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606A - Electric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606A
KR20230034606A KR1020210117559A KR20210117559A KR20230034606A KR 20230034606 A KR20230034606 A KR 20230034606A KR 1020210117559 A KR1020210117559 A KR 1020210117559A KR 20210117559 A KR20210117559 A KR 20210117559A KR 20230034606 A KR20230034606 A KR 20230034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terminal
connector housing
connect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5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우
이채훈
김우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7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4606A/en
Publication of KR2023003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6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terminal can be easily and completely fastened into a connector housing by using a retainer assembly. The electrical connector comprises: a connector housing into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serted and temporarily aligned; and a retainer assembly which is temporarily assembled in a retainer space part of the connector housing so as to be positioned on a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Electrical connector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 내에 용이하게 완전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easily and completely fastening a terminal into a connector housing.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여러 가지 전장품이 설치되며, 각 전장품으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와의 전기적 연결 등을 위하여 전기 커넥터가 사용된다. In general,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re installed in a vehicle, and electrical connectors are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electrical component or controlling the electrical components.

종래의 전기 커넥터는 전선과 결합된 터미널 및 상기 터미널이 조립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하우징에 터미널을 삽입하여 조립 시 터미널에 연결된 전선을 잡고 상기 터미널을 하우징 내부에 끝까지 밀어넣어 완전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이 진행된다. A conventional electric connector consists of a terminal coupled with a wire and a housing in which the terminal is assembled. When assembling by inserting the terminal into the housing, hold the wire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push the terminal all the way into the housing to completely engage the connector. this is going on

이러한 조립 방식은 전선 강성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전선의 굵기가 얇아질수록 불리한 단점이 있다. This assembly method has disadvantages as the thickness of the wire becomes thinner because the dependence on the stiffness of the wire is relatively high.

최근 차량의 경화량를 위하여 소선경 전선의 적용률이 증가함에 따라 전선 강성이 약화되고, 그에 따라 상기 조립 방식으로 터미널을 하우징에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 전선 꺾임으로 인하여 터미널을 하우징 내부에 완전 체결하기 어려운 상황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as the application rate of small wire wires increases for the curing amount of vehicles, the wire rigidity is weakened, and accordingly, when trying to fasten the terminal to the housing by the above assembly method,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fasten the terminal inside the housing due to wire bending. The incidence is increasing.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 조립 방식은 전선 강성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전선 꺾임으로 인하여 하우징에 대한 터미널의 불완전 체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터미널이 하우징에 완전 체결되더라도 전선 꺾임에 의한 완성품 품질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highly dependent on wire rigidity,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incomplete fastening of the terminal to the housing due to wire bending, and even if the terminal is completely fastened to the housing, the quality of the finished product is deteriorated due to wire bending There are problems that are likely to occu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4649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4-014649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리테이너 조립체를 이용하여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 내에 용이하게 완전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easily and completely fastening a terminal into a connector housing using a retainer assembly.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are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rdinary technician')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ical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복수의 터미널이 삽입되어 임시 정렬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터미널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리테이너 공간부에 임시 조립되는, 리테이너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 조립체는: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에 완전 삽입되면서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아우터 리테이너와; 상기 아우터 리테이너에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아우터 리테이너가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터미널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으로 견인하는, 이너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An electrical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serted and temporarily aligned; a retainer assembly temporarily assembled in the retainer space of the connector housing to be located below the plurality of terminals, wherein the retainer assembly includes: an outer retainer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while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an inner retainer assembled to the outer retainer so as to be slidable forward and being coupled to the terminal when the outer retainer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to pull the terminal toward the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when moving forward of the connector housing;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복수의 터미널을 이너 리테이너와의 결합 대기 위치에 정렬하기 위한 터미널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걸림턱의 후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housing is provided with a terminal locking jaw for aligning a plurality of terminals to a position waiting for engagement with the inner retainer, and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the terminal until it contacts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locking jaw.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또한, 상기 터미널 걸림턱은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부에 구비된 터미널 임시 거치부 위에 돌출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 임시 거치부의 뒤쪽에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holding jaw protrudes above the terminal temporary holding portion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retainer space portion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erminal temporary holding portion.

