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877A -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877A
KR20230038877A KR1020210121504A KR20210121504A KR20230038877A KR 20230038877 A KR20230038877 A KR 20230038877A KR 1020210121504 A KR1020210121504 A KR 1020210121504A KR 20210121504 A KR20210121504 A KR 20210121504A KR 20230038877 A KR20230038877 A KR 20230038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tore
real
synchronizatio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준
한봉수
문의철
Original Assignee
안상준
한봉수
문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준, 한봉수, 문의철 filed Critical 안상준
Priority to KR1020210121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8877A/ko
Publication of KR20230038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877A/ko
Priority to KR1020240034009A priority patent/KR20240039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05General purpose rendering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06T5/001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45Commer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60Positioning; Nav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 상점과 메타버스 내 미러 상점에 구비된 개별 상품들의 배치를 동기화하는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실제 상점에 위치하는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상기 실제 상점에 배치된 실제 상품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위치 분석 및 데이터 해석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해 동기화하는 단계 및 데이터 동기화에 따라,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기 실제 상점과 동일한 미러 상점에 상기 실제 상품이 메타버스화된 미러 상품의 시각화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IMPLEMENTING SYNCHRONIZATION OF OBJECT PLACEMENT IN THE MIRROR WORLD METAVERSE SPACE AND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 상점과 메타버스 내 미러 상점에 구비된 개별 상품들의 배치를 동기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메타버스(MetaVerse)는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 가상세계를 나타낸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보다 한 단계 더 진화된 개념으로, 아바타(또는 캐릭터)를 활용해 단지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즐기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적, 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포털서비스의 검색이나 위치기반 서비스 등에서는 맛집을 검색하면 해당 지역 인근의 맛집에 대한 리뷰, 찾아가는 방법이나 연락처와 같은 정보와 사진 및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전부였다. 그러나, 향후 전개될 메타버스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에서는 실제와 동일하게 표현된 현실 맵 기반 공간(미러월드)에서 내 캐릭터가 이동하면서 마음에 드는 식당에 진입하고, 메뉴 확인 및 예약 혹은 배달 주문을 주인이나 종업원 캐릭터(NPC)의 AI 챗봇을 통해 실시간으로 진행하는 형태로 진화할 것이다. 이처럼 현실 공간을 그대로 복제한 거울세계 안에서 상거래 등의 경제활동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커머스(commerce)의 메타버스화 프로젝트들이 개발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실세계의 실제 상점의 구조뿐 아니라, 상점 내부에 상품들의 진열된 배치와 동일하게 거울세계(또는 메타버스)의 미러 상점 내 미러 상품의 배치를 동기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실 맵 상의 실제 상점의 배치 및 구조와 같은 실재하는 정보를 그대로 반영하여 거울세계에서의 미러 상점의 구조와 상점 내 상품의 배치를 동기화함으로써, 3차원 미러월드의 현실성과 실시간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와 실제 공간 내 사물배치를 동기화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에 있어서, 실제 상점에 위치하는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상기 실제 상점에 배치된 실제 상품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위치 분석 및 데이터 해석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해 동기화하는 단계, 및데이터 동기화에 따라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기 실제 상점과 동일한 미러 상점에 상기 실제 상품이 메타버스화된 미러 상품의 시각화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상점에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RFID, NFC, CCTV 및 카메라의 상기 센서 기기를 통해 상기 실제 상품의 진열 위치, 진열 개수, 재고량 및 상품 종류의 상기 실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는 렌더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해 필요한 상기 미러 상품 정보를 자동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동기화 결과를 반영하여 일차적으로 렌더링 결과를 생성하여 시각화하고, 이후에 상기 센서 기기 내 CCTV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오류를 보정하거나, 보다 사실적으로 상기 실제 상품을 메타버스화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상점에서 상기 사물인터넷을 통해 비주기적으로 발생된 이벤트(event-driven)에 따라 상기 실상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실제 상점을 조직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제 상점 각각에 배치된 상기 실제 상품에 