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808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808A
KR20230034808A KR1020210121032A KR20210121032A KR20230034808A KR 20230034808 A KR20230034808 A KR 20230034808A KR 1020210121032 A KR1020210121032 A KR 1020210121032A KR 20210121032 A KR20210121032 A KR 20210121032A KR 20230034808 A KR20230034808 A KR 20230034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reflector
paragraph
dishwash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641B1 (ko
Inventor
고명원
김경래
박동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3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808A/ko
Priority to KR102024000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브의 하면에 배치되고 하부 랙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에 대한 세척력을 높이기 위한 세척력보완수단 및 이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바텀브라켓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터브의 하면에 배치되고 하부 랙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에 대한 세척력을 높이기 위한 세척력보완수단 및 이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바텀브라켓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터브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행정, 세척대상물에 대한 행굼을 진행하는 행굼행정, 세척 및 행굼이 완료된 세척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세척행정, 행굼행정 및 건조행정 등은 모두 터브의 내부에서 진행된다.
특히, 당업계에 세척조로 알려져 있는 터브는 내부에 세척공간을 형성하되, 전면을 통한 세척대상물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전면은 전체적으로 개방되는 상태가 되며, 전면을 제외한 상하면, 좌우면 및 후면은 대체로 막혀있는 상태가 되도록 제조된다.
터브의 세척공간 내부에는 세척대상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납부는 각각 개별적으로 터브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랙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랙 중에서 하부 랙은 가장 하부에 배치되며, 가장 많은 세척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하부 랙에 수납되는 세척대상물은 하부 랙의 상측에서 하부 랙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과, 하부 랙의 하측에서 하부 랙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을 이용하여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상부 분사암과 상부 분사암은 세척수가 세척대상물을 향해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회전식 분사암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터브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공간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하부 랙은 육면체 박스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식 분사암으로 형태로 구비되는 상부 분사암과 하부 분사암을 통해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영역이 하부 랙에 국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특히, 터브의 하면에 인접한 영역 중에서 터브의 양측면과 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 부근 영역에는 특히 세척수가 효과적으로 분사될 수 없게 되어 세척력이 부족하게 되는 사각 영역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25761호(선행문헌 001)에는, 터브의 하면에 고정식으로 배치되는 고정노즐 및 고정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이동식 베인을 포함하는 세척력보완수단을 이용하여 세척력이 부족하게 되는 사각영역에 대한 세척력을 보강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이동식 베인 및 이동식 베인을 위한 베인구동부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한다. 즉, 이동식 베인의 슬라이딩 왕복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모터, 감속기구부 및 가이드레일 등 다수의 추가 부품이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터브의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며 제조비용이 상당한 수준으로 상승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내부에 고정식 노즐, 이동식 베인 및 베인구동부가 설치되는 공간과, 이동식 베인의 슬라이딩 왕복이동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터부 내부의 공간활용성이 상당히 악화될 수밖에 없으며, 수납부가 배치되는 세척공간의 실질적인 감소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5761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척력보완수단으로서 고정식 리플렉터와, 리플렉터를 터브에 연결시키는 바텀브라켓을 사각영역에 단순히 배치하고 고정하여 사각영역에 대한 세척력을 보강하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랙 및 하부 분사암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에 고정식 리플렉터를 배치하여 터브 내부의 세척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하고 세척공간의 실질적인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및 상기 세척공간으로부터 인출가능하게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이 거치되는 하부 랙; 상기 터브의 하면과 상기 하부 랙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분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하는 하부 분사암; 및 상기 터브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분사암의 회전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텀브라켓은, 상기 터브의 하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의 하면에 체결되는 고정부;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연결부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터브의 하면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터브의 하면에 용접을 통해서 체결되는 식기세척기.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터브의 하면을 향해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비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1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텀브라켓은, 일단부가 상기 제1 연결부에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까지 연장되며, 사각홀 형상의 제1 걸림홀;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까지 연장되며, 사각홀 형상의 제2 걸림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걸림홀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제2 걸림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걸림홀의 일단부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제1 걸림홀의 타단부의 좌우방향 폭보다 더 크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분사암의 회전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세척대상물을 향하도록 상기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바텀브라켓의 지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터브의 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터브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의 저면에는 상기 바텀브라켓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리플렉터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결합홀에 걸림 결합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리플렉터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결합홀에 후크 결합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터브의 저면의 좌측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따라 ㄱ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리플렉터; 및 상기 터브의 저면의 우측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따라 ㄱ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터브의 좌측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상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터브의 우측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상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력보완수단으로서 고정식 리플렉터와, 리플렉터를 터브에 연결시키는 바텀브라켓을 사각영역에 단순히 배치하고 고정하여 사각영역에 대한 세척력을 보강하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하부 랙 및 하부 분사암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에 고정식 리플렉터를 배치하여 터브 내부의 세척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하고 세척공간의 실질적인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바텀 터브에 하부 분사암 및 리플렉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리플렉터의 정면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리플렉터의 저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바텀 터브에 바텀브라켓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리플렉터가 바텀브라켓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저면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3의 평면도로서 하부 분사암과 리플렉터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3의 부분확대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60)를 구비한다.
