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476A - 층간소음 분쟁의 예방을 위한 층간이웃 소통 방법 및 장치, 분쟁 중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분쟁의 예방을 위한 층간이웃 소통 방법 및 장치, 분쟁 중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476A
KR20230037476A KR1020220114717A KR20220114717A KR20230037476A KR 20230037476 A KR20230037476 A KR 20230037476A KR 1020220114717 A KR1020220114717 A KR 1020220114717A KR 20220114717 A KR20220114717 A KR 20220114717A KR 20230037476 A KR20230037476 A KR 20230037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ighbor
noise
floor
inter
neighb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섭
전성필
이재헌
김종진
전해원
Original Assignee
임용섭
전성필
이재헌
김종진
전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섭, 전성필, 이재헌, 김종진, 전해원 filed Critical 임용섭
Publication of KR20230037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층간이웃간 소통과 배려가 층간소음 문제를 예방하고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핵심 가치임을 인지하고, 이러한 현실적인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층간이웃 소통 방법 뿐만 아니라 분쟁 중재 방법과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및 중재 방법은, (i) 제1 공간에 거주하는 제1 이웃 및 제2 공간에 거주하는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에 층간소음 관련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을 설문 답변자의 층간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iii) 상기 제2 공간에 발생된 층간소음에 대한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공간의 제2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iv)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제2 이웃의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1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v) 상기 제1 및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중재 신청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층간소음 분쟁의 예방을 위한 층간이웃 소통 방법 및 장치, 분쟁 중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s to Prevent Dispute over Interfloor Noise and Method and Apparatus of Arbitrating Dispute over Interfloor Noi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과 같은 불편사항으로 인한 이웃간 분쟁을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이웃간에 소통하는 방법 및 분쟁 중재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토교통부의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에 따르면, 아파트 가구 수가 5년간 18% 증가하여 2021년은 1,043만호이다. 층간소음이웃사이센터에 따르면, 이 중 930만 가구가 층간소음으로 고통을 받고 있고, 이 스트레스로 인해 연간 5,464억원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되면서 층간소음이웃사이센터에 접수된 층간소음 민원은 2019년 26,342건에서 2020년 34,291건으로 30% 넘게 증가하였다.
아래층 주민은 위층에서 전달되는 층간소음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한편, 위층 주민은 아래층 주민의 잦은 불만 제기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 및 정신적 스트레스를 호소한다. 층간 이웃간 살인사건으로 연결되는 사건도 종종 발생한다. 또한 위층에 거주하는 가족간에도 불화가 생기기도 한다. 예를 들어 위층에서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뛰어다니는 아이들을 조용히 시키느라 자주 야단치다 보면 아이들과의 관계가 나빠지기도 한다. 또한, 층간소음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견디다 못해 울며 겨자먹기로 단독 주택으로 이사를 함에 따른 금전적 손실 및 거주 환경 악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를 반영하듯, 층간이웃 분쟁 때문에 이사를 가기로 한 경우에 보험금을 지급하는 층간소음 보험도 등장하였다.
2013년에 시행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 10명중 9명은 층간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절반은 층간소음으로 인해 이웃과 다툰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웃과 다투지 않은 경우라도 층간소음을 해결하기 위해 응답자의 22%가 층간소음 방지용품을 구매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파트 뿐만 아니라, 오피스텔, 원룸, 빌라 거주자도 층간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층간소음의 유형으로는 아이들 뛰는 소음(36%), TV나 세탁기 등의 기계 소음(18%), 어른 걷는 소음(16%), 피아노 등 악기 소리(9%), 문 여닫는 소음(9%), 이웃 주민의 예민함(5%)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층간소음 외에도 흡연, 음식 냄새, 개짖는 소리, 에어컨 실외기 문제를 둘러싼 분쟁들이 소송으로 이어지거나 2차 범죄로 이어지는 사례도 비일비재하다.
심각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술적, 제도적, 법적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기술적 방안으로는, 층간 보 두께를 늘리거나, 소음 차폐 소재를 층간 내부에 시공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제1548932호(층간소음 방지용 층간 바닥재), 한국 특허 제1142119호(아파트 바닥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가 있다. 하지만 아파트 건축비 증가 요인이므로 많이 채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규 아파트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또는, 층간소음이 전달되는 공간에서 계측된 소음 측정값이 일정 기준 이상이면 소음을 유발한 거주민에게 소음 발생을 알리는 시스템이 있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제1266318호(층간 진동 및 소음 측정 경보 장치), 한국 공개특허 제20150078964호(공동주택 층간소음 알림 장치), 한국 특허 제1582899호(공동주택 층간소음 알림 장치), 미국 등록특허 제8,359,957호 및 미국 공개특허 제20080144838호가 있다. 이 방법들은 자신이 유발한 소음이 층간이웃에게 얼마나 전달되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효과는 있다. 하지만 자신의 유발하여 전달된 소음을 이웃이 문제삼지 않고 위층 이웃을 배려해 주고 싶어도 획일적으로 소음 경고가 유발자에게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웃집에 마이크나 스피커 등의 설치를 해야 하고 설치 비용이 비싸고, 다양한 경로로 전달되는 가짜 소음과 진짜 층간소음을 구별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다.
