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414A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414A
KR20230039414A KR1020210122709A KR20210122709A KR20230039414A KR 20230039414 A KR20230039414 A KR 20230039414A KR 1020210122709 A KR1020210122709 A KR 1020210122709A KR 20210122709 A KR20210122709 A KR 20210122709A KR 20230039414 A KR20230039414 A KR 20230039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handle
front cover
door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정
신대기
유세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414A/ko
Publication of KR2023003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Abstract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손잡이가 감춰진 형태의 도어를 제공한다. 이로써 손잡이가 노출 및 돌출됨에 따라 야기되는 주변 기기와의 간섭이나 사용자의 부딪힘 혹은, 표면 디자인 변경의 어려움 등에 따른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장치{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제빵 및 발효 기능을 가지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 장치는 연료나 가스 혹은, 전기를 이용하여 생성한 고온의 열기로써 가열실 내의 조리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조리 장치에는 본체 내에 제공되는 가열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도어는 본체에 대하여 좌우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전후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81667호(선행문헌 1),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119139호(선행문헌 2),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82973호(선행문헌 3) 등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한편, 상기 도어에는 손잡이가 각각 구비되면서 해당 도어의 개폐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는 해당 도어의 전면 중 어느 한 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이로써 사용자는 해당 도어를 파지한 상태로 원활히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도어 손잡이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선행문헌 1 또는, 선행문헌 3과 같이 상하 회전식의 도어를 가지는 오븐의 경우 상기 손잡이로 인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지 못할 수 있다. 즉, 도어의 개방시 손잡이가 지면에 닿음으로써 해당 도어의 개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선행문헌들의 경우 가열실 내의 바닥과 수평한 방향으로 트레이를 진입시키는 작업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고, 도어의 두께는 상기 손잡이의 돌출 거리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밖에 없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전술된 각 선행기술들의 도어에 제공되는 손잡이는 돌출형 구조이기 사용자가 주변을 지나는 과정에서 해당 사용자의 몸이나 의류 혹은, 각종 주방용 도구가 상기 손잡이에 부딪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된 각 선행기술들의 도어에 제공되는 손잡이는 돌출형 구조이기 때문에 해당 도어에 대한 디자인 개선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상기 손잡이로 인해 도어의 전면 디자인을 소비자가 원하는데로 변경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예컨대, 도어의 전면 색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손잡이를 분리한 후 도어의 전면을 교체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3의 경우는 도어와는 별도로 조작패널이 제공되면서 해당 오븐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3의 전면은 상기 조작패널과 도어가 서로 구분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서로 간의 사이에 도어의 동작을 위한 최소한의 틈새가 제공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틈새로 인해 조리 장치의 전면에 대한 디자인 개선에 어려움이 있었다.
선행기술 2의 경우 도어와 조작패널이 일체로 제공되기 때문에 전술된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 2도 상기 조작패널의 구조에 의해 도어의 전면에 대한 색상 변경이나 디자인 변경에 어려움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81667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119139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82973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를 숨김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야기되는 도어의 완전한 개방 불량이나 사용자 혹은, 조리도구 등의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가 조작이 용이하고, 사용 도중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전면에 대한 디자인 변경을 일반 사용자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조리 공간을 제공하면서 전면이 개방된 조리챔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캐비넷 내의 조리챔버 내로 가열 공기를 제공하는 가열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캐비넷 내의 조리챔버에 냉각 공기를 제공하는 냉각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손잡이부를 가지는 도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후면플레이트에는 조리 공간과 연통된 연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전면커버는 후면플레이트의 전방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전면커버에는 연통공을 통해 조리챔버 내를 볼 수 있도록 투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전면커버의 투시공에는 투시창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손잡이부는 투시창의 상단과 전면커버에 형성된 투시공의 상부 둘레 사이에 형성되는 손잡이용 개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손잡이부는 손잡이용 개구를 향해 돌출되는 손잡이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손잡이턱의 하단은 조리챔버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손잡이턱의 내면에는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손가락 걸이부는 손잡이턱의 내면에 요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손가락 걸이부는 전면커버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손가락 걸이부는 단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후면플레이트와 전면커버 사이에는 차단벽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차단벽은 후면플레이트의 연통공과 손잡이용 개구를 가로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차단벽은 전면커버로부터 후면플레이트로 갈수록 상향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차단벽의 하단은 전면커버에 형성된 투시공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차단벽의 상단은 손잡이용 개구의 상단 높이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차단벽의 전면에는 보호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보호패드는 