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434A -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434A
KR20230036434A KR1020210119286A KR20210119286A KR20230036434A KR 20230036434 A KR20230036434 A KR 20230036434A KR 1020210119286 A KR1020210119286 A KR 1020210119286A KR 20210119286 A KR20210119286 A KR 20210119286A KR 20230036434 A KR20230036434 A KR 20230036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lement
amount
bank account
account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찬
배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신용데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신용데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신용데이터
Priority to KR102021011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434A/ko
Publication of KR20230036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the neutral party being a clearing 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판매자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부터 정산금을 정산받기 이전에 미리 정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빠른 정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산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 및 제2은행계좌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여기서, 상기 제2은행계좌는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의 정산금이 입금되는 계좌로서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제한되도록 설정된 계좌이며, 상기 제1은행계좌는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허용되는 계좌임-, 소정의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모듈, 상기 입금예정액 중 적어도 일부인 빠른 정산액을 산출하는 산출모듈,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상기 빠른 정산액을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에서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하는 입금모듈 및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되면,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수취모듈을 포함하는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fast settlement and computing system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판매자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부터 정산금을 정산받기 이전에 미리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빠른 정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온라인 판매점의 연 매출 규모는 수백 조에 이르고 있으며, 매해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고 있다. 대부분의 전자상거래는 오픈 마켓, 온라인 쇼핑몰, 음식 주문/배달 중개 플랫폼과 같은 각종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다수의 판매자가 이러한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에 입점하고 소비자는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상품/서비스를 구매하게 된다. 판매자가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상품/서비스를 판매하면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 측에서는 판매자에게 판매 수익 중 수수료 등을 제외하고 발생된 수익을 정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정산금 이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에 입점한 판매자는 자신의 은행계좌(1)를 정산 계좌로서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에 등록을 하게 되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 측은 판매 대금을 자신 혹은 결제대행사(PG사)의 계좌(2)에서 판매자가 등록한 정산 계좌(1)로 정산금을 입금(송금)함으로써 정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 측에서는 판매자에게 판매 대금을 바로 정산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길게는 몇 주에서 몇 달) 이후에 판매자에게 정산하기 때문에 판매자는 현금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즉 판매자는 상품/서비스를 판매한 기간부터 판매 대금이 정산되기까지의 기간 동안 광고비, 인건비, 제품 개발비, 판매 원가 등 비용이 계속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사업비 부족에 따른 경영난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판매자는 하나의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에만 입점하여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판매 채널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에 입점하여 상품/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사업비 부족에 따른 경영난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판매자가 판매 대금의 정산 지연으로 인한 현금 흐름 문제를 겪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4897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물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한 판매자가 판매 대금 중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금액을 실제 정산일보다 빠르게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르게 정산을 받는 것과 마찬가지의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판매자가 현금 흐름의 문제를 겪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빠른 정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에서 빠른 정산을 위해 지급한 금액을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산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빠른정산 계좌) 및 제2은행계좌(정산용 계좌)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여기서, 상기 제2은행계좌는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의 정산금이 입금되는 계좌로서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제한되도록 설정된 계좌이며, 상기 제1은행계좌는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허용되는 계좌임-, 소정의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모듈, 상기 입금예정액 중 적어도 일부인 빠른 정산액을 산출하는 산출모듈,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상기 빠른 정산액을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에서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하는 입금모듈 및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되면,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수취모듈을 포함하는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취모듈은,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된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 중 상기 수취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모듈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부터 크롤링, 스크래핑 또는 API를 통해 상기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 정보, 상기 입금예정액이 입금될 입금예정일 정보 및 기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취모듈은, 상기 입금예정일에 상기 기타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제2은행계좌로의 입금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취모듈은,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된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상기 빠른 