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172A - 다수의 트랜지스터 소스들에 대한 자가 정렬된 넓은 후면 파워 레일 접촉부들 - Google Patents

다수의 트랜지스터 소스들에 대한 자가 정렬된 넓은 후면 파워 레일 접촉부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172A
KR20230034172A KR1020220109892A KR20220109892A KR20230034172A KR 20230034172 A KR20230034172 A KR 20230034172A KR 1020220109892 A KR1020220109892 A KR 1020220109892A KR 20220109892 A KR20220109892 A KR 20220109892A KR 20230034172 A KR20230034172 A KR 2023003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drain
source
semiconductor device
tren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케투 아룬 파리크
아시쉬 팔
엘 메디 바지지
앤드류 여
니틴 케이. 잉글
아르빈드 순다라잔
구안 훼이 시
마르티누스 마리아 버켄스
사미르 에이. 데쉬판데
발라수브라마니안 프라나타르티하란
옌-추 양
Original Assignee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3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75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interconnection or wiring or contact manufacturing 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7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12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hannel structures, e.g. channel implants, halo or pocket implants, or channel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18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urce or drain structures, e.g. specific source or drain implants or silicid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or rais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37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8Geometry or layout of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 H01L23/5286Arrangements of power or ground b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01L27/08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body defining a nanostructure
    • H01L29/0669Nanowires or nanotubes
    • H01L29/0673Nanowires or nanotubes oriented parallel to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84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for thin film field effect transistors, e.g.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r the shape of the insulator or the dimensions, the shape or the lay-out of the conductor
    • H01L29/4239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for thin film field effect transistors, e.g.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r the shape of the insulator or the dimensions, the shape or the lay-out of the conductor fully surrounding the channel, e.g. gate-all-ar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4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a dummy, i.e. replacement gate in a process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final gate is self aligned to the dummy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 Geome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반도체 디바이스들 및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들이 설명된다. 방법은 깊은 소스/드레인 공동을 형성하고 공동을 희생 재료로 채우기 위한 전면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금속 충전제로 채워진 후면 파워 레일 비아(backside power rail via)를 형성하도록, 후면의 프로세싱 동안 희생 재료가 제거된다.

Description

다수의 트랜지스터 소스들에 대한 자가 정렬된 넓은 후면 파워 레일 접촉부들{SELF-ALIGNED WIDE BACKSIDE POWER RAIL CONTACTS TO MULTIPLE TRANSISTOR SOURCES}
[0001]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들(devices)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파워 레일 아키텍처(power rail architecture), 3D 패키징(packaging), 및 반도체 디바이스들을 제조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0002] 반도체 프로세싱(processing) 산업은 더 큰 표면적들을 갖는 기판들 상에 증착된 층들의 균일성을 증가시키면서 더 큰 생산 수율들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고 있다. 이들 동일한 인자들이 새로운 재료들과 조합되면 또한 기판의 단위 면적당 더 높은 회로들의 집적도를 제공한다. 회로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층 두께에 대한 더 큰 균일성 및 프로세스 제어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진다. 그 결과, 층의 특성들에 대한 제어를 유지하면서,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기판들 상에 층들을 증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0003] 반도체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기판 위에 절연 또는 유전체 층들, 전도성 층들, 및 반도체 재료 층들을 순차적으로 증착하고, 리소그래피(lithography)를 사용하여 다양한 재료 층들을 패터닝(patterning)하여 그 위에 회로 컴포넌트들(components) 및 요소들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전도성 층들은 트랜지스터들(transistors), 증폭기들, 인버터들(inverters), 제어 로직(logic), 메모리, 전력 관리 회로들, 버퍼들(buffers), 필터들(filters), 공진기들, 커패시터들(capacitors), 인덕터들(inductors), 저항기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기 컴포넌트들에 대한 전기 배선을 용이하게 한다.
[0004] 트랜지스터는 대부분의 집적 회로들의 핵심 컴포넌트이다. 트랜지스터의 구동 전류, 및 이에 따라 속도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폭에 비례하기 때문에, 더 빠른 트랜지스터들은 일반적으로 더 큰 게이트 폭(gate width)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크기와 속도 사이에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존재하며, 최대 구동 전류 및 최소 크기를 갖는 트랜지스터의 상충하는 목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핀(fin)"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finFETs)이 개발되었다. FinFET들은 트랜지스터의 풋프린트(footprint)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는 핀 형상의 채널(channel) 영역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 많은 집적 회로들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finFET들은 이들의 고유한 단점들을 갖는다.
[0005] 더 큰 회로 밀도 및 더 높은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트랜지스터 디바이스들의 피처(feature) 크기들이 계속 축소됨에 따라, 정전기 결합을 개선하고 기생 커패시턴스 및 오프 상태(off-state) 누설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구조를 개선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트랜지스터 디바이스 구조들의 예들은 평면 구조, 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nFET) 구조, 및 수평 게이트-올-어라운드(horizontal gate all around)(hGAA) 구조를 포함한다. hGAA 디바이스 구조는 적층된 구성으로 매달려 소스/드레인(source/drain) 영역들에 의해 연결되는 여러 격자 정합 채널들을 포함한다. hGAA 구조는 우수한 정전기 제어를 제공하며,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웨이퍼 제조에서 광범위하게 채택될 수 있다.
[0006] 반도체들을 파워 레일에 연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셀(cell) 전방에서 수행되며, 이는 상당한 셀 면적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보다 적은 셀 면적을 사용하여 파워 레일들에 연결되는 반도체 디바이스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0007]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은: 기판의 최상부 표면 상에 초격자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 초격자 구조는 복수의 적층된 쌍들로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 및 대응하는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을 포함함 ―; 기판 상의 초격자 구조에 인접하게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및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을 형성하는 단계; 소스 공동 및 드레인 공동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및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시키는 단계; 소스 공동 및 드레인 공동에 희생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CT 및 CG를 형성하는 단계; 기판을 통해 다마신 트렌치(damascene trench)를 형성하는 단계; 다마신 트렌치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희생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 다마신 트렌치에 금속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8] 본 개시내용의 추가 실시예들은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은: 기판의 최상부 표면 상에 초격자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 초격자 구조는 복수의 적층된 쌍들로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 및 대응하는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을 포함함 ―; 초격자 구조의 최상부 표면 상에 게이트(gate)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기판 상의 초격자 구조에 인접하게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및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을 형성하는 단계; 소스 공동 및 드레인 공동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및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시키는 단계; 소스 공동 및 드레인 공동에 희생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 각각 상에 내부 스페이서(spacer) 층을 형성하는 단계;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기판 상에 층간 유전체 층을 형성하는 단계; 대체 금속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CT 및 CG를 형성하는 단계; 제1 금속 라인(line)을 형성하는 단계; 반도체 디바이스를 180도 회전시키는 단계; 기판을 평탄화하는 단계; 기판 상에 층간 유전체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 기판에 후면 파워 레일 비아(backside power rail via)를 형성하는 단계; 다마신 트렌치를 형성하도록 후면 파워 레일 비아를 확장시키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희생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 다마신 트렌치에 금속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9] 본 개시내용의 상기 열거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앞서 간략히 요약된 본 개시내용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들의 일부는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단지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예시하는 것이므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하는데, 이는 본 개시내용이 다른 균등하게 유효한 실시예들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0010] 도 1a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0011] 도 1b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도 1a의 프로세스 흐름도의 연속이다.
[0012] 도 2a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13] 도 2b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14] 도 2c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15] 도 2d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16] 도 2e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17] 도 2f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18] 도 2g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19] 도 2h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20] 도 2i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21] 도 2j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22] 도 2k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23] 도 2l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24] 도 2m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25] 도 2n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26] 도 2o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27] 도 2p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28] 도 2q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29] 도 2r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30] 도 2s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31] 도 2t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32] 도 2u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33] 도 3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를 예시한다.
