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777A -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777A
KR20230033777A KR1020210116396A KR20210116396A KR20230033777A KR 20230033777 A KR20230033777 A KR 20230033777A KR 1020210116396 A KR1020210116396 A KR 1020210116396A KR 20210116396 A KR20210116396 A KR 20210116396A KR 20230033777 A KR20230033777 A KR 20230033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optical fusion
far
body temperature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레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레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레이즈
Priority to KR1020210116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777A/ko
Priority to PCT/KR2021/011885 priority patent/WO2023033207A1/ko
Publication of KR2023003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융합 치료장치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32가지의 무기물질로 도말된 블랙 디스크를 통하여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탄소봉에서 방출되는 가사광선을 융합한 복합광선의 파동을 머리 부위(+양극)와 양발바닥 부위(-음극) 그리고 폐 중앙 부위의 명치 부위로부터 코입의 기관 부위 3종류의 방향에서 인체의 몸을 중심으로 복합광선의 파동을 3중 충돌시켜 조사하여 주면 폐세포를 중심으로 하는 인체의 몸 전체 세포혈관이 심부 온열 상승작용을 일으켜 우리 몸 안에 있는 수분과 혈액을 강력하게 파동을 일으킴과 동시에 양자(+-)공명의 충돌을 일으켜 폐를 중심으로 폐세포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폐세포의 혈류량 증가 및 폐세포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CORONA VIRUS REMOTE TREATMENT SYSTEM USING PHOTO-CONVERGENCE WAVE TREATMENT APPRATUS}
본 발명은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시광선과 원적외선의 방사를 순차적 혹은 동시적으로 방사시켜 생성된 양자공명 면역에너지를 이용하여 코로나 바이러스를 사멸시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환자를 치료하고, 인도발 델타변이 코로나 바이러스 및 검은 곰팡이증의 신속한 치료를 개인 가정 혹은 병원에서 치료하고 그 자료를 정부기관컴퓨터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가시광선 방사장치 및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포함한 장치들을 개인 가정이나 혹은 병원에서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작하여 인체의 폐부위를 포함한 머리, 코,입,기관, 발바닥 부위 등에 가시광선과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되어 원격지에서 쉽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된 광 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광이나 빛이 인체의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 및 연구되어 왔다. 그리고 그 연구 결과로서 자외선은 살균작용을 하고 인체의 비타민 D 합성에 관여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고, 적외선은 온열 효과와 혈관 확장 효과를 제공하며, 원적외선은 인체의 세포 조직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태양광에 가장 가까운 가시광선은 결핵, 구루병, 괴혈병, 류머티스, 신경마비, 부종, 근육질환, 건선, 백반증, 암 등 다양한 병리 현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 및 보고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많은 종류의 정신병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가시광선 치료요법에는 환자에게 가시광선을 방사하기 위한 방사장치가 요구된다. 현재 가시광선 방사장치로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것은 탄소봉을 이용한 아크방전장치이다. 이 장치는 특히 탄소봉을 구성하는 카본의 종류에 따라 특정한 파장 대역의 가시광선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특정한 병리 현상에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현재 인도발 델타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료와 검은 곰팡이증의 치료를 위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병원외에 개인 가정에서도 쉽게 코로나 바이러스를 치료하고 치료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치료현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정부기관 컴퓨터를 통해 혹은 개인적으로도 확인 및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4-0085236(200.10.08)(발명의 명칭:다기능치료기를 구비한 온열치료기 자동침대)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원격지에서 환자가 편안하게 가시광선 방사장치와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통해 쉽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광융합 치료장치 및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방법을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 가시광선과 원적외선의 방사를 순차적 혹은 동시적으로 방사시켜 생성된 양자공명 면역에너지를 이용하여 코로나 바이러스를 사멸시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환자를 치료하고, 인도발 델타변이 코로나 바이러스 및 검은 곰팡이증의 신속한 치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광융합 치료장치 및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 가시광선 방사장치 및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포함한 장치들을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작하여 인체의 폐부위를 포함한 머리, 코,입,기관, 발바닥 부위 등에 가시광선과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된 광 융합파 치료장치 및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으로서, 개인 단말기(1-1,...,1-N), 병원컴퓨터(2-1,...,2-N), 및 정부기관 컴퓨터서버(3)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개인 가구(H-1,...,H-N)는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는 무선 통신장치(210)을 통해 개인 단말기(1-1,...,1-N)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병원 컴퓨터(2-1,...,2-N)는 상기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가 무선 통신장치를 통해 개인 단말기(1-1,...,1-N)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병원 컴퓨터(2-1,...,2-N)는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0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00)는 어플리케이션(APP)형태로 구비되어 개인 단말기(1-1,...,1-N)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고, 정부기관 컴퓨터서버(3)에도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원격지에서 각각 상기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를 통하여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를 받고 그 결과를 저장 및 관리하며, 치료결과 환자의 체온데이터를 표나 그래프형태로 제공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통신모듈을 통해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00)는
치료 데이터를 수집하는 치료 DATA 수집부(331),
치료시간을 관리하는 치료시간 관리부(332)
체온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신호 발생부(333),
완치상태를 판단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완치신호 발생부(334),
치료과정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치료정보 표시부(335),
치료결과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하거나 체온 정보를 표시하는 치료결과정보 그래프 표시 및 전송부(336),
치료과정에서 입력된 투입약물 또는 투입된 천연약물 정보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는 치료과정 입력정보 표시 및 전송부(337)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340),
회원성명 등 회원에 관련 치료정보를 저장/관리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341),
회원의 치료 횟수를 저장/관리하는 치료횟수 데이터베이스(342),
회원의 체온을 저장/관리하는 체온데이터베이스(343),
투입된 약물 또는 천연건강재료에 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약물투입 데이터베이스(344),
치료결과 정보를 사인파 그래프 및 막대 그래프 혹은 원형구분된 원그래프(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표시하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34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 환자의 치료를 위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와 단말기(개인 단말기 혹은 병원 컴퓨터 혹은 병원 단말기)간의 무선통신 연결상태를 체크하여 무선통신 연결되었으면, 회원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을 확인하는 제1 단계,
이후,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는 가동상태가 가동시작은 앱(300)을 통한 시작화면 버튼을 온시킴으로써 시작되고, 이후 사용자가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의 가동시작을 요청하면,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의 가동을 시작하여, 가시광선 및 원적외선 방사장치가 작동되어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에 눕혀진 환자의 특정부위에 광융합파 에너지를 방출하여 치료과정을 수행하는 제2 단계,
치료시간은 1시간마다 잠시 멈춤시간을 가진 후에 계속된다(S6). 각각의 과정이 끝나면 자동으로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기록하고 관리하게 된다. 기록된 환자의 체온은 그래프로도 표시되게 된다.
