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250A - Multi-web Reinforcing Beam, Pile using such Reinforc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Google Patents
Multi-web Reinforcing Beam, Pile using such Reinforc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0250A KR20230040250A KR1020220034143A KR20220034143A KR20230040250A KR 20230040250 A KR20230040250 A KR 20230040250A KR 1020220034143 A KR1020220034143 A KR 1020220034143A KR 20220034143 A KR20220034143 A KR 20220034143A KR 20230040250 A KR20230040250 A KR 202300402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ms
- web
- reinforcing beam
- standard
-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78 shot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163 sequencing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적 강성이 크게 보강된 구성을 가지면서도 규격 H 형강 빔과 쉽게 결합하여 연속화될 수 있는 멀티웨브(Multi-web) 보강빔과, 이를 이용한 복합 엄지말뚝과, 이러한 복합 엄지말뚝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흙막이 구조물과, 이러한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web reinforcing beam tha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a standard H-beam and continuous while having a configuration with greatly reinforced structural rigidity, a composite thumb pile using the same, and a composite thumb pile using the It is about a retaining structure to be buil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such a retaining structure.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복수개의 웨브(Multi-web)를 가지는 박스(box) 형태의 종방향 단면을 가지게 되어 횡방향 휨 강성, 전단 강성, 압축 강성 등의 구조적 강성이 크게 보강됨으로써 횡방향 좌굴에 대한 저항성뿐만 아니라 휨, 전단, 압축 등에 대한 큰 저항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시판되고 있는 규격 H 형강 빔과도 쉽게 일체로 결합되어 연속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멀티웨브 보강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멀티웨브 보강빔과 규격 H 형강 빔의 일체 연속화에 의해 만들어지는 복합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하여 시공 구축되는 흙막이 구조물, 그리고 이러한 흙막이 구조물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x-shaped longitudinal cross section with a plurality of webs (Multi-web), so that structural stiffness such as transverse bending stiffness, shear stiffness, and compression stiffness is greatly reinforced, thereby preventing lateral buckling. It relates to a multi-web reinforcing beam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standard H-shaped steel beam and continuous, while having great resistance to bending, shear, compression, etc. as well as resistance to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thumb pile made by integrating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and the standard H-shaped steel beam, a retaining structure constructed using the same,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 retaining structure.
상,하부의 2개 플랜지와 1개의 웨브를 가지고 있어서 종방향의 단면 형상이 영문자 H자 모양을 가지면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재 빔은 토류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엄지말뚝뿐만 아니라, CIP공법(Cast in Place prepacked pile)을 이용한 흙막이벽(흙막이 구조물), SCW(Soil Cement Wall) 공법에 의한 흙막이벽, 슬러리 월(Slurry Wall) 등의 흙막이 구조물을 포함한 다양한 토목, 건축 구조물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영문자 H자 모양을 가지는 빔은 공장에서 사전에 정해진 규격에 따라 정해진 단면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되어 시판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이 종방향으로 영문자 H자 단면 모양을 가지며 공장에서 사전에 정해진 규격에 따라 정해진 단면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되어 시판되는 강재 빔을 "규격 H 형강 빔"이라고 기재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하부의 2개 플랜지와 1개의 웨브를 가지고 있되 종방향 단면형상이 한글 자모 ㄷ자로 이루어진 강재 빔의 경우에는 "ㄷ 형강 빔"이라고 기재한다. 아울러 이러한 규격 H 형강 빔과 ㄷ 형강 빔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이와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 중에서 웨브(web) 넓이 방향을 "제1횡방향"이라고 기재하며, 종방향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또다른 방향 즉, 플랜지가 확장되는 플랜지의 넓이 방향(흙막이 구조물의 경우 그 폭방향)을 "제2횡방향"이라고 기재한다. It has two upper and lower flanges and one web, so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n English letter H shape and the longitudinally extended steel beam is not only the thumb pile of the retaining structure using the earth plate, but also the CIP method ( It is used in various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structures, including retaining walls (retaining structures) using cast in place prepacked piles, retaining walls using the SCW (Soil Cement Wall) method, and retaining structures such as slurry walls. In general, such a beam having the shape of the English letter H is manufactured in a factory in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ize and shap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is marketed. In this specification, a steel beam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etter 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nufactured in a factory in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size and shap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sold on the market is referred to as a "standard H-beam". 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e case of a steel beam having two upper and lower flanges and one web, but hav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consisting of a Korean letter U, it is described as a "c-shaped beam". 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se standard H-beam beams and C-beam beams extend is described as "longitudinal direction", and among the directions orthogonal to this standard, the web width direction is described as "first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other direction orthogonal to and horizontally, that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ange in which the flange extends (the width direction in the case of retaining structures) is referred to as a "second transverse direction".
규격 H 형강 빔을 사용함에 있어서 종방향으로 특정 구간에 대해서만 빔의 단면강성을 보강해야 할 경우가 종종 발행한다. 예를 들어 규격 H 형강 빔을 흙막이 구조물의 엄지말뚝으로 사용하는 경우, 흙막이 말뚝을 향하여 제1횡방향으로 엄지말뚝에 작용하는 배면토압의 크기는 지반의 깊이에 따라 종방향으로 일정하지 않다. 지반의 깊이에 따라 종방향으로 엄지말뚝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종방향으로 일정한 종방향 단면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을 엄지말뚝으로 사용할 경우, 배면토압이 크게 작용하는 영역에서는 제1횡방향의 휨 좌굴 발생 등과 같은 구조적인 안정성을 해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배면토압이 작은 영역에서는 과대 설계에 따른 고가의 자재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When using a standard H-beam, it is often necessary to reinforce the cross-sectional stiffness of the beam only for a specific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when a standard H-shaped steel beam is used as a thumb pile for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the magnitude of the back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thumb pile in the first transverse direction toward the earth retaining pile is not consta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ground. Although the load acting on the thumb pi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ground, when a standard H-shaped steel beam having a constant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and size is used as a thumb pile, the area where the backside earth pressure acts greatly In the first transverse direction, a phenomenon that impairs structural stability, such as bending buckling, may occur, and conversely, in the area where the back earth pressure is sm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expensive materials are wasted due to excessive desig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큰 구조적 강성이 요구되는 영역에만 종방향 단면크기를 키운 형태의 빔을 배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즉, 큰 구조적 강성이 요구되는 영역에서는 단면크기를 증가시킨 보강용 빔을 배치하고, 보강용 빔의 일단 또는 양단에 H형 단면 모양의 강재 빔을 연속 결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2956호에 그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 method of arranging a beam hav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ize increased only in an area requiring high structural rigidity has been proposed. That is, in an area where high structural rigidity is required, a method of arranging a reinforcing beam having an increased cross-sectional size and continuously coupling steel beams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to one or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eam is proposed. An example thereof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2956.
