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797A -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797A
KR20230039797A KR1020210121600A KR20210121600A KR20230039797A KR 20230039797 A KR20230039797 A KR 20230039797A KR 1020210121600 A KR1020210121600 A KR 1020210121600A KR 20210121600 A KR20210121600 A KR 20210121600A KR 20230039797 A KR20230039797 A KR 20230039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atch
bluetooth
plung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연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임수연
이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연, 이지연 filed Critical 임수연
Priority to KR102021012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797A/ko
Publication of KR2023003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61M2005/172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the body parameters being measured at, or proximate to, the infusion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Nur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인슐린 약물주머니와 미세침을 가지며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일체형 패치를 인체에 붙인 상태에서 스마트폰 어플과의 블루투스 연동으로 의사 처방을 받은 인슐린 약물을 인체에 정확한 용량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게 본체(1)와 패치부(1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는, 하부에 접지단자(2)를 가진 PCB기판(3), PCB기판(3)에 접속되어 스마트폰어플과 무선통신을 하는 블루투스모듈(4), PCB기판에 접속되어 진동을 수행하는 진동모듈(5), 각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6), 배터리 소진시 또는 이상발생시 점등되어 알리는 LED(7)로 구성되며, 상기 패치부(10)는, 약물주머니(11) 및 약물을 펌핑하는 플런저(12), 플런저에 의해 주입되는 약물을 인체에 주입하는 미세침(13), 상기 미세침(13)과 플런저(12)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14), 상기 미세침(13)과 플런저(12)의 하부에 위치되며 미세침(13)이 통과되는 구멍(14)을 가진 케이스(15), 미세침(13)과 플런저(12) 및 약물주머니(11)의 하부에 위치되는 밑판(16), 밑판(16)의 하부에 형성되며 접착성의 하이드로겔(18)을 가진 멸균드레싱부(17)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Bluetooth-linked patch type insulin self-injector}
본 발명은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슐린 약물주머니와 미세침을 가지며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일체형 패치를 인체(복부)에 붙인 상태에서 약물주머니에 QR코드가 붙어 있어 약물명, 용량, 기능, 유통기한 등의 필수정보가 자동 입력되며,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용량을 설정하여 주입할 수 있음은 물론, 체온변화, 충격감지, 저혈당 등의 위급 상황에 사용자 반응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119를 호출하고, 어플에서 시간별혈당, 인슐린주입기록 등을 자동으로 기록해 사용자가 건강상태를 체크 및 정리하여 검진시 유용하게 사용가능하며 혈당관리가 어려운 어린이나 노약자를 위한 보호자 모드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혈당체크와 인슐린주입용량을 설정하여 인슐린을 제때 주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약물주입기는 일정량의 약물이나 수액을 자동으로 환자 체내로 주입하기 위한 장치로 지속적인 약물주입이 필요한 만성질환자를 비롯하여 병동, 응급실, 수술실 등 거의 모든 의료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보편적인 의료기기이다.
이러한 의료용 약물주입기는 범용 인퓨전 펌프와 주사기 펌프로 나뉘는데, 범용 인퓨젼 펌프는 수액 백에 압력을 가해 수액을 주입하는 방식, 탄성체에 의해 약물저장고를 밀어내는 방식 또는 튜브를 연동식으로 압착하여 수액을 이송하는 방식 등을 사용하며, 주사기 펌프는 장착된 의료용 주사기의 피스톤을 모터의 작동에 의해 밀어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통상, 인슐린 주입기와 같이 매우 정밀한 약물의 주입 제어가 필요한 의료용 약물주입기의 경우에는 주사기 펌프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약물주입기는 병원 내에서뿐만 아니라 병원 밖에서 환자가 일상생활을 하는 중에도 약물 주입이 가능하도록 작고 휴대할 수 있게 제공된다.
한편, 종래의 약물주입기는 약물을 자동으로 정밀하게 주입하기 위한 구동부와 제어부가 내장된 본체에 약물 저장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약물 저장부에 저장된 약물이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약물주입기를 재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나, 최근에는 본체와 약물이 저장된 카트리지가 탈부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 방식의 약물주입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방식의 약물주입기는 구동부와 제어부가 내장된 본체는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약물이 소진된 경우에는 카트리지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환자들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다.