이후, 상기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는 일정시간마다 혹은 실시간으로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다고 체온이상이 감지되면 알람신호를 컴퓨터 서버(2-1,...,2-N) 혹은 개인단말기(1-1,...,1-N)에 앱(300)을 통해 전송하여 알람신호를 전송하여 응급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체온이상이 감지되지 않으면,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는 제어부에서 미리 프로그래밍된 대로 333 치료프로그램대로 기기의 가동시간을 1시간 단위로 작동시키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을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제 4 단계 이후 측정해야 할 혹은 입력해야할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시간(필요시 30초 내지 1분 혹은 설정된 시간동안 일시정지된 후 다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동안 일시정지했다가 다시 작동되도록 하되, 기기의 작동시간과 측정결과 데이터의 입력은 정해진 시간마다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며, 체온의 측정은 별도의 체온측정기를 통해 측정될 수 있고, 또는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에 체온측정장치(미도시)를 장착하여 체온을 측정한 후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측정된 체온 데이터는 숫자 뿐만 아니라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되어 정상체온에 도달하는지를 쉽게 관찰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의 작동전에 천연 약물이 투입된 경우에는 투입약물도 선택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투입된 약물은 모과 1중량%, 흑마늘 1중량%, 귤껍질 1중량%, 배즙 25중량%, 대추즙 5중량%, 설탕1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준비한다, 즉, 배를 착즙한 베이스에 모과, 흑마늘, 귤껍질, 대추즙, 설탕을 넣고 장시간 졸여주는 제1 단계,
이후, 사양꿀 22중량%, 벌꿀3 중량%를 상기 제1 단계에서 장기간 졸여진 물질에 가열없이 베이스로 깔아주는 제 2 단계, 및
이후, 도라지 9 중량%, 대추 7 중량%, 생강 3중량%, 도라지 가루 5 중량%, 흑삼 3 중량%, 산삼 5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이루어진 재료를 곱게 갈아 상기 제2 단계의 베이스와 함께 끓여서 완성하는 제3 단계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융합파 치료장치는 환자가 눕기 위한 침대와, 침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레일,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가시광선 방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침대의 타측에 제2 가이드 레일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는 원적외선 방사장치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장치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판과, 상기 원적외선 방사판에 열을 가하는 발열판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판은 원적외선 방사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금속판에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코팅되어 구성되어, 상기 발열판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방사판으로 인가되면 방사판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게 되며,
상기 가시광선 방사장치는 본체와 이 본체를 샤프트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봉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결합 봉은 샤프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본체도 결합 봉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본체는 내부가 중공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심 부분에는 아크 방전을 위한 전극으로서 채용된 2개의 탄소봉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본체의 전면에는 망사 구조로 된 덮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은 각각 단부 양쪽에 가시광선 방사장치가 구비되며, 중간부 양측에 3개의 가시광선 방사장치가 구비되며, 제2 가이드레일 단부 가시광선 방사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가이드레일 일측에는 바닥에 위치한 에너지공급장치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원적외선 방사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장치로부터 32가지의 무기물질로 도말된 블랙 디스크를 통하여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상기 복수개의 가시광선 방사장치의 탄소봉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을 융합한 광융합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시광선 방사장치 및 원적외선 방상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복합광선 즉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파동을 머리 부위(+양극)와 양발바닥 부위(-음극) 그리고 폐 중앙 부위의 명치 부위로부터 코입의 기관 부위 3종류의 방향에서 인체의 몸을 중심으로 복합광선의 파동을 3중 충돌시켜 조사하여 폐세포를 중심으로 하는 인체의 몸 전체 세포혈관이 심부 온열 상승작용을 일으켜 우리 몸 안에 있는 수분과 혈액을 강력하게 파동을 일으킴과 동시에 양자(+-)공명의 충돌을 일으켜 폐를 중심으로 폐세포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폐세포의 혈류량 증가 및 폐세포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시광선 방사장치 및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통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방사시간은 1일 3회 치료(회수), 식후 하루 3회 치료, 1일 3시간 치료, 1회 치료 시간은 1시간 정도, 3일 연속치료(총 치료시간)를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인체 조사범위와 전극은, 조사범위[음극-)] 우측발바닥, 좌측 발바닥이고, 조사범위 우측폐 및 조사범위 좌측폐, 중앙폐(명치), 코, 입,기관(목) 폐상부가 방사장치가 위치하며, [조사범위(양극(+)] 머리부위에도 원적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는 폐의 치료효과를 발생하는 3중 충돌의 복합광선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로서, 회오리 파장 효과인 볼텍스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광융합파 치료장치 및 광융합 양자공명 에너지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방법에 의하면, 환자가 편안하게 누워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침대와 가시광선 방사장치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고, 가시광선 방사장치의 가시광선 방사 위치와 방사 각도를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편안하게 가시광선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광선과 원적외선의 방사를 순차적 혹은 동시적으로 방사시켜 생성된 양자공명 면역에너지를 이용하여 코로나 바이러스를 사멸시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환자를 치료하고, 인도발 델타변이 코로나 바이러스 및 검은 곰팡이증의 신속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시광선 방사장치 및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포함한 장치들을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작하여 인체의 폐부위를 포함한 머리, 코,입,기관, 발바닥 부위 등에 가시광선과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외관 형상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시광선 방사장치(30)를 정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A로 표시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외관 형상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에서 광융합 양자공명 에너지의 볼텍스 효과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에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인체조사범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에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폐세포 치료 방법의 일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에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폐세포 섬유화 치료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에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에 의한 코로나 바이러스 사멸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6의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통한 폐세포 섬유화 치료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6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통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에 의한 완치된 몸 전체 상태 면역 활성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6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에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폐세포 치료 방법을 통해 완치된 폐의 상태의 일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의 병원컴퓨터에 구체적인 블럭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도 16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의 병원컴퓨터 디스플레이장치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외관 형상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시광선 방사장치(30)를 정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A로 표시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외관 형상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 바이오 치료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바이오 치료장치는 환자가 편안하게 누워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침대(10)가 구비된다. 이 침대(10)는 통상의 것과 마찬가지로 지지대(11)와 매트(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매트(10)는 바람직하게는 상반부를 상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의 것이 채용된다.
