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278A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 Google Patents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278A
KR20230034278A KR1020230026191A KR20230026191A KR20230034278A KR 20230034278 A KR20230034278 A KR 20230034278A KR 1020230026191 A KR1020230026191 A KR 1020230026191A KR 20230026191 A KR20230026191 A KR 20230026191A KR 20230034278 A KR20230034278 A KR 20230034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ilm
information output
displa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1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4651B1 (en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23002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651B1/en
Publication of KR2023003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278A/en
Priority to KR1020230142135A priority patent/KR202301541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6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comprising: a casing comprising a display surface and a display hole formed on the display surface; a protrusion equipped to enable a display of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surface by a reciprocating motion so that at least one part protrudes outward from the display hole; and a driving module positioned inside the casing, connected to the protrusion, and equipped to move the protrus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creasing durability.

Description

정보 출력 장치{Information output apparatus}Information output apparatus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information output devices.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Users can perceive information in a variety of ways. For this purpos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utput devices are being used.

예를 들면 인쇄물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 소리를 통한 청각적 정보 출력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For example, a visual information output device using printed materials and an auditory information output device through sound are used.

특히, 현대는 정보량의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 기술이 포함된 정보 출력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수의 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formation output devices including electronic technology are widely used, and display devices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are commonly used as visual information output devices.

한편, 기술 발전, 생활 습관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시각적 정보 출력 형태 이외에 다양한 방식의 정보 출력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이는 시각적 정보 출력은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diversification of lifestyles, and the lik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utput forms are required in addition to visual information output forms. This is because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has limitations for users to recognize it.

일 예로, 사용자 별로 갖고 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 출력 장치를 요구할 수 있고, 특히 특정 감각이 약화된 사용자, 예를들면 시각적 능력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이 요구된다. For example, various information output devices may be required according to situations that each user has, and in particular, information output through tactile sense is required for a user with a weakened specific sense, for example, a user with weak or no visual ability.

또한,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 장치는 촉각을 구현하기 위한 돌기의 돌출 운동이 필수적인 데, 이 때문에 방수 기능에 한계가 있고, 오염에 취약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through a tactile sense requires a protruding motion of a protrusion to implement a tactile sense, and thus has a problem in that it has a limited waterproof function and poor durability due to being vulnerable to contaminat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및/또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방수 및/또는 방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 or problem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that can improve durability, improve user convenience, and provide waterproof and / or moisture-proof func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면과 상기 표시면에 형성된 표시 홀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 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왕복 운동해 상기 표시면에 표시 가능하도록 구비된 돌기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돌기를 운동시키도록 구비된 구동 모듈과, 상기 표시면과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표시면을 향한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된 제2면을 갖는 필름을 포함하는 스킨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including a display surface and a display hole formed on the display surface, and a protrusion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hole protrudes outside the display hole so that a display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the casing A film having a drive module located inside and connected to the protrusion to move the protrusion, and a first surface facing the display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he first surface.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including a skin module may be provided.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시 홀이 위치하는 활성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 모듈은,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되는 개구를 갖고, 상기 필름과 상기 표시면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ing includes an active area where the display hole is located and an inactive area located at an edge of the active area, and the skin module has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active area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lm and the display surface. It may include a spacer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개재된 접착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adhesive film interposed between the spacer and the casing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필름과 스페이서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lm and the spacer may be integrally provided.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시 홀이 위치하는 활성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과, 상기 케이싱은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sing may include an active area where the display hole is located, an inactive area located at an edge of the active area,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active area.

상기 필름과 케이싱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adhesive film interposed between the film and the casing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에 제1 체결 유닛이 위치하고, 상기 스킨 모듈은, 적어도 필름의 가장자리와 결합된 지지 유닛과, 상기 지지 유닛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체결 유닛과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 체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 first fastening unit is loca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ing, and the skin module includes a support unit coupled to at least an edge of the film, and a second fastening unit located on the support unit and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unit. can include

상기 지지 유닛과 상기 케이싱의 사이 및 상기 필름과 케이싱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 밀봉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sealing unit locat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unit and the casing and between the film and the casing may be further includ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스킨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표시면, 표시홀 부근 및/또는 구동 모듈을 외부의 수분, 습기 및/또는 오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kin module to protect a display surface, a display hole vicinity, and/or a driving module from external moisture, humidity, and/or dirt, and thus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durability can be improved.