또한, 상기 이너 리테이너는 상기 아우터 리테이너가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될 때 각 터미널의 저면에 구비된 결속홀에 삽입되는 터미널 결속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ner re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terminal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terminal when the outer retainer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또한, 상기 아우터 리테이너는 그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커넥터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아우터 락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 락킹부는 아우터 리테이너가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에 완전 삽입될 때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형성된 아우터 리테이너 고정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retainer is provided with an outer lock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connector housing on its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outer lock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tainer space when the outer retainer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ngaged and fixed to the outer retainer fixing part formed in the portion.

또한, 상기 이너 리테이너는 그 전면부에 커넥터 하우징의 터미널 임시 거치부에 걸림 고정되는 이너 락킹부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이너 락킹부는 이너 리테이너가 아우터 리테이너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 내에 정해진 완전 체결 위치에 도달시킬 때 상기 터미널 임시 거치부의 후방부에 구비된 이너 리테이너 고정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retainer has an inner locking part that is engaged and fixed to the terminal temporary mounting part of the connector housing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the inner retainer moves to the front of the outer retainer so that the terminal is completely fastened within the connector housing. When reaching the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ngaged and fixed to the inner retainer fixing part provided in the rear part of the temporary holding part of the terminal.

또한, 상기 이너 리테이너 고정부는 상기 터미널 임시 거치부의 후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홀부와 상기 삽입홀부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홀부로 구성되며, 상기 이너 락킹부는 상기 삽입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홀부에 진입할 때 걸림홀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홀부는 터미널 임시 거치부의 저면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ner retainer fixing part is composed of an insertion hole part extending fo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temporary holding part and a catching hole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hole part, and the inner locking part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part. When entering the locking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ked and fixed to the locking hole. In addition, the catching hol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exte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temporary mounting portion.

또한, 상기 이너 리테이너는 그 저면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슬라이드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 리테이너의 저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손잡이의 전방 이동을 위한 무빙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re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slide knob protruding downward is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thereof, and a moving hole for forward movement of the slide knob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portion of the outer retainer.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터미널을 리테이너 조립체를 이용하여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견인하여 이동시키므로,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 내에 조립 시 전선 강성에 의존할 필요가 없으며,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 시 전선의 꺾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First, since the terminal is towed and moved within the connector housing using a retainer assembly, there is no need to rely on wire rigidity when assembling the terminal within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possibility of wire bending when inserting the terminal into the connector housing is eliminated. can do.

둘째, 전선 강성에 의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선경 전선의 확대 적용이 용이하며 그에 따른 차량 중량 절감으로 차량의 연비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Second, since there is no need to rely on wire rigidity, it is easy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small wire diameter wires, which can contribute to improving vehicle fuel efficiency by reducing vehicle weight.

셋째, 리테이너 조립체를 이용하여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직접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에 조립하므로,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 내 완전 체결 위치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터미널의 불완전 체결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Third, since the terminal is assembled to the connector housing by directly moving the terminal in the connector housing using the retainer assembly, the terminal can be easily moved to the fully engaged position in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problem of incomplete coupling of the terminal can be improved.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밑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리테이너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임시 조립된 상태 및 이후 상기 터미널이 상방향으로 들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리테이너 조립체 간에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상기 리테이너 조립체의 이너 리테이너와 터미널 간에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이너 리테이너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상기 이너 리테이너의 저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손잡이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상기 전기 커넥터에 터미널을 조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onnector housing of the electrical connector;
3 is a bottom view of the connector housing,
4 and 5 show a retainer assembly of the electrical connector;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temporarily assembled to the connector housing and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lifted upward thereafter;
7 shows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retainer assembly,
8 shows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n inner retainer and a terminal of the retainer assembly,
9 shows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inner retainer;
10 shows a slide handl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retainer,
11A to 11C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ss of assembling a terminal to the electrical connector.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Matters represen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actually implemented in the drawings schematically illustrated to easily expla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리테이너 조립체를 이용하여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 내에 원활하게 완전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터미널에 결속된 전선을 잡고 커넥터 하우징에 밀어넣는 기존의 터미널 조립 방식과 달리, 리테이너 조립체를 이용하여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즉, 완전 체결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에 조립 시 전선 강성에 의존할 필요가 없으며 터미널의 불완전 조립에 따른 불량률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that allows a terminal to be seamlessly and completely fastened into a connector housing using a retainer assembly. By enabling the terminal to be moved to the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i.e., the fully engaged position), there is no need to rely on wire rigidity when assembling the terminal to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defect rate due to incomplete assembly of the terminal can be reduced.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밑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리테이너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터미널이 임시 조립된 상태 및 이후 상기 터미널이 상방향으로 들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리테이너 조립체 간에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상기 리테이너 조립체의 이너 리테이너와 터미널 간에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이너 리테이너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상기 이너 리테이너의 저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손잡이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상기 전기 커넥터에 터미널을 조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shows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connector housing of the electrical connector,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FIGS. 4 and 5 show the connector housing. The retainer assembly of the electric connector is shown, and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temporarily assembled to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n the terminal is lifted upward, and FIG. 7 is a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retainer assembly. The structure is shown, FIG. 8 shows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inner retainer and the terminal of the retainer assembly, FIG. 9 shows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inner retainer, and FIG. 10 shows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retainer. 11A to 11C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ss of assembling a terminal to the electrical connector.

