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316A - Link assembly and crawling robot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nk assembly and crawling robot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316A
KR20230029316A KR1020210111668A KR20210111668A KR20230029316A KR 20230029316 A KR20230029316 A KR 20230029316A KR 1020210111668 A KR1020210111668 A KR 1020210111668A KR 20210111668 A KR20210111668 A KR 20210111668A KR 20230029316 A KR20230029316 A KR 20230029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driving
unit
lin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8487B1 (en
Inventor
정광필
채수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11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487B1/en
Publication of KR20230029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3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4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4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 F16H21/5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4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 F16H21/5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ipulator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k assembly and a traveling robot including the same. The link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a motion unit having a fixation point fixed to the exterior; a driving unit driving the motion unit; and a connection unit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motion unit, and connecting the driving unit and the motion unit. When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motion unit may move within a preset range by the connection unit and the fixation poin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link assembly with increased efficiency and the traveling robot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링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로봇{LINK ASSEMBLY AND CRAWLING ROBOT COMPRISING THE SAME}Link assembly and a driving robot including the same {LINK ASSEMBLY AND CRAWLING ROBOT COMPRISING THE SAME}

아래의 설명은 링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link assembly and a driving robot including the same.

이동로봇의 주행 메카니즘은 크게 차륜형(wheeled), 트랙형(tracked), 다족형(legged)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차륜형 이동로봇의 경우 평탄한 지형에서의 주행 성능이 탁월하고 기계적 구조와 제어 메카니즘이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축간 거리가 고정된 차륜형 이동로봇의 경우 계단, 웅덩이, 급경사와 같은 다양한 장애물을 통과가 극히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마찰력에 의하여 효율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고, 복잡한 주행 메카니즘와 기계요소로 인해 무게가 많이 나가고, 복잡한 제어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다족형 이동로봇의 경우 계단 등반과 같이 다양한 지형에 대한 적응성은 우수하나, 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고 주행 메카니즘이 매우 복잡하며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driving mechanism of the mobile robot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a wheeled type, a tracked type, and a legged type. Wheeled mobile robots have the advantage of excellent driving performance on flat terrain and simple mechanical structure and control mechanism. The downside is that it is extremely difficult.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is reduced by frictional for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weight is added due to a complicated driving mechanism and mechanical elements, and a complicated control system must be provided.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ulti-legged mobile robot, it has excellent adaptability to various terrains such as climbing stairs, but has problems in that its movement speed is relatively slow, its driving mechanism is very complex, and its control is difficult.

한국 등록특허 10-1248978호(등록일 2013년03월25일)에는 캐터필러와 주행휠을 구비한 이동로봇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48978 (registered on March 25, 2013) discloses a mobile robot equipped with a caterpillar and a driving wheel.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The above background art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inventor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원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효율을 증대시킨 링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link assembly that increases efficiency by converting a circular motion into a reciprocating motion, and a driving robot including the same.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는, 외부에 고정되는 고정 지점을 구비하는 모션부; 상기 모션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모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와 상기 모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가 회전 운동할 때,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고정 지점에 의하여 상기 모션부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otion unit having a fixing point fixed to the outsid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otion unit; and a connect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motion unit to connect the driving unit and the motion unit, wherein when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motion unit may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connection unit and the fixed point. there is.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 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션부는 호 운동, 상승 하강 운동 또는 수직 운동할 수 있다.In the link assembly, the motion unit may perform an arc motion, an up/down motion, or a vertical mo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xing point.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구동 링크 요소; 상기 모션부와 연결되는 모션 링크 요소; 상기 모션부 및 상기 구동부를 일측에서 연결하는 제 1 연결 링크 요소; 및 상기 모션부 및 상기 구동부를 타측에서 연결하는 제 2 연결 링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driving link elemen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 motion link element connected to the motion unit; a first connecting link element connecting the motion unit and the driving unit at one side; and a second connecting link element connecting the motion unit and the driving unit from the other side.

상기 연결부는, 구심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링크 요소, 상기 모션 링크 요소, 상기 제 1 연결 링크 요소 및 상기 제 2 연결 링크 요소가 상기 구심 조인트를 중심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entripetal joint, and the drive link element, the motion link element, the first link link element, and the second link link element may be connected around the centripetal joint.

