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285A - Pneumatic tire with block and groove structure with improved stiffness and drainage - Google Patents

Pneumatic tire with block and groove structure with improved stiffness and drain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285A
KR20230036285A KR1020210118964A KR20210118964A KR20230036285A KR 20230036285 A KR20230036285 A KR 20230036285A KR 1020210118964 A KR1020210118964 A KR 1020210118964A KR 20210118964 A KR20210118964 A KR 20210118964A KR 20230036285 A KR20230036285 A KR 20230036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lock
pneumatic tire
tire
reinforc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7805B1 (en
Inventor
손형욱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805B1/en
Publication of KR2023003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2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8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B60C11/0323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tread comprising channels under the tread surface, e.g. for drainin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60C2011/1338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comprising protr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5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 B60C2011/1361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with protrusions extending from the groove bottom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with a block and a groove structure with improved stiffness and draina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tire is the pneumatic tire having a tread unit coming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o be recessed on the tread unit, having lower height than the grounding surface of the tread unit, and extend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ne or more blocks disposed in the tread unit and divided by the plurality of grooves; and one or more reinforcement ribs arranged in the plurality of grooves and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block.

Description

향상된 강성 및 배수성을 갖는 블록 및 그루브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with block and groove structure with improved stiffness and drainage}Pneumatic tire with block and groove structure with improved stiffness and drainage}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성 및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 및 그루브 구조를 갖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neumatic tire having a block and groove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rigidity and drainage.

일반적으로 공기입 타이어는 노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를 가지며, 트레드에는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그루브와 타이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그루브가 배치된다. 종그루브와 횡그루브에 의해 타이어의 트레드에는 복수 개의 블록이 형성된다.In general, pneumatic tires have treads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nd transverse groove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longitudinal grooves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re disposed on the tread. A plurality of blocks are formed in the tread of a tire by longitudinal grooves and transverse grooves.

이와 같은 종그루브와 횡그루브는 젖은 노면에서 배수 성능을 도와, 타이어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루브가 넓을수록 배수 성능이 향상되나, 그만큼 블록의 면적이 작아지므로 강성이 약해지고, 노이즈 성능이 악화하는 문제가 있다.Such longitudinal grooves and transverse grooves serve to improve the grip of the tire by helping drainage performance on a wet road surface. However, the wider the groove, the better the drainage performance, but since the area of the block becomes small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rigidity is weakened and noise performance is deteriorated.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Such prior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referred to as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일본공개특허공보 JP 1990-053608 AJapanese Laid Open Patent Publication JP 1990-053608 A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그루브에 블록을 지지하는 보강 리브를 배치하여, 타이어의 배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블록의 강성을 높이고, 노이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pneumatic tire capable of improving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tire,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block, and suppressing noise generation by arranging reinforcing ribs for supporting the block in the groove. to provide.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로서, 상기 트레드부 상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트레드부의 접지면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그루브, 상기 트레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그루브에 배치되며, 상기 블록의 일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를 포함한다.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neumatic tire including a trea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formed concavely on the tread portion, has a height lower than the ground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and extend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one or more blocks disposed in the tread portion and partitioned by the plurality of grooves, and one or more reinforcing rib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grooves and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block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횡그루브 및 타이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종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횡그루브 및 상기 종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I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verse groove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the block comprises the transverse groove and It may be partitioned by the longitudinal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타이어의 반경 방향 중심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may have a shape widening toward the radial center of the ti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평행사변형이고, 측면의 기울기가 45도 이상 90도 미만일 수 있다.I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may be a parallelogram, and the side slope may be 45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90 degre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일측이 상기 그루브의 바닥면과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블록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I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reinforcing rib ma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and the other side may contact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의 일단은 상기 블록의 상단과 접촉하고, 상기 일단에서 타이어의 중심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그루브의 바닥면과 접촉할 수 있다.I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reinforcing rib may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block, extend vertically from the end toward the center of the tire, and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의 일단은 상기 블록의 상단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일단에서 타이어의 중심을 향해 상기 블록의 측면으로 기울어져 연장되어 상기 그루브의 바닥면과 접촉할 수 있다.I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reinforcing rib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bloc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end extends inclined toward the side of the block toward the center of the tire to form the groove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rib may have a through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rib may have a recess formed concavely on one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보강 리브는 상기 블록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may be arranged to alternate with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of the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보강 리브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보강 리브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I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rib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타이어의 반경 방향 중심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제1 그루브 및 동일한 폭을 갖는 제2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루브 및 상기 제2 그루브는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I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includes a first groove widening toward the radial center of the tire and a second groove having the same width,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The grooves may b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clear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블록을 포함하며, 그루브에는 블록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루브가 아래를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배수 성능을 높이면서, 동시에 보강 리브가 블록을 지지하여 블록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partitioned by a groove,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supporting the block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Through this, the groove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is widened downward to increase drainage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the reinforcing rib supports the block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loc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블록 및 보강 리브를 나타낸다.
1 shows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nlarged view of a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0 show blocks and reinforcing ribs of pneumatic tires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shown in different embodiments,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without limiting meaning.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e three axes of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se.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When an embodiment is otherwise implementable,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reverse to the order describ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00)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00)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112)과 보강 리브(114)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1 shows a pneumatic ti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pneumatic ti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 pneumatic ti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112 and the reinforcing rib 11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enlarged and show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30), 비드부(140), 카커스층(150), 이너라이너층(160), 벨트층(170), 캡플라이층(180) 및 보강층(19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pneumatic ti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portion 110, a sidewall portion 130, a bead portion 140, a carcass layer 150, and an inner liner layer 160. ), a belt layer 170, a cap ply layer 180, and a reinforcing layer 190.

