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047A -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047A
KR20230033047A KR1020210113023A KR20210113023A KR20230033047A KR 20230033047 A KR20230033047 A KR 20230033047A KR 1020210113023 A KR1020210113023 A KR 1020210113023A KR 20210113023 A KR20210113023 A KR 20210113023A KR 20230033047 A KR20230033047 A KR 20230033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t
heat source
temperature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044B1 (ko
Inventor
유정곤
Original Assignee
유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곤 filed Critical 유정곤
Priority to KR102021011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0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0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in which the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takes place by means of a heat-pump or by means of a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D15/04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2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2005/005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receiving heat-exchange fluid from a closed circuit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02System or Device comprising a heat pump as a subsystem, e.g. combined with humidification/dehumidification, heating, natural energy or with hybrid system
    • F24F2203/021Compress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16Rotary wheel combined with another type of cooling principle, e.g. compress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은, 실외측 및 실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나란한 급기덕트, 상기 배기덕트 측에 재생부가 위치될 때 상기 급기덕트 측에 제습부가 위치되어 재생과 제습을 교대로 행하도록 회전하는 데시컨트 로터, 상기 배기덕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덕트 내에서 상기 재생부를 향해 이동하는 배기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고온응축기, 상기 급기덕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덕트 내에서 상기 실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급기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증발기를 포함하는 데시컨트 공조기; 고온의 냉매를 배출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고온의 냉매의 흐름이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 또는 상기 냉매 증발기를 향하도록 냉매 흐름 방향을 전환시키는 사방밸브; 부하 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 측에 급탕을 공급하기 위한 급탕 열교환기; 상기 급탕 열교환기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온의 냉매의 온도를 낮춰서 저온의 냉매로 배출하는 팽창밸브; 지중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하고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하도록 구성되는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 및 상기 데시컨트 공조기, 상기 압축기, 상기 사방밸브, 상기 급탕 열교환기 및 상기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을 제어하여 실내의 냉방 및 난방을 제어하고, 실내의 냉방 및 난방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급탕 열교환기 및 상기 지중열 열교환 유닛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은, 지중열원; 상기 급기덕트 내에 배치되고, 관로를 통해 상기 지중열원과 연결되고, 실내 냉방시 상기 지중열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지중열원수와 상기 급기공기를 열교환시켜서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하도록 구성되는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 관로를 통해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 및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과 연결되고, 실내 냉방시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로부터 유입되는 저온의 지중열원수와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냉매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 및 관로를 통해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 및 상기 지중열원과 연결되고,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지중열원수와 상기 배기공기를 열교환시켜서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하도록 구성되는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DESICCANT ADSORPTION HEAT PRECOOLING AND DESICCANT REGENERATIVE HEAT SUPPLY TYPE WATER HEAT SOURCE HEAT PUMP SYSTEM}
본 발명은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열원을 이용하여 데시컨트 공조기 내부를 지나는 공기를 예열 및 예냉할 수 있는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조(냉방 및 제습)는 에어컨에 의한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상기 에어컨에 의한 공조 방식은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냉매를 순환시켜 낮은 온도의 실내측으로부터 높은 온도의 외기 측으로 열을 방출하는 시스템이다.
종래의 에어컨 방식의 냉방운전은, 냉매는 실내기 내에서 실내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하고, 실외기로 이동하며, 실외기에 있는 압축기에 의해 냉매가 압축되고, 외기로 냉각 응축되어 열을 외기로 방출하며, 증발열을 빼앗김으로써 실내의 공기는 냉각되어 냉방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에어컨 방식의 제습운전은, 실내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중기가 응축하는 온도까지 냉각되어, 공기와 수분을 분리한다.
일반적으로 응축온도는 공조에 적당한 온도보다 낮아 과도하게 냉각된 공기를 그대로 실내에 공급하는 것은 쾌적성을 해칠 우려가 있어 적당하지 않다. 그러므로 냉각된 공기를 재가열하는 등 적절한 온도로 조절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냉각 및 재가열이라는 조작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데시칸트 공조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데시칸트란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데시칸트 제습방식은 흡습제에 의해 수분을 제거하여 분리하는 방식으로 직접적 공조 방식이다. 이러한 데시칸트 공조 방식은 제습한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적절한 온도 및 습도의 공기를 실내에 공급할 수 있다.
