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493A -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493A
KR20230032493A KR1020210115399A KR20210115399A KR20230032493A KR 20230032493 A KR20230032493 A KR 20230032493A KR 1020210115399 A KR1020210115399 A KR 1020210115399A KR 20210115399 A KR20210115399 A KR 20210115399A KR 20230032493 A KR20230032493 A KR 20230032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occer
touch board
player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041B1 (ko
Inventor
박준기
Original Assignee
박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기 filed Critical 박준기
Priority to KR102021011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04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1Contac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5Football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펜스가 다각형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된 조립식 축구장에 설치된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표시하는 단계, 축구공 및 터치보드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모듈을 통해 상기 축구공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터치보드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축구공의 현재 위치와 터치보드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해당 표시 점수가 터치보드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 각각에 설치된 충격 센서를 통해 축구공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플레이어가 축구공으로 터치보드를 맞추면, 터치를 감지한 터치보드에 해당하는 표시 점수를 해당 플레이어가 획득하도록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어가 축구공을 이용하여 터치보드를 맞추는 연습을 함으로써, 플레이어의 슈팅 정확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ACTICE SOCCER USING PREFABRICATED SOCCER FIEL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터치보드 각각에 설치된 충격 센서를 통해 축구공의 터치를 감지하면, 터치를 감지한 터치보드에 해당하는 점수를 획득하는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구, 배구, 농구, 족구, 풋살 등 공(ball)을 이용하여 하는 구기 종목은 선수의 공격과 수비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구기 연습보조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기 연습보조기구를 이용할 경우 코치나 감독 등 선수를 지도하는 사람의 피로를 저감할 수 있고, 선수들은 다양한 기술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생활스포츠는 어린이로부터 고연령층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전생애에 걸친 체육·스포츠 활동에 관심이 높아 생활체육의 개발과 그에 필요한 시설·조직·지도자 등의 조건정비가 중요하다.
여러 가지 다양한 구기운동 중, 축구는 야구와 함께 꽤 대중적이며 인기있는 스포츠로 사랑받고 있다. 이러한 축구에서의 즐거움은 축구경기 중에 멋진 슛을 성공시키거나, 공격이나 수비를 위해 정교하고 연속된 패스를 이어가거나, 또는 파워 있는 드리블을 통해 상대편 수비수를 돌파하는 등의 플레이로부터 비롯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축구 액션 중 코너에어리어(corner area)로부터 날아오는 공을 받아 골(goal)로 넣는 발리슛, 땅볼 슛, 헤딩슛 등과 패널티킥 등을 연습하여 축구경기에서 플레이하길 원한다.
이와 같이, 수준 높고 재미있는 축구경기는, 고도의 기술과 창조적인 전술은 물론 선수 개개인의 체력과 집중력 이 바탕이 되어야 가능한 것으로서,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선수 개개인의 기량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습이다.
한편, 축구는 어디까지나 발을 사용하는 스포츠이므로, 정확하고 강력한 킥은 좋은 플레이를 할 수 있는 기본요소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구선수들은 다양한 상황에서의 슈팅이나 킥 연습을 통해 스킬 향상을 도모하고 있으며, 프로팀이나 동호회 등에서는 정확한 킥 연습을 위한 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미국 공개특허 제2019-0262685호 (2019.08.29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터치보드 각각에 설치된 충격 센서를 통해 축구공의 터치를 감지하면, 터치를 감지한 터치보드에 해당하는 점수를 획득하는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펜스가 다각형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된 조립식 축구장에 설치된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표시하는 단계, 축구공 및 터치보드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모듈을 통해 상기 축구공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터치보드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축구공의 현재 위치와 터치보드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해당 표시 점수가 터치보드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 각각에 설치된 충격 센서를 통해 축구공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플레이어가 축구공으로 터치보드를 맞추면, 터치를 감지한 터치보드에 해당하는 표시 점수를 해당 플레이어가 획득하도록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어의 획득된 점수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화면 상에 획득한 점수를 표시하거나 각각의 플레이어가 획득한 점수 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보드에 설치된 충격 센서로부터 터치가 감지되면, 관중 함성 또는 박수 소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 중 어느 하나의 터치보드와 축구공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터치보드와 축구공의 사이가 길어질수록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 중 어느 하나의 터치보드와 축구공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기 설정된 일정 점수를 터치보드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립식 축구장에 복수의 플레이어가 팀을 나누어 경기를 진행하는 경우, 복수의 플레이어가 각각 착용한 운동화에 장착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플레이어와 각각의 터치보드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플레이어와 각각의 터치보드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팀에 따라 터치보드의 색을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는, 각각의 플레이어가 속한 팀에 해당되는 색상의 터치보드를 축구공으로 맞추면, 터치를 감지한 상기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해당 플레이어가 획득하도록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색을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플레이어와 기준 거리 이상에 위치하는 터치보드에는 플레이어가 속한 팀의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획득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시간 경과에 따라 