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765A -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765A
KR20230034765A KR1020210117909A KR20210117909A KR20230034765A KR 20230034765 A KR20230034765 A KR 20230034765A KR 1020210117909 A KR1020210117909 A KR 1020210117909A KR 20210117909 A KR20210117909 A KR 20210117909A KR 20230034765 A KR20230034765 A KR 20230034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deodorization
antibacterial
deodo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충무
윤현서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1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4765A/ko
Publication of KR2023003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7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항균 및 탈취 활성이 우수한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탈취용 스프레이 또는 탈취제로 제공되어, 탈취 뿐 아니라 탈취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보다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A DEODO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SALT SANDSPURRY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탈취 활성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오염물 등을 미생물, 세균이 섭취하여 분해한 경우에는 강한 피부 자극에 의한 염증이 유발되고,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의 세균들에 의해 심한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인체의 분비물에 오염된 의류, 침구류, 신발 등 일상용품에서도 세균들이 번식하여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사무실 또는 주택 등의 경우, 습도 및 온도 조건이 맞는 구석진 곳 또는 옷장, 신발장, 침대 밑 등에서는 세균이 섭취할 영양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박테리아, 진균류, 병원성균, 곰팡이균 등과 같은 각종의 미생물들이 번식하여 호흡기질환, 가려움증, 발진 등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거나 실내에 악취를 발생시킨다.
한편, 위와 같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미생물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유기계 또는 무기계 합성 항균 탈취제가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다. 이런 종래의 화학약품을 합성하여 항균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국내 특허등록 제10-1180117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학약품으로 합성된 항균 탈취제는 옷장, 신발장, 사무실, 거실 등에서 비치하여 사용될 때 방출되는 항균 탈취제에 의한 호흡기질환, 가려움증, 발진 등 인체에 유해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피부에 직접 접촉될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균 탈취제는 염소계 소독제인 락스(Rox)류가 대표적이다. 락스는 차아염소산(HClO)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 항균 및 탈취효과를 발휘하므로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지만, 사용시 발생하는 염소가스의 독성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에게 불쾌감과 인체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을 주므로 주방과 주방을 포함하는 실내 공간에서는 사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종래의 주방용 세정제는 주로 계면활성제, 세정보조제, 유효성분, 향, 물 등으로 조성된다. 이들 세정제 성분들 중 세척 성능과 기포성을 갖는 것은 주로 계면활성제이며, 특히 액체 세정제에서는 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주방 오염 중의 주요인인 유성 오염 및 찌든 때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충분한 제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특히, 생선, 육류, 물비린내, 조리 후에 나는 음식 냄새 특히 음식 조리 및 식기세척 시 잔존하는 수분으로 인하여 많은 종류의 세균이 번식하며 생기는 염기성의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 등의 아민화합물, 산성의 황화수소 및 메틸머캅탄 등의 황화 화합물, 그리고 휘발점이 낮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등의 냄새는 종래의 주방용 세정제로 제거하기 어렵다. 종래에는 탈취 효과를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첫째, 화학적 제거방법으로는 중화, 부가, 중합,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항균 및 악취 성분에 강한 반응성의 물질을 작용시켜 항균 및 악취 물질을 분해 또는 무취성 화합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항균 및 냄새물질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둘째, 물리 화학적 제거방법으로는 활성탄이나 실리카, 사이클로 덱스트린 등의 흡착 및 포집능이 강한 화합물로서 항균 및 악취성분을 표면에 흡착 또는 포집시키거나, 고비점의 용제, 계면활성제 등에 의한 흡수, 유동 파라핀, 고급 알코올,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항균 및 냄새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셋째, 생물 화학적 제거방법으로서는 양성 계면활성제, 살균제 등에 의한 살균작용으로 세균에 의한 악취 성분의 발생을 차단하거나, 소화 효소, 세균, 효모등을 이용하여 악취 성분이 유기산을 분해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넷째, 감각적 항균 및 탈취방법으로는 주로 암모니아, 아민, 산,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페놀, 인돌, 방향족, 폴리아로마틱 등의 염기성 화합물 또는 휘산성 화합물과 티올, 머캅탄, 설파이드와 같은 황화 화합물 등이다.