뿐만 아니라, 생활방수 및 수중 방수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로 사용할 때나 수중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it as a wearable device or use it underwater by providing functions of waterproofing in daily life and waterproofing in wate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II-II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III-III of FIG. 1 .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III-III of FIG. 1 .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III-III of FIG. 1 .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subjected to various transformation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embodiments,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s described later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without limiting meaning.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서 유닛이란 특정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일의 부품을 의미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의 구획된 영역일 수 있다.In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unit may mean a single component that executes a specific program,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partitioned area of at least one storage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stored.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features or ele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elements may be added.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II-II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III-III of FIG. 1 .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손목 시계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정보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와 접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촉각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물, 설비 및/또는 장치에 부착 설치되는 소자가 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to be portable by a user, and may be in the form of a wristwatch worn by the user or a portable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100 may be in the form of a wearable terminal provided to come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user's body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sense of touch.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 element attached to a building, facility, and/or device.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정보 출력 장치(1)는 인근의 컴퓨팅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 폰, 및/또는 태블릿 PC 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가 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는 상기 컴퓨팅 장치와 WiFi, 블루투스 및/또는 NFC와 같은 근거리 및/또는 직접 통신 수단을 이용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shown,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1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 nearby computing device. The computing device may be a smart phone, and/or a portable computer such as a tablet PC.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1 may communicate wirelessly with the computing device using a short-range and/or direct communication means such as WiFi, Bluetooth, and/or NF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communicate by wire. am.

상기 정보 출력 장치(1)는 통신사, 쇼핑몰, 방송국, 정부기관 등 다양한 회사 및/또는 기관의 서버 컴퓨터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은 무선 네트워크 망, 유선 네트워크 망, 기타 다양한 통신 망을 거쳐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1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server computers of various companies and/or institutions, such as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shopping malls, broadcasting sta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and these may be provided through wireless networks, wired networks, and other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정보 출력 장치(1)는, 케이싱(10)과, 돌기(12)와, 구동 모듈(124)과, 스킨 모듈(1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1 may include a casing 10 , a protrusion 12 , a driving module 124 , and a skin module 13 .

상기 케이싱(10)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데, 이 내부 공간에 구동 모듈(124)이 수용될 수 있다. The casing 10 has a sealed inner space, and the driving module 124 can be accommodated in this inner space.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은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제1 케이싱(101)과 제2 케이싱(10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10 may be defined by the first casing 101 and the second casing 102 coupled to face each other.

도 2에서 제1 케이싱(101)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동 모듈(124)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 모듈(124)과 제1 케이싱(101)의 사이에는 구동 모듈(124)의 동작을 위한 회로 기판, 배터리, 및/또는 컨트롤러 등 다양한 소자들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싱(101)은 이러한 소자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2, it is shown that the driving module 124 is disposed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sing 101, which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driving module ( 124) and the first casing 101, various elements such as a circuit board for operating the driving module 124, a battery, and/or a controller may be further positioned. In addition, the first casing 101 may have a structure of a receptor to accommodate these elements.

한편, 상기 제1 케이싱(101)에 대향되게 제2 케이싱(102)이 위치하며, 제2 케이싱(102)은 적어도 일측 외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면(1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표시면(11)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편평한 평면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표시면(11)은 곡면 및/또는 절곡면 등 다양한 형태의 면이 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asing 102 is positioned opposite to the first casing 101, and the second casing 102 may have the display surface 11 on at least a portion of at least one outer surface. This display surface 11 may be a flat plane as shown in FIG. 2,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surface 11 may be a surface of various shapes such as a curved surface and/or a bent surface. .

제2 케이싱(102)은 표시면(11)이 되는 영역 내에 형성된 표시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홀(111)은 케이싱(10) 내부 공간으로부터 돌기(12)가 돌출 및 인입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표시 홀(111)을 통해 케이싱(10)의 내부 적어도 일부와 외부가 소통할 수 있다. 표시 홀(111)은 돌기(12)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casing 102 may include a display hole 111 formed in an area that becomes the display surface 11 . The display hole 111 is provided so that the protrusion 12 can protrude and retract from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10, and at least a part of the inside of the casing 10 and the outside can communicate through the display hole 111. there is. The display holes 111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protrusions 12 .

상기 구동 모듈(124)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는 데, 그 개수는 돌기(12)의 수에 대응될 수 있다. 각 돌기(12)와 구동 모듈(124)은 일대일로 결합되어 있는 데, 각 구동 모듈(124)은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모듈(123)은 전기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riving modules 124 may be provided, and the number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protrusions 12 . Each protrusion 12 and the drive module 124 are coupled one-to-one, and each drive module 12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can be selectively driven. An actuator that can be electrically driven may be used as the driving module 123 .