종래의 카트리지 방식 약물 주입기에 있어서는,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된 경우에 압전펌프 패키지에 의해 카트리지에 저장된 약물이 자동으로 환자에게 주입되어 정밀한 약물 주입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주사형태의 인슐린은 가지고 다니기가 번거롭고 맞아야 하는 약물의 종류가 2가지 이상이어서 주사를 잘못 맞았을 경우 통증이 심할 뿐만 아니라 멍이 들 수도 있고, 1회용이어서 바늘을 매번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인슐린 주사를 맞을 때 다른 사람의 시선을 피해 숨어서 약물을 주입해야 하는 등의 제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인슐린의 경우 약물량 표기단위가 일반적인 mL가 아니라 unit이기 때문에 약물 투여시 투여 용량 혼동으로 인하여 과투여될 수 있어 어지러움과 식은 땀 등의 저혈당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종래에는 혈당, 주입량 등의 모든 이력을 한눈에 확인 가능하고, 혈당 요약본 기간별 추이 가능하며 기기 유효기간도 확인 가능하나, 외관상 보기 좋지 않고 위급상황 외에도 알람소리를 들어야 함은 물론, 위급시는 물론, 평상시에도 소리조절이 불가하고 본체 진동모드가 없으며, 휴대폰 및 특정기기 사용시에만 알람을 사용하며 간단하게 혈당을 확인할 때에도 비밀번호 입력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보호자 원격 주입이 불가능하여 환자 본인만 인슐린을 주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14712호 특허출원번호 제10-2016-0121952호 특허출원번호 제10-2016-0103088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패치형으로 간단히 인체에 붙이면 미세침이 인체에 거의 통증없이 삽입되어 몸에 멍이 남지 않으며, 약물주머니로부터 플런저에 의해 인슐린이 인체에 정확한 용량으로 주입되어 사용하기가 편리한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의사는 물론, 일반인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기와 약물주머니를 가진 패치에 본체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한 것으로, 본체에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되어 있어 함께 제공되는 본체 고유번호가 등록된 QR코드를 어플로 인식하여 페어링함으로써 스마트폰 어플과의 연동으로 의사처방에 따른 인슐린의 정확한 용량이 주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 후 약물주머니와 플런저 및 미세침이 포함된 패치부는 1회용 소모품이므로 분리하여 버리고, 본체는 계속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위급상황에 사용자 반응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119를 호출하고, 보호자모드가 구비되어 환자대신에 보호자가 환자의 건강을 관리하고 약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게 본체와 패치부로 구성되어 패치부로부터 본체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하부에 접지단자를 가지며 충격감지센서, 체온/혈당측정센서를 가진 PCB기판과, 상기 PCB기판에 접속되어 스마트폰어플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PCB기판에 접속되어 진동을 수행하는 진동모듈과, 상기 각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모듈과, 배터리 소진시 또는 이상발생시 점등되어 이를 알리기 위한 LED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부에 상기 패치부와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치부는, 약물이 들어있는 약물주머니와, 상기 약물주머니로부터 약물을 펌핑하여 주입하기 위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의해 공급되는 약물을 인체에 주입하며 혈당, 체온감지 등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미세침과, 상기 미세침과 플런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미세침과 플런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미세침이 통과되는 구멍을 가진 케이스와, 상기 미세침과 플런저 및 약물주머니의 하부에 위치되는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의 하부에 형성된 멸균드레싱부와, 상기 멸균드레싱 하부에 형성되어 인체에 부착되도록 접착성을 가진 하이드로겔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인슐린 약물주머니와 미세침을 가지며 본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일체형 패치를 인체에 붙이고 스마트폰 어플과의 블루투스 연동으로 의사 처방을 받은 인슐린 약물을 인체에 정확한 용량으로 주입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인슐린의 과용량주입에 따른 어지러움과 식은 땀 등의 저혈당 증세로 인해 쇼크로까지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패치를 인체에 붙여 인슐린을 주입한 후 미세침(바늘)을 가진 패치를 일회성으로 버림으로써 위생을 유지하여 2차감염위험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으며, 본체는 계속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폐기물로 인한 환경보호는 물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치부를 인체에 붙이면 미세침이 인체에 삽입되면서 인슐린이 주입되어 기존과 같이 주사바늘을 꽂지 않아도 되므로 통증없이 안전하게 인슐린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어플에 보호자 모듈이 포함되어 있어 환자 대신 보호자가 환자의 건강을 관리해 주고 제때에 인슐린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본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패치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119 응급서비스 어플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본체의 단면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본체(1)와 패치부(10)로 구성되어 패치부로부터 본체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하부에 접지단자(2)를 가지며 충격감지센서(3a), 체온/혈당측정센서(3b)를 가진 PCB기판(3)과, 상기 PCB기판(3)에 접속되어 스마트폰어플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4)과, 상기 PCB기판에 접속되어 진동을 수행하는 진동모듈(5)과, 상기 각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모듈(6)과, 배터리 소진시 또는 이상발생시 전등되어 이를 알리기 위한 LED(7)로 구성되며, 하부에 상기 패치부(10)와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8)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패치부(10)는, 약물이 들어있는 약물주머니(11)와, 상기 약물주머니(11)로부터 약물을 펌핑하여 주입하기 위한 플런저(12)와, 상기 플런저에 의해 주입되는 약물을 인체에 주입하기 위한 미세침(13)과, 상기 미세침(13)과 플런저(12)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14)와, 상기 미세침(13)과 플런저(12)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미세침(13)이 통과되는 구멍(14)을 가진 케이스(15)와, 상기 미세침(13)과 플런저(12) 및 약물주머니(11)의 하부에 위치되는 밑판(16)과, 상기 밑판(16)의 하부에 형성되며 접착성의 하이드로겔(18)을 가진 멸균드레싱부(17)로 구성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a는 접지단자이고, 9는 약물주머니로부터의 약물이 이동되는 라인으로, 막힐 경우를 대비하여 2줄로 분리하여 설치한 것이다.
