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971A -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한 신호 송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한 신호 송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971A
KR20230035971A KR1020210118603A KR20210118603A KR20230035971A KR 20230035971 A KR20230035971 A KR 20230035971A KR 1020210118603 A KR1020210118603 A KR 1020210118603A KR 20210118603 A KR20210118603 A KR 20210118603A KR 20230035971 A KR20230035971 A KR 20230035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rix
port virtualization
user terminal
base sta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희
최수용
이동헌
정성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8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5971A/ko
Priority to PCT/KR2022/011183 priority patent/WO2023033373A1/ko
Publication of KR20230035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기지국의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송신될 CSI-RS을 생성하고,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을 CSI-RS에 적용함으로써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이 적용된 채널들에 대한 랭크 정보 및 채널들에 대한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SRS에 기초하여 부분 채널 정보를 획득하고, 랭크 정보,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한 신호 송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PORT VIRTUALIZATION MATRIX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 송신 기술로서, 구체적으로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한 신호 송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MU-MIMO(multi user-multi input multi output) 시스템은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를 통해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 내에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주파수 효율(spectral efficiency)를 높일 수 있다. 공간 다중화 방식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채널 상태를 반영한 전처리를 수행한다. 데이터는 포트 프리코더(port precoder)를 통해 CSI-RS(channel state indicator-reference signal) 포트로 이송되고, 이송된 데이터는 포트 가상화 행렬을 통해 안테나 요소(antenna element)로 이송되고, 안테나 요소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포트 프리코더는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한 효과적인 채널(effective channel)에 적합한 값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아 설계된다. 사용자 단말이 측정하는 효과적인 채널에 포트 가상화 행렬(port virtualization matrix)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량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적절한 포트 가상화 행렬의 설계가 필요하다.
기지국이 최적의 포트 가상화 행렬을 설계하기 위해 CSI-RS를 여러 번 송신하는 것은 자원의 소모가 발생하므로, 채널 정보가 부족한 기지국이 최적의 포트 가상화 행렬을 설계하기가 어렵다.
일 실시예는 적은 회수로 CSI-RS를 송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포트 가상화 행렬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의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송신될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을 생성하고,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port virtualization matrix)을 상기 CSI-RS에 적용함으로써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 상기 테스트 신호는 상기 통신 모듈의 복수의 안테나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간의 채널들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파됨 -,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이 적용된 상기 채널들에 대한 랭크(rank) 정보 및 상기 채널들에 대한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부분 채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랭크 정보,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상기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생성하고,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 송신 방법은, 기지국의 통신 모듈의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송신될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을 생성하는 동작,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port virtualization matrix)을 상기 CSI-RS에 적용함으로써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동작 - 상기 테스트 신호는 상기 통신 모듈의 복수의 안테나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간의 채널들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파됨 -,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이 적용된 상기 채널들에 대한 랭크(rank) 정보 및 상기 채널들에 대한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부분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랭크 정보,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상기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포트 가상화 행렬 결정 방법은,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갖는 임의의 기본 행렬들의 집합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기본 행렬들 중 일부를 선택함으로써 포트 가상화 코드북을 생성하는 동작,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port virtualization matrix)을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에 적용함으로써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동작 - 상기 테스트 신호는 상기 기지국의 복수의 안테나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간의 채널들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파됨 -,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이 적용된 상기 채널들에 대한 랭크(rank) 정보 및 상기 채널들에 대한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부분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랭크 정보,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상기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포트 가상화 코드북 내의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포트 가상화 행렬을 사용자 단말로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CSI-RS를 송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포트 가상화 행렬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미리 훈련된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을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포트 가상화 코드북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a 및 8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임의의 기본 행렬들의 집합을 도시한다.