사이드월부(130)는 트레드부(110)의 양측에서 연장되며 차량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30)는 차량 등의 주행 시 형상이 변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사이드월부(130)에는 카커스층(150) 상에 배치되는 사이드월 외피층이 배치될 수 있다.The sidewall portion 130 extends from both sides of the tread portion 110 and can support a load such as a vehicle. In addition, the sidewall portion 130 may absorb shock while changing its shape during driving of a vehicle or the like. A sidewall skin layer disposed on the carcass layer 150 may be disposed on the sidewall unit 130 .

비드부(140)는 사이드월부(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이어 림(미도시)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비드부(140)는 상기 사이드월외피층과 연결되는 비드외피층(141)을 포함할 수 있다. 비드부(140)는 내부에 삽입되는 비드와이어층(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수 재질을 포함하는 비드필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ad par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sidewall part 130 and may be disposed and fixed to a tire rim (not shown). The bead portion 140 may include a bead outer layer 141 connected to the sidewall outer skin layer. The bead part 140 may include a bead wire layer 142 inserted therein, and may include a bead filler part 143 including a special material.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140) 내부에는 공통적으로 타이어의 뼈대 역할을 하는 카커스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카커스층(150)은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카커스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는 복수 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 carcass layer 150 commonly serving as a skeleton of a tire may be disposed inside the tread portion 110, the sidewall portion, and the bead portion 140. The carcass layer 150 may be formed by coating a plurality of carcass cords (not shown) made of steel or fibrous organic material with rubber and rolling them. A plurality of steel or organic fiber material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teel or organic fiber material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카커스층(150)은 제조 시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표면에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홀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에어홀은 카커스층(150)의 표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ir hol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rcass layer 150 to prevent air bubbles from being generated therein during manufacture. At least one air hole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air hole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rface of the carcass layer 150 .

일 실시예로, 카커스층(150)은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카커스층(150)이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카커스층(150)은 서로 적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carcass layer 150 may be provided.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carcass layers 150 are provided, the plurality of carcass layers 150 may be stacked on each other.

카커스층(150)의 저면에는 이너라이너층(160)이 배치되어 카커스층(15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이너라이너층(160)은 특수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n inner liner layer 16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rcass layer 150 to be combined with the carcass layer 150 . In this case, the inner liner layer 160 may be formed of a special rubber material to improve internal airtightness.

벨트층(170)의 양단에는 캡플라이층(18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캡플라이층(180)은 벨트층(170)의 양단을 차폐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캡플라이층(180)은 특수 코드지로 주행 시 벨트층(17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 고속 주행 시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Cap ply layers 180 may be disposed on both ends of the belt layer 170 . In this case, the cap ply layer 180 may be stacked to shield both ends of the belt layer 170 . The cap ply layer 180 minimizes the movement of the belt layer 170 when driving with special cord paper, thereby preventing a separation phenomenon during high-speed driving.