정산액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정산금과 동일한 금액만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금모듈은,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채권양도의 전자적 통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적 통지 정보를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의 지급 의무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정산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소정의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빠른정산 계좌) 및 제2은행계좌(정산용 계좌)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2은행계좌는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의 정산금이 입금되는 계좌로서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제한되도록 설정된 계좌이며, 상기 제1은행계좌는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허용되는 계좌임-, (b)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소정의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입금예정액 중 적어도 일부인 빠른 정산액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상기 빠른 정산액을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에서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및 (e)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되면,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된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 중 상기 수취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 정보, 상기 입금예정액이 입금될 입금예정일 정보 및 기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입금예정일에 상기 기타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제2은행계좌로의 입금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된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상기 빠른 정산액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정산금과 동일한 금액만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채권양도의 전자적 통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적 통지 정보를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의 지급 의무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물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한 판매자가 판매 대금을 실제 정산일보다 빠르게 수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르게 정산받는 것과 같은 경제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판매자가 판매대금의 정산이 늦어짐으로 인한 현금 흐름의 문제를 겪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제로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부터 정산금을 입금받는 은행 계좌에서 판매자가 타 계좌로 이체하지 못하도록 하고 정산 서비스 사업자가 자신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정산을 위해 지급한 금액을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정산금 이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논리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빠른 정산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에 일어나는 빠른 정산액 및 실제 정산금을 비롯한 각종 현금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빠른 정산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수행하는 액션을 타임라인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빠른 정산에 대응되는 정산 장부 정보(a) 및 추후 판매자의 은행계좌로 이체될 정산금의 이체 내역(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의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이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라고 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소정의 정산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정산 서비스 사업자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운영 주체로서 판매자에게 빠른 정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법인 혹은 개인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을 통하여 자신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판매자에게 빠른 정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판매를 하는 판매자는 바로 물품/서비스의 판매 대금을 정산받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간(예를 들어, 며칠, 몇 주 혹은 몇 달)이 경과한 이후에 정산을 받게 되는데, 빠른 정산 서비스는 판매자에게 그 보다 훨씬 이른 시점(예를 들어, 매출이 발생한 날의 다음 영업일)에 정산 대금의 전부 혹은 일부인 빠른 정산액을 미리 판매자에게 지급함으로써 판매자가 물품/서비스의 판매 대금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미리 지급한 빠른 정산액을 판매자가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부터 실제로 정산받는 금액에서 충당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빠른 정산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 은행 시스템(300) 및/또는 판매자 단말(400)과 유/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를 통하여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은 전자적 매체를 이용하여 가상 공간에서 비즈니스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온라인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고 파는 전자 상거래를 제공하는 플랫폼, 물품/서비스의 판매자와 구매자를 중개하는 플랫폼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은 온라인 전자 상거래 플랫폼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은 쿠팡, G마켓 등의 오픈 마켓이나 배달의 민족과 같은 주문/배달 중개 서비스 플랫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은행 시스템(300)은 온라인 뱅킹 서비스나 각종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은행에서 운영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혹은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필요에 따라 은행 시스템(300)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신규 계좌의 생성, 계좌에 대한 설정, 잔고나 거래내역 등의 정보 조회, 금전의 이체 등을 상기 은행 시스템(300)으로 요청하여 처리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400)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을 통해 물품/서비스를 판매하는 판매자의 단말이다. 