이하, 본 기재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기재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기재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중 입출력 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110) 및 사용자 단말(120)을 예시한다. 도 1은 하나의 기지국만을 도시하나,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기지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일 수 있다. 기지국(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질 수 있다. 기지국(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지노드비(next generation nodeB: gNB)',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20)은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Nrx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사용자 단말(120)이 포함하는 안테나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10)은 Ntx 개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 하향 링크(down link: DL)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은 Nrx 개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기지국(110)이 전파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Ntx 개의 안테나들 및 Nrx 개의 안테나들 간에는 채널들이 생성될 수 있고, 채널들에 대해 채널 정보(H)가 정의 될 수 있다. 채널 정보는 채널 행렬일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CSI-RS를 송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일 예에 따르면, 안테나 요소들의 개수와 CSI-RS 포트들의 개수가 같은 경우, 안테나 요소들 및 CSI-RS 포트들 간 1:1 맵핑(mapping) 방식을 나타내는 단위 행렬(identity matrix)이 이용될 수 있다. 단위 행렬을 이용하는 방식은 최적화된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안테나 요소들의 개수 보다 CSI-RS 포트들의 개수가 적은 경우, 초기에 설정된 포트 가상화 행렬이 이용될 수 있다. 초기에 설정된 행렬을 사용하는 방식은 실제의 데이터 송신 시의 채널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데이터 전송량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두 가지 방식들에서 이용되는 포트 가상화 행렬은 실제의 데이터 송신 시의 안테나들 간의 채널 환경과는 무관하게 설계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제의 데이터 송신 시의 채널 환경에 기초하여 CSI-RS 포트들(221, 222, 223) 및 안테나 요소들(241, 242, 243) 간의 맵핑 관계를 정의하는 포트 가상화 행렬(230)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 및 사용자 단말(예: 도 2의 사용자 단말(120)) 간에 송수신되는 CSI-RS로서 Ccsi-rs(210)는 프리코딩 행렬(미도시) 및 포트 가상화 행렬(230)을 통해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조되고, 변조된 RF 신호는 안테나 요소들(241, 242, 243)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RF 신호에 기초하여 안테나들 간의 채널 환경에 적합한 프리코딩 행렬을 추정하고, 추정된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예: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를 기지국(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110)의 상향 링크(up link: UL)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기지국(110)으로 전파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SRS를 통해 기지국(110)의 안테나들 및 사용자 단말의 특정 안테나 간의 부분 채널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추정된 프리코딩 행렬 및 부분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포트 가상화 행렬(230)을 갱신할 수 있다. 아래에서, 포트 가상화 행렬(230)을 갱신(또는,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예시된 기지국(300)의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기지국(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300)은 무선통신부(310), 백홀통신부(320), 저장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300)은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무선통신부(3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3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31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시, 무선통신부(3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3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10)는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10)는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또는, 패키지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PGA는 설계 가능 논리 소자와 프로그래밍 가능한 내부선이 포함된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가능 논리 소자는 AND, OR, XOR, NOT 등의 논리 게이트 및 더 복잡한 디코더 기능을 복제하여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FPGA는 플립플롭(flip-flop)이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부(310)는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 또는 '송수신기(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32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백홀통신부(320)는 기지국(110)에서 다른 노드(예: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기지국(11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기지국(3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40)는 무선통신부(3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3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저장부(3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제어부(340)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프로토콜 스텍은 무선통신부(31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40)는 상기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에 예시된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사용자 단말(12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부(410), 저장부(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41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4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다수의 송수신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요소는 안테나로 지칭될 수 있고,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안테나 어레이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통신부(410)는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4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4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420)는 사용자 단말(40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420)는 제어부(4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430)는 단말(4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통신부(4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저장부(4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제어부(430)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상기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10)의 일부 및 제어부(430)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포트 가상화 행렬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아래의 동작들(예: 동작들 910 내지 940)이 기지국(도 1의 기지국(110) 또는 도 3의 기지국(300))의 제어부(예: 도 3의 제어부(3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기지국(300)은 기지국(300)의 통신 모듈(예: 무선 통신부(310))의 복수의 안테나들(예: 도 2의 안테나 요소들(241, 242, 243))을 통해 사용자 단말(예: 도 1의 사용자 단말(110) 또는 도 4의 사용자 단말(400))로 송신될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을 생성하고 CSI-RS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RS의 크기는 [Ncsi×Ncsi]일 수 있다.
동작 510에서, 기지국(300)은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
Figure pat00001
)을 CSI-RS에 적용함으로써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들의 개수는 Ncsi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들의 각각은 물리적 안테나 포트 또는 가상 안테나 포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
Figure pat00002
)의 크기는 [Ntx×Ncsi]일 수 있다.
동작 515에서, 기지국(300)은 통신 모듈의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테스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들의 개수는 Ntx일 수 있다.
동작 520에서, 테스트 신호가 기지국(300)의 복수의 안테나들 및 사용자 단말(400)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간의 채널들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들을 나타내는 채널 행렬 H는 [Nrx×Ntx]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테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의 개수는 Nrx일 수 있다.
