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948A - Manless showc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anless showc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948A
KR20230038948A KR1020210121672A KR20210121672A KR20230038948A KR 20230038948 A KR20230038948 A KR 20230038948A KR 1020210121672 A KR1020210121672 A KR 1020210121672A KR 20210121672 A KR20210121672 A KR 20210121672A KR 20230038948 A KR20230038948 A KR 20230038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manned
information
payment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철 filed Critical 박인철
Priority to KR102021012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8948A/en
Publication of KR2023003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9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stand. The unmanned stand includes: an authentication unit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for a user who wishes to use an unmanned stand; a product management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withdrawal product selected by a customer and withdrawn from the unmanned stand among products displayed on the unmanned stand, after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nd a control unit which displays payment-related information on the withdrawal product on a scre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thdrawal product exists, wherein the payment-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detail information of the withdrawal product and payment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payment of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etail information.

Description

무인 매대 및 그의 구동 방법 {MANLESS SHOWC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Unmanned shelf and its driving method {MANLESS SHOWC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원은 무인 매대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반의 무인 매대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은 무인 매대가 포함된 무인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unmanned shelf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particularly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unmanned shelf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unmanned sales system including an unmanned shelf.

흔히 편의점, 마트 등에는 음료수나 냉장 식품 등의 상품(제품)들이 진열되어 있는 매대(일예로 냉장 매대)가 구비되어 있다. 매대는 상점 등에서 상품/물건을 진열해 놓고 파는 자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진열장, 판매대, 쇼케이스(Showcase) 등으로 달리 불리운다.Frequently, convenience stores, marts, etc. are equipped with shelves (for example, refrigerated shelves) on which products (products) such as beverages and refrigerated food are displayed. A shelf refers to a place where products/objects are displayed and sold in a store, etc., and is otherwise called a display case, a sales stand, a showcase, and the like.

일반적으로는 고객이 매대 내 특정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 매대 안에 진열된 상품들 중 고객이 구입을 희망하는 상품을 꺼내어 계산대로 가져가게 된다. 그러면, 계산대에 위치해 있는 계산원(계산 안내원)은 고객이 가져온 상품의 바코드를 찍음으로써 상품 가격을 측정하게 된다. 이후 고객은 측정된 가격을 토대로 카드결제, 현금결제 등의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상품을 구입하게 된다.In general, when a customer wants to purchase a specific product in a counter, the customer takes out the product he wishes to purchase from among the products displayed in the counter and brings it to the cashier. Then, the cashier (checkout attendant) located at the checkout counter measures the price of the product by scanning the barcode of the product brought by the customer. Afterwards, the customer purchases the product by performing payment such as credit card payment or cash payment based on the measured price.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매대는 단순히 상품을 진열해 두는 용도로만 활용될 뿐, 재고 파악시에는 일반적으로 매대 관리자(일예로 직원)가 직접 수작업으로 재고를 체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정확성이 떨어지며, 매대 내 상품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By the way, such a conventional shelf is simply used for displaying products, and when checking stock, it is generally done by a shelf manager (for example, an employee) manually checking stock, which takes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ccuracy is low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inventory of products in the shelf in real time.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매대가 단순히 상품 진열 용도로만 활용되고 매대 내 상품에 대한 결제는 계산원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24시간 상품 판매를 위해서는 계산원을 24시간 두어야 함에 따라 인건비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counters are conventionally used only for product display and payment for products in the counters is made by a cashier, a cashier must be kept 24 hours a day to sell products 24 hours a day, resulting in high labor costs.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85-0005258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85-0005258.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매대를 이용한 재고 파악이 매대 관리자(일예로 직원)에 의해 직접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즉,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정확성이 떨어지며, 매대 내 상품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무인 매대 및 그의 구동 방법, 무인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problems caused by the inventory identification using a conventional shelf are manually performed by a shelf manager (eg, an employee) (ie, it takes a long time, the accuracy is low, ,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manned shelf,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an unmanned sales system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not knowing in real time the inventory of products in the shelf.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매대에 진열된 상품을 24시간 판매하고자 할 때 인건비가 많이 들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무인 매대 및 그의 구동 방법, 무인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n unmanned shelf,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an unmanned sales system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high labor costs when selling products displayed on a conventional shelf 24 hours a day. intended to do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대는, 상기 무인 매대의 이용을 희망하는 이용 고객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이후 상기 무인 매대에 진열된 상품들 중 상기 이용 고객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무인 매대로부터 인출된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상품 관리부; 및 상기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제 관련 정보는, 상기 인출 상품의 내역 정보 및 상기 내역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unmanned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authentication unit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for a user who wishes to use the unmanned stand; a product management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withdrawal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and withdrawn from the unmanned shelf among products displayed at the unmanned shelf after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nd a control unit displaying payment-related information for the withdrawal product on a scre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thdrawal product exists, wherein the payment-related information includes details of the withdrawal product and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etails information. Payment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paymen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 인증으로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무인 매대 내 상품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무인 매대의 문을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may control the door of the unmanned store to be openable so that products in the unmanned store can be withdrawn only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nfirmed as normal.

또한,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문이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 문 열림이 감지된 이후 문 닫힘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인 매대에 진열된 상품들을 촬영하도록 상기 무인 매대의 내부 일영역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로부터 상품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determines that the door is closed after detecting the door open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ontrolled to be openable, the product management unit takes pictures of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unmanned shelf.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roduct to be withdrawn exists by acquiring and analyzing a product photographic image from an internal camera installed in the area.

또한,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문 열림이 감지되기 이전에 상기 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1 상품 촬영 이미지와 상기 문 닫힘이 감지된 이후에 상기 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상품 촬영 이미지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상기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compares a first product shooting image obtained from the internal camera before the door opening is detected and a second product shooting image obtained from the internal camera after the door closing is detect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withdrawal product exists.

또한, 상기 상품 관리부는, 복수의 상품 유형 내 학습 이미지를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 유형 내 학습 이미지 각각과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출력값으로 한 딥러닝 기반 기학습 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 촬영 이미지를 이용해 판단된 상기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가 포함된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takes a learning image in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as an input value and takes product information matched with each of the product types in the plurality of product types as an output value based on a deep learning-based pre-learning item, It is possible to generate detail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withdrawal product determined using the imag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대는, 상기 결제 관련 정보에 대한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인출 상품을 판매된 판매 상품으로 인지하고, 상기 판매 상품과 관련된 판매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매 정보는, 판매 상품 관련 데이터, 고객 맞춤형 분석을 위한 판매 상품 관련 고객 데이터 및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로 인해 상기 무인 매대에 남아있는 잔여 상품들에 관한 재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yment for the payment-related information has been completed, the unmanned cou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cognizes the product for which the payment has been completed as a sold product, and displays sal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for sale. A provision unit provided to the management server may be further included. Here, the sales information may include sales product-related data, sales product-related customer data for customer-customized analysis, and inventory data about remaining products remaining on the unmanned shelf due to the sale of the sales product.

또한, 상기 제공부는, 상기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인 매대 내 잔여 상품들에 대한 재고 파악을 수행하고, 재고 파악 수행 결과 상기 잔여 상품들의 상품 유형 중 어느 한 상품 유형의 재고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 이하이면, 상기 무인 매대에 대한 상기 어느 한 상품 유형의 제품 보충을 위한 재고 관리용 주문 요청 메시지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yment has been completed, the providing unit performs stock checking on the remaining products in the unmanned shelf, an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stock checking, the stock quantity of any one product type among the product types of the remaining products is determined. If the quantity is less than the set quantity, an order request message for inventory management for replenishment of the product of any one product type for the unmanned shelf may be provided to the management server.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판매 정보의 분석을 통해 고객별 선호 상품 파악, 고객 소비 패턴 파악, 판매 현황 파악, 재고 파악 및 재고 관리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may be capable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of preferred products by customer, identification of customer consumption patterns, identification of sales status, identification of inventory, and inventory management through analysis of the sale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oviding unit.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판매 시스템은, 상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대; 및 상기 무인 매대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무인 매대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무인 매대의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manned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nmanned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And it may include a management server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the network with the unmanned counter, analyze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nmanned counter, and performs management of the unmanned counter.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대의 구동 방법은, 인증부에서, 상기 무인 매대의 이용을 희망하는 이용 고객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품 관리부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이후 상기 무인 매대에 진열된 상품들 중 상기 이용 고객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무인 매대로부터 인출된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결제 관련 정보는, 상기 인출 상품의 내역 정보 및 상기 내역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unmann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in an authentication unit,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for a customer who wishes to use the unmanned store; Determining, in a product management unit, whether there is a withdrawal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and withdrawn from the unmanned shelf among products displayed at the unmanned shelf after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nd displaying, by the control unit, payment-related information for the withdrawal product on a scre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thdrawal product exists, wherein the payment-related information include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withdrawal product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Payment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payment of a corresponding amount may be included.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인공지능/딥러닝 기반의 무인 매대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무인 매대 내 상품 재고를 즉각 파악 가능하도록 하고, 보다 정확하고 빠른 재고 파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 deep learning-based unmanned shelf, it is possible to enable a manager to immediately grasp the stock of products in an unmanned shelf in real time, and to more accurately and quickly identify inventory. There is an effect.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 인증에 기초하여 무인 매대의 도어락 ON/OFF 제어, 인공지능/딥러닝 기반으로 인출 상품의 존재 여부 판단 및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를 포함한 내역 정보의 파악,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인 매대를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완전 무인화(TOTAL CASHIER-FREE)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원은 종래의 매대의 경우 24시간 상품 판매를 위해 계산원을 24시간 두어야 함에 따라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door lock ON / OFF control of unmanned shelf, determination of the existence of withdrawal produc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deep learning, identification of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f withdrawal products, By providing an unmanned shelf that enables automatic payment processing for withdrawal products, TOTAL CASHIER-FREE is possible at a relatively low cost. This present application can solve the problem that labor costs are high as a cashier must be placed 24 hours a day for 24-hour product sale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helf.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판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대에서 상품 관리부가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대에 진열된 상품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대의 구동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unmanned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product management unit withdrawn exists in an unmanned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products displayed on an unmanned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method for driving an unmanned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bove,” “on top of,” “below,” “below,” or “below”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in relation to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contact but also the case of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판매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판매 시스템(100)을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100)이라 하기로 한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unmanned sales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unmanned sales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present system 10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은 무인 매대(10)를 이용하여 무인으로 상품 판매가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이는 24시간 영업지원이 가능한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기반 무인 판매 시스템이라 지칭될 수 있다. 본원에서 상품이라는 용어는 제품 등의 용어로 혼용되어 표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system 100 is a system capable of selling products unmanned using an unmanned shelf 10,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computer vision-based unmanned sales system capable of 24-hour business support. . In this application, the term product may be expres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product.

무인 매대(10)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대(10)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무인 매대(10)라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무인 매대(10)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반의 무인 매대, 무인 판매대, 무인 자판기, 무인 쇼케이스, 무인 판매 쇼케이스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The unmanned shelf 10 is an unmanned shelf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the present unmanned shelf 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he unmanned shelf 10 may be differently expressed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unmanned shelf, an unmanned sales stand, an unmanned vending machine, an unmanned showcase, an unmanned sales showcase, and the like.

본 시스템(100)은 무인 매대(10, 본 무인 매대) 및 관리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100 may include an unmanned store 10 (this unmanned store) and a management server 20 .

무인 매대(10)는 상품을 무인으로 판매하고 관리하길 희망하는 장소, 24시간 상품 판매 관련 영업 지원을 필요로 하는 장소 등에 설치될 수 있다.The unmanned shelf 10 may be installed in a place where it is desired to sell and manage products unattended, a place requiring 24-hour sales support related to product sales, and the like.