도 1의 일부 터미널을 제외하면,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터미널(300)은 전선(W)을 생략하고 터미널만 도시된 것임을 밝혀둔다. Except for some terminals in FIG. 1 , the terminal 300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omits the wire W and only the terminal is show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100)과 리테이너 조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테이너 조립체(200)는 아우터 리테이너(210)와 이너 리테이너(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electrical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housing 100 and a retainer assembly 200, and the retainer assembly 200 includes an outer retainer 210 and an inner retainer 220. consists of includin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은 복수의 터미널(300)이 삽입되어 임시 정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터미널(300)은 리테이너 조립체(200)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100) 내에 완전 조립된다. 1 to 3, the connector housing 100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terminals 300 can be inserted and temporarily aligned, and the terminals 30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by the retainer assembly 200. Fully assembled in (100).

터미널(300)은 리테이너 조립체(200)가 가조립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100)에 삽입되어 임시 정렬될 수 있으며, 리테이너 조립체(200)와의 결합을 대기하는 소정 위치에 임시 조립된다. The terminal 300 may be temporarily alig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00 where the retainer assembly 200 is temporarily assembled, and is temporarily assemb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aiting for engagement with the retainer assembly 200.

커넥터 하우징(100)은 터미널(300)의 가조립 및 정렬을 위하여 터미널 걸림턱(110)을 구비한다. 상기 터미널 걸림턱(110)은 커넥터 하우징(100)의 전방부에 구비된 터미널 임시 거치부(120) 위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or housing 100 includes a terminal holding jaw 110 for temporary assembly and alignment of the terminal 300 . The terminal locking jaw 110 may protrude from the terminal temporary mounting portion 120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

터미널(300)은 커넥터 하우징(100)의 후면부에 형성된 터미널 삽입구(도 2의 160 참조)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며, 도 6에 보듯이 그 전단부가 터미널 걸림턱(110)에 접촉하도록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터미널(300)은 그 길이방향의 전방부가 터미널 임시 거치부(120)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The terminal 30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00 through a terminal insertion hole (see 160 in FIG. 2)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and as shown in FIG.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to contact. At this time, the terminal 300 may be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eated on the terminal temporary mounting portion 120 .

또한, 커넥터 하우징(100)은 그 후방부 저면에 리테이너 조립체(200)의 삽입 및 조립을 위한 리테이너 공간부(130)를 구비하며,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13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저면부가 상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리테이너 공간부(130)는 터미널 임시 거치부(120)의 뒤쪽에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housing 100 has a retainer space portion 130 for inserting and assembling the retainer assembly 200 on its rear bottom surface, and the retainer space portion 130 has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It is formed in an upwardly open form. In addition, the retainer space portion 130 is provided behind the terminal temporary holding portion 120 .

또한, 커넥터 하우징(100)은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130)의 앞쪽, 즉 터미널 임시 거치부(120)의 후방부에 이너 리테이너(220)의 고정을 위한 이너 리테이너 고정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130)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아우터 리테이너(210)의 고정을 위한 아우터 리테이너 고정부(15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n inner retainer fixing portion 140 for fixing the inner retainer 220 at the front of the retainer space portion 130, that is, at the rear portion of the terminal temporary mounting portion 120, An outer retainer fixing part 150 for fixing the outer retainer 21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right side of the retainer space 130 .

