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132A - Pre-applied ice skate blades with variable curvature, variable stiffness and modular boot mounting system - Google Patents

Pre-applied ice skate blades with variable curvature, variable stiffness and modular boot moun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132A
KR20230038132A KR1020227006201A KR20227006201A KR20230038132A KR 20230038132 A KR20230038132 A KR 20230038132A KR 1020227006201 A KR1020227006201 A KR 1020227006201A KR 20227006201 A KR20227006201 A KR 20227006201A KR 20230038132 A KR20230038132 A KR 20230038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oot
runner
skat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르도 토마스 디
도날드 로버츠
폴 마르케스
렌 피셔
Original Assignee
메이플라워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플라워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메이플라워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3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1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38Skates of the tubula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30Skates with special blades
    • A63C1/32Special constructions of the simple bla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04Skates fastened by means of clamps
    • A63C1/06Skates fastened by means of clamps with sole and heel plates each equipped with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22Skates with special foot-plates of the b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30Skates with special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42Manufacture of sk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스케이트 블레이드에는 러너(3)가 배치되는 복잡한 반경의 슬롯(5)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1)가 있어 러너(3)에 복합 반경을 부여한다. 균일한 빠른 장착 구조가 제공되어 튜브(1)에 부착된 마운팅 컵(8)이 보유 기브(11)와 스케이트 부츠에 있는 장착 플레이트(10)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스케이트 부츠에 고정된다. 신병. 이것은 균일하고 반복 가능한 부착을 제공한다. 다른 특징부으로는 고조파 댐핑, 접착 보유 특징부, 부트 정렬 특징부가 있다.The skate blade has a tube (1) featuring a slot (5) of complex radius in which the runner (3) is placed, giving the runner (3) a complex radius. A uniform quick-mounting structure is provided so that the mounting cup 8 attached to the tube 1 is fixed to the skate boot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taining gib 11 and the mounting plate 10 on the skate boot. boot. This provides uniform and repeatable attachment. Other features include harmonic damping, adhesive retention features, and boot alignment features.

Description

가변 곡률, 가변 강성 및 모듈식 부트 마운팅 시스템이 사전 적용된 아이스 스케이트 블레이드Pre-applied ice skate blades with variable curvature, variable stiffness and modular boot mounting system

본 출원은 2019년 7월 30일에 출원된 이전에 제출된 미국 출원 62/880,230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를 참조로 여기에 통합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to previously filed US application Ser. No. 62/880,230, filed July 30, 2019,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본 발명은 아이스 스케이팅 액세서리의 일반적인 분야에 관한 것으로 사전 적용된 가변 곡률, 가변 강성 및 모듈식 부트 장착 시스템을 갖는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general field of ice skating accessories and describes skate blades with pre-applied variable curvature, variable stiffness and a modular boot mounting system.

스피드 스케이팅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스틸 길이의 관형 구조로 제조되며, 여기에 스틸 블레이드가 튜브의 한쪽 면에 장착되고 알루미늄 장착 "컵" 또는 "암"이 튜브의 반대쪽에 부착되어 부츠를 장착 및 조정하도록 한다. 스피드 스케이팅 블레이드에는 두 가지 일반적인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111m 스케이팅 트랙의 쇼트 트랙용으로 지정되고 다른 하나는 400m 스케이팅 트랙의 롱 트랙용으로 지정된다. 쇼트 트랙 블레이드는 도 1과 같이 부츠의 발 앞면과 뒤꿈치에 고정된 위치에 장착되도록 설계되었다. 쇼트 트랙 블레이드에 사용되는 마운트는 스케이팅 선수의 취향에 따라 부츠와 블레이드 사이의 거리를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 높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롱 트랙 블레이드는 스케이트를 타다가 힌지가 닫힐 때 나는 소리를 따서 일반적으로 '클랩 스페이트'라고 하며 도 2A와 같이 부츠 힐에 고정되지 않은 힌지형 암(34)의 블레이드 발 앞면에 고정된 위치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도 2B는 클랩 암의 움직임을 예시한다. 이 디자인은 빙판과 더 긴 접촉을 허용하고 스케이터에 의해 생성되는 더 빠른 속도를 허용한다. 롱 트랙 스케이트의 힌지형 클랩 암 디자인은 해당 스포츠를 관장하는 국제 스케이팅 연맹(International Skating Union)의 규정에 따라 쇼트 트랙 스케이트에 사용할 수 없다.Speed skating blades are usually manufactured as a tubular structure with a length of aluminum or steel, to which the steel blade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tube and an aluminum mounting "cup" or "arm" is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ube to mount and adjust the boot. let it do There are two general types of speed skating blades, one designated for the short track on 111m skating tracks and one designated for the long track on 400m skating tracks. The short track blade is designed to be mounted in a fixed position on the front and heel of the boot as shown in FIG. The mounts used for short track blade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heigh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boot and the blade according to the skater's preference. The most widely used long track blade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clap spat' after the sound made when the hinge is closed while skating. It is designed to be mounted in a fixed position. 2B illustrates the movement of the clasp arm. This design allows for longer contact with the ice and allows for greater speed generated by the skater. The hinged clap arm design of long track skates cannot be used for short track skates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International Skating Union governing the sport.

알루미늄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 강철 블레이드는 경화된 후 어느 정도 탄성을 유지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가공된 슬롯 내부에 장착된다. 스틸 튜브를 사용할 때 블레이드의 스틸 러너는 일반적으로 용접, 브레이징 또는 납땜 공정을 사용하여 튜브 내부에 장착된다. 접착제는 현재 스틸 러너 및 튜브 조립체와 관련하여 사용되지 않는다.When using aluminum tubes, steel blades are mounted inside machined slots with an adhesive that retains some elasticity after hardening. When using a steel tube, the blade's steel runner is usually mounted inside the tube using a welding, brazing or brazing process. Adhesives are not currently used in conjunction with steel runner and tube assemblies.

스피드 스케이트 경주는 일반적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안정성과 스케이팅 효율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스케이트 부츠와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반시계 방향 회전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블레이드는 왼쪽으로 오프셋되어 부츠에 장착되며 일부 블레이드는 지지 구조에서 왼쪽에 배치된다. 블레이드 러너 표면은 일반적으로 스케이트장의 치수와 스케이터의 경험 수준을 보완하는 반경 또는 "로커"로 조정된다. 초보자 스케이터에게 적용되는 반경은 일반적으로 단일 반경인 반면, 전문가 수준의 스케이터는 복합 반경이라고도 하는 블레이드 표면의 길이에 따라 변하는 여러 반경으로 구성된 복잡한 곡선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택된 로커는 블레이드의 힐과 토우 영역에서 더 구부러지고 블레이드의 중심으로 갈수록 더 평평해진다. 블레이드의 중앙 부분은 레이싱 코스의 회전 반경보다 더 구부러지는 경향이 있다. 현재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로커는 단거리 트랙 블레이드의 경우 약 9미터, 롱 트랙 블레이드의 경우 23미터에 달하는 단일 일반 반경이다. 그런 다음 스케이터 또는 기술자는 적절한 템플릿이 있는 반경 기계를 사용하거나 변경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호닝 스톤과 게이지가 있는 수동 핸드 랩핑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로커를 스케이터가 원하는 사양으로 수동으로 조정해야 한다.Since speed skating races are generally performed with only counterclockwise rotation, skate boots and blades are generally configured to utilize counterclockwise rotation to maximize stability and skating efficiency. The blades are offset to the left and mounted to the boot, with some blades positioned to the left of the support structure. Blade runner surfaces are typically adjusted with a radius or "rocker" that complements the dimensions of the rink and the skater's level of experience. While the radius applied to beginner skaters is usually a single radius, expert level skaters may use complex curves consisting of multiple radii that vary along the length of the blade surface, also known as compound radii. In general, the rocker chosen is more curved in the heel and toe area of the blade and flatter towards the center of the blade. The central part of the blade tends to bend more than the turning radius of a racing course. Currently, the rockers offered by manufacturers are single normal radii ranging from about 9 meters for short track blades to 23 meters for long track blades. The skater or technician must then manually adjust the rocker to the skater's desired specifications, either using a radius machine with an appropriate template or using a manual hand lapping process with a honing stone and gauge to check for changes.

블레이드의 러너 표면에 반경을 적용하는 것 외에도 블레이드는 또한 왼쪽으로 구부러져 반시계 방향으로만 스케이팅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복합반경을 사용하는 선수의 경우, 다양한 반경에 따라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굽힘을 다양하게 하여 블레이드와 빙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블레이드의 해당 부분에 압력을 가하고 그립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선수가 보다 급격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스케이터가 블레이드의 토와 힐 부분에 더 작은 반경을 적용하고 중앙에서 더 평평한 반경을 가지는 경우, 블레이드가 발가락과 힐 부분에서 더 많이 구부러질 때 블레이드의 토 또는 힐 섹션이 있는 경우 스케이터가 블레이드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할수록 블레이드가 더 빨리 회전하여 스케이터가 더 쉽게 궤적을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o applying a radius to the blade's runner surface, the blade may also have the advantage of being bent to the left so that it only skates counterclockwise. For players using multiple radii, by varying the bending applied to the blade according to different radii,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lade and the ice surface is increased, which not only applies pressure to that part of the blade and increases grip, but also allows the athlete to move more rapidly. allow it to rotate. To illustrate this principle, if a skater applies a smaller radius to the toe and heel portion of the blade and has a flatter radius in the center, when the blade flexes more in the toe and heel portion, the blade with the toe or heel section In this case, the more pressure the skater applies to the blade, the faster the blade rotates, allowing the skater to change trajectory more easily.