그런데 종래 기술처럼 큰 구조적 강성이 요구되는 영역에서만 종방향 단면크기를 키운 보강용 빔을 배치하는 경우, 강성 보강이 요구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는 규격 H 형강 빔과 보강용 빔 간의 일체 결합이 용이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시판되는 규격 H 형강 빔은 사전에 정해진 규격에 맞추어서 동일한 단면 크기와 두께를 가진 채 공장 생산되어 시판된다. 따라서 동일한 단면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을 종방향으로 서로 일체화시킬 때에는 양측 규격 H 형강 빔의 웨브 및 플랜지에 이음판이 동시에 밀착되도록 겹치게 덧댄 후 용접하거나 볼팅(bolting)하는 작업을 통해서 신속하게 그리고 쉽게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규격 H 형강 빔과 상이한 단면크기 또는 형상을 가지는 보강용 빔을 연속화시킬 경우, 그 단면크기 및 단면형상에서의 차이로 인하여, 위에서 언급한 이음판의 겹침 배치를 이용한 간단한 연결작업을 이용할 수 없으며, 단면형상 및 크기 차이에 맞도록 특별히 제작된 별도의 고유한 연결장치를 이용할 수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번거로운 추가 작업이 필요하고 특별한 연결장치의 별도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rranging a reinforcing beam with an increased longitudinal section size only in an area where high structural rigidity is required, as in the prior art, it is not easy to combine the standard H-shaped steel beam and the reinforcing beam in an area where rigidity reinforcement is not required. There is a limit that no Commercially available standard H-beams are factory-produced and marketed with the same cross-sectional size and thickness in accordance with predetermined standards. Therefore, when integrating standard H-beam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ize and shape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verlap the joint plates so that the joint plat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bs and flanges of both standard H-beams at the same time, and then weld or bolt quickly. And you can easily connect. However, when a reinforcing beam having a cross-sectional size or shape different from the standard H-beam is serialized, due to the difference in cross-sectional size and cross-sectional shape, the simple connection work using the overlapping arrangement of the joint plates mentioned above cannot be used. , there is no choice but to use a separate unique connection device specially manufactured to fit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size difference, which requires cumbersome additional work and requires more time and cost due to the separate production of a special connection device. .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규격 H 형강 빔을 흙막이 구조물의 엄지말뚝 등과 같이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사용함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큰 강성과 성능이 요구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그에 맞추어서 더욱 강화된 구조적 강성 및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보강빔을 배치하여 상기 보강빔의 양단 또는 일단에 규격 H 형강 빔이 일체로 결합되어 연속화되도록 하되, 동일한 단면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을 서로 일체화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보강빔과 규격 H 형강 빔의 웨브 및 플랜지에 이음판을 동시에 밀착되도록 덧대어서 용접하거나 볼팅하는 등의 일반적인 "간편 빔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보강빔과 규격 H 형강 빔을 일체화시킬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n using standard H-shaped steel beams for various purposes and uses, such as thumb piles of earth retaining structures, in areas requiring structurally high stiffness and performance, Accordingly, reinforcing beams capable of exhibiting enhanced structural rigidity and performance are arranged so that standard H-beams are integrally coupled to both ends or one end of the reinforcing beam to be continuous, but standard H-beam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ize and shape As in the case of integrating the reinforcing beam and the standard H-shaped steel beam, using a general "simple beam coupling method" such as welding or bolting by attaching the joint plate to the web and flange of the reinforcing beam and standard H-shaped steel beam at the same tim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makes it possible to integrate.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진 메인 빔과 종방향 양단 또는 일단에서 일체로 결합되는 멀티웨브 보강빔으로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본체 빔으로 이루어지고 본체 빔의 웨브가 서로 마주하도록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진 본체와; 메인 빔과의 연결을 위하여 메인 빔과 동일한 단면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의 종방향 일단 또는 양단에 일체 결합되는 단부연결체를 포함하며; 단부연결체의 플랜지는, 본체와 결합되는 단부측은 플랜지의 폭이 축소되어 있는 협폭 플랜지부로 이루어져 있고 메인 빔과 결합되는 단부측은 플랜지의 폭이 축소되지 않은 정상 플랜지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의 단부에서 2개의 본체 빔 사이에는 협폭 플랜지부와 동일한 폭의 간격이 존재하여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협폭 플랜지부가 삽입공간에 끼워져서 단부연결체의 플랜지 두께 부분이 본체 빔에 밀착된 상태에서 밀착된 부분이 접합되어 단부연결체와 본체가 일체화된 구성을 이루게 됨으로써; 복수개의 웨브를 가지게 되어 보강된 단면강성을 가지게 됨과 동시에, 구조적 강성이 증가하게 되고, 동일한 단면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 간의 결합에 의해 종방향 단부에서 메인 빔과 일체로 연속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브 보강빔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eam made of a standard H-shaped steel beam and a multi-web reinforcing beam integrally coupled at both ends or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sisting of two body beam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body beam a main body formed by arranging the webs side by side at intervals so as to face each other; For connection with the main beam, it is made of a standard H-shaped steel beam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ize and shape as the main beam, and includes an end connector integrally coupled to one o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flange of the end connecting body is composed of a narrow flange portion with a reduced flange width at the end side coupled to the body, and a normal flange portion with an unreduced flange width at the end side coupled with the main beam; Between the two body beams at the end of the body, there is a gap of the same width as the narrow flange portion to form an insertion space; The narrow flang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the flange thickness portion of the end connect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beam, and the close portion is joined to form an integrated configuration of the end connector and the body; By having a plurality of webs, it has reinforced cross-sectional rigidity, and at the same time, structural rigidity is increased, and by coupling between standard H-shaped steel beam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ize and shape, it can be integrally continued with the main beam at the longitudinal end A multi-web reinforcing beam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멀티웨브 보강빔과 메인 빔이 일체로 결합되어 연속화된 복합 엄지말뚝이 제공되며, 더 나아가 이러한 복합 엄지말뚝을 이용하여 구축되는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and the main beam are integrally combined to provide a continuous composite thumb pile, and furthermore, a retaining structure built using these composite thumb pile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은,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진 메인 빔과 일체로 결합되어 연속화됨에 있어서, 동일한 단면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을 서로 일체화시킬 때 적용되었던 종래의 일반적인 빔 결합방식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멀티웨브 보강빔과 규격 H 형강 빔을 일체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킬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현장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고 공기를 단축시키며 공사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combined with a main beam made of standard H-shaped steel beams and is continuous. The method can be applied as i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combine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and the standard H-shaped steel beam integrally and continuously in the field,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field work, shortening the period and greatl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The effect of what can be done is exerted.