지금까지 항균 및 탈취 기술은 성분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제거가 아니라, 주로 향을 이용하여 악취 등이 발현되는 것을 막는 마스킹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는데, 이 방법은 향이 휘발 되면 악취성분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최근에는 항균 및 탈취를 근원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항균 탈취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환상 다당류인 사이클로 덱스트린과 금속미네랄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고 마스킹 향을 첨가하여 의류 및 섬유표면에 분무하여 탈취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는데, 이것은 향으로 마스킹하는 동안 금속이온 이 악취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시키고 수분이 건조되는 동안 사이클로 텍스트린이 분해되 항균 및 악취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섬유에 대한 손상이 거의 없고, 실내의 생활 악취와 담배 냄새 등의 휘산성 취기 물질에 대해서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으나, 피지 오염이나, 배설물 등의 악취 등의 염기성 악취와 주방 내의 수분으로 인한 세균 번식에 의한 부패취에는 거의 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글루코즈로 구성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항균제와 방부제를 적절히 사용하지 않으면 미생물이 발생하여 번식될 수 있고 장기간 남아 있을 경우에도 곰팡이가 쉽게 증식하게 되어 냄새가 나거나 변색시키게 되는 원인이 됨은 물론 위생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탈취제는 악취의 제거능력이 우수하고,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할 뿐 아니라, 사용 시 인체의 호흡기를 통하여 흡수되거나 피부에 접촉되는 경우에도 자극을 주거나 만성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소취 및 항균 활성이 뛰어난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이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2234375 B1
본 발명의 목적은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로, 악취 제거 뿐 아니라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취용 스프레이 또는 탈취제로 제공되어, 인체에 무해하며,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은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악취 제거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악취는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다이메틸설파이드,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트라이메틸아민, 아세트알데하이드, 스타이렌,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i-발레르알데하이드,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뷰틸아세테이트, 프로피온산, n-뷰티르산, n-발레르산, i-발레르산 및 i-뷰틸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허브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스프레이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은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갯개미자리(Spergularia marina (L.) Besser)는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로 갯벌 근처와 바위틈에서 자란다. 높이는 10∼20cm이고 밑쪽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며 윗부분과 꽃받침에 선모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반원기둥형 줄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길이는 1.5∼3cm이고 턱잎은 넓은 삼각형 또는 넓은 달걀 모양으로 흰색 막질(膜質)이다. 꽃은 5∼8월에 잎겨드랑이에 피고 작은꽃자루는 길이 3∼6mm이며 선모가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달걀 모양으로 끝이 둔하며 길이는 3∼4mm이다. 꽃잎은 5개이고 흰색이며, 수술은 5개,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보다 길며 3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넓은 달걀 모양이고 같은 열매에서 나온 종자라도 날개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항균 및 악취 제거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악취 제거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악취 제거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악취제거 즉, 탈취 뿐 아니라 악취를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미생물을 제거함으로써 이후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악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악취 제거 및 항균 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것이 중요하다.
악취는 코 안의 후각상피세포에 악취물질이 흡착되면서 느껴지는 감각으로 인체의 후각(odor sensation)을 담당하는 기관은 후각상피(olfactory epithelium), 후구(olfactory bulb), 후각피질(olfactory cortex)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각을 통하여 사람은 환경 중 다양한 냄새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후각상피는 코 안의 상부에 약 107~108 개/5cm2의 후각뉴런을 가지고 있다. 냄새유발물질이 후각뉴런을 자극시키면 그 신호가 신경돌기(axon)를 통해 후구(olfactory bulb)로 전달된다. 후구에서는 후각뉴런에서 전달된 전기적 냄새신호를 후각피질(olfactory cortex)과 번연계(limbic system)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며, 후각피질은 보다 높은 차원의 전기적 냄새신호로 변화시켜 중추신경계로 전달시켜서 이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다.
상기 악취에 의한 생리적인 영향은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후각기계통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악취물질은 알러지 반응을 촉진하거나 정신적 불안감으로 인한 수면 장해, 두통, 구토감 등 증상의 악화 또는 회복 저해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 호흡기 계통에 있어서는 좋은 냄새를 맡으면 호흡이 깊어지고, 불쾌한 냄새를 맡으면 반사적으로 호흡이 멈춰지며 호흡리듬의 변화가 일어나 호흡수 및 호흡 깊이가 감소된다. 상기 악취로 인한 호흡의 변화는 악취정보가 호흡중추에 작용하기 때문이며, 공지된 동물(개)를 이용한 실험에 따르면 악취물질이 후신경을 자극하거나 3차 신경과 후신경의 양쪽을 자극시켜 호흡변화를 일으킨다는 점이 나타나 있다.
상기 순환기 계통에 있어서는 좋은 냄새를 맡으면 깊은 호흡과 동시에 혈압이 하강하고 과도한 긴장을 풀어주는 등 진정효과가 있는 반면, 자극적인 냄새는 혈압 상승에 따른 정신적 불안을 나타내기도 한다.
상기 소화기 계통에 있어서 후각은 미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좋은 냄새는 식욕의 증가를 유발하나 악취는 위장활동을 억제하고 소화액 분비를 저해해 식욕 감퇴, 수분섭취의 저하 등을 일으키며 심한 경우 구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악취로 인해 불면증 또는 정신불안까지 나타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불쾌한 냄새에 노출되는 경우 사람은 안정감을 잃게 되며 심한 경우 히스테리 상태가 되어 이상한 행동을 하는 등 정신적 작용으로 인한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 또한, 불쾌한 냄새로 인해 깊은 잠에서 깨어난 후 다시 잠들기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불쾌한 냄새로 인해 두통 및 구토감을 호소하는 경우는 다반사로, 불쾌한 냄새 뿐 아니라 향수 또는 디퓨저 등 방향성 물질에 있어서도 장기간 또는 고농도로 노출되는 경우에도 불쾌감 등을 느끼게 될 수 있다.