동작 525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수신한 테스트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들에 대한 랭크 정보 및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수신한 테스트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들을 추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추정된 채널들에 가장 적합한 프리코딩 행렬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미리 생성된 프리코딩 코드북(codebook) 내의 복수의 프리코딩 행렬들 중 어느 하나를 타겟 프리코딩 행렬로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수학식 1]에서, PMI(precoding matrix index)는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이고, M는 프리코딩 코드북 내의 복수의 프리코딩 행렬들의 개수, 행렬 W는 복수의 프리코딩 행렬들 중 어느 하나이고, 행렬 HVcsi는 추정된 채널들을 나타내는 행렬 H이 적용된 포트 가상화 행렬 Vcsi을 의미하고, 행렬 R은 사용자 단말(400)의 리시버 행렬을 의미하고, σ는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행렬 R의 크기는 [r×Nrx]일 수 있다. r은 채널 행렬 H의 랭크(rank)일 수 있다.
동작 530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채널들에 대한 랭크 정보 및 채널들에 대한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예: PMI)를 기지국(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프리코딩 행렬의 크기는 [Ncsi×r]일 수 있다.
동작 535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기지국(300)의 상향 링크(UL)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SRS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중 어느 하나의 타겟 안테나를 이용하여 SRS를 전파할 수 있다. 기지국(300)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SRS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545에서, 기지국(300)은 SRS에 기초하여 부분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부분 채널 정보는 사용자 단말(400)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및 기지국(300)의 복수의 안테나들 간의 전체에 대한 채널 정보가 아니고, 사용자 단말(400)의 타겟 안테나 및 기지국(300)의 복수의 안테나들 간에 대한 일부의 채널 정보일 수 있다.
동작 550에서, 기지국(300)은 랭크 정보,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
Figure pat00004
)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된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의 크기는 [Ncsi×r]일 수 있다.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은 이전의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률에 비해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갖도록 생성(또는,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300)은 미리 훈련된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에 랭크 정보,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부분 채널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에 대해, 아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300)은 미리 훈련된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에 랭크 정보,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부분 채널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에 대한 결과로서 미리 생성된 포트 가상화 코드북의 복수의 후보 포트 가상화 행렬들 중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획득할 수 있다. 포트 가상화 코드북을 미리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예를 들어,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의 요소는 0 또는 1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의 요소는 지수 함수의 조합일 수 있다.
동작 555에서, 기지국(300)은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300)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s를 랭크에 대응하는 r 개의 데이터 스트림들로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300)은 생성된 데이터 스트림들에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560에서, 기지국(300)은 데이터 신호를 RF 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로 송신할 수 있다.
동작 565에서, 데이터 신호가 기지국(300)의 복수의 안테나들 및 사용자 단말(300)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간의 채널들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동작 570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s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미리 훈련된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타겟 프리코딩 행렬(WPMI), 부분 채널 정보(HSRS) 및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
Figure pat00005
)의 곱 행렬(HSRS
Figure pat00006
), 및 랭크(r)를 입력으로 하고, 입력에 대한 결과로서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
Figure pat00007
)을 출력하는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이 미리 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은 DNN(deep neural network)에 기반한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은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
Figure pat00008
)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행렬의 각 요소를 결정함으로써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
Figure pat00009
)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렬의 각 요소는 0 또는 1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행렬의 각 요소는 지수 함수의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은 미리 생성된 포트 가상화 코드북 내의 복수의 후보 포트 가상화 행렬들 중 어느 하나를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
Figure pat00010
)로 결정(또는, 선택)할 수 있다. 포트 가상화 코드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실험 결과>
일 예에 따르면, 임의의 후보 포트 가상화 행렬들이 100개 생성되고, 그 중에서 다양한 채널 상황에서 데이터의 전송률이 가장 높게 측정된 L개의 후보 포트 가상화 행렬들이 선별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실험에 이용된 변수들의 값을 나타낸다. [표 2], [표 3], [표 4]는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을 이용한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의 선택의 정확도와 선택된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하였을 때의 전송률을 나타낸다.