예시적으로 무인 매대(10)는 피트니스(fitness) 운동시설에 설치되는 매대일 수 있다. 피트니스 운동시설은 골프장, 체육관, 헬스장, 테니스장 등과 같은 운동 관련 시설들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인 매대(10)는 피트니스 운동시설뿐만 아니라, 주요 관광지, 지하철역사, 공공화장실, 편의점, 마트, 상점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무인 매대(10)는 다양한 상품들을 진열해 두고 이를 무인으로 판매하고자 하는 모든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unattended shelf 10 may be a shelf installed in a fitness exercise facility. Fitness facilities may refer to exercise-related facilities such as golf courses, gyms, gyms, and tennis courts.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e unmanned shelf 10 may be installed not only in fitness facilities, but also in major tourist attractions, subway stations, public toilets, convenience stores, marts, stores, and the like. That is, the unmanned shelf 10 may be installed in any place where various products are displayed and sold unattended.

무인 매대(10)에는 다양한 유형의 상품들(즉, 복수의 상품 유형을 갖는 상품들, 복수의 상품 유형으로 구분되는 상품들)이 진열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유형에는 상품의 종류, 크기(용량) 및 브랜드명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무인 매대(10) 내에 10개의 상품이 진열되어 있고, 진열된 10개의 상품 중 제1 상품과 제2 상품의 유형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두 상품 간에 종류, 크기(용량) 및 브랜드명 중 적어도 하나가 다름을 의미할 수 있다.Various types of products (ie, products having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product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may be displayed on the unmanned shelf 10 . Here, the product typ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roduct type, size (capacity), and brand name. For example, 10 products are displayed in the unmanned shelf 10, and the type of the first product and the second product among the 10 displayed produc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mong the type, size (capacity) and brand name of the two products. At least one may mean different.

예시적으로, 무인 매대(10)가 피트니스 운동시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무인 매대(10)에는 복수의 상품 유형을 갖는 상품들로서, a 브랜드의 300ml 생수, a 브랜드의 500ml 생수, a브랜드의 음료수, b 브랜드의 음료수, c브랜드의 운동크림, c 브랜드의 운동용 테이핑 제품 등이 진열되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nmanned shelf 10 is installed in a fitness facility, the unmanned shelf 10 includes products having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300ml bottled water of brand a, 500ml bottled water of brand a, and 500ml bottled water of brand a. Beverages, b-brand beverages, c-brand exercise creams, and c-brand exercise taping products may be displayed.

다른 예로, 무인 매대(10)가 공공화장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무인 매대(10)에는 복수의 상품 유형을 갖는 상품들로서, 휴지, 물티슈, 비누, 치약 등 등이 진열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무인 매대(10)가 편의점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무인 매대(10)에는 복수의 상품 유형을 갖는 상품들로서, a 브랜드의 500ml 생수, b 브랜드의 500ml 생수, c브랜드의 음료수, c 브랜드의 술 등이 진열되어 있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unmanned shelf 10 is installed in a public restroom, products having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such as tissue paper, wet wipes, soap, toothpaste,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unmanned shelf 10.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nmanned shelf 10 is installed in a convenience store, the unmanned shelf 10 includes products having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500ml bottled water of brand a, 500ml bottled water of brand b, beverage of brand c, c Brand alcohol, etc. may be displayed.

무인 매대(10)는, 무인 매대(10)의 이용을 희망하는 이용 고객(1)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이후 무인 매대(10)에 진열된 상품들 중 이용 고객(1)에 의해 선택되어 무인 매대(10)로부터 인출된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무인 매대(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unmanned stand 10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on the customer 1 who wishes to use the unmanned stand 10, and after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mong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unmanned stand 10, the using customer (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withdrawal product selected by 1) and withdrawn from the unmanned counter 1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withdrawal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for the withdrawal produc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unmanned shelf 10 will be described later.

무인 매대(10)는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일예로 키오스크(kiosk, 4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무인 매대(10)는 키오스크(40)와 네트워크(30)를 통해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인 매대(10)는 결제 관련 정보를 키오스크(40)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키오스크(40)를 통해 이용 고객(1)이 무인 매대(10)로부터 인출한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unmanned counter 10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for withdrawal products on the screen of the kiosk 40, for example. The unmanned counter 1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kiosk 40 through the network 30 . Through this, the unmanned counter 10 displays payment-relat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kiosk 40, so that the customer 1 withdraws from the unmanned counter 10 through the kiosk 40 and pays for the withdrawal product. you can make it

키오스크(40)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전달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키오스크(40)로는 기 설치되어 있는 키오스크 혹은 본원에 의해 제공되는 키오스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키오스크(40)로는 간편 결제 기능, 카드 결제 기능, 현금 결제 기능 등의 결제 서비스 제공 기능을 가진 키오스크가 적용될 수 있다.The kiosk 40 refers to a touch screen type information delivery system installed in a public place, and as the kiosk 40 applied to the system 100, a pre-installed kiosk or a kiosk provid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pplied. . In addition, as the kiosk 40 applied to the present system 100, a kiosk having a payment service providing function such as a simple payment function, a card payment function, and a cash payment function may be applied.

상술한 본원의 일예에서는 결제 관련 정보가 키오스크(40)의 화면에 표시되면, 이를 토대로 키오스크(40)를 통해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무인 매대(10)는 키오스크(40)의 화면이 아닌, 무인 매대(10)와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된 화면 표시 장치(미도시)의 화면에 결제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payment-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kiosk 40, it has been exemplified that payment for withdrawal products is made through the kiosk 40 based on thi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unmanned counter 10 may display payment-relat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a screen display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unmanned counter 10 through the network 30, rather than the screen of the kiosk 40. .

여기서, 화면 표시 장치(미도시)는 결제 관련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screen display device (not shown) means a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payment-related information, and is exemplarily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It may include all types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a laptop computer, a wearable device, and a desktop P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화면 표시 장치(미도시)는 일예로 간편 결제 기능, 카드 결제 기능, 현금 결제 기능 등의 결제 서비스 제공 기능을 가진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키오스크(40)는 일예로 화면 표시 장치(미도시)에 포함된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 device (not shown) may be, for example, a device having a payment service providing function such as a simple payment function, a card payment function, and a cash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this, the kiosk 40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ed in, for example, a screen display device (not shown).

무인 매대(10)는 일예로 결제 관련 정보를 화면 표시 장치(미도시)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화면 표시 장치(미도시)를 통해 이용 고객(1)이 무인 매대(10)로부터 인출한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무인 매대(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or example, the unmanned shelf 10 may display payment-relat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a screen display device (not shown), and based on this, the customer 1 using the screen display device (not shown) can display the unmanned shelf 10 Payment can be made for withdrawal products withdrawn from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unmanned shelf 10 will be described later.

이용 고객(1)은 무인 매대(10)에 진열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고객, 상품 구매자, 소비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The customer 1 refers to a user who wants to purchase a product displayed on the unmanned shelf 10, and may be referred to as a customer, a product buyer, or a consumer.

관리 서버(20)는 관리자(2)에 의해 운영/관리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2)는 무인 매대(10)의 설치, 운영, 재고 관리, 판매 상품과 관련된 정보(일예로, 후술하는 판매 정보, 판매 데이터)의 분석 등을 수행하는 사용자로서, 판매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 may refer to a server operated/managed by the manager 2 . The manager 2 is a user who installs, operates, manages inventory, and analyzes information related to products for sale (for example, sales information and sales data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unmanned shelf 10, and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seller. can

관리 서버(20)는 무인 매대(10)와 네트워크(3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무인 매대(1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일예로 판매 정보)를 분석하고 무인 매대(10)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2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unmanned shelf 10 and the network 30 . The management server 20 may analyze information (for example, sale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nmanned stand 10 and perform management of the unmanned stand 10 .

관리 서버(20)는 일예로, 무인 매대(10)로부터 판매 정보를 제공받으면, 제공받은 판매 정보의 분석을 통해 고객별 선호 상품 파악, 고객 소비 패턴 파악, 실시간 무인 매대(10) 내 상품 판매 현황 파악, 실시간 무인 매대(10) 내 상품 재고 파악, 재고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 for example, when receiving sales information from the unmanned shelf 10, analyzes the provided sales information to identify preferred products for each customer, identify customer consumption patterns, and sell current status of products in the unmanned shelf 10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perform real-time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of product inventory in the unmanned shelf 10, inventory management, and the like.

본 시스템(100)에서 네트워크(30)는 일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시스템(100)에서 네트워크(30)는 클라우드(Cloud)일 수 있다.In this system 100, the network 30 includes, for exampl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the Internet, and a local area LAN (LAN).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network,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tc. may b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n the present system 100, the network 30 may be a cloud.

본 시스템(100)에서 무인 매대(10), 관리 서버(20) 및 키오스크(40)(혹은 화면 표시 장치)는 서로 간에 네트워크(30)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ystem 100, the unmanned counter 10, the management server 20, and the kiosk 40 (or screen display device) can interlock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3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도 1을 참조한 일예에서는 본 시스템(100)에 무인 매대(10)가 1개 포함된 경우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시스템(100)에는 복수개의 무인 매대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 서버(20)는 복수개의 무인 매대와 네트워크(30)를 통해 연동되어 복수개의 무인 매대 각각을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인 매대(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one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1, it is illustrated as a case in which one unmanned shelf 10 is included in the system 100,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system (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manned shelves. In this case, the management server 20 may manage each of the plurality of unmanned counters by interworking with the plurality of unmanned counters through the network 30 . Hereinafter, the unmanned shelf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무인 매대(10)는 인증부(11), 상품 관리부(12), 제어부(13) 및 제공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11), 상품 관리부(12), 제어부(13) 및 제공부(14)의 구성은 통칭으로 무인판매시스템의 게이트웨이(gateway unit)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The unattended shelf 10 may include an authentication unit 11 , a product management unit 12 , a control unit 13 and a provision unit 14 . At this time, the components of the authentication unit 11, product management unit 12, control unit 13, and provision unit 14 may be collectively expressed as a gateway unit of an unmanned sales system.

인증부(11)는 무인 매대(10)의 이용을 희망하는 이용 고객(1)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은 일예로 이미지 분석 기반의 인증 및 QR코드 인식 기반의 인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unit 11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for a user 1 who wishes to use the unmanned counter 10 . User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at least one of image analysis-based authentication and QR code recognition-based authentication.

이미지 분석 기반의 인증과 관련하여, 인증부(11)는 일예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 고객(1)의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11)는 무인 매대(10)의 외면(일예로 전면)의 일영역에 구비된 카메라, 키오스크(40)의 외면(일예로 전면)의 일영역에 구비된 카메라 및 태블릿 PC 와 같은 화면 표시 장치(미도시)에 구비된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이용 고객(1)의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Regarding image analysis-based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11 may obtain a user-captured image of the user 1 for user authentication,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authentication unit 11 includes a camera provided on one area of the outer surface (eg, front) of the unmanned shelf 10, a camera provided on one area of the outer surface (eg, front) of the kiosk 40, and a tablet PC. A user photographed image of the customer 1 may be obtained through at least one of cameras provided in the same screen display device (not shown).

이때, 예시적으로 무인 매대(10)가 피트니스 운동시설 내에 설치되어 있고, 무인 매대(10)를 피트니스 운동시설에 회원으로 등록된 회원만 이용 가능하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무인 매대(1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는 피트니스 운동시설 내지 무인 매대(10)의 이용이 가능한 사용자들(즉 회원들)의 회원 정보가 기 등록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회원 정보는 예시적으로 사용자들의 이미지, 이름, 나이 등이 포함될 수 있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정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exemplarily assumed that the unmanned shelf 10 is installed in a fitness facility, and that only members registered as members of the fitness facility can use the unmanned shelf 10. In this case, the unmanned counter 10 may include a member management database (not show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user authentication. The member management database (not shown) may have pre-registered and stored member information of users (that is, members) who can use the fitness gym or the unmanned counter 10 . Here, member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images, names, ages, etc. of use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t in various ways by a setting manager.

