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757A -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757A
KR20230035757A KR1020210118139A KR20210118139A KR20230035757A KR 20230035757 A KR20230035757 A KR 20230035757A KR 1020210118139 A KR1020210118139 A KR 1020210118139A KR 20210118139 A KR20210118139 A KR 20210118139A KR 20230035757 A KR20230035757 A KR 20230035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ful
site
harmfulness
client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659B1 (ko
Inventor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주)피플인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플인넷 filed Critical (주)피플인넷
Priority to KR1020210118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65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5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2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managing network security; network security polici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 H04L63/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intercepting packet switched data communications, e.g. Web, Internet or IM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 H04L63/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retaining data, e.g. retaining successful, unsuccessful communication attempts, internet access, or e-mail, internet telephony, intercept related information or call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유해 사이트를 빠르게 판단하고 차단하여 안전한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추출된 유해 대상 사이트를 대상으로 서버에서 최종적으로 유해 사이트 판정하여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업데이트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은, 유해성 관리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로 유해 차단 브라우저와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포함하는 유해사이트 차단서비스정보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 및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유해 차단 브라우저의 동작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사이트 접속정보와 기 등록된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비교하여 유해사이트 여부를 판단하고, 유해사이트로 판단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을 차단하고 접속차단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사이트 접속정보가 유해사이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을 허용하고,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추적 분석하여 유해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유해 대상으로 판단된 유해 대상 사이트 정보를 유해성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4 단계, 유해성 관리 서버에서 기 등록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가 유해사이트로 판단되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정보를 유해 사이트 리스트에 추가하여 갱신함과 더불어 이를 근거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갱신하는 제 단계 및, 유해성 관리 서버에서 갱신된 유해사이트 리스트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 등록된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갱신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Method for blocking harmful sites based on clien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유해 사이트를 빠르게 판단하고 차단하여 안전한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추출된 유해 대상 사이트를 대상으로 서버에서 최종적으로 유해 사이트 판정하여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업데이트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를 연결하는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의 보급은 현대인의 생활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제는 정보를 얻기 위해 노력하던 시대에서 더 나아가 인터넷과 같은 접근이 용이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넘쳐나는 수많은 정보에서 유용한 정보를 어떻게 선별하느냐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공유는 현대인의 기술 발전과 지식 공유에 놀라운 공헌을 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나, 그 용이한 접근 가능성과 정보의 빠른 확산은 많은 부작용을 수반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최근 각종 매체를 통해 유해 컨텐츠가 다양한 연령층에 무분별하게 노출되고 있다. 특히 분별력이 부족한 아동에게까지 유해 컨텐츠가 보여지고 있어 심히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유해 컨텐츠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나 네트워크 주소 기반 차단, 음란물 정보 DB를 이용한 차단 등이 있다.
이러한 유해 사이트 차단 기술은 크게 두가지로 나뉘어진다. 사이트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유해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유해 사이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불법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유해 사이트 차단 기술은 대부분 유해 사이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 접근을 막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 방법이 실시간 분석하는 방법보다 좀 더 편리하고 효과적이다.
