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019A - 전자문패를 이용한 가족 유대 및 방문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문패를 이용한 가족 유대 및 방문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019A
KR20230028019A KR1020210110448A KR20210110448A KR20230028019A KR 20230028019 A KR20230028019 A KR 20230028019A KR 1020210110448 A KR1020210110448 A KR 1020210110448A KR 20210110448 A KR20210110448 A KR 20210110448A KR 20230028019 A KR20230028019 A KR 20230028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family
family members
famil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빨
Priority to KR1020210110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8019A/ko
Priority to PCT/KR2021/013462 priority patent/WO2023022291A1/ko
Publication of KR2023002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e.g. messages transmitted or received in proximity of a certain spot or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족 간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아이디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가족 구성원의 단말기로 초대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초대 신호를 통해 등록된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제어부, 및 공유하는 생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문패를 이용한 가족 유대 및 방문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Termina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family bonding and visitor confirmation service using digital electric doorplate}
본 발명은 가족 유대 및 방문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구조가 변하면서 가족의 형태에도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농경, 임업, 가내 수공업을 하던 산업 시대 이전과 증기기관, 자동차가 발달한 1차 산업일 때는 3대 이상의 가족이 함께 사는 대가족이 주요 가족 형태였다. 그리고,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 2차 산업 시대와 정보 통신 및 서비스 관련 업종이 증가한 3차 산업 시대에는 직계 가족끼리 사는 핵가족이 주 가족 형태였다. 그리고 최근 AI, 블록체인, AR, VR 등이 발달한 4차 산업 시대에는 1인 가구가 주요 가족 형태가 되었다. 즉, 4차 산업 시대인 현재에는 자취, 독신자, 타지 생활의 증가로 혼자 사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렇게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가족 간의 대화가 부족해 졌고, 이에 더하여 각자의 사회적 역할의 차이, 관심사의 차이, 살아온 배경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가족 간의 대화가 단절되는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족 간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족 간에 각자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족 공통의 관심사를 생성 및 공유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아이디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가족 구성원의 단말기로 초대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초대 신호를 통해 등록된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제어부, 및 공유하는 생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활 정보는 가족 구성원 각각이 생활하는 집에 대한 출입 정보를 포함하고, 출력부는 가족 구성원의 출입시마다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는 가족 구성원의 출입시 해당하는 가족 구성원에게 전송될 메시지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단말기는 가족 구성원 각각이 집에 출입한 출입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출력부는 출입 시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는 가족 구성원 각각의 집에 설치된 비콘과 통신하여 출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가족 구성원 각각의 지출 정보를 입력받고, 가족 구성원 전체의 지출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가족 구성이 동일한 다른 가족들의 평균 지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가족 구성원 중 적어도 둘이 함께 참여 가능한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가족 구성원이 함께 공유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가족 구성원이 함께 설정한 목표에 대한 출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가족 구성원 중 적어도 둘이 참여하는 게임 또는 목표에 대한 결과의 보상으로 코인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코인으로 구매한 아이템을 적용 가능한 가족 구성원의 홈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가족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는 일정 및 일정에 대한 참여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가족 구성원 각각의 단말기에 저장된 지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설정된 기간 또는 기설정된 횟수 동안 함께 참여한 일정이 없는 가족 구성원 간에 참여하는 새로운 일정에 대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아이디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가족 구성원의 제2 단말기로 초대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말기, 제1 단말기로부터 초대 신호를 수신하면, 초대 신호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하는 응답을 입력받는 제2 단말기, 및 수락하는 응답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가족으로 설정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서버는 가족으로 설정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 가능하도록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 1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아이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제1 단말기는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제2 단말기로 초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초대 신호에 대한 수락 응답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가족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가족으로 설정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가족 구성원의 지인 정보를 획득 가능하므로, 가족이 늦은 시간 어떤 지인을 만나더라도 걱정이 줄어들 수 있고, 기념일 또는 경조사 등에 가족의 지인에게 연락하여 알려주거나, 초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게임, 모임 등 가족간 공통 행사를 개최하여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유대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홈페이지(미니홈피), 