단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투시창은 전면커버의 전면으로부터 요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투시창의 상단 배면은 차단벽의 하단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전면커버의 전면에는 전면패널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전면패널은 단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전면패널은 전면커버의 전면에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전면패널과 전면커버의 부착을 위한 자력부재 중 어느 한 자력부재는 전면커버 혹은, 전면패널의 표면으로부터 요입되게 설치되고, 다른 한 자력부재는 전면커버 혹은, 전면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도어의 전면커버에는 다이얼 형태의 조작부가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전면패널에는 조작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가열부는 조리챔버 내의 상측 벽면에 제공되는 히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캐비넷 내의 조리챔버의 상측에는 조리챔버 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론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따르면, 도어에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연통공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공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아래의 각종 효과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손잡이부가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비돌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돌출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야기되는 부딪힘이나 도어의 완전 개방 불가 등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손잡이부를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요입되게 형성하면서도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가 조리 공간 내의 고온 열기로 가열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상(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손잡이부가 투시창의 상단과 투시공의 상부 둘레 사이를 이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손잡이부로 인한 디자인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도어의 전면에 교체 가능한 전면패널이 제공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디자인으로의 변화가 가능하다. 특히 전면패널은 자력부재를 이용함과 더불어 조작부는 다이얼 구조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전면패널을 교체할 수 있고 조작부로 인한 교체시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전방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후방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내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빵용 트레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도어를 나타낸 전방측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도어를 나타낸 후방측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도어를 나타낸 후방측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도어를 저부에서 본 상태의 전방측 사시도
도 12는 도 5의 “A”부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도어로부터 전면 패널 및 투시창이 분해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도어로부터 전면 패널의 후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도어로부터 전면 패널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조리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전방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후방측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손잡이가 감춰진 형태의 도어(500)를 제공한다. 이로써 손잡이가 노출 및 돌출됨에 따라 야기되는 주변 기기와의 간섭이나 사용자의 부딪힘 혹은, 표면 디자인 변경의 어려움 등에 따른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캐비넷(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0)은 조리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이다.
상기 캐비넷(100)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비넷(100)의 후면은 후면커버(11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폐쇄되거나 혹은, 캐비넷(100) 내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비넷(100) 내부는 복수의 서로 구분된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캐비넷(100) 내부는 전후구획벽(120)에 의해 전방측 공간과 후방측 공간으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조리챔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챔버(200)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이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7는 조리챔버가 도시되고 있다. 여기서,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제빵용 트레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챔버(200)는 전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챔버(200)는 상기 캐비넷(100) 내부의 각 공간 중 전방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챔버(200)의 개방된 전면과 상기 캐비넷(100)의 개방된 전면은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챔버(200)는 상기 캐비넷(10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면서 상기 캐비넷(100) 내의 전방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캐비넷(100) 내부는 상기 조리챔버(200)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및 후방측의 설치 공간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조리챔버(200)의 저면은 캐비넷(100)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챔버(200)의 저면과 캐비넷(100) 내의 바닥면 사이에는 동작모터(61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동작모터(610)는 조리챔버(200) 내에 제빵용 통체(620)가 수용될 경우 상기 제빵용 통체(620) 내의 반죽을 교반하는 교반용도의 모터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조리챔버(200)의 상면은 캐비넷(100) 내의 상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챔버(200)의 상면과 캐비넷(100) 내의 상측 벽면 사이(이하, “챔버 상측공간”이라 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챔버 상측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론(6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기 마그네트론(630)은 도파관(도시는 생략됨)을 통해 상기 조리챔버(200)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0) 내에 제공되는 전후구획벽(120)은 상기 조리챔버(200)의 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캐비넷(100) 내부는 상기 조리챔버(200)가 위치된 전방측 공간 및 상기 전후구획벽(120)에 의해 설치 공간이 제공되는 후방측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가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00)는 상기 캐비넷(100) 내의 조리 공간으로 열기를 제공하도록 제공되는 가열원이다. 