스케이트 날을 구부리는 작업은 역사적으로 망치, 바이스 또는 그와 유사한 도구를 사용하여 날이 "올바른 모양" 또는 "느낌이 올 때까지" 수행되었다. 블레이드 러너가 더 섬세하고 튜브가 적용된 곡선을 더 잘 유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굽힘 공정은 블레이드 러너보다 블레이드의 튜브에 적용되었다. 스케이터의 무게가 앞으로 움직일 때 블레이드가 더 날카롭게 회전하도록 블레이드의 발가락이 구부러질 수 있다. 스케이터의 무게가 뒤로 이동할 때 블레이드가 더 날카롭게 회전하도록 블레이드의 뒤꿈치가 구부러질 수 있다. 전체 블레이드는 얼음 접촉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부드러운 호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압력을 가하는 블레이드 부분에 따라 스케이트 선수가 회전 효율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도록 다양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말렛과 바이스로 수행할 때 이 과정에서 예측 가능성이 거의 없었고 결과적으로 스케이터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부러진 블레이드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것을 종종 주저한다.Bending a skate blade has historically been done with a hammer, vise, or similar tool until the blade "looks" or "feels right." Typically, the bending process was applied to the tube of the blade rather than to the blade runner, as blade runners are more delicate and the tube tends to hold the applied curve better. The toe of the blade can be bent so that the blade rotates more sharply as the skater's weight moves forward. The heel of the blade can be bent so that the blade rotates more sharply as the skater's weight shifts backwards. The entire blade can be bent in a smooth arc for better ice contact and stability, and can have different curvatures to allow skaters to increase or decrease rotational efficiency depending on which part of the blade applies pressure. When performed with a mallet and vise, there was little predictability in this process and as a result skaters are often hesitant to skate on blades bent in this way.

블레이드의 굽힘을 지원하기 위해 많은 도구가 개발되었다. 불행히도 기계적 굽힘 공정은 튜브 길이를 따라 가공 경화 영역과 피로 영역을 생성하여 블레이드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일관성이 없는 강성을 발생시킨다. 수동 굽힘이 많이 수행될수록 알루미늄의 냉간 가공 경화 및 영구 슬립 밴드의 개발로 인해 튜브가 더 일관성이 없어져 누적 손상 피로가 발생하고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동안 원하는 모양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냉간 가공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부위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수동 굽힘 공정은 또한 연성의 감소를 초래한다. 냉간 가공 퍼센트의 함수로서의 항복 강도와 연신율은 소량의 냉간 가공이 연성의 상당한 감소를 초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블레이드가 더 이상 원하는 굽힘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러너 금속이 많이 남아 있는 블레이드는 폐기해야 하므로 스케이터에게 상당한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A number of tools have been developed to assist in the bending of blades. Unfortunately, the mechanical bending process creates work hardening and fatigue regions along the length of the tube, resulting in inconsistent stiffness along the length of the blade assembly. The more manual bending is done, the more inconsistent the tube becomes due to cold work hardening of aluminum and the development of permanent slip bands, resulting in cumulative damage fatigue and the inability of the blade to maintain the desired shape during use. Manual bending processes that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area affected by cold working also result in a decrease in ductility.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as a function of cold work percentage show that a small amount of cold work results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ductility. Blades with a lot of runner metal left over must be discarded because the blades no longer hold the desired bend, resulting in significant additional cost to the skater.

기계적 굽힘 작업은 금속 피로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블레이드의 야금적 응력 피로 특성에 대해 앞에서 설명한 문제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강철 러너를 블레이드 튜브에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접착제에 문제를 야기한다.Mechanical bending not only causes metal fatigue, but also presents problems with the adhesive used to bond the steel runner to the blade tube because the adhesive increases the previously described problems with the metallurgical stress fatigue properties of the blade.

튜브/러너 조립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유형의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탄성 속성을 가지고 있다.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접착제는 30% 탄성 범위에 속한다. 접착제로 접착되는 6개의 이질적인 표면이 있기 때문에(스틸 러너의 3면 및 가공된 알루미늄의 3면), 수동 벤딩 작업은 블레이드 조립체의 굽힘 반경을 변경하기 위해 알루미늄 튜브 및 강철 러너의 금속 스프링백 문제 외에도 접착제의 탄성 특성을 극복해야 한다. 금속에서 스프링백의 탄성 변형과 접착제가 늘어나는 경향(때로는 상당히(30%))을 극복하기 위해 기술자는 소성 변형을 일으키기 위해 튜브를 원하는 모양 이상으로 구부려야 하며 이완될 때 원래 상태로 되돌려야 한다. 이러한 광범위한 과도한 굽힘은 튜브에 대한 피로 영향을 크게 증가시킨다. 또한, 과도한 굽힘은 굽힘 작업이 수행될 때 4개의 수직 표면의 변화하는 반경에 의해 생성된 표면 전단 때문에 접착제 본드에 피로 순응력을 초래한다. 글루 본드 표면에 가해지는 이러한 스트레스는 조립체의 실패와 잠재적으로 선수의 부상을 초래할 수 있는 치명적인 블레이드 박리를 초래할 수 있으며 실제로도 발생한다. 굽힘 공정으로 인한 박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제조업체는 기계적 리벳을 사용하여 러너를 튜브에 "고정"한다. 이 고정 프로세스는 튜브와 러너를 정적 위치에 잠그기 때문에 더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Adhesives of the type used to make tube/runner assemblies generally have elastic properties. Most adhesives commonly used in industry are in the 30% elasticity range. Since there are six dissimilar surfaces that are glued together (three sides of the steel runner and three sides of the machined aluminum), manual bending operations are required to change the bending radius of the blade assembly,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metal springback in the aluminum tube and steel runner. The elastic properties of the adhesive must be overcome. To overcome the elastic deformation of springback in metals and the tendency of adhesives to stretch (sometimes significantly (30%)), technicians must bend the tube beyond the desired shape to cause plastic deformation and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when relaxed. This extensive overbending greatly increases the fatigue effect on the tube. Excessive bending also results in fatigue compliance in the adhesive bond due to surface shear created by the changing radii of the four vertical surfaces as the bend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se stresses on the glue bond surface can and do result in catastrophic blade detachment, which can lead to assembly failure and potentially injury to players. To solve the problem of delamination caused by the bending process, some manufacturers use mechanical rivets to “lock” the runner to the tube. This clamping process creates more problems because it locks the tube and runner in a static position.

핀으로 고정된 블레이드 조립체에 기계적 굽힘 공정이 구현되면 강철 러너의 접촉 표면과 알루미늄 튜브의 슬롯이 접촉 평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핀이 설치된 위치에 파동이 발생하고, 핀으로 인해 튜브와 러너가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되어 굽힘이 더욱 어려워져 굽힘 작업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어 피로가 증가하고 블레이드 조립체의 수명이 단축된다. 기계적 핀에 의해 생성된 파동은 조립체의 성능을 저하시킨다.Implementing a mechanical bending process on the pinned blade assembly prevents the contact surface of the steel runner and the slot in the aluminum tube from moving along the contact plane. This creates a wave at the location where the fin is installed, and the fin makes the tube and runner completely immobile, making bending more difficult, requiring more bending work, increasing fatigue and shortening the life of the blade assembly. The waves created by the mechanical pins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assembly.

기계적 굽힘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추가 문제는 사용된 도구와 관계없이 러너 표면에 필요한 수직 위치보다 많거나 적은 위치에 굽힘력이 적용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 블레이드 튜브의 비틀림 하중이 러너 표면의 각진 변형을 초래한다. 이러한 변형은 현재 이 산업에서 사용되는 측정 도구로 스케이트 기술자가 근본 원인을 식별하기 어려운 표준 이하의 성능 특성을 초래한다. 이런 일이 발생하면 스케이터는 회전할 때 불안정함을 느끼고 근본 원인을 쉽게 식별할 수 없는 충돌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은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면 수정이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어려우며, 블레이드 조립체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선수에게 상당한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An additional problem commonly encountered in mechanical bending processes is that the bending force is applied at more or less than the required vertical position on the runner surface, regardless of the tool used. As a result, the torsional load of the blade tube causes angular deformation of the runner surface. These variations result in substandar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at make it difficult for skate technicians to identify root causes with the measurement tools currently used in the industry. When this happens, skaters may feel unsteady when spinning and experience crashes whose root cause cannot be easily identified. These collisions can result in serious injuries. When this torsional deformation occurs, correction is difficult, if not impossible, and the entire blade assembly must be replaced, resulting in significant additional cost to the athlete.