데시칸트 공조기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현열교환기, 현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재생히터, 재생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통해 수분이 제거되며 외기의 제습이 행해지는 제습기, 제습 후 공급된 후 현열교환기를 거쳐 냉각되는 공기를 최종 냉각하는 냉방기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데시칸트 공조기는 재생히터를 가열하기 위해 전기를 소모하며, 제습 후 공급되는 뜨거운 공기의 냉각은 현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을 통해서는 냉각의 효율이 크지 않고, 최종적으로 냉방기에서 실내 공급을 위한 낮은 온도로 냉각되므로 재생히터의 구동 및 냉방기의 구동을 위한 전기적 소모가 심하여 데시칸트 공조기의 에너지 소비가 증대되고, 냉방기의 부하가 높아서 냉각 효율 및 냉각을 위한 에너시 소모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607108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데시컨트 공조기의 에너지 소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은, 실외측 및 실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나란히 배열된 급기덕트, 상기 배기덕트 측에 재생부가 위치될 때 상기 급기덕트 측에 제습부가 위치되어 재생과 제습을 교대로 행하도록 회전하는 데시컨트 로터, 상기 배기덕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덕트 내에서 상기 재생부를 향해 이동하는 배기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고온응축기, 상기 급기덕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덕트 내에서 상기 실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급기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증발기를 포함하는 데시컨트 공조기; 고온의 냉매를 배출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고온의 냉매의 흐름이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 또는 상기 냉매 증발기를 향하도록 냉매 흐름 방향을 전환시키는 사방밸브; 부하 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 측에 급탕을 공급하기 위한 급탕 열교환기; 상기 급탕 열교환기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온의 냉매의 온도를 낮춰서 저온의 냉매로 배출하는 팽창밸브; 지중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하고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하도록 구성되는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 및 상기 데시컨트 공조기, 상기 압축기, 상기 사방밸브, 상기 급탕 열교환기 및 상기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을 제어하여 실내의 냉방 및 난방을 제어하고, 실내의 냉방 및 난방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급탕 열교환기 및 상기 지중열 열교환 유닛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은, 지중열원; 상기 급기덕트 내에 배치되고, 관로를 통해 상기 지중열원과 연결되고, 실내 냉방시 상기 지중열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지중열원수와 상기 급기공기를 열교환시켜서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하도록 구성되는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 관로를 통해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 및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과 연결되고, 실내 냉방시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로부터 유입되는 저온의 지중열원수와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냉매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 및 관로를 통해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 및 상기 지중열원과 연결되고,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지중열원수와 상기 배기공기를 열교환시켜서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하도록 구성되는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실내 냉방시 상기 냉매의 흐름은, 순차적으로,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사방밸브의 제1 포트로 연결되는 고온 냉매 출구 경로를 따라 상기 사방밸브로 공급되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의 제4 포트로부터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로 연결되는 제1 냉매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로 공급되어, 고온의 냉매 및 상기 배기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로 연결되는 제2 냉매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급탕 열교환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냉매이송경로 및 상기 제3 냉매이송경로로부터 상기 급탕 열교환기로 연결되는 급탕 열교환기 입구라인를 따라 상기 급탕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급탕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팽창밸브로 연결되는 급탕 열교환기 출구라인을 따라 상기 팽창밸브로 공급되는 단계;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저온의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상기 냉매 증발기로 연결되는 제4 냉매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냉매 증발기로 공급되어 상기 급기공기와 열교환하는 단계; 저온의 냉매가 상기 냉매 증발기로부터 상기 사방밸브의 제2 포트로 연결되는 제5 냉매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사방밸브로 공급되는 단계; 저온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의 제3 포트로부터 상기 압축기로 연결되는 냉매회수경로를 따라 상기 압축기로 회수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실내 냉방시 상기 지중열원수의 흐름은, 순차적으로, 저온의 지중열원수가 상기 지중열원으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로 연결되는 제1 지중열원수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로 공급되어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하는 단계; 저온의 지중열원수가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로 연결되는 제2 지중열원수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로 공급되어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하는 단계;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지중열원수가 상기 과냉각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로 연결되는 제3 지중열원수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로 공급되어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지중열원수가 상기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으로 연결되는 지중열원수 회수경로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으로 회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실내 난방시 상기 냉매의 흐름은, 순차적으로,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사방밸브의 제1 포트로 연결되는 고온 냉매 출구 경로를 따라 상기 사방밸브로 공급되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의 제1 포트로부터 상기 냉매 증발기로 연결되는 제6 냉매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냉매 증발기로 공급되어 상기 급기공기와 열교환하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냉매 