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406A -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406A
KR20230038406A KR1020227014094A KR20227014094A KR20230038406A KR 20230038406 A KR20230038406 A KR 20230038406A KR 1020227014094 A KR1020227014094 A KR 1020227014094A KR 20227014094 A KR20227014094 A KR 20227014094A KR 20230038406 A KR20230038406 A KR 20230038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acoustic
acoustic device
wireless
wor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석
이성욱
김병진
조택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38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by co-ordinating position lines of different shape, e.g. hyperbolic, circular, elliptical or rad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47Determining attitu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7Use of position data from wide-area or local-area positioning systems in hearing devices, e.g. program or information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음향 기기와 연결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와 측위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송수신한 측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로부터 가속도 센서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속도 센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자세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대적 위치 및 상기 결정된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여부 또는 착용 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착용된 것으로 결정된 무선 음향 기기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음향 기기는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유선 음향 기기에 비하여 휴대성과 편의성이 크다는 측면에서, 무선 음향 기기의 수요와 공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음향 기기의 휴대성의 증가로 인해 양 음향 출력부를 반대로 착용하는 상황이나 분실하는 상황이 증가하였다. 또한, 유선 음향 기기와는 달리 배터리를 내장하여 사용 시간에 제한이 있으며, 따라서 무선 음향 기기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에게 올바른 착용을 안내하는 무선 음향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의 착용 상태에 기초하여 무선 음향 기기의 출력 채널을 조정하거나 그 전원을 차단하는 무선 음향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음향 기기와 연결하고,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와 측위 신호를 송수신하여 연결된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로부터 수신한 가속도 센서 값에 기초하여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자세를 결정하고,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상대적 위치와 자세에 기초하여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상태를 결정하고,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송수신한 측위 신호의 도래각과 비행 시간을 측정하여, 무선 음향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무선 음향 기기와 연결될 경우에는 연결된 복수의 무선 음향 기기 각각의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연결된 복수의 무선 음향 기기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 각각에 대한 거리,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 각각의 방향,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 각각의 자세 또는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들 사이의 거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착용되지 않은 무선 음향 기기에 대하여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을 해제하거나 또는 출력 오디오 채널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방향을 고려하여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에 대응하는 출력 오디오 채널을 결정하고,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에 결정된 출력 오디오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무선 음향 기기와 제2 무선 음향 기기가 모두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무선 음향 기기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제1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방향에 대응하는 오디오 채널로 결정하고, 제2 무선 음향 기기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제2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방향에 대응하는 오디오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무선 음향 기기와 제2 무선 음향 기기가 각각 하나씩 두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되거나, 제1 무선 음향 기기와 제2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하나만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무선 음향 기기와 제2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모노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무선 음향 기기를 잘못된 방향으로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무선 음향 기기에 대한 올바른 착용 방법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무선 음향 기기를 반대로 착용하더라도,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방향에 적합하게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하지 않은 무선 음향 기기에서의 소리 출력을 중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도래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무선 음향 기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산출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단말기에 대한 무선 음향 기기의 상대적 위치와 무선 음향 기기의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한 명의 사용자가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를 모두 착용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16는 두 명의 사용자가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를 하나씩 착용하는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한 명의 사용자가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하나만을 착용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한 명의 사용자가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를 하나도 착용하지 않은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한 명의 사용자가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를 반대로 착용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말기(100)는 TV, 프로젝터, 휴대폰, 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셋톱박스(STB), DMB 수신기, 라디오, 세탁기, 냉장고, 디지털 사이니지, 로봇, 차량 등과 같은, 고정형 기기 또는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시스템(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향 출력 시스템(1)은 단말기(100), 컨텐츠 제공자(2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음향 기기(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와 연결하고, 무선 음향 기기(300)를 통해 소리를 출력하고, 무선 음향 기기(300)를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무선 음향 기기(300)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단말기(100)를 오디오 신호 제공 장치라고 볼 수 있다.