2013년 Inze Bont는 기계적 굽힘의 필요성을 제한하는 미리 구부러진 슬롯으로 만든 블레이드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한 캐나다 특허 출원 CA2883755A1을 제출했다. 그러나 Bont가 제안한 해결책은 곡선이 적용되는 플랜지 치수가 블레이드 길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성능이 일관되지 않은 블레이드를 생성한다. 또한, 곡선은 일반적으로 일관된 곡선이기 때문에 블레이드를 의도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추가적인 기계적 굽힘이 필요하다. 플랜지 치수가 블레이드 길이에 따라 극적으로 변한다는 사실은 블레이드 길이에 걸쳐 일관성 없는 강성을 초래하고 강성 특성이 더 강성 또는 더 적은 강성이 바람직한 블레이드 영역과 정렬되지 않는다. 그 결과 정확한 최종 굽힘 특성을 얻기 위해 구조에 가해지는 적절한 양의 힘을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굽힘 과정이 더 어려워진다. 또한, 블레이드의 강성 특성이 선수가 최상의 성능을 위해 필요한 위치에 정렬되지 않기 때문에 조립체의 성능이 저하된다. 제조 과정에서 이 디자인을 구현하면 모든 날이 본질적으로 다르고 준비 과정에서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점에서 스케이트 날의 준비를 과학보다 예술로 만드는 기계적 문제의 가변적 스택 효과가 발생한다. 이 아이디어가 최신 기술을 향상시켰지만 후속 기계적 굽힘 공정이 여전히 상당량 필요하다는 고유한 요구 사항은 여전히 위에서 설명한 모든 문제를 수반한다. 이 제조 방법은 도입된 이후로 현재의 모든 블레이드 제조업체에서 채택했으며 2013년부터 업계 표준이 되었다.In 2013, Inze Bont filed Canadian patent application CA2883755A1 which presented the idea of a blade made from pre-bent slots that would limit the need for mechanical bending. However, the solution proposed by Bont inherently creates blades with inconsistent performance because the flange dimension to which the curve applies varies with the blade length. Also, since the curve is usually a consistent curve, additional mechanical bending is required to make the blade usable for its intended purpose. The fact that the flange dimensions change dramatically with the blade length results in inconsistent stiffness across the blade length and the stiffness characteristics do not align with the blade area where more or less stiffness is desired. As a result, the bending process is more difficult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the proper amount of force to be applied to the structure to obtain the correct final bending properties. Also, the performance of the assembly suffers because the stiffness characteristics of the blades are not aligned where the athlete needs them for best performance. Implementation of this design in manufacturing results in a variable stack effect of a mechanical problem that makes skate blade preparation an art rather than a science, given that all blades are inherently different and constantly changing in preparation. Although this idea has improved state-of-the-art, the inherent requirement of a significant amount of the subsequent mechanical bending process still entails all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Since its introduction, this manufacturing method has been adopted by all current blade manufacturers and has become an industry standard since 2013.

Bont가 제안한 솔루션에 의해 도입된 프로세스의 추가 문제는 곡선 슬롯이 있는 튜브 섹션이 직선 슬롯용으로 설계되었다는 것이다. 기존 플랜지 설계에서 반경이 있는 슬롯을 가공하면 플랜지 길이를 따라 플랜지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플랜지 두께 의 일관성 없는 특성으로 인해 러너의 길이를 따라 조립체의 강성이 다양하게 증가/감소하여 부적절하게 배치된다. 이 가변 두께는 조립체의 의도된 작동과 관계 없이 증가/감소된 강성을 부여하고 차선의 성능 특성을 초래한다. 이러한 불일치의 영향은 플랜지를 따라 올바른 위치에 올바른 양의 강성이 있는지 여부를 제어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손상된 블레이드 설정 외에는 아무것도 달성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An additional problem with the process introduced by Bont's proposed solution is that the tube section with curved slots is designed for straight slots. Machining a slot with a radius in a conventional flange design results in non-uniform flange thickness along the length of the flange. The variable increase/decrease in stiffness of the assembly along the length of the runner results in improper placement due to the inconsistent nature of the flange thickness. This variable thickness imparts increased/reduced stiffness and results in sub-optim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the intended operation of the assembly. The effect of this discrepancy is that there is no way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re is the right amount of stiffness in the right place along the flange, making it nearly impossible to achieve anything other than a compromised blade setup.

연구에 따르면 스케이트 날이 얼음을 가로질러 이동할 때 조화로운 공명을 발생시킬 것이라고 한다. 블레이드의 반경과 굴곡으로 인해 러너 표면의 많은 부분이 얼음과 접촉하지 않는 얼음 표면과의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다. 블레이드의 이러한 부분이 얼음에서 분리되면 튜브/러너 조립체가 소리굽쇠처럼 진동하게 된다. 이 고조파 진동은 블레이드의 동작과 원하는 트랙을 올바르게 따르는 능력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스케이터가 코스 변경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러너 반경에서 자신의 체중을 앞뒤로 이동할 때 블레이드가 하는 일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Studies have shown that a skate blade will create a harmonic resonance as it moves across the ice. Due to the radius and curvature of the blade, the contact area with the ice surface is relatively small, with much of the runner surface not in contact with the ice. When this part of the blade separates from the ice, the tube/runner assembly vibrates like a tuning fork. This harmonic vibration not only affects the motion of the blade and its ability to correctly follow the desired track, but also provides undesirable feedback on what the blade is doing as the skater shifts their weight back and forth in the runner radius to effect course changes. can provide

본 발명은 유체 댐퍼, 엘라스토머 진동 아이솔레이터 또는 동조 질량 댐퍼 시스템과 같은 진동 감소 시스템을 튜브의 중공 부분에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진동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제안한다. 진동의 주파수에 따라 다른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이 필요할 수 있다. 점성 유체를 사용하는 경우 튜브 내 유체 이동의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중공 폼 코어를 추가해야 할 수 있다. 가벼운 스케이터의 경우 거품이 진동 문제를 해결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이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의도하지 않은 강성의 증가와 아이스 스케이트 블레이드가 견뎌야 하는 가혹한 온도 범위로 인한 튜브 조립체의 수압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열적 차원에서 안정해야 한다. 이 고조파 공진의 성능 영향은 콘크리트 드릴에 사용되는 임팩트 드릴의 작동과 동일하다. 일반 드릴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에 드릴을 시도할 때 매우 강한 압력으로도 콘크리트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드릴을 통해 진동 충격이 가해지면 콘크리트를 빠르게 뚫을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진동하는 블레이드는 얼음을 자르거나 이 얼음 위에서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는 반면, 조화 공명을 조정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블레이드는 블레이드가 얼음 표면으로 침투하여 보다 바람직한 수준으로 조정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solve this vibration problem by introducing a vibration reducing system such as a fluid damper, an elastomeric vibration isolator or a tuned mass damper system into the hollow part of the tube.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vibration, other compounds or combinations of these may be required. When using viscous fluids, it may be necessary to add a hollow foam core to offset the effects of fluid movement within the tube. For light skaters, foam may be sufficient to solve vibration problems. The compound used for this application must be thermally stable to prevent hydraulic failure of the tube assembly due to the unintended increase in stiffness and harsh temperature ranges that ice skate blades must withstand. The performance impact of this harmonic resonance is the same as that of an impact drill used in concrete drilling. When you try to drill into concrete with a regular drill, even very strong pressure has little effect on the concrete. Vibration shock applied through a drill can quickly drill through concrete. In a similar fashion, a vibrating blade tends to cut ice or slide on it, while a blade that can tune or eliminate harmonic resonance allows the blade to penetrate the ice surface and tune to a more desirable level.

이러한 조정 가능성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This tunability provides the following benefits:

블레이드 가장자리의 적은 마찰 마모;low frictional wear of the blade edge;

빙상 손상 감소로 인한 안정성 향상;improved stability due to reduced ice sheet damage;

감소된 표면 접촉으로 인해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여 마찰 손실 감소;reduced frictional losses, providing better performance due to reduced surface contact;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선수에게 더 나은 피드백을 제공; 및providing better feedback to the athlete while skating; and

블레이드 에지 유지보수를 위한 노동력 및 자재 요구사항 감소.Reduced labor and material requirements for blade edge maintenance.

현재까지 생산된 모든 쇼트 트랙 및 롱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는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제조업체에서 배송된다. 그것들은 모두 선수가 블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수동 반경 및 굽힘 작업 및 기타 준비 단계가 필요하다.All short track and long track skate blades produced to date are shipped from the manufacturer in unusable condition. They all require manual radius and bend operations and other preparatory steps to allow the athlete to use the blade.