보강층(190)은 벨트층(170)과 카커스층(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층(190)은 벨트층(170)의 끝단이 보강층(190) 상에 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강층(190)은 공기입 타이어(100)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layer 19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elt layer 170 and the carcass layer 150 . The reinforcing layer 190 may be disposed such that an end of the belt layer 170 is disposed on the reinforcing layer 190 . In this case, a plurality of reinforcing layers 19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neumatic tire 100 .

트레드부(110)는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복수 개의 그루브(G)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G)는 트레드부(110) 상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트레드부(110)가 지면과 접촉하는 접지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루브(G)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횡그루브(113) 및 공기입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종그루브(1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ead par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G) as a part that directly contacts the ground. The groove G is formed concavely on the tread part 110, has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ground surface in which the tread part 110 contacts the ground, and may exten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groove G is a plurality of transverse grooves 113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00 and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00 A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111 may be included.

도 1 및 도 2에는 횡그루브(113) 및 종그루브(111)가 공기입 타이어(100)의 폭 방향 및 둘레 방향과 나란히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횡그루브(113) 및 종그루브(111)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폭 방향 및 둘레 방향에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1 and 2 show that the transverse groove 113 and the longitudinal groove 111 are formed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0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transverse grooves 113 and the longitudinal grooves 111 may be disposed obliquely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neumatic tire 100 .

일 실시예로 그루브(G)는 아래를 향해, 즉 공기입 타이어(100)의 중심을 향해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그루브(111) 및 횡그루브(113) 모두 단면에서 보았을 때, 그루브(G)의 바닥면을 향해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그루브(111) 및 횡그루브(113)의 형상은 윗변과 아랫변이 평행한 평행사변형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그루브(G)의 폭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roove G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widens downward, that is, toward the center of the pneumatic tire 10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and 3 , both the longitudinal groove 111 and the transverse groove 113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area gradually widens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More specifically, the shapes of the longitudinal grooves 111 and the transverse grooves 113 may be parallelograms in which upper and lower sides are parallel.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drainage performance by securing a wide width of the groove (G).

일 실시예로 그루브(G)는 측면의 기울기, 즉 그루브(G)의 바닥면과 블록(112)의 측면 사이의 각도가 45도 이상 90도 미만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그루브(G)의 배수 성능을 확보하면서 블록(112)의 강성이 지나치게 약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roove (G) may have a side slope, that is, an angl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112 of 45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90 degrees.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rigidity of the block 112 may not be excessively weakened while securing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groove G.

일 실시예로 트레드부(110)는 그루브(G)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 개의 블록(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112)은 트레드부(110)의 표면에 복수 개의 그루브(G)가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구획되는 부재로서, 그 상면은 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ead par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ocks 112 partitioned by the groove (G).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lock 112 is a member partitioned by concavely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G on the surface of the tread portion 110, and its upper surface can directly contact the ground. .

일 실시예로 트레드부(110)는 그루브(G)에 배치되며, 블록(112)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리브(114)는 그루브(G)의 내측에 배치되어, 그루브(G)의 바닥면과 블록(112)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보강 리브(114)는 그루브(G)의 내측에 배치되어 블록(112)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ead part 110 is disposed in the groove (G) and may include one or more reinforcing ribs 114 supporting the block 112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reinforcing rib 114 may be disposed inside the groove G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112 . The reinforcing rib 114 is disposed inside the groove G to improve the rigidity of the block 112 .

일 실시예로 보강 리브(114)는 인접하는 블록(112)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리브(114)는 어느 하나의 블록(112)에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블록(112)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s 114 may be disposed on all adjacent blocks 112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reinforcing ribs 114 may be disposed on all blocks 112 rather than being disposed on only one block 112 .

일 실시예로 보강 리브(114)는 그루브(G)를 기준으로 양측의 블록(112A)과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보강 리브(114)는 그루브(G)를 따라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보강 리브(114)는 어느 하나의 블록(112A)의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s 114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blocks 112A on both sides of the groove G, respectively. That is, the reinforcing ribs 114 may be arranged in two rows along the groove G. Alternatively, the reinforcing ribs 114 may be disposed along the side of any one block 112A.

일 실시예로 보강 리브(114)는 마주보는 보강 리브(114)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루브(G, 도 3에는 종그루브(111)만을 나타냈으나 횡그루브(113)도 동일하며 이에 대해서는 생략함. 이하 동일)의 양측을 따라 보강 리브(114)가 2열로 배치되며, 2열의 보강 리브(114)는 그루브(G)의 중심선을 따라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입 타이어(100)의 배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s 114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facing reinforcing ribs 114 .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reinforcing ribs 114 are along both sides of the groove (G, in FIG. 3, only the longitudinal groove 111 is shown, but the transverse groove 113 is the same and omitted. The same below) Arranged in two rows, the two rows of reinforcing ribs 114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groove (G). Through this,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pneumatic tire 100 may be improved.

