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903A - 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 and pipe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 and pipe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903A
KR20230041903A KR1020210125069A KR20210125069A KR20230041903A KR 20230041903 A KR20230041903 A KR 20230041903A KR 1020210125069 A KR1020210125069 A KR 1020210125069A KR 20210125069 A KR20210125069 A KR 20210125069A KR 20230041903 A KR20230041903 A KR 20230041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ducting wire
leak detection
conductor
liq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유민에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민에쓰티 filed Critical (주)유민에쓰티
Priority to KR102021012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1903A/en
Publication of KR2023004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9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pipe for leak sensing and a piping system using the same. The liquid pipe for the leak sen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rical body including the interior surface and the exterior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between the interior surface and the exterior surfac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end part and a second end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conducting wires, between the interior surface and the exterior surface, embedded in a straight or spir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posed at the first end part and the second end part; at least one second conducting wire, between the interior surface and the exterior surface, buried in parallel with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ing wires and exposed at the first end part and the second end part; and a coupling unit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art and the second end part of the cylindrical body. At this time, the coupling unit is a protrusion unit or a concave groove formed to expose the first conducting wire or the second conducting wire.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liquid pipe for the leak sensing,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e piping system.

Description

누액 감지용 액체관 및 이를 이용하는 배관 시스템{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 and pipe system using the same}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 and piping system using the same {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 and pip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누액 감지용 액체관 및 이를 이용하는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도관 또는 농업용수관 등 다양한 액체를 수송하는 액체관에서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액체관 및 이를 이용하는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leak detection liquid pipe and a pip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pipe capable of detecting a leak in a liquid pipe transporting various liquids such as a water supply/sewer pipe or an agricultural water pipe, and a piping system using the same. It is about.

상/하수도관 또는 농업용수관에 사용되는 액체관은 통상적으로 지하에 매설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액체관은 노후되거나 기타 원인 등으로 인해 파손이 발생하게 되나, 액체관이 지하에 매설된 관계로 파손 여부 및 파손 위치의 파악이 용이하지 않다.Liquid pipes used for water supply/sewer pipes or agricultural water pipes are usually buried underground. Although these liquid pipes are damaged due to aging or other causes,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liquid pipe is damaged and the location of the damage because the liquid pipe is buried underground.

따라서, 이러한 액체관의 누액을 검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누액 감지용 액체관이 개발되어 왔다.Accordingly, in order to detect leakage in the liquid tube, various liquid tubes for detecting leakage have been developed.

공개특허공보 10-2007-0050615호 또는 등록특허공보 10-0462269호에는 원통형 파이프에 나선형으로 도선을 감은 후 코팅하여 사용하는 액체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의 액체관은 원통형의 파이프에 코팅층이 균일하게 코팅되기 어렵고, 액체관을 시공 현장까지 이송하거나 시공 현장에서 설치할 때, 코팅층이 벗겨져 도선이 외부로 노출될 위험이 높았다. 또한, 소망하는 거리만큼 액체를 수송하기 위하여 액체관을 연결하는 경우, 액체관의 연결 지점에서 도선을 각각 별도로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50615 or Patent Registration No. 10-0462269 discloses a liquid pipe that is used by coating a wire after winding it in a spiral shape around a cylindrical pipe. However, in the prior art liquid pipe,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coat the coating layer on the cylindrical pipe, and when the liquid pipe is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or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coating layer is peeled off and the wire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when the liquid pipe is connected to transport the liquid by a desired distance, the construction is complicated because the conducting wires must be separately connected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liquid pip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선을 누액 감지용 액체관 자체에 매립하여 시공이 간편한 누액 감지용 액체관 및 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detection liquid pipe and a piping system that are easy to install by embedding a conducting wire in the leak detection liquid pipe itsel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액 감지용 액체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매립된 도선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및 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detection liquid pipe and a piping system capable of facilitating the connection of the leak detection liquid pipe as well as stably electrically connecting a buried conduc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누액의 발생 여부뿐 아니라 누액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및 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detecting liquid pipe and a pip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not only the occurrence of a leak but also the distance to a point where the leak occurs.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은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고, 내부면과 외부면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원통형 몸체; 내부면과 외부면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직선 상 또는 나선 상으로 매립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노출되는 복수 개의 제1 도선; 내부면과 외부면 사이에, 복수 개의 제1 도선과 평행하게 매립되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선; 및 원통형 몸체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se and other objects, a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ylindrical body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conducting wires embed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in a straight or spiral sha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posed at first and second ends; at least one second conducting wire buri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in parallel with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ing wires and exposed at first and second ends;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cylindrical body.

이때, 결합부는 제1 도선 또는 제2 도선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또는 오목홈이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is a protrusion or a concave groove formed to expose the first or second conducting wire.

대안적으로, 결합부는 제1 단부에 제1 도선 또는 제2 도선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및 제2 단부에 제1 도선 또는 제2 도선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오목홈을 포함하고, 돌출부는 오목홈에 대응하여 이에 끼워지는 형태를 갖는다.Alternatively, 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to expose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e wire at the first end; and a concave groove formed at the second end so that the first or second conducting wire is exposed, and the protrusion corresponds to the concave groove and has a shape fitted into the concave groove.

대안적으로, 결합부는 돌출부이고, 포고 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돌출부는 전단부가 폐쇄되고 후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 몸체부의 후단부 내측으로 결합되고 전단부가 개방되는 후방핀; 및 몸체부 내측 공간에 수용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Alternatively, the coupling portion is a protrusion and may be in the form of a pogo pin. That is, the protrusion is a cylindrical body portion in which a front end is closed and a rear end is open to form a space inwardly; A rear pin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having an open front end; and a spr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결합부는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에서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의 노출 부위를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한 여유 도선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by forming a redundant conductive wire portion having exposed portions of the first conductive wire and the second conductive wire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first end or the second end.