송/수신 안테나 Nrx = 4, Ntx = 32 Solver adam
CSI-RS 포트 Ncsi = 8 Max epoch 105
SRS 안테나의 개수 NSRS = 1 Training set 95000
Channel Rayleigh Validation set 5000
Receiver MMSE input의 개수 1(RI)+2Х(32(precoder)+8(SRS channel)) = 81
SNR 20dB Activation function Hidden : ReLU, Output : Softmax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15개와 30개의 포트 가상화 행렬로 이루어진 코드북이 이용되는 경우, 2개의 히든 레이어(hidden layer)와 입력 값의 8배에 해당하는 노드를 가진 DNN 모델에서 포트 가상화 행렬의 선택 정확도가 100%를 달성하였다. 학습된 DNN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포트 가상화 행렬의 갱신 없이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
Figure pat00014
)을 계속적으로 이용하는 기존의 방식 대비 각각 8.4%와 10.1%의 데이터 전송률의 성능 향상이 달성되었다. L개의 후보 포트 가상화 행렬들을 선별하지 않고, 100개의 후보 포트 가상화 행렬들을 모두 이용하여 철저한 검색(exhaustive search)을 수행하는 경우 기존 방식 대비 12.4%의 성능 향상이 달성되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포트 가상화 코드북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 505이 수행되기 전에, 아래의 동작들 710 및 720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동작들 710 및 720은 기지국(300) 또는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기지국(300)은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갖는 임의의 기본 행렬들의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크기는 기지국(300)의 복수의 안테나들의 개수 및 CSI-RS 포트들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행렬의 행의 크기는 안테나들의 개수이고, 열의 크기는 CSI-RS 포트들의 개수일 수 있다. 기본 행렬들의 집합에 대해, 아래에서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동작 720에서, 기지국(300)은 기본 행렬들 중 일부를 선택함으로써 포트 가상화 코드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300)은 기본 행렬들 중 전송 성능(예: 데이터 전송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일부(예: 미리 설정된 개수(L))를 선택함으로써 포트 가상화 코드북을 생성할 수 있다. 포트 가상화 코드북 내의 포트 가상화 행렬은 후보 포트 가상화 행렬일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임의의 기본 행렬들의 집합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본 행렬의 행의 크기는 안테나들의 개수이고, 열의 크기는 CSI-RS 포트들의 개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기본 행렬들의 집합은 각 행의 요소들 중 어느 하나만 1이고, 나머지의 요소들은 0인 기본 행렬들을 포함한다.
다른 예로, 도 8b에 도시된 기본 행렬들의 집합은 행렬 내의 모든 요소들이 0 또는 1을 갖는 기본 행렬들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기지국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의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송신될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을 생성하고,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port virtualization matrix)을 상기 CSI-RS에 적용함으로써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 - 상기 테스트 신호는 상기 통신 모듈의 복수의 안테나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간의 채널들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파됨 -,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이 적용된 상기 채널들에 대한 랭크(rank) 정보 및 상기 채널들에 대한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부분 채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랭크 정보,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상기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생성하고,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 및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의 개수 보다 적은 개수의 하나 이상의 포트들을 맵핑하는 행렬인,
    기지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recoding matrix index: PMI)인,
    기지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에 대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는 아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계산되고,
    [수학식 1]
    Figure pat00015

    [수학식 1]에서, PMI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이고, M는 프리코딩 코드북 내의 복수의 프리코딩 행렬들의 개수, 행렬 W는 상기 복수의 프리코딩 행렬들 중 어느 하나이고, 행렬 HVcsi는 상기 채널들을 나타내는 행렬 H이 적용된 포트 가상화 행렬 Vcsi을 의미하고, 행렬 R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리시버 행렬을 의미하고, r은 상기 행렬 H의 랭크이고, σ는 미리 설정된 값인,
    기지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생성된 포트 가상화 코드북의 복수의 후보 포트 가상화 행렬들 중 상기 랭크 정보,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상기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결정하는,
    기지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훈련된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에 상기 랭크 정보,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상기 부분 채널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에 대한 결과로서 상기 포트 가상화 코드북의 상기 복수의 후보 포트 가상화 행렬들 중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획득하는,
    기지국.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갖는 임의의 기본 행렬들의 집합을 생성하고,
    상기 기본 행렬들 중 일부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포트 가상화 코드북을 생성하는,
    기지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훈련된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에 상기 랭크 정보,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상기 부분 채널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생성하는,
    기지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의 요소는, 0 또는 1인,
    기지국.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의 요소는, 지수 함수의 조합인,
    기지국.
