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442A - Drones broadcasting equipment equipped with searchlight - Google Patents

Drones broadcasting equipment equipped with search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442A
KR20230030442A KR1020210112667A KR20210112667A KR20230030442A KR 20230030442 A KR20230030442 A KR 20230030442A KR 1020210112667 A KR1020210112667 A KR 1020210112667A KR 20210112667 A KR20210112667 A KR 20210112667A KR 20230030442 A KR20230030442 A KR 20230030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one
searchlight
speaker
ro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6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혜리
Original Assignee
태경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경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경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0442A/en
Publication of KR20230030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4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broadcasting apparatus installed on a drone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and a pair of landing gears. The drone broadcast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frame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the dron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rone to be parallel with the drone; a second frame disposed in a lower part of the first frame; a horizontal rotation unit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frames to each other to rotate the second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third frame disposed to be connected with the second frame, and having a camera and lighting mounted therein; and a vertical rotation unit installed in a part in which the second and third frames are connected, to rotate the third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mera and the lighting are made to be rotated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otation units, the drone broadcasting apparatus can have an effect of photographing all directions of the drone without the need for drone control with a high level of difficulty.

Description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Drones broadcasting equipment equipped with searchlight}Drones broadcasting equipment equipped with searchlight {Drones broadcasting equipment equipped with searchlight}

본 발명은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light, and is more detailed.

하게는 방송용 스피커, 카메라 및 조명을 수평 회전 유닛 및 수직 회전 유닛을 통해 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드론의 고난이도 조종 없이 드론의 전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light that allows broadcasting speakers, cameras, and lights to be rotated in all directions through a horizontal rotation unit and a vertical rotation unit, so that the drone can be photographed in all directions without high-level control of the drone. it's about

일반적으로 드론은 원격조작(遠隔操作)에 의하여 조종되는 소형 무인 항공기를 말한다.In general, a drone refers to a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遠隔操作).

이러한 드론은 군사적인 용도인 미사일 추적, 무인정찰 및 감시임무 등으로 활용할 수 있고, 일반적인 용도인 지형의 촬영 등 일반적인 카메라로 촬영할 수 없는 영상을 제공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These drones can be used for military purposes such as missile tracking, unmanned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missions, and can be used to provide images that cannot be captured with a general camera, such as terrain shooting, which is a general purpose.

상기한 드론을 활용함에 있어 꼭 필요한 장치인 카메라 장치는 드론의 동체 안에 장착되어 드론의 전방 또는 하방을 촬영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A camera device, which is an indispensable device for using the above-described drone, is mounted in the body of the drone to take a picture of the front or bottom of the drone and provide it to the user.

기존 드론의 카메라 장치는 드론의 헤드 부분 또는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드론의 전방 또는 하방만을 촬영할 수 있었다. 기존의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드론의 후방 또는 상방 등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드론을 대폭 경사지도록 조종하여 이를 수행할 수 있지만, 이러한 조종은 매우 고난이도여서 사소한 실수로도 드론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camera device of the existing dron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head or lower part of the drone, it can only take pictures of the front or the lower part of the drone. In order to photograph the rear or upper side of a drone using a conventional camera device, it can be done by steering the drone to a steep slope, but such control is very difficult, so even minor mistakes can damage the drone.

KRKR 10-1937669 10-1937669 B1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용 스피커, 카메라 및 조명을 수평 회전 유닛 및 수직 회전 유닛을 통해 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드론의 고난이도 조종 없이 드론의 전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otate the broadcasting speaker, camera, and light in all directions through a horizontal rotation unit and a vertical rotation unit, so that the drone can be rotated without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drone. To provide a broadcasting device for a drone equipped with a searchlight capable of photographing a direc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 개의 블레이드 및 한 쌍의 랜딩 기어가 형성된 드론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드론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드론과 평행하도록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 회전 유닛;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카메라 및 조명이 탑재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과 제3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3 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수직 회전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s to be installed in a drone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and a pair of landing gears, a first fram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drone and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drone; a second frame disposed under the first frame; a horizontal rotation unit installed to interconnec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rotate the second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third fram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and equipped with a camera and a light therein; and a vertical rotation unit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frame and the third frame are connected to rotate the third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수평 회전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구동축이 고정되고, 본체가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 horizontal rotation motor having a drive shaft fixed to the fixing member and a main body fixed to the second frame.