상기 지지대(11)의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20)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 레일(20)에는 가시광선을 방사하기 위한 가시광선 방사장치(30)가 결합된다. 도 2는 가시광선 방사장치(30)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가시광선 방사장치(30)는 본체(31)와 이 본체(31)를 샤프트(4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봉(3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결합 봉(32)은 샤프트(4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샤프트(40)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31)도 결합 봉(3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본체(31)는 내부가 중공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심 부분에는 2개의 탄소봉(3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들 탄소봉(311)은 아크 방전을 위한 전극으로서 채용된 것이다. 그리고 본체(31)의 전면에는 망사 구조로 된 덮개(312)가 설치된다.
도 3은 도 1에 A로 표시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서 가이드 레일(20)에는 가이드홈(21)이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20)의 양단에는 롤러(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판(22)이 결합된다. 가이드 레일(20)은 예컨대 알루미늄(AL) 등과 같이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재질로 구성된다. 이 가이드 레일(20)은 예컨데 볼트 및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지지대(20)의 양측에 체결된다.
롤러(50)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롤러블록(51)과 이 롤러블록(51)의 적어도 3개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베어링(5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52)은 롤러블록(5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롤러(50)를 가이드 레일(20)에 구비된 가이드홈(21)에 삽입하여 설치하게 되면 롤러(50)의 각 면에 구비된 다수의 베어링(52)에 의해 롤러(50)가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좌우로 자유롭게 이송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광 바이오 치료장치는 환자가 매트(12) 위에 눕게 되면 의사나 치료 보조사는 가시광선을 방사할 인체의 부위에 대응하여 우선적으로 샤프트(40)를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샤프트(40)의 수직 방향을 따라 가시광선 방사장치(30)의 높이를 적절하게 설정함과 더불어 본체(31)의 방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인체의 정확한 부위에 가시광선이 방사될 수 있도록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원적외선 치료장치는 환자가 침대(10)에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신체의 적정한 부위에 가시광선을 안정적으로 방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광 바이오 치료장치에 가시광선 방사장치(30)만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가시광선 방사장치(30)와 더불어 원적외선 방사장치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 바이오 치료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에서 상술한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있어서는 침대(10)의 타측, 즉 가이드 레일(20)과 대향하는 측면에 다른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여기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샤프트(110)가 구비된다. 샤프트(110)의 결합 방식은 가이드 레일(20)에 대한 샤프트(40)의 결합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샤프트(110)에는 원적외선 방사장치(120)가 결합된다. 원적외선 방사장치(120)는 본체(121)와 원적외선 방사장치(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22) 및, 제어부(122)와 본체(121)를 연결하는 링크(12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체(121)는 링크(1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본체(121)는 내측에 원판 형상의 방사판이 설치되고, 방사판의 내측에는 발열판이 설치된다. 방사판은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나, 또는 철 등의 금속판에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코팅되어 구성된다. 본체(121)는 발열판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방사판으로 인가되면 방사판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광융합 치료장치는 가시광선과 더불어 원적외선을 병용하여 환자에 대해 광치료를 실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과적인 광융합 에너지를 이용한 치료가 가능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에서 광융합 양자공명 에너지의 볼텍스 효과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에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인체조사범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에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폐세포 치료 방법의 일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에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폐세포 섬유화 치료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에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에 의한 코로나 바이러스 사멸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6의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통한 폐세포 섬유화 치료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6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통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에 의한 완치된 몸 전체 상태 면역 활성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6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에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폐세포 치료 방법을 통해 완치된 폐의 상태의 일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폐섬유화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섬유증을 단계적으로 치료하여 증상을 완화 시킬 뿐만 아니라 완치시킬 수 있게 된다.
32가지의 무기물질로 도말된 블랙 디스크를 통하여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탄소봉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을 융합한 복합광선의 파동을 “광융합파(Photo-convergence wave)”라고 한다.
이러한 광융합파를 코로나 확진자 인체에 첫째로 머리 부위(+양극)와 둘째로 양발바닥 부위(-음극)그리고 셋째로 폐 중앙 부위의 명치 부위로부터 코,입의기관 부위 3종류의 방향에서 인체의 몸을 중심으로 광융합파의 파동을 3중 충돌시켜 조사를 하여 주면 폐세포를 중심으로 하는 인체의 몸 전체 세포혈관이 심부 온열 상승작용을 일으켜 우리 몸안에 있는 수분과 혈액을 강력하게 파동을 일으킴과 동시에 양자(+-)공명의 충돌을 일으킨다.그리하여 폐를 중심으로 폐세포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폐세포의 혈류량 증가 및 폐세포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도 10 참조).
한편, 이러한 광융합파를 코로나 치료파(K-Rays)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출원인이 정의하는 코로나 치료파{K-Rays}에는 K-Ray alpha와 K-Ray Beta의 두가지 종류가 있다. K-Ray Alpha는 코로나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310)의 변성 효과가 있으며 일명 Corona Stealth Missile Alpha라고도 한다. K-Ray Beta는 코로나 바이러스 지질 이중층막(320) 분해 효과가 있으며 일명 Corona Stealth Missile Beta라고 한다. 이 두가지의 효과를 융합하면 “코로나 바이러스 사멸 원리”가 창출된다. 이와 같은 치료효과의 예상 혹은 예측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선 및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포함한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이다.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인체 조사범위(해부도)를 참고해보면, 조사범위[음극-)] 우측발바닥, 좌측 발바닥이고, 조사범위 우측폐 및 조사범위 좌측폐, 중앙폐(명치), 코, 입,기관(목) 폐상부에 방사장치가 위치하며, [조사범위(양극(+)] 머리부위에도 원적외선이 조사된다.