한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의 원통형 몸체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측 외부면에 바람직하게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누액 감지용 액체관이 2개 이상 연결되는 경우, 원통형 몸체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되는 연결 장치에 의하여 연결된다. 연결 장치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의 내부면의 지름과 일치하도록 내향 돌출된 원통부가 형성되고, 원통부에는 복수개의 제1 도선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선이 매립되어 있고, 원통부 양측으로 복수개의 제1 도선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선이 노출되어 있다.Meanwhile, threads may be preferably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cylindrical body of the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When two or more liquid tubes for leak detection are connected, threads corresponding to the threads of the cylindrical body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device formed inside. The connecting device has a cylindrical portion protruding inward to match the diame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iquid tube for leak detection, a plurality of first conducting wires and at least one second conducting wire are embedd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and at least one second conducting wire are exposed.

대안적으로, 누액 감지용 액체관이 2개 이상 연결되는 경우, 누액 감지용 액체관은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장치는 연결 부위를 감싸는 원통형의 덮개; 및 덮개와 액체관을 고정할 수 있는 벨트형 고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wo or more liquid tubes for leak detection are connected, the liquid tubes for leak detection may be fixed by a fixing device. At this time,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cylindrical cover surround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belt-type fixing part capable of fixing the lid and the liquid tube.

한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의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은 각각 2개일 수 있다. 제1 도선의 저항 및 제2 도선의 단위 길이 당 저항은 균일하고, 제1 도선의 저항은 제2 도선의 저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도선은 구리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제2 도선은 은, CNT, 그래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형성된다.Meanwhi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of the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may be two.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stance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and the resistance per unit length of the second conducting wire are uniform, and the resistance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conducting wire. The first conductor wire is made of a copper-nickel alloy, and the second conductor wire is formed by mixing at least one of silver, CNT, and graphen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는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배관 시스템은 상기한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복수 개 연결시키고, 복수 개의 제1 도선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선은 서로 교번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연결된 복수 개의 누액 감지용 액체관의 일단 측에서, 복수 개의 제1 도선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선과 연결되어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누액을 감지하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 개의 누액 감지용 액체관의 타단 측에서 복수 개의 제1 도선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A pip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plurality of liquid pipes for detecting leakage, and a plurality of first conducting wires and at least one second conducting wire are alternate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 At one end side of the plurality of leak detection liquid tub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and at least one second conductor,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DC power and detecting leak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eak detection liquids At the other end of the tube,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어부는 머레이 루프법을 활용하여 액체관의 누액 여부와 누액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 개의 제1 도선 사이에 연결되는 검류계; 검류계의 양단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선 사이에 연결되는 직류 전원; 직류 전원과 검류계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는 가변 저항으로 이루어진다. The control unit may measure the leakage of the liquid pipe and the distance to the leakage point by using the Murray loop method. The controller includes a galvanometer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a DC power source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galvanometer and at least one second conductor; It consists of a variable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DC power supply and one end of the galvanometer.

이때, 검류계의 측정값이 평형에서 벗어나는 경우 복수 개의 연결된 누액 감지용 액체관에서의 누액 여부를 검출하고, 가변 저항을 변화시켜 누액 지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At this time,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galvanometer is out of equilibrium, whether or not liquid is leaked in the plurality of connected liquid tubes for detecting liquid leakage is detected, and the distance to the leakage point is calculated by changing the variable resistance.

연결된 복수 개의 누액 감지용 액체관의 타단 측에서 복수 개의 제1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제1 도선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도선이 매립되어 있는 엔드 캡을 타단 측에 부착할 수 있다.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at the other end side of the plurality of leak detection liquid tubes, an end cap in which connection wires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to each other are embedded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end side. there is.

본 발명의 누액 감지용 액체관은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을 누액 감지용 액체관 자체에 매립함으로써, 액체관의 시공 또는 이송 시 제1 도선 또는 제2 도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leak detection liquid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are buried in the leak detection liquid pipe itself, so that the first conductor or the second conduct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ring construction or transportation of the liquid pipe.

또한,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연결하여 배관 시스템을 형성하는 경우, 액체관을 연결할 때 매립된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이 각각 자동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액체관의 물리적 연결뿐 아니라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의 전기적 접속이 확보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간편해진다. 즉, 누액 감지용 액체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장된 도선의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a liquid pipe for leak detection is connected to form a piping system, when the liquid pipe is connected, the buried first and second conductors are automatically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not only the physical connection of the liquid pipe but also the first conductor And sinc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second conductor is secured, construction becomes very simple. That is, it is possible not only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of the liquid pipe for leak detection, but also to stably electrically connect the built-in wire.

본 발명의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사용하는 배관 시스템은 머레이 루프법을 사용한 제어부를 활용하여, 누액의 발생 여부뿐 아니라 누액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수도관 및 농업용수관 등의 설치 거리가 긴 배관 시스템에서 활용하기 용이하다.The piping system using the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tilize a controller using the Murray loop method to detect not only whether leakage occurs but also the distance to the point where the leakage occurs. Therefore, it is easy to utilize in a piping system having a long installation distance such as water supply/sewer pipes and agricultural water pip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원통형 몸체에 커버를 결합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도 3c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에 돌출부와 오목홈이 형성된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연결된 액체관을 고정 장치로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종단에서 사용하는 엔드 캡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a-7b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8b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체관을 기존 파이프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upling a cover to a cylindrical body.
3A to 3C are views illustrating examples in which protrusions and concave grooves are formed at first and second ends.
4 is a view explaining fixing the connected liquid pipe with a fixing device.
5A to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ip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d cap used in the second end.
7A and 7B are views illustrating a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views illustrating a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explaining a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are views illustrating a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explaining the use of a liquid pipe inserted into an existing pip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를 가리킨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i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lements deno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ele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몸체(110)와, 원통형 몸체(110) 내에 길이 방향 직선 상으로 매립되는 2개의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220)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the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ylindrical body 11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first conducting wires 210 embedded in the cylindrical body 110 in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consists of a second conducting wire (220).