단, 상기 패치부(10)는 소모성을 갖기 때문에 사용 이후에는 본체(1)가 포함된 패키지가 아닌 약물 패치만을 구매한다.
상기 하이드로겔(18)은, 미세침(13)의 옆까지 부착되어 있어 향상된 접착성으로 들뜸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제 성분에 알러지 반응이 있는 사용자를 위해 접착제 성분이 강한 멸균드레싱부(17)는 최소한 사용하고 안전성있는 접착을 위해 나머지부분은 하이드로겔을 사용한다.
단, 상기 본체(1)와 패치부(10)의 결합시 본체(1) 하부의 접지단자(2)가 케이스(15)의 접지단자(14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호 동작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단, 상기 미세침(13)은 하나 또는 다수개 설치할 수 있으며, 투명 프라스틱으로 캡을 만들어 찔릴 위험성을 낮추고 실링을 이용한 오염방지와 부착이 용이하며, 상기 멸균드레싱부(17)는 얇고 유연한 재질로 편안한 착용감과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며,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음은 물론, 뛰어난 접착성을 가지며 액체와 세균의 투과를 막아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착용한 채로 샤워가 가능한 생활방수효과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단, 상기 약물주머니(11)는, 얇은 박막(0.5~1.2㎜ 정도의 아주 얇은 맴브레인 형태)으로 이루어져 각 구멍은 물방울보다 20,000배 작고, 비와 눈이 절대로 침투할 수 없으며 방수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는 인체에 바늘이 찔리는 고통없이 안전하고도 쉽게 인슐린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간단히 패치부(10)의 실링을 떼어내고 인체에 붙이면, 패치부(10)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침(13)이 인체에 삽입되어 인슐린을 주입할 수 있다.
즉, 상기 패치부(10)의 밑판(16)에는 하이드로겔(18)을 가진 멸균드레싱부(17)가 포함되어 있어 예를 들어, 상기 하이드로겔(18)에 붙어 있는 얇은 미세비닐을 벗겨내고 패치부(10)를 인체에 붙이면, 하이드로겔(18)에 의해 패치부(10)가 인체에서 떨어지지 않고 잘 붙어 있게 된다.
상기 멸균드레싱부(17)는 얇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패치부(10)를 부착한 상태에서 편안한 착용감과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며 피부에 자극이 거의 없다.
