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409A -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409A
KR20230037409A KR1020210120684A KR20210120684A KR20230037409A KR 20230037409 A KR20230037409 A KR 20230037409A KR 1020210120684 A KR1020210120684 A KR 1020210120684A KR 20210120684 A KR20210120684 A KR 20210120684A KR 20230037409 A KR20230037409 A KR 20230037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type battery
battery cell
cas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현
공진학
강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2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7409A/ko
Priority to JP2023521168A priority patent/JP2023544423A/ja
Priority to US18/030,120 priority patent/US20230352762A1/en
Priority to PCT/KR2022/011379 priority patent/WO2023038298A1/ko
Priority to CN202280006642.5A priority patent/CN116420277A/zh
Priority to EP22867567.4A priority patent/EP4207446A1/en
Publication of KR20230037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전극 탭이 연결된 상태의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한 쌍의 전극 탭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Pouch-type Battery Cell of Easy Cool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파우치 케이스의 양측면을 금속 재질로 채용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이벤트 발생시 가스를 원하는 위치로 유도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눈부시게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휴대형 정보통신 기기의 확산이 이뤄짐으로써, 21세기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고품질의 정보서비스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사회'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발전 기반에는, 리튬 이차전지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리튬 이차전지가 적용되는 디바이스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리튬 이차전지는 적용되는 디바이스에 알맞은 출력과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고 있으며, 소형 경박화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차전지는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저렴하고 변형이 용이한 파우치형 전지셀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파우치형 전지셀은 양극, 음극 및 분리막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해액과 함께 내장되고, 전지케이스의 외주변을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파우치형 전지셀의 충방전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열이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단락, 열충격, 절연파괴 등으로 인해 열폭주가 일어나기도 하는데, 이는 화재와 폭발 등 큰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파우치형 전지셀에서의 냉각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셀의 일반적인 외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뱃이어(Bat ear)부(도 1에서 오른쪽)와 테라스부가 접힌 폴딩부(도 1에서 왼쪽)가 있으며,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폴딩부를 통한 냉각이 불가능하다.
한편, 파우치형 전지셀은 충방전시 과전류 및 과전압에 의해 전지셀 내부에 가스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전지케이스의 일측 밀봉부가 개방되어 가스가 배출되더라도, 전류가 흐르는 전극조립체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기 때문에 충방전 전류가 지속적으로 전극조립체에 흐르게 된다. 그에 따라 계속적인 가스 발생을 일으키고, 전지의 온도 상승에 의한 발화 및 폭발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원치 않는 위치에 가스 폭발이 일어나 케이스가 파손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40123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양측면을 통해서도 냉각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벤트 발생시 원하는 위치나 방향으로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은 한 쌍의 전극 탭이 연결된 상태의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한 쌍의 전극 탭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상기 전극 리드 일측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는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는 동일한 방향을 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하면 플레이트 및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하면 플레이트 및 상부 케이스는 플라스틱 소재이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는 열전도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상기 열전도성 소재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아연 및 구리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상기 플라스틱 소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염화비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상기 케이스 내부가 소정 압력 이상 또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 파손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는 노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이 다수 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각각에는 냉각 장치가 밀착한 상태로 위치하는 전지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제조방법으로서, 전극 조립체와 하부 케이스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전극 조립체를 하부 케이스에 수납하는 제2 단계; 및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로 밀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하면 플레이트 및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단계에서는 전극 리드 일측은 하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하부 케이스 외부로 돌출하도록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2 단계에서는, 하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전극 리드와 전극조립체의 전극 탭을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단계는 플라스틱 용접을 통해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케이스 측면이 편평하기 때문에 열전도성 수지가 필요하지 않고, 또 양측면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방열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케이스의 외형이 육면체 형상이기 때문에 다수개의 전지셀을 적층할 시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에너지 밀도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케이스에 노치가 마련되어 있어, 이벤트 발생시 원하는 위치로 가스 배출을 유도할 수 있어 2차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일 예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또다른 예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파우치형 전지셀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면, 파우치형 전지셀(100)은, 하부 케이스(110), 상부 케이스(120) 및 전극조립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케이스(110)는 직사각형 모양의 전면 플레이트(111), 후면 플레이트(112),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13) 및 하면 플레이트(114)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모양으로서, 전극조립체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에는 공간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10)의 전면 플레이트(111)와 후면 플레이트(112)에는 제1 전극 리드(111′) 및 제2 전극리드(112′)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면 플레이트(111)에는 전극조립체(130)를 구성하는 하나의 전극 탭(132)과 연결되는 제1 전극 리드(111′)가 마련되고, 후면 플레이트(112)에도 나머지 하나의 전극 탭(132)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전극 리드(11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전면 플레이트(111), 후면 플레이트(112) 및 하면 플레이트(114)는 플라스틱 소재이고, 측면 플레이트(113)는 열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플레이트(111), 후면 플레이트(112) 및 하면 플레이트(114)는 플라스틱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염화비닐 중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분 차단효과가 가장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이 더욱 바람직하다.