정부에서 중재를 통해 갈등을 완화하기 위하여 설치한 층간소음이웃사이센터가 있다. 인력 부족과 법적 공권력의 부족으로 실효성이 떨어진다.
정부는 아파트 층간소음 분쟁을 줄이기 위해 신축 아파트에 대해 시공 이후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을 확인하는‘사후 확인제도’를 도입하였다. 하지만, 이는 기축 아파트에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결국 입주세대 자체의 노력으로 해결하는 수 밖에 없다. 대한민국에 새로 짓는 아파트의 시공방식이 층간소음에 취약한 벽식 구조여서 층간소음에 따른 층간이웃간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한국 특허 제1266318호 한국 공개특허 제20150078964호 한국 특허 제1582899호 미국 등록특허 제8,359,957호 미국 공개특허 제20080144838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층간소음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이의 제기 수단 및 소통 방식은 분쟁 당사자와 이해관계자들의 애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래층 주민은 층간소음으로 고생하는 상황이나 층간소음 관련 요청 사항을 위층 이웃과 소통하기 위한 수단이 부족하고 직접 대면시 서로 감정이 격해지는 애로사항을 겪고 있다. 위층 주민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시간을 알기 어렵고 자신이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 및 자신이 발생시킨 소음이 아니라는 피드백을 아래층 이웃과 소통하기 위한 수단이 부족한 애로사항을 겪고 있다. 아파트의 경우, 이들 사이에서 층간소음 분쟁을 중재하는 경비원이나 관리사무소의 업무 부담이 증가되나 원만하고 효율적으로 해결되는 비율은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층간이웃간 소통과 배려가 층간소음 문제를 예방하고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핵심 가치임을 인지하고, 이러한 현실적인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층간이웃 소통 방법 뿐만 아니라 분쟁 중재 방법과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방법은, (i) 제1 공간에 거주하는 제1 이웃 및 제2 공간에 거주하는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에 층간소음 관련 설문이 제공되는 단계; (ii)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이 설문 답변자의 층간 이웃에게 전송되는 단계; 및 (iii) 상기 제2 공간에 발생된 층간소음에 대한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배려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제2 공간의 제2 이웃에게 전송 여부를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문은 소음 가능 시간대, 소음 유의 시간대, 가족 구성원, 사용 중인 층간소음 저감 물품, 소음 피해, 및 배려 요청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소음 발생 위치, 소음 발생 시간, 소음 유형, 소음 정도 및 소음 피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방법은,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제2 이웃의 피드백 정보가 상기 제1 이웃에게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정보가 상기 제2 이웃이 층간소음의 발생 원인이 아니라는 의미일 경우, 상기 제2 이웃 외의 다른 이웃에게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려 규칙을 상기 설문 답변자의 층간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배려 규칙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가 상기 설문 답변자의 거주 공간에 대한 프로필로 상기 층간이웃에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및 중재 방법은, (i) 제1 공간에 거주하는 제1 이웃 및 제2 공간에 거주하는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에 층간소음 관련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을 설문 답변자의 층간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iii) 상기 제2 공간에 발생된 층간소음에 대한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공간의 제2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iv)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제2 이웃의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1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v) 상기 제1 및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중재 신청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i)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가 상기 제2 이웃에게 전송된 기록, 상기 제2 이웃의 피드백 정보가 상기 제1 이웃에게 전송된 기록, 및 (ii) 상기 배려 규칙 중 적어도 둘이 중재자에게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방법은 상기 중재자와 상기 중재를 신청한 이웃과의 소통 채널이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통 채널을 통해 상기 중재자와 상기 신청 이웃 간에 중재에 대한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중재 기록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및 중재 방법은, (i) 제1 공간의 제1 이웃 및 제2 공간의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층간소음에 관련된 중재 신청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ii) 상기 중재를 신청한 이웃과 중재자와의 소통 채널이 생성되는 단계; (iii) 상기 제1 및 제2 이웃 간에 층간소음 관련하여 소통한 기록, 및 층간소음 관련 설문에 대한 상기 신청 이웃의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iv) 상기 중재자에게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된 중재 방안을 상기 소통 채널을 통해 상기 중재 신청 이웃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상기 중재 방안에 의해 층간소음 분쟁이 해결되지 않은 경우, 피신청 이웃과 상기 중재자와의 소통 채널이 추가로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장치는, (i) 통신 인터페이스; (ii) 사용자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iii) 프로세서로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iv) 상기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제1 공간에 거주하는 제1 이웃 및 제2 공간에 거주하는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에 