챌린지 등을 통해 공통의 관심을 이끌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가족 간의 친밀감과 소속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 공유 및 자동적인 일정 생성으로 인해, 가족 구성원 간의 주기적인 만남 등이 유도되므로 관계가 멀어지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족 구성원의 출입 정보가 공유되므로, 멀리 사는 가족에 대한 걱정을 덜어주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족 구성원의 출입에 따른 메시지를 남길 수 있어, 가족끼리 유용한 메시지를 남길 수 있어, 평소에 잘 전달하지 못하는 마음의 표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족 구성원의 지출이 통합 관리되므로, 가족 전체의 계획적인 지출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가족 유대 서비스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족 유대 서비스의 동작 시스템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및 제7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가족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도와주고, 공통의 관심사를 추구하여 가족간 유대감과 소속감을 이끌어내서 상호 애착심과 유대감을 향상시켜주는 서비스를 단말기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단말기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의 종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단말기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다른 단말기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가족 구성원은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한집에서 함께 생활하는 공동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회에 존재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가족 유대 서비스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 또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가족 구성원들이 정보를 공유하거나, 관심사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가족 유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단말기가 가족 유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부부간, 부자간, 형제/자매/남매간에 정보를 공유하거나, 관심사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가족 유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가족 구성원이 참여 가능한 게임을 실행하는 쉼표 기능, 가족 구성원이 만나는 지인을 공유하는 주소록 기능, 가족 구성원이 공동 목표를 달성하는 챌린지 기능, 가족 구성원의 사진/동영상을 공유하는 앨범 기능, 가족 구성원의 일정을 공유하는 노티 기능 및 가족 구성원의 지출 내역을 공유하는 씀씀이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족 유대 서비스의 동작 시스템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가족 유대 서비스는 가족 구성원 각각이 사용하는 단말기(10), 각 단말기(1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20), 가족 구성원 각각의 가정에 구비되는 비콘(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콘(30)은 디지털 전자문패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때, 비콘(30)이 설치된 전자문패는 현관문 또는 현관 외측벽에 매립 또는 착탈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족 구성원 각각의 집에는 비콘(30)이 설치된 전자문패가 설치되어 있는 바, 전자문패의 비콘(30)과 단말기(10)간의 통신을 통해 단말기(10)가 집에 있는지 없는지를 통해 가족 구성원의 집 출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통신부(15)가 가족 구성원 각각의 현관문 또는 현관 외측벽에 설치된 비콘(30)과 통신하여 출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가족 구성원 외에 타인이 방문한 경우, 해당 방문자의 출입 기록도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는 단말기(10)가 2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단말기(10)의 개수에는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단말기(10)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20)는 단말기(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통합, 분석, 수정, 새로운 정보를 생성 및 다른 단말기(10)로 정보를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비콘(30)은 가족 구성원 각각의 집에 설치되고, 단말기(1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단말기(10)는 제어부(11), 입력부(13), 통신부(15), 출력부(17) 및 저장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입력부(13), 통신부(15), 출력부(17) 및 저장부(19)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3)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3)는 물리적인 키-버튼, 터치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는 다른 단말기(10), 서버(20) 또는 비콘(3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7)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는 단말기(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입력부(13)는 적어도 하나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아이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10).
아이디 정보는 각 단말기를 식별 가능한 고유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디 정보는 전화번호, 시리얼 넘버, 무선 통신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는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가족 구성원의 단말기로 초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0).
즉, 통신부(15)는 입력된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단말기(10)로 초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5)는 초대 신호에 응답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15)는 초대 신호에 응답하는 수락 또는 거절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초대 신호에 응답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락 신호로 응답한 단말기(10)를 가족으로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아이디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가족 구성원의 제2 단말기로 초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기는 제1 단말기로부터 초대 신호를 수신하면, 초대 신호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하는 응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 서버(20)는 제2 단말기의 수락하는 응답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가족으로 설정하고, 가족으로 설정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 가능하도록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초대 신호를 통해 등록된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S30).
출력부(17)는 공유하는 생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40).
