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784A - System for providing recycling collecting service using identification cod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recycling collecting service using identification c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784A
KR20230033784A KR1020210116491A KR20210116491A KR20230033784A KR 20230033784 A KR20230033784 A KR 20230033784A KR 1020210116491 A KR1020210116491 A KR 1020210116491A KR 20210116491 A KR20210116491 A KR 20210116491A KR 20230033784 A KR20230033784 A KR 2023003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ode
recyclables
user terminal
coll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0486B1 (en
Inventor
임보미
Original Assignee
임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보미 filed Critical 임보미
Priority to KR102021011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486B1/en
Publication of KR2023003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7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4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ystem for providing a recyclable material separation and collection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to provide an effect of guiding persons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mprises: a user terminal receiving an identification code given to identify a user when applying for user registration, taking a photo of the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a collection bag to output a discharge event, and receiving reward or penalty depending on a result of recyclable material separation and collection; a collector terminal receiving a vehicle movement route according to the discharge event, and outputting an address where the discharge event was output on the vehicle movement route; and a recyclable material separation and collection provision server including a user registration unit receiving the user registr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using the address, name, and phone number included in the user registration to generate the identification code and provide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user terminal, an output unit outputting a waybill so that the collection bag prin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is delivered to the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a route generation unit collecting the address and time, at which the discharge event was output, and generating a vehicle movement route when the user terminal takes the photo of the identification code to output the discharge emission event, and an allocation unit transferring the vehicle movement route and the address where the discharge event is output the collector terminal.

Description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RECYCLING COLLECTING SERVICE USING IDENTIFICATION CODE}System for providing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identification code {SYSTEM FOR PROVIDING RECYCLING COLLECTING SERVICE USING IDENTIFICATION CODE}

본 발명은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인별 부여된 식별코드를 수거가방에 인쇄하고, 복잡한 재활용품 분리 대신 세척만 개인에게 맡기고 수거가방 내에 모든 재활용품을 담아 버리도록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in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each individual is printed on a collection bag, and instead of complicated separation of recyclables, only washing is left to the individual, and all recyclables are put away in the collection bag. provide a platform.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경제성장이 가져온 생활수준 향상은 소비습관의 변화로 이어져 폐기물 발생량의 증가를 촉진시켰으며, 재활용의 활성화와 폐기물의 소각·매립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원순환기본법이 발효되어, 자원순환 성과관리제도, 순환자원 인정제, 폐기물 처분 부담금제도 등이 도입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환경부에서는 자원순환정책 대전환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공표햇는데, 각 가정에서는 폐기물을 열심히 분리·배출하고 있으나, 폐기물의 대부분이 재활용이 불가하여 다시 쓰레기로 버려지는 현실에 직면해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 분리수거가 일상화되어 거의 모든 국민이 습관처럼 동참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폐기물 처리에 관한 인식부족 등으로 분리 배출된 재활용 자원들이 다시 매립 및 소각되고 있다.The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brought about by economic growth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led to changes in consumption habits and promoted an increase in waste generation. A management system, a recycling resource recognition system, and a waste disposal charge system were introduced. Amid growing interest in recycling around the worl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that it would be the first year of a great shift in resource circulation policy. Although each household diligently separates and discharges waste, most of the waste cannot be recycled and is thrown away again as garbage. because it is facing reality. Now, although separate collection has become commonplace and almost all citizens participate as a habit, recycled resources that have been separated and discharged due to lack of awareness on waste treatment are being landfilled and incinerated again.

이때, 쓰레기를 분리수거할 때 장소 및 시간을 지정하여 분리수거를 요청하거나 가정에 방문하여 쓰레기를 수거해오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8-0136156호(2018년12월24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20-0034577호(2020년03월31일 공개)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신청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신청정보에 포함된 주소에 대한 쓰레기 분리수거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쓰레기 수거시간을 지정받고 수거 단말은 사용자가 신청한 시간대에 업무를 할당받고 수거를 실시하는 구성과, 사용자 단말의 쓰레기 배달요청이 수신되면 수거 단말은 쓰레기 수거 업무를 할당받아 사용자의 가정에 방문한 후 쓰레기를 임시저장소에 배달하고, 수거 단말은 쓰레기 봉투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쓰레기배달비를 회수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requesting separate collection by designating a place and time for separate collection of garbage or visiting a home to collect garbage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December 24, 2020) and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20-0034577 (published on March 31, 2020), service appl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garbage collection service for the address included in the service application information In order to start the garbage collection time is designated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collection terminal is assigned a task in the time zone requested by the user and collects the garbage, and when the user terminal's garbage delivery request is received, the collection terminal performs the garbage collection task. After being allocated and visiting the user's home, the garbage is delivered to a temporary storage, and the collection terminal collects the garbage delivery fee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garbage bag.

다만, 상술한 구성 중 전자의 경우 시간대에 맞춰 분리수거 차량이 방문해야 하므로 최적의 동선을 얻지 못해 쓰레기 재활용을 하려다 석유 또는 전기 자원만 더 사용해야 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에도 택배를 이용한 쓰레기 배달로 수거비용이 더 많이 드는 일이 발생하여 현실적으로 실행될 가능성이 낮다.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의 경우 경비원 및 분리수거 인력이 별도로 배당되어 각 주민에게 분리수거를 안내하고 계도하지만, 원룸이나 다세대 또는 다가구 주택이 밀집되어 있는 주택가의 경우에는 어느 집에서 분리수거를 안했는지 특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특정이 되는 집주인과는 다르게 세입자의 경우 분리수거에 열심인 경우가 드물다. 이에, 쓰레기 배출자를 특정할 수 있으면서도 분리수거를 하는 경우 보상을 주고 분리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패널티를 부여하며 분리수거차량의 경로를 최적으로 운행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in the former cas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a separate collection vehicle must visit according to the time zone, an optimal circulation cannot be obtained, and only petroleum or electric resources have to be used more while recycling garbage. Even in the case of the latter, it is unlikely to be realistically implemented as garbage delivery using courier will result in higher collection costs. In the case of collectiv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security guards and separate collection personnel are separately allocated to guide and guide each resident on separate collec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do, unlike the landlord who is specified, it is rare for tenants to be enthusiastic about separate collection. Therefore, while being able to specify the garbage emitter, it is a platform that can maximize the recycling effect of resources by providing compensation for separate collection, giving a penalty if separate collec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and optimally operating the route of the separate collection vehicle.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활용가능자원으로 분리배출된 재활용품이 다시 쓰레기가 되는 현실에 문제를 제기하고 폭증하는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재활용품 현금보상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고, 각 가구별로 각 가구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코드가 부착된 수거가방을 분배하며, 사용자는 재활용품을 씻고 분리하여 수거가방에 담아 집 앞에 두고, 수거기사가 수거가방을 수거한 후 선별장으로 이동하여 재활용품 선별을 할 때, 재활용품이 제대로 세척되지 않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경우 수거가방의 식별코드에 매핑되도록 패널티를 부과하고, 재활용품이 제대로 세척되고 분리된 경우 수거가방의 식별코드에 매핑되도록 포인트를 누적시키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포인트를 현금화할 수 있고, 패널티가 부과된 경우 어느 부분에 패널티가 부과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별 계도효과를 줄 수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ises a problem with the reality that recyclables separated and discharged as recyclable resources become garbage again and solves the exploding garbage problem, creating a cash compensation platform for recycled goods that can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It can be built, and a collection bag with an identification code that can identify each household is distributed to each household. Users wash and separate recyclables, put them in a collection bag, and put them in front of the house. After the collection driver collects the collection bag, When moving to the sorting site and sorting recyclables, a penalty is imposed to map the recyclables to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llection bag if the recyclables are not properly washed or separated, and to be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llection bag if the recyclables are properly washed and separated. Points are accumulated, and the user terminal can cash in the points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and when a penalty is impose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ich part the penalty was imposed, thereby giving individual guidance effects. A system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may be provided.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등록을 신청하면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받고, 수거가방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배출 이벤트를 출력하며, 재활용품 분리수거 결과에 따라 보상(Reward) 또는 패널티를 부여받는 사용자 단말, 배출 이벤트에 따라 차량이동경로를 수신하고,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를 차량이동경로 상에 출력하는 수거기사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등록을 수신하고, 사용자 등록 내 포함된 주소지, 이름 및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로 부여하는 사용자등록부,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식별코드가 인쇄된 수거가방이 사용자 단말의 주소지로 배송되도록 운송장을 출력하는 출력부,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배출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배출 이벤트가 출력된 주소지 및 시간을 수집하여 차량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 수거기사 단말로 차량이동경로 및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를 전달하는 할당부를 포함하는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pplying for user registration, is given an identification code to identify the user, photographs the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collection bag, outputs a discharge event, , A user terminal receiving rewards or penalt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parate collection of recyclables, a collecto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that receives the vehicle movement route according to the discharge event and outputs the address where the emission event was output on the vehicle movement route A user registration book that receives user registration, generates an identification code using the address, name, and phone number included in the user registration and assigns it to the user terminal, and a collection bag prin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An output unit that outputs a waybill to be delivered to the address, a route generator that generates a vehicle movement route by collecting the address and time at which the discharge event was output when the user terminal photograph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outputs the discharge event, and a collection driver terminal and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n allocator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movement route and the address where the emission event is outpu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재활용가능자원으로 분리배출된 재활용품이 다시 쓰레기가 되는 현실에 문제를 제기하고 폭증하는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재활용품 현금보상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고, 각 가구별로 각 가구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코드가 부착된 수거가방을 분배하며, 사용자는 재활용품을 씻고 분리하여 수거가방에 담아 집 앞에 두고, 수거기사가 수거가방을 수거한 후 선별장으로 이동하여 재활용품 선별을 할 때, 재활용품이 제대로 세척되지 않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경우 수거가방의 식별코드에 매핑되도록 패널티를 부과하고, 재활용품이 제대로 세척되고 분리된 경우 수거가방의 식별코드에 매핑되도록 포인트를 누적시키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포인트를 현금화할 수 있고, 패널티가 부과된 경우 어느 부분에 패널티가 부과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별 계도효과를 줄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aise a problem with the reality that recyclables separated and discharged as recyclable resources become garbage again, and to solve the exploding garbage problem, it is possible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It is possible to build a cash compensation platform for recyclables that can be used for recycling, distribute collection bags with identification codes that can identify each household, and users wash and separate recyclables, put them in a collection bag, and leave them in front of the house. When moving to the sorting site and sorting recyclables after collecting the collection bags, if the recyclables are not properly washed or separated, a penalty is imposed to be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llection bag, and if the recyclables are properly washed and separated, the collection bag Points are accumulated to be mapp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can cash in the points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and when a penalty is imposed, it is possible to check which part the penalty was imposed. can giv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are used at or approximating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given, and do not convey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help prevent exploitation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disclosed disclosure. The term "step of (doing)"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On the other hand,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terminal's identifying data.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500) 및 선별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system 1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t least one collector terminal 400, at least one It may include one autonomous vehicle 500 and a selection terminal 600. However, since the system 1 for providing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FIG. 1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500) 및 선별 단말(6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선별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수거기사 단말(400),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500)과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at least one autonomous vehicle 500, and a sorting terminal ( 600) can be connected. In addition, at least on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at least one autonomous vehicle 5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collecto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Finally, the sorting terminal 6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collector terminal 400,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autonomous vehicle 500 through the network 200. there is.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s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 Internet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A Near-Field Communication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e singular or plural number of each compon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등록을 할 때, 주소지,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계좌번호 등을 입력하고, 식별코드를 부여받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식별코드가 인쇄된 수거가방 내에 세척한 재활용품을 넣을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촬영하면, 배출 이벤트를 출력하여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달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배출 이벤트는 식별코드를 촬영하는 방법 이외에도, 기 설정된 주기, 예를 들어 매일 배출을 한다는 가정 하에 사용자 단말(100)에서 최초 1 회만 촬영하여 위치를 인식시키는 경우 식별코드를 촬영하지 않아도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세척 결과에 따라 보상 또는 패널티를 받는 단말일 수 있고, 재활용되는 경우 재활용되어 생산된 제품을 배송받거나 또는 계좌이체로 보상금을 이체받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nputs an address, phone number, e-mail address, account number, etc. when registering a user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the recycling service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it may be a user's terminal to which an identification code is given. At this time,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00 can put the cleaned recyclables into the collection bag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it, and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photographed using the user terminal 100, a discharge event is output to provid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It may be a terminal that transmits to the server 300.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photograph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e discharge event is set so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need to be photographed when the user terminal 100 takes only the first time to recognize the loca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discharge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every day. It could b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a reward or penalty according to the cleaning result, and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a product produced after being recycled or a compensation money transferred by account transfer when recycled.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등록을 하는 경우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주소지로 수거가방을 배송처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 및 자율주행차량(500)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를 연결하도록 차량이동경로를 생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선별 단말(600)에서 세척이 제대로 되지 않았거나 이물질이 그대로 붙은 재활용품을 신고하는 경우 재활용품이 나온 수거가방의 식별코드를 스캔받아 사용자를 특정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패널티를 안내하는 서버일 수 있다.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율주행차량(500)의 차량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고 수거가 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차량이동경로 내에 주소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도착예정시간을 안내하는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율주행차량(500)의 차량이동경로 내에 주정차 위반 차량, 이륜차 및 킥보드가 존재하는 경우 수거기사 단말(400) 또는 자율주행차량(500)의 카메라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차량은 지자체로, 이륜차와 킥보드는 경찰서로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web pag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In addition,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generates an identification code when registering as a user at the user terminal 100, maps it to the user terminal 100, stores it, and delivers the collection bag to the user's address. can be In addition,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a server that maps and stores at least on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and the self-driving vehicle 500, and creates a vehicle movement path to connect the address where the emission event is output. can In addition, when the sorting terminal 600 reports recyclables that have not been properly washed or ha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m,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cans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llection bag from which the recyclables came out, identifies the user, and identifies the user terminal ( 100) may be a server that guides the penalty.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capable of collecting the vehicle movement path of the autonomous vehicle 500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a guide to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vehicle is collected. In this case,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transmits a push message informing of the expected arrival time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having an address within the vehicle movement route. Here,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detects parking violation vehicles, two-wheeled vehicles, and kickboards within the vehicle movement path of the autonomous vehicle 500 through th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or the camera of the autonomous vehicle 500. It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data and reports vehicles to local governments and two-wheeled vehicles and kickboards to police stations.