특히 흙막이 구조물을 위한 엄지말뚝을 설치함에 있어서, 배면토압이 크게 작용하는 구간에만 본 발명의 멀티웨브 보강빔을 설치하고, 배면토압이 작은 구간에서는 규격 H 형강 빔을 이용하는 형태로 복합적인 구조를 가지는 "복합 엄지말뚝"의 형태를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복합 엄지말뚝을 흙막이 구조물에 사용하게 되면 흙막이 구조물의 제2횡방향으로 복합 엄지말뚝의 설치 간격을 크게 하거나 또는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시공효율성을 높이고 시공자재를 절감하며 시공비와 시공기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더욱 경제적인 시공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In particular, in installing thumb piles for earth retaining structures,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ly in the section where the back earth pressure is high, and the standard H-shaped steel beam is used in the section where the back earth pressure is low. It is possible to make the shape of a "composite thumb pile", and when such a composite thumb pile is used in a retain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stallation interval or reduce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composite thumb pile in the second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etaining structur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construction efficiency, reduce construction materials, reduc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and thus exhibit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more economical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웨브 보강빔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멀티웨브 보강빔에 대한 제1횡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2개의 ㄷ 형강 빔 사이에 간격조정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도 4의 상태에 후속하여 간격조정 부재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의 종방향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다른 멀티웨브 보강빔의 종방향 단부에 메인 빔을 일체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키는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속화 작업에 의해 멀티웨브 보강빔과 메인 빔이 일체로 연속화된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멀티웨브 보강빔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의 (a) 내지 (c)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의 종방향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2개의 ㄷ 형강 빔 사이에 간격조정 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2의 상태에 후속하여 간격조정 부재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멀티웨브 보강빔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의 (a) 내지 (c)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의 종방향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일예에서 복합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이 끼워지는 부분만을 발췌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또다른 일예로서 복합 엄지말뚝의 제2횡방향 양측에 숏크리트 벽체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발췌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또다른 실시예예에 대한 도 1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또다른 일예에 대한 도 1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각각 지중공 내에 본 발명의 복합 엄지말뚝이 삽입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web reinforcing be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of FIG. 2 in a first transverse direction.
Figure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spacing adjustment member between two c-shaped beams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to 3.
Figure 5 (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of the distance adjusting member is completed following the state of Figure 4 assembly.
Figure 5 (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ure 5 (a).
6 (a) to (c) are schematic longitudinal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main beam is integrally coupled to a longitudinal end of a multi-web reinforcing be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ialized.
8 is a schematic assembling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multi-web reinforcing beam and a main beam are integrally continuous by the sequencing operation shown in FIG. 7 .
9 is a schematic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web reinforcing be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shown in Figure 9;
11 (a) to (c) are schematic longitudinal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multi-web reinforcing be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ure 1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spacing adjustment member between two c-beams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ures 9 to 11.
Figure 13 (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of the spacing adjustment member is completed following the state of Figure 12.
Figure 13 (b)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ure 13 (a).
14 is a schematic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web reinforcing bea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shown in Figure 14;
16 (a) to (c) are schematic longitudinal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multi-web reinforcing bea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17 is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the part where the soil plate is inserted between the composite thumb piles in one example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in which shotcrete wall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omposite thumb pile as another example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17 of another embodiment of a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18 of another example of a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and 2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at the composite thumb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and arranged in the underground hole,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described as one embodiment, and there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의 멀티웨브 보강빔(100)에 대한 제1횡방향으로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rst, the multi-web reinforcing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멀티웨브 보강빔(100)은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2개의 본체 빔(11, 12)으로 이루어진 본체(1)와,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지고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종방향 일단 또는 양단에서 본체(1)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단부연결체(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체(1)의 종방향 일단에만 단부연결체(2)가 결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종방향 양단에 각각 후술하는 메인 빔(200)이 일체 결합되어 연속되는 경우에는, 본체(1)의 종방향 양단 모두에 동일한 구성의 단부연결체(2)가 각각 일체로 결합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서 단부연결체(2)는 필요에 따라 본체(1)의 종방향 일단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본체(1)의 종방향 양단 모두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multi-web reinforcing
본체(1)는 2개의 본체 빔(11, 12)이 제2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되 웨브(13)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본체 빔(11, 12) 각각은 웨브(13)와 플랜지(14)로 이루어져 종방향 단면형상이 한글 자모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는 "ㄷ 형강 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도 1 내지 도 3의 제1실시예에서는 2개의 ㄷ 형강 빔은 플랜지(14)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본체(1)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본체 빔(11, 12)에 해당하는 2개의 ㄷ 형강 빔에 의해 본체(1)가 이루어지되, 플랜지(14)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웨브(13)가 서로 마주하여 배치됨으로써 본체(1)를 이루는 것이다. The
2개의 본체 빔(11, 12)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본체(1)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체 빔(11, 12) 사이의 제2횡방향 간격을 사전에 정한 길이 맞춰서 일정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간격조정 부재(8)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2개의 ㄷ 형강 빔 사이에 간격조정 부재(8)를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a)에는 도 4의 상태에 후속하여 간격조정 부재(8)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의 (b)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In forming the