이때, 상기 제2 프레임은 일부가 개구된 ‘ㄷ’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된 부분이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프레임의 양 측이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개구된 부분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frame is formed of a 'c'-shaped plate with a part of the opening, the opening part is disposed downward, and both sides of the third frame are at the opening part of the second frame. They can be installed so that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수직 회전 유닛은, 상기 제3 프레임의 양 측 각각과 상기 제2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한 쌍의 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구동축이 고정되고, 본체가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rotation unit, a pair of rotation shafts rotatably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third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vertical rotation motor having a drive shaft fixed to one of the pair of rotation shafts and a main body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또한, 상기 제3 프레임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복수 개의 조명 및 카메라가 배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조명 및 카메라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third frame, and a plurality of lights and cameras ar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plurality of lights and cameras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3 프레임의 외부 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조명 및 카메라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3 프레임의 외부로 발산시키는 방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heat dissipation unit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hird frame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s and the camera to the outside of the third frame;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3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스피커 및 제1 마이크; 상기 드론의 조종기에 설치되는 제2 스피커 및 제2 마이크; 상기 제2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제1 스피커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제2 스피커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speaker and a first microphone installed in the third frame; a second speaker and a second microphone installed in the controller of the drone;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voice input by the second microphone to the first speaker and transmitting the voice input by the first microphone to the second speaker.

이때, 상기 제1 스피커는 상기 제3 프레임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마이크는 상기 제3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peaker may be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third frame, and the first microphone may be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third frame.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방송용 스피커, 카메라 및 조명을 수평 회전 유닛 및 수직 회전 유닛을 통해 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드론의 고난이도 조종 없이 드론의 전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llowing the drone to be photographed in all directions without a high degree of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drone by allowing the broadcasting speaker, camera, and lighting to be rotated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and the vertical rotation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가 드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의 저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ron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oadcasting device for a drone equipped with a search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of a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o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ures, and include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comprises” or “has” is intended to designate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as being pres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r step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broadcasting device for a drone equipped with a searchligh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가 드론(10)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블레이드(11) 및 한 쌍의 랜딩 기어(12)가 설치된 드론(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드론(10)은 도 1에 도시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여러 형태의 드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드론(10)은 종래에 공지된 공지 기술이므로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 is a diagram showing that a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rone 10.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drone 10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lades 11 and a pair of landing gears 12. The drone 10 is not limited to the form shown in FIG. 1 and may include all types of drones. Since the drone 10 described above is a conventionally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바라본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의 정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바라본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의 측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light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2 .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light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arrow B in .

상기한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는 드론(10)의 하부에 설치되되 드론(10)과 평행하도록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프레임(100), 제1 프레임(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200),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제2 프레임(200)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 회전 유닛(400), 제2 프레임(200)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카메라(310) 및 조명(320)이 탑재되는 제3 프레임(300), 제2 프레임(200)과 제3 프레임(300)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제3 프레임(300)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직 회전 유닛(5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under the drone 10 and is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drone 10. The first frame ( 100), the second frame 200 disposed under the first frame 100, and installed to interconnect the first frame 100 and the second frame 200 to move the second frame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horizontal rotation unit 400 for rotating, a third frame 300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200 and having a camera 310 and a light 320 mounted therein, the second frame 200 and the third frame 300. A vertical rotation unit 500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frame 300 is connected to rotate the third frame 300 in a vertical direction is included.