여기서,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은,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의사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은, 자율주행차량(500)이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 앞에 정차하는 경우, 배출 이벤트가 출력된 주소지와 수거가방 내 식별코드를 확인한 후, 배출된 수거가방을 수거하는 수거기사의 단말일 수 있다. 주정차 위반 단속 업무가 더 부과되는 경우, 수거기사 단말(400)은,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 앞에 불법 주정차가 된 차량, 이륜차 및 킥보드가 없는지 확인하고, 불법 주정차가된 차량이나 이륜차 등이 있다면 사진을 촬영하여 GPS 및 시각을 메타데이터로 넣은 후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주택가에 문제가 되는 것이 쓰레기 다음으로 불법주정차인데, 불법주정차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면 사용자 단말(100)은 배출 이벤트를 더욱 적극적으로 누를 수 있고 시민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이륜차의 경우 관할이 경찰서(범칙금), 차량의 경우 관할이 지자체(과태료) 및 킥보드의 경우 서울에서만 단속을 실시하고 있으므로(범칙금, 경찰서) 각 관할기관이 어디인지 확인한 후 신고접수를 실시할 수 있다.At least one collector driver terminal 400 may be a doctor's terminal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In addition, when the autonomous vehicle 500 stops in front of the address where the discharge event is output, the at least on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checks the address where the discharge event is output and the identification code in the collection bag, and collects the discharged vehicle. It may be a terminal of a collector who collects bags. In the case where a parking violation enforcement task is further imposed, th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checks whether there are illegally parked vehicles, two-wheeled vehicles, or kickboards in front of the address where the discharge event is output, and if there are illegally parked vehicles or two-wheeled vehicles, a photo It may be a terminal that photographs and transmits GPS and time to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fter inserting the GPS and time as metadata. Illegal parking is the second most problematic problem in residential areas after garbage. If illegal parking can be solved at once, the user terminal 100 can more actively press the emission event and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citizens. However, in the case of two-wheeled vehicles, the jurisdiction is the police station (penalties), in the case of vehicles, the jurisdiction is the local government (fine fines), and in the case of kickboards, enforcement is conducted only in Seoul (penalties, police stations). can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collector driv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t this time, at least one collector driv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collector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t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Internet)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500)은,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차량이동경로를 수신하는 차량일 수 있다. 이때, 자율주행차량(500)은, 수거기사와 한 조를 이루어 차량이동경로를 이동하면서 배출 이벤트가 접수된 주소지 앞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 분 내지 3 분 정차를 하도록 제어되는 차량일 수 있다. 여기서, 자율주행차량(500)에서 불법 주정차된 차량, 이륜차 및 킥보드를 발견한 경우, 수거기사가 다시 차량 내로 복귀할 때까지 정차시간을 늘리는 차량일 수 있다. 이때, 불법 주정차된 차량을 구분하는 방법은, 도로에 표시된 선을 이용할 수 있는데, 백색실선의 경우 주정차가 가능하므로 이 구간은 단속하지 않고, 황색점선은 주차 금지 및 5 분 이내 정차가능, 황색실선은 시간이나 요일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차허용, 황색이중실선은 주정차 절대금지 구간이다. 이면도로, 즉 생활도로와 같이 주택가에 사람과 차가 함께 다닐 수 있는 구간은 대부분 황색점선인데, 차량이 정차한 후 5 분이 지났음에도 차량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 단속대상이므로 자율주행차량(500)이 황색점선 위 주정차를 확인한 후 5 분을 경과하는 경우 이륜차인 경우 경찰서로, 차량인 경우 관할 지자체로, 서울시의 킥보드인 경우 서울시로, 타임라인을 메타데이터로 입력하여 함께 전송하도록 한다. At least one self-driving vehicle 500 may be a vehicle that receives a vehicle movement route from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there is. At this time, the self-driving vehicle 500 is controlled to stop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to 3 minutes in front of the address where the discharge event is received while moving along the vehicle movement path in a pair with the collection driver. can Here, when an illegally parked vehicle, a two-wheeled vehicle, or a kickboard is found in the autonomous vehicle 500, it may be a vehicle that increases the stopping time until the collection driver returns to the vehicle. At this time, as a method of distinguishing illegally parked vehicles, a line marked on the road can be used. In the case of a solid white line, parking is allowed in this section, and this section is not enforced. is allowed to park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time or day of the week, and the yellow double solid line is a section where parking is absolutely prohibited. Most of the sections where people and cars can travel together in the residential area, such as back roads, such as living roads, are yellow dotted lines. If 5 minutes have elapsed after checking the parking on the dotted line, it is sent to the police station in case of two-wheeled vehicle, to the local government in case of vehicle, to Seoul city in case of kickboard in Seoul, and the timeline is entered as metadata and transmitted together.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autonomous vehicle 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at least one autonomous vehicle 5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autonomous vehicle 5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t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Internet)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선별 단말(600)은,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선별장에 위치한 스캐너, 카메라 및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단말일 수 있다. 자율주행차량(500)과 수거기사는 함께 선별장으로 오게 되는데, 수거기사는 선별장에 오자마자 자율주행차량(500) 내 수거된 수거가방을 내려놓는 하차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수거가방에는 식별코드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식별코드를 선별 단말(600)의 스캐너에 스캔하면 주소지, 사용자 이름 등이 함께 식별되고 그 내부의 재활용품을 꺼내면서 컨베이어벨트로 재활용품을 올려놓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이물질이 뭍어있는 재활용품을 발견하는 경우 터치 디스플레이에서 "이물질" 버튼을 누르면, 카메라로 촬영이 되면서 [식별코드-이물질-재활용품 사진]이 함께 매핑되어 저장되며 이는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되어 사용자 단말(100)에 부여된 보상을 차감하는 패널티를 부여하게 된다. 물론 이 과정은 CCTV 등을 통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초기에는 데이터셋(DataSet)이 없거나 부족하므로 수동으로 사람이 어떠한 것이 이물질이 붙은 재활용품인지를 터치 스크린에 "이물질" 버튼을 누르면서 사진에 라벨링을 하게 되고, 이렇게 라벨링 된 사진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학습 및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셋으로 누적되어 충분히 큰 숫자 및 종류가 확보되는 경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시킬 수 있으므로 이후에는 CCTV 또는 카메라를 통하여 오류라고 표시된 부분만 사람이 개입하고 나머지는 자동으로 이물질이 붙은 것인지(세척이 안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 sorting terminal 600 may be a terminal including a scanner, a camera, and a touch display located in a sorting field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The self-driving vehicle 500 and the collection driver come to the sorting site together. As soon as the collection article arrives at the sorting place, the autonomous vehicle 500 performs an unloading operation of putting the collected collection bag down. At this time, since an identification code is attached to the collection bag,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scanned with the scanner of the sorting terminal 600, the address, user name, etc. are identified together, and the recyclables inside are taken out and the recyclables are placed on the conveyor belt. If you find recyclables with foreign substances in the process, press the "foreign substance" button on the touch display, and the camera will take a picture and [identification code-foreign substance-recyclables picture] will be mapped and stored together, which is stored in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Uploaded as , a penalty for deducting the compensation given to the user terminal 100 is given. Of course, 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through CCTV, etc., but in the beginning, there is no or insufficient DataSet, so a person manually labels the photo while pressing the "foreign substance" button on the touch screen to determine which is the recycled product with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it. , and the labeled photos are accumulated as a dataset for learning and testing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nd if a sufficiently large number and type are secure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can be trained, so after that, the CCTV or camera will be displayed as an error. A person intervenes only in the part, and the rest can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foreign matter is attached (whether it has not been cleaned) or not.

여기서, 선별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별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선별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lection terminal 6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the selection terminal 6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screening terminal 6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It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implementations of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등록부(310), 출력부(320), 경로생성부(330), 할당부(340), 자동패널티부과부(350), 수동패널티부과부(360), 리워드부(370), 안내부(380) 및 위치공유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user registration unit 310, an output unit 320, a route generator 330, an allocator 340, an automatic penalty imposition unit 350, a manual It may include a penalty imposition unit 360, a reward unit 370, a guide unit 380, and a location sharing unit 39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500) 및 적어도 하나의 선별 단말(600)로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500) 및 적어도 하나의 선별 단말(600)은,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거기사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500) 및 적어도 하나의 선별 단말(6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collector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 separate recycling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to the autonomous vehicle 500 and at least one sorting terminal 600,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Th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at least one self-driving vehicle 500, and at least one sorting terminal 600 install or open a separate recycling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an In addition, a service program is provid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at least one autonomous vehicle 500, and at least one sorting terminal 6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 may be driven.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users to use the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means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등록을 수신하고, 사용자 등록 내 포함된 주소지, 이름 및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부여할 수 있다.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를 특정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그 외의 정보, 예를 들어, 주소지,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을 받아놓을 수 있도록 한다. 식별코드는 예를 들어, QR 코드나 바코드 등과 같은 2차원 코드 또는 1차원 코드일 수 있고, QR 코드의 스캔이나 바코드의 스캔으로 식별이 가능한 페이지는 본 발명의 플랫폼 내에서만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아무나 QR 코드를 스캔가능하도록 하는 경우 누가 어디에 살고 있고 전화번호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어 개인정보보호법에 저촉되기 때문이다. 수거기사 단말(400)에서도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만 표시될 뿐, QR 코드를 스캔하여 누가 어디에서 살고 있는지 전화번호는 무엇인지는 파악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주소지, 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수신되면, 식별코드, 예를 들어 QR 코드를 생성하고 QR 코드와 매핑되도록 주소지, 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는 선별 단말(600)이나 수거기사 단말(400)에서 스캔은 할 수 있지만 이에 매핑된 정보는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만 확인가능하도록 설정된다. 선별 단말(600)이나 수거기사 단말(400)에서는 스캔만 함으로써 어떠한 식별코드가 인쇄된 수거가방에서 이물질이 붙은 재활용품이 나왔는지를 태깅만 해주는 역할일 뿐 사용자의 정보를 검색할 수는 없다.Referring to FIG. 2 , the user registration unit 310 receives the user regist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generates an identification code using the address, name, and phone number included in the user registration, and returns to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granted If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is not used, it may be difficult to identify the user, so other information such as address, name, phone number, e-mail address, etc. can be received.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for example, a two-dimensional code or a one-dimensional code such as a QR code or barcode, and a page that can be identified by scanning a QR code or barcode is set to be possible only within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if anyone can scan a QR code, it is against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because it can determine who lives where and what their phone number is. Even in the collector driver terminal 400, only the address where the discharge event is output is displayed, but it is configured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o lives where and what the phone number is by scanning the QR code. To this end, the user registration unit 310, when receiving an address, phone number, e-mail, etc. from the user terminal 100, generates an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QR code, and maps the address, phone number, e-mail, etc. to the QR code. can be saved. At this time, the QR code can be scanned by the sorting terminal 600 or th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but information mapped thereto is set to be checked only by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e sorting terminal 600 or th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only scans to determine which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on the collection bag for recyclables with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hereto, but cannot retrieve user information.

