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270A -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270A
KR20230039270A KR1020210122362A KR20210122362A KR20230039270A KR 20230039270 A KR20230039270 A KR 20230039270A KR 1020210122362 A KR1020210122362 A KR 1020210122362A KR 20210122362 A KR20210122362 A KR 20210122362A KR 20230039270 A KR20230039270 A KR 20230039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istory
health
information
activity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009B1 (ko
Inventor
김황
진효정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2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00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사용자에게 당뇨병 관련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건강 관련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 관련 입력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출력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관리부는 상기 건강 관련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디스플레이 하는 활동 이력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활동 이력 GUI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시간축선과, 상기 시간축선 상에 대응하는 시점에 따라 차례대로 위치하는 활동 이력 지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활동 이력 지시부는,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 약물 투여 이력 지시부, 운동 이력 지시부 및 음식 섭취 이력 지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의 확대 지시 동작에 의해 상기 시간축선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들 중 인접하는 두 혈당 이력 지시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활동 이력 지시부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 {HEALTH CARE SERVING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DIABETIC PATIENT}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인슐린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거나 세포가 인슐린의 신호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 혈당량이 증가하여 오줌에 섞여 나오는 질환이다. 인슐린은 이자의 이자섬이라는 조직에서 분비되어 식사 후 올라간 혈당을 낮추는 기능을 한다. 즉, 인슐린은 혈액 속의 당이 세포 안으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하고, 남은 포도당은 간에서 글리코겐으로 전환하여 저장시킨다. 이때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거나, 분비되더라도 몸에서 인슐린을 이용하는 기능에 문제가 있을 때 당뇨병이 나타난다.
당뇨병 치료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자가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당뇨환자가 병원 등에서 제공하는 수첩에 자신의 혈당 수치를 꾸준히 기록하더라도, 단순히 기록된 자신의 혈당 만이 파악되어, 효과적으로 당뇨병을 관리하기 어렵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2041323호에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식단 정보를 단말기의 어플을 이용하여 서버에 업데이트하고 서버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영양소를 당뇨질환과 관련하여 분석하고 이를 출력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41323호 (2019.11.27)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당뇨병과 관련한 활동 이력을 직관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사용자에게 당뇨병 관련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건강 관련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 관련 입력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출력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관리부는 상기 건강 관련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디스플레이 하는 활동 이력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활동 이력 GUI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시간축선과, 상기 시간축선 상에 대응하는 시점에 따라 차례대로 위치하는 활동 이력 지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활동 이력 지시부는,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 약물 투여 이력 지시부, 운동 이력 지시부 및 음식 섭취 이력 지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의 확대 지시 동작에 의해 상기 시간축선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들 중 인접하는 두 혈당 이력 지시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활동 이력 지시부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사용자에게 당뇨병 관련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건강 관련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 관련 입력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출력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관리부는 상기 건강 관련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디스플레이 하는 활동 이력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 관련 입력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 입력 GUI를 제공하며, 상기 활동 이력 GUI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시간축선과, 상기 시간축선 상에 대응하는 시점에 따라 차례대로 위치하는 활동 이력 지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정보 입력 GUI는 단일폐곡선의 궤도와, 상기 궤도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자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자의 위치에 따라 입력값이 조절되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당뇨병 관련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당뇨병 관련 건강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비스 운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은,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건강 관련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 관련 입력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출력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관리부는 상기 건강 관련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디스플레이 하는 활동 이력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활동 이력 GUI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시간축선과, 상기 시간축선 상에 대응하는 시점에 따라 차례대로 위치하는 활동 이력 지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활동 이력 