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음향 기기(300)를 통해 동시에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각 무선 음향 기기(300)에 서로 다른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다채널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와 페어링(pairing) 신호, 측위 신호, 오디오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페어링 신호는 무선 음향 기기(300)를 단말기(100)에 연결하는데 송수신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측위 신호는 단말기(100)와 무선 음향 기기(30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측정하는데 송수신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는 단말기(100)가 무선 음향 기기(300)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에 전송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자(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무선 음향 기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무선 음향 기기(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무선 음향 기기(300)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와 연결하며,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음향 기기(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출력부 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음향 기기(300)는 하나 이상의 음향 출력부(340)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음향 출력부(340)를 통해 동일한 채널의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채널의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무선 음향 기기(300)는 헤드폰이나 넥 밴드형 이어폰과 같이 두 개의 음향 출력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무선 음향 기기(300)는 각 음향 출력부를 통해 좌 채널 소리와 우 채널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무선 음향 기기(300)는 하나의 그룹으로 동작할 수 있고, 이러한 무선 음향 기기 그룹은 마치 복수의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무선 음향 기기처럼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가 각각 하나의 음향 출력부만을 포함하더라도, 이러한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 중에서 하나는 좌 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좌 채널 소리를 출력하고, 나머지 하나는 우 채널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우 채널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무선 음향 기기(300)가 하나의 그룹으로 동작할 경우, 하나의 무선 음향 기기가 마스터 무선 음향 기기로 기능하고, 나머지 무선 음향 기기가 슬레이브 무선 음향 기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마스터 무선 음향 기기에만 연결하더라도, 마스터 무선 음향 기기를 통해 슬레이브 무선 음향 기기에서도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마스터 무선 음향 기기를 통하여 슬레이브 무선 음향 기기와도 연결하고, 슬레이브 음향 기기에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무선 음향 기기(300)가 하나의 그룹으로 동작할 경우, 단말기(100)가 각 무선 음향 기기(300)와 모두 연결하고 각 무선 음향 기기(300)에 개별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에 대하여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 또는 오디오 컨텐츠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비디오 컨텐츠 또는 오디오 컨텐츠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0)는 라디오 기지국, 지상파 기지국, 방송 위성, 컨텐츠 데이터 서버 등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러닝 프로세서(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70) 및 프로세서(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 모뎀(communication modem) 또는 통신 회로(communication circuit)라고도 칭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 등의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들과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학습 모델,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입력부(120)는 입력 인터페이스(input interface)라고 칭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22),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21)나 마이크로폰(122)을 센서로 취급하여, 카메라(121)나 마이크로폰(122)으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센싱 데이터 또는 센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출력을 획득할 때 사용될 입력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가공되지 않은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프로세서(18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로써 입력 특징점(input feature)을 추출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입력 수단 (예컨대,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식 입력 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130)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학습 모델이라 칭할 수 있다. 학습 모델은 학습 데이터가 아닌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해 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추론된 값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로 이용될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130)는 인공 지능 서버(미도시)의 러닝 프로세서(미도시)와 함께 AI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130)는 단말기(100)에 통합되거나 구현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 단말기(100)에 직접 결합된 외부 메모리 또는 외부 장치에서 유지되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센싱부(140)는 센서부 또는 센서라고 칭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단말기(100) 내부 정보, 단말기(100)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되는 센서에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라이다, 레이더 등이 있다.
출력부(150)는 출력 인터페이스(output interface)라고 칭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151), 음향 출력부(Sound Output Unit,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3), 광 출력부(Optical Output Unit, 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70)는 입력부(120)에서 획득한 입력 데이터, 학습 데이터, 학습 모델, 학습 히스토리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출력 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향 출력부(152)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출력 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80)는 러닝 프로세서(130) 또는 메모리(17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음성 입력을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한 STT(Speech To Text) 엔진 또는 자연어의 의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일부가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된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러닝 프로세서(130)에 의해 학습된 것이나, 인공 지능 서버(미도시)의 러닝 프로세서(240)에 의해 학습된 것이거나, 또는 이들의 분산 처리에 의해 학습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단말기(100)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17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에 저장하거나, 인공 지능 서버(미도시)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단말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100)의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300)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무선 음향 기기(300)로써의 커널형 무선 이어폰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에서의 무선 음향 기기(300)는 헤드폰, 넥 밴드형 이어폰, 커널형 이어폰, 개방형 이어폰, 골전도 이어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음향 기기(300)는 복수 개의 케이스(301, 302, 303, 305)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301, 302, 303, 305)는 결합하여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케이스(301)의 일측에 결합하는 제2 케이스(302)는 사용자가 무선 음향 기기(300)를 착용시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고, 제1 케이스(301)의 타측에 음향신호에 따라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340)가 위치하여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는 음향 통로(30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케이스(301)에 부품(예컨대, 음향 출력부(340), 통신부(385))의 실장이 용이하도록 음향 통로(304)가 위치하는 부분이 분리되어 별도의 케이스(303)를 구성할 수 있다.
무선 음향 기기(300)는 커널형으로서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돌출된 음향 통로(304)를 구비하고 음향 통로(304)의 외측에 사용자의 귀와 밀착되도록 이어팁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3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음향 기기(300)는 프로세서(380), 통신부(385), 음향 출력부(340), 센싱부(375), 마이크로폰(360), 사용자 입력부(370) 및 전원 공급부(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85)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와 같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는 사용자의 몸과 닿으면 방사 성능이 저하되므로 착용시 몸과 닿지 않는 제2 케이스(302)에 위치할 수 있다.
