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261A -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261A
KR20230032261A KR1020210114885A KR20210114885A KR20230032261A KR 20230032261 A KR20230032261 A KR 20230032261A KR 1020210114885 A KR1020210114885 A KR 1020210114885A KR 20210114885 A KR20210114885 A KR 20210114885A KR 20230032261 A KR20230032261 A KR 20230032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light irradiation
protector
ligh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309B1 (ko
Inventor
김남균
박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칼라세븐
김남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칼라세븐, 김남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칼라세븐
Priority to KR1020210114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30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3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8Apparatus adapted for operation in a moist environment, e.g. bath or show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착용하는 보호대와;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도록 보호대에 설치되는 광선조사유닛과; 광선조사유닛에 결합되어 가시광선 조사,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착용하여 치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치료의 제약이 없는 것은 물론 치료를 하는 반려동물도 편안하게 활동하면서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슬개골 부위에 착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전염증성인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켜 관절의 염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Pet Arthritis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절염이 발생하는 부위에 특정한 파장과 세기를 가지는 가시광선을 일정시간 동안 광선을 조사하여 관절염에서 발생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고, 염증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면역글로블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려동물을 기르는 전체 가구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을 살아있는 가족과 같이 귀중한 존재로 여기는 사람들을 뜻하는 펫팸족(pet+family의 합성어)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만큼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의 질병과 골절 등으로 인한 진료비가 고가이며 진료수가가 기준이 없어 진료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반려동물의 치료는 동물병원을 통한 진료 이외에는 예방과 치료 방법이 전무하며, 반려동물이 나이가 들거나 아프게 되면 진료비가 고가여서 진료비에 대한 부담을 많이 가지게 되어 유기하게 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예기치 않게 소요될 수 있는 진료비 및 치료비에 대한 부담을 저감시키고 반려동물의 수술 후 빠른 회복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반려동물용 치료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공개특허공보 제2021-0016655호(2021.02.17. 공개)의 '펄스전자기장을 이용한 반려동물용 치료 장치'는 상면에 반려동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평면 형태로 구비되는 반려동물 안착부, 내부에 하부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상부케이스; 상부 케이스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둘레면을 따라 코일이 끼움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삽입홈이 파지되어 있고, 내부 중앙면에 구비되어 코일에 일정량의 전류를 가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PCB 회로기판 장착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케이스;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둘레면을 따라 복수 회 권취되어 일정량의 전류가 인가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일; 하부 케이스 내의 PCB 회로기판 장착부에 장착되어 코일에 일정량의 전류를 가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코일의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한 선행문헌은 상부케이스의 반려동물 안착부에 반려동물이 위치된 상태에서 자기장에 의한 치료가 이루어지는데, 반려동물은 상부케이스의 반려동물 안착부에 가만히 있지 못하고 벗어나려는 행동 때문에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의 반려동물 안착부 크기가 작기 때문에 몸집이 큰 대형견 등과 같은 반려동물이 올라가는 경우 파손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21-0016655호(2021.02.1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절염이 발생하는 부위에 특정한 파장과 세기를 가지는 가시광선을 일정시간 동안 광선을 조사하여 관절염에서 발생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고, 염증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면역글로블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착용하는 보호대와;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도록 보호대에 설치되는 광선조사유닛과; 광선조사유닛에 결합되어 가시광선 조사,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호대는, 반려동물의 무릎이 접혀져 활동이 용이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보호대몸체와; 반려동물의 무릎에 보호대몸체가 위치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대몸체의 양측 상부와 하부쪽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띠; 복수의 고정띠가 서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고정띠에 설치되는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선조사유닛은,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져 보호대에 설치되는 광선조사유닛케이스와;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접촉하여 