터치보드의 획득 점수가 차감되도록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펜스가 다각형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된 조립식 축구장에 설치된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표시하고, 축구공 및 터치보드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모듈을 통해 상기 축구공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터치보드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축구공의 현재 위치와 터치보드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해당 표시 점수가 터치보드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 각각에 설치된 충격 센서를 통해 축구공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그리고 플레이어가 축구공으로 터치보드를 맞추면, 터치를 감지한 터치보드에 해당하는 표시 점수를 해당 플레이어가 획득하도록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진행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어가 축구공을 이용하여 터치보드를 맞추는 연습을 함으로써, 플레이어의 슈팅 정확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NFC 모듈을 통해 축구공의 현재 위치, 플레이어의 위치와 터치보드와의 거리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점수가 달라지므로, 플레이어는 더 높은 기록을 위해 연습하여 슈팅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S4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플레이어가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이용하여 축구 게임 진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로 명명한다.) 모듈(200), 충격 센서(300) 및 사용자 단말기(4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축구장은 복수의 펜스가 다각형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구현된다. 그리고, 복수의 펜스로 연결된 조립식 축구장의 각 면에는 복수의 터치보드(5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터치보드(500)에는 충격 센서(300)가 장착된다.
그리고, 조립식 축구장 외부에는 사용자 단말기(400)가 설치되며, 사용자 단말기(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획득 점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400)는 내부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400)가 내부에 설치될 경우, 플레이어는 실시간으로 본인의 득점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축구공 및 터치보드(500)에 설치된 NFC 모듈(200)를 기반으로 파악된 축구공의 현재 위치 및 터치보드(5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축구공과 조립식 축구장에 설치된 터치보드(500)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복수의 터치보드(500) 각각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킨다.
그리고, 플레이어가 축구공을 이용하여 복수의 터치보드(500) 중 어느 하나의 터치보드(500)를 맞추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복수의 터치보드(500) 각각에 충격 센서(300)를 통해 축구공의 터치를 감지하며, 해당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NFC 모듈(200)은 가까운 거리에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및 LA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NFC 모듈(200)은 터치보드(500), 축구공, 각각의 플레이어가 착용한 운동화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충격 센서(300)는 순간적인 부딪힘이나 진동, 흔들림 등에 반응하는 센서로,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 전압이나 전류를 발생시켜 충격을 감지하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축구공이 터치보드(500)에 맞으면, 터치보드(500)에 설치된 충격 센서(300)는 충격을 통해 축구공의 터치 여부를 감지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400)는 플레이어가 획득한 점수를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각각의 플레이어의 표시 점수 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40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및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전광판과 같은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플레이어가 들고 다닐 수 있는 정도로 충분히 작고, 컴퓨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휴대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감지부(120), 게임 진행부(130), 표시부(140) 및 제공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제어부(110)는 조립식 축구장에 설치된 복수의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복수의 터치보드(500) 각각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축구공 및 터치보드(500)에 설치된 NFC 모듈(200)을 통해 축구공의 현재 위치 및 터치보드(500)의 위치를 판단하고, 축구공의 현재 위치와 터치보드(500)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복수의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조립식 축구장은 복수의 펜스가 다각형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복수의 터치보드(500)는 조립식 축구장의 복수의 펜스를 통해 만들어지는 각 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복수의 터치보드(500) 중 어느 하나의 터치보드(500)와 축구공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터치보드(500)와 축구공의 사이가 길어질수록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복수의 터치보드(500) 중 어느 하나의 터치보드(500)와 축구공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일정 점수를 터치보드(50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조립식 축구장에 복수의 플레이어가 팀을 나누어 경기를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복수의 플레이어가 각각 착용한 운동화에 장착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복수의 플레이어와 각각의 터치보드(500) 사이의 거리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각각의 플레이어와 각각의 터치보드(50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팀에 따라 터치보드(500)의 색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각각의 플레이어에 서로 다른 터치보드(500)의 색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시간이 경과에 따라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가 차감되도록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지부(120)는 복수의 터치보드(500) 각각에 설치된 충격 센서(300)를 통해 축구공의 터치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충격 센서(300)는 복수의 터치보드(500) 각각에 설치되며, 부딪힘, 흔들림, 진동 등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게임 진행부(130)는 터치를 감지한 해당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해당 플레이어가 획득하도록 게임을 진행한다.
