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384A -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2384A KR20230032384A KR1020210115169A KR20210115169A KR20230032384A KR 20230032384 A KR20230032384 A KR 20230032384A KR 1020210115169 A KR1020210115169 A KR 1020210115169A KR 20210115169 A KR20210115169 A KR 20210115169A KR 20230032384 A KR20230032384 A KR 202300323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air
- aeration tank
- aeration
- pip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276 aerato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703 Cya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1143 Hypo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868 Overgrowt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MMDJDBSEMBIJBB-UHFFFAOYSA-N [O-][N+]([O-])=O.[O-][N+]([O-])=O.[O-][N+]([O-])=O.[NH6+3] Chemical compound [O-][N+]([O-])=O.[O-][N+]([O-])=O.[O-][N+]([O-])=O.[NH6+3] MMDJDBSEMBIJ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1 eutroph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010 microb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71 synthetic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10—Temperature conditions for biological treatment
- C02F2301/103—Psychrophilic treat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절기 태양열에 의한 폭기조의 폐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폭기(曝氣)를 위해 폭기조 내에 공급하는 공기를 방류수를 이용하여 열교환 냉각하여 공급하며, 폭기조 밑바닥에 형성되는 일부 미생물 및 고형물의 침전을 줄여줌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절기 태양열에 의한 폭기조의 폐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폭기(曝氣)를 위해 폭기조 내에 공급하는 공기를 방류수를 이용하여 열교환 냉각하여 공급하며, 폭기조 밑바닥에 형성되는 일부 미생물 및 고형물의 침전을 줄여줌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 폐수, 하수 등의 하폐수 처리에 있어서 하폐수 내의 질소, 인 및 유기물 등의 함유량과, 물의 탁도, pH 등을 필요한 수준으로 처리하고,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여 환경공학적으로 안정하도록 처리한다.
주로 농업용 비료, 사람이나 가축의 분뇨, 합성세제로부터 발생되는 질소나 인이 수계로 유입되면, 부영양화, 연안의 적조현상, 암모니아의 어류독소, 수중의 용존산소결핍 등을 야기하게 되며, 상수 중의 암모니아는 염소 요구량을 증가시키고, 질산성 질소가 음용수 중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경우 청색증와 같은 질병을 유발하여 건강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또한 질소, 인 등의 상수원 유입으로 인한 조류의 과잉성장으로 수돗물의 맛과 냄새 등에서 불쾌감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정수공정인 모래 여과지의 막힘 현상을 유발하며, 남조류가 과잉 번식한 경우, 독성 물질을 생성하여 사람의 건강에 장애를 주기도 한다.
이와 같이, 수계로의 질소, 인 유입은 정수비용의 증가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발생, 공중보건상 안전하고 깨끗한 수자원확보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유발시키며, 따라서 수계로의 영양염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근원적인 해결책이므로 하폐수에서 유기물의 제거와 더불어 질소, 인의 처리가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외기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하절기의 경우 하폐수 처리효율, 즉 블로워를 통해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고 미생물이 활동하는 폭기조 내에서의 질소/인 처리 효율이 상당부분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절기의 높은 하폐수 온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춰줘야 할 필요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폭기조 내의 온도가 30-40℃ 일 때, 미생물의 번식 및 오물의 분해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여름철 블로워 압축열은 90℃∼95℃ 정도여서 폭기조에 공급하는 공기 온도 또한 높아서 폐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운영자가 안정적인 처리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는 상황이다. 처리하고자 하는 폐수 액 온도가 40℃가 넘을 경우 생물 반응조의 미생물이 사멸하여 정상적인 처리가 불가능하여 장기간 정상화가 불가능하다.