여기서, 상기 이너 리테이너 고정부(140)는 ㄱ 모양의 홀 구조로 구비될 수 있고(도 9 참조), 상기 아우터 리테이너 고정부(150)는 걸림턱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조). Here, the inner retainer fixing part 140 may have an A-shaped hole structure (see FIG. 9), and the outer retainer fixing part 150 may have a hooking jaw structure (see FIG. 3).

리테이너 조립체(200)는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삽입되면서 커넥터 하우징(100) 및 복수의 터미널(3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The retainer assembly 2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the connector housing 100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30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130 .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조립체(20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완전 삽입될 때 커넥터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아우터 리테이너(210)와, 상기 아우터 리테이너(210)에 조립된 상태로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완전 삽입될 때 복수의 터미널(300)과 결합되는 이너 리테이너(220)로 구성된다. 4 and 5, the retainer assembly 200 includes an outer retainer 210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100 when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130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and the It consists of an inner retainer 220 coupl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300 when fully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130 in a state assembled to the outer retainer 210 .

아우터 리테이너(21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완전 삽입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100)에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삽입 완료될 때 커넥터 하우징(100)에 락킹 결합됨으로써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아우터 리테이너(210)는 그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커넥터 하우징(100)과의 결합을 위한 아우터 락킹부(212)가 구비된다. The outer retainer 21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100 in a state of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portion 130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and specifically, when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portion 130, the connector housing ( 100) is fixedly suppor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portion 130 by being coupled with the lock. To this end, the outer retainer 210 is provided with outer locking parts 212 for coupling with the connector housing 100 on its left and right sides.

상기 아우터 락킹부(212)는 아우터 리테이너(210)의 좌우 측면부에 돌출 형성되며, 아우터 리테이너(210)가 커넥터 하우징(100)의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삽입 완료될 때 커넥터 하우징(100)의 아우터 리테이너 고정부(150)에 걸림 고정된다(도 7 참조). The outer locking portion 212 protrudes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outer retainer 210, and when the outer retainer 210 is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130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the connector housing 100 It is hooked and fixed to the outer retainer fixing part 150 (see FIG. 7).

도 7 및 도 11b을 참조하면, 상기 아우터 락킹부(212)는 아우터 리테이너(210)가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방향으로 가압될 때 탄력적으로 접혔다가 원상태로 복원가능한 후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7 and 11B, the outer locking portion 212 is a hook that can be elastically fold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outer retainer 210 is pressed upward so that it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portion 130. can be formed into shapes.

이러한 아우터 리테이너(210)는, 이너 리테이너(22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며, 이너 리테이너(220)는 아우터 리테이너(210)의 후방부에 위치된 상태로 조립된다. In the outer retainer 210 , the inner retainer 220 is assembled to be slidable forward, and the inner retainer 220 is assembled in a state position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outer retainer 210 .

구체적으로, 아우터 리테이너(210)는 ㄷ 모양 단면구조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를 구비한 판상 구조체일 수 있으며, 그 후단부에 이너 리테이너(220)의 후면을 지지하여 이너 리테이너(2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후면지지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uter retainer 210 may be a plate-shaped structure having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of a U-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retainer 220 at its rear end to prevent the inner retainer 220 from leaving A rear support 214 may be provided to do so.

또한, 아우터 리테이너(210)의 저면부에는 이너 리테이너(220)의 전방 이동을 수동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드 손잡이(228)의 전방 이동을 위하여 무빙홀(216)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moving hole 216 may be formed through a bottom portion of the outer retainer 210 for forward movement of the slide handle 228 for manually manipulat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inner retainer 220 .

아우터 리테이너(21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배치됨으로써 그 저면부를 통해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의 터미널(3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커넥터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outer retainer 210 is disposed in the retainer space 130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thereby minimizing exposure of the terminal 300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00 to the outside through its bottom surface and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entering the connector. It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housing 100.