즉, 플레이어가 축구공을 이용하여 표시 점수가 표시된 터치보드를 맞추면, 게임 진행부(130)는 해당 플레이어가 맞춘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획득하도록 한다.
그리고, 표시부(140)는 플레이어의 획득된 점수를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서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400)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로, 휴대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400)는 화면 상에 게임 진행부(130)에서 플레이어가 획득한 점수를 표시하거나 과거에 각각의 플레이어의 획득 점수 이력을 표시할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공부(150)는 터치보드(500)에 설치된 충격 센서(300)로부터 터치가 감지되면 관중 함성 또는 박수 소리를 제공한다.
이때, 관중의 함성 또는 박수 소리는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플레이어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플레이어가 1명일‹š와 2명 이상일 때에 축구 연습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통하여 플레이어가 1명일 때 혼자 조립식 축구장에서 연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이용한 축구 연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조립식 축구장에 설치된 복수의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표시한다(S410).
여기서, 복수의 터치보드(500)는 복수의 펜스가 다각형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된 조립식 축구장의 각 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복수의 터치보드(500) 각각에 획득 가능한 점수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축구공 및 터치보드(500)에 설치된 NFC 모듈(200)을 통해 축구공의 현재 위치 및 터치보드(500)의 위치를 판단한다(S420).
여기서, NFC 모듈(200)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이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실시간으로 축구공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축구공의 현재 위치와 터치보드(500)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복수의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한다(S430).
이때,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복수의 터치보드(500) 중 어느 하나의 터치보드(500)와 축구공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터치보드(500)와 축구공의 사이가 길어질수록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터치보드(500) 중 어느 하나의 터치보드(500)와 축구공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기 설정된 일정 점수를 터치보드(50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일정 점수는 4점으로 설정하며, 관리자에 의해 점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S4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보드(500)와 축구공의 사이가 기준 거리 이상이고, 터치보드(500)와 축구공의 사이가 길어질수록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는 증가한다.
예를 들어, 기준 거리가 5m이고, 터치보드(500)와 축구공 사이의 거리는 10m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터치보드(500)와 축구공 사이가 10m에 해당하는 점수인 8점을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보드(500)와 축구공의 사이가 기준 거리 미만일 경우,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거리에 상관없이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4점으로 동일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플레이어가 조립식 축구장에서 축구공을 이용하여 드리블을 하는 경우,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터치보드(500)와 축구공 사이의 거리에 따라 실시간으로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해당 점수가 터치보드(500)에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터치보드(500) 각각에 설치된 충격 센서(300)를 통해 축구공의 터치 여부를 감지한다(S440).
여기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충격 센서(300)를 통해 축구공에 의한 흔들림, 진동, 부딪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어가 축구공으로 터치보드(500)를 맞추면,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터치를 감지한 터치보드(500)에 해당하는 표시 점수를 해당 플레이어가 획득하도록 게임을 진행한다(S450).