상기 모션 링크 요소는, 상기 모션부와 상기 구심 조인트를 연결하는 모션 플레이트; 상기 구심 조인트로부터 상기 모션부의 일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모션바; 및 상기 구심 조인트로부터 상기 모션부의 타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모션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tion link element may include a motion plate connecting the motion unit and the centripetal joint; a first motion bar extending from the centripetal joint to one side of the motion unit; and a second motion bar extending from the centripetal joint to the other side of the motion unit.

상기 구동 링크 요소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구심 조인트를 연결하는 구동 플레이트; 상기 구심 조인트로부터 상기 구동부의 일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구동바; 및 상기 구심 조인트로부터 상기 구동부의 타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구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 link element may include a drive plate connecting the drive unit and the centripetal joint; a first driving bar extending from the centripetal joint to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and a second driving bar extending from the centripetal joint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unit.

상기 제 1 연결 링크 요소는, 상기 제 1 모션바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모션바로부터 상기 구동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 1 구동바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구동바로부터 상기 모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구심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구심 조인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가 양 측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link element may include a first motion connection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motion bar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motion bar toward the driving unit; a first driving connection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bar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driving bar toward the motion unit; and a first connection bar connected to the centripetal joint, extending from the centripetal joint, and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motion connection plate and the first driving connection plate.

상기 제 2 연결 링크 요소는, 상기 제 2 모션바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모션바로부터 상기 구동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 2 구동바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구동바로부터 상기 모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구심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구심 조인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가 양 측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link element may include a second motion connection plate connected to the second motion bar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motion bar toward the driving unit; a second driving connection plat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bar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driving bar toward the motion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bar connected to the centripetal joint, extending from the centripetal joint, and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motion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driving connection plate.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가 서로 가까워질 때, 상기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는 서로 멀어지고, 상기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가 서로 가까워질 때, 상기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는 서로 멀어질 수 있다.In the link assembly, when the first motion connection plate and the first drive connection plate come closer to each other, the second motion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drive connection plate move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motion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drive connection plate move away from each other. When the second drive connection plate comes closer to each other, the first motion connection plate and the first drive connection plate may move away from each other.

상기 고정 지점은, 상기 모션부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points may be provid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motion unit.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한 쌍의 상기 고정 지점을 연결한 선과 상기 모션부 및 상기 연결부가 만나서 이루는 선 사이의 각을 고정 각도라고 할 때, 상기 고정 각도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모션부의 가동 범위 및 가동 축이 달라질 수 있다.In the link assembly, when an angle between a line connecting a pair of fixed points and a line formed by meeting the motion unit and the connecting unit is referred to as a fixed angle, the movable range and movable axis of the motion unit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xed angle. this may vary.

상기 고정 각도가 0°일 때, 상기 모션부의 가동 범위가 최대일 수 있다. When the fixed angle is 0°, a movable range of the motion unit may be maximized.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복수 개로 구비한 주행 로봇에 있어서, 본체;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회전 구동 장치; 및 복수 개의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상기 모션부에 각각 연결되어 일체로 구동하는 복수 개의 레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driving robot having a plurality of link assemblies, the main body; a rotation drive device connected to the link assembly to transmit a rotation drive; and a plurality of leg devices connected to the motion units of the plurality of link assemblies and integrally driven.

복수 개의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 구동 장치에 각각 다른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nk assemblies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ing device at different angles.