생활 정보는 집에 대한 출입 정보, 지인 정보, 지출(소비) 정보, 게임 정보, 앨범 정보, 공동 목표 정보, 공동 홈페이지 정보, 일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단말기(10)가 생활 정보를 공유 및 출력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가족 구성원 간에 지인 정보를 공유 및 출력하는 방법일 수 있다.
제어부(11)는 주소록 기능을 실행하면, 통신부(15)는 단말기(10)에 저장된 지인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주소록 DB에 가족 구성원 각각의 단말기에 저장된 지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지인 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통신부(15)를 통해 요청에 따른 지인 정보를 서버(20)에서 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원 각각의 단말기에 저장된 지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출력부(17)를 통해 서버(20)에서 수신한 지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지인 정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지인에게 전화를 걸거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족 구성원은 본인 또는 가족의 지인 정보를 자발적으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고, 가족 간에 자유롭게 지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가족이 늦은 시간 어떤 지인을 만나더라도 걱정이 줄어들 수 있고, 기념일 또는 경조사 등에 가족의 지인에게 연락하여 알려주거나, 초대할 수 있다. 즉, 이에 따라, 단말기(10)는 지인 정보 조회 및 등록하는 기능과, 기념일 초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게임에 참여하는 방법일 수 있다.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원 중 적어도 둘이 함께 참여 가능한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게임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미니 게임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선택된 미니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는 게임의 미션을 완료하면 코인이 지급되고, 게임에 승리하면 보상 코인이 발행됩니다. 신규 발행된 코인 금액은 서버(20)의 코인 DB에 저장됩니다. 즉,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원 중 적어도 둘이 참여하는 게임에 대한 결과의 보상으로 코인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는 스토어에 접속하고, 아이템(BGM, 캐릭터, 배경색상, 아바타, 기타 등등)을 코인으로 구매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한 금액만큼의 액수 코인 DB에 차감될 수 있다. 그리고, 구매한 아이템의 목록 및 수량은 서버(20)의 아이템 DB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가족이 함께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미니 게임을 제공되므로, 게임, 모임 등 가족간 공통 행사를 개최하여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유대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미니 게임을 통해서 보상으로 코인을 제공하며, 제공된 코인을 이용하여 아바타 또는 BGM, 캐릭터, 배경색 등을 구매하여 홈페이지(미니홈피)를 꾸밀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공유하는 홈페이지(미니홈피)를 공유하는 방법일 수 있다.
제어부(11)는 미니홈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미니홈피는 가족 구성원이 공유하는 홈페이지일 수 있다.
제어부(11)는 서버(20)의 아이템 목록 DB에 저장된 보유한 아이템 목록과 수량을 수신하여 출력부(17)에 출력할 수 있고, 보유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미니홈피에 적용할 수 있다. 미니홈피에 적용된 아이템 정보는 서버(20)의 아이템 목록 DB에 전송되어, 아이템 보유 내역이 정리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코인으로 구매한 아이템을 적용 가능한 가족 구성원의 홈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미니홈피는 공개여부 확인, 공개시 다른 사용자의 구경 및 평가 가능 여부를 선택받을 수 있고, 미니홈피 평점 순위에 따라 코인이 지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홈페이지(미니홈피)를 꾸미는데 있어서 공통의 관심을 이끌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가족 간의 친밀감과 소속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공유하는 일정을 공유 및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일 수 있다.
제어부(11)는 일정 관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일정 관리 기능을 실행하면, 새로운 일정(예를 들어, 주말 외식, 영화보기, 가족여행 등)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등록된 일정에 대해 다른 가족 구성원에 참여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는 일정 및 일정에 대한 참여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1)는 각 가족 구성원이 참여하는 일정에 맞춰 알림을 출력하도록 출력부(17)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가족 구성원들이 모임일정을 정하여 공유하고, 가족에게 일정을 알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새로운 일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동으로 생성되는 일정과 가족 유대를 위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원 각각이 참여했던 일정 정보에 기초하여, 공동 참여가 적은 가족 구성원 간의 일정 또는 최근 함께 참여한 일정이 없는 가족 구성원 간의 일정을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기설정된 기간 또는 기설정된 횟수의 과거 일정 동안 제1 가족 구성원(아빠)과 제2 가족 구성원(딸)이 함께 참여한 일정이 없으면, 제1 가족 구성원과 제2 가족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는 일정을 생성 및 제1 및 제2 가족 구성원의 단말기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기설정된 기간 또는 기설정된 횟수 동안 함께 참여한 일정이 없는 가족 구성원 간에 참여하는 새로운 일정에 대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가족 구성원들의 관계가 멀어질 위험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공유하는 일정을 공유 및 알림을 출력하는 방법일 수 있다.