즉, 상기 가열부(300)의 제공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고온의 열기로 조리물을 조리하는 오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300)는 제1시스히터(sheath heater)(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시스히터(310)는 상기 조리챔버(200) 내의 상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시스히터(310)에 의해 조리챔버(200) 내의 상측 공간으로부터 고온의 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300)는 제2시스히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시스히터(320)는 상기 조리챔버(200) 내의 바닥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시스히터(320)는 상기 조리챔버(200)의 외측 바닥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시스히터(320)에 의해 조리챔버(200) 내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고온의 열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열부(300)는 면발열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가스를 이용한 버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냉각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400)는 상기 캐비넷(100) 내의 조리 공간으로 냉각 공기를 제공하도록 제공되는 냉기열원이다. 즉, 상기 냉각부(400)의 제공에 의해 조리 공간 내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조리(예컨대, 발효 기능 등)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각부(400)는 상기 캐비넷(100) 내의 후방측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부(400)는 조리챔버(200)의 후방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조리챔버(200)로 냉각 공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챔버(200)의 후벽면에는 냉각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통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공기통공(210)은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면서도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부(40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냉각부(400)는 압축기(410)와 응축기(도시는 생략됨)와 증발기(430) 및 팽창기(도시는 생략됨)를 가지는 냉동싸이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부(400)는 냉매의 유동 및 상변화 특성을 이용하여 냉각 공기를 생성한 후 캐비넷(100) 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냉각부(400)는 열전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에 따른 흡열 반응으로 조리챔버(200)를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400)가 열전소자로 구성될 경우 상기 조리챔버(200)의 어느 한 표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도어(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500)는 캐비넷(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500)는 조리챔버(200)의 조리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500)의 개폐 동작에 의해 조리 공간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거나 혹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500)는 첨부된 도 6 및 도 7과 같이 캐비넷(1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500)는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 중 양측 저부에 각각 힌지(501) 결합되면서 전후(상하)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500)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후면플레이트(510)와 전면커버(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면플레이트(510)는 도어(500)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커버(520)는 도어(500)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후면플레이트(510)에는 조리챔버(200)의 개방된 전면과 연통되도록 연통공(5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공(511)은 상기 조리챔버(200)의 개방된 전면과 같거나 혹은,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면플레이트(510)의 전면 중 상기 연통공(511)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연통공(511)을 덮도록 설치되는 다공프레임(53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다공프레임(530)은 다수의 미세 통공이 형성된 박판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조리 장치가 마그네트론(630)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다공프레임(530)의 제공을 통해 마이크로웨이브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다공프레임(530)에 형성되는 미세 통공은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520)는 도어(500)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둘레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면커버(520)의 전면과 상기 후면플레이트(510)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520)에는 투시공(5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투시공(521)을 통해 상기 연통공(511) 내측의 조리 공간에 대한 상태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공(521)에는 투시창(5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시창(540)은 예컨대, 내열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창(540)은 상기 전면커버(520)의 전면으로부터 요입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커버(520)의 전면에 상기 투시창(540)의 두께만큼 요입된 홈을 형성하여 상기 투시창(540)이 전면커버(520)의 전면에 요입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후술될 전면패널(570)의 장착시 투시창(540)의 돌출로 인한 간섭 발생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도어(500)에는 손잡이부(550)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손잡이부(550)는 도어(5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부(550)가 돌출됨으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550)는 상기 투시창(540)의 상단과 상기 투시공(521)의 상부 둘레 사이에 형성되는 손잡이용 개구(5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용 개구(551)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 부위를 파지하면서 도어(5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1과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550)는 손잡이턱(5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턱(552)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 부위로 제공된다.
