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219B1 - System fo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and quarantine management for facility - Google Patents

System fo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and quarantine management for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219B1
KR102337219B1 KR1020210102709A KR20210102709A KR102337219B1 KR 102337219 B1 KR102337219 B1 KR 102337219B1 KR 1020210102709 A KR1020210102709 A KR 1020210102709A KR 20210102709 A KR20210102709 A KR 20210102709A KR 102337219 B1 KR102337219 B1 KR 102337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rantine
affiliated store
diagnosis
facilit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덕
Original Assignee
(주)네오딘바이오벳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딘바이오벳 filed Critical (주)네오딘바이오벳
Priority to KR102021010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2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49/00Particle spectrometers or separator tubes
    • H01J49/02Details
    • H01J49/04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r extracting samples to be analysed, e.g. vacuum locks; Arrangements for external adjustment of electron- or ion-optical components
    • H01J49/0409Sample holders or containers
    • H01J49/0418Sample holders or containers for laser desorption, e.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sation [MALDI] plates or sur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sation [SELDI] p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Virolog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ystem fo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and quarantine management in a facility. The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which uploads affiliated store data including animal data of at least one type of animal resident or managed to apply for a diagnostic management service; and a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s: a registration unit for receiving an application event for applying for the diagnostic management service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mapping and storing the animal data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at least one kind of animal; a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result of testing a pathogen from a sample in an affiliated facility; and a reporting unit which reports to at least one related institution server, if a pre-specified legal infectious disease is output as positiv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workplace even for employees working at the affiliated stores by conducting screening and quarantine before the spread of an infectious disease.

Description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SYSTEM FO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AND QUARANTINE MANAGEMENT FOR FACILITY}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facilities

본 발명은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비유기체인 시설로부터 검체를 채취하여 병원체를 검사하고 감염을 진단하며 방역을 관리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a facility, and provides a platform for collecting samples from non-organic facilities to test pathogens, diagnose infection, and manage quarantine.

인수공통감염병(Zoonoses)이란 동물과 사람간에 서로 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하여 발생되는 감염병을 말하며,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국가가 관리해야 할 인수공통감염병을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자연계에서 동물이 병원소(Reservoir) 역할을 하며, 최근 사람에서 발생하고 있는 신종전염병의 약 75%가 동물에서 유래된 것이다. 인수공통감염병은 병원체에 따라, 세균성, 바이러스성, 진균성 및 기생충성 인수공통전염병으로 분류하는데, 한국 가축전염병 예방법에서는 가축전염병을 65종의 법정전염병으로 정하고 있다. 전염병은 사회적인 요인과 생물학적인 요인이 서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인간의 사회 행위와 밀접하게 연관된 생태적 변화가 새로운 전염병 및 질병을 불러온다는 측면에서 새로운 전염병은 생태병(Ecodemic)이라고도 한다. 코로나(COVID19)의 유행과 마찬가지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사회적으로 의식주를 해결하는 생산방식에서 나오며 인간은 생존수단을 생산함으로써 자연과 인간 자신의 역사적 관계를 만들어 간다.Zoonoses are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pathogens that are transmitted between animals and humans. . In nature, animals act as a reservoir, and about 75% of new infectious diseases that have recently occurred in humans are derived from animals. According to the pathogen, zoonotic diseases are classified into bacterial, viral, fungal, and parasitic zoonotic diseases. Infectious diseases are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social and biological factors. In the sense that ecological changes closely related to human social behavior lead to new infectious diseases and diseases, new infectious diseases are also called ecological diseases. Similar to the epidemic of Corona (COVID19),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comes from a production method that socially solves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humans create a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mselves by producing means of survival.

이때, 감염병을 예측, 진단 및 예방을 수행하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232807호(2021년03월25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2166627호(2020년10월19일 공고)에는 감염병에 대한 국가별 및 국내지역별 확진자를 예측하고, 자가진단기능으로 각 사용자가 자신의 증상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며, 공공장소 방역 및 위생관리 여부를 알려주는 구성과, 감염병 확진자의 동선을 LBS 기반으로 이동통신사 기지국과 연계하여 추적하고 감염병 의심자를 선정한 후 확진자와 접촉한 의심자를 개별적으로 맞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며,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확진자와 의심자의 접촉시간 및 위치를 분석하며 질병관리본부 서버로 제공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platform for predicting, diagnosing, and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was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e issue (notice on October 19, 2020), it predicts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by country and domestic region for infectious diseases, allows each user to diagnose their own symptoms with the self-diagnosis function, and informs whether public places are quarantined and sanitation is maintained. Tracks the configuration and movement of confirmed infectious disease patients based on LBS and links them with mobile carrier base stations, selects suspected infectious diseases, and provides personalized notification services to those who have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firmed person. Each configuration that analyzes the contact time and location and provides it to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rver is disclosed.

다만, 전자의 경우 의심자를 검사, 진단 및 방역을 수행하는 구성이 아니라 의심증상을 개인이 체크하는 정도로 증상을 확인하는 구성에 불과하며, 후자의 경우에도 확진자의 동선을 알려주는 것에 불과할 뿐이고 동선도 정확한 동선이 아니라 기지국에 셀이 물려있는 것만을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그마저도 정확하지 않다. 또 두 가지 구성 모두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전수조사라기 보다는 동물에서 인간으로 옮겨진 후 인간의 진단, 검사 및 방역을 위한 구성일 뿐, 동물에서 인간에게 옮겨지기 전 또는 그 과정을 조사하는 구성이 아니다. 이에, 인간과 동물이 공존하는 공간에서 인수공통감염병을 검사, 진단 및 방역을 실시하고 동물에서 인간으로의 감염경로를 차단 및 예방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in the former case, it is not a configuration for inspecting, diagnosing, and preventing a suspected person, but only a configuration to confirm the symptoms to the extent that an individual checks the suspected symptoms. Even that is inaccurate because it only tells the base station that the cell is connected, not the exact movement line. In addition, both of these components are for diagnosis, examination and quarantine of humans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animals to humans rather than a complete investigation of zoonotic diseases, and not investigations of the process before or after transmission from animals to humans.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can test, diagnose, and prevent zoonotic diseases in a space where humans and animals coexist, and block and prevent the route of infection from animals to humans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간과 동물이 공존하는 공간에서 비유기체의 검체를 수거하고 이동차량 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검사장비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및 기생충을 포함한 병원체에 대하여 인수공통감염병 검사를 진행하며, 법정전염병으로 진단된 경우 각 정부 또는 지자체를 포함하는 관계 기관으로 보고하고, 청소 및 방역업체에 전달하여 청소 및 방역 후 온오프라인으로 표시해줌으로써 가맹점에 방문하는 고객에게 안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맹점에서 근무하는 직원에게도 감염병이 전파되기 이전에 검진 및 방역을 진행함으로써 안전한 일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 sample of an inorganic organism in a space where humans and animals coexist and acquires pathogens including viruses, bacteria, fungi and parasites using at least one type of testing equipment provided in a moving vehicle A common infectious disease test is carried out, and if a legal infectious disease is diagnosed, it is reported to the relevant authorities including each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delivered to a cleaning and quarantine company, and displayed online and offline after cleaning and quarantin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hous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vide a safe workplace by conducting screening and quarantine before the spread of an infectious disease to employees working at the franchisees. However,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주 또는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동물의 동물 데이터를 포함하는 가맹점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진단관리 서비스를 신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진단관리 서비스를 신청하는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동물의 동물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등록부, 가맹점 시설 내 검체로부터 병원체를 검사한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 검사한 결과에 따라 기 지정된 법정전염병이 양성으로 출력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계기관 서버로 보고하는 보고부를 포함하는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method for applying for a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by uploading affiliate store data including animal data of at least one type of animal resident or managed. A register that receives an application event for applying for diagnostic management service of a merchant terminal and at least one merchant terminal, maps and stores animal data of at least one merchant terminal and at least one type of animal, and inspects pathogens from samples in merchant facilities and a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one result, and a reporting unit for reporting to at least one related agency server when a predetermined legal infectious disease is output as positiv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인간과 동물이 공존하는 공간에서 비유기체의 검체를 수거하고 이동차량 내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검사장비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및 기생충을 포함한 병원체에 대하여 인수공통감염병 검사를 진행하며, 법정전염병으로 진단된 경우 각 정부 또는 지자체를 포함하는 관계 기관으로 보고하고, 청소 및 방역업체에 전달하여 청소 및 방역 후 온오프라인으로 표시해줌으로써 가맹점에 방문하는 고객에게 안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맹점에서 근무하는 직원에게도 감염병이 전파되기 이전에 검진 및 방역을 진행함으로써 안전한 일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viruses, bacteria, fungi and parasites are collected by collecting a sample of an inorganic organism in a space where humans and animals coexist and using at least one type of testing equipment provided in a moving vehicle. Inspection for common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It can provide a safe service to visiting customers, and it can also provide a safe workplace by conducting checkups and quarantines before the infectious disease spreads to employees working at the franchise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a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in a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5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agnosing pathogen infection in a facility and managing prevention and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to the extent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elp,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by unconscionable infringers of the stated disclosur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of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In addition, one unit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implemented by one hardware. Meanwhile,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denot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performed instead of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Similarly,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terminal.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a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1 in the facility includes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 a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at least one mobile testing device 400 , and at least one It may include a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of the. However, since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1 in the facility shown in FIG. 1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과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 at least one mobile test device 400 , and at least on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through the network 200 . . Also, the at least one mobile test apparatus 400 may be connected to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and the at least one mobile test device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elephone networks,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networks, and the like.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Wi-Fi) ,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s, satellite broadcast networks, analog broadcast network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s, and the like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and the plural, and even if the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elem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은,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시설 내 병원체의 검사를 요청하고 방역관리를 요청하는 고객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은, 동물원, 적어도 하나의 동물병원, 펫숍, 이색동물카페, 반려동물카페, 반려동물운동장, 반려동물호텔, 펫시터 시설, 반려동물유치원, 반려동물미용실, 반려동물 출입허용 식당 또는 백화점, 대중교통 등의 시설일 수 있다. 가맹점 단말(100)은, 시설 내 비유기체, 즉 시설 내부의 집기, 기구, 바닥, 벽, 등 등 다양한 장소에서 검출가능한 병원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를 의뢰하고, 그 결과를 수집하며 방역 및 청소를 받은 경우 SAFE ZONE(가칭)이라는 명패를 온오프라인에 부착할 수 있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100)은, CCTV가 온라인으로 연결된 경우 클라우드 서버에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를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 인간 및 동물의 동선을 히트맵으로 리포트받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customer who requests an inspection of a pathogen in a facility and requests quarantine management using a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in the facility have. At this tim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is a zoo, at least one veterinary hospital, pet shop, exotic animal cafe, companion animal cafe, companion animal playground, companion animal hotel, pet sitter facility, companion animal kindergarten, companion animal beauty salon, companion animal access allowed It may be a facility such as a restaurant, department store, or public transportatio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requests an inspection on whether pathogens detectable in various places such as non-organic substances within the facility, such as furniture, appliances, floors, walls, etc., exist, collects the results, and quarantines And it may be a terminal of an affiliated store that can attach a nameplate called SAFE ZONE (tentative name) online and offline when it is cleaned. In this case,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 report on the movement of humans and animals as a heat map by transmitting data accessible to the cloud server to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the CCTV is connected online. .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including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terminal,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PC, etc.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를 등록하고 각 이동식 검사장치(400)에 구비된 검사장비의 종류, 할당된 검사 스케줄, 이동 스케줄 등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청소방역 단말(500)을 등록하고 각 청소방역 단말(500)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의뢰되면, 가맹점의 위치, 주소, 영업시간, 상주 또는 관리하는 동물의 종류 등의 정보를 입력받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설정된 주기별로 각 가맹점으로 이동식 검사장치(400)를 할당하고 병원체를 수거 및 검사를 진행하도록 하고, 기 설정된 법정전염병에 해당하는 병원체가 검출된 경우 관계기관 서버(미도시)로 즉시 보고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가맹점을 방역 및 청소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을 배정하고, 방역 및 청소 일자를 온오프라인에 게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within a facility. And,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gisters at least one mobile test device 400 and manages the type of test equipment provided in each mobile test device 400, an assigned test schedule, and a movement schedule. It can be a server. In addition,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gisters at least one cleaning and quarantine terminal 500 and manages the schedule of each cleaning and quarantine terminal 500 . And, when a service request is requested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a server that receives information such as the affiliated store's location, address, business hours, resident or managed animal type. can In addition,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llocates the mobile testing device 400 to each affiliate store for each preset period, collects and performs pathogens, and detects a pathogen corresponding to a preset legal infectious disease. It may be a server that immediately reports to an institution server (not shown). In addition,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allocates at least on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to quarantine and clean each affiliate store and publishes the quarantine and cleaning dates online and offline.

