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776A - Natural filtering purifier with improved filtering system - Google Patents

Natural filtering purifier with improved filte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776A
KR20230040776A KR1020210124296A KR20210124296A KR20230040776A KR 20230040776 A KR20230040776 A KR 20230040776A KR 1020210124296 A KR1020210124296 A KR 1020210124296A KR 20210124296 A KR20210124296 A KR 20210124296A KR 20230040776 A KR20230040776 A KR 20230040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raw water
housing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2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2172B1 (en
Inventor
김시준
마재철
Original Assignee
김시준
마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준, 마재철 filed Critical 김시준
Priority to KR102021012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172B1/en
Publication of KR20230040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7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1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4/40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24/405Special treatment of the feed stream before contacting the filtering material,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4/005Filters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ells o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76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filtering water purifier using an improved filter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natural filtering water purifier using an improved filtering system, wherein a phenomenon that raw water does not pass smoothly due to a water film phenomenon by a pressure difference for each filter layer stacked in multiple stages is prevented to further improve the flowability of the raw water, the efficiency of using a filter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raw water to pass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filter, and the replacement of the filter can be carried out more easily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Description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NATURAL FILTERING PURIFIER WITH IMPROVED FILTERING SYSTEM}Natural filtering water purifier with improved filtering system {NATURAL FILTERING PURIFIER WITH IMPROVED FILTERING SYSTEM}

본 발명은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적층된 필터층마다 압력차에 의한 수막현상으로, 원수가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수의 흐름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원수가 필터의 전체적인 면적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교체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filtration type water purifier to which an improved filtering system is applied,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raw water does not pass smoothly due to a water film phenomenon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multi-layered filter layers, thereby improving the flowability of raw wat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ilter use efficiency by further improving the filter and allowing the raw water to pass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filter, and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by making the replacement of the filter easier. It is about a filtering water purifier.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약수와 같은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포함한 정수법을 기초로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 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유익한 음용수를 제공한다.In general,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for purifying raw water such as tap water or mineral water, and provides drinking water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by removing heavy metals or other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raw water based on a water purification method including processes such as precipitation, filtration, and sterilization. do.

이러한 정수기는 작동방식에 따라 크게 저수조 방식(자연여과식)과 역삼투압 방식으로 대별될 수 있다.These water purifier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a water tank type (natural filtration type) and a reverse osmosis typ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필터 바깥의 물에 압력을 가해 촘촘한 필터를 통과시켜 중금속이나 바이러스, 미생물 등을 걸러주어 정수와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물을 압송할 수 있는 각종 전기장치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상시전원을 필수로 요구한다는 이유로, 일반 가정집이나, 식당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Reverse osmosis water purifier applies pressure to the water outside the filter and passes it through a dense filter to filter out heavy metals, viruses, and microorganisms to remove purified water and contaminants. Various electrical devices that can pump water and drive it It is a method mainly used in general homes or restaurants because it requires constant power for

반면,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저수조에 저수된 원수를 중력과 같은 자연원리에 의해 필터를 통과시킨 후 정수된 물을 정수탱크에 저장한 다음, 필요에 따라 물을 소비하는 방식으로, 기타 전기장치를 요구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상시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설치가 간편해 야외, 공공장소 등에 주로 사용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natural filter water purifiers pass raw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through a filter by natural principles such as gravity, store the purified water in a water purification tank, and then consume water as needed. Since it does not require a simple structure and does not require constant power, it is easy to move and install, so it is mainly used and installed outdoors or in public places.

이러한 자연여과식 정수기는 대부분, 기능식 필터층을 다단으로 적층한 다단식 필터모듈을 이용해 원수를 정수하게 되는데, 자중에 의해서만 원수가 각각의 필터층을 통과하게 되는 관계로, 각각의 필터층을 균일하게 통과할 수 없어 필터 사용 효율이 떨어졌다.Most of these natural filtration type water purifiers purify raw water using a multi-stage filter module in which functional filter layers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filter use efficiency was reduced.

또한, 건조된 필터층 표면에 원수가 한 방향으로 흐르게 되면, 소위 물길이라고 하는 길이 생겨 원수가 상기 물길로만 흐르려는 성질로 인해, 필터층의 특정 부분에서만 원수가 흐르게 되어 필터층의 전체적인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raw water flows in one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dried filter layer, a so-called water path is created, and the raw water flows only in a specific part of the filter layer due to the nature of the raw water flowing only through the water path, so that the entire area of the filter layer is efficiently used. There was a problem.

또, 각각의 필터층 사이 공간에 압력차나, 필터층 표면의 점성 등에 의해 필터층 외면에 수막이 형성되면, 상기 수막에 의해 원수가 가로막혀 필터층을 통과할 수 없게 되고, 이에 정수 생성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a water film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layer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in the space between each filter layer or the viscosity of the surface of the filter layer, raw water is blocked by the water film and cannot pass through the filter layer,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producing purified water. .