[0034] 도 4a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35] 도 4b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36] 도 4c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37] 도 4d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38] 도 4e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39] 도 5a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40] 도 5b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41] 도 5c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42] 도 5d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43] 도 6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를 예시한다.
[0044] 도 7a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45] 도 7b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46] 도 7c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47] 도 7d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0048] 도 8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클러스터 도구(cluster tool)를 예시한다.
[0049]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들에 대해 공통인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지정하기 위해 가능한 경우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사용되었다. 도면들은 실척대로 그려지지 않으며, 명확성을 위해 단순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엘리먼트들 및 특징들은 추가의 언급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유익하게 통합될 수 있다.
[0050] 본 개시내용의 여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전에, 본 개시내용이 다음의 설명에서 제시되는 구성 또는 프로세스 단계들의 세부사항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며, 다양한 방식들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0051]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기판"이라는 용어는, 프로세스가 작용하는 표면 또는 표면의 일부를 나타낸다. 또한, 문맥상 명확하게 다르게 표시하지 않는 한, 기판에 대한 언급이 또한, 기판의 일부만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기판 상의 증착에 대한 언급은 베어(bare) 기판, 및 하나 이상의 막들 또는 피처들이 상부에 증착 또는 형성된 기판 둘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0052]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판"은, 제작 프로세스 중에 막 프로세싱이 수행되는, 임의의 기판, 또는 기판 상에 형성된 재료 표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이 수행될 수 있는 기판 표면은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실리콘, 실리콘 산화물, 스트레인드 실리콘, SOI(silicon on insulator), 탄소 도핑된 실리콘 산화물들, 실리콘 질화물, 도핑된 실리콘, 게르마늄, 갈륨 비소, 유리, 사파이어와 같은 재료들, 및 금속들, 금속 질화물들, 금속 합금들 및 다른 전도성 재료들과 같은 임의의 다른 재료들을 포함한다. 기판들은 제한 없이, 반도체 웨이퍼들을 포함한다. 기판들은 기판 표면을 연마, 에칭, 환원, 산화, 수산화(또는 그렇지 않으면 화학적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표적 화학적 모이어티들(moieties)을 생성하거나 또는 그라프트(graft)함), 어닐링 및/또는 베이크(bake)하기 위한 전처리 프로세스에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는, 기판의 표면 자체에 대해 직접 막을 프로세싱하는 것 외에도,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개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 상에 형성된 하층에 대해서도, 개시된 막 프로세싱 단계들 중 임의의 단계가 또한 수행될 수 있으며, "기판 표면"이라는 용어는 맥락이 나타내는 것과 같은 그러한 하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막/층 또는 부분 막/층이 기판 표면 상에 증착된 경우, 새로 증착된 막/층의 노출된 표면이 기판 표면이 된다. 주어진 기판 표면이 포함하는 것은, 어떤 막들이 증착되어야 하는지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특정 케미스트리에 따라서도 달라질 것이다.
[0053]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구체", "반응물", "반응성 가스" 등의 용어들은 기판 표면과 반응할 수 있는 임의의 가스상 종(gaseous species)을 지칭하기 위해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0054] 트랜지스터들은 반도체 디바이스들 상에 종종 형성되는 회로 컴포넌트들 또는 요소들이다. 회로 설계에 따라, 커패시터들, 인덕터들, 저항기들, 다이오드들(diodes), 전도성 라인들(lines), 또는 다른 요소들 외에도, 트랜지스터들이 반도체 디바이스 상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트랜지스터는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소스 및 드레인 영역들은 기판의 도핑된 영역을 포함하고,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도핑 프로파일(doping profile)을 나타낸다. 게이트는 채널 영역 위에 위치결정되고, 기판의 채널 영역과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된 게이트 유전체를 포함한다.
[0055]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또는 "FET"라는 용어는 디바이스의 전기적 거동을 제어하기 위해 전기장을 사용하는 트랜지스터를 지칭한다. 향상 모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은 일반적으로 저온에서 매우 높은 입력 임피던스(impedance)를 나타낸다. 드레인과 소스 단자들 사이의 전도도는 디바이스의 본체와 게이트 사이의 전압 차이에 의해 생성되는 디바이스의 전기장에 의해 제어된다. FET의 3 개 단자들은 캐리어들(carriers)이 채널에 들어가는 소스(S); 캐리어들이 채널을 떠나는 드레인(D); 및 게이트(G)이고, 이 단자는 채널 전도도를 변조한다. 일반적으로, 소스(S)에서 채널에 들어가는 전류는 IS로 지정되고, 드레인(D)에서 채널에 들어가는 전류는 ID로 지정된다. 드레인-소스 전압은 VDS로 지정된다. 게이트(G)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드레인에서 채널에 들어가는 전류(즉, ID)가 제어될 수 있다.
[0056]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의 일 타입이다. 이것은 절연 게이트를 갖고, 그 절연 게이트의 전압이 디바이스의 전도도를 결정한다. 인가된 전압의 양으로 전도도를 변경할 수 있는 이 능력은 전자 신호들을 증폭하거나 또는 스위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MOSFET은, 본체 위에 위치되고 게이트 유전체 층에 의해 다른 모든 디바이스 영역들로부터 절연된 게이트 전극과 본체 전극 사이의 금속 산화물 반도체(MOS) 커패시턴스에 의한 전하 농도의 변조에 기초한다. MOS 커패시터와 비교하여, MOSFET에는 2 개의 추가 단자들(소스 및 드레인)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은 본체 영역에 의해 분리된 개별 고농도 도핑 영역들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영역들은 p 또는 n 타입일 수 있지만, 이들은 둘 모두 동일한 타입이고, 본체 영역과 반대 타입이다. (본체와 달리) 소스 및 드레인은 도핑 타입 뒤에 "+" 기호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고도로 도핑된다.
[0057] MOSFET이 n-채널 또는 nMOS FET인 경우, 소스 및 드레인은 n+ 영역들이고 본체는 p 영역이다. MOSFET이 p-채널 또는 pMOS FET인 경우, 소스 및 드레인은 p+ 영역들이고 본체는 n 영역이다. 소스는 채널을 통해 흐르는 전하 캐리어들(n-채널의 경우 전자들, p-채널의 경우 정공들)의 소스이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되었다; 마찬가지로, 드레인은 전하 캐리어들이 채널을 떠나는 곳이다.
[0058]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nFET)"라는 용어는 게이트가 채널의 2 개 또는 3 개 면들 상에 배치되어 이중 또는 삼중 게이트 구조를 형성하는 기판 상에 구축된 MOSFET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채널 영역이 기판 상에 "핀"을 형성하기 때문에 FinFET 디바이스들에 일반 명칭 FinFET들이 주어졌다. FinFET 디바이스들은 빠른 스위칭 시간들 및 높은 전류 밀도를 갖는다.
[0059]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게이트-올-어라운드(GAA)"라는 용어는 게이트 재료가 모든 면들에서 채널 영역을 둘러싸는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GAA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은 나노와이어들(nanowires) 또는 나노-슬래브들(nano-slabs) 또는 나노-시트들, 바 형상의 채널들(bar-shaped channels),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적절한 채널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GAA 디바이스의 채널 영역은 수직으로 이격된 다수의 수평 나노와이어들 또는 수평 바들을 가지며, 이는 GAA 트랜지스터를 적층된 수평 게이트-올-어라운드(hGAA) 트랜지스터로 만든다.