여기서,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는,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시설 내 비유기체로부터 검체를 검사 및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이동식이라는 것은 검사장치 자체가 HandHeld 또는 Portable이라는 의미라기보다는 검사장치가 차량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이동식 검사장치(400)로 명명한 것이고 실제로는 차량 내 고정된 장치일 수도 있다. 물론, 핸드헬드 기기나 포터블 기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식 검사장치(400)는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검사를 할당받을 수 있고,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의해 검사 스케줄의 부하가 조절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mobile testing device 400 may be a device that tests a sample from an inorganic organism in a facility and outputs the result using a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in the facility. . In this case, the portable test device itself is not meant to be a HandHeld or Portable, but is named as a mobile test device 400 in the sense that the test device can be moved by a vehicle, and may actually be a fixed device in the vehicle. Of course, this does not exclude handheld devices or portable devices. The mobile test apparatus 400 may be assigned an examination from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and may be a device in which the load of the examination schedule may be adjusted by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mobile test device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mobile test apparatus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mobile inspection device 400 is,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은,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방역 및 청소를 의뢰받는 방역업체 및 청소업체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방역청소 단말(500)은,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업무를 할당받고 방역 및 청소를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방역청소 단말(500)은 영업시간 외에 방역 및 청소가 할당된 경우에는,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각 가맹점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액세스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말일 수 있다. 방역청소 단말(500)은 방역 및 청소 과정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각 가맹점에 CCTV가 연결된 경우에는, 방역청소 단말(500)은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방역 및 청소의 동선을 기 저장된 히트맵과 비교하여 제대로 청소가 되었는지를 확인받는 단말일 수 있다. 확인 후 각 가맹점의 컨펌이 있거나 확인이 되는 경우 방역청소 단말(500)은, 도급의 법리에 따라 용역이 완료된 즉시 정산을 수행받거나 기 설정된 기간 이후에 정산을 수행받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is a quarantine company that receives a request for quarantine and cleaning from the diagnostic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using a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in the facility. And it may be a terminal of a cleaning company. In this case,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that is assigned a task from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performs quarantine and cleaning. Here,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access data from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o access each affiliated store when quarantine and cleaning are assigned outside of business hours.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that uploads the quarantine and cleaning process as a photo or video to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When a CCTV is connected to each affiliated store,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that compares the quarantine and cleaning movement in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ith a pre-stored heat map to confirm whether cleaning has been performed properly. After confirmation, if there is confirmation or confirmation of each affiliated store,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that can receive settlement immediately after service is completed or after a preset period according to the law of contracting.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navigation,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nd a laptop.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s implemented in a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수신부(320), 보고부(330), 부가서비스부(340), 명패부(350) 및 표기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registration unit 310 , a receiving unit 320 , a reporting unit 330 , an additional service unit 340 , a nameplate unit 350 , and a display unit 360 .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로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은,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at least one mobile test device 400, and at least one When transmitting a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in a facility to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at least one mobile inspection device 400 and The at least on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may install or open a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a program, an app page, a web page, etc. in the facility. In addition, the service program may be run in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 at least one mobile inspection device 400 , and at least on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the use of a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written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the terminal, for example, includes an app (App)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의 진단관리 서비스를 신청하는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동물의 동물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은, 상주 또는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동물의 동물 데이터를 포함하는 가맹점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진단관리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registration unit 310 receives an application event for applying for a diagnostic management service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 and receives animal data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kind of animal. can be mapped and saved. The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terminal 100 may apply for a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by uploading affiliate store data including animal data of at least one type of animal that resides or manages.

수신부(320)는, 가맹점 시설 내 검체로부터 병원체를 검사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병원체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및 기생충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설 내, 즉 비유기체로부터 검체를 채취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이나 천장, 집기류나 검사기계, 또는 탁자나 유리컵 등 다양한 사물, 구조, 환경, 공간 등으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320 may receive a result of examining the pathogen from a sample in the affiliated store facility. In this case, the pathoge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viruses, bacteria, fungi and parasites. Here, the test may be performed by collecting a sample from within the facility, that is, from an inorganic substance. For example, samples can be collected from various objects, structures, environments, spaces, etc., such as walls or ceilings, furniture or inspection machines, or tables or glass cups.

보고부(330)는 검사한 결과에 따라 기 지정된 법정전염병이 양성으로 출력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계기관 서버(미도시)로 보고할 수 있다. The reporting unit 330 may report to at least one related institution server (not shown) when a predetermined legal infectious disease is output as positiv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부가서비스부(340)는, 가맹점 시설 내부의 비유기체의 병원체를 진단하는 것 외에도 가맹점 시설 외부의 비유기체의 병원체를 진단 및 관리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TX는 대중교통으로 강아지의 탑승을 허용한다. 이때, 강아지들이 KTX로 보호자와 함께 탑승하기 위해서는 이동장에 들어가야 하는데, 최단시간 한 시간 정도를 버티게 하기 위해 보호자들은 주변 풀 밭이나 근처 거리를 걷게 하면서 배변활동을 유도한다. 탑승지점 근처는 강아지들이 배변을 한 흔적이 많은데, 이러한 주변까지 함께 검사 대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The additional service unit 340 may provide an additional service for diagnosing and managing non-organic pathogens outside the affiliated store facilities in addition to diagnosing the pathogens of the inorganic organisms inside the affiliate store facility. For example, KTX allows dogs to ride on public transportation.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puppies to board the KTX with their guardians, they must enter the mobile station, and in order to survive for about an hour in the shortest time, the guardians induce bowel movements while walking in the surrounding grass or nearby streets. There are many traces of dogs defecating near the boarding point.

명패부(350)는, 방역 및 청소를 받은 가맹점 단말(100)의 가맹점을 소개하는 온라인 페이지 및 포털사이트에 방역 및 청소를 받은 날짜와, 방역 및 청소를 하는 업체라는 것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The nameplate unit 350 outputs an icon indicating the date of quarantine and cleaning and an icon indicating that it is a quarantine and cleaning company on an online page and portal site introducing the affiliated store of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that has been quarantined and cleaned. can do.

표기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에 CCTV가 설치된 경우, CCTV에서 관찰된 동물 및 인간의 동선을 서로 다른 히트맵(Heat Map)으로 구성하고, 검체를 채취할 때 서로 다른 히트맵 내 동물의 동선을 표기한 히트맵 상에 기 설정된 색상으로 표기된 부분을 검체 채취장소로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물병원이라면 진료대 위는 계속하여 그 다음 동물이 진료받기 전, 알콜로 소독을 하면서 닦게 되지만, 동물이 바닥을 걸어다니면서 냄새를 맡거나 침을 흘리거나 배변을 하여 기생충이 남거나 세균 또는 바이러스가 묻은 경우, 더욱이 이 동선이 사람의 동선과 겹치지 않는 곳이라면, 제대로 소독을 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사람의 동선과 동물의 동선이 겹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소독 및 방역을 하는 것도 효율적이므로 이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CCTV is installed in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the marking unit 360 configures the movement of animals and humans observed in the CCTV into different heat maps, and when collecting samples, different A portion marked with a preset color on the heat map indicating the movement of animals in the heat map may be marked as a sample collection site. For example, in a veterinary hospital, the top of the treatment table is continuously cleaned while disinfecting with alcohol before the next animal is treated, but the animal walks on the floor and smells, salivates, or defecates, leaving parasites or bacteria or In the case of a virus, if this movement line does not overlap with a person's movement line, disinfection is often not performed properly. Of course, intensive disinfection and disinfection in the area where the movement of humans and the movement of animals overlap is also effective, so this is not excluded.