공개실용신안 20-2011-0001490Public utility model 20-2011-000149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단으로 적층된 필터층마다 압력차에 의한 수막현상으로, 원수가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수의 흐름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원수가 필터의 전체적인 면적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교체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is problem in view of the various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the flow of raw water is improved by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raw water does not pass smoothly due to a water film phenomenon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for each multi-layered filter layer. A natural filtration type with an improved filtering system that ensures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by making it easier to replace the filt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탱크에 내장되며 상기 저수조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는 여과모듈을 포함하는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모듈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면에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단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격판; 및 인접한 격판 사이 공간에 실장되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격판 각각에는 원수가 통과하는 통과구가 관통 형성되며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 이격된 상면에는 상부로 압력유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력유지돌기 상에는 상하 방향으로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ich includes a water tank for storing raw water, a water purification tank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and a filtration module built in the water purification tank and purify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In the overeating water purifier, the filtration modul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first outlet formed on a lower surface; a plurality of diaphragms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vertically inside the housing; And a filter mounted in the space between adjacent diaphragms; each of the plurality of diaphragms has a passage through which raw water passes, and a pressure holding protrus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eccentrically spaced from the center to one side, and the pres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through the holding protru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격판 각각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대에 접속되는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guide rod protrudes from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groove connected to the guide rod is recessed a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diaphragms.

또,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어 원수를 확산해 낙하시키는 확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ra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ffusion plate mounted on the open upper end of the housing to diffuse and fall the raw water.

또한, 상기 저수조와 정수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모듈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의 상단에는 개방구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에는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개방구 주변으로는 견인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필터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며, 하면에는 상기 제1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자켓부재; 상기 자켓부재의 상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되는 분할관; 및 상기 분할관의 상단에서 상기 견인구를 통과해 외부로 연장되는 견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관은 압축되어 있다가, 상부로 견인시 탄성 변형되는 탄성재질의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할관의 상단 둘레에는 링 형태의 제1 밀폐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밀폐부재의 내부에는 제1 자석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저수조의 상단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밀폐부재와 동일한 형상의 제2 밀폐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밀폐부재 내부에는 상기 제1 자석부재와 다른 극성의 제2 자석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견인부재는, 일단은 상기 제1 밀폐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상기 견인구를 통과해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구에 걸림 지지되어 와이어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filter support is installed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purified water tank to support the filtration module, and an opening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is installed in the opening. A pull hole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and the filtration module is fixed to the filter support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to accommodate the housing therein, and a lower surfac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discharge port. a jacket member through which the second outlet is formed; a split pipe extending or compress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jacket member; and a traction member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split pipe through the pull hole to the outside, wherein the split pipe is compressed and is made of a hollow elastic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pulled upward. A ring-shaped first sea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plit pipe, a first magnet member is embedded inside the first sealing member, and a first sealing member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ealing member is plac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2 sealing members are formed, and a second magnet member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magnet member is embedded inside the second sealing member, and the traction member has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sealing member and the other end free. A wire exposed to the outside passing through the pull hole in a single form; and a stopper that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wire and is caught by the traction ho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wire in one direction.

또, 상기 하우징에 실장된 필터를 교반시키는 교반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격판 및 커버의 중앙을 관통해 결합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인접한 격판 사이 공간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바; 및 상기 복수 개의 수평바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는 실리콘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tirring member for stirring the filter mounted in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the stirring member, a vertical bar coupl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aphragms and the center of the cover;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vertical bars and disposed in spaces between adjacent diaphragms; and a silicon brush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본 발명은 다단으로 적층된 필터층마다 압력차에 의한 수막현상으로, 원수가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원수의 흐름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원수가 필터의 전체적인 면적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교체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film phenomenon caused by a pressure difference for each multi-layered filter layer, which prevents raw water from passing smoothly to further improve the flowability of raw water and allow raw water to pass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filter,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filter. I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e and provides the effect of guaranteeing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by making it easier to replace the fil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요부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요부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여과모듈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여과모듈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요부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여과모듈을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natural filtration typ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a natural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a natural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disassembly configuration of the filtration module.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filtration module.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a natural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placing the filtration modu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members are sometime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이하, 정수기라 함)은 크게,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조(10), 상기 저수조(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정수탱크(20) 및 상기 정수탱크(20)에 내장되며 상기 저수조(10)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는 여과모듈(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A natural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ater purifier) to which an improved filt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largely located in a water storage tank 10 in which raw water is stor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10, as shown in FIGS. 1 to 5 It may be defined as including a combined water purification tank 20 and a filtration module 30 built in the water purification tank 20 and purify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torage tank 10.

상기 저수조(10)의 내부에 채워진 원수는 상기 여과모듈(30)을 통과하여 정수된 상태로 정수탱크(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정수탱크(20)에는 정수탱크(20) 내 정수된 음용수를 외부로 정량씩 배출시키기 위한 디스펜서가 설치될 수 있다.The raw water fill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0 may pass through the filtration module 30 and be stored in the purified water tank 20 in a purified state. Although not shown, the purified water tank 20 includes the purified water tank 20 ), a dispenser may be installed to discharge purified drinking water to the outside by a fixed amount.