인증부(11)는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 등록된 사용자들(회원들)의 회원 정보(특히, 회원 이미지)를 토대로, 앞서 획득된 사용자 촬영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용 고객(1)에 대한 사용자 인증(달리 표현해, 회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ng unit 11 is configured to use customer 1 corresponding to a previously obtained user-photographed image based on member information (particularly, member image) of users (members) pre-registered in a member management database (not shown). User authentication (in other words, member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for the user.

인증부(11)는 사용자 촬영 이미지가 획득되면,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 저장된 복수 회원들의 이미지와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사용자 촬영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용 고객(1)이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 등록된 회원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11)는 복수 회원들의 이미지와 사용자 촬영 이미지 간의 비교시 일예로 특징점 매칭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두 이미지 내 객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이미지 인식 기술, 얼굴 인식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인식 기술(혹은 얼굴 인식 기술)로는 종래에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user-captured image is acquired, the authentication unit 11 compares the user-captured image with images of a plurality of members pre-stored in a member management database (not shown), so that the user 1 corresponding to the user-captured image manages the member. It may be checked whether the user is a member already registered in a database (not shown). At this time, the authentication unit 11 may use feature point matching technology as an example when comparing images of a plurality of members and images taken by a u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recognizes various images to determine whether objects in the two images match. technology, face recognition technology, etc. may be applied. At this time, as the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or face recognition technology), various technologies previously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applied.

인증부(11)는 두 이미지 간의 비교 결과, 사용자 촬영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용 고객(1)이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 등록된 회원인 것으로 확인되면(즉, 사용자 촬영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에 존재하면), 사용자 촬영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용 고객(1)에 대한 사용자 인증(일예로, 회원 인증)이 정상 인증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two images, the authentication unit 11 confirms that the user 1 corresponding to the user-captured image is a member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member management database (not shown) (ie, an image matching the user-captured image). If exists in the member management datab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user authentication (for example, member authentication) for the using customer 1 corresponding to the user-captured image is normal authentication.

QR코드 인식 기반의 인증과 관련하여, 인증부(11)는 일예로 무인 매대(10)의 외면(일예로 전면)의 일영역에 구비된 화면 표시부, 키오스크(40)의 외면(일예로 전면)의 일영역에 구비된 화면 표시부 및 태블릿 PC 와 같은 화면 표시 장치(미도시)에 구비된 화면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한 QR 코드가 화면 표시부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화면 표시부라 함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화면으로서, 터치 패널, 모니터 등의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In relation to QR code recognition-based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11 is, for example, a screen display provided on one area of the outer surface (eg, the front) of the unmanned shelf 10, the outer surface (eg, the front) of the kiosk 40 A QR code for user authentic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on at least one of a screen display unit provided in one area of the screen display unit and a screen display unit provided in a screen display device (not shown) such as a tablet PC. In this case, the screen display unit is a screen that can be displayed and may mean a screen such as a touch panel or a monitor.

이용 고객(1)은 QR 코드 인식 기반의 인증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 고객(1)이 소지한 휴대 단말을 이용해 상술한 화면 표시부 상에 표시된 QR 코드를 찍음(촬영함)으로써 QR 코드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은 휴대성/이동성을 가지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using customer 1 intends to perform QR code recognition-based authentication, the user 1 takes a picture (photographs) of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 unit using a portable terminal possessed by the customer 1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QR code. recognition can be performed. 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 terminal having portability/mobility and may mean all types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wearable devices.

이용 고객(1)이 자신의 휴대 단말로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휴대 단말을 통하여 이용 고객(1)에 대한 사용자 인증(신원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이용 고객(1)은 QR 코드를 인식한 후 휴대 단말을 통해 이용 고객 자신의 개인 정보(일예로, 이름, 전화번호, 혹은 금융 결제 승인과 연계하여 설정된 간단 비밀번호 등)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신원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 정보의 내용과 이용 고객(1)이 소지한 휴대 단말에 대한 실제 고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인증부(11)는 이용 고객(1)에 대한 사용자 인증(일예로, 신원 인증)이 정상 인증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using customer 1 recognizes the QR code with his or her mobile terminal, user authentication (identity authentication) for the using customer 1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customer using 1 recognizes the QR code and then input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eg, name, phone number, or simple password set in conjunction with financial payment approval) through a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identity authentication) can be made. When the content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and the actual customer inform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possessed by the customer 1 match, the authentication unit 11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for example, identity authentication) for the customer 1. ) can be determined to be normal authentication.

QR 코드 인식 기반의 인증 방식을 통해서는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 등록된 사용자(회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에 대한 인증(즉, 무인 매대(10)를 처음 이용하는 이용 고객에 대한 인증)도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e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QR code recognition,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users (members) already registered in the member management database (not shown), as well as users who are not registered in the member management database (not shown). Authentication for (that is, authentication for customers using the unmanned counter 10 for the first time) may also be performed.

상품 관리부(12)는 인증부(11)에서 사용자 인증(회원 인증 내지 신원 인증)이 수행된 이후, 무인 매대(10)에 진열된 상품들 중 이용 고객(1)에 의해 선택되어 무인 매대(10)로부터 인출된 상품(즉,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After user authentication (member authentication or identity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12 i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the user 1 selects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unmanned shelf 10 and displays the unmanned shelf 1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oduct withdrawn from (ie, a product withdrawn).

상품 관리부(12)는 무인 매대(10)의 문의 열림/닫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상품 관리부(12)는 무인 매대(10)의 도어락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락이 ON이면 무인 매대(10)의 문은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되는 것이고, 도어락이 OFF 이면 무인 매대(10)의 문이 닫힘 상태(즉, 문 열림 불가능 상태)로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The product manager 12 may control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 In other words,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may control ON/OFF of the door lock of the unmanned store 10 . When the door lock is ON, the door of the unmanned stand 10 is controlled to be openable, and when the door lock is OFF, the door of the unmanned stand 10 may be controlled to be closed (ie, the door cannot be opened).

상품 관리부(12)는, 인증부(11)에서 사용자 인증(회원 인증 내지 신원 인증)이 정상 인증으로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무인 매대(10) 내 상품(진열된 상품, 진열 상품)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무인 매대(10)의 문을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품 관리부(12)는 사용자 인증이 정상 인증으로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무인 매대(10)의 도어락을 ON으로 제어함으로써, 이를 통해 무인 매대(10)의 문이 문 열림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allows withdrawal of products (displayed products, displayed products) in the unmanned shelf 10 only when user authentication (member authentication or identity authentication) is confirmed as normal authentication in the authentication unit 11.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may be controlled to be openable. That is,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controls the door lock of the unmanned display stand 10 to be ON only when user authentication is confirmed as normal, so that the door of the unmanned display stand 10 can be opened. can

무인 매대(10)의 문이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되면, 이용 고객(1)은 무인 매대(10)의 문을 열어 무인 매대(10) 내 진열된 상품들 중 구입을 희망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꺼내고, 이후 무인 매대(10)의 문을 닫을 수 있다. 여기서, 이용 고객(1)이 상품 구입을 희망함에 따라 이용 고객(1)에 의하여 무인 매대(10)로부터 꺼내어진 상품은 인출 상품이라 지칭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무인 매대(10) 내에 진열된 상품으로서 10개의 음료수가 진열되어 있고, 그 중 이용 고객(1)이 2개의 음료수를 구입하고자 꺼낸 경우, 인출 상품은 이용 고객(1)에 의해 무인 매대(10)로부터 꺼내어진 해당 2개의 음료수를 지칭할 수 있다.When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is controlled to be openable, the customer 1 opens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and selects a product that he or she wishes to purchase from among the products displayed in the unmanned shelf 10. After taking it out,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can be closed. Here, a product taken out from the unmanned counter 10 by the customer 1 as the customer 1 desires to purchase the product may be referred to as a withdrawal product. Exemplarily, when 10 beverages are displayed as products displayed in the unmanned shelf 10, and the customer 1 takes out to purchase two beverages, the withdrawal product is unattended by the customer 1. It may refer to the corresponding two beverages taken out from the shelf 10.

상품 관리부(12)는 무인 매대(10)의 문이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 문 열림이 감지된 이후 문 닫힘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무인 매대(10)에 진열된 상품들을 촬영하도록 무인 매대(10)의 내부 일영역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로부터 상품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여 분석함으로써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문이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 문 열림이 감지된 이후 문 닫힘이 감지되었다는 것은, 이용 고객(1)이 상품을 구입하고자 무인 매대(10)의 문을 열었다가 원하는 상품을 꺼낸 이후 문을 닫는 행위를 취했을 것임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품 관리부(12)는 내부 카메라로부터 상품 촬영 이미지를 획득해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determines that the door is closed after detecting the door open in a state where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is controlled to be openable, the product manager 12 photographs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unmanned shelf 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oduct to be withdrawn by acquiring and analyzing a product photographing image from an internal camera installed in one area inside the unmanned shelf 10 . At this time, the fact that the door is closed after the door is sensed while the door is controlled to be openable means that the customer 1 opens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to purchase a product and takes out the desired product. It can be predicted that he would have taken the act of closing the door afterwards.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may obtain a product photographed image from an internal camera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oduct to be withdrawn.

상품 관리부(12)는, 문 열림이 감지되기 이전에 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1 상품 촬영 이미지와 문 닫힘이 감지된 이후에 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상품 촬영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는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문 열림이 감지되기 이전이라 함(혹은 제1 상품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시점)은 예시적으로 무인 매대(10)의 문이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된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문 닫힘이 감지된 이후라 함(혹은 제2 상품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시점)은 예시적으로 문 닫힘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일예로, 2초) 이후의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performs an analysis of comparing a first product photographed image obtained from the internal camera before the door opening is detected and a second product photographed image obtained from the internal camera after the door is clos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withdrawal product exists. Here, before the door opening is sensed (or when the first product photographed image is acquired) may exemplarily mean a time when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is controlled to be in an openable state. In addition, after the door closing is detected (or when the second product shooting image is acquired) may exemplarily mean a time after a preset time (eg, 2 seconds) from the time when the closing of the door is detected. there is.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품 관리부(12)는 무인 매대(10)의 내부 일영역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상품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oduct to be withdrawn using a product photographing image obtained from an internal camera installed in one area inside the unmanned shelf 10 .

무인 매대(10)의 내부에는 무인 매대(10)에 진열된 상품들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일영역에 내부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내부 카메라는 무인 매대(10) 내 선반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무인 매대(10) 내에 선반이 5개인 경우, 무인 매대(10)에는 선반 당 1개의 내부 카메라가 설치되어 총 5개의 내부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무인 매대(10)에는 각 선반 당 하나씩의 카메라가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Inside the unmanned shelf 10, an internal camera may be installed in one area to take pictures of products displayed on the unmanned shelf 10. At this time, the number of internal camera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helves in the unmanned shelf 10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when there are 5 shelves in the unmanned display stand 10, one internal camera may be installed per shelf in the unmanned display stand 10, so that a total of 5 internal cameras may be installed. That is, one camera may b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unmanned shelf 10 for each shelf.

일예로 각 내부 카메라는 각각의 선반 상에 진열된 상품들의 상단에 설치되어 진열된 상품들을 상측에서 촬영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내부 카메라는 무인 매대(10)의 내부 영역 중 각 선반 상에 진열된 상품들을 전체 인식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든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each internal camera may be installed on top of products displayed on each shelf so that the displayed products may be photographed from abov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internal camera may be installed anywhere in the internal area of the unmanned shelf 10 as long as it can recognize all products displayed on each shelf.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대(10)에서 상품 관리부(12)가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determines whether a withdrawal product exists in an unmanned shelf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상품 관리부(12)는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무인 매대(10)의 내부 일영역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로부터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와 제2 상품 촬영 이미지(22)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는 문 열림이 감지되기 이전에 획득된 이미지이고, 제2 상품 촬영 이미지(22)는 문 닫힘이 감지된 이후에 획득된 이미지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obtains a first product shooting image 21 and a second product shooting image (from an internal camera installed in one area inside the unmanned shelf 10)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oduct to be withdrawn. 22) can be obtained. Here, the first product shooting image 21 may be an image obtained before the door opening is sensed, and the second product shooting image 22 may be an image obtained after the door closing is sensed.