먼저, 제1 프레임(100)은 대략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조물로, 드론(10)의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프레임(100)의 양 측은 드론(10)의 랜딩 기어(12) 각각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제1 프레임(100)은 드론(10)과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프레임(100)이 대략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frame 100 is a structu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and is disposed below the drone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is time,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100 are installed while being fixed to each of the landing gears 12 of the drone 10, and the first frame 100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drone 1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rame 100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ll of various shapes.

한편, 제2 프레임(200)은 일부가 개구된 ‘ㄷ’ 형상의 소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제2 프레임(200)은 제1 프레임(10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개구된 부분이 하부 방향(도 3의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한 제2 프레임(200)은 수평 회전 유닛(400)에 의해 제1 프레임(100)과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rame 200 may be provided a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c' shape with a part of the opening. The second frame 200 described above is disposed below the first frame 100, and the open portion is disposed toward the lower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in FIG. 3). The second frame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00 by a horizontal rotation unit 400 .

수평 회전 유닛(400)은 제1 프레임(1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부재(410) 및 고정 부재(410)에 구동축이 고정되고 본체가 제2 프레임(200)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 회전 모터(420)를 포함한다.The horizontal rotation unit 400 has a fixed member 410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100 and a horizontal rotation motor having a drive shaft fixed to the fixing member 410 and a main body fixed to the second frame 200. (420).

고정 부재(4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형의 플레이트로 마련되어, 제1 프레임(100)의 하부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때, 고정 부재(410)는 제1 프레임(100)의 하부 중심부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 부재(410)를 원형의 플레이트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410 is provided as a circ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ixedly instal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100 . 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410 may be fixedly installed to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frame 100 .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member 410 is described as a circular plat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ll of various shapes.

수평 회전 모터(420)는 일반적인 전기 구동 모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수평 회전 모터(420)의 구동축이 고정 부재(410)의 중심부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수평 회전 모터(420)의 본체는 제2 프레임(200)의 상부 측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때, 수평 회전 모터(420)의 본체는 제2 프레임(20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상기한 수평 회전 모터(420)는 구동축이 고정 부재(4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회전 모터(420)가 구동됨에 따라 본체가 수평 방향(도 3의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본체에 고정된 제2 프레임(200)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horizontal rotation motor 420 may be provided as a general electric drive motor, and a drive shaft of the one horizontal rotation motor 420 is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member 410 . And the main body of the horizontal rotation motor 42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rame 200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main body of the horizontal rotation motor 420 may be fixed while being drawn into the second frame 200. Since the drive shaft of the horizontal rotation motor 420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410, the body of the horizontal rotation motor 420 may be fixed. , As the horizontal rotation motor 420 is driven, the body rot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3), and thus the second frame 200 fixed to the body rot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수평 회전 유닛(400)의 외측에는 별도의 커버 부재가 형성되어 수평 회전 유닛(400)을 파손이나 침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수평 회전 유닛(400)과 상기 커버 부재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볼 베어링 등이 형성될 수 있다.A separate cover member is formed outside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400 to protect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400 from damage or flooding. In this case, a plurality of ball bearings may be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400 and the cover member.

한편, 제3 프레임(30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대략 사각 박스 형상의 구조물로 마련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복수 개의 조명(320) 및 하나의 카메라(310)이 설치된다. 상기한 복수 개의 조명(320) 및 카메라(310)는 서로 동일한 평면상에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조명(320) 및 카메라(310)는 서로 같은 방향을 바라보도록 제3 프레임(300)의 하부 방향(도 3의 하부 방향)을 향하게 설치된다. (도 5 참조) 즉, 카메라(310)는 제3 프레임(300)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렌즈가 설치되어 제3 프레임(300)의 하부 방향 측을 촬영하게 되고, 조명(320) 또한 제3 프레임(300)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카메라(310)가 촬영하는 지점에 빛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제3 프레임(300)의 상부 외부 면에는 복수 개의 방열판이 상호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는 방열부(330)가 설치되어 조명(320) 및 카메라(3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3 프레임(300)의 외부로 발산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frame 300 is provided 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shaped structure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lights 320 and one camera 310 ar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plurality of lights 320 and the camera 310 ar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At this time, the lighting 320 and the camera 310 are installed to face the lower direction of the third frame 300 (lower direction in FIG. 3) so as to face the same direction. (See FIG. 5) That is, the camera 310 has a lens installed to face the lower direction of the third frame 300 to photograph the lower side of the third frame 300, and the lighting 320 also illuminates the third frame 300. It is installed so as to face the lower direction of the frame 300, and the camera 310 is irradiated with light at a point to be photographed. At this time, a heat dissipation unit 330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sinks are disposed in a spaced apart form is installed on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third frame 300 to transfer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ing 320 and the camera 310 to the third frame ( 300) to the outside.