한국특허등록번호 10-0198386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된 오,폐수처리장치의 송풍관 온도제어방법 및 장치는 냉각재가 순환되는 몸체 내부에 송풍관(2)을 통과시켜서 냉각시킨 후 집수조(5)에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는 집수조(5)가 태양열에 노출되어 하절기에 폐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온도제어장치(10)에 별도의 냉각재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하절기 태양열에 의한 폭기조의 폐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폭기(曝氣)를 위해 폭기조 내에 공급하는 공기를 방류수를 이용하여 열교환 냉각하여 공급하며, 폭기조 밑바닥에 형성되는 일부 미생물 및 고형물의 침전을 줄여줌으로써 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협잡물등을 제거하는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공기와 접촉시켜 정화시키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에서 처리된 방류수를 수용하고 방류하는 방류조를 구비하는 생물학적 수처리시설에 있어서,
태양열로부터 상기 폭기조의 폐수가 가열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폭기조의 상부에 시공되며 상면부에 개폐가능하며 단열재로 형성된 덮개를 구비하는 냉각수조와,
상기 방류조의 방류수를 상기 냉각수조로 공급하여 수용시키는 방류수 공급관과,
상기 폭기조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는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폭기조 내의 폐수에 공급하는 공기공급관을 구비하되,
상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냉각수조 내에 배치되어 방류수 내부를 경유하며 상기 블로워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추는 열교환관과, 상기 열교환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폭기조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폭기조 상부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제1폭기구가 일정간격으로 마련된 폭기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수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의 측면벽 상단부에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넘쳐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폭기조 내부의 폐수 수면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열교환관으로부터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복수의 에어노즐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에어노즐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폐수를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수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폭기관에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폭기조 하부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제2폭기구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수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각 제1폭기구는 상기 폭기관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분기되며 단부에 에어토출공이 형성된 제1분기관과, 상기 제1분기관의 외측에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협하광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폐수가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제1테이퍼관을 구비하며.
상기 각 제2폭기구는 상기 폭기관으로부터 상기 폭기조의 밑바닥을 향하여 분기되며 단부에 에어토출공이 형성된 제2분기관과, 상기 제2분기관의 외측에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광하협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폐수가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제2테이퍼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수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의 일부는 상기 유입구 하측의 상기 폭기조 측벽에 내설되고, 상기 복수의 에어노즐은 상기 측벽에 내설된 공기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폭기조 내부측으로 냉각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상기 각 에어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냉각공기에 의해서 상기 폭기조 내부로 비산되면서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협잡물등을 제거하는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유입된 폐수에 미생물을 투입하고 공기와 접촉시켜 폐수를 정화시키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에서 처리된 방류수를 수용하고 방류하는 방류조를 구비하는 생물학적 수처리시설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태양열로부터 상기 폭기조의 폐수가 가열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폭기조의 상부에 냉각수조를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방류조와 냉각수조를 연결하여 상기 방류수를 상기 냉각수조로 공급하는 방류수 공급관을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수조의 일측에 상기 폭기조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는 블로워를 장착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블로워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냉각수조 내의 방류수를 경유하여 상기 폭기조 내부의 하부측으로 공급하도록 공기공급관을 배관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수조의 상면부에 개폐가능하며 단열재로 형성된 덮개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공급관 배관 단계에서 상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냉각수조 내에 배치되어 방류수 내부를 지그재그로 경유하며 상기 블로워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추는 열교환관과, 상기 열교환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폭기조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폭기조 상부측을 향하여 배출되도록 복수의 제1폭기구가 일정간격으로 마련된 폭기관을 구성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의 측벽 상단부에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넘쳐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공급관의 일부는 상기 유입구 하측의 상기 폭기조 측벽에 내설시키고, 복수의 에어노즐을 상기 측벽에 내설된 공기공급관으로부터 분기시켜서 상기 폭기조 내부측을 향하여 상기 열교환관으로부터 냉각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시공하여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상기 각 에어노즐로부터 토출되는 냉각공기에 의해서 상기 폭기조 내부로 비산되면서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폭기관에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폭기조의 밑바닥을 향하여 배출되도록 복수의 제2폭기구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각 제1폭기구는 상기 폭기관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분기되며 단부에 에어토출공이 형성된 제1분기관과, 상기 제1분기관의 외측에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협하광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폐수가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제1테이퍼관을 구비하며.