[0060]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나노와이어"는 나노미터(10-9 미터) 정도의 직경을 갖는 나노구조를 지칭한다. 나노와이어들은 또한 길이 대 폭의 비가 1000 초과인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나노와이어들은 수십 나노미터 이하로 제한되는 두께 또는 직경 및 제한되지 않은 길이를 갖는 구조들로서 정의될 수 있다. 나노와이어들은 트랜지스터들 및 일부 레이저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되며,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재료들, 금속성 재료들, 절연 재료들, 초전도 재료들, 또는 분자 재료들로 제조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나노와이어들은 로직 CPU, GPU, MPU, 및 휘발성(예를 들어, DRAM) 및 비휘발성(예를 들어, NAND) 디바이스들을 위한 트랜지스터들에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나노시트"는 약 0.1 nm 내지 약 1000 nm 범위의 스케일의 두께를 갖는 2차원 나노구조를 지칭한다.
[0061]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트랜지스터들을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들 및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을 통해 설명된다. 도시된 프로세스들은 개시된 프로세스들에 대한 가능한 사용들을 예시할 뿐이며, 당업자는 개시된 프로세스들이 예시된 애플리케이션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0062]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방법에서, 트랜지스터들, 예를 들어, 게이트-올-어라운드 트랜지스터들은 표준 프로세스 흐름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리콘 웨이퍼가 제공되고, 매립된(buried) 에칭 정지 층이 실리콘 웨이퍼 상에 형성된다. 에피택셜 층, 예를 들어, 에피택셜 실리콘이 증착된다. 그런 다음 웨이퍼는 디바이스 및 프런트-엔드 프로세싱으로 처리된다. 프런트-엔드 프로세싱 후에, 웨이퍼는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산화물에 대한 하이브리드 본딩을 겪고, 그런 다음 웨이퍼는 유리하게 박화된다(thinned). 웨이퍼를 박화시키면 후면 파워 레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원하는 평탄도 및 본딩이 제공된다. 웨이퍼를 박화시키기 위해, 시작 제1 두께를 갖는 실리콘 기판 층은 제2 두께로 그라인딩되고,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작다. 그라인딩 후,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리콘 웨이퍼는 화학적 기계적 평탄화(CMP)로 처리되고, 그 후 에칭 및 CMP 버핑(buffing)으로 처리되며, 실리콘의 두께를 제3 두께로 감소시키고, 이 제3 두께는 제2 두께보다 작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에칭은 매립된 에칭 정지 층에서 정지한다. 그런 다음 접촉부는 금속으로 미리 채워지고, 금속화가 수행된다.
[0063]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트랜지스터들, 예를 들어, 게이트-올-어라운드 트랜지스터들은 표준 프로세스 흐름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리콘 웨이퍼가 제공되고, 매립된 에칭 정지 층이 실리콘 웨이퍼 상에 형성된다. 에피택셜 층, 예를 들어, 에피택셜 실리콘이 증착된다. 그런 다음 웨이퍼는 디바이스 및 프런트-엔드 프로세싱으로 처리된다. 프런트-엔드 프로세싱 후에, 웨이퍼는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산화물에 대한 하이브리드 본딩을 겪고, 그런 다음 웨이퍼는 유리하게 박화된다. 웨이퍼를 박화시키면 후면 파워 레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원하는 평탄도 및 본딩이 제공된다. 웨이퍼를 박화시키기 위해, 시작 제1 두께를 갖는 실리콘 기판 층은 제2 두께로 그라인딩되고, 이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작다. 그라인딩 후, 큰 마스크가 증착되고, 마스크에 비아들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웨이퍼는, 비아들을 통해, 매립된 에칭 정지 층까지 에칭되고, 그런 다음 에칭 정지 층은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리프트오프(liftoff)가 발생한다.
[0064]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방법에서, 트랜지스터들, 예를 들어, 게이트-올-어라운드 트랜지스터들은 표준 프로세스 흐름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소스/드레인 공동이 리세스된 후, 소스/드레인 공동의 치수가 확장되고, 희생 충전 재료가 증착된다. 제작은 내부 스페이서의 형성, 소스/드레인 에피택시, 층간 유전체의 형성, 대체 게이트 형성, CT 및 CG 형성, 전면 금속 라인 형성으로 진행된다. 그런 다음 기판은 플립되고(flipped) 평탄화된다. 층간 유전체가 후면 상에 증착되고, 후면 파워 레일 비아들이 패터닝되고, 층간 유전체가 에칭된다. 다마신 트렌치(damascene trench)가 형성되고, 희생 충전제가 제거되어 개구를 형성한다. 개구에 금속이 증착되고, 그런 다음 후면 금속 라인들이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희생 충전 재료는 유리하게 선택적이어서, 에칭 시에, 자가 정렬된 트렌치들 및/또는 비아들이 형성되어, 이에 따라 오정렬을 방지한다.
[0065]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방법에서, 트랜지스터들, 예를 들어, 게이트-올-어라운드 트랜지스터들은 표준 프로세스 흐름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깊은 비아들이 별도의 마스크로 에칭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이들은 규칙적인 접촉 또는 비아 마스크로 에칭된다. 규칙적인 비아들을 에칭한 후, 마스크가 배치되고, 그런 다음, 후면 연결을 쉽게 하기 위해 파워 레일 비아들이 디바이스 아래의 깊이까지 에칭된다. 표준 및 깊은 비아들/접촉부들은 모두 티타늄 질화물/텅스텐(TiN/W) 또는 티타늄 질화물/루테늄(TiN/Ru) 또는 몰리브덴(Mo) 접촉부 충전제로 동시에 채워지고, 그 후 평탄화된다. 웨이퍼는 선택적으로 박화될 수 있다. 후면 상에는, 비아가 에칭되어 깊은 비아에 연결된다. 그런 다음 금속화가 발생한다.
[0066]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6)에 대한 프로세스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1b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6)을 도시하는 도 1a의 프로세스 흐름도의 연속이다. 도 2a 내지 도 2u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구조들의 제작 스테이지들(stages)을 도시한다. 방법(6)은 도 2a 내지 도 2u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a 내지 도 2u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GAA)의 단면도들이다. 방법(6)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다단계 제작 프로세스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방법(6)은 클러스터 도구에 결합된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스 챔버(chamber)에서 수행될 수 있다. 클러스터 도구는 에칭, 증착, 물리 기상 증착(PVD), 화학 기상 증착(CVD), 산화를 위해 구성된 챔버들과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세스 챔버들, 또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작에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0067] 도 2a 내지 도 2u는 도 1a 및 도 1b의 동작들(8 내지 54)의 제작 단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를 형성하는 방법(6)은 기판(102)을 제공함으로써 동작(8)에서 시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판(102)은 벌크(bulk)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벌크 반도체 기판"은 기판 전체가 반도체 재료로 구성된 기판을 의미한다. 벌크 반도체 기판은 반도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반도체 재료 및/또는 반도체 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층은 결정질 실리콘(예를 들어, Si<100> 또는 Si<111>), 실리콘 산화물, 스트레인드 실리콘, 실리콘 게르마늄, 도핑된 또는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 도핑된 또는 도핑되지 않은 실리콘 웨이퍼들, 패터닝된 또는 패터닝되지 않은 웨이퍼들, 도핑된 실리콘, 게르마늄, 갈륨 비소, 또는 다른 적절한 반도전성 재료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재료는 실리콘(Si)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기판(102)은 반도체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Si), 탄소(C), 게르마늄(Ge), 실리콘 게르마늄(SiGe), 게르마늄 주석(GeSn), 다른 반도체 재료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기판(102)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갈륨(Ga), 비소(As), 또는 인(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기판이 형성될 수 있는 재료들의 몇 가지 예들이 여기에 설명되어 있지만, 수동 및 능동 전자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들, 메모리들, 커패시터들, 인덕터들, 저항기들, 스위치들, 집적 회로들, 증폭기들, 광전자 디바이스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이 구축될 수 있는 기초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한다.