도 4 및 도 5에 보듯이, 이너 리테이너(220)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임시 정렬된 터미널(300)과의 결합을 위하여 복수의 터미널 결속부(224)를 구비한다. 상기 터미널 결속부(224)는 이너 리테이너(220)의 터미널 안착부(222)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inner retainer 220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 coupling parts 224 for coupling with the terminals 300 temporarily arrang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100 . The terminal coupling part 224 is disposed on the terminal seating part 222 of the inner retainer 220 .

구체적으로, 이너 리테이너(220)는 상단부에 복수의 터미널 안착부(222)를 구비한 블록형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 안착부(222)의 바닥면에 상기 터미널 결속부(2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 안착부(222)는 이너 리테이너(220)의 상단부에 터미널(300)이 안착가능한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터미널 결속부(224)는 이너 리테이너(220)의 상단부에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고 좌우로 배열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ner retainer 220 may be configured as a block-type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 seating portions 222 at an upper end, and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22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22. may protrude. At this time,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22 may be recess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retainer 220 to a predetermined depth at which the terminal 300 may be seated, and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s 224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retainer 220 at equal intervals. It can be provided and can be arranged left and right.

상기 터미널 결속부(224)는 이너 리테이너(220)가 아우터 리테이너(210)의 후방부에 조립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100)의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삽입될 때 터미널(300)의 저면에 구비된 결속홀(210)에 삽입됨으로써 터미널(300)이 이너 리테이너(220)와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한다(도 8 참조).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224 i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300 when the inner retainer 220 is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portion 130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in a state assemb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outer retainer 210. By being inserted into the provided binding hole 210, the terminal 300 is movable integrally with the inner retainer 220 (see FIG. 8).

다시 말해, 이너 리테이너(220)는 터미널 결속부(224)가 터미널(300)의 결속홀(210)에 삽입됨으로써 터미널(300)과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아우터 리테이너(210)의 전방으로 이동 시 터미널(300)을 견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너 리테이너(220)는 터미널(300)을 커넥터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끌면서 커넥터 하우징(100) 내에 정해진 완전 체결 위치까지 견인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inner retainer 220 is coupled to the terminal 300 integrally and movably by inserting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224 into the coupling hole 210 of the terminal 300, and thus the outer retainer ( When moving forward of 210, the terminal 300 can be towed. At this time, the inner retainer 220 can pull the terminal 300 to the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to a predetermined fully engaged position within the connector housing 100 .

상기 완전 체결 위치는 이너 리테이너(220)의 이너 락킹부(226)가 커넥터 하우징(100)의 이너 리테이너 고정부(140)에 삽입 고정될 때까지 터미널(300)이 이동하여 도달한 커넥터 하우징(100) 내 위치이다. 이너 리테이너(220)가 커넥터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터미널(300)이 상기 완전 체결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도 9에 보듯이 상기 이너 락킹부(226)가 이너 리테이너 고정부(140)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된다. The fully engaged position is reached by moving the terminal 300 until the inner locking part 226 of the inner retainer 220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ner retainer fixing part 140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 is my location. When the inner retainer 220 slides forward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and the terminal 300 reaches the fully engaged position, as shown in FIG. ) is inserted into and fixed.

상기 이너 락킹부(226)는 이너 리테이너(220)의 전면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이너 락킹부(226)는 이너 리테이너(220)의 전면부 하측 중앙에 돌출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혔다가 원상태로 복원가능한 후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locking part 226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retainer 220 . Specifically, the inner locking portion 226 protrudes from the lower cent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inner retainer 220 and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that can be elastically fold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n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100)의 이너 리테이너 고정부(140)는 이너 락킹부(226)를 고정하기 위하여, 삽입홀부(141)와 걸림홀부(142)로 구성된 ㄱ 모양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inner retainer fixing part 140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is formed with an A-shaped hole composed of an insertion hole part 141 and a hooking hole part 142 to fix the inner locking part 226 It can be.

상기 삽입홀부(141)는 터미널 임시 거치부(120)의 후면부, 즉 리테이너 공간부(130)의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걸림홀부(142)는 삽입홀부(141)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insertion hole portion 141 extends forward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terminal temporary holding portion 120, that is,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retainer space portion 130, and the locking hole portion 142 extends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hole portion 141. is formed by extending

이너 락킹부(226)는 이너 리테이너(220)가 터미널(300)을 상기 완전 체결 위치에 도달시킬 때, 상기 삽입홀부(141)에 삽입되면서 탄력적으로 접혔다가 상기 삽입홀부(141)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홀부(142)에 진입할 때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홀부(142)에 걸림 고정된다. When the inner retainer 220 reaches the fully engaged position of the terminal 300, the inner locking portion 226 is elastically fold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1, and then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141. When entering the catching hole 142,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is caught and fixed to the catching hole 142.