출력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 부여된 식별코드가 인쇄된 수거가방이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지로 배송되도록 운송장을 출력할 수 있다. 수거가방은 바람직하게는 지퍼가 달리거나 뚜껑이 있어 외부에서 쉽게 열 수 없는 가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깨끗하게 재활용품들을 세척한 후 수거가방을 집 밖에 내놓았는데, 지나가는 행인 B가 수거가방 내에 떡볶이가 담긴 떡볶이 컵을 넣고 갔다면, 사용자 A가 아무리 깨끗하게 세척을 했다고 할지라도 행인 B에 의해 세척된 재활용품은 다시 떡볶이 국물 범벅이 된다. 이때, 수거가방이 수거가 된 후 사용자 A에게 패널티가 부과된다면 사용자 A는 자신은 자신의 할 일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불이익을 받게 되므로 이는 부당하다. 이에 따라, 지퍼가 달렸거나 외부에서 쉽게 열 수 없는 잠금장치를 가진 가방일 수 있으며 외부에서 비가 내리거나 오염물질이 투척되더라도 그 내부에 재활용품에까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는 재질의 수거가방일 수 있다. 또한 수거가방 외부에는 식별코드 예를 들어, QR 코드 또는 바코드가 인쇄될 수 있고 인쇄된 바코드나 QR 코드가 쉽게 지워지지 않도록 코팅처리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320 may output a waybill so that the collection bag prin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100 is delivered to the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100 . The collection bag may be a bag that is not easily opened from the outside, preferably with a zipper or a lid. For example, if user A cleans the recyclables and puts the collection bag outside the house, and passer-by B puts a tteokbokki cup containing tteokbokki in the collection bag, no matter how clean user A is, passer-by B Recyclables washed by , become covered with tteokbokki soup again. At this time, if a penalty is imposed on user A after the collection bag is collected, it is unfair because user A will be penalized even though he has done his job. Accordingly, it may be a bag with a zipper or a locking device that cannot be easily opened from the outside, and may be a collection bag made of a material that may not be transferred to the recyclables even if rain or contaminants are thrown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an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QR code or barcode may be printed on the outside of the collection bag, and the printed barcode or QR code may be coated so as not to be easily erased.

경로생성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배출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배출 이벤트가 출력된 주소지 및 시간을 수집하여 차량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수거기사 단말(400)은, 배출 이벤트에 따라 차량이동경로를 수신하고,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를 차량이동경로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이동경로에 따라 이동되도록 자율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5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수거차량은 수거 1인 및 차량기사 1인으로 2인 1조를 이루어 일을 하게 되는데, 자율주행차량(500)을 이용하는 경우, 기사가 없더라도 수거인력 1 명만으로도 쓰레기 수거가 가능해진다. 이때, 대형폐기물의 경우에는 지자체에서 각 업체에 외주를 주어 처리하므로 재활용품으로 내놓게 되는 물건들은 대부분 무게가 무겁지 않은 경우이다. The route generator 330 may generate a vehicle movement route by collecting the address and time at which the emission event is output when the user terminal 100 photograph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outputs the emission event. The collector driver terminal 400 may receive the vehicle movement route according to the discharge event and output the address where the discharge event was output on the vehicle movement route. In this case, an autonomous vehicle 500 that autonomously drives to be moved along the vehicle movement path may be further included. In general, garbage collection vehicles work in teams of two, consisting of one collector and one driver. In the case of using the self-driving vehicle 500, garbage can be collected by only one garbage collector even without an engineer. At this time, in the case of large-sized waste, the local government outsources each company to process it, so most of the items to be put out as recycling are not heavy.

이에, 1 명의 수거기사만으로도 자율주행차랑(500)과 1 조를 이루어 재활용품을 수거할 수 있다. 이때, 자율주행차량(500)은 전기에너지로 주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주택가의 경우 대부분 이면도로(생활도로)이기 때문에 속도제한이 존재하고, 빠르고 복잡한 자율주행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므로 전기에너지로 이동하는 자율주행차량(500)을 사용하는 경우 엔진 소음 없이도 조용히 또 천천히 주택가를 이동할 수 있다. 또, 이면도로의 경우 아이들, 행인들, 다른 차량, 이륜차, 킥보드, 반려동물 등을 조심하면서 다녀야 하므로, 움직이는 보행자와 다른 차량과의 간섭을 피하는 자율주행을 최우선순위로 하여 프로그래밍을 하면 된다. 이때, 수거기사는 그 다음 배출 이벤트를 제공한 집이 어디인지를 파악하고, 수거를 한 후 그 다음 주소지로 이동할 때까지는 쉴 수도 있다.Accordingly, only one collection driver can collect recyclables by forming a team with the autonomous vehicle 500. In this case, the self-driving vehicle 500 may be a vehicle that runs with electric energy. In the case of residential areas, since most of them are back roads (living roads), there are speed limits and fast and complex self-driving is not required, so when using an autonomous vehicle (500) that moves with electric energy, it is quiet and slow without engine noise. can move In addition, in the case of back roads, children, passers-by, other vehicles, two-wheeled vehicles, kickboards, and pets must be careful while driving, so autonomous driving, which avoids interference with moving pedestrians and other vehicles, can be programmed as a top priority. At this time, the collection driver may find out which house provided the next discharge event, collect, and then rest until moving to the next address.

<차량이동경로 생성><Create vehicle movement path>

자율주행차량(500)의 방문에 따르는 현실적인 제약조건을 감안한 방문 경로 최적화 문제를 혼합정수계획 모형으로 모델링하여 이용하기로 한다. 모델링된 혼합정수계획 모형은 시간제약을 가지는 차량 경로 문제(Vehicle Routing Problem with Time Window: 이하 VRPTW)의 일종으로 이 계열의 문제는 NP-hard 문제이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문제에 대해서는 최적해를 찾을 수 있으나 문제의 크기가 커지면 문제를 풀기 위한 계산시간이 매우 커진다. 따라서 합리적인 시간내에 해를 찾기 위한 방법 중 현실적인 제약사항이 추가된 VRPTW 문제를 혼합정수계획 모형으로 모델링하고 모델의 해 생성을 위해 2단계 GA(Genetic Algorithm) 모델을 이용하기로 한다.A visit path optimization problem considering realistic constraints according to the visit of the autonomous vehicle 500 will be modeled and used as a mixed integer planning model. The modeled mixed integer planning model is a type of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time window (VRPTW) with time constraints. Since this series of problems is an NP-hard problem, it is possible to find an optimal solution for small-sized problems, but As the size of the problem increases, the computational time to solve the problem increases significantly. Therefore, among the methods for finding a solution within a reasonable time, the VRPTW problem with realistic constraints is modeled as a mixed integer programming model, and a two-step GA (Genetic Algorithm) model is used to generate a model solution.

이하에서 업무 할당 및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이전에, 그 배경이 되는 기본개념을 우선 설명한다. Prior to explaining the task allocation and scheduling method below, the basic concept behind the task will be explained first.

VRPTW 문제를 풀기 위한 기존의 연구 방법들은 크게 4가지 정도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정확한 해를 찾는 방법이다. VRPTW를 풀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은 경로 생성 휴리스틱의 사용이다. 경로 생성 휴리스틱은 주어진 제약사항을 만족하면서 최소 비용 기준에 따라 가능해가 얻어질 때까지 노드를 순차적으로 선택해가는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노드를 몇 개의 그룹으로 분할한 후, 각 그룹에 대하여 경로를 설계하는 선분할 후경로법(Cluster-first routesecond)과 노드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커다란 경로를 만든 후, 그 경로를 해의 도출이 가능한 작은 경로들로 분할시키는 방법인 선경로 후분할법(Route-first cluster-second)이 분류에 속한다. VRPTW를 풀기 위한 세 번째 방법은 해의 점진적 개선 방법이다. 이 방법은 초기해에서 이웃해들을 탐색해가면서 해의 개선을 도모하는 국소 탐색(Local search)의 개념에 기반한 방법으로, 단계별로 하나의 가능해가 전체 비용이 적게 드는 다른 가능해로 바뀌도록 하여 더 이상 비용 절감이 없을 때까지 반복 실행하는 방법이다. 이후 속도 개선을 위해 비가해의 선별이나 불필요한 목적함수의 평가 등을 생략하는 등의 방법도 개발되어 있다. VRPTW를 풀기 위한 네 번째 방법은 수리계획법에 기반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차량 경로 문제에 포함된 수리계획법 수식을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다. 순수하게 VRPTW에 부가되는 제약사항이 아닌 경우 추가적인 제약사항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이러한 접근이 용이하다.Existing research methods to solve the VRPTW problem can be roughly divided into four types. The first method is to find an exact solution. The second way to solve VRPTW is the use of path generation heuristics. The path creation heuristic is a method of sequentially selecting nodes until a possible solution is obtained according to the minimum cost criterion while satisfying given constraints. Representatively, after dividing nodes into several groups, a cluster-first routesecond method of designing routes for each group and a large route including all nodes is created, and then the route is The route-first cluster-second method, which is a method of dividing into small routes that can be derived, belongs to classification. A third method for solving VRPTW is the incremental improvement method of the solution. This method is based on the concept of local search, which seeks to improve the solution while searching for neighboring solutions in the initial solution. Step-by-step, one possible solution is changed to another possible solution with a lower overall cost, so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It is an iterative method until there is no cost reduction. Since the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speed by omitting the selection of incomprehensible items or the evaluation of unnecessary objective functions. The fourth method for solving VRPTW is based on mathematical programming. This method directly uses the mathematical planning formula included in the vehicle path problem. This approach is easy to deal with additional constraints that are not purely added to VRPTW.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현실적인 제약사항이 추가된 VRPTW 문제를 혼합정수계획 모형으로 모델링 하고 모델의 해 생성을 위해 2단계 GA(Genetic Algorithm) 모델을 이용하기로 한다.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RPTW problem to which realistic constraints are added is modeled as a mixed integer planning model, and a two-step GA (Genetic Algorithm) model is used to generate a model sol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하 표 1과 같은 제약사항을 고려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aints shown in Table 1 below are considered.

제약구분Classification of constraints 제약사항Constraints 1One 한 자율주행차량(500)은 일주일 간 다수의 방문지를 방문한다.One self-driving vehicle 500 visits a number of places for a week. 22 각 방문지는 요구되는 두 가지의 방문 형태를 갖는다. 임의 방문지는 방문 요일을 지정하지 않고 일주일 간의 방문 횟수만을 요구하며, 고정 방문지는 지정된 방문 횟수와 요일을 요구한다.Each visit has two required visit types. Random visits require only the number of visits per week without specifying a visit day, and fixed visits require a specified number of visits and a day of the week. 33 각 방문지는 최단시작시간(earliest start time)과 최장시작시간(latest start time)으로 구분되는 방문 선호 시간제약(time windows) 구간을 갖는다. 방문 선호 시간제약은 총 3등급이 있으며, 각 방문지는 되도록 우선 순위가 높은
방문 선호 시간제약 구간에 방문을 하는 것을 요구한다. 다른 제약사항들로 인해 시간제약을 어기는 방문이 발생할 때는 그 정도에 비례하는 벌금이 발생한다.
Each visit site has a visit preferred time window period, which is divided into an earliest start time and a latest start time. There are a total of 3 levels of preferred time constraints for visits, and each visit place has the highest priority if possible.
Requests a visit to the visit preferred time constraint interval. When visits that violate the time constraints due to other restrictions occur, fines in proportion to the extent of the visits are incurred.
44 각 방문지는 중요도에 따른 등급을 갖는다. 높은 등급을 갖는 방문지는 방문시점 결정시 낮은 등급의 방문지보다 방문 선호 시간제약을 우선적으로 만족시켜야 한다. 여기서 방문지 중요도는 총 5등급으로 구분된다.Each visitation is ranked according to importance. A visit place with a high grade should preferentially satisfy the visit preference time constraint rather than a visit place with a low grade when determining the time to visit. Here, the importance of the destination is divided into a total of 5 grades.

전술한 제약사항 외에 기본적인 방문지의 지리데이터(KATECH 좌표계 상의 방문지 좌표)와 각 방문지에서 필요한 소요 서비스 시간이 추가로 부가될 수도 있다. 그 다음은 혼합 정수 계획 모형을 설명한다. 이때, 모델링에 사용되는 기호는 다음 표 2와 같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straints, basic geographic data (visit coordinates on the KATECH coordinate system) of the destination and required service time required for each visit may be additionally added. The mixed integer planning model is then described. At this time, the symbols used for modeling are shown in Table 2 below.