[0068]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재료는 n-도핑된 실리콘(n-Si), 또는 p-도핑된 실리콘(p-Si)과 같은 도핑된 재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판은 이온 주입 프로세스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도핑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n-타입"이라는 용어는 제조 중에 진성 반도체를 전자 공여체 원소로 도핑함으로써 생성되는 반도체들을 지칭한다. n-타입이라는 용어는 전자의 음전하에서 유래한다. n-타입 반도체들에서, 전자들은 다수 캐리어들이고, 정공들은 소수 캐리어들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p-타입"은 웰(well)(또는 정공)의 양전하를 지칭한다. n-타입 반도체들과 달리, p-타입 반도체들은 전자 농도보다 더 큰 정공 농도를 갖는다. p-타입 반도체들에서, 정공들은 다수 캐리어들이고, 전자들은 소수 캐리어들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도펀트는 붕소(B), 갈륨(Ga), 인(P), 비소(As), 다른 반도체 도펀트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0069] 도 1a를 참조하면, 일부 예시되지 않은 실시예들에서, 동작(10)에서, 에칭 정지 층이 기판의 최상부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에칭 정지 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에칭 정지 층은 실리콘 게르마늄(SiGe)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에칭 정지 층은 높은 게르마늄(Ge) 함량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게르마늄의 양은 35 % 내지 45 % 범위를 포함하여, 30 % 내지 50 % 범위이다. 이론에 얽매이도록 의도되지 않고, 게르마늄 함량이 30 % 내지 50 % 범위이면 에칭 정지 층의 선택비가 증가하고 응력 결함들이 최소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에칭 정지 층은 5 nm 내지 30 nm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에칭 정지 층은 후면 프로세싱 동안 평탄화(예를 들어, CMP), 건식 또는 습식 에칭을 위한 에칭 정지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0070] 하나 이상의 예시되지 않은 실시예들에서, 동작(12)에서, 에피택셜 층, 예를 들어, 에피택셜 실리콘이 에칭 정지 층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에피택셜 층은 두께가 20 nm 내지 100 nm 범위일 수 있다.
[0071] 도 1a 및 도 2a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동작(14)에서, 적어도 하나의 초격자 구조(101)가 기판(102)의 최상부 표면의 정상에(atop) 또는 에칭 정지 층 및 에피택셜 층의 최상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초격자 구조(101)는 복수의 적층된 쌍들로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106) 및 대응하는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10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층들의 복수의 적층된 그룹들은 실리콘(Si) 및 실리콘 게르마늄(SiGe) 그룹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106)은 실리콘 게르마늄(SiGe)을 포함하고,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104)은 실리콘(Si)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104)은 실리콘 게르마늄(SiGe)을 포함하고,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106)은 실리콘(Si)을 포함한다.
[0072]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106) 및 대응하는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104)은 초격자 구조(204)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개수의 격자 정합 재료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106) 및 대응하는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104)은 약 2 내지 약 50 쌍들의 격자 정합 재료들을 포함한다.
[0073]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106) 및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104)의 두께는 약 2 nm 내지 약 50 nm의 범위, 약 3 nm 내지 약 20 nm 범위, 또는 약 2 nm 내지 약 15 nm 범위이다.
[0001] 도 1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동작(16)에서, 초격자 구조(101)는 인접한 스택들(105) 사이에 개구(108)를 형성하도록 패터닝된다. 패터닝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개구"는 임의의 의도적인 표면 불규칙성을 의미한다. 개구들의 적절한 예들은 최상부, 2 개의 측벽들 및 최하부를 갖는 트렌치들을 포함한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개구들은 임의의 적절한 종횡비(피처의 폭에 대한 피처의 깊이의 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종횡비는 약 5:1, 약 10:1, 약 15:1, 약 20:1, 약 25:1, 약 30:1, 약 35:1 또는 약 40:1 보다 크거나 같다.
[0074] 도 1a 및 도 2c를 참조하면, 동작(18)에서,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STI)(110)이 형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STI)"이라는 용어는 전류 누설을 방지하는 집적 회로 피처를 지칭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STI는 트렌치 또는 개구(108)를 채우기 위해 (실리콘 이산화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유전체 재료들을 증착하고 화학 기계적 평탄화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과잉 유전체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된다.
[0075] 도 1a 및 도 2d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대체 게이트 구조(113)(예를 들어, 더미 게이트 구조)가 초격자 구조(101) 위에 그리고 이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더미 게이트 구조(113)는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의 채널 영역을 정의한다. 더미 게이트 구조(113)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통상적인 증착 및 패터닝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0076]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더미 게이트 구조는 게이트(114) 및 폴리-실리콘 층(1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더미 게이트 구조는 텅스텐(W), 코발트(Co), 몰리브덴(Mo), 루테늄(Ru), 티타늄 질화물(TiN), 탄탈룸 질화물(TaN), 티타늄 알루미늄(TiAl), 및 N 도핑된 폴리실리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0077] 도 1a 및 도 2e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작(22)에서, 측벽 스페이서들(116)이 초격자(101) 상의 더미 게이트 구조(113a)의 외부 측벽들을 따라 형성된다. 측벽 스페이서들(116)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실리콘 탄화물 등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절연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벽 스페이서들은 원자층 증착, 플라즈마 강화 원자층 증착, 플라즈마 강화 화학 기상 증착, 저압 화학 기상 증착, 또는 등방성 증착과 같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적합한 통상적인 증착 및 패터닝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0078] 도 1a 및 도 2f를 참조하면, 동작(24)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소스/드레인 트렌치들(118)이 초격자 구조(101)에 인접하게(즉, 양 측에) 형성된다.
[0079] 도 1a 및 도 2g를 참조하면, 동작(26)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소스/드레인 트렌치들(118)은 깊어지고 확장되어, 초격자 구조(101) 아래에 공동들(119)을 형성한다. 공동들(119)은 임의의 적절한 깊이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공동(119)은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110)을 통해 기판(102) 내로 연장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공동(119) 에칭 및 더미 충전은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110) 아래로 그리고 최대로 실리콘 게르마늄(SiGe) 에칭 정지 층까지 연장되어, 이에 따라 디바이스를 터치하지 않고 자가 정렬된 접촉부들을 가능하게 한다.
[0080] 공동(119)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비 Vss/Vdd 소스/드레인을 차단하기 위해 하드 마스크(117)가 증착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하드 마스크(117)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드 마스크(117)는 레지스트(resist)이다. 하드 마스크(117)가 형성되면, 공동(119)은 에칭에 의해 형성된다.
[0081] 동작(26)의 에칭 프로세스는 소스/드레인 트렌치들(118)에 대해 선택적인 임의의 적절한 에칭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작(26)의 에칭 프로세스는 습식 에칭 프로세스 또는 건식 에칭 프로세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에칭 프로세스는 방향성 에칭일 수 있다.
[0082] 일부 실시예들에서, 건식 에칭 프로세스는 종래의 플라즈마 에칭, 또는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 소재하는 Applied Material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SiCoNiTM 에칭 프로세스와 같은 원격 플라즈마 보조 건식 에칭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SiCoNiTM 에칭 프로세스에서, 디바이스는 H2, NF3 및/또는 NH3 플라즈마 종, 예를 들어 플라즈마 여기 수소 및 불소 종에 노출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H2, NF3, 및 NH3 플라즈마에 동시 노출을 겪을 수 있다. SiCoNiTM 에칭 프로세스는 Applied Materials®로부터 입수가능한 Centura®, Dual ACP, Producer® GT 및 Endura® 플랫폼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중 프로세싱 플랫폼들 중 하나에 통합될 수 있는 SiCoNiTM Preclean 챔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습식 에칭 프로세스는 불화수소(HF) 산 라스트 프로세스(last process), 즉, 표면의 HF 에칭이 수행되어 표면을 수소-종결된 상태로 유지하는 소위 "HF 라스트"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임의의 다른 액체 기반 사전 에피택셜 사전 세정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스는 천연 산화물 제거를 위한 승화 에칭을 포함한다. 에칭 프로세스는 플라즈마 또는 열 기반일 수 있다. 플라즈마 프로세스들은 임의의 적절한 플라즈마(예를 들어, 전도성 결합 플라즈마, 유도 결합 플라즈마, 마이크로파 플라즈마)일 수 있다.