한편,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오염물 등을 미생물 또는 세균이 섭취 후 분해한 경우 피부에 강한 자극에 의한 염증 유발 가능성이 있으며, 황색 포도상구균, 대장균 등의 세균에 의해 심한 악취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인체 분비물에 오염된 의규, 침구류, 신발 등 일상 용품 등에서도 세균들이 번식하여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 있어서는 세균 서식조건에 맞는 습도 및 온도 조건의 경우 옷장, 신발장, 침대 밑 등 세균이 섭취할 영양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박테리아, 진균류, 병원성균, 곰팡이균 등 각종 미생물 번식으로 피부에 좋지 않은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거나 실내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미생물을 제거하여 악취 발생 원인을 차단하고, 악취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탈취 효과를 나타내어 악취로 인한 신체적 및 정신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원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천연 추출물로 구성됨에 따라 인체에 자극적이거나 해롭지 않으면서도 항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하여 악취 제거활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악취는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다이메틸설파이드,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트라이메틸아민, 아세트알데하이드, 스타이렌,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i-발레르알데하이드,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뷰틸아세테이트, 프로피온산, n-뷰티르산, n-발레르산, i-발레르산 및 i-뷰틸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
악취란 악취방지법 제2조제1호 및 제4호에 의하면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이 있는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하며, 복합악취란 두 가지 이상의 악취물질이 함께 작용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라고 정의하고 있다.
악취방지법에는 주된 악취물질을 정하여 지정악취물질로 분류하고 규제하고 있으며, 상기 지정악취물질은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다이메틸설파이드,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트라이메틸아민, 아세트알데하이드, 스타이렌,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i-발레르알데하이드,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뷰틸아세테이트, 프로피온산, n-뷰티르산, n-발레르산, i-발레르산 및 i-뷰틸알코올을 포함한다.
이에, 본원발명 탈취용 조성물은 상기 지정악취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악취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트라이메틸아민 또는 알데하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해 제거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나 본원발명에서 제거할 수 있는 악취물질은 상기 기재된 악취물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이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 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 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허브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본원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은 항균 및 탈취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허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추출물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로즈마리(rosemary), 라벤더(lavender), 세이지(sage), 바질(basil), 레몬밤(Lemon Balm), 애플민트(apple mint), 타임(Thyme), 딜(Dill), 카모마일(Chamomile), 헬리오트로프(heliotrope), 마조람(marjoram), 오레가노(oregano), 차이브(Chive), 타라곤(tarragon), 펜넬(fenne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로즈마리(rosemary)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상록관목으로, 꿀풀과의 방향성 식물로 지중해 지역에서 많이 난다. 윗부분은 어두운 초록색, 아래는 희끄무레한 상록성의 로즈마리잎은 생으로 또는 말려서 양념으로 사용한다. 로즈마리 잎은 톡 쏘는 듯한 자극적인 맛과 강한 향을 갖고 있으며 마리네이드 양념, 스튜, 수렵육 또는 그릴구이 요리에 향을 내기 위해 사용할 때 아주 소량으로도 충분하다. 특히 송아지와 가금류, 일부 토마토소스, 오븐에 조리하는 생선 요리와 잘 어울린다. 북유럽에서는 소시지 스터핑용 분쇄육, 어린 돼지와 양고기 로스트에 향을 더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로즈마리 꽃은 샐러드에 넣거나 제비꽃처럼 설탕에 절일 수 있으며 장식으로도 사용된다. 나르본의 특산물인 로즈마리 꿀은 최고 중 하나로 친다.
상기 라벤더(lavender)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 라반둘라속에 속하며,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높이는 30∼60cm이고 정원에서 잘 가꾸면 90cm까지 자란다. 전체에 흰색 털이 있으며 줄기는 둔한 네모꼴이고 뭉쳐나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돌려나거나 마주나고 바소 모양이며 길이가 4cm, 폭이 4∼6mm이다. 잎자루는 없으며 잎에 잔털이 있다. 꽃은 6∼9월에 연한 보라색이나 흰색으로 피고 잎이 달리지 않은 긴 꽃대 끝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드문드문 달린다. 꽃, 잎, 줄기를 덮고 있는 털들 사이에 향기가 나오는 기름샘이 있다. 물이 잘 빠지는 모래땅에 약간의 자갈이 섞인 곳에서 잘 자라고 너무 비옥하지 않은 땅이 좋다. 햇빛을 잘 받는 남향과 습하지 않은 곳에서 잘 자란다. 꽃과 식물체에서 향유(香油)를 채취하기 위하여 재배하고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향유는 향수와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하고 요리의 향료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두통이나 신경안정을 치료하는 데도 쓴다.