도 4 그리고 도 5의 (a) 및 (b)에 예시된 것처럼, 간격조정 부재(8)는 제2횡방향으로 연장된 봉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그 양단에는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다. 간격조정 부재(8)가 끼워지는 위치에서 2개의 ㄷ 형강 빔 각각에는 간격조정 부재(8)의 단부가 관통하는 관통공(8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ㄷ 형강 빔 사이의 제2방향 간격에 간격조정 부재(8)가 위치하면서 2개의 ㄷ 형강 빔의 관통공(80)에 간격조정 부재(8)의 단부가 관통하게 되는데, 관통공(80)의 앞,뒤에는 고정 나사(81)가 각각 위치하여 간격조정 부재(8)의 단부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고정 나사(8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2개의 ㄷ 형강 빔 사이의 제2방향 간격을 원하는 정도로 제어하여 설계된 크기가 되도록 정밀하게 맞추어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격조정 부재(8)가 설치됨으로써 본체 빔(11, 12)의 좌굴에 대한 강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도 발휘된다. 이러한 간격조정 부재(8)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2개의 ㄷ 형강 빔이 길게 연장되는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간격조정 부재(8)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a) and (b), the
본체(1)의 종방향 양단부 모두 또는 양단부 중의 어느 한 쪽에는 단부연결체(2)가 일체로 결합 구비된다. 단부연결체(2)는 2개의 플랜지와 1개의 웨브(23)를 가지는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부연결체(2)를 이루는 H 형강 빔의 종방향 단면크기 및 그 형상은, 후술하는 것처럼 본 발명의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양단 또는 일단에 접합되어 일체 연결될 메인(main) 빔(200)의 종방향 단면크기 및 그 형상과 동일하다. 즉, 단부연결체(2)는 일체로 연결될 메인 빔(200)과 동일한 단면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제작된 것 즉, 메인 빔(200)을 이루는 규격 H 형강 빔과 동일한 단면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다만 본 발명에서 단부연결체(2)를 이루는 규격 H 형강 빔의 2개 플랜지 각각은 종방향으로 본체(1)와 결합되는 부분에서 그 폭(제2횡방향으로의 폭)이 축소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단부연결체(2)는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데, 본체(1)와 결합되는 단부측의 종방향 소정 길이 구간에서는 플랜지의 폭이 축소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메인 빔(200)과 결합되는 단부측은 플랜지의 폭이 축소되지 않은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편의상 단부연결체(2)에서 폭이 축소되어 있는 플랜지 부분은 "협폭 플랜지부(24a)"라고 명명하고 폭이 축소되지 않은 플랜지 부분은 "정상 플랜지부(24b)"라고 구분하여 명명한다. 이와 같이 단부연결체(2)의 플랜지에는 협폭 플랜지부(24a)가 존재하므로, 폭이 줄어들지 않은 정상 플랜지부(24b)와 협폭 플랜지부(24a) 사이에는 ㄱ자 형태의 단차(25)가 존재한다. 단부연결체(2)에서 협폭 플랜지부(24a)의 제2횡방향 폭은 본체(1)를 이루고 있는 2개의 본체 빔(11, 1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two flanges of the standard H-shaped steel beam constituting the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체(1)와 단부연결체(2)가 결합되어 본 발명의 멀티웨브 보강빔(100)이 만들어지는 것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멀티웨브 보강빔(100)을 이용한 복합 엄지말뚝은 종방향이 연직방향이 되도록 세워져서 사용되지만, 멀티웨브 보강빔(100)을 공장에서 사전 제작할 때에는 종방향이 수평방향이 되도록 뉘어진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ollowing,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at the
본 발명에 따라 멀티웨브 보강빔(100)을 제작하는 방법의 일예에 따르면, 우선 2개의 본체 빔(11, 12)을 수평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한다. 이 때, 2개의 본체 빔(11, 12)은 웨브(13)가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게 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며, 단부연결체(2)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본체 빔(11, 12)의 단부에서 2개의 본체 빔(11, 12) 사이에는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끼워질 삽입공간(S)이 존재한다.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 앞서 설명한 것처럼 2개의 본체 빔(11, 12) 각각이 "ㄷ 형강 빔"으로 이루어져 있고 ㄷ 형강 빔 각각의 플랜지(14)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2개의 ㄷ 형강 빔을 설치할 때, 2개 ㄷ 형강 빔의 플랜지(14) 사이 간격이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 넓이 즉, 협폭 플랜지부(24a)가 정확히 끼워질 수 있도록 협폭 플랜지부(24a)의 제2횡방향 폭과 동일하게 되도록 만든다. 이와 같이 2개의 ㄷ 형강 빔으로 이루어진 본체 빔(11, 12)을 설치하여 본체(1)를 이루게 만든 상태에서 단부연결체(2)를 본체(1)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접근시켜 일체 결합한다. 이와 달리 단부연결체(2)를 배치해둔 상태에서 2개의 본체 빔(11, 12) 각각을 단부연결체(2) 쪽으로 수평방향으로 접근시켜서 2개의 본체 빔(11, 12)과 단부연결체(2)를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멀티웨브 보강빔(100)을 제작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1 to 3,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two
2개의 본체 빔(11, 12)을 나란하게 배치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는 강재 판으로 이루어진 연결판(5)을 2개의 본체 빔(11, 12)의 플랜지(14)에 동시에 밀착하여 덧대어지도록 설치한 후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함으로써 2개의 본체 빔(11, 12)을 서로 일체로 연결 결합할 수도 있다. In arranging the two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2개의 본체 빔(11, 12)과 단부연결체(2)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배치하게 되면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2개의 본체 빔(11, 12)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 있게 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제1실시예의 경우, 2개의 ㄷ 형강 빔의 플랜지(14) 사이 간격에 의해 만들어진 삽입공간(S)에 협폭 플랜지부(24a)가 끼워져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협폭 플랜지부(24a)의 두께 부분은 2개의 본체 빔(11, 12) 각각에 밀착함과 동시에, 2개의 본체 빔(11, 12) 각각에서 종방향으로 플랜지(14)의 두께 부분은 단부연결체(2)의 ㄱ자 형태 단차(25) 두께 부분에 밀착된다. 즉, 단부연결체(2)를 이루는 규격 H형상 빔의 플랜지 두께 부분이 본체 빔(11, 12)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두께 부분이 밀착된 부분을 따라서 용접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단부연결체(2)와 본체(1)를 접합 결합하여 일체화시키게 된다. When the two
단부연결체(2)와 본체(1)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1)를 이루는 2개 본체 빔(11, 12)의 플랜지(14)와 단부연결체(2)의 플랜지 모두에 동시 밀착되도록 보강판(3)을 덧대서 일체로 부착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종방향으로 연장된 강재 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판(3)을 2개 본체 빔(11, 12)과 단부연결체(2)에 동시에 밀착되도록 배치한 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보강판(3)과 2개의 본체 빔(11, 12), 그리고 보강판(3)과 단부연결체(2)을 각각 일체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보강판(3)이 단부연결체(2)의 종방향 전체 길이를 전부 덮지 않고 단부연결체(2)의 단부측으로 플랜지의 외측면이 노출되어 있게 한다. 이는 후술하는 것처럼 단부연결체(2)과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진 메인 빔(200)을 서로 연결할 때 이용되는 이음판(4)을 밀착하여 붙이기 위함이다. In a state where the
위와 같은 조립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은 규격 H 형강 빔에 비하여 더 큰 구조적 강성과 성능을 발휘한다. 도 6의 (a) 내지 (c)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종방향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 평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는 도 3의 화살표 A-A에 따른 종방향으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 본체 빔(11, 12)과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존재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도 3의 화살표 B-B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6의 (c)는 본체 빔(11, 12)과 보강판(3)이 구비된 위치에 해당하는 도 3의 화살표 C-C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The
도 6의 (c)에 도시된 것처럼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 본체(1) 부분의 경우, 웨브(13)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2개의 본체 빔(11, 12)에 의해 종방향으로는 2개의 웨브(13)가 존재하는 대략 박스(box) 형태의 단면형상이 만들어진다. 본체(1)에서 보강판(3)이 덧대어져 있는 부분은 폐합된 사각 단면을 가지는 완전한 박스(box) 형태의 종방향 단면형상을 가지게 된다. 특히,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 본체 빔(11, 12)이 ㄷ 형강 빔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의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ㄷ 형강 빔 사이에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끼워져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2개의 ㄷ 형강 빔이 가지는 2개의 웨브(13)에 더하여 단부연결체(2)의 규격 H 형강 빔이 가지는 1개의 웨브(23)가 더 존재하게 되어 3개의 웨브를 가지는 박스형태의 단면형상이 만들어진다. As shown in (c) of FIG. 6, in the case of the
이와 같이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 본체(1)로만 이루어진 영역에서는 2개의 웨브가 존재하는 박스 형태의 단면형상이 되고, 단부연결체(2)이 결합된 본체(1)의 단부 영역에서는 박스 형태에 더하여 3개의 웨브가 존재하는 단면형상이 되어 전체적으로는 복수개의 웨브를 가지는 단면구조를 가지게 되는 바, 매우 큰 단면강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큰 휨, 전단 및 압축 강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그에 따라 저항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멀티웨브 보강빔(100)을 엄지말뚝에 사용할 경우, 멀티웨브 보강빔(100)을 배면토압이 크게 작용하는 구간에 배치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휨에 의한 횡방향 좌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실제 설계에 있어서는 허용휨압축응력 상한값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발휘된다. In this way, the
