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156A -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156A
KR20210012156A KR1020190089373A KR20190089373A KR20210012156A KR 20210012156 A KR20210012156 A KR 20210012156A KR 1020190089373 A KR1020190089373 A KR 1020190089373A KR 20190089373 A KR20190089373 A KR 20190089373A KR 20210012156 A KR20210012156 A KR 20210012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mily
health
information
service system
health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수
박병주
김현연
최두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9008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156A/ko
Publication of KR2021001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156A/ko
Priority to KR1020220034842A priority patent/KR102493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강검진 DB, 병원진료 DB, 공공기간 DB 등에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공공기관 시스템(서버), 수요기관 시스템(서버), 건강관리 상품공급자 컴퓨터(서버), 및 전문가 컴퓨터(서버)를 포함하고, 다수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서버)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서버)은 통신모듈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건강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저장부와 연계하여 건강관리서비스 제공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저장부는 회원 정보에서 특히 폰북에서 가족관계를 분석하고 가족간 정보 공유등 건강정보 공유과정 전반을 관리하고 가계도를 작성하과 관련데이터를 분석 저장 및 관리하는 가족관계 관리분석모듈, 개인 및 가족 회원에게 적당한 건강관리모델을 제공하고 전문가와 연결하여주는 맞춤형 가족건강관리모델 제공모듈, 회원에게 맞는 건강상품을 추천하고 결제등 상품 배송 전반을 관리하는 건강상품추천모듈, 라이프로그를 포함한 회원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하며 회원의 요청에 따라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기타 병원진료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정보관리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Family Health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건강기록 원본 데이터와 전송 이력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전송하여 개인의료정보 ( Personal Health Record:PHR) 원본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다수 국민이 수행하는 건강검진 데이터는 의료기관에서만 디지털 데이터로 소유하고, 개인에게는 웹뷰를 통해서 제공하거나 서면 결과서를 통해서만 제공되고 있다.
즉, 건강검진 결과 데이터는 해당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각 수요자에게 우편물과 온라인 뷰잉(viewing) 서비스등을 통해서 통지된다. 물론, 전체 검사항목 중 정부에서 재정을 지원하는 기본검사항목에 대해서만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전달되어 관리되고, 이들 데이터에 대해서는 정부기관이 공급하는 별도의 스마트폰 앱과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 후 데이터 열람이 가능하다.
하지만, 건강검진 전체 항목에 대한 결과 데이터의 확인은 언제나 해당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러한 기존 모델은 서비스 공급기관이 개인들의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 자산 권한(authority)을 지속적으로 소유하는 방식이므로, 개인 수요자는 자신의 데이터를 디지털 자산으로 활용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공급자 중심으로 이루어진 현재의 의료 건강 관리 체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수요자 중심 건강관리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한편, 종래의 건강검진 서비스는 개인건강관리를 개인별로 하고 있어 본인의 의지에 따라 건강관리의 효과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인건강기록이 병원, 건강검진센터, 약국 등에서 각각 보관/관리하고 있어서 개인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건강관리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인건강기록중 민감한 데이터가 공유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유된 개인건강기록 데이터의 진본 여부를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족공동체의 연락처 정보를 개인이 별도의 전화번호부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어 전화변경시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인 유전체 정보 분석으로 가족력에 대한 분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약처방전을 제외한 개인의 질환 개선을 위한 생활 습관과 건강관리 방법을 구두로 전달되어 환자가 오해하거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건강검진이 연단위로 진행되어, 건강검진 후 시간이 경과된 현재의 개인상태를 알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개인별, 가족별 건강 상담이 전문가와의 오프라인을 통해서만 이루어져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가족구성원의 건강관리를 위한 선물을 수신자의 건강 상태에 맞추어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964733호(2019.03.27 등록)(발명의 명칭: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광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건강기록 원본 데이터와 전송 이력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전송하여 PHR 원본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건강검진 DB, 병원진료 DB, 공공기간 DB 등에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공공기관 시스템(서버), 보험사, 제약사, 약국을 포함하는 수요기관 시스템(서버), 건강관리 상품공급자 컴퓨터(서버), 및 전문가 컴퓨터(서버)를 포함하고, 다수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서버)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서버)은