기호sign 정의Justice NN 방문지 집합, N = NF∪NRSet of visits, N = NF∪NR NFNF 방문 요일이 정해진 고정 방문지 집합, NF ⊆ ?NR : 방문 요일을 임의로 정할 수 있는 임의 방문지 집합, NR⊆NA set of fixed visits with a fixed visit day, NF ⊆ ?NR: A set of random visits with a set visit day, NR⊆N KiKi i ∈ NF 방문지의 고정 방문 요일i ∈ NF fixed visit day of the visitation i, j = 0, …, ni, j = 0, ... , n 출발지와 방문지에 대한 인덱스, i, j ∈ N, i = 0이면 출발지, n = 방문지의 총수Indices of origin and destination, i, j ∈ N, if i = 0, origin, n = total number of visits k = 0, …, 6k = 0, ... , 6 요일을 나타내는 인덱스, k = 0는 월요일, k = 6은 일요일Index indicating the day of the week, where k = 0 is Monday and k = 6 is Sunday p = 1, 2, 3p = 1, 2, 3 방문 선호 시간제약 구간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상수 인덱스A constant index indicating the priority of the visit preferred time constraint section. xijkxijk k요일에 i방문지와 j방문지 사이의 이동 유무, 0이면 이동하지 않음, 1이면 이동Whether there is movement between i and j on day k, if 0, do not move, if 1, move dijdij i방문지와 j방문지 사이의 이동 비용Cost of travel between site i and site j MM 매우 큰 수very large number TikTik k요일에 i방문지에 도착하는 시간(분)Time (in minutes) to arrive at destination i on day k sisi i방문지에서의 서비스 시간(분)iService time at the destination (minutes) tijtij i방문지와 j방문지 사이의 이동시간(분)Travel time between site i and site j (minutes) eip, lipeip, lip i방문지에 대한 시간제약 구간 p의 최단 시작시간, 최장 시작시간(분)Shortest start time, longest start time (minutes) of the time constraint section p for i P1ikp, P2ikpP1ikp, P2ikp i방문지, k요일의 시간제약 구간 p에 대한 방문 시간의 어김 정도(분)Visit site i, degree of deviation of visit time for time constraint section p of day k (minutes) cici i방문지의 등급별 벌금 가중치(총 5단계)i Weight of fines by level of visit place (total of 5 levels) vivi i∈NR방문지의 임의 요구 방문 횟수i∈NR The number of random requested visits to the destination

이 문제에서 풀어야 하는 결정변수는 이진 변수인 xijk와 도착시간을 나타내는 연속형 변수 Tik가 된다. 위 기호를 사용한 혼합정수 계획 모형은 이하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9와 같다.The decision variables to be solved in this problem are the binary variable xijk and the continuous variable Tik representing the arrival time. The mixed integer planning model using the above symbols is as shown in Equations 1 to 9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수학식 1은 문제의 목적함수로 자율주행차량(500)이 일주일간의 전체 방문지 방문에 걸리는 총 이동 비용과 방문지 방문시 방문시간 대를 지키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벌금의 합의 최소화가 된다. 방문지 방문시 발생할 수 있는 벌금은 수학식 6에서 설명한다. 수학식 2는 방문 경로는 모두 연결되어야 한다는 제약을 나타낸다. 수학식 3은 1주일 간의 요구 방문 횟수만 주어지는 임의방문 형태에 대한 제약식이다. 수학식 4는 고정방문 형태에 대한 제약식이고, 수학식 5는 특정방문지의 도착시간은 이전 방문지점에서의 도착시간과 그 지점에서의 서비스 시간 및 해당 방문지로의 이동시간의 합보다는 커야 한다는 의미이다. 수학식 6은 방문지로의 도착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Tik)가 방문지에 주어진 시간제약의 상한과 하한, 즉, 최단시작시간(eip)와 최장시작시간(lip) 사이에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때, 방문지의 할당된 시간제약의 상한과 하한을 벗어나는 방문이 발생한다면 그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P1ijk 또는 P2ijk)가 0이상의 양의 값을 갖게 된다.Equation 1 is the objective function of the problem, which is the minimization of the sum of the total travel cost for the self-driving vehicle 500 to visit all the destinations for a week and the penalty caused by failing to keep the visiting time zone when visiting the destination. A penalty that may occur when visiting a destination is described in Equation 6. Equation 2 represents a constraint that all visited paths must be connected. Equation 3 is a constraint expression for a random visit form in which only the number of requested visits in one week is given. Equation 4 is a constraint on the form of fixed visits, and Equation 5 means that the arrival time at a specific destination must b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arrival time at the previous visit point, the service time at that point, and the travel time to the corresponding visit destination. am. Equation 6 means that the variable Tik representing the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must b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time constraint given to the destination, that is, between the shortest start time (eip) and the longest start time (lip). At this time, if a visit outside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assigned time constraint of the visit occurs, the variable (P1ijk or P2ijk) indicating the degree of visit has a positive value of 0 or more.

이때 변수 P1ijk와 P2ijk는 서로 상호배타적이다. 즉, 시간제약이 발생한다면 시간제약의 상한 또는 하한중 어느 한쪽으로만 시간제약이 발생하게 되며 그에 따라 P1ijk와 P2ijk는 두 변수중 한 변수만 0 이상의 양의 값을 갖게 되고, 다른 나머지 변수는 0의 값을 갖게되며, 시간제약이 발생하지 않으면 두 변수 모두 0을 갖는다. 수학식 7은 출발지에서의 도착시간과 서비스 시간은 0이라는 의미이고, 수학식 8은 각 요일별로 방문지간의 이동을 나타내는 결정변수 xijk는 0이나 1의 두 값만을 갖는 이진변수임을 나타내는 조건이며, 수학식 9는 나머지 결정변수 Tik, P1ijk, P2ijk는 양의 값을 갖는다는 비음의 조건을 나타내는 제약식이다.At this time, the variables P1ijk and P2ijk are mutually exclusive. In other words, if a time constraint occurs, the time constraint occurs only in either the upper or lower limit of the time constraint, and accordingly, P1ijk and P2ijk have a positive value of more than 0, and the other variables have a positive value of 0 or more. It has the value of , and both variables have 0 if no time constraint occurs. Equation 7 means that the arrival time and service time at the departure point are 0, and Equation 8 is a condition indicating that the decision variable xijk representing movement between destinations for each day of the week is a binary variable having only two values of 0 or 1, Equation 9 is a constraint expression representing a non-negative condition that the remaining decision variables Tik, P1ijk, and P2ijk have positive values.

그 다음, 2단계 GA 모형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혼합 정수 계획 모형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i) 목적함수식의 왼쪽항과 제약식인 수학식 2, 수학식 3, 수학식 4로 구성되는 방문 경로 생성에 대한 부분과, ii) 목적함수식의 오른쪽항과 제약식인 수학식 5, 수학식 6 및 수학식 7로 구성되는 시간제약의 어김을 최소화하는 방문 시점의 결정문제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방문경로 생성을 위한 방법으로 주어진 문제를 두 단계의 GA 문제로 변환하여 푸는 2단계 GA법을 이용하기로 한다. 2단계 GA법으로 생성된 경로에 따르는 방문지 방문 시점 결정을 위한 방법으로 전방전개 스케줄링 및 후방전개 스케줄링법을 사용한다. 전방전개, 후방전개 스케줄링법은 후술하기로 한다.Next, the two-step GA model is explained. The mixed integer planning model described above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i) the part for generating the visit path consisting of the left term of the objective function and the constraints of Equations 2, 3, and 4, and ii) the right side of the objective function It can be divided into a decision problem at the time of visit that minimizes the violation of the time constraint consisting of terms and constraints of Equation 5, Equation 6, and Equation 7.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wo-step GA method is used to convert a given problem into a two-step GA problem and solve it as a method for generating a visited route. Forward deployment scheduling and backward deployment scheduling methods are used a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time to visit a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path created by the two-step GA method. Forward deployment and backward deployment scheduling methods will be described later.

혼합 정수 모형은 VRPTW 계열의 NP-hard 문제이므로 방문지의 수가 늘어날수록 기하급수적인 계산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현실적인 접근법으로 메타 휴리스틱 알고리즘이 필요한데, 메타 휴리스틱 중에서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기로 한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하나의 해에서 탐색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해집단(Population)에서부터 탐색을 병렬적으로 수행한다. 해집단에서 하나의 해는 염색체(Chromosome)이라 하고, 각 염색체는 유전인자(Gene)로 이루어져 있다. 각 염색체들은 세대수(generation)로 표현되는 연속적인 반복 계산을 통해서 진화한다. 각 세대마다 유전 연산자 즉, 선별(Selection), 교차(Crossover), 돌연변이(Mutation)을 통해서 환경에 적응해가면서, 적응도 함수(fitness function)에 따라 각 염색체가 평가(Evaluation)되어 진다.Since the mixed integer model is an NP-hard problem of the VRPTW series, exponential computation time is required as the number of visits increases. Therefore, a meta-heuristic algorithm is needed as a realistic approach, and among the meta-heuristics, genetic algorithms are used. The genetic algorithm does not start the search from one solution, but performs the search from the population in parallel. One solution in a population is called a chromosome, and each chromosome is made up of genes. Each chromosome evolves through successive iterations expressed in generations. In each generation, each chromosome is evaluated according to a fitness function while adapting to the environment through genetic operators, that is, selection, crossover, and mutation.

그 다음으로 해의 표현식을 설명한다. GA의 시작은 문제의 풀이를 위한 해의 표현식 결정에서부터 출발한다. TSP(Traveling Salesperson Problem)나 VRP(Vehicle Routing Problem)와 같은 일반적인 GA 문제에 있어서는 다양한 표현식과 그에 따른 유전 연산자들이 개발되어 있다. TSP 문제에서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경로표현법(Path Representation)은 해의 표현식이 (3 1 2 4)와 같을 때 3번 도시를 처음 방문하고, 1 번 도시를 두 번째 방문하고, 2 번 도시를 세 번째 방문하고, 4 번 도시를 네 번째에 방문하는 식으로 방문순서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경로표현법을 따르는 해 표현식에서는 TSP문제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OX(Order Crossover), CX(Cycle Crossover), PMX(Partially Mapped Crossover)는 물론, 1점 교차나 2점 교차등의 유전연산자를 사용할 시, 해의 가능성을 유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전체 문제를 두 단계의 GA 문제로 분리하여 해결한다. i) 제 1 단계에서는 임의 방문지들에 대해 방문 요일을 결정하고, ii) 제 2 단계에서는 제 1 단계에서 선택된 요일별 임의 방문지에 고정 방문지를 포함하여 요일별로 선택된 모든 방문지의 방문 순서를 결정하게 된다. Next, the expression of the solution is explained. The beginning of GA starts from determining the expression of the solution for solving the problem. For general GA problems such as TSP (Traveling Salesperson Problem) or VRP (Vehicle Routing Problem), various expressions and corresponding genetic operators have been developed. In the path representation typically used in TSP problems, when the expression of the solution is equal to (3 1 2 4), city 3 is visited first, city 1 is visited second, and city 2 is visited third. visit, and number 4 city is visited fourth, and so on. In the solution expression following this path expression method, genetic operators such as OX (Order Crossover), CX (Cycle Crossover), and PMX (Partially Mapped Crossover), which can be typically used in TSP problems, as well as one-point crossing or two-point crossing can be used. Possibilities of harm cannot be maintained. Accordingly, the whole problem is solved by separating it into a two-step GA problem. i) In the first step, visit days are determined for random visits, and ii) in the second step, the order of visits of all visits selected by day, including fixed visits to random visits for each day of the week selected in the first step, is determined.

단계별로 필요한 해의 표현은 제 1 단계 문제를 풀기위한 랜덤 스케줄이 있고, 제 2 단계 문제를 풀기위한 고정 스케줄과 혼합 스케줄이 있다. 랜덤 스케줄과 고정 스케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표현식이 혼합 스케줄이다. 예를 들어, 다음주 중 XX요일에 방문하기로 하는 것은 고정 스케줄이고, 다음 주 중 언제든지 방문하는 것은 랜덤스케줄인데, 이러한 날짜가 아닌 주(Week)만 고정된 경우(랜덤)와 설치 주 뿐만 아니라 날짜까지 고정된 경우(고정)가 섞인 스케줄이 혼합 스케줄이다. The expression of solutions required for each step includes a random schedule for solving the first step problem, and a fixed schedule and mixed schedule for solving the second step problem. An expression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 random schedule and a fixed schedule is a mixed schedule. For example, to visit on XX day of the next week is a fixed schedule, and to visit at any time during the next week is a random schedule. A schedule in which up to (fixed) is mixed is a mixed schedule.