일 실시예로 보강 리브(114)는 마주보는 보강 리브(1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주행 중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s 114 may be disposed between facing reinforcing ribs 114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vehicle driving.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리브(114)는 일단이 블록(112)의 상단과 접촉하고, 일단에서 공기입 타이어(100)의 중심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그루브(G)의 바닥면과 접촉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 11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one end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block 112, and one end extending vertically toward the center of the pneumatic tire 100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can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리브(114)는 직각 삼각형이며, 바닥면은 그루브(G)의 바닥면과 접촉하고, 경사진 측면은 블록(112)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즉 보강 리브(114)는 그루브(G)와 블록(11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reinforcing rib 114 is a right triangle, the bottom surface ma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and the inclined side surface may contact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112. That is, the reinforcing rib 114 may be inserted between the groove G and the block 112 .

일 실시예로 보강 리브(114)는 그루브(G)의 길이 방향(횡그루브(113) 및 종 그루브(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보강 리브(114)는 그루브(G)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s 114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groove 113 and the longitudinal groove 111). Alternatively, the reinforcing ribs 114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G).

일 실시예로 보강 리브(114)의 두께(W)는 보강 리브(114) 사이의 간격(D)보다 작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W) of the reinforcing ribs 114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D)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114 .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리브(114)는 블록(112)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그루브(G)의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블록(112)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114)의 상단이 블록(112)의 상면까지 지지함으로써 블록(112)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 11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tends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112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block 112. In addition, since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rib 114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112, the rigidity of the block 112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3에는 보강 리브(114)가 그루브(G)의 양측에 4개씩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보강 리브(114)의 개수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In Figure 3, the reinforcing ribs 114 are shown as being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groove (G) by fou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reinforcing ribs 114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neumatic tire 100 and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112A)과 보강 리브(114A)를 확대하여 나타낸다.4 shows an enlarged block 112A and a reinforcing rib 114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리브(114A)는 상단이 블록(112A)의 상면과 소정의 거리(L)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루브(G)의 부피 또는 단면적을 더 크게 확보하여,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rib 114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112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 Through this, a larger volume or cross-sectional area of the groove G may be secured, and drainage performance may be improved.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리브(114A)는 상단에서 그루브(G)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모서리의 각도가 예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 리브(114A)의 바닥면이 그루브(G)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적 및 단면 상에서 그루브(G)의 전체 면적 대비 보강 리브(114A)의 면적이 더 넓어져, 보강 리브(114A) 자체의 내구성과 블록(112A)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체 등이 그루브(G)를 따라 이동할 때 보강 리브(114A)가 저항하여, 주행 중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The corner of the reinforcing rib 114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have an acute angle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Accordingly, the area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rib 114A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and the area of the reinforcing rib 114A relative to the total area of the groove G on the cross section are wider, so that the reinforcing rib 114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itself and the rigidity of the block 112A. In addition, when fluid or the like moves along the groove G, the reinforcing rib 114A resists, so that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can be reduced.