층간소음 관련 설문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이 설문 답변자의 층간 이웃에게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공간에 발생된 층간소음에 대한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배려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제2 공간의 제2 이웃에게 전송 여부를 결정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및 중재 장치는, (i) 통신 인터페이스; (ii) 사용자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iii) 프로세서로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iv) 상기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제1 공간에 거주하는 제1 이웃 및 제2 공간에 거주하는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에 층간소음 관련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을 설문 답변자의 층간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공간에 발생된 층간소음에 대한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공간의 제2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제2 이웃의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1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중재 신청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및 중재 장치는, (i) 통신 인터페이스; (ii) 사용자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iii) 프로세서로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iv) 상기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제1 공간의 제1 이웃 및 제2 공간의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층간소음에 관련된 중재 신청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중재를 신청한 이웃과 중재자와의 소통 채널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이웃 간에 층간소음 관련하여 소통한 기록, 및 층간소음 관련 설문에 대한 상기 신청 이웃의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중재자에게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된 중재 방안을 상기 소통 채널을 통해 상기 중재 신청 이웃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배려 규칙을 공유함으로써 윗집이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노력과 반려견을 포함한 가족 구성원을 아래층 이웃에게 사전에 알려주어 이웃간 이해심을 높여 분쟁을 예방할 수 있고 오해를 막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래층 이웃이 조용하게 생활하고 싶은 시간대와 위층 주민이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는 시간대를 위층 이웃이 사전에 알 수 있게 하고 층간소음에 예민한 가족 구성원도 알려줌으로써 이웃간 이해심을 높이고 상대방의 배려에 대한 고마움을 갖고 상대방을 배려하게 행동함으로써 분쟁으로 비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둘째, 아래층 주민은 위층에서 층간소음이 발생한 위치와 소음 유형을 간편하게 사실 정보만으로 위층에 보내 실시간으로 발생 사실을 알릴 수 있고, 이를 받은 위층 주민은 사과하면서 양해를 구하거나 본인 세대에서 발생한 소음이 아닌 경우 해명 버튼을 눌러 오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층간소음 발생 사실과 관련 정보만을 이웃간 전달하거나 순화된 표현으로 전달함으로써 감정이 격화되지 않게 분쟁의 확산을 막을 수 있고, 오해를 풀 수 있다. 또한, 상호 배려심을 갖게 하여 층간소음이 발생하더라도 너그러이 이해하여 분쟁으로 번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제3자가 층간소음 관련 소통 기록과 배려 규칙 등에 기반하여 단계별 분쟁 중재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안전하게 분쟁을 해결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분쟁 및 중재 관련 기록을 생성하고 필요한 곳에 이해관계자의 동의 하에 관련 기록이나 정보를 증거나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쟁 당사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고, 층간소음 분쟁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공동주택의 층간이웃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간 소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관리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앱의 주요 기능 및 진행 순서를 보여준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에 제공되는 배려 규칙을 위한 설문을.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01호 사용자의 층간이웃 소통 앱에 표시되는 층간이웃들 - 아래층 101호 및 위층 301호 - 의 배려 규칙이 표시된 프로필 화면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01호 사용자의 층간이웃 소통 앱에서 위층 301호에게 소음 주의 요청하기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앱에서 아래층 201호가 위층 이웃에게 순화된 방식으로 알림 메시지 및 선물을 보내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앱에서 위층 301호가 아래층 이웃에게 순화된 사과 메시지 및 선물을 보내는 방법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려 규칙 및 실시간 소통을 통한 층간이웃들에게 발생하는 기대 효과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앱의 중재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소통 앱에서 층간이웃에게 전달할 메시지가 순화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층간소음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쓰레기 냄새, 흡연, 애완동물 짖는 소리와 같은 다른 불편사항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공동주택의 층간이웃 관계를 보여준다. 202호를 중심으로 옆으로 201호, 아래로 102호, 위로 302호, 402호가 배치된다. 102호가 느끼는 층간소음이 반드시 202호에서 발생된 것은 아닐 수 있다. 302호 또는 402호에서 발생된 소음이 102호로 전달되는 경우도 있다. 그로 인해 층간이웃 간에 소음원에 대한 오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층간소음의 유형(예: 개짖는 소리)에 따라 소음원이 옆집이나 아래집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통하고자 하는 층간이웃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간 소통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을 설명한다. 