<이동궤적 누적 히트맵><Movement trajectory cumulative heat map>

이에 따라, 히트맵(HeatMap)을 이용하여 각 인간과 동물의 동선이 어떻게 겹치는지 또는 겹치지 않는지, 가장 많이 머무르는 장소는 어디인지 등을 방역업체로 전송하고 각 가맹점에도 어떠한 장소가 가장 소독이 되지 않는데 동물이 많이 머무르고 있는지, 어느 장소에 가장 배변을 많이 하지만 소독은 되지 않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리포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가맹점은 사업장인데 최근 사업장에는 도난방지나 감시용도 등의 이유로 고정형 카메라, PTZ 카메라, 전 방위 카메라 등을 이용한다.Accordingly, using the HeatMap, how or not overlapping the movement of each human and animal, and where they stay the most, are transmitted to the quarantine company, and which places are not disinfected the most at each affiliate. Reports can be provided so that you can find out if animals are staying a lot, where they defecate the most, but not disinfection. Most of the franchisees are business establishments, but recently, fixed cameras, PTZ cameras, and omnidirectional cameras are used for reasons of anti-theft or surveillance purposes.

이때, 고정형 카메라 및 PTZ카메라 같은 경우에는 제한된 화각으로 감시영역에 한계가 있어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형 및 PTZ 카메라의 문제점인 사각지대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전 방위 카메라를 사용하여 객체의 지속적인 궤적을 누적하고 누적 데이터를 DB로 저장 후 컬러값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 지정 시간 단위의 히트맵 영상 표출과 영상 내 이동량 그래프 표출 방법을 이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객체의 정밀한 추적이 아니기 때문에 초당 여러 장의 프레임을 분석할 필요가 없다. 객체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최소한의 프레임을 필요로 하므로 3메가 화소 이상의 전 방위 카메라 영상 분석에 필요한 연산을 감안하여 초당 1 프레임의 이진 영상을 누적하고 최대 1 시간동안 궤적의 누적치를 구할 수도 있다 물론, 하루 단위나 한 달 단위로 누적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fixed cameras and PTZ cameras, there is a limit to the surveillance area due to a limited angle of view, so a plurality of cameras must be installed and used. In order to do this, we will use an omnidirectional camera to accumulate a continuous trajectory of an object, store the accumulated data in a DB, and assign a color value to display a heat map image for a user-specified time unit and a graph of movement amount within the image. Since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ecisely track an object, it is not necessary to analyze several frames per second. Since it requires a minimum frame to understand the movement path of an object, it is also possible to accumulate binary images at 1 frame per second, taking into account the calculations required for image analysis of omnidirectional cameras with 3 megapixels or more, and obtain the accumulated traces for up to 1 hour. Of course, it can be accumulated on a daily or monthly basis.

전 방위 카메라를 사용하게 되면 카메라에서 나타나는 영상은 렌즈의 특성상 원형모양을 띄게 되고 원형 모양의 영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왜곡 보정을 통한 파노라마 영상 변환 후 분할영상으로 표출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객체 누적 방법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기 때문에 원 영상을 이진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객체가 이동한 이동 궤적에 따라 히트맵을 산출하여 적용시키려면 시간에 따른 객체 이동 이진화 영상을 누적해야 하는데 영상에서 객체가 지나간 부분의 픽셀을 누적해야 시간에 맞는 누적 데이터를 표출 할 수 있다. 먼저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 GMM)을 사용하여 객체와 배경을 분리 한 후 라벨링을 통해 객체별 고유 ID를 할당한다. ID를 갖게 된 움직이는 객체는 영상 밖으로 이동해 보이지 않거나 영상 내에서 더 이상 추적이 불가능한 상태까지 이진화 영상 및 시간을 저장하게 된다. 객체에 ID를 할당하는 이유는 사람과 동물을 구분하기 위함이다.When an omnidirectional camera is used, the image displayed by the camera takes on a circular shap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ns, and in order to analyze the circular-shaped image, it must be expressed as a divided image after converting the panoramic image through distortion correction. Since it is not used in the moving object accumulation method, the original image can be binarized and used. In order to calculate and apply the heat map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object,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the binarized image of the movement of the object over time. First, an object and a background are separated using a Gaussian Mixture Model (GMM), and then a unique ID is assigned to each object through labeling. A moving object with an ID moves out of the image and stores the binarized image and time until it is invisible or can no longer be tracked within the image. The reason for assigning an ID to an object is to distinguish between humans and animals.

사용자가 정의한 규칙을 설정하게 되면, 이 규칙에 위배되는 객체를 검지하기 위하여 객체에 ID를 할당하고 추적할 수도 있다. 만약, 1 시간 단위로 이동 객체 궤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버퍼를 생성해서 저장하지 않고 객체 이동 이진화 영상을 파일로 생성해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해서 추후에 히트맵 및 그래프 산출에 필요한 처리가 끝난 후 적용된 데이터를 DB화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이진화 영상은 더 이상 필요없기 때문에 삭제할 수 있다. 히트맵 값을 계산하여 적용하기 위해선 저장된 이동객체 이진화 영상을 누적하여 계산하게 되는데 최초 픽셀 값은 모두 0으로 초기화하고 고유 ID를 할당받은 객체가 이동하여 객체가 있었던 픽셀에 1 씩 누적해주는 방식으로 초당 1 번씩 누적하게 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당 픽셀에 객체가 많이 지나갈수록 해당 픽셀 누적치 값이 증가하게 된다. 측정 후 1 분 단위로 이동궤적 누적에 대한 누적치 DB를 생성하게 되고 측정 후 1 시간이 지나게 되면 산출된 60 장의 픽셀 누적치는 DB화되어 히트맵 표현 및 통계 분석용으로 저장될 수 있다.If a user-defined rule is set, an ID can be assigned to an object and tracked in order to detect an object that violates this rule. If information about the moving object trajectory is stored in units of 1 hour, the processing necessary for heat map and graph calculation is reduced later by using the method of creating and saving the binarized image of the object movement as a file instead of creating and saving a buffer. After completion, the applied data is converted into a DB and saved, and at the same time, the binarized image can be deleted because it is no longer needed. In order to calculate and apply the heat map value, the stored moving object binarized images are accumulated and calculated. Initial pixel values are all initialized to 0, and the object assigned a unique ID moves and accumulates by 1 in the pixel where the object was located. It is accumulated once, and as time passes, as more objects pass through the corresponding pixel, the corresponding pixel accumulation value increases. After measurement, a DB of accumulated values of movement trajectories is generated in units of 1 minute, and when 1 hour has elapsed after measurement, the calculated accumulated values of 60 pixels are converted into a DB and can be stored for heat map expression and statistical analysis.

산출된 영상에서의 픽셀 누적치 값으로 1 시간 단위의 히트맵을 표출할 수가 있는데 픽셀의 누적치가 1 초에 1 번씩 지속적으로 누적이 되면 1 시간 동안 최대 3600이 되고 이를 히트맵에서 사용하는 컬러맵 값인 360으로 나누게 되면 10단위로 히트맵 값을 가지게 된다. 히트맵의 표출 방법은 이동 객체 누적치 DB를 사용한 픽셀에 컬러값을 부여하는 방식을 이용해서 색지도로 표출할 수 있다. 1 시간 단위의 히트맵 산출이 끝난 뒤에는 산출된 히트맵 결과 값을 DB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1시간 단위로 히트맵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객체 누적량 통계 그래프를 표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전 방위 카메라를 사용하여 현재 영상과 현재 영상 위에 영상분석 시작 후 누적량 산출 결과가 나오는 1 시간 후의 히트맵 결과를 적용한 영상 및 객체 누적량 그래프를 시각화할 수도 있다. DB에 저장된 히트맵 결과 값을 사용자에게 표출하기 위하여 전방위 카메라 영상 배경 위에 지난 1 시간 동안의 히트맵을 색지도로 입혀서 표현할 수도 있다. 히트맵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이동량 수치 등의 정보들은 통계 그래프로 확인 할 수 있는데 컬러 값 산출 이전의 DB화 된 픽셀 누적치를 분석하여 1 분 단위로 갱신하면서 현재 누적 값이 있는 픽셀들의 누적치 평균값으로 이동 객체의 양을 구할 수 있고 시간별 객체 이동량 그래프로 표출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display a heat map in units of one hour with the pixel accumulation value in the calculated image. If the accumulation of pixels is continuously accumulated once per second, it becomes a maximum of 3600 for one hour, and this is the color map value used in the heat map. If you divide by 360, you have a heatmap value in units of 10. The heat map can be expressed as a color map by using a method of assigning color values to pixels using the moving object accumulation DB. After the hourly heat map calculation is finished, the calculated heat map result value is stored in the DB,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heat map result hourly and use it to display the object accumulation statistics graph. Using an omnidirectional camera, it is also possible to visualize the current image and the image and the object accumulation amount graph to which the heat map result is applied one hour after the image analysis starts and the accumulated amount calculation result is obtained on the current image. In order to display the result value of the heat map stored in the DB to the user, it is also possible to express the heat map for the past hour as a color map on the background of the omnidirectional camera image. Information such as movement amount, which is difficult to express in a heat map, can be checked with a statistical graph. It analyzes the accumulated pixel value in DB before color value calculation and updates it every minute, moving to the average value of the accumulated value of the pixels with the current accumulated value. can be obtained and expressed as a graph of the amount of movement of an object by time.

정리하면, 전 방위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동 궤적을 누적시킨 후 DB화하여 효율적으로 분석한 후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궤적의 이진화 영상 및 시간을 이용하여 누적데이터를 구하고 그 데이터에 컬러 값을 부여함으로써 이동 궤적을 히트맵으로 분할 영상에 표출하고 누적량 그래프를 제공해줄 수 있으며, 영상 내 이동량이 많은 위치와 적은 위치를 시간대별로 나타내줄 수 있다. 사용자에게 해당 장소에 있는 사람들의 관심영역 위치도 알려줄 수 있고, 이를 통한 공간 및 상품의 재배치 등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동물과 사람의 동선이 겹치는 공간은 각 가맹점주에게 알려주어 계속적으로 소독을 하도록 하고, 동물과 사람의 동선이 겹치지 않는데 동물이 자주 가는 공간의 경우에는 이 장소에서 검체를 채취하도록 가이던스를 줄 수도 있고, 방역이나 청소를 할 때 이 부분을 더욱 신경써달라는 지시문을 제공할 수도 있다. In summary, after accumulating movement trajectories using an omnidirectional camera,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after efficiently analyzing it into a DB. By obtaining the accumulated data using the binarized image and time of the movement trajectory and assigning a color value to the data, the movement trajectory can be expressed as a heat map on the split image and a graph of the accumulation amount can be provided. can be displayed by time period.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of the location of the area of interest of people in the corresponding plac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data such as the relocation of space and products. At this time, the space where the movement of animals and people overlaps is notified to each franchisee so that they can be disinfected continuously. Or, it may provide an instruction to pay more attention to this part when disinfecting or cleaning.