대한 데이터 동기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은 상품 재고로 상기 미러 상점의 판매대를 보충하며, 창고에 적정 재고가 없는 경우 동기화 관리자를 통해 상기 실제 상점의 상기 실제 상품에 대한 재고를 공급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은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상기 미러 상점에 상기 미러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개인화된 이벤트를 대화형으로 진행하기 위한 직원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 상품의 판매 기한에 따른 재고량에 따라 상기 직원 캐릭터를 통해 상기 미러 상품에 관한 판매 프로모션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와 실제 공간 내 사물배치를 동기화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에 있어서, 실제 상점에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센서 기기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센서 기기를 통해 상기 실제 상점에 배치된 실제 상품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한 데이터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분석 및 데이터 해석하여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기 실제 상점과 동일한 미러 상점에 상기 실제 상품이 메타버스화된 미러 상품을 구현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미러 상품의 구매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와 실제 공간 내 사물배치를 동기화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에 있어서, 실제 상점에 위치하는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상기 실제 상점에 배치된 실제 상품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실상품 정보 수신부, 상기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위치 분석 및 데이터 해석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해 동기화하는 데이터 동기화부 및 데이터 동기화에 따라,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기 실제 상점과 동일한 미러 상점에 상기 실제 상품이 메타버스화된 미러 상품을 구현하는 미러상품 구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은 상품 재고로 상기 미러 상점의 판매대를 보충하며, 창고에 적정 재고가 없는 경우, 동기화 관리자에 의해 상기 미러 상품에 대한 실제 재고를 공급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상기 미러 상점에 상기 미러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개인화된 이벤트를 대화형으로 진행하기 위한 직원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판매가 일어나면, 상기 실제 상점의 재고 관리 시스템, ERP 시스템 혹은 전자상거래 배송 시스템에 의해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실세계의 실제 상점의 구조뿐 아니라, 상점 내부에 상품들의 진열된 배치와 동일하게 거울세계(또는 메타버스)의 미러 상점 내 미러 상품을 동기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실 맵 상의 실제 상점의 배치 및 구조와 같은 실재하는 정보를 그대로 반영하여 거울세계에서의 미러 상점을 동기화함으로써, 3차원 메타버스 공간에서 보다 현실성과 실시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제 상점과 메타버스 내 미러 상점에 구비된 개별 상품들의 배치를 동기화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실제 상점과 동일한 위치 및 구조를 가지는 미러 상점을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 구현하며, 실제 상점 내부에 배치 및 진열된 실제 상품과 동일하게 미러 상점 내부에 미러 상품들을 그대로 반영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해당 상점을 소유한 오너(owner)의 동의를 전제로 상점의 실제 구조 및 인테리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현실세계의 실제 상점(110) 및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미러 상점(120)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400)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의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실제 상점(110)의 수나 미러 상점(120)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 상점(110)은 현실세계에 실제 존재하는 상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점 내부에는 실제 상품의 진열 위치, 진열 개수, 재고량 및 상품 종류의 실상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센서 기기가 위치할 수 있다. 실제 상점(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30)를 통해 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3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3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5G, LoRa, ANT 등 특정 유/무선 통신 기술에 제한되지 않으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3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러 상점(120)은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 위치하는 가상의 상점을 나타내는 것이나, 실제 상점(110)과 동일한 구조 및 인테리어를 나타내며, 실제 상점(110)에 진열된 실제 상품과 동일한 미러 상품이 진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버(400)는 실제 상점(110)에 위치하는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센서 기기와 네트워크(13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400)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실제 상점(110)에 위치하는 센서 기기로부터 실제 상품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실상품 정보를 분석 및 해석하여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한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며, 데이터 동기화에 따라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서 실제 상점과 동일한 미러 상점(120)에 실제 상품이 메타버스화된 미러 상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실제 상점에 위치하는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실제 상점에 배치된 실제 상품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210은 실제 상점에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RFID, NFC, CCTV 및 카메라의 센서 기기를 통해 수집되는 이미지 데이터, 태그 정보, 스캐너 정보 및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실제 상품의 진열 위치, 진열 개수, 재고량 및 상품 종류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현실세계에서의 실제 상점에는 판매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제 상품이 진열 및 배치되어 있다. 