지시부는,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 약물 투여 이력 지시부, 운동 이력 지시부 및 음식 섭취 이력 지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의 확대 지시 동작에 의해 상기 시간축선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들 중 인접하는 두 혈당 이력 지시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활동 이력 지시부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이 생성한 활동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가 제공하는 활동 이력 GUI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시간축선과, 상기 시간축선 상에 대응하는 시점에 따라 차례대로 위치하는 활동 이력 지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의 확대 지시 동작에 의해 상기 시간축선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들 중 인접하는 두 혈당 이력 지시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활동 이력 지시부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가 당뇨병과 관련한 활동 이력을 직관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가 제공하는 정보 입력 GUI는 단일폐곡선의 궤도와, 상기 궤도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자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자의 위치에 따라 입력값이 조절되므로, 사용자가 당뇨병과 관련된 정보를 직관적으로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관련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의 활용 이력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추가 정보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활동 정보 입력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이벤트를 등록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 입력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벤트 정보 입력 화면에 정보가 입력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다른 사용자 및 조언자와의 주고받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블록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의 당뇨환자들 각각이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당뇨환자에게 조언을 하는 복수의 조언자들 각각이 사용하는 조언자 단말기(150)와,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서비스 운영 서버(17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10), 조언자 단말기(150) 및 서비스 운영 서버(170)는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 네트워크(N)는 인터넷 통신망인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와 조언자 단말기는 무선 통신으로 인터넷 통신망인 통신 네트워크(N)에 접속되며, 서비스 운영 서버(170)는 유선 통신으로 인터넷 통신망인 통신 네트워크(N)에 접속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당뇨환자들 각각이 사용하는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당뇨환자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당뇨환자가 아닌 정상인일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는 달리 태블릿 피씨 등 휴대 가능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른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N)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서비스 운영 서버(170) 및 조언자 단말기(150)와 데이터 및 정보를 주고 받는다. 사용자 단말기(1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된다. 도 2에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관련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기능 선택부(112)와, 입력 관리부(114)와, 출력 관리부(116)와, 통신부(118)를 구비한다.
기능 선택부(112)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한 건강 관리 서비스와 관련한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기능 선택부(112)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은 활동 이력 출력, 활동 정보 입력, 이벤트 등록 및 메시지 관리를 포함한다.
입력 관리부(114)는 기능 선택부(112)를 통해 선택된 기능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관리한다.
출력 관리부(116)는 기능 선택부(112)를 통해 선택한 기능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보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GUI를 포함하는 적절한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10)에 출력한다.
통신부(118)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110), 조언자 단말기(150) 및 서비스 운영 서버(170)와 건강 관리 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생성되는 건강 관리 서비스 관련 데이터는 모두 서비스 운영 서버(17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출력하는 기능에서 디스플레이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디스플레이하는 활동 이력 GUI(120)는 시간축선(121)과, 시간축선(121)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시간 표시부(126) 및 이력 표시부(130)를 제공한다.
시간축선(121)은 화면에서 길게 연장되는 세로 방향(높이 방향)을 따라서 실선의 직선으로 연장되며, 화면의 가로 방향(폭 방향) 중심에 위치한다. 시간축선(121)은 시간에 대응하는 축선이다. 사용자는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세로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축선(121)의 구간을 변경시킬 수 있다. 시간축선(121)의 상단에는 대응하는 날짜가 표시된다. 시간축선(121) 상에는 사용자의 활동 이력이 발생한 때를 표시하는 복수의 활동 이력 지시부(122, 123, 124, 125)들이 표시된다.
복수의 활동 이력 지시부(122, 123, 124, 125)들은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와, 음식 섭취 이력 지시부(123), 운동 이력 지시부(124) 및 약물 투여 이력 지시부(125)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활동 이력 지시부(122, 123, 124, 125)들은 시간축선(121) 상에 위치하는 원형의 점 형태이고, 종류에 따라서 다른 색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는 시간축선(121) 상에서 사용자가 혈당 확인을 한 시점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는 시간축선(121) 상에 위치하는 원형의 점 형태이고 다른 종류의 지시부(123, 124, 125)와 쉽게 구별되도록 다른 색인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에 인접하여 시간 표시부(126)에는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에 대응하여 정확한 혈당 확인 시각이 표시된다. 또한,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에 인접하여 이력 표시부(130)에는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에 대응하여 확인된 정확한 혈당 수치가 표시된다.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 시간 표시부(126)에 표시되는 혈당 확인 시각 및 이력 표시부(130)에 표시된 혈당 수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하는 혈당 확인 정보를 입력 관리부(114)가 처리하고, 이를 출력 관리부(116)가 사용자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다.
