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059A -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059A
KR20230039059A KR1020210121913A KR20210121913A KR20230039059A KR 20230039059 A KR20230039059 A KR 20230039059A KR 1020210121913 A KR1020210121913 A KR 1020210121913A KR 20210121913 A KR20210121913 A KR 20210121913A KR 20230039059 A KR20230039059 A KR 2023003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manufacturing
mineral
cosmetic base
base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금영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금영
Priority to KR102021012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059A/ko
Publication of KR2023003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0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영 0.5kg, 백운모 0.5kg, 조장석 0.5kg, 효모 5g와 푸른곰팡이균 5g을 물 1kg에 주입시켜 35℃에서 6시간 정도 경과한 후에 에탄올(주정원액) 2kg 을 첨가하여 1 주일간 숙성시킨 후 발효조에 보관하여 2주간 방치하여 제조된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미용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Mineral-containing cosmetic bas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eauty pack using it}
본 발명은 석영, 백운모, 조장석으로 조성된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존층의 파괴로 인하여 자외선의 노출이 심화되고, 이에 따라 피부의 보호를 위한 많은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색소 관련 피부질환, 예를 들면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은 멜라닌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노화 등의 원인에 따라 생리 기능이 떨어져서 멜라닌이 피부 표면에 침착되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얼굴 미용 시 사용되는 팩으로는 과일이나 채소를 얇게 자르거나 즙을 내어 얼굴에 직접 바르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므로, 이 방식은 재료준비에 따른 시간 소요 등 불편한 폐단이 있었으며, 피부 면에 별다른 효능이 없었고 얼굴 피부 면에 팩 재료를 직접 올려놓거나 발라서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얼굴 팩을 하는 동안에는 항상 누운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바, 활동에 제한을 받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 천연물을 이용하여 기미, 주근깨, 자외선 과다 노출로 인한 피부질환, 아토피성 피부질환 등을 개선하기 위한 제품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광물질을 물 또는 알칼리수로 처리한 다음 이를 다양한 무기물 또는 안정화제로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광물질 용해액에 녹두 분말 등의 기능성을 증대시키는 부가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기술들이 최근에 많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55332 (2005.06.13.) 호에는 액상에서 다량의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천연 광물질 용해액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00095645 (2020.08.11.)호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피부미용 마스크 팩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미용 마스크 팩에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뛰어난 천연 광물질이 함유되어 피부 개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피부미용 마스크 팩 및 그 제조 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689170000(2010.07.01.)호에는 전체조성물의 중량대비 백토 분말 5~30 중량%, 맥반석 분말 5~20 중량%, 마치현, 토사자, 복분자, 당귀, 감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제조한 한약재추출물 5 ~ 15 중량%, 알로에베라 2 ~ 7 중량%, 오이, 감자, 녹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제조한 야채즙 0.2 ~ 3 중량%, 천연오일 0.5 ~ 2 중량%, 천연점착제 2 ~ 15 중량%, 활성탄 2 ~ 9 중량%, 보조첨가제 0.1 ~ 1.0 중량%, 정제수 10 ~ 70 중량% 로 구성된 미용팩용 조성물과 이 조성물을 이용한 미용팩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003160000 (2008.01.28.)호에는 황토 미용팩 분말 100 중량부를 물 20∼150 중량부에 머드형태로 혼합시킨 쑥 머드 미용팩에 있어서, 상기 황토 미용팩 분말은 입자크기 10∼500 ㎛의 황토 분말 50∼80 중량%, 쑥 분말 또는 쑥 목초액 엑기스 5∼20 중량%, 입자크기 5∼200 ㎛의 거정석, 맥반석, 게르마늄, 제올라이트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기능성 광물질 1∼15 중량%,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증점제 1∼10 중량%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된 수용성 고분자 0.1∼5 중량%로 구성된 분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쑥 머드 미용팩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532040000 (2008.08.13.)