통신부(385)는 음향 출력부(34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만약, 무선 음향 기기(300)에 복수의 음향 출력부(340)가 포함된 경우, 통신부(385)는 각 음향 출력부(340)에 대응하는 개수만큼으로 구성되어, 각 음향 출력부(34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음향 기기(300)에 제1 음향 출력부와 제2 음향 출력부가 포함된 경우, 제1 통신부는 제1 음향 출력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2 통신부는 제2 음향 출력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40)는 진동판, 음향 코일 및 음향 코일의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영구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 내에서 전자기력이 발생하여 음향 코일이 움직이게 되고, 음향 코일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판이 진동하며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360)은 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신부(385)를 통해 단말기(100) 또는 외부의 서버(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3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무선 음향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 또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크기가 작은 무선 음향 기기(300)는 터치 형식을 이용하거나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 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 가능한 제어 명령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센싱부(375)는 무선 음향 기기(3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375)는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무선 음향 기기(300)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나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프로세서(380) 및 각 부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390)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원과 연결하는 전원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 단자는 무선 음향 기기(300)가 실장되는 크래들에 형성된 전원 단자와 접촉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380)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3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무선 음향 기기(300)에 2 개의 마이크로폰(361, 362)이 구비된 실시 예를 나타내며, 도 5의 (b)는 무선 음향 기기(300)에 3 개의 마이크로폰(361, 362, 363)이 구비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음향 기기(300)의 마이크로폰(360)은 복수 개의 마이크로폰(361, 362, 36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음향 기기(300)는 각 마이크로폰(361, 362, 363)에서 획득한 소리를 조합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300)는,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2 개의 마이크로폰(361, 362)을 포함하며, 각 마이크로폰(361, 362)에서 수집된 소리의 시간차, 음량 차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화 음성과 외부 소음을 구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300)는,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입과 귀 사이를 연결하는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수집하는 제3 마이크로폰(363)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외부에 위치하는 마이크로폰(361, 362)과 제3 마이크로폰(363)에서 수집한 소리를 조합하여 외부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제3 마이크(363)에서 수집된 소리는 외부 소음이 가장 작고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가장 크게 수집되므로, 외부 소음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구조를 갖는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8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음향 기기(300)와 연결한다(S601).
단말기(100)는 소리 출력을 위한 하나 이상의 무선 음향 기기(300)와 연결하며, 추후에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300)를 이용하여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헤드폰이나 넥 밴드형 이어폰과 같이 두 개의 음향 출력부가 물리적으로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는 복수의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단일한 무선 음향 기기(300)로 간주할 수 있다.
통상적인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이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는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가 함께 동작하여 소리를 출력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를 하나의 무선 음향 기기 그룹으로 취급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무선 음향 기기 그룹에 포함된 모든 무선 음향 기기(300)와 연결할 수도 있고, 무선 음향 기기 그룹 내의 마스터 무선 음향 기기와만 연결할 수도 있다. 마스터 무선 음향 기기는 자신이 속한 무선 음향 기기 그룹 내의 슬레이브 무선 음향 기기들과 연결되며, 단말기(100)는 마스터 무선 음향 기기를 통해 슬레이브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80)는 통신부(110)를 통해 각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300)와 측위 신호를 송수신한다(S603).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와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무선 음향 기기(300)와 주기적으로 측위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단말기(100)와 무선 음향 기기(300)가 서로 측위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은 측위 신호를 교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측위를 위해,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음향 기기(300)에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무선 음향 기기(300)로부터 송신한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무선 음향 기기(300)에 전송하는 요청 신호는 폴 메시지(poll message)이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는 응답 메시지(response message)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음향 기기(300)로 재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100)가 무선 음향 기기(300)에 전송하는 재응답 신호는 최종 메시지(final message)일 수 있다.
측위 신호는 초광대역(UWB: Ultra-wideband),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다양한 통신 기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80)는 송수신한 측위 신호를 기초로 각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300)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한다(S605).
프로세서(180)는 송수신한 측위 신호의 도래각(AoA: Angle of Arrival)에 기초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송수신한 측위 신호의 비행 시간(ToF: Time of Flight)에 기초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까지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단말기(100)에 대한 무선 음향 기기(300)의 방향과 단말기(100)에 대한 무선 음향 기기(300)까지의 거리는 모두 무선 음향 기기(300)의 상대적 위치이다.
단말기(100)의 통신부(110)에는 복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고,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측위 신호의 위상 차이 또는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도래각을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방향과 무선 음향 기기(300)까지의 거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100)에서 측정하는 도래각은 단말기(100)의 자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자이로 센서 값을 통해 단말기(100)의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300)에 대한 도래각을 보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직접 제어하는 상황에서만 도래각을 측정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단말기(100)가 사용자를 바라보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도래각을 비교적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80)는 통신부(110)를 통해 각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300)로부터 가속도 센서 값을 수신한다(S607).
가속도 센서 값은 무선 음향 기기(300)에서 감지하는 중력 방향을 가리킬 수 있으며, 이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자세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음향 기기(300)가 지면에 수평한 방향을 바라보는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 값이 +90도 또는 -90도일 수 있고, 무선 음향 기기(300)가 지면에 방향을 바라보는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 값이 0도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80)는 각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300)의 상대적 위치 및 가속도 센서 값에 기초하여 각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상태를 결정한다(S609).