판매자는 상기 판매자 단말(400)을 통하여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판매할 물품을 등록할 수 있으며, 자신의 판매 채널을 관리하거나 정산과 관련된 각종 정보(예를 들어, 정산금을 수취할 은행계좌 등)를 등록/수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은 상기 판매자 단말(400)에게 판매자가 추후 받을 수 있는 정산금액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은 각각의 매출 발생 기간(예를 들어, 각 영업일)마다 발생한 매출, 이로 인한 정산예정금액, 입금일자 등을 포함하는 정산 내역을 상기 판매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 단말(400)은 프로세싱 장치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매자 단말(400)은 스마트폰, 휴대전화, PDA,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랩탑, 테스크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연산능력을 가진 데이터 처리장치인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접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인 서버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나 휴대 단말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물리적 장치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소정의 모(母) 시스템(미도시)의 서브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모 시스템은, 예를 들어, 증권사 시스템,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의 시스템 또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각종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 시스템은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연산능력을 가진 데이터 처리장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접속 가능한 데이터 처리장치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 휴대 단말 등과 같이 특정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서버로 정의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논리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계좌생성모듈(110), 저장모듈(115), 획득모듈(120), 산출모듈(130), 입금모듈(140), 수취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계좌생성모듈(11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미도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요소 및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논리적인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좌생성모듈(110), 저장모듈(115), 획득모듈(120), 산출모듈(130), 입금모듈(140), 수취모듈(150) 각각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계좌생성모듈(110), 저장모듈(115), 획득모듈(120), 산출모듈(130), 입금모듈(140), 수취모듈(150) 각각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결합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모듈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DB; 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D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 혹은 DB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판매자의 각 정산 내역 별 장부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DB에 저장할 수 있다. 정산 내역은 매출 발생 기간, 상기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 상기 입금예정액이 입금될 입금예정일, 해당 입금예정액이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이 제공하는 어떠한 서비스를 통해 발생한 것인지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물리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120-1), 및 상기 메모리(120-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11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0-1)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구현 예에 따라, CPU, APU, 모바일 프로세서 등 다양한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의 물리적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110-1)는 물리적 장치 별로 적어도 한 개 구비되어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모리(120-1)는 상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가 접근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저장장치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하드웨어적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120-1)는 어느 하나의 저장장치가 아니라 복수의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20-1)는 주기억장치뿐만 아니라, 임시기억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모든 형태의 정보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빠른 정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주체가 운영하고 실시하는 시스템일 수 있고, 웹 서버, 컴퓨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주변장치들(주변장치 1 내지 주변장치 N, 130-1, 13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 모니터, 그래픽 카드, 통신장치 등이 주변장치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소정의 모듈이 어떤 기능을 수행한다고 함은 상기 프로세서(110-1)가 상기 메모리(120-1)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함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계좌생성모듈(110)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빠른정산용 계좌) 및 제2은행계좌(일반 정산용 계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은행계좌는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의 정산금이 입금되는 계좌(즉,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에 정산 계좌로 등록된 계좌)로서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제한되도록 설정된 계좌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은행계좌는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혹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요청/제어에 의해서만 다른 계좌로 이체가 가능하도록 설정된 계좌일 수 있다. 또는 미리 지정된 특정 계좌(예를 들어,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계좌)로만 이체가 가능하도록 설정된 계좌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은행계좌는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자유롭게 허용되는 입출금 계좌일 수 있다.
상기 계좌생성모듈(110)은 제1은행계좌 및/또는 상기 제2은행계좌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은행 시스템(300)으로 계좌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좌생성모듈(110)은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의 출금 이체가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은행 시스템(300)에 요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혹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특정 구성요소가 특정한 행동을 한다고 함은 내/외부의 다른 요소로 요청을 하거나 다른 요소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행동이 완료되도록 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115)은 각종 전자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모듈(115)은 상기 판매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 및 제2은행계좌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계좌번호 등)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계좌에 대한 정보 역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모듈(115)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구동되기 위하여 필요하거나 구동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판매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 및 제2은행계좌는 상기 계좌생성모듈(110)에 의해 생성되지 아니하고, 상기 판매자가 직접 은행에서 개설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판매자는 은행의 오프라인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온라인 뱅킹을 이용하여 제1은행계좌 및 제2은행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모듈(115)은 계좌를 개설한 판매자가 제공한 상기 제1은행계좌 및 제2은행계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획득모듈(120)은 각각의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출 발생 기간은, 특정 영업일부터 다음 영업일 전날까지 기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는, 공휴일이 아니라면, 날짜마다 매출 발생 기간이 될 수 있으며, 다음 영업일이 월요일인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가 매출 발생 기간일 수 있다.