상품 관리부(12)는 획득된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와 제2 상품 촬영 이미지(22)를 서로 비교하여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may compare the obtained first product captured image 21 and the second product captured image 22 to determine whether a product to be withdrawn exists.

구체적인 예로, 상품 관리부(12)는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를 통해 무인 매대(10) 내에 진열된 상품들로서 총 10개의 음료수(물 포함)가 진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상품 관리부(12)는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해당 영상 내에서 10개의 음료수에 해당하는 상품들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2 상품 촬영 이미지(22)에 따르면, 무인 매대(10) 내에는 진열된 상품들로서 총 8개의 음료수가 진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품 관리부(12)는 제2 상품 촬영 이미지(22)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해당 영상 내에서 8개의 음료수에 해당하는 상품들을 식별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product manager 12 may confirm that a total of 10 beverages (including water) are displayed as products displayed in the unmanned shelf 10 through the first product photographed image 21 . In other words,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may identify products corresponding to 10 beverages in the corresponding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first product photographed image 21 . Meanwhile, according to the second product photographed image 22 , it can be confirmed that a total of 8 beverages are displayed as displayed products in the unmanned shelf 10 . That is,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may identify products corresponding to 8 beverages in the corresponding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second product photographed image 22 .

상품 관리부(12)는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와 제2 상품 촬영 이미지(22)를 서로 비교한 결과,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 내 10개의 음료수 중 2개의 음료수(31, 32)가 제2 상품 촬영 이미지(22)에서 발견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 내에서는 발견되었으나 제2 상품 촬영 이미지(22)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해당 2개의 음료수(31, 32) 상품에 대하여, 상품 관리부(12)는 해당 2개의 음료수(31, 32) 상품을, 이용 고객(1)에 의해 선택되어 무인 매대(10)로부터 인출된 인출 상품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상품 관리부(12)는 해당 2개의 음료수(31, 32) 상품을, 이용 고객(1)이 무인 매대(10)에 진열된 상품들 중 구입을 희망하여 무인 매대(10)에서 꺼내간 상품(인출 상품)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품 관리부(12)는 두 상품 촬영 이미지(21, 22)의 비교 분석 결과 인출 상품이 존재(특히, 인출 상품이 2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comparing the first product shooting image 21 and the second product shooting image 22 with each other, two drinks 31 and 32 among 10 drinks in the first product shooting image 21 It can be confirmed that is not found in the second product photographed image 22 . In this case, with respect to the two beverages 31 and 32 products found in the first product photographed image 21 but not found in the second product photographed image 22,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two beverages. (31, 32)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roduct as a withdrawal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1 and withdrawn from the unmanned counter 10. That is, the product manager 12 takes out the corresponding two beverage products 31 and 32 from the unmanned shelf 10 in hopes of purchasing them among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unmanned shelf 10 by the customer 1 using the product. (withdrawal product). In this case,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may determine that a product to be withdrawn exists (in particular, two products to be withdrawn) exis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product photographed images 21 and 22 .

상품 관리부(12)는 두 상품 촬영 이미지(21, 22) 각각에 대한 이미지 분석 내지 두 상품 촬영 이미지(21, 22) 간의 비교에 대한 분석의 수행시, 기 알려져 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기초로 한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performs image analysis on each of the two product captured images 21 and 22 or analysis on comparison between the two product captured images 21 and 22, various image analysis algorithms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are used.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is can be performed.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 상품 관리부(12)는 복수의 상품 유형 내 학습 이미지를 입력값으로 하고 복수의 상품 유형 내 학습 이미지 각각과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출력값으로 한 딥러닝 기반 기학습 사항(즉,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기초하여, 상품 촬영 이미지를 이용해 판단된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가 포함된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duct to be withdrawn, the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takes the learning image in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as an input value and the product information matched with each learning image in the plurality of product types as an output value based on deep learning. Based on the details (that is, the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it is possible to generate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be withdrawn using the product photographed image.

특히, 상품 관리부(12)는 인출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의 입력값으로 제공함으로써,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통해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가 포함된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의 입력값으로 제공되는 인출 상품에 대한 이미지는,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에서는 발견되었으나 제2 상품 촬영 이미지(22)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2개의 음료수(31, 32)에 대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입력값으로 제공되는 인출 상품에 대한 이미지는 제1 상품 촬영 이미지(21)의 전체 이미지 중 2개의 음료수(31, 32) 각각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추출한 부분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may generate detail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be withdrawn through the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by providing an image of the product to be withdrawn as an input value of the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2 , for example, an image of a product to be retrieved provided as an input value of a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was found in the first product shooting image 21 but not in the second product shooting image 22. It may refer to images of two beverages 31 and 32 that have not been found. That is, the image of the withdrawal product provided as an input value may refer to a partial image obtained by extracting only por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beverages 31 and 32 from the entire image of the first product photographing image 21 .

상품 관리부(12)가 생성하는 내역 정보 내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에는 인출 상품의 상품명과 가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내역 정보에는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상품명, 가격), 수량(개수) 및 총 결제 금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내역 정보에는 사용자 ID(이용 고객의 ID), 기기 이름(무인 기기의 ID), 무인 매대가 설치된 지점 정보(스토어 정보), 무인 매대의 문이 열린 시간, 무인 매대의 문이 닫힌 시간, 내역 정보가 생성된 시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be withdrawn in the detai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name and price of the product to be withdrawn. In addition, the details information may include product information (product name, price), quantity (number), and information on the total payment amount of the product withdrawn. 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user ID (ID of the user), device name (ID of the unmanned device), information on the branch where the unmanned stand is installed (store information), time when the door of the unmanned stand was opened, and the door of the unmanned stand Information about the closing time and the time when the history information was created may be included.

상품 관리부(12)에서 이용하는 딥러닝 모델은, 복수의 상품 유형(즉, 상품의 종류, 크기(용량) 및 브랜드명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각기 다른 상품들) 각각에 대한 복수의 학습 이미지를 입력값으로 하고, 복수의 학습 이미지 각각과 매칭되는 상품 정보(상품명, 가격)를 출력값으로 하도록 학습된 기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이러한 기학습된 딥러닝 모델에 의하면, 신규한 상품의 이미지가 입력값으로 주어졌을 때, 입력된 이미지 내 상품의 상품 정보(상품명, 가격)가 도출될 수 있다.The deep learning model used by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inputs a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ie, different products having at least one different product type, size (capacity), and brand name) as input values. , and may be a pre-learned model that has been trained to have product information (product name, price) matched with each of a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as an output value. According to this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when an image of a new product is given as an input value, product information (product name, price) of the product in the input image can be derived.

일예로, 딥러닝 모델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 모델, 기계학습(머신러닝) 모델, 신경망 모델(인공 신경망 모델), 뉴로 퍼지 모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시스템(100)에 적용 가능한 딥러닝 모델은 예시적으로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합성곱 신경망), 순환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딥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등 종래에 이미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신경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eep learning model may mea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algorithm model, a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model, a neural network model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 neuro fuzzy model, and the lik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deep learning models applicable to this system 100 are illustrativel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deep learning Various neural network models previously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such as a deep neural network, may be applied.

상품 관리부(12)는 수집된 데이터(학습 데이터)를 통해 학습된 딥러닝 모델(즉,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출 상품(인출 제품)에 대한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상품 관리부(12)는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가 포함된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may use a deep learning model (ie, a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learned through the collected data (learning data) to detect a product to be withdrawn (a product withdraw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duct to be withdraw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may generate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be withdrawn using a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상술한 바에 따르면, 일예로 상품 관리부(12)는 두 상품 촬영 이미지(21, 22)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딥러닝 기반 기학습 사항(즉,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통해서는 인출 상품이 어떤 상품인지에 대한 정보(즉,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 내지 상품 정보가 포함된 내역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은 딥러닝(딥러닝 모델) 기반의 비전 인식 기술을 활용한 무인 매대(10)에 대하여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foregoing, for example,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withdrawal produc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product photographed images 21 and 22, and deep learning-based pre-learning items (ie, pre-learning deep learning model), it is possible to recogniz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product to be withdrawn (ie,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be withdrawn or detail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This application provides for the unmanned shelf 10 using deep learning (deep learning model) based vision recognition technology.

제어부(13)는 상품 관리부(12)에서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determines that a product to be withdrawn exists, the control unit 13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for the product to be withdrawn on the screen.

이때, 제어부(13)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일예로 무인 매대(10)와 키오스크(40)가 네트워크(30)로 연동되어 있다면 결제 관련 정보를 키오스크(40)의 화면에 표시하고, 무인 매대(10)와 화면 표시 장치(미도시)가 네트워크(30)로 연동되어 있다면 결제 관련 정보를 화면 표시 장치(미도시)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무인 매대(10)가 자체적으로 간편 결제 기능, 카드 결제 기능, 현금 결제 기능 등의 결제 서비스 제공 기능을 가진 매대인 경우, 제어부(13)는 무인 매대(10)에 자체 구비된 화면 표시부 상에 결제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f the unmanned counter 10 and the kiosk 40 are interlocked with the network 30, the controller 13 displays payment-relat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kiosk 40, and the unmanned counter 10 ) and the screen display device (not shown) are interlocked with the network 30, payment related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not show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nmanned shelf 10 is a shelf having a function of providing payment services such as a simple payment function, a card payment function, and a cash payment function on its own, the control unit 13 may display a screen provided in the unmanned shelf 10 itself. Payment-relat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결제 관련 정보는 인출 상품의 내역 정보 및 내역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출 상품의 내역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품 관리부(12)에 의해 생성된 정보로서,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상품명, 가격), 수량(개수) 및 총 결제 금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결제 요청 정보는 총 결제 금액을 확인하는 확인 정보 및 총 결제 금액에 대한 계산을 어떤 수단(방법)으로 수행할지를 선택하는 결제 수단 선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수단 선택 정보에는 간편 결제, 카드 결제, 현금 결제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결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The payment-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detail information of the withdrawal product and payment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payment of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etail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 information of the withdrawal product 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and may include product information (product name, price), quantity (number), and information on the total payment amount of the withdrawal product. The payment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total payment amount and payment method selec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a calculation method for the total payment amount. Here, the payment method sel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simple payment, card payment, cash payment,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payment methods may be applied.

일예로, 인증부(11)에서 사용자 인증의 수행시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증(일예로, 회원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는 회원이라는 것만 인증된 것이므로, 제어부(13)는 무인 매대(10)의 문 닫힘이 감지되면, 인출 상품의 내역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표시된 내역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면(즉, 총 결제 금액을 확인하는 확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결제 요청 정보를 추가로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유도되도록(즉, 이용 고객으로 하여금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도록 유도)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uthentication unit 11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if user authentication (eg, member authentication) based on a user-captured image is normally performed, this means that only members are authenticated, so the control unit 13 operates an unmanned display stand. When the closure of (10) is detected, the details information of the withdrawal produc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when the user confirms the displayed detail information (ie, when the user inputs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confirming the total payment amount) ) By additionally providing payment request information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induce payment for withdrawal products (that is, induce users to pay for withdrawal products).