이러한 손잡이턱(552)은 전면커버(520)에 형성된 투시공(521)의 상부 둘레로부터 상기 손잡이용 개구(551)를 향해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손잡이턱(552)의 하향 돌출 거리만큼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거나 혹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손잡이턱(552)의 하단은 조리챔버(20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조리챔버(200)로부터 전도 혹은, 복사되는 열기의 영향을 최대한 적게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사용자가 손잡이턱(552)을 파지하더라도 손잡이턱(552)의 온도로 야기될 수 있는 화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턱(552)의 내면에는 손가락 걸이부(55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가락 걸이부(553)는 상기 손잡이턱(55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면서 사용자가 손잡이턱(552)을 파지할 경우 미끌림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손가락 걸이부(553)는 상기 손잡이턱(혹은, 전면커버)(552)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턱(552)은 가전제품의 특성상 사출물이나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미끌림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는 것을 고려할 때 예컨대, 고무재질이나 실리콘재질로 손가락 걸이부(553)를 형성하여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손가락 걸이부(553)를 손잡이턱(혹은, 전면커버)(552)와 다른 재질로 형성할 경우 상기 손가락 걸이부(553)는 상기 손잡이턱(552)의 내면에 요입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손잡이턱(552) 내면에 요입홈(552a)을 형성하고, 상기 손가락 걸이부(553)는 상기 요입홈(552a) 내에 끼움 혹은, 부착 결합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손잡이 걸이부(553)의 잦은 파지에도 불구하고 상기 손잡이 걸이부(553)가 손잡이턱(552) 내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플레이트(510)와 전면커버(520) 사이에는 상기 후면플레이트(510)의 연통공(511)과 상기 손잡이용 개구(혹은, 손잡이턱)(551)를 가로막는 차단벽(56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벽(560)의 제공을 통해 상기 연통공(511)으로부터 누출되는 열기가 상기 손잡이용 개구(551)나 손잡이턱(552)에 제공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차단벽(560)은 상기 전면커버(520)로부터 상기 후면플레이트(510)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벽(560)의 하단이 전면커버(520)에 형성된 투시공(521)의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차단벽(560)의 상단은 상기 손잡이용 개구(551)의 상단 높이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경사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손잡이턱(552)을 파지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정확한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조리챔버(200)의 열기가 상기 차단벽(560)으로 전도 혹은, 복사되면서 상기 차단벽(560)이 가열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도 있고, 이로써 사용자가 불만을 가지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차단벽(560)의 가열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추가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차단벽(560)의 후면에는 상기 연통공(511)으로부터 누출되는 열기가 상기 차단벽(560)으로 제공됨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차단턱(56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차단벽(560)의 표면에 보호패드(56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패드(562)는 단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재질의 보호패드(562)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차단벽(560)이 가열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패드(562)는 실시예의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벽(56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차단벽(560)의 후면에 보호패드(562)를 설치하거나 혹은, 차단벽(570)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보호패드(562)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손잡이용 개구(551)의 하단은 상기 연통공(511)의 상단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용 개구(551)가 연통공(511)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통공(511)을 통해 전달되는 열기가 상기 손잡이용 개구(551)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투시창(540)의 상단 배면은 상기 차단벽(560)의 하단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투시창(540)의 상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동작 중 유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때, 보호패드(562)는 상기 투시창(540)의 상면을 받쳐주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패드(562)에 의해 상기 투시창(540)은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520)의 전면에는 박판으로 형성되는 전면패널(570)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면패널(570)은 사실상 조리 장치의 전면이며, 조리 장치를 빌트인 구조로의 설치시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이다. 이를 고려할 때 주변 색상을 고려한 색상의 전면패널(570)로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면패널(570)은 전면커버(520)를 통한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해 단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520)의 전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1자력부재(522)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패널(570)에는 상기 각 제1자력부재(522)에 부착되는 제2자력부재(57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면커버(520)와 전면패널(570)이 서로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손쉽게 전면패널(570)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자력부재(552)와 제2자력부재(572) 중 어느 한 자력부재는 전면커버(520) 혹은, 전면패널(570)의 표면으로부터 요입되게 설치되고, 다른 한 자력부재는 전면커버(520) 혹은, 전면패널(57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전면커버(520)와 전면패널(570)이 서로 면접촉될 수 있으면서도 전면패널(570)이 전면커버(520)로부터 유동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도어(500)의 전면커버(520)에는 운전의 수동 조작을 위한 조작부(5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80)는 다이얼 형태로 형성하여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전면패널(570)에는 상기 조작부(580)가 관통되는 관통공(57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조작부(580) 및 관통공(573)의 구조에 의해 조작부(580)를 전면커버(52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전면패널(570)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조리 장치는 전자레인지, 오븐레인지, 발효기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 장치를 전자레인지로 사용할 경우 마그네트론(630)의 동작 제어에 의한 마이크로웨이브의 제공으로 조리챔버(220) 내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만일, 조리 장치를 오븐레인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가열부(300)의 발열 제어에 의한 고온 열기의 제공으로 조리챔버(200) 내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만일, 조리 장치를 발효기로 사용할 경우에는 가열부(300)의 발열 제어 혹은, 냉각부(400)의 동작 제어에 의한 고온 열기와 냉각 공기의 선택적인 공급으로 조리챔버 내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즉, 가열부(300)와 냉각부(400)가 동시에 제공되기 때문에 조리챔버(200) 내에 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고 이로써 저온 숙성이나 고온 숙성 등 다양한 방식의 발효나 숙성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리 장치의 각 기능 사용시 조리챔버(200) 내로 조리물을 투입하거나 혹은, 조리된 조리물을 취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어(500)를 개방한다.