이때, 센서 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대상 즉, 실제 상품의 정의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식료품, 건강용품, 생활용품, 주방용품, 생활잡화, 의류, 악세서리, 완구/문구/도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간헐적으로 실제 상점에서 상품이 판매되어 판매대에 소진되는 경우와 같은 상품의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그 사물의 움직임이나 이동 자체를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표현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현실 맵(reality map)을 기반으로 한 영상 렌더링을 통해 현실 맵 상에 기 설정된 범위의 메타버스 공간을 구현하고, 구현된 메타버스 공간에 실제 상점의 위치 및 구조와 동일하게 미러 상점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미러 상점 내부에 진열되는 미러 상품 또한 실제 상점에 진열 및 배치된 실제 상품과 동일화하기 위해 단계 S210을 통해 실제 상점으로부터 실상품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실제 상점 내부의 벽면 또는 판매대 부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NFC, CCTV 및 카메라의 센서 기기는 실제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위치하며, 단계 S210은 센서 기기로부터 진열 및 배치된 실제 상품의 진열 위치, 진열 개수, 재고량 및 상품 종류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품 개수 센싱이 불가능한 센서 기기의 경우, 단계 S210은 해당 센서 기기와 연관된 판매대 위 재고가 없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삼각측량 등을 통해 실제 상품의 정확한 실내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특정 위치에 고정된 센서 기기를 추가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단계 S210은 센서 기기 각각이 고정된 특정 위치에서 수집되는 상품의 개수 정보 혹은 재고 없음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단계 S210은 실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업데이트 주기는 오너 또는 운영자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나,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타임 드라이븐(Time-driven) 방식이 아니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드라이븐(Event-driven) 방식으로 실시간 업데이트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주기적 업데이트가 아니라 비주기적으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이벤트란, 실제 상점에 진열 및 배치된 실제 상품의 움직임을 감지할 때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위치 분석 및 데이터 해석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한 데이터 동기화한다.
단계 S220은 메타버스 공간 시각화 렌더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해 필요한 실상품 정보를 자동 동기화할 수 있다. 단계 S220은 데이터 분석 및 메타버스 공간 시각화(비주얼라이제이션)를 위한 렌더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단계 S210에서의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상점의 판매대에 진열 및 배치된 실제 상품과 동일하도록 데이터 동기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220은 실제 상점에서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센서 기기를 통해 비주기적으로 발생된 이벤트(event-driven)에 따라 실상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다.
일례로, 단계 S2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제 상점에 대한 동기화를 조직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제 상품에 진열 및 배치된 실제 상품에 대한 데이터 동기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계 S220은 동기화 관리자에 의해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은 자동으로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나, 오류가 있거나 불가피한 경우, 동기화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동기화 관리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에, 동기화 관리자는 실제 상점에서의 실제 상품의 업데이트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를 수동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제 상점들을 그룹화하여 동시에 동기화를 수동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프랜차이즈 상점이나 한 쇼핑센터에서 여러 개의 상점을 묶어 하나의 상점으로 운영하는 경우, 관리체계나 보고체계 역시 현실의 조직체계에 따라 그대로 매핑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동기화 관리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점의 동기화를 동시에 담당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데이터 동기화에 따라,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서 실제 상점과 동일한 미러 상점에 실제 상품이 메타버스화된 미러 상품을 구현한다.