제어부(11)는 앨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앨범 기능의 실행 중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서버(20)의 갤러리 DB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원이 함께 공유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갤러리 DB에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는 갤러리 DB에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에 좋아요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거나, 댓글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는 본인이 갤러리 DB에 업로드한 사진 또는 동영상에 좋아요 또는 댓글이 획득되면,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는 갤러리 DB에 업로드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앨범을 구분할 수 있고, 개인 폴더를 생성하여 개인만이 확인 가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가족들만의 앨범을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및 제7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제6 실시 예에 따른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각 가족 구성원의 집 출입 정보를 알림으로 출력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생활 정보는 가족 구성원 각각이 생활하는 집에 대한 출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부(17)는 가족 구성원의 출입시마다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족 구성원 각각의 집에는 비콘(30)이 설치되어 있는 바, 비콘(30)과 단말기(10)간의 통신을 통해 단말기(10)가 집에 있는지 없는지를 통해 가족 구성원의 집 출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통신부(15)가 가족 구성원 각각의 집에 설치된 비콘(30)과 통신하여 출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가족 구성원 외에 타인이 방문한 경우, 해당 방문자의 출입 기록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가족 구성원은 미리 방문자에 대한 정보를 업로드하여 가족 구성원들에게 공유하거나, 방문자에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방문자 단말을 등록하여 방문 시 비콘을 통해 방문자 출입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 할 수 있다.
서버(20)는 각 단말기(10)가 획득한 출입 정보를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고, 다른 단말기(10)로 전송함으로써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출입 정보는 집의 출입 여부뿐만 아니라,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9)는 가족 구성원 각각이 집에 출입한 출입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다른 구성원의 집 출입 여부뿐만 아니라 출입 시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7 실시 예에 따르면, 가족 구성원의 출입시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원의 출입시 해당하는 가족 구성원에게 전송될 메시지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부(13)는 메시지 받을 사람을 선택하는 입력과, 메시지 수신 시점 및 메시지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다. 메시지 수신 시점의 입력은 가족 구성원이 집을 나갈 때 메시지를 수신할 지 혹은 집에 들어올 때 메시지를 수신할 지를 선택받는 입력일 수 있다.
서버(20)는 단말기(10)로부터 메시지 받을 사람, 메시지 수신 시점 및 메시지 내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서버(20)는 메시지 받을 사람의 출입 정보를 통해 메시지 받을 사람이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에 도달하면, 메시지 받을 사람의 단말기(10)로 메시지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받을 사람의 단말기(10)는 출력부(17)를 통해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는 가족 구성원이 집을 나가거나 집에 도착하면,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남겨진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족 구성원들이 다른 가족의 귀가 시간 및 외출 시간 확인 가능하고, 가족끼리 유용한 메시지를 남길 수 있어, 평소에 잘 전달하지 못하는 마음의 표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이 귀가할 때 아빠 사랑해! 오늘도 고생하셨어요.”와 같은 표현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늦은 귀가나 비어있는 집에 들어올 때의 쓸쓸함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단말기(10)는 반려 동물의 출입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출입 정보의 획득이 가능한 바, 가족 구성원의 출입 정보에 따라 날씨, 교통, 할인 등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제어부(11)는 출입 정보에 따라 가족 구성원이 외출하는 것으로 인식할 경우, 서버(20)의 노티 DB에 설정된 유용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원이 외출할 때 “밖에 비가 오니 우산챙기세요!”와 같은 유용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제9 실시 예에 따른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가족 구성원이 공동 목표를 설정 및 참여하는 방법일 수 있다.