먼저, 랜덤 스케줄의 유전인자는 요일을 의미하는 7진수 값이며, 전체 염색체의 길이는 임의방문지의 개수로 결정된다. 즉, 각 유전인자의 위치는 전체 임의방문지들 중의 순서에 대응되며 임의방문지의 방문요구 횟수는 유전인자인 7진수 값의 자리수에 대응된다. 이에 반해, 고정 스케줄의 유전인자는 고정방문지 자체를 나타내는 숫자와 고정방문 요일을 구분하는 구분자(Delimiter) 0으로 구성된다. 제 1 단계에서 사용하게 되는 모집단은 랜덤 스케줄만을 사용하게 되며 제 1 단계에서는 임의 방문지의 방문 요일을 결정하고, 각 요일 내에서의 방문순서는 제 2 단계에서 결정하게 된다. 제 2 단계에서는, 제 1 단계의 GA 문제를 구성하는 모집단을 구성하는 하나의 해(랜덤 스케줄)에 대해서 고정 스케줄을 감안한 혼합 스케줄 만들어내고 이를 요일별로 7 개의 경로식으로 분해한 후 분해된 7개의 TSP 문제를 풀어서 제 1 단계 문제의 모집단을 구성하는 해 하나에 대한 평가를 마친다. First, the genetic factor of the random schedule is a 7 digit value indicating the day of the week, and the length of the entire chromosome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random visits. That is, the position of each genetic factor corresponds to the order among the entire random visit places, and the number of visit requests of the random visit places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digits of the 7 digit value of the genetic factor. On the other hand, the genetic factor of the fixed schedule consists of a number representing the fixed visit site itself and a delimiter of 0 that distinguishes the fixed visit day. The population used in the first step uses only a random schedule. In the first step, the day of the week to visit a random destination is determined, and the order of visits within each day is determined in the second step. In the second step, a mixed schedule considering the fixed schedule is created for one solution (random schedule) constituting the population constituting the GA problem of the first step, and after decomposing it into 7 path equations for each day of the week, the decomposed 7 Solving the TSP problem completes the evaluation of one solution that constitutes the population of the first step problem.

유전 연산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와 같은 해의 표현식(랜덤 스케줄)을 쓰면 상위 제 1 단계 문제에 대해 1점 교차나 2점 교차 같은 전통적인 교배연산을 사용하더라도 해의 가능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상위 제 1 단계 문제에서 사용한 돌연변이 연산은 임의의 염색체좌(Locus)를 랜덤 스케줄에서 선택한 후 선택된 염색체좌의 자리수에 해당하는 임의의 7진 난수를 발생시켜 선택된 염색체좌를 대치(Replace)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하위 제 2 단계 문제는 일반적인 TSP 문제의 풀이에 준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교배연산에는 TSP 문제의 해법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개선된 인접인자 재결합 교차를 사용할 수 있다. 돌연변이 연산은 임의로 두 방문지를 선택하여 위치를 교환하는 SWAP 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선별연산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 모두 토너먼트 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The genetic operator is explained. Using the same solution expression (random schedule) as in the first and second steps described above, the possibility of a solution is not impaired even if a traditional crossover operation such as one-point intersection or two-point intersection is used for the upper stage 1 problem. The mutation operation used in the first stage problem is a method of replacing the selected chromosome locus by generating a random 7-base random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igits of the selected chromosome locus after selecting a random chromosome locus from a random schedule. can be used The second subproblem follows the solution of the general TSP problem,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d neighbor factor recombination crossover, which is known to be useful for solving the TSP problem, can be used for the crossover operation. The mutation operation can use a SWAP operation that exchanges positions by randomly selecting two visits. The selection operation may use tournament operation in both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전방전개 및 후방전개 스케줄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스케줄링 과정에서는 매 요일별 방문지의 방문 경로가 주어졌을 때 이를 준수하면서 최대한 시간제약을 어기지 않는 방문시간대를 결정하는 문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2 단계 GA 모형은 방문 경로 생성 부분만을 다룬 유전 연산 모형이었고, 혼합 정수 계획 모형에서와 같이 목적 함수에 각 방문지에 대한 방문시점이 시간제약을 어김으로서 발생하는 벌금이 포함되어야 된다. 물론 이 벌금은 하위 GA 문제의 풀이를 통한 상위 GA 문제의 해의 평가 단계에서 합산된다. 매 요일별로 주어진 방문 경로에 대한 구체적인 방문 시점 결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은 방문지의 등급이다. 방문지의 등급이 높을수록 방문지에 할당된 시간제약이 지켜져야 한다. 각 방문지에 대한 방문 시간대 결정의 경우의 수는 방문 순서가 주어진다고 하더라도 방문지의 수가 n이고 방문 선호시간대의 수가 m이라할 때 최대 mn이 된다. 예를 들어, 방문선호 시간제약 구간의 수가 3인 경우, 방문 선호 시간 결정의 문제의 경우의 수는 최대 3n이 될 수 있다.Forward deployment and backward deployment scheduling will be described. In this scheduling process,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visit time zone that does not violate the time constraint as much as possible while complying with the visit route of each day of the week is explained. The two-stage GA model described above was a genetic computation model that dealt only with the visit route generation part, and as in the mixed integer planning model, the objective function should include the penalty that occurs when the visit time for each visit violates the time constraint. Of course, this penalty is added at the evaluation stage of the solution of the upper GA problem through the solution of the lower GA problem.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in determining the specific visit time for a given visit route for each day of the week is the grade of the visit place. The higher the grade of the destination, the time constraints allocated to the destination must be observed. Even if the order of visits is given, the number of cases for determining the visit time zone for each visit destination is at most mn when the number of visit places is n and the number of visit preferred time zones is m.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visit preference time restriction sections is 3, the number of problems of determining the visit preference time may be up to 3n.

물론 현실적인 관점에서 방문지 방문 시점의 결정은 시간이라는 연속 변수의 선택이므로 방문 시간대의 선택이라는 이산적인 변수의 조합과는 다른 매우 많은 대안의 수를 갖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문순서(방문 경로)가 주어지는 상황에서의 방문시점 결정에도 적절한 휴리스틱이 필요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i) 각 방문지의 등급이 모두 동일하다는점과 ii) 선호 시간대의 종류가 하나라는 가정이 있을 때 전방전개 스케줄링법을 따르는 제 1 데일리 스케줄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 제 1 데일리 스케줄의 가정을 완화한 경우 즉, 전방전개와 후방전개 스케줄링을 함께 수행하는 제 2 데일리 스케줄에 대해서 설명한 후 i) 및 ii) 모두의 가정을 완화시킨 일반화된 경우의 제 3 데일리 스케줄에 대해서 설명한다.Of course, from a realistic point of view, since the decision of the time to visit a destination is the choice of a continuous variable called time, there will be a very large number of alternatives different from the combination of discrete variables such as the choice of time zone. Therefore, an appropriate heuristic is needed to determine the visit time in a situation where the order of visits (visit routes) is give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n it is assumed that i) the rating of each visitation is the same and ii) the type of preferred time zone is one, the first daily schedule following the forward deployment scheduling method is first described, and the first daily schedule A case in which the assumption is relaxed, that is, a second daily schedule in which forward deployment and backward deployment scheduling are performed together will be described, and then a third daily schedule in the generalized case in which both assumptions i) and ii) are relaxed will be described.

먼저, 고정된 요일(k = K)과 선호시간대의 종류가 하나(p = P)인 경우에 대해 방문지의 등급이 모두 동일하다고 한다면, 어떠한 방문지를 최초 선택하더라도 동일한 상황이므로 최초 방문지의 도착시간(방문시점)을 최초방문지의 최단시작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T1K = e1P). 두 번째 방문지의 도착시간은 벌금의 최소화를 위해 첫 번째 방문지의 도착시간(T1K)에서 첫 번째 방문지에서의 서비스시간(s1)과 첫 번째 방문지에서 두 번째 방문지로의 이동시간(t12)의 합이 되거나, 두 번째 방문지에 대한 최단시작시간(e2P)중 큰 값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식으로 최초방문지의 방문시점부터 차례대로 방문지의 방문시점을 전방향으로 결정하는 절차가 제 1 데일리 스케줄이다. 이러한 스케줄을 따를때에는 시간제약의 어김은 최지시작 시간을 넘어선 방문지 도착에 대해서만 발생하므로 총 시간제약 어김의합은 ∑i=1~n max{TiK-liP, 0}이 된다. First, if the grades of all visits are the same for a fixed day of the week (k = K) and one type of preferred time zone (p = P), the arrival time of the first visit ( visit point) can be set as the shortest start time of the first visit place (T1K = e1P). The arrival time at the second destination is the sum of the service time at the first destination (s1) and the travel time from the first destination to the second destination (t12) from the arrival time at the first destination (T1K) to minimize the penalty. or the shortest start time (e2P) for the second visit must be the larger value. In this way, the first daily schedule is a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visiting time of the destination sequentially from the first visit time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is schedule is followed, time constraint violations occur only for arrivals beyond the latest start time, so the total time constraint violation sum is ∑i=1~n max{TiK-liP, 0}.

다시, 방문지의 등급이 모두 갖지 않는 상황이라면 가장 등급이 높은 방문지(i = i’)의 방문시간을 해당 방문지의 최단시작시간으로 설정하고(Ti'K = ei'P), 이후 진행되는 방문지에 대한 도착시간은 제 1 데일리 스케줄에서와 같은 전방전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등급이 가장 높은 방문지의 직전 방향으로의 스케줄링을 차례대로 전방전개 스케줄링과 유사한 방법으로 후방전개 스케줄링 한다. 이때의 시간제약의 어김은 최지시작 시간을 넘어선 방문지 도착과 최단시작시간에 앞선 방문지 도착, 양쪽 모두 발생하므로 그 총합은 ∑i=1~nmax{TiK-liP, 0}-∑i=1~nmin{TiK-eiP, 0}이 된다. Again, if there are no ratings for all destinations, the visit time of the destination with the highest rating (i = i') is set as the shortest starting time for the destination (Ti'K = ei'P), and The arrival time for the forward deployment scheduling is performed as in the first daily schedule. In addition, scheduling in the direction immediately before the visit place with the highest rank is sequentially performed in a similar way to forward deployment scheduling. At this time, the violation of the time constraint occurs in both arrival at the destination beyond the latest start time and arrival at the destination earlier in the shortest start time, so the sum is ∑i=1~nmax{TiK-liP, 0}-∑i=1~nmin It becomes {TiK-eiP, 0}.

주어진 원문제는 방문지별 방문 선호 시간제약 구간이 총 3 개로 모두 다르므로 제 2 데일리 스케줄에 이를 반영한, 즉 조건을 완화시킨 수정된 알고리즘은 제 3 데일리 스케줄과 같다. 이때의 시간제약 어김의 총합은 ∑i = 1~n{max(TiK-liP, 0)|P = argmax(liP)}-∑i=1~n{min(TiK-eiP, 0)|P = argmin(eiP)}이 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성된 최적 설치 경로 대비 현 진척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주어진 제약 조건 하에서 구한 최적 방문 경로는 GIS 관제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자율주행차량(500)이 최적 경로에서 이탈하거나 계획대비 진행사항이 느려지는 모습이 관측될 경우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또, 항시 가능해를 유지하면서 해의 개선을 추구하는 GA 모델을 사용하므로 차량 고장, 사고, 긴급 요청 등과 같은 예외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실시간의 근사 최적 재 스케줄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생성부(330)는, 자율주행차량(500)의 차량이동경로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를 경유지로 설정하여 생성하여 자율주행차량(500) 및 수거기사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Since the given original problem has a total of 3 different visit preferred time constraint intervals for each destination, the modified algorithm that reflects this in the second daily schedule, that is, alleviates the conditions, is the same as the third daily schedule. The sum of time constraint violations at this time is ∑i = 1~n{max(TiK-liP, 0)|P = argmax(liP)}-∑i=1~n{min(TiK-eiP, 0)|P = argmin(eiP)}.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current progress compared to the generated optimal installation route, and the optimal visit route obtained under given constraints is monitored in real time through the GIS control system, and the autonomous vehicle If (500) deviate from the optimal path or slow progress compared to the plan is observed, it can respond quickly. In addition, since a GA model that pursues solution improvement while always maintaining a feasible solution is used, near-optimal real-time rescheduling is possible even when exceptional situations such as vehicle breakdown, accident, or emergency request occur. Accordingly, the route generator 330 sets the vehicle movement route of the autonomous vehicle 500 to the address where the discharge event is output at a preset time interval as a stopover, and generates the vehicle movement route for the autonomous vehicle 500 and th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자율주행><Autonomous Driv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택가의 이면도로(생활도로)를 주행해야 하는 자율주행차량(500)에서 위기감지를 중심으로 주행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의 상황과 차량 내부의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이 현재 처한 위기 상황을 0~1 사이의 값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차량 위기 감지 시스템은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첫 번째 모듈인 차량 외부 상황 수집 모듈은 차량의 전방 카메라와 CNN을 이용하여 현재 주행 중인 차량의 주변 차량 정보와 보행자 정보를 수집한다. 두 번째 모듈인 차량 위기 상황 판단 모듈은 차량 외부 상황 수집 모듈의 결과와 차량 내부의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이 현재 처한 상황의 위험도를 0~1 사이로 출력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rive based on crisis detection in an autonomous vehicle 500 that has to drive on a back road (life road) in a residential area, the vehicle is currently using the situation outside the vehicle and sensor data inside the vehicle. Output the crisis situation as a value between 0 and 1. The vehicle crisis detection system may consist of two modules. The first module, the external situation collection module of the vehicle, collects vehicle information and pedestrian information around the currently running vehicle using the vehicle's front camera and CNN. The second module, the vehicle crisis situation determination module, outputs the risk level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between 0 and 1 by using the result of the external situation collection module and sensor data inside the vehicle.