<사람 및 동물의 이동궤적 구분><Classification of movement trajectories of people and animals>

부가적으로, 동물과 인간을 구분하기 위한 객체 검출 알고리즘의 구조는 Backbone, Neck, Head(Dense Prediction) 세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Backbone은 특징지도(Feature Map) 추출을 위해 활용되는 이미 학습된 네트워크이고, Neck은 Backbone의 다른 단계에서 다른 특징지도를 추출하기 위해 Backbone과 Head 사이에 존재하는 계층(Layer)이며, Head는 실제로 객체검출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YOLOv3는 darknet53을 Backbone으로 적용하고 FPN(Feature Pyramid Network)을 Neck으로 사용하며, Head는 경계상자에 객체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점수와 그 객체가 어떤 클래스(Class)인지 분류하기 위한 클래스별 확률을 동시에 예측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YOLOv4는 최신 딥러닝 기술을 접목하여 YOLOv3를 개선한 모델이며, CSPdarknet53을 Backbone에 적용하고, SPP(Spatial Pyramid Pooling)과 PAN(Path Aggregation Network)을 Neck으로 사용하며, Head는 YOLOv3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에지 디텍션(Edge Detection)으로 간단히 사람은 [머리-몸통-다리]가 세로방향으로 존재하고, 동물은 [머리-몸통-꼬리]가 가로방향으로 존재한다는 것만으로도 구분은 가능할 수 있다. 특정 동물이나 사람을 추적하거나 식별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인지 또는 동물인지만 판별하면 되므로, 가로방향의 객체인지 또는 세로방향의 객체인지, 가로방향의 객체라면 귀가 삼각형이고 꼬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만 체크하는 것만으로도 식별이 가능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structure of the object detection algorithm for distinguishing between animals and humans may be composed of three parts: Backbone, Neck, and Head (Dense Prediction). Backbone is an already learned network used for feature map extraction, Neck is a layer that exists between Backbone and Head to extract different feature maps at different stages of Backbone, and Head is actually an object. This is the part responsible for detection. YOLOv3 applies darknet53 as a backbone and uses FPN (Feature Pyramid Network) as a neck, and the head calculates the score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object in the bounding box and the class-specific probability for classifying the object. It is structured to predict at the same time. YOLOv4 is an improved model of YOLOv3 by combining the latest deep learning technology. CSPdarknet53 is applied to the backbone, SPP (Spatial Pyramid Pooling) and PAN (Path Aggregation Network) are used as the neck, and the head can have a YOLOv3 structure. have. Of course, with edge detection, it can be distinguished simply by the fact that humans have [head-body-leg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imals have [head-body-tail] horizontally. Rather than tracking or identifying a specific animal or person, it is only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human or an animal, so whether it is a horizontal or vertical object, or a horizontal object, only checks whether the ears are triangular and the tail is present. It may be possible to identify just by looking at it.

<검사 & 방역 스케줄링><Inspection & Prevention Scheduling>

이동식 검사장치(400)는, 시설로부터 검체를 채취, 수거 및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식 검사장치(400)는, 차량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검사장치일 수 있다. 또, 이동식 검사장치(400)는, 검체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의 배양여부를 확인(Morphology)한 후, 미생물 동정(Identification)을 수행하는 장치 및 검체로부터 바이러스를 진단 및 검사하는 qPCR(Quantita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검사장치(400)는, MALDI-TOF 질량 분석(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er) 및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의 주소로 방역 및 청소를 할당받을 수 있다.The mobile inspection device 400 may collect, collect, and test a specimen from a facility. In this case, the mobile inspection device 400 may be at least one insp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In addition, the mobile test device 400 is a qPCR (Quantita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diagnosing and examining a virus from a device and a sample for confirming whether bacteria or fungi are cultured from a sample (Morphology) and then microbial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 may include a device that performs In addition, the mobile test apparatus 400 may include a device that performs MALDI-TOF mass spectrometry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er) and next generation sequencing.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may be assigned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o the address of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 및 방역업체의 방문에 따르는 현실적인 제약조건을 감안한 방문 경로 최적화 문제를 혼합정수계획 모형으로 모델링하여 이용하기로 한다. 모델링된 혼합정수계획 모형은 시간제약을 가지는 차량 경로 문제(Vehicle Routing Problem with Time Window: 이하 VRPTW)의 일종으로 이 계열의 문제는 NP-hard 문제이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문제에 대해서는 최적해를 찾을 수 있으나 문제의 크기가 커지면 문제를 풀기 위한 계산시간이 매우 커진다. 따라서 합리적인 시간내에 해를 찾기 위한 방법 중 현실적인 제약사항이 추가된 VRPTW 문제를 혼합정수계획 모형으로 모델링하고 모델의 해 생성을 위해 2단계 GA(Genetic Algorithm) 모델을 이용하기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optimizing the visit route taking into account the realistic constraints accompanying the visits of vehicles and quarantine companies is modeled and used as a mixed water purification model. The modeled mixed integer planning model is a kind of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Time Window (VRPTW) with time constraint. As the size of the problem increases, the computation time to solve the problem becomes very large. Therefore, among the methods for finding a solution within a reasonable time, the VRPTW problem with realistic constraints added is modeled as a mixed integer planning model, and a two-step GA (Genetic Algorithm) model is used to generate the solution of the model.

이하에서 업무 할당 및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이전에, 그 배경이 되는 기본개념을 우선 설명한다. Before describing the task allocation and scheduling method below, the basic concept underlying the task will be first described.

VRPTW 문제를 풀기 위한 기존의 연구 방법들은 크게 4가지 정도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정확한 해를 찾는 방법이다. VRPTW를 풀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은 경로 생성 휴리스틱의 사용이다. 경로 생성 휴리스틱은 주어진 제약사항을 만족하면서 최소 비용 기준에 따라 가능해가 얻어질 때까지 노드를 순차적으로 선택해가는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노드를 몇 개의 그룹으로 분할한 후, 각 그룹에 대하여 경로를 설계하는 선분할 후경로법(Cluster-first routesecond)과 노드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커다란 경로를 만든 후, 그 경로를 해의 도출이 가능한 작은 경로들로 분할시키는 방법인 선경로 후분할법(Route-first cluster-second)이 분류에 속한다. VRPTW를 풀기 위한 세 번째 방법은 해의 점진적 개선 방법이다. 이 방법은 초기해에서 이웃해들을 탐색해가면서 해의 개선을 도모하는 국소 탐색(Local search)의 개념에 기반한 방법으로, 단계별로 하나의 가능해가 전체 비용이 적게 드는 다른 가능해로 바뀌도록 하여 더 이상 비용 절감이 없을 때까지 반복 실행하는 방법이다. 이후 속도 개선을 위해 비가해의 선별이나 불필요한 목적함수의 평가 등을 생략하는 등의 방법도 개발되어 있다. VRPTW를 풀기 위한 네 번째 방법은 수리계획법에 기반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차량 경로 문제에 포함된 수리계획법 수식을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다. 순수하게 VRPTW에 부가되는 제약사항이 아닌 경우 추가적인 제약사항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이러한 접근이 용이하다.Existing research methods to solve the VRPTW problem can be roughly divided into four types. The first method is to find the correct solution. The second way to solve VRPTW is to use the path generation heuristic. The path generation heuristic is a method that sequentially selects nodes until a possible possibility is obtained according to the minimum cost criterion while satisfying the given constraints. Typically, after dividing a node into several groups, the cluster-first routesecond method, which designs a route for each group, and a single large route including all nodes, is The route-first cluster-second method, which is a method of partitioning small paths that can be derived, belongs to this classification. The third method for solving VRPTW is the progressive improvement method of the solution. This method is based on the concept of local search, which seeks to improve the solution while searching for neighboring solutions from the initial solution. Iterate over and over until there is no cost savings. Since then, methods such as omitting non-injurious selection or unnecessary evaluation of objective function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speed. The fourth method for solving VRPTW is based on the mathematical programming method. This method is a method that directly uses the mathematical programming formula included in the vehicle route problem. This approach is easy to deal with additional constraints when it is not purely a constraint added to VRPTW.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현실적인 제약사항이 추가된 VRPTW 문제를 혼합정수계획 모형으로 모델링 하고 모델의 해 생성을 위해 2단계 GA(Genetic Algorithm) 모델을 이용하기로 한다.At this tim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RPTW problem to which realistic constraints are added is modeled as a mixed integer planning model, and a two-step GA (Genetic Algorithm) model is used to generate a solution of the mod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하 표 1과 같은 제약사항을 고려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rictions shown in Table 1 below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제약구분Pharmaceutical Classification 제약사항restrictions 1One 한 차량 및 방역업체는 일주일 간 다수의 방문지를 방문한다.A vehicle and quarantine company visits multiple destinations for a week. 22 각 방문지는 요구되는 두 가지의 방문 형태를 갖는다. 임의 방문지는 방문 요일을 지정하지 않고 일주일 간의 방문 횟수만을 요구하며, 고정 방문지는 지정된 방문 횟수와 요일을 요구한다.Each visit has two types of visits required. Random visits do not specify a visit day and require only the number of visits per week, while fixed visits require a specified number of visits and days of the week. 33 각 방문지는 최단시작시간(earliest start time)과 최지시작시간(latest start time)으로 구분되는 방문 선호 시간제약(time windows) 구간을 갖는다. 방문 선호 시간제약은 총 3등급이 있으며, 각 방문지는 되도록 우선 순위가 높은
방문 선호 시간제약 구간에 방문을 하는 것을 요구한다. 다른 제약사항들로 인해 시간제약을 어기는 방문이 발생할 때는 그 정도에 비례하는 벌금이 발생한다.
Each visit has time windows divided by the earliest start time and the latest start time. There are a total of 3 grades for preference time constraints for visits, and each visit has a higher priority.
Requires visits to be made during the preferred time-restricted period of the visit. When a visit that violates the time constraint occurs due to other restrictions, a penalty proportional to the severity is accrued.
44 각 방문지는 중요도에 따른 등급을 갖는다. 높은 등급을 갖는 방문지는 방문시점 결정시 낮은 등급의 방문지보다 방문 선호 시간제약을 우선적으로 만족시켜야 한다. 여기서 방문지 중요도는 총 5등급으로 구분된다.Each visit is graded according to importance. Sites with high ratings must satisfy the visit preference time constraint in preference to destinations with low ratings when determining the time of visit. Here, the importance of visiting places is divided into a total of 5 grades.