앞서 설명한 것처럼 단부연결체(2)를 이루는 규격 H 형강 빔은, 일체로 연결될 메인 빔(200)과 동일한 규격을 가지는 것이다. 즉, 앞서 설명한 것처럼 단부연결체(2)는 일체로 연결될 메인 빔(200)과 동일한 규격을 가지는 일반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단부연결체(2)에서 메인 빔(200)과 연결될 단부측은 플랜지가 폭이 줄어들지 않은 정상 플랜지부(24b)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6의 (a)에 예시된 것처럼 단부연결체(2)에서 메인 빔(200)과 연결될 단부측의 종방향 단면형상과 크기는, 메인 빔(200)을 이루는 규격 H 형강 빔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종방향 단부에 즉, 단부연결체(2)에 메인 빔(200)을 일체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킴에 있어서는, 동일한 단면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을 서로 일체화시킬 때 적용하는 종래의 "간편 빔 결합방식" 즉, 연속될 규격 H 형강 빔의 플랜지 및/또는 웨브에 이음판을 밀착 배치하고 용접이나 볼팅을 함으로써 규격 H 형강 빔을 서로 연결하여 연속시키거나 또는 규격 H 형강 빔의 단면 두께 부분이 직접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연결하는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종래의 "간편 빔 결합방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단면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을 서로 일체화시킬 때 이용되는 "간편 빔 결합방식"을 멀티웨브 보강빔(100)과 메인 빔(200) 간의 일체 연속화에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tandard H-shaped steel beam constituting the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종방향 단부에 메인 빔(200)을 일체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키는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연속화 작업에 의해 멀티웨브 보강빔(100)과 메인 빔(200)이 일체로 연속화된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단부연결체(2)는, 연결될 메인 빔(200)과 동일한 단면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연결될 메인 빔(200)과 동일한 단면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을 선택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준비한 후 상기한 것처럼 협폭 플랜지부(24a)와 정상 플랜지부(24b)를 가지도록 단부연결체(2)를 준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부연결체(2)를 구비한 멀티웨브 보강빔(100)과 메인 빔(200)을 결합하여 연속화시킴에 있어서는, 메인 빔(200)의 단부면과 단부연결체(2)의 단부면을 서로 밀착시킨 후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강재 판으로 이루어진 이음판(4)을 각각 메인 빔(200)의 웨브(213)과 단부연결체(2)의 웨브(23)에 동시에 밀착되도록 겹치게 배치하여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부착하고, 이와 병행하여 강재 판으로 이루어진 이음판(4)을 각각 메인 빔(200)의 플랜지(214)와 단부연결체(2)의 플랜지에 동시에 밀착되도록 겹치게 배치하여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부착하여 메인 빔(200)과 단부연결체(2)을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메인 빔(200)과 멀티웨브 보강빔(100)을 일체로 연속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종방향 일단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것처럼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종방향 양단 모두에 단부연결체(2)가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양단의 단부연결체(2)에서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메인 빔(200)이 각각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멀티웨브 보강빔(100)과 메인 빔(200)을 일체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킴에 있어서는, 동일한 단면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을 서로 일체화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H 형강 빔의 웨브 및 플랜지에 이음판을 밀착되도록 겹치게 덧대어서 용접하거나 볼팅하는 "간편 빔 결합방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멀티웨브 보강빔(100)과 메인 빔(200)을 일체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킬 수 있게 되어 그만큼 현장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고 공기를 단축시키며 공사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integrally combining the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는, 본체(1)를 이루는 2개의 본체 빔(11, 12)이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ㄷ 형강 빔으로 이루어져 있고 웨브(13)가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제1실시예와는 달리 ㄷ 형강 빔 각각의 플랜지(14)가 서로를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2개의 ㄷ 형강 빔이 마주하여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도 본체 빔(11, 12)의 종방향 양단부 또는 일측 단부에는 단부연결체(2)가 일체로 결합되는데, 제2실시예에 구비되는 단부연결체(2)는 앞서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완전히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the
제2실시예에서 본체 빔(11, 12)과 단부연결체(2)를 결합하기 위하여 본체 빔에 해당하는 2개의 ㄷ 형강 빔을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배치함에 있어서, 2개의 ㄷ 형강 빔의 서로 마주보는 플랜지(14) 사이에는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끼워질 삽입공간(S)이 존재하게 된다. 이 때 삽입공간(S)의 폭은 협폭 플랜지부(24a)의 제2횡방향 폭과 동일하며, 따라서 본체 빔과 단부연결체(2)가 결합될 때 협폭 플랜지부(24a)는 상기한 삽입공간(S)에 정확히 끼워지게 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in arranging the two c-shaped beams corresponding to the body beams to face each other in order to combine the body beams 11 and 12 and the
2개의 ㄷ 형강 빔과 단부연결체(2)를 서로 접합될 위치에 배치하여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2개의 ㄷ 형강 빔 사이의 삽입공간(S)에 끼워진 상태에 있게 되면,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에서도 두께 부분이 밀착된 부분을 따라서 용접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단부연결체(2)과 본체(1)을 접합 결합하여 일체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실시예에서도 필요에 따라 보강판(3)을 덧대서 일체로 설치할 수 있다. Place the two c-beam beams and the
도 11의 (a) 내지 (c)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종방향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 평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a)는 도 9의 화살표 D-D에 따른 종방향으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1의 (b)는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 본체 빔(11, 12)과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존재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도 9의 화살표 E-E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11의 (c)는 본체 빔(11, 12)과 보강판(3)이 구비된 위치에 해당하는 도 9의 화살표 F-F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11 (a) to (c) are schematic longitudinal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도 11의 (a) 내지 (c)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도 본체(1)에서 ㄷ 형강 빔에 보강판(3)만이 덧대어져 있는 부분은 2개의 웨브(13)가 존재하는 폐합된 사각 단면을 가지는 완전한 박스(box)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게 되며, ㄷ 형강 빔 사이에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끼워져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이러한 박스 형태의 단면형상에 더하여 단부연결체(2)의 규격 H 형강 빔이 가지는 1개의 웨브(23)가 추가적으로 존재하게 되어 3개의 웨브를 가지는 단면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의 경우에도 매우 큰 휨, 전단 및 압축 강성을 가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저항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휘되며, 엄지말뚝에 사용할 때 좌굴 발생의 방지, 실제 설계에 있어서의 허용휨압축응력 상한값 적용 등에 따른 장점이 발휘된다. As shown in (a) to (c) of FIG. 11, in the
특히 도 11의 (a)에 예시된 것처럼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종방향 단부 형상 및 크기는 연결될 메인 빔(200)과 일치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도 동일한 단면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을 서로 일체화시킬 때 적용하는 "간편 빔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단부에 메인 빔(200)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as illustrated in FIG. 11 (a), in the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도 2개의 본체 빔(11, 12)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본체(1)를 형성할 때 앞서 설명한 간격조정 부재(8)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2에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2개의 ㄷ 형강 빔 사이에 간격조정 부재(8)를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의 (a)에는 도 12의 상태에 후속하여 간격조정 부재(8)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의 (b)에는 도 13의 (a)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 본체 빔(11, 12)을 이루는 2개의 ㄷ 형강 빔 사이에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간격조정 부재(8)을 설치함에 있어서 1개만 설치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2개를 설치할 수도 있고, 특히 연직 설치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간격조정 부재(8)에 대한 사항을 비롯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에 대한 기타 사항은 제1실시예의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Even in the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을 제작함에 있어서, 본체(1)를 이루는 2개의 본체 빔(11, 12)으로서, 각각 상,하부 플랜지(34)와 1개의 웨브(33)를 가지고 있어서 영문자 I자 형상의 종방향 단면모양을 가지는 "I 형강 빔"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 본체(1)를 이루는 2개의 본체 빔(11, 12)은 각각 상,하부 플랜지(34)와 1개의 웨브(33)를 가지고 있어서 영문자 I자 형상의 종방향 단면모양을 가지는 "I 형강 빔"으로 이루어져 있다. Furthermore, in manufacturing the