차량 외부 상황 수집 모듈은 두 가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을 사용하여 차량 외부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우선 차량 외부 상황 수집 모듈은 V2V 통신을 통해 주변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고, 차량의 전면 카메라를 통해 현재 주행 중인 차량과 직접적으로 인접한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전방 이미지를 통해 주변 차량을 인식하도록 VR-CNN(Vehicle Recognition CNN)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VR-CNN은 1개의 Convolution과 1개의 Max Polling으로 구성된 3개의 레이어와 2개의 Fully Connected를 이용하여 결과를 출력한다. 차량 외부 상황 수집 모듈은 VR-CNN을 사용함과 동시에 CNN 기반 알고리즘인 YOLO(You Only Look Once)를 사용하여 주행 중 보행자를 탐지한다. 차량 외부 상황 수집 모듈은 두 개의 CNN 모델을 신속하게 연산하기 위하여 YOLO에 입력되는 이미지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YOLO에 사용되는 Binding Box의 크기를 제한하여 연산 속도를 높인다. YOLO는 신속한 연산을 위해 Fully Connected 연산의 활성화 함수로 Leaky ReLU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수학식 10과 같다.The vehicle external situation collection module collects data outside the vehicle using two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s. First, the vehicle external situation collection module stores information on surrounding vehicles through V2V communication, and recognizes license plates of vehicles directly adjacent to the currently running vehicle through the front camera of the vehicle. For example, a VR-CNN (Vehicle Recognition CNN) model may be used to recognize surrounding vehicles through a front image. VR-CNN outputs results using 3 layers consisting of 1 convolution and 1 max polling and 2 fully connected. The vehicle external situation collection module uses VR-CNN and at the same time uses CNN-based algorithm YOLO (You Only Look Once) to detect pedestrians while driving. In order to quickly calculate the two CNN models, the vehicle external situation collection module removes noise from the image input to YOLO and limits the size of the Binding Box used in YOLO to speed up the calculation. YOLO can use Leaky ReLU as an activation function of Fully Connected operation for fast operation, which is shown in Equation 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차량 외부 상황 수집 모듈이 보행자 정보와 주변 차량(자동차, 이륜차 및 킥보드) 정보를 수집하면, 차량 위기 상황 판단 모듈은 DNN(Deep Neural Network) 모델을 사용하여 자율주행차량(500)의 위기 상황을 판단한다. 이하 표 3은 차량 위기 상황 판단 모듈의 입력을 나타낸다. When the vehicle external situation collection module collects pedestrian information and surrounding vehicle (car, two-wheeled vehicle, and kickboard) information, the vehicle crisis situation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es the crisis situ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500) using a DNN (Deep Neural Network) model do. Table 3 below shows inputs of the vehicle crisis situation determination module.

노드node 정의Justice x1x1 The number of vehicles aheadThe number of vehicles ahead x2x2 The distance to nearest vehicleThe distance to nearest vehicle x3x3 The speed of nearest vehicleThe speed of nearest vehicle x4x4 The distance to the farthest vehicleThe distance to the farthest vehicle x5x5 The number of pedestrians aheadThe number of pedestrians ahead x6x6 The distance to nearest pedestrianThe distance to the nearest pedestrian x7x7 The speed of the nearest pedestrianThe speed of the nearest pedestrian x8x8 The distance to the farthest pedestrianThe distance to the farthest pedestrian x9x9 Tire pressuretire pressure x10x10 Engine RPMEngine RPM x11x11 Current speedCurrent speed x12x12 Average speed over 5 secondsAverage speed over 5 seconds x13x13 Headlight conditionheadlight condition

차량 위기 상황 판단 모듈은 13개의 입력을 사용하며, 입력값은 모두 0~1로 정규화된다. 차량 위기 상황 판단 모듈의 DNN은 단 하나의 출력 노드를 가지며, 출력 노드의 값은 0~1사이다. 차량 위기 상황 판단 모듈은 딥 러닝 연산을 위하여 활성화 함수로 Sigmoid 함수를 사용한다.The vehicle crisis situation determination module uses 13 inputs, and all input values are normalized to 0 to 1. The DNN of the vehicle crisis situation determination module has only one output node, and the value of the output node is between 0 and 1. The vehicle crisis situation determination module uses the Sigmoid function as an activation function for deep learning calculation.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Sigmoid 함수는 항상 0~1 사이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입력값과 출력값 모두 0~1 사이의 값을 갖는다. 수학식 11은 Sigmoid 함수의 계산 방식을 나타낸다. Since the sigmoid function always has a value between 0 and 1, both input and output values have values between 0 and 1. Equation 11 shows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sigmoid function.

차량의 긴급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차량 위기 상황 판단 모듈은 사전에 DNN 모델을 학습시켜야만 한다. 차량 위기 상황 판단 모듈은 DNN을 Back-propagation 방식으로 학습시킨다. DNN의 학습을 위해 사용되는 트레이닝 데이터는 직접 수집된 정상 주행데이터와 교통사고 통계 분석 데이터를 이용한 차량의 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생성된 트레이닝 데이터 중 정상 주행데이터의 출력은 모두 0으로 설정되며, 사고 데이터는 차량의 수리 기록을 통하여 0~1 사이의 출력을 지정한다. 수학식 12는 트레이닝 데이터를 사용할 때 손실함수를 나타낸다.In order to accurately determine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vehicle, the vehicle crisis situation determination module must learn the DNN model in advance. The vehicle crisis situation determination module trains DNN in a back-propagation method. The training data used for learning of the DNN is generated based on vehicle accident data using directly collected normal driving data and traffic accident statistical analysis data. Among the generated training data, all outputs of normal driving data are set to 0, and accident data designates an output between 0 and 1 through the vehicle's repair record. Equation 12 represents a loss function when using training data.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차량 위기 감지 시스템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가상환경의 주행데이터를 사용하여 차량 외부 상황 수집 모듈에 대한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 차량 위기 감지 시스템의 차량 외부 상황 수집 모듈에서 사용된 보행자 탐지의 실시간성과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 상황 수집 모듈(VESCM)과 같은 조건으로 CNN, R-CNN을 구축하여 정확성과 연산 속도를 비교할 수 있다. 테스트 데이터셋에서 보행자의 수가 늘어남에 따른 VESCM, R-CNN, CNN의 연산 시간을 측정할 수 있고, 가장 비슷한 정확도를 가지면서 연산 시간이 가장 빨라 실시간성을 만족할 수 있는 모델을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vehicle crisis detection system, an experiment may be performed on the external situation collection module using driving data in a virtual environment. In order to prove the real-time and accuracy of pedestrian detection used in the vehicle external situation collection module of the vehicle crisis detection system, CNN and R-CNN were buil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vehicle external situation collection module (VESCM) to compare accuracy and computational speed. there i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computation time of VESCM, R-CNN, and CN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destrians in the test dataset, and extract and use a model that has the most similar accuracy and the fastest computation time to satisfy real-time. .

할당부(340)는, 수거기사 단말(400)로 차량이동경로 및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를 전달할 수 있다. 수거기사 단말(400)은, 어디에서 수거가방을 수거해야 하는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등록을 신청하면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받고, 수거가방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배출 이벤트를 출력하며, 재활용품 분리수거 결과에 따라 보상(Reward) 또는 패널티를 부여받을 수 있다. The allocator 340 may transmit the address where the vehicle movement route and the discharge event are output to the collector driver terminal 400 . Th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may be informed of where the collection bag should be collected. When the user terminal 100 applies for user registration, it receives an identification code to identify the user, photographs the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collection bag, outputs a discharge event, and provides a reward or penal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parate collection of recyclables. can be granted.

자동패널티부과부(350)는, 수거가방이 수거되어 수거가방 내 재활용품을 선별할 때, 선별장 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하여 수거가방의 식별코드 및 수거가방 내에 포함된 재활용품의 세척상태를 수집하고,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재활용품에 이물질이 포함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패널티를 부과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후술할 수동패널티부과부(360)를 통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할 [이미지-라벨], 즉 데이터셋이 마련된 이후에 가능할 수 있다.When the collection bag is collected and the recyclables in the collection bag are sorted, the automatic penalty imposition unit 350 collects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llection bag and the washing state of the recyclables included in the collection bag through at least one camera in the sorting fiel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oreign substance is included in the recycled product using at least one pre-stored foreign substance detection algorithm, a penalty may be imposed on the user terminal 100 . However, this may be possible after the [Image-Label], that is, the dataset, to lear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hrough the manual penalty imposition unit 360 to be described later is prepared.

수동패널티부과부(360)는, 수거가방이 수거되어 수거가방 내 재활용품을 선별할 때, 적어도 하나의 선별 단말(600)로부터 수거가방 내 재활용품이 세척되지 않아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의 동영상 또는 사진을 업로드받고, 적어도 하나의 선별 단말(600)로부터 수거가방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촬영받는 경우 식별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사용자 단말(100)로 패널티를 부과할 수 있다. 자율주행차량(500)과 수거기사가 선별장에 도착하고 나면, 수거기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거가방을 하차하는 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이때, 수거가방이 하차하는 작업장에는 스캐너가 마련되어 있고 스캐너 바로 다음에는 재활용품을 분류작업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벨트가 마련되어 있다. 스캐너를 이용하여 수거기사 또는 선별자들이 수거가방을 스캔하고 난 후에는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부에 터치 스크린이 마련되어 있다. 재활용품은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동하는데 분류작업자는 재활용품에 이물질이 뭍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게 되며, 분류작업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이물질"이라는 버튼을 누르게 되는 경우, 스캐너에서 스캔된 재활용품의 주인, 즉 사용자 단말(100)의 수거가방의 식별코드를 식별했으므로, 어느 사용자가 이물질이 뭍은 재활용품을 배출했는지를 알 수 있다.When the collection bag is collected and the recyclables in the collection bag are sorted, the manual penalty imposition unit 360 displays a video or a picture in case the recyclables in the collection bag are not cleaned and contain foreign substances from at least one sorting terminal 600. In the case of uploading and receiving a photograph of the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collection bag from at least one sorting terminal 600, a penalty may be imposed on the user terminal 100 pre-mapped and stor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fter the self-driving vehicle 500 and the collection driver arrive at the sorting site, the collection driver performs the task of unloading the collection bag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a scanner is provided at the workplace where the collection bag is unloaded, and a conveyor belt for moving the recyclables to the sorting workplace is provided right after the scanner. After the collection driver or sorters scan the collection bag using the scanner, a touch screen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supporting the conveyor belt. Recyclables are moved by a conveyor belt, and a sorting worker checks whether or not there is foreign matter on the recyclables. Since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llection bag of the user terminal 100 is identified,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user has discharged the recyclables contaminated with foreign substances.