이때, 이러한 폐세포의 치료효과를 발생하는 3중 충돌의 복합광선 에너지를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라고 한다(도 5 내지 도 10 참조).
아울러 3중 충돌의 복합광선 에너지의 회오리 파장 효과를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볼텍스 효과라고 한다(도 7 참조).
이러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는 무서운 중증 폐렴을 야기하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파괴하는 물질로서의 역할을 한다(도 9 및 도 10참조).
본 발명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법칙(法則)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법칙으로는 폐세포 혈관 확장의 법칙, 제2법칙으로는 폐세포 혈류량 증가의 법칙, 제3법칙으로는 폐세포 혈액순환 촉진의 법칙, 제4법칙으로는 폐세포 혈액온도 상승의 법칙, 제5법칙으로는 폐세포 섬유화 억제의 법칙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볼텍스 효과(效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효과로는 코로나 바이러스 인체내 감염 예방의 효과, 제2효과로는 코로나 바이러스 인체내 생성 억제의 효과, 제3효과로는 코로나 바이러스 인체내 증식 파괴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파급 효과를 살펴보면, 기침과 발열 증세 억제, 호흡 곤란ㆍ호흡 장애 억제효과가 있고, 혈액 응고ㆍ섬유화 억제효과가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인도발 초강력 델타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신속한 치료 해법 제시를 통한 치료효과가 예상되며, 검은 곰팡이증의 신속한 치료효과가 예상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광융합 치료장치(200)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침대 매트리스 하부에 위치한 에너지공급장치(40-1 혹은 40-2)를 통해 원적외선 방사장치(30-1 혹은 30-2)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며, 기타 가시광선 공급장치는 지지대에 연결된 제어장치를 통해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작동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조부호 12-1,12-2,12-3,12-4,12-5,12-6은 가시광선 공급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볼텍스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사람은 침대 매트위에 대기하고 있다가, 치료가 시작되기 전 적당한 위치에 눕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볼텍스 치료효과 단면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음극 N극과 양극 S극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의료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나타나는 볼텍스 치료 과정에서의 파장이 특히 폐중심으로 강하게 융합하여 나타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화살표는 7개의 방사장치에서 출력되는 파장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머리와 발바닥부분의 방사장치에 90도 방향으로 원적외선이 나오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폐세포 치료 원리를 구체적으로 신체 내부 장기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원문자 1번부터 7번까지, 차례대로 머리부위, 코,입,기관(목) 폐상부, 중앙폐(명치), 좌측 폐, 우측 폐, 우측 발바닥, 좌측 발바닥에 각각 원적외선과 가시광선이 조사되어 볼텍스 효과와 광융합 양자공명 에너지로서 작용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의료장치의 폐세포 치료 방법의 일예로서,
매트위에 누워있는 사람의 신체 특정부위별로 원적외선과 가시광선(특히 폐부분)을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조사하게 된다.
도 9와 유사하게, 원문자 1번부터 7번까지, 차례대로 머리부위, 코,입,기관(목) 폐상부, 중앙폐(명치), 좌측 폐, 우측 폐, 우측 발바닥, 좌측 발바닥(1~7)에 각각 원적외선과 가시광선이 조사되어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볼텍스 효과가 사람의 신체 부위에 작용하게 된다.
도 11은 코로나 바이러스 구조의 개념도로서, 코로나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310) 부분과 코로나 바이러스 지질이중측막(320)이 표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에 의한 코로나 바이러스 사멸원리를 도식적으로 볼 수있다.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110,110-1,110-2)가 조사되면 1단계 분해 및 수축, 2단계 분해 및 수축, 3단계 분해 및 수축을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라지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폐세포 섬유화 치료 원리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통해 치료를 시작하게 되면, 특정 부분으로 원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이 침투하여 치료하게 되는데, 특히, 우폐심부 7cm 투과-->우 폐세포를 활성화하고, 좌폐심부 7cm 투과 --> 좌 폐세포를 활성화하고, 기관지 심부 7cm 투과--> 기관지 세포를 활성화한다. 도 13에서 각각 화살표를 통하여 광융합 양자공명 에너지의 침투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에 의한 완치된 몸 전체 상태의 면역활성화 상태를 볼 수 있는데,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된 몸 상태와 코로나 바이러스가 완치된 몸 상태를 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에 의한 완치된 폐의 상태를 볼 수 있는데,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된 폐 상태와 코로나 바이러스가 완치된 폐 상태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료 효과가 다양하게 나타낸다. 즉, 폐세포 섬유화 혈관의 확장효과와, 폐세포 섬유화 혈류량의 증가효과와, 폐세포 섬유화 혈액순환의 촉진효과와, 폐세포 섬유화 혈액온도의 상승효과와, 폐세포 섬유화의 항염 효과가 나타난다.
한편, 본 발명의 도 5 및 도 6의 실시 예에서 원적외선 방사장치 및 가시광선 방사장치는 다수개가 머리와 발부분 배 심장 부분마다 복수개가 설치되어 광융합 양자공명 에너지로 인한 면역 효과가 제공되며, 특히 가시광선 방사장치가 폐부분에 집중적으로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가시광선이 조사되도록 배치한 점에서 폐세포 치료효과에 적절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도발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와 검은 곰팡이증에도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방법에서 제공하는 333+7 코로나 조기 치료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1일 3회 치료(회수)-->식후 하루 3회 치료, 1일 3시간 치료(치료시간)-->1회 치료 시간은 1시간 정도, 3일 연속치료(총 치료시간), 입원후 4일차 ~6일차에는 양성에서 음성으로 완치 진단 검사, 7일차에는 퇴원 준비(4일차~6일차에도 동일한 치료를 받음)를 한다.