  11.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통신 모듈의 복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송신될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을 생성하는 동작;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port virtualization matrix)을 상기 CSI-RS에 적용함으로써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동작 - 상기 테스트 신호는 상기 통신 모듈의 복수의 안테나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간의 채널들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파됨 -;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이 적용된 상기 채널들에 대한 랭크(rank) 정보 및 상기 채널들에 대한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부분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랭크 정보,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상기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 및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의 개수 보다 적은 개수의 하나 이상의 포트들을 맵핑하는 행렬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recoding matrix index: PMI)인,
    신호 송신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에 대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는 아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수학식 1]
    Figure pat00016

    [수학식 1]에서, PMI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이고, M는 프리코딩 코드북 내의 복수의 프리코딩 행렬들의 개수, 행렬 W는 상기 복수의 프리코딩 행렬들 중 어느 하나이고, 행렬 HVcsi는 상기 채널들을 나타내는 행렬 H이 적용된 포트 가상화 행렬 Vcsi을 의미하고, 행렬 R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리시버 행렬을 의미하고, r은 상기 행렬 H의 랭크이고, σ는 미리 설정된 값인,
    신호 송신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결정하는 동작은,
    미리 생성된 포트 가상화 코드북의 복수의 후보 포트 가상화 행렬들 중 상기 랭크 정보,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상기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갖는 임의의 기본 행렬들의 집합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기본 행렬들 중 일부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포트 가상화 코드북을 생성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생성하는 동작은,
    미리 훈련된 포트 가상화 행렬 생성 모델에 상기 랭크 정보,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상기 부분 채널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생성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9.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포트 가상화 행렬 결정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갖는 임의의 기본 행렬들의 집합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기본 행렬들 중 일부를 선택함으로써 포트 가상화 코드북을 생성하는 동작;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port virtualization matrix)을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에 적용함으로써 생성된 테스트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동작 - 상기 테스트 신호는 상기 기지국의 복수의 안테나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간의 채널들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파됨 -;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초기 포트 가상화 행렬이 적용된 상기 채널들에 대한 랭크(rank) 정보 및 상기 채널들에 대한 타겟 프리코딩 행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부분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랭크 정보, 상기 타겟 프리코딩 행렬 및 상기 부분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포트 가상화 코드북 내의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을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타겟 포트 가상화 행렬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포트 가상화 행렬 결정 방법.
KR1020210118603A 2021-09-06 2021-09-06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한 신호 송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30035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603A KR20230035971A (ko) 2021-09-06 2021-09-06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한 신호 송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PCT/KR2022/011183 WO2023033373A1 (ko) 2021-09-06 2022-07-29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한 신호 송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603A KR20230035971A (ko) 2021-09-06 2021-09-06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한 신호 송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971A true KR20230035971A (ko) 2023-03-14

Family

ID=8541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603A KR20230035971A (ko) 2021-09-06 2021-09-06 포트 가상화 행렬을 이용한 신호 송신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5971A (ko)
WO (1) WO20230333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5599B2 (en) * 2012-07-02 2020-05-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77584A1 (en) * 2014-11-14 2016-05-1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ntenna virtualization in two-dimensional antenna array
EP3337054A4 (en) * 2015-08-13 2018-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EP3704801B1 (en) * 2017-10-30 2021-05-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debook design for virtualized active antenna system (aas)
WO2020117106A1 (en) * 2018-12-05 2020-06-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scalable method for obtaining ue-specific cs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373A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5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channe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device
JP7249334B2 (ja) アップリンク伝送方法および構成方法、端末ならびに基地局
RU2713444C1 (ru) Многолучевые кодовые книги с дополнительно оптимизированными издержками
KR10261641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구성에 기반한 빔 탐색 장치 및 방법
RU2707735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о выборе подпространства
JP7070407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EP36414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KR2018010801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4309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형 빔포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133883A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코드북 설계 방법 및 데이터 전송 방법
JP2022529124A (ja) 通信効率の向上
WO2018228599A1 (zh) 通信方法、通信装置和系统
WO201519926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고주파 대역 통신을 위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iu et al. Joint burst LASSO for sparse channel estimation in multi-user massive MIMO
US20230164004A1 (en) Channel parameter obtaining method and apparatus
CN110324070B (zh) 通信方法、通信装置和系统
CN111106857A (zh) 指示和确定预编码向量的方法以及通信装置
Guo et al. Genetic algorithm-based beam refinement for initial access in millimeter wave mobile networks
CN113746514A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11757382B (zh) 指示信道状态信息的方法以及通信装置
CN115053498B (zh) 预测信道状态信息的方法及装置
WO2018137642A1 (zh) 信道质量信息的上报方法、多用户调度方法及装置
KR20190075430A (ko) 중계기를 사용하는 다중 안테나 다중 송수신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118389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11756422A (zh) 指示信道状态信息的方法以及通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