통신모듈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건강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저장부와 연계하여 건강관리서비스 제공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저장부는
회원 정보에서 특히 폰북에서 가족관계를 분석하고 가족간 정보 공유등 건강정보 공유과정 전반을 관리하고 가계도를 작성하고 관련데이터를 분석 저장 및 관리하는 가족관계 관리분석모듈,
개인 및 가족 회원에게 적당한 건강관리모델을 제공하고 전문가와 연결하여주는 맞춤형 가족건강관리모델 제공모듈,
회원에게 맞는 건강상품을 추천하고 결제와 상품 배송 전반을 관리하는 건강상품추천모듈,
라이프로그를 포함한 회원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하며 회원의 요청에 따라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기타 병원진료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정보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저장부내의 각종 모듈들과 연계하여 동작되는 가족관계 DB, 상품/컨텐츠DB, 가족 건강기록 DB, 및 건강관리학습모델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개인 및 가족관계도를 생성하여 개개인의 건강검진정보 및 병원진료정보, 라이프로그정보를 수신하여 개인 및 가족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또한, 개개인에게 개인 맞춤형 건강모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의 정보는 폰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가족관계도를 생성하고 그를 통해 가족의 건강검진 정보 및 병원진료 정보를 생성하고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폰 번호를 기반으로 등록되지 않은 가족을 초대하는 단계,
초대에 응하는 가족의 가족관계를 확인하고 등록처리하는 단계,
등록된 가족의 건강관리 서비스의 제공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등록된 가족의 건강관리 데이터의 변동상황을 체크하여 설정된 범위내의 가족과 건강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강정보 검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개인인 경우에는 개인건강정보를 전송하고, 가족인 경우에는 가족건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 가족건강관리모델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해당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인공지능형인지, 전문가형 인지를 판단하여 각각 해당 가족 건강관리모델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라이프로그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라이프로그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라이프로그 공유를 판단하는 단계.
공유하는 경우 라이프로그를 수요기관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기록 신청이 있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기록 신청이 있는 경우, 건강검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 공유하는 경우 건강검진 데이터를 수요기관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 사용자로부터 병원진료 기록요청이 있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병원진료 기록요청이 있는 경우, 병원진료 기록을 전송하는 단계,
이후, 공유하는 경우 병원진료 기록을 수요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 초대 메시지를 송부하는 단계,
사용자는 초대 메시지 신호를 접수한 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
이후 해당 사용자의 가계도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이후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서버)는 가계도에서 미초대된 가족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만약 미초대된 가족이 있으면 해당 가족에게 초대 메시지를 다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에 의하면, 개인의 건강기록을 가족에게 공유함으로써, 가족공동체의 상호간의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건강한 가족공동체를 활성화시켜서 사회적 의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인의 건강검진데이터, 진료기록, 처방전 등을 본인의 동의를 통해 개인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에서 수집/분석하고, 본인의 동의를 통해 개인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개인건강기록을 가족들에게 온라인으로 자동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 수집된 PHR 데이터를 AI학습을 통하여 분석하여 민감도를 예측하고, 예측된 민감도를 개인건강기록 공유자에게 제공하여 공유여부를 판단하게 함으로써 민감한 데이터의 무분별한 공유를 막을 수 있고, 또한 차단된 개인건강기록의 민감 정보와 공유된 개인건강기록 데이터의 이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개인건강기록 데이터의 제공에 대한 판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인건강기록 원본 데이터와 전송 이력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전송하여 PHR 원본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족공동체 구성 정보를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을 통하여 자동으로 구성하고, 가계도와 연락처를 시스템을 통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전화번호 변경이나 추가시 자동으로 파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에 등록된 가족공동체 구성정보를 통하여 개인이 미보유한 가족구성원들의 정보를 자동으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개인과 제공동의한 가족구성원의 유전체 정보를 유전체 정보를 연계 분석하여 가족력에 대한 정밀한 판단과 발생 가능한 질병의 예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환자의 질환 개선을 위한 건강관리 방법(생활습관,식이요법,운동 등)을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전달과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건강관리 모델을 AI 알고리즘을 통하여 학습하여 전문가(의사)에게 제공하고, 전문가의 경험과 환경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최적화된 