이러한 도어(500)의 개방은 손잡이부(550)의 손잡이용 개구(551) 내로 손가락을 삽입하고 손잡이턱(552)을 파지하면서 조작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턱(552)에는 손가락 걸이부(553)가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잡이턱(552)을 정확히 파지한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용 개구(551)로 손가락을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손잡이용 개구(551) 내에 위치된 차단벽(560)에 의해 손가락이 손잡이용 개구(551) 내로 과도히 삽입됨은 방지되고, 손잡이턱(552)을 정확히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차단벽(560)은 조리 공간 내에서 발생되어 조리챔버(200)나 다공프레임(530)으로 고온의 열기가 전도되더라도 해당 열기가 손잡이용 개구(551) 내부나 손잡이턱(552)으로 제공됨을 차단한다. 이로써 상기 손잡이턱(552)이 가열되는 현상은 방지된다.
이와 함께, 상기 차단벽(560)의 표면에는 보호패드(562)가 부착됨을 고려할 때 사용자가 차단벽(570)에 손가락이 닿더라도 화상을 당하지는 않는다.
한편, 도어(500)의 전면패널(57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교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다른 색상의 전면패널(570)을 적용하고자 할 경우 기존 전면패널(570)을 전면커버(520)로부터 분리하여 취출한 후 새로운 전면패널(570)을 전면커버(520)에 부착 고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 전면패널(570)과 전면커버(520)는 복수의 자력부재(522,572)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의 부착이나 분리를 위한 조작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어(500)에 설치되는 조작부(580)는 다이얼 구조로 형성되고, 전면패널(570)에는 상기 조작부(580)가 관통되는 관통공(573)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580)를 전면커버(52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전면패널(570)을 교체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손잡이부(550)가 도어(500)의 표면으로부터 비돌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돌출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야기되는 부딪힘이나 도어(500)의 완전 개방 불가 등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손잡이부(550)를 도어(500)의 표면으로부터 요입되게 형성하면서도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위가 조리 공간 내의 고온 열기로 가열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상(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손잡이부(550)가 투시창(521)의 상단과 투시공(521)의 상부 둘레 사이를 이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손잡이부(550)로 인한 디자인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도어(500)의 전면에 교체 가능한 전면패널(570)이 제공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디자인으로의 변화가 가능하다. 특히 전면패널(570)은 자력부재(522,572)를 이용함과 더불어 조작부(580)는 다이얼 구조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전면패널(570)을 교체할 수 있고 조작부(580)로 인한 교체시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기능과, 오븐레인지의 기능, 발효나 반죽이 가능한 제빵기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상기 각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로도 구성될 수가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조리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의 제공이 가능하다.