시스템 환경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3a-3d), 통신망(2), 메신저 서비스 서버(4), AI 에이전트 서버(5) 및 층간소음 관리 서버(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인터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스마트월패드, 음성인식 AI 스피커, 랩탑, 스마트 TV, 실내 생활 도우미 고정형 및 이동형 로봇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3a-3d) 각각은, 통신망(2) 및 메신저 서비스 서버(4)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3a-3d)과 대화 세션을 수립하고, 수립된 대화 세션을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3a-3d)과 음성 및/또는 텍스트 방식으로 실시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3a-3d) 각각은, 통신망(2)을 통해서, AI 에이전트 서버(5)와 통신, 즉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3a-3d) 각각은, 통신망(2)을 통해서, 층간소음 관리 서버(6)와 통신, 즉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간소음 관리 서버(6)는 층간소음 분쟁이 발생한 층간이웃 간 중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재자의 단말과 사용자 단말(3a-3d)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고, 층간이웃 간에 주고 받은 기록 - 이래층 이웃의 상태 정보와 위층 이웃의 피드백 정보, 배려 규칙 등 - 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층간소음 관리 서버(6)는 배려 규칙 설문을 사용자 단말(3a-3d)에 제공하고, 층간이웃들에 의해 작성된 배려 규칙을 저장, 업데이트하고 층간이웃 연결된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3a-3d) 각각은, 외부로부터 음성, 텍스트 및/또는 터치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통신망(2)을 통한 AI 에이전트 서버(5)와의 통신(및/또는 사용자 단말(3a-3d) 내 처리)을 통해 얻어진, 위 사용자 입력을 변환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예: 소통하려는 층간이웃)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3a-3d) 각각은, 사용자 입력을 변환한 결과를,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형태(예컨대, 음성, 음향, 텍스트, 비디오, 이미지, 이모티콘, 애니메이션, 통지, 모션, 햅틱 피드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 등 다양한 형태로써 제공할 수 있다.
AI 에이전트 서버(5)는 통신망(2)을 통해 사용자 단말(3a-3d)로부터 음성, 텍스트 및/또는 터치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미리 준비된 지식 모델 또는 AI 모델들에 기초해서 그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하고 사용자 의도에 부합하는 순화된 정중한 표현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a-3d)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3a-3d) 상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형태(예컨대, 음성 입력인지 아니면 텍스트 입력인지)에 따라, AI 에이전트 서버(5) 상에서 동일한 형태의 순화된 출력이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성 입력이 주어진 경우에는 음성 출력이 생성되고 텍스트 입력이 주어진 경우에는 텍스트 출력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 입력의 형태와 무관하게 음성 및/또는 텍스트 형태의 출력이 생성 및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어느 사용자 단말(3a-3d)로부터 층간소음 분쟁 중재 신청이 있을 경우, 층간소음 관리 서버(6)는 중재 신청한 사용자 단말과 중재자의 단말을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고, 음성, 영상, 텍스트 등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도 있게 한다. 이와 달리, 층간소음 관리 서버(6)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중재 신청한 사용자 단말과 직접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여 음성, 영상, 텍스트 형태로 중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소음 관리 서버(6)의 저장부(6a)는 층간이웃 간에 주고 받은 기록 - 알림 메시지, 배려 규칙 등 - 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6뮤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폰에 설치되는 모바일 앱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층간이웃 소통 앱은 사용자마다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층간소음에 시달리는 아래층 주민이 위층 주민과 앱을 통한 소통을 위해서는 양자의 단말에 모두 앱을 설치되어야 한다.
이후 층간이웃 관계임을 설정하는 층간이웃 페어링은 이웃관계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층간이웃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층간이웃 페어링은 앱의 설치 정보(미도시)와 이웃관계 정보(미도시)가 포함된 QR 코드를 스캔하여 층간소음 소통 앱을 설치하거나, 앱을 설치한 후 서비스 가입시 사용자로부터 거주지의 주소(아파트명, 동, 호수)를 입력받고, 도 3에 도시된 사용자ID-아파트-동/호수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6aa)에 기초하여 층간이웃 관계를 설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층간이웃들 사이에 페어링이 완료되면 층간이웃을 선택하고 소통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페어링 과정에서 나의 전화번호와 같은 개인정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친화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소통 앱의 주요 기능과 진행 순서를 보여준다. 앱을 실행하면 "우리 Soytalk은 이웃간의 층간소음을 배려와 이해를 통해 해결하기 위한 앱이에요!" 등의 소개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로그인 화면으로 진행되고, 회원 가입 후에 로그인 할 수 있다. 회원 가입시 아파트명, 동/호수를 입력 받으면 층간이웃 페어링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SNS 로그인 정보를 기초로 인증될 수도 있다.
사용자 로그인 후, 층간이웃 소통 앱은 배려 규칙을 위한 설문을 앱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 설문에는 최초 한번만 응답하고, 이후 로그인 시에는 수정할 사항이 없으면 건너뛸 수 있다.