상기 세이지(sage)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세이지는 약용 살비야라고도 한다. 세이지는 Common Sage, Garden Sage라고도 하며 흔히 Salvia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줄기는 사각형으로 밑부분이 거의 목질화되며 높이 30∼90cm이고 전체에서 향기가 난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짧으며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뒷면은 줄기와 함께 백색 털이 있어 회록색이고 표면은 망상의 잔 주름이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자주색인데 가지 끝에 층층으로 달린 총상꽃차례이며 위는 돌려난다. 꽃에는 꿀이 있어 꿀벌이 모이는 밀원식물이다. 꽃받침통은 종 모양이고 화관은 길이 1.5∼2cm 로 위아래의 2개의 꽃이 넓은 통부의 선단에 상하 두 입술처럼 갈라지는데, 윗입술은 끝이 파지고 아랫입술은 넓게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2개이고 암술대는 화관의 윗입술보다 길게 나온다. 변종이 많아서 청색과 백색 꽃이 피는 것도 있다. 봄 또는 가을에 파종하고 8월에 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을 샐비아잎(folia salvia)이라 하며 약 2%의 정유(精油)가 함유되어 있다. 정유의 주성분은 알파피넨, 세스퀴테르펜, 보르네올 등으로 향기가 있어 향미료로 사용한다. 약용으로는 잎을 삶아서 인후염 및 위장염에 사용한다. 남부 유럽 원산이고 옛날부터 구미 각국에서 가정용 향초(香草)로 널리 재배한다.
상기 바질(basil)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 높이 20∼70cm이고 줄기는 사각형이며 부드러운 털이 나 있다. 잎은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마주나며 길이 5∼10cm이고 향기가 강하다. 꽃은 여름에 원줄기의 윗부분에서 이삭 형태로 층층이 달리지만 돌려나고 입술처럼 생기며 자줏빛을 띤 흰색이다. 포는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은 관 모양이며 수술은 4개이나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작은 견과로 달걀 모양 또는 긴타원형이다. 종자는 매우 작고 검은색이며 물기가 있으면 우무 모양의 물질이 나오기 때문에 눈에 든 티를 씻어내는 데 이용된다. 뿌리는 가늘고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이식하기 좋고 4∼5월에 파종하여 6월에 이식한다. 잎이나 줄기는 말려서 요리의 향신료로 쓰이고 방향유(芳香油)는 음료나 비누의 향기를 내는 데 이용한다. 오시멘(ocimene), 알파피넨(α-pinene)의 성분이 있고 진해(鎭咳), 해열, 해독, 설사, 변비, 월경불순 등의 약재로도 사용한다. 동남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일본 등 세계 각지에서 재배하며, 온난한 지역에서는 야생한다.
상기 레몬밤(Lemon Balm)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60~150cm 정도 자라는 내한성의 다년초로 줄기는 네모진다. 잎의 길이는 약 8cm의 넓은 난형으로 마주난다. 엽병과 털이 있으며 레몬 향이 강하다. 꽃은 늦여름에 흰색, 노란색, 연한 청색의 윤산화서로 붙는다. 레몬과 유사한 향이 있으며, 이 향은 감정을 편안하게 진정시켜 주며 심장 박동수를 낮추고 혈압을 낮춘다. 전갈이나 독거미에 물렸을 때 해독작용이 있고 설사를 완화시키며 바이러스를 막는 데 큰 효과가 있다. 천연두에도 효능이 있고 치통이 있을 때 입가심용으로 사용해 왔다. 독버섯 해독, 복통, 위궤양, 생리통 억제, 생리 촉진에 사용해 왔으며 예로부터 방향요법(향기요법)에 필수적으로 사용해 왔다. 잎과 가지에서 추출한 기름은 탈모방지, 목욕제 등으로 이용되며 차는 진정, 건위, 강장, 신경 고양 등에 효능이 있으며, 기분을 상쾌하게 하기 위하여도 마신다.
상기 애플민트(apple mint)는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유럽이 원산인 허브의 일종이다. 높이 30∼60cm이다. 사과와 박하가 섞인 듯한 향기는 순하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둥글고 흰 털이 나 있으며 연해 보인다. 내한성과 번식력이 강하며 주로 반그늘 상태에서 잘 자란다. 꺾꽂이 또는 포기나누기로 번식시킨다. 잎으로 허브차를 만들어 마시면 소화불량이나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다. 유럽에서는 고기요리에 반드시 들어가는 향신료이며, 생선요리, 달걀요리 등에도 사용된다. 약용하기도 하는데, 살균소독, 건위강장, 진정 및 진통작용에 좋다. 입냄새를 없애는 효과도 있어 치약에 넣기도 한다. 이밖에도 비누, 목욕재, 포푸리 등으로도 사용된다.