건강관리 모델을 제공하고, 제공된 건강관리 모델의 적용결과를 전문가에게 피드백하여, 건강관리 모델의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개인별, 가족별 맞춤 건강관리 상담을 AI 챗봇기반으로 온라인에서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건강 상담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강검진데이터에 개인의 라이프로그, 진료데이터 등을 결합하여 건강상태를 분석하여 현재의 건강상태를 개인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의 건강상태를 기반으로 하는 건강관리 모델을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물을 제공받은 가족구성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건강 상품을 선물로 추천하고 이를 선물함으로써 선물 수신자에게 최적화된 건강 선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사한 건강상태나 성별, 연령대별 사람들이 구매하는 제품을 분석하여 선물을 제공함으로써 선물 수신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물 제공자가 구매 대상 선물을 선택하고 구매하기 전에 선물 수신자의 선호 여부를 요청하여 선호시에 선물을 제공하며, 비선호시에는 다른 선물을 추천하여 선물 수신자의 기호에 맞는 선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서버)의 구체적인 블럭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의 일예로서 폰북 database를 이용한 가족 초대 메시지 송부 및 승인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의 일예로서 가족 개개인 라이프로그를 수집하여 건강검진을 수행하고 병원진료기록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의 일예로서 건강정보 검색 및 건강관리활동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의 일예로서 건강관리상품을 조회하고 선물하기를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의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강검진 DB, 병원진료 DB, 공공기간 DB 등에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공공기관 시스템(서버)(40), 보험사, 제약사, 약국을 포함하는 수요기관 시스템(서버)(50), 건강관리 상품공급자 컴퓨터(서버)(30-1,...,30-N), 및 전문가 컴퓨터(서버)(20-1,..,20-N), 및 다수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1,...,10-N)를 사용하여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서버)(6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서버)(60)가 건강관리 서비스 전반을 관리하되, 영상메시지 및 텍스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모든 과정을 제어한다. 필요시 별도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서버)의 구체적인 블럭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모듈(61)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통신모듈(61)과 연결된 제어부(62)를 통해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과정을 제어하게 된다.
건강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저장부(63)는
회원 정보에서 특히 폰북에서 가족관계를 분석하고 가족간 정보 공유등 건강정보 공유과정 전반을 관리하고 가계도를 작성하과 관련데이터를 분석 저장 및 관리하는 가족관계 관리분석모듈(64),
개인 및 가족 회원에게 적당한 건강관리모델을 제공하고 전문가와 연결하여주는 맞춤형 가족건강관리모델 제공모듈(65),
회원에게 맞는 건강상품을 추천하고 결제등 상품 배송 전반을 관리하는 건강상품추천모듈(66),
라이프로그를 포함한 회원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하며 회원의 요청에 따라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기타 병원진료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정보관리보듈(67)을 포함한다.
또한, 가존관계 DB, 상품/컨텐츠DB, 가족 건강기록 DB, 및 건강관리학습모델 DB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의 일예로서 폰북 database를 이용한 가족 초대 메시지 송부 및 승인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서버)(60)에서 사용자 단말로 초대 메시지를 송부한다(S2). 본 발명에서 개인이 가족은 회원이 될 수 있고 이때 자신의 폰북(가족을 비롯한 타인들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음)을 제공하며 폰북을 통해 개인의 가계도를 작성하게 되며, 개인의 동의에 따라 본인 및 가족에게 푸쉬메시지를 송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초대 메시지 신호를 접수한 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확인하게 되면(S4), 해당 사용자의 가계도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S6). 가계도 정보는 해당 개인을 중심으로 가족으로 정보가 관리된다.
이후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서버)(60)은 가계도에서 미초대된 가족이 있는지 판단하여 있으면 초대 메시지를 다시 송신하게 된다.
이를 통해, 특정 개인을 중심으로 형성된 가계도에 각각의 가족에 대한 건강정보를 구분되어 관리되게 되며, 가족간에 건강정보를 필요시 서로 검색하거나 공유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가족 관계는 예를 들면, 촌수나 호칭을 자동으로 등록하는 절차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폰의 주소정보를 등록하여 가족이 가입정보를 자동 추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족 중에 특정한 한 사람이 본 발명의 서비스를 등록한 경우 등록된 가입자의 폰북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가족정보를 열람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에 가입하도록 초대할 수 있다. 또한, 가족관계정보를 토대로 초대를 받은 가족의 경우 가족관계 정보(가계도 정보)를 나의 관계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한편 가족관계정보가 잘못된 경우에는 수정요청을 할 수 있고, 이후 수정된 가족관계정보를 등록된 회원에게 자동으로 전송되게 된다.
이를 통해 가족 개개인은 자신의 가족에 대한 가족 건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건강검진 정보, 병원치료 정보등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촌수와 호칭을 알 수 있으며, 가족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갱신되는 가족관계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가족간의 유대감이 증대될 수 있다.