전술한 제약사항 외에 기본적인 방문지의 지리데이터(KATECH 좌표계 상의 방문지 좌표)와 각 방문지에서 필요한 소요 서비스 시간이 추가로 부가될 수도 있다. 그 다음은 혼합 정수 계획 모형을 설명한다. 이때, 모델링에 사용되는 기호는 다음 표 2와 같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restrictions, the basic geographic data of the visited place (visited coordinates in the KATECH coordinate system) and the required service time required for each visited place may be additionally added. The following describes the mixed integer programming model. At this time, the symbols used for modeling are shown in Table 2 below.

기호sign 정의Justice NN 방문지 집합, N = NF∪NRSet of destinations, N = NF∪NR NFNF 방문 요일이 정해진 고정 방문지 집합, NF ⊆ ?NR : 방문 요일을 임의로 정할 수 있는 임의 방문지 집합, NR⊆NA set of fixed places to visit with a fixed day of the week, NF ⊆ ?NR : A set of places to visit where the day of the week can be set arbitrarily, NR⊆N KiKi i ∈ NF 방문지의 고정 방문 요일i ∈ Fixed day of the week of visit to NF site i, j = 0, …, ni, j = 0, … , n 출발지와 방문지에 대한 인덱스, i, j ∈ N, i = 0이면 출발지, n = 방문지의 총수Index of origin and destination, i, j ∈ N, if i = 0, origin, n = total number of destinations k = 0, …, 6k = 0, … , 6 요일을 나타내는 인덱스, k = 0는 월요일, k = 6은 일요일Index indicating the day of the week, k = 0 for Monday, k = 6 for Sunday p = 1, 2, 3p = 1, 2, 3 방문 선호 시간제약 구간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상수 인덱스A constant index indicating the priority of the visit preference time constraint interval xijkxijk k요일에 i방문지와 j방문지 사이의 이동 유무, 0이면 이동하지 않음, 1이면 이동On the k day of the week, whether or not there is movement between the i and j sites, 0 means no movement, 1 means movement. dijdij i방문지와 j방문지 사이의 이동 비용Travel cost between destination i and destination j MM 매우 큰 수very large number TikTik k요일에 i방문지에 도착하는 시간(분)Time (in minutes) to arrive at destination i on k days sisi i방문지에서의 서비스 시간(분)i Service time at the destination (minutes) tijtij i방문지와 j방문지 사이의 이동시간(분)Travel time (minutes) between destination i and destination j eip, lipeip, lip i방문지에 대한 시간제약 구간 p의 최단 시작시간, 최장 시작시간(분)The shortest start time and the longest start time (minutes) of the time constraint section p for the i-visit site P1ikp, P2ikpP1ikp, P2ikp i방문지, k요일의 시간제약 구간 p에 대한 방문 시간의 어김 정도(분)Violation degree of visit time (minutes) for i-visited site, time-restricted interval p on k day cici i방문지의 등급별 벌금 가중치(총 5단계)Weight of fines by grade of i-visit site (total 5 steps) vivi i∈NR방문지의 임의 요구 방문 횟수Randomly requested number of visits to i∈NR

이 문제에서 풀어야 하는 결정변수는 이진 변수인 xijk와 도착시간을 나타내는 연속형 변수 Tik가 된다. 위 기호를 사용한 혼합정수 계획 모형은 이하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9와 같다.The decision variables to be solved in this problem are the binary variable xijk and the continuous variable Tik representing the arrival time. A mixed-integer planning model using the above symbols is shown in Equations 1 to 9 below.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1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1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2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2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3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3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4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4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5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5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6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6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7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7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8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8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9
Figure 112021090132585-pat00009

수학식 1은 문제의 목적함수로 차량 및 방역업체가 일주일간의 전체 방문지 방문에 걸리는 총 이동 비용과 방문지 방문시 방문시간 대를 지키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벌금의 합의 최소화가 된다. 방문지 방문시 발생할 수 있는 벌금은 수학식 6에서 설명한다. 수학식 2는 방문 경로는 모두 연결되어야 한다는 제약을 나타낸다. 수학식 3은 1주일 간의 요구 방문 횟수만 주어지는 임의방문 형태에 대한 제약식이다. 수학식 4는 고정방문 형태에 대한 제약식이고, 수학식 5는 특정방문지의 도착시간은 이전 방문지점에서의 도착시간과 그 지점에서의 서비스 시간 및 해당 방문지로의 이동시간의 합보다는 커야 한다는 의미이다. 수학식 6은 방문지로의 도착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Tik)가 방문지에 주어진 시간제약의 상한과 하한, 즉, 최단시작시간(eip)와 최장시작시간(lip) 사이에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때, 방문지의 할당된 시간제약의 상한과 하한을 벗어나는 방문이 발생한다면 그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P1ijk 또는 P2ijk)가 0이상의 양의 값을 갖게 된다.Equation 1 is the objective function of the problem and minimizes the agreement between the total travel cost for vehicles and quarantine companies to visit all the places visited for a week and the fines caused by not following the visiting time period when visiting the places. A fine that may be incurred when visiting a visiting place is described in Equation (6). Equation 2 represents the constraint that all visit routes must be connected. Equation 3 is a constraint for a random visit type in which only the number of requested visits per week is given. Equation 4 is a constraint on the form of a fixed visit, and Equation 5 means that the arrival time of a specific visit must be greater than the sum of the arrival time at the previous visit point, the service time at that point, and the travel time to the corresponding visit point. to be. Equation 6 means that the variable Tik representing the arrival time to the visited place must b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time constraint given to the visited place, that is, the shortest start time eip and the longest start time lip. In this case, if a visit occurs that exceeds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allocated time constraint of the visited location, the variable (P1ijk or P2ijk) indicating the degree has a positive value of 0 or more.

이때 변수 P1ijk와 P2ijk는 서로 상호배타적이다. 즉, 시간제약이 발생한다면 시간제약의 상한 또는 하한중 어느 한쪽으로만 시간제약이 발생하게 되며 그에 따라 P1ijk와 P2ijk는 두 변수중 한 변수만 0 이상의 양의 값을 갖게 되고, 다른 나머지 변수는 0의 값을 갖게되며, 시간제약이 발생하지 않으면 두 변수 모두 0을 갖는다. 수학식 7은 출발지에서의 도착시간과 서비스 시간은 0이라는 의미이고, 수학식 8은 각 요일별로 방문지간의 이동을 나타내는 결정변수 xijk는 0이나 1의 두 값만을 갖는 이진변수임을 나타내는 조건이며, 수학식 9는 나머지 결정변수 Tik, P1ijk, P2ijk는 양의 값을 갖는다는 비음의 조건을 나타내는 제약식이다.In this case, the variables P1ijk and P2ijk are mutually exclusive. That is, if a time constraint occurs, the time constraint occurs only at either the upper or lower limit of the time constraint. Accordingly, in P1ijk and P2ijk, only one of the two variables has a positive value of 0 or more, and the other variables are 0. , and if no time constraint occurs, both variables have 0. Equation 7 means that the arrival time and service time at the departure point are 0, and Equation 8 is a condition indicating that the determinant variable xijk representing the movement between visits for each day of the week is a binary variable having only two values of 0 or 1, Equation 9 is a constraint expression representing a non-negative condition that the remaining decision variables Tik, P1ijk, and P2ijk have positive values.

그 다음, 2단계 GA 모형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혼합 정수 계획 모형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i) 목적함수식의 왼쪽항과 제약식인 수학식 2, 수학식 3, 수학식 4로 구성되는 방문 경로 생성에 대한 부분과, ii) 목적함수식의 오른쪽항과 제약식인 수학식 5, 수학식 6 및 수학식 7로 구성되는 시간제약의 어김을 최소화하는 방문 시점의 결정문제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방문경로 생성을 위한 방법으로 주어진 문제를 두 단계의 GA 문제로 변환하여 푸는 2단계 GA법을 이용하기로 한다. 2단계 GA법으로 생성된 경로에 따르는 방문지 방문 시점 결정을 위한 방법으로 전방전개 스케줄링 및 후방전개 스케줄링법을 사용한다. 전방전개, 후방전개 스케줄링법은 후술하기로 한다.Next, the two-step GA model is described. The mixed integer planning model described above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i) the left term of the objective function expression and the part for generating a visit path composed of Equations 2, 3, and 4, which are constraint expressions, and ii) the right side of the objective function expression It can be divided into a problem of determining the timing of a visit that minimizes the violation of the time constraint composed of the terms and constraints, Equations 5, 6, and 7.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wo-step GA method is used to transform a given problem into a two-step GA problem and solve it as a method for generating a visiting route. Forward-deployment scheduling and backward-deployment scheduling are used as methods for determining the time of visit to a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path generated by the two-step GA method. Forward deployment and backward deployment scheduling methods will be described later.

혼합 정수 모형은 VRPTW 계열의 NP-hard 문제이므로 방문지의 수가 늘어날수록 기하급수적인 계산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현실적인 접근법으로 메타 휴리스틱 알고리즘이 필요한데, 메타 휴리스틱 중에서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기로 한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하나의 해에서 탐색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해집단(Population)에서부터 탐색을 병렬적으로 수행한다. 해집단에서 하나의 해는 염색체(Chromosome)이라 하고, 각 염색체는 유전인자(Gene)로 이루어져 있다. 각 염색체들은 세대수(generation)로 표현되는 연속적인 반복 계산을 통해서 진화한다. 각 세대마다 유전 연산자 즉, 선별(Selection), 교차(Crossover), 돌연변이(Mutation)을 통해서 환경에 적응해가면서, 적응도 함수(fitness function)에 따라 각 염색체가 평가(Evaluation)되어 진다.Since the mixed integer model is an NP-hard problem of the VRPTW series, exponential calculation time is required as the number of visits increases. Therefore, a meta-heuristic algorithm is needed as a realistic approach, and we will use a genetic algorithm among meta heuristics. The genetic algorithm does not start the search from one solution, but performs the search in parallel from the population. In the population, one solution is called a chromosome, and each chromosome is composed of a gene. Each chromosome evolves through successive iterations expressed in generations. For each generation, each chromosome is evaluated according to a fitness function while adapting to the environment through genetic operators, that is, selection, crossover, and mutation.