상기 각 제2폭기구는 상기 폭기관으로부터 상기 폭기조의 밑바닥을 향하여 분기되며 단부에 에어토출공이 형성된 제2분기관과, 상기 제2분기관의 외측에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광하협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폐수가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제2테이퍼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냉각수조(500)가 폭기조(200)의 상부측에 배치됨으로써 하절기 태양열을 차단하여 폭기조(200) 내의 폐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냉각수조(500)에 수용되는 냉매를 방류수를 수용하여 활용함으로써 시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세째, 냉각된 공기가 분출되는 제1폭기구(730)와 제2폭기구(740)를 구비함으로써 폐수의 교반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특히 냉각 공기를 폭기조(200)의 밑바닥을 향하여 토출시키는 제2폭기구(740)는 제2분기관(741)으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공기가 밑바닥에 침전된 미생물 및 폐수 고형물을 교반시킴으로써 교반효율을 향상시킨다.
네째, 유입구(210) 하측의 폭기조 측벽(201)에 열교환관(710)으로부터 연장된 공기공급관(700)의 일부를 내설하고, 복수의 에어노즐(750)을 측벽(201)에 내설된 공기공급관(700)으로부터 분기하여 설치함으로써, 폭기조(200) 내부측을 향하여 냉각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유입구(21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각 에어노즐(750)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공기에 의해서 폭기조(200) 내부로 비산되면서 유입되도록 하여 폐수의 냉각효율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폐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수처리시설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수처리시설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수처리시설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수처리시설의 다른 예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수처리시설의 또 다른 예의 개략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수처리시설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수처리시설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수처리시설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수처리시설의 다른 예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수처리시설의 또 다른 예의 개략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은 하절기 태양열에 의한 폭기조의 폐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폭기(曝氣)를 위해 폭기조 내에 공급하는 공기를 수처리시설의 최종 방류수를 이용하여 열교환 냉각하여 공급하며, 폭기조 밑바닥에 형성되는 일부 미생물 및 고형물의 침전을 줄여줌으로써 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의 생물학적 수처리시설을 나타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협잡물등을 제거하는 전처리조(100), 상기 전처리조(100)로부터 유입구(210)를 통하여 유입된 폐수를 공기와 접촉시켜 정화시키는 폭기조(200), 상기 폭기조(200)에서 유입되는 혼합액을 고액분리하여 침전된 슬러지는 슬러지 처리시설로 배출시키는 후처리조(300)와, 상기 후처리조(300)로부터 유입되는 상등수를 수용하고 방류하는 방류조(400)를 구비한다.
상기 폭기조(200)의 상부에는 태양열을 차단하여 상기 폭기조(200)의 폐수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냉각수조(500)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수조(500)의 상면부에는 개폐가능하며 단열재로 형성된 덮개(510)가 장착된다.
상기 방류조(400)와 상기 냉각수조(500)는 방류수 공급관(420)으로 연결되어서 공급펌프(410)에 의해서 방류수가 냉각수조(50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냉각수조(500)에 공급되는 방류수는 일정 수위를 유지하면서 배출관(430)을 통하여 방류되며, 상기 냉각수조(500)로 유입되는 최종 처리된 방류수는 17~23℃로 측정된다.
상기 냉각수조(500)의 외벽에는 상기 폭기조(20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는 블로워(600)가 설치된다. 상기 블로워(600)에는 공기 공급관(700)이 연결되어서 생성된 압축공기가 상기 폭기조(200) 내의 폐수에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블로워(600)의 압축열은 하절기에 95~95℃까지 측정되고 있다.
상기 공기공급관(700)은 상기 냉각수조(500) 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방류수 내부를 경유하며 상기 블로워(60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추는 열교환관(710)과, 상기 열교환관(7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폭기조(2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폭기조(200) 상부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제1폭기구(730)가 일정간격으로 마련된 폭기관(7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폭기관(720)에는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폭기조(200)의 내부 바닥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제2폭기구(74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각 제1폭기구(730)는 상기 폭기관(720)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분기되며 단부에 에어토출공이 형성된 제1분기관(731)과, 상기 제1분기관(731)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협하광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폐수가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제1테이퍼관(732)을 구비한다.