복수 개의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 구동 장치에 각각 다른 위상을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nk assemblies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ing device to have different phases.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로봇은, 원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마찰을 줄이고,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A link assembly and a driving robot including the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reduce friction and increase efficiency by converting a circular motion into a reciprocating motion.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로봇은, 링크 어셈블리의 구속 조건을 달리함으로써, 왕복 운동의 태양을 다양화할 수 있다.A link assembly and a driving robot including the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iversify aspects of reciprocating motion by changing constraint conditions of the link assembly.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의 구동 과정을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의 구동 과정을 대각선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의 구동 과정을 측면에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 로봇의 구동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front view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front view showing a driving process of 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a driving process of 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rom a diagonal side.
5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rom the sid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photograph showing a driving process of a dri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description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링크 어셈블리(11)는,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고, 구속 조건을 달리함으로써, 왕복 운동의 태양을 다양화할 수 있다. 실린더 크랭크 형태에 비하여, 이와 같이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메커니즘은 슬라이더의 마찰력에 의한 효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어셈블리(11)는, 모션부(111), 구동부(112) 및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link assembly 11 may convert rotational motion into reciprocating motion, and may diversify aspects of the reciprocating motion by changing constraint conditions. Compared to the cylinder crank type, such a mechanism for converting rotational motion into reciprocating motion can prevent reduction in efficiency due to frictional force of the slider. For example, the link assembly 11 may include a motion unit 111 , a driving unit 112 and a connection unit 113 .

모션부(111)는 외부에 고정되는 고정 지점(a, b, c)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 지점(a, b, c)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지점은 모션부(111)의 양측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도 1의 a 및 b, b 및 c), 모션부(111)의 일측에 한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1의 a 또는 b). 모션부(111)는 고정 지점(a, b, c)에 의하여 구속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지점(a, b, c)은 모션부(111)에 의하여 구현될 모션의 종류 및 범위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고정 지점(a, b, c)의 위치에 따라 모션부(111)는 호 운동, 상승 하강 운동 또는 수직 운동할 수 있다.The motion unit 111 may have fixing points a, b, and c that are externally fixed. A plurality of fixing points a, b, and c may be formed. For example, a pair of fixing point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tion unit 111 (a and b, b and c in FIG. 1), or may be formed as one on one side of the motion unit 111 (see FIG. 1 a or b). The motion unit 111 may reciprocate based on the parts constrained by the fixed points a, b, and c. For example, the fixed points a, b, and c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and range of motion to be implemented by the motion unit 111 .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fixing points (a, b, c), the motion unit 111 may perform an arc motion, an up/down motion, or a vertical motion.

구동부(112)는 모션부(11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12)가 회전 운동할 때, 연결부(113) 및 고정 지점(a, b, c)에 의하여 모션부(111)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구동부(112)는 회전 운동하는 외부 구성과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모션부(111) 및 연결부(113)에 전달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12 may drive the motion unit 111 . For example, when the drive unit 112 rotates, the motion unit 111 may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connection unit 113 and the fixed points a, b, and c. The driving unit 112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omponent that rotates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motion to the motion unit 111 and the connection unit 113 .

연결부(113)는 구동부(112)와 모션부(111)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부(112)와 모션부(111)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13)는 구동 링크 요소(1131), 모션 링크 요소(1132), 제 1 연결 링크 요소(1133), 제 2 연결 링크 요소(1134) 및 구심 조인트(11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11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unit 112 and the motion unit 111 to connect the driving unit 112 and the motion unit 111 . For example, the connection unit 113 may include a drive link element 1131, a motion link element 1132, a first link link element 1133, a second link link element 1134, and a centripetal joint 1135. there is.

구동 링크 요소(1131)는 구동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링크 요소(1131)는, 구동 플레이트(11313), 제 1 구동바(11311) 및 제 2 구동바(113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link element 1131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12 . For example, the driving link element 1131 may include a driving plate 11313 , a first driving bar 11311 and a second driving bar 11312 .

구동 플레이트(11313)는 구동부(112)와 구심 조인트(1135)를 연결할 수 있다.The driving plate 11313 may connect the driving unit 112 and the centripetal joint 1135 .

제 1 구동바(11311)는 구심 조인트(1135)로부터 구동부(112)의 일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bar 1131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centripetal joint 1135 to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112 .

제 2 구동바(11312)는 구심 조인트(1135)로부터 구동부(112)의 타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bar 1131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centripetal joint 1135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unit 112 .

모션 링크 요소(1132)는 모션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링크 요소(1132)는, 모션 플레이트(11323), 제 1 모션바(11321) 및 제 2 모션바(11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tion link element 1132 may be connected to the motion unit 111 . For example, the motion link element 1132 may include a motion plate 11323, a first motion bar 11321, and a second motion bar 11322.

