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질환은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녹내장(Glaucoma), 망막 박리(Retinal detachments & breaks), 망막 정맥 폐쇄(Retinal vein occlusion), 망막 출혈(Retinal hemorrhage), 백내장(Cataract), 비문증(Floaters), 안구 건조증(Dry eye syndrome), 유리체 출혈(Vitreous hemorrhage), 중심장액성 맥락망막병증(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홍채염(Irit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안약을 이용한 국소 투여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안구내 주사를 이용한 투여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정맥 주사를 이용한 투여인,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KR1020210125902A 2021-09-23 2021-09-23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62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902A KR102629963B1 (ko) 2021-09-23 2021-09-23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902A KR102629963B1 (ko) 2021-09-23 2021-09-23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974A true KR20230042974A (ko) 2023-03-30
KR102629963B1 KR102629963B1 (ko) 2024-01-29

Family

ID=8598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902A KR102629963B1 (ko) 2021-09-23 2021-09-23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9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7265A1 (en) * 2005-04-28 2006-11-02 Clackson Timothy P Therapies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ye
US20110318424A1 (en) * 2008-12-03 2011-12-29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FOR PROLONGING VIABILITY OF CONE CELLS USING MODULATORS OF THE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E (mTOR)
KR20180109278A (ko) 2017-03-27 2018-10-0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종간 교차활성을 지닌 mTOR를 표적으로 하는 siRNA를 함유하는 망막혈관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21050980A1 (en) * 2019-09-13 2021-03-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Druggable target to treat retinal degene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7265A1 (en) * 2005-04-28 2006-11-02 Clackson Timothy P Therapies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ye
US20110318424A1 (en) * 2008-12-03 2011-12-29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FOR PROLONGING VIABILITY OF CONE CELLS USING MODULATORS OF THE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E (mTOR)
KR20180109278A (ko) 2017-03-27 2018-10-0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종간 교차활성을 지닌 mTOR를 표적으로 하는 siRNA를 함유하는 망막혈관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21050980A1 (en) * 2019-09-13 2021-03-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Druggable target to treat retinal de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963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 et al. Targets of neuroprotection in glaucoma
Omri et al. Microglia/macrophages migrate through retinal epithelium barrier by a transcellular route in diabetic retinopathy: role of PKCζ in the Goto Kakizaki rat model
McAllister et al. Effect of triamcinolone acetonide o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occludin levels in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US11739130B2 (en) Delivery of card protein as therapy for ocular inflammation
Lei et al. Synergistic neuroprotective effect of rasagiline and idebenone against retin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via the Lin28-let-7-Dicer pathway
Chen et al. Anti-neovascularization effects of DMBT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by inhibition of VEGF secretion through ROS-dependent signaling pathway
AU2017323898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mTOR inhibitor for treating macular degeneration
Chuang et al. Serum concentration of bevacizumab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in experimental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Zając-Pytrus et al. The effects and safety of intravitreal triamcinolone injections in the treatment of diabetic macular edema
KR102629963B1 (ko) mTOR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Gu et al. Glucocorticoid-induced leucine zipper overexpression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retinal inflammation in rats
EP3238781B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fluid accumulation in and/ or under the retina
Hartnett et al. Triamcinolone reduces neovascularization, capillary density and IGF-1 receptor phosphorylation in a model of oxygen-induced retinopathy
Yeniad et al. Assessment of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in different ocular exudative diseases
Liang et al. miR-328-3p Affects Axial Length Via Multiple Routes and Anti-miR-328-3p Possesses a Potential to Control Myopia Progression
KR101749380B1 (ko) Pdk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 및 pdk 억제제의 용도
Zhang et al. Differential Roles of GluN2B in Two Types of Chemical-induced Long Term Potentiation-mediated Phosphorylation Regulation of GluA1 at Serine 845 in Hippocampal Slices
KR102202004B1 (ko) Casp2에 대한 이중-가닥 rna 화합물 및 그 용도
JP2023509880A (ja) 加齢黄斑変性の治療における融合タンパク質の使用
WO2011087491A2 (en) Parstatin peptides and uses thereof
Xu et al. Minocycline induces apoptosis of photoreceptor cells by regulating ER stress
Lou et al. VIP Stabilizes the Cytoskeleton of Schlemm’s Canal Endothelia via Reducing Caspase-3 Mediated ZO-1 Endolysosomal Degradation
TW201717917A (zh) 杞菊地黄丸的使用於視網膜缺血及其相關疾病,病況或病狀的治療
EP3397271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retinopathy
Moghadaszadeh Risk of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after ranibizumab injection in patients with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