도 5a 및 5b는 101호 주민 및 301호 주민이 각각 응답한 배려 규칙에 대한 설문 결과를 예시한 것이다. (1) 위층에서 자유롭게 활동 가능한 소음 가능 시간대, (2) 위층 주민이 소음을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소음 유의 시간대, (3) 본인 가족 구성원 유형, (4) 문제되는 층간소음 피해 내용, (5) 사용 중인 층간소음 저감 용품의 목록, (6) 층간이웃이 배려해 주기를 바라는 요청 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설문 응답 결과는 층간소음 관리 서버(6)로 전송되어 저장부의 제2 데이터베이스에 배려 규칙으로 저장될 수 있다. 101호에서 작성한 배려 규칙 중 위층 사용자의 앱에 101호 프로필로 표시되는 규칙은 201호 사용자의 ID(ID89061)와 함께 층간소음 관리 서버의 저장부(6a)의 데이터베이스(6ab)에 저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301호에서 작성한 배려 규칙 중 아래층 사용자의 앱에 301호 프로필로 표시되는 규칙은 201호 사용자의 ID(ID89061)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1호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작성한 배려 규칙 항목 1, 2, 3, 4, 6은 201호 사용자의 앱에 아래층 101호 프로필로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301호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작성한 배려 규칙 항목 3, 5, 6은 201호 사용자의 앱에 위층 301호 프로필로 표시될 수 있다.
기존 층간소음 분쟁 사례의 많은 경우에, 층간 이웃이 서로의 상황을 알지 못해 오해가 생기고, 이것이 누적되어 분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려 규칙은 윗집이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노력과 반려견을 포함한 가족 구성원을 아래층 이웃에게 사전에 알려줌으로써 이웃에 대한 이해심을 높여 분쟁을 예방할 수 있고 오해를 막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래층 이웃이 조용하게 생활하고 싶은 시간대와 위층 주민이 자유롭게 생활할 수 있는 시간대를 위층 이웃에게 사전에 알려주고 층간소음에 예민한 가족 구성원도 알려줌으로써 이웃에 대한 이해심을 높이고 상대방의 배려에 대한 고마움을 갖고 상대방을 배려하게 행동함으로써 분쟁으로 비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응답한 배려 규칙의 정보는 아랫층 주민이 과도하게 예민하여 층간소음 주의 요청하기를 남발하는 경우를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1호 주민이 작성한 배려 규칙(도 5a 도시) 중 소음 가능 시간대인 오전 9시 부터 오후 6시 사이에 위층에서 발생한 층간소음에 대해 '층간소음 주의 요청하기'를 선택할 경우, 위 요청이 201호에게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301호 주민이 작성한 배려 규칙(도 5b 도시)에서 가족 구성원에 반려 동물이 없음에도 201호 주민이 '강아지 짖는 소리로 아이가 자꾸 잠에서 깨요'라는 메시지를 301호에 전송하기를 선택할 경우, 위 요청이 301호에게 전송되지 않거나 전송되더라도 자동으로 201호에게 피드백 - "저희 집에는 강아지가 없어요. 다른 집에서 나는 소리일 수 있어요" -이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201호 사용자가 도 6의 301호 프로필 화면에서 301호에게 '소음 주의 요청하기'(21)를 선택하면 나타내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소음 발생 위치, 피해 내용 및 추정 소음을 선택하거나 기입한 후, '소음 주의 요청하기'(21)를 누르면 실시간으로 301호의 앱에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201호 사용자가 도 6의 301호 프로필 화면에서 '알림내역(22)'을 선택하면 도 8과 같이 채팅방이 표시되고 기존에 주고 받은 메시지 및 '소음 주의 요청'과 같은 알림의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301호에게 전송하고 싶은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시간대'(23)와 '소음원'(24) 탭을 눌러 소음 발생 시간 및 가장 근사한 소음원 피해 유형을 선택하면 순화된 표현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 중 선호하는 표현을 선택하면 301호에게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301호에게 소음 주의에 대한 감사를 미리 표시하기 위하여 선물을 보낼 수도 있다.