모션 플레이트(11323)는 모션부(111)와 구심 조인트(1135)를 연결할 수 있다.The motion plate 11323 may connect the motion unit 111 and the centripetal joint 1135 .

제 1 모션바(11321)는 구심 조인트(1135)로부터 모션부(111)의 일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otion bar 1132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centripetal joint 1135 to one side of the motion unit 111 .

제 2 모션바(11322)는 구심 조인트(1135)로부터 모션부(111)의 타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motion bar 1132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centripetal joint 1135 to the other side of the motion unit 111 .

제 1 연결 링크 요소(1133)는 모션부(111) 및 구동부(112)를 일측에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 링크 요소(1133)는,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11331),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11333) 및 제 1 연결바(113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link element 1133 may connect the motion unit 111 and the driving unit 112 from one side.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link element 1133 may include a first motion connection plate 11331 , a first drive connection plate 11333 , and a first connection bar 11332 .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11331)는 제 1 모션바(11311)와 연결되고, 제 1 모션바(11311)로부터 구동부(112)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otion connection plate 1133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tion bar 11311 and may extend from the first motion bar 11311 toward the driving unit 112 .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11333)는 제 1 구동바(11321)와 연결되고, 제 1 구동바(11321)로부터 모션부(111)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connection plate 11333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bar 11321 and extend toward the motion unit 111 from the first driving bar 11321 .

제 1 연결바(11332)는 구심 조인트(1135)에 연결되어 구심 조인트(1135)로부터 연장되고,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11331) 및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11333)가 양 측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bar 11332 is connected to the centripetal joint 1135 and extends from the centripetal joint 1135, and the first motion connection plate 11331 and the first drive connection plate 11333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제 2 연결 링크 요소(1134)는 모션부(111) 및 구동부(112)를 타측에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연결 링크 요소(1134)는,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11341),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11343) 및 제 2 연결바(113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link element 1134 may connect the motion unit 111 and the driving unit 112 from the other side.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link element 1134 may include a second motion connection plate 11341 , a second driving connection plate 11343 , and a second connection bar 11342 .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11341)는 제 2 모션바(11312)와 연결되고, 제 2 모션바(11312)로부터 구동부(112)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motion connection plate 1134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motion bar 11312 and may extend from the second motion bar 11312 toward the driving unit 112 .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11343)는 제 2 구동바(11322)와 연결되고, 제 2 구동바(11322)로부터 모션부(111)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connection plate 1134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bar 11322 and extend from the second driving bar 11322 toward the motion unit 111 .

제 2 연결바(11342)는 구심 조인트(1135)에 연결되어 구심 조인트(1135)로부터 연장되고,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11341) 및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11343)가 양 측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bar 11342 is connected to the centripetal joint 1135 and extends from the centripetal joint 1135, and the second motion connection plate 11341 and the second driving connection plate 11343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구심 조인트(1135)는 구동 링크 요소(1131), 모션 링크 요소(1132), 제 1 연결 링크 요소(1133) 및 제 2 연결 링크 요소(1134)가 구심 조인트(1135)를 중심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centripetal joint 1135, a drive link element 1131, a motion link element 1132, a first link link element 1133, and a second link link element 1134 may be connected around the centripetal joint 1135.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의 구동 과정을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의 구동 과정을 대각선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링크 어셈블리의 구동 과정을 측면에서 나타낸 개념도이다.3 is a view showing a driving process of 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rom the front, FIG. 4 is a view showing a driving process of 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rom a diagonal side view,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driving process of a l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assembly from the sid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112)가 회전 운동을 하는 동안, 모션부(111)가 고정 지점(a, b)을 연결한 축을 중심으로 호를 그리면서 왕복 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11331) 및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11333)가 가까워질 때,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11341) 및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11343)는 멀어지고,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11341) 및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11343)가 가까워질 때,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11331) 및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11333)는 멀어질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부(112)의 회전 운동을 측면에서 보면 상하 운동으로 표현될 수 있고, 모션부(111)가 고정 지점을 기준으로 지렛대와 같이 호 운동을 할 수 있다. 구동부(111)의 구동 최저점에서 모션부(111)는 모션 최고점에 위치할 수 있고, 구동부(111)의 구동 최고점에서 모션부(111)는 모션 최저점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5 , while the drive unit 112 rotates, the motion unit 111 reciprocates while drawing an arc around an axis connecting the fixed points a and b. When the first motion connecting plate 11331 and the first driving connecting plate 11333 come closer, the second motion connecting plate 11341 and the second driving connecting plate 11343 move away, and the second motion connecting plate 11341 ) and the second drive connection plate 11343 are closer, the first motion connection plate 11331 and the first drive connection plate 11333 may move away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unit 112 can be expressed as an up-and-down mo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the motion unit 111 can perform an arc motion like a lever based on a fixed point. At the driving lowest point of the driving unit 111, the motion unit 111 may be located at the highest motion point, and at the driving highest point of the driving unit 111, the motion unit 111 may be located at the lowest motion point.