증발기로부터 상기 급탕 열교환기로 연결되는 제7 냉매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급탕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급탕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팽창밸브로 연결되는 상기 급탕 열교환기 출구라인을 따라 상기 팽창밸브로 공급되는 단계;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저온의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로 연결되는 제8 냉매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로 공급된 후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를 열교환 없이 통과하는 단계;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를 통과한 저온의 냉매가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사방밸브의 제4 포트로 연결되는 제9 냉매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사방밸브로 공급되는 단계; 저온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의 제3 포트로부터 상기 압축기로 연결되는 냉매회수경로를 따라 상기 압축기로 회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은 데시커트 공조기의 배기덕트를 지나는 배기공기가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에서 열교환되어 가열되기 전에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하고, 데시커트 공조기의 급기덕트를 지나는 급기공기가 상기 냉매 증발기에서 열교환되어 냉각되기 전에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하므로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가 상기 배기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냉매 증발기가 상기 급기공기를 냉각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배기공기의 예열 및 상기 급기공기의 예냉을 위해 지중열원이 이용되므로 냉방을 위한 전력 소비를 낮출 수 있고, 따라서 데시컨트 공조기의 에너지 소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구성 및 냉방운전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난방운전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구성 및 냉방운전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은 데시컨트 공조기(100), 압축기(200), 사방밸브(300), 급탕열교환기(400), 팽창밸브(500),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6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데시컨트 공조기(100)는 실외측 및 실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배기덕트(101), 상기 배기덕트(101)에 나란히 배열된 급기덕트(102), 상기 배기덕트(101) 측에 재생부(1032)가 위치될 때 상기 급기덕트(102) 측에 제습부(1031)가 위치되어 재생과 제습을 교대로 행하도록 회전하는 데시컨트 로터(103), 상기 배기덕트(101)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덕트(101) 내에서 상기 재생부(1032)를 향해 이동하는 배기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고온응축기(104), 상기 급기덕트(102) 내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덕트(102) 내에서 상기 실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급기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증발기(105)를 포함한다.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는 상기 배기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가 상기 재생부(1032)를 건조시켜서 상기 재생부(1032)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되며, 상기 냉매 증발기(105)는 상기 급기공기를 냉각하여 실내로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압축기(200)는 냉매를 압축해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고온의 냉매를 일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사방밸브(300)는 밸브의 포트를 4개 가진 것을 의미하며, 압축기(200)의 출구에 연결되어 고온의 냉매의 흐름이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 또는 상기 냉매 증발기(105)를 향하도록 냉매 흐름 방향을 전환시킨다.
급탕 열교환기(400)는 부하, 즉 실내 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 측에 급탕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팽창밸브(500)는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온의 냉매의 온도를 낮춰서 저온의 냉매로 배출할 수 있다.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600)은 지중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하고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600)은 지중열원(610),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64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중열원(610)은 지중의 저온의 지하수를 의미한다.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은 상기 급기덕트(102) 내에 배치되고, 관로를 통해 상기 지중열원(610)과 연결되고, 실내 냉방시 상기 지중열원(610)으로부터 유입되는 지중열원수와 상기 급기공기를 열교환시켜서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는 관로를 통해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 및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과 연결되고, 실내 냉방시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로부터 유입되는 저온의 지중열원수와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냉매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640)은 관로를 통해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 및 상기 지중열원(610)과 연결되고,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지중열원수와 상기 배기공기를 열교환시켜서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데시컨트 공조기(100), 상기 압축기(200), 상기 사방밸브(300),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 및 상기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600)을 제어하여 실내의 냉방 및 난방을 제어하고, 실내의 냉방 및 난방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 및 상기 지중열 열교환 유닛(600)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냉방시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는 오프(OFF)되고 상기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600)은 온(ON)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난방시는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는 온(ON)되고 상기 지중열원 열교환기 유닛(600)은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냉방운전
냉방운전시 제어부는 냉매 및 지중열원수 모두 순환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는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지중열원수의 흐름은, 저온의 지중열원수가 상기 지중열원(610)으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로 연결되는 제1 지중열원수이송경로(21)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로 공급되어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한다.