아래집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를 301호 사용자 앱에서 클릭하면 201호-301호 층간이웃 채팅방이 열리고 회신할 순화된 표현들이 표시될 수 있다. 301호 주민이 201호 이웃에게 사과 표시를 하고자 할 때에는 1단계, 2단계, 3단계의 수준별 사과 표현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사과의 의미로 201호에게 선물을 함께 보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아래층 주민은 위층에서 층간소음이 발생한 위치와 소음 유형을 간편하게 사실 정보만으로 위층에 보내 실시간으로 발생 사실을 알릴 수 있고, 이를 받은 위층 주민은 사과하면서 양해를 구하거나 본인 세대에서 발생한 소음이 아닌 경우 해명 버튼을 눌러 오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층간소음 발생 사실과 관련 정보만을 이웃간 전달하거나 순화된 표현으로 전달함으로써 감정이 격화되지 않게 분쟁의 확산을 막을 수 있고, 오해를 풀 수 있다. 또한, 상호 배려심을 갖게 하여 층간소음이 발생하더라도 너그러이 이해하여 분쟁으로 번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층간소음 소통 방법 및 앱의 배려 규칙 및 실시간 알림 기능이 층간이웃에게 가져올 수 있는 기대 효과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윗집에서 층간소음이 발생하면 아랫집 주민은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편하고 화난 감정을 느끼게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윗집에서 제공한 배려 규칙의 정보를 통해 윗집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이유를 사전에 알수 있고, 윗집이 소음 저감 노력을 기울이는 등 나름의 배려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기기에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다. 또한, 윗집에 아래층에서 조용함을 원하는 시간을 알려 줄 수 있어 윗집에서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울 수 있다. 그럼으로써 아랫층 주민은 윗층에 대해 격화된 감정 대신에 순화된 감정을 갖게되는 효과가 있다.
아랫층 주민은 감정적 대응 대신에 순화된 행동으로 대응하게 될 것이기에 윗층 주민은 아래층으로부터 층간 소음 주의 요청을 받더라도 화난 감정보다는 미안함을 가지게 될 확률이 높아지고 어떤 경우에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는지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랫집에서 제공한 배려 규칙의 정보를 통해 아랫층에 소음에 예민한 노약자나 임산부, 영아가 있다는 것을 알수 있고, 아랫집의 생활패턴을 파악하고 아랫집에서 보여준 배려와 이해심 덕분에 층간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행동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이 발생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 따른 층간소음 중재 방법 및 앱은 분쟁 중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층간이웃 중 일방이 앱에서 중재 신청을 하게 되면 층간소음 관리 서버(6)로 요청이 접수되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중재자가 매칭되어 배정될 수 있다. 중재자는 사람일 수도 있고 층간소음 관련 분쟁 사례 데이터로 학습된 인공지능일 수도 있다. 중재자는 층간소음 분쟁 해결 전문가일 수도 있고, 관련 교육을 이수한 사람일 수도 있다. 중재자는 층간소음 분쟁 사례별 대응 매뉴얼에 따라 중재 방안을 제시하고, 중재 방안 및 그 결과를 축적하여 중재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처음에는 사람이 중재자로 역할을 수행하다가 인공지능 중재자의 수준이 높아감에 따라 인공지능으로 대체할 수 있다.
중재자는 신청자의 동의를 얻어서 배려 규칙 및 주고받은 메시지, 알림 내역 등 소통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전 정보도 없이 또는 일방의 진술만을 듣고 중재를 시작하는 기존의 중재 방법에 비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객관적으로 중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재자와 신청자 간 채팅방이 개설되고, 중재자가 검토한 기록 및 신청자의 진술 등을 토대로 중재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해당 중재 방안으로 잘 해결되면 해당 중재 결과 및 관련 정보를 층간소음 관리 서버(6)의 저장부에 기록하고 중재 사건 처리를 완료하게 된다. 만약 해결되지 않거나 향후 분쟁이 재발하는 경우 중재자는 피신청 세대와의 채팅방을 개설하고 면담을 통해 중재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중재 방안이 받아들여지면 신청 세대에게 합의 조건이 전달되고 해당 중재 결과 및 관련 정보를 저장부에 기록하고 중재 사건 처리를 완료한다. 만약 해결되지 않거나 향후 분쟁이 재발하는 경우 중재자는 신청/피신청 세대간 3자 채팅방을 개설하고 화상 면담을 통해 중재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쟁이 해결되지 않거나 분쟁이 재발하는 경우 중재 관련 모든 정보를 층간소음 분쟁 해결 관련 전문가나 전문기관 - 층간소음이웃사이센터, 아파트 층간소음분쟁조정위원회 - 또는 필요로 하는 기관 - 층간소음 보험사 - 등에 증거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3자를 통한 분쟁 중재 절차를 통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안전하게 분쟁을 해결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분쟁 및 중재 관련 기록을 생성하고 필요한 곳에 이해관계자의 동의 하에 관련 기록이나 정보를 증거나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쟁 당사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고, 층간소음 분쟁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AI 에이전트(5)의 순화 모듈(5a)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소통 앱에서 전달할 메시지가 순화되는 예를 보여준다. 201호에서 발생된 층간소음에 대해 101호 주민이 제1 표현(155ba, 155ca, 155da)으로 입력하면, 순화 모듈(5a)은 규칙 기반 또는 인공지능(AI) 기반 모델을 활용하여 더욱 친절하고 완곡한 제2 표현(155bb, 155cb, 155db)으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유사하게, 101호와 201호 사이의 층간소음 문제를 중재하는 사람의 관점, 즉 3인칭 화법으로 표현을 변화시킴으로써 분쟁 당사자간 감정이 격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201호 주민도 입력창에 101호 이웃의 요청 사항에 대한 회신을 입력할 수 있다. 201호 주민 역시 정중한 표현으로 101호에게 회신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만약 201호의 회신이 정중하지 않은 표현으로 입력되더라도 순화 모듈(5a)은 이를 더 정중한 표현과 어조로 변환하여 전달하게 되므로 결국 층간이웃 끼리 서로 배려하는 방식으로 소통을 계속함으로써 층간소음 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텍스트 입력 방식으로 메시지와 피드백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음성 입력 방식으로 소통하는 실시예도 당연히 포함할 것이다.