이 때,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터브(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터브로 알려져 있는 구성이다.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부(6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터브(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터브(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부(6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측에 배치되며, 터브(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6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60)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의 내부에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6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62)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분사부(60)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60)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하부 랙(51)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62)은 분사암 홀더(46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터브(20)의 하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는 반사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6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분사부(6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50)는 터브(20)의 내부에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은 각각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54)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54)은 상부레일(541), 하부레일(542), 및 탑레일(5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을 터브(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가이드 레일(54)은 분사부(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부(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30)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30)의 외측면에는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31) 및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32)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32)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은 도어(30)의 폐쇄시 터브(2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0)의 내측면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의 내부로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풍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20)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건조풍공급부에서 생성된 고온 건조풍이 터브의 내부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풍공급홀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 리플렉터 및 바텀브라켓의 세부 구성]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터브(20) 및 세척력보완수단으로서 리플렉터(29)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식기세척기(1)의 세척공간(21)을 형성하는 터브(20)는 복수 개의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터브(20)는 3개의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터브(20)가 3개의 파트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터브(20)가 3개의 파트로 구성되는 경우에, 터브(20)는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터브(미도시)와, 터브(20)의 하면(25)을 형성하는 바텀 터브(20c)와, 어퍼 터브 및 바텀 터브(20c)의 사이에 배치되며 이들에 각각 결합되는 미드 터브가 포함될 수 있다.
터브(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터브는, 소정의 내열성과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 판재,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미드 터브에 결합되는 어퍼 터브의 양측면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면(25)을 형성하는 바텀 터브(20c)는, 어퍼 터브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내열성과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 판재,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미드 터브와 결합하는 바텀 터브(20c)의 양측면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텀 터브(20c)의 중심부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41)가 장착되기 위한 섬프홀(252)이 형성될 수 있고,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은 전체적으로 섬프홀(252)을 향해 하향구배를 갖는 수렴면(25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섬프홀(252)에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와 터브(20)를 구분하는 섬프 커버(42)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바텀 터브(20c)의 하부 측에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
어퍼 터브 및 바텀 터브(20c)와 마찬가지로, 터브의 양측면(26, 27) 및 후면(23)을 형성하는 미드 터브는 소정의 내열성과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 판재,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터브의 양측면 모서리 및 후면 모서리는 미드 터브의 상단 모서리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텀 터브(20c)의 양측면 모서리 및 후면 모서리는 미드 터브의 하단 모서리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상호간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 어퍼 터브와 미드 터브, 미드 터브와 바텀 터브(20c)는 서로 용접에 의해서, 예시적으로 심용접(seam welding)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심용접은 전기저항 용접의 일종으로서, 롤러모양의 전극으로 연속적 점용접을 하는 것이며, 주로 기밀과 수밀을 요하는 이음매에 이용되는 용접방식이다.