이때,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충격 센서(300)가 충격을 감지하기 직전에서 마지막으로 NFC 모듈(200)과 통신한 시점에서의 거리를 기준으로 플레이어가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획득하도록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표시 점수를 득점하는 게임뿐만 아니라, 플레이어가 축구공으로 터치보드(500)를 맞추는 훈련 또는 연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플레이어의 획득된 점수를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서 표시한다(S460).
이때, 사용자 단말기(4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화면 상에 플레이어가 획득한 점수를 표시하거나 과거에 플레이어가 획득한 점수 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가 해당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득점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관중 함성 또는 박수 소리를 플레이어에게 제공한다(S470).
이때, 관중 함성 또는 박수 소리는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플레이어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이용하여 복수의 플레이어가 팀을 나누어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이용하여 축구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플레이어가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이용하여 축구 게임 진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복수의 펜스가 다각형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된 조립식 축구장에 설치된 복수의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표시한다(S610).
이때, 복수의 터치보드(500) 각각에는 충격 센서(300)가 설치되며,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터치보드(500)를 통해 플레이어가 획득 가능한 점수를 표시한다.
그리고, S610 단계는 도 4의 S410 단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조립식 축구장에 복수의 플레이어가 팀을 나누어 경기를 진행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터치보드(500) 및 복수의 플레이어가 각각 착용한 운동화에 장착된 NFC 모듈(200)을 이용하여 복수의 플레이어와 각각의 터치보드(500) 사이의 거리를 검출한다(S620).
이때, NFC 모듈(200)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이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S620 단계는 도 4의 S420 단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각각의 플레이어와 각각의 터치보드(50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팀에 따라 터치보드(500)의 색을 다르게 표시한다(S630).
이때,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복수의 플레이어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터치보드(500)의 색상을 부여한다.
그리고,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각각의 플레이어와 기준 거리 이상에 위치하는 터치보드(500)에는 플레이어가 속한 팀의 색상으로 표시하고, 각각의 플레이어와 기준 거리 미만에 위치하는 터치보드(500)에는 플레이어가 속하지 않은 팀의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준 거리는 3m로 설정할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명의 플레이어가 1:1로 경기를 진행하는 경우,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플레이어 A의 터치보드(500) 색상을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플레이어 B의 터치보드(500) 색상을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플레이어 A와 터치보드(500)와의 거리가 3m 이상인 경우,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3m 이상에 위치한 터치보드(500)의 색상을 빨간색으로 표시하며, 플레이어 A와 터치보드(500)와의 거리가 3m 미만인 경우,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해당 터치보드(500)의 색상을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터치보드(500)라고 하더라도 플레이어의 위치에 따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 A와 플레이어 B의 현재 위치와 터치보드(50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색상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즉, 플레이어 A가 플레이어 B보다 특정 터치보드(500)와 더 가까이 위치한 경우에는, 해당 특정 터치보드(500)는 플레이어 B에 대응하는 파란색으로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만일, 3명의 플레이어가 1:1:1로 경기를 진행하는 경우,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각각의 플레이어가 속한 팀에 따라 터치보드(500)의 색을 각각 빨간색, 노란색 및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빨간색 팀의 플레이어와 터치보드(500)와의 거리가 3m 이상인 경우, 3m 이상에 위치한 터치보드(500)의 색상을 빨간색으로 표시하며, 빨간색 팀의 플레이어와 터치보드(500)와의 거리가 3m 미만인 경우,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해당 터치보드(500)의 색상을 노란색 및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터치보드(500)에 표시되는 색상은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레이어가 선택한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해당 표시 점수 및 해당 팀의 색상이 터치보드(500)에 표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복수의 터치보드(500) 각각에 설치된 충격 센서(300)를 통해 축구공의 터치 여부를 감지한다(S640).
이때, 충격 센서(300)는 진동, 흔들림, 부딪힘 등을 통해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S640 단계는 도 4의 S440 단계에서 이미 설명한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각각의 플레이어가 속한 팀에 해당되는 색상의 터치보드(500)를 축구공으로 맞히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해당 플레이어가 맞힌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해당 플레이어가 획득하도록 게임을 진행한다(S650).