이때, "이물질"이라는 버튼이 선택되면, 카메라는 즉시 컨베이어벨트 상의 재활용품을 촬영하게 되는데, 이때는 선별자가 카메라 앞으로 재활용품을 가져다놓고 "촬영" 버튼을 눌러 촬영할 수도 있고, "이물질"이라는 버튼이 눌리는 순간 "이물질"이라는 버튼이 선택된 터치 스크린이 위치한 컨베이어벨트를 위에서 아래로 촬영하는 카메라가 자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카메라는 평면도를 만드는 것과 같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각도로 촬영을 하게 되고, 선별자가 들고 있는 재활용품을 이물질이 뭍은 재활용품으로 식별하게 된다. 선별자가 손에 재활용품을 들고 "이물질" 버튼을 클릭하면 카메라가 이를 촬영하여 [식별코드-이물질이 뭍은 재활용품 사진]이 매핑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러한 단순 작업만으로도 이미지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위한 라벨링이 가능하게 된다. 라벨링 작업은, 라벨러들이 각 이미지나 데이터에 정해진 라벨을 부착하는 작업을 일컫는데,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수 천 내지 수 만 장의 사진이 필요하다. 이를 일일이 라벨러를 고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패널티를 부과하면서도 패널티가 부과된 사진을 그대로 인공지능 알고리즘 학습을 위한 데이터셋으로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when the button called "Foreign Matter" is selected, the camera immediately takes pictures of the recyclables on the conveyor belt. A camera that takes pictures from top to bottom of the conveyor belt where the touch screen where the button labeled "Foreign Matter" is selected may be automatically driven. The camera takes pictures from an angle looking down from above, just like creating a floor plan, and the sorter identifies the recyclables being held as recyclables with foreign substances on them. When a sorter holds recyclables in his hand and clicks the "Foreign Substance" button, the camera takes a picture of it and [identification code - photo of recyclables with foreign substances] is mapped and saved. Even with this simple task, the image can be label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Labeling refers to a task in which labelers attach a predetermined label to each image or data, and at least thousands to tens of thousands of photos are required to trai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It is possible to use the penalized photos as a dataset for AI algorithm learning while imposing a penalty on the user without hiring a labeler individually.

이때, 사용자의 식별코드와 재활용품을 매핑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A 사용자의 식별코드 B가 오후 7시에 스캐너에서 스캔되었고, 컨베이어벨트의 이동속도는 Y[m/sec]이고, 식별코드 B가 스캐너에서 스캔된 이후 그 다음 식별코드 C가 스캐너에서 스캔될 때까지의 시간은 1 분(60초)이었다고 가정하면, YX60초 = 60Y m(미터)만큼은 A 사용자의 재활용품이다. 이때, 컨베이어벨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식별자가 표시되어 있고, 각 컨베이어벨트에 각 사용자를 구분하도록 구분바(Bar)를 놓는 경우, 구분바를 기준으로 몇 미터가 사용자 A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스캐너가 컨베이어벨트가 시작되는 지점에 있더라도 어디에서부터 어디까지가 사용자 A의 것인지를 확인가능하게 된다. 이때의 각 구성요소의 배치는, [스캐너-컨베이어벨트]이고, 컨베이어벨트의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기 설정된 간격으로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mapping the user's identification code and the recyclables is, for example, user A's identification code B was scanned by the scanner at 7:00 pm,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or belt is Y [m/sec], and the identification code Assuming that the time from when B is scanned by the scanner until the next identification code C is scanned by the scanner is 1 minute (60 seconds), YX60 seconds = 60Y m (meters) is user A's recyclables. At this time, if a location identifier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conveyor belt is displayed, and a separator bar is placed on each conveyor belt to distinguish each us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how many meters belong to user A based on the separator bar, Even if the scanner is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conveyor belt, it is possible to check from where to where the user A belongs.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each component is a [scanner-conveyor belt], and a touch screen i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start point to the end point of the conveyor belt.

또는, 수거기사가 하차작업을 하는 즉시, 컨베이어벨트로 재활용품이 이동되기 이전에, 스캐너에서 수거가방의 식별코드를 스캔한 후, 재활용품에 이물질이 발견된 경우, 터치 스크린으로 "이물질" 버튼을 누르고, 그 뒤에 컨베이어벨트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이때의 각 구성요소의 배치는, [스캐너-터치 스크린-컨베이어벨트]이고, 터치 스크린은 스캐너 바로 옆에 구비되게 된다.Alternatively, as soon as the collection driver gets off the vehicle, before the recyclables are moved to the conveyor belt, after scann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llection bag with the scanner, if foreign substances are found in the recyclables, press the "Foreign Substance" button on the touch screen , and then moving it on a conveyor belt may be used. In this case, errors or errors that may occur in the above method can be reduced.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each component is [scanner-touch screen-conveyor belt], and the touch screen is provided right next to the scanner.

리워드부(370)는, 수거가방이 수거되어 수거가방 내 재활용품을 선별할 때, 적어도 하나의 선별 단말(600)로부터 수거가방의 식별코드를 스캔받은 후 재활용품의 세척완료 버튼이 선택된 경우, 세척완료 버튼이 선택된 식별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사용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리워드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누적받은 보상이 기 설정된 금액 이상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계좌로 자동이체시키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포인트로 사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사용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자체와 연계하는 경우 종량제 쓰레기 봉투를 한 세트 더 구매할 수 있다든지, 친환경 빨래비누를 구매할 수 있다든지 등일 수 있다.When the collection bag is collected and the recyclables in the collection bag are sorted, the reward unit 370 scans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llection bag from at least one sorting terminal 600 and selects the washing completion button of the recyclable product, washing is completed. A preset rewar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where the button is pre-mapped and stored with the selected identification code. The reward unit 370 automatically transfers the reward accumula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reward receiv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amount, or determines at least one point usage destination so that the user terminal 100 can use it as a point. can provide For example, in case of cooperation with a local government, it may be possible to purchase one more set of volume-rate garbage bags or to purchase eco-friendly laundry soap.

안내부(380)는, 수거가방 내 재활용품이 재활용되는 과정에 대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재활용업체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라 1.5리터짜리 페트병이 수거된 후 페트병이 재세척, 소독, 이물질 분리, 가공 및 옷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unit 380 may collect an image of a recycling process of recyclables in a collection bag from at least one recycling company terminal and transmit the collected image to the user terminal 100 . For example, after a 1.5 liter PET bottle of Coke is collected, the process of re-cleaning, disinfection, separation of foreign substances, processing, and rebirth of the PET bottle into clothes can be provided as a video.

위치공유부(390)는,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500)의 현재위치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공유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지까지 경유해야 할 경유지의 숫자 및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지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사용자 이외에도 해당 경로를 주소지로 두고 있는 다른 사용자에게도 알려줄 수 있는데, 집 내부가 더럽지 않게 자신의 재활용품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고, 자율주행차량(500)은 한 번의 이동으로 더 많은 재활용품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량(500)이 사당 1동에서 사당 5동까지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이동경로에 있는 주민들에게 문자로 현재 자율주행차량(500)의 위치는 어디이고, 언제 주소지에 도착예정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스피커로 소음을 유발하는 대신 문자로 알려줌으로써 조용하면서도 정확하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The location sharing unit 390 receives the current location of at least one self-driving vehicle 500 and shares it with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number of waypoints to be passed through to the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ser terminal ( The time required to travel to the address of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user who outputs the discharge event, other users who have the corresponding route as their address can be notified, helping them to quickly process their recyclables so that the inside of the house is not dirty, and the self-driving vehicle 500 One move will allow you to collect more recyclable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elf-driving vehicle 500 moves from Sadang-dong 1 to Sadang-dong 5,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elf-driving vehicle 500 is texted to residents on the moving route, and when it is expected to arrive at the address. can tell you about it. Instead of making noise through the speaker, you can send a message quietly and accurately by texting.

이하, 상술한 도 2의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example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등록을 받을 때, 주소지, 전화번호, 이메일 등을 수집하고 식별코드를 생성한 후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수거가방 외부에 식별코드를 인쇄하여 사용자의 주소지로 배송을 위해 운송장을 출력한다. 그리고, (b)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가 수거가방 내에 캔, 유리병, 종이, 플라스틱 등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을 모두 섞어서 내놓으면서 사용자 단말(100)에서 식별코드를 스캔하면 배출 이벤트의 전송으로 보고 수거목록에 해당 주소지를 추가한다. 이때, 각 재활용품을 모두 한 가방에 넣는 이유는, 사용자가 분리배출을 한다고 할지라도 그 분류가 복잡하고 표기도 제각각이어서 제대로 분류가 되지도 않을 뿐더러, 각 사용자는 조금이라도 재활용품으로 인한 쓰레기가 자신의 집에 있는 것을 싫어하고 깨끗한 집을 원하기 때문에 어차피 한 봉투에 재활용품을 모두 담아 버리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3, (a) When receiving user registr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ollects address, phone number, e-mail, etc., generates an identification code, and then maps the user information. and save it Then, an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on the outside of the collection bag to output a waybill for delivery to the user's address. And, (b)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generates a discharge event when the user mixes all recyclable items such as cans, glass bottles, paper, and plastics in the collection bag and scans the identification code at the user terminal 100. Add the corresponding address to the report collection list with the transmission of At this time, the reason why all the recyclables are put in one bag is that even if the user separates and disposes, the classification is complicated and the markings are different, so it is not properly classified, and each user does not know that even a little bit of garbage caused by recyclables is his/her own. Since I hate being at home and want a clean house, I've considered putting all my recyclables in one bag anyway.

대신,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 한가지는 세척 및 분리이다. 참기름병을 세척하지 않았다면 수거가방에 넣을 수 없다. 종이를 버리려는데 스테이플러가 찍혀진 그대로라면 이는 수거가방에 넣을 수 없다. 만약 넣었다면 이는 패널티 부과대상이다. 비닐을 재활용품으로 버렸는데 김치국물이 그대로 뭍어있다거나 음식이 그대로 뭍어있다면 이는 패널티 부과대상이다. 또 스팸깡통을 버렸는데 스팸 잔여기름 및 스팸조각이 그대로 캔에 뭍어있다면 이 또한 패널티 부과대상이다. 복잡한 분리수거 분류를 사용자에게 맡기지 않는 대신 철저한 세척을 요청하는 것이다. 치킨을 먹고 치킨담은 종이를 버리려고 했는데 양념이 뭍어있다면 이 또한 패널티 부과대상이다. 이렇게 사용자는 수거가방에 모든 재활용품을 한 번에 한 가방 안에 넣을 수 있지만 모두 제각각 분리 및 세척되어야 한다. Instead, the only thing asked of the user is cleaning and separation. If the sesame oil bottle has not been cleaned, it cannot be placed in the collection bag. If you want to dispose of the paper, but it is still stapled, you cannot put it in the collection bag. If it is included, it is subject to penalty. If the plastic is discarded as a recycling item and the kimchi soup or food is still there, this is subject to a penalty. Also, if you throw away a can of spam and the residual oil and pieces of spam remain in the can, this is also subject to penalty. Rather than entrusting the user with complicated sorting of separate collection, it requests thorough cleaning. If you eat chicken and try to throw away the paper containing the chicken, but the seasoning is on it, this is also subject to a penalty. In this way, the user can put all the recyclables in the collection bag into one bag at a time, but they must all be separated and washed individually.

사용자 단말(100)은 이렇게 분리 및 세척된 재활용품을 하나의 수거가방에 담은 후, 수거가방이 다 차면 수거가방 외부에 인쇄된 QR 코드를 스캔한다. 이에 따라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QR 코드 스캔 = 배출 이벤트 전송]에 따라 경유지를 추가하고 수거기사 단말(400) 및 자율주행차량(500)으로 차량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2 시간 마다 차량이 사당 1동의 A 경로를 돈다고 가정하면, 2 시간 이전에 경로는 이미 확정되게 된다. 예를 들어 오전 10시부터 오전 12시까지 수신된 배출 이벤트를 이용하여 12시에 경로를 확정하고 12시부터 1시까지 차량이 경유지를 경유하면서 돌게 된다. 이때, 12시30분에 다른 사용자가 배출 이벤트를 출력해도, 12시부터 1시의 A 경로에 있더라도 자율주행차량(500)은 자신의 경유지 목록에 없으므로 정차하지 않고 그대로 지나가게 된다. 이를 위해, 이미 지나왔던 경로 이외에 앞으로 지나갈 경로 내에 배출 이벤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00)의 주소지를 실시간으로 추가하여 정차할 수 있도록 더 제공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100 puts the separated and washed recyclables in one collection bag, and scans the QR code printed on the outside of the collection bag when the collection bag is full. Accordingly,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dds a waypoint according to [QR code scan = discharge event transmission] and provides a vehicle movement route to the collection driver terminal 400 and the autonomous vehicle 500. For example, assuming that a vehicle travels on a route A of one building per shrine every 2 hours, the route is already determined 2 hours before. For example, a route is determined at 12:00 by using an emission event received from 10:00 am to 12:00 am, and a vehicle turns while passing through a waypoint from 12:00 am to 1:00 am. At this time, even if another user outputs an ejection event at 12:30, even if the autonomous vehicle 500 is on route A from 12:00 to 1:00, the self-driving vehicle 500 does not stop and passes as it is because it is not on its stopover list. To this end, the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100 that has transmitted the emission event may be added in real time to a route to be pass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the route already passed, and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vehicle can stop.