이어서, 저온의 지중열원수가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연결되는 제2 지중열원수이송경로(22)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공급된다. 이때, 후술하는 냉매의 흐름 순서에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공급되는 고온의 냉매와 저온의 지중열원수가 열교환 하여 상기 저온의 지중열원수가 가열되어 고온의 지중열원수로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부터 배출된다.
이어서,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지중열원수가 상기 과냉각 열교환기(630)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640)로 연결되는 제3 지중열원수이송경로(23)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640)로 공급되어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시킨다.
한편, 냉매의 흐름은, 먼저,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냉매가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1 포트(310)로 연결되는 고온 냉매 출구 경로(①)를 따라 상기 사방밸브(300)로 공급된다.
이어서, 고온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4 포트(340)로부터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로 연결되는 제1 냉매이송경로(②)를 따라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로 공급되어, 고온의 냉매 및 상기 배기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에 의해 예열된 배기공기가 더 가열되어 더 높은 온도의 고온의 배기공기가 상기 재생부(1032)를 향해 공급되어 상기 재생부(1032)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고온의 냉매가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연결되는 제2 냉매이송경로(③)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공급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공급된 고온의 냉매는 저온의 지중열원수와 열교환하여 저온의 지중열원수를 가열한다.
이어서, 고온의 냉매가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부터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냉매이송경로(④) 및 상기 제3 냉매이송경로(④)로부터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로 연결되는 급탕 열교환기 입구라인(⑤)를 따라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로 공급된다. 이때, 급탕 열교환기(40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이어서, 고온의 냉매가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로부터 상기 팽창밸브(500)로 연결되는 급탕 열교환기 출구라인(⑥)을 따라 상기 팽창밸브(500)로 공급된다. 이때, 팽창밸브(500)는 고온의 냉매의 온도를 낮춰서 저온의 냉매로 배출한다.
이어서, 상기 팽창밸브(500)로부터 배출되는 저온의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500)로부터 상기 냉매 증발기(105)로 연결되는 제4 냉매이송경로(⑦)를 따라 상기 냉매 증발기(105)로 공급되어 상기 급기공기와 열교환한다. 이때, 상기 냉매 증발기(105)는 상기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640)에 의해 예냉된 급기공기와 열교환하여 더 낮아진 온도의 급기공기를 실내측으로 공급한다.
이어서, 저온의 냉매가 상기 냉매 증발기(105)로부터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2 포트(320)로 연결되는 제5 냉매이송경로(⑧)를 따라 상기 사방밸브(300)로 공급된다.
이어서, 저온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3 포트(330)로부터 상기 압축기(200)로 연결되는 냉매회수경로(⑨)를 따라 상기 압축기(200)로 회수된다.
난방운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난방운전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난방운전시 제어부는 냉매가 순화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600)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난방시 냉매의 흐름은, 먼저,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1 포트(310)로 연결되는 고온 냉매 출구 경로(①)를 따라 상기 사방밸브(300)로 공급된다.
이어서, 고온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1 포트(310)로부터 상기 냉매 증발기(105)로 연결되는 제6 냉매이송경로(⑩)를 따라 상기 냉매 증발기(105)로 공급되어 상기 급기공기와 열교환한다.
이어서, 고온의 냉매가 상기 냉매 증발기(105)로부터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로 연결되는 제7 냉매이송경로(⑪) 및 상기 급탕 열교환기 입구라인(⑤)을 따라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로 공급된다. 이때, 실내측으로부터 저온수가 회수되어 급탕 열교환기(400)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저온수와 상기 고온의 냉매가 열교환하여 실내측으로 급탕을 공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로부터 상기 팽창밸브(500)로 연결되는 상기 급탕 열교환기 출구라인(⑥)을 따라 상기 팽창밸브(500)로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팽창밸브(500)로부터 배출되는 저온의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500)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연결되는 제8 냉매이송경로(⑫)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공급된 후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를 열교환 없이 통과한다.
이어서,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를 통과한 저온의 냉매가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부터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4 포트(340)로 연결되는 제9 냉매이송경로(⑬)를 따라 상기 사방밸브(300)로 공급된다.
