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433A -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433A
KR20230029433A KR1020210111917A KR20210111917A KR20230029433A KR 20230029433 A KR20230029433 A KR 20230029433A KR 1020210111917 A KR1020210111917 A KR 1020210111917A KR 20210111917 A KR20210111917 A KR 20210111917A KR 20230029433 A KR20230029433 A KR 20230029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hearing aid
power
event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어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어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어짐
Priority to KR1020210111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9433A/ko
Publication of KR20230029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3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2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9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1Aspects of the use of accumulators in hearing aids, e.g. rechargeable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전원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는 보청기용 케이스의 충전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모듈; 연결 모듈과 연결되고, 연결 모듈이 충전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에 제1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 모듈; 접촉 감지 영역을 포함하고, 접촉 감지 영역이 접촉되는 경우에 제2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 모듈; 및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절전 모드, 전원 온 모드 및 충전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에 따라 보청기를 동작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AUTOMATIC POWER MODE SWITCHING HEARING AID AND OPERATING MEHTD THEREOF}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위치에 따라 전원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성 질환을 앓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휴대용 전자 장치의 오용으로 난청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난청 환자는 보청기를 사용하여 저하된 청력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는 난청 환자의 귀에 장착되어 마이크를 통해 유입된 음향(sound)을 난청 환자의 청각 특성에 맞게 증폭하여 스피커(또는 리시버)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난청 환자의 저하된 청력으로 보정할 수 있다.
보청기는 난청 환자의 청력보정을 위해 난청 환자의 귀에 장착되기 위해 소형화됨에 따라 배터리 용량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보청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따라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위치에 따라 전원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케이스 또는 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절전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원 온 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의도하는 기타의 과제들 또한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로서, 보청기용 케이스의 충전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모듈; 연결 모듈과 연결되고, 연결 모듈이 충전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에 제1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 모듈; 접촉 감지 영역을 포함하고, 접촉 감지 영역이 접촉되는 경우에 제2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 모듈; 및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절전 모드, 전원 온 모드 및 충전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에 따라 보청기를 동작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보청기를 절전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제1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보청기를 충전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보청기를 전원 온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에러 경보음 또는 에러 경보색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절전 모드, 전원 온 모드 및 충전 모드 각각에 대해서 활성화 구성 및 비활성화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결정된 모드 및 정보에 따라 구성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의 동작 방법은,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절전 모드, 전원 온 모드 및 충전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에 따라 보청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보청기가 보청기용 케이스에 삽입된 경우에 제1 감지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이벤트 신호, 및 보청기의 접촉 감지 영역이 접촉되는 영역에 제2 감지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2 이벤트 신호 중 어느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제1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충전 모드로 결정하고,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전원 온 모드로 결정하고,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절전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에러 경보음 또는 에러 경보색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 상응하는, 활성화 구성 및 비활성화 구성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성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의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는 케이스 또는 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절전 모드로 자동 전환되고,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원 온 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는 케이스 또는 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전원 온 모드가 아닌 절전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절전 모드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여 보청기의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의 내용은 청구범위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범위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가 케이스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일례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오차 범위에 대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후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는 연관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두 개 이상의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가 케이스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일례의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100)는 전원 모듈(110), 연결 모듈(120), 제1 감지 모듈(130), 제2 감지 모듈(140), 마이크 모듈(150), 스피커(160), 및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청기(100)의 구성이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청기(100)는 케이스(200)에 삽입되는 경우, 케이스(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기초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케이스(200)는 보청기(100)를 충전시킬 수 있는 구성들을 포함한다.