제어부(11)는 챌린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챌린지 기능을 실행하면 가족 구성원이 걷기, 물 마시기 등과 같은 공동 목표를 챌린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챌린지는 서버(20)의 챌린지 DB에 저장될 수 있다. 공동 목표는 헬스, 윗몸 일으키기 또는 걷기 등과 같은 운동 목표, 물 마시기, 금연 또는 금주와 같은 웰빙 목표, 등산, 분리수거 또는 강아지 산책과 같은 라이프 목표 등 다양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원이 함께 설정한 목표에 대한 출석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출석 정보는 서버(20)에 전송될 수 있다. 서버(20)는 가족 구성원들의 출석 정보에 기초하여 챌린지 달성 여부, 즉 성과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는 성과를 그래프나 차트, 또는 기간별로 확인 가능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17)는 서버(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챌린지에 대한 성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평소 가족이 원하는 미션을 지정하여 목표에 달성하려고 노력하며 가족 구성원의 평가를 받을 수 있어, 출석이 독려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챌린지 참여에 따라 코인이 지급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제10 실시 예에 따른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가족 구성원이 공동 목표에 참여하여 코인을 지급받는 방법일 수 있다.
제어부(11)는 챌린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챌린지를 설정, 성과를 제공하는 것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서버(20)는 챌린지 평가원의 참여율에 맞춰 코인을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코인 보상은 코인 DB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일주일 연속으로 출석하는 경우에는 보상으로 코인을 지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원 중 적어도 둘이 참여하는 목표에 대한 결과의 보상으로 코인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는 각 가족 구성원의 참여에 대해 평가를 입력받을 수 있는데, 서버(20)는 가족 구성원의 평가 참여도에 따라서 일정 기간마다 코인을 지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참여율 또는 평가 참여도에 따라 코인이 제공되는 바, 가족 구성원들 전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제11 실시 예에 따른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은 가족 구성원이 지출 정보를 공유 및 관리하는 방법일 수 있다.
제어부(11)는 지출 관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지출 관리 기능을 실행시 가족 구성원 각각의 지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지출 내역을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가족 구성원들의 지출 내역을 모두 수신하여 가계부 DB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서버(20)의 가계부 DB로부터 가족 지출 내역을 수신하여 출력부(17)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원 전체의 지출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족 구성원들 각각은 가족 전체의 지출 내역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원 중 일부만 가족 전체의 지출 내역을 확인 가능하도록 특정 가족 구성원을 선택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1)는 가족 구성이 동일한 다른 가족들의 평균 지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등록된 가족 구성원이 부모와 자녀 2인인 경우, 부모와 자녀 2인으로 등록된 다른 가족들의 지출의 평균을 산출한 평균 지출 정보를 출력부(17)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가족의 지출 상태를 파악 가능하며, 계획적인 지출 관리가 유용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족 유대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코인은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지갑에서도 채굴이 되는 POGS(Proof-of-Group-Stake), POT(Proof-of-Transaction) 합의 알고리즘은 Knock 블록체인의 블록체인 코어가 P2P 기반으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이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거래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Knock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기술에 시공간 개념을 보안성을 높이고, 처리량을 늘려 빠른 처리를 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한다. 기존의 블록체인들이 데이터 + 시간 개념이라면 Knock 블록체인은 데이터 + 시간 + 공간 개념의 블록체인이다. 노드들의 공간적인 개념이 실제 Knock 블록체인에 사용된다. 블록체인에 Group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각 노드들은 각 Group의 Group Member가 되며, 각 Group을 관리하는 Full Node 지갑이 Gateway가 된다.
시공간 알고리즘은 실시간에 대한 시간 값과 위치에 대한 공간 값을 사용하고 있으며 랜덤의 노드 유지자 N명~512명의 전 세계 위치 값과 동시간의 위치 값에 대한 알고리즘으로 설정하고 있다. 노드들은 자신들의 공간 값을 이를 관장하는 서버에 전달하여, Grouping 알고리즘을 통해 노드들이 속해질 Group이 정해진다. Grouping 된 노드들은 Grouping 알고리즘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되며, Grouping을 유지하게 된다.