제3실시예의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제1,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 빔(11, 12)의 종방향 양단 또는 일단에는 앞서 제1, 2실시예에 구비된 것과 동일한 구성의 단부연결체(2)가 일체로 결합 구비된다. 그리고 제3실시예에서도 본체 빔(11, 12)에 해당하는 2개의 I 형강 빔은 제2횡방향으로 이웃하게 위치하여 웨브(33)가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도록 배치된다.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oth ends or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beams 11 and 12 are
이 때, 2개의 I 형강 빔에서 단부연결체(2)가 결합되는 방향의 단부는, I 형강 빔의 서로 이웃하는 플랜지(34)의 일부가 절취됨으로써,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끼워질 삽입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빔(11, 12)에 해당하는 2개의 I 형강 빔을 나란하게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함에 있어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I 형강 빔의 플랜지(34)가 제2횡방향으로 서로 닿아서 접할 수 있는데, I 형강 빔 각각에서 단부연결체(2)가 결합되는 방향의 단부에는 협폭 플랜지부(24a)의 제2횡방향 폭의 1/2에 해당하는 크기의 폭만큼 절취부가 형성되고, 2개의 I 형강 빔이 서로 이웃하였을 때 절취부가 연속되면서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끼워지는 삽입공간(S)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2개의 I 형강 빔이 나란하게 배치됨에 있어서 I 형강 빔의 플랜지(34)가 제2횡방향으로 서로 닿아서 접하고 있으나, 플랜지(34)의 폭 크기에 따라서는 플랜지(34)가 서로 닿지 않을 수도 있다. At this time, at the end of the two I-beam beam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제3실시예에 구비되는 단부연결체(2)는 앞서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제3실시예에서 2개의 I 형강 빔과 단부연결체(2)를 서로 접합될 위치에 배치하여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2개의 I 형강 빔의 단부에 형성된 절취부에 의해 만들어진 삽입공간(S)에 끼워진 상태에 있게 되면, 앞서 설명한 제1,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두께 부분이 밀착된 부분을 따라서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 단부연결체(2)와 본체(1)를 접합 결합하여 일체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실시예에서도 필요에 따라 보강판(3)을 덧대서 일체로 설치할 수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the two I-beam beams and the
도 16의 (a) 내지 (c)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종방향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 평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의 (a)는 도 14의 화살표 G-G에 따른 종방향으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6의 (b)는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 본체 빔(11, 12)과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존재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도 14의 화살표 H-H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16의 (c)는 본체 빔(11, 12)과 보강판(3)이 구비된 위치에 해당하는 도 14의 화살표 M-M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16 (a) to (c) are schematic longitudinal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도 16의 (a) 내지 (c)에 각각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도 본체(1)에서 I 형강 빔에 보강판(3)만이 덧대어져 있는 부분은 폐합된 사각 단면을 가지는 완전한 박스(box)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게 되며, I 형강 빔 사이에 단부연결체(2)의 협폭 플랜지부(24a)가 끼워져 위치하는 부분의 경우는 박스 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하여 2개의 I 형강 빔이 가지는 2개의 웨브(33)에 추가하여 단부연결체(2)의 H 형강 빔이 가지는 1개의 웨브(23)가 더 존재하게 되어 3개의 웨브를 가지는 단면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1,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실시예의 경우에도 매우 큰 휨, 전단 및 압축 강성을 가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저항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휘되며, 엄지말뚝에 사용할 때 좌굴 발생의 방지, 실제 설계에 있어서의 허용휨압축응력 상한값 적용 등에 따른 장점이 발휘된다. As shown in (a) to (c) of FIG. 16, in the
제3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16의 (a)에 예시된 것처럼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종방향 단부 형상 및 크기는 연결될 메인 빔(200)과 일치한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서도 제1,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단면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을 서로 일체화시킬 때 적용하는 "간편 빔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단부에 메인 빔(200)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에 대한 기타 사항은 제1, 2실시예의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Even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a) of FIG. 16, the shape and size of the longitudinal end of the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100)은 흙막이 구조물에 이용되는 엄지말뚝을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엄지말뚝은,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진 메인 빔(200)과 상기한 본 발명의 멀티웨브 보강빔(100)이 일체로 연속화된 구성을 가지는 "복합 엄지말뚝"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복합 엄지말뚝에서,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종방향 양단 모두에 메인 빔(200)이 일체로 결합되어 연속화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멀티웨브 보강빔(100)의 종방향 일단에만 메인 빔(200)이 일체로 결합되어 연속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엄지말뚝에서는, 종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 멀티웨브 보강빔(100)이 1개의 개소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2개 이상의 복수개 개소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종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가면서 "메인 빔(200) - 멀티웨브 보강빔(100) - 메인 빔(200) - 멀티웨브 보강빔(100) - 메인 빔(200)"의 순서로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은, 위에서 설명한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진 메인 빔(200)과 상기한 본 발명의 멀티웨브 보강빔(100)이 일체로 연속화된 구성을 가지는 복합 엄지말뚝을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은, 예를 들어 복수개의 복합 엄지말뚝이 제2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직하게 세워져 설치되고, 복합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이 끼워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배면토사를 지지하는 것일 수도 있다. The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omposite thumb pile having a continuous configuration in which the
도 17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일예에서 복합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500)이 끼워지는 부분만을 발췌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 예시된 복합 엄지말뚝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멀티웨브 보강빔(100)은 앞서 도 4 및 도 5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간격조정 부재(8)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평단면 구성이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17 is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the portion where the
도 1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또다른 일예로서 복합 엄지말뚝의 제2횡방향 양측에 숏크리트 벽체(51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발췌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 예시된 복합 엄지말뚝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멀티웨브 보강빔(100) 역시 도 1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앞서 도 4 및 도 5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이며, 간격조정 부재(8)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평단면 구성이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18, as another example of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in which