상술한 제3 프레임(300)은 양 측이 제2 프레임(200)의 상기 개구된 부분 각각에 연결되도록 제2 프레임(200)에 설치된다.The aforementioned third frame 300 is installed on the second frame 200 such that both sides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open portions of the second frame 200 .

한편, 수직 회전 유닛(500)은 제3 프레임(300)의 양 측 각각과 제2 프레임(200)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한 쌍의 회전축(510) 및 한 쌍의 회전축(51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510)에 구동축이 고정되고 본체가 제2 프레임(2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 회전 모터(52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vertical rotation unit 500 includes a pair of rotation shafts 510 and a pair of rotation shafts 510 that rotatably connect both sides of the third frame 300 and the second frame 200. The drive shaft is fixed to the rotation shaft 510 of the main body includes a vertical rotation motor 520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200).

회전축(510)은 소정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구조물로, 각 회전축(510)의 일 측이 제3 프레임(300)의 양 측 각각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각 회전축(510)의 타 측은 제2 프레임(200)의 상기 개구된 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3 프레임(300)은 회전축(510)을 매개로 제2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The rotating shaft 510 is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one side of each rotating shaft 510 is installed to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third frame 300 . And, the other side of each rotary shaft 51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open portion of the second frame 200 . That is, the third frame 3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frame 200 via the rotary shaft 510 .

수직 회전 모터(520)는 일반적인 전기 구동 모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수직 회전 모터(520)의 구동축이 어느 하나의 회전축(5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수직 회전 모터(520)의 본체는 제2 프레임(200)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한 수직 회전 모터(520)는 구동축이 회전축(5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 회전 모터(520)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축(510)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3 프레임(300)이 수직 방향(도 3의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vertical rotation motor 520 may be provided as a general electric drive motor, and the drive shaft of the one vertical rotation motor 520 is installed to be fixed to any one rotation shaft 510 . And the main body of the vertical rotation motor 520 is fixed and installed inside the second frame 200 . Since the drive shaft of the vertical rotation motor 520 is fixed to the rotation shaft 510, the rotation shaft 510 is rotated as the vertical rotation motor 520 is driven, and thus the third frame 300 is vertically rotated.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in FIG. 3).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수평 회전 유닛(400)에 의해 제2 프레임(200)을 수평 방향(도 3의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제2 프레임(200)과 연결 제3 프레임(300) 또한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3 프레임(300) 내부에 탑재된 카메라(310) 및 조명(320)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By rotating the second frame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in FIG. 3) by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4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frame 200 and the third frame 300 connected to each other also It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camera 310 and the lighting 320 mounted inside the third frame 300 can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수직 회전 유닛(500)에 의해 제3 프레임(300)을 수직 방향(도 3의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제3 프레임(300) 내부에 탑재된 카메라(310) 및 조명(320)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rotating the third frame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3) by the vertical rotation unit 500, the camera 310 and the lighting 320 mounted inside the third frame 300 can be rotated vertically.

따라서 본 발명은 수평 회전 유닛(400) 및 수직 회전 유닛(500)에 의해 카메라(310) 및 조명(320)을 드론(10)의 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310 and the lighting 320 can be rotated in all directions of the drone 10 by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400 and the vertical rotation unit 500 .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드론(10)의 고난이도 조종 없이 드론(10)의 전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excellent effect of allowing the drone 10 to be photographed in all directions without a high degree of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drone 10 .

