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461A -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461A
KR20230031461A KR1020210113722A KR20210113722A KR20230031461A KR 20230031461 A KR20230031461 A KR 20230031461A KR 1020210113722 A KR1020210113722 A KR 1020210113722A KR 20210113722 A KR20210113722 A KR 20210113722A KR 20230031461 A KR20230031461 A KR 20230031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quarantine
information
face
vehicle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202B1 (ko
Inventor
지인찬
고슬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펀투미
(주)딥인사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펀투미, (주)딥인사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펀투미
Priority to KR102021011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202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9/00Puddings; Cream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340)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실내방역장치 정보, 관리자 정보, 차량 실내 정보 및 방역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차량 실내 방역 장치로부터 차량 실내정보를 수신하고, 방역을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 직접 수행의 유인 방역방식을 100% 무인화로 대체하여 언택트 방식으로 안전하고 상시적인 차량 실내 방역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Vehicle indoor non-face-to-face prevention system using intelligent indoor surveillance camera}
본 발명은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부의 사람 및 동물 감지가 안될 경우 연무 살균 기능을 수행하고, 사람 및 동물 감지시에는 공기 청정기능과 탈취 기능이 동작하도록 하며,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서 어플리케이션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COVID-19의 팬데믹으로 급격한 환경 리스크에 직면하고 생활 방역이 일상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감염병에 대한 규제를 통한 주기적인 대응과 선제적인 일상 방역이 생활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적으로 각국 정부는 이러한 코로나 19의 위험성과 문제점을 인식하고 지역간 봉쇄적 통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집합금지, 생활방역 수칙 준수 등의 조치를 취하거나 백신 접종을 통한 선제적 대응을 병행하고 있다.
일상생활 중에서 대중교통 등 다중 이용자가 탑승하는 차량 실내 환경은 직간접적으로 바이러스에 노출된 상태로 운행되고 있는 매우 취약한 공간이다.
그러나 차량 실내 환경에 대한 현재까지의 방역은 전반적으로 작업자가 승객의 상황이나 환경을 확인한 후 직접 소독제를 묻힌 후 표면을 닦거나 방역장비를 활용하여 살균하는 수준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유인 작동에 따른 안전한 비대면 차량 실내 방역 미흡하다. 즉, 실내 감시 및 방역장비의 작동에 별도의 작업자 관리가 필요하므로 직접적인 유인 방역 수행에 따라 신종 바이러스, 세균, 유해물질 등으로부터의 일상생활 속 공간인 차량 내부의 안전한 비대면 방역이 어려운 현실이다.
또한, 종래에는 지능형 제어 및 자동 작동 방식이 아닌 단순 수동 작동이므로 선제적이고 상시적인 차량 실내 방역이 미흡하다. 즉, 현재 차량 실내 환경 및 승객 감지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재하고, 시스템 통합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 부재하여 비정기적이면서 사후 방역만 가능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방역 제품의 편의성이 부족하였다. 즉, 기존 연무살균기는 자동차 전용의 제품이 없어 상시 거치가 불가능하며 사용 시 제품을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고, 기존 대형 연무살균기는 별도의 AC110~240의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함으로 자동차 내부 방역 시 사용의 불편함이 있고, 기존 대형화된 제품은 고소음(100dB 이상)과 예열시간(3분 이상)이 길어 사용의 제약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살균 및 방역 성능이 부족하였다. 즉, 스프레이 방식으로 인한 방역 사각지대(핸들, 의자, 손잡이 등의 표면 및 틈새)의 살균/방역 능력이 미흡하고, 소독제를 분사하는 소독방법은 감염원의 흡입 위험을 증가시키고 소독 효과가 미흡하므로 표면소독에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단순한 기능으로 방역 및 공기청정 동시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즉, 현재까지 차량 실내용 연무살균 및 공기청정 겸용시스템은 부재하고, 기존 자동차용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유해성분을 흡입하여 필터로 제거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자동차 내부의 표면과 틈새에 있는 세균 및 바이러스 제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작업자 직접 수행의 유인 방역방식을 100% 무인화로 대체하여 언택트 방식으로 안전하고 상시적인 차량 실내 방역이 가능한,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AI기반의 차량 내부 인식 및 시스템 통합제어 기능 적용으로 편의성 증대시켜 별도로 사람의 관리 및 제어가 필요 없이 AI기반으로 차량 내부의 승객 및 환경을 감지하고 맞춤형으로 시스템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마이크로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을 사용한 배터리리스 건강밴드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연무살균 및 공기청정 겸용 시스템을 적용한, 마이크로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을 사용한 배터리리스 건강밴드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기존의 스프레이 소독방식을 연무살균 방식으로 대체함으로써 인체 유해도를 감소시키고 표면방역 효과를 증대시키고, 살균 사각지대(핸들, 의자, 손잡이 등의 표면 및 틈새) 해소를 통한 방역 및 청정능력을 증대하는 인체 무해형 고성능 연무살균 방식 적용하는, 마이크로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을 사용한 배터리리스 건강밴드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실내 방역 장치 및 관리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으로서,