그 다음으로 해의 표현식을 설명한다. GA의 시작은 문제의 풀이를 위한 해의 표현식 결정에서부터 출발한다. TSP(Traveling Salesperson Problem)나 VRP(Vehicle Routing Problem)와 같은 일반적인 GA 문제에 있어서는 다양한 표현식과 그에 따른 유전 연산자들이 개발되어 있다. TSP 문제에서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경로표현법(path representation)은 해의 표현식이 (3 1 2 4)와 같을 때 3번 도시를 처음 방문하고, 1 번 도시를 두 번째 방문하고, 2 번 도시를 세 번째 방문하고, 4 번 도시를 네 번째에 방문하는 식으로 방문순서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경로표현법을 따르는 해 표현식에서는 TSP문제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OX(Order Crossover), CX(Cycle Crossover), PMX(Partially Mapped Crossover)는 물론, 1점 교차나 2점 교차등의 유전연산자를 사용할 시, 해의 가능성을 유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전체 문제를 두 단계의 GA 문제로 분리하여 해결한다. i) 제 1 단계에서는 임의 방문지들에 대해 방문 요일을 결정하고, ii) 제 2 단계에서는 제 1 단계에서 선택된 요일별 임의 방문지에 고정 방문지를 포함하여 요일별로 선택된 모든 방문지의 방문 순서를 결정하게 된다. Next, the expression of the solution is explained. GA starts with determining the expression of a solution for solving a problem. In general GA problems, such as the Traveling Salesperson Problem (TSP) and the Vehicle Routing Problem (VRP), various expressions and their genetic operators have been developed. The path representation typically used in TSP problems is that when the solution expression is equal to (3 1 2 4), city 3 is visited first, city 1 is visited second, and city 2 is visited 3 times. The order of visits is indicated by visiting the city and visiting city 4 for the fourth time. In the solution expression that follows this path expression method, it is possible to use genetic operators such as OX (Order Crossover), CX (Cycle Crossover), PMX (Partially Mapped Crossover), as well as 1-point intersection or 2-point intersection, which can be typically used in TSP problems. City, the possibility of harm cannot be maintained. Accordingly, the whole problem is solved by separating the GA problem into two stages. i) In the first step, visit days are determined for random places, and ii) in the second step, the order of visits to all selected places of the week is determined, including fixed visits to the random places selected in the first step.

단계별로 필요한 해의 표현은 제 1 단계 문제를 풀기위한 랜덤 스케줄이 있고, 제 2 단계 문제를 풀기위한 고정 스케줄과 혼합 스케줄이 있다. 랜덤 스케줄과 고정 스케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표현식이 혼합 스케줄이다. 예를 들어, 다음주 중 XX요일에 방문하기로 하는 것은 고정 스케줄이고, 다음 주 중 언제든지 방문하는 것은 랜덤스케줄인데, 이러한 설치날짜가 아닌 주(Week)만 고정된 경우(랜덤)와 설치 주 뿐만 아니라 날짜까지 고정된 경우(고정)가 섞인 스케줄이 혼합 스케줄이다. 먼저, 랜덤 스케줄의 유전인자는 요일을 의미하는 7진수 값이며, 전체 염색체의 길이는 임의방문지의 개수로 결정된다. 즉, 각 유전인자의 위치는 전체 임의방문지들 중의 순서에 대응되며 임의방문지의 방문요구 횟수는 유전인자인 7진수 값의 자리수에 대응된다. 이에 반해, 고정 스케줄의 유전인자는 고정방문지 자체를 나타내는 숫자와 고정방문 요일을 구분하는 구분자(Delimiter) 0으로 구성된다. 제 1 단계에서 사용하게 되는 모집단은 랜덤 스케줄만을 사용하게 되며 제 1 단계에서는 임의 방문지의 방문 요일을 결정하고, 각 요일 내에서의 방문순서는 제 2 단계에서 결정하게 된다. 제 2 단계에서는, 제 1 단계의 GA 문제를 구성하는 모집단을 구성하는 하나의 해(랜덤 스케줄)에 대해서 고정 스케줄을 감안한 혼합 스케줄 만들어내고 이를 요일별로 7 개의 경로식으로 분해한 후 분해된 7개의 TSP 문제를 풀어서 제 1 단계 문제의 모집단을 구성하는 해 하나에 대한 평가를 마친다. As for the expression of the solution required for each step, there is a random schedule for solving the first-step problem, and there are a fixed schedule and a mixed schedule for solving the second-step problem. An expression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random schedule and a fixed schedule is a mixed schedule. For example, visiting on the XX day of the following week is a fixed schedule, and visiting any time during the following week is a random schedule. A schedule with a mixture of fixed (fixed) by date is a mixed schedule. First, the genetic factor of the random schedule is a hexadecimal value indicating the day of the week, and the length of the entire chromosome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random visits. That is, the position of each genetic factor corresponds to the order among all the random visits, and the number of visit requests to the random visit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digits of the hexadecimal value of the genetic factor. In contrast, the genetic factor of the fixed schedule consists of a number indicating the fixed visit itself and a delimiter 0 that distinguishes the day of the fixed visit. The population to be used in the first step uses only a random schedule. In the first step, a visit day to a random destination is determined, and the order of visits within each day is determined in the second step. In the second stage, for one solution (random schedule) constituting the population constituting the GA problem of the first stage, a mixed schedule is created considering a fixed schedule, and after decomposing it into 7 path equations by day of the week, the decomposed 7 By solving the TSP problem, the evaluation of one solution constituting the population of the first stage problem is completed.

유전 연산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와 같은 해의 표현식(랜덤 스케줄)을 쓰면 상위 제 1 단계 문제에 대해 1점 교차나 2점 교차 같은 전통적인 교배연산을 사용하더라도 해의 가능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상위 제 1 단계 문제에서 사용한 돌연변이 연산은 임의의 염색체좌(Locus)를 랜덤 스케줄에서 선택한 후 선택된 염색체좌의 자리수에 해당하는 임의의 7진 난수를 발생시켜 선택된 염색체좌를 대치(Replace)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하위 제 2 단계 문제는 일반적인 TSP 문제의 풀이에 준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교배연산에는 TSP 문제의 해법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개선된 인접인자 재결합 교차를 사용할 수 있다. 돌연변이 연산은 임의로 두 방문지를 선택하여 위치를 교환하는 SWAP 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선별연산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 모두 토너먼트 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Genetic operator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solution expression (random schedule) as in the first and second steps described above, the possibility of a solution is not compromised even if traditional crossover operations such as one-point intersection or two-point intersection are used for the upper first-step problem. The mutation operation used in the upper first step problem is a method of replacing the selected chromosomal locus by selecting a random locus on a random schedule and then generating a random hexadecim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digits of the selected chromosomal locus. can be used The lower second-step problem is similar to the solution of a general TSP problem,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proved neighbor factor recombination intersection known to be useful for solving the TSP problem may be used for the crossover operation. The mutation operation may use a SWAP operation that exchanges positions by randomly selecting two visits. The selection operation may use a tournament operation in both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전방전개 및 후방전개 스케줄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스케줄링 과정에서는 매 요일별 방문지의 방문 경로가 주어졌을 때 이를 준수하면서 최대한 시간제약을 어기지 않는 방문시간대를 결정하는 문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2 단계 GA 모형은 방문 경로 생성 부분만을 다룬 유전 연산 모형이었고, 혼합 정수 계획 모형에서와 같이 목적 함수에 각 방문지에 대한 방문시점이 시간제약을 어김으로서 발생하는 벌금이 포함되어야 된다. 물론 이 벌금은 하위 GA 문제의 풀이를 통한 상위 GA 문제의 해의 평가 단계에서 합산된다. 매 요일별로 주어진 방문 경로에 대한 구체적인 방문 시점 결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은 방문지의 등급이다. 방문지의 등급이 높을수록 방문지에 할당된 시간제약이 지켜져야 한다. 각 방문지에 대한 방문 시간대 결정의 경우의 수는 방문 순서가 주어진다고 하더라도 방문지의 수가 n이고 방문 선호시간대의 수가 m이라할 때 최대 mn이 된다. 예를 들어, 방문선호 시간제약 구간의 수가 3인 경우, 방문 선호 시간 결정의 문제의 경우의 수는 최대 3n이 될 수 있다.Forward-deployment and backward-deployment scheduling are described. In this scheduling process,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visit time zone that does not violate the time constraint as much as possible while observing the given visit route for each day of the week is explained. The two-step GA model described above was a genetic operation model that dealt with only the visited path generation part, and as in the mixed integer planning model, the objective function should include a penalty that occurs when the visit time point for each visit violates the time constraint. Of course, this fine is added up in the evaluation stage of the solution of the upper GA problem through solving the lower GA problem.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in determining the specific time of visit for a given visit route for each day of the week is the grade of the place of visit. The higher the grade of the destination, the more time constraint assigned to the destination must be respected. The number of cases of determining the visit time zone for each visited place becomes mn at the maximum when the number of places to visit is n and the number of preferred visit time zones is m, even if the order of visits is given.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visit preference time constraint sections is 3, the number of cases of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visit preference time may be up to 3n.

물론 현실적인 관점에서 방문지 방문 시점의 결정은 시간이라는 연속 변수의 선택이므로 방문 시간대의 선택이라는 이산적인 변수의 조합과는 다른 매우 많은 대안의 수를 갖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문순서(방문 경로)가 주어지는 상황에서의 방문시점 결정에도 적절한 휴리스틱이 필요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i) 각 방문지의 등급이 모두 동일하다는점과 ii) 선호 시간대의 종류가 하나라는 가정이 있을 때 전방전개 스케줄링법을 따르는 제 1 데일리 스케줄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 제 1 데일리 스케줄의 가정을 완화한 경우 즉, 전방전개와 후방전개 스케줄링을 함께 수행하는 제 2 데일리 스케줄에 대해서 설명한 후 i) 및 ii) 모두의 가정을 완화시킨 일반화된 경우의 제 3 데일리 스케줄에 대해서 설명한다.Of course, from a realistic point of view, since the decision of the time of visitation is the choice of a continuous variable called time, there will be a very large number of alternatives different from the combination of the discrete variable of the choice of the visit time zone. Therefore, an appropriate heuristic is also required to determine a visit time in a situation where such a visit order (visit route) is give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daily schedule that follows the forward-facing scheduling method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 first daily schedule, when it is assumed that i) the grades of each visit are the same and ii) there is only one preferred time zone. A case in which the assumption is relaxed, that is, the second daily schedule in which forward and backward scheduling is performed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third daily schedule in the generalized case in which both assumptions i) and ii) are relaxed will be described.