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보호대의 보호대몸체와 고정띠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광원과; 광원의 온/오프와 광선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내장된 상태로 보호대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원은, LED, OLED, QLED, micro LED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파장은, 전염증성인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켜 관절의 염증을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MCU, 광선조사 제어회로, 무선 송수신장치, 배터리, 충전 회로가 하나의 PCB에 실장되어 제2커넥터가 상하로 분리되도록 결합되는 제어장치케이스에 내장되게 설치되고, 제어장치케이스의 전면부에 충전표시등과 광원의 온/오프와 광선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시간조절 스위치가 탈부착되게 보호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광선조사 전용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로 구성되는 스마트 통신기기 또는 리모컨을 포함하는 스마트 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용 앱은, 스위치 온/오프, 광선조사 시간 선택, 광선조사 1일 횟수 선택, 광선조사 후 질병 증상 질의 설문 및 광선조사 사용 이력 표시 기능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치료가 어려운 만성적인 질환인 관절염을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효과와 유사한 치료 효과를 제공하면서 약물과 달리 부작용이 없이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착용하여 치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치료의 제약이 없는 것은 물론 치료를 하는 반려동물도 편안하게 활동하면서 치료를 받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개골 부위에 착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전염증성인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켜 관절의 염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를 펼친 상태에서 정면 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를 펼친 상태에서 배면 쪽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를 반려동물에 착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에서 보호대를 제외한 광선조사유닛과 제어장치가 결합된 상태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선조사유닛과 제어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를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된 부분에 착용하여 관절염을 치료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를 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는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착용하는 보호대(100)와;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도록 보호대(100)에 설치되는 광선조사유닛(200)과; 광선조사유닛(200)에 결합되어 가시광선 조사,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를 첨주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는 보호대(100), 광선조사유닛(200), 제어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대(100)는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부착할 수 있도록 보호대몸체(110)와 고정띠(120)로 구성된다.
상기 보호대몸체(110)는 반려동물의 무릅부분에 위치되어 활동이 용이하도록 통공(111)이 형성되어 사각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띠(120)는 보호대몸체(110)가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대몸체(110) 양측 상부와 하부쪽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호대(100)의 고정띠(120)에는 구멍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구멍은 보호대몸체(110)에 고정띠(120)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광선조사유닛(200)의 광원(220)에서 광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멍에는 보호대(100)를 반려동물이 착용한 상태에서 습기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투명한 방수막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띠(120)에는 벨크로테이프(130)가 설치된다. 상기 벨크로테이프(130)는 숫벨크로테이프(131)와 암벨크로테이프(132)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고정띠(120) 중 하나에 숫벨크로테이프(131)가 설치되며, 상기 숫벨크로테이프(131)에 대응되게 암벨크로테이프(132)가 고정띠(120)에 설치된다.
상기 광선조사유닛(200)은 제어장치(300)와 결합되어 광원(22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보호대몸체(110)에 광선조사유닛케이스(210)가 설치되고, 상기 광선조사유닛케이스(210)와 전선(212)으로 연결되어 반려동물의 슬개골에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광원(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광선조사유닛케이스(210)는 원형, 사각, 육각 등과 같이 어느 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보호대몸체(110)에 설치된다. 상기 광선조사유닛케이스(210)에는 제1커넥터(211)가 설치되어 제어장치(300)에 설치된 제2커넥터(311)와 결합 또는 분리되게 구성된다.
상기 전선(212)은 보호대(100)를 세탁할 때 뒤틀리거나 늘어나는 것을 대비하여 꼬불꼬불하게 휘어진 형태로 설치되어 수축 또는 이완에 따른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선(212)은 전도성 고분자, 카본 나노튜브, 전도성 잉크, 전도성 페이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소재의 일반천연 섬유 소재 혹은 합성 섬유 소재에 전기가 흐르도록 설계된 전도성 원사(conductive yarn)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220)은 광선조사유닛케이스(210)와는 분리되게 구성되어 보호대몸체(110)에 고정띠(120)가 설치되는 부분에 복수로 설치된다. 상기 광원(220)을 광선조사유닛케이스(210)와 분리되게 구성하면, 보호대(100)에 설치할 때 광원(220)과 광선조사유닛케이스(210)가 설치되는 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지 않아 광원(220)이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된 부분에 용이하게 밀착된다.