여기서, 상기 패치부(10)에는 삽입부(14)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삽입부(14)를 본체(1)의 삽입홈(8)에 삽입하면, 본체(1)가 패치부(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패치부(10)를 인체에 부착한 상태에서 이러한 본체(1)에 포함되어 있는 블루투스 모듈(4)을 통하여 스마트폰 어플과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스마트 어플의 메인페이지에는 주요 기능들을 한 번에 모아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제품과 연동된 인슐린주입기 본체(1)의 배터리를 확인 가능하고, 제품과 연결되어 있는 약물의 잔여량을 확인 가능하며, 위젯처럼 사용자가 자주 쓰는 기능을 서랍에 즐겨찾기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사가 처방해준 처방전대로 제약회사에서 정해진 용량의 약을 패치로 제작하여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인술린 주입량과 주입시기 등을 설정하여 인슐린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인슐린 주입량은 의사와 상의 후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양을 찾아 교육받은 후 상황에 따라 용량을 바꿔가면서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내 잔여 인슐린 확인이 가능하고, 시간별로 주입량을 설정 가능하며, 즉시 주입이 가능하고, 상기 즉시 주입으로 일정량 주입 후 몇시간에 걸쳐 꾸준히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상태 관리, 즉 이력을 확인(당뇨수첩 내용확인)하여 월간으로, 차트 형태 또는 달력 페이지에서 원하는 날짜를 선택해 해당 날짜의 기록 확인이 가능하고, 주간으로, 혈당/인슐린 수치를 차트형태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일간으로, 혈당/인슐린(시간별 주입량)/식단 등 사용자가 입력한 건강 관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기록들은 사용자가 건강 관리를 하거나 병원에서 진찰 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배터리 절약을 위하여 LED(7)가 점등되지 않으며, 전원 온,오프시에 브랜드 색상이 점등되고 배터리 부족시나 약물주입불량시 또는 약물주입구 막힘 등의 위급상황시는 물론, 사용자의 건강상태위급시에 LED(7)가 적색으로 360도 회전하면서 점등되어 이상상태를 알리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시, 본체(1)의 진동모듈(5)을 통해 진동이 발생되어 인체에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가 부착된 상태에서 진동을 통해 이상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패치부(10)를 통하여 진동이 발생되어 이상상태를 알림과 함께 스마트폰 어플을 통하여서도 특정음의 소리가 발생되어 이상상태임을 알리므로 사용자는 스마트폰 어플을 통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스마트폰 어플을 통하여 제어신호가 발생되면, 본체(1)의 블루투스 모듈(4)을 통해 신호가 수신되어 PCB기판(3)에서 해당되는 제어를 수행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체(1)와 스마트폰 어플과의 연동은, 약물주머니(11)에 붙은 QR코드를 스캔하여 약물명, 약물량, 조제일자 등 약물에 관한 정보를 자동입력하고 처방전을 스캔하여 복용량과 기간을 자동입력한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용량을 설정하여 주입할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폰 어플의 메인화면에는, 도 6과 같이, 위급상황시 사용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어 이러한 위급상황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119호출이 이루어져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상기 119호출은, 체온이나 혈당 등의 건강상 문제 발생시, 응급신고로 팝업알림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충격감지시 알림시간이 지나도 5분간 별다른 동작감지 불가시 자동으로 신고를 수행한다.
이때, 보이싱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충격감지센서를 추가하여 넘어져 의식이 없거나 다칠 경우에 자동으로 119로 신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위급상황발생시, 사용자에게 위험이 감지되었음을 제품 진동을 통해 알리며, 사용자가 위급 팝업에 대한 별다른 반응이 없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신고한다.
특히, 본 발명의 패치부(10)의 PCB기판(3)에 인체의 혈압이나 당뇨 등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충격감지센서(3a), 체온/혈당측정센서(3b)가 구비되어 있어 충격감지 또는 사용자의 혈당이나 혈당 등이 실시간 체크되어 이를 스마트폰 어플을 통하여 알려줌과 동시에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병원으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효과적인 검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알림서비스는, 사용자가 자동입력을 꺼두었을 경우, 팝업과 알림을 통해 사용자에게 복약, 혈당체크를 알리며, 만일, 혈당 관리가 잘 안될 시 일반적인 원인 및 정보를 제공하는 창을 생성하여 병원 진료 필요성을 알린다.
