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558A -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558A
KR20230036558A KR1020210118061A KR20210118061A KR20230036558A KR 20230036558 A KR20230036558 A KR 20230036558A KR 1020210118061 A KR1020210118061 A KR 1020210118061A KR 20210118061 A KR20210118061 A KR 20210118061A KR 20230036558 A KR20230036558 A KR 20230036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ure
support
pine
pheromone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수
조성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난
Priority to KR1020210118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558A/ko
Publication of KR20230036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5/00Catching insects in fields, gardens, or forests by movable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별도의 연결끈에 의해 연결된 헤드; 상기 헤드와 복수개의 헤드연결구를 매개로 결합된 지지구; 상기 지지구 하단에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진 채 포획홀이 형성된 포획깔때기; 상기 포획깔때기 상단 원주를 따라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다수개의 메쉬로 형성된 소정 모양의 포획방수천; 및 상기 지지구 또는 상기 포획방수천 내부에 페로몬이 담지된 페로몬포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APPARATUS FOR CATCHING INSECT VECTOR OF PINE WILT DISEASE}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나무 재선충은 식물에 기생하는 선충으로, 크기는 대략 암컷 0.7~1.0mm, 수컷 0.6~0.8mm 크기이며, 상온에서의 수명은 약 35일이고, 산란 수는 100개 내외이다.
건강한 나무가 소나무 재선충에 감염되면 수분과 양분 이동이 제대로 안 되어 솔잎이 아래로 처지며 시들기 시작하는데, 온도가 높은 시기에 많은 양의 소나무 재선충이 침입하면 빠르게 병징이 나타나며 1개월 정도가 지나면 잎 전체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나무가 죽기 시작한다.
소나무 재선충은 스스로 나무와 나무 사이를 이동할 수 없으며,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몸에 기생하여 다른 나무로 이동한다.
솔수염하늘소는 먹이가 풍부할 때는 이동 거리가 100m이내로 짧지만 먹이가 없을 때는 약 4km까지 장거리 이동도 가능하다.
한편, 재선충 감염목을 무단 반출하여 건축자재나 생선상자, 파레트, 취사 연료 등으로 이용하는 과정에서 피해가 급속하게 확산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연구는, 이동성이 거의 없으며 기주나무 내에서 서식하며 이동성이 거의 없는 소나무재선충 보다 이들을 매개하는 솔수염하늘소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북방수염하늘소도 매개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 종에 대한 연구도 실시되고 있다.
현재까지 두 종에 대한 지역적 분포(Kwon et al, 2006) 및 시기별 우화탈출 특성(Kim et al, 2003; Han et al, 2009), 개체별 형태(Lee etal, 2004; Han et al, 2007), 소나무 내에서의 분포(Chung et al, 2003),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으로부터 이동 탈출(Kim et al, 2009), 매개충의 이동행동과 연관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발생(Kim et al, 2011), 침엽수 종류에 따른 성장과 발육 및 생식(Hwang et al, 2008) 등 생물적, 생태적 기초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들 유인물을 이용하여 솔수염하늘소나 북방수염하늘소를 포집하기 위한 기존의 포획틀은 깔때기형 포획틀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포획틀은 일반적인 과수나 원예에 해를 입히는 곤충을 포집하기 위한 용도로 개발된 것을 전용하는 것이어서, 유인물에 의해 유인되어 포획이 된 이후 탈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기존의 해외 페로몬 트랩은 유럽국가의 특성에 맞게 산 보다는 평야에 재선충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크고 무거워도 차량으로 이동이 가능하기에 적합하게 만들었지만, 국내에서 사용하기에는 산이 깊고 높은 우리나라에는 적합하지 않기에, 제품 설치하는데 인건비용과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소나무재선충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움직이는 특성을 살려 제품을 튼튼하고 가볍게 만드는데 중점을 맞추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특성상 야외에 설치하기에, 우천시 그리고 가볍고 튼튼한 방수천으로 트랩을 개시하였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매개충을 유인하기 위하여 페로몬을 트랩에 설치 및 교체를 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그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기에 그 시간을 줄이고자 트랩 방수천에 mesh 포켓을 달아 기존에 페로몬을 손쉽게 갈아 끼울수 있게 개시하였다.