저수조(10)와 정수탱크(20)의 내공간은 서로 이원화 되어 있으며, 여과모듈(30)을 통해서만 저수조(10)에 채워진 원수가 정수탱크(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The inner sp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water purification tank 20 is divided into two, and has a structure so that raw water fill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0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purification tank 20 only through the filtration module 30.

예컨대, 저수조(10)의 바닥면에는 원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소정 직경의 저수구(11)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정수탱크(20)의 상부는 개방 형성되어진 상태에서 저수조(10) 하부에 연결 결합되되 여과모듈(30)은 상기 저수조(10)와 정수탱크(20)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지지부(40) 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저수구(11) 직하방에 놓여 원수를 정수할 수 있다.For example, a water reservoir 11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for passing raw water may be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10,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20 is open and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10 is formed. The filtration module 30 is placed directly below the water inlet 11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filter support 40 installed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water purification tank 20 to purify raw water. can

이에, 저수조(10)에 채워진 원수는 여과모듈(30)을 향해 하부로 자유낙하한 뒤 여과모듈(30)에 의해 정수되어 취음 가능한 음용수로서 정수탱크(20)에 저장되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raw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10 may freely fall downward toward the filtration module 30 and then be purified by the filtration module 30 and stored in the purifying tank 20 as drinkable drinking water.

여과모듈(30)은 저수조(10)로부터 자유낙하하는 원수를 단계적으로 정수하여 유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filtration module 30 has a structure capable of more efficiently collecting harmful substances by purifying the raw water freely falling from the water tank 10 step by step.

예컨대, 여과모듈(3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면에는 제1 배출구(31a)가 형성되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31) 내부에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단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격판(32) 및 인접한 격판(32) 사이 공간에 실장되는 필터(3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ltration module 30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 housing 31 having a first discharge port 31a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multi-stage installation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vertically inside the housing 31.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 filter 33 mounted in a space between one diaphragm 32 and an adjacent diaphragm 32 .

하우징(31)의 내측 벽면에는 일정 높이마다 각각의 필터(3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미도시)이 형성되어 내부로 필터(33)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다.Support protrusion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31 to support each filter 33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filter 33 can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그리고, 격판(32)의 장착시 격판(32)를 항시 동일한 방향으로 안내하고, 또한, 격판(32)이 제자리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하우징(31)의 내측 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대(31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대(31b)는 복수 개가 등각도로 배열되어질 수 있다.And, when the diaphragm 32 is mounted, the diaphragm 32 is always guid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 guide bar 31b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31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iaphragm 32 does not rotate in place. may protrude. A plurality of guide stands 31b may be arranged at equal angles.

이와 상보적으로, 복수 개의 격판(32) 각각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대(31b)에 접속되는 가이드홈(32d)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Complementarily to this, a guide groove 32d connected to the guide base 31b may be recessed a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diaphragms 32 .

하우징(31) 내부로 복수 개의 격판(32)이 다단으로 장착되면 인접한 격판(32) 사이마다 필터장입실이 마련될 수 있고, 이 필터장입실 상에 각개의 필터(33)가 장입 설치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diaphragms 32 are mounted in multiple stages into the housing 31, a filter loading room may be provided between adjacent diaphragms 32, and each filter 33 may be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filter loading room. there is.

필터(33)는 원수를 음용 가능하게 정화시킬 수 있는 선에서 공지된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필터(33)는 물에 함유된 잔류염소와 같은 유기화합물 질과 각종 냄새를 흡착 제거하는 활성탄, 이온물질을 제거하는 제오라이트, 물맛을 향상시키고 청정도를 유지하기 위한 맥반석규사 또는 규사맥옥석, 냄새를 제거해서 일반세균 및 항균 작용을 하도록 일정 직경을 가지는 은입자 등에서 선택되어질 수 있다.The filter 33 may use a known means in line to purify the raw water to be drinkable. For example, the filter 33 may adsorb and remove organic compounds such as residual chlorine contained in water and various odors. , zeolite to remove ionic substances, elvan silica sand or silica cornice to improve water taste and maintain cleanliness, and silver particles having a certain diameter to remove odors to act as general bacteria and antibacterial.

각각의 격판(32)은 필터(33)를 하부에서 받쳐 지지하되, 원수가 통과하는 통과구(32a)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원수가 격판(32)과 필터(33) 모두를 무리 없이 통과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며, 나아가, 모든 필터(33)를 통과한 음용수는 하우징(31)의 제1 배출구(31a)를 통해 정수탱크(20)로 배출되어질 수 있다.Each diaphragm 32 supports the filter 33 from the lower portion, but a passage hole 32a through which raw water passes may be formed through. Accordingly, a structure is provided in which raw water can pass through both the diaphragm 32 and the filter 33 without difficulty, and furthermore, the drinking water that has passed all the filters 33 passes through the first outlet 31a of the housing 31. Through this, it can be discharged to the purified water tank 20.