상기 333+7 코로나 조기 치료 프로그램 파급효과를 살펴보면,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 입원 환자의 병실문제 해결, 코로나 바이러스 자가격리 환자의 가정 내 감염 전파 해결, 코로나 바이러스 경증 확진 입원 환자의 조기 완치 치료 퇴원, 코로나 바이러스 중증 확진 입원 환자의 치료율 증가, 코로나 바이러스 위중 확진 입원 환자의 치사율 감소가 있다.
이하 표 1를 통해보면, 본 발명의 광융합파 치료장치와 타 장치를 통한 치료효과를 비교한 비교표이다.
구분 렘데시비르 광융합파치료장치 차이점
국가 미국 한국 제조국가
평균 치료기간 30일 3일~5일 3일~5일 치료 가능(신속한 치료 효과)
코로나 바이러스 사멸효과 불가능 가능 근원적 치료 효과
환자 경증환자 불가능 가능 특히 무증상 확진자와 경증환자 치료에 탁월
중증,위중환자 치료에 렘데시비르보다 탁월
중증환자 가능 가능
위중환자 가능 가능
부작용 가능 불가능 부작용 ZERO
어린이,청소년(18세 미만)코로나 확진자 치료 불가능 가능 세계 최초의 어린이,청소년 코로나 확진자치료파
이하 표 2를 통해보면, 본 발명의 광융합파 치료장치와 코로나 치료제를 통한 치료효과를 비교한 비교표이다.
구분 셀트리온 광융합파 치료장치 차이점
핵심역량 감염초기에 치료제 투여해 중증으로의 진행을 얼마나 예방했느냐가 핵심 무증상과 경증 확진자중증 입원환자
위중 입원환자
감염초기 확진자
입원 중인 중증 및 위중환자에게도 효과
평균 치료기간 5일 이상 3~5일 이내 5일 이내 치료 가능(무증상 확진자와 경증 환자 기준)
코로나 바이러스 사멸효과 불가능 가능 근원적 치료 효과
환자 경증환자 가능 가능 특히 무증상 확진자와 경증환자 치료에 탁월
위중 환자 치료 가능
중증환자 가능 가능
위중환자 불가능 가능
부작용 가능 불가능 부작용 ZERO
어린이,청소년(12세 미만)코로나 확진자 치료 불가능 가능 세계 최초의 어린이,청소년 코로나 확진자 치료파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편안하게 가시광선 방사장치와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통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광선과 원적외선의 방사를 순차적 혹은 동시적으로 방사시켜 생성된 광융합파 양자공명에너지를 이용하여 코로나 바이러스를 사멸시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환자를 치료하고, 인도발 델타변이 코로나 바이러스 및 검은 곰팡이증의 신속한 치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광선 방사장치 및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포함한 장치들을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작하여 인체의 폐부위를 포함한 머리, 코,입,기관, 발바닥 부위 등에 가시광선과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의 병원컴퓨터에 구체적인 블럭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8은 도 16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의 병원컴퓨터 디스플레이장치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6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개념도로서, 개인 단말기(1-1,...,1-N), 병원컴퓨터(2-1,...,2-N), 및 정부기관 컴퓨터서버(3)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참조부호 H-1,...,H-N은 가정 혹은 개인가구의 예를 나타낸. 한편, 상기 개인 가구(H-1,...,H-N)는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는 무선 통신장치(예,블루투스, 이에 한정되지 않음)(210)을 통해 개인 단말기(1-1,...,1-N)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병원 컴퓨터(2-1,...,2-N)는 상기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가 무선 통신장치(예,블루투스, 이에 한정되지 않음)(210)을 통해 개인 단말기(1-1,...,1-N)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병원 컴퓨터(2-1,...,2-N)는 후술하는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00)는 어플리케이션(APP)형태로 구비되어 개인 단말기(1-1,...,1-N)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고, 정부기관 컴퓨터서버(3)에도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0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통신모듈(320)을 통해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333 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00)는 개인 단말기(1-1,...,1-N)에 설치가능하며, 이때는 개인 단말기(1-,...,10N)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정부기관 컴퓨터 서버(3)에 설치된 경우에는 정부기관 컴퓨터 서버(3)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것이다.
상기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00)는
치료 데이터를 수집하는 치료 DATA 수집부(331),
치료시간을 관리하는 치료시간 관리부(332)
체온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신호 발생부(333),
완치상태를 판단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완치신호 발생부(334),
치료과정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치료정보 표시부(335),
치료결과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하거나 체온 정보를 표시하는 치료결과정보 그래프 표시 및 전송부(336),
치료과정에서 입력된 투입약물 또는 투입된 천연약물 정보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는 치료과정 입력정보 표시 및 전송부(337),
데이터베이스관리부(340),
회원성명 등 회원에 관련 치료정보를 저장/관리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341),
회원의 치료 횟수를 저장/관리하는 치료횟수 데이터베이스(342),
회원의 체온을 저장/관리하는 체온데이터베이스(343),
투입된 약물 또는 천연건강재료에 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약물투입 데이터베이스(344),
치료결과 정보를 사인파 그래프 및 막대 그래프 혹은 원형구분된 원그래프(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표시하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345)를 포함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병원 컴퓨터(2-1,...,2-N)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된 결과화면(S-10)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개인 사진과 성명, 치료장치 명칭이 표시되며, C로 표시된 버튼은 개인정보 수정용 버튼을 나타낸다. 화면 우측 상단에 참조부호 H 는 홈버튼 P는 프린트용 버튼을 나타낸다.