상기 획득모듈(120)은 매 매출 발생 기간마다, 해당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판매자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을 통해 판매한 물풉/서비스의 입금예정액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입금예정액은 물품의 판매 금액에서 수수료 등을 제외하고 실제로 정산될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매출이 발생한 이후 시점으로부터 실제 정산이 이루어지기까지의 기간동안 구매 취소, 주문 변경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실제 정산금액(실 입금액)과 입금예정액은 상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모듈(120)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으로부터 상기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 정보, 상기 입금예정액이 입금될 입금예정일 정보 및 기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기타 정보는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이 판매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명칭 혹은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모듈(120)은 크롤링 혹은 스크래핑을 통하여 상기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획득모듈(120)은 상기 판매자의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를 크롤링 혹은 스크래핑할 수 있으며, 그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획득모듈(120)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이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산출모듈(130)은 상기 입금예정액 중 적어도 일부인 빠른 정산액을 산출할 수 있다.
빠른 정산액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상기 판매자의 계좌로 미리 지급하는 금액으로서, 상기 획득모듈(120)이 획득한 상기 매출 발생 기간 동안의 입금예정액의 전부 혹은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출모듈(130)은 입금예정액 전부를 빠른 정산액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미리 결정된 일정 비율(예를 들어 90%)만큼의 금액만을 빠른 정산액으로 산출할 수 있다. 빠른 정산액을 산출하는데 적용되는 비율은 정산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판매자 혹은 빠른 정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과거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출모듈(130)은 입금예정액에 대응되는 빠른정산 장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빠른정산 장부 정보는 매출 발생 기간, 상기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 상기 입금예정액이 입금될 입금예정일, 판매자에게 미리 지급되는 빠른 정산액, 해당 입금예정액에 대한 기타 정보(혹은 적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모듈(130)이 생성한 빠른정산 장부는 추후 상기 입금모듈(140)이 빠른 정산액을 판매자에게 입금하거나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이 판매자에게 지급한 정산액을 수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입금모듈(140)은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상기 빠른 정산액을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에서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입금모듈(140)은 입금예정금액이 실제로 정산되기 전에 미리 상기 빠른 정산액을 상기 판매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로 이체함으로써, 판매자가 판매 대금을 조기에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금모듈(140)은 상기 매출 발생 기간의 다음 영업일에 상기 빠른 정산액을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출 발생 기간이 4/6(월)인 경우, 상기 입금모듈(140)은 4/6에 발행한 입금예정액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빠른 정산액을 4/7(화)에 판매자의 제1은행계좌로 이체함으로써 가능한 한 조속하게 판매자가 판매 대금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수취모듈(150)은 상기 입금모듈(140)이 이체한 상기 빠른 정산액을 상기 판매자의 실제 정산금으로부터 충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취모듈(150)은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상기 제2은행계좌(즉, 정산 계좌로 등록된 계좌)로 입금되면,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입금예정액의 입금예정일에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 혹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의 결제대행사(PG사)는 실제 정산금액을 정산계좌로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하게 되는데, 상기 수취모듈(150)은 상기 제2은행계좌로 이체된 정산금 중에서 상기 판매자에게 지급하였던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취모듈(150)은 상기 산출모듈(130)이 생성한 빠른정산 장부를 이용하여 정산금을 수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취모듈(150)은 상기 입금예정일에 상기 빠른정산 장부에 기재된 기타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제2은행계좌로의 입금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수취모듈(150)이 정산금이 상기 제2은행계좌로 이체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산금액이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되면, 상기 은행 시스템(300)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이체 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입금예정일에 되면 상기 수취모듈(150)은 일정 기간마다 은행 시스템(300)에 새로운 이체 내역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조회할 수도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수취금액이 빠른 정산액보다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출 발생 기간 이후 실제 정산일(즉, 입금예정일)까지의 기간동안 취소나 환불이 다수 발생하여 실제 정산금액이 빠른 정산액보다 적어지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수취모듈(140)은 판매자가에게 지급한 빠른 정산액 보다 적은 수취금액만을 수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취모듈(150)은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된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상기 빠른 정산액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정산금과 동일한 금액만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취모듈(150)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으로부터 입금된 정산액이 판매자에게 미리 지급하였던 빠른 정산액보다 큰 경우에는, 빠른 정산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판매자에게 돌려주게 된다. 