무선 음향 기기(300)에는 음향 출력부(340)와 동일한 수의 통신부(385)가 포함될 수 있고, 각 통신부(385)는 각 음향 출력부(340)와 물리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각 통신부(385)는 각 음향 출력부(340)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상태에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여부 또는 착용 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상태는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또는 여러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착용되었다면 어느 방향에 착용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여부 또는 착용 방향을 높은 정확도로 결정하기 위하여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측위에 사용하는 통신부(385)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단말기(100)가 단일한 무선 음향 기기(300)와 연결하는 경우라면, 해당 무선 음향 기기(300)에 복수의 통신부(385)가 포함되는 경우에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여부 또는 착용 방향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가 복수의 무선 음향 기기(300) 또는 무선 음향 기기 그룹과 연결하는 경우라면, 각 무선 음향 기기(300)에 포함되는 통신부(385)가 복수 개 이므로, 이들을 이용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여부 또는 착용 방향을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여부는 무선 음향 기기(300)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상태인지만을 의미할 수도 있고, 나아가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인지 또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가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와 연결된 경우, 두 무선 음향 기기(300)가 모두 한 명의 사용자에게만 착용될 수도 있지만, 한 짝씩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도 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프로세서(180)는 두 무선 음향 기기(300) 사이의 거리와 두 무선 음향 기기(300) 각각의 착용 방향에 기초하여, 두 무선 음향 기기(300)가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80)는 두 무선 음향 기기(300) 사이의 거리가 두 귀 사이의 거리에 대한 기준 범위 내이고 두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방향이 좌 귀 및 우 귀인 경우에는, 두 무선 음향 기기(300)가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까지의 거리가 제1 기준 값을 초과한 경우 사용자가 무선 음향 기기(300)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80)는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두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80)는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 각각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하여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80)는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 사이의 거리가 제2 기준 값 미만인 경우에 사용자가 무선 음향 기기(300)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가속도 센서 값에 기초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의 자세를 결정하고, 무선 음향 기기(300)의 자세에 기초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여부 및 착용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자세가 제1 기준 각도 범위 이내일 경우에 무선 음향 기기(300)가 좌 귀에 착용된 것으로 결정하고, 무선 음향 기기(300)의 자세가 제2 기준 각도 범위 이내일 경우에 무선 음향 기기(300)가 우 귀에 착용된 것으로 결정하며, 무선 음향 기기(300)의 자세가 제1 기준 각도 범위와 제2 기준 각도 범위 밖일 경우에는 무선 음향 기기(300)가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80)는 착용하지 않은 무선 음향 기기(30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을 해제한다(S611).
프로세서(180)는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무선 음향 기기(300)에 대하여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착용하지 않은 무선 음향 기기(300)에 의한 소리의 출력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여부 및 착용 방향에 기초하여 각 착용한 무선 음향 기기(300)에 대응하는 출력 오디오 채널을 결정한다(S613).
무선 음향 기기(300)의 각 음향 출력부(340)는 사전에 오디오 채널이 설정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기존에 설정된 방향(또는 채널)과는 다른 위치에 무선 음향 기기(300)를 착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80)는 각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여부와 착용한 것으로 판단된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방향에 기초하여, 각 착용한 무선 음향 기기(300)에 대응하는 출력 오디오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나의 무선 음향 기기(300)가 착용된 상태이며, 착용한 무선 음향 기기(300)에 두 개의 음향 출력부(340)이 포함된 경우에는, 프로세서(180)는 착용한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방향을 고려하여 두 음향 출력부(340)에 대한 출력 오디오 채널을 좌 채널 또는 우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방향을 고려하여 두 개의 음향 출력부(340)를 좌 음향 출력부와 우 음향 출력부로 구분하고, 좌 음향 출력부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좌 채널로 결정하고, 우 음향 출력부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우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가 착용된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 프로세서(180)는 각 착용한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방향을 고려하여 각 무선 음향 기기(300)의 음향 출력부(300)에 대한 출력 오디오 채널을 좌 채널, 우 채널 또는 모노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두 무선 음향 기기(300)가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라면,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방향을 고려하여 두 무선 음향 기기를 좌 무선 음향 기기와 우 무선 음향 기기로 구분하고, 좌 무선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부(340)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좌 채널로 결정하고, 우 무선 음향 기기의 음향 출력부(340)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우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두 무선 음향 기기(300)가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되지 않은 상태라면, 프로세서(180)는 각 무선 음향 기기(300)의 음향 출력부(340)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모노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한 사람에게 하나의 음향 출력부(340)의 소리만이 전달되는 상황이라면 모노 채널의 소리를 출력하는 것이 만작도 높은 소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 예에서, 하나의 무선 음향 기기(300)만이 착용된 것으로 결정되었고,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300)에 하나의 음향 출력부(340)만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180)는 착용한 무선 음향 기기(300)의 음향 출력부(340)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모노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80)는 통신부(110)를 통해 각 착용한 무선 음향 기기(300)에 대하여 결정된 출력 오디오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S615).
