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872A - 자세교정의류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872A
KR20230039872A KR1020210122528A KR20210122528A KR20230039872A KR 20230039872 A KR20230039872 A KR 20230039872A KR 1020210122528 A KR1020210122528 A KR 1020210122528A KR 20210122528 A KR20210122528 A KR 20210122528A KR 20230039872 A KR20230039872 A KR 20230039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posture
shoulder
band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405B1 (ko
Inventor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처에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처에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처에이아이
Priority to KR1020210122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40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in two or more dimens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흉부를 따라 상복부를 향해 연장된 흉부지지편 및 착용자의 상복부로부터 복부를 따라 허리를 향해 연장된 복부지지편을 포함하는 전면부;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척추를 따라 허리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척추밴드를 포함하는 척주지지편, 및 상기 척추밴드로부터 착용자의 견갑골을 따라 어깨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 어깨밴드를 포함하는 어깨지지편을 포함하는 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측부에서 연결하여 착용자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1쌍의 수직부 및 착용자의 명치를 가로질러 1쌍의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자세교정의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세교정의류{POSTURE CORRECTION CLOTHING}
본 발명은 자세교정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착용에 의한 수동적 교정효과 및 특정 부위에 장착된 자세교정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에 의한 능동적 교정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자세교정의류에 관한 것이다.
좋은 자세를 가지는 신체의 경우, 척추는 측방만곡이 없고 다리는 무릎과 발목에 각형성(angulation)이 거의 없다. 또한, 측면에서 관찰할 때, 척추는 완만한 S자형을 이루며 2개의 S자형 곡선들이 머리로부터 신체 중심을 관통해 아래로 뻗어 있는 가상의 선의 맞은편 면들에 균일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정렬은 척추와 하체 관절부에 대한 체중 분포를 고르게 하여 척추의 추간판에 인가되는 압력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즉, 좋은 자세를 취함으로써, 중력이 신체의 뼈, 인대, 및 근육를 통해 더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할 수 있다. 좋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앉기와 서기와 같은 정적활동뿐만 아니라 걷기, 달리기, 들어올리기와 같은 동적활동에서도 중요하다. 좋은 자세의 특징인 척추의 완만한 S자형은 정적 및 동적활동에서 모두 유지되어야 한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좌식 생활환경은 이러한 좋은 자세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정적활동으로 인해 머리와 목이 앞으로 돌출되고, 가슴 및 허리 부위의 척추가 굽어지며, 척추 인대가 늘어날 수 있다. 척추 손상과 그에 따른 질환은 목과 등 상부에 대한 통증과, 피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달리기 및 들어올리기와 같은 동적활동 간 나쁜 자세로 인해 근육 및 인대에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운동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쁜 자세가 체형으로 고착화됨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나쁜 자세에서 바른 자세로 교정될 수 있도록 하고, 나쁜 자세에 따른 통증이나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자세교정기능을 가지는 의류, 기구, 장치 및 운동요법 등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다.