즉, 상기 수취모듈(150)은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된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 중 상기 수취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수취모듈(150)이 상기 제2은행계좌에 들어 있는 금전을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한다는 것은, 상기 수취모듈(150)이 상기 제2은행계좌에 들어 있는 금전을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를 거쳐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물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한 판매자가 판매 대금 중 적어도 일부에 상당하는 금액을 통상적인 정산일에 비하여 빠르게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르게 정산을 받는 것과 마찬가지의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판매자가 현금 흐름의 문제를 겪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실제로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으로부터 정산금을 입금받는 은행 계좌에서 판매자가 타 계좌로 이체하지 못하도록 하고 정산 서비스 사업자가 자신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정산을 위해 지급한 금액을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빠른 정산액의 지급 및 회수와 관련된 법적인 문제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전자적인 방식의 채권매입(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채권양도) 절차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금모듈(140)은 지급하였거나 지급할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채권의 양도 계약을 포함하는 전자적인 정보(채권양도 계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채권양도 계약 정보는 채권자, 채무자, 금액, 채권양수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채권자는 상기 판매자이며, 채무자는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의 지급 의무자(예를 들어,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의 사업자 또는 지급대행사)이며, 금액은 상기 빠른 정산액에 이르기까지의 금액이며, 채권양수자는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입금모듈(140)은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채권의 양도에 대한 전자적 통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적 통지 정보를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의 지급 의무자(예를 들어,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의 사업자 또는 지급대행사)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판매자가에게 지급하는 빠른 정산액의 법적 관계를 대출이 아니라 채권 양도로 처리함으로써 판매자의 법적 책임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빠른 정산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에 일어나는 빠른 정산액 및 실제 정산금을 비롯한 각종 현금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빠른 정산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서는 판매자 명의의 두 개의 계좌인 제1은행계좌(11) 및 제2은행계좌(12)가 필요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은행계좌(11)는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허용되는 입출금 계좌(빠른 정산 계좌)이고, 상기 제2은행계좌(12)는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의 정산금이 입금되는 계좌로서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제한되도록 설정된 계좌(정산용 계좌)이다.
또한 빠른 정산 서비스를 위해서는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하나 이상의 은행계좌가 더 필요하며, 도 5는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두 계좌(21, 22)가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예에서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제1계좌(21)는 빠른 정산액을 지급 및 수취를 위한 마이너스 계좌이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제2계좌(21)는 빠른 정산액 외의 금액을 송금하기 위한 송금계좌이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한 계좌에서 빠른 정산액의 지급 및 수취뿐만 아니라 빠른 정산액 외의 금액의 송금까지 전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한 매출 발생 기간 동안의 입금예정액이 확인되고, 이를 기초로 빠른 정산액이 산출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상기 매출 발생 기간의 다음 영업일에,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21)에서 빠른 정산액이 판매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11)로 입금되도록 할 수 있다(S10).
이후 입금예정일이 도래하여,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정산금 지급의무자(예를 들어 PG사)의 은행계좌(30)에서 상기 판매자 명의의 제2은행계좌(12)로 입금되면(S20),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수취금액이 판매자 명의의 제2은행계좌(12)에서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21)로 이체되도록 할 수 있다(S30).
만약 PG사 은행계좌(30)로부터 이체된 정산금 중 빠른 정산액 외의 나머지 금액이 있는 경우, 나머지 금액은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제2은행계좌(22; 송금계좌)를 거쳐 상기 판매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11)로 이체될 수 있다(S41, S42).