한편, 본 발명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피커(600) 및 제1 마이크(70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to 5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speaker 600 and a first microphone 700 .

제1 스피커(600)는 일반적인 확성기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드론(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된다. 상기한 제1 스피커(600)는 제3 프레임(300)의 중앙부에 제3 프레임(30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 스피커(600)의 소리 발생부는 드론(10)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The first speaker 600 may be provided as a general loudspeaker, etc., and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one 10. The first speaker 600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third frame 300 to pass through the third frame 300 . At this time, the sound generator of the first speaker 600 is installed to face the lower side of the drone 10 .

제1 마이크(700)는 일반적인 무전기 등으로 마련되어 제3 프레임(300)의 측면 상에 고정 설치된다.The first microphone 700 is provided as a general radio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hird frame 300 .

또한, 본 발명은 드론(10)의 조종기에 설치되는 제2 스피커(미도시), 제2 마이크(미도시) 및 무선 전송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상기 제2 스피커 및 제2 마이크는 드론(10)의 상기 조종기 내부에 내장되어 드론(10)을 조종하는 조종사에게 음성을 출력하거나 조종사의 음성을 입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speaker (not shown), a second microphone (not shown), and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not shown) installed in the controller of the drone 10. The second speaker and the second microphone is built into the controller of the drone 10 and outputs a voice to the pilot who controls the drone 10 or inputs the pilot's voice.

상기 무선 전송 모듈은 상기 제2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을 제1 스피커(600)로 전송하고, 제1 마이크(700)로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제2 스피커로 전송한다.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transmits the voice input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to the first speaker 600 and transmits the voice input through the first microphone 700 to the second speaker.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조종사가 조종기의 제2 마이크로 음성을 입력하면 상기 무선 전송 모듈에 의해 입력된 음성이 제1 스피커(600)로 전송되어 출력된다.For example, when the pilot inputs a voice into the second microphone of the controller, the voice input by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peaker 600 and output.

또한, 제1 마이크(700)로 입력되는 음성은 상기 무선 전송 모듈에 의해 상기 제2 스피커로 전송되어 출력된다. 즉, 상기 조종사와 드론(10)이 위치한 지역의 임의의 사람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종사가 직접 드론(10)이 위치한 지역으로 가지 않더라도 그 지역의 임의의 사람과 통신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용도로 드론(10)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voice input to the first microphone 7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peaker by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and output. That is, the pilot and any person in the area where the drone 10 is located can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Therefore, even if the pilot does not directly go to the area where the drone 10 is located, communication with an arbitrary person in the area is possible, so that the drone 10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roadcasting device for a drone equipped with a search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드론 11: 블레이드
12: 랜딩 기어 100: 제1 프레임
200: 제2 프레임 300: 제3 프레임
310: 카메라 320: 조명
330: 방열부 400: 수평 회전 유닛
410: 고정 부재 420: 수평 회전 모터
500: 수직 회전 유닛 510: 회전축
520: 수직 회전 모터 600: 제1 스피커
700: 제2 스피커
10: drone 11: blade
12: landing gear 100: first frame
200: second frame 300: third frame
310: camera 320: lighting
330: heat sink 400: horizontal rotation unit
410: fixed member 420: horizontal rotation motor
500: vertical rotation unit 510: rotation shaft
520: vertical rotation motor 600: first speaker
700: second speaker

Claims (5)