모든 스케이트 블레이드 선행 기술의 추가 문제는 부트 장착 시스템 설계이다. 쇼트 트랙 스케이트의 경우 장착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컵"이라고 한다. 롱 트랙 스케이트의 경우 장착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브리지"라고 한다. 이러한 구성 요소는 전체 조립체의 필수 부품이다. 현재 세대의 쇼트 트랙 블레이드는 모두 1992년 Maple Skate BV의 설립자인 Johan Bennink가 구상한 독창적인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다. 이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가공된 알루미늄 압출 또는 알루미늄 빌렛 블록을 사용하여 구성되지만 티타늄과 같은 다른 재료도 사용된다. 부트를 블레이드 튜브에 연결하기 위해 균일한 장착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단조와 같은 다른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초기 설계에는 컵을 부츠 장착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가 포함되었으며 컵은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블레이드 튜브에 결합되었다. 이 시스템은 느슨한 장착 허용 오차와 위치 지정 특징부의 부족으로 인해 일관성이 거의 없었다. 이러한 위치 지정 특징부의 부족과 느슨한 허용 오차로 인해 각 운동 선수가 선호하는 설정을 재현하는 것은 완전히 시행착오를 겪었고 다중 부품 고정 시스템으로 인해 블레이드 교체 시간이 매우 길어졌다. 업계에서 너트에 대한 요구 사항을 컵에 탭 구멍으로 교체하기 시작하면서 블레이드 교체 시간이 단축되어 블레이드 설치 및 교체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2014년에 Maple Skate BV는 컵의 가장자리에 정렬 마크를 도입하여 블레이드를 교체 해야 할 때 부트 마운트에 블레이드 조립체를 다시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이러한 표시는 도 3과 같이 컵 가장자리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했을 뿐이므로 획일적인 기준점도 없고, 표시의 배치를 위한 구별되는 설계 방법론도 없었으며, 그래서 마운팅 컵에 부츠의 초기 위치는 스케이터 "느낌"의 주관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했다. 그 결과 스케이터의 부츠가 변경되거나 컵 디자인으로 인해 스케이터가 새로운 구성 요소로 유사한 "느낌"을 얻기 위해 0에서 시작하고 반복적으로 테스트해야 한다.A further problem with all skate blade prior art is boot mounting system design. For short track skates, the mounting system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cup". For long track skates, the mounting system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bridge". These components are integral parts of the overall assembly. The current generation of short track blades are all based on an original design conceived by Johan Bennink, founder of Maple Skate BV in 1992. This design is usually constructed using machined aluminum extrusions or aluminum billet blocks, but other materials such as titanium are also used. Other manufacturing methods, such as forging, may be used to create a uniform mounting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boot to the blade tube. Early designs included bolts to attach the cup to the boot mounting surface, and the cup was joined to the blade tube using bolts and nuts. This system had little consistency due to loose mounting tolerances and lack of positioning features. Due to this lack of positioning features and loose tolerances, reproducing each athlete's preferred setup was a complete trial and error process, and the multi-part retention system made blade changes very long. As the industry begins to replace the requirement for nuts with tapped holes in cups, blade replacement times are reduced, improving blade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efficiency. In 2014, Maple Skate BV introduced alignment marks on the rim of the cup, allowing the blade assembly to be re-installed on the boot mount should blades need to be replaced; However, since these marks were only located at random locations on the edge of the cup, as shown in FIG. 3, there was no uniform reference point, nor a distinct design methodology for placement of the marks, s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boot on the mounting cup had a skater "feel". " was based on the subjective nature of As a result, either a skater's boot changes or a cup design forces the skater to start from zero and test repeatedly to get a similar "feel" with the new components.

클랩 스케이트라고 하는 롱 트랙 스피드스케이팅의 블레이드 장착 시스템은 쇼트 트랙의 컵 시스템과 상당히 다르다. 블레이드가 부츠와 블레이드에 단단히 고정되는 기존 스케이트와 달리 클랩 스케이트는 전면에 힌지 메커니즘에 의해 블레이드가 부츠에 부착된다. 이것은 이제 발목이 스트로크의 끝을 향해 확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위해 블레이드가 얼음과 더 오래 접촉할 수 있게 하여 다리의 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분배한다. 이 클랩 디자인은 장거리 스피드 스케이팅에서만 허용된다. 안전 문제로 인해 쇼트 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금지되었다.The blade mounting system in long track speed skating, called clap skate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cup system in short track. Unlike conventional skates, where the blade is firmly fixed to the boot and blade, in clap skates, the blade is attached to the boot by a hinged mechanism at the front. This now not only allows the ankle to extend toward the end of the stroke, but also allows the blade to stay in contact with the ice longer for a more natural motion, distributing energy from the leg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is clap design is only permitted in long distance speed skating. She was banned from short track speed skating due to safety concerns.

롱 트랙 스케이트의 브릿지 마운팅은 발 앞면에 부츠를 부착할 수 있게 하고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블레이드 튜브의 앞쪽 1/3에 있는 힌지 고정구에 부착되도록 제작된 빔에 부츠의 치유를 허용한다. 브리지에는 블레이드가 브리지와 정렬된 시작 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스프링이 포함된다. 전체 조립체를 "클랩" 메커니즘이라고 하며, 블레이드가 브리지에 닿아 정지할 때 만들어지는 클랩 소리 때문에 적절하게 명명되었다.The bridge mounting of long track skates allows the boot to be attached to the forefoot and healing of the boot to a beam usually constructed of aluminum and constructed to be attached to a hinged fixture in the anterior third of the blade tube. The bridge contains a spring that allows the blades to return to their starting position aligned with the bridge. The entire assembly is called the "clap" mechanism, aptly named because of the clap sound it makes when the blade hits the bridge and comes to a stop.

클랩 스케이트의 장착 시스템은 1990년대 이후 거의 변경되지 않았다. 모든 제조업체의 현재 설계는 부츠를 클랩 암 브리지에 부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너트와 볼트에 의존해 왔으며 이러한 패스너의 설치 및 조정은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현재 세대의 클랩 암 다리에는 해당 방향으로 블레이드를 보다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는 전방/후방 정렬 마크가 있지만 선수의 블레이드 설정의 핵심 측면인 부트와 관련하여 블레이드 각도를 올바르게 배치하기 위한 재현 가능한 방법이 없다.The clap skate's mounting system has hardly changed since the 1990s. All manufacturers' current designs have consistently relied on nuts and bolts to attach the boot to the clasp arm bridge, and installation and adjustment of these fasteners is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In addition, while the current generation of clapper legs have anterior/posterior alignment marks to more accurately position the blade in that direction, there is no reproducible method for correctly positioning the blade angle in relation to the boot, a key aspect of a player's blade setup. does not exist.

현재 컵 및 브리지 디자인은 장착 표면이 블레이드 조립체의 컵/브리지의 결합 표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지 않은 경우 부적절하게 제조된 스케이트 부츠를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부트 마운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장착 표면과 완전히 평평하게 정합하지 않도록 약간 각을 이룰 수 있다. 이 결함의 결과는 컵에 대해 부트 마운트를 조이는 작업이 부트 손상 및 조기 고장을 초래할 수 있는 하중 효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 하중 효과는 또한 블레이드 조립체를 변형시켜 스케이트의 성능 문제를 진단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또한, Current cup and bridge designs do not account for improperly manufactured skate boots where the mounting surface is not installed in a parallel orientation to the mating surface of the cup/bridge of the blade assembly. Specifically, the boot mount may be slightly angled so that it does not mate perfectly flat with the cup mounting surface as shown in FIG. 4 . The result of this flaw is that tightening the boot mount against the cup results in a loading effect that can lead to boot damage and premature failure. This loading effect can also deform the blade assembly and make diagnosing skate performance problems very difficult. also,

부트 조립체에 내장된 부트 마운팅 블록의 현재 설계는 부트 마운트를 부트 조립체에 적절하게 고정하는 데 문제가 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고정 재료의 폐색을 보여주는 산업 내에서 사용 중인 부트 마운트 디자인의 단면은 도 5a를 참조한다. 폐색의 상세도는 도 5b를 참조한다. 현재 설계는 조립을 완료하는 작업자가 마운팅 블록을 적절하게 고정하는 것을 어렵게 하여 높은 비틀림 하중 하에서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마운팅 시스템을 초래한다.Current designs of boot mounting blocks embedded in boot assemblies ar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properly securing the boot mount to the boot assembly is problematic. A cross-section of a boot mount design in use within the industry showing occlusion of the anchoring material, see FIG. 5A. See FIG. 5B for a detailed view of the occlusion. Current designs make it difficult for operators completing assembly to properly secure the mounting block, resulting in a mounting system that is prone to failure under high torsional loads.

따라서, 복합 복합 다중 반경 및 제조 공정 동안 스케이트 블레이드에 굽힘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원하는 반경을 적용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통합하는 개선된 스케이트 조립체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이러한 방법은 반경 및 굽힘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 러너를 튜브에 고정하는 개선된 방법도 필요하다. 개선된 표면 마감은 노동력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킨다. 튜브 및 플랜지 표면을 따라 다양한 강성 특성의 정확한 위치는 개별 스케이터 요구 사항에 대한 향상된 성능을 허용한다. 부트 마운팅 컵과 브리지를 부츠에 부착하고 배치하기 위한 개선된 마운팅 시스템을 통해 설치가 더 쉬워지고 일관되게 반복 가능한 정렬이 가능하며 부적절하게 제조된 부트 마운트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풀아웃 방지 부트 마운트를 사용하면 마운팅 컵과 클랩 암을 사용하여 훨씬 더 안전하고 융기된 조립이 가능하다.Accordingly, a need exists for improved skate assemblies that incorporate complex multiple radii and improved methods for applying desired radii, including bending profiles, to skate blad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is method can improve the precision of radius and bending. There is also a need for improved methods of securing the blade runner to the tube. Improved surface finish reduces labor and improves performance. Precise positioning of various stiffness properties along the tube and flange surfaces allows for improved performance for individual skater requirements. An improved mounting system for attaching and positioning the boot mounting cup and bridge to the boot makes installation easier, allows for consistently repeatable alignment and can be adjusted to improperly manufactured boot mounts. The use of anti-pullout boot mounts allows for a much safer, raised assembly using mounting cups and clap arms.

실시예의 요약Summary of Examples

반경 및 굽힘이 미리 적용된 스케이트 블레이드 조립체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가능한 장착 시스템이 여기에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세장형 구성을 갖는 스케이트 블레이드는 얼음과 같은 활공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섹션을 제공하는 블레이드 러너와 스케이트 부츠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블레이드 부착 섹션을 제공하는 블레이드 러너로 정의되며 부트 마운트 특징부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부착 조립체에 고정한다. 스케이트 블레이드는 또한 블레이드 종축, 블레이드 제 1 측면 및 블레이드 제 2 측면을 정의한다. 굽힘이 미리 적용된 블레이드는: 원하는 굽힘 프로파일과 가변 강성 프로파일이 제조 과정에서 적용된 장착 플랜지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일치 슬롯, 보유 특징부가 있는 블레이드 러너 및 모듈식 풀아웃 방지 및 정렬 특징부가 있는 스케이트 부츠에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정렬 및 보유 특징부가 있는 장착 시스템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skate blade assembly with pre-applied radii and bends, an adjustable mounting system is presented herein. Skate blades, generally having an elongated configuration, are defined as a blade runner that provides a contact section for contacting a gliding surface, such as ice, and a blade runner that provides a blade attachment section for attaching the blade to a skate boot, and includes boot mount features. include Fasten to the blade attachment assembly. The skate blade also defines a blade longitudinal axis, a blade first side and a blade second side. The pre-bent blade is assembled into a skate boot with: a mounting flange with the desired bend profile and variable stiffness profile applied during manufacturing, a vertically installed mating slot, a blade runner with retention feature, and a modular anti-pullout and alignment feature. It consists of a mounting system with alignment and retention features for installing.