구동 모듈(124)과 제2 케이싱(102)의 사이에는 돌기(12)가 위치할 수 있다. 돌기(12)는 구동 모듈(124)에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모듈(124)에 따라 동작한다. 구동 모듈(124)과 돌기(12)는 서로 결합된 것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분리되어 있고, 구동 모듈(124)의 동력을 전달받아 운동하는 것일 수 있다.A protrusion 1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riving module 124 and the second casing 102 . The protrusion 1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dule 124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module 124 . The driving module 124 and the protrusion 1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mov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dule 124 .

상기 돌기(12)는 표시 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적어도 일부가 표시 홀(111)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촉각 표시를 제공한다. 이러한 돌기(12)는 표시 홀(111)을 출입하도록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시 홀(111)에 인접하게 돌기(12)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위치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12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hole 11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12 protrudes outward from the display hole 111 to provide a tactile display to the user. The protrusion 12 may be provided to reciprocate to enter and exit the display hole 11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12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display hole 111. ca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돌기(12)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점자와 같은 특수 문자를 표시할 수 있고, 입체 그림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돌기(12)는 표시면(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높이의 조절에 의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 인접한 제1 돌기(121), 제2 돌기(122) 및 제3 돌기(123)가 있고, 제1 돌기(121)와 제3 돌기(123)는 최대 높이로 돌출하고, 제2 돌기(122)는 최저 높이로 돌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제1 돌기(121)와 제3 돌기(123)의 돌출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정보의 전달을 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such protrusions 12 may be provided, and may display special characters such as braille or 3D picture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12 protruding outward from the display surface 11 . For example, as can be seen in FIG. 2, there are first protrusions 121, second protrusions 122, and third protrusions 123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protrusions 121 and the third protrusions 123 have a maximum height. By protruding and the second protrusion 122 protruding to the minimum height, the user can recognize the protrus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1 and the third protrusion 123 and receive information accordingly.

상기 스킨 모듈(13)은 케이싱(10)의 외측에 위치한 것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적어도 표시면(11)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면(11)을 촉각 인지할 때에 먼저 스킨 모듈(13)을 촉각 인지할 수 있고, 이를 매개로 전달되는 돌기(12)의 운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 skin module 13 is located outside the casing 10 and, as shown in FIG. 1 , may have an area covering at least the display surface 11 . Therefore, when the user tactilely perceives the display surface 11, the user can first tactilely perceive the skin module 13 and receive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12 transmitted through this.

이러한 스킨 모듈(13)은 필름(131)을 포함할 수 있다.The skin module 13 may include a film 131 .

상기 필름(131)은 적어도 상기 표시면(11)과 대향되게 위치하고, 표시면(1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The film 131 may be positioned to face at least the display surface 11 and may extend along the display surface 11 .

필름(131)은 서로 대향된 제1 면(1311)과 제2 면(13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제1 면(1311)이 표시면(11)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름(131)의 제2 면(1312)을 촉각 인지할 수 있다.The film 131 may include a first surface 1311 and a second surface 1312 that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surface 1311 of the first surface 1311 may face the display surface 11 . Accordingly, the user may tactilely perceive the second surface 1312 of the film 131 .

이러한 필름(131)은 유연성 및/또는 탄성을 갖고, 어느 정도의 방습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는 데, 폴리머 재질, 예컨대 폴리 우레탄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131)을 뚫고 표시면(11)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lm 13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or elasticity and a certain degree of moisture resistance, and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for example, a polyurethane material. Accordingly, penetration of moisture into the display surface 11 through the film 131 can be prevented.

그리고 필름(131)의 두께도 너무 두껍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그 두께는 필름(131)의 제2 면(1312)을 사용자가 터치했을 때, 그 하부의 돌기(12)의 돌출된 상태를 느낄 수 있는 두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film 131 is not too thick, and the thickness is such that when the user touches the second surface 1312 of the film 131, the protruding state of the protrusion 12 at the bottom can be felt. It is desirable to be as thick as possible.

상기 필름(131)은 표시면(11)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131)은 표시면(11)과 항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lm 131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surface 11 .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lm 131 may be kept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surface 11 at all tim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131)과 표시면(11)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돌기(12)의 표시면(11)으로부터의 최대 돌출 높이(d2)와 같거나 이보다 크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 film 131 and the display surface 1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ximum protrusion height d2 of the protrusion 12 from the display surface 11. can do.