[0083] 도 1a 및 도 2h를 참조하면, 동작(28)에서, 희생 재료(120)가 공동(119)에 증착된다. 희생 재료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희생 재료(120)는 실리콘 게르마늄(SiGe)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희생 재료(120)는 높은 게르마늄(Ge) 함량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게르마늄의 양은 35 % 내지 45 % 범위를 포함하여, 30 % 내지 50 % 범위이다. 이론에 얽매이도록 의도되지 않고, 게르마늄 함량이 30 % 내지 50 % 범위이면 희생 재료의 선택비가 증가하고 응력 결함들이 최소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0084]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희생 재료(120)는 더 낮은 접촉 저항을 위해 도펀트로 도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펀트는 붕소(B), 갈륨(Ga), 인(P), 비소(As), 다른 반도체 도펀트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희생 재료(120)는 30 % 내지 50 % 범위의 게르마늄 함량을 갖고 붕소(B), 갈륨(Ga), 인(P), 및 비소(As)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도펀트로 도핑된 실리콘 게르마늄이다.
[0085] 도 1a 및 도 2i를 참조하면, 동작(30)에서, 내부 스페이서 층(121)이 수평 채널 층들(104) 각각에 형성된다. 내부 스페이서 층(121)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내부 스페이서 층(121)은 질화물 재료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내부 스페이서 층(121)은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한다.
[0086] 도 2j 및 도 1a를 참조하면, 동작(32)에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임베딩된(embedded) 소스/드레인 영역들(122)은 소스/드레인 트렌치(118)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영역(122)은 초격자 구조(101)의 제1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드레인 영역(122)은 초격자 구조(101)의 대향하는 제2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 영역 및/또는 드레인 영역(122)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실리콘 게르마늄(SiGe), 실리콘 인(SiP), 실리콘 비소(SiAs) 등과 같은(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임의의 적절한 반도체 재료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드레인 영역들(122)은 에피택셜 증착 프로세스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증착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스/드레인 영역들(122)은 인(P), 비소(As), 붕소(B), 및 갈륨(Ga) 중 하나 이상으로 독립적으로 도핑된다.
[0087]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a 및 도 2k를 참조하면, 동작(34)에서, 층간 유전체(inter-layer dielectric)(ILD) 층(124)이 소스/드레인 영역들(122), 더미 게이트 구조(113), 및 측벽 스페이서들(116)을 포함하는 기판(102) 위에 블랭킷 증착된다(blanket deposited). ILD 층(124)은 종래의 화학 기상 증착 방법(예를 들어, 플라즈마 강화 화학 기상 증착 및 저압 화학 기상 증착)을 사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ILD 층(124)은 도핑되지 않은 실리콘 산화물, 도핑된 실리콘 산화물(예를 들어, BPSG, PSG),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과 같은(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임의의 적절한 유전체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그런 다음, ILD 층(124)은 더미 게이트 구조(113)의 최상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종래의 화학적 기계적 평탄화 방법을 사용하여 다시 연마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ILD 층(124)은 더미 게이트 구조(113)의 최상부 및 측벽 스페이서들(116)의 최상부를 노출시키도록 연마된다.
[0088] 더미 게이트 구조(101)는 초격자 구조(101)의 채널 영역(108)을 노출시키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ILD 층(124)은 더미 게이트 구조(113)를 제거하는 동안 소스/드레인 영역들(122)을 보호한다. 더미 게이트 구조(113)는 플라즈마 건식 에칭 또는 습식 에칭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에칭 방법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더미 게이트 구조(113)는 폴리실리콘을 포함하고, 더미 게이트 구조(113)는 선택적 에칭 프로세스에 의해 제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더미 게이트 구조(113)는 폴리실리콘을 포함하고, 초격자 구조(101)는 실리콘(Si) 및 실리콘 게르마늄(SiGe)의 교대하는 층들을 포함한다.
[0089] 도 1b 및 도 2l을 참조하면, 동작(38)에서, 반도체 디바이스, 예를 들어 GAA의 형성은 나노시트 해제 및 대체 금속 게이트 형성과 함께 전통적인 절차들에 따라 계속된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예시되지 않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106)은 초격자 구조(101)에서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104)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에칭된다. 예를 들어, 초격자 구조(101)가 실리콘(Si) 층들 및 실리콘 게르마늄(SiGe) 층들로 구성된 경우, 실리콘 게르마늄(SiGe)은 선택적으로 에칭되어 채널 나노와이어들을 형성한다.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106), 예를 들어 실리콘 게르마늄(SiGe)은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104)에 대해 선택적인 임의의 잘 알려진 에칭제를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고, 여기서 에칭제는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104)보다 훨씬 더 높은 속도로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106)을 에칭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선택적 건식 에칭 또는 습식 에칭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104)이 실리콘(Si)이고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106)이 실리콘 게르마늄(SiGe)인 경우, 실리콘 게르마늄의 층들은 카르복실산/질산/HF 수용액 및 시트르산/질산/HF 수용액과 같은(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습식 에칭제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106)의 제거는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104) 사이에 공극들을 남긴다.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104) 사이의 공극들은 약 3 nm 내지 약 20 nm의 두께를 갖는다. 나머지 수평 채널 층들(104)은 소스/드레인 영역들(122)에 결합된 채널 나노와이어들의 수직 어레이(array)를 형성한다. 채널 나노와이어들은 기판(102)의 최상부 표면에 평행하게 진행하고, 채널 나노와이어들의 단일 컬럼(column)을 형성하도록 서로 정렬된다.
[0090]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하이-k 유전체(high-k dielectric)가 형성된다. 하이-k 유전체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증착 기술에 의해 증착된 임의의 적절한 하이-k 유전체 재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의 하이-k 유전체는 하프늄 산화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티타늄 질화물(TiN), 텅스텐(W), 코발트(Co),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전도성 재료가 하이-k 유전체 상에 증착되어 대체 금속 게이트(128)를 형성한다. 전도성 재료는 복수의 채널 층들 각각 주위에 균일한 두께를 갖는 층의 형성을 보장하기 위해 원자층 증착(ALD)과 같은(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임의의 적절한 증착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0091] 도 1b 및 도 2m을 참조하면, 동작(38)에서, 트랜지스터에 대한 접촉부(CT)(132) 및 게이트에 대한 접촉부(CG)(134)가 형성된다.
[0092] 도 1b 및 도 2n을 참조하면, 동작(40)에서, 금속(M0) 라인(142)이 형성되고 비아(V1)(1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전통적인 프로세싱과 유사하며, M0 라인들만이 파워 레일들을 갖지 않으므로, 이에 따라 신호 라인들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생성된다.
[0093] 도 2o를 참조하면, 동작(42)에서, 기판(102)이 이제 예시의 최상부에 있도록 디바이스(100)는 180 도 회전되거나 또는 플립된다.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기판(102)은 평탄화된다. 평탄화는 화학적 기계적 평탄화(CMP)를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합한 평탄화 프로세스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회전하기 전에, 전면은 하이브리드 본딩(산화물 대 산화물 및 Cu 대 Cu) 또는 정전 더미 웨이퍼 본딩으로 마지막 층에서 구리(Cu) 금속화에 본딩된다.