오디오 신호는 출력 오디오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이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상태에 적합하게 무선 음향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단계들(steps)의 순서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일 실시 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의 순서가 서로 바뀌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 단계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만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에서 도래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통신부(110)는 제1 통신부(제1 송수신부, 110_1) 및 제2 통신부(제2 송수신부, 110_2)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100)는 제1 통신부(110_1) 및 제2 통신부(110_2)를 통해 무선 통신 기기(300)의 통신부(340)와 측위 신호(701)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00)에 대한 측위 신호(710)의 도래각 θ(713)은 단말기(100)의 두 통신부(110_1, 110_2)를 잇는 선의 법선과 측위 신호(710)가 이루는 각으로 정의할 수 있고, 측위 신호(710)가 단말기(1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입사될 경우 도래각(713)은 0도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단말기(100)의 두 통신부(110_1, 110_2) 사이의 거리 d(711)와 두 통신부(110_1, 110_2)에 입사되는 측위 신호(710)의 거리 차 p(712)를 이용하여 도래각 θ(713)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부(110_1)와 제2 통신부(110_2)에 입사되는 측위 신호(710)에는 위상차 α가 존재하며, 프로세서(180)는 측위 신호(710)의 파장 λ을 이용하여 위상차 α에 대응하는 거리 차 p(712)를 산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80)는 하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도래각 θ(713)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도 7은 단말기(100)의 통신부(110)에 포함된 두 개의 통신부(110_1, 110_2)를 이용하여 2차원 평면에서의 도래각을 산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단말기(100)의 통신부(110)에는 두 개 이상의 통신부가 포함되며, 프로세서(180)는 두 개 이상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3차원의 각 축에 대한 도래각을 산출하여 3차원 공간 내에서의 무선 음향 기기(300)의 방향을 산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에서 무선 음향 기기(3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양 방향 거리 측정(two-way ranging) 기법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와 무선 음향 기기(3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시점 TSP에 무선 음향 기기(300)로 폴 메시지(poll message, 801)를 송신하고, 무선 음향 기기(300)는 시점 TRP에 폴 메시지(801)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음향 기기(300)는 수신한 폴 메시지(801)에 대한 응답으로, 시점 TSR에 단말기(100)로 응답 메시지(response message, 802)를 송신하고, 단말기(100)는 시점 TRR에 응답 메시지(802)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수신한 응답 메시지(802)에 대한 응답으로, 시점 TSF에 무선 음향 기기(300)로 최종 메시지(final message, 803)를 송신하고, 무선 음향 기기(300)는 시점 TRF에 최종 메시지(803)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시점 TSP에서 폴 메시지(801)를 송신하고, 시점 TRR에 폴 메시지(801)에 대한 응답인 응답 메시지(802)를 수신하였으므로, 단말기(100)의 관점에서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기까지 T1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무선 음향 기기(300)도 시점 TRP에 폴 메시지(801)를 수신하고, 시점 TSR에 응답 메시지(802)를 송신하였으므로, 무선 음향 기기(300)에서는 응답을 하기까지 T2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무선 음향 기기(300)는 시점 TSR에서 응답 메시지(802)를 송신하고, 시점 TRF에 응답 메시지(802)에 대한 응답인 최종 메시지(803)를 수신하였으므로, 무선 음향 기기(300)의 관점에서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기까지 T3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단말기(100)도 시점 TRR에 응답 메시지(802)를 수신하고, 시점 TSF에 최종 메시지(803)를 송신하였으므로, 단말기(100)에서는 응답을 하기까지 T4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80)는 하기 [수학식 4]과 같이 단말기(100)와 무선 음향 기기(300) 사이에 송수신된 측위 신호(801, 802, 803)의 비행 시간(TOF)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그리고, 단말기(100)는 측위 신호(801, 802, 803)의 비행 시간(TOF)를 산출한 이후, 신호의 전파 속도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와 무선 음향 기기(30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양 방향 거리 측정 기법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와 무선 음향 기기(3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단말기(100)는 일 방향 거리 측정(one-way ranging) 기법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와 무선 음향 기기(3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의 상대적인 위치를 산출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가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하나의 무선 음향 기기 그룹으로 동작하고,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가 한 명의 사용자의 양 귀에 착용되며,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와 단말기(100)가 약 60cm 떨어진 상태에서 획득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9의 (a)는 사용자의 왼쪽 귀에 착용된 제1 무선 음향 기기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 결과이며, 도 9의 (b)는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착용된 제2 무선 음향 기기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왼쪽 귀에 착용된 제1 무선 음향 기기는 단말기(100)로부터 약 57cm 떨어져 있으며,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왼쪽 방향을 나타내는 -14도 방향에 위치한다. 반면, 도 9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착용된 제2 무선 음향 기기는 단말기(100)로부터 약 63cm 떨어져 있으며,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을 나타내는 15도 방향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100)는 무선 음향 기기(300)와 측위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단말기(100)에 대한 무선 음향 기기(300)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산출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에 대한 무선 음향 기기(300)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100)에 대한 무선 음향 기기(300)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됨에 따라, 단말기(100)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300)의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음향 기기(300)의 자세는 무선 음향 기기(300)의 방향을 나타내며, 지면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1001)로 정의될 수 있다.