상기 필름(131)과 표시면(11) 사이의 이격 거리(d1)가 상기 돌기(12)의 표시면(11)으로부터의 최대 돌출 높이(d2)보다 작을 경우 돌기(12)의 최대 돌출에 의해 필름(131)의 제1 면(1311)이 지속적으로 타격을 받아 필름(13)이 손상될 수 있고, 돌기(12)의 돌출 운동을 방해해 구동 모듈에 과부하를 줄 수 있다.Whe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lm 131 and the display surface 11 is smaller than the maximum protrusion height d2 of the protrusion 12 from the display surface 11, the protrusion 12 is maximally protruded. Since the first surface 1311 of the film 131 is continuously hit, the film 13 may be damaged, and the protruding motion of the protrusion 12 may be hindered, thereby overloading the driving module.

상기 필름(131)과 표시면(11)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돌기(12)의 표시면(11)으로부터의 최대 돌출 높이(d2)보다 너무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필름(131)의 제1면(1311)과 최대 돌출 상태에서의 돌기(12)의 끝과의 거리는 제2 면(1312)을 터치한 사용자의 힘에 의해 필름(131)이 눌려 제1 면(1311)이 돌기(12)에 닿을 수 있는 거리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록 필름(131)의 제1면(1311)과 최대 돌출 상태에서의 돌기(12)의 끝이 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제2 면(1312)을 통해 돌기(12)의 돌출에 의한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 film 131 and the display surface 11 is not too large than the maximum protrusion height d2 of the protrusion 12 from the display surface 11.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rface 1311 of ) and the end of the protrusion 12 in the maximum protruding state is the first surface 1311 when the film 131 is pressed by the force of the user who touches the second surface 1312. It may be a distance that can reach the protrusion 12 . Accordingly, even if the first surface 1311 of the film 131 and the end of the projection 12 in the maximum protrusion state are apart, the user can receive information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projection 12 through the second surface 1312. can be delivered.

상기 필름(131)은 광이 투과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름(131)의 외측에서 표시면(11)에 구현된 다른 정보를 관찰할 수 있다.The film 13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nd thus a user may observe other information implemented on the display surface 11 from the outside of the film 131 .

도 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10)은 전술한 표시 홀이 위치하는 활성 영역(AR)과 이 활성 영역(AR)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NR)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활성 영역(AR)은 돌기(12)들의 돌출이 활성화됨으로써 표시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영역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활성 영역(AR)은 표시면(11)의 일 영역일 수 있으며, 표시면(11)에 활성 영역(AR)과 비활성 영역(NR)이 구획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ing 10 includes an active area AR where the aforementioned display hole is located and a non-active area NR located at the edge of the active area AR. ) may be included. The active area AR corresponds to an area in which display is activated by activating protrusions 12 of the protrusions 12 . In this or other embodiments, the active area AR may be one area of the display surface 11 , and the active area AR and the non-active area NR may be partitioned on the display surface 11 .

상기 스킨 모듈(13)은 상기 필름(131)과 표시면(11)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kin module 13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132 interposed between the film 131 and the display surface 11 .

상기 스페이서(132)는 상기 활성 영역(AR)에 대응하는 개구(1321)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개구(1321) 내측 영역에서 돌기(12)가 돌출되는 구조가 된다.The spacer 132 may have an opening 1321 corresponding to the active region AR. Accordingly, the protrusion 12 protrudes from the inner region of the opening 1321 .

스페이서(132)는 필름(131)의 제1면(1311)에 접합된 것일 수 있는 데, 스페이서(132)에 의해 상기 필름(131)은 표시면(1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spacer 132 may be bonded to the first surface 1311 of the film 131 , and the film 131 may remain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surface 11 by the spacer 132 .

이러한 스페이서(132)는 필름(131)보다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종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spacer 13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rder than the film 13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material.

스페이서(132)와 케이싱(10)의 사이에는 접착 필름(133)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이 접착 필름(133)에 의해 스페이서(132)는 케이스(10)의 외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개구(1321) 내측 영역, 즉 활성 영역(AR)을 외부와 차단된 밀봉된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다.An adhesive film 133 may be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spacer 132 and the casing 10 . The spacer 132 can be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10 by the adhesive film 133, and the inner area of the opening 1321, that is, the active area AR, is formed as a sealed area blocked from the outside. can d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32)와 접착 필름(133)의 두께의 합이 전술한 필름(131)과 표시면(11) 사이의 이격 거리(d1)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spacer 132 and the adhesive film 133 may be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 film 131 and the display surface 11 .