[0094] 도 1b 및 도 2p를 참조하면, 동작(44)에서, 층간 유전체(146/148)가 후면 상에 증착된다. 층간 유전체 재료들(146/148)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층간 유전체 재료들(146/148)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합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층간 유전체 재료들(146/148)은 높은 종횡비의 에칭 및 금속화를 허용하기 위해 실리콘 질화물(SiN), 탄화물, 또는 탄화붕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0095] 도 2q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작(46)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후면 파워 레일 비아(152)가 형성된다. 비아(152)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비아(152)는 층간 유전체 재료들(146/148)을 패터닝하고 에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0096] 도 1b 및 도 2r을 참조하면, 동작(48)에서, 비아(152)를 접촉부들(120, 122)로 확장시킴으로써 다마신 트렌치(154)가 형성된다. 트렌치(154)를 형성하기 위한 비아(152)의 확장은 적어도 2 배만큼 개구의 크기를 증가시켜, 자가 정렬을 허용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비아(152)는 약 16 nm x 약 26 nm의 시작 크기를 갖고, 약 90 nm x 약 74 nm의 크기를 갖는 트렌치(154)를 형성하도록 확장된다.
[0097] 다마신 트렌치(154)는 접촉부들(120, 122)에서 정지된다. 다마신 트렌치(154)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종횡비는 약 5:1, 약 10:1, 약 15:1, 약 20:1, 약 25:1, 약 30:1, 약 35:1 또는 약 40:1보다 크거나 같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다마신 트렌치(154)의 임계 치수들은 약 16 nm x 약 26 nm, 또는 약 10 nm x 약 30 nm, 또는 약 15 nm x 약 30 nm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후면 비아들의 높이는 에칭 정지 층 위에 증착된 원래의 에피택셜 층 두께에 의존한다.
[0098] 동작(50)에서, 도 2s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희생 층(120)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소스/드레인(122) 위에 개구(156)를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희생 층(120)이 Ga, B, P 중 하나 이상으로 도핑되면, 희생 층(120)의 일부가 남아있는 채로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희생 층(120)의 부분적인 제거는 나머지 희생 층(120)(예를 들어, SiGe)에 대한 저 저항률(resistivity) 접촉부의 형성을 허용한다.
[0099] 동작(52)에서, 도 2t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금속 충전제(156)가 희생 층(120)의 제거에 의해 형성된 개구(156)에 증착된다. 금속 충전제(156)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금속 충전제(156)는 티타늄(Ti), 티타늄 질화물(TiN), 탄탈룸(Ta), 탄탈룸 질화물(TaN), 텅스텐(W), 몰리브덴(Mo), 코발트(Co), 구리(Cu), 루테늄(Ru) 등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00100] 도 1b 및 도 2u를 참조하면, 동작(54)에서, 후면 금속 라인(M0)(160)이 형성된다. 이론에 얽매이도록 의도되지 않고, 후면 상에 파워 레일을 위치시키는 것은 20 % 내지 30 % 범위의 셀 면적에서의 이득을 허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00101]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웨이퍼를 박화시키기 위한 방법(60)에 대한 프로세스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웨이퍼 박화 스테이지들을 도시한다. 방법(60)은 도 4a 내지 도 4e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4a 내지 도 4e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GAA)의 단면도들이다. 방법(60)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다단계 제작 프로세스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방법(60)은 클러스터 도구에 결합된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스 챔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클러스터 도구는 에칭, 증착, 물리 기상 증착(PVD), 화학 기상 증착(CVD), 산화를 위해 구성된 챔버들과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세스 챔버들, 또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작에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00102] 도 4a 내지 도 4e는 도 3의 동작들(62 내지 76)의 제작 단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400)를 박화시키는 방법(60)은 동작(62)에서 시작된다.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방법에서, 트랜지스터들, 예를 들어 게이트-올-어라운드 트랜지스터들은 표준 프로세스 흐름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00103]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리콘 웨이퍼(402)가 제공되고, 동작(62)에서, 매립된 에칭 정지 층(404)이 실리콘 웨이퍼 상에 형성된다. 매립된 에칭 정지 층(404)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매립된 에칭 정지 층(404)은 실리콘 게르마늄(SiGe)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매립된 에칭 정지 층(404)은 높은 게르마늄(Ge) 함량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게르마늄의 양은 35 % 내지 45 % 범위를 포함하여 30 % 내지 50 % 범위이다. 이론에 얽매이도록 의도되지 않고, 게르마늄 함량이 30 % 내지 50 % 범위에 있으면 매립된 에칭 정지 층(404)의 선택비가 증가하고 응력 결함들이 최소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00104] 하나 이상의 예시되지 않은 실시예들에서, 동작(64)에서, 에피택셜 층, 예를 들어, 에피택셜 실리콘이 증착된다. 그런 다음, 동작(66)에서, 웨이퍼는 디바이스 및 프런트-엔드 프로세싱으로 처리된다. 프런트-엔드 프로세싱은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방법(6)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고 도 2a 내지 도 2u의 단면도들에 예시된 프로세스들일 수 있다.
[00105] 도 3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동작(68)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프런트-엔드 프로세싱 후에, 웨이퍼(400)는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산화물에 대한 하이브리드 본딩을 겪고, 그런 다음 웨이퍼는 유리하게 박화된다. 이론에 얽매이도록 의도되지 않고, 웨이퍼를 박화시키는 것은 유리하게 후면 파워 레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원하는 평탄도 및 본딩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00106]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도 3 및 도 4c를 참조하면, 웨이퍼를 박화시키기 위해, 동작(70)에서, 시작 제1 두께(t1)를 갖는 실리콘 기판 층(402)은 제2 두께로 그라인딩되고, 제2 두께(t2)는 제1 두께보다 작다. 실리콘 기판 층(402)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그라인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리콘 기판 층(402)은 화학적 기계적 평탄화(CMP)로 처리되고, 그 후 에칭 및 CMP 버핑으로 처리되며, 실리콘 기판 층(402)의 두께를 제3 두께(t3)로 감소시키고, 제3 두께는 제2 두께보다 작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제1 두께는 500 ㎛ 내지 1000 ㎛ 범위에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제2 두께는 20 ㎛ 내지 100 ㎛ 범위에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제3 두께는 1 ㎛ 내지 20 ㎛ 범위에 있다.
[00107] 도 3 및 도 4d를 참조하면, 동작(72)에서, 매립된 에칭 정지 층(404)은 소스/드레인(408)을 노출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동작(74)에서, 접촉부들(410)은 그런 다음 금속으로 미리 채워지고, 도 4e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금속화가 수행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접촉부(410)는 티타늄(Ti), 티타늄 질화물(TiN), 탄탈룸(Ta), 탄탈룸 질화물(TaN), 텅스텐(W), 몰리브덴(Mo), 코발트(Co), 구리(Cu), 루테늄(Ru) 등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으로 미리 채워진다.
[00108] 도 5a 내지 도 5e는 도 3의 동작들(78 내지 80)의 대안적인 제작 단계들을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400)를 박화시키는 방법(60)은 도 4a 내지 도 4c에 상세히 예시된 바와 같이 동작(62)에서 시작하여 동작(70)으로 진행한다.