한 쌍의 고정 지점(a, b)을 연결한 선과 모션부(111) 및 연결부(113)가 만나서 이루는 선(M1-M2) 사이의 각을 고정 각도라고 할 때, 고정 각도의 크기에 따라서 모션부(111)의 가동 범위 및 가동 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각도가 0°일 때, 모션부(111)의 가동 범위가 최대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 지점(b, c)이 모션부(111) 상에서 대칭이 아닌 위치에 배치될 경우, 고정 각도는 0°가 아닐 수 있고, 이 때 모션부(111)의 가동 범위는 줄어들면서 가동 축이 달라질 수도 있다.When the angle between the line connecting the pair of fixed points (a, b) and the line (M1-M2) formed by the meeting of the motion unit 111 and the connecting unit 113 is called a fixed angle, mo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xed angle The movable range and movable axis of the unit 111 may vary. For example, when the fixed angle is 0°, the movable range of the motion unit 111 may be maximized. As shown in FIG. 1 , when a pair of fixed points b and c are disposed at non-symmetrical positions on the motion unit 111, the fixed angle may not be 0°, and in this case, the motion unit 111 ), the movable axis may be changed while the movable range is reduced.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 로봇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 로봇의 구동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 driving process of the driv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주행 로봇(1)은, 링크 어셈블리(11), 본체(12), 회전 구동 장치(14) 및 복수 개의 레그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traveling robot 1 may include a link assembly 11 , a main body 12 , a rotation driving device 14 , and a plurality of leg devices 13 .

본체(12)는 내부에 회전 구동 장치(14)와 같은 내부 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2)는 링크 어셈블리(11)의 일 부분을 구속함으로써, 고정 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2 may accommodate an internal device such as a rotary driving device 14 therein. In addition, the main body 12 may provide a fixing point by restraining a portion of the link assembly 11 .

회전 구동 장치(14)는 링크 어셈블리(11)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회전 구동 장치(14)는 하나의 회전 구동으로 복수 개의 링크 어셈블리(11)를 각각 다른 위상을 갖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The rotation driving device 14 may be connected to the link assembly 11 to transmit rotational driving. The rotation driving device 14 may drive the plurality of link assemblies 11 to have different phases by one rotational drive.

링크 어셈블리(11)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회전 구동 장치(14)에 각각 다른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링크 어셈블리(11)는 회전 구동 장치(14)에 각각 다른 위상을 갖도록 연결할 수 있다.A plurality of link assemblies 11 may be provide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ing device 14 at different angle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ink assemblies 11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ing device 14 to have different phases.

복수 개의 레그 장치(13)는 링크 어셈블리(11)의 모션부(111)에 연결되어 일체로 구동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링크 어셈블리(11)가 회전 구동 장치(14)에 각각 다른 각도와 다른 위상을 갖도록 연결되어 있는 경우, 회전 구동 장치(14)가 1회전 할 때, 전단에 위치한 레그 장치(13a) 및 후단에 위치한 레그 장치(13c)는 하강-상승하고, 중단에 위치한 레그 장치(13b)는 상승-하강할 수 있고, 레그 장치(13)는 각각 다른 각도로 지면을 밀어내므로 주행 로봇(1)이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eg devices 13 may be connected to the motion unit 111 of the link assembly 11 and driven integrally. When the plurality of link assemblies 11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ing device 14 to have different angles and different phases, when the rotation driving device 14 rotates once, the leg device 13a locat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he leg device 13c located in the lower part can descend and rise, and the leg unit 13b located in the middle can rise and lower, and the leg devices 13 push the ground at different angles, so that the driving robot 1 can You can either go forward or go backwards.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tructure, device,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may be used.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Claims (15)