음식 섭취 이력 지시부(123)는 시간축선(121) 상에서 사용자가 음식을 섭취한 시점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음식 섭취 이력 지시부(123)는 시간축선(121) 상에 위치하는 원형의 점 형태이고 다른 종류의 지시부(122, 124, 125)와 쉽게 구별되도록 다른 색인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음식 섭취 이력 지시부(123)을 터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 섭취 이력 지시부(123)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음식 사진, 열량, 음식점 등)가 팝업되어서 표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는 음식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하는 음식 관련 정보를 입력 관리부(114)가 처리하고, 이를 출력 관리부(116)가 사용자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다.
운동 이력 지시부(124)는 시간축선(121) 상에서 사용자가 운동을 한 시점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운동 이력 지시부(124)는 시간축선(121) 상에 위치하는 원형의 점 형태이고 다른 종류의 지시부(122, 123, 125)와 쉽게 구별되도록 다른 색인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운동 이력 지시부(124)을 터치하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운동 이력 지시부(124)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에 대한 정보(운동 종류 등)가 팝업되어서 표시된다. 운동 이력 지시부(124)를 터치하여 표시되는 운동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하는 운동 관련 정보를 입력 관리부(114)가 처리하고, 이를 출력 관리부(116)가 사용자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다.
약물 투여 이력 지시부(125)는 시간축선(121) 상에서 사용자에게 약물이 투여된 시점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투여된 약물은 인슐린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약물 투여 이력 지시부(125)는 시간축선(121) 상에 위치하는 원형의 점 형태이고 다른 종류의 지시부(122, 123, 124)와 쉽게 구별되도록 다른 색인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약물 투여 이력 지시부(125)을 터치하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시부(124)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투여된 약물에 대한 정보(약물 종류, 투여량 등)가 팝업되어서 표시된다. 약물 투여 이력 지시부(125)를 터치하여 표시되는 약물 투여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입력하는 약물 투여 정보를 입력 관리부(114)가 처리하고, 이를 출력 관리부(116)가 사용자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다.
시간 표시부(126) 및 이력 표시부(130)는 시간축선(121)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위치한다. 시간 표시부(126)는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에 인접하여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에 대응하는 정확한 혈당 확인 시각을 표시한다. 이력 표시부(130)는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에 인접하여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에 대응하여 확인된 정확한 혈당 수치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이력 표시부(130)에 표시된 특정 혈당 수치를 터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다른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와의 시간축선(121) 상의 거리가 시간축선(121)의 연장방향을 따라 멀어지면서 이력 표시부(130)의 영역에 거리가 멀어진 두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시부들에 대응하는 상세한 정보(도 5에서는 음식 섭취와 운동 수행에 대한 이력 정보)가 대응하는 지시부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된다. 거리가 멀어진 두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122)를 연결하는 시간축선은 파선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5의 화면에서 이력 표시부(130)에 표시된 특정 혈당 수치를 터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사용자가 이력 표시부(130)에 표시된 특정 혈당 수치를 터치하면, 도 5와 같은 화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시간 표시부(126)에 표시된 특정 시각을 터치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도 5와 같은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활동 정보 입력 기능에서 디스플레이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활동 정보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입력 GUI(140)는 혈당 정보 입력부(141)와, 음식물 섭취 정보 입력부(146)를 포함한다.
혈당 정보 입력부(141)는 사용자가 확인한 혈당 수치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형의 궤도(142)와, 궤도(142)를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자(143)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궤도(142)가 원형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타원 등 다른 형태의 단일 폐곡선일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동자(143)는 사용자가 확인된 정확한 혈당 수치를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이동자(143)를 터치한 상태에서 궤도(142)를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확인된 혈당 수치를 지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자(143)가 궤도(142) 상에서 기준점인 12시 지점으로부터 시계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수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궤도(142)의 내부 영역에는 이동자(143)의 위치에 대응하는 혈당 수치가 이동자(143)의 이동에 따라 변하면서 표시된다.