그 외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리브(114)와 동일하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reinforcing rib 11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112B)과 보강 리브(114B)를 확대하여 나타낸다.5 shows an enlarged view of a block 112B and a reinforcing rib 114B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리브(114B)는 상단에서 그루브(G)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모서리의 각도가 둔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 리브(114B)의 바닥면이 그루브(G)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적 및 단면 상에서 그루브(G)의 전체 면적 대비 보강 리브(114B)의 면적을 줄여, 그루브(G)의 부피 또는 단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가 그루브(G)를 따라 보다 원활하게 이동하여, 배수 성능을 높일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 114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have an obtuse angle of a corner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Through this, the area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rib 114B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and the area of the reinforcing rib (114B)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groove (G) on the cross section ar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r A large cross-sectional area can be secured. As a result, the fluid moves more smoothly along the groove G, and the drainag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그 외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리브(114)와 동일하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reinforcing rib 11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블록(112C) 및 보강 리브(114C)를 확대하여 나타낸다.6 shows an enlarged view of a block 112C and a reinforcing rib 114C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리브(114C)는 상단에서 그루브(G)의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모서리의 각도가 예각일 수 있다. 특히 보강 리브(114C)의 내측 모서리는 그루브(G)의 중심선(CL)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 114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have an acute angle at a corner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In particular, an inner edge of the reinforcing rib 114C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enter line CL of the groove G.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선(CL)은 그루브(G)의 폭 방향 중심선을 나타낸다. 또한 블록(112C)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보강 리브(114C)는 내측 모서리가 중심선(CL)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처럼 보강 리브(114C)가 블록(112C)의 측면을 따라 2열로 배치될 경우, 서로 마주보는 보강 리브(114C)의 내측 모서리는 중심선(CL)에서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2열의 보강 리브(114C)가 서로 엇갈리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될 경우, 각각의 열에 포함된 보강 리브(114C)의 내측 모서리는 중심선(CL)과 접하되, 마주보는 열에 포함된 보강 리브(114C)의 내측 모서리와는 접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 the center line CL indicates the center line of the groove G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the reinforcing rib 114C dispos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block 112C may be disposed such that an inner corner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center line CL. For example, when the reinforcing ribs 114C are arranged in two rows along the side of the block 112C as shown in FIG. 6, the inner edges of the reinforcing ribs 114C facing each other may be arranged to contact each other at the center line CL. . Alternatively, when two rows of reinforcing ribs 114C ar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so as to stagger each other, the inner edges of the reinforcing ribs 114C included in each row are in contact with the center line CL, but the reinforcing ribs 114C included in the opposing columns It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edge of.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보강 리브(114C)의 바닥면이 그루브(G)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적 및 단면 상에서 그루브(G)의 전체 면적 대비 보강 리브(114C)의 면적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112C)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그루브(G)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에 강한 저항을 부여하여, 노이즈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area of the reinforcing rib 114C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groove G on the cross section and the area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rib 114C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Through this, the rigidity of the block 112C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noise can be further reduced by applying strong resistance to the fluid moving along the groove G.

그 외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리브(114)와 동일하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reinforcing rib 11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블록(112D) 및 보강 리브(114D)를 확대하여 나타낸다.7 shows an enlarged block 112D and a reinforcing rib 114D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로 보강 리브(114D)는 관통공(115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115D)은 보강 리브(114D)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멍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그루브(G) 내부에 포함된 유체가 보강 리브(114D) 사이의 영역과 관통공(115D)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여, 배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 114D may include a through hole 115D. As shown in FIG. 7 , the through hole 115D may be a hol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rib 114D.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fluid contained in the groove G can move through the area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114D and the through hole 115D, so that drainage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일 실시예로 관통공(115)은 보강 리브(114D)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리브(114D)가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 관통공(115D)도 그에 대응되는, 즉 보강 리브(114D)와 닮음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rough hole 115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inforcing rib 114D. For example, when the reinforcing rib 114D has a right triangle shape, the through hole 115D may also have a corresponding shape, that i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reinforcing rib 114D.

일 실시예로 이웃하는 관통공(115D), 즉 그루브(G)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의 열에 배치된 관통공(115E)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통공(115D)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모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neighboring through-holes 115D, that is, through-holes 115E disposed in one colum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G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through holes 115D may all overlap.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블록(112E) 및 보강 리브(114E)를 확대하여 나타낸다.8 shows an enlarged block 112E and a reinforcing rib 114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로 보강 리브(114E)는 관통공(115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115E)은 보강 리브(114E)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멍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 114E may include a through hole 115E. As shown in FIG. 8 , the through hole 115E may be a hol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rib 114E.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블록(112F) 및 보강 리브(114F)를 확대하여 나타낸다.9 shows an enlarged block 112F and a reinforcing rib 114F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로 보강 리브(114F)는 함몰부(116F)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리브(114F)의 일면에는 오목하게 함몰부(116F)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16F)는 보강 리브(114F)와 단차를 이루도록 그 바닥면이 보강 리브(114F)의 측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함몰부(116F)는 그루브(G)로 유입된 유체와 충돌하면서 저항을 부여하여, 주행 중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 114F may include a recessed portion 116F.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 a recessed portion 116F may be formed concavely on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rib 114F.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116F may have a lower height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rib 114F so as to form a step with the reinforcing rib 114F. Accordingly, the depression 116F imparts resistance while colliding with the fluid flowing into the groove G, thereby reducing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일 실시예로 함몰부(116F)는 보강 리브(114F)의 양 측면에 모두 형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pressions 116F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rib 114F or only on one side.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에에 따른 블록(112G) 및 보강 리브(114G)를 확대하여 나타낸다.10 shows an enlarged block 112G and a reinforcing rib 114G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로 보강 리브(114G)는 블록(112G)의 일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루브(G)는 제1 그루브(G1)와 제2 그루브(G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그루브(G1)와 제2 그루브(G2)는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s 114G may be disposed on only one side of the block 112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the groove G may include a first groove G1 and a second groove G2, and the first groove G1 and the second groove G2 alternate with each other. can be placed as