먼저, 고정된 요일(k = K)과 선호시간대의 종류가 하나(p = P)인 경우에 대해 방문지의 등급이 모두 동일하다고 한다면, 어떠한 방문지를 최초 선택하더라도 동일한 상황이므로 최초 방문지의 도착시간(방문시점)을 최초방문지의 최단시작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T1K = e1P). 두 번째 방문지의 도착시간은 벌금의 최소화를 위해 첫 번째 방문지의 도착시간(T1K)에서 첫 번째 방문지에서의 서비스시간(s1)과 첫 번째 방문지에서 두 번째 방문지로의 이동시간(t12)의 합이 되거나, 두 번째 방문지에 대한 최단시작시간(e2P)중 큰 값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식으로 최초방문지의 방문시점부터 차례대로 방문지의 방문시점을 전방향으로 결정하는 절차가 제 1 데일리 스케줄이다. 이러한 스케줄을 따를때에는 시간제약의 어김은 최지시작 시간을 넘어선 방문지 도착에 대해서만 발생하므로 총 시간제약 어김의합은 ∑i=1~n max{TiK-liP, 0}이 된다. First, if the grades of the visited destinations are the same for a fixed day of the week (k = K) and one type of preferred time zone (p = P), the arrival time ( time of visit) can be set as the shortest start time of the first visit (T1K = e1P). In order to minimize the fine, the arrival time at the second visit point is the sum of the service time (s1) at the first visit place from the arrival time (T1K) at the first visit site and the travel time (t12) from the first visit place to the second place. or the shortest start time (e2P) for the second destination, whichever is greater. In this way, the first daily schedule is the procedure of omni-directionally determining the visit time of the first destination in order from the time of the first visit. When following this schedule, the violation of the time constraint occurs only for arrivals beyond the latest start time, so the total time constraint violation sum becomes ∑i=1~n max{TiK-liP, 0}.

다시, 방문지의 등급이 모두 갖지 않는 상황이라면 가장 등급이 높은 방문지(i = i’)의 방문시간을 해당 방문지의 최단시작시간으로 설정하고(Ti'K = ei'P), 이후 진행되는 방문지에 대한 도착시간은 제 1 데일리 스케줄에서와 같은 전방전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등급이 가장 높은 방문지의 직전 방향으로의 스케줄링을 차례대로 전방전개 스케줄링과 유사한 방법으로 후방전개 스케줄링 한다. 이때의 시간제약의 어김은 최지시작 시간을 넘어선 방문지 도착과 최단시작시간에 앞선 방문지 도착, 양쪽 모두 발생하므로 그 총합은 ∑i=1~nmax{TiK-liP, 0}-∑i=1~nmin{TiK-eiP, 0}이 된다. Again, if the grades of the visited locations do not have all the grades, the visit time of the highest graded location (i = i') is set as the shortest start time of the corresponding visit location (Ti'K = ei'P), and subsequent visits are As for the arrival time for the first daily schedule, forward-deployment scheduling is performed as in the first daily schedule. In addition, the scheduling in the direction immediately preceding the visited destination with the highest grade is sequentially performed backward-deployment scheduling in a similar manner to forward-deployment scheduling. At this time, the violation of the time constraint occurs in both the arrival of the destination that exceeds the latest start time and the arrival of the visit that precedes the shortest start time, so the total is ∑i=1~nmax{TiK-liP, 0}-∑i=1~nmin {TiK-eiP, 0}.

주어진 원문제는 방문지별 방문 선호 시간제약 구간이 총 3 개로 모두 다르므로 제 2 데일리 스케줄에 이를 반영한, 즉 조건을 완화시킨 수정된 알고리즘은 제 3 데일리 스케줄과 같다. 이때의 시간제약 어김의 총합은 ∑i = 1~n{max(TiK-liP, 0)|P = argmax(liP)}-∑i=1~n{min(TiK-eiP, 0)|P = argmin(eiP)}이 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성된 최적 설치 경로 대비 현 진척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주어진 제약 조건 하에서 구한 최적 방문 경로는 GIS 관제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차량 및 방역업체가 최적 경로에서 이탈하거나 계획대비 진행사항이 느려지는 모습이 관측될 경우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또, 항시 가능해를 유지하면서 해의 개선을 추구하는 GA 모델을 사용하므로 차량 고장, 사고, 긴급 요청 등과 같은 예외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실시간의 근사 최적 재 스케줄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Since the given original problem has a total of three different visit preference time constraint sections for each destination, the modified algorithm that reflects this in the second daily schedule, that is, relieves the condition, is the same as the third daily schedule. At this time, the sum of time constraint violations is ∑i = 1~n{max(TiK-liP, 0)|P = argmax(liP)}-∑i=1~n{min(TiK-eiP, 0)|P = argmin(eiP)}.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current progress compared to the generated optimal installation route, and the optimal visit route obtained under the given constraint conditions is monitored in real time through the GIS control system, and the vehicle and quarantine If a company deviates from the optimal path or if progress is observed to be slower than planned, it can respond quickly. In addition, since it uses a GA model that pursues solution improvement while maintaining always possible, real-time approximate optimal rescheduling can be enabled even in the event of an exceptional situation such as a vehicle breakdown, accident, or emergency request.

마지막으로, 공급자와 수요자 양쪽 모두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량 및 방역업체의 입장에서는 PDA,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들을 이용해 스케줄링된 설치계획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설치 시간과 유류 소비에 관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정보들이 쌓여 직접 방문 서비스 공급자는 보다 합리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및 방역업체가 직접 응대하는 것이 아니라 예고를 고객에게 자동통보할 수 있으므로 검사진단 및 방역 서비스를 기다리는 고객의 일정 계획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된다.Finally, it can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both the supplier and the consumer. From the standpoint of vehicles and quarantine companie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cheduled installation plan in real time using mobile devices such as PDAs and smartphones to maintain consistency in installation time and oil consumption. reasonable management. In addition, a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notify customers of advance notices rather than directly responding to vehicle and quarantine companies, it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scheduling of customers waiting for inspection and diagnosis and quarantine services.

<가맹점 자동잠금 해제><Release Auto-Lock at Merchant>

방역청소 단말(500)로 방역을 지시할 때, 영업시간 외에 직원이나 점주가 없는 경우에 방역을 해달라는 의뢰가 들어올 수 있는데, 이때마다 열쇠를 받거나 비밀번호를 안내받는 경우 전자의 경우에는 세 번 방문(열쇠를 받고, 방역을 하고, 열쇠를 돌려주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안내받을 때 비밀번호가 노출되어 다시 설정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하는 가맹점이라면 또는 IoT로 문의 개폐가 제어되는 가맹점이라면, 방역청소 단말(500)의 방역스케줄 날짜 및 시간이고, 방역청소 단말(500)의 GPS가 가맹점의 주소지와 일치하는 경우 자동으로 문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시큐리티 시스템을 해제할 수 있는 구성을 더 부가할 수도 있다. 방역을 모두 마친 후 나가는 경우에는 방역청소 단말(500)에서 방역완료 버튼을 화면에서 누르면,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가맹점의 IoT 단말(미도시)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와 연동하여 다시 도어를 잠그도록 명령할 수 있고, 방역청소 단말(500)은 잠겼음 또는 잠기지 않았음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역청소자가 잠금까지 확인한 후 영업장(가맹점)을 떠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instructing quarantine with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a request may come in if there is no employee or store owner outside of business hours, and if you receive a key or receive a password each time, visit three times in the former case.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ceiving the key, performing quarantine, and returning the key), and in the latter case,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t the password again because the password is exposed when receiving the password. Accordingly, if it is a merchant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or if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IoT, it is the quarantine schedule date and time of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and the GPS of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matches the address of the affiliated store. In this case, you can add a configuration that can automatically unlock the door or unlock the security system. When exiting after completing all quarantine, press the quarantine complete button on the screen on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and the diagnostic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orks with the affiliated IoT terminal (not shown) or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to open the door again. It can be commanded to be locked, and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can be configured so that either a locked or unlocked button can be selected so that the quarantine cleaner can leave the business (merchant) after confirming the lock.

이하, 상술한 도 2의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iagnostic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100)로부터 서비스 요청 및 의뢰를 받으면, (b)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검사장치(400)를 배정하고 비유기체인 시설로부터 검체를 채취하여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및 기생충의 병원체를 검사하도록 검사를 할당하고, (c) 검사결과를 가맹점으로 리포트 할 때 법정전염병에 해당하는 병원체가 발견된 경우 즉시 관계기관 서버로 함께 보고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500)로 방역 및 청소를 의뢰하고, 오프라인에서는 네오가드 세이프존(가칭)이라는 명패를 부착할 수 있도록 스티커나 명패를 발송하고, 온라인 상에서는 본 발명의 플랫폼 상에서 가맹점의 상호, 주소와 함께 네오가드 세이프존이라는 아이콘과 함께 언제 방역을 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포털사이트에는 예를 들어 동물병원인 "동물은 내친구"를 지역명과 함께 검색을 하면 검색결과가 나오면서 "이 비지니스의 소유주인가요?"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면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화면이 존재하는데, 이 포털사이트의 서버로 "네오가드 세이프존"라는 텍스트를 부가하도록 요청하거나 아이콘을 넣을 수 있도록 요청하는 등으로 포털사이트에서도 검색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when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a service request and request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100, (b) assigns at least one mobile test device 400 and compares it Specimens are collected from gaseous facilities, and tests are assigned to test for pathogens of viruses, bacteria, fungi and parasites, and (c) when reporting the test results to the affiliated store, if a pathogen corresponding to a legal infectious disease is found, the server of the relevant institution immediately to be reported together. In addition, at least on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500 is used to request quarantine and cleaning, and offline, a sticker or name plate is sent so that a name plate called Neo Guard Safe Zone (tentative name) can be attached, and online, on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ffiliated stores With the icon of Neo Guard Safe Zone along with the company name and address, it is possible to check when the quarantine was performed. Also, on the portal site, for example, if you search for “animals are my friends”, which is a veterinary hospital, with a local name, the search results come up and the message “Are you the owner of this business?” is displayed and there is a screen where you can register information. However, it can be set to be searchable on the portal site by requesting the server of this portal site to add the text "Neo Guard Safe Zone" or to insert an icon.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검사장치(400)가 내장 및 탑재되는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각 정부기관에서 지원을 받아 이동식 검사장치(400)를 탑재한 차량 설비를 마련하고, 검사를 진행할 때 도 4b 및 도 4c와 같이 세균 및 곰팡이는 검체가 입고된 후 배양 및 동정을 통해 검출되는 세균을 보고하며, 도 4d와 같이 고양이 및 개의 검사 항목을 도 4e와 같은 qPCR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f와 같이 감염병의 관리 및 예방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도 4g와 같이 고객, 네오가드 팀 및 방역업체와의 연계로 전국 5000 개의 동물병원, 펫숍 등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 업체를 대상으로 최초의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및 기생충 검체 진단 및 소독과 방역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h와 같이 검체를 수거한 후 차량에서 신속검사를 진행할 수 있고, 그 결과는 즉시 정부 기관에 보고될 수 있으며 가맹점에도 물론 리포트될 수 있다. 도 4i와 같이 안전하고 쾌적한 위생보증 및 관리로, 도 4j와 같은 부가 서비스와 함께 가맹점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신뢰와 안심을 줄 수 있고 가맹점에서 일을 하는 직원에게는 안전한 일터를 마련해줄 수 있다.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in which the mobile inspection apparatus 400 is built-in and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ehicle facility equipped with a mobile inspection device 400 is provided with support from each government agency, and when the inspection is performed, bacteria and mold are detected through culture and identification after the specimen is received, as shown in FIGS. 4B and 4C . , and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est items for cats and dogs can be processed by qPCR as shown in FIG. 4E as shown in FIG. 4D. It aims to manage and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s shown in Fig. 4f, and as shown in Fig. 4g, in connection with customers, the Neo-Guard team, and quarantine companies, it is the first Virus, bacterial, fungal and parasitic samples can be diagnosed, disinfected, and quarantined. As shown in FIG. 4H , a rapid test can be performed in the vehicle after the sample is collected, and the result can be immediately reported to a government agency and, of course, to a franchisee. With safe and comfortable hygiene assurance and management as shown in Fig. 4i, trust and reassurance can be given to customers who use the affiliated store together with additional services as shown in Fig. 4j, and a safe workplace can be provided for employees working in the affiliated store.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the facility of FIGS. 2 to 4 are the same as or from the contents described for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the facility through FIG. 1 above.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the facility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the example shown in FIG. 5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진단관리 서비스를 신청하는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동물의 동물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고(S5100), 가맹점 시설 내 검체로부터 병원체를 검사한 결과를 수신한다(S5200).5,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es an application event for applying for a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maps and stores the animal data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at least one type of animal, (S5100), a result of testing the pathogen from a sample in the affiliated store facility is received (S5200).