터브(20)의 형성을 위해 어퍼 터브와, 미드 터브 및 바텀 터브(20c)의 세 파트로 나뉘어지게 되지만, 심용접 방식을 이용하게 되면 용접 라인이 동일 평면상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용접작업에 소요되는 가공 시간은 다른 용접 방식에 비해서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41)의 상측에는 하부 분사암(61)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바로 아래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하부 랙(51)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분사암(61)은 섬프(4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섬프(41)를 통해 가압된 세척수가 하부 분사암(61)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의 상면에는 하부 랙(51)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611)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611) 중 일부는 하부 랙(51)의 저면을 향해 세척수를 상향 분사할 수 있도록 방향성이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노즐(611) 중 일부는 후술하는 리플렉터(29)의 반사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방향성이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세척력보완수단으로서 사각영역(R2)에 배치되어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29)는, 하부 분사암(61)의 회전범위(R1)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세척수의 방향을 하부 랙(51)을 향하도록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29)는 사각영역(R2)에 해당하는 바텀 터브(20c)의 모서리를 따라 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조 및 조립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리플렉터(29)는, 바텀 터브(20c)의 좌측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 측에 배치되는 제1 리플렉터(291)와, 바텀 터브(20c)의 우측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 측에 배치되는 제2 리플렉터(292)로 분할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는, 하부 분사암(61)의 회전중심(C, 도 11)을 지나며 전후방향(F-R방향)에 나란한 직선에 대칭인 형상을 갖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플렉터(29)는, 사각영역(R2)에 대한 세척력 향상의 목적을 갖게 때문에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분사암(61)의 회전범위(R1)를 벗어난 위치, 즉 사각영역(R2)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분사암(61)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하부 분사암(61)보다는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는 각각 바텀 터브(20c)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를 따라 전후방향(F-R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2911, 2921)와, 바텀 터브(20c)의 후방 모서리를 따라 좌우방향(Le-Ri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2912, 2922)와, 이들 제1 연장부(2911, 2921) 및 제2 연장부(2912, 2922)를 연결하는 전환부(2913, 29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2911, 2921)와 제2 연장부(2912, 2922)는 바텀 터브(20c)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의 형상에 대응하여 각각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의 상면은 세척수의 방향을 전환하는 반사면(2914, 2924)을 구비한다.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반사면(2914, 2924)은, 좌우방향(Le-Ri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구배를 갖는 평면부(2914a, 2924a)와, 평면부(2914a, 2924a)에 대해서 연속면을 형성하며 평면부(2914a, 2924a)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부(2914b, 2924b)를 구비할 수 있다.
곡면부(2914b, 2924b)는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하부 랙(51)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하부 랙(5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부(2914a, 2924a)와 곡면부(2914b, 2924b)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진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도록 평면부(2914a, 2924a)와 곡면부(2914b, 2924b)가 부드럽게 연결될 수 곡면부(2914b, 2924b)의 곡률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는, 후술하는 바텀브라켓(281)을 통해 간접적으로 바텀 터브(20c)에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의 저면에는 바텀브라켓(28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2915, 292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제1 리플렉터(29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플렉터(291)의 연결부(2915)는, 제1 연장부(291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삽입돌기(2915a)와 걸림후크(2915b)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기(2915a)는, 후술하는 바텀브라켓(281)의 제1 걸림홀(2816)에 삽입되고, 바텀브라켓(281)의 지지부(2811)에 결림 연결되는 구성이다.
제1 걸림홀(2816)에 삽입되고, 바텀브라켓(281)의 지지부(2811)에 결림 연결될 수 있도록, 삽입돌기(2915a)는 제1 연장부(2911)의 저면에 ㄴ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ㄴ자 형태로 구비되는 삽입돌기(2915a)의 일단부는 제1 연장부(2911)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단부가 되고, 삽입돌기(2915a)의 타단부는 자유단부가 될 수 있다.
걸림후크(2915b)는, 후술하는 바텀브라켓(281)의 제2 걸림홀(2817)에 후크 체결되는 구성이다. 삽입돌기(2915a)와 마찬가지로 걸림후크(2915b)는 제1 연장부(291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후크(2915b)에 관한 구성은 당업계이 이미 공지된 후크 체결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세부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연결부(2915)는 제1 연장부(2911)의 저면으로부터 하측방향(D-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돌기(291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돌기(2915c)는 바텀브라켓(281)에 대한 결합시 제1 리플렉터(291)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결합이 완료된 후 제1 리플렉터(291)의 좌우방향(Le-Ri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 역할 및 가이드 역할을 위해, 스토퍼돌기(2915c)는 제1 연장부(291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제1 리플렉터(291)의 제1 연장부(2911)에 2개의 연결부(2915)가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1 리플렉터(291)의 사이즈에 따라 연결부(2915)의 개수는 다르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리플렉터(291)의 제2 연장부(2912)의 저면에는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서포팅리브(2916, 2926)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서포팅리브(2916, 2926)는, 후술하는 바텀브라켓(281)과 함께 제1 리플렉터(291)를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제1 리플렉터(291)를 기준으로 연결부(2915) 및 서포팅리브(2916)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제1 리플렉터(291)의 연결부(2915) 및 서포팅리브(2916)에 관한 구성은 제2 리플렉터(292)에 거의 동일하게 연결부(2925) 및 서포팅리브(2926)로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는 대칭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2 리플렉터(292)의 연결부(2915) 및 서포팅리브(2926)의 형상은 제1 리플렉터(291)의 연결부(2915) 및 서포팅리브(2916)의 형상에 대칭인 형상을 갖게 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고정되는 복수의 바텀브라켓(2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브라켓(281)은 전술한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를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으로부터 분리 및 이격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바텀브라켓(281)이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용도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식의 세척력보완수단이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를 대체하여 구비되는 경우에도 물론 사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 및 규격을 갖는 총 4개의 바텀브라켓(281)이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바텀브라켓(281)은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과 규격을 갖는 호환 가능한 공용품의 관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형상과 규격을 갖는 공용품이 될 수 있다는 의미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것은 아니나 허용되는 공차범위 내에서 호환 가능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바텀브라켓(281)을 설계하고 제조하기 위한 설계 비용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들 바텀브라켓(281)은,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좌측면(26) 및 우측면(27)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를 바텀 터브(20c)의 좌측면(26) 및 우측면(27)으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하기 위함이다.