[00109] 실리콘 기판(402)이 동작(70)에서 실리콘 그라인딩에 의해 박화된 후, 이 방법은 동작(78)으로 진행할 수 있고, 여기서 큰 마스크(502)가 매립된 에칭 정지 층(404) 상에 형성된다. 마스크(502)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마스크(502)는 탄화물, 붕소 탄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00110] 동작(80)에서, 마스크(502)는 매립된 에칭 정지 층(404)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실리콘 관통 비아들(thru silicon vias)(TSV)(508)을 형성하도록 에칭된다. 비아들(508)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비아들(508)은 에칭에 의해 형성된다. 나노미터 크기의 TSV들은 일반적인 3D 패키징에 비용 및 공간을 추가하는 기존의 대형 TSV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러한 형성된 디바이스 또는 이러한 디바이스에 연결된 다른 칩들을 고밀도로 패키징하는 것을 허용한다.
[00111] 동작(82)에서, 도 3 및 도 5c를 참조하면, 매립된 에칭 정지 층(404)은 개구(510)를 형성하도록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매립된 에칭 정지 층(404)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매립된 에칭 정지 층(404)은 디바이스의 측면을 에칭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00112] 도 3 및 도 5d를 참조하면, 동작(84)에서, 비아들(508)을 갖는 마스크(508)는 디바이스에서 리프트 오프된다. 리프트오프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리프트오프는 50 nm 내지 100 nm 범위의 두께로 웨이퍼를 박화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리프트오프는 디바이스(500)에 결함들 및 스크래치들(scratches)이 실질적으로 없는 박화된 웨이퍼를 발생시킨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리프트오프는 웨이퍼에 걸친 희생 층(120)의 측방향(등방성 에칭)을 필요로 하며, 이는 Selectra® 에칭에 의해 달성된다.
[00113]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작하는 방법(600)에 대한 프로세스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깊은 비아 및 후면 접촉부를 형성하는 스테이지들을 도시한다. 방법(600)은 도 7a 내지 도 7d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7a 내지 도 7d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GAA)(700)의 단면도들이다. 방법(600)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다단계 제작 프로세스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방법(600)은 클러스터 도구에 결합된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스 챔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클러스터 도구는 에칭, 증착, 물리 기상 증착(PVD), 화학 기상 증착(CVD), 산화를 위해 구성된 챔버들과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세스 챔버들, 또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00114] 도 7a 내지 도 7d는 도 6의 동작들(602 내지 614)의 제작 단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깊은 비아 및 후면 접촉부를 형성하는 방법(600)은 동작(602)에서 시작된다.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방법(600)에서, 트랜지스터들, 예를 들어, 게이트-올-어라운드 트랜지스터들은 표준 프로세스 흐름을 사용하여 동작(602)에서 제작된다. 디바이스(700)는 도 1a 및 도 1b 및 도 2a 내지 도 2q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00115] 동작(604)에서,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깊은 비아(702)가 전면에 형성된다. 깊은 비아(702)는 임의의 적절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깊은 비아(702)는 임의의 적절한 종횡비(피처의 폭에 대한 피처의 깊이의 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종횡비는 약 5:1, 약 10:1, 약 15:1, 약 20:1, 약 25:1, 약 30:1, 약 35:1 또는 약 40:1보다 크거나 같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깊은 비아(702)의 임계 치수들은 약 16 nm x 약 16 nm, 또는 약 10 nm x 약 10 nm, 또는 약 15 nm x 약 15 nm, 또는 약 20 nm x 20 nm이다.
[00116] 도 6 및 도 7b를 참조하면, 동작(606)에서, 깊은 비아(702)는 금속(704)으로 채워질 수 있다. 금속(704)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합한 금속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금속(704)은 티타늄(Ti), 티타늄 질화물(TiN), 탄탈룸(Ta), 탄탈룸 질화물(TaN), 텅스텐(W), 몰리브덴(Mo), 코발트(Co), 구리(Cu), 루테늄(Ru) 등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00117] 도 6 및 도 7c를 참조하면, 동작(608)에서, 본딩 웨이퍼(706)가 전면에 본딩된다. 동작(610)에서, 기판(708)은 도 3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 선택적으로 박화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동작(612)에서, 도 7d에 예시된 바와 같이, 깊은 비아(702) 내의 금속(7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접촉부(710)가 형성된다. 접촉부(710)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접촉부(710)는 티타늄(Ti), 티타늄 질화물(TiN), 탄탈룸(Ta), 탄탈룸 질화물(TaN), 텅스텐(W), 몰리브덴(Mo), 코발트(Co), 구리(Cu), 루테늄(Ru) 등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포함한다. 그런 다음, 동작(614)에서, 도 7d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금속화가 발생한다.
[00118]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들은 진공 파괴가 없도록 통합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60)은 비아 에칭(동작(80)), 매립된 희생 층의 제거(동작(82)), 및 기판 해제 리프트오프(동작(84))이며, 동작들 사이에 진공 파괴가 없도록 통합될 수 있다.
[00119] 본 개시내용의 추가 실시예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된 GAA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의 형성을 위한 프로세싱 도구들(300)에 관한 것이다. Applied Materials®로부터 입수가능한 Reflexion® CMP, Selectra® Etch, Centura®, Dual ACP, Producer® GT, 및 Endura® 플랫폼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중 프로세싱 플랫폼들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세싱 시스템들도 사용될 수 있다. 클러스터 도구(300)는 복수의 측면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이송 스테이션(314)을 포함한다. 로봇(316)이 중앙 이송 스테이션(314) 내에 위치결정되고, 로봇 블레이드(robot blade) 및 웨이퍼를 복수의 측면들 각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00120] 클러스터 도구(300)는 중앙 이송 스테이션에 연결된 복수의 프로세싱 챔버들(308, 310, 312)(프로세스 스테이션들로도 지칭됨)을 포함한다. 다양한 프로세싱 챔버들은 인접한 프로세스 스테이션들과 격리된 별도의 프로세싱 영역들을 제공한다. 프로세싱 챔버는 사전 세정 챔버, 증착 챔버, 어닐링 챔버, 에칭 챔버 등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임의의 적절한 챔버일 수 있다. 프로세스 챔버들 및 컴포넌트들의 특정 배열은 클러스터 도구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00121]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러스터 도구(300)의 전면에는 팩토리 인터페이스(factory interface)(318)가 연결되어 있다. 팩토리 인터페이스(318)는 팩토리 인터페이스(318)의 전면(319)에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챔버들(302)을 포함한다.
[00122] 로딩 챔버 및 언로딩 챔버(302)의 크기 및 형상은 예를 들어 클러스터 도구(300)에서 프로세싱되는 기판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딩 챔버 및 언로딩 챔버(302)는 복수의 웨이퍼들이 카세트(cassette) 내에 위치결정된 상태로 웨이퍼 카세트를 유지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00123] 로봇들(304)은 팩토리 인터페이스(318) 내에 있고, 로딩 및 언로딩 챔버들(302)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로봇들(304)은 웨이퍼를 로딩 챔버(302)의 카세트로부터 팩토리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로드록 챔버(320)로 이송할 수 있다. 로봇들(304)은 또한 웨이퍼를 로드록 챔버(320)로부터 팩토리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언로딩 챔버(302)의 카세트로 이송할 수 있다.
[00124] 일부 실시예들의 로봇(316)은 한 번에 하나 초과의 웨이퍼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중 암(multi-arm) 로봇이다. 로봇(316)은 이송 챔버(314) 주위의 챔버들 사이에서 웨이퍼들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개별 웨이퍼들은 제1 로봇 기구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웨이퍼 수송 블레이드 상에서 운반된다.
[00125] 시스템 제어기(357)가 로봇(316) 및 복수의 프로세싱 챔버들(308, 310, 312)과 통신한다. 시스템 제어기(357)는 프로세싱 챔버들 및 로봇들을 제어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컴포넌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기(357)는 중앙 처리 유닛(CPU)(392), 메모리(394), 입력들/출력들(396), 적절한 회로들(398), 및 스토리지(storage)를 포함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00126] 프로세스들은 일반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스 챔버가 본 개시내용의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루틴(software routine)으로서 시스템 제어기(357)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하드웨어(hardware)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된 제2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저장되고 및/또는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또한 하드웨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주문형 집적 회로로서 또는 다른 타입의 하드웨어 구현으로서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스들이 수행되도록 챔버 동작을 제어하는 특정 목적 컴퓨터(제어기)로 범용 컴퓨터를 변환시킨다.