호에는 광물인 황토와 해초추출물인 소디움알기네이트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황토의 다공질에 의한 흡착성과 원적외선 방사로 인하여 피부 깊숙히 침투한 노폐물을 쉽게 배출시키고, 해초추출물인 소디움알기네이트의 작용에 따라 피부를 부드럽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해초추출물을 이용한 미용팩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15553호에는 콜로이드화 실버 방부제(colloidal silver) 25 내지 35중량%, 겔화조성물 5 내지 15중량%, 난황유 등의 오일 1 내지 5중량%, 첨가제 0.5 내지 1.5중량% 및 잔량으로서 오이, 감귤, 알로에, 당근, 쑥, 감자, 선인장(백년초), 토마토, 매실 등의 각종 야채 및 과일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해초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인삼 등의 한방약제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곡식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게르마늄, 흙, 맥반석, 옥석 등의 무기재료의 분말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미용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겔미용팩조성물이 공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2002624280000호에는 오이, 감귤, 알로에, 당근, 쑥, 감자, 선인장(백년초), 토마토, 매실 등의 각종 야채 및 과일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해초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인삼 등의 한방약제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곡식류의 즙 또는 다진 재료, 게르마늄, 흙, 맥반석, 옥석 등의 무기재료의 분말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미용재료, 겔화조성물, 오일, 첨가제을 포함하는 미용 팩 조성물을, 얼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하되 2개의 눈동자구멍과 하나의 입구멍을 형성하고, 코주위에 밀착하도록 코절개선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미용 맛사지 팩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55332호 2.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00095645호 3.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689170000호 4.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003160000호 5.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532040000호 6.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15553호 7. 실용신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2002624280000호
종래의 기술들은 각종 건강성분을 팩 조성물에 사용 시 광물질을 응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광물질을 용해 혼합하고, 이를 이온화시켜서 제조과정 등 처리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처리 과정에서도 환경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었으며, 제조된 제품의 원적외선 효능이 떨어져서 고온 처리를 해야만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아진다거나 적어지는 문제 등이 있어서 목적하는 기능에 대하여 불충분한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
더욱이,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천연 광물질을 인체의 직접적인 건강 증진에 활용하려는 시도는 있었으나, 여러 문제점이 있어, 본 발명이 해결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석영 0.5kg, 백운모 0.5kg, 조장석0.5kg, 효모 5g와 푸른 곰팡이균 5g을 물 1kg에 주입시켜 35℃에서 6시간 정도 경과한 후에, 에탄올(주정원액) 2kg을 첨가하여 1 주간의 숙성시킨 후에, 발효조에 보관하여 2주간 방치하여 제조된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용도로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 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안정화된 광물질로 구성된 무독성의 물질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환경 친화적이고, 또한, 광물질에 함유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작용을 통해 피부 신진대사를 원활히 유지시켜 피부를 맑고 깨끗하게 가꾸어 주며, 영양공급이 양호하고 수분 유지 및 트러블 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석영 0.5kg, 백운모 0.5kg, 조장석 0.5kg, 효모 5g와 푸른곰팡이균 5g을 물 1kg에 주입시켜 35℃에서 6시간 정도 경과한 후에, 에탄올(주정원액) 2kg 을 첨가하여 1 주간의 숙성시킨 후에, 발효조에 보관하여 2주간 방치하여 제조된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이용한 미용 팩의 제조방법은 석영 0.5kg, 백운모 0.5kg, 조장석 0.5kg을 분쇄기에서 분쇄한 광물질 혼합물 2kg, 효모 5g와 푸른곰팡이균 5g을 물 1kg에 주입시켜 35℃에서 6시간 정도 경과한 후에, 에탄올(주정원액) 2kg을 첨가하여 1 주간의 숙성시킨 후에, 발효조에 보관하여 2주간 방치하여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10g에 통상의 미용팩 조성물 90g을 혼합하여 미용팩 조성물를 제조한 후에,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ET), 폴리아마이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알콜(PVA) 또는 폴리락틱에시드(PLA)로 형성되는 합성 부직포나 종이, 천, 부직포 및 퀼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에 상기 미용팩조성물을 함침시켜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이용한 미용팩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성분 중 천연광물질인 석영, 백운모 및 조장석은 인체에 무해하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천연 광물질들이다.