만약 특정 가족이 결혼과 같은 관계로 다른 가족과 관계되는 경우에는 혈족 또는 친족을 중심으로 가계도를 작성할 수 있으며(미도시), 이 경우 특히 특정개인을 중심으로 직계가족을 중심으로 가계도가 작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가족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정보등록과 전달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등록한 개인의 폰북정보를 통해 해당 개인을 중심으로 한 가족관계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설정된 내용에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며 추가등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프로그램은 제어부의 제어하에 폰북 전화번호와 가족관계정보 설정결과를 학습하여 오류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필요시에는 특정한 개인에게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가족관계를 확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의 일예로서 가족 개개인 라이프로그를 수집하여 건강검진을 수행하고 병원진료기록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라이프로그를 수집하는 단계(S10),
수집된 라이프로그를 저장하는 단계(S12),
저장된 라이프로그 공유를 판단하는 단계(S14),
공유하는 경우 라이프로그를 수요기관에 전송하는 단계(S16),
이후,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기록 신청이 있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18),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기록 신청이 있는 경우, 건강검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20),
이후, 공유하는 경우 건강검진 데이터를 수요기관에 전송하는 단계(S22),
이후, 사용자로부터 병원진료 기록요청이 있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4),
사용자로부터 병원진료 기록요청이 있는 경우, 병원진료 기록을 전송하는 단계(S26),
이후, 공유하는 경우 병원진료 기록을 수요기관에 전송하는 단계(S28)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1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의 일예로서 건강정보 검색 및 건강관리활동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강정보 검색여부를 판단하여(S30), 개인인 경우(S32) 개인건강정보를 전송하고(S34), 가족인 경우 가족건강정보를 전송하게 된다(S36).
이후 가족건강관리모델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여(S40), 해당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인공지능형인지(S42), 전문가형 인지를 판단하여(S46) 각각 해당 가족 건강관리모델을 전송하게 된다(S44).
만약 가족건강관리활동을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S50), 가족건강관리모델을 수정하여 관리하게 된다(S52).
상기 가족건강관리모델은 맞춤형 가족건강관리 모델 제공모듈(65)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1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의 일예로서 건강관리상품을 조회하고 선물하기를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건강관리 상품을 조회하였는지를 판단한다(S60).
이후 조회결과에 따라 건강상품추천모듈(66)은 구매자 건강상태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게 된다(S62).
이후 결제여부를 판단하여(S64), 결제한 경우, 별도로 가족건강관리 상품 선물하기를 추천한다(S66).
이후 결제를 하게 되면(S68), 선물하기 상품쿠폰을 해당 가족에게 발송하게 된다(S70).
이후 수신자는 선물하기 상품 사용신청 및 승인을 하게 되고(S72), 이후 요청에 따라 선물을 배송하거나 직접수령 할 수도 있다.
상기 과정에서 상품구매를 개인맞춤형으로 추천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수신자 혹은 구매자의 사전 선호도를 확인 후에(선호도를 개인 정보에 저장함)상품을 선물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타상품을 추천할 수도 있고, 시스템상에서 추천상품을 노출시켜 선택을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선물받은 상품을 다른 상품으로 변경하여 구매하는 기능도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선물을 다시 선물하기 기능도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유사 건강상태를 가진 사람이 효과를 많이 봤다는 정보를 통해 해당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즉 상품 구매후 개선효과, 재구매 비율, 혹은 평가, 혹은 후기에 실린 정보를 토대로 긍정평가가 많이 나온 제품을 추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에 의하면, 개인의 건강기록을 가족에게 공유함으로써, 가족공동체의 상호간의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건강한 가족공동체를 활성화시켜서 사회적 의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인의 건강검진데이터, 진료기록, 처방전 등을 본인의 동의를 통해 개인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에서 수집/분석하고, 본인의 동의를 통해 개인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의 개인건강기록을 가족들에게 온라인으로 자동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 수집된 PHR 데이터를 AI학습을 통하여 분석하여 민감도를 예측하고, 예측된 민감도를 개인건강기록 공유자에게 제공하여 공유여부를 판단하게 함으로써 민감한 데이터의 무분별한 공유를 막을 수 있고, 또한 차단된 개인건강기록의 민감 정보와 공유된 개인건강기록 데이터의 이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개인건강기록 데이터의 제공에 대한 판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인건강기록 원본 데이터와 전송 이력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전송하여 PHR 원본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족공동체 구성 정보를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을 통하여 자동으로 구성하고, 가계도와 연락처를 