여기서, 상기 삽입홀부(141)는 그 저면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너 락킹부(226)의 삽입방향으로 상하너비가 점차 감소될 수 있다. 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41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nd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widths may gradually decrease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ner locking part 226 .

또한, 상기 걸림홀부(142)는 커넥터 하우징(100)의 저면, 즉 터미널 임시 거치부(120)의 저면까지 연장 형성됨으로써 이너 락킹부(226)가 걸림홀부(142)에서 수동으로 걸림 해제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부품 교체 및 수리 등을 위해 터미널(300) 및 리테이너 조립체(200)를 커넥터 하우징(100)에서 탈거해야 하는 경우, 상기 걸림홀부(142)를 통해 이너 락킹부(226)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린 뒤 삽입홀부(141)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이너 리테이너(220)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oking hole 142 extend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that i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temporary holding part 120, so that the inner locking part 226 can be manually released from the hooking hole 142. do.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300 and the retainer assembly 200 need to be removed from the connector housing 100 for parts replacement or repair, the inner locking part 226 is moved upward through the holding hole 142. The locking of the inner retainer 220 can be released by pushing it up and then pushing it out of the insertion hole 141 .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리테이너(220)는 그 저면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드 손잡이(228)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 손잡이(228)는 이너 리테이너(220)의 저면부 전방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슬라이드 손잡이(228)를 잡고 이너 리테이너(220)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손잡이(228)는 아우터 리테이너(210)의 저면부에 관통 형성된 무빙홀(216)을 따라 아우터 리테이너(210)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inner retainer 220 is provided with a slide handle 228 protruding downward on its bottom surface. The slide handle 228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retainer 220, and a worker may manually move the inner retainer 220 by holding the slide handle 228. The slide handle 228 may be moved forward of the outer retainer 210 along the moving hole 216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outer retainer 210 .

이하, 앞서 설명한 도면과 함께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에 터미널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assembling a terminal to the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together with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조립체(200)를 커넥터 하우징(100)의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임시 조립한 상태에서, 복수의 터미널(300)을 커넥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하여 터미널 임시 거치부(120) 위에 임시 정렬한다. 이때, 각 터미널(300)은 그 전단부가 터미널 걸림턱(110)의 후단부에 접촉하는 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커넥터 하우징(100)에 삽입되며, 터미널 걸림턱(110)에 접촉한 상태로 터미널 임시 거치부(120)에 안착된다(도 6 참조). As shown in FIG. 11A , in a state in which the retainer assembly 200 is temporarily assembled in the retainer space 130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a plurality of terminals 300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00 to Temporarily align on the terminal temporary mounting portion 120. At this time, each terminal 30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00 until its front end reaches a position where it contacts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holding jaw 110, and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holding jaw 110. It is seated on the terminal temporary mounting part 120 (see FIG. 6).

리테이너 조립체(200)가 커넥터 하우징(100)의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임시 조립된 상태는, 아우터 리테이너(210)가 커넥터 하우징(100)에 락킹 결합되기 이전 상태, 즉 아우터 락킹부(212)가 아우터 리테이너 고정부(150)에 결합되기 이전 상태이며, 이너 리테이너(220)가 터미널(300)과 결속되기 이전 상태이다. The state in which the retainer assembly 200 is temporarily assembled in the retainer space portion 130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is the state before the outer retainer 210 is locked and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100, that is, the outer locking portion 212 is a state before being coupled to the outer retainer fixing part 150, and is a state before the inner retainer 220 is coupled with the terminal 300.