상기 혈당체크는, 블루투스 기능이 있는 혈당기와 연동하고, 혈당기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혈당을 체크하며, 자동 측정외에도 사용자가 직접 날짜, 시간, 측정 값을 기록하여 수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1)에 무선충전이 가능한 것으로, 통상의 C 단자나 A단자를 통한 유선 충전은 물론, 무선으로도 배터리모듈(6)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것으로, 한번 충전하면 최대 1개월까지 배터리전원이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어플을 통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할 수 있음과 함께 보호자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환자 대신 주변의 보호자가 건강을 관리해 주고 약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자 모듈은, 가족관계 증명서, 본인인증 등을 이용한 철저한 본인확인을 통해 보호자 계정 가입이 가능하고, 혈당 기록, 인슐린 주입량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슐린 주입량을 입력하여 주입이 가능하고, 인슐린 주입을 위한 비밀번호를 생성하며 주입할 때마다 비밀번호(지문인식이나 얼굴인식 또는 홍채인식)를 입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챗봇(질문 페이지)이 설정되어 있어 언제든지 어플의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는 도우미 버튼을 제공함은 물론, 처음 질병을 겪거나 혼동되는 상황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1:본체 2:접지단자
3:PCB기판 3a:충격감지센서
3b:체온/혈당측정센서 4:블루투스모듈
5:진동모듈 6:배터리모듈
7:LED 8:삽입홈
10:패치부 11:약물주머니
12:플런저 13:미세침
14:구멍 15:케이스
16:밑판 17:멸균드레싱부
18:하이드로겔

Claims (5)

  1. 본체와 패치부로 구성되어 패치부로부터 본체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본체가, 하부에 접지단자를 가지며 충격감지센서, 체온/혈당측정센서를 가진 PCB기판과, 상기 PCB기판에 접속되어 스마트폰어플과 연동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PCB기판에 접속되어 진동을 수행하는 진동모듈과, 상기 각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모듈과, 배터리 소진시 또는 이상발생시 점등되는 LED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치부가, 약물이 들어있는 약물주머니와, 상기 약물주머니로부터 약물을 펌핑하기 위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의해 주입되는 약물을 인체에 주입하기 위한 미세침과, 상기 미세침과 플런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미세침이 통과되는 구멍을 가진 케이스와, 상기 미세침과 플런저 및 약물주머니의 하부에 위치되는 부착판과, 상기 밑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접착성의 하이드로겔을 가진 멸균드레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접속단자를 가진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치부의 케이스에는 접속단자를 가진 삽입부가 형성되어 본체와 패치부의 결합시 삽입부가 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접속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B기판의 센서가,
    충격감지 또는 사용자의 체온/혈당 이상 감지시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119로 사용자위치를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알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본인확인을 거친 보호자가 어플에 자동으로 기록된 사용자의 혈당기록, 인슐린 주입량을 실시간 확인하고, 상기 기록을 통해 체크와 관리 및 인슐린을 주입하며, 인슐린 주입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주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의 약물주머니에,
    본체와 스마트 어플 페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스마트폰 어플에서 QR코드로부터 약물명, 약물량, 조제일자를 인식하여 자동입력하고, 처방전을 스캔하여 복용량과 기간을 자동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KR1020210121600A 2021-09-13 2021-09-13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KR20230039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00A KR20230039797A (ko) 2021-09-13 2021-09-13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00A KR20230039797A (ko) 2021-09-13 2021-09-13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797A true KR20230039797A (ko) 2023-03-22

Family

ID=86005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600A KR20230039797A (ko) 2021-09-13 2021-09-13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79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712A (ko) 2011-07-29 2013-02-12 주식회사 우리은행 다국어뱅킹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3088A (ko) 2014-01-24 2016-08-31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연신 블로우 성형 용기 및 다층 프리폼
KR20160121952A (ko) 2015-04-13 2016-10-21 장종복 차열 방화셔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712A (ko) 2011-07-29 2013-02-12 주식회사 우리은행 다국어뱅킹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3088A (ko) 2014-01-24 2016-08-31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연신 블로우 성형 용기 및 다층 프리폼
KR20160121952A (ko) 2015-04-13 2016-10-21 장종복 차열 방화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9800B2 (en) Medical fluid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detachable patch and monitoring
ES2831602T3 (es) Sistema de inyección integrado y dispositivo de comunicaciones
CN106659842B (zh) 用于药物输送设备的记录设备
US8945066B2 (en) Medication injection site and data collection system
EP2776115B1 (en) Medicinal patch and injector system
US10795973B2 (en) Medicament training device and system
US11786173B2 (en) Medical fluid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detachable patch and monitoring
EP3016586B1 (en) Advanced health monitoring system
WO2014029416A1 (en) Therapeutic system with an adaptor for an infusion set
CN114832183A (zh) 贴身注射器及其使用方法
EP3201900B1 (en) Medicament training device and system
US20230293108A1 (en) Medical fluid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reusable patch
KR20220088703A (ko) 약물 전달 조정
EP0980688A2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utomatic insulin syringe device with doctor mode
KR20230039797A (ko) 블루투스 연동 패치형 인슐린 자가 약물주입기
KR20210061500A (ko) 카트리지형 인슐린 스마트 주사기
US20230181819A1 (en) Medication compliance management system
US11676512B2 (en) Injection training device
US20220265934A1 (en) Syringe with disposable body and reusable cap enabling dose capture
US20230302224A1 (en) Medication Injection Site and Data Collection System
US11915813B2 (en) Medication compliance management method
EP3290074A1 (en) Infusion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