그리고,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검사한 결과에 따라 기 지정된 법정전염병이 양성으로 출력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계기관 서버로 보고한다(S5300).In addition,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reports to at least one related institution server when a pre-specified legal infectious disease is output as positiv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 S5300 ).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 S5100 to S5300 )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 S5100 to S5300 )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s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are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the facility of FIG. 5 are the same as or from the contents described for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the facility through FIGS. 1 to 4 above.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a fac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an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a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etc.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may be executed, and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in the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a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installed by default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is transmitted to a computer such as a terminal. It may be recorded on a readable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0)

상주 또는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동물의 동물 데이터를 포함하는 가맹점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진단관리 서비스를 신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진단관리 서비스를 신청하는 신청 이벤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동물의 동물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등록부, 가맹점 시설 내 검체로부터 병원체를 검사한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검사한 결과에 따라 기 지정된 법정전염병이 양성으로 출력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계기관 서버로 보고하는 보고부, 방역 및 청소를 받은 가맹점 단말의 가맹점을 소개하는 온라인 페이지 및 포털사이트에 방역 및 청소를 받은 날짜와, 방역 및 청소를 하는 업체라는 것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하는 명패부를 포함하는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주소로 방역 및 청소를 할당받는 적어도 하나의 방역청소 단말; 및
가맹점의 영업시간 외에 직원이나 점주가 없는 상태에서 방역 의뢰가 들어올 때, 상기 방역청소 단말의 방역스케줄 날짜 및 시간이고, 상기 방역청소 단말의 GPS가 가맹점의 주소지와 일치하는 경우, 자동으로 문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시큐리티 시스템을 해제하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방역청소 단말은,
방역 완료 후 상기 방역청소 단말에서 방역완료 버튼을 누르면,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문을 잠그도록 명령하고, 상기 방역청소 단말의 방역청소자가 잠금까지 확인한 후 가맹점을 떠날 수 있도록 잠겼음 또는 잠기지 않았음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that uploads affiliated store data including animal data of at least one type of animal resident or managed to apply for a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Result of examining pathogens from samples in affiliated stores and receiving application events for applying for diagnostic management service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and mapping and storing animal data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and at least one type of animal with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above, a reporting unit that reports to at least one related agency server if a pre-specified legal infectious disease is output as positiv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an online page and portal site introducing the affiliated store of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that has undergone quarantine and cleaning a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nameplate unit for outputting an icon indicating the date of quarantine and cleaning, and an icon indicating that it is a quarantine and cleaning company;
at least on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receiving quarantine and cleaning assigned to an address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and
When a quarantine request comes in outside of the franchise's business hours without an employee or store owner, if it is the quarantine schedule date and time of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and the GPS of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matches the affiliate's address, the inquiry is automatically locked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that unlocks or unlocks the security system,
The quarantine cleaning terminal,
When the quarantine completion button is pressed on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after the quarantine is completed, it is interlocked wit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to automatically lock the door, and the quarantine cleaner of the quarantine and cleaning terminal confirms the lock and then locks it so that it can leave the affiliated store. Or a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a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selecting any one of the button is not lock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체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및 기생충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athogen is a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a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viruses, bacteria, fungi and parasit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가맹점 시설 내부의 비유기체의 병원체를 진단하는 것 외에도 상기 가맹점 시설 외부의 비유기체의 병원체를 진단 및 관리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an additional service unit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for diagnosing and managing inorganic pathogens outside the affiliated store facilities in addition to diagnosing the pathogens of the inorganic organisms inside the affiliated store facilities;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th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은,
상기 시설로부터 검체를 채취, 수거 및 검사를 시행하는 이동식 검사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the facility,
a mobile inspection device that collects, collects, and inspects samples from the facility;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th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검사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검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bile inspection devic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a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nspection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검사장치는,
상기 검체로부터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의 배양여부를 확인(Morphology)한 후, 미생물 동정(Identification)을 수행하는 장치; 및
상기 검체로부터 바이러스를 진단 및 검사하는 qPCR(Quantita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bile inspection device,
a device for confirming whether bacteria or fungi are cultured from the specimen (Morphology), and then performing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and
a device for performing qPCR (Quantita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diagnosing and testing a virus from the sampl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a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검사장치는,
MALDI-TOF 질량 분석(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er) 및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bile inspection device,
MALDI-TOF mass spectrometry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er) and next-generation sequenc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in-hous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 CCTV가 설치된 경우, 상기 CCTV에서 관찰된 동물 및 인간의 동선을 서로 다른 히트맵(Heat Map)으로 구성하고, 상기 검체를 채취할 때 상기 서로 다른 히트맵 내 동물의 동선을 표기한 히트맵 상에 기 설정된 색상으로 표기된 부분을 검체 채취장소로 표기하는 표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내 병원체 감염진단 및 방역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gnosis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a CCTV is installed in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the movement of animals and humans observed in the CCTV is configured as different heat maps, and when the sample is collected, the movement of animals in the different heat maps a marking unit for marking a portion marked with a preset color on a heat map marked with , as a sample collection site;
Pathogen infection diagnosis and quarantine management system in th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10102709A 2021-08-04 2021-08-04 System fo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and quarantine management for facility KR102337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09A KR102337219B1 (en) 2021-08-04 2021-08-04 System fo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and quarantine management for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709A KR102337219B1 (en) 2021-08-04 2021-08-04 System fo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and quarantine management for fac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219B1 true KR102337219B1 (en) 2021-12-09

Family

ID=7886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709A KR102337219B1 (en) 2021-08-04 2021-08-04 System fo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and quarantine management for fac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2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298B1 (en) * 2022-11-30 2023-07-03 주식회사 푸른누리 Manpower assignment automation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building manag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801A (en) * 2012-01-03 2013-08-13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jecturing livestock disease in advance
KR20150102486A (en) * 2014-02-28 2015-09-07 (주)티엘씨테크놀로지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diagnosis of domestic animal disease
KR20190143518A (en) * 2018-06-07 2019-12-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bnormal obje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801A (en) * 2012-01-03 2013-08-13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jecturing livestock disease in advance
KR20150102486A (en) * 2014-02-28 2015-09-07 (주)티엘씨테크놀로지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diagnosis of domestic animal disease
KR20190143518A (en) * 2018-06-07 2019-12-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bnormal obje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298B1 (en) * 2022-11-30 2023-07-03 주식회사 푸른누리 Manpower assignment automation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building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Interactive COVID-19 mobility impact and social distancing analysis platform
Ruiz-Ruiz et al. Analysis methods for extracting knowledge from large-scale wifi monitoring to inform building facility planning
US91417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d controlling epidemics
Prentow et al. Spatio-temporal facility utilization analysis from exhaustive wifi monitoring
CN103999117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ssistance services for large crowds
Quinn et al. Computational sustainabi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developing world
Yang et al. A GIS‐based method to identify cost‐effective routes for rural deviated fixed route transit
JP2016181896A (en) Realtime position-based event generation system and terminal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337219B1 (en) System fo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and quarantine management for facility
Shi et al. Analysis of trip generation rates in residential commuting based on mobile phone signaling data
Sedda et al. Improved spatial ecological sampling using open data and standardization: an example from malaria mosquito surveillance
Bine et al. Leveraging urban computing with the internet of drones
Kumar et al. Estimation and mitigation of epidemic risk on a public transit route using automatic passenger count data
Chamberlain et al. The impact of the spatial mismatch between parolee and employment locations on recidivism
Yang et al. Computational decision-support tools for urban design to improve resilience against COVID-19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A systematic review
JP2006072812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Borkowski et al. Epidemic modeling with discrete-space scheduled walkers: extensions and research opportunities
ARREERAS et al. An association rule mining-based exploration of travel patterns in wide tourism areas using a Wi-Fi package sensing survey
Moore et al. Learning from Place in the Era of Geolocation
Hoover et al. Strategic route planning to manage transit’s susceptibility to disease transmission
Cheng et al. Characterising travel behaviour patterns of transport hub station area users using mobile phone data
Baker et al. The impact of incomplete geocoding on small area population estimates
JP6427640B2 (en) Activity analysis system, activity analysis method, and program
Abbiasov Do Urban Parks Promote Racial Diversity? Evidence from New York City
Zhang et al. Understanding street-level urban vibrancy via spatial-temporal Wi-Fi data analytics: Case LivingLine Shangha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