무선 음향 기기(300)에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가 포함되며,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가속도 센서 값에 기초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의 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음향 기기(300)의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음향 기기(300)는 사용자의 양쪽 귀에 착용되었을 때에 자세에 차이가 존재한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무선 음향 기기(300)는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착용되었을 때, 그 자세가 지면에 대한 법선으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양의 각도를 갖는다. 반면,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무선 음향 기기(300)는 사용자의 왼쪽 귀에 착용되었을 때, 그 자세가 지면에 대한 법선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양의 각도를 갖는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의 프로세서(180)는 무선 음향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가속도 센서 값에 기초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가 지면에 대한 법선에 대한 각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무선 음향 기기(300)의 자세와 사용자의 어느 방향의 귀에 착용되었는지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단말기(100)에 대한 무선 음향 기기(300)의 상대적 위치와 무선 음향 기기(300)의 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 및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는 하나의 무선 음향 기기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는 기본 값으로 우 채널이 할당된 우 무선 음향 기기이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는 기본 값으로 좌 채널이 할다된 좌 무선 음향 기기일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측위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까지의 거리 d1(1211_1) 및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방향 θ1(1212_1)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와 측위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까지의 거리 d2(1211_2) 및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방향 θ2(1212_2)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2에서 단말기(100)에 대한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방향 θ1(1212_1)과 단말기(100)에 대한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방향 θ2(1212_2)는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의 법선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그 부호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반면, 단말기(100)가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방향 θ1(1212_1)과 단말기(100)에 대한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방향 θ2(1212_2)의 부호가 서로 같을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까지의 거리 d1(1211_1),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방향 θ1(1212_1),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까지의 거리 d2(1211_2) 및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방향 θ2(1212_2)을 이용하여,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 사이의 거리 d(1221)를 계산할 수 있다.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는 제1 가속도 센서 값 (또는 자이로 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고, 제1 가속도 센서 값은 지면 방향에 대한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방향 또는 자세 φ1(1222_1)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는 제2 가속도 센서 값 (또는 자이로 센서 값)을 획득할 수 있고, 제2 가속도 센서 값은 지면 방향에 대한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방향 또는 자세 φ2(1222_2)를 나타낼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로부터 제1 가속도 센서 값을 수신하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로부터 제2 가속도 센서 값을 수신함으로써,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자세 φ1(1222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자세 φ2(1222_2)를 획득할 수 있다. 비록 도 12에서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자세 φ1(1222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자세 φ2(1222_2)가 지면 방향으로부터 동일하게 시계 방향의 각도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각 무선 음향 기기의 관점에서 보았을 경우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자세 φ1(1222_1)는 지면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을 가리키며,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자세 φ2(1222_2)는 지면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을 가리킨다. 따라서,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자세 φ1(1222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자세 φ2(1222_2)는 서로 부호가 반대일 수 있다.
단말기(100)는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까지의 거리 d1(1211_1),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방향 θ1(1212_1),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자세 φ1(1222_1),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까지의 거리 d2(1211_2),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방향 θ2(1212_2),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자세 φ2(1222_2) 및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 사이(300_2)의 거리 d(1221)를 이용하여,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착용 여부 및 착용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은 한 명의 사용자가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를 모두 착용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는 하나의 무선 음향 기기 그룹을 구성할 수 있고, 한 명의 사용자(1301)에게 착용될 수 있다. 즉,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는 사용자(1301)의 오른쪽 귀에 착용될 수 있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는 사용자(1301)의 왼쪽 귀에 착용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각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의 거리, 방향 및 자세를 획득할 수 있고, 나아가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 사이의 거리(1311)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가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0)는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 사이의 거리(1311)가 통상적인 사람의 두 귀 사이 거리보다 현저히 멀거나 현저히 가까운 경우에는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오른쪽 귀에 착용되었을 때의 자세를 가지며,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가 왼쪽 귀에 착용되었을 때의 자세를 가지며,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며,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 사이의 거리(1311)가 미리 정해진 귀 간격 범위 이내에 위치한 경우에,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가 한 명의 사용자(1301)에게 착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에는 출력 오디오 채널을 우 채널로 설정하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에는 출력 오디오 채널을 좌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4 내지 16는 두 명의 사용자가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를 하나씩 착용하는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16에서,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는 하나의 무선 음향 기기 그룹을 구성할 수 있고, 두 명의 사용자(1401, 1402)에게 하나씩 착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는 제1 사용자(1401)의 왼쪽 귀에 착용되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는 제2 사용자(1402)의 오른쪽 귀에 착용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왼쪽 귀에 착용되었을 때의 자세를 가지며,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가 오른쪽 귀에 착용되었을 때의 자세를 가지며,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므로,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가 두 명의 사용자에게 한 쪽씩 착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 사이의 거리(1411)가 미리 정해진 귀 간격 범위 이내에 위치하더라도, 단말기(100)는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의 자세와 방향을 고려하여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제1 사용자(1401)의 왼쪽 귀에 착용되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가 제2 사용자(1402)의 오른쪽 귀에 착용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모두 모노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는 제1 사용자(1401)의 오른쪽 귀에 착용되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는 제2 사용자(1402)의 오른쪽 귀에 착용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오른쪽 귀에 착용되었을 때의 자세를 가지며,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가 오른쪽 귀에 착용되었을 때의 자세를 가지며,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므로,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가 두 명의 사용자에게 한 쪽씩 착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 사이의 거리(1511)가 미리 정해진 귀 간격 범위에서 벗어남이 상당하다. 