도 4는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III-III of FIG. 1 .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132)와 필름(131)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단일의 물질로 형성된 필름을, 활성 영역(AR)에 대응되는 영역에 얇게 홈을 가공함으로써 이 홈의 영역이 필름(131)이 되고, 가공되지 않은 영역은 두꺼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 the spacer 132 and the film 131 may be integrally formed. That is, by processing a film formed of a single material into a thin groove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ctive region AR, the region of the groove becomes the film 131, and the unprocessed region can be maintained in a thick state. .

이러한 스페이서(132) 필름(131) 일체형 필름 조립체는 접착 필름(133)에 의해 케이싱(10)에 접합될 수 있다.The integral film assembly of the spacer 132 and film 131 may be bonded to the casing 10 by an adhesive film 133 .

도 5는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structure according to III-III of FIG. 1 .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10)은 상기 활성 영역(AR)에 대응되는 홈(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시면(11)은 홈(10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 the casing 10 may include a groove 103 corresponding to the active region AR. At this time, the display surface 11 may be located inside the groove 103 .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킨 모듈(13)은 스페이서 없이 필름(131)으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필름(131)이 홈(103) 외측의 케이싱(10) 표면에 접착 필름(133)을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kin module 13 may be composed of only the film 131 without a spacer, and the film 131 forms an adhesive film 133 on the surface of the casing 10 outside the groove 103. It can be attached through a medium.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103)의 깊이와 접착 필름(133)의 두께의 합이 전술한 필름(131)과 표시면(11) 사이의 이격 거리(d1)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m of the depth of the groove 103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film 133 may be the aforementioned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 film 131 and the display surface 11 .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홈(103)이 형성된 케이싱(10)에 도 2 및/또는 도 3의 스페이서(132)를 포함하는 스킨 모듈(13)이 결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of FIGS. 3 to 5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new embodiment. For example, the skin module 13 including the spacer 132 of FIGS. 2 and/or 3 may be coupled to the casing 10 having the groove 103 as in the embodiment of FIG. 5 .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케이싱(10)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한 제1 체결 유닛(1041)과, 스킨 모듈(13)에 위치하는 제2 체결 유닛(134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astening unit 1041 loc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casing 10 and a second fastening located on the skin module 13 unit 1341.

상기 스킨 모듈(13)은, 적어도 상기 필름(13)의 가장자리와 결합된 지지 유닛(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유닛(134)은 필름(13) 및 스페이서(132)의 가장자리와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스페이서가 필요 없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 유닛(134)은 필름(13)의 가장자리와 고정적으로 결합될 것임은 물론이다.The skin module 13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unit 134 coupled to at least an edge of the film 13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upport unit 134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edge of the film 13 and the spacer 132 .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in which a spacer is not requir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upport unit 134 will be fixedly coupled to the edge of the film 13 .

이 지지 유닛(134)은 필름(13)의 가장자리에서 케이싱(10)의 측면(104) 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면(104)과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134 extends from the edge of the film 13 toward the side surface 104 of the casing 10 and may be positioned opposite to the side surface 104 .

이러한 지지 유닛(134)은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unit 134 may be formed of plastic and/or metal,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지지 유닛(134)에는 제2 체결 유닛(1341)이 위치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체결 유닛(1341)은 지지 유닛(134)의 측면(104)을 향한 면에 위치할 수 있다.A second fastening unit 1341 may be located in the support unit 134,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fastening unit 1341 may be located on a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34 facing the side 104. can

이러한 제2 체결 유닛(1341)은 측면(104)에 형성된 제1 체결 유닛(1041)과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제1 체결 유닛(1041)이 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라면 제2 체결 유닛(1341)은 이 홈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홈과 돌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원형, 반타원형, 부채꼴형, 삼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 유닛(1041)이 돌기 형상으로, 제2 체결 유닛(1341)이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unit 1341 is provided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unit 1041 formed on the side surface 104 . Therefore, as shown in FIG. 6 , if the first fastening unit 1041 is formed in a groove shape, the second fastening unit 1341 may have a protrusion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These grooves and protrusions are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semicircular, semielliptical, sectoral, triangular, and pentagonal shapes. 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unit 104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and the second fastening unit 134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이러한 구조에 따라 스킨 모듈(13)은 별도의 접착 필름 없이 케이싱(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스킨 모듈(13)을 교체하기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필름(131)의 마모 시 스킨 모듈(13)을 교체함으로써 활성 영역(AR)에 대한 밀봉 특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름(131)의 색상이 다양하게 되도록 스킨 모듈(13)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색상의 필름(131)을 갖는 스킨 모듈(13)을 선택적으로 케이싱(10)에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kin module 13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ing 10 without a separate adhesive film, and thus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skin module 13 . Therefore, by replacing the skin module 13 when the film 131 is worn, the sealing property for the active area AR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skin module 13 so that the color of the film 131 varies, the user can selectively mount the skin module 13 having the film 131 of a desired color on the casing 10 .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134)과 상기 케이싱(10)의 측면(104) 사이에 위치한 제1 밀봉 유닛(13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밀봉 유닛(1343)의 장착을 위해 상기 지지 유닛(134)에는 상기 측면(104)을 향한 영역에 제1 장착 홈(1342)이 설치될 수 있고, 이 제1 장착 홈(1342)에 제1 밀봉 유닛(1343)이 장착됨으로써 제1 밀봉 유닛(1343)이 케이싱(10)과 지지 유닛(134)의 사이에 고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sealing unit 1343 located between the support unit 134 and the side surface 104 of the casing 10 as shown in FIG. 6 . can include To mount the first sealing unit 1343, a first mounting groove 1342 may be installed in an area facing the side surface 104 of the support unit 134, and the first mounting groove 1342 Since the first sealing unit 1343 is mounted, the first sealing unit 1343 can be fixedly positioned between the casing 10 and the support unit 134 .