또한, 개별 바텀브라켓(281)은,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와 마찬가지로 하부 분사암(61)의 회전범위(R1)를 벗어난 위치, 즉 사각영역(R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바텀브라켓(281)은,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지지부(2811)와, 지지부(2811)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2812)와, 지지부(2811)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2813)와, 지지부(2811)와 제1 고정부(281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2814)와, 지지부(2811)와 제2 고정부(2813)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28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텀브라켓(28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지부(2811), 제1 고정부(2812), 제2 고정부(2813), 제1 연결부(2814) 및 제2 연결부(2815)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811)는 전술한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의 제1 연장부(2911, 2922)의 저면에 직접 면접촉하여 이들을 중력방향에 대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를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이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2811)는 바텀 터브(20c)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2811)는 전후방향(F-R방향) 길이가 좌우방향(Le-Ri방향)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에 대한 접촉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지지부(2811)의 좌우방향(Le-Ri방향) 폭은 전후방향(F-R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부(2812)와 제2 고정부(2813)는,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직접 접촉되어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고정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 때, 제1 고정부(2812)와 제2 고정부(2813)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무관통 방식으로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직접 부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점용접 방식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바텀 터브(20c)를 관통하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1 고정부(2812)와 제2 고정부(2813)가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 및 제조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무관통 방식으로 접착되기 때문에 바텀 터브(20c)의 외부로 세척수의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한편, 제1 고정부(2812)와 제2 고정부(281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터브(20c)를 향해 하측방향(D-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비드(2818)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위치결정비드(2818)는 제1 고정부(2812)와 제2 고정부(2813)에 대한 용접이 실시되기 전에 바텀브라켓(281)에 대한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용도를 갖는다.
도시되어 있진 않으나,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는 위치결정비드(2818)에 대응하여 위치결정비드(2818)와 계합하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814)와 제2 연결부(2815)는 각각 제1 고정부(2812)와 제2 고정부(2813)를 지지부(2811)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지지부(2811)가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제1 연결부(2814)와 제2 연결부(2815)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 또는 수직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바텀브라켓(281)에는, 전술한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의 삽입돌기(2915a, 2925a)가 결합되는 제1 걸림홀(2816)과, 걸림후크(2915b, 2925b)가 결합되는 제2 걸림홀(2817)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홀(2816)은 전단부가 제1 연결부(2814)에 형성되고 후단부가 지지부(2811)까지 연장되는 사각홀이 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의 삽입돌기(2915a, 2925a)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제1 걸림홀(2816)의 전단부의 좌우방향 폭은 삽입돌기(2915a, 2925a)의 자유단부의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걸림홀(2816)의 후단부의 좌우방향(Le-Ri방향) 폭은 전단부의 좌우방향(Le-Ri방향) 폭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돌기(2915a, 2925a)의 슬라이딩 결합이 완료된 후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의 좌우방향(Le-Ri방향) 이동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제2 걸림홀(2817)은 전단부가 지지부(2811)에 형성되고 후단부가 제2 연결부(2815)까지 연장되는 사각홀이 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의 걸림후크(2915b, 2925b)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제1 걸림홀(2816)의 전단부의 좌우방향(Le-Ri방향) 폭은 걸림후크(2915b, 2925b)의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홀(2817)은 단순히 걸림후크(2915b, 2925b)가 후크 체결되는 부분에 해당하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지지부(2811)에서의 제2 걸림홀(2817)의 전후방향(F-R방향) 길이(L2)는 제1 걸림홀(2816)의 전후방향(F-R방향) 길이(L1) 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통해서,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의 연결부(2915, 2925)가 바텀브라켓(281)에 조립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는 각각 또는 동시에 연결부(2915, 2925)를 구성하는 삽입돌기(2915a, 2925a)의 자유단부를 바텀브라켓(281)의 제1 걸림홀(2816)에 진입시킨다.