상기 타임(Thyme)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이다. 잔뿌리가 많은 뿌리에서 사각 모양의 줄기가 나와 위로 올라가며 곁가지를 많이 친다. 잎줄기는 매우 짧고, 길이 5~9㎜, 너비 3㎜ 정도인 긴 타원형의 잎 가장자리는 안으로 굽고 잔털이 많다. 연분홍색 꽃은 상층부 잎의 잎겨드랑이에서 돌려나기처럼 나오며, 5~10월에 수상꽃차례로 핀다. 꽃받침은 길이 3~5㎜의 약한 잎맥이 있고, 뻣뻣한 머리와 같은 관이 있으며, 위 잎이 아래 잎에 비해서 짧다. 꽃부리는 길이 4~6㎜로, 보라색이나 담홍색이다. 씨의 크기는 1㎜ 정도로 납작한 알 모양이다. 품종이 다양하여 융단처럼 땅에 기듯이 퍼지는 포복형과 높이 30㎝ 정도로 자라 포기가 곧게 서는 형으로 나눌 수 있다. 고온 건조에 강하고 병충해가 없지만, 습기에 약해 볕이 잘 들고 약간 건조한 땅에서 기르는 것이 좋다. 원산지는 유럽의 중부, 남부와 북아프리카이지만 전세계에서 고루 재배되고 있다. 5~6월 사이에 꽃이 달린 줄기에서 얻는 정유는 호흡기 질환에 항균작용, 거담작용을 하며, 두통, 우울증 등 신경성 질환이나 빈혈, 피로에 좋고, 피부를 맑게 한다.
상기 딜(Dill)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한해살이풀로 높이 1m 이상이다. 잎은 작은 깃털처럼 생겼고 솜털로 덮여 있다. 지름 15㎝인 꽃은 황색의 복산형꽃차례로, 5~6월경에 양산을 편 모양으로 핀다. 열매는 동글납작하며 황갈색으로 매우 가볍다. 포기 전체에서 독특한 향이 나기 때문에 꽃, 잎, 줄기, 종자를 허브로 사용하는데, 특히 종자의 향이 강하다. 잎은 꽃망울이 생기기 전에 수시로 수확하며, 포기 째 베어서 그늘에 말리거나 냉동하여 사용한다. 열매는 황갈색이 되면 송이 째 잘라 바람이 잘 통하는 볕에 널어 후숙 건조시킨 뒤, 그늘에서 완전히 말려 씨를 털어내고 습하지 않는 곳에 방습제를 넣고 보관하였다가 쓴다. 씨는 소화, 구풍, 진정, 최면 효과가 뛰어나고, 구취 제거와 동맥경화증 예방에 좋으며, 베갯속으로 사용하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잎의 정유가 비린내를 제거해 주기 때문에 생선요리에 넣는 대표적인 허브이다.
상기 카모마일(Chamomile)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풀로, 높이가 50~100㎝이다. 잔털이 거의 없으며, 줄기는 곧추서고 둥글며 곁가지가 많다. 줄기에는 깃 모양을 한 긴 잎이 뾰족하게 마주난다. 가지 끝에서 너비 1.8~2.5㎝의 꽃부리가 핀다. 꽃부리는 평평하다가 원추형으로 길어지고, 속이 비어있는 꽃턱에는 관 모양의 황금색 중심화가 있다. 꽃은 5~9월에 피며, 혀 모양으로 생긴 15개의 흰색 테두리 꽃잎은 꽃턱이 커지면서 뒤로 젖혀진다. 꽃에서는 사과향이 난다. 정유는 긴장을 완화시키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두통, 편두통, 신경통 등 통증과 염증에도 효능이 있으며, 위장장애가 있을 경우 차로 마시면 효과가 있고, 베개 속에 넣어두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헬리오트로프(heliotrope)는 지치과 헬리오트로피움속 재배 종의 총칭을 뜻하며, 페루 원산의 관목인 코림보숨(H. corymbosum)이 많이 재배되고 있다. 높이 1 m 정도이며 가지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끝이 뾰족한 넓은 타원형으로 암녹색이다. 꽃은 5∼9월에 줄기에서 분지한 가지 끝에 취산꽃이삭(聚花穗)을 형성하여 깔때기모양의 자주색 또는 보라색 꽃이 피며 독특한 향기가 있다. 온실재배로 분심기를 하여 관상한다. 페루 및 에콰도르 원산의 상록관목인 페루비아눔(H. peruvianum)은 오래 전부터 재배하였으며 코림보숨보다 꽃은 작으나 향기가 높아 향유를 채취하였으므로 향유초(香油草) 또는 향수목(香水木)이라 하며 높이 50~60 cm로 줄기에 약간 굳은 털이 있다. 잎에도 약간 굳은 털이 있다. 꽃은 짙은 자줏빛 또는 담자색으로 깔때기 모양이다. 진한 향기가 나 향수로 이용된다.