시간을 확보하는 것은 블록체인에 있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일반적 기능이다. 하지만 블록생성 시간에 처리가 필요한 특정 계약들에 매우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을 확보하는 것은 기존의 블록체인에서 지적이 되는 사항 중 하나인, 사용자들이 늘어남에 따른 처리속도 지연이 문제가 되고 있다. 분산된 시스템상에서 노드들 간에 서로 통일된 정확한 시간을 가지게 하는 것은 기존의 블록체인에서 해결하기는 어렵다. Knock 블록체인은 P2P거래 방식으로 하여 랜덤하거나 임의로 지정된 N명에서 512명이 거래증명을 노드로 유지시켜 주며, N명에서 512명이 유지시켜준 노드로 인하여 언제든 새로운 거래를 증명하여 보안성을 높였다. 평균적으로 BNS 환경의 Knock 블록체인은 매 8초마다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며 ±8초의 오차 범위 안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최근의 블록 타임을 기반으로 실행된다.
한편, 각 가족 구성원이 업로드하는 정보(메모, 가계부, 일정관리, 가족주소록, 앨범, 챌린지, 입출입기록)등은 허가형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가형 블록체인에 대해서 설명하면, 허가형 블록체인(Permissioned Blockchain)이란 미리 정해진 조직이나 개인들만 참여할 수 있는 폐쇄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말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폐쇄형 블록체인, 기업형 블록체인 또는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enterprise blockchain)이라고도 칭한다. 이하 '허가형 블록체인'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으로 대변되는 퍼블릭 블록체인과 달리 허가형 블록체인은 서비스가 다르고 운영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요구사항이 다르며, 특히 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모든 사람이 운영 하므로 운영 주체가 불분명하고 독자적인 화폐를 통해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법적 구속력에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으나 허가형 블록체인은 운영 주체가 명확하고 암호화폐를 발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법과 규제사항을 준수하기에 용이하다.
현존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은 읽기, 트랜잭션 생성을 누구나 할 수 있고, 모든 사용자는 모든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나 본 메타버스 가상공간은 특정 개인의 개인정보 데이터를 다루는 블록체인 서비스의 경우 개인정보가 담긴 데이터가 네트워크상으로 오고 갈 수 있기 때문에 모두에게 데이터가 공개되면 안 되며, 법적으로 책임 질 수 있는 가족 구성원, 기관 또는 권한을 가진 자만 트랜잭션을 생성해야지 누구나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면 개인정보 침해 등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책임 주체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 트랜잭션 검증 요구사항에도 차이가 있어,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트랜잭션 내역 모두에게 공개되며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노드가 트랜잭션을 검증하지만, 허가형 블록체인에서는 허가된 노드가 트랜잭션의 검증을 수행한다.