따라서 하나 이상의 측면의 몇 가지 장점은 다음과 같다.:So, some advantages of more than one aspect are:

최종 결과에 따라 접합된 측면의 길이가 새로운 모양을 수용하기 위해 늘어나거나 수축해야 하기 때문에 어셈블리가 약화되거나 변형되는 접착제/용접/땜납 접합에 대해 수동 기계적 굽힘력의 중요하고 반복적인 적용에 대한 요구 사항을 제거하는 새로운 블레이드 디자인을 제공하고;Depending on the final result, the requirement for significant and repeated application of manual mechanical bending forces to adhesive/welded/solder joints where the assembly weakens or deforms as the lengths of the joined sides must stretch or contract to accommodate the new shape. providing a new blade design that eliminates;

각 접촉면의 길이는 조립 전에 정확하므로 조립품을 약화시키거나 손상시킬 상당한 추가 굴곡을 기계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없도록 보장하여 제조공정 중에 블레이드 러너 장착 플랜지를 원하는 굽힘 프로파일로 가공하며; 및The length of each contact surface is correct prior to assembly, ensuring that there is no need to mechanically apply significant additional flex that would weaken or damage the assembly, machining the blade runner mounting flange to the desired bending profile during manufacturing; and

적절한 강성 수준이 플랜지의 길이를 따라 올바른 위치에 도입되어 조립체의 예상 성능이 달성되도록 오목한 플랜지 표면에 일정한 플랜지 두께를 가공하고 볼록한 플랜지 표면을 따라 가변적인 강성 프로파일을 가공한다.A constant flange thickness is machined on the concave flange surface and a variable stiffness profile is machined along the convex flange surface so that the appropriate stiffness level is introduced at the correct location along the length of the flange to achieve the expected performance of the assembly.

이러한 설계 변경으로 인해 구성 요소 또는 구성 요소의 조립을 약화시키고 손상시키는 기계적 작업이 크게 감소하거나 제거되기 때문에 제품 수명이 상당히 길어진다. 튜브 구조를 단단하게 만드는 기계적 작업이 크게 감소하여 튜브 경도의 균일성이 증가하여 블레이드 조립체의 일관성, 성능 및 사용 수명이 증가한다. 굽힘 프로파일을 약간 조정해야 하는 경우 러너 구성 요소의 보유 특징부를 사용 하면 구성 요소 조립 중에 접착 리벳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박리 또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이 이러한 미세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보유 특징부의 선호되는 구현은 둥근 구멍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그루브, 디봇 등과 같은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변경 사항은 수동 작업으로 인해 접착제로 부착된 블레이드 러너의 박리 경향이 있어 결과적으로 조립체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줄이거나 제거하여 추가 유지 방법이 필요하지 않다.These design changes significantly increase product life because the mechanical work that weakens and damages the component or assembly of components is greatly reduced or eliminated. The mechanical work that hardens the tube structure is greatly reduced, increasing the uniformity of tube hardness, increasing the consistency, performance and service life of the blade assembly. If minor adjustments to the bending profile are required, the retaining feature of the runner component allows the use of adhesive rivets during component assembly, allowing these minor adjustments to be made without fear of delamination or failure. The preferred implementation of this retention feature is to use a round hole, but other methods such as grooves, divots, etc. may be used. These changes also reduce or eliminate the tendency of adhesively attached blade runners to peel off due to manual operation and consequently degrade assembly performance, eliminating the need for additional maintenance methods.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물리적 기상 증착 (PVD) 또는 화학적 기상 증착(CVD) 표면 코팅의 적용을 통해 일상적인 샤프닝 유지 동안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디버링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디버링 요구 사항을 제거하는 것 외에도 이 특징부는 강철 러너 표면의 표면 부식 가능성을 크게 줄이는 동시에 표면 마모 저항을 높이고 마찰을 줄여 유지 관리 요구 사항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킨다.An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re is no need to deburr skate blades during routine sharpening maintenan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surface coatings. In addition to eliminating the requirement for deburring, this feature significantly reduces the potential for surface corrosion on steel runner surfaces while increasing surface wear resistance and reducing friction, reducing maintenance requirements and improving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의 부트 장착 및 정렬 특징은 조립체에 비틀림 하중을 가하지 않고 모든 장착 표면의 적절한 접촉을 위해 자가 정렬되도록 부적절하게 설치된 장착으로 부츠의 설치를 허용한다. 또한, 옵션으로 제안된 풀아웃 방지 부트 마운트와 정렬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면 스케이터 또는 기술자가 충격 손상 또는 느슨한 패스너의 결과로 발생하는 모든 변경 사항을 신속하게 식별하고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정렬 특징부를 통해 새 장비 설정을 빠르고 쉽게 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르게 변경하고 반복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oot mounting and alignmen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installation of a boot with improperly installed mounting to self-align for proper contact of all mounting surfaces without imposing torsional loads on the assembly. In addition, the optional proposed anti-pullout boot mount and alignment system, together with the alignment system, allows the skater or technician to quickly identify and correct any changes that occur as a result of impact damage or loose fasteners. Additionally, alignment features allow for quick and easy reproduction of new equipment setups, as well as quick changes and iterations.

또한 이러한 설계 변경으로 인해 연마 외에 추가적인 기계적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제조업체에서 배송할 때 선수가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최초의 블레이드가 생성되어 인건비가 크게 절감되고 조립체 손상 가능성이 줄어든다. 부적절한 수정으로 인해 발생한다. 하나 이상의 양태의 다른 이점은 도면 및 이어지는 설명을 고려하여 명백할 것이다.This design change also results in the first blades that require no additional mechanical work other than grinding and can be used immediately by athletes when shipped from the manufacturer, significantly reducing labor costs and reducing the chance of damage to the assembly. It is caused by improper fertilization. Other advantages of one or more aspects will be apparent upon consideration of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that follows.

따라서 본 발명의 보다 중요한 특징은 다음의 보다 상세한 설명이 더 잘 이해될 수 있고 본 기술 분야에 대한 현재의 기여가 더 잘 이해될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고, 이어지는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할 것이다.Accordingly, the more important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outlined in order that the mor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may be better understood and the present contribution to the art may be better appreciated. Additional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form the subject of the claims that follow.

본 발명의 많은 목적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나타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도면에서 대응하는 부분을 지정한다.Many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ppear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ppended claim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form a part hereof, where like reference signs designate corresponding parts in the various drawings.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구성의 세부사항 및 하기 설명에 제시되거나 도면에 예시된 구성요소의 배열에 대한 적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고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어구 및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됨을 이해해야 한다.Before describing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application to details of construction and arrangements of components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is capable of other embodiments and of being practiced and carried out in various ways. Al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hraseology and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regarded as limiting.