시스템을 통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전화번호 변경이나 추가시 자동으로 파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강관리서비스시스템에 등록된 가족공동체 구성정보를 통하여 개인이 미보유한 가족구성원들의 정보를 자동으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개인과 제공동의한 가족구성원의 유전체 정보를 유전체 정보를 연계 분석하여 가족력에 대한 정밀한 판단과 발생 가능한 질병의 예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환자의 질환 개선을 위한 건강관리 방법(생활습관,식이요법,운동 등)을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전달과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건강관리 모델을 AI 알고리즘을 통하여 학습하여 전문가(의사)에게 제공하고, 전문가의 경험과 환경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최적화된 건강관리 모델을 제공하고, 제공된 건강관리 모델의 적용결과를 전문가에게 피드백하여, 건강관리 모델의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개인별, 가족별 맞춤 건강관리 상담을 AI(인공지능) 챗봇기반으로 온라인에서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건강 상담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강검진데이터에 개인의 라이프로그, 진료데이터 등을 결합하여 건강상태를 분석하여 현재의 건강상태를 개인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의 건강상태를 기반으로 하는 건강관리 모델을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물을 제공받은 가족구성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건강 상품을 선물로 추천하고 이를 선물함으로써 선물 수신자에게 최적화된 건강 선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사한 건강상태나 성별, 연령대별 사람들이 구매하는 제품을 분석하여 선물을 제공함으로써 선물 수신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물 제공자가 구매 대상 선물을 선택하고 구매하기 전에 선물 수신자의 선호 여부를 요청하여 선호시에 선물을 제공하며, 비선호시에는 다른 선물을 추천하여 선물 수신자의 기호에 맞는 선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10-N: 사용자 단말기
20-1,...,20-N: 전문가 컴퓨터(서버)
30-1,...,30-N: 건강관리 상품공급자 컴퓨터(서버)
40: 공공기관 시스템(서버)
50: 수요기관 시스템(서버)
60: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서버)

Claims (6)

  1. 건강검진 DB, 병원진료 DB, 공공기간 DB 등에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공공기관 시스템(서버), 보험사, 제약사, 약국을 포함하는 수요기관 시스템(서버), 건강관리 상품공급자 컴퓨터(서버), 및 전문가 컴퓨터(서버)를 포함하고, 다수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서버)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서버)은
    통신모듈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상기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건강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저장부와 연계하여 건강관리서비스 제공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저장부는
    회원 정보에서 특히 폰북에서 가족관계를 분석하고 가족간 정보 공유등 건강정보 공유과정 전반을 관리하고 가계도를 작성하고 관련데이터를 분석 저장 및 관리하는 가족관계 관리분석모듈,
    개인 및 가족 회원에게 적당한 건강관리모델을 제공하고 전문가와 연결하여주는 맞춤형 가족건강관리모델 제공모듈,
    회원에게 맞는 건강상품을 추천하고 결제와 상품 배송 전반을 관리하는 건강상품추천모듈,
    라이프로그를 포함한 회원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하며 회원의 요청에 따라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기타 병원진료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정보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저장부내의 각종 모듈들과 연계하여 동작되는 가족관계 DB, 상품/컨텐츠DB, 가족 건강기록 DB, 및 건강관리학습모델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개인 및 가족관계도를 생성하여 개개인의 건강검진정보 및 병원진료정보, 라이프로그정보를 수신하여 개인 및 가족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또한, 개개인에게 개인 맞춤형 건강모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의 정보는 폰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가족관계도를 생성하고 그를 통해 가족의 건강검진 정보 및 병원진료 정보를 생성하고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3. 폰 번호를 기반으로 등록되지 않은 가족을 초대하는 단계,
    초대에 응하는 가족의 가족관계를 확인하고 등록처리하는 단계,
    등록된 가족의 건강관리 서비스의 제공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등록된 가족의 건강관리 데이터의 변동상황을 체크하여 설정된 범위내의 가족과 건강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1항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
  4. 건강정보 검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개인인 경우에는 개인건강정보를 전송하고, 가족인 경우에는 가족건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 가족건강관리모델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해당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인공지능형인지, 전문가형 인지를 판단하여 각각 해당 가족 건강관리모델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1항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
  5. 라이프로그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라이프로그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라이프로그 공유를 판단하는 단계.