음식물 섭취 정보 입력부(146)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을 섭취한 식당, 음식물의 사진, 음식물 종류, 섭취량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GUI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입력 관리부(114)에 의해 처리되어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출력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이벤트 등록 기능에서 디스플레이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벤트는 일상적인 활동 외에 계획되는 활동을 의미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벤트를 등록하면서, 예상되는 조건(음식, 활동, 스트레스, 시간 조절)과 스케줄을 입력하게 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벤트 정보 입력 화면에 정보가 입력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에 다른 사용자 및 조언자와의 주고받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110)에 기록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코멘트를 남겨서 도움을 줄 수 있다.
조언자 단말기(150)는 당뇨환자에게 조언을 하는 복수의 조언자들 각각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는 달리 데스크탑 컴퓨터일 수도 있다. 조언자 단말기(150)를 사용하는 조언자는 당뇨병 관리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진 모든 사람을 포함한다. 조언자 단말기(150)는 통신 네트워크(N)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사용자 단말기(110) 및 서비스 운영 서버(170)와 데이터 및 정보를 주고 받는다. 조언자 단말기(17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된다. 조언자는 조언자 단말기(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기록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코멘트를 남겨서 도움을 줄 수 있다.
서비스 운영 서버(170)는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10)들 및 복수의 조언자 단말기(150)들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 서비스 운영 서버(17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건강 관리와 관련된 모든 입력 데이터 및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출력되는 모든 출력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서비스 운영 서버(17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 단말기(110)들과 조언자 단말기(150)들 사이에 전송되는 메시지 데이터도 모두 저장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사용자 단말기 112 : 기능 선택부
114 : 입력 관리부 116 : 출력 관리부
118 : 통신부 120 : 활동 이력 GUI
121 : 시간축선 122 :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
123 : 음식 섭취 이력 지시부 124 : 운동 이력 지시부
125 : 약물 투여 이력 지시부 126 : 시간 표시부
130 : 이력 표시부 140 : 정보 입력 GUI
141 : 혈당 정보 입력부 142 : 궤도
143 : 이동자 146 : 음식물 섭취 정보 입력부
150 : 조언자 단말기 170 : 서비스 운영 서버

Claims (12)

  1.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사용자에게 당뇨병 관련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건강 관련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 관련 입력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출력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관리부는 상기 건강 관련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디스플레이 하는 활동 이력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활동 이력 GUI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시간축선과, 상기 시간축선 상에 대응하는 시점에 따라 차례대로 위치하는 활동 이력 지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활동 이력 지시부는,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 약물 투여 이력 지시부, 운동 이력 지시부 및 음식 섭취 이력 지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의 확대 지시 동작에 의해 상기 시간축선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들 중 인접하는 두 혈당 이력 지시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활동 이력 지시부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동 이력 GUI는 상기 시간축선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시간 표시부와 이력 표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시간 표시부는 상기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에 대응하는 정확한 혈당 확인 시각을 표시하며,
    상기 이력 표시부는 상기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에 대응하는 정확한 혈당 수치를 표시하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혈당 확인 시각 부분 및 상기 혈당 수지 부분의 터치를 상기 확대 지시 동작으로 인식하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세 정보 확인 동작에 의해 상기 시간축선에 위치하는 복수개 활동 이력 지시부들 중 선택된 하나의 활동 이력 지시부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창이 디스플레이되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활동 이력 지시부의 터치를 상기 상세 정보 확인 동작으로 인식하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 관련 입력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 입력 GUI을 더 제공하며,
    상기 정보 입력 GUI는 단일폐곡선의 궤도와, 상기 궤도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자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자의 위치에 따라 입력값이 조절되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궤도는 원형인,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궤도의 내부 영역에 상기 이동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값의 수치가 상기 이동자의 이동에 따라 변하면서 표시되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련 입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 혈당 정보인,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10.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사용자에게 당뇨병 관련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서,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건강 관련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 관련 입력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출력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관리부는 상기 건강 관련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디스플레이 하는 활동 이력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 관련 입력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 입력 GUI를 제공하며,