차량실내방역장치 정보, 관리자 정보, 차량 실내 정보 및 방역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차량 실내 방역 장치로부터 차량 실내정보를 수신하고, 방역을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차량 내부에 사람 및 동물 감지가 안될 경우 연무 살균 기능을 수행하고, 사람 및 동물 감지시에는 공기 청정기능과 탈취 기능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서 상기 차량 실내 방역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차량실내방역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실내방역장치 정보 DB;
관리자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자 정보 DB;
상기 차량 실내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실내 정보 DB;
상기 차량의 방역정보를 저장하는 방역정보 DB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실내 방역 장치로부터 차량 실내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차량 내부에 사람 및 동물 감지가 안될 경우 연무 살균 기능을 수행하고, 사람 및 동물 감지시에는 공기 청정기능과 탈취 기능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방역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실내방역장치는,
차량 실내의 세균을 감지하는 세균 감지부;
차량 실내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 감지부;
차량 실내의 먼지를감지하는 먼지 감지부;
차량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3D 카메라;
차량 실내를 연무로 살균하는 연무살균부;
차량 실내의 공기를 청청하게 필터링하고, 냄새를 탈취하는 공기청정부;
상기 세균 감지부, 냄새 감지부, 먼지 감지부, 3D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연무살균부 또는 공기청정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 직접 수행의 유인 방역방식을 100% 무인화로 대체하여 언택트 방식으로 안전하고 상시적인 차량 실내 방역이 가능한,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I기반의 차량 내부 인식 및 시스템 통합제어 기능 적용으로 편의성 증대시켜 별도로 사람의 관리 및 제어가 필요 없이 AI기반으로 차량 내부의 승객 및 환경을 감지하고 맞춤형으로 시스템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마이크로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을 사용한 배터리리스 건강밴드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무살균 및 공기청정 겸용 시스템을 적용한, 마이크로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을 사용한 배터리리스 건강밴드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스프레이 소독방식을 연무살균 방식으로 대체함으로써 인체 유해도를 감소시키고 표면방역 효과를 증대시키고, 살균 사각지대(핸들, 의자, 손잡이 등의 표면 및 틈새) 해소를 통한 방역 및 청정능력을 증대하는 인체 무해형 고성능 연무살균 방식 적용하는, 마이크로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모듈을 사용한 배터리리스 건강밴드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실내 방역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실내 방역 장치(300) 및 관리자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망(400)을 통해 연결되는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100)으로서,
차량실내방역장치 정보, 관리자 정보, 차량 실내 정보 및 방역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20);
상기 차량 실내 방역 장치로부터 차량 실내정보를 수신하고, 방역을 제어하는 서버(11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110)는 차량 내부에 사람 및 동물 감지가 안될 경우 연무 살균 기능을 수행하고, 사람 및 동물 감지시에는 공기 청정기능과 탈취 기능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서 상기 차량 실내 방역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상기 차량실내방역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실내방역장치 정보 DB(121);
관리자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자 정보 DB(122);
상기 차량 실내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실내 정보 DB(123);
상기 차량의 방역정보를 저장하는 방역정보 DB(124)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차량 실내 방역 장치로부터 차량 실내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정보 수집부(111);
상기 차량 내부에 사람 및 동물 감지가 안될 경우 연무 살균 기능을 수행하고, 사람 및 동물 감지시에는 공기 청정기능과 탈취 기능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방역 제어부(112)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실내 방역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실내방역장치(300)는,
차량 실내의 세균을 감지하는 세균 감지부(310);
차량 실내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 감지부(320);
차량 실내의 먼지를감지하는 먼지 감지부(330);
차량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3D 카메라(340);
차량 실내를 연무로 살균하는 연무살균부(350);
차량 실내의 공기를 청청하게 필터링하고, 냄새를 탈취하는 공기청정부(360);
상기 세균 감지부(310), 냄새 감지부(320), 먼지 감지부, 3D 카메라(34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 또는 서버(11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 또는 서버(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연무살균부(350) 또는 공기청정부(360)를 동작시키는 제어부(370);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380);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망(400)을 통해 상기 서버(110)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390)를 포함한다.