단계 S230은 데이터 동기화 결과를 반영하여 일차적으로 생성된 렌더링 결과와 센서 기기 내 CCTV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오류를 보정하거나, 보다 사실적으로 실제 상품을 메타버스화할 수 있다. 단계 S230은 단계 S220을 통한 동기화 결과를 반영하여 일차적으로 생성된 실제 상품의 실상품 정보에 대한 렌더링 결과와 CCTV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오류를 보정하거나, 미러 상품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230은 인공지능, 딥러닝, 영상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동기화 결과에 따른 오류 보정이나 합성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은 실제 상점에서 사용하는 재고 관리용 소프트웨어 시스템 혹은 POS(Point Of Sales)와 연동 가능하며, 미러 상점에서의 주문 및 결제가 기존 이커머스처럼 집중형 PG(Payment Gateway)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POS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은 상품 재고로 미러 상점의 판매대를 보충하며, 창고에 적정 재고가 없는 경우, 동기화 관리자를 통해 미러 상점의 미러 상품과 연결된 실제 상품에 대한 재고를 공급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제 상점의 재고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러들의 판매대가 모여있는 위탁 판매장의 경우, 오너의 역할은 위탁 관리인이며 실질적으로 셀러가 복수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각 판매대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오너 및 해당 소유 셀러에게도 동시에 전달되어야 한다. 즉, 하나의 판매대를 독립적인 상점으로 취급하지만, 여러 판매대들이 하나의 상점 주소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이로 인하여, 판매대 - 상점 - 복합몰(백화점)과 같은 계층적 구조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특정 판매대에 물품이 소진되면 오너 또는 셀러가 창고에 남은 재고로 판매대를 보충해야 하며, 창고에도 적정 재고가 없을 경우에는 셀러가 즉각적으로 재고를 공급할 수 있는 조치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는 통상적인 공급망 관리에 해당하는데, 기존에 이러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면 본 발명은 이러한 시스템(재고 관리용 소프트웨어 시스템 혹은 POS)과 연동되어야 한다. 이때, 해당 판매대의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상의 동기화 관리자는 일차적으로 각 셀러가 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오너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은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판매가 일어나면, 실제 상점의 재고 관리 시스템이나 ERP 시스템 혹은 전자상거래 배송 시스템 등에 의해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하며, 기존 상품 재고 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미러 상점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미러 상점에서 실제 상점으로 역방향 동기화의 데이터 플로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은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미러 상점에 미러 상품을 판매하는 직원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미러 상품의 판매 기한에 따른 재고량에 따라 직원 캐릭터를 통해 미러 상품에 관한 판매 프로모션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료품 또는 공산품의 경우 유통기한이 다가오거나 잘 안팔리는 상품 혹은 너무 잘 팔려서 남은 상품을 처분하고자 할 때, 각각 상품의 가치가 다를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은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미러 상점에 직원 캐릭터를 생성하여 직원 캐릭터를 통해 가치가 떨어지는 미러 상품에 대한 타임세일, 폭탄세일, 땡처리 등과 같은 판매 프로모션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매 프로모션 이벤트는 실제 상점에서 진행되는 이벤트와는 독립적으로 진행되며, 상점 내 재고 관리 시스템과는 동기화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직원 캐릭터는 실제 상점의 직원과는 독립적으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된 순수 가공의 존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은 거울세계 기반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상세한 미러 상품 배치를 실제 상품 진열 상태와 동기화하여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동기화는 수동이 아니라 자동으로 반영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단계 S210을 통해 센서 기기를 통한 동기화를 수행하고,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데이터 업데이트를 통한 자동 동기화를 수행하며, 단계 S220을 통해 서버 측 소프트웨어를 통한 자동 동기화를 수행하고, 단계 S230을 통해 미러 상품 구현에 따른 오류 보정을 위한 피드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기화 작업은 수작업이 아니라 센서 기기, 사물인터넷(IoT), 그리고 서버(400)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실제 상점의 오너(또는 점주)는 직접 메타버스 서비스를 통해 미러 상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단계 S310에서,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센서 기기를 등록한다. 사물인터넷으로 연결되는 RFID, NFC, CCTV 및 카메라의 센서 기기는 실제 상점의 판매대에 설치되며, 단계 S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기기의 특정 위치에 따라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320 및 단계 S330에서, 센서 기기를 통해 실제 상점에 배치된 실제 상품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실상품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단계 S320 및 단계 S330은 진열 위치 및 개수 뿐만이 아니라 재고량 및 상품 종류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5G, LoRa, ANT의 무선 인터넷 통신 연결 수단을 통해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센서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은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운용하며,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한 데이터 동기화하며, 동기화를 위해 실상품 정보를 위치 분석 및 데이터 해석한다(단계 S340, 단계 S350 및 단계 S36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구현 방법은 데이터 분석 및 메타버스 공간 비주얼라이제이션을 위한 렌더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상품 정보를 시각화를 위한 렌더링을 통해 실제 상점의 판매대에 진열 및 배치된 실제 상품과 동일하도록 메타버스 공간에 반영하여 데이터 동기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350은 일차적으로 생성된 실제 상품의 실상품 정보에 대한 렌더링 결과와 CCTV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메타버스 공간에 반영되는 미러 상품의 오류를 보정하거나, 미러 상품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단계 S370에서, 미러 상점에서 사용자의 미러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례로,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구현된 미러 상점에서 사용자(또는 유저)가 진열 및 배치된 미러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단계 S370은 실제 상점의 재고 관리용 소프트웨어 시스템 혹은 POS(Point Of Sales)와 연동하여 개별적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또는 시스템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400)은 실상품 정보 수신부(410), 데이터 동기화부(420), 미러상품 구현부(430), 제어부(440) 및 DB(450)를 포함한다.