그러나, 유해 사이트 차단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서버에서 모든 데이터를 확인하여 차단 및 경고 페이지를 띄우는 방식으로 서버에 부하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가상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을 사용하여 서버를 피해가는 방식으로 유해 사이트 이용이 가능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현재 유해 사이트는 계속해서 생겨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무분별하게 생겨나는 유해 사이트를 서버에서 일괄적으로 감시하여 유해 사이트 리스트를 추가하기에는 부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유해 사이트를 감시하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50205호 (명칭 : 유해사이트 접속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유해사이트 접속차단 서비스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유해 사이트를 빠르게 판단하여 차단하여 안전한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접속 허용된 사이트를 추적 분석하여 유해 사이트로 판단되는 유해 대상 사이트정보를 서버로 제공하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추출된 유해 대상 사이트를 대상으로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유해 사이트 판결하여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유해성 관리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로 유해 차단 브라우저와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포함하는 유해사이트 차단서비스정보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 및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유해 차단 브라우저의 동작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사이트 접속정보와 기 등록된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비교하여 유해사이트 여부를 판단하고, 유해사이트로 판단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을 차단하고 접속차단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사이트 접속정보가 유해사이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을 허용하고,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추적 분석하여 유해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유해 대상으로 판단된 유해 대상 사이트 정보를 유해성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4 단계, 유해성 관리 서버에서 기 등록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가 유해사이트로 판단되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정보를 유해 사이트 리스트에 추가하여 갱신함과 더불어 이를 근거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갱신하는 제5 단계 및, 유해성 관리 서버에서 갱신된 유해사이트 리스트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 등록된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갱신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유해사이트 리스트는 성인사이트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사이트 접속정보가 성인사이트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성인 인증을 수행하여 성인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해당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고, 성인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으면 해당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차단함과 더불어 접속차단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5 단계에서 유해성 관리 서버는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통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로 판단된 경우, 기 등록된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의 무해성 여부를 판단하고, 무해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를 유해 사이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5 단계에서 유해성 관리 서버는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통해 유해 사이트로 판단된 유해 대상 사이트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유해 사이트 결정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를 최종적으로 유해 사이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5 단계에서 유해성 관리 서버는 유해 대상 사이트가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통해 유해사이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거나 관리자 단말로부터 유해 사이트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 정보를 근거로 기 등록된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유해 사이트를 빠르게 판단하여 차단하여 안전한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추출된 유해 대상 사이트를 대상으로 서버에서 최종적으로 유해 사이트 판결하여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업데이트시키고 이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주기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서버에서의 유해 사이트 차단 기능 수행 업무를 클라이언트 단말에 분산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안전한 유해사이트 차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발명이 적용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유해성 관리 서버(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1은 발명이 작용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시스템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유해성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고, 관리자 단말(3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기 설치된 유해차단 브라우저(101)를 통해 클라이언트에 의해 접속요구되는 사이트의 유해성 여부를 판단하고, 유해 사이트로 판단시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 차단 안내메시지를 표시출력한다. 여기서, 유해차단 브라우저(101)는 유해성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어지는 전용 브라우저 이거나 또는 크롬, 엣지, 사파리 등의 범용 브라우저에 플러그 방식으로 지원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유해 사이트로 판단되지않은 접속 허용된 사이트에 대해서는 해당 사이트의 이미지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유해 대상 여부를 판단하며, 유해 대상 판단시 해당 사이트 정보를 유해성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여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에 대한 유해성 판단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개인통신단말로,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의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통신 기기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유해성 관리 서버(200)는 기 등록된 유해 사이트 리스트 및 유해 차단 브라우저를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제공하고,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유해 대상 사이트정보를 기 등록된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 여부를 판단하며, 유해 사이트로 판단된 유해 대상 사이트 정보를 기 등록된 유해 사이트 리스트에 추가 등록한다.
또한, 유해성 관리 서버(200)는 일정 주기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유해 사이트가 추가된 유해 사이트 리스트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저장된 유해 사이트 리스트를 갱신한다.
관리자 단말(300)은 유해사이트 차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로서, 유해성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유해 대상 사이트의 유해 사이트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로, 유해 차단 브라우저(101)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정보 입력부(110)와 정보 출력부(120), 통신부(130), 데이터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정보 입력부(110)는 클라이언트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수단으로,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되는 사이트 접속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사이트 접속정보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웹 화면 선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이트 접속정보는 검색어 또는 URL 주소가 될 수 있다.
정보 출력부(120)는 유해 사이트에 대응되는 접속 차단 메시지, 성인 사이트에 대응되는 성인 인증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접속 허용된 사이트의 웹 화면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통신부(130)는 접속 허용된 사이트를 운용하는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거나 유해성 관리 서버(200)와 통신한다.