한편, 도 19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1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9에 예시된 복합 엄지말뚝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멀티웨브 보강빔(100)은 앞서 도 12 및 도 13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의 또다른 일예에 대한 도 1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0에 예시된 복합 엄지말뚝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멀티웨브 보강빔(100) 역시 앞서 도 12 및 도 13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이다. 다. 도 19 및 도 20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한글 자모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ㄱ형강을 간격조정 부재(8)에 체결하여 본체 빔(11, 12)에 해당하는 ㄷ 형강 빔의 제2횡방향 외측에 설치함으로써, ㄱ형강을 토류판(500)의 설치 및 숏크리트 벽체(510)의 형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9 shows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ure 17 for another embodiment of the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for the composite thumb pile illustrated in Figure 19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은 주열식 흙막이 벽체(CIP 흙막이 구조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주열식 흙막이 벽체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지반에 연직한 지중공(地中孔)을 제2횡방향으로 복수개 연속하여 천공 형성하고 각각의 지중공 내에 엄지말뚝을 삽입배치한 후 소일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채움재를 채워서 엄지말뚝이 매립되도록 주열말뚝을 각각 연속하여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시공될 수 있는데, 이 때 지중공에 삽입되어 채움재에 매립되는 엄지말뚝은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복합 엄지말뚝 즉,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진 메인 빔(200)과 멀티웨브 보강빔(100)이 일체로 연속화된 구성을 가지는 "복합 엄지말뚝"인 것이다. 도 21 및 도 22에는 각각 지중공(600) 내에 본 발명의 복합 엄지말뚝이 삽입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21 및 도 22에서는 멀티웨브 보강빔(100)에서 간격조정 부재(8)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평단면 구성을 도시하였는데, 도 21은 도 4 및 도 5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이고, 도 22는 도 12 및 도 13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lumn-type retaining wall (CIP retaining structure). In this column-type retaining wall, as in the prior art, a plurality of vertical underground holes are continuously perforated in the second transverse direction, and after inserting and arranging thumb piles in each underground hole, soil cement, concrete, etc. It can be constructed by filling the fill material and forming the piles in succession so that the piles are buried. At this time, the piles inserted into the hole and embedded in the fill material are the composite p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at is, standard H It is a "composite thumb pile" having a continuous configuration in which the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은 위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직한 빔을 이용하는 흙막이 구조물이라면 기존의 다양한 형태의 것이 모두 포함된다. 즉, 위에서 설명한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진 메인 빔(200)과 멀티웨브 보강빔(100)이 일체로 연속화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복합 엄지말뚝을 이용하는 것이라면 CIP공법(Cast in Place prepacked pile)을 이용한 흙막이벽(흙막이 구조물), SCW(Soil Cement Wall) 공법에 의한 흙막이벽, 슬러리 월(Slurry Wall) 등과 같은 다양한 흙막이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에 해당될 수 있는 것이다.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exemplified above, and all existing various types of earth retaining structures using a vertical beam are included. That is, if the composite thumb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엄지말뚝"을 이용하여 흙막이 구조물을 구축할 경우, 제2횡방향으로 복합 엄지말뚝의 설치 간격을 크게 하거나 또는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시공효율성을 높이고 시공자재를 절감하며 시공비와 시공기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더욱 경제적인 시공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In this way, when constructing an earth retaining structure using the "composite thumb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stallation interval or reduce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composite thumb pile in the second lateral direction, thereby increasing construction efficiency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more economical construction by reducing construction materials and reducing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위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멀티웨브 보강빔(100)과 메인 빔(200)을 일체로 결합하여 연속화시켜서 만들어진 것의 일예로서 흙막이 구조물의 엄지말뚝을 예시하여 이를 "복합 엄지말뚝"이라고 명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멀티웨브 보강빔(100)과 메인 빔(200)을 일체로 결합하여 연속화시켜서 만들어진 것은 이러한 엄지말뚝의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용도와 기능의 빔 부재, 거더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Above, as an example of what was made by combining and serializing the
1: 본체
2: 단부연결체
3: 보강판
11, 12: 본체 빔
100: 멀티웨브 보강빔
200: 메인 빔1: body
2: end connector
3: reinforcement plate
11, 12: body beam
100: multi-web reinforcing beam
200: main beam
Claims (6)
종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본체 빔(11, 12)으로 이루어지고 본체 빔(11, 12)의 웨브가 서로 마주하도록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진 본체(1)와;
메인 빔(200)과의 연결을 위하여 메인 빔(200)과 동일한 단면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1)의 종방향 일측 단부 또는 양쪽 단부에 일체 결합되는 단부연결체(2)를 포함하며;
2개의 본체 빔(11, 12) 각각은 웨브(13)와 플랜지(14)를 구비한 ㄷ 형강 빔으로 이루어지고, 본체 빔(11, 12)에 해당하는 ㄷ 형강 빔은 플랜지(14)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웨브(13)가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본체(1)를 이루며;
단부연결체(2)의 플랜지에서 본체(1)과 결합되는 단부측은 플랜지의 폭이 축소되어 있는 협폭 플랜지부(24a)로 이루어져 있고, 메인 빔(200)과 결합되는 단부측은 플랜지의 폭이 축소되지 않은 정상 플랜지부(24b)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1)의 단부에서 본체 빔(11, 12)에 해당하는 2개의 ㄷ 형강 빔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협폭 플랜지부(24a)와 동일한 크기의 삽입공간(S)이 형성되며;
협폭 플랜지부(24a)가 삽입공간(S)에 끼워져서 단부연결체(2)와 본체(1)가 접합되고 일체화된 구성을 이루게 됨으로써;
복수개의 웨브를 가지게 되어 보강된 단면강성을 가지게 됨과 동시에, 구조적 강성이 증가하게 되고, 동일한 단면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 간의 결합에 의해 종방향 단부에서 메인 빔(200)과 일체로 연속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브 보강빔. As a multi-web reinforcing beam 100 integrally coupled at both ends or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main beam 200 made of standard H-shaped steel beams,
A body 1 made of two body beams 11 and 1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side by side at intervals such that the webs of the body beams 11 and 12 face each other;
For connection with the main beam 200, it is made of a standard H-shaped steel beam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ize and shape as the main beam 200, and is integrally coupled to one end o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 End connector ( 2);
Each of the two body beams 11 and 12 is made of a c-shaped steel beam having a web 13 and a flange 14, and the c-shaped steel beam corresponding to the body beams 11 and 12 have flanges 14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ebs 13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to form the main body 1;
The end side coupled to the main body 1 in the flange of the end connection body 2 consists of a narrow flange portion 24a in which the width of the flange is reduced, and the end side coupled to the main beam 200 has a reduced flange width. It consists of a top flange portion 24b that has not been formed;
At the end of the body 1, an insertion space S having the same size as the narrow flange portion 24a is formed by the gap between the two c-shaped beams corresponding to the body beams 11 and 12;
The narrow flange portion 24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 so that the end connection body 2 and the main body 1 are bonded and integrated to form an integrated structure;
By having a plurality of webs, it has reinforced cross-sectional rigidity, and at the same time, structural rigidity is increased, and it is integrally continuous with the main beam 200 at the longitudinal end by coupling between standard H-beam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ize and shape. A multi-web reinforcing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본체(1)를 이루는 2개 본체 빔(11, 12)의 플랜지와 단부연결체(2)의 플랜지 모두에 밀착되도록 보강판(3)이 덧대어져서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웨브 보강빔. According to claim 1,
Multi-web,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plate (3) is added and integrally installed so as to adhere to both the flange of the two body beams (11, 12) and the flange of the end connector (2) constituting the body (1) reinforcement beam.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멀티웨브 보강빔의 종방향 양단 또는 일단에, 멀티웨브 보강빔의 단부연결체(2)와 동일한 단면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규격 H 형강 빔으로 이루어진 메인 빔(20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엄지말뚝.