이어서, 저온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3 포트(330)로부터 상기 압축기(200)로 연결되는 냉매회수경로(⑨)를 따라 상기 압축기(200)로 회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은 데시커트 공조기(100)의 배기덕트(101)를 지나는 배기공기가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에서 열교환되어 가열되기 전에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하고, 데시커트 공조기(100)의 급기덕트(102)를 지나는 급기공기가 상기 냉매 증발기(105)에서 열교환되어 냉각되기 전에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하므로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가 상기 배기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냉매 증발기(105)가 상기 급기공기를 냉각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배기공기의 예열 및 상기 급기공기의 예냉을 위해 지중열원(610)이 이용되므로 냉방을 위한 전력 소비를 낮출 수 있고, 따라서 데시컨트 공조기(100)의 에너지 소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데시컨트 공조기(100)의 배기덕트(101) 및 급기덕트(102)의 내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테트라에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 및 메틸에틸케톤(MEK)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테트라에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 및 메틸에틸케톤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테트라에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 및 메틸에틸케톤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배기덕트(101) 및 급기덕트(102) 상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테트라에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 및 메틸에틸케톤은 전체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배기덕트(101) 및 급기덕트(102) 상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방지도포용 조성물을 배기덕트(101) 및 급기덕트(102)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덕트(101) 및 급기덕트(102)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700 ~ 25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7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5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테트라에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 0.1 몰 및 메틸에틸케톤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도포막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오염방지 도포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냉매 증발기(105)의 표면에는 살균기능 및 실내측 사용자의 스트레스 완화 등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환경용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방향제 물질과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은 상기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상기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패추리오일(Patchouli oil) 50중량%, 탄지오일(Tansy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패추리오일(Patchouli oil)은 스트레스 완화, 긴장완화, 살균 등에 좋은 효과가 있고, 탄지오일(Tansy oil)은 살균작용 및 정균작용, 감염치료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냉매 증발기(105)의 표면에 코팅됨에 따라, 냉매 증발기(105)의 표면을 살균 처리하고 냉방이 공급되는 실내측 사용자의 스트레스 등을 경감시키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환경용 방향제 물질 및 기능성 오일에 대해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냉매 고온 응축기(104) 및 냉매 증발기(105)를 배기덕트(101) 및 급기덕트(102) 내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배기덕트(101)의 내면 및 상기 배기덕트(101)의 내면에 접하는 냉매 고온 응축기(102)의 외부 표면 사이, 급기덕트(102)의 내면 및 상기 급기덕트(102)의 내면에 접하는 냉매 증발기(105)의 외부 표면 사이에는 접착 향상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접착향상제는 물 60중량부, 2-헵타데실이미디졸 17중량부, N-아실타우리네이트 15중량부, 과황산암모늄 7중량부, 아세트산나트륨 1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2-헵타데실이미디졸는 접착성, 경화촉진 등을 향상하기 위해 첨가되며, N-아실타우리네이트는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하고, 과황산암모늄은 촉매제 역할을 하며, 아세트산나트륨은 완충제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 물질 및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압축기(200)의 하단에는 진동흡수부가 더 설치 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흡수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흡수부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58중량%, 디페닐구아니딘 6중량%, 치오카바닐라이드 6중량%, 징크라우레이트 3중량%, 카아본블랙 19중량%, 3C(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4중량%, 침강황 4중량% 를 혼합한다.
디페닐구아니딘과 치오카바닐라이드는 촉진 향상 등을 위해 첨가되며, 징크라우레이트는 연화제 역할을 위해 첨가되고,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 열전도성 등을 증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는 산화방지제로 첨가되며, 침강항은 촉진제 등의 역할을 위해 첨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동흡수부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진동흡수부의 수명이 증대된다.
고무재질의 인장강도는 155Kg/㎠ 으로 형성된다.