상기 각 제2폭기구(740)는 상기 폭기관(720)으로부터 상기 폭기조(200)의 밑바닥을 향하여 분기되며 단부에 에어토출공이 형성된 제2분기관(741)과, 상기 제2분기관(741)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광하협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폐수가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제2테이퍼관(742)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수처리시설은 상기 냉각수조(500)가 상기 폭기조(200)의 상부측에 배치됨으로써 하절기 태양열을 차단하여 폭기조(200) 내의 폐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절기에 압축열이 95~95℃까지 상승되는 상기 블로워(600)의 압축공기는 상기 열교환관(710)을 경유하면서 미생물의 번식 및 폐수의 분해가 활발한 30~40℃로 냉각되어 상기 폭기관(720)으로 공급된다.
상기 폭기관(720)으로 공급되는 상기 냉각 압축공기는 상기 제1폭기구(730)를 통하여 냉각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공기가 상승하면서 폐수를 교반하고 폐수를 미생물의 번식이 왕성한 온도로 냉각하여 미생물의 번식 및 폐수의 분해를 촉진시킨다.
한편, 냉각 공기를 폭기조(200)의 상부 방향을 향하여 토출시키는 제1폭기구(730)는 제1분기관(731)으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공기의 상승압에 의해서 제1테이퍼관(732)의 하부측으로 폐수가 유입되어 냉각 공기와 함께 상부측으로 폐수가 유동되게 되며, 이는 폭기조(200) 하부측의 폐수를 상부측으로 유동시키는 교반기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냉각 공기를 폭기조(200)의 밑바닥을 향하여 토출시키는 제2폭기구(740)는 제2분기관(741)으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공기가 밑바닥에 침전된 미생물 및 폐수 고형물을 교반시킴으로써 교반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폭기조(200)의 측벽(201) 상단부에 상기 전처리조(100)로부터 상등수가 넘쳐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폭기조(200) 내부의 폐수 수면 상부측에는 상기 공기공급관(70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열교환관(710)으로부터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복수의 에어노즐(750)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복수의 에어노즐(750)은 상기 유입구(2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폐수를 향하여 냉각 공기가 토출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전처리조(100)로부터 유입되는 유입구(210)에서 폐수를 냉각시킴으로써 하절기 폐수의 온도 냉각효율을 높인다.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열교환관(710)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공기공급관(700)의 일부는 상기 유입구(210) 하측의 상기 폭기조 측벽(201)에 내설되고, 상기 복수의 에어노즐(750)은 상기 측벽(201)에 내설된 공기공급관(70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폭기조(200) 내부측을 향하여 냉각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서, 상기 유입구(21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상기 각 에어노즐(750)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공기에 의해서 상기 폭기조(200) 내부로 비산되면서 유입되도록 하여 폐수의 냉각효율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협잡물등을 제거하는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유입된 폐수에 공기와 접촉시켜 폐수를 정화시키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에서 처리된 방류수를 수용하고 방류하는 방류조를 구비하는 생물학적 수처리시설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가 개방된 폭기조(200)의 상부에 상기 방류수를 수용할 수 있는 냉각수조(500)를 시공한다. 상기 냉각수조(500)는 상기 폭기조(200)의 상면부 전체를 덮도록 콘크리트 시공된다.
상기 냉각수조(500)는 태양열을 차단하여 상기 폭기조(200)의 폐수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상기 방류조(400)와 냉각수조(500)를 연결하여 상기 방류수를 상기 냉각수조(500)로 공급하는 방류수 공급관(420)을 시공한다. 상기 방류수 공급관(420)에는 방류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펌프(410)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수조(500)의 일측에는 상기 폭기조(20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는 블로워(600)를 장착 시공한다.
이어서 상기 블로워(600)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냉각수조(500) 내의 방류수를 경유하여 상기 폭기조(200) 내부의 하부측으로 공급하도록 공기공급관(700)을 배관한다.