전원 모듈(110)은 보청기(100)가 케이스(20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111)를 충전하는 한편,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보청기(100) 내의 구성들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모듈(110)은 연결 모듈(120)과 내부 배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모듈(120)이 케이스(200) 내의 충전 단자(210)에 연결되면, 충전 단자(210) 및 연결 모듈(12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111)를 충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원 모듈(110)은 배터리(111)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모듈(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 관리 모듈(112)은 연결 모듈(12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111)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프로세서(170)로부터의 동작 모드 정보에 상응하는 구성들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청기(100)의 동작 모드(절전 모드, 전원 온 모드, 충전 모드)에 따라 전원 모듈(110)이 공급하는 구성은 다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원 모듈(110) 또는 배터리 관리 모듈(112)은 보청기(100)의 동작 모드별 활성화 구성 및 비활성화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연결 모듈(120)은 케이스(200) 내의 충전 단자(210)와의 연결을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연결 모듈(120)은 전원 모듈(110)과 제1 감지 모듈(1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감지 모듈(130)은 연결 모듈(120) 및 프로세서(170)와 연결되며, 연결 모듈(120)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여, 연결 모듈(120)이 케이스(200) 내의 충전 단자(210)와 연결된 경우 이벤트 신호를 프로세서(170)로 출력(또는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모듈(130)은 연결 모듈(120)에 충전 단자(210)가 연결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부하량의 변동을 기반으로 연결 모듈(120)의 연결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모듈(130)은 연결 모듈(120)이 케이스(200) 내의 충전 단자(210)와 연결되지 않았으면 로우(Low) 신호를 프로세서(170)로 출력하고, 연결 모듈(120)이 케이스(200) 내의 충전 단자(210)와 연결되면 하이(High) 신호를 이벤트 신호로써 프로세서(170)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감지 모듈(130)이 연결 모듈(120)과 충전 단자(210)가 연결되는 경우에 이벤트 신호를 프로세서(170)로 출력함으로써, 프로세서(170)는 보청기(100)가 케이스(200)에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감지 모듈(140)은 사용자가 보청기(100)를 착용하였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보청기(100)가 귀에 삽입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귀와 접촉되는 접촉 감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 모듈(140)은 귀와 접촉되는 경우에 이벤트 신호를 프로세서(17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감지 모듈(140)은 귀와 접촉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서(170)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2 감지 모듈(140)이 귀와 접촉되는 경우에 이벤트 신호를 프로세서(170)로 출력함으로써, 프로세서(170)는 보청기(100)가 귀에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50)은 주변 음향 신호를 수집하여 전기적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7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 모듈(150)은 하나 또는 다수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청음 주파수 대역 또는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수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70)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0)는 프로세서(170)로부터 제공받은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60)는 프로세서(170)에서 설정한 증폭 이득에 기반하여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감지 모듈(130)로부터의 이벤트 신호(또는 제1 이벤트 신호), 및 제2 감지 모듈(140)로부터의 이벤트 신호(또는 제2 이벤트 신호)에 기반하여 동작 모드(충전 모드, 절전 모드, 전원 온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및 제2 감지 모듈(130, 140)로부터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 보청기(100)가 케이스(200) 및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청기(100)를 절전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70)는 절전 모드 시의 활성화 구성 및 비활성화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정보에 따라 구성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절전 모드에서, 제1 감지 모듈(130) 및 제2 감지 모듈(140)을 활성화시키고, 전원 모듈(110), 마이크 모듈(150), 스피커(160) 및 프로세서(17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70)는 제1 감지 모듈(130)로부터 제1 이벤트 신호를 입력받으면, 보청기(100)가 케이스(200)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보청기(100)를 충전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70)는 충전 모드 시의 활성화 구성 및 비활성화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정보에 따라 구성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충전 모드에서, 전원 모듈(110), 제1 감지 모듈(130)을 활성화시키고, 제2 감지 모듈(140), 마이크 모듈(150), 스피커(160) 및 프로세서(17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70)는 제2 감지 모듈(140)로부터 제2 이벤트 신호를 입력받으면, 보청기(100)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보청기(100)를 전원 온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70)는 전원 온 모드 시의 활성화 구성 및 비활성화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정보에 따라 구성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전원 온 모드에서, 전원 모듈(110), 제1 감지 모듈(130), 제2 감지 모듈(140), 마이크 모듈(150), 스피커(160) 및 프로세서(170)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청기(100)가 정상적으로 운용되는 경우, 제1 이벤트 신호와 제2 이벤트 신호가 동시에 발생할 수 없으므로, 프로세서(170)는 제1 감지 모듈(130)로부터 제1 이벤트 신호를 입력받고, 제2 감지 모듈(140)로부터 제2 이벤트 신호를 입력받으면 에러 경보음 또는 에러 경보색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스피커(160)를 통해 에러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조명 모듈(180)을 통해 에러 경보색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원 온 모드 하에서, 마이크 모듈(150)을 통해 수집한 음향을 증폭하여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마이크 모듈(150)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음향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디지털 음향 신호에 대한 잡음 제거, 증폭 이득 및 비 선형 증폭과 같은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디지털 신호 처리한 디지털 음향 신호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단계별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보청기(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00).
단계 S300에서,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S300-아니오), 프로세서(170)는 보청기(100)가 케이스(200) 및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청기(100)를 절전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S310).
단계 S310에서, 프로세서(170)는 절전 모드 시의 활성화 구성 및 비활성화 구성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성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310에서, 프로세서(170)는 제1 감지 모듈(130) 및 제2 감지 모듈(140)을 활성화시키고, 전원 모듈(110), 마이크 모듈(150), 스피커(160) 및 프로세서(17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보청기(100)가 케이스(200) 및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최소한의 구성들만 활성화 상태인 절전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여 보청기의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S300-예), 프로세서(170)은 입력된 이벤트 신호가 제1 감지 모듈(130)로부터 출력된 제1 이벤트 신호인지, 제2 감지 모듈(140)로부터 출력된 제2 이벤트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단계 S320에서, 수신된 이벤트 신호가 제1 감지 모듈(130)로부터 출력된 제1 이벤트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면, 프로세서(170)는 보청기(100)가 케이스(200)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보청기(100)를 충전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S330).