한편, 각각의 필터장입실은 필터(33), 격판(32) 등에 의해 상대적 밀폐구조가 형성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구조로 인해, 내부가 쉽게 환기되지 못하고, 각각의 필터장입실마다 압력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filter loading room has a relatively closed structure formed by the filter 33 and the diaphragm 32, and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raw water flows in, the inside is not easily ventilated, and a pressure difference may occur in each filter loading room. can

전술한 역삼투압식 정수기의 경우, 원수를 강한 압력으로 압송하기 때문에, 필터(33) 또는 격판(32) 상에 수막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원수가 이를 파괴하고 쉽게 배출되어질 수 있지만, 자연여과식 정수기의 경우 원수를 자중에 의해서만 공급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원수의 공급 압력이 떨어지는 관계로, 수막이 발생하면 원수가 이를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유로가 막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the case of the reverse osmosis water purifier described above, raw water is pumped with strong pressure, so even if a water film phenomenon occurs on the filter 33 or the diaphragm 32, the raw water can be easily discharged by destroying it, but the natural filtration water purifier In this case, since the raw water is supplied only by its own weight, the supply pressure of the raw water is relatively lowered, so when a water film is generated, the raw water does not easily pass through it, and the flow path is clogged.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압력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격판(32)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 이격된 상면에는 상부로 압력유지돌기(32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력유지돌기(32b) 상에는 상하 방향으로 통기구(32c)가 관통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olve this pressure difference, a pressure holding protrusion 32b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eccentrically spaced from the center to one side of the diaphragm 32, and a vent is formed on the pressure holding protrusion 32b in a vertical direction ( 32c) has a structure through which it is formed.

즉, 압력유지돌기(32b)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장입실로 유입된 원수가 압력유지돌기(32b)의 상단 높이까지는 쉽게 차오르지 못해 통기구(32c) 상으로 유입되기 힘든 구조가 된다. 이에, 통기구(32c) 상으로는 공기만 통과하게 되어 각각의 필터장입실에 공기순환이 가능해져 압력차이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원수의 유로가 막히지 아니하고, 원수가 원활하게 배출되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pressure holding protrusion 32b protrudes at a certain height,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loading chamber cannot easily rise up to the upper end of the pressure holding protrusion 32b and is difficult to flow into the vent 32c. becomes Accordingly, only air passes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32c so that air can circulate in each filter loading chamber, effectively elimin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ly, the raw water flow path is not blocked and the raw water can be smoothly discharged.

필터(33)와 격판(32)은 하우징(31) 내부에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이룬다면 특별히 그 개수를 제한하지 않는다.The number of filters 33 and diaphragms 3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alternate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31 .

한편, 여과모듈(30)은 하우징(31)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어 원수를 확산해 낙하시키는 확산판(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ration module 30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 plate 34 mounted on the open top of the housing 31 to diffuse and fall the raw water.

확산판(34)에는 원수를 넓게 분배시키도록 분배구(34a)가 방사상으로 절개 형성될 수 있다.A distribution hole 34a may be radially formed in the diffusion plate 34 so as to widely distribute the raw water.

이에, 원수가 필터(33)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확산하여 접촉되어질 수 있다.Thus, the raw water can be diffused and contacted to the filter 33 over a wider area.

한편, 유해 물질 제거 효율을 고려해 하우징(31)의 하부에는 원수를 한 번 더 정화하는 보조필터(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저수구(11)에는 세라믹 필터(50)가 장착될 수도 있다.Meanwhile, an auxiliary filter 60 that purifies raw water once more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31 in consideration of harmful substance removal efficiency, and a ceramic filter 50 may be mounted at the water reservoir 11.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대비, 저수조(10)와 여과모듈(30)의 구조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In this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of parts identical or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r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There are differences, and we will focus only on these differences.

한편, 통상적인 자연여과식 정수기에서 필터(33)의 교체를 위해서는 적어도 저수조(10)에 있는 원수를 모두 배수한 뒤 교체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place the filter 33 in a typical natural filtration type water purifier, at least all of the raw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10 must be drained before the replacement work is performed.

필터(33)를 지지하는 하우징(31) 자체가 저수조(10)의 원수나 정수탱크(20)의 음용수 상에 그대로 침지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조(10)에 채워진 원수를 배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33)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경우 반드시 작업자의 손이니 기타 도구가 원수에 노출되어지는바, 이렇게 되면 원수의 오염은 물론이고 작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Since the housing 31 itself supporting the filter 33 is immersed as it is in the raw water of the water tank 10 or the drinking water of the purified water tank 20, the filter ( When performing the replacement work in 33), the operator's hands and other tools are exposed to the raw water, which does not guarantee workability as well as contamination of the raw water.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조(10)에 채워진 원수를 배수하지 않고서도 필터(33)를 청결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안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tructure is proposed to cleanly and easily replace the filter 33 without draining the raw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10.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저수조(10) 상단에는 개방구(12)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2)에는 상기 개방구(12)를 개폐하는 커버(13)가 설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n opening 12 may be openly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water storage tank 10 in this embodiment, and a cover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2 may be installed in the opening 12 .