다른 일예로, 인증부(11)에서 사용자 인증의 수행시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증(일예로, 회원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되, 이때,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이용 고객(1)과 관련하여 금융 결제 승인 정보(즉, 사용자 촬영 이미지로 사용자 인증을 했을 때 자동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설정해둔 결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는 무인 매대(10)의 문 닫힘이 감지되면, 인출 상품의 내역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표시된 내역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면(즉, 총 결제 금액을 확인하는 확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 저장된 금융 결제 승인 정보에 기반하여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자동으로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11, user authentication (eg, member authentication) based on a user photographed image is normally performed, but at this tim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in a member management database (not shown). Assume that financial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that is, payment information set so that payment is automatically made when a user is authenticated with a user-captured image) is stored in advance in relation to a user 1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 when detecting the closing of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displays detail information of the withdrawal product on the screen, and when the user confirms the displayed detail information (i.e., confirms the total payment amount) When a user inputs confirmation information to be requested), payment for a withdrawal product may be automatically completed based on financial payment approval information pre-stored in a member management database (not shown).

또 다른 일예로, 인증부(11)에서 사용자 인증의 수행시 QR 코드 인식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증(일예로, 신원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되, 이때, QR 코드 인식 후 일예로 이용 고객이 자신의 개인 정보로서 금융 결제 승인과 연계하여 설정된 간단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는 무인 매대(10)의 문 닫힘이 감지되면, 인출 상품의 내역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표시된 내역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면(즉, 총 결제 금액을 확인하는 확인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면) 앞서 QR 코드 인식을 통해 인증되었던 정보(간단 비밀번호)에 기반하여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자동으로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11, user authentication (eg, identity authentication) based on QR code recognition is normally performed, but at this time, after recognizing the QR code, for example, the user Assume that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using a simple password set in association with financial payment approval as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 when detecting the closing of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displays detail information of the withdrawal product on the screen, and when the user confirms the displayed detail information (i.e., confirms the total payment amount) When the user inputs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to be confirmed), the payment for the withdrawal product can be automatically completed based on the information (simple password) previously authenticated through QR code recognition.

제공부(14)는 화면에 표시된 결제 관련 정보에 대한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인출 상품을 판매된 판매 상품으로 인지하고, 판매 상품과 관련된 판매 정보를 관리 서버(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공부(14)는 일예로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이용 고객(1)이 소지한 휴대 단말로 결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yment for the payment-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has been completed, the provision unit 14 recognizes the withdrawal product for which the payment has been completed as a sold product, and transfers the sal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to the management server 20. can provide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yment is completed, for example, the providing unit 14 may provide payment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possessed by the customer 1 .

여기서, 판매 정보는, 판매 상품 관련 데이터, 고객 맞춤형 분석(혹은 고객 맞춤형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을 위한 판매 상품 관련 고객 데이터 및 판매 상품의 판매로 인해 무인 매대(10)에 남아있는 잔여 상품들에 관한 재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ales information includes data related to sales products, customer data related to sales products for customer-tailored analysis (or provision of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and residual products remaining on the unmanned shelf 10 due to the sale of sales products. Inventory data may be included.

판매 상품 관련 데이터는 판매 상품의 내역 정보(즉, 인출 상품의 내역 정보로서,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상품명, 가격), 수량(개수) 및 총 결제 금액에 대한 정보를 의미함), 판매 상품이 판매된 시간 정보(즉, 결제가 완료된 시간 정보), 및 판매 상품이 진열되어 있던 무인 매대(10)의 설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인 매대(10)의 설치 정보는 설치 위치(주소) 정보, 매장(지점, 점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판매 상품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매장별 상품 판매 수요를 분석/예측 가능하고, 매장별 매출 집계 정보, 상품이 잘 팔리는 시간대 정보, 지리적으로 어느 지역에서 어떤 상품이 잘 팔리는지에 대한 정보, 고객 방문 추이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Sales product-related data is information on the details of products sold (that is, information about withdrawal products, which means product information (product name, price), quantity (number), and total payment amount) of products sold It may include sales time information (ie, payment completion time information), and installation information of the unmanned stand 10 where the sale product was displayed. Installation information of the unmanned shelf 10 may include installation location (address) information, store (branch, stor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management server 20 analyzes/predicts product sales demand for each store through analysis using data related to sales products, aggregates sales information for each store, information about time zones in which products sell well, and which products are sold well in a geographical area. It is possible to grasp information such as sales status and trends in customer visits.

판매 상품 관련 고객 데이터는 판매 상품을 구입한 고객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고객 데이터는 일예로 익명 보장을 위해 이름이나 휴대번호 등과 같은 정보는 제외하고, 고객의 연령, 성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고객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특정 연령대가 선호하는 상품, 성별에 따른 선호 상품 등의 정보, 고객별 선호도, 고객의 소비 패턴 분석 등을 파악할 수 있고, 고객 개인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Customer data related to a product for sale may refer to information about a customer who purchases a product for sale. Customer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age and gender of the customer, excluding information such as name or mobile phone number to ensure anonymity. The management server 20 can identify information such as products preferred by a specific age group, preferred products according to gender, customer preferences, analysis of customer consumption patterns, etc. through analysis using customer data, and customized service can be provided.

재고 데이터는 판매 상품의 판매 이후 무인 매대(10) 내에 진열되어 있는 남은 상품들에 관한 정보로서, 남은 상품들의 상품 유형, 개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재고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선호도가 높은 상품, 선호도가 높지 않은 제품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실시간으로 재고 파악이 가능하여 무인 매대(10)의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ventory data is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products displayed in the unmanned shelf 10 after the sale of the sale product, and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and number of the remaining products. The management server 20 can grasp information such as products with high preference and products with low preference through analysis using inventory data, and also enables efficient operation of the unmanned shelf 10 by identifying inventory in real time. can do.

또한, 판매 정보에는 판매 상품이 판매될 때(결제가 완료될 때)의 날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20) 또는 무인 매대(10)는 기상 서버(미도시)와 네트워크(30)를 통해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ales information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when the sale product is sold (when payment is completed). To this end, the management server 20 or the unmanned counter 10 may be linked with a weather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network 30 .

일예로, 무인 매대(10)가 기상 서버(미도시)와 연동되어 있는 경우, 무인 매대(10)는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기상 서버로부터 현재의 날씨 정보(결제 완료된 시점의 날씨 정보)를 받아 이를 판매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2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관리 서버(20)가 기상 서버와 연동되어 있는 경우, 관리 서버(20)는 무인 매대(10)로부터 판매 정보(이때 판매 정보에는 판매 상품 관련 데이터, 고객 데이터 및 재고 데이터만 포함되어 있을 수 있음)를 수신하면, 판매 정보를 수신한 시점(즉,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시점)의 날씨 정보를 네트워크(30)를 통해 기상 서버로부터 전달받음으로써 날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날씨 정보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온도/계절/습도 별 선호 상품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nmanned sales stand 10 is interlocked with a weather server (not shown), the unmanned sales stand 10 presents weather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at the time payment is completed) from the weather ser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payment is completed. may be received and provid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 together with sales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management server 20 is interlocked with the weather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20 receives sales information from the unmanned shelf 10 (at this time, the sales information includes only sales product-related data, customer data, and inventory data). may be available), the weather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receiving the weather information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sales information (ie, the time when the payment is completed) from the weather server through the network 30 . The management server 20 may grasp information such as preferred products by temperature/season/humidity through analysis using weather information.

상술한 바에 따르면, 관리 서버(20)는 제공부(14)로부터 제공받은 판매 정보의 분석을 통해 고객별 선호 상품 파악, 고객 소비 패턴 파악, 실시간 무인 매대(10) 내 상품 판매 현황 파악, 실시간 무인 매대(10) 내 상품 재고 파악 및 재고 관리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nagement server 20 analyzes the sale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oviding unit 14 to identify preferred products for each customer, identify customer consumption patterns, identify product sales status in the real-time unmanned shelf 10, and real-time unmanned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at least one of product stock checking and stock management in the shelf 10 .

또한, 제공부(14)는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무인 매대(10) 내 잔여 상품들에 대한 재고 파악을 수행하고, 재고 파악 수행 결과 잔여 상품들의 상품 유형 중 어느 한 상품 유형의 재고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 이하이면, 무인 매대(10)에 대한 어느 한 상품 유형의 제품 보충을 위한 재고 관리용 주문 요청 메시지를 관리 서버(20)로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2)는 이러한 재고 관리용 주문 요청 메시지를 통해 재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yment is completed, the provider 14 checks the inventory of the remaining products in the unmanned shelf 10, a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inventory, the inventory quantity of any one product type among the product types of the remaining products. If the quantit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quantity, an order request message for inventory management for replenishing a product of any one product type for the unmanned shelf 10 may be provid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 . The manager 2 can efficiently manage inventory through the order request message for inventory management.

이때, 제공부(14)는 재고 파악의 수행시 앞서 설명한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재고 파악을 수행하거나, 무인 매대(10) 내부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상품 촬영 이미지(즉, 제1/제2 상품 촬영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재고 파악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vision unit 14 performs stock identification using the previously-trained deep learning model when performing inventory identification, or a product photographed image obtained from an internal camera installed inside the unmanned shelf 10 (ie, the first Inventory may be identified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first/second product image).

제공부(14)는 일예로 문 닫힘이 감지될 때마다 재고 파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공부(14)는 다른 일예로 관리자(2)로부터 재고 파악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그에 응답하여 재고 파악을 수행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providing unit 14 may perform stock checking whenever door closing is sens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viding unit 14 may perform stock checking in response to, for example, when a stock check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nager 2 .

예시적으로, 무인 매대(10) 내에 복수의 상품 유형으로서 4가지의 상품 유형(제1 상품 유형 내지 제4 상품 유형)이 진열되어 있다고 하자. 이때, 무인 매대(10) 내에, 제1 상품 유형으로는 a 브랜드의 500ml 생수가 10개, 제2 상품 유형으로는 c브랜드의 운동크림이 10개, 제3 상품 유형으로는 c 브랜드의 운동용 테이핑 제품(대형 사이즈)가 10개, 제4 상품 유형으로는 c 브랜드의 운동용 테이핑 제품(소형 사이즈)가 10개 진열되어 있다고 하자. 또한, 4가지의 상품 유형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수량이 3개로 설정되어 있다고 하자.Illustratively, it is assumed that four product types (first to fourth product types) are displayed as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in the unmanned shelf 10 . At this time, in the unmanned shelf 10, as the first product type, 10 500ml bottled water of brand a, as the second product type, 10 exercise creams of brand c, and as the third product type, brand c for exercise Assume that there are 10 taping products (large size) and 10 sports taping products (small size) of c brand as the fourth product type. Also, assume that the preset quantity is set to three for each of the four product types.

여기서, 무인 매대(10)에 진열되어 있는 총 40개의 상품 중 제1 상품 유형에 해당하는 상품(즉, a 브랜드의 500ml 생수)이 다수 이용 고객들에게 판매됨에 따라 무인 매대(10) 내에 3개가 남아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공부(14)는 재고 파악의 수행 결과, 제1 상품 유형의 재고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인 3개 이하인 것으로 파악되므로, 관리 서버(20)로 재고 관리용 주문 요청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주문 요청 메시지는 예시적으로 '무인 매대(10)에 제1 상품 유형에 해당하는 상품이 기존 10개에서 3개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추가로 공급해 주십시오'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Here, among a total of 40 products displayed on the unmanned shelf 10, as th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duct type (ie, 500ml bottled water of brand a) is sold to a large number of customers, 3 items remain in the unmanned shelf 10 Let's say there is. In this case, the provision unit 14 may provide an order request message for inventory management to the management server 20, si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ventory quantity of the first product type is 3 or less, which is a preset quantity,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inventory check. there is. At this time, the order request message is illustratively, 'There are only 3 products of the first product type left on the unmanned shelf (10) from the existing 10. Please supply more'.