측면 플레이트(113)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아연 및 구리 중 1종 이상의 전도성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알루미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우치 케이스 측면은 편평하지 못하여 별도의 열전도성 수지를 도포해야만 하고, 특히 실링부가 절곡된 일측면은 냉각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측면이 편평하기 때문에 열전도성 수지가 필요하지 않고, 또 양측면 모두를 통해 열을 방출시킬 수 있는 구조이어서 방열 효과가 우수하다. 추가적으로 케이스의 외형이 육면체 형상이기 때문에 다수개의 전지셀을 적층할 시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에너지 밀도도 높일 수 있다.
한편, 전면 플레이트(111)와 후면 플레이트(112) 각각에 위치하는 제1 전극 리드(111′)와 제2 전극리드(112′)의 일측은 전극 탭(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한편, 타측은 버스바 등과 연결되도록 외부로 돌출한다.
전면 플레이트(111)의 노치(111
Figure pat00001
)는 이벤트 발생, 예를 들어 과도하게 가스가 발생하여 일정 이상으로 압력이 상승하거나, 온도가 높아질 때 우선적으로 파단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노치(111
Figure pat00002
)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가스 배출을 유도할 수 있어 이벤트 발생시 2차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전면 플레이트(111)에 하나의 노치(111
Figure pat00003
)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후면 플레이트(112)에 마련될 수 있고, 또 위치나 개수 등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부 케이스(120)는 하부 케이스(110)의 상단, 즉 하부 케이스(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 및 고정되며, 역시 사각형 모양의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이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20)는 하부 케이스(110)의 전면 플레이트(111)나 후면 플레이트(112)와 같이 동일한 소재인 것이 좋은데 이는 플라스틱 용접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다음은 하부 케이스(110)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13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극조립체(130)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적층체(131)와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한 상태의 전극 탭(13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극조립체(130)는 긴 시트형의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후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또는 장방형의 양극 및 음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는 구조의 단위셀들로 구성되는 스택형 전극조립체, 단위셀들이 긴 분리 필름에 의해 권취되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또는 단위셀들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어 서로 간에 부착되는 라미네이션-스택형 전극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와 같은 전극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성들에 해당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서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110)는 전면 플레이트(111), 후면 플레이트(112), 하면 플레이트(114) 및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13)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전면 플레이트(111)에만 한 쌍의 전극 리드(11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조립체(130)의 한 쌍의 전극 탭 (132)도 일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면 플레이트(111), 후면 플레이트(112), 하면 플레이트(114) 및 상부 케이스(130), 그리고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13)의 재질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일 예시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또다른 예시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전지셀(100)이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때 냉각 장치(200)는 전지셀(100)의 측면 플레이트와 밀착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 도 8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전지셀(100)이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때 냉각 장치(200)는 전지셀(100)의 측면 플레이트와 밀착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냉각 장치(200)에는 히트 싱크, 냉각 플레이트, 냉각 덕트 등 공지의 냉각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계속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제조 방법은 전극 조립체와 하부 케이스를 준비하는 제1단계, 전극 조립체를 하부 케이스에 수납하는 제2 단계, 및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로 밀봉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극 조립체와 하부 케이스를 준비하는 제1단계에서는, 하부 케이스의 전면 플레이트와 후면 플레이트는 전극 탭이 일체화 될 수 있도록 이중사출방식(인서트 사출)을 통해 준비하고, 또 금속 재질의 측면 플레이트는 별도로 마련한다. 물론 바닥 플레이트와 상부 케이스도 준비한다.
여기서,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및 바닥 플레이트를 동시에 준비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각 경계면을 기준으로 절곡한다.
이렇게 준비된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바닥 플레이트 및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는 상부만 개방된 채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연결하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용접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하부 케이스 전체를 인서트 사출 등 공지의 이중사출방식으로 준비해도 무방하다.
전극 조립체를 하부 케이스에 수납하는 제2 단계에서는, 하부 케이스의 공간부에 전극 조립체를 수납시키며, 이때 하부 케이스 공간부로 돌출한 전극 리드와 전극 조립체의 전극 탭을 용접 등 공지의 수단으로 연결시킨다.