그리고 보강 리브(114G)는 제1 그루브(G1)의 양측에 배치된 블록(112G)의 측면에만 배치되고, 제2 그루브(G2)의 양측에 배치된 블록(112G)의 측면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그루브(G1)에는 보강 리브(114G)가 배치되고, 제2 그루브(G2)에는 보강 리브(114G)가 배치되지 않으며, 이와 같이 보강 리브(114G)가 배치되는 그루브(G)와 배치되지 않는 그루브(G)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공기입 타이어(100)의 배수 성능과 블록(112G)의 강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And the reinforcing ribs 114G may be disposed only on the side of the block 112G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roove G1 and may not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lock 112G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groove G2. there is. That is, the reinforcing ribs 114G are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G1, and the reinforcing ribs 114G are not disposed in the second groove G2. Grooves (G) that do not become can be arranged alternately. Through this configuration, both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pneumatic tire 100 and the rigidity of the block 112G can be improved.

일 실시예로 보강 리브(114G)가 배치되는 제1 그루브(G1)는 단면 형상이 윗변과 아랫변이 평행한 평행사변형일 수 있다. 그리고 보강 리브(114G)가 배치되지 않는 제2 그루브(G2)는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1 그루브(G1)는 배수 성능을 높이고, 제2 그루브(G2)는 블록(112G)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groove G1 in which the reinforcing rib 114G is disposed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 parallelogram having upper and lower sides parallel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cond groove G2 in which the reinforcing rib 114G is not disposed may have a rectangular or square cross-sectional shape.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groove G1 can increase drainage performance, and the second groove G2 can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lock 112G.

도 10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G)만을 나타냈으나, 이와 같은 구성은 종그루브(111) 또는 횡그루브(113)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only the groove G extending in one direction is shown in FIG. 10 , this configuration may be applied to both the longitudinal groove 111 and the transverse groove 11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00)는 그루브(G)에 의해 구획되는 블록(112)을 포함하며, 그루브(G)에는 블록(112)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11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루브(G)가 아래를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배수 성능을 높이면서, 동시에 보강 리브(114)가 블록(112)을 지지하여 블록(112)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A pneumatic ti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112 partitioned by a groove G,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14 supporting the block 112 in the groove G can be placed. Through this, the groove G has a shape that widens downward to increase drainage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the reinforcing rib 114 supports the block 112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lock 112 .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technical detail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In order to briefly and clearly describe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general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connection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is an example of functional connection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 which can be replaced in an actual device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 it may not necessarily be a component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bove” or similar designation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may refer to both singular and plural,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limited.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an embodiment, it includes an invention in which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no description to the contrary),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ame. In addition, if there is no clear description or description of the order of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embodiments is simply to describe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t is not.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100: 공기입 타이어
110: 트레드부
111: 종그루브
112: 블록
113: 횡그루브
114: 보강 리브
100: pneumatic tire
110: tread part
111: longitudinal groove
112: block
113: transverse groove
114: reinforcing rib