한편, 종래에는 소나무재선충인 매개충을 박멸하기 위해 살충제를 사용하였으나, 살충제는 해충뿐 아니라 농가,민가, 유기농 재배하는곳에 피해를 입히고 있으며, 결론적으로는 인간이 먹는 음식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매개충을 박멸하지 않고, 유인해서 포획하는 방법으로 개시하였으며, 기존에 제품들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어 탄소배출에 문제를 이야기하고 있는 부분도 감안하여, 제품을 좀더 친화적인 제품인 섬유로 개발하게 되었다.
KR 10-2015-0079371 (2016.12.14 공개)
종래 소나무, 해송, 잣나무에만 서식하는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북방수염하늘소”를 포획하기 위해서는 소나무가 집결되어 있는 장소로 가서 설치를 하여야 하는데, 대부분 산정상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소나무재선충은 설치해야 할 트랩 및 페로몬이 많기 때문에, 트랩이랑 페로몬을 한 번에 많은 양을 들고 가야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소나무재선충뿐만 아니라 다른 해충의 트랩을 가볍고 튼튼하게 설치할 수 있는 트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별도의 연결끈에 의해 연결된 헤드; 상기 헤드와 복수개의 헤드연결구를 매개로 결합된 지지구; 상기 지지구 하단에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진 채 포획홀이 형성된 포획깔때기; 상기 포획깔때기 상단 원주를 따라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다수개의 메쉬로 형성된 소정 모양의 포획방수천; 및 상기 지지구 또는 상기 포획방수천 내부에 페로몬이 담지된 페로몬포켓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구는, 매개충이 부딪혀 상기 포획깔때기의 포획홀로 유입되도록 교차형으로 이루어지고, TPU 라미네이트 성분의 방수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획방수천은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져 빗물이 낙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포획방수천 내부에는 움직임감지센서와 무게감지센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움직임감지센서와 무게감지센서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움직임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움직임정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무게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무게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문자 또는 알람음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기존의 트랩을 설치하는데 있어, 성인 1명이 2개 정도 트랩(길이 1m60cm , 무게 4kg)을 이동 운반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인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에 의한다면 성인 1명이 트랩(길이 15cm , 무게 700g) 30개는 이동 운반이 가능하다.
둘째, 종래의 경우 페로몬 제거 및 설치할 때 페로몬에 케이블타이를 달아 고정하여야 하며, 제거시에 페로몬 한 개 한 개를 칼로 절단하는 작업이 대략 5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나, 본 발명인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에 의한다면 포획방수천 내부에 페로몬이 담지된 페로몬포켓이 위치하는바 손쉽게 제거하여 교체하는데 30초면 제거 및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경우 비가 많이 내리는 경우 매개충이 포획되는 부분에 빗물이 고이는 경우가 많아, 매개충들이 달아날 경우도 생기지만,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포획방수천에 의한다면 빗물이 고이지 않는 이점이 있다.
넷째, 가을에는 낙엽 및 이물질들이 많이 떨어져 포획하는 깔대기 구멍을 막아 매개충들이 못 들어가는 일이 종종 발생되는데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방수천으로 만들어져 있는 트랩을 사용시 그 안으로 낙엽이 들어가지 않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제 설치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움직임감지센서와 연동될 수 있는 스마트폰과의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목적 내지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종래의 크고 무거운 플라스틱 제품으로 이루어진 매개충 포획장치를 대신하여 매개충들이 날아와서 부딪힐만한 공간을 지지구(200)로 형성하고, 해당 지지구(200)를 방수천으로 대체하였음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봄여름에 매개충이 우화하는 기간에는 비가 많이 내리는데, 빗물로 인해 트랩 내부에 빗물이 차지 않도록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진 포획방수천(400)이 개시되어 빗물이 낙하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더 나아가 페로몬 교체 및 유인력을 높이기 위해 지지구(200) 또는 포획방수천(400) 내부에 페로몬이 담지된 페로몬포켓(500)을 개시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다면 기존의 트랩은 소비자 판매가가 약 15~25만원으로 가격이 비쌀 뿐 아니라, 무게 및 부피가 크기 때문에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움직임의 특성을 고려하여 포획이 용이하면서도, 가볍고 설치하기 쉽게 제작하였으며, 매개충 포획 부분을 방수천 라미네이트 무독성 TPU로 대체하여 제작하였으며, 매개충의 활동시기가 5~9월이라는 점과 비가 많이 내리는 것을 고려하여 매개충을 포획하는 부분은 mesh 망으로 제작하여 물이 차서 매개충이 빠져나오지 않게 제작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실제 설치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움직임감지센서(600)와 연동될 수 있는 스마트폰(800)과의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연결끈(10)에 의해 연결된 헤드(100)와 헤드(100)와 복수개의 헤드연결구(110)를 매개로 결합된 지지구(200)가 개시된다.