또한, 결과화면(S-10)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를 위한 투여약:천연 약물투입 1일,2일,3일차의 약물투입표가 o,x로 도시되며, 체온의 변화를 사인파 그래프와 막대그래프로 표시한 체온변화표가 도시되며, 1일부터 7일까지의(이에 제한되지 않음)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치료횟수(1시간치료)를 o,x로 표시하며, 1일 부터 7일 까지의(이에 제한되지 않음)의 체온변화를 표시하는 체온변화표가 도시된다. 각각의 표의 우측에 표시된 참조부호 T는 표의 전송여부를 선택하는 버튼이며, 원하는 병원 또는 원하는 전화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치료는 1일 1시간 3회로 7일간 변화를 관찰하여 기록하지만 날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별도로 설정가능하다. 치료 3일 후에 완치여부를 판단하여 결과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후 과정은 안정적인 치료를 위한 계속 치료 과정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를 가정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병원에 입원하여 병원에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각각의 경우에 회원 로그인 과정을 진행한다(S2). 이 과정에서 치료 받은 개인의 성명, 기타 정보를 입력하고, 이후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의 사용시 필요한 앱(300)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에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입력데이터의 입력도 가능하며, 저장된 데이터의 확인 및 전송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로그인(S2)과정은 치료를 위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와 단말기(개인 단말기 혹은 병원 컴퓨터 혹은 병원 단말기)간의 무선통신 연결상태를 체크하여 무선통신 연결되었으면, 회원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이후,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는 가동상태가 가동시작은 앱(300)을 통한 시작화면(미도시)에서 시작(미도시) 버튼을 온시킴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한편,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의 작동전에 천연 약물이 투입된 경우에는 투입 했다는 표시로서 예라고 입력할 수 있고, 투입약물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미도시, 투입약물 성분은 이하에 설명된다). 이후 사용자가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의 가동시작을 요청하면,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의 가동을 시작하여, 가시광선 및 원적외선 방사장치가 작동되어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에 눕혀진 환자의 특정부위에 광융합파 에너지를 방출하여 치료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치료시간은 1시간마다 잠시 멈춤시간을 가진 후에 계속된다(S6). 각각의 과정이 끝나면 자동으로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기록하고 관리하게 된다. 기록된 환자의 체온은 그래프로도 표시되게 된다.
상기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는 일정시간마다 혹은 실시간으로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다고 체온이상(급격한 체온상승이 발견되면, 예를 들어, 39.5℃, 40.0℃,40.5 ℃,41,0℃등의 온도가 감지되면 알람신호를 컴퓨터 서버(2-1,...,2-N) 혹은 개인단말기(1-1,...,1-N)에 앱(300)을 통해 전송하고(S12), 그 체온 기록도 별도로 관리할 수 있고, 필요시 알람신호를 전송하여 응급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병원에서는 병원컴퓨터(2-1,...,2-N)를 작동시켜 앱(300)을 가동시키고 연결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을 가동시킨다. 즉,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를 작동시키고, 병원컴퓨터(2-1,..,2-N)과 무선통신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혹은 병원에서도 병원관계자가 병원단말기를 통해 앱(300)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작동시켜 이후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가정에서는 개인단말기(1-1,...,1-N)에 앱(300)을 다운로드 시켜 가동시키고, 이후 가정에 설치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를 작동시키고, 개인단말기(1-1,..,1-N)과 무선통신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한편,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는 제어부에서 미리 프로그래밍된 대로 333 치료프로그램대로 기기의 가동시간을 1시간 단위로 작동시킨 후 측정해야할 혹은 입력해야할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시간(필요시 30초 내지 1분 혹은 설정된 시간동안 일시정지된 후 다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동안 일시정지했다가 다시 작동되도록 한다. 기기의 작동시간과 측정결과 데이터의 입력은 정해진 시간마다 계속 이루어지도록 한다. 체온의 측정은 별도의 체온측정기를 통해 측정될 수 있고, 또는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에 체온측정장치(미도시)를 장착하여 체온을 측정한 후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측정된 체온 데이터는 숫자 뿐만 아니라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되어 정상체온에 도달하는지를 쉽게 관찰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를 통한 치료과정에서 투여약으로서 천연 약물이 투입될 수 있는데, 투입되는 천연약의 성분을 예시적으로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즉, 투입된 약물(일명 K-Rays 산삼 꿀청)의 레시피는 다음과 같은 물질을 포함한다, 1.산삼(즙)(금강산 줄기 12년근), 2.흑삼(즙), 3.홍삼(즙), 4.흑마늘(남해섬 지배), 5.도라지(즙), 6.생강(즙), 7.배(즙), 8.사과(즙), 9.모과(즙), 10.귤(즙), 11.대파 뿌리 부위(즙), 12.새싹(즙), 13.해바라기 씨(갊), 14.녹차잎(제주산), 15.설탕, 16.벌꿀(제주산)이 적어도 2개 이상 포함된 물질이다.
또한, 기본적으로 상기 투입된 약물은 산삼,흑삼,홍삼,흑마늘,도라지, 생강.대파(7종류)와, 열매 종류:배,사과,모과,귤(4가지), 싹 종류: 새싹(1가지), 잎 종류: 녹차잎(1가지), 씨 종류: 해바라기(1가지)를 포함하는 16가지 물질을 포함한 레시피로 이루어진다.