(c) 수거가방을 모두 수거한 수거차량인 자율주행차량(500)은 선별장으로 이동하고, 선별장에 도착하고 나서는 [스캐너-컨베이어벨트-카메라]를 거쳐 재활용품이 선별자에 의해 선별되게 된다. 이물질이 뭍은 경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선별자는 이물질 버튼을 누르게 되며, 카메라는 이 즉시 선별자 손에 잡힌 재활용품을 촬영한다. 이때, 스캐너에 의해 스캔된 식별코드에 의해 사용자가 식별되고, 사용자 단말(100)로 실시간으로 이물질이 뭍은 재활용품의 사진이 전송되며 패널티가 부여된다. 이물질이라는 버튼이 눌리지 않은 경우 재활용품의 세척에 대한 보상이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된다. 이때, 세척완료가 입력되어야 보상이 진행되는 것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이물질이라는 버튼이 눌리지 않은 것을 세척완료로 보고 보상을 진행할 수도 있는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c) The self-driving vehicle 500, which is a collection vehicle that has collected all the collection bags, moves to the sorting site, and after arriving at the sorting site, recyclables are sorted by a sorter through [scanner-conveyor belt-camera]. In the case of foreign matter, the sorter presses the foreign matter button through the touch screen, and the camera immediately takes pictures of the recyclables in the sorter's hand. At this time, the user is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code scanned by the scanner, and a picture of the recyclables with foreign substances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in real time, and a penalty is imposed. When the foreign matter button is not pressed, a reward for cleaning the recyclables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 At this time, it may be implemented that compensation proceeds only when the completion of washing is input, or compensation may be performed considering that the button labeled foreign matter is not pressed as washing comple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d) 한 번의 수거로 100 포인트를 제공한다고 가정하고, 패널티는 1 개의 이물질 발생 당 10 포인트를 차감한다고 가정할 때, 3 번의 이물질 버튼이 선택된 경우 100 포인트 - 30 포인트 = 70 포인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 Assuming that 100 points are provided for one collection, and assuming that 10 points are deducted for each occurrence of a foreign object as a penalty, 100 points - 30 points = 70 points are provided to the user when the foreign object button is selected 3 times. can do.

도 4a와 같이 생활폐기물은 55%가 소각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각 개인이 재활용품을 보다 쉽게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분리 및 재활용에서 발생하는 잘못된 분리수거를 방지하도록 한다. 자원순환 프로세스는 도 4c와 같은데 재활용률이 낮은 이유, 즉 도 4d와 같이 오염물질이 뭍은 경우, 혼합된 경우, 재활용품이 너무 작은 경우 등의 문제를 도 4e와 같이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도 4f와 같이 자신의 몫, 즉 세척과 분리만 하면 한 가방에 모두 재활용품에 넣어도 되므로 각각을 분리하여 비닐봉투에 넣지 않아도 되고, 도 4g와 같이 미선별혼합플라스틱을 최소화하여 최대한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한다. 도 4h와 같이 재활용률을 낮추는 원인인 오염 및 재질의 혼합이 없도록 사용자에게 세척 및 분리만을 맡기고 각 재질의 선별은 선별장에서 진행하도록 하며 주택가를 돌아다니는만큼 소음이 없는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분리수거와 기존의 분리수거를 비교하면 도 4i와 같다.As shown in FIG. 4a, 55% of domestic waste is incinerated.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lps each individual to more easily separate and discharge recyclables, and to prevent incorrect separate collection that occurs in separation and recycling. do. The resource circulation process is the same as in FIG. 4c, but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such as the reason for the low recycling rate, that is, when contaminants are contaminated, mixed, and recyclables are too small as shown in FIG. 4d, as shown in FIG. 4e. As shown in FIG. 4f, the user can put all of the recyclables in one bag as long as they are washed and separated, so they do not have to separate and put them in a plastic bag, and as shown in FIG. 4g, as shown in FIG. make it possible to pay As shown in FIG. 4h, only cleaning and separation are left to the user so that there is no contamination and mixing of materials, which is the cause of lowering the recycling rate, and the sorting of each material is performed at the sorting site, and the electric vehicle is as quiet as walking around the residential area. A comparison between the separate col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isting separate collection is shown in FIG. 4i.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FIGS. 2 to 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in FIG. 1 or described above.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contents,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system for providing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등록을 수신하고, 사용자 등록 내 포함된 주소지, 이름 및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로 부여하고(S5100),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식별코드가 인쇄된 수거가방이 사용자 단말의 주소지로 배송되도록 운송장을 출력하며(S5200), 사용자 단말에서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배출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배출 이벤트가 출력된 주소지 및 시간을 수집하여 차량이동경로를 생성한다(S5300).Referring to FIG. 5,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user registration of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n identification code using the address, name, and phone number included in the user registration and assigns it to the user terminal (S5100), A waybill is output so that the collection bag prin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is delivered to the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S5200), and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photographed by the user terminal and a discharge event is output, the address and time at which the discharge event was output is collected to create a vehicle movement path (S5300).

또,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거기사 단말로 차량이동경로 및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를 전달한다(S5400).In addition,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vehicle movement route and the output address of the discharge event to the collection driver's terminal (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FIG. 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FIGS. 1 to 4 above, or described.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contents,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of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It can be.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this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It can also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a user directly installs in the mast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is implemented as a computer can be recorded on a readable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0)

사용자 등록을 신청하면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식별코드를 부여받고, 수거가방에 인쇄된 상기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배출 이벤트를 출력하며, 재활용품 분리수거 결과에 따라 보상(Reward) 또는 패널티를 부여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배출 이벤트에 따라 차량이동경로를 수신하고, 상기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를 상기 차량이동경로 상에 출력하는 수거기사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등록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등록 내 포함된 주소지, 이름 및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부여하는 사용자등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부여된 식별코드가 인쇄된 수거가방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지로 배송되도록 운송장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식별코드를 촬영하여 배출 이벤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배출 이벤트가 출력된 주소지 및 시간을 수집하여 차량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 상기 수거기사 단말로 상기 차량이동경로 및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를 전달하는 할당부를 포함하는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user terminal receiving an identification code to identify the user when applying for user registration, photographing the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collection bag, outputting a discharge event, and receiving a reward or penal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parate collection of recyclables;
a collector driver terminal which receives a vehicle movement route according to the discharge event and outputs an address where the discharge event is output on the vehicle movement route; and
A user registration unit that receives user registration of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n identification code using the address, name, and phone number included in the user registration and assigns it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is printed. An output unit that outputs a waybill so that the collection bag is delivered to the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photographed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charge event is output, the address and time at which the discharge event is output are collected to determine the vehicle movement route.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route generator that creates a route, and an allocator that forwards the vehicle movement route and the output address of the discharge event to the collection driver terminal;
A system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ontain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차량이동경로에 따라 이동되도록 자율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 autonomous vehicle that autonomously drives to move along the vehicle movement path;
Recyclables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차량은 전기에너지로 주행하는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self-driving vehicle is a system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runs on electric energ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생성부는,
상기 자율주행차량의 차량이동경로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출 이벤트를 출력한 주소지를 경유지로 설정하여 생성하여 상기 자율주행차량 및 수거기사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path generator,
Separate collection of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movement path of the autonomous vehicle is generated by setting the address where the emission event was output as a stopove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vehicle and the collection driver terminal. service delivery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수거가방이 수거되어 상기 수거가방 내 재활용품을 선별할 때, 선별장 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수거가방의 식별코드 및 상기 수거가방 내에 포함된 재활용품의 세척상태를 수집하고,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재활용품에 이물질이 포함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패널티를 부과하는 자동패널티부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collection bag is collected and the recyclables in the collection bag are sorted,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llection bag and the cleaning state of the recyclables included in the collection bag are collected through at least one camera in the sorting cabinet, and at least one pre-stored item is collected. an automatic penalty imposition unit for imposing a penalty on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yclable product contains a foreign substance using a foreign substance detection algorithm;
A system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수거가방이 수거되어 상기 수거가방 내 재활용품을 선별할 때, 적어도 하나의 선별 단말로부터 상기 수거가방 내 재활용품이 세척되지 않아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의 동영상 또는 사진을 업로드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별 단말로부터 수거가방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촬영받는 경우 상기 식별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사용자 단말로 패널티를 부과하는 수동패널티부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collection bag is collected and the recyclables in the collection bag are sorted, at least one sorting terminal uploads a video or photo of a case where the recyclables in the collection bag are not washed and contain foreign substances, and the at least one sorting terminal a manual penalty imposition unit for imposing a penalty on a user terminal pre-mapped and stor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when a photograph of the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collection bag is received from;
A system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수거가방이 수거되어 상기 수거가방 내 재활용품을 선별할 때, 적어도 하나의 선별 단말로부터 상기 수거가방의 식별코드를 스캔받은 후 재활용품의 세척완료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세척완료 버튼이 선택된 식별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사용자 단말로 기 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는 리워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the collection bag is collected and the recyclables in the collection bag are sorted, at least one sorting terminal scans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llection bag and then, when the washing completion button of the recyclable goods is selected, the washing completion button corresponds to the selected identification code and a reward unit for providing a preset reward to a pre-mapped and stored user terminal;
A system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워드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누적받은 보상이 기 설정된 금액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좌로 자동이체시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포인트로 사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사용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reward unit,
When the accumulated compensation from the user terminal is more than a preset amount, it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or at least one point usage point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terminal can use it as a point. service delivery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수거가방 내 재활용품이 재활용되는 과정에 대한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재활용업체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n information unit for collecting images of a process in which the recyclables in the collection bag are recycled from at least one recycling company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images to the user terminal;
A system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자율주행차량의 현재위치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공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지까지 경유해야 할 경유지의 숫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소지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위치공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e collec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A location that receives and shares the current location of at least one self-driving vehicle with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number of waypoints to be passed to the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time required to travel to the address of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sharing unit;
A system for providing a separate collection service for recyclables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10116491A 2021-09-01 2021-09-01 System for providing recycling collecting service using identification code KR1025804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491A KR102580486B1 (en) 2021-09-01 2021-09-01 System for providing recycling collecting service using identification 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491A KR102580486B1 (en) 2021-09-01 2021-09-01 System for providing recycling collecting service using identification c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784A true KR20230033784A (en) 2023-03-09
KR102580486B1 KR102580486B1 (en) 2023-09-20

Family

ID=8551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491A KR102580486B1 (en) 2021-09-01 2021-09-01 System for providing recycling collecting service using identification c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48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665A (en) * 2019-01-11 2020-07-21 이승원 Waste discharge management system
KR102262965B1 (en) * 2019-12-16 2021-06-09 엠엔테크(주) Collection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and collection system for recyclable wast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665A (en) * 2019-01-11 2020-07-21 이승원 Waste discharge management system
KR102262965B1 (en) * 2019-12-16 2021-06-09 엠엔테크(주) Collection apparatus for recyclable waste and collection system for recyclable wast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486B1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h et al. Advances in smart roads for future smart cities
Liyanage et al. Flexible mobility on-demand: An environmental scan
Cledou et al. A taxonomy for planning and designing smart mobility services
CN106115104B (en) Categorized consumer waste collecting and transferring system,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based on Internet of Things
González et al. A combined destination and route choice model for a bicycle sharing system
Zedadra et al. Swarm intelligence and IoT-based smart cities: a review
Hasan et al. Smart waste management and classification system for smart cities using deep learning
Abdallah et al. Simulation and optimization of dynamic waste collection routes
Dogra et al. Moving towards smart transportation with machine learning and Internet of Things (IoT): a review
Dabiri et al. Transport-domain applications of widely used data sources in the smart transportation: A survey
Alanazi Development of smart mobility infrastructure in Saudi Arabia: a benchmarking approach
Dey et al. Future of transportation cyber-physical systems–Smart cities/regions
Acer et al. Scaling crowdsourcing with mobile workforce: A case study with belgian postal service
Nithya et al. A smart parking system: An IoT based computer vision approach for free parking spot detection using faster R-CNN with YOLOv3 method
Likotiko et al. Real time solid waste monitoring using cloud and sensors technologies
US202401581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waste disposal and energy efficiency using sensor and alternative power technologies
Anjum et al. Smart waste management paradigm in perspective of IoT and forecasting models
CN110708389A (en) Intelligent environmental sanitation cloud platform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230033784A (en) System for providing recycling collecting service using identification code
Makarova et al. Rational organization of urban parking using microsimulation
Seng et al. Ridesharing and crowdsourcing for smart cities: technologies, paradigms and use cases
KR102337219B1 (en) System fo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and quarantine management for facility
Asimakopoulos et al.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Issues, Towards a Dynamic Waste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US20220097958A1 (en) Waste management based on context conditions
WO2021187545A1 (en) Resource recovery system, server apparatus, resource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