DB(DataBase; 데이터베이스, 45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서비스 운영자와 계약이 체결된 오너 또는 건물주에 대한 정보 및 계약 정보와 메타버스화하기 위한 실제 상점의 구조 및 인테리어, 그리고 실제 상품을 메타버스화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DB(450)는 상술한 데이터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상품 정보 수신부(410)는 실제 상점에 위치하는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실제 상점에 배치된 실제 상품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한다.
실상품 정보 수신부(410)는 실제 상점에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RFID, NFC, CCTV 및 카메라의 센서 기기를 통해 수집되는 이미지 데이터, 태그 정보, 스캐너 정보 및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실제 상품의 진열 위치, 진열 개수, 재고량 및 상품 종류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현실세계에서의 실제 상점에는 판매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제 상품이 진열 및 배치되어 있다. 이때, 센서 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대상 즉, 실제 상품의 정의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식료품, 건강용품, 생활용품, 주방용품, 생활잡화, 의류, 악세서리, 완구/문구/도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간헐적으로 실제 상점에서 상품이 판매되어 판매대에 소진되는 경우와 같은 상품의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그 사물의 움직임이나 이동 자체를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표현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400)은 현실 맵(reality map)을 기반으로 한 영상 렌더링을 통해 현실 맵 상에 기 설정된 범위의 메타버스 공간을 구현하고, 구현된 메타버스 공간에 실제 상점의 위치 및 구조와 동일하게 미러 상점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미러 상점 내부에 진열되는 미러 상품 또한 실제 상점에 진열 및 배치된 실제 상품과 동일화하기 위해 실상품 정보 수신부(410)를 통해 실제 상점으로부터 실상품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실제 상점 내부의 벽면 또는 판매대 부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NFC, CCTV 및 카메라의 센서 기기는 실제 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위치하며, 실상품 정보 수신부(410)는 센서 기기로부터 진열 및 배치된 실제 상품의 진열 위치, 진열 개수, 재고량 및 상품 종류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품 개수 센싱이 불가능한 센서 기기의 경우에는, 실상품 정보 수신부(410)는 해당 센서 기기와 연관된 판매대 위 재고가 없는 상태인 것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삼각측량 등을 통해 실제 상품의 정확한 실내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특정 위치에 고정된 센서 기기를 추가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실상품 정보 수신부(410)는 센서 기기 각각이 고정된 특정 위치에서 수집되는 상품의 개수 정보 혹은 재고 없음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실상품 정보 수신부(410)는 실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업데이트 주기는 오너 또는 운영자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나,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타임 드라이븐(Time-driven) 방식이 아니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드라이븐(Event-driven) 방식으로 실시간 업데이트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주기적 업데이트가 아니라 비주기적으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이벤트란, 실제 상점에 진열 및 배치된 실제 상품의 움직임을 감지할 때를 나타낼 수 있다.
데이터 동기화부(420)는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위치 분석 및 데이터 해석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한 데이터 동기화한다.
데이터 동기화부(420)는 메타버스 공간 시각화 렌더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해 필요한 실상품 정보를 자동 동기화할 수 있다. 데이터 동기화부(420)는 데이터 분석 및 메타버스 공간 시각화(비주얼라이제이션)를 위한 렌더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상품 정보 수신부(410)에서의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상점의 판매대에 진열 및 배치된 실제 상품과 동일하도록 데이터 동기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동기화부(420)는 실제 상점에서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센서 기기를 통해 비주기적으로 발생된 이벤트(event-driven)에 따라 실상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 동기화부(4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제 상점에 대한 동기화를 조직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제 상품에 진열 및 배치된 실제 상품에 대한 데이터 동기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 동기화부(420)는 동기화 관리자에 의해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은 자동으로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나, 오류가 있거나 불가피한 경우, 동기화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동기화 관리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에, 동기화 관리자는 실제 상점에서의 실제 상품의 업데이트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를 수동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제 상점들을 그룹화하여 동시에 동기화를 수동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프랜차이즈 상점이나 한 쇼핑센터에서 여러 개의 상점을 묶어 하나의 상점으로 운영하는 경우, 관리체계나 보고체계 역시 현실의 조직체계에 따라 그대로 매핑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동기화 관리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점의 동기화를 동시에 담당할 수 있다.