다음,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조립체(20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완전 삽입되도록 조립한다. 이때, 아우터 락킹부(212)가 아우터 리테이너 고정부(150)에 걸림 고정되면서 아우터 리테이너(210)가 커넥터 하우징(100)의 리테이너 공간부(130)에 삽입된 상태로 락킹된다(도 7 참조). 또한 이때, 터미널 결속부(224)가 터미널(300)의 결속홀(210)에 삽입되면서 이너 리테이너(220)와 터미널(300)이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도 8 참조), 터미널(300)이 터미널 임시 거치부(120)로부터 상방향으로 들리면서 터미널 걸림턱(110)과 접촉 해제되어 이격된다(도 6 참조). 터미널(300)은 터미널 걸림턱(110)과 이격됨으로써 전방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Next, as shown in FIG. 11B , the retainer assembly 200 is pressed upward to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130 . At this time, the outer retainer 210 is lock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130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while the outer locking portion 212 is engaged and fixed to the outer retainer fixing portion 150 (see FIG. 7 ). . Also at this time, as the terminal coupling part 22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10 of the terminal 300, the inner retainer 220 and the terminal 300 are integrally movably coupled (see FIG. 8), and the terminal 300 ) is lifted upward from the terminal temporary holding portion 120 and is separated from contact with the terminal holding jaw 110 (see FIG. 6). The terminal 300 becomes movable forwar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terminal holding jaw 110 .

이어서, 도 11c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손잡이(228)를 잡고 이너 리테이너(220)를 아우터 리테이너(210)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터미널(300)을 커넥터 하우징(100) 내 완전 체결 위치까지 견인하여 이동시킨다. Then, as shown in FIGS. 11C and 10 , the terminal 300 is completely fasten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100 by holding the slide handle 228 and sliding the inner retainer 220 toward the front of the outer retainer 210. Tow to position and move.

터미널(300)이 상기 완전 체결 위치에 도달할 때, 이너 락킹부(226)가 이너 리테이너 고정부(140)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됨으로써 이너 리테이너(220)가 아우터 리테이너(210)의 전방 및 리테이너 공간부(130)의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100)에 고정되며(도 9 참조), 터미널(300)은 상기 완전 체결 위치에 도달한 상태로 고정된다. When the terminal 300 reaches the fully fastened position, the inner locking part 226 is inserted into the inner retainer fixing part 140 and locked, so that the inner retainer 220 is in front of the outer retainer 210 and in the retainer space. It is fixed to the connector housing 100 in a state of being moved forward of the unit 130 (see FIG. 9 ), and the terminal 300 is fixed in a state where it has reached the fully engaged position.

이때, 이너 리테이너(220)의 전방 이동을 커넥터 하우징(100)의 측면에 구비된 개구부(170)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rward movement of the inner retainer 220 can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opening 17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00 .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Sinc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not limited to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커넥터 하우징 110 : 터미널 걸림턱
120 : 터미널 임시 거치부 130 : 리테이너 공간부
140 : 이너 리테이너 고정부 141 : 삽입홀부
142 : 걸림홀부 150 : 아우터 리테이너 고정부
160 : 터미널 삽입구 170 : 개구부
200 : 리테이너 조립체 210 : 아우터 리테이너
212 : 아우터 락킹부 214 : 후면지지부
216 : 무빙홀 220 : 이너 리테이너
222 : 터미널 안착부 224 : 터미널 결속부
226 : 이너 락킹부 228 : 슬라이드 손잡이
300 : 터미널 310 : 결속홀
100: connector housing 110: terminal holding jaw
120: Terminal temporary mounting portion 130: Retainer space portion
140: inner retainer fixing part 141: insertion hole part
142: hooking hole 150: outer retainer fixing part
160: terminal insertion hole 170: opening
200: retainer assembly 210: outer retainer
212: outer locking part 214: rear support part
216: moving hole 220: inner retainer
222: terminal seating part 224: terminal binding part
226: inner locking part 228: slide handle
300: Terminal 310: Binding Hall

Claims (9)