이와 같이,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개념이 본 발명의 여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 방법 및 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기초로서 쉽게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그러한 등가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중요하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ncepts underly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utilized as a basis for the design of other structures, methods and systems for carrying out the various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rtant, therefore, that the claims be regarded as including such equivalent constructions insofar as they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쇼트 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의 측면도.
도 2A는 부츠의 발 앞면 부분에 부착된 경첩이 달린 "클랩팔"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롱 트랙 스피드 스케이트의 측면 입면도.
도 2B는 경첩이 달린 "클랩팔" 메커니즘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롱 트랙 스피드 스케이트의 측면 입면도.
도 3은 정렬 마크가 있는 메이플 PB 마운팅 컵(종래 기술)의 사시도.
도 4는 마운팅 컵의 표면 접촉이 잘못 정렬되어 있음을 도시하는 잘못 설치된 부트 마운트가 있는 부트의 측면 입면도.
도 5a는 부트 마운트의 보유 특징부에서 폐색을 보여주는 부트에 설치된 산업 표준 부트 마운트의 단면도.
도 5b는 부트 마운트의 보유 특징부의 폐색을 보여주는 도 5a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전 조립된 쇼트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좌측 입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전 조립된 쇼트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우측 입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 조립된 쇼트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히 조립된 쇼트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 조립체의 분해 전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전히 조립된 쇼트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 조립체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히 조립된 쇼트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 조립체의 후방 입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히 조립된 쇼트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 조립체의 후면 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히 조립된 쇼트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 조립체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전히 조립된 쇼트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 조립체의 저면도.
도 15는 상기 도면들에 걸쳐 도시된 일관된 플랜지, 가변 강성 플랜지 및 접착제를 갖는 스케이트 블레이드 러너 슬롯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면들에 걸쳐 도시된 일관된 플랜지, 가변 강성 플랜지, 및 접착제를 갖는 스케이트 블레이드 러너 슬롯을 도시하는 부분 정면 입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관된 플랜지, 가변 강성 플랜지, 및 접착제를 갖는 스케이트 블레이드 러너 슬롯의 전면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루 리벳 보유 홀이 있는 스케이트 블레이드 러너의 측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루 리벳 보유 그루브가 있는 스케이트 블레이드 러너의 측면에 대한 선택적인 사시도.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루 리벳 유지 디봇이 있는 스케이트 블레이드 러너의 측면에 대한 선택적인 사시도.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루 리벳 보유 디봇을 갖는 스케이트 블레이드 러너의 측면의 상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풀링 특징 및 접착제를 나타내는 스케이트 블레이드 러너 슬롯의 전면 정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개 플러그가 있는 댐핑 시스템 포트의 상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 가능/복제 가능한 부트 장착 시스템을 갖는 롱 트랙 브리지 특징부의 일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 조립체의 풀아웃 방지 부트 장착 구성요소의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 조립체 구성요소에 적용된 눈금 각도 정렬 패턴의 분해 사시도.
도 26은 퀵 릴리스 부트 마운팅 컵의 부분 투시도.
도 27은 퀵 릴리스 부트 마운팅 컵의 분해도.
도 28은 풀아웃 방지 부트 마운트에 장착된 퀵 릴리스 부트 마운팅 컵의 부분 사시도.
도 29는 풀아웃 방지 부트 마운트에 장착된 퀵 릴리스 부트 마운팅 컵의 분해도입.
도 30은 부트 마운트 컵 플레이트 정렬 마크 특징을 보여주는 부트 마운트 플레이트에 대한 다른 개념을 예시하는 다중 도면.
도 31은 퀵 릴리스 부트 마운팅 컵, 퀵 릴리스 플레이트 및 보유 기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 고정 할 수 있는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여러 보기.
도 32b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 대한 보유를 위한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묘사하는 다중 보기.
도 33a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는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다중 보기.
도 33b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서 보유하기 위한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묘사하는 다중 보기.
도 34a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는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다중 보기.
도 34b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 대한 보유를 위한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묘사하는 다중 보기.
도 35a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는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다중 보기.
도 35b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 대한 보유를 위한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묘사하는 다중 보기.
도 36a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는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여러 보기.
도 36b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 대한 보유를 위한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묘사하는 다중 보기.
도 37a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서 보유하기 위한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묘사하는 다중 보기.
도 37b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 대한 보유를 위한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묘사하는 다중 보기.
도 38a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는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는 다중 보기.
도 38b는 퀵 릴리스 플레이트 상의 보유를 위한 다른 잠재적인 기하학적 구조를 묘사하는 다중 보기.
1 is a side view of short track speed skating;
2A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a long track speed skate showing the hinged “clap arm” mechanism attached to the forefoot portion of the boot.
2B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a long track speed skate showing the movement of the hinged “clap arm” mechanism.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ple PB mounting cup (prior art) with alignment marks;
4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a boot with a misplaced boot mount showing misalignment of the surface contacts of the mounting cups.
FIG. 5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ustry standard boot mount installed in a boot showing occlusion in a retaining feature of the boot mount.
FIG. 5B is a detailed view of FIG. 5A showing occlusion of the retaining feature of the boot mount.
6 is a left elevational view of a fully assembled short track skate blad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ight side elevational view of a fully assembled short track skate blad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ully assembled short track skate blade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ully assembled short track skate blade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a fully assembled short track skate blade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ar elevational view of a fully assembled short track skate blade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ully assembled short track skate blade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of a fully assembled short track skate blade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bottom view of a fully assembled short track skate blade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artial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kate blade runner slot with consistent flange, variable stiffness flange and adhesive shown throughout the figures;
16 is a partial front elevational view showing a skate blade runner slot with a coherent flange, variable stiffness flange, and adhesive shown throughout the view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of a skate blade runner slot having a coherent flange, variable stiffness flange, and adhesiv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skate blade runner with glue rivet retaining hol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op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of a skate blade runner with a glue rivet retaining groov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A is an op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of a skate blade runner with glue rivet retaining divot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B is a perspective detailed side view of a skate blade runner with glue rivet retaining divot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a skate blade runner slot showing adhesive and adhesive pulling featur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a damping system port with bung pl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long track bridge feature with an adjustable/replicable boot mount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ll-out prevention boot mounting component of a mounting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raduated angular alignment pattern applied to a mounting assembly compon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quick release boot mounting cup.
27 is an exploded view of the quick release boot mounting cup.
2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quick release boot mounting cup mounted on an anti-pullout boot mount.
29 is an exploded view of a quick release boot mounting cup mounted on an anti-pullout boot mount.
30 is multiple views illustrating another concept for a boot mount plate showing a boot mount cup plate alignment mark feature.
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quick release boot mounting cup, quick release plate and retaining gib;
Several views representing different potential geometries that can be secured to the quick release plate.
32B is multiple views depicting different potential geometries for retention on quick release plates.
33A is a multiple view showing other potential geometries that can be secured to the quick release plate.
33B is multiple views depicting different potential geometries for retention in a quick release plate.
34A is a multiple view showing other potential geometries that can be secured to the quick release plate.
34B is multiple views depicting other potential geometries for retention on quick release plates.
35A is a multiple view showing other potential geometries that can be secured to the quick release plate.
35B is multiple views depicting other potential geometries for retention on quick release plates.
36A shows several views of other potential geometries that can be secured to the quick release plate.
36B is multiple views depicting other potential geometries for retention on a quick release plate.
37A is multiple views depicting different potential geometries for retention in a quick release plate.
37B is multiple views depicting different potential geometries for retention on a quick release plate.
38A is a multiple view showing other potential geometries that can be secured to the quick release plate.
38B is multiple views depicting different potential geometries for retention on a quick release plate.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는 설명된 실시예로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반대로, 그 의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일부 가능한 대안,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ny possible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that may b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사전 적용된 가변 곡률, 가변 강성, 접착 보유 특징, 및 모듈식 부트 장착 및 정렬 시스템을 갖는 아이스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여기에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관사 "a", "an" 및 "the" 는 내용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Referring now to the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ice skate blade having pre-applied variable curvature, variable stiffness, adhesive retention features, and a modular boot mounting and alignment system is described herei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rticles "a", "an" and "the"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미리 적용된 가변 곡률 및 모듈식 부츠 장착 및 정렬 시스템을 갖는 아이스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바람직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스케이트 조립체 개념은 쇼트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 또는 롱 트랙 스케이트 블레이드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가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다. 스케이트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러너 구성요소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부속 장치와 부츠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지점이 있는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튜브라고 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튜브 모양인 긴 레일 유형 지지대와 함께 구성된다. 블레이드 튜브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튜브의 한쪽 면에 블레이드 또는 러너의 상단 부분을 유지하고 유지하는 데 적합한 슬롯과 블레이드 조립체를 부츠에 부착하기 위한 슬롯 반대쪽에 부착된 "컵" 또는 "암"이라고 하는 장착 플랫폼이 있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짧은 트랙 블레이드 및 긴 트랙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벤딩 장치로 구부릴 수 있는 각 유형의 스케이트 블레이드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양한 구성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유형의 스케이트 블레이드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연결된 러너 또는 부착 구성요소가 설치되거나 설치되지 않은 블레이드 부착 섹션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6 and 7, a preferred but exemplary embodiment of an ice skate blade with pre-applied variable curvature and a modular boot mounting and alignment system is shown. The skate assembly concept shown can be used with short track skate blades or long track skate blades, examples of which are shown in FIGS. 1 and 2A. Skate blades usually consist of a long rail-type support, usually cylindrical tube, called a blade tube, with attachments to facilitate mounting of the blade runner components and mounting points to hold the boot. Blade Tube There is usually a mounting platform called a "cup" or "arm"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lade tube with slots suitable for holding and holding the upper part of the blade or runner and the other side for attaching the blade assembly to the boot. there is. The short track blade and long track blade shown in FIGS. 1 and 2A illustrate one possible embodiment of each type of skate blade that can be bent with a blade bending device. A variety of other types of skate blades, including blades of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blade attachment sections with or without connected runners or attachment components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스케이트 블레이드 조립체는 도 9에 분해도로 도시된다. 가변 반경 러너 장착 슬롯(5)에 삽입되고 접착제(6)로 유지되는 러너(3)가 있는 튜브(1). 접착제(6)는 접착제 보유 특징부(4)으로 흘러 들어가 러너(3)를 가변 반경 러너 장착 슬롯(5)에 고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접착 리벳을 형성한다. 부트 마운팅 컵(8)은 부트 마운팅 컵 패스너(9)와 함께 부착된다. 부트 마운팅 컵 플레이트(10)는 패스너(11)를 사용하여 풀아웃 방지 부트 마운트(13)에 부착된다. 부트 마운팅 컵 플레이트(10)는 패스너(11)를 사용하여 부트 마운팅 컵(8)에 부착된다. 그런 다음 부트 마운트 정렬 그리드(14)와 부트 마운트 플레이트 정렬 마크(12)를 사용하여 부트 위치를 조정한다.The skate blade assembly is shown in an exploded view in FIG. 9 . Tube (1) with runner (3) inserted into variable radius runner mounting slot (5) and held with adhesive (6). The adhesive 6 flows into the adhesive retention feature 4 to form an adhesive rivet that helps secure the runner 3 to the variable radius runner mounting slot 5 . The boot mounting cup (8) is attached with a boot mounting cup fastener (9). The boot mounting cup plate (10) is attached to the anti-pullout boot mount (13) using fasteners (11). The boot mounting cup plate (10) is attached to the boot mounting cup (8) using fasteners (11). The boot position is then adjusted using the boot mount alignment grid 14 and the boot mount plate alignment marks 12.