본원은 무인 매대(10)가 자체적으로 재고 파악을 수행한 후 재고 정도에 따라 관리 서버(20)로 재고 관리용 주문 요청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종래에 매대에 진열된 재고의 파악시 매대 관리자(일예로 직원)가 직접 수작업으로 재고를 체크하는 방식이 갖는 문제점(즉,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정확성이 떨어지며, 매대 내 상품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본원은 무인 매대(10)가 관리 서버(20)로 재고 관리용 주문 요청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관리자(2)가 실시간으로 무인 매대(10) 내 상품 재고를 즉각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무인 매대(10)가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 내지 획득된 상품 촬영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재고 파악을 수행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재고 파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s the unmanned shelf 10 can provide an order request message for inventory management to the management server 20 according to the stock level after performing inventory checking on its own, when identifying stock conventionally displayed on the shelf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that is, it takes a long time, the accuracy is low,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inventory of products in the rack in real time) of the method of manually checking inventory by a rack manager (for example, an employe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nmanned shelf 10 can provide an order request message for inventory management to the management server 20, so that the manager 2 can immediately grasp the product inventory in the unmanned shelf 10 in real time. can do.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s the unmanned shelf 10 performs inventory identification through image analysis of a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or an acquired product photographic image, more accurate inventory identification is possible.

또한, 본원은 사용자 인증에 기초하여 무인 매대(10)의 도어락 ON/OFF 제어, 인출 상품의 존재 여부 판단,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를 포함한 내역 정보의 파악 및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인 매대(10)를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완전 무인화(TOTAL CASHIER-FREE)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종래의 매대의 경우 24시간 상품 판매를 위해 계산원을 24시간 두어야 함에 따라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automatically controls the door lock ON / OFF of the unmanned shelf 10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roduct withdrawn, identifies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withdrawn, and processes payment for the product withdrawn By providing an unmanned shelf 10 that allows to stor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unmanned (TOTAL CASHIER-FREE) at a relatively low cost, and accordingly,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helf, a cashier must be placed 24 hours a day to sell products 24 hours a day, resulting in high labor costs. You can solve the problem you are having.

본 무인 매대(10)는 일예로 피트니스 운동시설에 설치되는 매대(자판기)일 수 있다. 무인 매대(10) 내에는 음료수, 운동크림, 운동용 테이핑 제품 등과 같이 다양한 상품 유형이 복수개(즉, 복수의 상품 유형들)이 진열되어 있을 수 있다.This unmanned shelf 10 may be, for example, a shelf (vending machine) installed in a fitness facility. A plurality of various product types (ie,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such as beverages, exercise cream, and exercise taping products may be displayed in the unmanned shelf 10 .

본 시스템(100)은 다양한 상품(복수의 상품 유형의 상품들)을 하나의 플랫폼(즉, 본 무인 매대)을 통해 제공 가능하다. 즉, 본 시스템(100)은 다양한 패키지의 상품들을 하나의 무인 매대(10)에서 판매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system 100 can provide various products (products of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through one platform (ie, this unmanned shelf). That is, the present system 100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ll products of various packages on one unmanned shelf 10 .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대(10)에 진열된 상품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products displayed on an unmanned shelf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을 참조하면, 무인 매대(10)는 일예로 선반이 3개여서 3층 진열이 가능한 매대일 수 있다. 무인 매대(10)가 일예로 헬스장 등에 설치된 매대인 경우, 선반들 각각에는 복수의 상품 유형을 갖는 상품들로서 음료수, 용량이 다른 단백질 보충제, 크기가 다른 운동용 테이핑 등이 진열되어 있을 수 있다. 무인 매대(10) 내 상품들의 배치 위치 등은 무인 매대(10)를 관리하는 사용자(일예로,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unmanned shelf 10 may be, for example, a shelf capable of displaying on three floors because it has three shelves. If the unmanned shelf 10 is, for example, a shelf installed in a gym, etc., beverages, protein supplements of different capacities, exercise tapings of different sizes,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each of the shelves as products having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Placement positions of products in the unmanned display stand 10 may be variously set/changed by a user (eg, a manager) who manages the unmanned display stand 10 .

한편, 무인 매대(10) 내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는 피트니스 운동시설을 이용하는 회원들의 얼굴 이미지가 기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인증부(11)는 사용자 촬영 이미지가 획득되면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등록된 이미지들과의 매칭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촬영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용 고객(1)이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 등록되어 있는 회원이 맞는지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 회원이 맞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품 관리부(12)는 무인 매대(10)의 도어락을 ON으로 제어하여 무인 매대(10)의 문을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이용 고객(1)은 무인 매대(10)의 문을 열고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해 꺼내고 무인 매대(10)의 문을 닫을 수 있다. 이후, 무인 매대(10)는 무인 매대(10)의 문 닫힘이 감지되면, 이미지 분석 내지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인출 상품의 존재 여부 판단 내지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가 포함된 내역 정보의 도출을 수행하고, 도출된 내역 정보를 토대로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무인 매대(10)는 문 닫힘이 감지되면, 이용 고객(1)이 꺼낸 인출 상품에 대하여 자동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facial images of members using fitness facilities may be pre-registered in a member management database (not shown) in the unmanned shelf 10 . At this time, when the user-captured image is acquired, the authentication unit 11 performs a matching analysis with images registered in a member management database (not shown), so that the user 1 corresponding to the user-captured image is registered in the member management database ( (not shown)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as to whether or not a member already registered with the user is corre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mber is correct as a result of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the product management unit 12 may control the door lock of the unmanned display stand 10 to be ON to control the door of the unmanned display stand 10 to be openable. Thereafter, the customer 1 can open the door of the unmanned counter 10, select and take out a product to purchase, and close the door of the unmanned counter 10. Thereafter, when the unmanned shelf 10 detects the closing of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image analysis or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product to be withdrawn, or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be withdrawn. Derivation can be performed, and based on the derived detail information, it can be provided so that payment for withdrawal products can be made. For example, the unmanned counter 10 may provide automatic payment for the withdrawal product taken out by the customer 1 when closing of the door is sensed.

본 무인 매대(10)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하여 내부 카메라를 통해 진열 상품에 대한 인식을 수행하고, 진열된 상품들 중 인출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됨에 따라 해당 상품이 판매되었다고 판단되면, 판매된 상품 관련 판매 정보를 관리 서버(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인 매대(10)는, 관리 서버(20)의 관리자(2)로 하여금, 수신한 판매 정보(판매 상품 관련 데이터, 고객 데이터, 재고 데이터 등 포함)의 분석을 통해 판매된 상품에 대한 각종 분석, 재고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 또한, 무인 매대(10)는 재고 파악을 수행해 무인 매대(10) 내 특정 상품에 대한 수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관리 서버(20)로 재고 관리용 주문 요청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2)에게 재고 주문 요청을 할 수 있다.This unmanned shelf 10 combine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to perform recognition of displayed products through an internal camera, and determines that the product has been sold as payment for the product withdrawn among the displayed products is completed. If so, sales information related to sold products may be provid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 . Through this, the unmanned shelf 10 enables the manager 2 of the management server 20 to analyze the received sales information (including sales product related data, customer data, inventory data, etc.) It can help to perform various analysis, inventory management, etc. efficiently. In addition, the unmanned shelf 10 performs inventory check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quantity of a specific product in the unmanned shelf 10 is insufficient, the management server 20 provides an order request message for inventory management to the manager 2 to inventory the inventory. You can place an order request.

본원은 딥러닝(딥러닝 모델) 내지 인공지능(AI) 기반 무인 판매 시스템인 본 시스템(100)에 대하여 제안한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클라우드(혹은 네트워크) 기반 AI 판매대(즉, 무인 매대)를 관리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시스템(100) 및 관리 서버(20)는 무인 매대(10)로부터 획득한 정보(판매 정보)를 토대로 고객 분석, 재고 관리, 주문 관리, 결제 관리, 디지털 사이니지 관리, S/W 플랫폼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poses the present system 100, which is an unmanned sales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deep learning model) 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addition, the present system 100 may be a system for managing a cloud (or network) based AI sales stand (ie, an unmanned shelf). The system 100 and the management server 20 are based on information (sale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nmanned shelf 10, such as customer analysis, inventory management, order management, payment management, digital signage management, S/W platform management, etc. can be performed.

본 시스템(100)은 QR 코드 스캔으로 통칭되는 간편 결제를 지원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은 간단한 상품 판매 서비스의 제공, 보다 손쉬운 상품 운영/관리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무인 매대(10)를 통해 실시간 판매 및 재고 파악이 가능한 웹 기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판매 정보의 분석을 토대로, 고객(이용자) 식별을 통해 고객 그룹/개인 맞춤형 광고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고, 쿠폰 및 바우처를 통한 고객 유인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system 100 may support simple payment commonly referred to as QR code scanning. The system 100 may provide a simple product sales service and enable easier product operation/management. In addition, the present system 100 may provide a web-based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real-time sales and stock checking through the unmanned shelf 10 . In addition, the system 100 enables creation of customer group/personally customized advertisements through customer (user) identification based on analysis of sales information, and enables customer attraction through coupons and vouchers.

본 시스템(100)은 판매 정보의 분석을 통해, 관리자(2)가 상품 별 판매량/수량, 상품 판매 순위, 기기(무인 매대) 판매 상황, 토탈 판매량/금액, 토탈 판매량/개수, 주문 횟수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is system 100 analyzes sales information so that the manager 2 can determine sales volume/quantity by product, product sales ranking, device (unmanned shelf) sales status, total sales volume/amount, total sales volume/number, number of orders, etc. information can be grasped.

본 시스템(100)에서 무인 매대(10)는 상품 촬영 이미지가 획득되면, 이를 가공 및 라벨링하고, 기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상품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2)는 판매자라 달리 지칭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20)를 통해 무인 매대(10)의 설치, 운영, 재고 관리 및 판매 정보(판매 데이터)의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용 고객(1)은 무인 매대(10)를 이용하는 고객으로서 소비자라 달리 지칭될 수 있으며, 일예로 모바일 간편결제(QR 코드 인식을 통한 간편 결제)를 통해 무인 매대(10)에 진열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ystem 100, the unmanned shelf 10 may perform product recognition by processing and labeling a product photographed image when it is acquired, and using a pre-learned deep learning model. The manager 2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seller, and may perform installation, operation, inventory management, and analysis of sales information (sale data) of the unmanned shelf 10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20 . The using customer 1 is a customer who uses the unmanned shelf 10 and may be referred to as a consumer, and for example, purchases products displayed on the unmanned shelf 10 through simple mobile payment (simple payment through QR code recognition). can

본 무인 매대(10)는 딥러닝 기반의 컴퓨터 비전 인식 기술을 통하여 99% 이상의 정확도로 높은 제품(상품) 인식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무인 매대(10)는 디바이스 구성이 간단하여 매대 가격이 종래의 자판기들(일예로, 기계식, RFID 방식들) 보다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무인 매대(10)는 상품(제품)에 대한 이미지 학습을 토대로 재고 파악이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변동비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무인 매대(10)는 재고 관리에 있어서 사람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무인 매대(10)의 운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is unmanned shelf 10 can provide a high product (product) recognition rate with an accuracy of 99% or more through deep learning-based computer vision recognition technology. In addition, the present unmanned shelf 10 has a simple device configuration, so the shelf price is cheaper than conventional vending machines (eg, mechanical and RFID methods). In addition, the present unmanned shelf 10 has an advantage in that additional variable costs do not occur because inventory can be identified based on product (product) image learning. That is, as the present unmanned shelf 10 does not require human intervention in inventory managemen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rate the unmanned shelf 10 at a low cost.

또한, 본 시스템(100)은 판매 정보에 고객 데이터를 고려함으로써, 고객 데이터와 연계된 판매 현황의 분석이 가능하다. 즉, 본 시스템(100)은 고객 데이터가 포함된 판매 정보의 분석을 통해, 단위 고객별 선호도, 소비 패턴 분석 등이 가능하며, 실시간 재고 파악을 통한 운영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system 100 can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ales associated with customer data by considering customer data as sales information. That is, the system 100 can analyze sales information including customer data, analyze preferences and consumption patterns for each customer, and achieve operational efficiency through real-time inventory identification.