제1 밀봉 유닛(1343)이 장착되는 위치는 전술한 제1 체결 유닛(1041) 및 제2 체결 유닛(1341)으로부터 필름(131)을 향한 부분이 될 수 있다. A position where the first sealing unit 1343 is mounted may be a portion facing the film 131 from the first fastening unit 1041 and the second fastening unit 1341 described above.

이러한 제1 밀봉 유닛(1343)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분, 습기의 흐름이 활성 영역(AR)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먼지와 같은 다른 오물이 활성 영역(AR)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By the first sealing unit 1343, it is possible to block the flow of moisture and moisture from the outside into the active area AR, as well as to block other contaminants such as dust from entering the active area AR. there is.

이러한 제1 밀봉 유닛(1343)은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 데,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그 일부가 지지 유닛(134)의 제1 장착 홈(1342)에 강제 끼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밀봉 유닛(1343)은 제1 장착 홈(1342)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밀봉 유닛(1343)은 제1 장착 홈(1342) 없이 지지 유닛(134)의 케이싱(10)을 향한 면에 접합된 것일 수 있다.The first sealing unit 1343 may be made of an elastically compressible material, and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a part thereof is forcibly fitted into the first mounting groove 1342 of the support unit 134. may be combined.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sealing unit 1343 may be bonded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1342 . Alternatively, the first sealing unit 1343 may b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34 facing the casing 10 without the first mounting groove 1342 .

이러한 제1 밀봉 유닛(1343)은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 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표시면을 둘러싸는 폐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표시면을 외부의 수분, 습기, 및/또는 오물로부터 밀봉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unit 1343 may be formed to form a closed loop, and preferably may be configured as a closed loop surrounding at least the display surface. Accordingly, at least the display surface can be sealed from external moisture, moisture, and/or dirt.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스킨 모듈(13)이 필름(131)과 스페이서(132)를 포함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페이서(132)가 필름(131)과 일체로 구비된 실시예, 및 케이싱(10)에 형성된 홈(103)과 필름(131)을 구비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skin module 13 includes the film 131 and the spacer 13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spacer 132 is integrally with the film 131. Of course,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provided embodiment and the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groove 103 and the film 131 formed in the casing 10 .

도 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밀봉 유닛(1322)이 지지 유닛(134)이 아닌, 상기 필름(131)과 케이싱(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 the second sealing unit 1322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lm 131 and the casing 10 instead of the support unit 134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밀봉 유닛(1322)은 스페이서(132)와 케이싱(10)의 표시면(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제2 밀봉 유닛(1322)의 장착을 위해 상기 스페이서(132)에는 상기 지지면(11)을 향한 영역에 제2 장착 홈(1321)이 설치될 수 있고, 이 제2 장착 홈(1321)에 제2 밀봉 유닛(1322)이 장착됨으로써 제2 밀봉 유닛(1322)이 케이싱(10)과 스페이서(132)의 사이에 고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sealing unit 1322 may be located between the spacer 132 and the display surface 11 of the casing 10 . To mount the second sealing unit 1322, a second mounting groove 1321 may be installed in an area facing the support surface 11 in the spacer 132, and the second mounting groove 1321 By mounting the second sealing unit 1322 , the second sealing unit 1322 may be fixedly positioned between the casing 10 and the spacer 132 .