본 발명은 이들 천연 광물질을 액상화함으로써 실온 및 상온(20∼30℃)에서도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효과를 나타나며, 또한 원적외선 방사체를 액상화함으로써 물과 혼합이 용이하고 물분자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물의 부패방지 등 보존 안정성도 아울러 고려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침착 등의 피부 상태를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상태를 활성화시키는 등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기능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이용한 미용팩은 본 발명의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10g에 통상의 미용 팩 조성물 90g으로 조성되는데, 상기 통상의 미용팩 조성물은 화장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통상의 용제, 습윤제, 증점제, 보습제, 계면활성제, 스킨컨디셔닝제, 보존제, pH 조절제, 향료 및 킬레이트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제는 정제수가 사용되고, 적당한 함수율을 유지하면서 이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전체조성물을 고려하여 중량비를 선택하여야 한다. 너무 많거나 적으면 겔의 강도가 적거나 높아 점도의 문제가 있다.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및 부틸렌글라이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되며,
상기 증점제는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카보머,카리카난, 구아검,아가,포타슘클로라이드,글루코오스검은 증점제 효능이 있으며 너무 많거나 적으면 겔의 강도가 적거나 높아 점도의 문제가 있다. 너무 많으면 이수현상이 일어나 눈으로 흘러 들어갈 경우 고통을 느끼거나 눈병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 글라이콜, 글리세린 등은 보습제 효능이 있으며 너무 적으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과다하면 수용해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비스-피이지-18메칠에텔디메칠실란이 사용되며,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는 베타인, 알란토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알지닌,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피토스테롤, 아데노신 및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되고, 상기 보존제는 헥산디올이 사용되며, 상기 pH 조절제는 트리에탄올아민이 사용되며, 상기 킬레이트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당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미용팩 조성물에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이용한 미용팩이므로 미용팩 조성물에 대해서는 더 이상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제조)
석영 0.5kg, 백운모 0.5kg, 조장석 0.5kg을 분쇄기에서 분쇄한 광물질 혼합물 2kg, 효모 5g와 푸른곰팡이균 5g을 물 1kg에 주입시켜 35℃에서 6시간 정도 경과한 후에, 에탄올(주정원액) 2kg을 첨가하여 1 주간 숙성시킨 후에 발효조에 보관하여 2주간 방치하여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제조한 다음,
제2공정(미용팩의 제조)
상기 제조된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10g에 통상의 미용팩 조성물 90g을 혼합하여 미용팩 조성물을 제조한 후에,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ET), 폴리아마이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알콜(PVA) 또는 폴리락틱에시드(PLA)로 형성되는 합성 부직포나 종이, 천, 부직포 및 퀼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에 상기 미용팩조성물을 함침시켜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이용한 미용팩을 제조하였다.
제1공정(화장료 베이스 제조)
석영 0.5kg, 백운모 0.5kg, 조장석 0.5kg을 분쇄기에서 분쇄한 광물질 혼합물 2kg, 효모 5g와 푸른곰팡이균 5g을 물 1kg에 주입시켜 35℃에서 6시간 정도 경과한 후에, 에탄올(주정원액) 2kg을 첨가하여 1 주간 숙성시킨 후에 발효조에 보관하여 2주간 방치하여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제조한 다음,
제2공정(미용팩 제조)
정제수 71.5g, 글리세린 0.2g,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02g, 0.25g, 베타인 0.5g, 헥산디올, 0.01g, 트리에탄올아민 0.15g, 디소듐이디티에이 0.20g 으로 조성된 통상의 미용팩 조성물 90g과 상기 제조된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10g을 혼합하여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이용한 미용팩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미용팩으로 아래와 같이 다양한 실험한 결과
[표1] 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예 1. 납 함량 시험
중금속출여부 검사방법 비 고
실시예 검출되지 않음 원자흡광분석 및
USP 23
실험예 2. 원적외선 방사율 시험결과
원적외선 방사율 비 고
실시예 1
미용팩
0.90%
실험예 3. 음이온시험결과
음이온 (ion / cc) 비 고
실시예 1
미용팩
520
시험결과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양이 높아 그로 인한 효과도 우수할 것으로 추측된다.