상기 공기공급관(700)은 상기 냉각수조(500) 내에 배치되어 방류수 내부를 지그재그로 경유하며 상기 블로워(60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추는 열교환관(710)과, 상기 열교환관(7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폭기조(2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폭기조(200) 상부측을 향하여 배출되도록 복수의 제1폭기구(730)가 일정간격으로 마련된 폭기관(720)을 구성하도록 시공한다.
상기 냉각수조(500)의 상면부에는 개폐가능하며 단열재로 형성된 덮개(510)를 시공한다.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은 상기 냉각수조(500)를 상기 폭기조(200)의 상부측에 배치되도록 시공함으로써, 하절기 태양열을 차단하여 폭기조(200) 내의 폐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절기에 압축열이 95~95℃까지 상승되는 상기 블로워(600)의 압축공기는 상기 열교환관(710)을 경유하면서 미생물의 번식 및 폐수의 분해가 활발한 30~40℃로 냉각되어 상기 폭기관(720)의 제1,2폭기조(730)(740)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폐수의 분해를 촉진시킨다.
상기 폭기관(720)으로 공급되는 상기 냉각 압축공기는 상기 제1폭기구(730)를 통하여 냉각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공기가 상승하면서 폐수를 교반하고 폐수를 미생물의 번식이 왕성한 온도로 냉각하여 미생물의 번식 및 폐수의 분해를 촉진시킨다.
한편, 냉각 공기를 폭기조(200)의 상부 방향을 향하여 토출시키는 제1폭기구(730)는 제1분기관(731)으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공기의 상승압에 의해서 제1테이퍼관(732)의 하부측으로 폐수가 유입되어 냉각 공기와 함께 상부측으로 폐수가 유동되게 되며, 이는 폭기조(200) 하부측의 폐수를 상부측으로 유동시키는 교반기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냉각 공기를 폭기조(200)의 밑바닥을 향하여 토출시키는 제2폭기구(740)는 제2분기관(741)으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공기가 밑바닥에 침전된 미생물 및 폐수 고형물을 교반시킴으로써 교반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 시공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폭기조의 측벽(201) 상단부에 상기 전처리조(100)로부터 넘쳐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0)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공급관(700)의 일부는 상기 유입구(210) 하측의 상기 폭기조 측벽(201)에 내설시키고, 복수의 에어노즐(750)을 상기 측벽(201)에 내설된 공기공급관(700)으로부터 분기시켜서 상기 폭기조(200) 내부측을 향하여 상기 열교환관(710)으로부터 냉각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시공한 것이다.
이는 상기 유입구(21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상기 각 에어노즐(750)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공기에 의해서 상기 폭기조(200) 내부로 비산되면서 유입되도록 하여 폐수 및 미생물의 교반효율을 향상시키고 폐수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2폭기조(730,740)의 구성 및 이에 따른 효과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200...폭기조
201...측벽
210...유입구 400...방류조
420...방류수 공급관 500...냉각수조
600...블로워 700...공기공급관
710...열교환관 720...폭기관
730...제1폭기구 740...제2폭기구
210...유입구 400...방류조
420...방류수 공급관 500...냉각수조
600...블로워 700...공기공급관
710...열교환관 720...폭기관
730...제1폭기구 740...제2폭기구
Claims (8)
- 협잡물등을 제거하는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유입된 폐수를 공기와 접촉시켜 정화시키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에서 처리된 방류수를 수용하고 방류하는 방류조를 구비하는 생물학적 수처리시설에 있어서,
태양열로부터 상기 폭기조(200)의 폐수가 가열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폭기조(200)의 상부에 시공되며 상면부에 개폐가능하며 단열재로 형성된 덮개(510)를 구비하는 냉각수조(500)와,
상기 방류조(400)의 방류수를 상기 냉각수조(500)로 공급하여 수용시키는 방류수 공급관(420)과,
상기 폭기조(20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는 블로워(600)와,
상기 블로워(600)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폭기조(200) 내의 폐수에 공급하는 공기공급관(700)을 구비하되,
상기 공기공급관(700)은 상기 냉각수조(500) 내에 배치되어 방류수 내부를 경유하며 상기 블로워(60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추는 열교환관(710)과, 상기 열교환관(7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폭기조(2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폭기조(200) 상부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제1폭기구(730)가 일정간격으로 마련된 폭기관(7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200)의 측벽(201) 상단부에 상기 전처리조(100)로부터 넘쳐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폭기조(200) 내부의 폐수 수면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공급관(70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열교환관(710)으로부터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복수의 에어노즐(750)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에어노즐(750)은 상기 유입구(2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폐수를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폭기관(720)에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폭기조(200)의 내부 바닥측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제2폭기구(74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제1폭기구(730)는 상기 폭기관(720)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분기되며 단부에 에어토출공이 형성된 제1분기관(731)과, 상기 제1분기관(731)의 외측에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협하광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폐수가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제1테이퍼관(732)을 구비하며.