예를 들어, S620 단계와 같이, 2명의 플레이어(A, B)가 1:1로 경기를 진행하는 경우, 플레이어 A는 빨간색의 터치보드(500)를 맞추고, 플레이어 B는 파란색의 터치보드(500)를 맞추면 득점을 획득할 수 있다.
즉, 플레이어 A가 파란색으로 표시된 상태의 터치보드(500)를 맞출 경우, A의 득점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플레이어 B의 경우에도 빨간색의 터치보드(500)를 맞출 경우 득점이 인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복수의 플레이어가 점수를 득점하는 게임뿐만 아니라 각각의 플레이어가 축구공을 이용하여 터치보드를 맞추는 훈련 및 연습을 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플레이어의 획득된 점수를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서 표시한다(S660).
이때, 사용자 단말기(400)는 화면을 통해 플레이어의 획득된 점수를 표시할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S660 단계는 도 4의 S460 단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플레이어가 해당 터치보드(500)의 표시 점수를 득점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은 관중 함성 또는 박수 소리를 제공한다(S670).
이때, 관중 함성 또는 박수 소리는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플레이어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S670 단계는 도 4의 S470 단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어가 축구공을 이용하여 터치보드를 맞추는 연습을 함으로써, 플레이어의 슈팅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NFC 모듈을 통해 축구공의 현재 위치, 플레이어의 위치와 터치보드와의 거리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점수가 달라지므로, 플레이어는 더 높은 기록을 위해 연습하여 슈팅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110: 제어부,
120: 감지부, 130: 게임 진행부,
140: 표시부, 150: 제공부,
200: NFC 모듈, 300: 충격 센서,
400: 사용자 단말기, 500: 터치보드

Claims (18)

  1.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펜스가 다각형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된 조립식 축구장에 설치된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표시하는 단계,
    축구공 및 터치보드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모듈을 통해 상기 축구공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터치보드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축구공의 현재 위치와 터치보드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해당 표시 점수가 터치보드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 각각에 설치된 충격 센서를 통해 축구공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플레이어가 축구공으로 터치보드를 맞추면, 터치를 감지한 터치보드에 해당하는 표시 점수를 해당 플레이어가 획득하도록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축구 게임 진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의 획득된 점수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축구 게임 진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화면 상에 획득한 점수를 표시하거나 각각의 플레이어가 획득한 점수 이력을 표시하는 축구 게임 진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보드에 설치된 충격 센서로부터 터치가 감지되면, 관중 함성 또는 박수 소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축구 게임 진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 중 어느 하나의 터치보드와 축구공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터치보드와 축구공의 사이가 길어질수록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가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축구 게임 진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 중 어느 하나의 터치보드와 축구공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기 설정된 일정 점수를 터치보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축구 게임 진행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조립식 축구장에 복수의 플레이어가 팀을 나누어 경기를 진행하는 경우, 복수의 플레이어가 각각 착용한 운동화에 장착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플레이어와 각각의 터치보드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플레이어와 각각의 터치보드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팀에 따라 터치보드의 색을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는,
    각각의 플레이어가 속한 팀에 해당되는 색상의 터치보드를 축구공으로 맞추면, 터치를 감지한 상기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해당 플레이어가 획득하도록 게임을 진행하는 축구 게임 진행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색을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플레이어와 기준 거리 이상에 위치하는 터치보드에는 플레이어가 속한 팀의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축구 게임 진행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획득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시간 경과에 따라 터치보드의 획득 점수가 차감되도록 제어하여 표시하는 축구 게임 진행 방법.