도 6은 빠른 정산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수행하는 액션을 타임라인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매출 발생 기간인 4월 1일(월) 동안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을 통해 매출이 발생할 수 있다(S50-1),
그러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으로부터 4월 1일동안 발생한 매출에 대한 입금예정액 정보, 입금예정일 정보 등을 획득하고, 입금예정액에 기초하여 빠른 정산액을 산출하고, 산출한 빠른 정산액만큼의 금액을 다음 영업일인 4/2에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21)에서 판매자의 빠른정산용 계좌(11)로 입금함으로써 빠른 정산을 제공할 수 있다(S50-2).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빠른 정산을 제공하는 과정(50-2)에서 빠른 정산에 대응되는 정산 장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그 예가 도 7(a)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빠른 정산에 대응되는 정산 장부 정보(a) 및 추후 판매자의 은행계좌로 이체될 정산금의 이체 내역(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4/1에 발생한 매출에 대응되는 정산 장부 정보 및 정산금 이체 내역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7의 예에서 빠른 정산액은 입금예정액의 90%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산 장부 정보는 매출 발생 기간, 입금 예정일, 적요 정보(예를 들어,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명칭 정보 등), 입금예정액 정보, 빠른 정산액(빠른 정산 서비스가 채권매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채권매입액이라고도 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정산 장부 정보에는 동일한 매출 발생 기간동안 발생한 2 이상의 빠른정산내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7(a)의 예에서는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 "주문 중개 서비스"를 통해 발생한 매출에 대한 내역(빠른정산내역1) 및 "배달 대행 서비스"를 통해 발생한 매출에 대한 내역(빠른정산내역2)이 포함되어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빠른 정산액이 입금된 이후, 입금예정일인 4월5일에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 혹은 이의 결제대행사가 판매자의 정산용 계좌(12)로 매출 정산금을 입금하게 되면(S50-3),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입금된 정산금 중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수취금액을 상기 판매자의 정산용 계좌(12)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21)로 출금하고 나머지 금액은 판매자의 빠른정산용 계좌(11)로 송금할 수 있다(S50-4).
도 7(b)는 입금예정일인 4/5에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에서 이체한 정산금의 이체 내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은 제공 서비스 별로 구분하여 정산금을 이체하고 있으며, 각각 "주문 중개 서비스"에 의해 발생한 정산금의 이체 내역(입금내역 1), "배달 대상 서비스"에 의해 발생한 정산금의 이체 내역(입금내역 2) 및 "기타 서비스"에 의해 발생한 이체 내역(입금내역 3)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입금내역1을 획득할 수 있으며, 도 7(a)의 정산 장부에서 입금일 및 적요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빠른정산내역1이 입금내역1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입금내역2를 획득할 수 있으며, 도 7(a)의 정산 장부에서 입금일 및 적요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빠른정산내역2가 입금내역2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정산 장부에 대응되는 입금액 150,000원(입금내역 1의 50,000원 + 입금내역 2의 100,000원) 중 빠른 정산액 135,000원(빠른정산내역 1의 45,000원 + 빠른정산내역 2의 90,000원)을 상기 판매자의 정산용 계좌(12)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21)로 이체하고, 나머지 금액 15,000원은 판매자의 빠른정산용 계좌(11)로 송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입금내역3를 더 획득할 수 있으나, 입금내역3과 대응되는 빠른정산내역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입금내역3의 입금액 50,000원 전액을 판매자의 빠른정산용 계좌(11)로 송금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매출 발생 기간인 4월5일(금)부터 4월 7일(일)까지의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을 통해 매출이 발생할 수 있다(S60-1),
그러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으로부터 4월 5일부터 4월7일까지의 기간동안 발생한 매출에 대한 입금예정액 정보, 입금예정일 정보 등을 획득하고, 입금예정액에 기초하여 빠른 정산액을 산출하고, 산출한 빠른 정산액만큼의 금액을 다음 영업일인 4/8에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21)에서 판매자의 빠른정산용 계좌(11)로 입금함으로써 빠른 정산을 제공할 수 있다(S60-2).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빠른 정산을 제공하는 과정(60-2)에서도 빠른 정산에 대응되는 정산 장부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그 예가 도 8(a)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빠른 정산에 대응되는 정산 장부 정보(a) 및 추후 판매자의 은행계좌로 이체될 정산금의 이체 내역(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4/5~4/7에 발생한 매출에 대응되는 정산 장부 정보 및 정산금 이체 내역을 도시하고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빠른 정산액이 입금된 이후, 입금예정일인 4월11일에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 혹은 이의 결제대행사가 판매자의 정산용 계좌(12)로 매출 정산금을 입금하게 되면(S60-3),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입금된 정산금 중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수취금액을 상기 판매자의 정산용 계좌(12)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21)로 출금하고 나머지 금액은 판매자의 빠른정산용 계좌(11)로 송금할 수 있다(S60-4).