원통형 몸체(110)는 길이 방향의 양 단면인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 원통형의 내부와 외부인 내부면(111)과 외부면(112)을 포함하고, 내부면(111)과 외부면(112) 사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다. The cylindrical body 110 includes a first end 120 and a second end 130, which are both end surfa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nner surface 111 and an outer surface 112, which ar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ylinder, and the inner surface 111 ) and the outer surface 112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2개의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220)은 원통형 몸체(110)의 내부면(111)과 외부면(112)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되, 각각의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220)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고,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220) 사이의 간격은 등간격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제1 도선(210)과 2개의 제2 도선(220)은 원통형 몸체(110)의 원형 단면의 중심에서 볼 때 서로 90°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되어 있다.The two first conducting wires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s 220 are buried between the inner surface 111 and the outer surface 112 of the cylindrical body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of the first conducting wires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s 220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ducting wires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s 220 is equal.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wo first conducting wires 210 and the two second conducting wires 220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direction of 90° when viewed from the cen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10 .

매립된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220)은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 측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The buried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are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first end 120 and the second end 130 side.

원통형 몸체(110)는 PVC,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포함하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압출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cylindrical body 110 is made of a pipe made of a plastic material including PVC or polyethylene, or a metal material including stainless steel, and may be formed by extrusion or injection molding.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220)은 구리, 알루미늄, 은, CNT, 그래핀 등을 포함하는 전도성 재질의 도선이다. 제1 도선의 저항 및 제2 도선의 단위 길이 당 저항은 균일하고, 제1 도선의 저항은 제2 도선의 저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제1 도선(210)은 구리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제2 도선(220)은 은, CNT, 그래핀 등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are conducting wire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ncluding copper, aluminum, silver, CNT, graphene, or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stance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and the resistance per unit length of the second conducting wire are uniform, and the resistance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conducting wire. Preferably,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is made of a copper-nickel alloy,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may be made of a mixture of silver, CNT, graphene, or the like.

이러한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220)은 원통형 몸체(110)의 압출 또는 사출 성형 시 이들 도선을 매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원통형 몸체(110)가 비전도성 재질인 경우, 전도성의 도선을 직접 매립할 수 있고, 원통형 몸체(110)가 전도성 재질인 경우에는 피복되어 있는 도선을 사용하여 매립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may be formed by burying these conducting wires during extrusion or injection molding of the cylindrical body 110 . In this case, when the cylindrical body 110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 conductive wire may be directly embedded, and when the cylindrical body 11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 coated wire may be used to embed it.

대안적으로, 원통형 몸체(110)를 먼저 성형한 후, 도선을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원통형 몸체(110)의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 시 도선이 매립될 위치에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의 관통홀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성형한 후, 성형된 원통형 몸체(110)의 관통홀에 도선을 삽입하는 것이다.Alternatively, a method of first forming the cylindrical body 110 and then inserting a wire may be used. That is, during extrusion molding or injection molding of the cylindrical body 110, a through hole having a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osition where the wire is to be embedded, and then a wir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molded cylindrical body 110. to insert

원통형 몸체(110)에 도선을 매립하는 또 다른 대안적 방법으로서, 일반 액체관용 파이프에 도선이 매립된 원통형 커버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는 시판되는 일반적인 원통형 파이프(141)에 가요성 소재로 성형된 원통형 커버(142)를 부착하여 액체관을 형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원통형 커버(142)에는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220)이 매립되어 성형되어 있고, 파이프(141)를 원통형 커버(142)에 끼우는 방식으로 액체관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원통형 커버가 길이 방향을 따라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이러한 원통형 커버를 파이프에 부착시켜 액체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As another alternative method of embedding the wire in the cylindrical body 110, it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cylindrical cover in which the wire is embedded to a pipe for a general liquid pipe. 2 shows that a liquid pipe is formed by attaching a cylindrical cover 142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a commercially available general cylindrical pipe 141.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are embedded and molded in the cylindrical cover 142, and a liquid pipe is formed by inserting the pipe 141 into the cylindrical cover 142. Alternatively, a cylindrical cover may be formed by dividing it into two par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iquid pipe may be formed by attaching this cylindrical cover to a pip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원통형 몸체(110)의 제1 및 제2 단부(120, 130)에는 액체관의 연결을 위한 결합부(300)가 형성된다. Referring back to FIG. 1 , first and second ends 120 and 130 of the cylindrical body 110 are formed with coupling parts 300 for connecting liquid pipes.

결합부(300)는 제1 단부(120) 및 제2 단부(130)에서 제1 도선(210) 및 제2 도선(220)이 노출된 부분을 소정 형상의 단면으로 돌출시킨 돌출부(310) 또는 소정 형상의 단면으로 함몰된 오목홈(320)으로 형성한다. 하나의 액체관의 돌출부(310)는 이와 연결되는 다른 액체관의 오목홈(320)에 끼워맞춤되어, 연결되는 액체관의 제1 도선(210) 및 제2 도선(220)을 각각 연속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돌출부(310)와 오목홈(320)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형,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300 is a protruding part 310 in which the exposed portions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at the first end 120 and the second end 130 protrude in a cross 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or It is formed as a concave groove 320 recessed into a cross section of a predetermined shape. The protruding part 310 of one liquid pipe is fitted into the concave groove 320 of another liquid pipe connected thereto, so that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of the connected liquid pipe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can make it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protruding portion 310 and the concave groove 320 are illustrated as circula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quadrangular shape, a triangle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원통형 몸체(110)의 제1 단부(120)의 내부면에는 오링홈(119)를 형성하여 액체관의 연결하는 경우 오링을 오링홈(119)에 삽입하여 연결 부위를 밀봉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원통형 몸체(110)의 제1 단부(120)의 내측에 오링홈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몸체(110)의 제2 단부(130) 내측, 또는 양자에 모두 오링홈을 형성할 수 있다.When connecting the liquid pipe by forming an O-ring groove 119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d 120 of the cylindrical body 110, the O-ring may be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119 to seal the connection portion. 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an O-r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end 120 of the cylindrical body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ring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end 130 of the cylindrical body 110 or both. grooves can be formed.