상기 마조람(marjoram)은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식물의 높이는 40~60cm 정도이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넓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한데, 잎의 길이는 0.5~1.5cm, 너비는 0.2~0.8cm 정도이다. 6∼8월에 연한 노란색이나 연분홍색 혹은 흰색의 작은 꽃이 핀다. 생허브로는 물론 건조시켜도 그 향이 유지되어 좀 더 쉽게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꽃이 지기 전에 잎과 꽃을 뜯어서 말린 뒤 유통된다. 꽃과 잎은 전체적으로 상큼하면서도 가볍고 달콤한 향기가 있는데 맛은 약간 쓴 편이다. 오레가노와도 비슷하나 그보다 순한 맛이 있다. 칠면조, 닭 등의 가금류와 생선류, 육류, 소시지 요리에 활용하거나 수프, 스튜, 소스, 오믈렛, 샐러드, 치즈 요리, 채소 요리 등에 첨가가 가능한데 자체가 열에 약하여 조리의 마지막에 첨가하는 것이 좋다. 그밖에 육수 요리에 활용되는 부케가르니에 포함되는 향신료로 활용되며, 허브 차로 마시면 체내의 독소 배출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 오레가노(oregano)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박하라고도 하며, 톡쏘는 박하 같은 향기가 특징이다. 병충해와 추위에 잘 견디며 야생화의 강인함이 돋보이는 허브이다. 높이는 30∼60㎝, 잎은 길이 1.5㎝ 정도이고 좋은 향기와 쓴맛이 있으며 상쾌함을 준다. 꽃은 지름 4㎜의 입술모양으로 보랏빛이 도는 담홍색이며 7∼10월에 줄기 끝에서 수상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추위와 더위에 강하고 토질이나 장소를 가리지 않아서 물빠짐이 좋고 햇빛이 잘 드는 토양에서 잘자란다. 파종시기는 4∼6월, 9∼10월로, 씨앗은 묘상이나 화분에 흩뿌리고 얇게 흙을 덮고 물을 준 뒤 손으로 가볍게 다져준다. 꺾꽂이와 포기나누기로 번식시키며, 관상용으로 즐길 수도 있다. 꽃이 피는 시기에 수확하여 건조시켜 보존하는데 잎을 말린 것을 향신료로 쓴다. 독특한 향과 맵고 쌉쌀한 맛은 토마토와 잘 어울리므로 토마토를 이용한 이탈리아 요리에 자주 사용되는 향신료이다.
상기 차이브(Chive)는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시베리아, 유럽, 일본 홋카이도 등이 원산지인 허브의 한 종류이다. 높이 20∼30cm로 매우 작으며, 생김새는 작은 파와 같다. 잎도 매우 가늘다. 6월부터 분홍색, 보라색, 자주색의 작고 귀여운 꽃이 반원형에 가깝게 핀다. 꽃이 피면 잎이 딱딱해지고 풍미가 떨어진다. 햇빛이 비추는 곳에서 잘 자라지만 반그늘에서도 자란다. 봄과 가을에 5∼6본씩 나누어 포기나누기로 번식시킨다. 과수원에 심으면 사과가 부패되는 병을 막아주며, 고기요리, 생선요리, 조개, 수프 등 각종 요리의 향신료로 사용되는데, 톡쏘는 향긋한 냄새가 식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밖에도 염색, 드라이플라워 등으로 이용한다. 약용하기도 하는데 식욕증진, 혈압강하, 빈혈예방, 변비해소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타라곤(tarragon)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20~150센티미터이고 잎은 아니스 같은 향미가 있으며 향신료로 쓴다. 주된 향미 화합물은 에스트라골이다. 특히 프랑스 요리에서 중요한 향미료이다. 고기나 고기 제품의 향미료로 쓴다. 잎에서 얻는 방향유도 향미료로 쓴다. 식초에 담가 타라곤 향미를 주어 달팽이 요리에 양념으로 쓴다. 중앙아시아에서 시베리아에 걸쳐 분포한다.
상기 펜넬(fennel)은 회향이라고도 하며, 미나리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이며, 높이 1.5 내지 2m이며, 개회시기는 4~10월에 해당한다. 잎, 줄기, 꽃을 이용하며 냄새를 제거하거나 소화를 좋게 해 '고기의 허브'라고도 불린다. 성숙한 과실은 건조하여 진통약으로도 사용해 왔다. 이명으로는 야회향(野茴香), 소회향(小茴香), 토회향(土茴香), 향자소향(香子小香) 등이 있고, 시중에서는 회향의 종자를 산미나리씨라 부르기도 한다. 비만, 노화방지, 소화불량 해소, 이뇨작용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허브 추출물은 본원발명 갯개미자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헬리오트로프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타라곤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딜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량부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갯개미자리 추출물의 항균 및 탈취 활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그 상승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미미하게 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원발명은 상기 허브 추출물 이외에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 추출물 및 앤디브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Musk Mallow)는 영국 남부가 원산지로 주로 건조한 목초지에 자라며 털이 많은 줄기와 깊게 자른 깃털 잎이 있는 직립 식물이다. 최대 1m까지 자라며, 주로 7~8월에 볼 수 있다. 5 개의 꽃잎이 있으며 꽃은 보통 옅은 분홍색이나, 흰색 꽃이 피기도 한다.