데이터 메모리(140)는 유해성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유해 차단 브라우저와, 유해성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유해사이트 리스트, 유해성 판별 조건정보를 포함한 유해사이트 차단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유해사이트 리스트는 성인사이트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된 사이트 접속정보와 기 등록된 유해 사이트 리스트를 비교하여 접속 요구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인 경우, 접속 차단 메시지를 정보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하고,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을 차단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접쇽 요구 사이트가 성인 사이트인 경우, 성인 인증 요구 메시지를 정보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하고, 이에 대해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근거로 성인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을 허용하고, 성인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접속 차단 메시지를 정보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함과 더불어 접속을 차단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접속 요구 사이트가 기 등록된 유해 사이트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을 허용하고, 접속 허용된 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이미지를 추적 분석하여 유해성 여부를 판별하며, 유해성 판별시 해당 사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유해 대상 사이트정보를 유해성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접속 허용된 사이트의 이미지에 살색과 빨강색이 일정 이상 존재하는지의 제1 조건과, 총이나 칼 등의 무기류 형상이 존재하는지의 제2 조건 및, 둘 이상의 사람들의 움직임 변화에 기반한 폭력 움직임인지의 제3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사이트가 유해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유해성 관리 서버(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유해성 관리 서버(200)는 서비스 관리부(210)와 유해사이트 판단부(220), 유해사이트 갱신부(230) 및 데이터 베이스(240)를 포함한다.
서비스 관리부(210)는 서비스 가입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유해 차단 브라우저 및 유해사이트 리스트정보를 제공하고, 이후 일정 주기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업데이트 시킨다.
유해사이트 판단부(22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집한 유해 대상 사이트정보를 기 등록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에 적용하여 유해성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은 데이터 베이스(240)에 기 등록된 다수의 유해 사이트의 웹 구조정보로부터 팝업 창의 개수, 바탕색, 프레임 갯수, 프레임 색을 포함하는 기준 항목들에 대한 값을 추출하고, 각 기준 항목들에 대한 패턴과의 일치율을 근거로 유해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은 데이터 베이스(240)에 기 등록된 다수의 유해 사이트에서 추출된 유해 텍스트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유해 텍스트의 출력 여부를 근거로 유해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은 웹 구조 또는 유해 텍스트 뿐 아니라, 유해성 판결을 위한 다양한 특징 조건들을 기반으로 유해성 여부를 판단하도록 모델링 될 수 있다.
또한, 유해사이트 판단부(220)는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통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로 판단된 경우, 기 등록된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의 무해성 여부를 판단하고, 무해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를 유해 사이트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유해사이트 판단부(220)는 관리자 단말(300)로 유해 사이트로 결정된 사이틀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관리자 단말로부터 유해사이트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때에 최종적으로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를 유해사이트로 결정할 수 있다.
유해사이트 갱신부(230)는 유해사이트 판별부(220)에서 유해사이트로 결정된 유해사이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40)에 기 등록된 유해사이트 리스트에 추가등록한다.
또한, 유해사이트 갱신부(230)는 일정 주기로 서비스 가입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갱신된 유해사이트 리스트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유해사이트 갱신부(230)는 일정 기간 단위 또는 추가 유해사이트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상 누적되는 때에 갱신된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240)는 서비스 가입된 클라이언트 단말정보와, 유해사이트 차단 브라우저 및,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포함한 유해사이트 차단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시스템의 동작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해성 관리 서버(200)에는 공지된 다수의 유해사이트 리스트와, 유해 차단 브라우저가 등록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유해사이트 차단 서비스 가입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유해성 관리 서버(200)는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40)에 등록하는 일련의 서비스 가입절차를 수행한다(ST100).
이어, 유해성 관리 서버(200)는 서비스 가입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유해 차단 브라우저 및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포함하는 유해사이트 차단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유해차단 브라우저가 설치됨과 더불어 유해사이트 리스트가 저장된다(ST200). 여기서, 유해 차단 브라우저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기 설치된 범용 브라우저에 플러그 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유해차단 브라우저(101)가 설치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가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통해 사이트 접속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입력된 사이트 접속정보와 기 등록된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비교하여 해당 사이트가 유해사이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T300). 이때, 사이트 접소정보는 URL이거나 검색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ST300 단계에서 해당 사이트 접속정보가 유해사이트로 판단된 경우, 접속차단 메시지를 표시출력한다(ST400).