    공유하는 경우 라이프로그를 수요기관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기록 신청이 있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건강검진 기록 신청이 있는 경우, 건강검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 공유하는 경우 건강검진 데이터를 수요기관에 전송하는 단계,
    이후, 사용자로부터 병원진료 기록요청이 있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병원진료 기록요청이 있는 경우, 병원진료 기록을 전송하는 단계,
    이후, 공유하는 경우 병원진료 기록을 수요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1항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
  6.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 초대 메시지를 송부하는 단계,
    사용자는 초대 메시지 신호를 접수한 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
    이후 해당 사용자의 가계도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이후 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서버)는 가계도에서 미초대된 가족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만약 미초대된 가족이 있으면 해당 가족에게 초대 메시지를 다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1항의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

KR1020190089373A 2019-07-24 2019-07-24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 KR20210012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373A KR20210012156A (ko) 2019-07-24 2019-07-24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
KR1020220034842A KR102493374B1 (ko) 2019-07-24 2022-03-21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373A KR20210012156A (ko) 2019-07-24 2019-07-24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842A Division KR102493374B1 (ko) 2019-07-24 2022-03-21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156A true KR20210012156A (ko) 2021-02-03

Family

ID=745717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373A KR20210012156A (ko) 2019-07-24 2019-07-24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족건강 관리방법
KR1020220034842A KR102493374B1 (ko) 2019-07-24 2022-03-21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842A KR102493374B1 (ko) 2019-07-24 2022-03-21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121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4235A (zh) * 2021-03-31 2021-06-25 帝鸿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基于app信息化建设的健康管理平台
CN113722283A (zh) * 2021-08-31 2021-11-30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健康信息共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022291A1 (ko) * 2021-08-20 2023-02-23 주식회사 이빨 전자문패를 이용한 가족 유대 및 방문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025B1 (ko) * 2022-05-13 2023-05-26 농협생명보험 주식회사 헬스케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896A (ko) * 2010-06-22 2011-12-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건강정보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건강정보 관리 서비스 방법
KR101500673B1 (ko) * 2011-10-26 2015-03-10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이동 통신 기기 및 건강 관리 방법
KR101565734B1 (ko) * 2015-06-09 2015-11-16 고재호 가족 문화 컨텐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836187B1 (ko) * 2015-10-30 2018-03-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964733B1 (ko) * 2018-08-09 2019-04-02 주식회사 아롬정보기술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4235A (zh) * 2021-03-31 2021-06-25 帝鸿科技(珠海)有限公司 一种基于app信息化建设的健康管理平台
WO2023022291A1 (ko) * 2021-08-20 2023-02-23 주식회사 이빨 전자문패를 이용한 가족 유대 및 방문자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N113722283A (zh) * 2021-08-31 2021-11-30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健康信息共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374B1 (ko) 2023-01-30
KR20220045935A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0090B2 (en) Community data aggregation with automated followup
KR102493374B1 (ko)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Oude Voshaar et al. International consortium for health outcome measurement set of outcomes that matter to people living with inflammatory arthritis: consensus from an international working group
Torke et al. Palliative care for patients with dementia: a national survey
US200100395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and wellness online
US20150154646A1 (en) Storage, retrieval, analysis, pricing, and marketing of personal health care data using social networks, expert networks, and markets
US20130035946A1 (en) Social networks for care coordination, management, and support and health information exchange
WO2014031201A2 (en) Method, process and system for disease management using machine learning process and electronic media
US201202035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orders for medical equipment
US20110264550A1 (en) System for Developing Direct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Consumers for the Healthcare and Other Privacy and Security sensitive Industries
Nwankpa et al. Leapfrogging healthcare service quality in sub-saharan Africa: The utility-trust rationale of mobile payment platforms
Hoogendoorn et al. What Makes a Quality Health App—Developing a Global Research-Based Health App Quality Assessment Framework for CEN-ISO/TS 82304-2: Delphi Study
US2023019647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healthcare ecosystem
US20230177502A1 (en) System & method to detect fraudulent or abusive behavior as part of medical record and medication management
US20170242979A1 (en) Method of performing clinical trials
US20170039325A1 (en) Community referral cluster technology platform
Živaljević et al. Conceptual and mathematical model for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WO2021221960A1 (en) Method to build a trust chain of testing or dispensation of medical consultation in a medical network
Shen et al. Differential benefits of cardiac care regionalization based on driving time to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US20200013508A1 (en) Symptom standardization matching system
Fellmann Effects of family interventions on interpersonal conflicts: A network perspective
US20140136220A1 (en) Interactive Patient and Physician Systems and Their Methods of Use
Dowling et 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public health and health research: Findings from a large-scale HIE stakeholder study
US20240161912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facilitating routing to a provider
KR102597921B1 (ko) 보험계약자의 질병력 고지의무를 대행하는 언더라이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