현재 상기 실시예의 튜브(1)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고 폐기물을 최소화하기 위해 압출된 재료 형태로 기계화된 컴퓨터 수치 제어가 고려되나, 합금, 플라스틱, 탄소 섬유와 같은 복합 재료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른 재료 및 방법도 적합하다.Currently, the tube 1 of the above embodiment is made of aluminum and machined computer numerical control in the form of an extruded material to minimize waste is considered, but not limited to alloys, plastics, composite materials such as carbon fibers, etc. Other materials and methods are also suitable.

현재 러너(3)는 강철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다른 재료가 적합하다.Currently the runner 3 is considered to be made of steel, but other materials are suitable.

현재 마운팅 컵(8) 또는 교대로 롱 트랙 클랩 암, 플레이트(10), 부트 마운트(16) 및 고정 지지대(11)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지만 다른 재료도 적합하다고 생각된다.Currently the mounting cup 8 or alternatively the long track clap arm, plate 10, boot mount 16 and fixed support 11 are made of aluminum, but other materials are considered suitable.

현재 패스너(9, 12, 13, 14)가 강철과 티타늄 합금으로 만들어지지만 다른 재료도 적합하다고 생각된다.Currently fasteners 9, 12, 13 and 14 are made of steel and titanium alloys, but other materials are considered suitable.

현재 부트 마운팅 컵 플레이트(10)가 블레이드 조립체의 유효 높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두께로 제조될 수 있다고 생각되나 높이 증가는 얇은 마운팅 플레이트를 유지하면서 컵 자체의 높이를 증가시켜 달성할 수도 있다.Although it is currently believed that the boot mounting cup plate 10 can be made in different thicknesses to increase or decrease the effective height of the blade assembly, the height increase can also be achieved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cup itself while maintaining a thin mounting plate.

현재 접착제(6)가 이종 금속을 접착하는 데 적합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접착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블레이드와 튜브의 스틸-온-스틸 조합과 함께 접착제 사용을 고려한다. 알루미늄 튜브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접착 공정이 가능하며 접착 조립체가 제공하는 몇 가지 성능 이점으로 인해 선호될 수 있다. 여기에는 블레이드 손상 및 진동 댐핑을 줄일 수 있는 충격 에너지 감소가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We believe that the current adhesive 6 will be a commercially available adhesive suitable for bonding dissimilar metals. Also consider using adhesives with steel-on-steel combinations of blades and tubes. Bonding processes such as those used for aluminum tubing are possible and may be preferred due to the several performance advantages that bonding assemblies offer. This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impact energy reduction that can reduce blade damage and vibration damping.

현재 접착 보유 특징부가 러너(3)에 뚫린 둥근 홀(4)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루브, 디봇, 슬롯 등을 포함한 다른 방법도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적합하다.We currently think the adhesive retention feature will be a round hole (4) drilled into the runner (3), but other methods including grooves, divots, slots, etc. are suitable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

현재 접착 풀링 특징부가 장착 슬롯(5)의 한쪽 벽을 형성하는 두 플랜지(21 및 22)의 상단 가장자리에 가공된 각진 챔퍼(7)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노치, 디봇, 슬롯을 포함한 다른 방법 등도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적합하다.We currently believe that the adhesive pulling feature will be an angled chamfer (7) machined into the top edge of the two flanges (21 and 22) that form one wall of the mounting slot (5), but other methods, including notches, divots, slots, etc., are also desired. suitable for obtaining results.

현재 가변 강성 플랜지(21)가 제조 과정에서 반경 사양을 포함한 사양에 따라 CNC 가공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가변 강성 플랜지(21)는 균일한 고정 강성 플랜지(22)와 대조적으로 다양한 두께를 가질 것이다(도 15-17). 가변 강성 플랜지(21) 외에도 이러한 가변 강성 개념은 튜브의 상단뿐만 아니라 튜브의 둘레에도 적용될 수 있다.It is currently contemplated that the variable stiffness flange 21 will be CNC machined to specifications including radius specifications during manufacturing. The variable stiffness flange 21 will have a variable thickness in contrast to the uniform fixed stiffness flange 22 (Figs. 15-17). In addition to the variable stiffness flange 21, this variable stiffness concep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top of the tube, but also to the circumference of the tube.

현재 부트 마운팅 컵/암(8), 플레이트(10) 및 마운팅 블록(13)의 정렬 그리드와 표시가 알루미늄 표면 s에 레이저로 에칭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이러한 표시는 CNC에 의해 포함될 수도 있다. 기계가공, 스크린 인쇄, 표면 라벨링 등 또는 기타 적절한 수단. 또한 눈금 표시는 설치 및 정렬 절차를 반복 가능한 프로세스로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특별히 사용되며 문자, 숫자 또는 기타 기호로 적절하게 지정할 수 있다.It is currently contemplated that the alignment grid and markings on the boot mounting cup/arm (8), plate (10) and mounting block (13) will be laser etched into the aluminum surface s, but these markings could also be included by CNC. Machining, screen printing, surface labeling, etc. or other appropriate means. Graduation marks are also used specifically for the purpose of making installation and alignment procedures a repeatable process and can be designated with letters, numbers or other symbols as appropriate.

현재 DLC(다이아몬드 유사 탄소)를 사용하여 러너의 표면 코팅을 수행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지만 화학 기상 증착(CVD), 물리적 기상 증착(PVD) 또는 유사한 표면 마감 처리로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Current consideration is to use diamond-like carbon (DLC) to surface coat the runners, but similar results can be achieved with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or similar surface finishes.

따라서, 본 명세서를 읽는 사람은 다양한 실시예의 스케이트 블레이드 조립체가 최종 사용자를 위한 최소한의 설정 단계를 필요로 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단계는 달성하기 쉽고, 쉽게 반복 가능하며, 적용에서 일관성이 있다.Thus, a person reading this specification will appreciate that the skate blade assembli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can be used to provide an assembly that requires minimal setup steps for the end user, which are easy to accomplish and easily repeatable. It is possible, and there is consistency in application.

상술한 설명에서 스케이트 블레이드 조립체의 일부 실시예의 많은 이점이 분명해진다.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 many of the advantages of some embodiments of skate blade assemblies are apparent.

튜브(1)의 미리 구부러진 다중 반경 슬롯(5)은 수동 굽힘 작업을 크게 줄이거나 없앨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각 스케이터에게 선호되는 굽힘을 제공한다.The pre-bent multi-radius slots (5) of the tube (1) make it possible to greatly reduce or eliminate manual bending operations while providing each skater with a preferred bend.

다중 반경 또는 "복잡한" 사전 설치된 반경(20)은 수동 반경/로커링 작업의 상당한 감소 또는 제거를 허용한다. 복잡한 반경을 포함하여 사전 방사형 블레이드 및 튜브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는 원하는 사양에 합리적으로 근접한 블레이드 및/또는 튜브를 구입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최종 변경을 제공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와 튜브의 금속 메모리가 현재 시장에서 사용 가능한 것보다 원하는 사양에 더 가까워질 것이다.Multiple radii or "complex" pre-installed radii 20 allow for significant reduction or elimination of manual radii/rockering operations. By providing pre-spun blades and tubes with complex radii, consumers can purchase blades and/or tubes that are reasonably close to their desired specifications. This will not only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deliver final changes, but will also bring the metal memory of the blades and tubes closer to the desired specifications than what is currently available on the market.

기계적 고정 리벳을 제거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레이드의 굽힘을 유지하는 데 필요할 수 있는 경미한 기계적 굽힘 작업뿐만 아니라 사용 중 접착 접착제의 탄성 범위 내에서 러너가 이동할 수 있다.The removal of the mechanical fixing rivets allows the runner to move within the elastic range of the bonding adhesive during use as well as the minor mechanical bending action that may be required to maintain the bending of the blade over time.

보유 특징부(4)의 사용으로 인한 접착 리벳은 이전에 설명한 표준 금속 리벳의 부정적인 영향 없이 조립체의 무게를 줄이면서 튜브에서 러너의 향상된 유지력을 제공한다. 현재 4개의 고정 구멍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4개 미만일 수 있다.The adhesive rivet resulting from the use of retention feature 4 provides improved retention of the runner in the tube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assembly without the negative impact of standard metal rivets previously described. It is currently expected to have four fixing holes, but there may be less than four.

접착제 풀링 특징부(7)는 러너를 튜브에 설치하는 동안 도포될 수 있는 과도한 접착제는 러너 표면의 측면 위로 이동하지 않고 유지 영역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는 것을 보장하며, 이는 사용 전에 스케이터 또는 기술자가 이후에 제거해야 한다.The adhesive pulling feature (7) ensures that any excess adhesive that may be applied during installation of the runner to the tube will flow into the holding area rather than migrate over the sides of the runner surface, which will then be removed by the skater or technician prior to use. Should be.

부츠 마운팅 플레이트(10)를 사용하면 부러지거나 손상된 블레이드를 더 쉽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케이터가 코너에 기대어 있을 때 부츠의 코너링 클리어런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조립체 높이를 더 쉽고 저렴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use of the boot mounting plate 10 not only makes it easier and faster to replace broken or damaged blades, but also makes it easier and cheap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ssembly to improve the boot's cornering clearance when the skater is leaning into a corner.