도 8(b)는 입금예정일인 4/11에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에서 이체한 정산금의 이체 내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은 제공 서비스 별로 구분하여 정산금을 이체하고 있으며, 각각 "주문 중개 서비스"에 의해 발생한 정산금의 이체 내역(입금내역 1), "배달 대상 서비스"에 의해 발생한 정산금의 이체 내역(입금내역 2) 및 "기타 서비스"에 의해 발생한 이체 내역(입금내역 3)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입금내역1을 획득할 수 있으며, 도 8(a)의 정산 장부에서 입금일 및 적요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빠른정산내역1이 입금내역1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입금내역2를 획득할 수 있으며, 도 8(a)의 정산 장부에서 입금일 및 적요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빠른정산내역2가 입금내역2에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정산 장부에 대응되는 입금액 120,000원(입금내역 1의 40,000원 + 입금내역 2의 80,000원)과 빠른 정산액 126,000원(빠른정산내역 1의 54,000원 + 빠른정산내역 2의 72,000원) 중 적은 금액인 120,000원을 수취금액으로 판단하고, 이를 상기 판매자의 정산용 계좌(12)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21)로 이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입금내역3를 더 획득할 수 있으나, 입금내역3과 대응되는 빠른정산내역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입금내역3의 입금액 20,000원 전액을 판매자의 빠른정산용 계좌(11)로 송금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예에서는 각각의 매출 발생 기간은 다음과 같이 정해질 수 있다.
i) 특정 영업일의 다음 날이 휴일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영업일
ii) 특정 영업일의 다음 날이 휴일인 경우, 해당 영업일로부터 다음 영업일의 전날까지의 기간
따라서 도 6의 경우에는 4/1, 4/2, 4/3, 4/4, 4/5~4/7, 4/8, 4/9, 4/10, 4/11이 각각 매출 발생 기간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에는 4/1에 발생한 매출 및 4/5~4/7에 발생한 매출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으나 나머지 매출 발생 기간에 발생한 매출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사항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빠른정산 계좌; 예를 들어 11) 및 제2은행계좌(정산용 계좌; 예를 들어 12)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은행계좌(11) 및 상기 제2은행계좌(12)는 판매자에 의해 개설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상기 제1은행계좌(11) 및 제2은행계좌(12)를 생성할 수도 있다(S1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은행계좌(12)는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200)의 정산금이 입금되는 계좌로서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제한되도록 설정된 계좌이며, 상기 제1은행계좌(11)는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허용되는 계좌일 수 있다.
개설된 상기 판매자의 제1은행계좌의 정보 및 상기 제2은행계좌의 정보(예를 들어, 해당 계좌의 계좌번호 등)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저장될 수 있다(S105).
이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각각의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S110), 상기 입금예정액 중 적어도 일부인 빠른 정산액을 산출할 수 있다(S120).
이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상기 빠른 정산액을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21)에서 상기 제1은행계좌(11)로 이체할 수 있다(S130).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채권양도의 전자적 계약 정보 및 이에 대한 채권양도에 대한 전자적 통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적 통지 정보를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의 지급 의무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140).
일 실시예에서, 상기 S110 내지 S140 단계는 매출 발생 기간의 다음 영업일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입금예정액의 입금예정일에,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상기 제2은행계좌(12)로 입금되면,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12)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21)로 이체할 수 있으며(S150), 상기 제2은행계좌(12)로 입금된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 중 상기 수취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22)를 거쳐 상기 제1은행계좌(11)로 이체할 수 있다(S160).