투입 약물의 제조과정
(실시예)
1.모과 1중량%, 흑마늘 1중량%, 귤껍질 1중량%, 배즙 25중량%, 대추즙 5중량%, 설탕1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준비한다, 즉, 배를 착즙한 베이스에 모과, 흑마늘, 귤껍질, 대추즙, 설탕을 넣고 장시간 졸여준다.(제1 단계)
2. 이후, 사양꿀 22중량%, 벌꿀3 중량%를 상기 제1 단계에서 장기간 졸여진 물질에 가열없이 베이스로 깔아준다(제2 단계)
3. 이후, 도라지 9 중량%, 대추 7 중량%, 생강 3중량%, 도라지 가루 5 중량%, 흑삼 3 중량%, 산삼 5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이루어진 재료를 곱게 갈아 상기 제2 단계의 베이스와 함께 끓여서 완성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에 의하면, 환자가 편안하게 누워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침대와 가시광선 방사장치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고, 가시광선 방사장치의 가시광선 방사 위치와 방사 각도를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환자가 편안하게 가시광선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에 의하면, 원격지에서 가시광선과 원적외선의 방사를 순차적 혹은 동시적으로 방사시켜 생성된 양자공명 면역에너지를 이용하여 코로나 바이러스를 사멸시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환자를 치료하고, 인도발 델타변이 코로나 바이러스 및 검은 곰팡이증의 신속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융합파 치료장치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에 의하면, 원격지에서 가시광선 방사장치 및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포함한 장치들을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작하여 인체의 폐부위를 포함한 머리, 코,입,기관, 발바닥 부위 등에 가시광선과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침대, 11: 매트,
12: 지지대, 20: 가이드 레일,
21: 가이드홈, 22: 이탈방지 판,
30,30-1,30-2: 가시광선 방사장치, 40: 샤프트,
40-1,40-2: 에너지 공급장치
50: 롤러
120-1,...,120-6: 원적외선 방사장치
200: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광융합파 치료장치
330: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

Claims (12)

  1.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으로서, 개인 단말기(1-1,...,1-N), 병원컴퓨터(2-1,...,2-N), 및 정부기관 컴퓨터서버(3)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개인 가구(H-1,...,H-N)는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는 무선 통신장치(210)을 통해 개인 단말기(1-1,...,1-N)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병원 컴퓨터(2-1,...,2-N)는 상기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가 무선 통신장치를 통해 개인 단말기(1-1,...,1-N)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병원 컴퓨터(2-1,...,2-N)는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0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00)는 어플리케이션(APP)형태로 구비되어 개인 단말기(1-1,...,1-N)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고, 정부기관 컴퓨터서버(3)에도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원격지에서 각각 상기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를 통하여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를 받고 그 결과를 저장 및 관리하며, 치료결과 환자의 체온데이터를 표나 그래프형태로 제공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통신모듈을 통해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333치료 프로그램 저장부(300)는
    치료 데이터를 수집하는 치료 DATA 수집부(331),
    치료시간을 관리하는 치료시간 관리부(332)
    체온이상이 발생한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신호 발생부(333),
    완치상태를 판단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완치신호 발생부(334),
    치료과정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치료정보 표시부(335),
    치료결과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하거나 체온 정보를 표시하는 치료결과정보 그래프 표시 및 전송부(336),
    치료과정에서 입력된 투입약물 또는 투입된 천연약물 정보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는 치료과정 입력정보 표시 및 전송부(337)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부(340),
    회원성명 등 회원에 관련 치료정보를 저장/관리하는 회원 데이터베이스(341),
    회원의 치료 횟수를 저장/관리하는 치료횟수 데이터베이스(342),
    회원의 체온을 저장/관리하는 체온데이터베이스(343),
    투입된 약물 또는 천연건강재료에 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약물투입 데이터베이스(344),
    치료결과 정보를 사인파 그래프 및 막대 그래프 혹은 원형구분된 원그래프(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표시하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345)를 포함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 시스템.
  3. 코로나 바이러스 환자의 치료를 위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와 단말기(개인 단말기 혹은 병원 컴퓨터 혹은 병원 단말기)간의 무선통신 연결상태를 체크하여 무선통신 연결되었으면, 회원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을 확인하는 제1 단계,
    이후,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는 가동상태가 가동시작은 앱(300)을 통한 시작화면 버튼을 온시킴으로써 시작되고, 이후 사용자가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의 가동시작을 요청하면,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의 가동을 시작하여, 가시광선 및 원적외선 방사장치가 작동되어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에 눕혀진 환자의 특정부위에 광융합파 에너지를 방출하여 치료과정을 수행하는 제2 단계,
    치료시간은 1시간마다 잠시 멈춤시간을 가진 후에 계속된다(S6). 각각의 과정이 끝나면 자동으로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기록하고 관리하게 된다. 기록된 환자의 체온은 그래프로도 표시되게 된다.
    이후, 상기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는 일정시간마다 혹은 실시간으로 환자의 체온을 측정하다고 체온이상이 감지되면 알람신호를 컴퓨터 서버(2-1,...,2-N) 혹은 개인단말기(1-1,...,1-N)에 앱(300)을 통해 전송하여 알람신호를 전송하여 응급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체온이상이 감지되지 않으면, 광융합파 치료장치(200)는 제어부에서 미리 프로그래밍된 대로 333 치료프로그램대로 기기의 가동시간을 1시간 단위로 작동시키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을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4 단계 이후 측정해야 할 혹은 입력해야할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시간(필요시 30초 내지 1분 혹은 설정된 시간동안 일시정지된 후 다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동안 일시정지했다가 다시 작동되도록 하되, 기기의 작동시간과 측정결과 데이터의 입력은 정해진 시간마다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며, 체온의 측정은 별도의 체온측정기를 통해 측정될 수 있고, 또는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에 체온측정장치(미도시)를 장착하여 체온을 측정한 후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제1항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을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체온 데이터는 숫자 뿐만 아니라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되어 정상체온에 도달하는지를 쉽게 관찰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을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광융합파 치료장치(200)의 작동전에 천연 약물이 투입된 경우에는 투입약물도 선택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을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투입된 약물은
    모과 1중량%, 흑마늘 1중량%, 귤껍질 1중량%, 배즙 25중량%, 대추즙 5중량%, 설탕1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준비한다, 즉, 배를 착즙한 베이스에 모과, 흑마늘, 귤껍질, 대추즙, 설탕을 넣고 장시간 졸여주는 제1 단계,
    이후, 사양꿀 22중량%, 벌꿀3 중량%를 상기 제1 단계에서 장기간 졸여진 물질에 가열없이 베이스로 깔아주는 제 2 단계, 및
    이후, 도라지 9 중량%, 대추 7 중량%, 생강 3중량%, 도라지 가루 5 중량%, 흑삼 3 중량%, 산삼 5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이루어진 재료를 곱게 갈아 상기 제2 단계의 베이스와 함께 끓여서 완성하는 제3 단계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을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융합파 치료장치는 환자가 눕기 위한 침대와, 침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레일,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가시광선 방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침대의 타측에 제2 가이드 레일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는 원적외선 방사장치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장치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판과, 상기 원적외선 방사판에 열을 가하는 발열판을 구비하며,
    상기 방사판은 원적외선 방사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금속판에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코팅되어 구성되어, 상기 발열판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방사판으로 인가되면 방사판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게 되며,