정적 및 동적활동 간 좋은 자세에 대한 인식을 유지하는 함으로써, 근육 및 인대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고, 좋은 자세가 습관화되도록 근육기억을 통해 근육들을 훈련시킬 수 있다. 다만, 정적활동 간 좋은 자세에 대한 인식을 유지하는 것은 동적활동 간에 비해 쉽지 않다. 한편, 자세운동요법 등을 통해 누적된 나쁜 자세로 인한 근골격계 통증 및 질환을 사후적으로 치료할 수도 있으나, 필요한 요법을 통한 교정을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80727호 등은 의류에 용이하게 탈부착하여 착용자의 자세를 측정하고 나쁜 자세에 관한 정보를 착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착용자가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 탈부착용 자세교정장치를 개시하나, 자세교정이 자세교정장치에 의한 알림에만 의존하므로 알림이 없는 시구간에서는 자세교정이 중단될 수 있고, 의류의 착용에 따른 수동적 교정효과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4730625호 등은 의류 중 기설정된 부위에 센서 및 전자수단을 부착하여 착용자의 자세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개시하나, 신체 변위가 큰 척추 및 견갑골 부위에 센서가 부착됨에 따라 좋은 자세와 나쁜 자세를 정교하게 구별하기 어렵고, 의류 착용에 따른 수동적 교정효과를 구현할 수 없으며, 전자수단이 척추를 기준으로 신체의 일측에만 부착됨에 따라 착용 시 무게 비대칭을 야기하여 오히려 자세교정을 방해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2957호 등은 가속도 센서 및 근전도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자세상태를 결정하는 자세측정방법과 이를 통해 구동되는 넥밴드형 자세측정장치를 개시하나, 신체 변위가 큰 경추 부위에 센서가 위치함에 따라 좋은 자세와 나쁜 자세를 정교하게 구별하기 어렵고, 의류 착용에 따른 수동적 교정효과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41021호 등은 착용자의 골격 및 근육에 기반하여 의류의 각 부위를 설계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한 자세교정의류를 개시하나, 교정효과를 발휘하는 밴드, 스트랩 등이 상체의 후면에 집중됨에 따라, 전면에 위치한 근골격계에 대한 교정효과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구체적으로, 도 15 등에 개시된 핑거밴드(76a) 및 경사밴드(78)는 각각 상복부 및 하복부의 중앙에서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밴드(78)를 연결하는 하복부밴드(58)는 상기 경사밴드(78)와 구별되는 별도의 부재를 상기 경사밴드(78) 간에 재봉하여 형성된다. 상복부에서 상기 핑거밴드(76a) 간 간격과, 하복부에서 상기 경사밴드(78)와 상기 하복부밴드(58) 간 재봉선은 이들을 통해 각 부위의 근골격계에 제공되는 교정력의 연속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 시 상체의 근골격계, 특히, 신체의 중심부인 척추, 복부를 지탱하는 근육인 등, 복부에 대한 교정력을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제공하여 수동적 교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필요 시, 특정 부위에 장착된 자세교정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에 의한 능동적 교정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자세교정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흉부를 따라 상복부를 향해 연장된 흉부지지편 및 착용자의 상복부로부터 복부를 따라 허리를 향해 연장된 복부지지편을 포함하는 전면부;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척추를 따라 허리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척추밴드를 포함하는 척주지지편, 및 상기 척추밴드로부터 착용자의 견갑골을 따라 어깨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 어깨밴드를 포함하는 어깨지지편을 포함하는 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측부에서 연결하여 착용자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1쌍의 수직부 및 착용자의 명치를 가로질러 1쌍의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자세교정의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겨드랑이를 향해 연장된 흉근앵커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깨밴드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상기 척추밴드 및 상기 흉근앵커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상기 어깨지지편의 외측으로부터 착용자의 상완을 따라 연장된 소매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매편의 하단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척추밴드,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어깨밴드의 두께를 각각 ta, tb 및 tc라 할 때, ta ≥ tb ≥ tc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상기 수평부의 중앙에 고정된 자세교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장치는, 착용자의 제1 자세정보를 획득하는 제1 센서부, 기준정보 및 상기 제1 자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기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자세정보를 처리하여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장치는, 상기 제1 자세정보 및 상기 알림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스마트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기준정보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및 3축 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 진동자, 발광체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전도성 섬유가 자수된 전극을 포함하되, 착용자의 제2 자세정보를 획득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전극과 상기 자세교정장치를 연결하도록 자수된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세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자세정보와 함께 저장, 처리 및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세교정의류는,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흉부를 따라 상복부를 향해 연장된 흉부지지편 및 착용자의 상복부로부터 복부를 따라 허리를 향해 연장된 복부지지편을 포함하는 전면부;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척추를 따라 허리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척추밴드를 포함하는 척주지지편, 및 상기 척추밴드로부터 착용자의 견갑골을 따라 어깨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 어깨밴드를 포함하는 어깨지지편을 포함하는 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측부에서 연결하여 착용자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1쌍의 수직부 및 착용자의 명치를 가로질러 1쌍의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는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용 시 상체의 근골격계, 특히, 신체의 중심부인 척추, 복부를 지탱하는 근육인 등, 복부에 대한 교정력을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제공하여 수동적 