또한, 모바일 앱과 음성인식 AI 스피커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소통 방법 및/또는 중재 방법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메시지를 입력할 때 음성 입력 버튼이나 아이콘을 선택하면 연동된 AI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받아 순화된 표현을 층간이웃의 AI 스피커 및/또는 모바일 앱에 출력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기술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3a-3d: 사용자 단말 4: 메신저 서비스 서버
5: AI 에이전트 서버 6: 층간소음 관리 서버
6aa: 사용자ID-동-호수 데이터베이스 6ab: 층간소음 소통 기록

Claims (18)

  1. 제1 공간에 거주하는 제1 이웃 및 제2 공간에 거주하는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에 층간소음 관련 설문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이 설문 답변자의 층간 이웃에게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공간에 발생된 층간소음에 대한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배려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제2 공간의 제2 이웃에게 전송 여부를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층간 이웃 소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은 소음 가능 시간대, 소음 유의 시간대, 가족 구성원, 사용 중인 층간소음 저감 물품, 소음 피해, 및 배려 요청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층간이웃 소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소음 발생 위치, 소음 발생 시간, 소음 유형, 소음 정도 및 소음 피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층간이웃 소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제2 이웃의 피드백 정보가 상기 제1 이웃에게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층간이웃 소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가 상기 제2 이웃이 층간소음의 발생 원인이 아니라는 의미일 경우, 상기 제2 이웃 외의 다른 이웃에게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층간이웃 소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려 규칙을 상기 설문 답변자의 층간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배려 규칙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가 상기 설문 답변자의 거주 공간에 대한 프로필로 상기 층간이웃에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분쟁 중재 방법.
  7. 제1 공간에 거주하는 제1 이웃 및 제2 공간에 거주하는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에 층간소음 관련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을 설문 답변자의 층간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공간에 발생된 층간소음에 대한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공간의 제2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제2 이웃의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1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중재 신청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분쟁 중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가 상기 제2 이웃에게 전송된 기록, 상기 제2 이웃의 피드백 정보가 상기 제1 이웃에게 전송된 기록, 및 상기 배려 규칙 중 적어도 둘이 중재자에게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분쟁 중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재자와 상기 중재를 신청한 이웃과의 소통 채널이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분쟁 중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 채널을 통해 상기 중재자와 상기 신청 이웃 간에 중재에 대한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분쟁 중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중재 기록을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분쟁 중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려 규칙을 상기 설문 답변자의 층간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배려 규칙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가 상기 설문 답변자의 거주 공간에 대한 프로필로 상기 층간이웃에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분쟁 중재 방법.
  13. 제1 공간의 제1 이웃 및 제2 공간의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층간소음에 관련된 중재 신청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중재를 신청한 이웃과 중재자와의 소통 채널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이웃 간에 층간소음 관련하여 소통한 기록, 및 층간소음 관련 설문에 대한 상기 신청 이웃의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중재자에게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된 중재 방안을 상기 소통 채널을 통해 상기 중재 신청 이웃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분쟁 중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재 방안에 의해 층간소음 분쟁이 해결되지 않은 경우, 피신청 이웃과 상기 중재자와의 소통 채널이 추가로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분쟁 중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려 규칙을 상기 설문 답변자의 층간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배려 규칙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가 상기 설문 답변자의 거주 공간에 대한 프로필로 상기 층간이웃에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분쟁 중재 방법.
  16. 통신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로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i) 제1 공간에 거주하는 제1 이웃 및 제2 공간에 거주하는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에 층간소음 관련 설문이 제공되는 단계; (ii)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이 설문 답변자의 층간 이웃에게 전송되는 단계; 및 (iii) 상기 제2 공간에 발생된 층간소음에 대한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배려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제2 공간의 제2 이웃에게 전송 여부를 결정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층간이웃 소통 장치.