상기 광원(220)은 광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광선방출구(222)가 형성되는 광원케이스(221)가 구성되고, 상기 광원케이스(221)의 내측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광원부재(22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광원(220)은 광선조사유닛(2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선조사유닛(200)과 결합되는 제어장치(30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광선방출구(222)는 광원부재(223)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광원부재(223)가 1개가 형성되며, 광선방출구(222) 또한 1개가 형성되고, 광원부재(223)가 3개가 형성되면, 광선방출구(222) 또한 3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광선방출구(222)는 광원부재(223)의 개수와는 상관없이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개의 광선방출구(222)에 의해 광선의 조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광원부재(223)는 LED 또는 OLED 또는 QLED 또는 micro LED로 이루어져 적어도 1개 이상의 설치된다. 상기 광원부재(223)는 광원케이스(221) 내측에 1개만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를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선방출구(22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원(220)의 온/오프와 광선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212)이 내장된 상태로 광원(220)의 광선방출구(220)의 내측에 방수패널(230)가 설치된다.
상기 방수패널(230)은 반려동물의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물질, 습기 등을 차단하여 광원부재(223)가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상기 제어장치(300)는 일측에 형성된 제2커넥터(311)에 의해 광선조사유닛(200)의 제1커넥터(211)와 결합되어 광선조사유닛(200)을 통해 광원(220)으로 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광원(22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장치(300)는 광원(220)의 온/오프 제어, 광선조사 제어, 데이터신호 송수신 제어, 배터리 충방전 제어하는 MCU, 광선이 특정한 파장으로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광선조사 제어회로, 통신단말기(200)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는 무선 송수신장치, MCU에 제어되어 충전 및 광원(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에 전원의 충전할 수 있도록 M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는 충전 회로가 실장되는 PCB(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고, 상기 MCU, 광선조사 제어회로, 무선 송수신장치, 배터리, 충전 회로가 실장된 PCB가 설치되는 제어장치케이스(31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300)의 제어장치케이스(310)에는 USB 충전케이블이 연결되는 충전단자(312)가 구성되며, 상기 충전단자(312)는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장치케이스(310)에는 제어스위치(313)가 구성되고, 상기 제어스위치(313)는 광원(22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스위치(313)를 1회 누르면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여 광원(220)을 온시켜 정해진 시간 동안 광선이 방출되게 하고,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배터리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광원(220)을 오프시킨다. 상기 광원(220)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스위치(313)가 다시 1회 눌리면 광원(220)을 오프시킨다.
상기 제어장치케이스(310)에 제어스위치(313)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 제1커넥터(211)와 제2커넥터(311)의 결합시켜 광원(220)을 온시키고, 제1커넥터(211)와 제2커넥터(311)의 분리시켜 광원(220)을 오프시킨다.
상기 제어장치(300)에 광원(220)의 광선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시간설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간설정 스위치는 광선조사유닛(120)으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광원(220)이 온된다.
그리고 상기 시간설정 스위치는 슬라이드식, 로터리식 또는 누름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식은 시간설정 스위치의 위치를 조절하여 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로터리식은 시간설정 스위치를 회전시켜 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누름식은 1회 누를 때 마다 10초, 20초 또는 30초 씩 상승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케이스(310)의 전면부에는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충전표시등(31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표시등은 바형태로 이루어져 단계별 표시하거나 또는 하나의 램프로 이루어져 색상별로 충전상태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300)의 무선송수신장치는 광선조사 전용 앱이 설치되는 스마트 통신기기, 리모콘 등을 포함하는 통신단말기(400)와 무선/유선으로 통신을 통해 광선조사유닛(200)의 광선조사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신단말기(400)는 제어장치(300)와 유,무선 방식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은 와이파이,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통신단말기(400)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통신기기 또는 리모컨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단말기(400)는 제어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광선조사 전용 앱이 설치된다.
이러한 광선조사 전용 앱은 제어장치(300)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것은 물론 광선 조사 시간의 선택, 광선조사 1일 횟수 선택, 질병 증상의 질의 설문 기능, 광선조사 사용 이력 표기 기능 등이 탑재되어 반려동물을 관리하는 사람이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의 사용에 따른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를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반려동물의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슬개골이 위치한 부분에 보호대몸체(110)의 통공(111)이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보호대몸체(110)를 무릎의 뒷 부분 쪽으로 감싸지게 위치시킨다.
상기 보호대몸체(110) 양측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고정띠(120) 중에서 암벨크로테이프(132)가 설치된 고정띠(120)를 무릎의 뒤편 감싸도록 위치시켜 암벨크로테이프(132)가 외부로 표출되게 위치시킨다.