교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필요 시, 정적 및 동적활동 간 신체 변위가 작은 상기 수평부에 장착된 자세교정장치를 통해 착용자의 자세를 보다 정교하게 측정, 모니터링할 수 있고, 측정된 자세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에게 필요한 알림 등을 출력함으로써 능동적 교정효과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의류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의 부착 부위 및 신체 변위에 따른 각변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의류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의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의류는,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흉부를 따라 상복부를 향해 연장된 흉부지지편(10) 및 착용자의 상복부로부터 복부를 따라 허리를 향해 연장된 복부지지편(20)을 포함하는 전면부;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척추를 따라 허리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척추밴드(30)를 포함하는 척주지지편, 및 상기 척추밴드(30)로부터 착용자의 견갑골을 따라 어깨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 어깨밴드(40)를 포함하는 어깨지지편을 포함하는 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측부에서 연결하여 착용자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1쌍의 수직부(51) 및 착용자의 명치를 가로질러 1쌍의 상기 수직부(51)를 연결하는 수평부(52)를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51) 및 상기 수평부(52)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착용자의 상체에 대한 외골격을 형성함으로써, 각 부위의 치료 및 자기수용인식을 위한 감각운동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증가된 압력 내지 저항이 각 부위에 인가되어 자기수용치료를 위한 교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착용차의 상체 윤곽에 꼭 맞도록 하는 탄성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자세교정의류, 구체적으로, 자세교정셔츠는 착용자의 상체의 수직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및/또는 나선상으로 연장되어 상체의 근골격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위에 대해 특이적인 교정력 및 감각운동자극을 균형적으로 제공하는 복수의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흉부를 따라 상복부를 향해 연장된 흉부지지편(10) 및 착용자의 상복부로부터 복부를 따라 허리를 향해 연장된 복부지지편(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흉부지지편(10)은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흉부를 따라 상복부를 향해 연장되어 대흉근 및 소흉근을 자극할 수 있다. 상기 복부지지편(20)은 착용자의 상복부로부터 복부를 따라 허리를 향해 연장되어 하복근을 수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관절굴곡근과 허리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고, 요천추가 최적의 상태로 정렬되도록 하여 엉덩이, 골반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면부는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척추를 따라 허리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척추밴드(30)를 포함하는 척주지지편, 및 상기 척추밴드(30)로부터 착용자의 견갑골을 따라 어깨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 어깨밴드(40)를 포함하는 어깨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척추지지편은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척추를 따라 허리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척추밴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척추밴드(30)는 상기 자세교정의류의 후면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고, 상기 어깨밴드(40)와 같은 다른 밴드 및/또는 섬유편을 당기는 중심부 내지 기저부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척추밴드(30)는 그 아래에 위치한 착용자의 피부 중 일부의 피부신경수용기를 자극할 수 있다.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상기 척추밴드(3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점탄성 저항을 제공하면서 착용자의 자연스러운 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척추밴드(30)는 착용자가 상체를 전방으로 굽힐 때 후방으로의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척추밴드(30)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다른 밴드 및/또는 섬유편 또한 고유의 길이 및/또는 면적 방향을 따른 저항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척추밴드(30)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기 척추밴드(30)를 기설정된 범위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다른 밴드 및/또는 섬유편과 재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점탄성 저항은 상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근육을 훈련시켜 근육기억을 통한 자세교정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착용자가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자세교정의류의 보조에 의해 좋은 자세를 반복적으로, 연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장기간 근육기억이 생성되어 의식적인 노력없이도 좋은 자세가 더 쉽게 유지될 수 있다. 근육기억의 형성은 기억흔적이 외부 자극에 응답하여 신경조직에 저장되는 엔그램(engram)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밴드는 상기 척추밴드(3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추가밴드는 그 아래에 위치한 착용자의 피부 중 일부의 피부신경수용기를 자극할 수 있다.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밴드들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점탄성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깨지지편은 상기 후면부의 상부로부터 착용자의 양쪽 어깨영역 위를 거쳐 상기 전면부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상부에서 연결하여 착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깨지지편은 상기 척추밴드(30)로부터 착용자의 견갑골을 따라 어깨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 어깨밴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깨밴드(40)는 상기 척추밴드(30)로부터 양쪽 어깨영역 위를 거쳐 상기 전면부를 향해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어깨밴드(40)는 내측에 위치하여 승모근 부위를 자극하는 1쌍의 제1 어깨밴드(40) 및 외측에 위치하여 삼각근 부위를 자극하는 1쌍의 제2 어깨밴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깨밴드(40)는 견갑골 부위가 최적의 자세를 취하도록 착용자를 어깨를 뒤로 당길 수 있다.