상기 앤디브(Endive)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로 지중해 동부가 원산지로 한국에서는 1980년대 초에 전래돼 재배하고 있다. 높이는 60∼130cm이고, 뿌리는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고 깊이 들어가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서 난 잎은 뭉쳐나고 비스듬히 서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잎면에 주름이 있다. 줄기에서 난 잎은 어긋나고 밑 부분이 줄기를 감싼다. 꽃은 5∼8월에 짙은 하늘색으로 피고 지름 3∼4cm의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많은 작은 꽃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를 이룬다. 두상화 주위를 싸고 있는 비늘조각 모양의 포는 녹색이며 바깥쪽에 있는 포의 조각은 짧고 안쪽에 있는 포의 조각은 바소꼴이며 곧추선다. 열매는 길이 2∼3mm의 수과이고 회백색이며 비늘 모양의 짧은 관모(冠毛:씨방 맨 끝에 붙은 솜털 같은 것)가 있다. 채소로 심으며, 연한 잎을 봄철에 식용한다. 상추처럼 주로 샐러드로 이용되지만 약간 익혀 먹기도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원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은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 추출물 및 앤디브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며, 갯개미자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헬리오트로프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타라곤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딜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및 앤디브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항균 및 탈취 효과가 동등 또는 향상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그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미미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용 스프레이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에 의하면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악취 제거 뿐 아니라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탈취용 스프레이 또는 탈취제로 제공되어, 인체에 무해하며,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 천연 추출물의 제조]
1. 갯개미자리 추출물의 제조
갯개미자리를 물에 세척한 후, 완전히 자연 건조시켰다. 건조된 헬리오트로프를 믹서기로 분쇄한 뒤, 80% 에탄올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36시간 동안 침출시킨 후 시료를 여과(filter)하여 갯개미자리 추출물(SE)을 제조하였다.
2. 기타 추출물의 제조
상기 갯개미자리 추출물(SE)과 동일한 방법으로 헬리오트로프 추출물(HE), 타라곤 추출물(TE), 딜 추출물(DE),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 추출물(ME) 및 앤디브 추출물(EE)을 제조하였다.
3.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헬리오트로프 추출물(HE), 타라곤 추출물(TE), 딜 추출물(DE),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 추출물(ME) 및 앤디브 추출물(EE)을 하기 표 1과 같은 중량 범위 내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M11
SE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HE - 30 40 50 60 70 50 50 50 50 50
TE - 10 20 30 40 50 30 30 30 30 30
DE - 10 20 30 40 50 30 30 30 30 30
ME - - - - - - 0.1 1 5 10 15
EE - - - - - - 0.1 1 5 10 15
(단위 : 중량부)
[실험예 1 : 갯개미자리 추출물의 소취 및 항균 성능 실험]
소취 성능 실험
본 발명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M1) 20ml를 용기에 넣은 후 포름알데히드(HCHO),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및 트리메틸아민(C3H9N)를 50μmol/mol의 양으로 주입하고 탈취율을 시험하였다. 시험 환경은 21.4±0.2℃에서 41.9±0.4%R.H로 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그 결과는 30분마다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가스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탈취율을 평가하였으며, 탈취율은 하기 계산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가스의 검출 한계는 0.2μmol/mol이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탈취율(%) : [(시간대별 블랭크(blank) 농도 - 시간대별 시료 농도)/ 시간대별 블랭크(blank) 농도] X 100
구분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HCHO(mg/kg) M1(SE) 0 95.1 95.4 95.7 95.9
H2S (mg/kg) M1(SE) 0 96.2 96.6 96.9 97.1
NH3 (mg/kg) M1(SE) 0 95.4 95.6 95.8 96.0
C3H9N (mg/kg) M1(SE) 0 94.8 95.0 95.4 95.6
(단위 : %)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본원발명 탈취용 조성물(M1, SE)의 경우 포름알데히드(HCHO),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및 트리메틸아민(C3H9N)의 농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탈취율이 향상되어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M1, SE)의 경우 소취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항균 성능 실험
본원발명 탈취용 조성물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균을 대상으로 항균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항균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영양액체배지(nutrient broth) 등 최적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예비실험을 통하여 배양액의 탁도와 집락(colony) 개수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농도가 조절된 각각의 균주 배양액을 한천평판(agar plate) 위에 1mL씩 분주하여 도말하고 24시간 후 집락(colony)를 카운트하여 초기의 세균농도로 하였고, 배양액에 본원발명 탈취용 조성물(M1, SE)을 처리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초기세균농도 측정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한천평판(agar plate)에 도말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집락(colony)을 카운트하여 세균감소율(%)을 계산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추출물의 용매인 0.5% DMSO 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초기농도
(CFU/mL)
24시간 후 농도(CFU/mL) 세균 감소율(%)
Staphylococcus aureus SE 1.8 X 104 4.0 X 103 77.7
대조군 1.8 X 104 4.4 X 104 -
Escherichia coli SE 2.0 X 104 5.0 X 103 75.0
대조군 2.0 X 104 5.1 X 104 -
Bacillus cereus SE 2.0 X 104 6.0 X 103 70.0
대조군 2.0 X 104 6.7 X 104 -
(단위 : CFU/mL, %)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원발명 탈취용 조성물(M1, SE)의 경우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갯개미자리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약 70 내지 78% 정도의 세균 감소율을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원발명의 갯개미자리 추출물의 경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복합 추출물의 소취 및 항균 성능 실험]
상기 실험예 1에서 갯개미자리 추출물 만을 포함하는 본원발명 탈취용 조성물(M1, SE)의 실험을 통해 소취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한 이후, 추가적인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M2 내지 M11의 종합적인 평가를 비교해 보았다.