마운팅 컵(8), 플레이트(10), 풀아웃 방지 부츠 마운트(16)에 있는 정렬 그리드(17)와 표시(15)는 스케이터가 부츠와 블레이드를 쉽게 정렬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마모 또는 손상으로 인해 구성 요소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선호하는 설정을 빠르고 쉽게 선택할 수 있다.An alignment grid (17) and markings (15) on the mounting cup (8), plate (10), and anti-pull-out boot mount (16) allow skaters to easily align and reproduce boots and blades. If a component needs to be replaced due to wear or damage, you can quickly and easily select your preferred setting.

퀵 릴리스 컵의 미세 조정 특징부(13)을 통해 스케이터는 모든 블레이드에서 안정적이고 반복 가능한 설정을 할 수 있다.The micro-adjust feature 13 on the quick release cups allows skaters to have a stable and repeatable setup on every blade.

상술한 설명이 많은 특이성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은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단지 몇 가지 실시예 중 일부의 예시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튜브는 원형, 사다리꼴, 삼각형 등과 같은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고; 마운팅 컵/암, 플레이트 및 풀아웃 방지 부트 마운트는 마찬가지로 다른 모양 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범위는 주어진 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및 법적 동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Although the foregoing description contains many specificities, they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but merely as providing illustrations of some of a few embodiments. For example, the tube may have other shapes such as round, trapezoidal, triangular, etc.; Mounting cups/arms, plates and anti-pullout boot mounts may likewise have other shapes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legal equivalents, rather than by the given examples.

댐핑 특징부는 튜브 댐핑 시스템 충전 포트(18)를 활용하여, 댐핑 유체, 발포체 및/또는 화합물을 튜브 댐핑 시스템 공동(18)에 추가할 수 있도록 하고, 튜브 댐핑 시스템 플러그를 설치함으로써 공동에 유지된다.The damping feature utilizes the tube damping system fill port 18 to allow damping fluid, foam and/or compound to be added to the tube damping system cavity 18 and is retained in the cavity by installing a tube damping system plug.

풀아웃 방지 부트 마운트(16)는 부츠 쉘에서 마운트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진 모양을 가지고 있다.The anti-pullout boot mount 16 has an angled shape to prevent the mount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boot shell.

러너 표면 코팅(24)은 두께가 1-5 미크론이고 마찰이 극히 적고(0.5-0.6 마찰 계수) 접착되는 강철 표면보다 경도가 높으며 미끄럼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한다. 표면 경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러너 표면의 연마 및 연마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가 쉽게 제거된다.The runner surface coating 24 is 1-5 microns thick, has extremely low friction (0.5-0.6 coefficient of friction), is harder than the steel surface to which it is bonded, and has reduced resistance to sliding wear. Since the surface hardness is very high, the runner surface is polished and the burrs generated during the polishing process are easily removed.

산업적 이용 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발명은 주로 아이스 스케이팅 산업에 사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산업체에서 제조 및 사용될 수 있다. 스키, 스노보드, 등산 및 기타 스포츠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른 산업 분야에서도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and used by industry primarily for use in the ice skating industry. Other industries may also utilize the inventio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kiing, snowboarding, mountaineering and other sports.

다음 참조 번호는 도시된 실시예의 관련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도면에 사용된다.
1.튜브
2.튜브 플러그
3.러너
4.러너 접착 보유 특징부
5.가변 반경 러너 장착 슬롯
6.접착제
7.접착제 풀링 특징부
8.부트 마운트 컵
9.부트 마운트 컵 패스너
10.부트 마운트 컵 플레이트
11.부트 마운트 컵 보유 기브
12.부트 마운트 컵 보유 기브 패스너
13.부트 마운트 컵 미세 조정 나사
14.부트 마운트 컵 플레이트 패스너
15.부트 마운트 컵 플레이트 정렬 마크 특징부
16.풀아웃 방지 부트 마운트
17.부트 마운트 정렬 그리드 특징부
18.튜브 댐핑 시스템 공동
19.튜브 댐핑 시스템 충전 포트
20.튜브 댐핑 시스템 플러그
21.가변 강성 플랜지
22.일정한 두께의 플랜지
23.러너 다중 반경 로커
The following reference numbers are used in the drawings to indicate related elements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1. Tube
2. Tube plug
3. Runner
4. Runner Adhesion Retention Feature
5. Variable radius runner mounting slots
6. Glue
7. Adhesive Pulling Feature
8. Boot mount cup
9. Boot mount cup fasteners
10. Boot mount cup plate
11. Boot mount cup retention give
12. Boot Mount Cup Retention Gib Fastener
13. Boot mount cup fine adjustment screw
14. Boot mount cup plate fasteners
15. Boot mount cup plate alignment mark feature
16. Anti-Pullout Boot Mount
17. Boot mount alignment grid feature
18. Tube damping system joint
19. Tube damping system charging port
20. Tube damping system plug
21. Variable stiffness flange
22. Flanges with constant thickness
23. Runner multi-radius rocker

Claims (5)

러너와 튜브를 포함하는 스케이트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러너는 튜브의 슬롯에 삽입되고 반경을 갖는 슬롯은 러너에게 반경을 부여하고 러너에 곡선 얼음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블레이드.
In the skate blade comprising a runner and a tube,
The skat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runner is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tube and the slot having a radius gives the runner a radius and forms a curved ice contact surface on the runner.
제 1항에 있어서, 반경은 복소 반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블레이드.2. The skate blad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ius is a complex radius.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러너에 표면코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블레이드.The skate blad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rface coating on the runner. 제 1항에 있어서,
스케이트 부츠에 위치한 장착 플랫폼 플레이트와 상호 작용하는 장착 플랫폼,
보유 기브; 및
보유 기브를 장착 플랫폼 플레이트에 대해 바이어스하여 장착 플랫폼을 장착 플랫폼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블레이드.
According to claim 1,
a mounting platform that interacts with a mounting platform plate located on the skate boot;
retention give; and
The skate blade of claim 1 , further comprising a fastener that biases the retaining gib against the mounting platform plate to secure the mounting platform to the mounting platform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슬롯은 2개의 대향 플랜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중 하나는 길이를 따라 가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블레이드.2. The skate blad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ot is formed by two opposing flanges, one of which has a variable thickness along its length.
KR1020227006201A 2019-07-30 2020-07-30 Pre-applied ice skate blades with variable curvature, variable stiffness and modular boot mounting system KR2023003813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80203P 2019-07-30 2019-07-30
US62/880,203 2019-07-30
PCT/US2020/044361 WO2021022099A1 (en) 2019-07-30 2020-07-30 Ice skate blade with pre-applied variable curvature, variable stiffness, and modular boot moun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132A true KR20230038132A (en) 2023-03-17

Family

ID=7422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201A KR20230038132A (en) 2019-07-30 2020-07-30 Pre-applied ice skate blades with variable curvature, variable stiffness and modular boot mounting syste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80862A1 (en)
EP (1) EP4003551A4 (en)
KR (1) KR20230038132A (en)
CN (1) CN114828967A (en)
WO (1) WO202102209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07940A (en) * 2022-11-10 2023-01-17 齐齐哈尔黑龙国际冰雪装备有限公司 Sports type speed skating skat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644Y1 (en) * 1994-08-12 1998-10-15 이무영 Setting unit of skate blade
NL1000493C2 (en) * 1995-06-02 1996-12-03 Geert Wemmenhove Reinforced elongated metal body.
NL1021122C2 (en) * 2002-07-22 2004-01-23 David Den Braver Ice skate, especially for speed skating, has blade with parts not fixed inside holder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CA2399880C (en) * 2002-08-27 2012-11-13 Troy Stacey Crowder Adjustable hockey skate blade system
WO2006012432A2 (en) * 2004-07-21 2006-02-02 Rudolfh Robert K Ice skate blade runner holder and blade run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844716C (en) * 2011-08-10 2020-03-10 Easton Sports, Inc. Ice hockey runner-blade assembly
CA2775510A1 (en) * 2011-10-18 2013-04-18 Earl A. Dahlo Double-edged skate blade assembly and holder
CA2883755A1 (en) * 2012-06-20 2013-12-27 Bont Footwear Pty Ltd Speed sk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28967A (en) 2022-07-29
EP4003551A4 (en) 2024-04-10
US20220280862A1 (en) 2022-09-08
WO2021022099A1 (en) 2021-02-04
EP4003551A1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363B2 (en) Run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273348B2 (en) Golf club head with sound damping
US8439769B2 (en) Metal wood club with improved hitting face
JP2021037319A (en) Golf club head including mechanical and adhesive joints
EP3568218B1 (en) Ice skate blade measuring apparatus
KR20230038132A (en) Pre-applied ice skate blades with variable curvature, variable stiffness and modular boot mounting system
US20110001297A1 (en) Method of making an ice skate blade
US4993725A (en) Unitary skate assembly having vertical spring means
US20220193508A1 (en)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664553A (en) Spring loaded skid plate for a concrete saw
JP2012509725A (en) snow board
US6565110B1 (en) Mounting plate for a coupling mechanism on a runner
JPH03205072A (en) Ski
US20180140907A1 (en) Golf club head nicluding impact influencing flexure joint
US10315096B2 (en) Ice skate blade arrangement
CA3038980C (en) Ice skate blade bending apparatus
US11918866B2 (en) Golf club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965928B2 (en) Ski aid
JP2022100144A (en) Golf club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A2671112C (en) Method of making an ice skate blade
JPH09168404A (en) Skate
JP2023505066A (en) multi-element golf club head
CA3116489A1 (en) A frame
CN115475366A (en) Golf club head with damping element for ball speed control
JP2022100145A (en) Golf club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