상기 어깨지지편에서 상기 제1 및 제2 어깨밴드(40)는 상호 직접 연결, 재봉될 수 있고, 필요 시, 그 사이에 개재된 연결편에 의해 연결, 재봉될 수 있다. 즉, 상기 어깨지지편은 상기 제1 및 제2 어깨밴드(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어깨밴드(40)를 연결하는 1쌍의 제1 연결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편은 상기 제1 및 제2 어깨밴드(40)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어깨밴드(40)가 각각 승모근 및 삼각근 부위에 유효한 자극을 독립적으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측부에서 연결하여 착용자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1쌍의 수직부(51) 및 착용자의 명치를 가로질러 1쌍의 상기 수직부(51)를 연결하는 수평부(5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직부(51) 및 상기 수평부(52)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부(51)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양측에서 연결하여 착용자의 옆구리 부위를 커버하는 단일의 섬유편으로 이루어지므로, 광배근, 전거근, 복횡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등에 대한 교정력을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52)는 착용자의 명치를 가로질러 1쌍의 상기 수직부(51)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수직부(51) 및 상기 수평부(52)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부(52)의 양 말단은 각각 상기 수직부(51)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부(52)는 상기 흉부지지편(10) 및 상기 복부지지편(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부(52)는 그 양측에 구비된 상기 수직부(51)에 의해 착용자의 광배근, 전거근, 복횡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등에 인가되는 점탄성 저항을 분산시켜 착용자의 양 옆구리 부위에 대한 교정력이 균형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복직근의 근육긴장을 유도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교정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52)의 높이는 착용자의 명치를 가로지르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할 자세교정장치에 의한 능동적 교정효과가 더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측면부의 상기 수직부(51)와 상기 척추밴드(30)는 상호 직접 연결, 재봉될 수 있고, 필요 시, 그 사이에 개재된 연결편에 의해 연결, 재봉될 수 있다. 즉, 상기 척추지지편은 상기 척추밴드(3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척추밴드(30)와 상기 수직부(51)를 연결하는 1쌍의 제2 연결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편은 흉요추, 요추 및 허리엉치 척추 각각에 운동성, 안정성, 내구성 및 강도를 지지하고 제공하는 척추 주위근의 수동적 및 능동적 지탱을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편은 선형의 척추 정렬을 지지하고 척추 주위 흉부 신전근의 긴장 및 건강을 자극 및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겨드랑이를 향해 연장된 흉근앵커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깨밴드(40)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상기 척추밴드(30) 및 상기 흉근앵커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흉근앵커라인은 상기 흉부지지편(10) 및 상기 어깨지지편을 연결하는 섬유편 및/또는 재봉선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흉근앵커라인은 상기 자세교정의류의 상기 전면부를 고정하여 안정화시키고, 상기 어깨밴드(40)의 타단이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어깨밴드(4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후면부를 향해 나선상으로 당겨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깨밴드(40)의 일단은 상기 척추밴드(30)에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흉근앵커라인은 목 부위로부터 착용자의 가슴 부위를 향해 상기 자세교정의류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대흉근 및 소흉근을 자극할 수 있다.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상기 어깨지지편의 외측으로부터 착용자의 상완을 따라 연장된 소매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매편의 하단은 상기 수직부(5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매편은 회전근개에 인접해 있고, 견갑골 관절와 내에 있는 상완의 외부 회전과 수평 견갑골 안정근육의 수축을 자극할 수 있다. 상기 소매편은 관절와내 상완골을 정렬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근육강화, 운동범위, 자기수용성감각 및 이에 따른 어깨 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척추밴드(30),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어깨밴드(40)의 두께를 각각 ta, tb 및 tc라 할 때, ta ≥ tb ≥ tc일 수 있다. 