단말기(100)는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의 자세와 방향을 고려하여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제1 사용자(1401)의 오른쪽 귀에 착용되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가 제2 사용자(1402)의 오른쪽 귀에 착용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모두 모노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는 제1 사용자(1401)의 오른쪽 귀에 착용되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는 제2 사용자(1402)의 왼쪽 귀에 착용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오른쪽 귀에 착용되었을 때의 자세를 가지며,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가 왼쪽 귀에 착용되었을 때의 자세를 가지며,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보다 오른쪽에 위치함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만으로는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가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 사이의 거리(1611)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의 착용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 사이의 거리(1611)는 보편적인 귀 간격의 두 배 이상이며 미리 정해진 귀 간격 범위에서 벗어난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의 자세와 방향뿐만 아니라,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 사이의 거리(1611)를 고려하여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제1 사용자(1401)의 오른쪽 귀에 착용되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가 제2 사용자(1402)의 왼쪽 귀에 착용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모두 모노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7은 한 명의 사용자가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하나만을 착용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는 하나의 무선 음향 기기 그룹을 구성할 수 있고, 두 개 중에서 하나만 사용자(1701)에게 착용될 수 있다. 즉,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는 사용자(1701)의 오른쪽 귀에 착용될 수 있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는 사용자(1701)에게 착용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오른쪽 귀에 착용되었을 때의 자세를 가지지만,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가 사용자(1701)의 귀에 착용되었을 때의 자세를 갖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 사이의 거리(1711)가 미리 정해진 귀 간격 범위에서 벗어남이 상당하다. 단말기(100)는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의 자세와 방향을 고려하여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사용자(1701)의 오른쪽 귀에 착용되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가 사용자(1701)에게 착용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모노 채널로 결정하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을 해제하거나 출력 오디오 채널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8은 한 명의 사용자가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를 하나도 착용하지 않은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는 하나의 무선 음향 기기 그룹을 구성할 수 있고, 두 개 모두 사용자(1801)에게 착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는 사용자(1801)에게 착용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가 사용자(1801)의 귀에 착용되었을 때의 자세를 갖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 사이의 거리(1811)가 매우 가까워서 미리 정해진 귀 간격 범위에서 벗어남이 상당하다. 단말기(100)는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의 자세와 방향, 그리고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가 사용자(1801)에게 착용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와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을 해제하거나 출력 오디오 채널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9는 한 명의 사용자가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를 반대로 착용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두 개의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는 하나의 무선 음향 기기 그룹을 구성할 수 있고, 한 명의 사용자(1901)에게 착용될 수 있다. 즉,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는 사용자(1901)의 오른쪽 귀에 착용될 수 있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는 사용자(1901)의 왼쪽 귀에 착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는 기본 값으로 설정된 출력 오디오 채널이 좌 채널이며, 왼쪽 귀의 모양에 적합하게 설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는 기본 값으로 설정된 출력 오디오 채널이 우 채널이며, 오른쪽 귀의 모양에 적합하게 설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1901)는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를 모두 착용하기는 하였으나, 설계자의 의도와는 반대로 착용하였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가 사용자(1901)의 오른쪽 귀에 착용되었으며,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가 사용자(1901)의 왼쪽 귀에 착용되었으므로, 그에 따라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가 설계자의 의도와는 반대로 착용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두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착용 방향을 고려하여 출력 오디오 채널을 변경할 수도 있고, 또는 무선 음향 기기의 올바른 착용을 유도하는 알림(1921, 1922)을 출력할 수도 있다.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이어폰을 반대로 착용하였습니다. 오디오 채널을 바꿀까요?"(1921)와 같은 알림을 출력하거나, 무선 음향 기기들(300_1, 300_2)를 통해 "이어폰을 반대로 착용하였습니다. 오디오 채널을 바꿀까요?"(1922)와 같은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1901)가 오디오 채널을 바꿀 것을 요구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제1 무선 음향 기기(300_1)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우 채널로 설정하고, 제2 무선 음향 기기(300_2)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좌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1901)가 오디오 채널을 바꿀 것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100)는 각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에 기본 값으로 설정된 출력 오디오 채널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기(100)는 주기적으로 사용자(1901)가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를 올바르게 착용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고, 무선 음향 기기(300_1, 300_2)가 반대로 착용되었다고 판단되면 무선 음향 기기의 올바른 착용을 유도하는 알림(1921, 1922)을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음향 기기의 올바른 착용을 유도하는 알림은 무선 음향 기기가 잘못된 방향으로 착용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또는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방향에 맞추어 출력 오디오 채널을 설정함을 알리는 알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Claims (15)

  1.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음향 기기와 연결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와 측위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송수신한 측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로부터 가속도 센서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가속도 센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자세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대적 위치 및 상기 결정된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상기 무선 음향 기기까지의 거리 및 상기 무선 음향 기기의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한 측위 신호의 도래각(AoA: Angle of Arrival)을 측정하고, 상기 송수신한 측위 신호의 비행 시간(ToF: Time of Flight)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무선 음향 기기의 상기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양 방향 거리 측정(two-way ranging)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음향 기기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말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는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가 복수 개일 경우에, 상기 연결된 복수의 무선 음향 기기들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된 복수의 무선 음향 기기 각각의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복수의 무선 음향 기기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 각각에 대한 거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 각각의 방향,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 각각의 자세 또는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들 사이의 거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상기 착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말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착용 상태는