도 3a 내지 도 3c는 결합부에 제1 단부와 제2 단부에 돌출부와 오목부가 다르게 형성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2개의 액체관(100, 101)이 연결되는 것을 설명한다.3A to 3C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protrusions and concave portions are differently formed a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coupling part, and two liquid pipes 100 and 101 are connect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explain what becomes

도 3a는 액체관(100)의 제1 단부(120)에는 제1 도선(210) 및 제2 도선(220)의 노출부에 돌출부(310)가 형성되고, 제2 단부(130)에는 오목홈(320)이 형성된 예시이다. 따라서, 액체관(100)을 다른 액체관(101)과 연결시킬 때, 액체관(101)의 오목홈(320)에 액체관(100)의 돌출부(310)가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서로 연결되는 액체관(100, 101)의 제1 도선(210) 및 제2 도선(220)은 각각 연속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액체관(100)의 제1 단부(120)에 형성된 오링홈(119)에 오링(350)이 삽입되어 두 액체관(100, 101)의 연결을 밀봉한다. 3A shows that the first end 120 of the liquid pipe 100 has a protrusion 310 formed on the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and a concave groove on the second end 130. 320 is an example formed. Therefore, when the liquid pipe 100 is connected to another liquid pipe 101, the protruding portion 310 of the liquid pipe 100 fits into the concave groove 320 of the liquid pipe 101. Therefore,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of the liquid pipes 100 and 101 connected to each other are connected continuously. At this time, the O-ring 350 is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119 formed at the first end 120 of the liquid pipe 100 to seal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liquid pipes 100 and 101.

도 3b는 액체관(100)의 제1 단부(120)에서 제1 도선(210) 및 제2 도선(220)의 노출부 중 일부는 돌출부(310)로 하고, 일부는 오목홈(320)으로 형성하는 예시이다. 액체관(100)의 제2 단부(130)에는 제1 단부(120)의 돌출부(310)와 오목홈(320)에 각각 대응하는 오목홈(320)과 돌출부(310)를 형성한다. 따라서, 액체관(100)을 다른 액체관(101)과 연결시킬 때, 액체관(101)의 돌출부(310)와 오목홈(320)에 각각 액체관(100)의 오목홈(320)과 돌출부(310)를 끼워맞춤으로써, 두 액체관(100, 101)의 제1 도선(210) 및 제2 도선(2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3B shows that some of the exposed portions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at the first end 120 of the liquid pipe 100 are protruding portions 310 and some are concave grooves 320. example of forming A concave groove 320 and a protrusion 310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310 and the concave groove 320 of the first end 120 are formed in the second end 130 of the liquid pipe 100 . Therefore, when the liquid pipe 100 is connected to another liquid pipe 101, the concave groove 320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iquid pipe 100 are formed on the protrusion 310 and the concave groove 320 of the liquid pipe 101, respectively. By fitting 310,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of the two liquid pipes 100 and 101 are electrically connected.

대안적으로 두 액체관을 연결하는 별도의 접속 부재(4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도 3c에 예시되어 있다. 액체관(100, 101)의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에 모두 오목홈(320)을 형성하고, 접속 부재(400)에는 액체관(100, 101)의 오목홈(320)에 끼워맞출 수 있는 돌출부(41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접속 부재(400)의 대응 단면에 오목홈를 형성하여 연결할 수 있다.Alternatively,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400 connecting the two liquid tubes may be used, which is illustrated in FIG. 3C. Concave grooves 320 are formed in both the first end 120 and the second end 130 of the liquid tubes 100 and 101, and the connecting member 400 has the concave groove 320 of the liquid tubes 100 and 101. ) It is possible to form a protrusion 410 that can be fitted. Alternatively,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first end 120 and the second end 130 and concave grooves may be formed on corresponding end surfaces of the connection member 400 to connect them.

도 4는 도 3a-도 3c에서와 같이 연결된 액체관(100, 10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6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2개의 액체관(100, 101)을 연결시켜 양쪽의 제1 도선(210) 및 제2 도선(220)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양쪽의 액체관(100, 101)을 고정하는 고정 장치(600)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고정 장치(600)는 바람직하게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덮개(610)와 벨트형 고정부(620)로 이루어진다. 액체관(100, 101)의 연결 부위를 원통형의 덮개(610)로 감싼 후, 벨트형 고정부(620)를 이용하여 덮개(610)를 고정한 후, 벨트형 고정부(620)에 형성된 라쳇 버클(630)을 체결하여, 덮개(610)를 결박할 수 있다. 도 3c에서와 같이 접속 부재(400)를 사용한 경우에는 벨트형 고정부(620)를 각각 연결되는 액체관(100, 101) 및 접속 부재(400)에 모두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xing device 600 for fixing the liquid pipes 100 and 101 connected as in FIGS. 3A-3C. A fixing device that connects the two liquid pipes 100 and 101 to fix the liquid pipes 100 and 101 on both sides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on both sid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600) to fix it. The fixing device 600 preferably consists of a cylindrical cover 610 formed of metal or plastic and a belt-type fixing part 620. After covering the connecting parts of the liquid tubes 100 and 101 with a cylindrical cover 610, fixing the cover 610 using a belt-type fixing part 620, and then a ratchet buckle formed on the belt-type fixing part 620. By fastening 630, the cover 610 can be bound. In the case of using the connecting member 400 as shown in FIG. 3C, the belt-type fixing part 620 may be used and fixed to both the liquid pipes 100 and 101 and the connecting member 400, respectively.

다음으로, 도 5a-도 5c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체관(100)을 사용하는 배관 시스템에서 누액을 감지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액체관(100)은 액체를 수송하기 위하여 소망하는 거리만큼 복수 개가 사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Next, a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in a piping system using the liquid pip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A plurality of liquid pipes 100 may be used and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desired distance to transport the liquid.