As a thumb pile for earth retaining structures,
At both ends or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in beam made of standard H-shaped steel beam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ize and shape as the end connector 2 of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 200) is a composite pi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that is integrally combined.
메인 빔(200)의 단부면과 단부연결체(2)의 단부면이 서로 밀착되어 접합되며, 강재 판으로 이루어진 이음판(4)이 각각 메인 빔(200)의 웨브와 단부연결체(2)의 웨브에 동시에 밀착되도록 겹치게 배치되어 일체로 부착되고, 강재 판으로 이루어진 이음판(4)이 각각 메인 빔(200)의 플랜지와 단부연결체(2)의 플랜지에 동시에 밀착되도록 겹치게 배치되어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멀티웨브 보강빔과 메인 빔(200)간의 일체 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엄지말뚝.
According to claim 3,
The end face of the main beam 200 and the end face of the end connector 2 are bond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joint plate 4 made of steel plates is connected to the web of the main beam 200 and the end connector 2, respectively. It is overlapped and integrally attach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b of the, and the joint plate 4 made of a steel plate is overlapp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of the main beam 200 and the flange of the end connector 2, respectively, and integrally attached. A composite thumb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l coupling between the multi-web reinforcing beam and the main beam 200 is formed by being attached.
상기 엄지말뚝은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복합 엄지말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물.
As a retaining structure built using thumb piles,
The thumb pile is a retai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e thumb pile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엄지말뚝은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복합 엄지말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 As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structure using a thumb pile,
The thumb pile is a construction method of a retai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e thumb pile according to claim 1 or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4143A KR102596357B1 (en) | 2021-09-15 | 2022-03-18 | Multi-web Reinforcing Beam, Pile using such Reinforc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3204A KR102414124B1 (en) | 2021-09-15 | 2021-09-15 | Multi-web Reinforcing Beam, Pile using such Reinforc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KR1020220034143A KR102596357B1 (en) | 2021-09-15 | 2022-03-18 | Multi-web Reinforcing Beam, Pile using such Reinforc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3204A Division KR102414124B1 (en) | 2021-09-15 | 2021-09-15 | Multi-web Reinforcing Beam, Pile using such Reinforc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0250A true KR20230040250A (en) | 2023-03-22 |
KR102596357B1 KR102596357B1 (en) | 2023-11-01 |
Family
ID=8227056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3204A KR102414124B1 (en) | 2021-09-15 | 2021-09-15 | Multi-web Reinforcing Beam, Pile using such Reinforc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KR1020220034154A KR102596358B1 (en) | 2021-09-15 | 2022-03-18 | Multi-web Reinforcing Beam, Pile using such Reinforc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KR1020220034143A KR102596357B1 (en) | 2021-09-15 | 2022-03-18 | Multi-web Reinforcing Beam, Pile using such Reinforc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3204A KR102414124B1 (en) | 2021-09-15 | 2021-09-15 | Multi-web Reinforcing Beam, Pile using such Reinforc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KR1020220034154A KR102596358B1 (en) | 2021-09-15 | 2022-03-18 | Multi-web Reinforcing Beam, Pile using such Reinforc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41412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6452A (en) * | 2008-05-07 | 2009-11-11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Composite wall using angled channel |
JP2010222943A (en) * | 2009-03-25 | 2010-10-07 | Nippon Steel Corp | Connection fitting for wall member and continuous 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method |
KR20110022956A (en) | 2009-08-28 | 2011-03-08 | 박성주 | Pile structure having changing section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2021
- 2021-09-15 KR KR1020210123204A patent/KR102414124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3-18 KR KR1020220034154A patent/KR10259635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2-03-18 KR KR1020220034143A patent/KR10259635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6452A (en) * | 2008-05-07 | 2009-11-11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Composite wall using angled channel |
JP2010222943A (en) * | 2009-03-25 | 2010-10-07 | Nippon Steel Corp | Connection fitting for wall member and continuous 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method |
KR20110022956A (en) | 2009-08-28 | 2011-03-08 | 박성주 | Pile structure having changing section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0251A (en) | 2023-03-22 |
KR102414124B1 (en) | 2022-06-29 |
KR102596357B1 (en) | 2023-11-01 |
KR102596358B1 (en) | 2023-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490128B2 (en) | Road Structure | |
KR100716453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CFT column and beam connection | |
KR102357963B1 (en) | Earthquake resistant slurry wall structure | |
KR101136895B1 (en) | Arch style wale structure | |
JP2006299737A (en) | Structural materia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of structural material | |
JP2009030319A (en) | Long-span structure building | |
KR102596358B1 (en) | Multi-web Reinforcing Beam, Pile using such Reinforc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
KR102146372B1 (en) | Retaining Wall without Wale Beam, Wall Structure combined such Retaining Wall and Concrete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JP4576067B2 (en) | Joint structure of pile head and steel underground beam | |
KR102482690B1 (en) | Bridg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formwork integrated PC panels | |
JP2009013616A (en) | Long span structure building | |
JP3772320B2 (en) |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 |
JP3076539B2 (en) | Connection structure of closed section column and beam | |
JP2002115323A (en) | Steel column base structure | |
JP7219529B2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steel materials, shor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200132791A (en) | Support Structure for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JP2880027B2 (en) | Joint structure between steel pipe column and reinforced concrete slab | |
JPH06193049A (en) |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continuous underground wall | |
JP3114141B2 (en) | Basement | |
KR102625510B1 (en) | Joint CFT Column and Wide Hybrid Beam | |
KR100614847B1 (en) | Assembly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pile for settlement of anchor | |
JP3832606B2 (en) | Oval hollow cylinder | |
JP4045502B2 (en) | Structure | |
JP3160730B2 (en) | Connecting columns and beams | |
KR100519649B1 (en) | Steel reinforcing basket of underground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