즉, 커버(13)를 제거한 상태에서 개방된 개방구(12)로 사용된 필터(33)를 수용한 하우징(31)을 제거하거나, 반대로 새로운 필터(33)를 수용한 하우징(31)을 인입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cover 13 is removed, the housing 31 accommodating the filter 33 used as the opening 12 is removed, or, conversely, the housing 31 accommodating the new filter 33 is inserted. can make it

다시, 상기 개방구(12) 주변으로는 견인구(14)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견인구(14)로는 후술 될 견인부재(37)가 작동되어질 수 있다.Again, a pull hole 14 may be formed through the opening 12 . A traction member 37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operated as the traction port 14 .

다음으로, 여과모듈(30)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더해, 상기 필터지지부(40)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상기 하우징(31)을 수용하며, 하면에는 상기 제1 배출구(31a)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35a)가 관통 형성되는 자켓부재(35), 상기 자켓부재(35)의 상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되는 분할관(36) 및 상기 분할관(36)의 상단에서 상기 견인구(14)를 통과해 외부로 연장되는 견인부재(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ltration module 3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ilter support 40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to accommodate the housing 31 therein,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has a cylindrical shape. A jacket member 35 through which a second discharge port 35a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charge port 31a is formed through, a split pipe 36 extending or compress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jacket member 35, and the split pipe ( 36) may further include a traction member 37 exten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ction hole 14 at the upper end.

하우징(31)의 제1 배출구(31a)로 배출된 원수는 제2 배출구(35a)를 통해 정수탱크(20)로 유출되어질 수 있으며, 고정된 자켓부재(35) 상에 수용된 하우징(31)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부로 끌어 올려지는 구조가 된다.The raw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31a of the housing 31 may flow out to the purified water tank 20 through the second outlet 35a, and the housing 31 accommodated on the fixed jacket member 35 It becomes a structure that is pulled up to the top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상기 분할관(36)은 압축되어 있다가, 상부로 견인시 탄성 변형되는 탄성재질의 중공형태로 이루어져, 작업자에 의한 하우징(31)의 이동시 원수에 접촉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저수조(10)의 내공간을 이원화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plit pipe 36 is compressed and is made of a hollow elastic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pulled upward, so that when the housing 31 is moved by the operator, the water storage tank 10 can move without contacting raw water. It plays the role of dualizing the interior space of

즉, 자켓부재(35) 상에 고정된 분할관(36)의 상단을 부로 견인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분할관(36)이 상부로 신장하면서 분할관(36) 내부로 통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통로는 저수조(10)의 내공간과 구획되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upper end of the split pipe 36 fixed on the jacket member 35 is pulled upward, the compressed split pipe 36 extends upward to form a passage into the split pipe 36, The passage thus formed may be partition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10 .

한편, 분할관(36)은 탄성재질 중공형 관형태 외에도, 공지된 자바라관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lit pipe 36 may be made of a structure of a known bellows pipe type in addition to the hollow tubular shap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분할관(36)의 상단 둘레에는 링 형태의 제1 밀폐부재(38)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밀폐부재(38)의 내부에는 제1 자석부재(38a)가 내장될 수 있다.A ring-shaped first sealing member 38 is coupled to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split pipe 36, and a first magnet member 38a may be embedded in the first sealing member 38.

그리고, 상기 저수조(10)의 상단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밀폐부재(38)와 동일한 형상의 제2 밀폐부재(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밀폐부재(15) 내부에는 상기 제1 자석부재(38a)와 다른 극성의 제2 자석부재(16)가 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sealing member 15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ealing member 38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first magnet member 15 is inside the second sealing member 15. A second magnet member 16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38a) may be incorporated.

이에, 제2 밀폐부재(15) 상에 제1 밀폐부재(38)가 접촉되게끔 분할관(36)을 상부로 신장시키게 되면 제1 자석부재(38a)와 제2 자석부재(16)의 흡착력에 의해 제1 밀폐부재(38)와 제2 밀폐부재(15)가 기밀하게 흡착 고정되고 이에, 분할관(36)의 신장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plit pipe 36 is extended upward so that the first sealing member 3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ealing member 15, the adsorption force of the first magnet member 38a and the second magnet member 16 As a result, the first sealing member 38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15 are adsorbed and fixed airtightly, and thus, the elongation state of the split pipe 36 can be maintained.

따라서, 작업자는 분할관(36)을 별도 고정시킬 필요 없이 분할관(36) 내부 통로로 하우징(31)을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대폭 개선되며, 분할관(36) 내부 통로와 저수조(10) 내공간을 서로 보다 확실하게 구획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저수조(10)의 원수가 분할관(36) 내부 통로로 유입되지 않는 밀폐구조가 갖춰지게 된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move the housing 31 to the inner passage of the divided pipe 36 without needing to separately fix the divided pipe 36, and workability is greatly improved, and the inner passage of the divided pipe 36 and the water tank ( 10) The inner space can be more reliably partitioned, so that the raw water of the water storage tank 10 does not flow into the inner passage of the divided pipe 36.