상기 척추밴드(30)는 다른 밴드 및/또는 섬유편을 당기는 중심부 내지 기저부로 작용하므로 다른 밴드 및/또는 섬유편에 비해 점탄성 저항이 상대적으로 클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어깨밴드(40)는 그 자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점탄성 저항을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척추밴드(30)에 의해 제공되는 점탄성 저항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다른 밴드 및/또는 섬유편에 비해 점탄성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상기 측면부의 상기 수직부(51) 또한 상기 척추밴드(30)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척추밴드(30)에 의해 제공되는 점탄성 저항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척추밴드(30)의 점탄성 저항에 비해 점탄성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으나, 상기 수평부(52)가 상기 수직부(51)에 의해 인가되는 점탄성 저항의 불균형을 적절히 해소하기 위해 점탄성 저항이 상기 어깨밴드(40)에 비해 클 수 있다.
상기 자세교정의류의 상기 전면부, 상기 후면부 및 상기 측면부를 구성하는 섬유편 내지 섬유원단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LYCRA®스판덱스,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나일론, 엘라스토머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세교정의류가 신체에 꼭 맞도록 하는 임의의 소재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척추밴드(30), 상기 어깨밴드(40), 상기 측면부와 같은 자기수용성 및/또는 감각운동자극성 부재는 상기 자세교정의류의 착용자가 움직일 때 이들과 접촉한 피부의 정상 스트레치(자세교정의류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피부의 이동량)를 방지함으로써 피부신경수용기를 자극하여 착용자의 근육이 적절히 응답하도록 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기수용성 및/또는 감각운동자극성 부재는 임의의 탄성재료, 열탄성 플라스틱, 고무 또는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예를 들어, FABRIFOAM®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척추밴드(30),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어깨밴드(40)를 구성하는 섬유편의 소재 및 재봉 시 신장율이 각각 동일한 경우, 각각의 섬유편의 점탄성 저항은 상기 섬유편의 두께에 의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척추밴드(30),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어깨밴드(40)의 두께를 각각 ta, tb 및 tc라 할 때, ta ≥ tb ≥ tc, 바람직하게는, ta > tb > tc일 수 있다.
이러한 부위별 두께 구배는 각각의 부위를 구성하는 섬유편 내지 섬유원단의 층 수 및/또는 직조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척추밴드,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어깨밴드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섬유편 내지 섬유원단은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부위를 구성하는 섬유편 내지 섬유원단의 층 수가 동일한 경우 직조 방식을 달리하여 두께 구배를 부여할 수 있고, 직조 방식이 동일한 경우 층 수를 달리하여 두께 구배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자세교정의류의 상기 전면부, 상기 후면부 및 상기 측면부를 구성하는 섬유편 내지 섬유원단은 기재가 되는 의류의 외면 및/또는 내면에 부착되거나, 이러한 기재없이 각각의 섬유편 내지 섬유원단이 상호 연결, 재봉되어 하나의 자세교정의류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근골격계에 보다 직접적인 교정력 및 감각운동자극을 제공함과 동시에, 의류를 경량화하여 착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기재없이 각각의 섬유편 내지 섬유원단이 상호 연결, 재봉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상기 수평부(52)의 중앙에 고정된 자세교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52)는 착용자의 명치를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자세교정장치는 상기 수평부(52)의 중앙에 해당하는 착용자의 명치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명치 부위"는 흉골의 흉골체 하부, 검상돌기, 또는 검상돌기의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치 부위는 착용자의 체형, 비만도와 무관하게 흉부 및 상하복부에 비해 피하지방이 매우 얇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자세 변화에 따른 변위의 폭이 작고 그 빈도 또한 적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어깨 및/또는 목이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후퇴한 경우 척추와 견갑골에 발생한 변위에 비해 검상돌기 및/또는 그 하부에 발생한 변위는 작게 나타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의 부착 부위 및 신체 변위에 따른 각변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종래와 같이 자세교정장치가 착용자의 등 부위, 구체적으로, 척추 부위에 고정되는 경우, 착용자의 어깨 및/또는 목이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자세교정장치 자체에 θ1에 상응하는 각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자세교정장치가 착용자의 명치 부위에 고정되는 경우, 착용자의 어깨 및/또는 목이 전방으로 돌출되더라도 상기 자세교정장치 자체에 발생한 각변위 θ2는 θ1에 비해 현저히 작다.