누액을 감지하기 위하여, 제1 종단(121)에서 액체관의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220)이 제어부(900)와 연결되고, 제2 종단(131)에서 2개의 제1 도선(210)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도 6에는 제2 종단(131)에서 2개의 제1 도선(2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사용되는 엔드 캡(490)이 예시되어 있다. 엔드 캡(490)은 원통형 몸체(110)에 끼워지는 형태로서, 2개의 제1 도선(210)이 연결되는 연결 도선(219)이 매립되어 있어서, 제2 종단(131)에서 제1 도선(2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In order to detect leakage, the first lead 210 and the second lead 220 of the liquid pipe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900 at the first end 121, and the two first leads 131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900. (2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6 illustrates an end cap 490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wo first conductors 210 at the second end 131 . The end cap 490 is in the form of being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body 110, and the connecting wire 219 to which the two first conducting wires 210 are connected is buried, so that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end 131. ) are electrically connected.

제어부(9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레이 루프를 이용한 감지 회로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900)는 저항 r1과 가변 저항 R이 제1 도선(210) 각각에 연결되고, 검류계(G)가 2개의 제1 도선(210) 사이에 연결되는 브리지 회로를 포함한다. 직류 전원(E)의 양극에 저항 r1과 가변 저항 R이 연결되고, 음극에 2개의 제2 도선(220)이 연결된다. 2개의 제1 도선(210)은 제2 종단(131)에서 연결 도선(219)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control unit 900 includes a sensing circuit using a Murray loop as shown in FIG. 5B. That is, the control unit 900 includes a bridge circuit in which the resistor r1 and the variable resistor R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conductors 210 and the galvanometer G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first conductors 210. The resistor r1 and the variable resistor R are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DC power source E, and the two second conductors 220 are connected to the cathode. The two first conducting wires 2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at the second end 131 by a connecting conducting wire 219 .

액체관의 누액이 없는 경우 검류계(G)는 평형을 이루고 있으며, 액체관(100)의 소정 위치에서 액체관이 파손되거나 연결부위에서 누액이 발생한 경우, 검류계(G)는 액체관(100)쪽의 저항의 변화로 인하여 평형 상태가 깨지게 되고, 이를 감지하여 누액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게 된다.When there is no leakage in the liquid pipe, the galvanometer (G) is in equilibrium. The equilibrium state is broken due to the change in resistance, and it is detected that leakage has occurred.

한편, 액체관(100)의 총 설치 거리를 L이라 할 때, 소정 위치에서 누액으로 인하여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220)의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검류계(G)가 평형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900)의 가변 저항 R을 변화시켜, 검류계(G)의 값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를 찾게 되고, 평형 상태에서 제1 종단(121)에서 누액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거리 x는 다음의 식 (1)로 계산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otal installation distance of the liquid pipe 100 is L, when a short circuit between the first conductor 210 and the second conductor 220 occurs due to liquid leakag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galvanometer G maintains an equilibrium state. If it deviates, the variable resistance R of the controller 900 is changed to find a state in which the value of the galvanometer (G) is in equilibrium, and in the equilibrium state, the distance x from the first end 121 to the point where the leakage occurs is is calculated by equation (1) of

x = 2r1/(r1+R) * L (1)x = 2r1/(r1+R) * L (One)

예를 들어, 총 설치 길이 L = 100m이고, r1 = 1 kΩ 일 때, 소정 위치에서 누액이 발생하여 검류계(G)가 평형 상태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900)에 연결된 컴퓨터의 자동제어에 의하여 검류계(G)가 평형 상태로 복귀되는 가변 저항값이 50 kΩ라고 할 때, 누액이 발생한 지점 까지의 거리 x는 3.9 m이 된다.For example, when the total installation length L = 100m and r1 = 1 kΩ, when liquid leakage occur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galvanometer (G) is out of equilibrium, the galvanomete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mpute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900. When (G) assumes that the variable resistance value returned to the equilibrium state is 50 kΩ, the distance x to the point where the leakage occurs is 3.9 m.

따라서, 본 발명의 액체관이 파손되거나 연결부위에서 누액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900)는 누액의 발생과, 누액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거리 x를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liquid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amaged or leakage occurs at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troller 900 can detect the leakage and the distance x to the point where the leakage occurs.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 도선(210)과 2개의 제2 도선(220)이 원형 단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함으로써, 국소적인 파손의 경우에도 이를 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c에 도시된 ①,②,③,④의 네 가지 경우의 국소적인 파손에 대하여도, 도 5b에 도시된 ①,②,③,④의 네 가지 경우에 해당하여 검류계(G)가 평형 상태를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900)가 누액을 감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누액된 지점까지의 거리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C, the two first conducting wires 210 and the two second conducting wires 220 are evenly distributed on the circular cross section, so that even in the case of local damage, it is possible to detect it. there is. Even for the local damage in the four cases ①, ②, ③, ④ shown in FIG. 5C, the galvanometer G is in an equilibrium state corresponding to the four cases ①, ②, ③, ④ shown in FIG. 5B. will get out of Therefore, the control unit 900 can not only detect the leaked liquid, but also accurately detect the distance to the leaked point.

다음으로, 도 7a-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설명한다.Next, a 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2개 이상의 액체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통형 몸체(110)의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 측의 외부면에 수나사산(113)을 형성하는 예시이다. 이때, 액체관(100)의 제1 단부(120)에서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도시되지 않음)이 노출된 부분을 소정 형상의 단면으로 돌출시킨 돌출부(310)를 형성하고, 제2 단부(130)는 돌출부나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The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but in order to facilitate connection of two or more liquid tubes, the first end 120 of the cylindrical body 110 and the second This is an example of forming the male thread 113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130 side. At this time, a protrusion 310 is formed by protrud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not shown) at the first end 120 of the liquid pipe 100 in a cross section of a predetermined shape, The second end 130 does not form a protrusion or recess.

이러한 수나사산(113)이 형성된 액체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 장치(500)를 사용하며, 연결 장치(500)는 길이가 짧은 원통형으로 그 내경은 액체관(10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내부면에 수나사산(113)에 대응하는 암나사산(503)이 형성되어 있다.A separate connecting device 500 is used to connect the liquid pipe having the male thread 113, and the connecting device 50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short length and an inn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iquid pipe 100. And, a female thread 503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 11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연결 장치(500)와 2개의 액체관(100, 101)은 서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2개의 액체관(100, 101)이 연결된다. 액체관(100, 101)의 연결 시 연결 부위의 밀봉을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오링(350)이 삽입될 수 있다.The connection device 500 and the two liquid tubes 100 and 101 are screwed together, so that the two liquid tubes 100 and 101 are connected. When connecting the liquid tubes 100 and 101, one or more O-rings 350 may be inserted to seal the connection area.