별도의 연결끈(10)에 의해 본 발명이 설치될 소나무에 연결된다.
연결끈(10) 하단에는 원판형의 헤드(100)가 위치하는데, 해당 헤드(100)는 가벼운 소재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100)의 하측으로 복수개의 헤드연결구(110)가 결합되고, 헤드연결구(110)에는 지지구(200)가 개시된다.
지지구(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 혹은 교차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지지구(200)는 매개충이 부딪혀 포획깔때기(300)의 포획홀(H)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바람직하게는 TPU 라미네이트 성분의 방수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트랩 자체에 무거운 플라스틱 제품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나, 본 발명은 TPU 라미네이트 성분의 방수천으로 이루어진 지지구(200)가 개시되어 그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지지구(200) 하단에는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진 채 포획홀(H)이 형성된 포획깔때기(300)가 개시되는데, TPU 라미네이트 성분의 방수천으로 이루어진 지지구(200)에 부딪히거나, 이하 설명할 페로몬포켓(500)에 의해 유인된 매개충이 포획홀(H)로 유입되어 이하 설명할 포획방수천(400)에 포획된다.
또한, 포획깔때기(300) 상단 원주를 따라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다수개의 메쉬로 형성된 소정 모양의 포획방수천(400)이 개시된다.
포획방수천(400)은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져 빗물이 낙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에 비가 많이 내리는 경우 매개충이 포획하는 부분에 빗물이 고이는 경우가 많아, 매개충들이 달아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진 포획방수천(400)을 개시하여 해당 메쉬를 통해 빗물이 낙하하여 빗물이 고여 빗물을 따라 매개충이 달아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특히, 가을에는 낙엽 및 이물질들이 많이 떨어져 포획하는 깔대기 구멍을 막아 매개충들이 못 들어 가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는데 본 발명의 경우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진 방수천으로 구현됨으로써 해당 트랩으로 낙엽이 들어가지 않는 효과 역시 구현된다.
한편, 지지구(200) 또는 포획방수천(400) 내부에는 페로몬이 담지된 페로몬포켓(500)을 포함한다.
즉, 매개충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페로몬을 트랩에 설치 및 교체를 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그 작업 시간이 오래 걸렸다.
이에 본 발명은 그 시간을 줄이고자 지지구(200) 또는 포획방수천(400) 내부에 페로몬이 담지된 페로몬포켓(500)을 개시함으로써 간단하게 해당 포켓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획방수천(400) 내부에는 움직임감지센서(60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움직임감지센서(600)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8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움직임감지센서(600)에 의해 센싱된 움직임정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스마트폰(800)으로 문자 또는 알람음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마트폰(8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해당 움직임감지센서(600)와 실시간으로 연동되고, 움직임감지센서(600)는 포획방수천(400)에 포획된 매개충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스마트폰(8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스마트폰(800)에는 작업자가 설정한 움직임 정도의 기준값이 기 저장되어 있고, 해당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800)으로 문자 혹은 알람음이 전송된다.
더 나아가 무게감지센서(700)가 더 포함되어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역시 스마트폰(800)으로 문자 혹은 알람음이 전송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 테스트
실제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가 매개충에 대한 포획이 잘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울산 및 경주에 본 발명의 시제품을 설치하여 타사 제품과 비교하는 테스트를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 테스트는 울산 소재 다운동 야산 및 입화산과 경주 소재 어래산 및 금성 마을의 야산 중턱에 자생하는 소나무에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와 타사의 제품을 각각 동일한 높이에 설치하고, 2021년 6월 22일부터 2021년 7월 25일까지 약 33일간 설치를 유지한 후, 포획된 솔수염 하늘소 및 북방솔수염 하늘소가 몇 마리인지 확인하였다.