상기 S110 내지 S160 단계는 각각의 매출 발생 기간 동안 발생한 매출을 대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정산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 및 제2은행계좌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여기서, 상기 제2은행계좌는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의 정산금이 입금되는 계좌로서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제한되도록 설정된 계좌이며, 상기 제1은행계좌는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허용되는 계좌임;
    소정의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모듈;
    상기 입금예정액 중 적어도 일부인 빠른 정산액을 산출하는 산출모듈;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상기 빠른 정산액을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에서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하는 입금모듈; 및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되면,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수취모듈을 포함하는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수취모듈은,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된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 중 상기 수취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모듈은,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 정보, 상기 입금예정액이 입금될 입금예정일 정보 및 기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수취모듈은,
    상기 입금예정일에 상기 기타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제2은행계좌로의 입금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모듈은,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된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상기 빠른 정산액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정산금과 동일한 금액만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모듈은,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채권양도의 전자적 통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적 통지 정보를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의 지급 의무자에게 전송하는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정산 서비스 사업자가 운영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소정의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명의의 제1은행계좌 및 제2은행계좌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2은행계좌는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의 정산금이 입금되는 계좌로서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제한되도록 설정된 계좌이며, 상기 제1은행계좌는 상기 판매자에 의한 출금이 허용되는 계좌임;
    (b)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소정의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입금예정액 중 적어도 일부인 빠른 정산액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상기 빠른 정산액을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에서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및
    (e)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되면,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된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 중 상기 수취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상기 제1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매출 발생 기간 동안 상기 온라인 비즈니스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상기 판매자의 매출에 상응하는 입금예정액 정보, 상기 입금예정액이 입금될 입금예정일 정보 및 기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입금예정일에 상기 기타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제2은행계좌로의 입금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수취금액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2은행계좌로 입금된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이 상기 빠른 정산액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정산금과 동일한 금액만을 상기 제2은행계좌에서 상기 정산 서비스 사업자 명의의 은행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빠른 정산액에 상응하는 채권양도의 전자적 통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적 통지 정보를 상기 입금예정액에 상응하는 정산금의 지급 의무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팅 시스템.
KR1020210119286A 2021-09-07 2021-09-07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KR20230036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86A KR20230036434A (ko) 2021-09-07 2021-09-07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86A KR20230036434A (ko) 2021-09-07 2021-09-07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434A true KR20230036434A (ko) 2023-03-14

Family

ID=8550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286A KR20230036434A (ko) 2021-09-07 2021-09-07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4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897A (ko) 2009-06-16 2010-12-2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가맹점 대금 정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897A (ko) 2009-06-16 2010-12-2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가맹점 대금 정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0764B2 (en) System, program product, and method to authorize draw for retailer optimization
US10007953B1 (en) Fund withholding for payroll payments
US9773242B1 (en) Mobile point-of-sale crowdfunding
US8301557B1 (en) System, program product, and method to authorized draw for retailer optimization
US201403587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merchant working capital
US20150242949A1 (en) Investment card
CN103748602B (zh) 支付非结算交易
US20200211045A1 (en) Fractional fund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
WO2014064536A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hat enables a new economic architecture for the exchange of value
US10559032B2 (en) Creation and redemption for ETP shares of bulky metals
US11379913B1 (en) Electronic payroll funds transfer delay and failed transfer coverage
KR20120083016A (ko) 금융자산 매수/매도 운영시스템
CN114463135A (zh) 股权管理方法、系统、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US1192249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ximizing share purchase under an employee stock purchase plan with limited payroll deductions
JP2002092328A (ja) 株式売買システム及び株式売買方法
KR20170037445A (ko) 매출채권의 유통을 중개하는 은행서버 및 그 방법
JP2008310488A (ja) 金融商品管理装置、金融商品管理方法、金融商品管理プログラム及び金融商品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40032432A1 (en) Distressed properties marketing system and method
US10127508B1 (en) Dynamically changing sales commissions
JP2018055235A (ja) 債券取引決済管理システムおよび債券取引決済管理方法
CN110874795A (zh) 不动产商品相关的金融系统及其管理方法
KR20230036434A (ko) 빠른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Haryono et al. The Challenges of Digital Banking in Today’s Banking Industry
Salami et al. E-commerce and banking performance in Nigeria
US201200540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going Cash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