상기 ST400 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해당 사이트 접속정보가 유해사이트 리스트의 성인 사이트인 경우, 성인인증요청 화면을 표시출력하고, 이에 대해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인증정보를 근거로 성인 인증을 수행하며, 성인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지지 않으면 접속차단 메시지를 표시출력하고, 성인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해당 사이트를 접속 허용한다. 이때, 성인 인증은 유해성 관리 서버(200)와 연동하거나 별도의 인증 서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ST300 단계에서 해당 사이트 접속정보가 유해사이트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사이트를 접속 허용하고, 접속 허용된 사이트의 이미지를 추적 분석하여 유해 대상 여부를 판단한다(ST500).
상기 ST500 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접속 허용된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유해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사이트를 유해 대상 사이트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ST500 단계에서 접속 허용된 사이트가 유해 대상 사이트라고 판단되면, 해당 사이트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유해 대상 사이트정보를 유해성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ST600).
유해성 관리 서버(200)는 기 등록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에 대한 유해사이트 여부를 판단한다(ST700). 여기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은 기 등록된 유해사이트 리스트에 해당하는 다수의 유해사이트를 기반으로 기 등록된 유해사이트들의 유해성 판단항목과 유사한 패턴을 갖는 사이트를 유해 사이트로 결정한다.
그리고, 유해성 관리 서버(200)는 유해 사이트로 결정된 유해 대상 사이트정보를 유해 사이트 리스트에 추가함과 더불어, 추가된 유해 사이트정보를 근거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갱신한다(ST800). 이때, 상기 ST700 단계에서 유해성 관리 서버(200)는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에 의해 유해 사이트로 결정된 유해 대상 사이트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에 의해 유해 사이트 결정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를 유해 대상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이후, 유해성 관리 서버(200)는 갱신된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서비스 가입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이를 근거로 기 등록된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갱신한다(ST900).
한편, 본 발명에서 유해성 관리 서버(200)는 상기 ST700 단계에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통해 유해 사이트로 판단된 유해 대상 사이트를 기 등록된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에 적용하여 무해성 여부를 판단하고, 무해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경우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를 유해 사이트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은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유해 대상 사이트 중 유해 사이트가 아닌 것으로 결정된 유해 대상 사이트를 기반으로 무해성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상기 ST700 단계에서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의 판단 결과 유해 대상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유해성 관리 서버(200)는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를 기 등록된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의 학습데이터로 추가하여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갱신한다.
이때, 유해성 관리 서버(200)는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에 의해 유해 사이트로 판단된 유해 대상 사이트가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유해 사이트가 아닌 것으로 최종 결정된 경우,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를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의 학습 데이터로 추가하여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갱신할 수 있다.
100 : 클라이언트 단말, 101 : 유해 차단 브라우저,
200 : 유해성 관리 서버, 300 : 관리자 단말,
110 : 정보 입력부, 120 : 정보 출력부,
130 : 통신부, 140 : 데이터 메모리,
150 : 제어부, 210 : 서비스 관리부,
220 : 유해사이트 판단부, 230 : 유해사이트 갱신부,
2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유해성 관리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로 유해 차단 브라우저와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포함하는 유해사이트 차단서비스정보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 및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유해 차단 브라우저의 동작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사이트 접속정보와 기 등록된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비교하여 유해사이트 여부를 판단하고, 유해사이트로 판단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을 차단하고 접속차단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사이트 접속정보가 유해사이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을 허용하고,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추적 분석하여 유해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유해 대상으로 판단된 유해 대상 사이트 정보를 유해성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4 단계,
    유해성 관리 서버에서 기 등록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가 유해사이트로 판단되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정보를 유해 사이트 리스트에 추가하여 갱신함과 더불어 이를 근거로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갱신하는 제5 단계 및,