노드별로 권한을 다르게 하는 것 또한 퍼블릭 블록체인에서는 불가능하여, 감독기관은 모든 데이터를 검증해야 하고 나머지 기관들은 자신에 관련된 데이터를 검증하는 등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퍼블릭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엔진 수정이 어렵기 때문에 엔진에서 제공해야만 가능한 기능들을 추가하는 게 매우 어렵다. 이와 달리, 허가형 블록체인은 노드별로 권한을 다르게 설정하여, 본 발명의 가족 단위로 노드를 구성하되, 구성원 개인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가족구성원 중 누군가가 사망한 경우, 사망한 가족을 제외한 나머지 가족 구성원 전원의 동의에 따라, 사망한 가족 구성원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하거나, 특정 시점에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등 다양한 조건을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행정기관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사망사실이 확인되는 경우, 허가형 블록체인의 네트워크 상에 특정 가족 구성원의 사망사실 정보가 전파되면, 허가형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각 가족 구성원 노드 중 사망사실 정보와 관련하여 열람이 허용된 특정 가족 구성원에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퍼블릭 블록체인과 허가형 블록체인은 두 가지로 분류되는 블록체인 종류지만 서로 공유하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상의 노드들이 검증된 분산된 장부를 서로 공유하고, 네트워크의 정해진 합의에 따라 데이터들을 보관 및 공유하며, 몇몇 노드들이 잘못되어도, 이미 저장된 장부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는 불가능하다. 정리하자면 블록체인의 기본적인 특징은 그대로 가지고 있지만,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퍼블릭 블록체인, 허가형 블록체인으로 분류되게 된다. 이 분류의 기준은 누가 네트워크 그리고 합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으며, 분산된 장부를 보관하는지에 관련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완전한 허가형 블록체인(Fully permissioned blockchain)이 접목될 수 있으며, 완전한 허가형 블록체인은 하나의 기관 또는 기업 내지는 가족구성원 단말로만 구성된 노드를 통해 운영될 수 있다. 데이터 관리와 검증 그리고 거래 내역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권한을 가진 가족구성원, 기관 또는 기업에서 허가를 받아야만 가능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였지만, 권한을 가진 가족구성원, 기관 또는 기업이 네트워크 관리 권한을 가지고 있고, 분산된 데이터베이스만 갖는 구조로, 전통의 시스템에 블록체인의 보안 검증성의 특징만 가져오는 구조에 해당한다.
이러한 허가형 블록체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각 가족 구성원은 홈페이지(미니홈피)를 일종의 메타버스공간 상에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홈페이지(미니홈피) 또는 가족 구성원 각각이 구분하여 소유하는 가상공간은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메타버스(Meta-verse)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는 기존의 가상현실 환경(Virtual reality environment)이라는 용어보다 진보된 개념으로서, 웹과 인터넷 등의 가상세계가 현실세계에 흡수된 증강 현실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메타버스공간 상에서 각 가족 구성원은 각종 개인정보 데이터를 허가형 블록체인 상에 업로드하고, 노드 별 접근권한을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각 구성원 스스로가 자신과 관련된 각종 영상, 이미지, 개인정보, 개인사 등을 메타버스공간 상에 프라이빗하게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허가형 블록체인 상에 업로드 되는 데이터들은 분산형 파일 시스템인 IPF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될 수 있다. 즉, 중앙화된 서버 없이 노드들의 P2P 통신으로 실현한 더 빠르고 안전한 네트워크로, 대형 서버의 연결이 차단되면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 과거 HTTP Web과는 달리, IPFS에서는 몇몇 노드들이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안전하게 개인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용량의 파일을 빠르고 쉽게 전달할 수 있고, 파일의 중복을 정확히 알 수 있어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IPFS 상에 업로드 된 파일의 버전 관리가 가능하여, 각 가족 구성원의 개인정보 데이터를 버전별로 업데이트 하여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족 구성원 각각의 개인정보 데이터는 일정주기(예시” 24시간)을 기준으로 업데이트 되며, 이는 허가형 블록체인(Permissioned blockchain) 상에 업로드 되어 관리될 수 있다.
한편, IPFS 상에 업로드 된 개인정보 데이터(사진, 개인일기, 생활습관 등) 를 딥러닝 모델에 학습시켜, 가족 구성원과 유사한 가족 인식, 감정이해, 행동패턴을 지닌 인공지능 복제 가족구성원 캐릭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또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아이디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가족 구성원의 단말기로 초대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초대 신호를 통해 등록된 가족 구성원 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공유하는 생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활 정보는 가족 구성원 각각이 생활하는 집에 대한 출입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가족 구성원의 출입시마다 알림을 출력하는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가족 구성원의 출입시 해당하는 가족 구성원에게 전송될 메시지를 더 입력받는
    단말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족 구성원 각각이 집에 출입한 출입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출입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단발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가족 구성원 각각의 집에 설치된 비콘과 통신하여 상기 출입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족 구성원 각각의 지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가족 구성원 전체의 지출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단말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족 구성이 동일한 다른 가족들의 평균 지출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족 구성원 중 적어도 둘이 함께 참여 가능한 게임을 제공하는
    단말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족 구성원이 함께 공유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말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족 구성원이 함께 설정한 목표에 대한 출석 정보를 입력받는
    단말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족 구성원 중 적어도 둘이 참여하는 게임 또는 목표에 대한 결과의 보상으로 코인을 제공하는
    단말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인으로 구매한 아이템을 적용 가능한 가족 구성원의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단말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족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는 일정 및 상기 일정에 대한 참여 여부를 입력받는
    단말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족 구성원 각각의 단말기에 저장된 지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기간 또는 기설정된 횟수 동안 함께 참여한 일정이 없는 가족 구성원 간에 참여하는 새로운 일정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는
    단말기.