  17. 통신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로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i) 제1 공간에 거주하는 제1 이웃 및 제2 공간에 거주하는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에 층간소음 관련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을 설문 답변자의 층간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iii) 상기 제2 공간에 발생된 층간소음에 대한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공간의 제2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iv) 상기 제1 이웃의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제2 이웃의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제1 이웃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v) 상기 제1 및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중재 신청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층간이웃 소통 및 중재 장치.
  18. 통신 인터페이스;
    사용자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로 실행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i) 제1 공간의 제1 이웃 및 제2 공간의 제2 이웃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층간소음에 관련된 중재 신청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ii) 상기 중재를 신청한 이웃과 중재자와의 소통 채널이 생성되는 단계; (iii) 상기 제1 및 제2 이웃 간에 층간소음 관련하여 소통한 기록, 및 층간소음 관련 설문에 대한 상기 신청 이웃의 답변을 포함한 배려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재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iv) 상기 중재자에게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립된 중재 방안을 상기 소통 채널을 통해 상기 중재 신청 이웃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층간이웃 소통 및 중재 장치.
KR1020220114717A 2021-09-09 2022-09-13 층간소음 분쟁의 예방을 위한 층간이웃 소통 방법 및 장치, 분쟁 중재 방법 및 장치 KR202300374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20472 2021-09-09
KR1020210120472 2021-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476A true KR20230037476A (ko) 2023-03-16

Family

ID=8598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717A KR20230037476A (ko) 2021-09-09 2022-09-13 층간소음 분쟁의 예방을 위한 층간이웃 소통 방법 및 장치, 분쟁 중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747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4838A1 (en) 2005-08-25 2008-06-19 Raines Janet S Tamper resistant audio sound level detector and informative device
US8359957B1 (en) 2009-04-14 2013-01-29 Barko Specialty Equipment, Llc Method of increasing chain saw speed while regulating feed
KR101266318B1 (ko) 2012-10-09 2013-05-27 (주)주코일렉 멀티 가습기
KR20150078964A (ko) 2013-12-31 2015-07-08 가람전자(주) 공동주택 층간 소음 알림 장치
KR101582899B1 (ko) 2014-08-19 2016-01-08 네이버 주식회사 이웃 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 교류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4838A1 (en) 2005-08-25 2008-06-19 Raines Janet S Tamper resistant audio sound level detector and informative device
US8359957B1 (en) 2009-04-14 2013-01-29 Barko Specialty Equipment, Llc Method of increasing chain saw speed while regulating feed
KR101266318B1 (ko) 2012-10-09 2013-05-27 (주)주코일렉 멀티 가습기
KR20150078964A (ko) 2013-12-31 2015-07-08 가람전자(주) 공동주택 층간 소음 알림 장치
KR101582899B1 (ko) 2014-08-19 2016-01-08 네이버 주식회사 이웃 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정보 교류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res Cruz et al. An integrative definition and framework to study gossip
Morris Troubled families: Vulnerable families' experiences of multiple service use
Turner et al. Understanding emotions experienced when using a mobile phone in public: The social usability of mobile (cellular) telephones
Draucker et al. The rol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in adolescent dating violence
Jack et al. Recognising and responding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using telehealth: Practical guidance for nurses and midwives
KR102293933B1 (ko)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2012008638A (ja) 販売システム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Rock et al. Usage and impact of the internet-of-things-based smart home technology: a quality-of-life perspective
Kani-Zabihi et al. Increasing service users’ privacy awareness by introducing on-line interactive privacy features
Bentley et al. Addressing design and suitability barriers to telecare use: has anything changed?
KR20240037219A (ko) 층간소음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이웃간 소통 방법 및 소통 장치
Dominey et al. Putting a face to a name: telephone contact as part of a blended approach to probation supervision
Postma et al. Strengthening community capacity for environmental health promotion through photovoice
KR102489509B1 (ko) 층간소음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이웃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Burd et al.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staff in violence against women services
Fearnley Contemporary young motherhood: Experiences of hostility
Licoppe et al. Living inside location-aware mobile social information: The pragmatics of Foursquare notifications
KR20230037476A (ko) 층간소음 분쟁의 예방을 위한 층간이웃 소통 방법 및 장치, 분쟁 중재 방법 및 장치
Smith et al. Communal innovations: Inspiring neighborhoods of hope and advocacy
KR20220089603A (ko) 층간소음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이웃간 소통 방법 및 소통 장치
Flaherty et al. Virtual interviewing with marginalized young adult mothers: appreciating the New Norm
Gagnon et al. Reimagining Youth Justice: How the Dual Crises of COVID‐19 and Racial Injustice Inform Judicial Policymaking and Reform
Alghamdi et al. Co-designing Community-based Sharing of Smarthome Devices for the Purpose of Co-monitoring In-home Emergencies
Fergusson Loneliness in Aotearoa
Goodier et al. First Point of Contact: Can Procedural Justice Be Applied by Emergency Callta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