종래의 매대(판매대, 자판기 등)는 완전 무인화(TOTAL CASHIER-FREE)에 어려움이 있고, 고비용 설치 문제 등으로 인해 매대를 확산 보급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종래의 매대의 설치/유지보수 등에 소요되는 비용은 본원에서 제공하는 딥러닝 기반 무인 매대(10)의 설치/유지보수 등에 소요되는 비용 대비 높은 예산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본원은 딥러닝 기반으로 무인 매대(10)의 관리, 유지 보수 등이 가능하므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보급이 가능하다.Conventional counters (sales counters, vending machines, etc.) have difficulties in being completely unmanned (TOTAL CASHIER-FREE),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spreading and distributing counters due to high-cost installation problem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required for installation/maintenance of conventional racks requires a high budget compared to the cost required for installation/maintenance of the deep learning-based unmanned rack 10 provid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Since the present application can manage and maintain the unmanned shelf 10 based on deep learning, it is possible to spread at a lower cost.

또한, 본 무인 매대(10)는 간편결제 및 무인키오스크와 연동될 수 있다. 무인 매대(10)는 일예로 카카오페이, 페이코 등과 같은 간편결제 서비스와 연동됨에 따라, 이용 고객(1)이 상품을 결제함에 있어서 보다 쉽고 간편하게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무인 매대(10)는 최근 오프라인으로 사용 영역을 넓히고 있는 주요 간편 결제 서비스와 연동 가능하다. 이를 통해 무인 매대(10)는 무인 매대(10)의 문을 닫음과 동시에 자동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편리한 결제를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unmanned shelf 10 can be interlocked with simple payment and unmanned kiosks. As the unmanned counter 10 is interlocked with simple payment services such as Kakao Pay and Payco, for example, it can be provided so that the customer 1 can make a payment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when paying for a product. This unmanned shelf 10 can be linked with major simple payment services that have recently been expanding their use offline. Through this, the unmanned counter 10 can make payment automatically at the same time as the door of the unmanned counter 10 is closed, so that faster and more convenient payment can be supported.

또한, 본 무인 매대(10)는 기 설치된 무인 키오스크 또는 전용 키오스크와의 연동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무인 매대(10)는 기존의 무인 키오스크와 쉽게 연동 가능함에 따라 고객 매장의 서비스를 더욱 효율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미 무인 키오스크에 익숙해진 고객들에게는 불편함 없이 본 무인 매대(10)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무인 매대(10)는 키오스크(40)를 통해 신용카드 결제 등의 결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unmanned counter 10 may provide payment to be made through linkage with a pre-installed unmanned kiosk or dedicated kiosk. As this unmanned shelf 10 can be easily linked with existing unmanned kiosks, the service of customer stores can be made more efficient. Accordingly, customers who are already accustomed to unmanned kiosks can easily use this unmanned kiosk without any inconvenience. can make it possible In addition, the unmanned counter 10 may support payment services such as credit card payment through the kiosk 40 .

무인 매대(10)는 일예로 이용 고객(1)이 QR 코드 인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면, 무인 매대(10)의 문이 열림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이용 고객(1)은 무인 매대(10)의 문을 열어 원하는 상품을 꺼내고 문을 닫을 수 있다. 무인 매대(10)는 무인 매대(10)의 문 닫힘이 감지되면, 모바일 간편결제를 통해 자동으로 이용 고객(1)이 꺼낸 상품에 대한 자동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unmanned shelf 10 may control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to be opened, for example, when the customer 1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hrough QR code recognition. Thereafter, the customer 1 can open the door of the unmanned counter 10 to take out a desired product and close the door. When the unmanned counter 10 detects that the door of the unmanned counter 10 is closed, automatic payment for the product taken out by the customer 1 can be made through simple mobile payment.

이러한 본 시스템(100)은 간편결제 사업자와의 제휴가 가능하다. 본 시스템(100)은 더 많은 간편결제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해 고객의 접근성을 더 높일 수 있다. 간편결제 사업자에는 예시적으로 카카오페이, 페이코, 네이버페이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시스템(100)은 현재 존재하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간편결제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사업자들과 제휴될 수 있다.This system 100 can be affiliated with simple payment providers. This system 100 can further increase customer accessibility through cooperation with more simple payment providers. Simple payment operators may exemplarily include Kakao Pay, Payco, Naver Pay,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ystem 100 provides various simple payment service functions that currently exist or are developed in the future. can be affiliated with

본 시스템(100)은 일예로 무인 매대(10)가 자체적으로 결제 서비스 제공 기능을 갖춘 경우, 키오스크(40)나 화면 표시 장치(미도시)의 필요 없이도 결제가 자체적으로 가능한 바, 이용 고객들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다양한 간편결제 사업자들과의 제휴 확대가 가능하고, 글로벌 간편결제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해 해외 사용자(해외 이용 고객)도 쉽게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is system 100, for example, when the unmanned counter 10 is equipped with a payment service providing function by itself, the payment can be made on its own without the need for a kiosk 40 or a screen display device (not shown), allowing customers to use Payment can be made more conveniently. In addition, this system 100 can expand partnerships with various simple payment providers, and can be easily used by overseas users (overseas customers) through partnerships with global simple payment providers.

본원은 본 무인 매대(10)를 기존 점포 내에 설치 가능함에 따라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무인 매대(10)는 비교적 적은 면적에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점포 내에 기존 시스템의 설치(종래의 매대 설치)를 위한 전기/배선 공사가 이미 되어 있으므로, 본원은 본 무인 매대(10)를 설치하는 데에 있어서 추가적인 예산이 필요 없게 되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can maximize space utilization by installing the unmanned shelf 10 in an existing store. This unmanned shelf 10 may be installed in a relatively small area. Therefore, since the electrical/wiring work has already been don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existing system (conventional shelf installation) in the existing store,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need additional budget to install the unmanned shelf 10,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can do.

또한, 본원은 새로운 상품 판매 채널로서 고객에 대한 홍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은 본 시스템(100)의 제공을 통해 계절별, 점포별 고객 구성에 맞춘 새로운 상품을 제약없이, 딥러닝 학습(딥러닝 상품 학습)을 통해 판매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판매 정보의 제공을 통해 신제품 판매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a publicity effect for customers as a new product sales channel. Through the provision of this system 100,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new products tailored to customer composition by season and store to be sold through deep learning learning (deep learning product learning) without restrictions. 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provide data for analyzing the sales effect of a new product through the provision of sales information.

또한, 본원은 모바일 기반의 서비스로 관리자 및 고객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원은 기존 서비스 앱 또는 모바일 간편결제로 고객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은 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실시간 재고 확인 및 당일 재고 소진을 위한 가격 프로모션을 즉시 진행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enhance manager and customer convenience with a mobile-based service. The present application can increase customer convenience with existing service apps or mobile simple payments. 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tasks, and illustratively, real-time inventory check and price promotion for same-day inventory exhaustion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또한, 본원은 기존 시스템 연동 및 빅데이터를 통해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본원은 일예로 종래의 상품 판매 관련 원격 매장 관리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다. 본원은 결제 데이터(즉, 판매 상품 관련 데이터)를 시장 정보 데이터, 날씨, 이벤트, 이용 고객의 특성에 기반한 익명화된 고객 데이터 등과 통합하여 통합된 정보(즉,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고객 분석에 기반해 매출 증대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획득(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sales through linkage with existing systems and big data.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terwork with, for example, a conventional remote store management system related to product sales. We will perform analysis based on integrated information (ie, sales information) by integrating payment data (i.e., sales product-related data) with market information data, weather, events, anonymized customer data based on customer characteristics, etc.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acquire (create) basic data for increasing sales based on customer analysis.

또한, 본원은 주요 관광지, 골프장, 체육관, 헬스장 등과의 연계를 통해 고객 접근성을 확보/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은 무인 매대(10)의 제공을 통해 영업 시간 외에 상품 판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바, 효율적인 영업 연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secure / increase customer accessibility through linkages with major tourist attractions, golf courses, gyms, gyms, etc. 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made possible to sell products outside of business hours through the provision of the unmanned shelf 10, and thus an effective business extension effect can be expected.

본 무인 매대(10)의 인증부(11)는 얼굴인식 기능과의 통합을 통해 사용자(이용 고객)의 신원확인/신원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무인 매대(10)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고객을 식별함으로써, 무인 매대(10)의 문(도어)을 이용 고객(1)에게 열어줄 것인지(즉, 문 열림이 가능하게 할 것인지)를 결정(승인)할 수 있다. 무인 매대(10)는 사용자 인증이 정상 인증으로 확인되면, 무인 매대(10)의 문을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하여 고객이 무인 매대(10) 내 상품을 꺼내어 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unit 11 of the unmanned shelf 10 may perform identification/identification of a user (customer) through integration with a face recognition function. By identifying the customer through user authentication, the unmanned shelf 10 determines (approves) whether to open the door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to the customer 1 (ie, whether to allow the door to be opened). )can do. When user authentication is confirmed as normal authentication, the unmanned shelf 10 may control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10 to open the door so that the customer can take out products from the unmanned shelf 10 .

관리 서버(20)는 일예로 무인 매대(10)로부터 제공받은 판매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고객 정보를 활용한 비즈니스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관리 서버(20)는 사용자 촬영 이미지가 포함된 판매 정보를 무인 매대(1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 촬영 이미지를 토대로 고객 얼굴의 특성(Face features)을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일예로 특징점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고객의 연령, 성별 등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일예로 분석 정보는 익명화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는 이렇게 파악된 고객의 정보(일예로, 연령, 성별 등)을 판매 정보(판매 상품 관련 데이터, 재고 데이터 등)과 통합 연계함으로써, 더욱 유용한 고객 데이터의 확보를 수행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 may perform business using customer information, for example, by analyzing sale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nmanned counter 10 .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20 may receive sales information including a user-captured image from the unmanned shelf 10, and in this case, image analysis for analyzing customer fac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user-captured image (Face features) For example, feature point analysis) may be perform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gender of the corresponding customer, and analysis information may be anonymized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20 integrates and links the identified customer information (for example, age, gender, etc.) with sales information (sales product related data, inventory data, etc.) to secure more useful customer data. can

무인 매대(10) 및 관리 서버(20)는 일예로 획득된 사용자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이미지 분석 등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촬영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용 고객(1)의 정보를 파악(인식)할 수 있다. 이때, 파악(인식) 가능한 이용 고객(1)의 정보로는, 단골인지 여부(혹은 신규 고객인지 여부), 성별, 나이, 현재 감정, 안경 썼는지 여부, 마스크를 착용했는지 여부 등이 파악될 수 있다. 이러한 이용 고객(1)의 정보는 관리 서버(20)가 판매 정보를 이용해 고객 맞춤형 분석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서 보다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unmanned counter 10 and the management server 20 may grasp (recognize) information of the user 1 corresponding to the user-captured image by, for example, performing image analysis on the obtained user-captured image. At this time, as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1 that can be identified (recognized), whether or not he is a regular customer (or whether he is a new customer), gender, age, current emotion, whether he is wearing glasses, whether he is wearing a mask, etc. can be identified. .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1 may be more easily utilized when the management server 20 performs customer-tailored analysis using the sales information.

본 시스템(100) 및 관리 서버(20)는 고객사의 기존 데이터와 본 무인 매대(10)에 의해 제공되는 판매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관리 서버(20)는 사용자 촬영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파악된 이용 고객(1)의 정보(일예로, 연령, 나이 등), 각종 시장 정보 데이터, 날씨/이벤트 정보, 판매 정보, 전자결제 데이터 등을 종합적으로 취득하고, 취득된 데이터에 대한 다중 분석을 수행하여 트랜드 예측, 판매 경향 파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관리 서버(20)는 일예로 매장별 매출 집계 및 고객 방문 추이 파악, 다른 판매대(다른 무인 매대)와의 벤치 마크, 매출 증대를 위한 방법 추천 등의 정보를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system 100 and the management server 20 can perform more diverse analyzes by combining existing data of the customer company with sale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nmanned counter 10 .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20 includes information (eg, age, age, etc.) of the user 1 identified through image analysis of a user-captured image, various market information data, weather/event information, sale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acquire electronic payment data and conduct multiple analyzes on the acquired data to predict trends and identify sales trends. Based on this, the management server 20 may derive and provide information such as aggregating sales by store, identifying trends in customer visits, benchmarking with other sales counters (other unmanned counters), and recommending methods for increasing sales.