또한, 2개의 액체관(100, 101)이 연결 장치(500)에 나사 결합되어 연결될 때, 액체관(100)의 제1 도선(210)의 돌출부(310) 및 제2 도선의 돌출부가 액체관(101)의 제2 단부(130)의 제1 도선(210) 및 제2 도선의 노출부와 맞닿음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addition, when the two liquid pipes 100 and 101 are connected by screwing to the connecting device 500, the protruding part 310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protruding part of the second conducting wire of the liquid pipe 100 are connected to the liquid pipe 100. The second end 130 of 101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s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한편, 연결 장치(500)와 2개의 액체관(100, 101)이 나사 결합할 때, 체결 유격에 따라서, 2개의 액체관(100, 101)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야 하는 도선의 위치가 약간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도선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관(100)의 제2 단부(130)에서 각각의 도선(210, 220)의 노출 부위에서 여유 도선부(211, 221)를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ing device 500 and the two liquid pipes 100 and 101 are screwed together, the position of the wir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two liquid pipes 100 and 101 is slightly out of position according to the fastening clearance. can In this case, in order to secur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respective conductors, as shown in FIG. 7B, the second end 130 of the liquid pipe 100 has a spare conductor at the exposed portion of each of the conductors 210 and 220 ( 211 and 221)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8a-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8A to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은 제2 실시예와 유사하나, 제2 단부(130)에도 돌출부(310)를 형성하고, 연결 장치(510)의 일부에도 제1 도선과 제2 도선을 매립 형성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The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but the protrusion 310 is also formed on the second end 130, and the first conductor and the There is a difference in forming the second conducting wire by burying it.

즉, 액체관(100)에는 원통형 몸체(110)의 제1 단부(120)와 제2 단부(130) 측의 외부면에 수나사산(113)이 형성되어 있고, 액체관(100)의 제1 단부(120) 및 제2 단부(130)에서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도시되지 않음)이 노출된 부분을 소정 형상의 단면으로 돌출시킨 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in the liquid pipe 100, male threads 113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end 120 and the second end 130 of the cylindrical body 110, and the first end 120 of the liquid pipe 100 A protrusion 310 is formed by protrud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not shown) at the end 120 and the second end 130 in a cross 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액체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 장치(510)는 길이가 짧은 원통형으로, 원통의 중간 부분이 액체관(100)의 내경과 대략 일치하도록 내향 돌출된 원통부(512)가 형성되고, 원통부(512) 양측은 액체관(100)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고, 그 내부면에 암나사산(513)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원통부(512)에는 밀봉을 위한 오링홈(519)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512)에는 액체관(100)과 유사하게 제1 도선(210)과 제2 도선(220)이 매립되어 있다. In order to connect the liquid pipe, the connection device 510 has a short cylindrical shape, and the cylindrical portion 512 protrudes inward so that the middle portion of the cylinder approximately matches the inner diameter of the liquid pipe 100, and the cylindrical portion 512 ) Both sides have an inner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iquid pipe 100, and a female thread 51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Preferably, an O-ring groove 519 for sealing is form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512. Similar to the liquid pipe 100,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220 are embedd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512.

연결 장치(510)와 2개의 액체관(100, 101)은 서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2개의 액체관(100, 101)을 연결 시킬 수 있다. 연결 장치(510)와 2개의 액체관(100, 101)이 나사 결합할 때, 체결 유격에 따라 도선의 위치가 약간 벗어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장치(510)의 각각의 도선(210, 220)의 노출 부위에서 여유 도선부(211, 221)를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The connection device 510 and the two liquid tubes 100 and 101 are screwed together so that the two liquid tubes 100 and 101 can be connected. When the connecting device 510 and the two liquid pipes 100 and 101 are screwed togeth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osition of the wire may slightly deviate depending on the fastening clearance, as shown in FIG. 8B, the connecting device 510 In the exposed portion of each of the conducting wires 210 and 220 of ), the redundant conducting wires 211 and 221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따라서, 2개의 액체관(100, 101)이 연결 장치(510)에 나사 결합되어 연결될 때, 2개의 액체관(100, 101)의 제1 도선(210) 및 제2 도선은 연결 장치(510)의 제1 도선(210) 및 제2 도선에 각각 맞닿게 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refore, when the two liquid pipes 100 and 101 are connected by screwing to the connecting device 510,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of the two liquid pipes 100 and 101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device 510.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ducting wire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respectively,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 장치(500) 또는 연결 장치(510)는 도 7a나 도 8a와 같은 직선 형태, "ㄱ"자로 꺾인 형태, "T"자 형태 등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지형이나 지하 매설물 등에 맞추어 액체관을 연결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ion device 500 or the connection device 510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a "L" shape, a "T" shape, etc. as shown in FIG. 7a or 8a, so that various terrain or underground The liquid pipe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buried objects.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 9 , a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은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연결 장치(500)를 사용하는 것이나, 액체관(100)의 제1 단부(120)에 돌출부로 포고 핀(330)을 사용하고 제2 단부(130)에 오목홈(320)을 형성하는 것이다.The liquid tube for leak det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9 uses the connection device 500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but the pogo pin 330 is provided as a protrusion at the first end 120 of the liquid tube 100. And to form a concave groove 320 in the second end (130).