Claims (12)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로서,
상기 트레드부 상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트레드부의 접지면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그루브;
상기 트레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그루브에 배치되며, 상기 블록의 일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A pneumatic tire comprising a trea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plurality of grooves concavely formed on the tread part,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ground surface of the tread part, and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ne or more blocks disposed on the tread part and partitioned by the plurality of grooves; and
, Pneumatic tire comprising a;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grooves, one or more reinforcing ribs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bloc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횡그루브 및 타이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종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횡그루브 및 상기 종그루브에 의해 구획되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verse groove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grooves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The block is partitioned by the transverse groove and the longitudinal groove, the pneumatic ti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타이어의 반경 방향 중심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has a shape that widens toward the radial center of the tir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평행사변형이고, 측면의 기울기가 45도 이상 90도 미만인,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3,
The groove has a cross-sectional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is a parallelogram, and the side slope is 45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90 degre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일측이 상기 그루브의 바닥면과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블록의 측면과 접촉하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rib has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and the other sid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the pneumatic tir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의 일단은 상기 블록의 상단과 접촉하고, 상기 일단에서 타이어의 중심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그루브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5,
One end of the reinforcing rib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block, and extends vertically from the end toward the center of the tire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의 일단은 상기 블록의 상단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일단에서 타이어의 중심을 향해 상기 블록의 측면으로 기울어져 연장되어 상기 그루브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5,
One end of the reinforcing rib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bloc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xtends from the end inclined toward the side of the block toward the center of the tire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5,
The reinforcing rib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pneumatic tir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함몰부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5,
The reinforcing rib has a depression formed concavely on one surface, a pneumatic tir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보강 리브는 상기 블록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5,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are arranged to be staggered with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of the block.
제5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보강 리브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보강 리브의 두께보다 큰,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5,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reinforcing ribs adjacent to each other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rib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타이어의 반경 방향 중심을 향해 폭이 넓어지는 제1 그루브 및 동일한 폭을 갖는 제2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루브 및 상기 제2 그루브는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groove includes a first groove widening toward the radial center of the tire and a second groove having the same width,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each other.
KR1020210118964A 2021-09-07 2021-09-07 Pneumatic tire with block and groove structure with improved stiffness and drainage KR1025778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964A KR102577805B1 (en) 2021-09-07 2021-09-07 Pneumatic tire with block and groove structure with improved stiffness and drain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964A KR102577805B1 (en) 2021-09-07 2021-09-07 Pneumatic tire with block and groove structure with improved stiffness and drain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285A true KR20230036285A (en) 2023-03-14
KR102577805B1 KR102577805B1 (en) 2023-09-13

Family

ID=8550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964A KR102577805B1 (en) 2021-09-07 2021-09-07 Pneumatic tire with block and groove structure with improved stiffness and drain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805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8412A (en) * 1976-09-20 1978-04-08 Sanwa Kk Recording paper winding or rewinding unit
JPS6156017A (en) * 1984-08-27 1986-03-20 井関農機株式会社 Selector in rash harvester
JPH0253608A (en) 1988-08-12 1990-02-22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radial tire
JPH0737709U (en) * 1993-12-24 1995-07-1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radial tires
JPH11192813A (en) * 1998-01-07 1999-07-21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KR101853845B1 (en) * 2016-12-14 2018-05-0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KR20190124490A (en) * 2018-04-26 2019-11-05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Tire for preventing irregular tread wea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8412A (en) * 1976-09-20 1978-04-08 Sanwa Kk Recording paper winding or rewinding unit
JPS6156017A (en) * 1984-08-27 1986-03-20 井関農機株式会社 Selector in rash harvester
JPH0253608A (en) 1988-08-12 1990-02-22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radial tire
JPH0737709U (en) * 1993-12-24 1995-07-1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Pneumatic radial tires
JPH11192813A (en) * 1998-01-07 1999-07-21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KR101853845B1 (en) * 2016-12-14 2018-05-02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KR20190124490A (en) * 2018-04-26 2019-11-05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Tire for preventing irregular tread 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805B1 (en)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5922B2 (en) Pneumatic tire
KR101985672B1 (en) Pneumatic tire
JP5454602B2 (en) Pneumatic tire
US8783311B2 (en) Tire with recessed portions formed on buttress portion
CN110065345B (en) Pneumatic tire
US10427468B2 (en) Pneumatic tire
JP2023064576A (en) tire
JP6488838B2 (en) Pneumatic tire
KR20230036285A (en) Pneumatic tire with block and groove structure with improved stiffness and drainage
JP2017001612A (en) Pneumatic tire
CN110936770B (en) Tyre
US20190381836A1 (en) Tire
US20190176539A1 (en) Pneumatic tire
JP5426287B2 (en) Pneumatic tire
JP6888366B2 (en) tire
JP6759787B2 (en) tire
US10780744B2 (en) Motorcycle pneumatic tire
KR101905117B1 (en) Tire
US20230311580A1 (en) Tire
JP7377091B2 (en) pneumatic tires
JP7474046B2 (en) Pneumatic tires
JP6613001B2 (en) Pneumatic tire
KR101894012B1 (en) Tire
JP7394613B2 (en) pneumatic tires
US11529828B2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