상기 고정띠(120) 중에서 숫벨크로테이프(131)가 설치된 고정띠(120)를 무릎의 뒤편을 감싸면서 암벨크로테이프(132)에 숫벨크로테이프(131)를 부착하여 복수의 고정띠(120)에 의해 보호대몸체(110)가 슬개골이 위치된 부분에 설치한다.
상기 고정띠(120)에 의해 보호대몸체(110)가 슬개골이 위치된 부분에 고정되면, 광원(220)은 슬개골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위치되어 관절반월 쪽으로 광선을 조사할 수 있게 위치된다.
상기 광원(220)이 설치된 보호대(100)의 보호대몸체(110)를 슬개골이 위치된 부분에 설치한 상태에서 광선조사유닛(200)의 광선조사유닛케이스(210)에 설치된 제1커넥터(211)에 제어장치(300)에 설치된 제2커넥터(311)가 결합되도록 하여 보호대몸체(110)의 외측에 제어장치(300)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장치(300)의 제어스위치(313)를 눌러 배터리의 전원이 제2커넥터(311)와 제1커넥터(211)를 통해 전선을 거쳐 광원(220)으로 공급되면, 보호대몸체에 설치된 광원(220)에서 광선이 관절반월 쪽으로 조사된다.
상기 광원(220)이 조사되면, 특정한 파장이 방출되고, 이러한 파장은 광선조사를 받은 부위와 말초혈관이나 말초신경계가 연결된 관절반월이 위치된 부분에 610nm±20nm로 이루어진 중심 파장이 조사된다.
상기 특정한 파장은 전염증성인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이소형 특이적(isotype-specific)IgG1 및 IgG2의 수준을 감소시켜 관절의 염증을 치료한다.
또한, 기존의 약물치료, 침, 뜸, 전기치료, 신경 자극치료보다도 더 치료효능이 우수하고, 안전하면서 편안하게 치료를 하는 것은 물론 특정한 파장 및 세기의 광선을 방출하는 광선조사 유닛을 보호대(100)에 장착하여 슬개골이 부위에 부위에 접촉하고, 소정 시간 동안 광선을 조사하여 치료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약물과 병행 이용이 가능하므로 관절염 질환이 발생한 반려동물들에게 매우 유익하게 사용되며,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한 부작용이 심하고,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가격이 고가이면서 효능이 좋지 못한 자극기 등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과 병행 이용이 가능하므로 관절염이 발생한 반려동물에게 매우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약물을 싫어하는 반려동물에게 더욱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보호대 110: 보호대몸체
111: 통공 120: 고정띠
130: 벨트로테이프 131: 숫벨트로테이프
132: 암벨트로테이프 200: 광선조사유닛
210: 광선조사유닛케이스 211: 제1커넥터
212: 전선 220: 광원
221: 광원케이스 222: 광선방출구
223: 광원부재 230: 방수패널
300: 제어장치 310: 제어장치케이스
311: 제2커넥터 312: 충전단자
313: 제어스위치 314: 충전표시등
400: 통신단말기

Claims (8)

  1.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착용하는 보호대(100)와;
    반려동물의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도록 보호대(100)에 설치되는 광선조사유닛(200)과;
    광선조사유닛(200)에 결합되어 가시광선 조사,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100)는,
    반려동물의 무릎이 접혀져 활동이 용이하도록 통공(111)이 형성되는 보호대몸체(110)와;
    반려동물의 무릎에 보호대몸체(110)가 위치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대몸체(110)의 양측 상부와 하부쪽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띠(120);
    복수의 고정띠(120)가 서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고정띠(120)에 설치되는 벨크로테이프(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조사유닛(200)은,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져 보호대(100)에 설치되는 광선조사유닛케이스(210)와;
    슬개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접촉하여 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보호대(100)의 보호대몸체(110)와 고정띠(120)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광원(220)과;
    광원(220)의 온/오프와 광선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212)이 내장된 상태로 광원(220)의 광선방출구(2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수패널(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220)은,
    LED, OLED, QLED, micro LED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파장은,
    전염증성인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 인터류킨(interleukin(IL-6) 및 IL-1β)를 억제하고, 총 면역 글로불린(total immunorglobulin G(IgG)), isotype-specific IgG1 및 IgG2, 수준을 감소시켜 관절의 염증을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00)는,
    MCU, 광선조사 제어회로, 무선 송수신장치, 배터리, 충전 회로가 하나의 PCB에 실장되어 제어장치케이스(310)에 내장되게 설치되고,
    제어장치케이스(310)의 전면부에 충전표시등(314)과 광원(220)의 온/오프와 광선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시간조절 스위치가 탈부착되게 보호대(1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300)는,
    광선조사 전용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워치로 구성되는 스마트 통신기기 또는 리모컨을 포함하는 스마트 통신단말기(400)와 블루투스,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앱은,
    스위치 온/오프, 광선조사 시간 선택, 광선조사 1일 횟수 선택, 광선조사 후 질병 증상 질의 설문 및 광선조사 사용 이력 표시 기능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장치.