    상기 가시광선 방사장치는 본체와 이 본체를 샤프트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봉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결합 봉은 샤프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본체도 결합 봉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본체는 내부가 중공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중심 부분에는 아크 방전을 위한 전극으로서 채용된 2개의 탄소봉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본체의 전면에는 망사 구조로 된 덮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은 각각 단부 양쪽에 가시광선 방사장치가 구비되며, 중간부 양측에 3개의 가시광선 방사장치가 구비되며, 제2 가이드레일 단부 가시광선 방사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가이드레일 일측에는 바닥에 위치한 에너지공급장치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되는 원적외선 방사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장치로부터 32가지의 무기물질로 도말된 블랙 디스크를 통하여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상기 복수개의 가시광선 방사장치의 탄소봉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을 융합한 광융합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 방사장치 및 원적외선 방상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복합광선 즉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파동을 머리 부위(+양극)와 양발바닥 부위(-음극) 그리고 폐 중앙 부위의 명치 부위로부터 코입의 기관 부위 3종류의 방향에서 인체의 몸을 중심으로 복합광선의 파동을 3중 충돌시켜 조사하여 폐세포를 중심으로 하는 인체의 몸 전체 세포혈관이 심부 온열 상승작용을 일으켜 우리 몸 안에 있는 수분과 혈액을 강력하게 파동을 일으킴과 동시에 양자(+-)공명의 충돌을 일으켜 폐를 중심으로 폐세포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폐세포의 혈류량 증가 및 폐세포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 방사장치 및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통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방사시간은 1일 3회 치료(회수), 식후 하루 3회 치료, 1일 3시간 치료, 1회 치료 시간은 1시간 정도, 3일 연속치료(총 치료시간)를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의 인체 조사범위와 전극은, 조사범위[음극-)] 우측발바닥, 좌측 발바닥이고, 조사범위 우측폐 및 조사범위 좌측폐, 중앙폐(명치), 코, 입,기관(목) 폐상부가 방사장치가 위치하며, [조사범위(양극(+)] 머리부위에도 원적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는 폐의 치료효과를 발생하는 3중 충돌의 복합광선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로서, 회오리 파장 효과인 볼텍스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 시스템.
KR1020210116396A 2021-09-01 2021-09-01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 KR20230033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396A KR20230033777A (ko) 2021-09-01 2021-09-01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
PCT/KR2021/011885 WO2023033207A1 (ko) 2021-09-01 2021-09-02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396A KR20230033777A (ko) 2021-09-01 2021-09-01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777A true KR20230033777A (ko) 2023-03-09

Family

ID=8541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396A KR20230033777A (ko) 2021-09-01 2021-09-01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3777A (ko)
WO (1) WO2023033207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309A (ko) * 2011-10-11 2013-04-19 김선미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6845009B2 (ja) * 2013-03-15 2021-03-17 ケアウェア コーポレイション 光及び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デバイス
KR20150130108A (ko) * 2014-05-13 2015-11-23 주식회사 위텔레콤 온라인을 통한 개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방법
JP6581942B2 (ja) * 2015-05-22 2019-09-25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入力部材、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中継装置及び入力部材の送信方法
KR101739653B1 (ko) * 2015-09-25 2017-05-24 이상엽 광 바이오 치료장치
KR101953156B1 (ko) * 2018-11-15 2019-02-28 임하리 홍채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207A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loyd et al. Clinical experience of stereotactic body radiation for refractory ventricular tachycardia in advanced heart failure patients
Hyman et al. Conscious sedation versus general anesthesia for transcatheter aortic valve replacement: insights from the national cardiovascular data registry society of thoracic surgeons/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transcatheter valve therapy registry
Shui et al. RETRACTED: Far-infrared therapy for cardiovascular, autoimmune, and other chronic health problems: A systematic review
Hodge et al. Feasibility report of image guided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IG-SBRT) with tomotherapy for early stage medically inoperable lung cancer using extreme hypofractionation
Scorsetti et al.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for abdominal targets using volumetric intensity modulated arc therapy with RapidArc: feasibility and clinical preliminary results
Lee et al. Cardiac stereotactic ablative radiotherapy for control of refractory ventricular tachycardia: initial UK multicentre experience
Joyner et al.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for centrally located lung lesions
Wilcock et al. Randomised, placebo controlled trial of nebulised furosemide for breathlessness in patients with cancer
KR20230033777A (ko)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
Lai et al. Intravascular laser irradiation of blood improves functional independence in subacute post-stroke patient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from a post-stroke acute care center in Taiwan
KR20230037265A (ko) 스마트워치를 통한 코로나 바이러스 환자의 체온전송이 가능한 광융합파 치료장치,시스템 및 방법
US201703125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lieving high blood sugar factor of diabetes
Lo et al.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for early-stage non-small-cell lung cancer
Di Monaco et al. Linear accelerator–based stereotactic arrhythmia radioablation for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in elderly: a prospective phase II trial
KR20230033435A (ko) 광융합파 치료장치 및 양자공명 면역 에너지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방법
KR20230117023A (ko) 잠자면서 살빠지는 기능을 가진 홈케어 스마트 침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Mc Parland et al. Deep Inspiration Breath Hold for left-sided breast cancer: experience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Nien et al. Total skin treatment with Helical arc radiotherapy
Corrà et al. Revisiting a Prognosticating Algorithm from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ing in Chronic Heart Failure (from the MECKI Score Population)
Ackerson et al. Recumbent total skin electron beam therapy
Pilling et al. Non-invasive cardiac radioablation for ventricular Tachycardia
TWI622416B (zh) Diabetes soothing system
Macchia et al. New technologies and multidisciplinarity as strategic factors to cope with challenges in postmastectomy breast cancer radiation therapy
Harari et al. Empowering the Role of Nurse Triage in Radiation Oncology–A Single Center Analysis
Wang et al. Modern technology for acupuncture research: a short review from the Medical University of Gra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