    상기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여부 또는 착용 방향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착용되지 않은 무선 음향 기기에 대하여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을 해제하거나 또는 출력 오디오 채널을 할당하지 않는, 단말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에 대응하는 출력 오디오 채널을 결정하고, 상기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에 상기 결정된 출력 오디오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1 무선 음향 기기 및 제2 무선 음향 기기와 연결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음향 기기의 방향, 상기 제1 무선 음향 기기의 자세, 상기 제2 무선 음향 기기의 방향, 상기 제2 무선 음향 기기의 자세 또는 상기 제1 무선 음향 기기와 상기 제2 무선 음향 기기 사이의 거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음향 기기와 상기 제2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말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음향 기기와 상기 제2 무선 음향 기기가 모두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무선 음향 기기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상기 제1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방향에 대응하는 오디오 채널로 결정하고, 상기 제2 무선 음향 기기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상기 제2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방향에 대응하는 오디오 채널로 결정하는, 단말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음향 기기와 상기 제2 무선 음향 기기가 모두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지만, 기본 값으로 설정된 착용 방향과 반대로 착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무선 음향 기기 또는 상기 제2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올바른 착용을 유도하는 알림을 전송하는, 단말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음향 기기와 상기 제2 무선 음향 기기가 각각 하나씩 두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되거나, 상기 제1 무선 음향 기기와 상기 제2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하나만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무선 음향 기기와 상기 제2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의 출력 오디오 채널을 모노 채널로 결정하는, 단말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자세가 제1 기준 각도 범위 이내일 경우에 상기 대응하는 무선 음향 기기가 좌 귀에 착용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자세가 제2 기준 각도 범위 이내일 경우에 상기 대응하는 무선 음향 기기가 우 귀에 착용된 것으로 결정하는, 단말기.
  14.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음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와 측위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수신한 측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로부터 가속도 센서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가속도 센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자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상대적 위치 및 상기 결정된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음향 기기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와 측위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수신한 측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로부터 가속도 센서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가속도 센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자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상대적 위치 및 상기 결정된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의 착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결된 무선 음향 기기 중에서 착용된 무선 음향 기기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227014094A 2020-07-14 2020-07-14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2300384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9255 WO2022014734A1 (ko) 2020-07-14 2020-07-14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406A true KR20230038406A (ko) 2023-03-20

Family

ID=7955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094A KR20230038406A (ko) 2020-07-14 2020-07-14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24547A1 (ko)
EP (1) EP4184944A4 (ko)
KR (1) KR20230038406A (ko)
CN (1) CN114747230A (ko)
WO (1) WO2022014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6028A1 (en) * 2021-02-08 2022-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multi-call support capability on compatible audio devices
CN114675256A (zh) * 2022-03-23 2022-06-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系统、终端、存储介质和程序产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6228B2 (en) * 2008-12-19 2012-12-04 At&T Mobility Ii Llc Headset locator device
US10827268B2 (en) * 2014-02-11 2020-11-03 Apple Inc. Detect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7683459B (zh) * 2015-06-05 2020-04-17 苹果公司 基于可佩戴设备的状态改变伴随通信设备行为
US9716937B2 (en) * 2015-09-16 2017-07-25 Apple Inc. Earbuds with biometric sensing
KR102546249B1 (ko) * 2016-10-10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및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US10575086B2 (en) * 2017-03-22 2020-02-25 Bragi GmbH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wireless earpieces
GB201713946D0 (en) * 2017-06-16 2017-10-18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Earbud speech estimation
US10859689B2 (en) * 2018-09-28 2020-12-08 Silicon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operating mode based on relative position of wireless devices
US10924858B2 (en) * 2018-11-07 2021-02-16 Google Llc Shared earbuds detection
US11632614B2 (en) * 2020-01-29 2023-04-18 Google Llc Different head detection in head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4734A1 (ko) 2022-01-20
CN114747230A (zh) 2022-07-12
US20230024547A1 (en) 2023-01-26
EP4184944A4 (en) 2024-04-24
EP4184944A1 (en) 202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1103B2 (en) Audio control based on orientation
EP2912514B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outputting audio signal using the same
KR10163200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2882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02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9141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095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674305B2 (en) Remote multi-dimensional audio
CN109195058B (zh) 耳机声道的切换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30379615A1 (en) Portable audio device
US11520550B1 (en) Electronic system for producing a coordinated output using wireless localization of multipl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13302545A (zh) 用于维持可移动的设备的定向无线链路的系统和方法
KR20230038406A (ko) 무선 음향 기기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600003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96408A (ko) 전자 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03548A (ko)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22272A (ko) 녹음 시스템 및 녹음 방법
KR102643356B1 (ko) 휴대용 음향 기기, 소스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170023491A (ko)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
KR201501400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1329B1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60013853A (ko) 증강현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US20240097331A1 (en) Antenna architecture for mobile devices
EP4203446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outputting multi-channel audio by using plurality of audio devices
KR20240024712A (ko) 외부 전자 장치의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