상기 확인한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설치 지역 트랩 포획량(마리)
종류 수량(개) 솔수염 하늘소 북방수염 하늘소
실험군 1 울산 다운동 자사 4 51 42
실험군 2 입화산 자사 5 74 90
대조군 1 타사 3 3 3
실험군 3 경주 어래산 자사 11 192 172
실험군 4 금성마을 자사 2 55 41
대조군 2 타사 2 1 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는, 타사 제품과 비교하여,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인 솔수염 하늘소 및 북방수염 하늘소를 보다 잘 유인하고 달아나지 못하도록 포획하여, 포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결국 소나무 재선충병을 예방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100 : 헤드 200 : 헤드연결구
300 : 포획깔때기 400 : 포획방수천
500 : 페로몬포켓 600 : 움직임감지센서
700 : 무게감지센서 800 : 스마트폰

Claims (4)

  1. 별도의 연결끈에 의해 연결된 헤드;
    상기 헤드와 복수개의 헤드연결구를 매개로 결합된 지지구;
    상기 지지구 하단에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진 채 포획홀이 형성된 포획깔때기;
    상기 포획깔때기 상단 원주를 따라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다수개의 메쉬로 형성된 소정 모양의 포획방수천; 및
    상기 지지구 또는 상기 포획방수천 내부에 페로몬이 담지된 페로몬포켓을 포함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매개충이 부딪혀 상기 포획깔때기의 포획홀로 유입되도록 교차형으로 이루어지고, TPU 라미네이트 성분의 방수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획방수천은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져 빗물이 낙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포획방수천 내부에는 움직임감지센서와 무게감지센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움직임감지센서와 무게감지센서와 실시간으로 연동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움직임정도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무게감지센서에 의해 센싱된 무게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문자 또는 알람음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
KR1020210118061A 2021-09-06 2021-09-06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 KR20230036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061A KR20230036558A (ko) 2021-09-06 2021-09-06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061A KR20230036558A (ko) 2021-09-06 2021-09-06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558A true KR20230036558A (ko) 2023-03-15

Family

ID=8564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061A KR20230036558A (ko) 2021-09-06 2021-09-06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5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371A (ko) 2013-12-30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 근전도 검사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371A (ko) 2013-12-30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 근전도 검사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derland et al. Populations and communities
Leirs Management of rodents in crops: the Pied Piper and his orchestra
Singleton et al. Physical control of rats in developing countries
Hill et al. The biological control program against gorse in New Zealand
Gotoh et al. Population dynamics of the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 (McGregor)(Acari: Tetranychidae) in Japanese pear orchards
KR100426462B1 (ko) 애꽃노린재류의 먹이 사육방법 및 장치
US5157866A (en) Earwig collector
Rahman et al. Have stump piles any effect on the pine weevil (Hylobius abietis L.) incidence and seedling damage?
Talekar Controlling eggplant fruit and shoot borer
KR20230036558A (ko)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
US20180242568A1 (en) Method of trapping ticks
Duraimurugan et al. Determination of an action threshold for tobacco caterpillar, Spodoptera litura (F.) based on pheromone trap catches in castor (Ricinus communis L.)
KR20230123536A (ko) 방재 성능이 개선된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 포획장치
Cuthbertson et al. Environmental monitoring of Archips podana (fruit tree tortrix moth) in Bramley apple orchards in Northern Ireland
Oleksy The impact of the Mauritius Fruit Bat (Pteropus niger) on commercial fruit farms and possible mitigation measures
KR102052989B1 (ko)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관리시스템
CN208129290U (zh) 一种昆虫诱捕器
Rak Cizej et al. The methods of monitoring and management the European corn borer (Ostrinia nubilalis) in Slovenian hop garden
Parker et al. Management of wild bees
Zalom et al. 16 Almond Pests
Voigt et al. Perimeter trapping: a new means of mass trapping with sex attractant of Anomala scarabs
Storberget Catching the European tarnished plant bug, Lygus rugulipennis (Hemiptera: Miridae), using baited funnel traps
Munawar et al. Evaluating Habitat Manipulation as a Strategy for Rodent Control in Agricultural Ecosystems of Pothwar Region, Pakistan
De Lima Area wide management of Mediterranean fruit fly in Australia
Voigt et al.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of mass trapping of difficult-to-control fruit pests: efforts in Hunga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