고무재질 구성 물질 및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 등을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데시컨트 공조기 200 : 압축기
300 : 사방밸브 400 : 급탕 열교환기
500 : 팽창밸브 600 :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
610 : 지중열원 620 :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
630 :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 640 :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

Claims (3)

  1. 실외측 및 실내측 사이에 배치되는 배기덕트(101), 상기 배기덕트(101)에 나란한 급기덕트(102), 상기 배기덕트(101) 측에 재생부(1032)가 위치될 때 상기 급기덕트(102) 측에 제습부(1031)가 위치되어 재생과 제습을 교대로 행하도록 회전하는 데시컨트 로터(103), 상기 배기덕트(101)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덕트(101) 내에서 상기 재생부(1032)를 향해 이동하는 배기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고온응축기(104), 상기 급기덕트(102) 내에 배치되어 상기 급기덕트(102) 내에서 상기 실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급기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증발기(105)를 포함하는 데시컨트 공조기(100);
    고온의 냉매를 배출하는 압축기(200);
    상기 압축기(200)의 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고온의 냉매의 흐름이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 또는 상기 냉매 증발기(105)를 향하도록 냉매 흐름 방향을 전환시키는 사방밸브(300);
    부하 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 측에 급탕을 공급하기 위한 급탕 열교환기(400);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의 출구 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온의 냉매의 온도를 낮춰서 저온의 냉매로 배출하는 팽창밸브(500);
    지중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하고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하도록 구성되는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600); 및
    상기 데시컨트 공조기(100), 상기 압축기(200), 상기 사방밸브(300),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 및 상기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600)을 제어하여 실내의 냉방 및 난방을 제어하고, 실내의 냉방 및 난방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 및 상기 지중열 열교환 유닛(600)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지중열원 열교환 유닛(600)은,
    지중열원(610);
    상기 급기덕트(102) 내에 배치되고, 관로를 통해 상기 지중열원(610)과 연결되고, 실내 냉방시 상기 지중열원(610)으로부터 유입되는 지중열원수와 상기 급기공기를 열교환시켜서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하도록 구성되는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
    관로를 통해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 및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과 연결되고, 실내 냉방시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로부터 유입되는 저온의 지중열원수와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냉매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되는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 및
    관로를 통해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 및 상기 지중열원(610)과 연결되고,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지중열원수와 상기 배기공기를 열교환시켜서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하도록 구성되는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640)을 포함하는,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실내 냉방시 상기 냉매의 흐름은, 순차적으로,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냉매가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1 포트(310)로 연결되는 고온 냉매 출구 경로(①)를 따라 상기 사방밸브(300)로 공급되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4 포트(340)로부터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로 연결되는 제1 냉매이송경로(②)를 따라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로 공급되어, 고온의 냉매 및 상기 배기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냉매 고온응축기(104)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연결되는 제2 냉매이송경로(③)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공급되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부터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냉매이송경로(④) 및 상기 제3 냉매이송경로(④)로부터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로 연결되는 급탕 열교환기 입구라인(⑤)를 따라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로 공급되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로부터 상기 팽창밸브(500)로 연결되는 급탕 열교환기 출구라인(⑥)을 따라 상기 팽창밸브(500)로 공급되는 단계; 상기 팽창밸브(500)로부터 배출되는 저온의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500)로부터 상기 냉매 증발기(105)로 연결되는 제4 냉매이송경로(⑦)를 따라 상기 냉매 증발기(105)로 공급되어 상기 급기공기와 열교환하는 단계; 저온의 냉매가 상기 냉매 증발기(105)로부터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2 포트(320)로 연결되는 제5 냉매이송경로(⑧)를 따라 상기 사방밸브(300)로 공급되는 단계; 저온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3 포트(330)로부터 상기 압축기(200)로 연결되는 냉매회수경로(⑨)를 따라 상기 압축기(200)로 회수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실내 냉방시 상기 지중열원수의 흐름은, 순차적으로, 저온의 지중열원수가 상기 지중열원(610)으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로 연결되는 제1 지중열원수이송경로(21)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로 공급되어 상기 급기공기를 예냉하는 단계; 저온의 지중열원수가 상기 지중열원수 예냉 코일(620)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연결되는 제2 