액체관(100)의 제1 단부(120)에는 포고 핀(33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을 노출시키는 장착홈(335)이 형성되고, 이러한 장착홈(335)에 포고 핀(330)이 고정부(334)에 의하여 고정된다. 포고 핀(330)은 전단부가 폐쇄되고 후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의 몸체부(331)과, 몸체부(331)의 후단부 내측으로 결합되고 전단부가 개방되는 후방핀(332)과, 몸체부(331) 내측 공간에 수용되는 스프링(333)을 포함한다. 원통형 몸체부(331), 후방핀(332) 및 스프링(333)은 모두 도체로 형성된다.At the first end 120 of the liquid pipe 100, a mounting groove 335 exposing the first conducting wire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is formed so that the pogo pin 330 can be mounted, and the pogo pin 330 is formed in the mounting groove 335. The pin 330 is fixed by the fixing part 334 . The pogo pin 33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portion 331 having a closed front end and an open rear end to form a space inwardly, and a rear pin 332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331 and having an open front end. And, the body portion 331 includes a spring 333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The cylindrical body 331, the rear pin 332 and the spring 333 are all made of conductors.

연결 장치(500)와 2개의 액체관(100, 101)은 서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2개의 액체관(100, 101)이 연결된다. 이때, 나사 결합의 마지막 회전에서, 포고 핀(330)이 스프링(333)의 탄성에 의하여 오목홈(320)에 삽입하도록 나사 결합의 유격을 조정한다. 따라서, 연결되는 2개의 액체관(100, 101) 사이에서 제1 도선과 제2 도선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device 500 and the two liquid tubes 100 and 101 are screwed together, so that the two liquid tubes 100 and 101 are connected. At this time, in the final rotation of the screw connection, the pogo pin 330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320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333, adjusting the clearance of the screw connection. Therefore, the first conducting wire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two liquid pipes 100 and 101 to be connected.

이러한 포고 핀(33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돌출부(310)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포고 핀(330)을 사용하는 경우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pogo pin 330 can be used in place of the protrusion 310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when the pogo pin 330 is use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ductors can be stably formed. can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0 to 1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누액 감지용 액체관(100)은 복수 개의 제1 도선(210)과 복수 개의 제2 도선(220)이 서로 교번하여 매립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때, 제1 도선과 제2 도선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The liquid pipe 100 for detecting leakage shown in FIG. 10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nducting wires 210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ducting wires 220 are alternately buried.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ducting wire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is constant.

도 11에 도시된 누액 감지용 액체관(100)은 2개의 제1 도선(210)과 하나의 제2 도선(220)이 세트(290)를 이루어 복수 개의 세트(290)가 매립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때, 한 세트 내에서 제1 도선(210) 각각과 제2 도선(220)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The liquid tube 100 for leak detection shown in FIG. 11 has a form in which two first conducting wires 210 and one second conducting wire 220 form a set 290, and a plurality of sets 290 are buried. .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first conducting wires 210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s 220 within one set is constant.

도 12에 도시된 누액 감지용 액체관(100)은 2개의 제1 도선(210)과 하나의 제2 도선(220)이 나선형으로 매립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때, 제1 도선 각각과 제2 도선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The liquid pipe 100 for detecting leakage shown in FIG. 12 has a shape in which two first conducting wires 210 and one second conducting wire 220 are spirally embedded.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first conducting wires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s is constant.

도 10 내지 도 12의 액체관(100)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1 단부와 제2 단부에는 돌출부(310)과 오목홈(3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310)과 오목홈(320)의 형성과 액체관의 연결은 도 3a-3c, 도 4, 도 7a-7b, 도 9, 도 9에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누액의 검출과 누액까지의 거리 산출은 도 5a-5b에서와 유사하게 할 수 있다.In order to connect the liquid pipe 100 of FIGS. 10 to 12 to each other, a protrusion 310 and a concave groove 320 may be formed a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the protrusion 310 and the concave groove 320 ) formation and connection of the liquid tube can be formed similarly to those in FIGS. can be done similarly to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체관을 기존 파이프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존 사용 중인 파이프의 내부가 부식되었거나 스케일이 침착하여 파이프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관을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13 is a view explaining the use of a liquid pipe inserted into an existing pip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ipe in use is corroded or scale is deposited and the pipe needs to be replaced, the liquid pi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existing pipe and us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accordingly.

100, 101: 액체관
110: 원통형 몸체
111: 내부면 112: 외부면
119: 오링홈
120: 제1 단부 130: 제2 단부
210: 제1 도선 220: 제2 도선
300: 결합부
310: 돌출부 320: 오목홈
350: 오링
400: 접속 부재 600: 고정 장치
500, 510: 연결 장치
900: 제어부
100, 101: liquid pipe
110: cylindrical body
111: inner surface 112: outer surface
119: O-ring home
120: first end 130: second end
210: first conductor 220: second conductor
300: coupling part
310: protrusion 320: concave groove
350: O-ring
400: connection member 600: fixing device
500, 510: connection device
900: control unit

Claims (17)