KR1020210114885A 2021-08-30 2021-08-30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를 위한 광선조사장치 KR102607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885A KR102607309B1 (ko) 2021-08-30 2021-08-30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를 위한 광선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885A KR102607309B1 (ko) 2021-08-30 2021-08-30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를 위한 광선조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261A true KR20230032261A (ko) 2023-03-07
KR102607309B1 KR102607309B1 (ko) 2023-11-29

Family

ID=8551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885A KR102607309B1 (ko) 2021-08-30 2021-08-30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를 위한 광선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3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975A (ko) * 2007-11-22 2009-05-2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증 완화 기능 밴드
KR20140089717A (ko) * 2013-01-07 2014-07-16 김남균 침술기
KR20160054423A (ko) *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칼라세븐 Cox-2효소를 억제하는 피부접착식 광선 조사 전극
KR20210016655A (ko)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메디워커 펄스전자기장을 이용한 반려동물용 치료 장치
US20210196975A1 (en) * 2016-07-31 2021-07-01 Litecure, Llc Light therapy apparatuse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975A (ko) * 2007-11-22 2009-05-2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증 완화 기능 밴드
KR20140089717A (ko) * 2013-01-07 2014-07-16 김남균 침술기
KR20160054423A (ko) *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칼라세븐 Cox-2효소를 억제하는 피부접착식 광선 조사 전극
US20210196975A1 (en) * 2016-07-31 2021-07-01 Litecure, Llc Light therapy apparatuses and methods
KR20210016655A (ko)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메디워커 펄스전자기장을 이용한 반려동물용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309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6142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timulation therapy
EP3740278B1 (en)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US936468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013846A (ko) 광요법 붕대 시스템
CN105358211B (zh) 适配器
EP3261716B1 (en) Electrical body stimulator cushion device, a medical or therapeutic device comprising same
US20110172752A1 (en) RF Diathermy and Faradic Muscle Stimulation Treatment
WO1999052597A1 (fr) Dispositif photomatriciel
JP2009536530A (ja) 動物に対する非侵襲的刺激のための装置
US20200253822A1 (en) Module and device for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CN112512624A (zh) 用于治疗外伤性脑损伤的装置以及相关的系统和方法
ES2446244T3 (es) Aparato para terapia auricular
KR102607309B1 (ko) 반려동물 관절염 치료를 위한 광선조사장치
US10539282B2 (en) Lighting lamp device
CN108337881A (zh) 治疗皮肤病症的小型uvb光疗装置
ES2890977T3 (es) Sistema de control para un dispositivo de estimulación implantable para estimular un nervio vago
JP2023085523A (ja) 波動重畳型微細電流生体印加装置
WO20201980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brain function
CN105381544A (zh) 可穿戴脉冲磁治疗仪及使用该治疗仪的编织物
CN114470529B (zh) 一种智能led骨质疏松治疗仪
KR20210015431A (ko) 비뇨생식기 기능 증진용 기능성 레깅스
CN110935099A (zh) 一种治疗狗腰间盘突出的穿戴设备
CN217567158U (zh) 一种可自定义发光面积的双波长led骨质疏松治疗仪
SK6800Y1 (sk) Zariadenie na vykonávanie stimulácie mozgu laserovým kruhovo alebo elipticky polarizovaným svetlom
KR20200017833A (ko) 활동성이 보장된 피부용 광선 요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