지중열원수이송경로(22)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공급되어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공급되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하는 단계;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지중열원수가 상기 과냉각 열교환기(630)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640)로 연결되는 제3 지중열원수이송경로(23)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640)로 공급되어 상기 배기공기를 예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64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지중열원수가 상기 지중열원수 예열 코일(640)로부터 상기 지중열원(610)으로 연결되는 지중열원수 회수경로(24)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610)으로 회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실내 난방시 상기 냉매의 흐름은, 순차적으로,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1 포트(310)로 연결되는 고온 냉매 출구 경로(①)를 따라 상기 사방밸브(300)로 공급되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1 포트(310)로부터 상기 냉매 증발기(105)로 연결되는 제6 냉매이송경로(⑩)를 따라 상기 냉매 증발기(105)로 공급되어 상기 급기공기와 열교환하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냉매 증발기(105)로부터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로 연결되는 제7 냉매이송경로(⑪)를 따라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로 공급되는 단계; 고온의 냉매가 상기 급탕 열교환기(400)로부터 상기 팽창밸브(500)로 연결되는 상기 급탕 열교환기 출구라인(⑥)을 따라 상기 팽창밸브(500)로 공급되는 단계; 상기 팽창밸브(500)로부터 배출되는 저온의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500)로부터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연결되는 제8 냉매이송경로(⑫)를 따라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 공급된 후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를 열교환 없이 통과하는 단계;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를 통과한 저온의 냉매가 상기 지중열원수 과냉각 열교환기(630)로부터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4 포트(340)로 연결되는 제9 냉매이송경로(⑬)를 따라 상기 사방밸브(300)로 공급되는 단계; 저온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300)의 제3 포트(330)로부터 상기 압축기(200)로 연결되는 냉매회수경로(⑨)를 따라 상기 압축기(200)로 회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
KR1020210113023A 2021-08-26 2021-08-26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의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 KR102573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23A KR102573044B1 (ko) 2021-08-26 2021-08-26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의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23A KR102573044B1 (ko) 2021-08-26 2021-08-26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의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047A true KR20230033047A (ko) 2023-03-08
KR102573044B1 KR102573044B1 (ko) 2023-08-31

Family

ID=8550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023A KR102573044B1 (ko) 2021-08-26 2021-08-26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의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0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108B1 (ko) 2005-06-14 2006-08-01 (주)에이티이엔지 사계절용 외기도입 공조시스템 및 공조방법
KR20110092773A (ko) * 2010-02-10 2011-08-18 (주)귀뚜라미 하이브리드 냉방 시스템
KR20120062593A (ko) * 2010-07-27 2012-06-1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
JP6550121B2 (ja) * 2017-04-12 2019-07-24 コリア・インスティテュート・オブ・サイエンス・アンド・テクノロジー 吸着式ハイブリッド除湿冷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108B1 (ko) 2005-06-14 2006-08-01 (주)에이티이엔지 사계절용 외기도입 공조시스템 및 공조방법
KR20110092773A (ko) * 2010-02-10 2011-08-18 (주)귀뚜라미 하이브리드 냉방 시스템
KR20120062593A (ko) * 2010-07-27 2012-06-1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
JP6550121B2 (ja) * 2017-04-12 2019-07-24 コリア・インスティテュート・オブ・サイエンス・アンド・テクノロジー 吸着式ハイブリッド除湿冷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044B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14663B2 (en) Energy recovery enhanced condenser reactivated desiccant refrigerant dehumidifier
CN1140726C (zh) 去湿空调设备
KR101201010B1 (ko) 조습장치
KR100510774B1 (ko) 복합식 제습냉방시스템
CN202040912U (zh) 一种带全热回收的溶液除湿结合两级蒸发冷却空调系统
WO2005114072A2 (en) Desiccant-assiste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process
CN103717976A (zh) 调湿装置以及空气调节系统
CN103940164B (zh) 一种溶液喷淋式无霜空气源热泵装置
WO2010113420A1 (ja) 除湿システム
KR20080014871A (ko) 공조 시스템
WO1998046957A1 (fr) Systeme de climatisation et son procede de mise en service
CN102506475A (zh) 冷凝废热驱动的基于固体除湿的热湿独立控制的热泵系统
CN110173776A (zh) 一种预冷式转轮调湿的新风处理装置
CN103017332B (zh) 一种蓄热除湿耦合型无霜空气源热泵热水器
JP2006300392A (ja) クリーンルーム用空調熱源設備
CN102563770A (zh) 一种除湿和蒸发冷却相结合的新风机组及其空气处理方法
WO2008015981A1 (fr) Appareil de climatisation
CN201858724U (zh) 全新风热泵型屋顶式空调机
CN105805868B (zh) 再生回热除湿热泵系统及其运行方法
CN107575967A (zh) 一种适用于全年工况的热泵空调系统及其运行方法
KR102573044B1 (ko) 데시컨트 흡착열 프리쿨링 및 데시컨트 재생열 공급형의 수열원 열펌프 시스템
JPH11132593A (ja) 空気調和装置
KR102317438B1 (ko) 냉매 과열 및 과냉각 가능한 히트펌프를 이용한 데시칸트 공조기 구동 시스템
CN203940546U (zh) 一种船舶余热吸收制冷转轮两级除湿空调装置
JP2002340370A (ja) 排熱カスケード利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