  16. 적어도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족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아이디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가족 구성원의 제2 단말기로 초대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말기;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초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초대 신호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하는 응답을 입력받는 제2 단말기; 및
    상기 수락하는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를 가족으로 설정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가족으로 설정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와 통신하는
    가족 관리 시스템.
  17. 적어도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족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가족 구성원에 대한 아이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제2 단말기로 초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초대 신호에 대한 수락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를 가족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족으로 설정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간에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족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10110448A 2021-08-20 2021-08-20 전자문패를 이용한 가족 유대 및 방문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230028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448A KR20230028019A (ko) 2021-08-20 2021-08-20 전자문패를 이용한 가족 유대 및 방문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
PCT/KR2021/013462 WO2023022291A1 (ko) 2021-08-20 2021-09-30 전자문패를 이용한 가족 유대 및 방문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448A KR20230028019A (ko) 2021-08-20 2021-08-20 전자문패를 이용한 가족 유대 및 방문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019A true KR20230028019A (ko) 2023-02-28

Family

ID=8523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448A KR20230028019A (ko) 2021-08-20 2021-08-20 전자문패를 이용한 가족 유대 및 방문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8019A (ko)
WO (1) WO20230222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403A (ko) * 2013-10-21 2015-04-30 김지석 그룹 포인트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45896A (ko) * 2014-06-19 2015-12-31 서철욱 폐쇄형 개인정보 보호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41260B1 (ko) * 2019-06-11 2019-11-06 사단법인 행복한가 커뮤니티 가계도 시스템
KR102085540B1 (ko) * 2019-07-01 2020-03-06 송혜선 가정에 설치되는 nas 서버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관리 방법
KR20210012156A (ko) * 2019-07-24 2021-02-03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2291A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orge et al. Metaverse: The next stage of human culture and the internet
US202201502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attributes of users of online systems
McDonald Social media in rural China: Social networks and moral frameworks
Dragona Counter-gamification: emerging tactics and practices against the rule of numbers
US201300189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Management of Structured Sentiment Content
Schwartz et al. Online dating: Changing intimacy one swipe at a time?
Schmidt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Why crowdsourcing needs ethics
CN101551892A (zh) 一种城市生活信息平台及实现方法
US201301250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personality facets having virtual social profiles
CN104981801A (zh) 社交事件推荐系统
CN105981072A (zh) 用于交换信息的系统和方法
Bhatt The Attention Deficit
Duwe et al. Enabling the Metaverse. Whitepaper on international user preferences, business models and innovation processes in the Metaverse
KR20230028019A (ko) 전자문패를 이용한 가족 유대 및 방문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230117767A (ko) 사용자 행동 데이터 및 멀티 모달 단말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 저장, 제어, 학습 및 활용 방법 및 시스템
JP7049013B1 (ja) オブジェクト管理システム
WO2018129534A1 (en) Social media platform with recognition tokens
Cheng Metaverse and Social View
Farmer Arrested (game) development: labour and lifestyles of independent video game creators in Cape Town
Darkazanli The Metaverse and its implications on humanity and digital future
Chrétien-Ichikawa Shanghai Fashion and Post-1990s Youth Through the Phygital Lens
US20230101514A1 (en) Platform providing catered selection of events and real-time event information
Reich Money as a social coordination mechanism to fairly express our free material preferences
Szczerbak et al. Kramer: New social medium based on collaborative recognition of important situations
Vlad et al. Social media as influence factor of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