복수 개의 블레이드 및 한 쌍의 랜딩 기어가 형성된 드론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드론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드론과 평행하도록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 회전 유닛;
상기 제2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카메라 및 조명이 탑재되는 제3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제3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3 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직 회전 유닛;
상기 제3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스피커 및 제1 마이크;
상기 드론의 조종기에 설치되는 제2 스피커 및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제1 스피커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제2 스피커로 전송하는 무선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
As installed on a drone formed with a plurality of blades and a pair of landing gears,
a first frame installed below the drone and spaced apart from the drone in parallel;
a second frame disposed below the first frame;
a horizontal rotation unit installed to interconnec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rotate the second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third fram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and equipped with a camera and a light therein;
a vertical rotation unit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frame and the third frame are connected to rotate the third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speaker and a first microphone installed in the third frame;
a second speaker and a second microphone installed in the controller of the drone; and
A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light comprising: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voice input by the second microphone to the first speaker and transmitting the voice input by the first microphone to the second spe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회전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구동축이 고정되고, 본체가 상기 제2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a fixing member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 broadcasting device for a drone equipped with a searchlight comprising: a drive shaft fixed to the fixing member and a horizontal rotation motor fixedly installed to the main body to the second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일부가 개구된 ‘ㄷ’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된 부분이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프레임의 양 측이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개구된 부분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rame is formed of a 'c'-shaped plate with a part of the opening so that the opening part faces downward,
The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light,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so that both sides of the third frame are connected to the open portion of the second frame,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회전 유닛은,
상기 제3 프레임의 양 측 각각과 상기 제2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한 쌍의 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구동축이 고정되고, 본체가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vertical rotation unit,
a pair of rotation shafts rotatably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third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broadcasting device for drones equipped with a searchlight including a vertical rotation motor having a drive shaft fixed to one of the pair of rotation shafts and a main body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 공간에 복수 개의 조명 및 카메라가 배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조명 및 카메라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치라이트를 장착한 드론용 방송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frame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plurality of lights and cameras ar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broadcasting device for a drone equipped with a search l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lights and camera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KR1020210112667A 2021-08-25 2021-08-25 Drones broadcasting equipment equipped with searchlight KR202300304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667A KR20230030442A (en) 2021-08-25 2021-08-25 Drones broadcasting equipment equipped with search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667A KR20230030442A (en) 2021-08-25 2021-08-25 Drones broadcasting equipment equipped with search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442A true KR20230030442A (en) 2023-03-06

Family

ID=8551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667A KR20230030442A (en) 2021-08-25 2021-08-25 Drones broadcasting equipment equipped with search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044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931Y1 (en) * 2023-04-12 2024-04-17 태경전자주식회사 Multipurpose dr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669B1 (en) 2018-08-28 2019-01-11 이광윤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n upward facing camer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669B1 (en) 2018-08-28 2019-01-11 이광윤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an upward facing came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931Y1 (en) * 2023-04-12 2024-04-17 태경전자주식회사 Multipurpose dr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66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tion camera with embedded gimbal
CN109074101B (en) Imaging using multiple drones
US20190031369A1 (en) Photographing device
EP3317576B1 (en) Gimbal for image capturing
WO2019153820A1 (en) Pan-tilt, photographing assembl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10231968A1 (en) Imaging system
WO2019153821A1 (en) Ball head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10223496A1 (en) Optical filtering apparatus,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system and movable object
CN105684415A (en) Spherical omnidirectional video-shooting system
WO2019056865A1 (en) Pan-tilt and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same
CN105791651A (en) Camera module provided with flash lamp, and camera shooting equipment
WO2007033033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inting capability for a fixed camera
KR20230030442A (en) Drones broadcasting equipment equipped with searchlight
JP2018020757A (en) Unmanned aircraft system
KR102335235B1 (en) Gimbal Unit and Drone including the same
KR20160102845A (en) Flight possible omnidirectional image-taking camera system
CN107124534B (en) Three-axis holder, shooting equipment, shooting system and unmanned shooting system
US10447993B2 (en) Stereoscopic 360 degree digital camera systems
KR101855790B1 (en) Control watch for ominidirectional camera
EP3726828A1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Pattanayak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ENG, EFP and Drone camera and its Impact in Television Production
US11412134B2 (en) Underwater digital camera systems
WO2019119939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9100824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462806B1 (en) Multicopter Installed A Plurality Of Camera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Image Received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