이러한 제2 밀봉 유닛(1322)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분, 습기의 흐름이 활성 영역(AR)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먼지와 같은 다른 오물이 활성 영역(AR)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By the second sealing unit 1322, it is possible to block the flow of moisture and moisture from the outside into the active area AR, as well as to block other contaminants such as dust from entering the active area AR. there is.

이러한 제2 밀봉 유닛(1322)은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 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그 일부가 스페이서(132)의 제2 장착 홈(1321)에 강제 끼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밀봉 유닛(1322)은 제2 장착 홈(1321)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밀봉 유닛(1322)은 제2 장착 홈(1321) 없이 스페이서(132)의 케이싱(10)을 향한 면에 접합된 것일 수 있다.The second sealing unit 1322 may be made of an elastically compressible material, and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 a part thereof is forcibly fitted in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1321 of the spacer 132. may have been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sealing unit 1322 may be bonded 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1321 . Alternatively, the second sealing unit 1322 may b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spacer 132 facing the casing 10 without the second mounting groove 1321 .

이러한 제2 밀봉 유닛(1322)은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 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표시면을 둘러싸는 폐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표시면을 외부의 수분, 습기, 및/또는 오물로부터 밀봉할 수 있다.The second sealing unit 1322 may be formed to form a closed loop, and preferably may be configured as a closed loop surrounding at least the display surface. Accordingly, at least the display surface can be sealed from external moisture, moisture, and/or dirt.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스킨 모듈(13)이 필름(131)과 스페이서(132)를 포함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페이서(132)가 필름(131)과 일체로 구비된 실시예, 및 케이싱(10)에 형성된 홈(103)과 필름(131)을 구비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skin module 13 includes the film 131 and the spacer 13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spacer 132 is integrally with the film 131. Of course,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provided embodiment and the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groove 103 and the film 131 formed in the casing 10 .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제1 밀봉 유닛(1343)과 도 7에 도시된 제2 밀봉 유닛(1322)을 모두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표시면에 대한 전술한 밀봉 특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보 출력 장치의 방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both the first sealing unit 1343 shown in FIG. 6 and the second sealing unit 1322 shown in FIG. 7 . Accordingly, not only can the above-described sealing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at least the display surface be further enhanced, but also waterproof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can be realized.

도 1 및 도 3에는 하나의 활성 영역(AR)과 이를 둘러싸는 하나의 비활성 영역(NR)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활성 영역(AR)과 비활성 영역(NR)이 구획될 수 있다.1 and 3 show one active region AR and one non-active region NR surrounding i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8 , a plurality of active regions (AR) and the non-active area (NR) may be partitioned.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모든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can be combined with all of the foregoing embodiments.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표시면에 표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돌기가 반복적인 돌출 운동을 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돌기와 표시 홀 사이는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홀의 내측에는 바로 돌기와 연결된 구동 모듈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홀을 통해 수분, 습기 및/또는 오물이 내부로 침투하거나, 표시 홀 근처에 부착될 경우 정보 출력 장치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In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display hole is formed on the display surface, and the protrusion needs to repeatedly protrude through the display hole, so there may be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display hole. Further, since the drive module connected to the protrusion is positioned inside the display hole, durability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may be deteriorated when moisture, moisture, and/or dirt penetrates through the display hole or is attached near the display hole.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스킨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표시면을 외부의 수분, 습기 및/또는 오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including the skin module,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protect the display surface from external moisture, humidity, and/or dirt, and thus, the durability of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can be improved.

뿐만 아니라, 생활방수 및 수중 방수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로 사용할 때나 수중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it as a wearable device or use it underwater by providing functions of waterproofing in daily life and waterproofing in wate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execu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can be replaced in actual devices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 it may not necessarily be a component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embodiments (particularly in the claims),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indicating terms may correspond to both singular and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t includes the invention to which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and it is as if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 Finally, if there is no explicit description or description of the order of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Example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embodiments is simp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s limited due to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It is not.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1: 정보 출력 장치
10: 케이싱
11: 표시면
12: 돌기
13: 스킨 모듈
1: information output device
10: casing
11: display surface
12: projection
13: Skin module

Claims (8)