상기 자세교정장치는 기설정된 기준정보에 기반하여 착용자의 자세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분석하는데, 착용자의 자세, 체형 등에 의해 상기 자세교정장치 자체의 변위가 빈번하게 발생하면 상기 기준정보가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없고, 상기 기준정보와 상기 자세정보 간 격차 내지 편차에 대한 일관되고 정확한 해석, 분석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세교정장치를 착용자의 명치 부위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기준정보의 변동성을 경감하고, 상기 자세교정장치가 상기 기준정보와 상기 자세정보 간 격차 내지 편차를 일관되고 정확하게 해석,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자세교정장치는 본체부(s) 및 상기 본체부(s)의 양단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고정부재(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52)는 상기 고정부재(F)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1쌍의 삽입구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삽입구에 상기 고정부재(F)가 삽입되어 상기 자세교정장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F)를 상기 삽입구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자세교정장치를 상기 자세교정의류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후면 내지 배면과 상기 수평부(52)의 중앙에는 상기 자세교정장치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는 벨크로 패드, 단추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자세교정장치의 상기 본체부는, 착용자의 제1 자세정보를 획득하는 제1 센서부(110), 기준정보 및 상기 제1 자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 상기 기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자세정보를 처리하여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110)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3축 자기 센서, GPS 센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및 3축 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는 착용자의 신체 및/또는 개별 부위의 기울기, 가속도, 진동 및 충격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3축 자이로 센서는 착용자의 신체 및/또는 개별 부위에 변위가 발생했을 때 그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축 자기 센서는 자기장을 통해 착용자의 신체 및/또는 개별 부위의 정확한 방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110)는 상기 3축 가속도 센서, 상기 3축 자이로 센서 및 상기 3축 자기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및/또는 개별 부위의 변위에 대해 9 자유도(9 Degrees Of Freedom)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상기 제1 자세정보를 보다 정교하게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센서부(110)는 착용자의 목, 어깨, 및/또는 척추 부위에 대해, 전후 굽힘, 좌우 굽힘, 좌우 회전, 전방 돌출 및 후방 후퇴를 포함하는 총 8 방향의 변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자세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는 기준정보 및 상기 제1 자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는 상기 자세교정장치가 구현하고자 하는 자세교정의 최종 상태를 정의하는 자세정보일 수 있고, 상기 기준정보는 착용자에 의해 입력된 체형, 자세, 비만도, 기타 건강상태에 따라 착용자에게 기본값 중 하나로 제공되거나, 착용자에 의해 맞춤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정보는 상기 자세교정장치가 구동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및/또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는 상기 자세교정장치의 구동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설정 정보로는, 예를 들어, 자세측정결과의 전송 방식(예를 들어, 실시간 전송, 주기적 전송), 전송 주기, 알림신호 출력 조건, 알림신호 출력 방식(예를 들어, 광학적 신호, 청각적 신호, 및 촉각적 신호), 스마트기기(160)에서의 자세측정결과 출력 방식 및 스마트기기(160)에서의 알림 신호 출력 조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기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자세정보를 처리하여 알림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자세교정장치 내 다른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센서부(110)가 획득한 상기 제1 자세정보를 스마트기기(160)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1 자세정보에 따른 알림신호를 생성하거나, 이들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자세가 상기 기준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알림신호가 생성, 출력될 수 있고, 상기 기준정보와의 일치 여부에 관계없이, 착용자의 자세가 좋은 자세에 악영향을 미치는 기준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알림신호가 생성,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0)는 상기 알림신호를 광학 신호, 청각 신호, 촉각 신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출력하 ㄹ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출력부(140)는 광학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광체, 