상기 각 제2폭기구(740)는 상기 폭기관(720)으로부터 상기 폭기조(200)의 밑바닥을 향하여 분기되며 단부에 에어토출공이 형성된 제2분기관(741)과, 상기 제2분기관(741)의 외측에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광하협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폐수가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제2테이퍼관(742)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700)의 일부는 상기 유입구(210) 하측의 상기 폭기조 측벽(201)에 내설되고, 상기 복수의 에어노즐(750)은 상기 측벽(201)에 내설된 공기공급관(70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폭기조(200) 내부측으로 냉각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서,
상기 유입구(21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상기 각 에어노즐(750)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공기에 의해서 상기 폭기조(200) 내부로 비산되면서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폐수처리시설. - 협잡물등을 제거하는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유입된 폐수에 미생물을 투입하고 공기와 접촉시켜 폐수를 정화시키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에서 처리된 방류수를 수용하고 방류하는 방류조를 구비하는 생물학적 수처리시설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태양열로부터 상기 폭기조(200)의 폐수가 가열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폭기조(200)의 상부에 냉각수조(500)를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방류조(400)와 냉각수조(500)를 연결하여 상기 방류수를 상기 냉각수조(500)로 공급하는 방류수 공급관(420)을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수조(500)의 일측에 상기 폭기조(200)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는 블로워(600)를 장착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블로워(600)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상기 냉각수조(500) 내의 방류수를 경유하여 상기 폭기조(200) 내부의 하부측으로 공급하도록 공기공급관(700)을 배관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수조(500)의 상면부에 개폐가능하며 단열재로 형성된 덮개(510)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공급관(700) 배관 단계에서 상기 공기공급관(700)은 상기 냉각수조(500) 내에 배치되어 방류수 내부를 지그재그로 경유하며 상기 블로워(60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추는 열교환관(710)과, 상기 열교환관(71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폭기조(2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폭기조(200) 상부측을 향하여 배출되도록 복수의 제1폭기구(730)가 일정간격으로 마련된 폭기관(720)을 구성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수처리시설의 시공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의 측벽(201) 상단부에 상기 전처리조(100)로부터 넘쳐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0)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공급관(700)의 일부는 상기 유입구(210) 하측의 상기 폭기조 측벽(201)에 내설시키고, 복수의 에어노즐(750)을 상기 측벽(201)에 내설된 공기공급관(700)으로부터 분기시켜서 상기 폭기조(200) 내부측을 향하여 상기 열교환관(710)으로부터 냉각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시공하여서,
상기 유입구(21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상기 각 에어노즐(750)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공기에 의해서 상기 폭기조(200) 내부로 비산되면서 유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폐수처리시설의 시공방법.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폭기관(720)에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폭기조(200)의 밑바닥을 향하여 배출되도록 복수의 제2폭기구(74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각 제1폭기구(730)는 상기 폭기관(720)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분기되며 단부에 에어토출공이 형성된 제1분기관(731)과, 상기 제1분기관(731)의 외측에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협하광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폐수가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제1테이퍼관(732)을 구비하며.