[00127]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 제어기(357)는 템플릿 재료를 결정화하기 위해 급속 열처리 챔버를 제어하는 구성을 갖는다.
[00128]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도구는: 웨이퍼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로봇을 포함하는 중앙 이송 스테이션; 복수의 프로세스 스테이션들 ― 각 프로세스 스테이션은 중앙 이송 스테이션에 연결되고, 인접한 프로세스 스테이션들의 프로세싱 영역들과 분리된 프로세싱 영역을 제공하며, 복수의 프로세스 스테이션들은 템플릿 증착 챔버 및 템플릿 결정화 챔버를 포함함 ―; 및 중앙 이송 스테이션 및 복수의 프로세스 스테이션들에 연결된 제어기 ― 제어기는 로봇을 활성화하여 프로세스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웨이퍼를 이동시키고, 각 프로세스 스테이션들에서 발생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한다.
[00129] 본원에서 논의된 재료들 및 방법들을 설명하는 문맥에서(특히 다음의 청구항들의 문맥에서) 단수 표현들 및 유사한 지시대상들의 사용은, 본원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또는 문맥에 의해 명백하게 부정되지 않는 한, 단수형 및 복수형 둘 모두를 커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값들의 범위들의 언급은, 본원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약칭 방법(shorthand method)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의도될 뿐이며, 각각의 개별 값은, 각각의 개별 값이 마치 본원에서 개별적으로 언급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모든 방법들은 본원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거나 문맥에 의해 명백하게 부정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된 임의의 그리고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컨대, "이를테면")의 사용은 재료들 및 방법들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범위에 대한 제한을 제기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어떤 언어도, 임의의 청구되지 않은 엘리먼트를 개시된 재료들 및 방법들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00130]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실시예", "특정 실시예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또는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위치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특정 실시예들에서", "일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와 같은 문구들의 출현들은 반드시 본 개시내용의 동일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특정 특징들, 구조들, 재료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00131] 본원의 개시내용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은, 설명된 실시예들이 단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예시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내용의 방법 및 장치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 등가물들의 범위 내에 있는 수정들 및 변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기판의 최상부 표면 상에 초격자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초격자 구조는 복수의 적층된 쌍들로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 및 대응하는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을 포함함 ―;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초격자 구조에 인접하게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및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을 형성하는 단계;
    소스 공동 및 드레인 공동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시키는 단계;
    상기 소스 공동 및 상기 드레인 공동에 희생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CT 및 CG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통해 다마신 트렌치(damascene trench)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마신 트렌치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희생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 상기 다마신 트렌치에 금속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그리고 상기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하드 마스크를 증착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는 상기 하드 마스크를 증착하지 않고, 그리고 마스킹되지 않은 소스 트렌치 및 마스킹되지 않은 드레인 트렌치를 에칭하여 소스 공동 및 드레인 공동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 재료는 완전히 제거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 재료는 실리콘 게르마늄(SiGe)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게르마늄(SiGe)은 30 % 내지 50 % 범위의 게르마늄(Ge) 함량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게르마늄(SiGe)은 붕소(B), 갈륨(Ga), 인(P), 비소(As),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도펀트(dopant)로 도핑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마신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내로 적어도 하나의 비아를 에칭하고 그리고 상기 비아를 확장시켜 상기 다마신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 및 상기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은 독립적으로 실리콘 게르마늄(SiGe) 및 실리콘(S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에피택셜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은 인(P), 비소(As), 붕소(B), 및 갈륨(Ga) 중 하나 이상으로 독립적으로 도핑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격자 구조의 최상부 표면 상에 게이트(gate)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조 상에 그리고 상기 초격자 구조 상에 유전체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조는 텅스텐(W), 코발트(Co), 몰리브덴(Mo), 루테늄(Ru), 티타늄 질화물(TiN), 탄탈룸 질화물(TaN), 티타늄 알루미늄(TiAl), 및 N 도핑된 폴리실리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티타늄(Ti), 티타늄 질화물(TiN), 탄탈룸(Ta), 탄탈룸 질화물(TaN), 텅스텐(W), 몰리브덴(Mo), 코발트(Co), 구리(Cu), 및 루테늄(Ru)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15.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기판의 최상부 표면 상에 초격자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초격자 구조는 복수의 적층된 쌍들로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 및 대응하는 복수의 반도체 재료 층들을 포함함 ―;
    상기 초격자 구조의 최상부 표면 상에 게이트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의 상기 초격자 구조에 인접하게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및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을 형성하는 단계;
    소스 공동 및 드레인 공동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시키는 단계;
    상기 소스 공동 및 상기 드레인 공동에 희생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평 채널 층들 각각 상에 내부 스페이서(spacer) 층을 형성하는 단계;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층간 유전체 층을 형성하는 단계;
    대체 금속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CT 및 CG를 형성하는 단계;
    제1 금속 라인(line)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디바이스를 180도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기판을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층간 유전체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후면 파워 레일 비아(backside power rail via)를 형성하는 단계;
    다마신 트렌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후면 파워 레일 비아를 확장시키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희생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 상기 다마신 트렌치에 금속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확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그리고 상기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하드 마스크를 증착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소스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복수의 드레인 트렌치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는 상기 하드 마스크를 증착하지 않고, 그리고 마스킹되지 않은 소스 트렌치 및 마스킹되지 않은 드레인 트렌치를 에칭하여 소스 공동 및 드레인 공동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 재료는 실리콘 게르마늄(SiGe)을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게르마늄(SiGe)은 30 % 내지 50 % 범위의 게르마늄(Ge) 함량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게르마늄(SiGe)은 붕소(B), 갈륨(Ga), 인(P), 비소(As),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도펀트로 도핑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에피택셜 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220109892A 2021-09-02 2022-08-31 다수의 트랜지스터 소스들에 대한 자가 정렬된 넓은 후면 파워 레일 접촉부들 KR202300341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40183P 2021-09-02 2021-09-02
US63/240,183 2021-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172A true KR20230034172A (ko) 2023-03-09

Family

ID=8551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892A KR20230034172A (ko) 2021-09-02 2022-08-31 다수의 트랜지스터 소스들에 대한 자가 정렬된 넓은 후면 파워 레일 접촉부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4172A (ko)
TW (1) TW202314965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14965A (zh) 202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19327B (zh) 用於環繞式閘極電晶體的選擇性矽蝕刻
US20220037529A1 (en) Conformal oxidation for gate all around nanosheet i/o device
US20230064183A1 (en) Self-aligned wide backside power rail contacts to multiple transistor sources
US20230260909A1 (en) Gate all around backside power rail with diffusion break
US20230170400A1 (en) Gate all around transistor architecture with fill-in dielectric material
US20230260908A1 (en) Gate all around backside power rail formation with multi-color backside dielectric isolation scheme
KR20230034172A (ko) 다수의 트랜지스터 소스들에 대한 자가 정렬된 넓은 후면 파워 레일 접촉부들
KR20230034171A (ko) 웨이퍼의 초박화 방법
KR20230034902A (ko) 깊은 비아들에 대한 후면 파워 레일
US20220246742A1 (en) Gate all around device with fully-depleted silicon-on-insulator
US20230067331A1 (en) Source drain formation in gate all around transistor
TW202317464A (zh) 用於具有底部介電質的奈米片源極汲極形成的模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