3D카메라(340)의 출력을 이용하여 제어부(370) 또는 서버(110)는 사람, 동물 등의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70) 또는 서버(110)는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원하는 객체의 위치 및 영역을 계산한다.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안면 특징점(윤곽, 눈썹, 눈, 코, 입)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기존의 영상 인식 기술로 객체의 존재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차량실내방역장치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버(110)의 역할을 제어부(370) 또는 관리자 단말기(200)가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340)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340)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원이 인가되면, 차량실내방역장치(300)가 동작한다.
그러면, 세균 감지부(310)는 차량 실내의 세균을 감지하여 출력하고, 냄새 감지부(320)는 차량 실내의 냄새를 감지하여 출력하고, 먼지 감지부는 차량 실내의 먼지를 감지하여 출력하고, 3D 카메라(340)는 차량 실내의 영상을 촬영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370)가 상기 세균 감지부(310), 냄새 감지부(320), 먼지 감지부, 3D 카메라(34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 또는 서버(110)의 정보 수집부(111)로 송신한다.
그러면, 정보 수집부(111)는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20)에 저장하고, 서버(110)의 방역 제어부(112)는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내에 탑승자가 있는지 판단한다.
정보 수집부(111)는 상기 차량 실내 정보를 차량 실내 정보 DB(123)에 저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10)의 방역 제어부(112)는 탑승객의 움직임 포착 및 분석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거리 정보를 활용한 운전자 행동의 3차원 분석을 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Depth 데이터를 이용한 이미지 처리기술을 이용하여 객체를 탐지한다. 구체적으로 ToF 카메라(340)를 이용하여 영상 기반의 객체 탐지기술로 객체를 탐지한다. 또한, 서버(110)의 방역 제어부(112)는 Depth 데이터와 IR 데이터를 결합한 이미지를 이용한 원하는 거리 내에 존재하는 객체만 탐지하는 AI 객체 탐지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고, 주변광을 제거한 후 안정적인 객체 탐지를 할 수도 있다.
이후, 서버(110)의 방역 제어부(112)는 차량안에 인체 또는 동물 등의 객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연무살균부(350)를 동작시키도록 제어명령을 제어부(370)로 송신한다. 방역 제어부(112)는 차량실내방역장치 정보 DB 및 관리자 정보 DB(122)를 참조하여 해당 차량실내방역장치(300) 또는 관리자 단말기(200)로 제어명령을 보내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370)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 또는 서버(110)의 방역 제어부(112) 제어에 따라 상기 연무살균부(350)를 동작시켜 차량 내부를 소독한다.
연무 살균부(350)는 차량 실내 방역을 위한 팬 동작 및 노즐이 구비될 수 있고, 차량 내부에서 살균 방역용 연무가 토출되는 방향 및 분사량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역 제어부(112)는 상기 방역 실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의 방역정보를 방역정보 DB(124)에 저장한다.
한편, 서버(110)의 방역 제어부(112)는 차량안에 인체 또는 동물 등의 객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청정부(360)를 동작시키도록 제어명령을 제어부(370)로 송신한다.
그러면 제어부(370)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 또는 서버(110)의 방역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부(360)를 동작시킨다. 공기 청청부(360)는 차량 내부에서 흡입된 미세먼지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토출하며, 필터를 이용하여 유해 물질을 집진하고, 차량 내부의 담배 냄새 및 각종 악취를 제거한다.
이때, 제어부(370)는 세균 감지부(310)에 의해 차량 실내의 세균이 감지된 경우 연막 살균부(350)를 동작시킬 수 있고, 감지된 세균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더 세게 연막 살균부(350)의 팬을 가동할 수 있다. 연막 살균부(350)를 구현한 예를 도 5에 도시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외형으로 연막 살균부(350)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어부(370)는 먼지 감지부에 의해 차량 실내의 미세먼지가 일정 기준치 이상 감지된 경우 또는 냄새 감지부(320)에 의해 차량 실내의 냄새가 감지된 경우에도 공기청정부(360)를 동작시킬 수 있고, 감지된 미세먼지나 냄새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더 세게 공기청정부(360)를 가동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공기청정부(360)의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외형으로 공기 청청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 직접 수행의 유인 방역방식을 100% 무인화로 대체하여 언택트 방식으로 안전하고 상시적인 차량 실내 방역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I기반의 차량 내부 인식 및 시스템 통합제어 기능 적용으로 편의성 증대시켜 별도로 사람의 관리 및 제어가 필요 없이 AI기반으로 차량 내부의 승객 및 환경을 감지하고 맞춤형으로 시스템의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무살균 및 공기청정 겸용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스프레이 소독방식을 연무살균 방식으로 대체함으로써 인체 유해도를 감소시키고 표면방역 효과를 증대시키고, 살균 사각지대(핸들, 의자, 손잡이 등의 표면 및 틈새) 해소를 통한 방역 및 청정능력을 증대하는 인체 무해형 고성능 연무살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차량 실내 방역 장치 및 관리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으로서,