    상기 활동 이력 GUI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시간축선과, 상기 시간축선 상에 대응하는 시점에 따라 차례대로 위치하는 활동 이력 지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정보 입력 GUI는 단일폐곡선의 궤도와, 상기 궤도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자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자의 위치에 따라 입력값이 조절되는,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11. 사용자에게 당뇨병 관련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당뇨병 관련 건강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비스 운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은, 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건강 관련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강 관련 입력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출력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관리부는 상기 건강 관련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디스플레이 하는 활동 이력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활동 이력 GUI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시간축선과, 상기 시간축선 상에 대응하는 시점에 따라 차례대로 위치하는 활동 이력 지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활동 이력 지시부는,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 약물 투여 이력 지시부, 운동 이력 지시부 및 음식 섭취 이력 지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의 확대 지시 동작에 의해 상기 시간축선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혈당 확인 이력 지시부들 중 인접하는 두 혈당 이력 지시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활동 이력 지시부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이 생성한 활동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비스 운영 서버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언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언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생성한 활동 이력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122362A 2021-09-14 2021-09-14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 KR102557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62A KR102557009B1 (ko) 2021-09-14 2021-09-14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62A KR102557009B1 (ko) 2021-09-14 2021-09-14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270A true KR20230039270A (ko) 2023-03-21
KR102557009B1 KR102557009B1 (ko) 2023-07-17

Family

ID=8580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362A KR102557009B1 (ko) 2021-09-14 2021-09-14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0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376A (ko) * 2011-01-04 2012-07-12 주식회사 하이드 스마트폰에서 당뇨관리 앱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34416A (ko) *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인포피아 질병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장치
KR20150117812A (ko) * 2014-04-11 2015-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숫자의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8525042A (ja) * 2015-07-06 2018-09-06 アボット ダイアベティス 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bbott Diabetes Care Inc. エピソードの検出及び評価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102041323B1 (ko) 2018-01-05 2019-11-27 안태홍 당뇨질환자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376A (ko) * 2011-01-04 2012-07-12 주식회사 하이드 스마트폰에서 당뇨관리 앱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34416A (ko) *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인포피아 질병 관리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장치
KR20150117812A (ko) * 2014-04-11 2015-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숫자의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8525042A (ja) * 2015-07-06 2018-09-06 アボット ダイアベティス 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bbott Diabetes Care Inc. エピソードの検出及び評価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102041323B1 (ko) 2018-01-05 2019-11-27 안태홍 당뇨질환자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009B1 (ko) 202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7339B2 (en) Analyte meter
Drincic et al. Evidence-based mobile medical applications in diabetes
US20160006774A1 (en) Downloadable software application for managing lifestyle resources
US11101026B2 (en) Schedule-based electronic medical record modules, applications, and uses thereof
US8643648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context-linked importation of user information
US20130304493A1 (en) Disease management system
US20140249850A1 (en) Critical condition module
US20130197929A1 (en) Healthcare communication system
US20120239420A1 (en)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N102341821A (zh) 用于服务于具有慢性疾病或健康状况的用户的医疗系统和方法
JP2014504404A (ja) 健康管理のための健康管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グラフィック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2012123803A (ja) 健康管理のための健康管理装置、方法、及びグラフィック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Singh et al. Mobile health
JP4946277B2 (ja) 回答依頼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557009B1 (ko) 당뇨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시스템
US82341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ronic illness care
Smaradottir et al. Evaluation of Technology Use in an Inter-Disciplinary Patient-Centered Health Care Team.
Al-Azzam [Retracted] Research on the Impact of mHealth Apps on the Primary Healthcare Professionals in Patient Care
KR20200062692A (ko) 증상 기록 및 공유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70540A (ko) 입원 환자 음식 섭취량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00075147A1 (en) Remote controlled digital system that connects pati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JP2023094126A (ja) 服薬指導システム
WO2024107179A1 (en) Automated asset identification system
Hernando et al. A mobile telemedicine workspace for diabetes management
CA2752654C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context-linked importation of user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