외부에 고정되는 고정 지점을 구비하는 모션부;
상기 모션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모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와 상기 모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가 회전 운동할 때,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고정 지점에 의하여 상기 모션부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셈블리.
A motion unit having a fixing point fixed to the outsid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otion unit; and
A connect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motion unit to connect the driving unit and the motion unit;
When the drive unit rotates, the link assembly move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connection unit and the fixing po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션부는 호 운동, 상승 하강 운동 또는 수직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assembl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xing p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ion unit can perform arc motion, ascending and descending motion or vertical mo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구동 링크 요소;
상기 모션부와 연결되는 모션 링크 요소;
상기 모션부 및 상기 구동부를 일측에서 연결하는 제 1 연결 링크 요소; 및
상기 모션부 및 상기 구동부를 타측에서 연결하는 제 2 연결 링크 요소를 포함하는 링크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on part,
a driving link elemen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 motion link element connected to the motion unit;
a first connecting link element connecting the motion unit and the driving unit at one side; and
A link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connecting link element connecting the motion unit and the driving unit at the other si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구심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링크 요소, 상기 모션 링크 요소, 상기 제 1 연결 링크 요소 및 상기 제 2 연결 링크 요소가 상기 구심 조인트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on part,
further comprising a centripetal joint;
The driving link element, the motion link element, the first connecting link element and the second connecting link element are connected around the centripetal j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k assemb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링크 요소는,
상기 모션부와 상기 구심 조인트를 연결하는 모션 플레이트;
상기 구심 조인트로부터 상기 모션부의 일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모션바; 및
상기 구심 조인트로부터 상기 모션부의 타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모션바를 포함하는 링크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4,
The motion link element,
a motion plate connecting the motion unit and the centripetal joint;
a first motion bar extending from the centripetal joint to one side of the motion unit; and
A link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motion bar extending from the centripetal joint to the other side of the motion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크 요소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구심 조인트를 연결하는 구동 플레이트;
상기 구심 조인트로부터 상기 구동부의 일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구동바; 및
상기 구심 조인트로부터 상기 구동부의 타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구동바를 포함하는 링크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5,
The drive link element,
a driving plate connecting the driving unit and the centripetal joint;
a first driving bar extending from the centripetal joint to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and
A link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driving bar extending from the centripetal joint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링크 요소는,
상기 제 1 모션바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모션바로부터 상기 구동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 1 구동바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구동바로부터 상기 모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구심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구심 조인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가 양 측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바를 포함하는 링크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connecting link element,
a first motion connection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motion bar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motion bar toward the driving unit;
a first driving connection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bar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driving bar toward the motion unit; and
A link assembly comprising a first connection bar connected to the centripetal joint and extending from the centripetal joint, and to which the first motion connection plate and the first drive connection plate are connected to both sid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 링크 요소는,
상기 제 2 모션바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모션바로부터 상기 구동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 2 구동바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구동바로부터 상기 모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구심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구심 조인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가 양 측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바를 포함하는 링크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 connecting link element,
a second motion connection plate connected to the second motion bar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motion bar toward the driving part;
a second driving connection plat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bar and extending from the second driving bar toward the motion unit; and
A link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bar connected to the centripetal joint and extending from the centripetal joint, and to which the second motion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drive connection plate are connected to both sid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가 서로 가까워질 때, 상기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는 서로 멀어지고,
상기 제 2 모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구동 연결 플레이트가 서로 가까워질 때, 상기 제 1 모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구동 연결 플레이트는 서로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8,
When the first motion linking plate and the first driving linking plate come closer to each other, the second motion linking plate and the second driving linking plate move away from each other;
The link assembly of claim 1, wherein when the second motion linking plate and the second driving linking plate come closer to each other, the first motion linking plate and the first driving linking plate move away from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점은,
상기 모션부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2,
The fixed point is
Link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air on both sides of the motion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고정 지점을 연결한 선과 상기 모션부 및 상기 연결부가 만나서 이루는 선 사이의 각을 고정 각도라고 할 때,
상기 고정 각도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모션부의 가동 범위 및 가동 축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0,
When the angle between the line connecting the pair of fixed points and the line formed by the meeting of the mot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is called a fixed angle,
A link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range and movable axis of the motion unit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xed angl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각도가 0°일 때, 상기 모션부의 가동 범위가 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1,
When the fixed angle is 0 °, the link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range of the motion unit is maximum.
제 1 항에 기재된 링크 어셈블리를 복수 개로 구비한 주행 로봇에 있어서,
본체;
상기 링크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을 전달하는 회전 구동 장치; 및
복수 개의 상기 링크 어셈블리의 상기 모션부에 각각 연결되어 일체로 구동하는 복수 개의 레그 장치를 포함하는 주행 로봇.
In the traveling robo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nk assemblies according to claim 1,
main body;
a rotation drive device connected to the link assembly to transmit a rotation drive; and
A driving robot including a plurality of leg devices connected to the motion units of the plurality of link assemblies and integrally driven.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 구동 장치에 각각 다른 각도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로봇.
According to claim 13,
The plurality of link assemblies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ing device at different angles.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 구동 장치에 각각 다른 위상을 갖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로봇.
According to claim 13,
The plurality of link assemblies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ing device to have different phases.
KR1020210111668A 2021-08-24 2021-08-24 Link assembly and crawling robot comprising the same KR1026184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668A KR102618487B1 (en) 2021-08-24 2021-08-24 Link assembly and crawling robot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668A KR102618487B1 (en) 2021-08-24 2021-08-24 Link assembly and crawling robot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316A true KR20230029316A (en) 2023-03-03
KR102618487B1 KR102618487B1 (en) 2023-12-29