다음으로, 견인부재(37)는 저수조(10) 내부에 위치한 분할관(36)의 신장 조작을 위해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며, 작업자는 견인구(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견인부재(37)를 손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분할관(36)을 신장시킬 수 있다.Next, the traction member 37 is a means for the operator to grip by hand for the extension operation of the split pipe 36 located inside the water tank 10, and the operato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ction port 14. The split pipe 36 can be extended by pulling the traction member 37 by hand.

예컨대, 견인부재(37)는 일단은 상기 제1 밀폐부재(38)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상기 견인구(14)를 통과해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37a) 및 상기 와이어(37a)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구(14)에 걸림 지지되어 와이어(37a)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37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ction member 37 has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sealing member 38 and the other end having a free end through the traction port 14 and a wire 37a and the wire 37a exposed to the outside. )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 stopper 37b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pulley 14 to limit the one-way movement of the wire 37a.

이에, 작업자가 와이어(37a)를 손에서 놓더라도, 상기 스톱퍼(37b)가 견인구(14) 상에 걸려 와이어(37a)가 저수조(10) 내부로 완전히 빨려 들어가지 아니하는 구조가 갖춰진다.Accordingly, even if the operator releases the wire 37a from his/her hand, the stopper 37b is caught on the hauler 14 so that the wire 37a is not completely sucked into the water tank 10.

한편, 필터(33)는 대체적으로, 적정 입도를 가지는 구조, 예컨대, 활성탄, 제오라이트, 맥반석규사, 규사맥옥석, 은입자 등으로 이루어진바, 표면에 스케일이 고착되거나 또는 사이 사이마다 각종 이물질이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33 is generally made of a structure having an appropriate particle size, for example, activated carbon, zeolite, elvan silica sand, silica cornite, silver particles, etc., so that scales are adhered to the surface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are discharged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become and remains.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1)에 실장된 필터(33)를 교반시키는 교반부재(70)를 이용해 필터(33)를 적절히 교반시킴으로써 각종 스케일이나 이물질 등이 원수와 함께 하우징(31) 내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properly stirring the filter 33 using an agitating member 70 for agitating the filter 33 mounted on the housing 31, various scales, foreign substances, etc. are removed from the housing 31 together with the raw water.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it to be discharged.

보다 구체적으로, 교반부재(70)는 상기 복수 개의 격판(32) 및 커버(13)의 중앙을 관통해 결합되는 수직바(71), 상기 수직바(71)에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인접한 격판(32) 사이 공간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바(72) 및 상기 복수 개의 수평바(72)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는 실리콘브러쉬(7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tirring member 70 is a vertical bar 71 coup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diaphragms 32 and the cover 13, radially extending outward from the vertical bar 71,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72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adjacent partition plates 32 and a silicon brush 73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72 .

수직바(71)의 상단은 커버(13)를 관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된 상단에는 손잡이(7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An upper end of the vertical bar 71 may pass through the cover 13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handle 7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xposed upper end.

수평바(72)는 필터(33) 내부를 파고들어 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바(72)에 형성된 실리콘브러쉬(73)는 필터(33)에 상처를 가하지 않는 선에서 필터(33)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다.The horizontal bar 72 has a structure that digs into the inside of the filter 33, and the silicon brush 73 formed on the horizontal bar 72 burns the filter 33 in a line that does not damage the filter 33. are sexually contacted.

이에, 필터(33)의 청소를 위해 작업자가 수직바(71)의 손잡이(74)를 잡고 회전력을 가하면 각각의 필터장입실에서 수평바(72)가 회전하면서 필터(33)를 교반시키게 되며, 이때 실리콘브러쉬(73)가 필터(33)에 고착된 각종 스케일을 필터(33) 표면으로부터 탈리시키게 되어, 하우징(31) 외측으로 배출되어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worker holds the handle 74 of the vertical bar 71 and applies rotational force to clean the filter 33, the horizontal bar 72 rotates in each filter loading room to agitate the filter 33, At this time, the silicon brush 73 detaches various scales adhered to the filter 33 from the surface of the filter 33, so that they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1.

이후, 작업자는 교반부재(70)의 조작 후 저수조(10) 내지 정수탱크(20)에 저장된 음용수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스케일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저수조(10)에 새 원수를 채워 넣는다.Thereafter, the operator completely removes the drink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0 or the purified water tank 20 after manipulating the stirring member 70 to discharge scale and foreign substances to the outside and fills the water tank 10 with new raw water.

이와 같이, 필터(33)의 청소시 불필요하게 필터(33)를 외부로 분리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필터(33)를 정기적으로 청소해주게 되면 필터(33)의 수명이 대폭 연장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cleaning the filter 33, the clea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imply without removing the filter 33 to the outside unnecessarily, and furthermore, if the filter 33 is cleaned regularly, the The effect of significantly extending the lifespan can also be expected.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정수기에서 필터(33)를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replacing the filter 33 in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37a)의 타단을 상부로 견인하여 분할관(36)을 신장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7 , the operator pulls the other end of the exposed wire 37a upward to extend the split pipe 36 .