상기 실험예 1의 갯개미자리 추출물의 소취 및 항균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상기 갯개미자리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M1(SE)을 비교예로 하여 지수 3으로 고정한 뒤, 1 내지 10 의 지수로 나타내었으며, 상기 지수는 10에 가까울수록 소취 및 항균 활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또한 실험 결과의 비교를 위해 실제 판매되고 있는 탈취 및 항균제를 비교예 1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M11
소취 활성 3 3 4 6 6 7 4 6 8 9 9 6
항균 활성 3 3 3 5 5 6 3 5 7 8 8 5
(단위 : 지수)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헬리오트로프 추출물, 타라곤 추출물 및 딜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M2 내지 M6의 경우 갯개미자리 추출물 만을 포함하는 M1에 비해 보다 우수한 소취 활성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중량부를 포함하는 M3 내지 M5의 경우 보다 우수한 활성 평가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천연 추출물인 아벨모스쿠스 사카텐시스 추출물 및 앤디브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M7 내지 M11의 경우 보다 향상된 소취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중량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M8 내지 M10의 경우 소취 활성 및 항균 활성 보다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해, 본원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은 갯개미자리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에도 항균 및 소취 효과가 나타났으나 허브 추출물 및 천연 추출물을 바람직한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경우 그 활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악취 제거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탈취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는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다이메틸설파이드,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트라이메틸아민, 아세트알데하이드, 스타이렌,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i-발레르알데하이드,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티르케톤, 뷰틸아세테이트, 프로피온산, n-뷰티르산, n-발레르산, i-발레르산 및 i-뷰틸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탈취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탈취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허브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스프레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제.
KR1020210117909A 2021-09-03 2021-09-03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20230034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909A KR20230034765A (ko) 2021-09-03 2021-09-03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909A KR20230034765A (ko) 2021-09-03 2021-09-03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765A true KR20230034765A (ko) 2023-03-10

Family

ID=8551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909A KR20230034765A (ko) 2021-09-03 2021-09-03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47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375B1 (ko) 2020-07-02 2021-03-31 (주)엠엘에스 천연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탈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375B1 (ko) 2020-07-02 2021-03-31 (주)엠엘에스 천연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탈취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usinowska et al. Composition,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ects of lavender L). A review
Al-Qudah et al. Lemon as a source of functional and medicinal ingredient: A review
KR101260371B1 (ko)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탈취 조성물
KR20170122383A (ko) 식물정유물질을 이용한 VOCs 및 악취 탈취제
KR101561579B1 (ko) 편백나무, 계피, 아마씨를 주재로 하는 마사지용 오일타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036480B1 (ko) 닭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닭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20150029881A (ko) 모기 기피 조성물
CN107737361A (zh) 一种高强度的防感染消毒熏香及其制备方法
KR20220005133A (ko) 항균, 항바이러스 및 유해물질 차단용 인체에 무해한 안전한 천연 스프레이 조성물
KR101667518B1 (ko) 가습기용 천연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598690B1 (ko)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가지 장아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13075A (zh) 橱柜防霉剂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100785974B1 (ko)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3269B1 (ko)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5440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102229621B1 (ko) 친환경 목화섬유를 함유한 담배필터 및 그 제조방법
US11406588B2 (en) Method for eliminating odors comprising a deodorant composition containing Opuntia ficus extract or persimmon juice
KR20230034765A (ko)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20230034768A (ko) 각시개서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20150068643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축산물 및 수산물의 특이냄새제거제 및 제조방법
KR100619508B1 (ko)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KR20230052398A (ko) 털큰앵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2011368B1 (ko) 센티드제라늄, 박하, 오레가노, 엘더 및 세이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악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