미러상품 구현부(430)는 데이터 동기화에 따라,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서 실제 상점과 동일한 미러 상점에 실제 상품이 메타버스화된 미러 상품을 구현한다.
미러상품 구현부(430)는 데이터 동기화 결과를 반영하여 일차적으로 생성된 렌더링 결과와 센서 기기 내 CCTV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오류를 보정하거나, 보다 사실적으로 실제 상품을 메타버스화 표현할 수 있다. 미러상품 구현부(430)는 동기화 결과를 반영하여 일차적으로 생성된 실제 상품의 실상품 정보에 대한 렌더링 결과와 CCTV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오류를 보정하거나, 미러 상품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미러상품 구현부(430)는 인공지능, 딥러닝, 영상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동기화 결과에 따른 오류 보정이나 합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상품 재고로 미러 상점의 판매대를 보충하며, 창고에 적정 재고가 없는 경우, 동기화 관리자에 의해 미러 상품에 대한 재고를 공급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미러 상점에 미러 상품을 판매하는 직원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미러 상품의 판매 기한에 따른 재고량에 따라 직원 캐릭터를 통해 미러 상품에 관한 판매 프로모션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료품 또는 공산품의 경우 유통기한이 다가오거나 잘 안팔리는 상품 혹은 너무 잘 팔려서 남은 상품을 처분하고자 할 때, 각각 상품의 가치가 다를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400)은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미러 상점에 직원 캐릭터를 생성하여 직원 캐릭터를 통해 가치가 떨어지는 미러 상품에 대한 타임세일, 폭탄세일, 땡처리 등과 같은 판매 프로모션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매 프로모션 이벤트는 실제 상점에서 진행되는 이벤트와는 독립적으로 진행되며, 상점 내 재고 관리 시스템과는 동기화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직원 캐릭터는 실제 상점의 직원과는 독립적으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된 순수 가공의 존재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판매가 일어나면, 실제 상점의 재고 관리 시스템이나 ERP 시스템 혹은 전자상거래 배송 시스템 등에 의해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하며, 기존 상품 재고 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미러 상점을 통한 관리자 및 캐릭터 간의 처리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400)은 미러 상점에서 실제 상점으로 역방향 동기화의 데이터 플로우를 제시할 수 있다.
비록, 도 4의 시스템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도 4를 구성하는 각 구성 수단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와 실제 공간 내 사물배치를 동기화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에 있어서,
    실제 상점에 위치하는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상기 실제 상점에 배치된 실제 상품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위치 분석 및 데이터 해석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해 동기화하는 단계; 및
    데이터 동기화에 따라,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기 실제 상점과 동일한 미러 상점에 상기 실제 상품이 메타버스화된 미러 상품의 시각화를 구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상점에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RFID, NFC, CCTV 및 카메라의 상기 센서 기기를 통해 상기 실제 상품의 진열 위치, 진열 개수, 재고량 및 상품 종류의 상기 실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는
    메타버스 공간 시각화 렌더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해 필요한 상기 실상품 정보를 자동 동기화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현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동기화 결과를 반영하여 일차적으로 렌더링 결과를 생성하여 시각화하고, 이후에 상기 센서 기기 내 CCTV를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오류를 보정하거나, 보다 사실적으로 상기 실제 상품을 메타버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상점에서 상기 사물인터넷을 통해 비주기적으로 발생된 이벤트(event-driven)에 따라 상기 실상품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실제 상점을 조직적으로 관리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제 상점 각각에 배치된 상기 실제 상품에 대한 데이터 동기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품 재고로 상기 미러 상점의 판매대를 보충하며, 창고에 적정 재고가 없는 경우, 동기화 관리자를 통해 상기 미러 상점의 상기 미러 상품과 연결된 실제 상품에 대한 재고를 공급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상기 미러 상점에 상기 미러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개인화된 이벤트를 대화형으로 진행하기 위한 직원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미러 상품의 판매 기한에 따른 재고량에 따라 상기 직원 캐릭터를 통해 상기 미러 상품에 관한 판매 프로모션 이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10.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와 실제 공간 내 사물배치를 동기화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에 있어서,
    실제 상점에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센서 기기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센서 기기를 통해 상기 실제 상점에 배치된 실제 상품의 개수 정보 및 위치 정보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한 데이터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분석 및 데이터 해석하여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기 실제 상점과 동일한 미러 상점에 상기 실제 상품이 메타버스화된 미러 상품을 구현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미러 상품의 구매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11.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와 실제 공간 내 사물배치를 동기화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에 있어서,