무인 매대(10)에서는 일예로 딥러닝 모델로서 사물인식을 위한 딥러닝 모델, 일예로 detectron 2를 기반으로 한 학습 모델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인 매대(10)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상품 인식(객체 인식)을 수행함에 있어서, 보다 정확한 인식률을 위해 취득된 데이터(즉, 상품 촬영 이미지)를 가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공을 자동화할 수 있다.In the unmanned shelf 10, for example, a deep learning model for object recognition as a deep learning model, for example, a learning model based on detectron 2, etc. may be applied. In addition, in performing product recognition (object recognition) using a deep learning model, the unmanned shelf 10 can process acquired data (ie, product image) for a more accurate recognition rate and can automate this processing. there is.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briefly reviewed.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대의 구동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4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method for driving an unmanned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에 도시된 무인 매대의 구동 방법은 앞서 설명된 무인 매대(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무인 매대(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무인 매대의 구동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of the unmanned shelf illustrated in FIG. 4 may be performed by the previously described unmanned shelf 10 .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s are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unmanned counter 1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driving method of the unmanned counter.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인증부는, 무인 매대의 이용을 희망하는 이용 고객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step S11, the authentication unit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for a user who wishes to use the unmanned counter.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상품 관리부는, 단계S11에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이후 무인 매대에 진열된 상품들 중 이용 고객에 의해 선택되어 무인 매대로부터 인출된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Next, in step S12, the product management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withdrawal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and withdrawn from the unmanned counter among the products displayed at the unmanned counter after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in step S11.

이때, 단계S12에서 상품 관리부는, 사용자 인증이 정상 인증으로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무인 매대 내 상품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무인 매대의 문을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12, the product management unit may control the door of the unmanned store to be openable so that products in the unmanned store can be taken out only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nfirmed as normal.

또한, 단계S12에서 상품 관리부는, 문이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 문 열림이 감지된 이후 문 닫힘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무인 매대에 진열된 상품들을 촬영하도록 무인 매대의 내부 일영역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로부터 상품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여 분석함으로써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12, if the product management unit determines that the door is closed after the door is detected while the door is controlled to be openable, products displayed on the unmanned shelf are photographed in one area inside the unmanned shelf.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oduct to be withdrawn by acquiring and analyzing a product photographed image from an internal camera installed in .

또한, 단계S12에서 상품 관리부는, 문 열림이 감지되기 이전에 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1 상품 촬영 이미지와 문 닫힘이 감지된 이후에 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상품 촬영 이미지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12, the product management unit compares the first product photographed image obtained from the internal camera before the door opening is detected with the second product photographed image obtained from the internal camera after the door is closed. can determine if it exists.

또한, 단계S12에서 상품 관리부는, 복수의 상품 유형 내 학습 이미지를 입력값으로 하고 복수의 상품 유형 내 학습 이미지 각각과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출력값으로 한 딥러닝 기반 기학습 사항에 기초하여, 상품 촬영 이미지를 이용해 판단된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가 포함된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S12, the product management unit takes the learning image in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as an input value and takes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deep learning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matched with each of the product types as an output value. It is possible to create detail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withdrawal product using the image.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제어부는, 단계S12에서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관련 정보는, 인출 상품의 내역 정보 및 내역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Next, in step S1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ithdrawal product exists in step S12, the controller may display payment related information for the withdrawal product on the screen. Here, the payment-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detail information of the withdrawal product and payment reque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payment of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etail information.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대의 구동 방법은 단계S13이후에, 제공부가 결제 관련 정보에 대한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인출 상품을 판매된 판매 상품으로 인지하고, 판매 상품과 관련된 판매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e driving method of the unmanned cou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fter step S13, when the provider determines that the payment for the payment-related information has been completed, the product for which the payment has been completed is sold. Recognizing the product as a product for sale and providing sal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for sale to a management server.

이때, 판매 정보는, 판매 상품 관련 데이터, 고객 맞춤형 분석을 위한 판매 상품 관련 고객 데이터 및 판매 상품의 판매로 인해 무인 매대에 남아있는 잔여 상품들에 관한 재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ales information may include data related to sales products, customer data related to sales products for customer-customized analysis, and inventory data regarding remaining products remaining on the unmanned shelf due to sales of the sales products.

또한,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부는,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무인 매대 내 잔여 상품들에 대한 재고 파악을 수행하고, 재고 파악 수행 결과 잔여 상품들의 상품 유형 중 어느 한 상품 유형의 재고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 이하이면, 무인 매대에 대한 상기 어느 한 상품 유형의 제품 보충을 위한 재고 관리용 주문 요청 메시지를 관리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viding step,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yment has been completed, the providing unit performs stock checking on the remaining products in the unmanned shelf, an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stock checking, the stock quantity of any one product type among the product types of the remaining products is determined. If it is less than the set quantity, an order request message for inventory management for replenishment of the product of any one product type for the unmanned shelf may be provided to the management server.

이때, 관리 서버는,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판매 정보의 분석을 통해 고객별 선호 상품 파악, 고객 소비 패턴 파악, 판매 현황 파악, 재고 파악 및 재고 관리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may be able to perform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of preferred products by customer, identification of customer consumption patterns, identification of sales status, identification of inventory, and inventory management through analysis of the sale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ovider.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steps S11 to S13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매대의 구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driving method of the unmanned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무인 매대의 구동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driving method of the unmanned shelf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nd executed by a computer.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 무인 판매 시스템
1: 이용 고객 2: 관리자
10: 무인 매대
11: 인증부 12: 상품 관리부
13: 제어부 14: 제공부
20: 관리 서버
30: 네트워크
40: 키오스크
100: unmanned sales system
1: Customer 2: Manager
10: unmanned shelf
11: authentication unit 12: product management unit
13: control unit 14: provision unit
20: management server
30: Network
40: kiosk

Claims (5)

무인 매대로서,
상기 무인 매대의 이용을 희망하는 이용 고객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이후 상기 무인 매대에 진열된 상품들 중 상기 이용 고객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무인 매대로부터 인출된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상품 관리부; 및
상기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출 상품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제 관련 정보는, 상기 인출 상품의 내역 정보 및 상기 내역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무인 매대.
As an unmanned stall,
an authentication unit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for a customer who wishes to use the unmanned counter;
a product management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withdrawal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and withdrawn from the unmanned shelf among products displayed at the unmanned shelf after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ithdrawal product exists, a control unit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for the withdrawal product on a screen,
The payment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detail information of the withdrawal product and payment request information requesting payment of a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detai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 인증으로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무인 매대 내 상품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무인 매대의 문을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것인, 무인 매대.
According to claim 1,
The product management department,
The unmanned shelf controlling the door of the unmanned shelf to be openable so that products in the unmanned shelf can be withdrawn only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nfirmed as normal authentic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문이 문 열림 가능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 문 열림이 감지된 이후 문 닫힘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인 매대에 진열된 상품들을 촬영하도록 상기 무인 매대의 내부 일영역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로부터 상품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인, 무인 매대.
According to claim 2,
The product management depart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closed after the door is opened while the door is controlled to be openable, the product from an internal camera installed in one area inside the unmanned shelf is photographed. An unmanned shelf that determines whether the withdrawal product exists by acquiring and analyzing a photographed ima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문 열림이 감지되기 이전에 상기 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1 상품 촬영 이미지와 상기 문 닫힘이 감지된 이후에 상기 내부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상품 촬영 이미지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상기 인출 상품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인, 무인 매대.
According to claim 3,
The product management depart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oduct to be withdrawn exists by comparing a first product photographed image obtained from the internal camera before the door opening is detected and a second product photographed image obtained from the internal camera after the door closing is detected. That's what you do, unmanned maeda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관리부는,
복수의 상품 유형 내 학습 이미지를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 유형 내 학습 이미지 각각과 매칭되는 상품 정보를 출력값으로 한 딥러닝 기반 기학습 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 촬영 이미지를 이용해 판단된 상기 인출 상품의 상품 정보가 포함된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관련 정보에 대한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인출 상품을 판매된 판매 상품으로 인지하고, 상기 판매 상품과 관련된 판매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 정보는, 판매 상품 관련 데이터, 고객 맞춤형 분석을 위한 판매 상품 관련 고객 데이터 및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로 인해 상기 무인 매대에 남아있는 잔여 상품들에 관한 재고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결제 완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인 매대 내 잔여 상품들에 대한 재고 파악을 수행하고, 재고 파악 수행 결과 상기 잔여 상품들의 상품 유형 중 어느 한 상품 유형의 재고 수량이 기 설정된 수량 이하이면, 상기 무인 매대에 대한 상기 어느 한 상품 유형의 제품 보충을 위한 재고 관리용 주문 요청 메시지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것인, 무인 매대.


According to claim 3,
The product management department,
The retrieval determined using the product photographed image based on a deep learning-based pre-learning item with a learning image in a plurality of product types as an input value and product information matching each of the learning images in the plurality of product types as an output value. Create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yment for the payment-related information has been completed, a provision unit recognizing the withdrawal product for which payment has been completed as a sold product and providing sal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ale product to a management server;
The sales information includes data related to sales products, customer data related to sales products for customer-customized analysis, and inventory data about remaining products remaining on the unmanned shelf due to the sale of the sales products,
The provisioning depart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yment has been completed, inventory of the remaining products in the unmanned shelf is checked, and as a result of inventory checking, if the stock quantity of any one product type among the product types of the remaining products is less than a preset quantity, the An order request message for inventory management for product replenishment of the one product type for the unmanned shelf is provided to the management server.


KR1020210121672A 2021-09-13 2021-09-13 Manless showc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389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72A KR20230038948A (en) 2021-09-13 2021-09-13 Manless showc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72A KR20230038948A (en) 2021-09-13 2021-09-13 Manless showc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948A true KR20230038948A (en) 2023-03-21

Family

ID=8580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672A KR20230038948A (en) 2021-09-13 2021-09-13 Manless showc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894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2669B (en) Dynamic customer checkout experience within an automated shopping environment
US11488104B2 (en) Virtual planogram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1922390B2 (en) Commerce automation for a fueling station
US9811840B2 (en) Consumer interfac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store navigation
WO2022034365A1 (en) Selected place on maps associated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or selected place associated merchant account based payment transactions, connections, offers, order, deals, reservation and call-to-actions
US20080046331A1 (en) Universal virtual shopping cart
US20110276385A1 (en) Mobile Shopping Decision Agent
JP2019503019A (en) Integrated automated retail system and method
KR20190141410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kiosk
KR102457229B1 (en) Remotely controllable article dispens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WO2010141656A1 (en) Mobile shopping decision agent
US20150379497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self-checkout shopping
KR102222158B1 (en)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products sales service of unmanned store
KR102286946B1 (en) Manless vending machine product purchase and management system
KR101806481B1 (en)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an electronic voucher using kiosk device
KR102245608B1 (en) Purchase system of good in vending machine using smart application
KR20230038948A (en) Manless showc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69643B1 (en) System for providing o2o-based total moving service using blockchain
KR20220125650A (en) Simple payment system using user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8025882A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WO20200123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one or more physical items to a user
KR102289325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subscription service and selling food and baverage based on mini bar
US202302374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nd Processing Transactions
US202101251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network interactions
CN116704667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dialogue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