이때, 분할관(36)이 더 이상 상부로 신장될 수 없는 높이에서 제1 밀폐부재(38)와 제2 밀폐부재(15)가 서로 흡착 고정되지면 분할관(36)의 내부 통로가 저수조(10)의 내공간과 완전히 분할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sealing member 38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15 are adsorbed and fixed to each other at a height at which the divided pipe 36 can no longer extend upward, the internal passage of the divided pipe 36 becomes a water storage tank ( 10) and the inner space are completely divided.

이때, 저수조(10)에는 원수가 채워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분할관(36)의 통로 역시 원수가 그대로 자리잡고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water tank 10 is filled with raw water, the passage of the split pipe 36 is also positioned as it is.

다시, 저수조(10)의 내공간과 분할관(36)의 통로가 완전히 분할 구성되었으면, 작업자는 디스펜서를 조작해 음용수를 적정 량 배수하게 되면 정수탱크(20) 내의 음용수가 외부로 배수되면서 분할관(36)의 통로에 채워진 원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Again, if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passage of the split pipe 36 are completely divided,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dispenser to drain an appropriate amount of drinking water. The water level of the raw water filled in the passage of (36) is lowered.

이때, 분할관(36)에 의해 저수조(10)의 내공간과 분할관(36) 내의 통로가 서로 이원화되어 저수조(10)의 원수가 분할관(36)의 내부로 유입되지 아니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passage within the divided pipe 36 are divided into two by the split pipe 36, so that raw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10 does not flow into the split pipe 3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관(36)을 손이나 기타 도구로 잡아 올릴 수 있을 정도의 높이까지 수위가 내려가면 작업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켓부재(35) 상에서 하우징(31)을 상부로 들어 올려 분할관(36)의 통로 및 개방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하우징(31) 내부에 새로운 필터(33)를 장입한 뒤 다시 이 하우징(31)을 자켓부재(35) 내부로 결합한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water level goes down to a level at which the split tube 36 can be lifted up by hand or other tools, the operator removes the housing 31 on the jacket member 35 as shown in FIG. 9. Lift it up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ssage of the split pipe 36 and the opening 12, insert a new filter 33 into the housing 31, and then place the housing 31 back into the jacket member 35 ) is combined internally.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2 밀폐부재(15)에 흡착 고정된 제1 밀폐부재(38)를 손으로 살짝 밀어 제2 밀폐부재(15)로부터 이격시키면 분할관(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분할관(36)이 압축되고 저수조(10)에 채워졌던 원수가 다시 여과모듈(30)로 유입되어질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0, the operator slightly pushes the first sealing member 38 adsorbed and fixed to the second sealing member 15 by hand to separate it from the second sealing member 15. The split pipe 36 is compres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raw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10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module 30 again.

즉, 필터(33)의 교체시 저수조(10)에 채워진 물을 모두 배출시키지 않고서도, 작업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원수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저수조(10)에 채워진 원수가 외부요인에 노출되지 아니하여, 불필요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필터(33) 교체 작업이 보다 간소화되어 작업성이 대폭 개선되어진다.That is, when replacing the filter 33, the operation is possible without discharging all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10, so that unnecessary waste of raw water is prevented and the raw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10 is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Since it is not exposed, unnecessary contamination can be prevent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lter 33 replacement work is more simplified and workability is greatly improv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저수조
20: 정수탱크
30: 여과모듈
31: 하우징
32: 격판
33: 필터
34: 확산판
10: water tank
20: purified water tank
30: filtration module
31: housing
32: Fight
33: filter
34: diffusion plate