청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촉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진동자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세교정장치는, 상기 제1 자세정보 및 상기 알림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스마트기기(160)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기기(160)로부터 상기 기준정보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한 근거리 및 장거리 통신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기기(16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가 유선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150)는 USB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스마트기기(160)의 통신사를 이용한 연결방식,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Wide Band, UWB),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제1 센서부(110) 및 후술할 제2 센서부(170)에 의해 측정된 착용자의 자세정보를 스마트기기(16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고, 착용자는 상기 스마트기기(160)에 상기 자세교정장치를 설정,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상기 기준정보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상기 통신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0)는 페어링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기기(16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자세교정장치의 동작에 관한 설정 정보를 상기 스마트기기(16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150)는 상기 제1 센서부(110) 및 후술할 제2 센서부(170)에 의해 측정된 자세정보를 상기 스마트기기(16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의류를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전도성 섬유가 자수된 전극을 포함하되, 착용자의 제2 자세정보를 획득하는 제2 센서부(170), 및 상기 전극과 상기 자세교정장치를 연결하도록 자수된 배선(17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세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20), 상기 제어부(130) 및 상기 통신부(150)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자세정보와 함께 저장, 처리 및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부(170)는 상기 자세교정의류를 구성하는 밴드 및/또는 섬유편의 적어도 일부에 전도성 섬유가 자수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은 상기 어깨밴드(40), 상기 척추밴드(30),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전도성 섬유가 자수된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센서부(170)는 상기 자세교정의류 중 상기 제1 센서부(110)만으로는 측정하기 어렵거나, 집중적인 교정이 필요한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복수의 빗살형 핑거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구조와 형태를 가지는 빗살형 전극(미도시)일 수 있으나, 그 구조와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센서부(170)는, 예를 들어,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3축 지자기 센서, GPS 센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압력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압력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제2 자세정보,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활동 간 인체의 각 부위에 전달되는 하중 내지 충격을 정교하게 측정, 분석,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부(170)는 상기 제1 센서부(110)만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압력, 하중, 충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자세정보를 상기 자세교정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자세교정장치에 의한 능동적 교정효과를 더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상기 자세교정의류를 구성하는 밴드 및/또는 섬유편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재봉선 내지 재봉부를 제외한 부위에 전도성 섬유가 자수된 배선(171)에 의해 상기 자세교정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선(171)이 재봉선 내지 재봉부에 자수되는 경우, 재봉선에 의한 물리적, 전기적 간섭에 의해 상기 제2 센서부(170)가 획득한 상기 제2 자세정보가 상기 자세교정장치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없다. 상기 제2 자세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20), 상기 제어부(130) 및 상기 통신부(150)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자세정보와 함께 저장, 처리 및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세교정장치는 RTC부(Real Time Clock, 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TC부(180)는 현재의 시간을 유지시키는 시계로서, 상기 자세교정장치에 내장된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시간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개입없이 초부터 년까지 디지털 카운터회로에 의존하여 시간을 셀 수 있다.