    차량실내방역장치 정보, 관리자 정보, 차량 실내 정보 및 방역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차량 실내 방역 장치로부터 차량 실내정보를 수신하고, 방역을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차량 내부에 사람 및 동물 감지가 안될 경우 연무 살균 기능을 수행하고, 사람 및 동물 감지시에는 공기 청정기능과 탈취 기능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외부에서 상기 차량 실내 방역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차량실내방역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실내방역장치 정보 DB;
    관리자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자 정보 DB;
    상기 차량 실내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실내 정보 DB;
    상기 차량의 방역정보를 저장하는 방역정보 DB를 포함하는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 실내 방역 장치로부터 차량 실내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차량 내부에 사람 및 동물 감지가 안될 경우 연무 살균 기능을 수행하고, 사람 및 동물 감지시에는 공기 청정기능과 탈취 기능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방역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실내방역장치는,
    차량 실내의 세균을 감지하는 세균 감지부;
    차량 실내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 감지부;
    차량 실내의 먼지를감지하는 먼지 감지부;
    차량 실내의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3D 카메라;
    차량 실내를 연무로 살균하는 연무살균부;
    차량 실내의 공기를 청청하게 필터링하고, 냄새를 탈취하는 공기청정부;
    상기 세균 감지부, 냄새 감지부, 먼지 감지부, 3D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연무살균부 또는 공기청정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
    상기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KR1020210113722A 2021-08-27 2021-08-27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KR102589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722A KR102589202B1 (ko) 2021-08-27 2021-08-27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722A KR102589202B1 (ko) 2021-08-27 2021-08-27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461A true KR20230031461A (ko) 2023-03-07
KR102589202B1 KR102589202B1 (ko) 2023-10-13

Family

ID=8551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722A KR102589202B1 (ko) 2021-08-27 2021-08-27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2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216A (ko) * 2010-09-06 2012-03-14 (주)에이치피엔알티 친환경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2045226B1 (ko) * 2017-10-31 2019-11-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 살균소독장치
KR102198218B1 (ko) * 2020-07-17 2021-01-05 남용일 원격제어가능한 무인화 공간 멸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멸균 장치 관리시스템
KR102283833B1 (ko) * 2020-08-28 2021-08-03 이연수 자동 소독제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216A (ko) * 2010-09-06 2012-03-14 (주)에이치피엔알티 친환경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2045226B1 (ko) * 2017-10-31 2019-11-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 살균소독장치
KR102198218B1 (ko) * 2020-07-17 2021-01-05 남용일 원격제어가능한 무인화 공간 멸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멸균 장치 관리시스템
KR102283833B1 (ko) * 2020-08-28 2021-08-03 이연수 자동 소독제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202B1 (ko)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48452U (zh) 空气管家装置及空气管家系统
KR101269865B1 (ko) 인체 소독박스
CN112601914A (zh) 空间净化系统和空间净化方法
CN111905135A (zh) 一种基于人工智能消毒机器人的消毒装置
WO2021164358A1 (zh) 环境监测和防疫消杀的方法及系统
EP1600201A4 (en) AIR FILTERING ELEMENT, AIR FILTERING UNIT AND AIR CONDITIONER
CN113895397B (zh) 车辆驾驶室消毒系统及其控制方法和车辆
US11974888B2 (en) Portable air purification system
CN114099737A (zh) 消毒剂自动喷洒系统
CN111246892A (zh) 净化方法、净化装置以及净化系统
CN212490912U (zh) 一种防疫消杀平台
KR102250257B1 (ko) 비접촉 적외선 생체인식을 통한 인체적용 자외선 살균 세이프 게이트웨이 시스템
CN111973792A (zh) 一种防疫消杀平台及防疫消杀方法
JP2008075349A (ja) 喫煙室
KR102589202B1 (ko) 지능형 실내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실내 비대면 방역 시스템
KR101254717B1 (ko) 폐쇄회로카메라를 이용한 디지털 방역관제시스템
CN113960936A (zh) 消毒器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20230089131A1 (en)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11795448A (zh) 智能密闭空间空气消毒净化系统
JP2022034951A (ja) 移動式除菌装置および室内除菌システム
Akshat et al. AT89S52-Microcontroller Based Elevator with UV-C disinfection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COVID-19
KR20220095474A (ko) 실내 공간방역 시스템
KR20220052129A (ko) 항균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IL297542A (en) A system for protection against and detection of elements or agents present in the air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CN202458202U (zh) 一种智能环保型吸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