    실제 상점에 위치하는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상기 실제 상점에 배치된 실제 상품의 실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실상품 정보 수신부;
    상기 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위치 분석 및 데이터 해석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시각화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업데이트해 동기화하는 데이터 동기화부; 및
    데이터 동기화에 따라,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기 실제 상점과 동일한 미러 상점에 상기 실제 상품이 메타버스화된 미러 상품을 구현하는 미러상품 구현부
    를 포함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품 재고로 상기 미러 상점의 판매대를 보충하며, 창고에 적정 재고가 없는 경우, 동기화 관리자에 의해 상기 미러 상품에 대한 실제 재고를 공급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상기 미러 상점에 상기 미러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개인화된 이벤트를 대화형으로 진행하기 위한 직원 캐릭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판매가 일어나면, 상기 실제 상점의 재고 관리 시스템, ERP 시스템 혹은 전자상거래 배송 시스템에 의해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시스템.
KR1020210121504A 2021-09-13 2021-09-13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8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504A KR20230038877A (ko) 2021-09-13 2021-09-13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1020240034009A KR20240039099A (ko) 2021-09-13 2024-03-11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504A KR20230038877A (ko) 2021-09-13 2021-09-13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4009A Division KR20240039099A (ko) 2021-09-13 2024-03-11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877A true KR20230038877A (ko) 2023-03-21

Family

ID=858012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504A KR20230038877A (ko) 2021-09-13 2021-09-13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1020240034009A KR20240039099A (ko) 2021-09-13 2024-03-11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4009A KR20240039099A (ko) 2021-09-13 2024-03-11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3887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099A (ko) 202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0444B2 (en) Virtual facility platform
JP6785244B2 (ja) 棚の表示ユニット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棚の表示ユニットに情報をグラフィカルに提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366444B2 (en) Inventory management
JP2019016375A (ja) 仮想プラノグラム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415624A (zh) 基于自动定位发现扩展库存
WO20190061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RESSING THE CARD OF A RETAIL ESTABLISHMENT
US20140129370A1 (en) Chroma Key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ocial E-Commerce
CN104937627B (zh) 用于生成对零售位置的推荐的计算机系统、方法和介质
WO20160511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display units in a retail store
KR20160085334A (ko) 쇼핑 트립 플래너
US11783405B2 (en) Device, medium, and method for utilizing wearable technology to facilitate fulfilling customer orders
US10445690B2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related to re-stocking maps
Karunarathna et al. A Fully Functional Shopping Mall Application--SHOPPING EYE
KR20230038877A (ko) 미러월드 메타버스 공간 내 사물배치 동기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JP7313157B2 (ja) 店舗システム、ステータス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10170B1 (en) Propagating and expiring presentation information
KR20200041120A (ko) 꽃다발 추천 방법
US10438259B1 (en) Propagating and presenting user specific information
US11615460B1 (en) User path development
KR102617902B1 (ko) 상품 픽업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30038296A1 (en) Localized facility-specific presentation of digital temporary offer data and details
KR20210144188A (ko) 매장 내 상품 위치 및 고객 이동 경로 안내 방법 및 그 장치
Cvetkovski et al. Digitalisation in Shopping: An IoT and Smart Applications Perspective
KR20240055755A (ko) 자동 소매 디스플레이 관리
CN110264293A (zh) 匹配程度的确定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