단계 S330에서, 프로세서(170)는 충전 모드 시의 활성화 구성 및 비활성화 구성에 대한 정보 따라 구성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330에서, 프로세서(170)는 전원 모듈(110), 제1 감지 모듈(130)을 활성화시키고, 제2 감지 모듈(140), 마이크 모듈(150), 스피커(160) 및 프로세서(17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30에서와 같이 보청기(100)가 충전 모드로 동작하면, 전원 모듈(110)은 케이스(120) 내의 충전 단자(210) 및 연결 모듈(12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111)를 충전할 수 있다(S340).
단계 S320에서, 수신된 이벤트 신호가 제2 감지 모듈(140)로부터 출력된 제2 이벤트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면, 프로세서(170)는 보청기(100)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보청기(100)를 전원 온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S350).
단계 S350에서, 프로세서(170)는 전원 온 모드 시의 활성화 구성 및 비활성화 구성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성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350에서, 프로세서(170)는 전원 모듈(110), 제1 감지 모듈(130), 제2 감지 모듈(140), 마이크 모듈(150), 스피커(160) 및 프로세서(170)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40에서와 같이 보청기(100)가 전원 온 모드로 동작하면, 프로세서(170)는 마이크 모듈(150)을 통해 수집되는 음향을 증폭하여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360).
단계 S320에서, 수신된 이벤트 신호가 제1 및 제2 감지 모듈(130, 140)로부터 각각 출력된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면, 프로세서(170)는 보청기(100)가 정상적으로 운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스피커(160)를 통해 에러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조명 모듈(180)을 통해 에러 경보색을 출력할 수 있다(S37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보청기 110: 전원 모듈
111: 배터리 112: 배터리 관리 모듈
120: 연결 모듈 130: 제1 감지 모듈
140: 제2 감지 모듈 150: 마이크 모듈
160: 스피커 170: 프로세서
180: 조명 모듈 200: 케이스
210: 충전 단자

Claims (10)

  1. 보청기용 케이스의 충전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모듈;
    상기 연결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 모듈이 상기 충전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에 제1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 모듈;
    접촉 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이 접촉되는 경우에 제2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절전 모드, 전원 온 모드 및 충전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에 따라 보청기를 동작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보청기를 상기 절전 모드로 동작시키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보청기를 상기 충전 모드로 동작시키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보청기를 상기 전원 온 모드로 동작시키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에러 경보음 또는 에러 경보색을 출력하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절전 모드, 상기 전원 온 모드 및 상기 충전 모드 각각에 대해서 활성화 구성 및 비활성화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결정된 모드 및 정보에 따라 구성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7.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절전 모드, 전원 온 모드 및 충전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모드에 따라 보청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보청기가 보청기용 케이스에 삽입된 경우에 제1 감지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이벤트 신호, 및 보청기의 접촉 감지 영역이 접촉되는 영역에 제2 감지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제2 이벤트 신호 중 어느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충전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전원 온 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절전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의 동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에러 경보음 또는 에러 경보색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의 동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 상응하는, 활성화 구성 및 비활성화 구성에 대한 정보에 따라 구성들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의 동작 방법.
KR1020210111917A 2021-08-24 2021-08-24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029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17A KR20230029433A (ko) 2021-08-24 2021-08-24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17A KR20230029433A (ko) 2021-08-24 2021-08-24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433A true KR20230029433A (ko) 2023-03-03

Family

ID=8551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17A KR20230029433A (ko) 2021-08-24 2021-08-24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94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398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switching, earphone, and earphone system
US10674247B2 (en) Hearing protection earphone, hearing prote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storage medium for the same
US10165375B2 (en) Listening device with automatic mode change capabilities
US1110269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switching and earphone
KR10156736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US9319780B2 (en) Smart passive speaker drive
US7834634B2 (en) Low-power switch state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and mobile telephone incorporating the same
US20160080854A1 (en) Mobile terminal earphone line control circuit and line control method
CN111988699B (zh) 助听蓝牙耳机的控制方法
US20090141906A1 (en) Communication Headset Processing Multiple Audio Inputs
TW200727722A (en) Circuit for suppressing audio noise
US20100260349A1 (en) Solar wireless sound system
JP2007165940A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音響再生動作自動停止方法
KR100945842B1 (ko) 절전형 보청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29433A (ko) 자동 전원 모드 전환 보청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17702A (ko) 외부 전자 장치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스피커의 출력 세기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US98200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hearing aid
CN204578621U (zh) 一种语音唤醒系统及移动终端
US20210029440A1 (en) Speaker device and assignment method
CN212785855U (zh) 助听耳机
CN111416909B (zh) 音量自适应调节方法、系统、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03123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CN214381358U (zh) 车载无线耳机系统
US20240106927A1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4753299B2 (ja) 異常音監視ナースコ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