복수의 터미널이 삽입되어 임시 정렬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터미널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리테이너 공간부에 임시 조립되는, 리테이너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 조립체는: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에 완전 삽입되면서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아우터 리테이너와;
상기 아우터 리테이너에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아우터 리테이너가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터미널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으로 견인하는, 이너 리테이너;
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a connector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serted and temporarily aligned;
A retainer assembly temporarily assembled in the retainer space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to be located below the plurality of terminals;
The retainer assembly is:
an outer retainer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while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an inner retainer assembled to the outer retainer so as to be slidable forward and being engaged with the terminal when the outer retainer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to pull the terminal toward the front of the connector housing when moving forward of the connector housing;
An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복수의 터미널을 이너 리테이너와의 결합 대기 위치에 정렬하기 위한 터미널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걸림턱의 후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housing is provided with a terminal locking jaw for aligning a plurality of terminals to a position waiting for engagement with an inner retainer, and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until it contacts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locking jaw. characterized electrical connector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걸림턱은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부에 구비된 터미널 임시 거치부 위에 돌출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 임시 거치부의 뒤쪽에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terminal holding jaw protrudes above the terminal temporary holding portion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retainer space portion is provided behind the terminal temporary hold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리테이너는 상기 아우터 리테이너가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될 때 각 터미널의 저면에 구비된 결속홀에 삽입되는 터미널 결속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retainer is an electric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terminal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terminal when the outer retainer is coupled to the connector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리테이너는 그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커넥터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아우터 락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 락킹부는 아우터 리테이너가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에 완전 삽입될 때 상기 리테이너 공간부의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형성된 아우터 리테이너 고정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retainer is provided with an outer lock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connector housing on its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nd the outer lock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retainer space when the outer retainer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etainer space. An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ngaged and fixed to the formed outer retainer fixing par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너 리테이너는 그 전면부에 커넥터 하우징의 터미널 임시 거치부에 걸림 고정되는 이너 락킹부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이너 락킹부는 이너 리테이너가 아우터 리테이너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터미널을 커넥터 하우징 내에 정해진 완전 체결 위치에 도달시킬 때 상기 터미널 임시 거치부의 후방부에 구비된 이너 리테이너 고정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inner retainer protrudes from its front surface with an inner locking portion that is engaged and fixed to the terminal temporary mounting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inner locking portion moves the inner retainer to the front of the outer retainer to position the terminal in a fully engaged position determined in the connector housing. An electric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when reaching the terminal, it is engaged and fixed to an inner retainer fixing part provided at a rear part of the terminal temporary holding par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너 리테이너 고정부는 상기 터미널 임시 거치부의 후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홀부와 상기 삽입홀부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홀부로 구성되며, 상기 이너 락킹부는 상기 삽입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홀부에 진입할 때 걸림홀부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6,
The inner retainer fixing part is composed of an insertion hole part extending fo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temporary holding part and a catching hole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hole part, and the inner locking part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part An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ngaged and fixed to the catching hole when entering th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부는 터미널 임시 거치부의 저면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7,
The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hole portion is formed exte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temporary mount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리테이너는 그 저면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슬라이드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 리테이너의 저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손잡이의 전방 이동을 위한 무빙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inner retainer has a slide knob protruding downward on a bottom portion thereof, and a moving hole for forward movement of the slide knob is formed through a bottom portion of the outer retainer.
KR1020210117559A 2021-09-03 2021-09-03 Electric connector KR202300346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559A KR20230034606A (en) 2021-09-03 2021-09-03 Electric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559A KR20230034606A (en) 2021-09-03 2021-09-03 Electric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606A true KR20230034606A (en) 2023-03-10

Family

ID=8551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559A KR20230034606A (en) 2021-09-03 2021-09-03 Electric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460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494A (en) 2013-06-17 2014-12-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494A (en) 2013-06-17 2014-12-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3939B1 (en) Electric connection method and structure between seat and body
JP6419210B2 (en) Connector mating guarantee
JP5656121B2 (en) connector
KR101221704B1 (en) Connector
US746518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ate-assist and a wire dress cover
US706677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PA stop
EP2206203B1 (en) End connector for a shielded cable
KR101655207B1 (en) Electric wire-to-substrate connector
US7108566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KR20140139577A (en)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connector
KR100988786B1 (en) Connector assembly
JP4228984B2 (en) connector
US7338317B1 (en) Panel-mounted connector
CN110462940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KR20230034606A (en) Electric connector
US6413118B2 (en) Connector housing and a connector
CN110770981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JP2015115325A (en) Lever actuated by electrical center assembly
JP2008210530A (en) Connector
CN110383595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WO2022255068A1 (en) Connector
KR102429531B1 (en) Male connector
JP4830803B2 (en) Covered connector
JP2018037336A (en) Unlock mechanism,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using this unlock mechanism
JP4341465B2 (en)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