실험예 4
실험방법 및 시험번호 : QC110503-01
및 시험번호 : QC110503-01
시험항목 시 험 기 준 시험성적 비 고
외관 표준품과 비교 적 합
사용성 표준품과 비교 적 합
향취 표준품과 비교 적 합
색조 표준품과 비교 적 합
경도 표준품과 비교 적 합
내온성 표준품과 비교 적 합
표기사항 표준품에 적합 적합
안정성 완성품 3EA를 항온조 40℃에서
5시간 방치
적 합

Claims (3)

  1.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에 있어서,
    석영 0.5kg, 백운모 0.5kg, 조장석 0.5kg, 효모 5g, 푸른곰팡이균 5g, 물 1kg 및 에탄올(주정원액) 2kg으로 조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2. 석영 0.5kg, 백운모 0.5kg, 조장석 0.5kg을 분쇄기에서 분쇄한 광물질 혼합물 2kg과 효모 5g 및 푸른곰팡이균 5g을 물 1kg에 주입시켜 35℃에서 6시간 정도 경과한 후에 에탄올(주정원액) 2kg을 첨가하여 1주일간 숙성시킨 후에 발효조에 보관하여 2주일간 방치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3.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10g에 통상의 미용팩 조성물 90g을 혼합하여 미용팩 조성물을 제조한 후에,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ET), 폴리아마이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알콜(PVA) 또는 폴리락틱에시드(PLA)로 형성되는 합성 부직포나 종이, 천, 부직포 및 퀼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시트에 상기 미용팩 조성물을 함침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를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KR1020210121913A 2021-09-13 2021-09-13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KR20230039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913A KR20230039059A (ko) 2021-09-13 2021-09-13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913A KR20230039059A (ko) 2021-09-13 2021-09-13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059A true KR20230039059A (ko) 2023-03-21

Family

ID=8580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913A KR20230039059A (ko) 2021-09-13 2021-09-13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059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28Y1 (ko) 2001-08-20 2002-03-18 강남석 얼굴 미용 맛사지 팩
KR20030015553A (ko) 2001-08-16 2003-02-25 강남석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55332A (ko) 2003-12-08 2005-06-13 박희종 광물질 유래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800316B1 (ko) 2006-08-14 2008-02-01 이상태 기능성 쑥 머드 미용팩
KR100853204B1 (ko) 2007-03-22 2008-08-20 굿모닝황토 주식회사 황토와 해초추출물을 이용한 미용팩 조성물
KR100968917B1 (ko) 2008-03-10 2010-07-14 김준현 백토와 맥반석을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KR20200095645A (ko)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이노맥스코리아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피부미용 마스크 팩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553A (ko) 2001-08-16 2003-02-25 강남석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62428Y1 (ko) 2001-08-20 2002-03-18 강남석 얼굴 미용 맛사지 팩
KR20050055332A (ko) 2003-12-08 2005-06-13 박희종 광물질 유래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800316B1 (ko) 2006-08-14 2008-02-01 이상태 기능성 쑥 머드 미용팩
KR100853204B1 (ko) 2007-03-22 2008-08-20 굿모닝황토 주식회사 황토와 해초추출물을 이용한 미용팩 조성물
KR100968917B1 (ko) 2008-03-10 2010-07-14 김준현 백토와 맥반석을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KR20200095645A (ko)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이노맥스코리아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피부미용 마스크 팩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8192A (ko) 복합 기능 황토 한지 얼굴 미용 마스크 시트 팩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13729A (ko) 숯겔 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1544B1 (ko) 구조 안정성이 증진된 마이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눈가 피부 개선 및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8411B1 (ko)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샴푸 조성물
JPH09202721A (ja) 消臭・防臭剤
KR100620248B1 (ko) 황토 함유 미용 조성물
KR100847478B1 (ko) 금 또는 은 나노입자 및 까마중 추출물의 중합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한 기능성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7916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227915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
KR100798401B1 (ko) 항균 및 수성 소거 기능을 지닌 천연 잉크 조성물
KR101684433B1 (ko) 산호와 송이를 이용한 타블렛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30039059A (ko) 광물질을 함유한 화장료 베이스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KR101893012B1 (ko) 인삼을 포함하는 한방발효비누의 제조방법
KR20070078827A (ko)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494905A (zh) 一种植物源抑菌剂的制备方法
KR100852777B1 (ko) 자수정을 이용한 미용 팩의 제조 방법
KR102239893B1 (ko) 김치 발효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CN104414901A (zh) 睡莲花青素抗氧化面贴膜
CN107788229A (zh) 一种植物源抑菌剂的用途
CN103977317B (zh) 利用中药洗液药渣制备的养生足浴粉及其制备方法
CN103783201A (zh) 一种熏蒸袋泡茶及其生产工艺
KR101447427B1 (ko) 탄산 입욕제 조성물
KR20070074005A (ko)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0144A (ko) 라벤더오일 분말이 포함된 목초액 혼합분말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목초수액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