  10.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펜스가 다각형 형태로 연결되어 형성된 조립식 축구장에 설치된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표시하고, 축구공 및 터치보드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모듈을 통해 상기 축구공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터치보드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축구공의 현재 위치와 터치보드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해당 표시 점수가 터치보드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 각각에 설치된 충격 센서를 통해 축구공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그리고
    플레이어가 축구공으로 터치보드를 맞추면, 터치를 감지한 터치보드에 해당하는 표시 점수를 해당 플레이어가 획득하도록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진행부를 포함하는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의 획득된 점수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화면 상에 획득한 점수를 표시하거나 각각의 플레이어가 획득한 점수 이력을 표시하는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보드에 설치된 충격 센서로부터 터치가 감지되면, 관중 함성 또는 박수 소리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 중 어느 하나의 터치보드와 축구공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에 터치보드와 축구공의 사이이가 길어질수록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가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터치보드 중 어느 하나의 터치보드와 축구공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기 설정된 일정 점수를 터치보드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립식 축구장에 복수의 플레이어가 팀을 나누어 경기를 진행하는 경우, 복수의 플레이어가 각각 착용한 운동화에 장착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플레이어와 각각의 터치보드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각각의 플레이어와 각각의 터치보드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팀에 따라 터치보드의 색을 다르게 표시하며,
    상기 게임 진행부는,
    각각의 플레이어가 해당되는 색상의 터치보드를 축구공으로 맞추면, 터치를 감지한 상기 터치보드의 표시 점수를 해당 플레이어가 획득하도록 게임을 진행하는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플레이어와 기준 거리 이상에 위치하는 터치보드에는 플레이어가 속한 팀의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경과에 따라 터치보드의 획득 점수가 차감되도록 제어하여 표시하는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KR1020210115399A 2021-08-31 2021-08-31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1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99A KR102521041B1 (ko) 2021-08-31 2021-08-31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99A KR102521041B1 (ko) 2021-08-31 2021-08-31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493A true KR20230032493A (ko) 2023-03-07
KR102521041B1 KR102521041B1 (ko) 2023-04-13

Family

ID=8551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399A KR102521041B1 (ko) 2021-08-31 2021-08-31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0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8493A (zh) * 2023-07-31 2023-09-05 厦门真有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足球类游戏的交互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593A (ko) * 2001-08-08 2003-02-15 주식회사 메디아플러스코리아 축구용 패널티킥 게임장치
KR20040010886A (ko) * 2002-07-25 2004-02-05 정윤복 축구 게임 장치
KR20160144746A (ko) * 2015-06-09 2016-12-19 (주)클린 스포츠 게임 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593A (ko) * 2001-08-08 2003-02-15 주식회사 메디아플러스코리아 축구용 패널티킥 게임장치
KR20040010886A (ko) * 2002-07-25 2004-02-05 정윤복 축구 게임 장치
KR20160144746A (ko) * 2015-06-09 2016-12-19 (주)클린 스포츠 게임 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8493A (zh) * 2023-07-31 2023-09-05 厦门真有趣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足球类游戏的交互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041B1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1050B2 (ja) 時空間的な制約のないスクリーン野球競技装置
US20190126120A1 (en) Tennis training device using virtual targets
US9339710B2 (en) Sport performance system with ball sensing
US11596852B2 (en) Swing alert system and method
US93584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game simulations using motion capture
US9656140B2 (en) Sport performance system with ball sensing
US20080102991A1 (en) Athlete Reaction Training System
US20180036616A1 (en) System for Interactive Sports Training Utilizing Real-Time Metrics and Analysis
KR102573182B1 (ko) 단말 장치, 가상 스포츠 장치, 가상 스포츠 시스템 및 가상 스포츠 시스템의 동작방법
JP2013515555A (ja) 打撃状態出力機能のスクリーンゴルフ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30196770A1 (en) Performance interactive system
KR102521041B1 (ko)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0747B1 (ko) 가상현실 스포츠 시스템
KR100785707B1 (ko)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되는 골프 시뮬레이터 장치
KR101435506B1 (ko) 타격 훈련 코칭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039084A (ko)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게임 장치 및 방법
TWI728895B (zh) 互動式球場系統
KR20180085843A (ko) 스윙 자세의 교정과 게임이 가능한 스윙 분석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230033222A (ko) 골프 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KR102378555B1 (ko) 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KR102450445B1 (ko) 실내 스크린 테니스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원격 게임 방법
JP3114138U (ja) 得点獲得球技用装置
TWM524739U (zh) 結合揮棒練習及跑步練習之模擬裝置
US20230191221A1 (en) Interactive soccer system
KR20240035784A (ko) 플레이 리뷰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골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