상기 RTC부(180)는 날짜와 시, 분, 초 등의 시간을 카운터하는 디지털 카운터회로로 구성될 수 있고, 디지털 카운터회로에서 사용하는 클럭 발생회로에 필요한 수정 발진자(결정 진동자)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별도로 주로 32.768kHz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RTC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110, 170)가 획득한 상기 자세정보와 이에 기반한 상기 알림신호를 각각의 발생 시간과 연계하여 착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자세정보와 상기 알림신호에 대한 시계열적인 분석 결과를 착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흉부지지편 20: 복부지지편
30: 척추밴드 40: 어깨밴드
51: 수직부 52: 수평부
s, s': 자세교정장치 31, 41: 제1 및 제2 연결편
110: 제1 센서부 120: 데이터베이스
130: 제어부 140: 출력부
150: 통신부 160: 스마트기기
170: 제2 센서부 171: 배선
180: RTC부

Claims (10)

  1.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흉부를 따라 상복부를 향해 연장된 흉부지지편 및 착용자의 상복부로부터 복부를 따라 허리를 향해 연장된 복부지지편을 포함하는 전면부;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척추를 따라 허리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척추밴드를 포함하는 척주지지편, 및 상기 척추밴드로부터 착용자의 견갑골을 따라 어깨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 어깨밴드를 포함하는 어깨지지편을 포함하는 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측부에서 연결하여 착용자의 옆구리를 지지하는 1쌍의 수직부 및 착용자의 명치를 가로질러 1쌍의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 및 상기 수평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자세교정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착용자의 목 부위로부터 겨드랑이를 향해 연장된 흉근앵커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깨밴드의 일단 및 타단은 각각 상기 척추밴드 및 상기 흉근앵커라인에 연결되는, 자세교정의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상기 어깨지지편의 외측으로부터 착용자의 상완을 따라 연장된 소매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매편의 하단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자세교정의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밴드,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어깨밴드의 두께를 각각 ta, tb 및 tc라 할 때, ta ≥ tb ≥ tc인, 자세교정의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상기 수평부의 중앙에 고정된 자세교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자세교정의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장치는,
    착용자의 제1 자세정보를 획득하는 제1 센서부,
    기준정보 및 상기 제1 자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기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자세정보를 처리하여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의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장치는,
    상기 제1 자세정보 및 상기 알림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스마트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기준정보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자세교정의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및 3축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의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 진동자, 발광체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의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의류는,
    전도성 섬유가 자수된 전극을 포함하되, 착용자의 제2 자세정보를 획득하는 제2 센서부, 및
    상기 전극과 상기 자세교정장치를 연결하도록 자수된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세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각각 상기 제1 자세정보와 함께 저장, 처리 및 전송되는, 자세교정의류.
KR1020210122528A 2021-09-14 2021-09-14 자세교정의류 KR10262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528A KR102623405B1 (ko) 2021-09-14 2021-09-14 자세교정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528A KR102623405B1 (ko) 2021-09-14 2021-09-14 자세교정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872A true KR20230039872A (ko) 2023-03-22
KR102623405B1 KR102623405B1 (ko) 2024-01-11

Family

ID=8600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528A KR102623405B1 (ko) 2021-09-14 2021-09-14 자세교정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4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2659A1 (en) * 2012-03-12 2013-09-12 Michael Levian Posture-Improving Garment
KR20140061424A (ko) * 2011-07-27 2014-05-21 인텔리스킨 유에스에이, 엘엘씨 감각운동자극 의류 및 방법
KR20210106169A (ko) * 2020-02-20 2021-08-30 조종대 체형교정용 상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1424A (ko) * 2011-07-27 2014-05-21 인텔리스킨 유에스에이, 엘엘씨 감각운동자극 의류 및 방법
US20130232659A1 (en) * 2012-03-12 2013-09-12 Michael Levian Posture-Improving Garment
KR20210106169A (ko) * 2020-02-20 2021-08-30 조종대 체형교정용 상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405B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3841B2 (en) Posture control and therapy system
US20190246709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s and methods
AU2010286851B2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US9119707B2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US20140196190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s and Methods
US20130211302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JP2016515432A (ja) 脳機能または感覚神経運動系機能と組み合わさって働く固有受容皮膚および身体センサー、視覚、前庭および身体感覚を仲介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210235786A1 (en) Garment
US11452317B2 (en) Posture correction bra
US20170231793A1 (en) Neuroarthromyofascial enhancement wear
KR102623405B1 (ko) 자세교정의류
US20210322197A1 (en) Orthotic appliance with continuously adjustable positioning of corrective elements
CN111163658A (zh) 姿势恢复服装装置系统
KR200497426Y1 (ko) 웨어러블 마사지 장치
US20230127834A1 (en) Trunk Exoskeleton
AU2015264849B2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WO2020154179A1 (en) Wearable tension apparatus
CN110934676A (zh) 姿态改善服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