마지막으로,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로 밀봉하는 제3단계에서는 용접,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용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면 플레이트(111)의 노치(111
Figure pat00004
)는 전면 플레이트(111)가 완성된 이후 별도로 형성시키거나 이중사출시 함께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추가적으로, 상부 케이스(120)와 하부 케이스(110)는 밀폐성이 확실하게 확보되어야 하므로 플라스틱 용접이후에는 내연성 또는 수분 차단능력등이 우수한 공지의 코팅제를 통해 접합부위를 포함한 상하측면에 코팅층을 형성시켜 안전성과 수분 차단력을 높이는 것이 좋다. 물론 하부 케이스의 경우에는 인서트 사출 후에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전지셀
110: 하부 케이스
111: 전면 플레이트
111′: 제1 전극 리드
111″: 노치
112: 후면 플레이트
112′: 제2 전극 리드
113: 측면 플레이트
114: 하면 플레이트
120: 상부 케이스
130: 전극조립체
131: 적층체
132: 전극 탭
200: 냉각 장치
300: 전지 모듈

Claims (14)

  1. 한 쌍의 전극 탭이 연결된 상태의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극조립체의 한 쌍의 전극 탭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의 일측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는 서로 마주 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는 동일한 방향을 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하면 플레이트 및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하면 플레이트 및 상부 케이스는 플라스틱 소재이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는 열전도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소재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아연 및 구리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소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염화비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가 소정 압력 이상 또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 파손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는 노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10. 제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셀이 다수 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 각각에는 냉각 장치가 밀착한 상태로 위치하는 전지 모듈.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우치형 전지셀 제조방법으로서,
    전극 조립체와 하부 케이스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전극 조립체를 하부 케이스에 수납하는 제2 단계; 및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 하부 케이스에 상부 케이스로 밀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전면 플레이트, 후면 플레이트, 하면 플레이트 및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단계에서는 전극 리드 일측은 하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하부 케이스 외부로 돌출하도록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는, 하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전극 리드와 전극조립체의 전극 탭을 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단계는 플라스틱 용접을 통해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셀의 제조 방법.
KR1020210120684A 2021-09-09 2021-09-09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37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684A KR20230037409A (ko) 2021-09-09 2021-09-09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3521168A JP2023544423A (ja) 2021-09-09 2022-08-02 冷却の容易な構造を有するパウチ型電池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18/030,120 US20230352762A1 (en) 2021-09-09 2022-08-02 Pouch-Shaped Battery Cell Having Easily Coolabl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22/011379 WO2023038298A1 (ko) 2021-09-09 2022-08-02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CN202280006642.5A CN116420277A (zh) 2021-09-09 2022-08-02 具有易于冷却的结构的软包型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
EP22867567.4A EP4207446A1 (en) 2021-09-09 2022-08-02 Pouch-type battery cell with easy-to-cool structure and mam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684A KR20230037409A (ko) 2021-09-09 2021-09-09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409A true KR20230037409A (ko) 2023-03-16

Family

ID=8550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684A KR20230037409A (ko) 2021-09-09 2021-09-09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52762A1 (ko)
EP (1) EP4207446A1 (ko)
JP (1) JP2023544423A (ko)
KR (1) KR20230037409A (ko)
CN (1) CN116420277A (ko)
WO (1) WO202303829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230B1 (ko) 2010-12-24 2014-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외장재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024B1 (ko) * 2009-11-18 2011-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233491B1 (ko) * 2010-12-15 2013-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20085540A (ko) * 2011-01-24 2012-08-01 문기업 2차 전지
KR20150045240A (ko) * 2013-10-18 2015-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 이차전지
KR102051109B1 (ko) * 2015-10-08 2019-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KR20210120684A (ko) 2020-03-27 2021-10-07 정상진 농산물 선별기를 포함하는 농기계의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230B1 (ko) 2010-12-24 2014-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외장재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4423A (ja) 2023-10-23
CN116420277A (zh) 2023-07-11
US20230352762A1 (en) 2023-11-02
WO2023038298A1 (ko) 2023-03-16
EP4207446A1 (en)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1463A1 (en) Pouch Type Cas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572836B1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042132B1 (ko) 고출력 리튬 2차 전지용 케이스
KR100496305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JP6340431B2 (ja) 非対称構造及び湾入構造を含む電池セル
KR101586201B1 (ko) 엇갈린 배열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EP4170792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101776897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85129A (ko)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240753B1 (ko) 이차 전지
KR101749729B1 (ko) 이차전지
US20230327231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160104872A1 (en) Battery cell
KR101031178B1 (ko) 슬림형 이차전지
CN115485911A (zh) 包括热绝缘构件的电池模块
KR102352295B1 (ko) 냉각 효율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KR20230037409A (ko)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CN220121952U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20080036743A (ko) 이차전지
EP4250452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same
CN116745975A (zh) 具有改进的安全性的软包型电池单体及包括其的电池模块
KR20230049453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N116250137A (zh) 灭火器和包括该灭火器的电池组
CN116114101A (zh) 具有改进的冷却性能的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设备
KR20210130548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