표시면과 상기 표시면에 형성된 표시 홀을 포함하는 케이싱;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 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왕복 운동해 상기 표시면에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돌기;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돌기를 운동시키도록 구비된 구동 모듈; 및
상기 표시면과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표시면을 향한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된 제2면을 갖는 필름을 포함하는 스킨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a casing including a display surface and a display hole formed in the display surface;
a protrusion provided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display surface by reciprocating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outward from the display hole;
a drive module located inside the casing and connected to the protrusion to move the protrusion; and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comprising a skin module including a film positioned opposite to the display surface and having a first surface facing the display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he firs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시 홀이 위치하는 활성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 모듈은,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되는 개구를 갖고, 상기 필름과 상기 표시면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sing includes an active area where the display hole is located and an inactive area located at an edge of the active area,
The skin module,
and a spacer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active reg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lm and the display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개재된 접착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film interposed between the spacer and the ca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과 스페이서는 일체로 구비된 정보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information output device wherein the film and the spacer are integrally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시 홀이 위치하는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 및
상기 케이싱은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되는 홈;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sing,
an active area where the display hole is located;
an inactive area positioned at an edge of the active area; and
The casing includes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active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과 케이싱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5,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film interposed between the film and the ca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에 제1 체결 유닛이 위치하고,
상기 스킨 모듈은,
적어도 필름의 가장자리와 결합된 지지 유닛; 및
상기 지지 유닛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체결 유닛과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fastening unit is located on at least a part of the casing,
The skin module,
a support unit coupled with at least an edge of the film; and
An information output device comprising a second fastening unit positioned on the support unit and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과 상기 케이싱의 사이 및 상기 필름과 케이싱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 밀봉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7,
and a sealing unit locat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unit and the casing and between the film and the casing.
KR1020230026191A 2020-06-29 2023-02-27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5946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191A KR102594651B1 (en) 2020-06-29 2023-02-27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0230142135A KR20230154141A (en) 2020-06-29 2023-10-23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975A KR20200084831A (en) 2020-06-29 2020-06-29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0220025034A KR102505923B1 (en) 2020-06-29 2022-02-25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0230026191A KR102594651B1 (en) 2020-06-29 2023-02-27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034A Division KR102505923B1 (en) 2020-06-29 2022-02-25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2135A Division KR20230154141A (en) 2020-06-29 2023-10-23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278A true KR20230034278A (en) 2023-03-09
KR102594651B1 KR102594651B1 (en) 2023-10-27

Family

ID=7157066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975A KR20200084831A (en) 2020-06-29 2020-06-29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0220025034A KR102505923B1 (en) 2020-06-29 2022-02-25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0230026191A KR102594651B1 (en) 2020-06-29 2023-02-27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0230142135A KR20230154141A (en) 2020-06-29 2023-10-23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975A KR20200084831A (en) 2020-06-29 2020-06-29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KR1020220025034A KR102505923B1 (en) 2020-06-29 2022-02-25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2135A KR20230154141A (en) 2020-06-29 2023-10-23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00084831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020B1 (en) 2023-06-09 2024-05-14 정창호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rts for braille displays
KR102611694B1 (en) 2023-06-09 2023-12-08 정창호 Apparatus for manufacturing yokes for braille display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695B1 (en) * 2003-10-10 2006-04-07 신현오 A Display Device of Braille Points
KR20070093045A (en) * 2004-09-10 2007-09-17 스팍스, 인크. Substrate with light display
KR20110008469A (en) * 2009-07-20 2011-01-2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Braille watch for eyesight handicapped person
KR101597911B1 (en) * 2014-10-30 2016-03-02 김주윤 Brail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695B1 (en) * 2003-10-10 2006-04-07 신현오 A Display Device of Braille Points
KR20070093045A (en) * 2004-09-10 2007-09-17 스팍스, 인크. Substrate with light display
KR20110008469A (en) * 2009-07-20 2011-01-2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Braille watch for eyesight handicapped person
KR101597911B1 (en) * 2014-10-30 2016-03-02 김주윤 Brail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831A (en) 2020-07-13
KR102505923B1 (en) 2023-03-06
KR20220027926A (en) 2022-03-08
KR102594651B1 (en) 2023-10-27
KR20230154141A (en)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923B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US10909882B2 (en) Brail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349710B1 (en)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peaker
US844626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waterproof keypad
JP4538483B2 (en) Waterproof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EP2410408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waterproof keypad
WO2014175446A1 (en) Push switch and switch module
KR20180052291A (en) Electronic device with side speaker hole
US7539303B2 (en) Keypad assembly
CN112291391B (en) Electronic device
KR102130776B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US12001598B2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KR20230094807A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US20230119090A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CN214012793U (en) Key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5050598A (en) Electronic device
JP2007207473A (en) Electronic apparatus
CN115020137B (en) Key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CN214624822U (en) Key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CN217056507U (en) Waterproof ventilation valv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0571080A (en) Waterproof structure of key
CN111131587B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220006808A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assembly
CN117270203A (en) Augmented reality glasses
KR20130005575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