삽입돌기(2915a, 2925a)의 자유단부의 진입과 동시에 제1 리플렉터(291) 또는 제2 리플렉터(292)를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삽입돌기(2915a, 2925a)는 제1 걸림홀(2816)의 내부에서 제1 걸림홀(2816)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삽입돌기(2915a, 2925a)의 고정단부 측이 제1 걸림홀(2816)의 후단부에 근접하게 되면 걸림후크(2915b, 2925b)가 제2 걸림홀(2817)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걸림후크(2915b, 2925b)가 제2 걸림홀(2817)에 도달함과 동시에 제1 리플렉터(291) 또는 제2 리플렉터(292)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하여 걸림후크(2915b, 2925b)를 제2 걸림홀(2817)에 삽입되면 후크 체결이 완료되고, 제1 리플렉터(291) 또는 제2 리플렉터(292)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플렉터(291) 및 제2 리플렉터(292)의 조립이 완료되면, 연결부(2915, 2925)를 구성하는 삽입돌기(2915a, 2925a)와 걸림후크(2915b, 2925b)에 의해서 제1 리플렉터(291) 및 제2 리플렉터(292)의 상하방향(U-방향) 이동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2915, 2925)를 구성하는 스토퍼돌기(2915c, 2925c)에 의해서 삽입돌기(2915a, 2925a)와 제1 걸림홀(2816) 사이에 발생하는 좌우방향(Le-Ri방향) 유격 및 걸림후크(2915b, 2925b)와 제2 걸림홀(2817) 사이에 발생하는 좌우방향(Le-Ri방향) 유격이 상쇄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리플렉터(291) 및 제2 리플렉터(292)의 좌우방향(Le-Ri방향) 이동이 구속될 수 있는 상태가 완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통해서,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는 하부 분사암(61)의 회전범위(R1)를 벗어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대상물을 세척하고 낙하되는 세척수 및 하부 분사암(61)의 노즐(611)로부터 직접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의 반사면(2914, 2924)에 충돌한 후 하부 랙(51)을 향해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의 반사면(2914, 2924)에 의해서 세척수는 사각영역(R2)에 배치되는 세척대상물을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랙(51)에 배치되는 세척대상물 중 사각영역(R2)에 배치되는 세척대상물에 대한 세척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리플렉터(291)와 제2 리플렉터(292)는 바텀브라켓(281)을 통해 바텀 터브(20c)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를 통해, 제1 리플렉터(291)와 바텀 터브(20c)의 하면(25) 사이 및 제2 리플렉터(292)와 바텀 터브(20c)의 하면(25) 사이에 음식물 등이 끼이거나 고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 이유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플렉터(291)의 외측면과 바텀 터브(20c) 사이 및 제2 리플렉터(292)의 외측면과 바텀 터브(20c) 사이도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플렉터(291)의 제1 연장부(2911)와 바텀 터브(20c)의 좌측면(26) 사이에는 제1 유격(G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리플렉터(291)의 제2 연장부(2912)와 바텀 터브(20c)의 후면(23) 사이에는 제2 유격(G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격(G1)과 제2 유격(G2)은, 제1 연장부(2911)의 길이방향 및 제2 연장부(2912)의 길이방향에 따라 진행하면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유격(G1)과 제2 유격(G2)은, 통과하는 유량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 이유로, 제1 리플렉터(291)의 전환부(2913)는 바텀 터브(20c)의 좌측면(26)과 우측면(27)으로부터 유격이 생성되도록 분리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리플렉터와 마찬가지로 제2 리플렉터(292)의 제1 연장부(2921)와 바텀 터브(20c)의 우측면(27) 사이에는 제1 유격(G1)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리플렉터(292)의 제2 연장부(2922)와 바텀 터브(20c)의 후면(23) 사이에는 제2 유격(G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유격(G1)과 제2 유격(G2)은 제1 연장부(2921)의 길이방향 및 제2 연장부(2922)의 길이방향에 따라 진행하면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0: 케이스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60: 분사부

Claims (15)

  1.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및
    상기 세척공간으로부터 인출가능하게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척대상물이 거치되는 하부 랙;
    상기 터브의 하면과 상기 하부 랙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분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하는 하부 분사암; 및
    상기 터브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분사암의 회전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텀브라켓;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텀브라켓은,
    상기 터브의 하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의 하면에 체결되는 고정부;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2 항에서,
    상기 지지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연결부는,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4. 제2 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터브의 하면에 직접 체결되는 식기세척기.