    유해성 관리 서버에서 갱신된 유해사이트 리스트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 등록된 유해사이트 리스트를 갱신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사이트 리스트는 성인사이트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사이트 접속정보가 성인사이트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성인 인증을 수행하여 성인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해당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고, 성인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으면 해당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차단함과 더불어 접속차단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유해성 관리 서버는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통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로 판단된 경우, 기 등록된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의 무해성 여부를 판단하고, 무해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를 유해 사이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유해성 관리 서버는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통해 유해 사이트로 판단된 유해 대상 사이트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로부터 유해 사이트 결정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를 최종적으로 유해 사이트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유해성 관리 서버는 유해 대상 사이트가 유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통해 유해사이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거나 관리자 단말로부터 유해 사이트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해당 유해 대상 사이트 정보를 근거로 기 등록된 무해성 판단 학습모델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KR1020210118139A 2021-09-06 2021-09-06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KR102536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139A KR102536659B1 (ko) 2021-09-06 2021-09-06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139A KR102536659B1 (ko) 2021-09-06 2021-09-06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757A true KR20230035757A (ko) 2023-03-14
KR102536659B1 KR102536659B1 (ko) 2023-05-26

Family

ID=8550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139A KR102536659B1 (ko) 2021-09-06 2021-09-06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870B1 (ko) * 2023-07-24 2024-03-12 주식회사 누리랩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피싱 사이트와 연관된 url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055A (ko) * 2001-08-29 2003-03-06 박정수 유해사이트의 접속차단용 장치
KR100848319B1 (ko) * 2006-12-07 2008-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 구조정보를 이용한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
KR100907172B1 (ko) * 2007-07-11 2009-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영상 유통 환경에서 유해 동영상의 다단계 차단 시스템및 방법
KR20100050205A (ko) 2008-11-05 2010-05-13 플러스기술주식회사 유해사이트 접속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유해사이트 접속차단 서비스 방법
KR102259730B1 (ko) * 2019-10-31 2021-06-02 김민석 인공지능 기반의 유해 컨텐츠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055A (ko) * 2001-08-29 2003-03-06 박정수 유해사이트의 접속차단용 장치
KR100848319B1 (ko) * 2006-12-07 2008-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 구조정보를 이용한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
KR100907172B1 (ko) * 2007-07-11 2009-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영상 유통 환경에서 유해 동영상의 다단계 차단 시스템및 방법
KR20100050205A (ko) 2008-11-05 2010-05-13 플러스기술주식회사 유해사이트 접속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유해사이트 접속차단 서비스 방법
KR102259730B1 (ko) * 2019-10-31 2021-06-02 김민석 인공지능 기반의 유해 컨텐츠 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659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16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reporting online sessions
KR102355973B1 (ko) 스미싱 메시지 판별장치 및 스미싱 메시지 판별방법
US10977056B2 (en) System for utilizing one or more data sources to generate a customized interface
US10878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US20230029927A1 (en) Inline and contextual delivery of database content
US20160092768A1 (en) Providing application recommendations
US9544380B2 (en) Data analytics and security in social networks
CN107257359A (zh) 基于用户动作向计算设备提供可操作内容
EP3469495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 user interface customized for a predicted user activity
US20170353564A1 (en) Identifying users of client devices for tracking user interactions with content distributed by content provider systems
KR102550923B1 (ko) 유해 사이트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528132B (zh) 应用于浏览器的文本输入框显示方法和装置
KR20080052097A (ko) 웹 구조정보를 이용한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
US9235693B2 (en)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tracking and preventing execution of restricted applications
CN103744575A (zh) 一种用于提供输入应用的输入辅助区域的方法与设备
KR102536659B1 (ko) 클라이언트 기반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Toperesu et al. Mobile learning considerations in higher education: potential benefits and challenges for students and institutions.
KR101870401B1 (ko) 맞춤형 교육관리 시스템
CN108804501A (zh) 一种检测有效信息的方法及装置
WO2023115974A1 (zh) 多媒体资源推荐、对象表征网络的生成方法及装置
US200701300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analysis for an optimal course of action for desired effects
KR20200125410A (ko) 영화 속성 언어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218673B2 (en) Web content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2428235B1 (ko) 유해 사이트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056152B (zh) 一种设备检测方法和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