Family

ID=8551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668A KR102618487B1 (en) 2021-08-24 2021-08-24 Link assembly and crawling robot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48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892A (en) * 2009-07-29 2011-0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Inchiworm robot
CN108942907A (en) * 2018-09-12 2018-12-07 天津市大然科技有限公司 Modularization snake-shaped robot based on parallel institu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892A (en) * 2009-07-29 2011-0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Inchiworm robot
CN108942907A (en) * 2018-09-12 2018-12-07 天津市大然科技有限公司 Modularization snake-shaped robot based on parallel instit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487B1 (en)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498C (en) Front speed-change device for bicycle
US11958552B2 (en) Bionic robot for all terrains
CN108327812B (en) Multi-walking-mode wheel-leg robot
US7566066B2 (en) Bicycle rear suspension system
CN1259912A (en) Two side adjustment drive mechanism
KR20180088448A (en) 2-DOF drive mechanism
CN107128390B (en) Leg wheel hybrid robot
KR20230029316A (en) Link assembly and crawling robot comprising the same
CN111497963A (en) Multi-mode biped wheel-leg robot
KR20200091645A (en) Device for adjusting track width of agricultural machine
KR20140111162A (en) Multi joint robot to drive rough terrain
CN112590968A (en) Six-foot wheel-leg type crawling robot
EP3069976B1 (en) Rocking vehicle
CN109398522A (en) A kind of variable topological leg mechanism four-footed platform
CN110091934A (en) A kind of adaptive polypody walking platform
CN108516024A (en) A kind of imitative worm specialized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CN109178133B (en) Variable topology operation dual-mode walking mechanism
CN109606499A (en) Miniature odex
CN105643658A (en) Robot joint device based on double-side rope sheave driving
CN107651033A (en) A kind of leg wheel hybrid hydraulic pedipulator
CN111824286A (en) Variable-foot mobile robot
CN110641573B (en) Closed-chain single-degree-of-freedom five-rod leg mechanism
JP4839483B2 (en) Toggle joint drive mechanism
CN209921457U (en) Bionic quadruped robot
US20120272759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circular mo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