  5. 제4 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터브의 하면에 용접을 통해서 체결되는 식기세척기.
  6. 제4 항에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터브의 하면을 향해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비드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7. 제3 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1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7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텀브라켓은,
    일단부가 상기 제1 연결부에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까지 연장되며, 사각홀 형상의 제1 걸림홀;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연결부에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까지 연장되며, 사각홀 형상의 제2 걸림홀;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걸림홀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제2 걸림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되는 식기세척기.
  9. 제8 항에서,
    상기 제1 걸림홀의 일단부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제1 걸림홀의 타단부의 좌우방향 폭보다 더 크게 되는 식기세척기.
  10. 제8 항에서,
    상기 하부 분사암의 회전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세척대상물을 향하도록 상기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바텀브라켓의 지지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11. 제10 항에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터브의 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터브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지지되는 식기세척기.
  12. 제10 항에서,
    상기 리플렉터의 저면에는 상기 바텀브라켓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3. 제12 항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리플렉터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결합홀에 걸림 결합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리플렉터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결합홀에 후크 결합되는 걸림후크;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0 항에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터브의 저면의 좌측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따라 ㄱ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리플렉터; 및
    상기 터브의 저면의 우측 모서리 및 후방 모서리를 따라 ㄱ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리플렉터;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4 항에서,
    상기 제1 리플렉터는, 상기 터브의 좌측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상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터브의 우측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상태로 분리되어 있는 식기세척기.
KR1020210121032A 2021-09-03 2021-09-10 식기세척기 KR102627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5944A KR20240010574A (ko) 2021-09-03 2024-01-15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17922 2021-09-03
KR1020210117922 2021-09-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5944A Division KR20240010574A (ko) 2021-09-03 2024-01-15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808A true KR20230034808A (ko) 2023-03-10
KR102627641B1 KR102627641B1 (ko) 2024-01-23

Family

ID=855703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032A KR102627641B1 (ko) 2021-09-03 2021-09-10 식기세척기
KR1020240005944A KR20240010574A (ko) 2021-09-03 2024-01-15 식기세척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5944A KR20240010574A (ko) 2021-09-03 2024-01-15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276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1334A1 (en) * 2003-04-10 2004-10-14 Maytag Corporation Rear support system for dishwasher tub
KR20080087594A (ko) * 2007-03-27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150079335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180025761A (ko) 2016-09-01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20180103824A1 (en) * 2011-10-17 2018-04-1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having Spray Manifol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1334A1 (en) * 2003-04-10 2004-10-14 Maytag Corporation Rear support system for dishwasher tub
KR20080087594A (ko) * 2007-03-27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20180103824A1 (en) * 2011-10-17 2018-04-1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having Spray Manifold
KR20150079335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180025761A (ko) 2016-09-01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641B1 (ko) 2024-01-23
KR20240010574A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5001C (en) Dishwasher door assembly
KR101159039B1 (ko) 식기 세척기
US20230062504A1 (en) Dishwasher
KR102590134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2486273B1 (ko) 식기세척기
KR20230034808A (ko) 식기세척기
KR20080062620A (ko) 식기세척기
KR102466442B1 (ko) 식기세척기
US20220142450A1 (en) Dishwasher
EP3945979B1 (en) Dishwasher
EP3009061B1 (en) Dish washing machine
CN111050624A (zh) 洗碗机
US20220142451A1 (en) Dishwasher
EP3593697B1 (en) Cutlery basket for dishwashers
KR102058074B1 (ko) 식기세척기
US10123678B1 (en) Rack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20240065517A1 (en) Systems for racks in dishwashing appliances
US20240065518A1 (en) Systems for rack operability in dishwashing appliances
KR20230109422A (ko) 식기세척기
US8613289B2 (en) Dishwasher with a reinforcement member
KR20230133660A (ko) 식기세척기
KR20240077382A (ko) 식기세척기
KR20070008811A (ko) 식기 세척기의 수저류 수납 구조
CN116600693A (zh) 用于洗碗机设备的物品保持器组件
JP3615211B2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