누액 감지용 액체관으로서,
내부면과 외부면을 포함하고, 내부면과 외부면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원통형 몸체;
상기 내부면과 외부면 사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직선 상 또는 나선 상으로 매립되고,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노출되는 복수 개의 제1 도선;
상기 내부면과 외부면 사이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도선과 평행하게 매립되고,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선;
상기 원통형 몸체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As a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a cylindrical body includ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conducting wires buri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in a straight or spir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posed a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t least one second conductor wire buri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in parallel with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or wires and exposed to the first and second ends;
Coupling part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cylindrical body
A liquid tube for leak detec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1 도선 또는 제2 도선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또는 오목홈인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is a protruding part or a concave groove formed to expose the first conducting wire or the second conducting wi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 감지용 액체관이 2개 이상 연결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의 돌출부 대응하도록 형성된 오목홈 또는 상기 결합부의 오목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이 매립된 접속 부재에 의하여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이 각각 연결되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2,
When two or more liquid pipes for leak detection are connected,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are respectively connected by a concave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of the coupler or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protrus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cave groove of the coupler and in which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ductor are buried, respectively. Liquid tube for det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단부에 제1 도선 또는 제2 도선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제2 단부에 제1 도선 또는 제2 도선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홈
을 포함하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a protrusion formed at the first end to expose a first or second conducting wire; and
A concave groove formed at the second end so that the first or second conducting wire is exposed and corresponds to the protrusion.
A liquid tube for leak detec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돌출부이고,
상기 돌출부는
전단부가 폐쇄되고 후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
몸체부의 후단부 내측으로 결합되고 전단부가 개방되는 후방핀; 및
몸체부 내측 공간에 수용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is a protrusion,
the protrusion
A cylindrical body portion in which a front end is closed and a rear end is open to form a space inwardly;
A rear pin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having an open front end; and
Spr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 liquid tube for leak detec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에서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의 노출 부위를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한 여유 도선부
를 포함하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art
A redundant wire portion in which expose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wir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first end or the second end.
A liquid tube for leak detec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측 외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1,
A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in which threads are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cylindrical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 감지용 액체관이 2개 이상 연결되는 경우, 상기 원통형 몸체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되는 연결 장치에 의하여 연결되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7,
When two or more of the liquid tubes for detecting leaks are connected, the liquid tubes for detecting leaks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device in which threads corresponding to the threads of the cylindrical body are formed on the ins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누액 감지용 액체관의 내부면의 지름과 일치하도록 내향 돌출된 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에는 복수개의 제1 도선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선이 매립되어 있고, 원통부 양측으로 상기 복수개의 제1 도선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선이 노출되어 있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8,
The connection device has a cylindrical portion protruding inward to match the diame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ak detection liquid tube,
A plurality of first conducting wires and at least one second conducting wire are embedded in the cylindrical part,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ing wires and at least one second conducting wire are expos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rical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 감지용 액체관이 2개 이상 연결되는 경우, 누액 감지용 액체관은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연결 부위를 감싸는 원통형의 덮개; 및
상기 덮개와 액체관을 고정할 수 있는 벨트형 고정부
를 포함하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1,
When two or more liquid tubes for leak detection are connected, the liquid tubes for leak detection are fixed by a fixing device.
The fixing device is
A cylindrical cover covering the connection area; and
Belt-type fixing part capable of fixing the cover and the liquid pipe
A liquid tube for leak detec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선 및 제2 도선은 각각 2개인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ducting wire and the second conducting wire are each two liquid tubes for leak det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선의 저항 및 제2 도선의 단위 길이 당 저항은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1,
The 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stance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and the resistance per unit length of the second conducting wire are unifor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선의 저항은 상기 제2 도선의 저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12
The 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stance of the first conducting wire is smaller than the resistance of the second conducting wi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선은 구리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도선은 은, CNT, 그래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 감지용 액체관.
According to claim 12
The first wire is made of a copper nickel alloy,
The liquid tube for detecting leak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ductor is formed by mixing at least one of silver, CNT, and graphene.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배관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누액 감지용 액체관을 복수 개 연결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도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선은 서로 교번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된 복수 개의 누액 감지용 액체관의 일단 측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도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선과 연결되어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누액을 감지하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복수 개의 누액 감지용 액체관의 타단 측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도선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배관 시스템.
As a pip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leakage,
Connecting a plurality of liquid pipes for leak dete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ing wires and the at least one second conducting wire are alternately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t one end side of the plurality of leak detection liquid tubes,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and the at least one second conductor are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DC power and detecting leaks;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other end side of the plurality of liquid leak detection liquid pipes connected to each oth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도선 사이에 연결되는 검류계;
상기 검류계의 양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선 사이에 연결되는 직류 전원; 및
상기 직류 전원과 검류계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는 가변 저항;
을 포함하고,
상기 검류계의 측정값이 평형에서 벗어나는 경우 복수 개의 연결된 누액 감지용 액체관에서의 누액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가변 저항을 변화시켜 누액 지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배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5,
The control unit
a galvanometer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ing wires;
a DC power supply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galvanometer and the at least one second conductor; and
a variable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DC power supply and one end of the galvanometer;
including,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galvanometer is out of equilibrium,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leakage in a plurality of connected liquid pipes for detecting leakage, and calculating a distance to a leakage point by changing the variable resistan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도선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도선이 매립되어 있는 엔드 캡
을 더 포함하는 배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5,
An end cap in which a connection wir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to each other is buried
A pip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KR1020210125069A 2021-09-17 2021-09-17 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 and pipe system using the same KR202300419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069A KR20230041903A (en) 2021-09-17 2021-09-17 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 and pipe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069A KR20230041903A (en) 2021-09-17 2021-09-17 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 and pipe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903A true KR20230041903A (en) 2023-03-27

Family

ID=8579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069A KR20230041903A (en) 2021-09-17 2021-09-17 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 and pipe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190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7256Y2 (en)
RU2627064C1 (en) Transducer cable unit and flowmeter using such transducer cable unit
US8899998B2 (en) Revolving grounding lug
US10612216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mount sensors below a main valve of a fire hydrant
CN108474521A (en) The real-time integrity of land pipelines monitors
ES2378038T3 (en) Sensor of an electric magnitude of flat interface and with adapted connector
AU2011203632B2 (en) Sensor assembly for a fluid flowmeter
US20140167763A1 (en) Tracer wire connector devices and methods for use
US20200018662A1 (en) Pipeline leak detection
KR20230041903A (en) Liquid pipe for detecting leak and pipe system using the same
KR100948073B1 (en) Duplex pipe line
SA95150562B1 (en) Detection of potential corrosion of a steel reinforced composite pipe
KR100869692B1 (en) Device for leakage check in underground cable pipe
KR101112216B1 (en) Wire assembly for detecting embedded piping and method of detecting embedded piping
JP7177482B2 (en) Liquid level measuring device
AU2017329037B2 (en) Electric field expansion system for low voltage conductivity inspection
KR101895750B1 (en) Leaking sensor for target area
KR19990030400A (en) Conductive Synthetic Resin Pipe
US20230227982A1 (en) Cable-to-pipe connector
KR101700627B1 (en) Check conductor for pipe lining
GB2180068A (en) Probe for corrosion testing
JP6340890B2 (en) Water level detector
KR20100079050A (en) A waterproof type test box for electric prevention of corrosion
KR102673496B1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RU2492437C1 (en) Temperature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