100. 캐비넷 110. 후면커버
120. 전후구획벽 200. 조리챔버
210. 공기통공 300. 가열부
310. 제1시스히터 320. 제2시스히터
400. 냉각부 500. 도어
510. 후면플레이트 511. 연통공
520. 전면커버 521. 투시공
522. 제1자력부재 530. 다공프레임
540. 투시창 550. 손잡이부
551. 손잡이용 개구 552. 손잡이턱
552a. 요입홈 553. 손가락 걸이부
560. 차단벽 561. 보조차단턱
562. 보호패드 570. 전면패널
572. 제2자력부재 573. 관통공
580. 조작부

Claims (20)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 내에 구비되어 전면이 개방된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챔버;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며, 손잡이부를 가지면서 상기 조리챔버의 조리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후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조리챔버의 개방된 전면과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된 후면플레이트와, 전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전방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통공을 통해 조리챔버 내를 볼 수 있도록 투시공이 형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의 투시공에 설치되는 투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투시창의 상단과 상기 전면커버에 형성된 투시공의 상부 둘레 사이에 형성되는 손잡이용 개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 형성된 투시공의 상부 둘레로부터 상기 손잡이용 개구를 향해 하향 돌출되는 손잡이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턱의 내면에는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턱 내면에는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요입홈 내에 끼움 혹은, 부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상기 전면커버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턱의 하단은
    상기 조리챔버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플레이트와 전면커버 사이에는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연통공과 상기 손잡이용 개구를 가로막는 차단벽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전면커버로부터 상기 후면플레이트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의 하단은 상기 전면커버에 형성된 투시공의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차단벽의 상단은 상기 손잡이용 개구의 상단 높이에 이르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의 전면에는 보호패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드는 단열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전면커버의 전면으로부터 요입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의 상단 배면은 상기 차단벽의 하단 전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전면에는 박판으로 형성되는 전면패널이 교체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전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1자력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각 제1자력부재에 부착되는 제2자력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력부재와 제2자력부재 중 어느 한 자력부재는 전면커버 혹은, 전면패널의 표면으로부터 요입되게 설치되고, 다른 한 자력부재는 전면커버 혹은, 전면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커버에는 운전의 수동 조작을 위한 다이얼 형태의 조작부가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면패널에는 상기 조작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조리챔버 내의 상측 벽면에 제공되는 히터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 내의 조리챔버의 상측에는 조리챔버 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론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는 후면플레이트에 형성된 연통공을 덮도록 설치되면서 마이크로웨이브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다공프레임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20.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 내에 구비되어 전면이 개방된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챔버;
    상기 캐비넷 내에 구비되어 조리 공간에 열기를 제공하는 가열부;
    상기 캐비넷 내의 조리챔버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조리 공간에 냉각 공기를 제공하는 냉각부;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며, 손잡이부를 가지면서 상기 조리챔버의 조리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후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조리챔버의 개방된 전면과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된 후면플레이트와, 전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전방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통공을 통해 조리챔버 내를 볼 수 있도록 투시공이 형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의 투시공에 설치되는 투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투시창의 상단과 상기 전면커버에 형성된 투시공의 상부 둘레 사이에 형성되는 손잡이용 개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장치.

KR1020210122709A 2021-09-14 2021-09-14 조리 장치 KR20230039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709A KR20230039414A (ko) 2021-09-14 2021-09-14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709A KR20230039414A (ko) 2021-09-14 2021-09-14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414A true KR20230039414A (ko) 2023-03-21

Family

ID=8580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709A KR20230039414A (ko) 2021-09-14 2021-09-14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41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667A (ko) 2006-02-13 2007-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제품용 도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가열 장치
KR20080082973A (ko) 2006-01-10 2008-09-12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가전 제품 도어 및 해당 작동 모듈
KR20100119139A (ko) 2009-04-30 2010-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레인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973A (ko) 2006-01-10 2008-09-12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가전 제품 도어 및 해당 작동 모듈
KR20070081667A (ko) 2006-02-13 2007-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제품용 도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가열 장치
KR20100119139A (ko) 2009-04-30 2010-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레인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702B2 (en) Cooking apparatus
WO2018001075A1 (en) Oven bottom with cooking surface
KR20160131814A (ko) 조리기기
JP2021073430A (ja) 加熱調理器
EP1392084B1 (en) Cooking apparatus having heaters
EP2026014A1 (en) A cooking appliance
KR20060013777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KR102104894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50133503A1 (en) Cooling structure for oven door of microwave oven usable as pizza oven
KR20230039414A (ko) 조리 장치
KR20130017202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100686772B1 (ko) 전기오븐레인지
KR101623975B1 (ko) 조리기기
KR200390573Y1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챔버 고정구조
KR100707426B1 (ko) 용기 가열용 히터가 구비된 전기오븐
KR100247614B1 (ko) 가열 조리기의 양면 그릴
KR200365635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3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2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4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JPH0544946A (ja) 加熱調理器
KR200377058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KR200380334Y1 (ko) 전기오븐의 안티팁브라켓 장착구조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080062782A (ko) 빌트인 타입의 오븐 설치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