상기 각 제2폭기구(740)는 상기 폭기관(720)으로부터 상기 폭기조(200)의 밑바닥을 향하여 분기되며 단부에 에어토출공이 형성된 제2분기관(741)과, 상기 제2분기관(741)의 외측에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광하협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폐수가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제2테이퍼관(742)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수처리시설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5169A KR102586222B1 (ko) | 2021-08-31 | 2021-08-31 |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5169A KR102586222B1 (ko) | 2021-08-31 | 2021-08-31 |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2384A true KR20230032384A (ko) | 2023-03-07 |
KR102586222B1 KR102586222B1 (ko) | 2023-10-06 |
Family
ID=8551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5169A KR102586222B1 (ko) | 2021-08-31 | 2021-08-31 |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622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8386B1 (ko) | 1996-06-24 | 1999-06-15 | 김기철 | 오,폐수처리장치의 송풍관온도제어방법 및 장치 |
KR200382518Y1 (ko) * | 2005-02-01 | 2005-04-20 | 김동규 | 포기조용 수냉식 공기냉각장치 |
JP2016107178A (ja) * | 2014-12-02 | 2016-06-20 | 三浦工業株式会社 | 水処理システム |
CN212269569U (zh) * | 2020-03-27 | 2021-01-01 | 南通润泽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用于垃圾渗滤液好氧曝气池节能型冷却装置 |
-
2021
- 2021-08-31 KR KR1020210115169A patent/KR1025862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8386B1 (ko) | 1996-06-24 | 1999-06-15 | 김기철 | 오,폐수처리장치의 송풍관온도제어방법 및 장치 |
KR200382518Y1 (ko) * | 2005-02-01 | 2005-04-20 | 김동규 | 포기조용 수냉식 공기냉각장치 |
JP2016107178A (ja) * | 2014-12-02 | 2016-06-20 | 三浦工業株式会社 | 水処理システム |
CN212269569U (zh) * | 2020-03-27 | 2021-01-01 | 南通润泽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用于垃圾渗滤液好氧曝气池节能型冷却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6222B1 (ko) | 2023-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61554A (zh) | 一种厌氧水解酸化和ao-sbr一体化污水处理反应池 | |
KR0174365B1 (ko) | 부유식 조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
CN102503033A (zh) | 循环厌氧序批式生物膜人工湿地兼性塘处理养猪废水工艺 | |
CN105439286B (zh) | 一种垂直流污水生态处理系统 | |
KR20220065118A (ko) | 가축분뇨 처리 시스템 | |
KR20230032384A (ko) |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
CN201999835U (zh) | 一种厌氧水解酸化和ao-sbr一体化污水处理反应池 | |
KR20230032386A (ko) | 방류수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처리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0246493B1 (ko) | 하.폐수 처리장치 | |
KR102164095B1 (ko) | 오폐수 처리장치 | |
CN212024907U (zh) | 一种高浓度有机废水及脱氮除磷智能型处理系统 | |
CN210393863U (zh) | 一种养殖废水臭氧处理设备 | |
CN106512912A (zh) | 废水处理装置及其系统 | |
JP4645568B2 (ja) | 微生物馴養装置、排水処理装置、微生物馴養方法および排水処理方法 | |
CN214654300U (zh) | 一种设置有污泥脱水结构的废水处理系统 | |
KR101081031B1 (ko) | 슬러지와 하수 총인 감소 및 축산분뇨 액비화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 |
KR20210125247A (ko) | 소비전력을 줄인 오폐수 처리장치 | |
CN205687734U (zh) | 一种村镇污水处理装置 | |
CN205917068U (zh) | 一体化sbr/mbbr反应器 | |
CN221971396U (zh) | 一种污水处理设备 | |
KR101554225B1 (ko) | 하폐수 고도처리장치용 무산소조 | |
CN108191174A (zh) | 纤维生产用水处理装置及系统 | |
CN214735165U (zh) | 一种用于煮糖废水的降温处理系统 | |
CN221565922U (zh) | 一种基于短程反硝化除磷处理养猪废水处理装置 | |
KR100474106B1 (ko) | 미생물활성기를 이용한 분뇨 및 폐수처리방법과 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