Claims (5)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정수탱크 및 상기 정수탱크에 내장되며 상기 저수조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는 여과모듈을 포함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모듈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면에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단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격판; 및
인접한 격판 사이 공간에 실장되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격판 각각에는 원수가 통과하는 통과구가 관통 형성되며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 이격된 상면에는 상부로 압력유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력유지돌기 상에는 상하 방향으로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A natural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to which an improved filtering system is applied, including a water tank for storing raw water, a water purification tank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and a filtration module built in the water purification tank and purify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he filtration module,
A housing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first discharge port formed on a lower surface;
a plurality of diaphragms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vertically inside the housing; and
A filter mounted in the space between adjacent diaphragms; includes,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iaphragms, a passage through which raw water passes is formed, and a pressure holding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upper surface eccentrically spaced from the center to one side, and a vent is formed on the pressure holding protrusion in a vertic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natural filter water purifier with an improved filtering system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격판 각각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대에 접속되는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 natural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with an improved filt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rod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groove connected to the guide rod is recessed a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diaphragm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어 원수를 확산해 낙하시키는 확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filtration module,
A natural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with an improved filt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ffusion plate mounted on the open top of the housing to diffuse and fall the raw wat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와 정수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모듈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의 상단에는 개방구가 개방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에는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개방구 주변으로는 견인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필터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며, 하면에는 상기 제1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자켓부재;
상기 자켓부재의 상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되는 분할관; 및
상기 분할관의 상단에서 상기 견인구를 통과해 외부로 연장되는 견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관은 압축되어 있다가, 상부로 견인시 탄성 변형되는 탄성재질의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할관의 상단 둘레에는 링 형태의 제1 밀폐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밀폐부재의 내부에는 제1 자석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저수조의 상단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밀폐부재와 동일한 형상의 제2 밀폐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밀폐부재 내부에는 상기 제1 자석부재와 다른 극성의 제2 자석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견인부재는,
일단은 상기 제1 밀폐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상기 견인구를 통과해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구에 걸림 지지되어 와이어의 일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A filter support unit installed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purified water tank to support the filtration module;
An opening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is installed in the opening, and a pull hole is formed through the opening around the opening,
The filtration module,
a jacket member fixedly installed on the filter support,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accommodating the housing therein, and having a secon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let through a lower surface thereof;
a split pipe extending or compress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jacket member; and
A tract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plit pipe through the traction port to the outside; includes,
The split pipe is made of a hollow elastic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pulled upward after being compressed, and a ring-shaped first sea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plit pipe, and the inside of the first sealing member A first magnet member is built in, and a second sealing member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ealing memb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and a second sealing member having a polar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magnet member is formed inside the second sealing member. 2 The magnet member is built-in,
The traction member,
a wire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sealing member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outside passing through the pull hole in the form of a free end; and
A natural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with an improved filtering system comprising a; stopper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wire and held by the pull ho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wire in one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실장된 필터를 교반시키는 교반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격판 및 커버의 중앙을 관통해 결합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에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인접한 격판 사이 공간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바; 및
상기 복수 개의 수평바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는 실리콘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필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자연여과식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stirring member for stirring the filter mounted in the housing,
The stirring member,
a vertical bar coup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diaphragms and the cover;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vertical bars and disposed in spaces between adjacent diaphragms; and
A natural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with an improved filtering system comprising: a silicon brush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KR1020210124296A 2021-09-16 2021-09-16 Natural filtering purifier with improved filtering system KR1026521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296A KR102652172B1 (en) 2021-09-16 2021-09-16 Natural filtering purifier with improved filte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296A KR102652172B1 (en) 2021-09-16 2021-09-16 Natural filtering purifier with improved filte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776A true KR20230040776A (en) 2023-03-23
KR102652172B1 KR102652172B1 (en) 2024-03-27

Family

ID=8579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296A KR102652172B1 (en) 2021-09-16 2021-09-16 Natural filtering purifier with improved filte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17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200Y1 (en) * 2004-12-29 2005-03-29 최강수 The change making machinery of yellow earth water
KR20050046076A (en) * 2003-11-13 2005-05-18 정영옥 Non-motorized sand filtering apparatus
KR20110001490U (en) 2009-08-05 2011-0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Double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type natural filtering purifier
KR20180115155A (en) * 2017-04-12 2018-10-22 김길재 upward flow filter with dispersion unit and bubble dispersion unit suitable nature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fi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076A (en) * 2003-11-13 2005-05-18 정영옥 Non-motorized sand filtering apparatus
KR200380200Y1 (en) * 2004-12-29 2005-03-29 최강수 The change making machinery of yellow earth water
KR20110001490U (en) 2009-08-05 2011-02-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Double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type natural filtering purifier
KR20180115155A (en) * 2017-04-12 2018-10-22 김길재 upward flow filter with dispersion unit and bubble dispersion unit suitable nature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172B1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496B1 (en) Water tank with clean water treatment apparatus
PL212324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CN1167734A (en) Water purifier
CN112707578B (en) Domestic sewage treatment device
KR101391233B1 (en) A purification system for water pool
KR100928151B1 (en) Aquarium filtration system equipped with
CN105417755A (en) Domestic water purifier
KR20230040776A (en) Natural filtering purifier with improved filtering system
KR102327425B1 (en) Adsorption complex filter for running water partially interchangeable
KR101298691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aquarium
JP6243822B2 (en)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filter
RU68348U1 (en) FILTER MATERIAL AND BACTERICIDAL DEVICE
KR101010365B1 (en) Filtering apparatus for valley water
JP2008296104A (en) Pressure filtration method and pressure filtration apparatus
CN209307162U (en) A kind of Small-scale Landscape Water Bodies biochemical treatment system
CN211078744U (en) Restaurant wastewater treatment device
KR20050022499A (en) Aquarium having means for cleaning air
RU108317U1 (en) HOUSEHOLD FILTER FOR CLEANING WATER
KR101266959B1 (en) Sea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101106546B1 (en) A pond 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CN210711102U (en) Self-cleaning disinfection device for water tank
CN211170243U (en) Domestic sewage treatment device convenient to clean
CN215288352U (en) A environment-friendly effluent treatment plant for processing of concrete processing auxiliary agent
CN216106453U (en) Pure water treatment equipment
CN214781340U (en) Novel high-efficient domestic sewage purifies gro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